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8307A - 이동규제부재의 반제품의 구조, 봉재에 반제품을 장착하는 장치, 봉재에 반제품을 장착하는 구조 및 장착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규제부재의 반제품의 구조, 봉재에 반제품을 장착하는 장치, 봉재에 반제품을 장착하는 구조 및 장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8307A
KR20160128307A KR1020167022397A KR20167022397A KR20160128307A KR 20160128307 A KR20160128307 A KR 20160128307A KR 1020167022397 A KR1020167022397 A KR 1020167022397A KR 20167022397 A KR20167022397 A KR 20167022397A KR 20160128307 A KR20160128307 A KR 20160128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
finished product
mold
stabilizer bar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2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켄지 카츠노
Original Assignee
닛폰 하츠죠 가부시키가이샤
엔에이치케이 스프링 프로덕션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폰 하츠죠 가부시키가이샤, 엔에이치케이 스프링 프로덕션 컴퍼니 filed Critical 닛폰 하츠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28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83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60G21/0551Moun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2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sheet metal by folding, e.g. connecting edges of a sheet to form a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8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other parts for vehicles, e.g. cowlings, mud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00Shrinkage connections, e.g. assembled with the parts at different temperature; Force fits; Non-releasable friction-grip fast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0Telescoping systems
    • F16B7/14Telescoping systems locking in intermediate non-discrete pos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14Torsion springs consisting of bars or tubes
    • F16F1/16Attachments or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2Mounting of torsion springs
    • B60G2204/1222Middle mounts of stabiliser on vehicle body or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4Centering or positio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5Stops limiting trav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B60G2206/427Stabiliser bar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1Joining by welding
    • B60G2206/82012Pressure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4Hardening
    • B60G2206/8403Shot-pe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7/00Connect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by a part of or on one member entering a hole in the other and involving plastic deformation
    • F16B17/004Connect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by a part of or on one member entering a hole in the other and involving plastic deformation of rods or tubes mutu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Forging (AREA)
  • Springs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반제품(31)은 평판 형상의 브릿지부(33)의 일단에는 제1 만곡부(35)를, 타단에는 제2 만곡부(37)를 가진다. 제2 만곡부(37)는 일단에 제1 결합부(41)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51)를 가진다. 제1/제2 금형(61, 62)으로 브릿지부(33)와 제1/제2 만곡부(35, 37)의 내주면(31c)을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외주면에 압접하도록 하며, 제1/제2 만곡부(35, 37)의 내주면(31c)과, 내주면(31c)에 대향하는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외주면에는 작은 요철 구조의 미끄럼 방지부(38)를 형성하며, 제1/제2 만곡부(35, 37)의 내주면(31c)과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외주면의 사이에는 미끄럼 방지재(Co)가 개재된다.

Description

이동규제부재의 반제품의 구조, 봉재에 반제품을 장착하는 장치, 봉재에 반제품을 장착하는 구조 및 장착 방법{The structure of semi-finished movement restricting member, apparatus for attaching semi-finished product to rod member, attachment structure for rod member and semi-finished product, and method of attaching semi-finished procudt}
본 발명은, 차체의 롤링을 억제하여 차량의 주행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스태빌라이저 바 등의 봉재에 장착되는 이동규제부재의 반제품의 구조 및 봉재에 반제품을 장착하는 장치, 봉재에 반제품을 장착하는 구조 및 장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차체의 롤링을 억제하여 차량의 주행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원기둥 형상의 부재로 형성한 스태빌라이저 바를 채택하고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스태빌라이저 바는 예를 들어, 차폭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토션 바부와 토션 바부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암부를 가지며, 전체적으로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스태빌라이저 바는 토션 바부의 양측의 암부에 대하여 각 암부의 단부에 고무 재질의 완충부재 및 U자 형상의 브라켓을 적용하여 차체에 장착하며, 양측 암부의 단부는 현가 암에 지지된다.
이렇게 구성된 스태빌라이저 바는 차량의 선회 주행시에 토션 바부가 비틀어지게 되고, 이 비틀림에 의해 생성되는 반력이 차체의 롤링을 억제하도록 하고 있다. 스태빌라이저 바의 토션 바부에서 완충부재에 인접한 위치에는 플랜지 형상의 어긋남 방지부재(이하, 이동규제부재라 함.)가 채택된다. 한편, 차량의 선회 주행시에 차폭 방향으로 큰 힘이 토션 바부에 작용하는 경우에는 토션 바부의 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치함으로써 토션 바부가 차체 장비품과 간섭하여 소음을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발명에는 차량의 선회 주행시에 차폭 방향으로 큰 힘이 토션 바부에 가해지는 경우에 토션 바부에 채택한 고리 형상의 이동규제부재의 플랜지부가 완충부재에 부딪치도록 하는 구성을 나타낸다. 특허문헌 1의 이동규제부재는 토션 바부의 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토션 바부가 차체 장비품과 간섭함으로써 발생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특개공보 제2001-163026호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토션 바부에 이동규제부재를 장착한 경우에는 토션 바부의 축 방향으로 큰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스태빌라이저 바의 축 방향에 대하여 이동규제부재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이동규제부재를 장착하기 전 단계의 반제품에 있어서, 이동규제부재의 반제품을 스태빌라이저 바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장착 작업이 용이하고, 이동규제부재의 반제품의 가공이 쉬우며 불량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상기의 관점에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스태빌라이저 바의 어긋남 방지 기술은 상기의 요구를 높은 수준으로 만족하지 못하며, 개선의 여지가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동규제부재의 반제품의 구조, 및 봉재와 반제품의 장착 구조는, 예를 들어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바에 장착되는 이동규제부재의 반제품에 있어서, 상기 반제품은, 평면 형상의 브릿지부, 상기 브릿지부의 일단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제1 만곡부, 및 상기 브릿지부의 타단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제2 만곡부를 가지면서 전체적으로 C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만곡부는 단부에 제1 결합부를 가지는 한편, 상기 제2 만곡부는 단부에 상기 제1 결합부와 맞물리는 제2 결합부를 가지고, 상기 제1 만곡부의 내주면에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를 위치한 상태에서, 제1 금형과 제2 금형을 이용하여 상기 브릿지부와 상기 제1 만곡부 및 상기 제2 만곡부의 내주면을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외주면에 압접시키도록 하여 코킹 가공하는 상기 반제품의 내주면에는 미끄럼 방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미끄럼 방지부는, 상기 반제품을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에 장착할 때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미끄럼 방지재와 압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이동규제부재의 반제품은, 반제품의 제1 만곡부의 내주면에 스태빌라이저 바(봉재)의 외주면을 접촉한 상태에서 반제품을 스태빌라이저 바의 외주면에 코킹 가공하여 장착할 때, 반제품의 내주면에 형성된 미끄럼 방지 부에 스태빌라이저 바의 외주면에 설치한 미끄럼 방지재가 압착한다. 따라서 반제품의 내주면과 스태빌라이저 바의 외주면과는, 미끄럼 방지부와 미끄럼 방지재가 서로 잘 파고들도록 서로 감합되어 미끄럼을 방지하기 때문에 반제품을 스태빌라이저 바의 축 방향에 어긋나지 않게 단단히 코킹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봉재와 이동규제부재의 반제품의 장착 구조는, 제1 및 제2 금형으로 코킹하여 스태빌라이저 바에 장착할 때의 반제품의 장착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가공하기 쉽도록 함과 동시에, 바람직한 어긋남 방지성을 가지며, 또한 생산시 불량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끄럼 방지부는, 30~700[㎛] 오목한 요부, 또는 30~700[㎛] 돌출한 철부에 의해 형성되는 널링 패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미끄럼 방지재는 도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반제품의 미끄럼 방지부는 30~700[㎛]의 요부 또는 철부에 의해 형성된 널링 패턴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그 요부 및 철부가 반제품의 내주면과 스태빌라이저 바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개재된 도막으로 되어있는 미끄럼 방지재에 압착되기 때문에, 미세 감합 구조가 형성된다. 따라서, 반제품과 스태빌라이저 바는 서로 고정되므로 단단히 고착시킬 수 있다.
즉, 널링 패턴의 요부 또는 철부의 크기가 30~700[㎛]의 경우는 요부 또는 철부가 코킹시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적당한 크기로 눌려 뭉개져서, 스태빌라이저 바의 외주면과의 밀착 부분에서 마찰 저항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규제부재의 반제품의 미끄럼에 대한 제동 작용이 향상되고, 반제품을 스태빌라이저 바에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널링 패턴의 요철이 30[㎛] 미만인 경우, 상기 미세 감합 구조가 얕고 엇갈림을 방지하는 힘이 약하다. 또한, 널링 패턴의 요철의 크기가 7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스태빌라이저 바의 외주면에 미끄럼 방지재와 감합하는 부분의 총면적이 작다. 따라서, 원하는 마찰 저항을 얻을 수 없어서 미끄러지기 쉬우므로 반제품을 스태빌라이저 바에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없다.
또한, 상기 미끄럼 방지부는 30~700[㎛] 오목한 요부 또는 30~700[㎛] 돌출된 철부는 숏 피닝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반제품의 미끄럼 방지부는 숏 피닝에 의해 30~700[㎛]의 요부 또는 철부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요부와 철부의 앵커 효과에 의해 반제품의 내주면과 스태빌라이저 바의 외주면과의 접착성(달라붙는 성질)이 향상되므로, 반제품 및 스태빌라이저 바 등을 확실히 고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끄럼 방지부는 알루미나로 이루어지는 분말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미끄럼 방지부는 알루미나 분말로 구성되어있는 것으로, 스태빌라이저 바의 외주면에 반제품의 제1 및 제2 만곡부를 코킹 고정할 때, 스태빌라이저 바의 외주면에 반제품의 내주면의 미끄럼 방지부의 알루미나 분말이 침투하도록 압착하기 때문에, 반제품을 스태빌라이저 바에 확실히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에 장착되기 전의 상기 C자 형상의 상기 반제품은, 상기 C자 형상으로 형성하기 전의 제작 중 제품의 길이 치수를 L2[mm], 상기 브릿지부의 내면 측의 직선 부위의 치수를 S[mm]라 하면, 상기 S는, 이동규제부재의 원재료의 판 두께 T가 5[mm] 이상 10[mm] 미만인 반제품의 경우에는,
L2×0.18-2≤S≤L2×0.18+2
로 설정되고, 상기 판 두께 T가 3[mm] 이상 5[mm] 미만인 반제품의 경우에는,
L2×0.18-1≤S≤L2×0.18+3
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금형(하형)에 제1 만곡부를 세팅하고, 제1 만곡부에 스태빌라이저 바 (봉재)를 세팅한 후에, 제2 금형(상형)을 제2 만곡부를 향해서 하강시키면 추가의 지그 등에 의해 가이드를 사용하지 않고 자동으로 제2 결합부를 제1 결합부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브릿지부의 내면 측의 직선 부위의 치수 S가 이 범위보다도 길면 제2 만곡부 또는 브릿지부가 제2 금형의 하강시에 좌굴될 확률이 높아져, 자동으로 제2 결합부를 제1 결합부에 끼워넣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또는 끼워넣은 경우라도 코킹 성형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균일한 가압이 되지 않고, 어긋남 방지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비율이 높아진다.
