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8235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8235A
KR20160128235A KR1020160050236A KR20160050236A KR20160128235A KR 20160128235 A KR20160128235 A KR 20160128235A KR 1020160050236 A KR1020160050236 A KR 1020160050236A KR 20160050236 A KR20160050236 A KR 20160050236A KR 20160128235 A KR20160128235 A KR 20160128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ntact
circuit board
cam
vi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0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9456B1 (ko
Inventor
요이치 사사키
마키야 키무라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ublication of KR20160128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8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9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9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55Pivoting lever comprising supplementary/additional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0Means for supporting coupling part when not engag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8Snap or like fastening comprising a pin snapping into a rec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5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83Linear camming means or pivoting lever for connectors for flexible or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flat or ribbon cables
    • H01R13/62994Lever acting on a connector mounted onto the flexible or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2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medicine and surg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다수의 접촉 패드가 제1 면에 배열되어 있는 회로 기판을 구비한 커넥터에서, 회로 기판의 접촉 패드가 형성되어 있는 제1 면의 위치 정밀도를 향상시킨다.
이 커넥터(10)는 하우징을 구성하는 프레임(11) 및 리테이너(14), 회로 기판(13), 및 캡(12)를 가진다. 회로 기판(13)의 도시하지 않은 하면(제1 면)에는 복수의 접촉 패드가 2차원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이 회로 기판(13)은 프레임(11)의 받침부(113)에 의해 하면(제1 면)이 지지되어 하면(제1 면)이 위치 결정되어 있다. 또한, 이 회로 기판(13)은 리테이너(14)에 의해 상면(제2 면)이 밀려서 회로 기판(13)이 프레임(11)의 받침부(113)에 밀려 닿은 상태로 고정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2차원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접촉 패드를 가지는 회로 기판을 구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의료 기기 등의 고기능 전자기기 중에는 매우 많은 채널의 신호를 송수신할 필요가 있는 기기가 있다. 이러한 기기에서는 다채널 신호의 송수신에 적합한 다채널 커넥터가 사용된다.
특허 문헌 1에는 이러한 다채널 커넥터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커넥터는 2차원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접촉 패드가 제1 면에 형성된 회로 기판을 구비한 커넥터이다. 이 회로 기판은 제1 면이 상대 커넥터를 향한 자세로, 하우징 표면에 상대 커넥터 측에서 고정되어 있다.
[특허문헌 1]특개 2001-351747호 공보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커넥터의 경우, 하우징에 고정된 회로 기판의 상대 커넥터로의 감합 방향의 위치적 기준은 하우징에 접하는 제2 면이다. 제 2면은 상대 커넥터 측을 향한 제1 면이 아니라 그 이면이다. 따라서 회로 기판의 두께의 차이나 휨 등에 의해 제1 면에 형성되어 있는 접촉 패드의 상대 커넥터에 대한 위치에 불균일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 위치에 불균일이 발생하면 상대 커넥터의 콘택트와의 접촉압 등에도 불균일 생기게 되어 접촉이 불안정해질 수 있다. 또한, 이 구조의 커넥터는 서로 다른 판두께의 회로 기판에는 대응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회로 기판의 접촉 패드가 형성되어 있는 제1 면의 위치 정밀도를 향상시킨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커넥터는, 상대 커넥터 측을 향한 제1 면에 상대 커넥터의 복수의 콘택트에 각각 접하는 복수의 접촉 패드가 2차원적으로 배열된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의 제1 면에 접하고, 상대 커넥터와의 감합 방향에 대해 제1 면을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를 가지는 하우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회로 기판의 접촉 패드가 형성된 제1 면을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를 하우징에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1 면의 위치 정밀도가 향상된다. 이에 따라 상대 커넥터의 콘택트에 안정적으로 접촉하는 커넥터를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커넥터에서 상기 하우징은 회로 기판의 상기 제1 면의 이면인 제 2면에 접하고, 회로 기판을 위치 결정부에 밀어서 닿게 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고정부를 구비하면 회로 기판의 제1 면이 위치 결정부에 밀려서 닿은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르면, 회로 기판의 접촉 패드가 형성되어 있는 제1 면의 위치 정밀도가 높은 커넥터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서로 감합하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감합 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감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커넥터의 상면 측(도 4의 (A)) 및 하면 측(도 4의 (B))을 나타낸 각각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제2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조립된 상태의 제2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감합하고, 레버가 회동 조작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A)와 그 부분 확대도(B)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레버를 회동 조작하기 전의 상태의 평면도(A), 일부를 절단하여 나타낸 부분 단면 평면도(B) 및 종단면도(C)이다.
