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8922A - 편광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 렌즈 - Google Patents

편광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8922A
KR20160128922A KR1020160052336A KR20160052336A KR20160128922A KR 20160128922 A KR20160128922 A KR 20160128922A KR 1020160052336 A KR1020160052336 A KR 1020160052336A KR 20160052336 A KR20160052336 A KR 20160052336A KR 20160128922 A KR20160128922 A KR 201601289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vinyl alcohol
polarizing
film
adhesive
based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2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2168B1 (ko
Inventor
김원국
유호영
김재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리아펙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719919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60128922(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리아펙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리아펙스
Publication of KR20160128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8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02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39/12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39/123Making multilaye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73Optical lami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74Production of other 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B29D11/00009- B29D11/0073
    • B29D11/00788Producing optical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D7/01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634Production of filters
    • B29D11/00644Production of filters polarizing
    • B29D2009/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광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 렌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학적,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가공 공정에서 충분한 마진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색상 재현성이 우수하고 경시적 변화가 적은, 편광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 렌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편광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 렌즈{POLARIZING FILM,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POLARIZING LEN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편광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 렌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학적,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향상된 가공성을 나타내면서도, 특히, 우레탄 편광 렌즈 제조 시 색상 재현성이 우수한, 편광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 렌즈에 관한 것이다.
편광 렌즈는 편광 현상을 이용하여, 비편광의 빛에 대해 편광만을 투과시키는 렌즈이다. 편광 렌즈는, 특히, 직사광선, 또는 난반사 등에 의한 반사광이 투과되는 것을 차단하고, 편광된 빛만을 투과함으로써, 광원으로부터 눈을 보호할 수 있으며, 또한, 반사광 또는 역광 상태에서도 뚜렷한 시야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스포츠, 레저 활동에서뿐만 아니라, 자동차 등의 운전 시, 충분한 시야를 확보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편광 렌즈용 편광 필름의 경우, 대부분 폴리 비닐 알코올(Poly Vinyl Alcohol, PVA) 등의 고분자 필름을 연신하여, 필름 내부의 분자가 특정 방향으로 배향되게 함으로써 편광성이 나타나게 하는 필름을 사용하게 된다. 즉, 폴리 비닐 알코올 필름을 1축 연신하여, 필름 내부의 분자가 상기 연신된 1축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하고, 이색성 염료를 염착 시킨 후 건조하는 등의 방법으로 제조하거나, 이색성 염료로 염착한 폴리 비닐 알코올 필름을 1축 연신하고, 건조하는 등의 방법으로 제조하며, 이 때, 이색성 염료의 조합에 의해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폴리 비닐 알코올 편광 필름은, 외부에서 힘을 받았을 때, 소성 변형을 일으키기보다는 갈라지거나 깨지는 등의 파괴되는 성질(취성, Brittleness)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구형 단면, 즉 렌즈 형상으로 성형하기가 매우 까다로우며, 단순 펀칭 공정 등을 통해 렌즈 형상으로 가공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필름 상태에서 렌즈 형상으로 성형한 후, 잉여 부분을 제거하는 트리밍(Trimming) 공정을 통해, 편광 렌즈용 폴리 비닐 알코올 필름을 제조한다. 그러나, 이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성형 및 트리밍 공정에서 많은 면적의 폴리 비닐 알코올 필름이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렇게 준비된 편광 렌즈용 폴리 비닐 알코올 편광 필름을 이용하여 렌즈를 제작할 때, 렌즈용 플라스틱 층 등을 추가하기 위해서는, 렌즈용 수지와 부착력을 확보하기 위해 별도의 프라이머 처리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이 후, 프라이머 처리된 편광 렌즈용 편광 필름을 특정 형태로 설계된 개스킷을 포함하는 유리 금형에 삽입하고, 렌즈용 플라스틱 수지를 주입한 후, 열중합을 통하여 편광 렌즈를 형성하는데, 이때 내부의 폴리 비닐 알코올 편광 필름의 잔류 응력이 외부 열에 의해 완화되면서, 외형이 변화하여, 광학 특성이나 편광 특성이 손상되는 문제점도 종종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CR 렌즈용 플라스틱 수지와의 부착력이 우수한 프라이머가 코팅된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riacetyl cellulose, TAC) 필름을 폴리 비닐 알코올 편광 필름의 보호 필름으로 합지한 후, 펀칭 및 굽힘(Curving) 공정을 통해 렌즈 형상으로 가공하는 기술이 대한민국 공개 특허 2009-0128790호에 공지되어 있다.
한편, 최근에는, 플라스틱 캐스팅 렌즈 소재, 즉 렌즈용 플라스틱 수지로 폴리우레탄계 수지를 많이 사용하는데, 폴리우레탄계 소재의 경우, 비교적 높은 굴절률과 우수한 렌즈 가공성 및 기계적 물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급속도로 시장에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폴리우레탄계 소재를 렌즈용 플라스틱 수지로 사용하여 렌즈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다른 소재보다 더 높은 온도 및 더 긴 시간의 열중합 공정을 거쳐야 하는데, 이로 인해 우레탄 편광 렌즈 제조 시 편광 필름에서 변색이 발생하여 색상의 제어가 어려워지고, 이에 따라 다른 소재의 렌즈보다 최종 수율이 매우 낮아지며, 제품의 제조 단가 역시 크게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 2014-01235599호에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편광 필름의 양면에 우레탄계 수지 함유 도포액으로 프라이머 처리를 하여 우레탄계 수지와의 부착성을 높이는 폴리우레탄계 플라스틱 편광 렌즈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우레탄계 수지를 포함하는 프라이머는 히드록실기(-OH)를 갖는 화합물과 디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의 프리폴리머(prepolymer) 형태로, 수분과 쉽게 반응하기 때문에 주위 환경에 따라 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지와의 부착력이 현저히 떨어지거나 변색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은 편광 필름을 이용하여 편광 렌즈 형상으로 제조하기 전까지 편광 필름의 보관 및 이동 시간이 길어질 경우 더욱 문제가 되며, 편광 필름을 상업적으로 적용하는데 있어 치명적인 걸림돌이 된다.
이에,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계 소재 렌즈에 적용이 가능하면서도, 시간이 지나도 편광 필름의 광학 특성 및 편광 특성의 손상이 적고, 이에 더하여, 가공 공정에서 충분한 마진의 확보가 가능한 편광 필름에 대한 연구가 여전히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우수한 편광성 및 기계적 물성을 구비하면서도, 폴리우레탄계 소재에 대한 부착력이 우수하여, 가공 공정에서 충분한 마진의 확보가 가능하면서도, 시간 경과에 따른 편광 필름의 광학 특성 및 편광 특성의 손상이 없거나 매우 적은 편광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 렌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투명 필름 지지체; 상기 투명 필름 지지체의 일 면에 형성되는 제1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 층; 및 상기 투명 필름 지지체의 반대쪽 일 면에 형성되는 제2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 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 층 중 어느 하나 이상은 편광 수지 층인, 편광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 렌즈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편광 렌즈를 포함하는, 편광 안경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투명 필름 지지체의 일 면에 제1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접착층 상에 제1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투명 필름 지지체의 반대쪽 일 면에, 제2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접착층 상에 제2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 층 중, 어느 하나 이상은 편광 수지 층인,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편광 필름은 우수한 편광성을 가지며, 강도 및 경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또한 층 간의 부착력이 우수하여, 상술한 편광 렌즈 제조를 위한 가공 공정에서 편광 필름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충분한 마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보관, 및 렌즈 제조 과정에서 색상이 거의 변색되지 않아, 편광 렌즈의 색상 재현성이 뛰어나다.