또한, 브릿지부의 내면 측의 직선 부위의 치수 S가 그 범위보다 짧은 경우에는 제작 중 제품의 길이 치수 L2가 스태빌라이저 바의 직경보다 작아져 스태빌라이저 바를 제1 만곡부에 세팅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반제품은 브릿지부의 내면 측의 직선 부위의 치수 S가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 그러한 결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봉재에 반제품을 장착하는 장치는, 봉재에 장착되는 이동규제부재의 반제품을 제1 금형과 제2 금형을 이용하여 코킹 가공하여 상기 봉재에 장착하는 봉재에 대한 반제품의 장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규제부재의 반제품을 아래쪽에 배치된 상기 제1 금형에 세팅하여 상기 봉재에 코킹 가공할 때, 상기 제1 금형의 캐비티에 세팅된 상기 반제품이 상기 제1 금형에 대하여 미끄러져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는 어긋남 방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의 봉재에 반제품을 장착하는 장치는 이동규제부재의 반제품을 아래의 제1 금형에 세팅하고 봉재에 코킹 가공할 때 반제품이 어긋남 방지수단에 의해 제1 금형에 대하여 미끄러져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억제하고 있기 때문에, 반제품을 제1 금형의 세팅한 소정위치에 확실히 눌러 움직이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봉재에 반제품을 장착하는 장치는 반제품을 봉재에 코킹 가공하여 장착 할 때, 어긋남 방지수단에 의해 반제품이 봉재에 대하여 어긋나 코킹되는 것을 방지하고, 불량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반제품을 봉재에 소정의 형태로 말아서 감싼 상태로 클린칭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긋남 방지수단은 상기 제1 금형에 세팅된 상기 반제품으로부터 연장된 상기 봉재를 상기 반제품을 개재하여 상기 제1 금형의 상기 제1 만곡부로 밀어붙이는 가스 스프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봉재에 반제품을 장착하는 장치는 반제품을 봉재에 코킹 가공하여 장착할 때 가스 스프링에 의해 봉재를 반제품을 개재하여 제1 금형에 힘을 가하여 눌러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어긋남 방지수단은 가스 스프링으로 형성됨에 따라, 특별한 구동수단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잘 부서지지 않으며, 에너지 절약이 가능한 장치이다.
또한, 상기 어긋남 방지수단은, 상기 제1 금형에 세팅된 상기 반제품으로부터 연장된 상기 봉재 또는 상기 제1 금형에 세팅된 상기 반제품 중 어느 것을 흡인하여, 상기 반제품을 상기 제1 금형의 상기 제1 만곡부로 밀어붙이는 흡반을 구비한 흡인 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봉재에 반제품을 장착하는 장치는 반제품을 봉재에 코킹 가공하여 장착할 때, 흡인 장치의 흡반에 의하여 반제품을 제1 금형에 대하여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어긋남 방지수단을 흡반으로 구성함으로써 특별한 구동수단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잘 부서지기 않으며, 에너지 절약이 가능한 장치이다.
또한, 상기 어긋남 방지수단은 상기 반제품의 상기 제1 만곡부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금형에 대한 미끄럼을 방지하는 요철부와, 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금형의 요철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봉재에 반제품을 장착하는 장치는 반제품을 봉재에 코킹 가공하여 장착할 때, 반제품의 제1 만곡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요철부와 제1 금형에 형성된 요철이 서로 맞물리기 때문에 반제품이 제1 금형에 대해 미끄러지지 않도록 억제함으로써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봉재에 반제품을 장착하는 장치는, 상기 제1 금형을 고정하는 제1 다이 홀더 및 상기 제1 다이 홀더를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지그를 구비하고, 상기 지그는 상기 반제품을 상기 제1 금형 및 상기 제2 금형으로 가압하여 코킹 가공할 때, 상기 봉재의 좌우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상기 반제품의 대향하는 내면 측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금형을 고정하는 내측 치수 결정 위치에 상기 제1 다이 홀더를 회동시켜 고정하고, 좌우의 상기 반제품의 외면 측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금형을 고정하는 외측 치수 결정 위치에 상기 제1 다이 홀더를 회동시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내측 치수 결정 위치"는 봉재의 좌우에 각각 장착되는 반제품에 대향하는 내면 측을 기준으로 설치하는 경우의 반제품의 내면의 설치 위치를 말한다. 또한 "외측 치수 결정 위치"는 봉재의 좌우에 각각 장착되는 반제품의 외면 측을 기준으로 설치하는 경우 반제품의 내면의 설치 위치를 말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봉재에 반제품을 장착하는 장치는 반제품의 내면 측을 기준으로 코킹 가공하여 봉재에 장착할 때 반제품의 내면 측이 기준이 되는 내측 치수 결정 위치가 되도록 제1 금형을 유지하는 제1 다이 홀더를 회동시켜 지그로 고정한다. 또한, 반제품의 외면 측을 기준으로 코킹 가공하여 봉재에 장착할 때 반제품의 외면 측이 기준이 되는 외측 치수 결정 위치가 되도록 제1 금형을 유지하는 제1 다이 홀더를 회동시켜 지그로 고정한다.
이렇게 하면 반제품의 소정의 내면 측 또는 외면 측을 기준으로 봉재에 코킹 고정할 때 제1 다이 홀더를 회동시켜 지그에서 내측 치수 결정 위치 또는 외측 치수 결정 위치에 고정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배치 변환시켜 대응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반제품을 봉재에 소정의 상태로 장착하는데, 제1 다이 홀더를 소정의 위치에 회동시켜 지그로 고정하면 되므로, 용이하게 내측 치수 결정 상태 및 외측 치수 결정 상태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규제부재의 반제품의 장착 구조는, 상기 미끄럼 방지부는, 30~700[㎛] 오목한 요부, 혹은 30~700[㎛] 돌출한 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미끄럼 방지재는 막 두께가 30~40[㎛]의 도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반제품의 미끄럼 방지부는 30~700[㎛]의 요부 또는 철부에 의해 형성되는 것에 의해, 요부 및 철부의 비교적 부드러운 도막에의 앵커 효과로 반제품의 내주면과 봉재의 외주면과의 접착성(달라붙는 성질)이 향상된다. 따라서 반제품과 봉재는 서로 고정됨과 동시에 그 사이에 개재된 도막으로 이루어진 미끄럼 방지재가 반제품과 봉재에 압착되기 때문에, 확실히 고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태빌라이저 바의 축 방향에 대한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하고, 이동규제부재의 반제품이 스태빌라이저 바에 장착되는 경우에 장착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하도록 하는 이동규제부재의 반제품의 구조, 봉재에 반제품을 장착하는 장치, 봉재에 반제품을 장착하는 구조 및 장착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이동규제부재를 포함하는 스태빌라이저 바의 차량 장착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규제부재의 반제품의 구조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이동규제부재의 반제품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이동규제부재의 반제품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굴곡 가공을 실시하기 전의 이동규제부재의 반제품의 제작 중 제품을 표시하는 평면도(반제품의 전개도)이다.
도 5는 도 4에 표시된 제1 결합부의 주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표시된 제2 결합부의 주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7은 이동규제부재의 반제품을 스태빌라이저 바에 장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조용 금형 장치의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주요부 개략 단면도이다.
도 8은 단조용 금형 장치에 적용한 어긋남 방지수단의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주요부 개략 정면도이다.
도 9는 이동규제부재의 반제품의 내면 측을 기준으로 가공을 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조용 금형 장치의 제1 금형 및 제1 다이 홀더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10은 이동규제부재의 반제품의 내면 측을 기준으로 가공을 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조용 금형 장치의 주요부 개략 단면도이다.
도 11은 이동규제부재의 반제품의 외면 측을 기준으로 가공을 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조용 금형 장치의 제1 금형 및 제1 다이 홀더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12는 이동규제부재의 반제품의 외면 측을 기준으로 가공을 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조용 금형 장치의 주요부 개략 단면도이다.
도 13은 이동규제부재의 반제품을 스태빌라이저에 장착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14는 가공을 실시하는 공정에 있어서, 제1 및 제2 결합부가 연결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가공을 실시하는 공정에 있어서, 융기부의 선단 부분이 안내면의 오목한 부분에 부딪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6은 가공을 실시하는 공정에 있어서, 융기부가 안내면을 따라 압박되면서 오목한 부분을 메우도록 소성 변형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7은 가공을 실시하는 공정에 있어서, 제1 및 제2 결합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8은 공정에 있어서, 제1 및 제2 금형 간에 돌기 형성용의 간극을 유지하면서 이동규제부재의 반제품을 누르도록 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9는 공정에 있어서, 제1 및 제2 금형 간에 돌기 형성용의 간극을 유지하면서 이동규제부재의 반제품을 누르도록 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이동규제부재의 반제품의 구조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낸 그림으로, (a)는 확대 측면도, (b)는 반제품의 요철부를 나타내는 주요부 개략 확대 사시도이다.
도 21은 단조용 금형 장치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주요부 개략 측면도이다.
도 22는 단조용 금형 장치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주요부 개략 측면도이다.
도 23은 단조용 금형 장치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주요부 개략 정면도이다.
도 24는 단조용 금형 장치의 제4 변형예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주요부 개략 측면도이다.
도 25는 단조용 금형 장치의 제4 변형예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주요부 개략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이동규제부재의 반제품의 구조 및 봉재(棒材)에 대한 반제품의 장착 장치, 봉재와 반제품의 장착 구조 및 반제품의 장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용하는 부호의 부여 방법을 언급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설명에서 참조되는 물품(예를 들면, 이동규제부재의 반제품)에서는, 그 구조상 소정의 중심선에 대하여 선대칭이 되는 것이 있다. 이러한 선대칭이 되는 물품에 있어서, 공통된 기능을 가지는 부재 사이에는 공통된 숫자 부호를 적절히 부여한다. 또한, 사시도에 그려진 선대칭이 되는 물품에 있어서, 동일 물품을 향해 좌측에 존재하는 부재의 숫자 부호 뒤에 붙임 글자 a를, 우측에 존재하는 부재의 숫자 부호 뒤에 붙임 글자 b를 각각 적절히 부여한다. 또한, 공통된 기능을 가지는 부재를 총칭할 때는 숫자 부호만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및 붙임 글자를 생략하는 경우(이 경우에 있어서, 도면의 부호로부터 붙임 글자 a, b를 적절히 생략하여 부호를 읽는 것)가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편의상 도 1에 나타낸 스태빌라이저 바(11)(봉재)를 긴 쪽 방향에 배치한 경우를 기준으로 하여 스태빌라이저 바(11)의 긴 쪽 방향을 좌우 방향, 제1 및 제2 암부(15a, 15b)가 연장되는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서 설명한다.
<<스태빌라이저 바의 차량에 대한 장착 구조>>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이동규제부재(23)의 반제품(31)(도 2 참조)을 설명하기 전에, 도 1에 나타낸 이동규제부재(23)를 가지는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차량에 대한 장착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태빌라이저 바(11)는 차체의 롤링을 억제하고 차량의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부재로서, 중공 원주 형상의 금속부재로 이루어진다. 스태빌라이저 바(11)는, 예를 들면 차폭 방향으로 직선으로 연장되는 토션 바부(13) 및 토션 바부(13)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1 및 제2 암부(15a, 15b)를 가지며, 전체적으로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태빌라이저 바(11)는, 토션 바부(13)의 제1 및 제2 암부(15a, 15b)에 가까운 부분에, 예를 들어 고무 재질의 제1 및 제2 완충부재(17a, 17b) 및 U자 형상의 제1 및 제2 브라켓(19a, 19b)을 통해 차체에 장착된다. 제1 및 제2 암부(15a, 15b)의 각 단부는 제1 및 제2 현가 암(21a, 21b)에 각각 지지된다.
스태빌라이저 바(11)는, 차량의 선회 주행시에 토션 바부(13)가 축 둘레로 비틀어지면 토션 바부(13)의 비틀림에 의해 발생한 축 둘레의 반력이 차체의 롤링을 억제하는 힘으로서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스태빌라이저 바(11)의 토션 바부(13) 중 제1 및 제2 완충부재(17a, 17b)에 인접하는 위치에는, 플랜지 형상의 제1 및 제2 이동규제부재(23a, 23b)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가령 차량의 선회 주행시에 차폭 방향으로 큰 힘이 토션 바부(13)에 작용하게 되었을 때, 토션 바부(13)의 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치하면 토션 바부(13)가 차체 장비품과 간섭하여 소음 등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차량의 선회 주행시에 차폭 방향의 큰 힘이 토션 바부(13)에 작용하게 되었을 때, 토션 바부(13)에 장착된 제1 및 제2 이동규제부재(23a, 23b)의 플랜지 부분이 제1 및 제2 완충부재(17a, 17b)에 부딪치도록 구성한다. 이렇게 구성된 이동규제부재(23)는,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축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여 스태빌라이저 바(11)가 차체 장비품과 간섭함으로써 발생하는 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동규제부재의 반제품>>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이동규제부재(23)의 반제품(31)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제품(31)은,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바(11)에 장착되는 이동규제부재(23)(도 1 참조)의 제조가공 공정 중인 미완성 제품이다. 이동규제부재(23)의 반제품(31)은 평판 형상의 브릿지부(33), 상기 브릿지부(33)의 일단부로부터 일체로 만곡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1 만곡부(35), 상기 브릿지부(33)의 타단부로부터 일체로 만곡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2 만곡부(37), 및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11)에 대하여 미끄럼을 방지하는 미끄럼 방지부(38)를 가지고 있다.