도 9는 도 8의 (C)에 나타낸 원 D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레버를 도중까지 회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A)와 그 부분 확대도(B)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레버가 도중까지 회동한 상태의 평면도(A), 일부를 절단하여 나타낸 부분 단면 평면도(B) 및 종단면도(C)이다.
도 12는 도 11(C)에 나타낸 원 D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레버를 최종 위치까지 회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A)와 그 부분 확대도(B)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레버를 최종 위치까지 회동시킨 상태의 평면도(A), 일부를 절단하여 나타낸 부분 단면도 평면도(B) 및 종단면도(C)이다.
도 15는 도 14(C)에 나타낸 원 D부분의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서로 감합하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감합 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감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 나타낸 상태로 감합한 후, 제2 커넥터(20)에 구비되어 있는 레버(37)가 회동 조작된다.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제1 커넥터(10)는 금속제의 프레임(11) 상에 수지제의 큰 캡(12)이 장착된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캡(12) 내에 다수의 전선으로 이루어진 케이블(미도시)이 접속된다. 한편, 제2 커넥터(20)는 제1 커넥터(10)를 향한 측에 주위가 벽(201)으로 둘러싸여 오목한 형상의 감합부(202)를 가진다. 제2 커넥터(20)는 기기에 고정되어 접속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커넥터(10)는 제2 커넥터(20) 측을 향한 전단부분이 제2 커넥터(20)의 오목한 형상의 감합부(202)에 끼워지도록 감합된다.
여기서, 제1 커넥터(10)에는 제2 커넥터(20) 측을 향한 감합면에 2차원적으로 배열된 다수의 연결 패드(133)(도 4의 (B)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커넥터(10)가 제2 커넥터(20)에 감합되면 제1 커넥터(10)의 감합면은 제2 커넥터(20)의 감합면(251)에 거의 접한 상태로 대면한다. 제2 커넥터(20)의 감합면(251)은 주위가 벽(201)으로 둘러싸인 오목한 형상의 감합부(202)의 바닥면이다. 감합면(251)에는 다수의 구멍(25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감합면(251)의 다수의 구멍(252) 안에는 감합면(251)과 동일 면 또는 약간 묻힌 높이에 콘택트(후술함)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커넥터(10)를 제2 커넥터(20) 상에 도 2에 나타낸 상태가 되도록 감합시키고 레버(37)를 회동 조작한다. 그러면 이 회동 조작에 의해 제2 커넥터(20)의 감합면(251)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구멍(252)에서 콘택트가 돌출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커넥터(10)의 접촉 패드에 접촉한다. 하지만, 콘택트는 접촉 패드에 접촉하면 탄성 변형된다. 따라서 콘택트는 실제로는 구멍(252)에서 거의 돌출하지 않고 접촉 패드에 소정의 접촉압으로 접촉한 상태가 된다.
또한, 제1 커넥터(10)의 프레임(11)에는 제2 커넥터(20) 측의 외면에 복수의 잠금홈(11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잠금홈(111)은 프레임(11)의 제2 커넥터(20) 측의 단부로 개구되어 감합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111a)과 제1 부분(111a)의 안쪽에서 가로로 연장된 제2 부분(111b)을 가지는 L자형의 홈이다.
또한, 제2 커넥터(20)에도 벽(201)의 내측 부분에 복수의 잠금홈(271)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커넥터(20)의 잠금홈(271)도 감합 방향(오목한 부분의 안쪽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부분(271a)과 가로로 연장된 제2 부분(271b)을 가지며, 전체적으로 L자형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제2 부분(271b)은 제1 부분(271a)의 상단 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방(제1 커넥터(10) 측)으로 개구되어 있다. 또한, 제2 커넥터(20)는 잠금홈(271)을 통과하여 내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잠금 돌기부(264)를 가진다.
