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9848A - 컨베이어 장치 - Google Patents

컨베이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9848A
KR20160129848A KR1020167024268A KR20167024268A KR20160129848A KR 20160129848 A KR20160129848 A KR 20160129848A KR 1020167024268 A KR1020167024268 A KR 1020167024268A KR 20167024268 A KR20167024268 A KR 20167024268A KR 20160129848 A KR20160129848 A KR 20160129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driven roller
driving
driven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4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조 우라카미
Original Assignee
호소다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소다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소다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29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98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22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a series of co-operating units
    • B65G15/26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a series of co-operating units extensible, e.g. telesc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4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length or configura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48Driving means for the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 Framework For Endless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베이어 장치(10)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11); 구동 롤러(12); 구동 롤러(12)를 회전시키는 롤러 구동 수단(13); 구동 롤러(12)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종동 롤러(14); 구동 롤러(12)와 제1 종동 롤러(14)에 걸쳐 감을 수 있게 장가되는 순환형 벨트(15); 벨트(15)의 내측으로부터 벨트(15)의 하장가부분(15b)에 접촉하여 설치되는 제2 종동 롤러(16); 제1 종동 롤러(14)를 구동 롤러(12)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데 연동하여, 벨트(15)가 느슨해지지 않도록 제2 종동 롤러(16)를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1 종동 롤러(14)를 구동 롤러(12)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데 연동하여, 제2 종동 롤러(16)를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롤러 이동 수단(17); 및 롤러 이동 수단(17)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8)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컨베이어 장치{CONVEYOR DEVICE}
본 발명은,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콩나물 제조 공장에서는 제조된 콩나물을, 예를 들어 일본 공개 특개 2013-153726호(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콩나물의 뿌리 다듬기 장치를 이용하여 뿌리 다듬기 처리를 하고, 세정 장치를 이용하여 세정한 후, 소정 분량씩 봉투에 채우는 포장 처리가 수행되고 있다. 이때, 세정 장치에 의해 세정된 콩나물을, 복수의 컨베이어 장치를 조합하여 구성되는 분배 장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포장용 라인에 분배되어, 라인마다, 전용 포장 처리 장치에 의해, 업무용 전용으로 대량 포장하거나 일반소비자 전용으로 소량 구분 포장하거나 한다.
도 7은, 콩나물이나 자른 야채 등의 피포장물을, 입력 라인(L11, L12)의 수보다 많은 수의 출력 라인(L21~L23)으로 분배하는 종래 기술에 따른 분배 장치(100)의 구성을 간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7에서는 피포장물이 2개의 입력 라인(L11, L12)에 의해 분배 장치(100)에 차례차례 투입되어, 분배 장치(100)에 의해 3개의 포장용의 출력 라인(L21~L23)으로 분배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분배 장치(100)는, 제1 입력 라인(L11)으로부터 피포장물이 투입되는, 정/역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제1 컨베이어 장치(C1)와, 제2 입력 라인(L12)으로부터 피포장물이 투입되는, 정/역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제2 컨베이어 장치(C2)와, 각 컨베이어 장치(C1, C2)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101)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컨베이어 장치(C1, C2)를 높이가 다르게 배치하는 함으로써, 구체적으로는, 제1 컨베이어 장치(C1)의 일측 단부(e11)로부터 낙하된 피포장물이 제2 컨베이어 장치(C2)의 반송면으로 수취되도록, 제1 컨베이어 장치(C1)의 일측 단부(e11)를, 제2 컨베이어 장치(C2)의 반송면의 상부 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반송 벨트(b1)가 도 7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장치(101)가 제1 컨베이어 장치(C1)를 구동시키면, 제1 입력 라인(L11)으로부터 투입된 피포장물을, 타측 단부(e12)로부터 낙하시켜 제1 출력 라인(L21)에 투입할 수 있고, 반송 벨트(b1)가 도 7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1 컨베이어 장치(C1)를 구동시키면, 투입된 피포장물을, 일측 단부(e11)로부터 낙하시켜 제2 컨베이어 장치(C2)로 투입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반송 벨트(b2)가 도 7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장치(101)가 제2 컨베이어 장치(C2)를 구동시키면, 제2 입력 라인(L12) 및 제1 컨베이어 장치(C1)로부터 투입된 피포장물을 일측 단부(e21)로부터 낙하시켜 제2 출력 라인(L22)으로 투입할 수 있고, 반송 벨트(b2)가 도 7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2 컨베이어 장치(C2)를 구동시키면, 투입된 피포장물을 타측 단부(e22)로부터 낙하되어 제3 출력 라인(L23)으로 투입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 2013-153726호 공보
도 7에 나타낸 분배 장치(100)를 이용한 경우, 제1 입력 라인(L11)으로부터 투입된 피포장물에서는, 제1~ 제3 출력 라인(L21~L23)의 모두에 투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렇지만, 제2 입력 라인(L12)으로부터 투입된 피포장물에 대해서는, 제2 및 제3의 출력 라인(L22, L23)으로 투입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제1 및 제2의 컨베이어 장치(C1, C2)가 높이가 다르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출력 라인(L21)으로 투입할 수 없다.