반제품(31)은 전체적으로 C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이동규제부재(23)의 반제품(31)은, 반제품(31)이 되기 전 과정의 중간 제품인 평판 형상의 제작 중 제품(32)(도 4 내지 도 6 참조)의 중앙부를 구성하는 브릿지부(33)의 양단부를 서로 대향하도록 만곡시킴으로써 제조된다. 평판 형상의 브릿지부(33)는 그 길이 치수를 S(도 3 및 도 4 참조)로 표기한다.
또한, 제작 중 제품(32)의 길이 치수 L2(도 4 참조)는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직경을 D, 제작 중 제품(32)의 판 두께를 T, 설계 공차(+3[mm], -0[mm])를 α라 하면,
L2=π×(D+T)+α
로 설정된다.
제1 만곡부(35)의 내주면(31c)에는, 후술할 S4 단계의 스태빌라이저 바 세팅 공정(도 13 참조)에 따라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11)가 세팅되는데, 이때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11)와의 접촉 면적을 넓혀서 제1 만곡부(35)의 내주면(31c)에 대한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세팅 상태를 안정화할 목적으로, 제1 만곡부(35)의 만곡 방향을 따르는 길이 L3는 제2 만곡부(37)의 만곡 방향을 따르는 길이 L4에 비해 길게 설정된다(도 4 참조). 또한, 제1 만곡부(35)의 만곡 반경은 스태빌라이저 바(11)의 반경(D/2)과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다(도 3 참조). 나아가, 제1 만곡부(35)의 만곡 방향을 따르는 길이 L3는, 바람직하게는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외주 길이(πD)의 1/2 이상, 즉,
L3>=(πD)/2
로 설정된다.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외주면을 압접(壓接)하는 반제품(31)의 내주면(31c)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것처럼, 반제품(31)과 이에 장착되는 스태빌라이저 바(11)의 미끄럼을 억제하도록 미끄럼 방지 가공된 미끄럼 방지부(38)가 마련되어 있다.
미끄럼 방지부(38)는 반제품(31)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30~700[㎛] 오목한 다수의 요부, 30~700[㎛] 돌출된 다수의 철부, 혹은 표면 거칠기가 30~700[㎛]인 다수의 요철부에 의해 형성된 미끄럼 방지로 이루어진다. 미끄럼 방지부(38)는 널링(knurling) 패턴(38a)으로 형성되며, 널링 패턴(38a)의 홈의 깊이는 압형하여 형성하는 경우 400~700[㎛]이며, 가압에 따라 제품의 홈의 깊이가 상이하다.
반제품(31)을 스태빌라이저 바(11)에 장착할 때 반제품(31)이 어긋나지 않도록, 상기 미끄럼 방지부(38)는 나아가 반제품(31)의 내주면(31c)에 필요에 따라 미끄럼 방지 분말이나 미끄럼 방지 도막(塗膜)으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방지재 Co(도 7 참조)를 부착한 것일 수도 있다. 미끄럼 방지부(38)의 미끄럼 방지재 Co는 예를 들어 알루미나로 이루어지는 분말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미끄럼 방지부(38)는 미끄럼 방지재 Co만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미끄럼 방지재 Co는 예를 들면 알루미나 분말이 혼입되어 있는 미끄럼 방지 도막이어도 가능하며, 나아가 미끄럼 방지 도막 혹은 미끄럼 방지 분말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그 막 두께가 30~40[㎛]로 형성되도록 한다.
후술하는 S7 단계의 코킹(caulking) 공정(도 13 참조)에 있어서, 반제품(31)은 반제품(31)의 내주면(31c)에 마련된 30~40[㎛]의 막 두께의 미끄럼 방지재 Co의 알루미나 분말이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외주면에 대하여 죄어들도록 압착함으로써 미끄럼 방지 효과가 향상되어,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축 방향에 대한 이동규제부재(23)의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만곡부(35)(도 4에 나타낸 제작 중 제품(32)에 있어서, 제1 만곡부가 되는 부분을 포함한다. 이하 마찬가지.)는 그 단부에 제1 결합부(41)를 가진다. 도 2 및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제1 결합부(41)는 돌출 형상의 팽출부(43) 및 팽출부(43)를 사이에 끼도록 그 양측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수부(45a, 45b)를 가진다. 팽출부(43)의 부풀어오른 방향의 단부는 원호 형상(대략 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팽출부(43)는 그 양측의 기단부에 원호 형상으로 노치 형성된 움푹한(또는 오목한) 부분(44)을 가진다. 이 움푹한 부분(44)은 후술할 제1 및 제2 융기부(57a, 57b)와 협동하여 제1 및 제2 결합부(41, 51) 사이의 맞물리는 힘을 강건히 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에 대하여 자세히 후술한다.
제1 및 제2 수부(45a, 45b)는, 제1 결합부(41)의 폭 방향으로 외측에 존재하고 팽출부(43)의 부풀어오른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1 및 제2 어깨부(46a, 46b)를 가진다. 또한, 제1 및 제2 수부(45a, 45b)는 제1 및 제2 어깨부(46a, 46b)에 대하여 팽출부(43)의 부풀어오른 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움푹한 부분(44)을 향해 만곡하여 오목한 제1 및 제2 안내면(48a, 48b)을 가진다. 제1 및 제2 안내면(48a, 48b)은 후술할 제1 및 제2 융기부(57a, 57b)를 움푹한 부분(44)의 오목한 공간을 향해 안내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에 대하여 자세하게 후술한다.
한편, 제2 만곡부(37)(도 4에 나타낸 제작 중 제품(32)에 있어서, 제2 만곡부가 되는 부분을 포함한다. 이하 마찬가지.)는 단부에 상기 제1 결합부(41)와 맞물리는 제2 결합부(51)를 가진다. 제2 만곡부(37)의 곡률 반경은 제1 만곡부(35)의 곡률 반경과 마찬가지로 스태빌라이저 바(11)의 반경(D/2)과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다(도 3 참조).
도 6에 나타낸 것처럼, 제2 결합부(51)는 팽출부(43)를 수용할 수 있는 움푹하게 오목한 형상의 수용부(53) 및 상기 수용부(53)를 사이에 끼면서 위치하는 제1 및 제2 돌출부(55a, 55b)를 가진다(도 5 참조). 수용부(53)의 오목한 방향의 깊숙한 부분은 도 2 및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팽출부(43)의 부풀어오른 방향의 단부와 동일한 직경의 원호 형상(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돌출부(55a, 55b)는 그 단부로부터 수용부(53)의 개구부(54)를 향해 융기되며, 선단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 융기부(57a, 57b)를 각각 가진다.
반제품(31)의 폭 방향에 있어서, 도 5에 나타낸 팽출부(43)의 최대 치수 L5는 도 6에 나타낸 수용부(53)의 최대 치수 L6와 동등한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후술할 S6 단계의 반제품(31)의 제2 만곡부 세팅 공정(도 13 참조)에 있어서, 제1 결합부(41)와 제2 결합부(51)를 맞물리게 할 때, 수용부(53)의 내부 공간에 대하여 팽출부(43)를 원활하게 수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것처럼, 팽출부(43)가 부풀어오른 방향에 있어서, 어깨부(46)에 대한 팽출부(43)의 높이 치수 L7는 돌출부(55)에 대한 수용부(53)의 깊이 치수 L8과 동등한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55)에 대한 융기부(57)의 높이 치수 L10는 안내면(48)의 오목한 깊이 치수 L9에 비해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로써, 후술할 S6 단계의 반제품(31)의 제2 만곡부 세팅 공정(도 13 참조)에 있어서, 제1 결합부(41)와 제2 결합부(51)를 맞물리게 할 때, 팽출부(43)의 선단 부분이 수용부(53)의 깊숙한 부분에 닿기 이전에, 융기부(57)의 선단 부분이 안내면(48)의 오목한 부분에 닿도록 구성되어 있다.
나아가,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제1 및 제2 결합부(41, 51)의 틈 L1은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직경 D에 비해 크게(L1>D) 설정되어 있다. 후술할 S4 단계의 스태빌라이저 바 세팅 공정(도 13 참조)에 있어서, 제1 만곡부(35)의 내주면(31c)에 스태빌라이저 바(11)를 세팅하는 작업을 할 때,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외주면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스태빌라이저 바(11)에 장착하기 전의 C자 형상의 반제품(31)은 도 4에 나타낸 것처럼, C자 형상으로 형성하기 전의 제작 중 제품(32)의 길이 치수 L2[mm], 브릿지부(33)의 내면 측의 직선 부위의 치수를 S[mm], 직선 부위의 치수 S의 하한을 Sa[mm], 직선 부위의 치수 S의 상한을 Sb[mm], 계수를 "0.18", 직선 부위의 치수의 하한 Sa일 때에서의 정수를 a, 직선 부위의 치수의 상한 Sb일 때에서의 정수를 b라 하면, 직선 부위의 치수 S의 하한 Sa[mm]는,
Sa≥L2×0.18-a
로 설정되고, 직선 부위의 치수 S의 하한 Sa일 때에서의 정수 a는,
a=1~2
가 된다. 직선 부위의 치수 S의 상한 Sb[mm]는,
Sb≥L2×0.18+b
로 설정되고, 직선 부위의 치수 S의 상한 Sb일 때에서의 정수 b는,
b=-2~3
이 된다.
또한, 직선 부위의 치수 S의 하한 Sa 및 상한 Sb일 때에서의 정수 a, b는 스태빌라이저 바(11) 및 반제품(31)의 두께나 크기 등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상기 직선 부위의 치수 S의 하한 Sa[mm]를 실례로 들어 설명하면, 이동규제부재(23)의 원재료의 판 두께 T가 5[mm] 이상 10[mm] 미만인 A 타입의 반제품(31)의 경우, 브릿지부(33)의 내면 측의 직선 부위의 치수 S에서의 하한의 정수 a가 a=1~2이므로, 직선 부위의 치수의 하한 Sa[mm]는,
Sa≥L2×0.18-(1~2)
가 된다. 브릿지부(33) 내면 측의 직선 부위의 치수 S를 하한 Sa 이상의 치수로 형성하여, 반제품(31)을 스태빌라이저 바(11)에 클린칭(clinching)하면 적절한 상태로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이동규제부재(23)의 원재료의 판 두께 T가 5[mm] 미만 3[mm] 이상인 B 타입의 반제품(31)의 경우, 브릿지부(33)의 내면 측의 직선 부위의 치수 S에서의 상한의 정수 b는 b=-2~+3이므로, 직선 부위의 치수의 상한 Sb[mm]는,
Sb≥L2×0.18+(-2~+3)
이 된다. 이 경우, 브릿지부(33)의 내면 측의 직선 부위의 치수 S에서의 상한 Sb[mm]는, 예컨대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직경 D에 약 12.328~16.464[mm]를 가산한 치수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릿지부(33)의 내면 측의 직선 부위의 치수 S를 상한 Sb 이하의 치수로 형성하여 C자 형상의 반제품(31) 내에 스태빌라이저 바(11)를 삽입하여 반제품(31)을 스태빌라이저 바(11)에 클린칭하면, 제1 및 제2 만곡부(35, 37)가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외주면에 밀착하도록 적절한 상태로 장착할 수 있다.