제1 커넥터(10)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커넥터(20)에 감합되면 제1 커넥터(10)의 잠금홈(111)과 제2 커넥터(20)의 잠금홈(271)이 서로 대향하여 L자형 통로가 형성된다. 그리고 레버(37)를 회동 조작하면 잠금 돌기부(264)가 L자형 통로 중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111b, 271b)에 의해 형성된 통로 부분을 가로로 이동한다. 그러면 이 잠금 돌기부(264)에 의해 제1 커넥터(10)가 제2 커넥터(20)에 이동 불가능하게 잠기게 된다.
또한, 제2 커넥터(20)의 베이스 하우징(22)의 내측 면에는 복수의 쉴드부재(31)가 그 둘레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커넥터(10)의 프레임(11) 및 제2 커넥터(20)의 베이스 하우징(22)은 금속제이다. 그리고 쉴드부재(31)는 베이스 하우징(22)에 접한 상태로 제2 커넥터(20)에 구비되어 있다. 제1 커넥터(10)가 제2 커넥터(20)에 감합되면 제2 커넥터(20)에 구비된 쉴드부재(31)가 제1 커넥터(10)의 프레임(11)의 쉴드접점부(112)에 접촉된다. 이에 따라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20)가 일체로 쉴드된다.
제1 커넥터(10)를 제2 커넥터(20)에 도 2에 나타낸 상태로 감합시키고 레버(37)를 회동 조작한다. 그러면 우선 잠금 돌기부(264)가 횡 방향으로 이동을 개시하여 제1 커넥터(10)를 잠근다. 이어서 제2 커넥터(20)의 감합면(251)의 구멍(252)에서 콘택트가 상승한다. 상승한 콘택트는 제2 커넥터(20)의 감합면(251)에 대면한 위치에 있는 제1 커넥터(10)의 감합면에 형성되어 있는 접촉 패드(133)에 밀려 닿게 된다.
또한, 제2 커넥터(20)의 감합면(251)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서 포스트핀(33)이 돌출되어 있다. 제1 커넥터(10)가 제2 커넥터(20)에 감합되면 이들 2개의 포스트핀(33)은 제1 커넥터(10)에 형성되어 있는 위치 결정 구멍(136)(도 3 참조)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이들 2개의 포스트핀(33)은 모두 감합면(251)의 폭 방향의 동일 측 쪽(도 1의 앞쪽)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커넥터(10)는 제2 커넥터(20)에 길이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는 감합할 수 없고 도 1, 도 2에 나타낸 방향으로만 감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우선 제1 커넥터(10)에 대해 상술한 후에 제2 커넥터(2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그 후에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20)의 감합 시의 동작에 대해 상술한다.
도 3은 제1 커넥터의 분해사시도이다.
제1 커넥터(10)는 도 1,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프레임(11)과 캡(12) 외에 회로 기판(13) 및 리테이너(1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1 커넥터(10)를 구성하는 각 부품은 4개의 짧은 나사(15)와 4개의 긴 나사(16)로 고정되어 있다.
프레임(11)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금속제이며, 그 외측면에 복수의 잠금홈(111)과 쉴드 접점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로 기판(13)에는 도 3에 나타낸 상면(131)과는 반대 방향(아래 방향)인 하면(132)(도 4의 (B) 참조)에 다수의 접촉 패드(133)가 2차원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2차원적]이라 함은, 접촉 패드(133)가 행렬 형태로 정렬되는 경우 이외에 인접한 행 또는 열이 서로 어긋나 있는 경우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 회로 기판(13)의 하면(132)이 제1 커넥터(10)의 제2 커넥터(20)로의 감합면이다.
또한, 이 회로 기판(13)은 그 좌우에 설부(134)가 돌출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프레임(11)에는 설부(134)가 재치되는 받침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로 기판(13)의 설부(134)에는 위치 결정 구멍(135, 136)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프레임(11)의 받침부(113)에는 위치 결정 핀(11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위치 결정 핀(114)은 프레임(11)의 좌우의 받침부(113)에 1개씩 총 2개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2개의 위치 결정 핀(114)은 폭 방향의 동일 측 쪽(도 3의 안 측 쪽)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11)에는 제2 커넥터(20)(도 1 참조) 측을 향한 하면 측에 큰 개구(115)가 형성되어 있다.
