KR20160131370A - 이종의 금속용접을 통한 판금 부품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이종의 금속용접을 통한 판금 부품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1370A
KR20160131370A KR1020150063619A KR20150063619A KR20160131370A KR 20160131370 A KR20160131370 A KR 20160131370A KR 1020150063619 A KR1020150063619 A KR 1020150063619A KR 20150063619 A KR20150063619 A KR 20150063619A KR 20160131370 A KR20160131370 A KR 20160131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plate
metal
sheet metal
expansion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3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동선희
Original Assignee
동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선희 filed Critical 동선희
Priority to KR1020150063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1370A/ko
Publication of KR20160131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13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1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investigating the properties, e.g. the weldability, of materials
    • B23K31/125Weld quality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으로 만들어지는 판금 부품은 2장의 서로 다른 두께,서로다른 형상과 서로다른 재질의 금속판을 서로 접합하여 사용해야 할 경우 용접하여 얻은 일체의 금속판을 원하는 형상으로 프레스 성형하여 형성시킨 것이며, 일체로 접합되어진 금속판의 용접부에서 금속판 표면에서 돌출하는 동시에 용접부의 용접 상태에 따라서 팽창 돌출부를 나타내는 외관을 갖도록 인위적으로 만든다. 판금 부품을 제조함에 있어서, 일체로 접합되어진 금속판은 특정하게 만들어진 성형 다이를 장착한 프레스 성형기의 상부 주형과 프레스 성형기 하부 주형 사이에 일체로 접합 되어진 금속판을 삽입시켜서 일체로 용접된 금속판의 용접부의 일부를 포함하는 금속판 영역을 하부 주형의 펀치부와 상부 주형의 펀치부를 결합시켜 이로 인하여 형성되는 오목부 사이에 결정된 금속판의 위치를 펀치로 가압하여 소성 변형시킨 팽창된 돌출부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이종의 금속용접을 통한 판금 부품 제작방법.{How to make metal-Sheet-part with two different components, thickness, shape metal}
본 발명은 용접 공정을 통하여 판금 부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용접된 품질을 용이하게 관리하면서 품질의 신뢰성을 양호하게 검사할 수 있도록하는 판금 부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별히 차량과 같이 인명의 안정성을 최우선으로 하는 부품의 경우 ,차량의 안전성에 관여하는 차량 부품, 예를 들면, 프레임같은 부품등은 판금 부품으로 만들어 진다.이러한 판금 부품의 제조시는 2장의 서로다른 물성을 가진 이종의 금속판을 대향 단부에서 용접하여 얻은 일체의 금속판을 원하는 형상으로 프레스 가공한 것이 있다.
본 발명은 용접 공정을 통하여 판금 부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용접된 품질을 용이하게 관리하면서 품질의 신뢰성을 양호하게 검사할 수 있도록하는 판금 부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별히 차량과 같이 인명의 안정성을 최우선으로 하는 부품의 경우 ,차량의 안전성에 관여하는 차량 부품, 예를 들면, 프레임 같은 부품등은 판금 부품으로 만들어야만 상호 충돌시 충격 하중을 흡수하는 부분과 충격 부위를 써포트하는 역할을 나누어서 구성되어 진다.이러같은 자동차용 판금 부품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2장의 서로 다른 물성,두께 형상등을 가진 이종의 금속판을 대향 단부에서 용접하여 이런 공정을 걷쳐서 제조된 일체 접합 금속판을 부품 형상에 맞도록 하는 형상으로 프레스 가공하는 경우도 있다.