또한, 편광 필름의 최외각 면에서, 우레탄 수지 등 다른 고분자 수지와의 부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별도의 프라이머 처리 없이도, 필름과 우레탄 수지 등 다른 고분자 수지와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시간의 경과에 따라 부착력 하락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편광 필름의 경우, 편광층 상에 단순히 운반 또는 보관용 보호 필름 또는 이형 필름 만을 더 포함하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 필름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편광 필름은, 투명 필름 지지체; 상기 투명 필름 지지체의 일 면에 형성되는 제1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 층; 및 상기 투명 필름 지지체의 반대쪽 일 면에 형성되는 제2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 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 층 중 어느 하나 이상은 편광 수지 층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편광 렌즈는, 상기 편광 필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편광 안경은, 상기 편광 렌즈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편광 필름 제조 방법은, 투명 필름 지지체의 일 면에 제1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접착층 상에 제1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투명 필름 지지체의 반대쪽 일 면에, 제2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접착층 상에 제2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 층 중, 어느 하나 이상은 편광 수지 층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 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구성 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예시하고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편광 필름은, 투명 필름 지지체; 상기 투명 필름 지지체의 일 면에 형성되는 제1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 층; 및 상기 투명 필름 지지체의 반대쪽 일 면에 형성되는 제2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 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 층 중 어느 하나 이상은 편광 수지 층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편광 안경 등에 사용되는 편광 필름은, 일반적으로, 폴리 비닐 알코올 등의 고분자 필름을 1축 연신하고 이색성 색소(dichromic dye)로 염색한 편광층의 일 면 또는 양면에, 접착층을 게재하고, 보호층으로서 폴리카보네이트계 시트 등,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고분자 필름 시트를 붙인 편광 필름 등을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보호층에 사용되는 고분자 필름 시트는, 특히, 내충격성이 우수하고, 게다가 높은 내열성도 더불어 가지기 때문에, 굽힘 가공이나 사출 성형 등의 공정을 실시하여 가공하는 얻어지는 선글라스나 고글 등의 편광 렌즈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보호층을 편광층의 양면에 구비한 구조로 편광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 선글라스나 고글과 같이 구면 또는 비구면의 형상으로 굽힘 가공을 실시하였을 때, 보호층에서 위상차에 의한 착색 간섭 줄무늬가 생기기 쉽다. 이러한 간섭 무늬는 편광 필름의 외관을 손상시킬 뿐 아니라, 눈의 피로를 야기하는 등의 문제를 가지게 된다.
또한, 단층 구조의 편광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술하였다시피, 폴리 비닐 알코올계 필름의 취성 등 기계적 물성 때문에, 펀칭 공정이 어렵고, 취급상에 꺾임이나 파손이 일어날 수 있으며, 곡면 성형 공정 시 성형 불량이 자주 발생하게 된다. 또한, 렌즈 성형을 위해 필요한 고온 공정에서, 온도 및 수분에 의해 변색 및 곡면의 왜곡이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공정 상의 마진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렵게 되어, 최종 렌즈 수율이 낮아지게 된다.
또한, 폴리 비닐 알코올계의 편광 필름을 대체하여 내열성이 있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에 이색성 색소를 염색하여 필름 상으로 성형하고, 이어서 얻어진 필름을 1축 방향으로 연신시킨 후, 가열 처리하여 얻어진 편광 필름을 사용하는 방안이 있으나,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다른 수지와의 부착성이 낮아 편광 렌즈로 가공하기 위해서는 프라이머 처리를 할 필요가 있어 공정이 복잡해진다. 또한 프라이머 처리를 하더라도 시간에 지남에 따라 프라이머 성분끼리 서로 반응하거나 주위의 수분을 흡수하여 부착력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편광 필름은, 투명 필름 지지체; 상기 투명 필름 지지체의 일 면에 형성되는 제1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 층; 및 상기 투명 필름 지지체의 반대쪽 일 면에 형성되는 제2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 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 층 중 어느 하나 이상은 편광 수지 층이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투명 필름 지지체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필름이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계 수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계 수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및 폴리아미드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우레탄 렌즈용 수지와의 열적, 기계적 물성이 크게 차이나지 않는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면상위상차 (in-plane retardation) 값이 작고 광학적 물성이 우수하며 렌즈 형상으로의 성형이 용이한 필름이 좋다.
또한, 필요에 따라 투명 지지체 필름용 고분자 수지에 기능성 염료 또는 광변색 염료를 코팅하거나 블렌딩한 후 캐스팅 등의 방법으로 제조한, 기능성 투명 필름 지지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계 수지로는, 일반적으로 편광판 등에 사용되는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triacetyl cellulose, TAC)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상기 투명 필름 지지체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또는 폴리아미드계 수지 등을 포함하는 경우, 편광 필름이 매우 우수한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눈 보호를 위한 스포츠 레저용 선글라스, 또는 군사용 방탄 고글 등의 렌즈에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 층은, 폴리 비닐 알코올 필름에 의해 형성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 층 중 적어도 한 층은, 편광성을 구비하기 위해, 투명 필름에, 이색성 염료를 이용하여 염색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 비닐 알코올 수지는, 연신 가공성이 우수하고, 특히 상기 투명 필름 지지체와의 부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편광층을 위한 필름으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편광 렌즈 제조에서, 편광 필름의 양 면에 보호층을 형성하는 경우, 편광 필름의 최외부에 보호층이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그 위에 다른 코팅 층을 형성할 때, 별도의 프라이머 또는 별도의 접착층 처리가 필수적인데 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 필름에서, 편광층 형성을 위한 필름으로 친수성 폴리머인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우레탄 또는 티오우레탄계 고분자 수지와의 부착성이 매우 우수하기 때문에, 별도의 프라이머 처리 없이도 우레탄 또는 티오우레탄계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코팅 층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 때, 상기 제1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 층 및 제2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 층은, 각각 독립적으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무색 투명 폴리 비닐 알코올계 필름, 또는 유색 투명 폴리 비닐 알코올계 필름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투명 필름 지지체 역시, 무색 투명 필름 지지체 또는 유색 투명 필름 지지체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편광 필름은 적어도 3층 이상의 복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 투명 필름 지지체로, 무색 투명 필름 지지체가 사용되는 경우,
i) (유색 투명 폴리 비닐 알코올계 필름)/무색 투명 필름 지지체/(무색 투명 폴리 비닐 알코올계 필름),
ii) (무색 투명 폴리 비닐 알코올계 필름)/무색 투명 필름 지지체/(유색 투명 폴리 비닐 알코올계 필름), 또는
iii) (유색 투명 폴리 비닐 알코올계 필름)/무색 투명 필름 지지체/(유색 투명 폴리 비닐 알코올계 필름) 등의 구조 및 색상 조합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투명 필름 지지체로, 유색 투명 필름 지지체가 사용되는 경우
iv) (유색 투명 폴리 비닐 알코올계 필름)/유색 투명 필름 지지체/(무색 투명 폴리 비닐 알코올계 필름),
v) (무색 투명 폴리 비닐 알코올계 필름)/유색 투명 필름 지지체/(유색 투명 폴리 비닐 알코올계 필름), 또는
vi) (유색 투명 폴리 비닐 알코올계 필름)/유색 투명 필름 지지체/(유색 투명 폴리 비닐 알코올계 필름) 등, 다양한 구조 및 색상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폴리 비닐 알코올계 필름이나, 투명 필름 지지체가 무색이라 함은, 말 그대로 색이 없이 가시광선 영역 모든 파장의 빛을 동일한 비율로 투과하는 투명한 것을 의미하며, 유색이라 함은, 폴리 비닐 알코올계 필름이나, 투명 필름 지지체가 유채색 또는 무채색의 염료 등에 의해 염색 또는 착색되어, 특정 조건에서 특정 범위 파장의 가시광선을 투과 하거나, 또는 특정 범위 파장의 가시광선을 흡수하여, 일정한 색상이 구현되거나, 또는 광 조사 조건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이 구현되는(photo-chromic), 투명한 형태를 의미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 필름은, 상술한 조합에서와 같은 복층 구조를 갖게 되어, 다양한 색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색 투명 폴리 비닐 알코올계 필름은, 폴리 비닐 알코올계 필름을 1축 연신하여, 필름 내부의 분자가 연신된 1축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하고, 이색성 염료(dichromic dye)를 염착 시킨 후, 건조한 형태로 준비되어, 편광성을 가지게 되는, 유색 편광 필름일 수 있다.