따라서, 제2 컨베이어 장치(C2)에 의해, 제2 및 제3 출력 라인(L22, L23)에 대해, 충분한 분량의 피포장물이 투입되었을 경우, 제2 및 제3의 출력 라인(L22, L23)에 이미 투입되어 있는 피포장물의 양이 포장 처리에 의해 감소할 때까지, 제2 입력 라인(L12)으로부터 제2 컨베이어 장치(C2)로의 피포장물의 투입을 정지해야 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컨베이어 장치(C1, C2)를 높이를 다르게 배치하여 분배 장치(100)를 구성하면, 장치의 가동 효율이 악화되어, 그 공장에서의 피포장물의 생산량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반송 대상물을 복수의 출력 라인에 효율적으로 투입할 수 있게 하는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프레임과, 수평인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는 구동 롤러와, 구동력을 발생하고, 해당 구동력을 상기 구동 롤러에 전달하고, 해당 구동 롤러를 그 축선 주위로 회전시키는 롤러 구동 수단과, 상기 프레임의 상기 구동 롤러로부터 이격된 부위에, 상기 구동 롤러의 축선에 평행한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종동 롤러와, 상기 구동 롤러와 상기 제1 종동 롤러에 걸쳐 감을 수 있도록 장가(張架: 선 등을 장력이 걸린 상태에서 건너지르는 것, stretch)되는 순환형 벨트와, 상기 구동 롤러와 상기 제1 종동 롤러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벨트의 내측으로부터 해당 벨트 하장가부분에 접촉하여 설치된 제2 종동 롤러와, 상기 제2 종동 롤러를 상기 구동 롤러의 축선에 평행한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종동 롤러에 연결되는 롤러 보유부를 갖는 롤러 이동 수단이며, 상기 제1 종동 롤러를 상기 구동 롤러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데 연동하고, 상기 벨트가 느슨해지지 않도록 상기 제2 종동 롤러를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1 종동 롤러를 상기 구동 롤러로부터 이반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데 연동하고, 상기 제2 종동 롤러를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롤러 이동 수단과, 상기 롤러 이동 수단에 의한 상기 제1 및 제2 종동 롤러를 이동시키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롤러 보유부는, 상기 구동 롤러의 축선에 평행한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롤러 이동 수단은, 구동력을 발생하고, 해당 구동력을 상기 롤러 보유부로 전달하고, 해당 롤러 보유부를 회동시키는 보유부 구동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롤러 보유부는, 상기 구동 롤러의 축선에 평행한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는 지축과 ,
장편(長尺)으로 구성되어 길이 방향의 일단부가 상기 제1 종동 롤러의 축선 방향의 각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종동 롤러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되는 한 쌍의 연결부와,
길이 방향의 일단부가 상기 지축에 각각 고정되고 길이 방향의 타단부가 상기 제2 종동 롤러의 축선 방향의 각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제1 암부와, 길이 방향의 일단부가 상기 지축에 각각 고정되고 길이 방향의 타단부가 상기 한 쌍의 연결부에서의 길이 방향의 각 타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제2 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한 쌍의 연결부는, 상기 제1 종동 롤러를, 상기 구동 롤러로부터 이반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가압수단을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한 쌍의 연결부가 그 길이 방향의 중간부에 관절을 각각 갖고, 해당 관절로 접어 구부릴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롤러 구동 수단이 상기 구동 롤러를, 그 축선주위의 일측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력과 타측으로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송 대상물을 복수의 출력 라인으로 효율적으로 투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10)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컨베이어 장치(10)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컨베이어 장치(10)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컨베이어 장치(10)의 사용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컨베이어 장치(10)의 사용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10A)에서의 연결부(42A) 부근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10A)에서의 연결부(42A) 부근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콩나물이나 자른 야채 등의 피포장물을, 입력 라인(L11, L12)의 수보다 많은 수의 출력 라인(L21~L23)으로 분배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분배 장치(100)의 구성을 간략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10)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2는 컨베이어 장치(10)의 측면도이며, 도 3은 컨베이어 장치(10)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1에서는 후술하는 벨트(15), 안내 롤러(20), 브래킷(27), 규제 부재(28), 보유부 구동 수단(32) 등을 생략하여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10)는, 수평인 바닥면(f)에 설치되는 프레임(11)과, 구동 롤러(12)와, 롤러 구동 수단(13)과, 제1 종동 롤러(14)와, 순환(endless)형 벨트(15)와, 제2 종동 롤러(16)과, 롤러 이동 수단(17)과, 제어부(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바닥면(f)에 수직인 방향을 연직 방향(Z)으로 하고, 바닥면(f)에 평행한 한방향을 전후 방향(X)으로 하고, 연직 방향(Z) 및 전후 방향(X) 모두에 수직인 방향을 좌우 방향(Y)으로 하고, 또한 전후방향(X)의 일측을 전방(X1)으로 하고, 전후방향(X)의 타측을 후방(X2)으로 하여 설명한다.
프레임(11)은, 한 쌍의 롤러 지지 프레임(21)과, 그 한 쌍의 롤러 지지 프레임(21)을, 이들이 좌우 방향(Y)으로 이격되고, 또한 전후 방향(X)을 따라 연장되도록 바닥면(f)의 상부 방향으로 지지하는 프레임 본체(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 롤러 지지 프레임(21)은 금속제로 장편(長尺)의 긴 판 형상을 이루고 서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프레임 본체(22)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바닥면(f)에 대해 수직으로 입설되는 금속제의 4개의 지주부(23)를 갖고, 이 4개의 지주부(23)는 전후 방향(X) 및 좌우 방향(Y)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각 지주부(23)는, 평면에서 봤을 때에, 한 쌍의 긴변이 전후방향(X)을 따라 연장되는 직사각형의 각 정부(頂部)에 대응하여 배치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 방향(Y)의 일측편에 배치되는 2개의 지주부(23)의 각 상단부에, 일측의 롤러 지지 프레임(21)이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좌우 방향(Y)의 타측편에 배치되는 2개의 지주부(23)의 각 상단부에, 타측의 롤러 지지 프레임(21)이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한 쌍의 롤러 지지 프레임(21)은 전후방향(X)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설치된 상태로, 프레임 본체(22)에 의해 지지된다.
프레임 본체(22)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후방향(X)의 일측편에 배치되는 2개의 지주부(23)에 걸쳐서, 2개의 빔부(24a, 24b)가 연직 방향으로 이격되어 가설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전후 방향(X)의 타측편에 배치되는 2개의 지주부(23)에 걸쳐, 2개의 빔부(24a, 24b)가 연직방향으로 이격되어 가설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4개의 빔부(24a, 24b) 중, 하측에 배치된 2개의 빔부(24b)의 각 중앙부에 걸쳐, 거더부(25)가 가설되어 있다. 이러한 프레임 본체(22)는 예를 들어, 복수의 금속제의 사각튜브 형상 부재를, 용접으로 연결함으로써 구성된다.