하한 Sa에서 상한 Sb의 범위 내의 치수로 형성한 반제품(31)은, C자 형상으로 열린 반제품(31) 내로 스태빌라이저 바(11)를 삽입하고 반제품(31)을 프레스 가공하여 닫는 방향으로 코킹한 경우, 반제품(31)의 둥글게 구부리는 부위의 길이가 적절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반제품(31)의 양단부의 제1 결합부(41)와 제2 결합부(51)가 항상 합치하는 형상으로 코킹할 수 있다. 그 결과, 반제품(31)의 생산 효율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불량품 발생을 해소할 수 있다.
상기 직선 부위의 치수 S[mm]를 실시예로 들어 설명하면, 이동규제부재(23)의 원재료의 판 두께 T(도 3 참조)가 5[mm] 이상 10[mm] 미만인 A 타입의 반제품(31)의 경우, 직선 부위의 치수 S[mm]는,
S=L2×0.18+(-2~+2)
또는, L2×0.18-2≤S≤L2×0.18+2
이다. 제1 결합부(41)와 타단 측의 제2 결합부(51) 사이의 치수 L2[mm]가 L2=79.6인 경우, 직선 부위의 치수 S[mm]는,
12.328≤S≤16.328
이다.
판 두께 T가 5[mm] 미만 3[mm] 이상인 B 타입의 반제품(31)의 경우, 직선 부위의 치수 S[mm]는,
S=L2×0.18+(-1~+3)
또는, L2×0.18-1≤S≤L2×0.18+3
이다. 제1 결합부(41)와 타단 측의 제2 결합부(51) 사이의 치수 L2[mm]가 L2=74.8인 경우, 직선 부위의 치수 S[mm]는,
12.464≤Sb≤16.464
이다.
이 때문에, 직선 부위의 치수 S의 상한일 때에서의 정수 b는, 최소값이 A 타입의 "-2"이고 최대값이 B 타입의 "+3"이므로,
b=-2~3
이 된다.
또한, A 타입의 경우, 예를 들면 원재료의 판 두께가 6[mm], 널링 압형 후의 판 두께가 5[mm], 코킹 후의 판 두께가 4[mm]로 변화한다. 또한, B 타입의 경우, 예를 들면 원재료의 판 두께가 4[mm], 널링 압형 후의 판 두께가 3.2[mm], 코킹 후의 판 두께가 3[mm]로 변화한다.
또한, 스태빌라이저 바(11)에 장착되기 전의 도 3에 나타낸 C자 형상의 반제품(31)은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직경을 D, 제2 만곡부(37)의 중심점에서의 제1 만곡부(35)의 중심 O1과 제2 만곡부(37)의 중심 O2를 연결하는 중심선 O1-O2에 대한 제2 결합부(51)의 선단의 각도를 θ, 중심선 O1-O2 방향으로 제2 결합부(51)의 선단과 제2 만곡부(37)의 중심 O2 사이의 길이를 L11이라 하면, 제1 결합부(41)와 제2 결합부(51) 사이의 치수 L1은,
L1=S+(D/2×cosθ)
로 설정된다. 따라서, 제2 결합부(51)의 선단과 제2 만곡부(37)의 중심 O2 사이의 중심선 O1-O2 방향의 길이 L11은,
L11=D/2×cosθ
로 설정된다.
<<단조용 금형 장치>>
도 7 내지 도 12는, 단조용 금형 장치(60)의 구조 및 그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에 나타낸 것처럼, 단조용 금형 장치(60)(반제품의 장착 장치)는 이동규제부재(23)(도 1 참조)의 반제품(31)을 제1 금형(61)과 제2 금형(63)을 이용하여 코킹 가공하여 스태빌라이저 바(11)에 장착하는 종형(縱形) 단조용 프레스기이다. 이 단조용 금형 장치(60)는, 예를 들면 반제품(31)을 아래쪽에서 지지하는 제1 금형(61), 제1 금형(61) 상에 놓인 반제품(31)을 위쪽에서 가압하여 성형하는 제2 금형(63), 제1 금형(61)을 잡아주는 제1 다이 홀더(62), 제2 금형(63)을 잡아주는 제2 다이 홀더(64), 제1 금형(61)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승강 장치(미도시), 반제품(31)을 스태빌라이저 바(11)에 코킹 가공하여 장착할 때, 반제품(31)이 제1 금형(61)에 대하여 미끄러져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는 어긋남 방지수단(65), 및 제1 다이 홀더(62)를 회전 가능하도록 잡아주는 지그(80)(도 9 및 도 10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이 단조용 금형 장치(60)는 지그(80)에서 고정하는 제1 다이 홀더(62)의 위치를 내측 치수 결정 상태 및 외측 치수 결정 상태로 잡아줌으로써, 하나의 장치로 내측 치수 결정용 및 외측 치수 결정용으로 겸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금형>>
도 7에 나타낸 것처럼, 금형은 단조용 금형 장치(60)에 이용되는 단조용 금형이며, 반제품(31)을 아래쪽에서 지지하면서 하면 측을 형성하는 고정 측의 하 금형으로서의 제1 금형(61), 및 반제품(31)을 위쪽에서 가압 압축시켜 상면 측을 구부림 가공하는 가동 측의 상 금형으로서의 제2 금형(63)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것처럼, 제1 금형(61)은 단조할 때 반제품(31)이 놓이는 캐비티(61a)를 가지는 하면 형성용 금형으로서,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1 다이 홀더(62)에 볼트 체결된다.
캐비티(61a)는 이동규제부재(23)(도 1 참조)의 반제품(31) 중 제1 만곡부(35)의 외형 형상을 빈틈없이 수용 가능한 반원형의 홈 형상으로 형성되고, 좌우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제2 금형(63)은 승강 장치에 의해 하강하면서, 반제품(31)의 상면 측을 가압하여 소성 변형시키는 상면 형성용 금형이며, 제1 금형(61)에 대향하도록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2 다이 홀더(64)에 볼트 체결된다. 제2 금형(63)에도 이동규제부재(23)의 반제품(31) 중 제2 만곡부(37)의 외형 형상을 빈틈없이 수용 가능한 반원형의 홈으로 이루어지는 캐비티(63a)가 형성되어 있다. 도 18에 나타낸 것처럼, 반제품(31)을 코킹 가공할 때(S7 단계의 코킹 공정), 제2 금형(63)은 제1 금형(61)에 대하여 승강 장치에 의해 L12가 개재되는 위치까지 하강하여 반제품(31)을 프레스 가공한다.
<<다이 홀더>>
도 7에 나타낸 것처럼, 다이 홀더(62, 64)는 제1 금형(61) 및 제2 금형(63)을 각각 고정하고 단조용 금형 장치(6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이다. 이 다이 홀더는, 아래쪽의 제1 금형(61)을 고정하는 제1 다이 홀더(62) 및 위쪽의 제2 금형(63)을 고정하는 제2 다이 홀더(64)로 이루어진다.
<제1 다이 홀더>
도 10에 나타낸 것처럼, 제1 다이 홀더(62)는 단조용 금형 장치(60)의 베이스 테이블(미도시) 상에 마련된 지그(80) 상에 세팅되고, 지그(80)를 통해 제1 금형(61)을 베이스 테이블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는 부재이다. 제1 다이 홀더(62)는 지그(80) 상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체결구(83)로 고정되는 제1 메인 다이 홀더(62A), 및 제1 메인 다이 홀더(62A) 상에 장착되는 제1 서브 다이 홀더(62B)vmv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1 메인 다이 홀더(62A)는, 제1 금형(61), 제1 서브 다이 홀더(62B) 및 스태빌라이저 바(11)가 놓여 고정되도록 하는 부재이다. 제1 메인 다이 홀더(62A)는, 지그(80) 상에 회동 가능하게 놓이는 대략 원반 형상의 지그 탑재부(62a), 회전축(85)을 설치하기 위한 회전축 설치홀(62b), 위치결정부재(86), 위치결정부재(86)를 장착하기 위한 위치결정부재 설치홀(62c), 고정 블록(82)에 의해 고정되는 지지부(62d), 제1 금형(61)이 놓이는 금형 설치부(62e), 제1 서브 다이 홀더(62B)를 설치하기 위한 서브 다이 홀더 설치부(62f), 및 스태빌라이저 바(11)를 지지하는 원호 형상의 홈(종단면도 상에서)으로 이루어지는 바 지지부(62g, 62h)를 구비하고 있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것처럼, 지그 적재부(62a)는 하면 중앙부에 형성된 회전축 설치홀(62b), 지그 적재부(62a)의 좌우에 형성된 위치결정부재 설치홀(62c), 및 외주부에 형성된 단차 형상의 지지부(62d)를 가지고 있다.
제1 서브 다이 홀더(62B)는 제1 메인 다이 홀더(62A)의 금형 설치부(62e) 상에 설치된 제1 금형(61)을 제1 메인 다이 홀더(62A)와 협력하여 잡아주는 부재이다. 제1 서브 다이 홀더(62B)는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제1 메인 다이 홀더(62A)에 고정되어 있다.
<제2 다이 홀더>
도 7에 나타낸 것처럼, 제2 다이 홀더(64)는 단조용 금형 장치(60)의 프레스부(미도시) 아래에 세팅되어 위쪽의 제2 금형(63)을 고정하는 부재이다. 제2 다이 홀더(64)는 제2 금형(63)을 고정하는 제2 금형 고정부(64a)를 가지며, 도시하지 않은 승강 장치에 의해 제2 금형(63)과 함께 승강된다.
승강 장치는, 도 7에 나타낸 것처럼 제2 다이 홀더(64)를 통해 제2 금형(63)을 하강시켜 제1 금형(61) 상에 세팅된 반제품(31)을 제2 금형(63)으로 가압함으로써 반제품(31)을 코킹 가공하여 스태빌라이저 바(11)에 장착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 승강 장치는, 예를 들면 유압 등에 의해 작동하여 제2 금형(63)을 수직으로 상승 및 하강시킨다.
<어긋남 방지수단>
도 7 및 도 10에 나타낸 것처럼, 어긋남 방지수단(65)은 반제품(31)을 제1 금형(61) 상에 세팅하고 스태빌라이저 바(11)에 코킹 가공하여 장착할 때, 제1 금형(61)의 캐비티(61a)에 세팅된 반제품(31)이 제1 금형(61)에 대하여 미끄러져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억제하는 장치이다. 어긋남 방지수단(65)은 예를 들면 제2 금형(63)을 고정하는 제2 다이 홀더(64), 또는 제2 다이 홀더(64) 주변의 단조용 금형 장치(60)에 마련되어 있다. 어긋남 방지수단(65)은 반제품(31)이 개재된 상태에서 제1 금형(61)에 놓인 스태빌라이저 바(11)를 제1 금형(61) 측으로 가압할 때에, 반제품(31)이 제1 금형(61)의 캐비티(61a)(제1 맞물림 요부)로부터 이동하여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하는 가스 스프링(65a)으로 이루어진다.
가스 스프링(65a)은, 고압 가스가 봉입된 실린더부(미도시) 및 고압 가스의 압력으로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어 스태빌라이저 바(11)를 가압하도록 실린더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피스톤 로드(65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7, 도 8, 도 10 및 도 12에 나타낸 가스 스프링(65a)은 가스 스프링(65a)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가스 스프링(65a)의 구조, 설치 위치 및 수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가스 스프링(65a)는 스태빌라이저 바(11)를 제1 금형(61) 측으로 가압하는 것이라면 복수 개를 마련하여 스태빌라이저 바(11)의 복수 개소를 가압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또한, 가스 스프링(65a)이 스태빌라이저 바(11)를 가압하는 위치는 적절히 변경해도 상관없다.
<지그>
지그(80)는 반제품(31)을 제1 금형(61) 및 제2 금형(63)으로 가압하여 코킹 가공할 때,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것처럼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좌우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반제품(31)의 내면(31a) 측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에는, 제1 금형(61)을 고정하는 내측 치수 결정 위치에 고정하고, 혹은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것처럼 좌우의 반제품(31)의 외면(31b) 측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에는, 제1 금형(61)을 고정하는 외측 치수 결정 위치 중 소정의 위치에 제1 다이 홀더(62)를 회동시켜 고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 고정구이다.