예를 들면, 차량 부품으로 매우 중요하게 사용되는 사이드 프레임은 제1금속판으로 프론트(front)파트라 불리우고 제1금속판보다 판의 강도가 높고 두께가 두껍운 제 2의 금속판으로 리어(rear) 파트라 불러지며,이와 같이 이종의 서로 다른 금속으로 구성되어 용접,접합하여 사용하게 되면 차량의 정면 충돌시에 주로 프론트 파트가 대부분의 충격을 흡수하여 형상 자체를 변형시키므로서 외부충격을 완화 시키는 역할을 할수 있다. 제 1 및 제 2 금속판은 포개어 용접하거나 맞대기 용접을 함으로써 양쪽 금속판의 대향 단부에서 서로 일체로 접합되어 결합되고 다시 프레스가공을 통하여 성형함으로써 원하는 형상의 사이드 프레임으로 성형된 용접 판금 부품으로 만들어 진다.특별히 사이드 프레임에는 차량의 중요 부품으로 서스펜션, 엔진, 트랜스미션 등의 인명의 안전에 중요한 보안 부품이므로 특별히 보증된 부품으로 구성 되어 있다. 따라서 만일의 경우 사이드 프레임에 용접불량이 있게되면 차량 안전성에 상당한 문제점이 발생될 소지가 크다.그래서, 안전성에 깊게 관계있는 이와 같은 사이드 프레임 등과 같은 중요한 판금 부품에 대하여서는 용접에 의한 일체 접합공정 후에도 그 용접 품질을 확인해야하며 판금 부품으로 사용을 결정하기위하여 판금 부품을 전수 검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또한 부품의 전수 검사방법이 검토가 진행되야함은 물론이다. 지금 까지 판금부위의 용접 부분은 판금 부품의 용접부위을 절단하고 절단부를 확대경 등을 사용하여 육안으로 용접 품질을 판정하면 판금부품의 용접 품질을 정밀도가 양호하게 검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단 부위 외관 검사 방법은 샘플 검사로서는 적당하지만 전수 검사에 적용할 수 없다. 한편, 완성 차량 단계에서는 판금 부품, 예를 들면, 사이드 프레임에는 도포가 실시되며 육안에 의한 외관 검사로 사이드 프레임의 용접 품질을 판정할 수 없는 것이 제조공정상의 현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문제점을 확인하고 일체로 접합된 이종의 금속 판금 부품의 용접부의 용접 품질을 외관 검사로 간단하면서 정밀도가 양호하게 판정할 수 있는 판금부품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본 발명의 매우 주요한 방법에 따르면 접합하려고 하는 판금 부품이 2장의 서로 다른 이종의 금속판을 대향 단부에서 용접하여 얻게 되는되 이렇게 접합된 일체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판금 부품은 용접되어진 코아파트(Core-Part)와 이러한 코아파트(Core-Part)의 용접부에서 코아파트(Core-Part)의 용접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부위에 팽창된 모양의 돌출부가 나타나게 된다. 팽창된 돌출부는 용접부의 용접 상태,품질을 나타내주는 외관을 나타낸다.바람직하게는 팽창된 돌출부는 코아파트(Core-Part)의 표면에서 정해진 양의 돌출량만 돌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일정량의 팽창된 돌출량은 서로 다른 재질의 2장의 금속판이 용접부에서 양호하게 용접되어 접합된 경우에는 팽창 돌출부에 용접 불량을 나타내는 외관 이상을 발생시키지 않으나 만일 용접이 불량인 경우에는 외관 이상을 발생시키도록 설정한다.본 발명의 판금 부품에 따르면 팽창된 돌출부는 판금 부품의 제조에 제공되는 일체의 금속판의 용접부의 용접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을 보여준다.즉, 용접 상태(용접 품질)가 양호하면 팽창 돌출부에 외관 이상이 나타나지 않는다,예를 들면,팽창된 부위에 균열(Crack)은 보이지 않는다. 한편, 용접 상태가 불량하면 팽창 돌출부에 외관 이상이 생길수 잇다.따라서, 팽창 돌출부의 외관을 판별하기만 하여도 이를 근거하여 판금 부품의 용접 상태를 적절하게 판정할 수 있는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판금 부품은 외관 검사만으로 간단하면서 정밀도가 양호하게 용접부의 용접 품질을 판정할 수 있다.따라서, 본 발명은 특히, 용접 품질이 생명의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차량 구조물과 차체의 중요 보안 부품이나 특별히 보증 부품이 장착되는 차량 프레임 등의 판금 부품에 적용하는데 매우 적절하다고 하겠다. 