이색성 염료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유색 폴리 비닐 알코올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반적인 염료를 특별한 한정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아조계 염료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아조계 염료는,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C.I. Direct Yellow 87, C.I. Direct Yellow 86, C.I. Direct Orange 39, C.I.28160, C.I.29315, C.I.24895, C.I.23630, C.I.24410, C.I.24400, C.I.30295, C.I.342000, C.I. Direct Blue 71, C.I. Direct Blue 293, C.I. Direct Blue 200, C.I.20470등을 들 수 다. 또한, 아조계 염료 외에도 물에 녹을 수 있도록 이온기나 아민, 초산을 함유한다면 안트라퀴논계나 퀴노프탈론계 염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의 구체적인 예는 일본 특허공개공보 소61-087757, 일본 특허공개공보 소61-285259, 일본 특허공개공보 소62-270664,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1-103667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이색성 염료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황색, 적색, 청색 등으로 이루어진 복수 조합하여, 목적하는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염료는, 전체 염료 농도가 약 2%미만이 되도록 용해된 수용액 중에 폴리 비닐 알코올 필름을 실온 내지 약 60℃ 범위에서 염착할 수 있고, 이후, 금속 이온 및 붕산 등의 첨가제를 용해시킨 용액 상에 체류 시킨 후 건조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전체 공정에서의 최종 연신비가 약 200 내지 약 800%인 유색의 폴리 비닐 알코올 필름으로 제조 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편광 필름은, 투명 필름 지지체; 및 상기 투명 필름 지지체의 양 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1 및 제2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 층 모두에서 편광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이 때, 각 면에 사용된 필름 모두, 상술한 이색성 염료에 의해 염색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 경우, 투명 필름 지지체의 양 면에 형성되는 편광층을 포함하기 때문에, 두 편광층의 편광면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투과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고, 편광률을 상승시킬 수 있는, 추가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투명 필름 지지체의 일 면에 형성되는 제1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 층만 편광성을 갖도록 하고, 다른 일 면에 형성되는 제2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 층만은 편광성을 갖지 않는 무색 투명 필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편광성을 갖지 않는 무색 투명 필름은 우레탄 수지와 같은 다른 수지와의 부착력 향상에 기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편광성을 갖지 않는 무색 투명 필름은 상기 투명 필름 지지체의 일 면에 딥 코팅 방식 등으로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 조성물을 코팅하여 상기 투명 필름 지지체 상에 직접 형성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투명 필름 지지체 및 상기 제1 및 제2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 층은, 비수계성 접착제, 수계성 접착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접착층에 의해 부착된 것일 수 있다.
비수계성 접착제의 예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 폴리 카프로락톤계 폴리올 등을 포함하는, 폴리올계 접착제;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 (IPDI)),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examethylene diisocyanate (HDI)), 디사이클로섹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4,4-dicyclohexylmethane diisocyanate (H12MDI)), 테트라메틸자일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Tetramethylxylylene diisocyanate (TMXDI)) 등과 이들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접착제; 또는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oluene diisocyanate (TDI)),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diphenylmethane diisocyanate (MDI))등과 이들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도입한 폴리우레탄계 수지를, 아세테이트계 및/또는 케톤계 용제를 포함한 단일 또는 복수의 용제에 녹여서 사용하는 용제형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상술한 폴리우레탄의 말단을 이소시아네이트로 처리된 비교적 중합도가 낮은 우레탄 프리폴리머와 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2-hydroxypropyl (meth) acrylate), 하이드록시뷰틸 (메트)아크릴레이트(2-hydroxybutyl (meth) acrylate), 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4-hydroxycyclohexyl (meth) acrylate) 하이드록시기를 포함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 반응을 시킨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 등을 사용할 경우에는, 투명 필름 지지체에 침투가 용이한 모노머로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Isobornyl acrylate), 사이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cyclohexyl acrylate), 모폴린 아크릴레이트(Morpholine acrylate), 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1,6 hexanediol diacrylate),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등, 저분자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로 희석한 조성물에 광중합 개시제를 도입한 형태의 광반응성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폴리우레탄 수지와 이소시아네이트는 필요에 따라 복수의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할 수도 있고, 상술한 저분자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나, 광중합 개시제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종류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필요할 경우 케톤계나 아세테이트계 용제로 희석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일부를 이소시아네이트 말단으로 남겨놓고 사용하거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를 더 첨가하여 광경화 및 열경화성 접착제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비수계성 접착제를 사용할 경우에는 제조된 편광 필름에서, 비교적 짧은 시간의 건조만으로도, 기포 발생 등의 외관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수계성 접착제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폴리 비닐 알코올계 접착제, 폴리에틸렌이민계 접착제, 폴리카복실산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알데히드계 접착제, 및 수분산 폴리우레탄 계 등을 들 수 있다.
폴리 비닐 알코올계 접착제는 물에 녹을 수 있는 수준의 검화도를 가진 것이 바람직하며, 약 70 내지 약 99% 정도의 검화도를 가지고, 바람직하게는, 아세토아세틸기나 술폰산기 등이 미량 도입되어, 금속 산화물이나 커플링제와 킬레이팅에 용이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중합도가 약 500에서 약 2000범위의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도가 너무 낮으면 접착제 층에서의 응집력이 약해 내열, 내수성이 취약하고 또한 롤-투-롤 공정으로 권취하였을시 이물 등으로 인한 눌림 자국에 취약하다. 중합도가 너무 높으면 점도가 높아 기포가 유입되거나 미합지 부분이 발생하기 쉽다.
수분산 폴리우레탄은 디메틸올프로판 산(dimethylolpropionic acid (DMPA)), 디메틸올부탄 산(dimethylolbutanoic acid (DMBA))등을 도입한 음이온계 혹은 N-메틸-디에탄올아민(N-methyl-diethanolamine (MDEA))등을 도입한 양이온계 수분산 폴리우레탄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때, 경화제로서는 (blocked)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카르보디이미드 (음이온계 폴리우레탄), 에폭사이드 (음이온계)등을 사용할 수 있다.
수계성 접착제는 일반적으로 용액 캐스팅 공정으로 제조되어 면상위상차 (In-plane Retardation)가 매우 낮은 셀룰로오스계 필름과 PVA필름의 합지시 사용하기 유리하다.
수계성 접착제나, 비수계성 접착제 중 무용제 형태의 광경화성 접착제의 경우, 제1 및 제2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 층과 투명 필름 지지체, 등, 세 장의 필름을 동시에 롤 합지기 상에 정량 정밀 펌프로 적가하여 합지할 수 있어 생산성 면에서 장점이 있다.
접착제의 두께는 롤 갭과 압력으로 제어 할 수 있는데, 롤 갭이 클 경우에는 접착력에는 유리하나, 접착제 적가량이 부족할 경우 미합지 불량 발생이 일어날 수 있고, 롤 갭이 너무 좁을 경우에는 접착력이 약할 수가 있어서 접착제의 점도와 특성에 맞게, 적절한 적가 속도, 롤 갭 및 압력으로 합지하여야 한다.
유기용제를 기반으로 한 접착제의 경우에는 제1 및 제2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 층 및/또는 투명 필름 지지체 상에 코팅하고, 용제를 건조한 후 합지하여야 한다. 즉, 코팅, 건조, 합지, (UV 혹은 열경화) 공정을 거쳐야 하므로 편광 필름의 생산성에서는 불리하지만, 편광 필름상에 잔존하는 수분의 양은 수계성 접착제 보다 적게 되기 때문에, 편광 렌즈를 제조하기 직전, 비교적 짧은 열처리를 통해서도 편광 필름의 잔존 수분을 제거할 수 있어 편광 렌즈에 대한 생산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 필름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 필름은, 투명 필름 지지체(100); 상기 투명 필름 지지체의 일 면에 형성되는, 제1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 층 (200); 상기 투명 필름 지지체의 반대쪽 일 면에 형성되는 제2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 층(200')을 포함하며, 상기 투명 필름 지지체(100)와 상기 제1 및 제2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 층(200, 200')은 각각 수계성 접착제, 비수계성 접착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제1 접착층(300) 및 제2 접착층(300')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편광 필름은, 필름의 내부 중심에 포함된, 단일 투명 필름 지지체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복수의 지지체를 사용하였을 때 나타날 수 있는, 위상차 간섭에 의한 줄무늬 발생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단일 투명 필름 지지체 만을 사용하여, 경도 및 강도가 높은 층을 복수로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굽힘, 편칭, 열성형, 등의 공정에서, 필름의 가장자리 부분에 열화, 편 층의 박리, 광학적 특성의 손상 등을 막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명 필름 지지체과, 제1 및 제2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 층은, 수계성 접착제, 비수계성 접착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접착층에 의해 부착되어, 상호 간의 부착력이 매우 우수하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본 발명의 편광 필름은, 렌즈 등의 제조 공정에서, 공정 상의 마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전체적인 제조 수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투명 필름 지지체는 두께가 약 40㎛ 내지 약 1,000㎛,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약 500㎛, 또는, 약 40㎛ 내지 약 300㎛일 수 있다. 투명 필름 지지체의 두께를 상기 범위로 함에 따라, 제조되는 편광 렌즈의 경도, 강도, 내충격성 등의 충분한 기계적 물성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 층은 각각 독립적으로 두께가 수백 나노미터 내지 수백마이크론의 범위에서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께의 하한값은 약 100nm, 또는 약 300nm, 또는 약 500nm, 또는 약 1㎛, 또는 약 10㎛, 또는 약 15㎛일 수 있고, 상한값은 약 100㎛, 또는 약 80㎛, 또는 약 50㎛, 또는 약 40㎛, 또는 약 10㎛, 또는 약 5㎛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또는 제2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 층을 앞서 설명한 딥 코팅 방식에 의해 형성할 경우, 그 두께를 수백 나노미터 내지 수 마이크론으로, 예를 들어, 약 100nm 내지 약 5㎛, 또는 약 100nm 내지 약 1㎛ 정도의 두께로 얇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편광 렌즈는, 상기 편광 필름을 포함한다.