구동 롤러(12)는 그 축선(J12)이 좌우 방향(Y)을 따라 연장되는 자세로, 한 쌍의 롤러 지지 프레임(21)에서의 전방(X1)측의 각 단부(21a)에 의해 그 축선(J12)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롤러 구동 수단(13)은, 한 쌍의 롤러 지지 프레임(21) 중 일측편의 롤러 지지 프레임(21)에서의 단부(21a)에 고정 설치되어 구동력을 발생하고, 그 구동력을 구동 롤러(12)에 전달하고, 구동 롤러(12)를 그 축선(J12) 주위로 회전시킨다. 롤러 구동 수단(13)은 구동력 발생 수단으로서 모터(M)를 가지고 있다. 모터(M)의 동작은, 제어부(18)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롤러 구동 수단(13)은 모터(M)를 정회전 및 역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모터(M)는 구동 롤러(12)를 그 축선(J12) 주위의 일측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력과, 구동 롤러(12)를 그 축선(J12) 주위의 타측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1 종동 롤러(14)는, 그 축선(J14)이 좌우 방향(Y)을 따라 연장되는 자세로, 그 축선(J14)의 바닥면(f)으로부터의 높이 위치가 구동 롤러(12)의 축선(J12)과 동일한 높이 위치가 되도록, 한 쌍의 롤러 지지 프레임(21)에서의 후방(X2) 측의 각 단부(21b)에 의해, 그 축선(J14)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롤러 지지 프레임(21)의 각 단부(21b)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X2)측의 엣지로부터 전방(X1) 측을 향하여 전후방향(X)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노치(21c)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제1 종동 롤러(14)는, 이 한 쌍의 노치(21c) 안에 배치됨으로써 각 단부(21b)에 의해 지지되고, 또한 이 한 쌍의 노치(21c)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전후방향(X)을 따라 이동 가능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베이어 장치(10)의 상태를 제1 상태라고 나타내면, 제1 종동 롤러(14)는 이 제1 상태에서, 노치(21c)에서의 후방(X2) 측 위치인, 제1 위치(P1)에 배치된다. 또한, 이 제1 위치(P1)에 배치되어 있는 제1 종동 롤러(14)가, 후술하는 롤러 이동 수단(17)의 동작에 의해, 노치(21c)를 따라 전방(X1)으로 이동되었을 때에 배치되는 위치를, 제2 위치(P2)라고 나타낸다. 즉 제1 종동 롤러(14)는, 제1 위치(P1)와 제1 위치(P1)보다 구동 롤러(12)에 근접한 위치인 제2 위치(P2)의 사이에서, 전후방향(X)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쌍의 롤러 지지 프레임(21)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또한, 상기 제2 위치(P2)는 도 2에서 가상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벨트(15)는, 구동 롤러(12)와 제1 종동 롤러(14)에 걸쳐 감을 수 있도록 장가(張架)된다. 즉 벨트(15)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방향(Y)에서, 한 쌍의 롤러 지지 프레임(21)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장가란, 벨트(15)가 느슨해지지 않도록, 구동 롤러(12)와 제1 종동 롤러(14)에 걸쳐 가설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벨트(15)가 장가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 롤러(12)의 축선(J12) 주위의 회전 운동에 의한 구동력이 벨트(15)로 전달되어, 이로써 벨트(15)는, 구동 롤러(12)의 회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동작을 실시한다. 벨트(15)는 예를 들어 수지제의 벨트에 의해 실현된다.
여기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벨트(15)에 있어서, 구동 롤러(12)의 상부와 제1 종동 롤러(14)의 상부에 걸쳐 장가되어 있는 부분을 상장가부분(15a)으로 나타내기로 하고, 구동 롤러(12)의 하부와 제1 종동 롤러(14)의 하부에 걸쳐 장가되는 부분을 하장가부분(15b)이라고 나타내기로 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 롤러(12)와 제1 종동 롤러(14)는 동일한 롤러 외경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동 롤러(12)와 제1 종동 롤러(14)는 서로의 축선(J12, J14)이 동일한 높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장가부분(15a)은 바닥면(f)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10)는 이 상장가부분(15a)에 대해 반송 대상물이 실린다. 그리고 상장가부분(15a)에 실린 반송 대상물은, 벨트(15)의 회전 방향을 따라서, 전방(X1)측 혹은 후방(X2)측으로 반송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컨베이어 장치(10)는 이 상장가부분(15a)를 하부방향로부터 지지하는 각각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19)를 더욱 포함하고, 각 지지 플레이트(19)는 이 상장가부분(15a)에 대향하는 상면이, 바닥면(f)과 평행이 되는 자세로, 한 쌍의 롤러 지지 프레임(21)에 의해 지지된다. 즉, 컨베이어 장치(10)는 벨트(15)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장가부분(15a)이, 이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19) 위를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이러한 지지 플레이트(19)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반송 대상물을 상장가부분(15a)에 실었을 때에, 상장가부분(15a)이 반송 대상물의 무게에 의해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 지지 플레이트(19)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장가부분(15a)에 대향하는 상면에, 해당 상면으로부터 조금 돌출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돌기(19a)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 플레이트(19)의 상면으로부터의 돌기(19a)의 돌출량은, 예를 들어 2.5mm~3.0mm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각 지지 플레이트(19)에 돌기(19a)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장가부분(15a)과 지지 플레이트(19)의 사이에 수분이 침입되었다고 해도, 그 수분에 기인하여, 지지 플레이트(19)와 상장가부분(15a)의 사이의 슬라이딩 저항이 증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각 지지 플레이트(19)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롤러 지지 프레임(21)에 걸쳐 가설되는 2개의 지축(26)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부터 지지되어 있다. 