회로 기판(13)은 설부(134)가 프레임(11)의 받침부(113) 상에, 프레임(11)의 위치 결정 핀(114)이 회로 기판(13)의 위치 결정 구멍(135)에 삽입된 상태로 재치된다. 이에 따라 회로 기판(13)은 프레임(11)에 대해 위치 결정된다.
좌우의 설부(134)에는 각각 2개씩의 위치 결정 구멍(135,136)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프레임(11)의 받침부(113)에 형성되어 있는 위치 결정 핀(114)은 좌우의 각 받침부(113)에 1개씩이다. 이들 받침부(113)에 형성되어 있는 위치 결정 핀(114)은 좌우 2개씩의 위치 결정 구멍(135,136) 중 좌우 1개씩의 위치 결정 구멍(135)에 삽입됨으로써 프레임(11)에 대한 회로 기판(13)의 위치 결정을 행한다. 좌우 2개씩의 위치 결정 구멍(135,136) 중 나머지 1개씩의 위치 결정 구멍(136)에는 감합 시에 제2 커넥터(20)에 형성되어 있는 포스트핀(33)(도 1 참조)이 삽입된다.
여기서, 프레임(11)의 받침부(113)에는 회로 기판(13)의 접촉 패드(133)가 형성된 하면(132)(도 4의 (B) 참조)이 접하고, 이 하면(132)이 프레임(11)에 대해 위치 결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회로 기판(13)에 두께 편차 등이 있어도 회로 기판(13) 상의 접촉 패드(133)는 프레임(11)에 대해 항상 정확하게 위치 결정된다. 따라서, 제2 커넥터(20)의 콘택트를 제1 커넥터(10)의 회로 기판(13) 상의 접촉 패드(133)에 높은 정밀도로 조정된 접촉압으로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리테이너(14)는 프레임(11)에 의해 지지된 회로 기판(13)의 상면(131)에 접하고, 회로 기판(13)을 프레임(11)의 받침부(113)에 밀어서 닿게 한 상태로 고정한다. 이를 통해 회로 기판(13)은 프레임(11)의 받침부(113)에 확실하게 밀어서 닿은 상태로 고정된다.
짧은 나사(15)는 리테이너(14) 측에서 프레임(11)에 나사로 고정된다. 이에 따라 리테이너(14), 회로 기판(13) 및 프레임(11)이 일체로 고정된다. 또한 긴 나사(16)는 프레임(11) 측에서 삽입되어 캡(12)을 프레임(11)에 고정한다.
여기서, 리테이너(14)는 중앙 부분이 관통된 틀 형상의 부재이다. 회로 기판(13)의 상면(131)은 리테이너(14)의 중앙부분을 통하여 캡(12) 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또한 캡(12)은 위쪽으로 부풀어 오른 돔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캡(12)과 회로 기판(13)의 상면(131) 사이에는 넓은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공간에는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20)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조립체의 용도에 따라 필요한 회로부품 등이 수용된다. 여기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제1 커넥터의 상면 측(도 4의 (A)) 및 하면 측(도 4의 (B))을 나타낸 각각의 사시도이다.
도 1에는 캡(12)을 장착한 상태의 제1 커넥터(10)의 외관을 나타내었다. 이에 대해 도 4에는 캡(12)을 제거한 상태의 제1 커넥터를 나타내었다. 이하에서는 캡(12)을 제거한 상태의 제1 커넥터라도 제1 커넥터(10)라고 칭한다.
회로 기판(13)은 프레임(11)과 리테이너(14)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그리고 회로 기판(13)의 접촉 패드(133)가 형성되어 있는 하면(132)이 프레임(11)에 의해 높은 정밀도로 위치 결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프레임(11)과 리테이너(14)를 합한 구성이 하우징의 일례에 해당하고, 프레임(11)의 받침부(113)가 위치 결정부의 일례에 해당한다. 그리고 리테이너(14)가 하우징의 고정부의 일례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제2 커넥터(20)에 대하여 상술한다.
도 5는 제2 커넥터의 분해사시도이다.
제2 커넥터(20)는 큰 부품으로 콘택트 블록(21), 베이스 하우징(22), 슬라이더(23), 리프트 플레이트(24), 상부 하우징(25), 잠금 플레이트(26), 및 쉘(27)을 가진다.