또한,이와 같은 용접된 판금 부품은 이러한 용접부위를 절단하지 않고 최종 제품으로 판금 부품을 편입하기 전 또는 편입한 후에 외관 검사함으로써 용접 품질을확실하게 판정할 수 있으며 전수 검사를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을 차량의 크로스멤버에 적용하는 경우, 크로스 멤버의 용접 품질을 차체 부품에 접합하기 전 및 접합한 이후의 어느 경우에도 용이하면서 확실하게 전수 검사할 수 있게 되고 차량의 품질 보증, 나아가서는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본 발명에서 상기한 2장의 금속판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들면, 서로 다른 판두께를 가질 수 있다. 2장의 금속판은 대향 단부에서 맞대기 용접하거나 포개어 용접한다. 이와 같은 적절한 양태에 따르면 2장의 금속판은 판금 부품의 기계적 요건이나 외관 요건에 적합한 소요의 기계적 성질 및 형상을 구비하는 일체의 금속판에 접합하여 용접한다. 예를 들면, 충격력이 가해질 때에 2장의 금속판의 한부분이 크게 변형되어 충격력을 흡수하는 용접 판금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본 발명에서는 팽창된 돌출부위를 만드는 과정에서 바람직한 형상은 반구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팽창 돌출부의 정점부는 용접부의 일부에 꼭 들어 맞도록 해야한다.이러한 적절한 상태에서 팽창 돌출부는 용접부의 용접 품질을 보다 정확하게 나타내는 외관을 보이며 외관 검사만으로도 용접 품질을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게 된다.본 발명의 다른 프로세스를 보게되면 이종의 서로 다른 2장의 금속판을 대향 단부에서 용접하여 얻은 접합된 일체의 금속판을 프레스 성형기를 사용하여 판금 부품으로 프레스 성형하는 판금 부품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이러한 제조방법은 제1프레스 성형기와 제 2 프레스 성형기의 제 I 및 제 2 프레스 주형 절반부분 사이에 프레스 성형이 완료되지 않은 접합된 일체의 금속판을 반입하거나 프레스 성형 완료의 일체의 금속판을 반입하고 접합된 일체의 금속판에 형성된 용접부위의 일부를 포함하는 금속판 영역을 제 1 프레스 주형 절반부에 형성되는 펀치와 상기 펀치와 마주보는 동시에 펀치의 상호 가공을 허용하도록 제 2 프레스 주형 절반부에 형성하는 오목부와의 사이에 위치를 결정하고 펀치로 가압하여 소성 변형시켜 용접부의 용접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을 보여주는 팽창된 돌출부를 용접되어 접합된 금속판에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게 된다.보다 바람직하게는 팽창된 돌출부가 나타나는 공정은 용접으로 접합된 금속판 영역에 소정의 소성 변형량을 발생시킴으로써 팽창 돌출부를 형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에 설명한 일정의 소성 변형량은 2장의 금속판이 양호하게 용접되는 경우에는 팽창 돌출부에 용접 불량을 나타내는 외관 이상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용접이 불량인 경우에 외관 이상을 발생시키도록 가공한다.따라서 본 발명의 판금 부품 제조방법에 따르면 외관 검사에 의해도 용접 상태를 판정할 수 있는 판금 부품을 적절하게 제조할 수 있다. 판금 부품은 용접 상태에서 이를 표출하는 팽창 돌출부를 가지므로 이러한 팽창 돌출부의 외관에 근거하여 용접상태를 적절하게 판정할 수 있다.본 발명은 중요 포인트는 에릭센 시험중에 시험편에 생기는 현상에 착안된 것이다. 에릭센 시험은 판재(시험편)에 구상 펀치를 서서히 압입하고 판재에 균열이 생길 때의 펀치 압입 정도를 판재의 성형성 평가를 위한 에릭센 값으로서 구한다.하지만 본 발명은 실제로 균열이 생길 때까지 시험편을 소성 변형시키는 에릭센 시험과 상이하며 본 발명은 일체의 금속판의 용접부분의 일부를 포함하는 금속판 영역을 소정량만큼 소성 변형시켜 팽창 돌출부를 형성하는 것이며소정의 소성 변형량은 일체의 금속판의 용접부의 용접 상태가 통상과 같이 양호하면 팽창 돌출부에 균열이 생기지 않을 정도로 제약하여 진행한다.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도면2]의 공정은 프레스 성형기를 사용하여 일체의 금속판을 원하는 형상의 판금부품으로 프레스 성형하는 동시에 실시되며 이에 따라 일체의 금속판의 프레스 성형과 동시에 팽창 돌출부(33)를 형성한다. 이러한 적절한 상태에 따르면 팽창 돌출부가 부착된 판금부품의 제조효율이 향상되며 특히, 용접 품질에 관해서 전수 검사가 실시되는 판금 부품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제조할 수 있다.또는 프레스 성형기와는 별도의 팽창 돌출부의 형성에 전용의 제 2의 프레스 성형기를 사용하여 일체의 금속판에 팽창 돌출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팽창 돌출부의 형성은 일체의 금속판을 프레스 성형하기 전또는 후에 실시된다. 