이러한 편광 렌즈는, 상기 편광 필름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상기 편광 필름 상에, 우레탄 또는 티오우레탄계 수지를 포함하는 코팅 층을 더 형성하여, 편광 필름 및 우레탄 또는 티오우레탄계 렌즈를 포함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편광 렌즈는 이러한 편광 필름을 펀칭 및 트리밍하고, 금형에 장착한 후, 폴리우레탄계 수지를 주입 및 열성형하여, 폴리우레탄 수지 보호층이 형성된 렌즈의 형태로 가공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 외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해 렌즈의 형태로 가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편광 렌즈를 포함하는 편광 안경이 제공된다. 이러한 편광 안경은, 본 발명의 편광 필름이 사용된 편광 렌즈를 포함하기 때문에, 우수한 경도, 강도,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구비할 수 있으며, 특히, 스포츠 레저용 편광 선글라스 또는 군사용 방탄 고글의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은, 투명 필름 지지체의 일 면에 제1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접착층 상에 제1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투명 필름 지지체의 반대쪽 일 면에, 제2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접착층 상에 제2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 층 중, 어느 하나 이상은 편광 수지 층이다.
상기 제조 방법에서, 투명 필름 지지체, 접착층, 및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의 구체적인 설명에 대해서는, 상기 편광 필름에서 기술한 내용으로 갈음한다.
상기 제1 및 제2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 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 층을 먼저 형성한 후, 이를 투명 필름 지지체의 양 면에 각각 합지(lamination) 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 층 중 어느 한 층은 딥 코팅(dip coating) 방식에 의해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를 포함하는 코팅액에 침지한 후 건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보다 자세히 상술하기로 한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는 발명의 예시로 제시된 것에 불과하며, 이에 의해 발명의 권리범위가 정해지는 것은 아니다.
폴리 비닐 알코올계( PVA ) 수지 층 형성을 위한 투명 필름의 제조
[ 제조예 1]
유색 투명 PVA 필름의 제조
폴리 비닐 알코올 (poly vinyl alcohol, PVA) 필름 (중합도 2,400, 검화도99%, 두께 60, Nippon Gohsei사, M-6000)을 33℃에서 1분 이내로 팽윤 시켰다.
C.I. Direct Blue 200, C.I. Direct blue 293, C.I. 28160, C.I. 40215의 염료를 조합하고, 40℃에서 1분동안 상기 PVA 필름을 침적한 후 1.5wt% 붕산 수용액에서 40초간 고착시키고, 수세 및 건조하였으며, 최종 연신비가 400%가 되도록 롤-투-롤 공정으로 염착 및 연신 하였다. 이 때, 건조 조건은 75℃에서 1분간 건조하여 외관이 안정화 될 때까지 기다린 후 초기 1m 중심부의 색 좌표가 L* 47, a* -5, b* -5의 color index가 구현되도록 유색 투명 PVA 필름을 제조하였다.
ISO 4007에 의하여 편광률(Pe)을 하기 식 1에 따라 측정 및 계산하였으며, 상기 시트의 편광률은 99.5%로 측정되었다.
[식 1]
Pe=(Tpmax-Tpmin)/(Tpmax+Tpmin)
상기 식 1에서, 편광율 99.95%이상의 표준 편광판과 측정할 PVA 투명 필름을 겹쳐서, 투과율이 최대가 될 때의 투과율을 Tpmax, 최소가 될 때의 투과율을 Tpmin로 하였다.
[ 제조예 2]
유색 투명 PVA 필름의 제조
초기 1m 중심부의 색 좌표가 L* 67, a* -0.8, b* -8.7의 color index가 구현되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유색 투명 PVA 필름을 제조하였다.
편광률(Pe)은 96.8%로 측정되었다.
[ 제조예 3]
무색 투명 PVA 필름의 제조
염료 대신 증류수를 사용하여, 40℃에서 1분 동안 폴리 비닐 알코올 필름을 침적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편광성이 없는, 무색 투명 PVA 필름을 제조하였다.
접착층 형성을 위한 접착제 제조
[ 제조예 4]
5l 비이커에 증류수 3l를 투입하고, 30℃의 hot plate에 올려 증류수 온도가 30℃가 될 때까지 기다린 후, 아세토아세틸기가 소량 도입된 PVA 파우더(Z200, Nippon Gohsei사) 100g을 뭉치거나 덩어리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서서히 투입하였다.
1시간 동안 교반 후 hot plate 온도를 90℃로 설정하여, 비이커 내 수용액의 온도가 90℃가 될 때까지 기다린 후, 1시간동안 교반하여, 육안으로 PVA 파우더가 완전히 용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온에서 교반하면서 서서히 자연 냉각 시키고, 경화제로서 Safelink SPM-01 (Nippon Gohsei사)을 PVA 무게 대비 7wt%가 되도록 상기 PVA 수용액에 천천히 교반하면서 투입하여 수계성 PVA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 제조예 5]
3구 반응기에 냉각기, 진공 장치, 및 질소 유입 장치를 설치하여 Polyester polyol 600g(흥일폴리올 HP-1010, 0.6mole)과, Polyethylene glycol 100g (KPX그린폴리머 Konion PEG 1000, 0.1mol)을 반응기에 투입하여 90℃ 완전 진공 하에 2시간 가량 잔존 습기를 제거하였다.
4,4'-dicyclohexylmethanediisocyanate 262g(Bayer Desmodur W 1mol)을 투입하고, 90℃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주석계 촉매 Dibutyltin dilaurate (Air Products T-12)를 0.1g 첨가하여 이후 3시간 동안 반응을 진행하였다.
이후 NCO%가 2.5%(이론 값 2.61%)일때 Neophentyl glycol 30g(엘지화학 NPG 0.3mol)과 Ethyl acetate 50g 투입하여 반응점도가 상승하면 추가로 50g씩 투입하면서 총 1000g을 투입하고 IR 측정 시 NCO peak이 사라질 때까지 반응시켰다.
점도 희석용제로 Methylisobutyl ketone 400g을 투입한 후 1-Methoxypropan-2-ol을 추가로 투입하여 고형분이 30wt%가 되게 하였다. 그 후 경화제로 주제 대비 isophorone diisocyanate trimer(Bayer Desmodur Z4470BA, 70% solution) 3 part, hexametylene diisocyanate trimer(Bayer Desmodur N3300)2 part를 투입한 후 천천히 1시간 동안 교반 후 탈포하여, 비수계성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편광 렌즈의 제조
[ 비교예 1]
PVA 단층 구조 편광 필름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유색 투명 PVA 필름을 11cm x 11cm 크기로 cutting 하였다.
서브 모터로 곡면 가공된 프레스의 위치를 정밀 제어할 수 있는 4베이스 커브 열 프레스 곡면 성형기(곡률반지름 150mm)의 하단부 몰드에 상기 유색 투명 PVA 필름의 모서리를 고정시키고 85℃에서 프레스 성형 후 모서리 부위를 레이저 절삭으로 제거하였다. 이 후, 편광축 방향을 마킹하여 최종 직경 79.8mm, 4base 곡면으로 성형된, PVA 단층 구조 편광 필름을 제조하였다. (곡률 반지름: 150mm)
같은 방법으로 340mm 폭, 1m 길이에서 총 27개의 시트를 취하여, 동일한 PVA 단층 구조 편광 필름을 제조하였으며, 제조 과정에서 꺾임, 이물 유입으로 인한 눌림, 곡면 불량 성형 등, 불량이 발생한 총 5개를 제외하고, 곡면 성형된 PVA 단층 구조 편광 필름 총 22개를 얻었다.