콘택트 블록(21)은 복수개(여기에서는 12개)가 구비되어 있다. 각 콘택트 블록(21)에는 인서트 몰딩된 다수개의 콘택트(211)가 배열되어 있다.
베이스 하우징(22)은 평면으로 보면 거의 직사각형의 형상이며, 주위가 벽으로 둘러싸여서 중앙이 오목한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오목한 형상의 바닥면에는 12개의 긴 구멍(221)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긴 구멍(221)에는 각각의 콘택트 블록(21)이 이면측에서 압입되어 콘택트(211)가 긴 구멍(221)을 통과하여 베이스 하우징(22)의 내부에 배치된다.
또한, 베이스 하우징(22)의 오목한 부분에는 상방에서 슬라이더(23) 및 리프트 플레이트(24)가 배치되고, 그 위에 상부 하우징(25)이 배치된다. 슬라이더(23) 및 리프트 플레이트(24)에는 다수개의 콘택트(211)를 관통시키는 다수의 구멍(232, 24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하우징(25)에도 콘택트(211)을 관통시키는 다수의 구멍(252)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하우징(25)의 구멍(252)에는 콘택트(211)의 최상부가 들어가 있다. 하지만, 콘택트(211)에 힘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콘택트(211)의 최상부는 상부 하우징(25)의 구멍(252)에 들어가 있어서 상부 하우징(25)의 위쪽으로는 돌출되지 않는다.
슬라이더(23)는 길이 방향으로 튀어나온 돌출부(233)을 가지며, 이 돌출부(233)에 캠 구멍(234)이 형성되어 있다. 캠 구멍(234)에는 후술하는 캠부재(36)의 제2 캠(362)이 들어간다. 그리고 슬라이더(23)는 캠부재(36)가 회전함에 따라 길이 방향으로 밀려서 슬라이딩한다. 또한, 슬라이더(23)의 상면(231)(리프트 플레이트(24) 측의 면)은 볼록 형상의 캠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리프트 플레이트(24)는 슬라이더(23)에 겹쳐져서 넓어진다. 이 리프트 플레이트(24)의 하면(슬라이더(23) 측의 면)은 슬라이더(23)의 상면(231)의 볼록부(235)에 대응한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캠 수용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23)의 상면(231)의 볼록부(235)가 리프트 플레이트(24)의 하면(243)의 오목부(244)에 들어가 있다. 이 상태에서는 리프트 플레이트(24)는 내려간 위치에 있다. 그리고 캠부재(36)가 회전하면 제2 캠(362)의 작용에 의해 슬라이더(23)가 가로로 슬라이딩한다. 그러면 슬라이더(23)의 상면(231)의 볼록부(235)가 리프트 플레이트(24)의 하면(243)의 볼록부에 접하여 리프트 플레이트(24)를 들어올린다. 그리고 리프트 플레이트(24)는 다수개의 콘택트(211)를 동시에 들어올린다.
제1 커넥터(10)가 감합된 상태에서는, 제1 커넥터(10)를 구성하는 회로 기판(13)의 접촉 패드(133)가 형성되어 있는 하면인 감합면이 상부 하우징(25)의 상면인 감합면(251)에 겹치도록 배치된다. 이 때문에 제1 커넥터(10)가 감합된 상태에서는, 상부 하우징(25)에서 상방으로 돌출하려고 했던 콘택트(211)는 제1 커넥터(10)의 회로 기판(13)의 하면(132)의 접촉 패드(133)에 닿아서 탄성 변형한다. 이에 따라 접촉 패드(133)와 콘택트(211)가 소기의 접촉압으로 접촉된 상태가 된다.