이러한 변형 상태에 따르면 팽창 돌출부 부착 또는 팽창 돌출부가 없는 판금 부품을필요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많은 숫자가 제조되는 판금 부품의 몇개에 팽창 돌출부를 설치하여팽창 돌출부의 외관에 근거하여 용접 품질검사를 실시함으로써 다수의 판금부품의 용접 품질을 임의 검사할 수 있다.바람직하게는 서로 다른 이종의 금속 2장을 용접부에서 맞대기 용접하거나 포개어 용접할수도 있다.[도2]의 공정에서 사용되는 펀치는 반구 형상을 가진 것이 부품의 응력 분포에 유리하고 팽창 돌출부는 반구상으로 형성 된어진다.이러한 적절한 상태에 따르면 팽창 돌출부는 용접부의 용접 품질을 정확하게 나타내는 외관을 보이며 외관검사에 의해 용접 품질을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게 된다.바람직하게는 [그림2]공정에서 하부 프레스 주형 절반부의 오목부 내에서 상부 프레스 주형 절반부의 펀치의 가압으로 인해서 이러한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용접부의 용접 품질을 보다 정확하게 나타내는 외관을 보이는 팽창 돌출부를 형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요 포인트는 용접된 판금부품의 팽창된 돌출부위의 상태를 만들어 주는 것이다.따라서 판금 부품은 용접 상태에 서 이를 표출하는 팽창 돌출부를 가지므로 이러한 팽창 돌출부의 외관에 근거하여 용접상태를 적절하게 판정할 수 있다.본 발명은 중요 포인트는 에릭센 시험중에 시험편에 생기는 현상에 착안된 것이다. 에릭센 시험은 판재(시험편)에 구상 펀치를 서서히 압입하고 판재에 균열이 생길 때의 펀치압입 정도를 판재의 성형성 평가를 위한 에릭센 값으로서 구한다.하지만 본 발명은 실제로 균열이 생길 때까지 시험편을 소성 변형시키는 에릭센 시험과 상이하며 본 발명은 일체의 금속판의 용접부분의 일부를 포함하는 금속판 영역을 소정량만큼 소성 변형시켜 팽창 돌출부를 형성하는 것이며소정의 소성 변형량은 일체의 금속판의 용접부의 용접 상태가 통상과 같이 양호하면 팽창 돌출부에 균열이 생기지 않을 정도로 제약하여 진행한다.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도면2]의 공정은 프레스 성형기를 사용하여 일체의 금속판을 원하는 형상의 판금 부품으로 프레스 성형하는 동시에 실시되며 이에 따라 일체의 금속판의 프레스 성형과 동시에 팽창 돌출부(33)를 형성한다. 이러한 적절한 상태에 따르면 팽창 돌출부가 부착된 판금부품의 제조 효율이 향상되며 특히, 용접 품질에 관해서 전수 검사가 실시되는 판금 부품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제조할 수 있다.또는 프레스 성형기와는 별도의 팽창 돌출부의 형성에 전용의 제 2의 프레스 성형기를 사용하여 일체의 금속판에 팽창 돌출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팽창 돌출부의 형성은 일체의 금속판을 프레스 성형하기 전또는 후에 실시된다. 이러한 변형 상태에 따르면 팽창 돌출부 부착 또는 팽창 돌출부가 없는 판금 부품을필요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많은 숫자가 제조되는 판금 부품의 몇개에 팽창 돌출부를 설치하여팽창 돌출부의 외관에 근거하여 용접 품질검사를 실시함으로써 다수의 판금부품의 용접 품질을 임의 검사할 수 있다.바람직하게는 서로 다른 이종의 금속 2장을 용접부에서 맞대기 용접하거나 포개어 용접할 수도 있다.[도2]의 공정에서 사용되는 펀치는 반구 형상을 가진 것이 부품의 응력 분포에 유리하고 팽창 돌출부는 반구상으로 형성 된어진다.이러한 적절한 상태에 따르면 팽창 돌출부는 용접부의 용접 품질을 정확하게 나타내는 외관을 보이며 외관검사에 의해 용접 품질을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게 된다.바람직하게는 [그림2]공정에서 하부 프레스 주형 절반부의 오목부 내에서 상부 프레스 주형 절반부의 펀치의 가압으로 인해서 이러한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용접부의 용접 품질을 보다 정확하게 나타내는 외관을 보이는 팽창 돌출부를 형성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용접에 의해 제조된 판금 제품을 외관 검사만으로도 용접 품질을 판단할수 있는 신뢰성이 양호하면서도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는 판금 부품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따른 판금 부품 제조방법을 조립 공정 및 검사공정 블록도.