이렇게 제작된 PVA 단층 구조 편광 필름 중 무작위로 5개 샘플을 취하여 성형 전 후, 색 좌표와 편광률 변화를 측정하였다.
편광 렌즈 제조
상기 22개의 PVA 단층 구조 편광 필름을 70℃에서 5분 이내로 건조하여 잔존 수분을 제거하였다.
렌즈 중심부의 두께가 12mm이고, 4Base의 곡면을 가지는, 편광 렌즈 성형용 유리 몰드를 전면 및 후면에 준비하고, PVA 단층 구조 편광 필름을 삽입할 수 있도록 틈이 있는 실리콘 소재의 원형 개스킷을 이용하여 고정시켰다.
다음으로 굴절률 1.60인 (티오)우레탄 렌즈용 수지 혼합물(미쯔이 화학, MR-8)을 몰드에 주입하여 상기 편광 필름의 양면에 MR-8 수지가 부족하지 않게 채워졌는지 확인하고, 오븐에 넣어, 15시간에 걸쳐 25℃에서 120℃까지 승온시켰으며, 이후, 120℃에서 10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서서히 냉각시킨 후 오븐에서 렌즈 몰드를 꺼냈다. 꺼낸 렌즈 몰드로부터 렌즈를 이형하고, 120℃에서 2시간 30분동안 어닐링하여 세미-피니쉬 렌즈 형상의 편광 렌즈를 얻었다. 이후 배면 (back side)를 절삭 연마하여 4Base 형상의 렌즈를 얻었다.
이들 중 개스킷 삽입 시 곡면의 찌그러짐, MR-8 렌즈수지 중합 시 곡면 왜곡 등의 문제가 총 4개의 렌즈에서 발생하였으며, 최종적으로 18개의 양호한 편광 렌즈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작한 18개의 편광 렌즈 중 무작위로 5개를 취하여 해머로 파괴하여 편광 필름과 우레탄 렌즈와의 접착력을 확인한 결과 비산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우수한 접착력을 확인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제작된 편광 렌즈의 컬러와 편광률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곡면 성형 후 색 좌표와 편광률을 측정하였으며, 아래 표 1에 정리하였다.
  D65/2 열성형 전
편광 필름
열성형 후
편광 필름
편광 렌즈
렌즈1-1 L* 46.06 45.65 38.97
a* -4.83 -4.82 -13.49
b* -5.54 -5.36 -9.29
PE(%) 99.63 99.60 99.30
렌즈1-2 L* 45.58 45.27 41.47
a* -5.47 -5.45 -11.80
b* -6.82 -6.57 -8.04
PE(%) 99.62 99.65 99.32
렌즈1-3 L* 47.34 46.91 45.99
a* -4.76 -4.70 -9.59
b* -4.21 -3.89 -6.52
PE(%) 99.50 99.48 99.32
렌즈1-4 L* 47.82 47.44 41.72
a* -4.57 -4.44 -11.78
b* -4.26 -4.02 -8.78
PE(%) 99.32 99.20 99.12
렌즈1-5 L* 47.64 47.28 44.30
a* -4.70 -4.55 -14.04
b* -4.78 -4.42 -8.65
PE(%) 99.61 99.63 99.49
평균 L* 46.89 46.51 42.49
a* -4.87 -4.80 -12.14
b* -5.12 -4.85 -8.25
PE(%) 99.54 99.51 99.31
max-min L* 2.24 2.17 7.02
a* 0.90 1.01 4.45
b* 2.61 2.68 2.77
PE(%) 0.31 0.45 0.37
[ 실시예 1]
복층 (무색 PVA /필름 지지체/유색 PVA ) 구조 곡면 성형 편광 필름의 제조
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TAC) 필름(두께80㎛, 독일 IPI사, 11sg80uv380-LH(Soft))을 60℃의 15% NaOH 수용액에 1분간 침지시켜서 비누화 처리하였다.
비누화된 TAC필름을 가운데에 두고, 일 면에 제조예 3의 무색 투명 PVA 필름, 다른 면에 제조예 1의 유색 투명 PVA 필름을 배치하였다.
상기 제조예 4의 접착제를 이용, 롤-투-롤 라미네이션 하여 무색 PVA/TAC/유색 PVA 구조의 편광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후 양면에 폴리올레핀계 보호 필름 (Toray사 Toretec 7H52)을 합지하였다.
제작된 편광 필름을 보호 필름이 합지된 상태에서 펀칭 블레이드가 장착된 펀칭 장비를 사용 직경 80.8mm로 펀칭하였으며, 폭 340mm, 길이 1m 의 편광 필름에서, 총 44개의 복층 구조 편광 필름을 얻었다. 펀칭 시에는, 편광 방향을 나타내기 위해 테두리에 작은 요철이 발생하도록 펀칭하였다.
그 후 70℃ 오븐에서 8hr시간 열처리를 하여 잔존 수분을 제거하면서, 동시에 결정화도를 높여 내열성을 부여하였다.
이후, 상기 비교예 1에서와 동일하게, 열 프레스 곡면 성형기를 이용하여 총 44개의 곡면 성형된 복층 구조 편광 필름을 얻었으며, 이 중 곡면이 미세하게 일그러진 2개를 제외하고, 42개의 정상 복층 구조 편광 필름을 얻었다.
열 프레스 곡면 성형 성형기는 아래로 볼록한 구조로, 유색 PVA 필름 면이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위치시켰으며 성형온도는 102℃였다.
무작위로 5개 샘플을 취하여 성형 전후 색 좌표와 편광률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편광 렌즈 제조
이 후, 상기 복층 구조 편광 필름의 보호 필름을 박리하고,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4Base 형상의 편광 렌즈를 42개 얻었다. 총 42개의 편광 렌즈 모두 색조의 변화가 거의 없고 외관이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 중 무작위로 5개를 취하여 해머로 파괴하여 편광 필름과 우레탄 렌즈와의 접착력을 확인한 결과 비산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우수한 접착력을 확인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제작된 렌즈의 컬러와 편광률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곡면 성형 후 색 좌표와 편광률을 측정하였으며, 아래 표 2에 정리하였다.
  D65/2 열성형 전
편광 필름
열성형 후
편광 필름
편광 렌즈
렌즈2-1 L* 47.41 47.11 41.54
a* -5.19 -4.99 -5.13
b* -4.88 -5.11 -6.34
PE(%) 99.53 99.48 99.42
렌즈2-2 L* 46.87 46.48 40.82
a* -5.02 -4.78 -4.98
b* -4.40 -4.65 -5.87
PE(%) 99.51 99.46 99.42
렌즈2-3 L* 47.98 47.62 41.81
a* -5.31 -5.13 -5.28
b* -5.09 -5.30 -6.52
PE(%) 99.48 99.43 99.38
렌즈2-4 L* 47.23 46.67 41.46
a* -5.06 -4.89 -4.98
b* -4.65 -4.88 -6.06
PE(%) 99.54 99.50 99.41
렌즈2-5 L* 47.80 47.33 41.53
a* -5.54 -5.28 -5.48
b* -5.24 -5.53 -6.73
PE(%) 99.35 99.28 99.22
평균 L* 47.46 47.04 41.43
a* -5.22 -5.01 -5.17
b* -4.85 -5.09 -6.30
PE(%) 99.48 99.43 99.37
max-min L* 1.11 1.14 0.99
a* 0.52 0.50 0.50
b* 0.84 0.88 0.86
PE(%) 0.19 0.22 0.20
[ 실시예 2]
복층 (유색/필름 지지체/무색) 구조 곡면 성형 편광 필름의 제조
비누화된 TAC필름을 가운데에 두고, 일 면에 제조예 1의 유색 투명 PVA 필름, 다른 면에 제조예 3의 무색 투명 PVA 필름을 배치하였다.
상기 제조예 4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롤-투-롤 라미네이션 하여 유색 PVA/TAC/무색 PVA 구조의 편광 필름을 제조하였다.