또한, 상부 하우징(25)의 더 상방에는 잠금 플레이트(26)가 배치된다. 잠금 플레이트(26)는 큰 개구(261)의 주위를 둘러싸는 틀 형상을 가지며, 그 길이 방향으로 돌출부(262)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262)에는 캠부재(36)의 제1 캠(361)이 들어갈 위치에 캠 구멍(26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잠금 플레이트(26)에는 개구(261) 내측으로 돌출된 복수개(여기에서는 8개)의 잠금 돌기부(264)(도 1과 함께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쉘(27)은 잠금 플레이트(26)의 개구(261)에 들어가도록 배치된다. 이 때, 잠금 플레이트(26)의 잠금 돌기부(264)는 쉘(27)에 형성되어 있는 L자형 잠금홈(271)에 들어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커넥터(10)의 프레임(11)(도 1, 도3 참조)에도 L자형 잠금홈(11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커넥터(10)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합되면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20)의 양쪽의 잠금홈(111, 271)이 대향하여 겹쳐지며 거기에 L자형 통로가 형성된다. 잠금 플레이트(26)는 캠부재(36)가 회동하면 제1 캠(361)의 작용에 의해 가로 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그러면 잠금 돌기부(264)가 쌍방의 잠금홈(111, 271)으로 이루어진 L자형 통로 중 제2 부분(111b, 271b)으로 이루어진 가로 방향의 통로를 이동한다. 이에 의해 제1 커넥터(10)가 제2 커넥터(20)에 잠긴다.
또한, 제2 커넥터(2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개의 쉴드부재(31), 볼플런저(32), 2개의 포스트핀(33), 잠금 블록(34), 잠금 블록 스프링(35), 캠부재(36), 레버(37) 및 4개의 나사(38)를 가진다.
쉴드부재(31)는 베이스 하우징(22)에, 주위를 둘러싸는 벽(221)의 내벽면 측에 형성되어 있는 쉴드부재 배치부(222)에 대응하는 자세로 배치된다. 그리고 쉴드부재(31)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감합된 제1 커넥터(10)의 프레임(11)에 형성되어 있는 쉴드접점부(112)(도 1 참조)에 접한다. 이렇게 이들 쉴드부재(31)에 의해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20)가 일체로 쉴드된다.
또한, 볼플런저(32)는 베이스 하우징(22)의 구멍(223)에 삽입된다. 그리고 조립 후의 잠금 플레이트(26)의 돌출부(262)의 이면에 접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잠금 플레이트(26)는 캠부재(36)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딩한다. 잠금 플레이트(26)의 돌출부(262)의 이면에는 볼플런저(32)가 접하는 위치이며 잠금 플레이트(26)의 슬라이딩 시작점과 끝점의 2개소에 오목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볼플런저(32)는 잠금 플레이트(26)의 슬라이딩 시작점과 끝점의 2개소에서 잠금 플레이트(26)를 가볍게 잠그면서 후술하는 레버(37)를 회동 조작하는 사용자에게 클릭감을 부여한다.
또한, 2개의 포스트핀(33)은 베이스 하우징(22)의 바닥부의 2개의 구멍(224)에 각각 삽입되고, 나아가 쉘(27)에 형성되어 있는 2개의 구멍(272)(여기에서는 한 쪽의 구명(272)만을 도시)을 관통하여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커넥터(20)의 감합부(202)에서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들 2개의 포스트핀(33)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커넥터(10)의 회로 기판(13)의 위치 결정 구멍(136)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제1 커넥터(10)의 길이 방향의 반대방향의 감합이 방지된다.
잠금 블록(34) 및 잠금 블록 스프링(35)은 제1 커넥터(10)가 감합되지 않았을 때 캠부재(36)가 회전할 수 없도록 잠그고, 제1 커넥터(10)가 감합되면 잠금을 해제하는 부재이다.
잠금 블록(34) 및 잠금 블록 스프링(35)은 베이스 하우징(22) 상에 배치된다. 그리고 잠금 블록(34)은 잠금 블록 스프링(35)에 밀려서 제2 커넥터(20)의 오목한 형상의 감합부(202) 내로 그 선단부(341)가 돌출한 상태가 된다(도 6 참조). 이 상태에서는 캠부재(36)의 회전이 저지된다. 그리고 제2 커넥터(20)에 제1 커넥터(10)를 감합시킨다. 그러면 잠금 블록(34)의 선단(341)이 감합된 제1 커넥터(10)에 밀려서 잠금 블록 스프링(35)을 밀어 압축하면서 감합부(202)에서 들어간다. 그러면 캠부재(36)의 잠금이 해제되어 캠부재(34)가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캠부재(3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캠(361)과 제2 캠(362)을 가진다. 제1 캠(361)은 잠금 플레이트(26)의 캠 구멍(263) 내에 위치하고, 캠부재(36)가 회전함에 따라 잠금 플레이트(26)를 슬라이딩시킨다. 또한, 제2 캠(362)은 슬라이더(23)의 캠 구멍(234)에 위치하고 캠부재(36)가 회전함에 따라 슬라이더(23)를 슬라이딩시킨다.