지그(80)는 단조용 금형 장치(60)의 베이스 테이블 상에 놓이는 지그 본체(81), 지그 본체(81)의 외주부에 체결되는 고정 블록(82), 고정 블록(82)을 지그 본체(81)에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구(83), 체결구(83)와 고정 블록(82) 사이에 개재되는 와셔(84), 지그 본체(81)를 회전시킬 때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축(85), 제1 메인 다이 홀더(62A)를 지그 본체(81)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위치결정부재(86), 회전축(85)을 축 지지하는 베어링부재(87), 위치결정부재(86)를 지지하는 가이드부재(88), 및 지그 본체(81)와 고정 블록(82) 및 제1 메인 다이 홀더(62A) 사이에 개재된 지지 플레이트(89)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지그(80)는 체결구(83)를 느슨하게 하여,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반제품(31)의 내면(31a) 측을 기준으로 하는 내측 치수 결정 위치 상태에서 180도 회동시키고,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반제품(31)의 외면(31b) 측을 기준으로 하는 외측 치수 결정 위치 상태로 변환시켜 고정할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낸 것처럼, 지그 본체(81)는 단조용 금형 장치(60)의 베이스 테이블 상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며, 평면도에서 사각형인 블록으로 이루어진다. 지그 본체(81)에는 상면 중앙부에 회전축(85)을 축 지지하는 대략 원통 형상의 베어링부재(87)가 장착되는 베어링 설치홀(81a), 가이드부재(88)가 장착되는 가이드부재 설치홀(81b), 및 체결구(83)의 수나사부(83a)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낸 것처럼, 고정 블록(82)은 지그 본체(81) 상의 외 측 네 모서리부에 탈착 가능하게 각각 체결되는 4개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제1 메인 다이 홀더(62A)의 지지부(62d)를 외주의 네 방향에서 고정하도록 지그 본체(81)의 체결구(83)에 의해 각각 결합 고정된다. 고정 블록(82)에는 고정 블록(82)을 지그 본체(81) 상의 체결구(83)로 고정했을 때, 제1 메인 다이 홀더(62A)의 지지부(62d) 위를 아래 방향으로 가압하여 지지하는 고정부(82a), 지그 본체(81) 상에 배치된 지지 플레이트(89)의 지지 돌출편(89a)을 위쪽으로부터 지지하는 노치부(82b), 및 이 노치부(82b)에 형성되고 체결구(83)의 수나사부(83a)가 삽통되는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체결구(83)는 제1 다이 홀더(62)를 회동시킬 때, 4개의 체결구(83)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지그 본체(81)를 고정하는 고정 블록(82)을 개방시켜, 제1 메인 다이 홀더(62A)를 지그 본체(81)에 대하여 회동 가능케 한다. 또한, 체결구(83)를 조임으로써 수나사부(83a)가 지그 본체(81)의 암나사부(미도시)에 나사 결합되도록 하고, 지그 본체(81)에 고정 블록(82)을 고정함으로써 제1 메인 다이 홀더(62A)를 지그 본체(81)에 단단히 고정시킨다.
와셔(84)는 고정 블록(82)을 지그 본체(81)에 고정한 체결구(83)의 풀림 방지용 스프링 와셔이다.
도 10에 나타낸 것처럼, 회전축(85)은 상하 방향의 중앙부에 링 형상으로 형성된 플랜지부를 가지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축부재이며, 상부 측이 제1 메인 다이 홀더(62A)의 회전축 설치홀(62b)에 삽입 장착되고, 하부 측이 베어링부재(87)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위치결정부재(86)는 제1 메인 다이 홀더(62A)를 지그 본체(81)에 고정할 때 제1 메인 다이 홀더(62A)를 지그 본체(81)의 미리 설정한 기준면(반제품(31)의 내면(31a) 또는 외면(31b))의 위치 상태로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부재이다.
위치결정부재(86)는 반제품(31)의 내면(31a) 또는 외면(31b)을 기준 위치로 하는 경우에, 제1 다이 홀더(62)를 가이드부재(88)의 소정 위치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위치결정 볼트(86a), 위치결정 볼트(86a)가 회동 가능하게 안으로 끼워진 칼라(collar)(86b), 위치결정 볼트(86a)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 아래쪽 단차부에 걸림 고정되도록 바깥으로 끼워진 고리형상부재(86c), 위치결정 볼트(86a)에 틈을 통해 바깥으로 끼워지고 고리형상부재(86c) 및 칼라(86b)를 통해 위치결정 볼트(86a)의 위쪽으로 힘을 부가하는 코일 스프링(86d), 이 코일 스프링(86d)을 아래쪽에서 수용하는 스프링 수용구(86e), 지그 적재부(62a)와 가이드부재(88) 및 고정 블록(82) 사이에 개재된 저마찰 미끄럼 시트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접촉부재(86f)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위치결정부재(86)는, 지그 적재부(62a), 위치결정부재 설치홀(62c) 및 가이드부재(88)의 스프링부재 설치홀(88a)을 관통하여 삽입되며, 위치결정부재(86)의 하단부의 수나사부가 스프링 수용구(86e)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위치결정 볼트(86a)는, 제1 다이 홀더(62) 및 지그(80)에 대하여 탈착 가능한 것이라면 형상 또는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볼트 이외의 고정구라도 상관없다.
베어링부재(87)는, 예를 들면 베어링 설치홀(81a)에 장착된 베어링 메탈로 이루어지며, 지그 본체(81) 상면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부재(88)는, 위치결정부재(86)를 칼라(86b)를 통해 지지하는 부재이며, 지그 본체(81)의 좌우 중앙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가이드부재 설치홀(81b)에 맞물린 상태로 제1 다이 홀더(62) 하면의 소정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지지 플레이트(89)는, 중앙부가 지그 본체(81)와 제1 메인 다이 홀더(62A) 사이에 개재된 판 형상의 부재이다. 지지 플레이트(89)의 외주부에는 고정 블록(82)과 지그 본체(81) 사이에 개재되는 와셔 형상의 지지 돌출편(89a), 및 베어링부재(87) 및 가이드부재(88)의 플랜지 형상 부위가 배치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작용>>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이동규제부재(23)의 반제품(31)을 스태빌라이저 바(11)(봉재)에 장착하는 반제품(31)의 장착 방법 및 단조용 금형 장치(60)(반제품 장착 장치 및 반제품 장착 구조)의 작용에 대하여, 도 13 내지 도 18을 주로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경우, 도 13에 나타낸 공정도의 순서로 작업을 수행한다.
<준비 공정>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것처럼,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좌우에 각각 장착되는 이동규제부재(23)(도 1 참조)의 반제품(31)의 내면(31a) 측을 기준으로 하는 내측 치수 결정으로 반제품(31)을 스태빌라이저 바(11)에 장착하는 경우, 먼저 제1 금형(61)을 잡아주는 내측 치수 결정 위치로 제1 다이 홀더(62)를 회동시키고, 제1 다이 홀더(62)의 외주부를 4개의 고정 블록(82)으로 체결구(83)에 의해 체결함으로써, 고정 블록(82)으로 제1 다이 홀더(62)를 지그(80)의 지그 본체(81)에 고정하는 준비 공정을 수행한다(S1 단계).
또한, 준비 공정(S1 단계)에서는 제1 메인 다이 홀더(62A)의 금형 설치부(62e) 상에 제1 금형(61)을 놓아두고, 제1 금형(61)을 제1 메인 다이 홀더(62A)와 제1 서브 다이 홀더(62B)로 협력하여 고정한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것처럼 제2 다이 홀더(64)에 제2 금형(63)을 고정한다.
<반제품의 제1 만곡부 세팅 공정>
이어서, 제1 금형(61)의 캐비티(61a)에 이동규제부재(23)(도 1 참조)의 반제품(31)의 제1 만곡부(35)를 놓아두고 세팅하는, 반제품(31) 세팅 공정을 수행한다(S2 단계). 이때, 반제품(31)은 제1 만곡부(35)를 캐비티(61a)에 놓아두는 것만으로도 대략 반원 형상의 캐비티(61a)가 대략 반원 형상의 제1 만곡부(35)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특별한 위치 결정부재나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세팅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미끄럼 방지재 부착 공정>
이어서, 후술할 반제품(31)을 코킹하여 스태빌라이저 바(11)에 장착하는 코킹 공정(S7 단계)에서 반제품(31)이 어긋나는 경우, 제1 및 제2 만곡부(35, 37)의 내주면(31c)과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외주면 사이에 필요에 따라 미끄럼 방지재 Co를 개재시키는 미끄럼 방지재 부착 공정을 미리 수행하여 어긋남을 방지하는 능력을 향상시킨다(S3 단계). 예를 들면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외주면에 대향하는 반제품(31)의 내주면(31c)에 형성된 널링 패턴(38a)에 알루미나 분말 등으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방지재 Co를 부착시킨다.
또한, 미끄럼 방지재 부착 공정(S3 단계)은 코킹 공정(S7 단계)에서 반제품(31)의 위치가 어긋나지 않는 경우에는 불필요하다. 미끄럼 방지재 부착 공정(S3 단계)이 불필요한 경우, 반제품(31)의 제1 만곡부 세팅 공정(S2 단계)으로부터 스태빌라이저 바 세팅 공정(S4 단계)으로 진행한다.
<스태빌라이저 바 세팅 공정>
스태빌라이저 바 세팅 공정(S4 단계)에서는, 이동규제부재(23) (도 1 참조)의 반제품(31) 중 제1 만곡부(35)를 제1 금형(61)의 캐비티(61a)에 세팅한 상태로, 제1 및 제2 결합부(41, 51) 사이의 틈 L1(도 3 참조)을 통해 제1 만곡부(35)의 내주면(31c)에 스태빌라이저 바(11)를 세팅한다.
<스태빌라이저 바 가압 공정>
이어서, 반제품(31)을 아래쪽의 제1 금형(61)에 세팅하고 코킹 가공하기 전에, 도 7에 나타낸 것처럼 어긋남 방지수단(65)의 가스 스프링(65a)에 의해 반제품(31)을 개재한 상태에서 스태빌라이저 바(11)를 제1 금형(61)의 제1 만곡부(35)로 가압함으로써, 반제품(31)을 제1 금형(61)에 세팅한 소정 위치에 단단히 밀어붙여 움직이지 않도록 유지시킨다(S5 단계).
이 때문에, 반제품(31)을 코킹 가공하여 스태빌라이저 바(11)에 장착할 때, 스태빌라이저 바(11)가 반제품(31)을 개재하고 제1 금형(61)으로 밀림으로써, 반제품(31)이 스태빌라이저 바(11)에 위치가 어긋난 상태로 코킹되는 것을 방지하고 불량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반제품(31)을 스태빌라이저 바(11)에 소정의 상태로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제2 만곡부 세팅 공정>
이어서, 제2 금형(63)에 이동규제부재(23)(도 1 참조)의 반제품(31) 중 제2 만곡부(37)를 세팅하는, 반제품(31)의 제2 만곡부 세팅 공정(S6 단계)을 수행한다. 이로써, 이동규제부재(23)의 반제품(31)을 스태빌라이저 바(11)에 장착하기 전의 세팅 공정이 완료된다.
<코킹 공정>
이어서, 제1 금형(61)과 제2 금형(63) 사이에 이동규제부재(23)의 반제품(31)을 세팅한 상태로 고정 측인 제1 금형(61)에 대하여 가동 측인 제2 금형(63)을 승강 장치에 의해 수직으로 하강시키고 압박하여, 제2 만곡부(37)를 구부려 클린칭하는 코킹 공정을 수행한다(S7 단계). 즉, 브릿지부(33) 및 제1 및 제2 만곡부(35, 37)의 내주면(31c)을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외주면에 감기도록 압접함과 동시에, 제1 및 제2 결합부(41, 51) 사이를 맞물리게 하는 코킹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반제품(31)을 스태빌라이저 바(11)에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코킹 가공을 실시하는 코킹 공정(S7 단계)에서는, 제1 및 제2 결합부(41, 51)가 서로 대향한 상태(도 14 참조)로 코킹 가공의 미는 힘이 가해지면, 먼저 팽출부(43)가 수용부(53)에 수용됨과 동시에 제1 및 제2 융기부(57a, 57b)가 제1 및 제2 수부(45a, 45b)의 제1 및 제2 안내면(48a, 48b)에 각각 접하게 된다(도 15 참조).