또한, 열 프레스 곡면 성형기를 이용 시 무색 투명 PVA 필름 면이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위치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여, 복층 구조 편광 필름 총 43개를 얻었다.
편광 렌즈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여, 총 43개의 편광 렌즈를 얻었으며, 얻어진 편광 렌즈 모두에서 색조의 변화가 거의 없고 외관이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 중 무작위로 5개를 취하여 해머로 파괴하여 편광 필름과 우레탄 렌즈와의 접착력을 확인한 결과 비산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우수한 접착력을 확인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제작된 렌즈의 컬러와 편광률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곡면 성형 후 색 좌표와 편광률을 측정하였으며, 아래 표 3에 정리하였다.
  D65/2 열성형 전
편광 필름
열성형 후
편광 필름
편광 렌즈
렌즈3-1 L* 47.32 46.91 41.15
a* -5.1 -4.85 -5.01
b* -4.92 -5.21 -6.85
PE(%) 99.43 99.31 99.15
렌즈3-2 L* 46.62 46.09 40.82
a* -5.35 -5.2 -5.24
b* -5.01 -5.27 -6.82
PE(%) 99.39 99.32 99.17
렌즈3-3 L* 47.04 46.37 41.24
a* -4.98 -4.75 -4.7
b* -4.64 -4.78 -6.55
PE(%) 99.40 99.33 99.24
렌즈3-4 L* 47.42 47.07 41.86
a* -5.21 -4.93 -5.14
b* -4.88 -5.17 -7.29
PE(%) 99.52 99.41 99.24
렌즈3-5 L* 47.27 46.76 41.7
a* -5.05 -4.79 -4.89
b* -4.84 -5.15 -7.18
PE(%) 99.48 99.33 99.24
평균 L* 47.13 46.64 41.35
a* -5.14 -4.90 -5.00
b* -4.86 -5.12 -6.94
PE(%) 99.44 99.34 99.21
max-min L* 0.8 0.98 1.04
a* 0.37 0.45 0.54
b* 0.37 0.49 0.74
PE(%) 0.13 0.10 0.09
[ 실시예 3]
복층 (유색/필름 지지체/유색) 구조 곡면 성형 편광 필름의 제조
비누화된 TAC필름을 가운데에 두고, 제조예 2의 유색 투명 PVA 필름을 양면에 적용하여, 유색 PVA/TAC/유색 PVA 구조의 편광 필름을 제작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여, 복층 구조 편광 필름 총 44개를 얻었다.
편광 렌즈 제조
이 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여, 총 44개의 편광 렌즈를 얻었으며, 얻어진 총 44개의 편광 렌즈 모두에서 색조의 변화가 거의 없고 외관이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 중 무작위로 5개를 취하여 해머로 파괴하여 편광 필름과 우레탄 렌즈와의 접착력을 확인한 결과 비산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우수한 접착력을 확인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제작된 렌즈의 컬러와 편광률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곡면 성형 후 색 좌표와 편광률을 측정하였으며, 아래 표 4에 정리하였다.
  D65/2 열성형 전
편광 필름
열성형 후
편광 필름
편광 렌즈
렌즈4-1 L* 60.28 59.92 55.80
a* -0.45 -0.25 -0.39
b* 2.72 2.51 1.52
PE(%) 99.57 99.49 99.42
렌즈4-2 L* 60.46 60.05 55.12
a* -0.25 -0.10 0.12
b* 2.84 2.60 1.63
PE(%) 99.54 99.45 99.38
렌즈4-3 L* 59.89 59.40 55.36
a* -0.62 -0.35 -0.21
b* 2.48 2.29 0.90
PE(%) 99.46 99.39 99.35
렌즈4-4 L* 59.75 59.36 55.45
a* -0.51 -0.26 -0.15
b* 2.64 2.41 1.29
PE(%) 99.60 99.54 99.48
렌즈4-5 L* 60.32 59.87 55.38
a* -0.36 -0.13 0.12
b* 3.04 2.80 1.41
PE(%) 99.56 99.52 99.47
평균 L* 60.14 59.72 55.42
a* -0.44 -0.22 -0.10
b* 2.74 2.52 1.35
PE(%) 99.55 99.48 99.42
max-min L* 0.71 0.69 0.68
a* 0.37 0.25 0.51
b* 0.56 0.51 0.73
PE(%) 0.14 0.15 0.13
[ 실시예 4]
복층 (무색/유색 필름 지지체/유색) 구조 곡면 성형 편광 필름의 제조
일반 투명 TAC 대신에 유색 TAC(두께180㎛, 독일 IPI사, 11sg180S02)를 사용하고, 일면에 제조예 3의 무색 투명 PVA 필름을, 다른 면엔 제조예 2의 유색 투명 PVA 필름을 사용하였다.
무색 PVA/TAC/유색 PVA 구조의 편광 필름을 얻어, 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여, 복층 구조 편광 필름 총 43개를 얻었다.
편광 렌즈 제조
이 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여, 총 43개의 편광 렌즈를 얻었으며, 얻어진 총 43개의 편광 렌즈 모두에서 색조의 변화가 거의 없고 외관이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 중 무작위로 5개를 취하여 해머로 파괴하여 편광 필름과 우레탄 렌즈와의 접착력을 확인한 결과 비산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우수한 접착력을 확인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제작된 렌즈의 컬러와 편광률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곡면 성형 후 색 좌표와 편광률을 측정하였으며, 아래 표 5에 정리하였다.
  D65/2 열성형 전
편광 필름
열성형 후
편광 필름
편광 렌즈
렌즈5-1 L* 48.99 48.52 44.51
a* 0.21 0.45 0.23
b* -5.97 -6.16 -7.08
PE(%) 96.87 96.82 96.75
렌즈5-2 L* 48.69 48.14 43.9
a* 0.14 0.31 0.16
b* -6.32 -6.52 -7.4
PE(%) 96.91 96.86 96.79
렌즈5-3 L* 49.14 48.68 44.82
a* -0.11 0.16 -0.08
b* -5.82 -6.06 -6.96
PE(%) 96.75 96.71 96.62
렌즈5-4 L* 49.27 48.74 44.7
a* 0.32 0.62 0.37
b* -5.94 -6.18 -7.12
PE(%) 96.72 96.65 96.57
렌즈5-5 L* 48.75 48.15 44.12
a* 0.09 0.22 0.15
b* -6.12 -6.38 -7.35
PE(%) 96.88 96.83 96.77
평균 L* 48.97 48.45 44.41
a* 0.13 0.35 0.17
b* -6.03 -6.26 -7.18
PE(%) 96.83 96.77 96.70
max-min L* 0.58 0.6 0.92
a* 0.43 0.46 0.45
b* 0.5 0.46 0.44
PE(%) 0.19 0.21 0.22
[ 실시예 5]
복층 (무색/필름 지지체/유색) 구조 곡면 성형 편광 필름의 제조
TAC 대신, 두께가 180㎛인 폴리카보네이트 (PC) 필름 (I-component사, CCL178)을 사용하였다.
상기 PC 필름의 일 면에 제조예 5의 접착제를 슬롯 다이 코팅하여 100℃에서 1분간 건조 후, 제조예 1의 유색 투명 PVA 필름을 합지하고, 폴리올레핀계 보호 필름(Toray사, 7H52)을 합지 후, 상온에서 이틀 동안 숙성하였다.
상기 PC 필름의 다른 면에 같은 방식으로, 제조예 3의 무색 투명 PVA 필름을 합지하고, 그 면에 폴리올레핀계 보호 필름(Toray사, 7H52)을 합지하여, 무색 PVA/PC/유색 PVA 구조의 편광 필름을 제조하였다.
그 후 35℃에서 40시간 동안 숙성하고, 340mm 폭, 1m 길이로 제단하여 70℃에서 6시간 동안 추가로 숙성하였다. 그 후 보호 필름이 합지된 상태에서 직경 80.6mm의 펀칭 블레이드가 장착된 펀칭 장비를 사용, 80.6mm로 펀칭하여 총 44개의 시트를 얻었다.
곡면 성형을 130℃에서 실시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여, 복층 구조 편광 필름 총 44개를 얻었다.