각 지지 플레이트(19)에는, 이 지축(26)에 대해 걸어 맞출 수 있는 걸어 맞춤 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 걸어 맞춤 홈과 지축(26)을 걸어 맞춤으로써, 각 지지 플레이트(19)의 전후 방향(X)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롤러 지지 프레임(21)의 상단부에는 각각 전후방향(X)으로 이격된 2개소의 위치에 있어서, 한 쌍의 금속제의 브래킷(27)이 상부방향을 향하고, 또한 벨트(15)의 좌우 방향(Y)의 중앙부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금속제로 장편의 판 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규제부재(28)가, 그 두께 방향이 좌우 방향(Y)으로 일치하는 자세로, 일측의 롤러 지지 프레임(21)의 상단부에 설치된 한 쌍의 브래킷(27)과 타측의 롤러 지지 프레임(21)의 상단부에 설치된 한 쌍의 브래킷(27)에 의해 서로 대향하여 전후방향(X)을 따라 연장되도록 각각 지지되어 있다. 이때 한 쌍의 규제 부재(28)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벨트(15)의 좌우 방향(Y)의 각 테두리부 보다도 내측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벨트(15)의 상장가부분(15a)에 대하여 조금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10)는 이러한 한 쌍의 규제 부재(28)를 설치함으로써, 벨트(15)의 상장가부분(15a)에 실린 반송 대상물이 벨트(15)의 좌우 방향(Y)의 각 테두리부로부터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제2 종동 롤러(16)는 그 축선(J16)이 좌우 방향(Y)을 따라 연장되는 자세로, 전후방향(X)에 대하여, 구동 롤러(12)와 제1 종동 롤러(14)의 사이, 보다 상세하게는 전방(X1)측에 배치되는 2개의 지주부(23)와, 후방(X2)측에 배치되는 2개의 지주부(23)와 대략 중간 위치에 배치되어 벨트(15)의 내측으로부터, 하장가부분(15b)에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제2 종동 롤러(16)의 전방(X1)측 및 후방(X2)측에 안내 롤러(20)가 그 축선(J20)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한 쌍의 롤러 지지 프레임(21)에 걸쳐 각각 가설(架設)되어 있다. 각 안내 롤러(20)은, 그 축선(J20)이 좌우 방향(Y)을 따라 연장되는 자세로, 그 상단의 높이 위치가 구동 롤러(12) 및 제1 종동 롤러(14)의 각 하단의 높이 위치와 대략 동일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벨트(15)의 외측으로부터, 하장가부분(15b)에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2 종동 롤러(16)는 이 2개의 안내 롤러(20)의 사이에서, 컨베이어 장치(1)의 제1 상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안내 롤러(20)가 설치되어 있는 높이 위치보다 약간 하부의 높이 위치에 배치되고, 벨트(15) 하장가부분(15b)을 감을 수 있다. 이 제1 상태에서의 제2 종동 롤러(16)의 위치를, 제3 위치(P3)라고 나타내기로 한다.
롤러 이동 수단(17)은, 제1 종동 롤러(14)를 구동 롤러(12)에 근접 이반하는 방향, 즉 전후방향(X)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제1 종동 롤러(14)의 이동에 연동하여, 제2 종동 롤러(16)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컨베이어 장치(10) 상태를, 제1 종동 롤러(14)가 제1 위치(P1)에 배치되고, 또한 제2 종동 롤러(16)가 제3 위치(P3)에 배치되는 제1 상태와, 제1 종동 롤러(14)가 제2 위치(P2)에 배치되고 또한 제2 종동 롤러(16)가 후술하는 제4 위치(P4)에 배치되는 제2 상태의 사이에서 전환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롤러 이동 수단(17)은 제1 위치(P1)에 배치되어 있는 제1 종동 롤러(14)를, 제1 위치(P1)로부터 제1 거리(L1)만 전방(X1)으로 이격된 제2 위치(P2)로 이동시켜, 그 제1 종동 롤러(14)의 이동에 연동하여, 제3 위치(P3)에 배치되어 있는 제2 종동 롤러(16)를, 제3 위치(P3)로부터 제2 거리(L2)만 하부 방향으로 이격된 제4 위치(P4)로 이동시킴으로써, 컨베이어 장치(10)를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천이시킨다. 여기서 제2 거리(L2)는, 컨베이어 장치(10)의 제2 상태에서, 벨트(15)에 느슨함이 생기지 않도록 결정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 거리(L2)는, 제1 상태에 있어서의 벨트(15)의 장력과 제2 상태에서의 벨트(15)의 장력이 대략 같아지도록 결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거리(L1)는 400 mm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롤러 이동 수단(17)은, 제2 위치(P2)에 배치되어 있는 제1 종동 롤러(14)를 제1 위치(P1)로 이동시켜, 그 제1 종동 롤러(14)의 이동에 연동하고, 제4 위치(P4)에 배치되어 있는 제2 종동 롤러(16)를 제3 위치(P3)로 이동시킴으로써 컨베이어 장치(10)를 제2 상태로부터 제1 상태로 천이된다.
이하, 롤러 이동 수단(17)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롤러 이동 수단(17)은, 제2 종동 롤러(16)를 그 축선(J16)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제1 종동 롤러(14)에 연결되어 좌우 방향(Y)을 따라 연장되는 축선(J41)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프레임(11)에 의해 지지되는 롤러 보유부(31)와, 구동력을 발생하여, 그 구동력을 롤러 보유부(31)로 전달하고, 롤러 보유부(31)를 축선(J41) 주위로 회동시키는 보유부 구동 수단(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롤러 보유부(31)는, 지축(41)과 한 쌍의 연결부(42)와 한 쌍의 제1 암부(43)와 한 쌍의 제2 암부(44)와 제3 암부(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축(41)은 그 축선(J41)이 좌우 방향(Y)을 따라 연장되는 자세로, 프레임(11)의 프레임 본체(22)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는 후방(X2) 측에 배치된 2개의 지주부(23)에 의해, 제4 위치(P4)보다 하부 방향의 높이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한 쌍의 연결부(42)는, 서로 동일하게 구성되어 좌우 방향(Y)에서, 한 쌍의 롤러 지지 프레임(21)보다 외측에 각각 배치된다. 각 연결부(42)는 전후방향(X)을 따라 연장 설치되어 후방(X2) 측에 배치된 일단부(42a)가, 제1 종동 롤러(14)에서의 축선 방향의 각 단부에 각각 연결된다.