이후, 제1 및 제2 융기부(57a, 57b)가 제1 및 제2 어깨부(46a, 46b)에 이어지는 제1 및 제2 안내면(48a, 48b)으로 가압되어, 제1 결합부(41)의 폭 방향 내측을 향해 움푹한 부분(44)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안내면(48a, 48b)에 의해 구획되는 오목한 공간을 메우도록 소성 변형(도 16 참조)한다. 그 결과, 오목한 공간은 소성 변형된 제1 및 제2 융기부(57a, 57b)로 충전됨으로써 이 오목한 공간이 빈틈없이 메워지게 된다. 상기 공정을 거쳐 이동규제부재(23)의 반제품(31)이 완성품(69)(도 18 및 도 19 참조)이 되어 스태빌라이저 바(11)에 확실하게 장착된다.
또한, 코킹 공정(S7 단계)에서는, 제1 및 제2 결합부(41, 51) 사이의 맞물림 부분(67)을 제1 및 제2 금형(61, 63)의 경계 부분 부근에 위치시킨 상태로, 이 제1 및 제2 금형(61, 63) 사이에 돌기 형성용 틈 L12(도 18 참조)를 유지하면서 이동규제부재(23)의 반제품(31)을 압박함으로써, 맞물림 부분(67)의 외벽에 반제품(31)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돌기부(68)가 형성된다(도 18 및 도 19 참조). 또한, 돌기부(68)의 돌기는 전후 좌우 방향을 향해 3~5[mm] 정도의 크기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맞물림 부분(67)의 소성 변형이 진행된 결과, 제1 및 제2 결합부(41, 51) 사이의 맞물리는 힘을 더욱 강고히 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낸 것처럼 코킹 공정(S7 단계)에서 반제품(31)을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외주면에 코킹 가공하여 장착할 때, 이동규제부재(23)의 반제품(31)은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외주면과 대향하는 내주면(31c)에 널링 패턴(38a)이 형성되어 있다.
널링 패턴(38a)은, 30~700[㎛]의 요부 혹은 철부에 의해 형성되므로 요부 또는 철부가 코킹 시의 압박력에 의해 적절한 크기로 뭉개어져,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외주면과의 밀착 부분에서의 마찰 저항이 증가하는 요부 및 철부의 앵커 효과에 의해, 반제품(31)의 내주면(31c)과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외주면의 달라붙는 성질이 향상된다. 이 때문에, 반제품(31)과 스태빌라이저 바(11)는 서로 단단히 고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미끄럼 방지재 부착 공정(S3 단계)을 수행한 경우, 반제품(31)의 내주면(31c)과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외주면 사이에는 널링 패턴(38a) 및 알루미나 분말 등의 미끄럼 방지재 Co가 상대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코킹 공정(S7)을 수행할 때 미끄럼 방지부(38)의 요부 및 철부는 반제품(31)의 내주면(31c)과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외주면 사이에 개재된 도막으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방지재 Co에 압착되기 때문에, 미세 끼워 맞춤 구조가 형성되므로 반제품(31) 및 스태빌라이저 바(11)는 서로 고정되므로 단단히 고착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것처럼 이동규제부재(23)의 반제품(31)을 제1 금형(61)과 제2 금형(63)을 이용하여 코킹 가공하여 스태빌라이저 바(11)에 장착하는 경우, 반제품(31)을 제1 금형(61)에 세팅하여 코킹 가공할 때, 제1 금형(61)의 캐비티(61a)에 세팅된 이동규제부재(23)의 제1 만곡부(35)의 내주면(31c)(도 7 참조)에 놓여진 스태빌라이저 바(11)는 가스 스프링(65a)으로 이루어지는 어긋남 방지수단(65)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반제품(31)을 개재하여 제1 금형(61)의 제1 만곡부(35)로 밀려지게 된다.
따라서, 단조용 금형 장치(60)는 어긋남 방지수단(65)에 의해 반제품(31)을 개재한 상태로 제1 금형(61)의 제1 만곡부(35)로 밀어붙일 수 있으므로, 반제품(31)을 세팅한 소정 위치로 확실히 밀어붙여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이렇듯, 본 발명의 이동규제부재(23)의 반제품(31)은 도 7에 나타낸 제1 및 제2 금형(61, 63)으로 코킹하여 스태빌라이저 바(11)에 장착할 때 미끄럼 방지부(38)의 널링 패턴(38a), 알루미나 분말 등으로 구성된 미끄럼 방지재 Co, 및 어긋남 방지수단(65)에 의해 반제품(31)을 스태빌라이저 바(11)에 위치 어긋남 없이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스태빌라이저 바(11)와 반제품(31)이 어긋나게 코킹되는 것을 방지하고 불량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반제품(31)이 스태빌라이저 바(11)를 소정의 감싸는 상태로 클린칭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반제품(31)의 외면(31b) 측을 기준으로 하는 외측 치수 결정의 경우,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것처럼 제1 금형(61)을 고정하는 제1 다이 홀더(62)를 반제품(31)의 외면(31b)이 소정의 외측 치수 결정 위치가 되도록 반 회전시킨 후에 체결구(83)를 조임으로써, 고정 블록(82)으로 제1 다이 홀더(62)를 지그(80)의 지그 본체(81)에 고정한다.
이렇듯, 본 발명의 단조용 금형 장치(60)는 제1 다이 홀더(62) 및 제1 금형(61)을 외측 치수 결정 위치 상태로 회동시키고 지그(80)로 제1 다이 홀더(62)를 고정함으로써, 반제품(31)의 외면(31b)을 기준으로 하여 스태빌라이저 바(11)에 장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단조용 금형 장치(60)는 반제품(31)을 스태빌라이저 바(11)에 장착할 때 제1 다이 홀더(62)를 회동시키고 지그(80)로 내측 치수 결정 위치 또는 외측 치수 결정 위치에 고정함으로써, 하나의 지그(80)로 반제품(31)을 두 가지 타입의 장착 기준 상태로 용이하게 배치 변환시켜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변형예]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그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경이 가능하며, 본 발명이 이들 개조 및 변경된 발명에도 미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이미 설명된 구성은 같은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0은 이동규제부재의 반제품 구조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확대 측면도, (b)는 반제품의 요철부를 나타내는 주요부 개략 확대 사시도이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이동규제부재(23)의 반제품(31)의 일례로서,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제1 만곡부(35)와 제2 만곡부(37) 사이의 브릿지부(33)가 평평한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 C자 형상의 반제품(31)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반제품(31)은 이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반제품(31)은 도 20의 (a), (b)에 나타낸 반제품(31A)과 같이 브릿지부(33A)의 중심선 O1-O2 방향으로 원호 형상으로 부풀어 오르도록 구부린 팽출부(34)를 형성한 것일 수도 있다.
이렇듯, 반제품(31A)의 브릿지부(33A)에 팽출부(34)를 형성함으로써, 제2 만곡부(37)를 제2 금형(63)(도 7 참조)으로 가압하여 스태빌라이저 바(11)에 클린칭할 때, 제2 만곡부(37)가 구부러질 때 브릿지부(33A)의 팽출부(34)에 이 팽출부(34)가 부풀어오른 방향과는 반대 방향의 힘이 가해진다. 그 힘에 의해 팽출부(34)는 패여 있는 방향(팽출부(34)가 부풀어오른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구부러져, 단면을 보면 원형의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외주면을 따른 매끄러운 형상으로 구부림 가공된다. 이 때문에, 팽출부(34)는 제1 금형(61) 및 제2 금형(63)으로 반제품(31A)을 코킹 가공했을 때, 브릿지부(33A)가 일그러지지 않고 매끄럽게 가공되어 브릿지부(33A)의 직선성(평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반제품(31A)의 제1 변형예는, 이렇듯 브릿지부(33A)에 팽출부(34)를 형성함으로써 제2 만곡부(37)를 제2 금형(63)(도 7 참조)으로 구부림 가공했을 때의 일그러짐이 해소되어, 항상 브릿지부(33A)를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외주면을 따르는 형상으로 구부림 가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어긋남 방지수단(65)(도 7 또는 도 8 참조)은 도 20(a), (b)에 나타낸 것처럼 반제품(31A)의 브릿지부(33A)의 외주면(31d)에 형성되어 제1 및 제2 금형(61, 63)에 대한 미끄럼을 방지하는 요철부(65Aa)로 이루어지는 어긋남 방지수단(65A)이어도 상관없다.
이 경우, 요철부(65Aa)는 상기 널링 패턴(38a) 등과 같이 비교적 작은 요부 및 철부를 다수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미끄럼 방지로 이루어지며, 그 크기 및 형상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요철부(65Aa)는 미끄럼 방지 기능이 있다면 문자나 마크 등으로 이루어지는 각인으로 형성한 요철, 홈 형상, 선 형성, 혹은 망 형상의 요철, 혹은 그 부위의 두께를 변화시킨 철부 혹은 요부일 수도 있다.
요철부(65Aa)는 각인의 경우에는 그 높이가 0.5[mm] 정도이고, 또한 요철부(65Aa)는 코킹 가공했을 때 뭉개어져 사라진다.
이 경우, 요철부(65Aa)는 높이 H가 0.5[mm] 정도이며, 브릿지부(33A)의 길이 방향의 길이 S1이 10[mm] 정도이다. 이 때문에 요철부(65Aa)의 높이 H와 길이 S1의 비율은,
0.5/10=0.05
이다.
브릿지부(33A)의 팽출부(34)의 높이 Δt는 요철부(65Aa)의 높이 H와 길이 S1의 비율과 같으며, 팽출부(34)의 길이 S의 5% 이하이면 된다. 즉,
Δt/S≤0.05
이다.
또한, 반제품(31A)에 있어서, 요철부(65Aa)는 반제품(31A)을 제1 및 제2 금형(61, 63)(도 7 참조)으로 고정하고 스태빌라이저 바(11)에 코킹 고정할 때, 반제품(31A)이 제1 및 제2 금형(61, 63)(도 7 참조)에 대하여 미끄러지는 경우에 마련해 둔다. 이 때문에, 요철부(65Aa)는 반제품(31A)가 제1 및 제2 금형(61, 63)(도 7 참조)에 대하여 미끄러지지 않는 경우에는 없어도 상관없다.
[제2 변형예]
도 21은 단조용 금형 장치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을 가지는 주요부 개략 측면도이다.
상기 제1 변형예에서 설명한 어긋남 방지수단(65A)의 요철부(65Aa)는 도 20(a), (b)에 나타낸 것처럼 반제품(31A)의 브릿지부(33A)의 외주면(31d)에 형성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21에 나타낸 단조용 금형 장치(60B)(반제품 장착 장치)의 어긋남 방지수단(65B)과 같이, 반제품(31B)의 외주면(31Bd)과 이 반제품(31B)의 외주면(31Bd)에 대향하는 제1 금형(61B)의 캐비티(61Ba) 중 적어도 한쪽에 형성한 요철부(65Ba, 65Bb)여도 상관없다.
이렇듯, 반제품(31B)의 외주면(31Bd)에 요철부(65Ba)를 형성하거나 제1 금형(61B)의 캐비티(61Ba)에 요철부(65Bb)를 형성하는 등, 반제품(31B)과 제1 금형(61B) 사이의 마찰 저항을 확대시켜 반제품(31B)이 제1 금형(61B)에 대하여 미끄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도 있다.