편광 렌즈 제조
이 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여, 총 44개의 편광 렌즈를 얻었으며, 얻어진 총 44개의 편광 렌즈 모두에서 색조의 변화가 거의 없고 외관이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 중 무작위로 5개를 취하여 해머로 파괴하여 편광 필름과 우레탄 렌즈와의 접착력을 확인한 결과 비산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우수한 접착력을 확인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제작된 렌즈의 컬러와 편광률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곡면 성형 후 색 좌표와 편광률을 측정하였으며, 아래 표 6에 정리하였다.
  D65/2 열성형 전
편광 필름
열성형 후
편광 필름
편광 렌즈
렌즈6-1 L* 45.97 45.84 41.46
a* -4.83 -4.58 -4.79
b* -4.61 -4.49 -5.28
PE(%) 99.35 99.34 99.29
렌즈6-2 L* 46.03 45.83 41.72
a* -4.77 -4.66 -4.72
b* -4.51 -4.2 -5.03
PE(%) 99.33 99.31 99.26
렌즈6-3 L* 45.85 45.73 41.48
a* -4.85 -4.7 -4.80
b* -4.62 -4.51 -4.55
PE(%) 99.36 99.35 99.29
렌즈6-4 L* 45.74 45.59 41.49
a* -4.76 -4.57 -4.69
b* -4.86 -4.77 -5.50
PE(%) 99.34 99.3 99.26
렌즈6-5 L* 46.12 46.03 41.47
a* -4.72 -4.41 -4.61
b* -4.91 -4.77 -5.48
PE(%) 99.32 99.29 99.30
평균 L* 45.94 45.80 41.52
a* -4.79 -4.58 -4.72
b* -4.70 -4.55 -5.17
PE 99.34 99.32 99.28
max-min L* 0.38 0.44 0.26
a* 0.13 0.29 0.19
b* 0.40 0.57 0.95
PE 0.04 0.06 0.04
[ 실시예 6]
복층 (무색/필름 지지체/유색) 구조 곡면 성형 편광 필름의 제조
TAC 대신, 두께가 180㎛인 폴리카보네이트 (PC) 필름 (I-component사, CCL178)을 사용하였다.
광경화 및 열경화성(이중 경화 타입) 비수용성 접착제(일본 UNIDIC사, RC29-322) 95wt%, 경화제(일본 UNIDIC사, DN-980S) 5wt%를 교반하여, 접착제로 사용하고, 일면에는 제조예 3의 무색 투명 PVA 필름, 다른 면에는 제조예 1의 유색 투명 PVA 필름을 사용하였다.
라미네이션 후 메탈 할라이드 램프를 사용하여 1000mJ/cm2 의 UV를 조사하여 1차 경화하고, 제작된 편광 필름 양면에 폴리올레핀계 보호 필름 (Toray사 Toretec 7A62)을 합지하고 권취하였다.
그 후, 35℃ 오븐에서 40 시간 동안 숙성하고, 340mm 폭, 1m 길이로 제단 하여 70℃에서 6시간동안 추가 숙성하였다. 보호 필름이 합지된 상태에서 직경 80.6mm의 펀칭 블레이드가 장착된 펀칭 장비를 사용, 80.6mm로 펀칭하여 총 44개의 시트를 얻었다.
곡면성형을 130℃에서 실시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여, 복층 구조 편광 필름 총 44개를 얻었다.
편광 렌즈 제조
이 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여, 총 44개의 편광 렌즈를 얻었으며, 얻어진 총 44개의 편광 렌즈 모두에서 색조의 변화가 거의 없고 외관이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 중 무작위로 5개를 취하여 해머로 파괴하여 편광 필름과 우레탄 렌즈와의 접착력을 확인한 결과 비산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우수한 접착력을 확인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제작된 렌즈의 컬러와 편광률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곡면 성형 후 색 좌표와 편광률을 측정하였으며, 아래 표 7에 정리하였다.
  D65/2 열성형 전
편광 필름
열성형 후
편광 필름
편광 렌즈
렌즈7-1 L* 45.97 45.70 41.49
a* -4.83 -4.66 -4.81
b* -4.61 -4.56 -5.46
PE(%) 99.35 99.32 99.40
렌즈7-2 L* 45.92 45.94 41.32
a* -4.79 -4.39 -4.74
b* -4.68 -4.53 -5.44
PE(%) 99.42 99.38 99.50
렌즈7-3 L* 45.88 45.84 41.26
a* -4.87 -4.62 -4.83
b* -4.62 -4.43 -5.53
PE(%) 99.46 99.41 99.61
렌즈7-4 L* 46.04 45.86 41.72
a* -4.85 -4.64 -4.84
b* -4.67 -4.54 -5.35
PE(%) 99.30 99.37  99.33
렌즈7-5 L* 45.65 45.44 41.13
a* -4.72 -4.48 -4.65
b* -4.53 -4.44 -4.65
PE(%) 99.45 99.47 99.34
평균 L* 45.89 45.76 41.38
a* -4.81 -4.56 -4.77
b* -4.62 -4.50 -5.29
PE(%) 99.40 99.39 99.44
max-min L* 0.39 0.50 0.59
a* 0.15 0.27 0.19
b* 0.15 0.13 0.88
PE(%) 0.16 0.15 0.28
상기 비교예 및 실시예에 의한 결과를 참조하면, 비교예의 경우, 동일한 크기의 원료 시트를 사용하였음에도, 가공에서 버려지는 부분이 크게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의 경우, 최종 제조된 렌즈에서 품질 불량률 역시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구체적으로 최종 제조된 렌즈의 수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비교예의 경우, 실시예 대비 약 40%(비교예 18개 : 실시예 44개) 미만의 최종 렌즈 수율을 보이는 것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의 경우, PVA 투명 필름 가공, 렌즈 형태 가공(열성형), 최종 렌즈 제조 공정에서, 변색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평균적으로, 상기 비교예의 경우, CIELAB 색상 지수에서, 렌즈 제조 전 후에 있어서, a 값의 경우 약 8, b 값의 경우 약 4 정도의 차이가 발생하고 L, a, b의 편차도 상대적으로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L 값의 저하는 굴절률이 높은 MR-8 수지로 인해 반사율이 높아진 원인 역시 고려하여야 하지만, 이 역시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편차가 큰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원 실시예의 경우, 가공도가 우수하여, 비교예 대비 약 2배 이상의 렌즈 수율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가공 과정에서 색상 역시 큰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a 값은 0.5 이하, b 값은 2 이하의 차이만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비교예와 대비하였을 때, a 값의 변화폭은 약 16배 가량 감소, b 값의 변화 폭은 약 2배 이하로 감소한 것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었다.
100: 투명 필름 지지체
200: 제1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 층
200': 제2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 층
300: 제1 접착층
300': 제2 접착층

Claims (13)

  1. 투명 필름 지지체;
    상기 투명 필름 지지체의 일 면에 형성되는 제1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 층; 및
    상기 투명 필름 지지체의 반대쪽 일 면에 형성되는 제2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 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 층 중 어느 하나 이상은 편광 수지 층인, 편광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필름 지지체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계 수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계 수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및 폴리아미드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편광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 층은, 각각 독립적으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무색 투명 폴리 비닐 알코올계 필름, 또는 유색 투명 폴리 비닐 알코올계 필름인, 편광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 층은 유색 투명 폴리 비닐 알코올계 필름이고, 상기 제2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 층은 무색 투명 폴리 비닐 알코올계 필름인, 편광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필름 지지체는, 무색 투명 필름 지지체 또는 유색 투명 필름 지지체인, 편광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필름 지지체 및 상기 제1 및 제2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 층은, 비수계성 접착제, 수계성 접착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접착층에 의해 부착된, 편광 필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수계성 접착제는 폴리올계 접착제, 용제형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및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편광 필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계성 접착제는, 폴리 비닐 알코올계 접착제, 폴리에틸렌이민계 접착제, 폴리카복실산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알데히드계 접착제, 및 수분산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편광 필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필름 지지체는 두께가 40㎛ 내지 1,000㎛인, 편광 필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 층은 각각 독립적으로 두께가 100nm 내지 100㎛인, 편광 필름.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편광 필름; 및 우레탄 또는 티오우레탄계 렌즈를 포함하는, 편광 렌즈.
  12. 제11항에 따른 편광 렌즈를 포함하는, 편광 안경.