여기서, 한 쌍의 연결부(42)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종동 롤러(14)가 제1 위치(P1)에 배치되어 있을 때, 이 타단부(42b)가, 지축(41)의 축선(J41)의 위치보다 후방(X2) 측에 L1/2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그 길이 방향의 치수가 선택되어 있다.
한 쌍의 제1 암부(43)는 서로 동일하게 구성되어 좌우 방향(Y)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보다 상세하게는, 좌우 방향(Y)에 있어서, 제2 종동 롤러(16)에서의 축선 방향의 각 단부가 배치되어 있는 위치에 일치하도록 각각 배치된다. 각 제1 암부(43)는 그 길이 방향이 지축(41)의 축선(J41)에 대해 수직이 되는 자세로, 그 길이 방향의 일단부(43a)가, 지축(41)에 고정되고 그 길이방향의 타단부(43b)가, 제2 종동 롤러(16)에서의 축선 방향의 각 단부에 각각 연결된다. 제2 종동 롤러(16)는 이 한 쌍의 제1 암부(43)의 각 타단부(43b)에 의해, 축선(J16)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한 쌍의 제2 암부(44)는, 서로 동일하게 구성되어 좌우 방향(Y)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보다 상세하게는 좌우 방향(Y)에 있어서, 제1 종동 롤러(14)에서의 축선 방향의 각 단부가 배치되어 있는 각 위치에 일치하도록 각각 배치된다. 각 제2 암부(44)는, 그 길이 방향이 지축(41)의 축선(J41)에 대해 수직이 되는 자세로, 그 길이 방향의 일단부(44a)가, 지축(41)에 고정되고, 그 길이 방향의 타단부(44b)가, 각 연결부(42)에서의 타단부(42b)에 각각 연결된다.
제3 암부(45)는, 그 길이 방향이 지축(41)의 축선(J41)에 대해 수직이 되는 자세로, 그 길이 방향의 일단부(45a)가, 지축(41)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고정되고 그 길이 방향의 타단부(45b)가, 보유부 구동 수단(32)에 연결된다.
보유부 구동 수단(32)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력 발생 수단으로서 복동식의 공기압 실린더(33)를 가지고 있다. 공기압 실린더(33)는 내부에 피스톤을 수용하는 실린더 튜브(34)와 길이 방향의 일단부가 상기 피스톤에 고정되어 길이 방향의 타단부가, 실린더 튜브(34)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로부터 외부로 돌출 설치되는 피스톤 로드(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공기압 실린더(33)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X2) 측에 배치되어 있는 빔부(24b)와 거더부(25)와의 연접부에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실린더 튜브(34)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가, 좌우 방향(Y)으로 연장되는 축선 주위에 회동 가능하게 상기 연접부에 연결된다. 또한, 피스톤 로드(35)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가 제3 암부(45)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45b)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공기압 실린더(33)를 동작시킴으로써 피스톤의 왕복 운동에 의한 구동력이, 피스톤 로드(35)를 통하여 제3 암부(45)의 타단부(45b)에 전달된다. 이로써 제3 암부(45)의 타단부(45b)가, 지축(41)의 축선(J41) 주위에 회동되고, 이것에 연동하여 지축(41)에 고정된 제1 및 제2 암부(43, 44)도 또한 축선(J41) 주위에 회동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력 발생 수단으로서 복동식의 공기압 실린더(33)를 이용하고 있는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액츄에이터가 이용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컨베이어 장치(10)의 제1 상태에서는, 즉 제1 종동 롤러(14)가 제1 위치(P1)에 배치되어 있을 때는, 한 쌍의 연결부(42)의 각 타단부(42b)는, 지축(41)의 축선(J41) 위치보다 후방(X2) 측으로 L1/2만큼 이격한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한 쌍의 연결부(42)의 각 타단부(42b)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제2 암부(44)의 각 타단부(44b)도 또한 컨베이어 장치(10)의 제1 상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축(41)의 축선(J41)의 위치보다 후방(X2) 측으로 L1/2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1 위치(P1)와 제2 위치(P2)와는 전후방향(X)으로 제1 거리(L1)만큼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컨베이어 장치(10)의 제2 상태에서는 즉 제1 종동 롤러(14)가 제2 위치(P2)에 배치되어 있을 때는, 한 쌍의 연결부(42)의 각 타단부(42b) 및 거기에 연결된 한 쌍의 제2 암부(44)의 각 타단부(44b)는, 지축(41)의 축선(J41)의 위치보다 전방(X1) 측에 L1/2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위치(P1)와 제2 위치(P2)와의 사이의 거리(L1)에 근거하고, 한 쌍의 연결부(42)의 각 타단부(42b)가 지축(41)의 축선(J41)에 대해 적당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연결부(42)의 길이 방향의 치수가 결정되어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제2 암부(44)를 축선(J41) 주위로 회동시켜, 제1 종동 롤러(14)를 제1 위치(P1)와 제2 위치(P2)와의 사이로 이동시킬 때, 한 쌍의 연결부(42)의 자세를, 제1 종동 롤러(14)의 이동 방향인 전후방향(X)으로 대략 일치시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종동 롤러(14)를 제1 위치(P1)와 제2 위치(P2)와의 사이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한 쌍의 연결부(42)를 통하여 제1 종동 롤러(14)에 효율적으로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다.