[제3 변형예]
도 22는 단조용 금형 장치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을 가지는 주요부 개략 측면도이고, 도 23은 단조용 금형 장치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을 가지는 주요부 개략 정면도이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도 10에 나타낸 것처럼 단조용 금형 장치(60)의 어긋남 방지수단(65)의 일례로서 스태빌라이저 바(11) 및 반제품(31)을 개재하여 제1 금형(61)을 아래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스 스프링(65a)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가압하는 것과는 반대로,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낸 것처럼, 단조용 금형 장치(60C)(반제품 장착 장치)의 어긋남 방지수단(65C)과 같이 반제품(31)을 제1 금형(61C) 측으로 흡인함으로써 반제품(31)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하는 흡인 장치(65Ca)여도 상관없다. 어긋남 방지수단(65C)의 흡인 장치(65Ca)는 예를 들면 공기로 반제품(31)을 흡인하는 흡반(65Cb)을 구비할 수 있으며, 어긋남 방지수단(65C)은 이렇게 하여도 흡반(65Cb)에 의해 반제품(31)을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흡인 장치(65Ca)는 하단부의 외주로부터 상단 측을 향해 넓어지도록 형성된 흡반(65Cb), 흡반(65Cb)의 기단부에 마련된 흡인 패드 본체(65Cc), 흡인 패드 본체(65Cc)에 구비되는 작동 암(65Cd), 흡반(65Cb) 내의 공기를 흡인하는 공기 부압 발생원(미도시), 및 일단이 흡반(65Cb) 내에 연통하도록 흡인 패드 본체(65Cc)에 마련되고 타단이 공기 부압 발생원에 접속된 배관(65Ce)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흡반(65Cb)은 위쪽 개구단으로부터 역 스커트 형상으로 확개되어 형성된 아래쪽 개구단이 공기 부압 발생원(미도시)의 흡인력에 의해 반제품(31)을 제1 금형(61C) 방향으로 흡인했을 때, 반제품(31)의 제1 만곡부(35)의 외주면(31d)에 접하게 된다. 흡반(65Cb)은 고무제, 합성 수지제 혹은 금속제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작동 암(65Cd)은 상기 작동 암(65Cd)의 선단에 마련된 흡인 패드 본체(65Cc)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기에 마련된 암부이다. 작동 암(65Cd) 및 배관(65Ce)은, 예를 들면 제1 금형(61C) 및 제1 다이 홀더(62)를 관통하고 그 외부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공기 부압 발생원 및 승강기에 연결되어 있다.
공기 부압 발생원은 예컨대 진공 펌프나 에어 컴프레서 등으로 이루어진다.
어긋남 방지수단(65C)은, 이렇게 구성하여도 제1 금형(61C)에 세팅된 반제품(31)을 흡인 장치(65Ca)로 흡인하고 반제품(31)의 제1 만곡부(35)의 외주면(31d)을 제1 금형(61C)의 캐비티(61Ca)로 밀어붙임으로써, 반제품(31)이 코킹 가공 시에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4 변형예]
도 24는 단조용 금형 장치의 제4 변형예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을 가지는 주요부 개략 측면도이고, 도 25는 단조용 금형 장치의 제4 변형예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을 가지는 주요부 개략 정면도이다.
상기 제3 변형예에서는,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낸 것처럼 반제품(31)을 흡인 장치(65Ca)로 제1 금형(61C) 측으로 흡인하여 붙이는 어긋남 방지수단(65C)을 설명하였으나, 도 24 및 도 25에 나타낸 제4 변형예의 어긋남 방지수단(65D)의 흡인 장치(65Da)와 같이, 스태빌라이저 바(11)를 반제품(31)을 개재한 상태에서 제1 금형(61) 측으로 흡인하여 반제품(31)의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억제하여도 상관없다.
이 경우, 단조용 금형 장치(60D)(반제품 장착 장치)의 어긋남 방지수단(65D)은 흡인 장치(65Da)의 부압 공기로 스태빌라이저 바(11)를 흡인하는 흡반(65Db)을 구비하고 있다. 어긋남 방지 장치(65D)는 이렇듯 반제품(31)을 간접적으로 흡반(65Db)에 의해 제1 금형(61) 측으로 흡인하여도 반제품(31)의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제4 변형예의 흡인 장치(65Da)는 제3 변형예의 흡인 장치(65Ca)와 마찬가지로 스태빌라이저 바(11)에 접하도록 하는 흡반(65Db), 흡인 패드 본체(65Dc), 흡인 패드 본체(65Dc)를 승강시키는 작동 암(65Dd), 부압 공기를 생성하는 공기 부압 발생원 및 흡반(65Db) 내로 부압 공기를 공급하는 배관(65De)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기타 변형예]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도 2 혹은 도 7에 나타낸 것처럼 제1 만곡부(35)의 내주면(31c)에 스태빌라이저 바(11)를 놓아둔 상태로 제1 금형(61)과 제2 금형(63)을 이용하여 브릿지부(33) 및 제1 및 제2 만곡부(35, 37)의 내주면(31c)을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외주면에 압접하여 코킹 가공되는 반제품(31)의 내주면(31c)에 미끄럼 방지부(38)를 형성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미끄럼 방지부(38)는 반제품(31)의 내주면(31c)과 내주면(31c)에 대향하는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외주면(31d)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즉, 미끄럼 방지부(38)는 반제품(31)의 내주면(31c)에 대향하는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외주면에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미끄럼 방지재 Co는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외주면에 반제품(31)의 내주면(31c)과의 사이의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반제품(31)의 내주면(31c)에 마련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미끄럼 방지재 Co는 반제품(31)이 장착되는 스태빌라이저 바(11)의 외주면에 부착시킨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미끄럼 방지부(38)의 일례로서 널링 패턴(38a)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미끄럼 방지부(38)는 숏 피닝(shot peening) 처리를 통하여 형성된 30~700[㎛] 오목한 요부, 또는 30~700[㎛] 돌출한 철부일 수도 있으며, 이렇게 형성하여도 스태빌라이저 바(11)와 반제품(31) 사이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만곡부(35)의 단부에 제1 결합부(41)를 구비하는 한편, 제2 만곡부(37)의 단부에 제2 결합부(51)를 구비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와는 반대로 제1 만곡부(35)의 단부에 제2 결합부(51)를 구비하고 제2 만곡부(37)의 단부에 제1 결합부(41)를 구비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금형(61)을 고정 측의 하형으로 하고 제2 금형(63)을 가동 측의 상형으로 하는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와는 반대로 제1 금형(61)을 가동 측의 상형으로 하고 제2 금형(63)을 고정 측의 하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제1 및 제2 금형(61, 63) 양자를 동시에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방식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 및 제1~제4 변형예에서는 이동규제부재(23)의 반제품(31, 31A, 31B)을 스태빌라이저 바(11)에 장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반제품(31, 31A, 31B)이 장착되는 부재는 단면도에서 원형인 것이면 되며, 봉재여도 상관없다. 또한, 단조용 금형 장치(60, 60B, 60C, 60D)(반제품 장착 장치)도 이와 마찬가지로 봉재에 대한 반제품(31, 31A, 31B)의 장착 장치일 수도 있다.
11 스태빌라이저 바(봉재)
23 이동규제부재
31, 31A, 31B 반제품
31a 내면
31b 외면
31c 내주면
31d, 31Bd 반제품의 외주면
32 제작 중 제품
33, 33A 브릿지부
35 제1 만곡부(맞물림 철부)
37 제2 만곡부(맞물림 철부)
38 미끄럼 방지부
38a 널링 패턴
41 제1 결합부
51 제2 결합부
60, 60B, 60C, 60D 단조용 금형 장치(반제품 장착 장치)
61, 61B, 61C 제1 금형
61a, 61Ba, 61Ca 캐비티(제1 맞물림 요부)
62 제1 다이 홀더
63 제2 금형
63a 캐비티
65, 65A, 65B, 65C, 65D 어긋남 방지수단
65Aa, 65Ba 요철부
65Bb 요철부(요철)
65Ca, 65Da 흡인 장치
65Cb, 65Db 흡반
80 지그
a 브릿지부의 내면 측 직선 부위에서의 치수의 하한 정수
b 브릿지부의 내면 측 직선 부위에서의 치수의 상한 정수
Co 미끄럼 방지재
D 스태빌라이저 바의 직경
L1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 사이의 치수
L2 제작 중 제품의 길이 치수
O1 제1 만곡부의 중심
O1-O2 중심선
O2 제2 만곡부의 중심
S 브릿지부의 내면 측의 직선 부위의 치수
Sa 브릿지부의 내면 측의 직선 부위에서의 치수의 하한
Sb 브릿지부의 내면 측의 직선 부위에서의 치수의 상한
T 이동규제부재의 원재료의 판 두께

Claims (16)

  1.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바에 장착되는 이동규제부재의 반제품에 있어서,
    상기 반제품은, 평면 형상의 브릿지부, 상기 브릿지부의 일단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제1 만곡부, 및 상기 브릿지부의 타단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제2 만곡부를 가지면서 전체적으로 C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만곡부는 단부에 제1 결합부를 가지는 한편,
    상기 제2 만곡부는 단부에 상기 제1 결합부와 맞물리는 제2 결합부를 가지고,
    상기 제1 만곡부의 내주면에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를 위치한 상태에서, 제1 금형과 제2 금형을 이용하여 상기 브릿지부와 상기 제1 만곡부 및 상기 제2 만곡부의 내주면을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외주면에 압접시키도록 하여 코킹 가공하는 상기 반제품의 내주면에는 미끄럼 방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미끄럼 방지부는, 상기 반제품을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에 장착할 때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미끄럼 방지재와 압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규제부재의 반제품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부는, 30~700[㎛] 오목한 요부, 또는 30~700[㎛] 돌출한 철부에 의해 형성되는 널링 패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미끄럼 방지재는, 도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규제부재의 반제품의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부는, 30~700[㎛] 오목한 요부, 또는 30~700[㎛] 돌출한 철부가 숏 피닝 처리를 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규제부재의 반제품의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부는, 알루미나로 이루어지는 분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규제부재의 반제품의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에 장착되기 전의 상기 C자 형상의 상기 반제품은, 상기 C자 형상으로 형성하기 전의 제작 중 제품의 길이 치수를 L2[mm], 상기 브릿지부의 내면 측의 직선 부위의 치수를 S[mm]라 하면, 상기 S는, 이동규제부재의 원재료의 판 두께 T가 5[mm] 이상 10[mm] 미만인 반제품의 경우에는,
    L2×0.18-2≤S≤L2×0.18+2
    로 설정되고, 상기 판 두께 T가 3[mm] 이상 5[mm] 미만인 반제품의 경우에는,
    L2×0.18-1≤S≤L2×0.18+3
    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규제부재의 반제품의 구조.
  6. 봉재에 장착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이동규제부재의 반제품을 제1 금형과 제2 금형을 이용하여 코킹 가공하여 상기 봉재에 장착하는, 봉재에 대한 반제품의 장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규제부재의 반제품을 아래쪽에 배치된 상기 제1 금형에 세팅하여 상기 봉재에 코킹 가공할 때, 상기 제1 금형의 캐비티에 세팅된 상기 반제품이 상기 제1 금형에 대하여 미끄러져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는 어긋남 방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재에 대한 반제품의 장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어긋남 방지수단은, 상기 제1 금형에 세팅된 상기 반제품으로부터 연장된 상기 봉재를 상기 반제품을 개재하여 상기 제1 금형의 상기 제1 만곡부로 밀어붙이는 가스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재에 대한 반제품의 장착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어긋남 방지수단은, 상기 제1 금형에 세팅된 상기 반제품으로부터 연장된 상기 봉재 또는 상기 제1 금형에 세팅된 상기 반제품 중 어느 것을 흡인하여, 상기 반제품을 상기 제1 금형의 상기 제1 만곡부로 밀어붙이는 흡반을 구비한 흡인 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재에 대한 반제품의 장착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어긋남 방지수단은, 상기 반제품의 상기 제1 만곡부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금형에 대한 미끄럼을 방지하는 요철부와, 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금형의 요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재에 대한 반제품의 장착 장치.