  13. 투명 필름 지지체의 일 면에 제1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접착층 상에 제1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투명 필름 지지체의 반대쪽 일 면에, 제2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접착층 상에 제2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 층 중, 어느 하나 이상은 편광 수지 층인,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0160052336A 2015-04-29 2016-04-28 편광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 렌즈 KR1020521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60693 2015-04-29
KR1020150060693 2015-04-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922A true KR20160128922A (ko) 2016-11-08
KR102052168B1 KR102052168B1 (ko) 2019-12-04

Family

ID=57199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2336A KR102052168B1 (ko) 2015-04-29 2016-04-28 편광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 렌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408982B2 (ko)
EP (1) EP3290969B1 (ko)
JP (2) JP2018514817A (ko)
KR (1) KR102052168B1 (ko)
CN (1) CN107533181B (ko)
TW (1) TW201702647A (ko)
WO (1) WO201617558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9124A (ko) * 2019-03-12 2020-09-22 주식회사 온빛 고굴절 편광렌즈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87093A1 (en) 2018-06-28 2020-01-01 Essilor International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a functional film intended to be laminated on an optical article
DE102018220331B4 (de) * 2018-11-27 2023-05-11 Continental Automotive Technologie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Retarders, Retarder für ein optisches System, Gerät zum Generieren eines virtuellen Bildes, das einen solchen Retarder verwendet und Fortbewegungsmittel mit einem solchen Gerät
JP6897745B2 (ja) * 2019-10-29 2021-07-07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光学シートおよび光学部品
EP3910411A1 (en) * 2020-05-13 2021-11-17 Essilor International Primer for ophthalmic lenses
KR102397482B1 (ko) * 2020-11-05 2022-05-12 주식회사 씨엔와이 Pc 편광필름의 포밍방법
CN112721258A (zh) * 2020-12-29 2021-04-30 合肥德瑞格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tft用聚乙烯醇偏光膜的制备方法
KR102380648B1 (ko) * 2021-02-09 2022-03-29 김충덕 유리렌즈에 적합한 편광필름을 이용한 유리 편광렌즈의 제조방법
WO2023085051A1 (ja) * 2021-11-10 2023-05-19 株式会社トクヤマ 光学積層シート、光学物品、レンズ、眼鏡、及び光学積層シートの製造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21466A1 (ja) * 2012-08-02 2014-02-06 ホーヤ レンズ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フィリピン インク 偏光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4115405A (ja) * 2012-12-07 2014-06-26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性積層フィルムおよび偏光板の製造方法、偏光性積層フィルム、偏光板セット
JP2014200943A (ja) * 2013-04-02 2014-10-27 株式会社ニコン・エシロール 機能性膜を備えた光学素子の製造方法
KR20140147008A (ko) * 2013-06-18 2014-12-29 주식회사 엘지화학 박형 편광자의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박형 편광자 및 편광판
KR20150043556A (ko) * 2010-08-12 2015-04-22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플라스틱 편광렌즈, 그 제조 방법 및 편광필름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7757A (ja) 1984-10-05 1986-05-06 Mitsui Toatsu Chem Inc 色素およびこれを用いた偏光フイルム
JPS62275163A (ja) 1985-06-12 1987-11-30 Mitsui Toatsu Chem Inc アントラキノン系色素およびこれを用いた偏光フイルム
JPS61285259A (ja) 1985-06-13 1986-12-16 Mitsui Toatsu Chem Inc 二色性色素およびこれを用いた偏光フイルム
JPH0794609B2 (ja) 1987-07-22 1995-10-11 三井東圧化学株式会社 アントラキノン系色素および該色素を用いた偏光フィルム
JP2000180844A (ja) * 1998-12-11 2000-06-30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AU2002366720A1 (en) * 2001-12-12 2003-07-09 Merck Patent Gmbh Biaxial film
EP1713847B1 (en) * 2004-01-30 2007-08-29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Polarized articles and methods for obtaining polarized articles
JP2006215390A (ja) * 2005-02-04 2006-08-17 Sanyo Epson Imaging Devices Corp 液晶表示装置
WO2007096425A2 (en) * 2006-02-24 2007-08-30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Process for manufacturing a polarized poly(thio)urethane optical lens
NZ590271A (en) * 2006-04-14 2011-12-22 Prana Biotechnology Ltd 9-hydroxy-3-substituted-4H-pyrido[1,2-a]pyrimidin-4-ones and 9-hydroxy-3-substituted-4H-pyrido[1,2-a]pyrimidin-4-thiones
JP2009025780A (ja) * 2007-06-18 2009-02-05 Nitto Denko Corp 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0993596B1 (ko) 2008-06-11 2010-11-10 주식회사 트리아펙스 편광필름, 편광렌즈 및 이의 제조방법
JP5048120B2 (ja) * 2010-03-31 2012-10-17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性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偏光板の製造方法
JP5361941B2 (ja) * 2010-09-03 2013-12-04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膜を有する積層体ストリップロールの製造方法
JP5478553B2 (ja) * 2010-09-03 2014-04-23 日東電工株式会社 連続ウェブ状光学フィルム積層体ロ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TWI559024B (zh) * 2011-10-03 2016-11-21 Mitsubishi Gas Chemical Co Polarized glasses
JP5937673B2 (ja) 2012-03-06 2016-06-22 三井化学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偏光レンズ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79340B1 (ko) 2012-08-20 2015-12-21 제일모직주식회사 광변색성 및 이색성을 갖는 유기발광소자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표시장치
EP2889655B1 (en) * 2012-08-21 2021-01-06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Colored polarizing film, colored polarizing sheet, colored polarized lens, and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US9784895B2 (en) * 2013-01-25 2017-10-10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Colored low-polarizing films, colored low-polarizing sheets, and colored low-polarizing lenses, and methods thereof
KR20150028636A (ko) 2013-09-06 2015-03-16 에스케이씨하스디스플레이필름(유)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 장치
WO2015046936A1 (ko) 2013-09-27 2015-04-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광학 필름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3556A (ko) * 2010-08-12 2015-04-22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플라스틱 편광렌즈, 그 제조 방법 및 편광필름
WO2014021466A1 (ja) * 2012-08-02 2014-02-06 ホーヤ レンズ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フィリピン インク 偏光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4115405A (ja) * 2012-12-07 2014-06-26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性積層フィルムおよび偏光板の製造方法、偏光性積層フィルム、偏光板セット
JP2014200943A (ja) * 2013-04-02 2014-10-27 株式会社ニコン・エシロール 機能性膜を備えた光学素子の製造方法
KR20140147008A (ko) * 2013-06-18 2014-12-29 주식회사 엘지화학 박형 편광자의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박형 편광자 및 편광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9124A (ko) * 2019-03-12 2020-09-22 주식회사 온빛 고굴절 편광렌즈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179629A (ja) 2021-11-18
CN107533181B (zh) 2020-06-30
TW201702647A (zh) 2017-01-16
US10408982B2 (en) 2019-09-10
US20180299598A1 (en) 2018-10-18
WO2016175585A1 (ko) 2016-11-03
EP3290969B1 (en) 2021-06-23
EP3290969A4 (en) 2018-04-18
JP2018514817A (ja) 2018-06-07
CN107533181A (zh) 2018-01-02
KR102052168B1 (ko) 2019-12-04
EP3290969A1 (en) 2018-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2168B1 (ko) 편광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 렌즈
JP5559497B2 (ja) 光学物品
US7002744B2 (en) Polarized optical part using high impact polyurethane-based material
JP5757954B2 (ja) 積層レンズのための三層接着剤系及びその適用法
EP0299509B1 (en) Curved polarizing sheet protected with polycarbonat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CN101598831A (zh) 偏振性层叠体及其制造方法
EP1217397B1 (en) Process for preparing a polarizing molded article
CN105073814B (zh) 用于偏光结构和偏光镜片的基于聚氨酯的粘合剂
KR20020020996A (ko) 편광광학복합체 및 편광렌즈
TWI721181B (zh) 接著性組成物、層合體、及使用該層合體之光學物品
CN109477908B (zh) 铸造镜片
US11409025B2 (en) Functional sheet
TWI579602B (zh) Polarized lenses for sunglasses
JP7118876B2 (ja) 積層体、該積層体からなる光学基材、および該光学基材を備えた光学物品
CN112752815B (zh) 带有粘接层的功能性层、层叠体及其用途
EP3871866B1 (en) Primer coating composition for polarizing ophthalmic l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