컨베이어 장치(10)의 제1 상태와 제2 상태에 걸쳐, 롤러 보유부(31)의 축선(J41) 주위의 회동 각도(α)는, 지축(41)을 설치하는 높이 위치에 따라 다르고, 지축(41)을 설치하는 높이 위치는, 예를 들어 롤러 보유부(31)를 회동 각도(α)만 회동시켰을 때에, 한 쌍의 제1 암부(43)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종동 롤러(16)가 벨트가 느슨해지지 않도록 미리 결정된 제2 거리(L2)만큼 연직 방향(Z)으로 이동하는 위치에 결정된다.
또는 지축(41)을 설치하는 높이 위치를 고정해 두고, 롤러 보유부(31)를 회동 각도(α)만 회동시켰을 때에, 한 쌍의 제1 암부(43)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종동 롤러(16)가 제2 거리(L2)만큼 연직 방향(Z)으로 이동하도록 제2 종동 롤러(16)가 배치되는 제3 위치(P3)를 결정해도 된다.
제어부(18)는 모터(M)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18)는 공기압력원으로부터 공기압 실린더(33)로의 압축 공기의 공급로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공기압 실린더(33)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연결부(42)는, 제1 종동 롤러(14)를 후방(X2)으로 힘을 가하는 압축코일 스프링(51)을 각각 구비하고 있다. 즉, 각 연결부(42)는 제2 암부(44)에 연결되는 부분과 제1 종동 롤러(14)에 연결되는 부분이 독립되어 있고, 이들 각 부분에 가압력을 부여하도록 압축된 상태에서, 압축 코일 스프링(51)이 개재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연결부(42)는 제2 암부(44)에 연결되는 부분과, 제1 종동 롤러(14)에 연결되는 부분 중 일측이 연결부(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슬리브를 갖고, 타측이 그 슬리브에 대해 느슨하게 장착되는 축부를 가짐으로써,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연결부(42)가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함에 따라 벨트(15)가 당초의 길이보다 신장했다고 해도, 압축 코일 스프링(51)의 가압력에 의해, 벨트(15)가 필요한 장력 이상으로 유지되어 원하지 않게 느슨해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10)는 모터(M)를 동작시킴으로써 구동 롤러(12)를 통하여 벨트(15)를 회전 운동시키면서, 공기압 실린더(33)를 동작시켜 롤러 보유부(31)를 축선(J41) 주위로 회동시킴으로써, 컨베이어 장치(10) 상태를 제1 상태와 제2 상태의 사이로 천이시킬 수 있다. 즉, 컨베이어 장치(10)는, 벨트(15)의 회전 동작 중에, 벨트(15)가 느슨해지는 일이 없이, 구동 롤러(12)와 제1 종동 롤러(14) 사이의 거리를, 신장 및 단축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10)의 사용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컨베이어 장치(10)를, 정 역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종래의 컨베이어 장치(1)와 조합함으로써 구성된 분배장치(2)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분배 장치(2)의 평면도를 나타내며, 도 5는 분배 장치(2)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컨베이어 장치(1)는 프레임(3)과, 수평인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프레임(3)에 지지되는 구동 롤러(4)와, 구동력을 발생하여 그 구동력을 구동 롤러(4)에 전달하고, 구동 롤러(4)를 그 축선 주위로 회전시키는 롤러 구동 수단(5)과, 구동 롤러(4)의 축선과 평행한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프레임(3)에 지지되는 종동 롤러(6)와, 구동 롤러(4)와 종동 롤러(6)에 걸쳐 감을 수 있도록 장가되는 순환형 벨트(7)와 컨베이어 장치(10)에서의 규제 부재(28)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한 쌍의 규제 부재(8)와, 그 한 쌍의 규제 부재(8)를 지지하기 위한 브래킷(9)을 포함하고, 그 벨트(7)의 상장가부분(7a)의 상면이, 컨베이어 장치(10)에서의 벨트(15)의 상장가부분(15a)의 상면과 대략 하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분배 장치(2)는 제1 상태가 된 컨베이어 장치(10)에서의 제1 종동 롤러(14)를 컨베이어 장치(1) 측에 배치하고, 컨베이어 장치(1)에서의 상장가부분(7a)과, 컨베이어 장치(10)에서의 상장가부분(15a)이 평면에서 봤을 때 동일 직선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컨베이어 장치(1)와 컨베이어 장치(10)가 조금의 간격을 비워 이격하도록 배설되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되는 분배 장치(2)에 대해 컨베이어 장치(1)에서의 상장가부분(7a)에 반송 대상물을 투입하도록 제1 입력 라인(L11)이 설치됨과 동시에, 컨베이어 장치(10)에서의 상장가부분(15a)에 반송 대상물을 투입하도록 제2 입력 라인(L12)이 설치되어 있다. 게다가 컨베이어 장치(1)에 있어서의 컨베이어 장치(10)에 인접되는 측과는 반대측 단부의 하부 방향에는, 그 단부로부터 낙하된 반송 대상물이 투입되는 제1 출력 라인(L21)이 설치되어 컨베이어 장치(1)와 컨베이어 장치(10) 사이에 형성된 간격의 하부 방향에는, 제2 출력 라인(L22)이 설치되고 컨베이어 장치(10)에서의, 컨베이어 장치(1)에 인접하는 측과는 반대측 단부의 하부 방향에는, 그 단부로부터 낙하된 반송 대상물이 투입되는 제3 출력 라인(L23)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분배 장치(2)에 의하면, 컨베이어 장치(10)를 제1 상태에 유지한 채로, 컨베이어 장치(1) 및 컨베이어 장치(10)를, 각각의 벨트(7, 15)가 도 5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됨으로써, 제1 입력 라인(L11)으로부터 투입된 반송 대상물과 제2 입력 라인(L12)으로부터 투입된 반송 대상물을, 모두 제1 출력 라인(L21)에 투입할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 장치(1) 및 컨베이어 장치(10)를, 각각의 벨트(7, 15)가 도 5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됨으로써, 제1 입력 라인(L11)으로부터 투입된 반송 대상물과 제2 입력 라인(L12)으로부터 투입된 반송 대상물을, 모두 제3 출력 라인(L23)에 투입할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 장치(1)를 그 벨트(7)가 도 5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하고, 컨베이어 장치(10)를 그 벨트(15)가 도 5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함으로써, 제1 입력 라인(L11)으로부터 투입된 반송 대상물을 제1 출력 라인(L21)으로 투입하면서, 제2 입력 라인(L12)으로부터 투입된 반송 대상물을 제3 출력 라인(L23)에 투입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가 공기압 실린더(33)를 구동시킴으로써, 컨베이어 장치(10)를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천이시키면, 컨베이어 장치(1)에서의 컨베이어 장치(10)에 인접하는 측의 단부와 컨베이어 장치(10)에서의 컨베이어 장치(10)에 인접하는 측의 단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간격이, 제1 종동 롤러(14)의 이동거리인 제1 거리(L1)분만큼 확장된다.