  10.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반제품의 장착 장치는, 상기 제1 금형을 고정하는 제1 다이 홀더 및
    상기 제1 다이 홀더를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지그를 구비하고,
    상기 지그는, 상기 반제품을 상기 제1 금형 및 상기 제2 금형으로 가압하여 코킹 가공할 때,
    상기 봉재의 좌우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상기 반제품의 대향하는 내면 측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금형을 고정하는 내측 치수 결정 위치에 상기 제1 다이 홀더를 회동시켜 고정하고,
    좌우의 상기 반제품의 외면 측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금형을 고정하는 외측 치수 결정 위치에 상기 제1 다이 홀더를 회동시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재에 대한 반제품의 장착 장치.
  11. 봉재에 이동규제부재의 반제품을 장착하는 봉재와 이동규제부재의 반제품의 장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반제품은, 평면 형상의 브릿지부, 상기 브릿지부의 일단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제1 만곡부, 및 상기 브릿지부의 타단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제2 만곡부를 가지면서 전체적으로 C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만곡부는, 단부에 제1 결합부를 가지는 한편,
    상기 제2 만곡부는, 단부에 상기 제1 결합부와 맞물리는 제2 결합부를 가지고,
    상기 제1 만곡부의 내주면에 상기 봉재를 위치한 상태에서, 제1 금형과 제2 금형을 이용하여, 상기 브릿지부와 상기 제1 만곡부 및 상기 제2 만곡부의 내주면을 상기 봉재의 외주면에 압접시키도록 하여 코킹 가공하는 상기 반제품의 내주면에는 미끄럼 방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미끄럼 방지부는, 상기 반제품을 상기 봉재에 장착할 때, 상기 봉재의 외주면에 구비된 미끄럼 방지재와 압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재와 이동규제부재의 반제품의 장착 구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부는, 30~700[㎛] 오목한 요부, 혹은 30~700[㎛] 돌출한 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미끄럼 방지재는 막 두께가 30~40[㎛]의 도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재와 이동규제부재의 반제품의 장착 구조.
  13. 청구항 1에 기재된 상기 이동규제부재의 반제품을 제1 금형과 제2 금형을 이용하여 코킹 가공하여 스태빌라이저 바에 장착하는 이동규제부재의 반제품의 장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규제부재의 반제품을 아래쪽에 배치된 상기 제1 금형에 세팅하고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에 코킹 가공하여 장착할 때, 상기 제1 금형의 캐비티에 세팅된 상기 반제품은, 상기 제1 금형에 대하여 미끄러져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어긋남 방지수단에 의해 억제되면서 코킹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규제부재의 반제품의 장착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형에는, 상기 반제품에 형성된 제1 만곡부에 맞물리는 제1 맞물림 요부가 형성되고,
    상기 반제품을 상기 제1 금형의 상기 제1 맞물림 요부에 세팅하고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에 코킹 가공하여 장착할 때, 상기 제1 만곡부에 맞물리게 한 상기 제1 맞물림 요부에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를 세팅한 후,
    상기 반제품으로부터 연장된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를 가스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어긋남 방지수단에 의해 상기 제1 금형 측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반제품을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에 코킹 가공하여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규제부재의 반제품의 장착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형에는, 상기 반제품에 형성된 상기 제1 만곡부에 맞물리는 제1 맞물림 요부가 형성되고,
    상기 반제품을 상기 제1 금형의 상기 제1 맞물림 요부에 세팅하고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에 코킹 가공하여 장착할 때, 상기 제1 만곡부에 맞물리게 한 상기 제1 맞물림 요부에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를 세팅한 후,
    상기 반제품으로부터 연장된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 또는 상기 제1 금형에 세팅된 상기 반제품 중 어느 것을 흡반을 구비한 흡인 장치로 이루어지는 상기 어긋남 방지수단에 의해 상기 제1 금형 측으로 흡인하여, 상기 반제품을 상기 제1 금형의 상기 제1 만곡부로 밀어붙이면서 상기 반제품을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에 코킹 가공하여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규제부재의 반제품의 장착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형을 제1 다이 홀더로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다이 홀더를 지그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고,
    상기 반제품을 상기 제1 금형 및 상기 제2 금형으로 가압하여 코킹 가공하여 스태빌라이저 바에 장착할 때,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좌우에 각각 장착되는 상기 반제품의 대향하는 내면 측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에는, 상기 지그에 의해 상기 제1 금형을 고정하는 내측 치수 결정 위치에 상기 제1 다이 홀더를 회동시켜 고정하고,
    상기 좌우의 반제품의 외면 측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에는, 상기 지그에 의해 상기 제1 금형을 고정하는 외측 치수 결정 위치에 상기 제1 다이 홀더를 회동시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규제부재의 반제품의 장착 방법.

KR1020167022397A 2014-02-18 2014-12-08 이동규제부재의 반제품의 구조, 봉재에 반제품을 장착하는 장치, 봉재에 반제품을 장착하는 구조 및 장착 방법 KR201601283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28712 2014-02-18
JP2014028712A JP6343153B2 (ja) 2014-02-18 2014-02-18 棒材と移動規制部材の半製品との取付構造
PCT/JP2014/082453 WO2015125381A1 (ja) 2014-02-18 2014-12-08 移動規制部材の半製品の構造及び棒材への半製品の取付装置、棒材と半製品の取付構造並びに半製品の取付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307A true KR20160128307A (ko) 2016-11-07

Family

ID=53877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2397A KR20160128307A (ko) 2014-02-18 2014-12-08 이동규제부재의 반제품의 구조, 봉재에 반제품을 장착하는 장치, 봉재에 반제품을 장착하는 구조 및 장착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266029B2 (ko)
EP (1) EP3109072B1 (ko)
JP (1) JP6343153B2 (ko)
KR (1) KR20160128307A (ko)
CN (1) CN106061768B (ko)
BR (1) BR112016018822B1 (ko)
CA (1) CA2939797C (ko)
ES (1) ES2688027T3 (ko)
HU (1) HUE039929T2 (ko)
MX (1) MX2016010657A (ko)
WO (1) WO20151253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08549B2 (ja) 2017-03-16 2021-01-06 日本発條株式会社 車両用のスタビライザ及び該スタビライザの製造方法
CN112555300B (zh) * 2020-12-02 2022-07-12 陕西物科微达光学仪器有限公司 一种驱动多段配合式限制机构
CN115366602B (zh) * 2022-08-23 2024-03-08 襄阳长源东谷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双桥式l形梁空气悬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3026A (ja) 1998-04-23 2001-06-19 Yokohama Kiko Co Ltd 棒材のずれ防止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83918A (en) * 1940-05-02 1942-05-26 Cleveland Graphite Bronze Co Method of making bushings
FR2642487B1 (fr) * 1989-01-31 1991-05-10 Hutchinson Palier de barre de torsion
JPH0716731B2 (ja) * 1991-07-24 1995-03-01 トライ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被ヘミング材のクランプ装置
GB9200905D0 (en) 1992-01-16 1992-03-11 Tempered Spring Company The Li Method of moulding a non-metallic component onto a metal bar
JPH0565434U (ja) * 1992-01-31 1993-08-31 アイダ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プレス機械における加工品の位置決め装置
JPH11129121A (ja) 1997-10-30 1999-05-18 Kyocera Corp ワイヤ放電加工装置用案内部材
JPH11210713A (ja) * 1998-01-26 1999-08-03 Orihashi Seisakusho:Kk ずれ防止固定リング
JP3963592B2 (ja) * 1998-09-21 2007-08-22 横浜機工株式会社 棒材のずれ防止構造
WO1999054157A1 (en) 1998-04-23 1999-10-28 Nhk Spring Co., Ltd. Retaining arrangement for a rod member
JP2000334538A (ja) * 1999-05-27 2000-12-05 Daido Steel Co Ltd 大径点字鋲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金型
US20030111817A1 (en) * 2001-12-19 2003-06-19 Joseph Fader Band for anti-lateral movement of stabilizer bar
JP3934957B2 (ja) 2002-02-21 2007-06-20 日本発条株式会社 車両用スタビライザおよびその組付方法
US6893034B2 (en) * 2002-10-15 2005-05-17 Arvinmeritor Technology, Llc Stabilizer bar with bushings that remain fixed to the bar
JP4293781B2 (ja) * 2002-11-29 2009-07-08 アピックヤマダ株式会社 加工装置及び方法
FR2888166B1 (fr) 2005-07-08 2007-10-12 Allevard Rejna Autosuspensions Bague d'arret destinee a etre montee sur une barre stabilisatrice d'une suspension de vehicule automobile
JP2008265355A (ja) 2007-04-16 2008-11-06 Somic Ishikawa Inc 複合部材
JP5398192B2 (ja) 2008-07-29 2014-01-29 日本発條株式会社 スタビライ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01736763U (zh) 2010-06-21 2011-02-09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用于汽车的横向稳定杆
DE102010033036A1 (de) * 2010-08-02 2012-02-02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tabilisators mit Stabilisatorlager
JP5478472B2 (ja) * 2010-12-07 2014-04-23 日本発條株式会社 ブッシュ・ブラケット一体スタビライザーバー
JP5709665B2 (ja) * 2011-06-20 2015-04-30 日本発條株式会社 スタビリン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47553A (ko) * 2012-09-11 2015-05-04 닛폰 하츠죠 가부시키가이샤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 이동 규제 부재를 가지는 스태빌라이저 바, 및 이동 규제 부재의 반제품을 스태빌라이저에 바에 장착하는 방법
CN202782566U (zh) * 2012-09-11 2013-03-13 日本发条株式会社 限位圈坯料及带有限位圈的稳定杆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3026A (ja) 1998-04-23 2001-06-19 Yokohama Kiko Co Ltd 棒材のずれ防止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6018822B1 (pt) 2022-08-02
JP2015151083A (ja) 2015-08-24
HUE039929T2 (hu) 2019-02-28
WO2015125381A8 (ja) 2016-08-25
MX2016010657A (es) 2017-07-04
US10266029B2 (en) 2019-04-23
CN106061768A (zh) 2016-10-26
BR112016018822A2 (ko) 2017-08-15
CA2939797C (en) 2018-05-29
US20170050488A1 (en) 2017-02-23
CA2939797A1 (en) 2015-08-27
EP3109072A1 (en) 2016-12-28
EP3109072A4 (en) 2017-08-30
EP3109072B1 (en) 2018-08-22
ES2688027T3 (es) 2018-10-30
CN106061768B (zh) 2019-03-29
JP6343153B2 (ja) 2018-06-13
WO2015125381A1 (ja) 2015-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38721A2 (en) Negative-angle forming die
KR101550619B1 (ko) 프레스 장치
CA2446948A1 (en) Sequential forming device
KR20160128307A (ko) 이동규제부재의 반제품의 구조, 봉재에 반제품을 장착하는 장치, 봉재에 반제품을 장착하는 구조 및 장착 방법
JP2008062282A (ja) 精密打ち抜き型
KR101582916B1 (ko) 스프링백 방지를 위한 금형장치
WO2022067997A1 (zh) 一种保压校正机构及该保压校正机构的校正方法
EP1238722B1 (en) Negative-angle forming die
KR101537381B1 (ko) 스프링백 보정이 가능한 금형장치
CN214417461U (zh) 一种弧形工件冲压模具
KR101733168B1 (ko) 프레스용 금형장치
CN203459537U (zh) 一种具有改良定位结构的汽车零部件模具
WO2017168886A1 (ja) タイヤ加硫金型装置
JP2018094806A (ja) 熱成形自動化装置
JP6986493B2 (ja) 車両用パネルのローラーヘミング加工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加工方法
CN203370954U (zh) 一种浮动穿芯机构
US10786843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molded material, and said molded material
JP7309188B2 (ja) 金属板加工装置
JP2021062380A (ja) 金属板加工装置
CN216443276U (zh) 隐形眼镜印刷模具防滑组件
CN220346995U (zh) 一种机械垫片冲压成型装置
CN219052550U (zh) 一种冲压件的自动翻边结构
CN215199304U (zh) 钣金加工模具
CN214352008U (zh) 一种应用于装配线的油泵托盘定位结构
CN112719079B (zh) 一种用于校正高度与平面度的模具结构及其校正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064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225

Effective date: 2020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