[도 2]은 용접으로 접합된 부위의 돌출부생성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21: 일체의 금속판
33 : 용접 돌출부
44: 용접부
100 : 상부 주형
200 : 하부 주형
[도면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판금 부품 및 그 제조방법을 구성하는 판금 부품의 하나인 차량용 프레임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도 2]에 도시된 사이드 프레임은 그 프론트 부재를 구성 하는 제 1 금속판(11)과 리어 부재를 구성하는 제 2 금속판(21)을 용접하여 얻은 일체의 금속판을 원하는 형상으로 프레스 가공한 코아파트를 구성하고 있다. [도 2]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 주체부의 용접부위(44)에서 제 I 금속판(11)의 후단부와 제 2 금속판(21)의 전단부가 겹쳐 있다. 제 1 및 제 2 금속판(11, 21)은 용접부(44)에서 겹쳐져 매쉬 씸 용접 용접이되어 있다.
그리고, 용접부(44)의 용접 품질(용접 상태)을 외관 검사에 의해 판정할 수 있게 하여야 하며 프레임 주체부에서는 팽창 돌출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팽창 돌출부(33)는 프레임 주체부의 용접부(44)의 높이 방향 중앙부를 포함하는 영역(이하, 금속판 영역 또는 변형 영역이라고 한다)을 소성 변형시킴으로써 형성된다. 팽창 돌출부(33)는 프레임 주체부의 바깥쪽 측면으로부터 차량(도시 생략됨)의 폭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팽창 돌출부(33)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팽창 돌출부(33)의 정점부는 용접부(44)의 중앙부에 정합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팽창 돌출부(33)의 돌출량은 팽창 돌출부(33)의 형성에 따르는 금속판 영역의 소성 변형량에 대응한다. 팽창 돌출부(33)는 양호하게 용접된 용접부(44)의 중앙부를 포함하는 금속판영역이 소성 변형되어 팽창 돌출부(33)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용접 불량을 나타내는 외관 이상(예: 균열)을 팽창 돌출부(33)에 발생시키지 않으며 용접 불량의 용접부(44)의 중앙부를 포함하는 금속판 영역이 소성 변형되어 팽창 돌출부(33)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외관 이상을 발생시키도록 설정된다.일체의 금속판의 프레스 성형 및 팽창 돌출부(33)의 형성에 사용되는 프레스 성형기는 [도 2]의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주형(제 1 프레스 주형 절반부;100)과 하부 주형(제 2 프레스 주형 절반부;200)을 갖고 있다. 상부 주형(100) 및 하부 주형(200)의 각각의 성형면은 일체의 금속판을 원하는 형상의 프레임에 성형하는 데 알맞은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팽창 돌출부(33)의 형성에 관련하여 하부 주형(200)의 성형면에는 반구상의 펀치가 설치되고 상부 주형(100)의 성형면에는 하부 주형(200)의 펀치와 마주보는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오목부는 펀치의 가입을 허용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오목부는 상부 주형(100) 및 하부 주형(200)의 마주보는 면끼리 맞닿아 펀치에 의한 금속판 영역의 가압이 완료된 상태에서도 일체의 금속판의 변형 영역에 관해 펀치와 반대측에 자유 공간을 제공하도록 설치되어 있다.프레임 및 팽창 돌출부(33)를 동시 형성할 때에 우선, [도 2]의 공정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체의 금속판(11,21)을 프레스 성형기의 상부 주형(100)과 하부 주형(200)의 사이에 반입한다. 그리고 금속판 영역이 하부 주형(200)의 펀치와 상부 주형(100)의 오목부(33) 사이에 위치하도록 일체의 금속판(11,21)를 위치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금속판 영역에 포함되는 용접부(44)의 중앙부가 펀치의 말단에 꼭 들어맞도록 일체의 금속판(11,21)을 위치 결정한다.