이와 같이 간격이 확장됨으로써 컨베이어 장치(1)를 그 벨트(7)가 도 5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시켰을 때에는, 제1 입력 라인(L11)으로부터 투입된 반송 대상물을, 그 간격을 통하여 낙하시킴으로써, 제2 출력 라인(L22)에 투입 가능해진다. 마찬가지로 컨베이어 장치(10)를 그 벨트(15)가 도 5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시켰을 때에는, 제2 입력 라인(L12)으로부터 투입된 반송 대상물을, 그 간격을 통하여 낙하시킴으로써, 제2 출력 라인(L22)에 투입 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1~ 제3 출력 라인(L21~L23)에 있어서, 투입된 반송 대상물이 저장되는 각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반송 대상물이 소정의 저장량을 넘은 것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를 각각 설치해 두고, 분배 장치(2) 전체의 제어를 맡는 제어장치가, 각 센서로부터 주어지는 검출 신호에 근거하고, 컨베이어 장치(1)에서의 벨트(7)의 회전 방향, 컨베이어 장치(10)에서의 벨트(15)의 회전 방향 및 컨베이어 장치(10) 상태(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제1 및 제2 입력 라인(L11, L12)으로부터 분배 장치(2)에 투입되는 반송 대상물을 제1~ 제3 출력 라인(L21~L23)에서의 반송 대상물의 저장량에 따라, 이러한 출력 라인(L21~L23)에 효율적으로 분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10)를 이용함으로써, 컨베이어 장치(1)에서의 벨트(7)의 상장가부분(7a)과, 컨베이어 장치(10)에서의 벨트(15)의 상장가부분(15a)에 단차(段差)를 설치하지 않아도, 분배 장치(2)를 구성할 수 있게 되므로, 반송 대상물을 입력 라인의 수보다 많은 수의 출력 라인에 효율적으로 투입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10A)에서의 연결부(42A) 부근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6A는 컨베이어 장치(10A)를 동작시킬 때의 연결부(42A) 상태를 나타내고, 도 6B는 연결부(42A)를 접어 구부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10A)는, 연결부(42A)가 상술한 연결부(42)와 다르다는 점을 제외하고,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상술한 컨베이어 장치(10)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컨베이어 장치(10A)에서 컨베이어 장치(1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 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10A)는, 각 연결부(42A)가 그 길이 방향의 중간부에 좌우 방향(Y)으로 연장되는 축선(J52)을 갖는 관절(52)을 각각 가지고 있다. 즉, 각 연결부(42A)는, 길이 방향의 일단부가 제2 암부(44)의 타단부(44b)에 연결되고 길이 방향의 타단부가 관절(52)에 축선(J52)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완부(53a)와, 길이 방향의 일단부가 제1 종동 롤러(14)에서의 축선방향의 단부에 연결되고 길이 방향의 타단부가 관절(52)에 축선(J52)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완부(53b)를 갖고, 그 관절(52)로 접어 구부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관절(52)과 제1 및 제2 완부(53a, 53b)의 각 타단부와의 연결은, 연결부(42A)가, 공기압 실린더(33)로부터 제2 암부(44)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을 제1 종동 롤러(14)로 전달할 때에, 구부러지지 않도록 단단하게 연결되도록 하고, 연결부(42A)의 구부러짐은, 예를 들어 관절(52)에 대해 연직 방향(Z)에 외력을 부여함으로써 수행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연결부(42A)가 관절(52)로 접어 구부릴 수 있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부(42A)를 관절(52)로 접어 구부림으로써, 제1 상태에 있어서, 제1 종동 롤러(14)를 구동 롤러(12)에 근접하는 방향, 즉 전방(X1)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써 구동 롤러(12)와 제1 종동 롤러(14)에 걸쳐 감을 수 있게 장가되어 있는 벨트(15)를 느슨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벨트(15)의 내주면의 세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10 컨베이어 장치
11 프레임
12 구동 롤러
13 롤러 구동 수단
14 제1 종동 롤러
15 벨트
16 제2 종동 롤러
17 롤러 이동 수단
18 제어부

Claims (6)

  1. 프레임과,
    수평인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는 구동 롤러와,
    구동력을 발생하여, 해당 구동력을 상기 구동 롤러에 전달하고, 해당 구동 롤러를 그 축선 주위로 회전시키는 롤러 구동 수단과,
    상기 프레임의 상기 구동 롤러로부터 이격된 부위에, 상기 구동 롤러의 축선에 평행한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종동 롤러와,
    상기 구동 롤러와 상기 제1 종동 롤러에 걸쳐 감을 수 있게 장가되는 순환형 벨트와,
    상기 구동 롤러와 상기 제1 종동 롤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벨트의 내측으로부터 해당 벨트의 하장가부분에 접촉하여 설치되는 제2 종동 롤러와,
    상기 제2 종동 롤러를 상기 구동 롤러의 축선에 평행한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종동 롤러에 연결되는 롤러 보유부를 갖는 롤러 이동 수단이며, 상기 제1 종동 롤러를 상기 구동 롤러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데 연동하여, 상기 벨트가 느슨해지지 않도록 상기 제2 종동 롤러를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1 종동 롤러를 상기 구동 롤러로부터 이반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데 연동하여, 상기 제2 종동 롤러를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롤러 이동 수단과,
    상기 롤러 이동 수단에 의한 상기 제1 및 제2 종동 롤러를 이동시키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보유부는, 상기 구동 롤러의 축선에 평행한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롤러 이동 수단은, 구동력을 발생하고, 해당 구동력을 상기 롤러 보유부로 전달하고, 해당 롤러 보유부를 회동시키는 보유부 구동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보유부는,
    상기 구동 롤러의 축선에 평행한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는 지축과,
    장편으로 구성되어 길이 방향의 일단부가 상기 제1 종동 롤러의 축선방향의 각 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 종동 롤러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되는 한 쌍의 연결부와,
    길이 방향의 일단부가 상기 지축에 각각 고정되고, 길이 방향의 타단부가 상기 제2 종동 롤러의 축선 방향의 각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제1 암부와,
    길이 방향의 일단부가 상기 지축에 각각 고정되고, 길이 방향의 타단부가 상기 한 쌍의 연결부에서의 길이 방향의 각 타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제2 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연결부는, 상기 제1 종동 롤러를, 상기 구동 롤러로부터 이반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가압 수단을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연결부는, 그 길이 방향의 중간부에 관절을 각각 갖고, 해당 관절로 접어 구부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구동 수단은, 상기 구동 롤러를, 그 축선 주위의 일측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력과, 타측으로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장치.
KR1020167024268A 2014-07-09 2014-07-09 컨베이어 장치 KR201601298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68277 WO2016006051A1 (ja) 2014-07-09 2014-07-09 コンベア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848A true KR20160129848A (ko) 2016-11-09

Family

ID=55063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4268A KR20160129848A (ko) 2014-07-09 2014-07-09 컨베이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420832B2 (ko)
KR (1) KR20160129848A (ko)
CN (1) CN106103315B (ko)
WO (1) WO20160060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8092A1 (ja) * 2016-11-10 2018-05-17 ヤンマー株式会社 米ゲル製造システム及び米ゲル製造方法
JP6726084B2 (ja) * 2016-11-10 2020-07-22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米ゲル製造システム
CN110182583B (zh) * 2019-06-04 2024-04-16 石家庄市汉普食品机械有限公司 一种新型水饺自动摆放装置
CN110127114B (zh) * 2019-06-12 2024-01-26 台州速贝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理料装置
JP7348496B2 (ja) * 2019-09-10 2023-09-21 日本製鉄株式会社 搬送設備
JP7201641B2 (ja) * 2020-06-24 2023-01-10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米ゲル製造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53726A (ja) 2012-01-31 2013-08-15 Hosoda Kogyo Kk もやしの根切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60811A (en) * 1981-03-25 1982-10-04 Fujitsu Ltd Belt transport apparatus
US4424966A (en) * 1981-09-03 1984-01-10 Harris Graphics Corporation Mechanism for conveying articles selectively into different paths
JP2567971B2 (ja) * 1990-06-02 1996-12-25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作業装置連結構造
US6695124B2 (en) * 2002-07-24 2004-02-24 Koch Equipment Llc Belt conveyor assembly for chamber packaging machines
US7438176B2 (en) * 2003-04-30 2008-10-21 Fuji Machine Mfg. Co., Ltd. Stretchable transfer conveyer method of stretching transfer conveyer and stretchable guide device for movable article
JP2009137690A (ja) * 2007-12-05 2009-06-25 Maruyasu Kikai Kk リジェクトコンベヤ
TWI398307B (zh) * 2009-07-09 2013-06-11 Chan Li Machinery Co Ltd Detection and screening device and its detection and screening method
US8944239B2 (en) * 2010-10-26 2015-02-03 Engineered Lifting Systems & Equipment Inc. Conveyor apparatus for loading or unloading packages from shipping containers
JP5990914B2 (ja) * 2012-02-01 2016-09-14 株式会社Ihi 搬送装置
CN203255623U (zh) * 2013-04-01 2013-10-30 郑州市建文特材科技有限公司 伸缩式皮带输送机
CN203319127U (zh) * 2013-06-05 2013-12-04 王皓 一种带式伸缩输送机的伸缩机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53726A (ja) 2012-01-31 2013-08-15 Hosoda Kogyo Kk もやしの根切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6006051A1 (ja) 2017-04-27
WO2016006051A1 (ja) 2016-01-14
CN106103315B (zh) 2017-10-31
JP6420832B2 (ja) 2018-11-07
CN106103315A (zh) 2016-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29848A (ko) 컨베이어 장치
JP5551981B2 (ja) 箱詰装置
JP6736164B2 (ja) 箱詰め装置
WO2015129388A1 (ja) 箱詰めシステム
CN107735323B (zh) 包装系统
JP5255563B2 (ja) 自動バンド掛け梱包機および自動バンド掛け梱包システム
TWI720222B (zh) 用來開啟管狀袋體之末端區域的裝置
US20120261237A1 (en) Slip conveyor
JP6422220B2 (ja) 吸着装置
JP2007302322A (ja) ストリップパック装置
CN104249828A (zh) 食品包装机过渡输送装置
JP6175474B2 (ja) 被搬送物の姿勢変更装置
JP5859482B2 (ja) 横形製袋充填機
TWI519460B (zh) Conveyor
JPH0858958A (ja) 物品搬送装置
KR101574569B1 (ko) 가공품이 포장된 낱개 포장용기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로봇을 구비한 자동화 설비
JP7316653B2 (ja) 縦型製袋充填包装機
KR102585262B1 (ko) 제함기
JP6800812B2 (ja) 製函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箱詰め装置
JP2018039521A (ja) 包装装置
JPS6216889B2 (ko)
IT201900018107A1 (it) Manigliatrice per l’applicazione di maniglie ad imballaggi stesi
CN105143049A (zh) 包裹糖果产品的机器
KR102651745B1 (ko) 봉지포장제품 적층 공정에 사용되는 수분공급장치
JP6193022B2 (ja) 被包装品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