그리고, 이러한 위치 결정 상태에서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스 성형기를 프레스 성형 동작시킨다. 이러한 프레스 성형 동작시에 일체의 금속판(11, 21)의 금속판 영역의 주위 부분이 상부 주형(100)과 하부 주형(200)에 끼워진 상태에서 일체의 금속판(11, 21)의 금속판 영역의 하면이 반구상의 펀치에 의해 가압되고 이러한 금속판 영역이 소성 변형되어 반구상의 팽창 돌출부(33)가 형성된다. 오목부(33)가 금속판 영역에 관해서 펀치와 반대측에서 금속판 영역과 상부 주형(I00)의 사이에서 자유공간이 존재하도록 상부 주형(I00)에 형성되어 있으며 펀치의 압력을 받아 금속판 영역이 소성 변형하는 동안, 상부 금형(I00)은 금속판 영역에 아무런 작용력도 가하지 않는다. 즉. 팽창 돌출부(33)의 형성에 있어서 금속판 영역에 필요없는 작용력이 미치지 않으며 팽창 돌출부분(33)은 용접부(44)의 용접 품질을 정확히 나타내는 외관을 보인다. 상세하게는 제 1 및 제 2 금속판(I1, 21)이 양호하게 용접되는 용접부(44)의일부를 포함하는 금속판 영역이 소성 변형되어 팽창 돌출부(33)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용접 불량을 나타내는 외관 이상(예: 균열)을 팽창 돌출부(33)에 생기게 하지 않는 한편, 용접 불량의 용접부(44)의 일부를 포함하는 금속판 영역이 소성 변형되어 팽창 돌출부(33)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외관 이상이 생긴다.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얻은 프레임 부품의 팽창 돌출부(33)의 외관을 육안 또는 확대경을 사용하여 검사한다. 팽창 돌출부(33)에 균열 등의 외관 이상이 없는 용접 품질이 좋은 판금부품은 차체 조립공정에서 차체에 조립 부착될 수 있다.

Claims (1)

  1. 팽창 돌출부는 상기 주체부의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돌출량만큼 돌출하고,상기 소정의 돌출량은 상기 2장의 금속판이 용접부에서 양호하게 용접되는 경우에는 팽창 돌출부에 용접불량을 나타내는 외관 이상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용접이 불량인 경우에는 외관 이상을 발생시키도록 설정되는 판금 부품.
KR1020150063619A 2015-05-07 2015-05-07 이종의 금속용접을 통한 판금 부품 제작방법. KR201601313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619A KR20160131370A (ko) 2015-05-07 2015-05-07 이종의 금속용접을 통한 판금 부품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619A KR20160131370A (ko) 2015-05-07 2015-05-07 이종의 금속용접을 통한 판금 부품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370A true KR20160131370A (ko) 2016-11-16

Family

ID=57540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3619A KR20160131370A (ko) 2015-05-07 2015-05-07 이종의 금속용접을 통한 판금 부품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13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23140A1 (de) 2016-10-11 2018-04-12 Hyundai Autron Co., Ltd. Ultraschallsensorvorrichtung und Erfassungsverfahren einer Ultraschallsensorvorrichtu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23140A1 (de) 2016-10-11 2018-04-12 Hyundai Autron Co., Ltd. Ultraschallsensorvorrichtung und Erfassungsverfahren einer Ultraschallsensorvorrichtu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8743B2 (en) Structural or chassis component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of making such a structural or chassis component
JP6341292B2 (ja) プレス成形品の製造方法
US10421155B2 (en) Method for producing a component connection from two different materials, and a corresponding component connection
KR101634864B1 (ko) 금속 패널의 리벳이음 검사방법
KR100302034B1 (ko) 판금부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31370A (ko) 이종의 금속용접을 통한 판금 부품 제작방법.
CN111966062A (zh) 一种自冲孔铆接工艺质量状态的自动判定方法
KR20120057672A (ko) 서지탱크의 제조방법
JP7182989B2 (ja) 接合体の製造方法および板状部材の品質管理方法
CN113020915B (zh) 拼接成型方法
KR102072860B1 (ko) 플래시버트 용접을 이용한 강판의 접합 방법
JP5213028B2 (ja) 金属板のかしめ接合方法
JP6966492B2 (ja) パイプの製造方法
JP6235282B2 (ja) 消音器及びその製造方法
EP3115767A1 (en) Method for the mechanical characterization of a metallic material for wheel disk production
KR102174489B1 (ko) 핫스탬핑 부품용 전단 금형 제조방법
KR20070051822A (ko) 스터드 및 그 제조방법
JP2824408B2 (ja) 金属部品の接合方法
CN117574739B (zh) 一种翘曲缺陷焊点的精细化数值仿真方法
KR100422728B1 (ko) 레이저 용접부의 굽힘 시험 방법
JP7031640B2 (ja) 金属板の成形可否評価方法
JP2004001098A (ja) 板金部品
JP2023129211A (ja) 異種材料接合体及び異種材料接合体の製造方法、並びにスタッド付きアルミニウム部材
JP2005319482A (ja) 金属製マフラーシェルの製造方法
JPH06328162A (ja) プレス加工精度確認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