레버(37)는 캠부재(36)에 나사 고정된다. 그리고 레버(37)는 사용자에 의해 회동 조작된다. 레버(37)가 회동하면 캠부재(36)도 일체로 회동한다.
4개의 나사(38)는 쉘(27)을 베이스 플레이트(22)에 고정시킨다. 이에 따라 쉘(27)과 베이스 플레이트(22) 사이에 개재되어 배치된 각 부품을 고정시킨다.
여기서, 제2 커넥터(20)는 베이스 하우징(22)과 쉘(27)을 합한 구성이 하우징의 일례에 해당한다. 또한 슬라이더(23)가 슬라이드판의 일례에 해당하며, 리프트 플레이트(24)가 이동판의 일례에 해당한다.
도 6은 조립된 상태의 제2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조립된 상태의 제2 커넥터(20)는 도 1에도 도시하였다. 도 6에는 도 1과는 방향이 다른 자세의 제2 커넥터(20)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는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은 잠금 블록(34)의 선단부(341)를 도시하였다.
도 7은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감합하고 레버가 회동 조작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A)와 그 부분 확대도(B)이다. 여기서, 도 7의 (B) 의 확대도는 도 7의 (A)에 나타낸 원 C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 이후의 각각의 도에서는 제1 커넥터(10)의 캡(12)(도 1, 도 2 참조)은 도시하지 않고 회로 기판(13)의 상면(131)을 나타내었다.
도 7에 나타낸 레버(37)가 회동 조작되기 전에는 잠금 돌기부(264)는 잠금홈(271, 111) 내의 도 7의 (B)에 나타낸 위치에 있다. 잠금 돌기부(264)가 이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1 커넥터(10)는 잠겨있지 않고, 제1 커넥터(10)는 제2 커넥터(20)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상태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레버를 회동 조작하기 전의 상태의 평면도(A), 일부를 절단하여 나타낸 부분 단면 평면도(B) 및 종단면도(C)이다. 여기서, 도 8의 (C)는 도 8의 (A)에 나타낸 화살표 A-A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8의 (B)는 도 8의 (C)에 나타낸 화살표 B-B에 따른 부분을 절단하여 나타낸 부분 단면 평면도이다.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 블록(34)은 선단부(341)가 제1 커넥터(10)에 의해 밀려서 도 8의 (B)의 오른쪽으로 슬라이딩하여 잠금 블록 스프링(35)을 밀어 압축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잠금 블록(34)의 막힘 벽면(342)이 캠부재(36)의 피막힘 벽면(363)에서 떨어져 있다. 즉, 캠부재(36)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이며, 레버(37)를 회동 조작하여 캠부재(36)를 돌릴 수 있다.
제1 커넥터(10)를 제2 커넥터(20)에서 분리하면 잠금 블록(34)이 잠금 블록 스프링(35)에 밀린다. 그리고 잠금 블록(34)의 선단부(341)가 오목한 형상의 감합부(202) 내에 돌출된 상태가 된다(도 6 참조). 이 상태에서는 잠금 블록(34)의 막힘 벽면(342)이 캠부재(36)의 피막힘 벽면(363)에 막혀있다. 이렇게 되면 캠부재(34)가 잠긴 상태가 되어 레버(37)를 회동시키려고 해도 잠금 블록(34)에 의해 그 회동이 저지된다.
도 9는 도 8의 (C)에 나타낸 원 D부분의 확대도이다.
콘택트 블록(21)은 베이스 하우징(22)의 긴 구멍(221)에 하방에서 압입되어 있다. 그리고 콘택트 블록(21)을 구성하는 콘택트(211)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이 콘택트(211)는 슬라이더(23)의 구멍(232) 및 리프트 플레이트(24)의 구멍(242)을 관통하여 그 상단부가 상부 하우징(25)의 구멍(252)의 내부에까지 들어가 있다. 상부 하우징(25)의 바로 위에는 제1 커넥터(10)의 회로 기판(13)이 위치한다. 회로 기판(13)의 상부 하우징(25)에 대면한 하면에는 접촉 패드(133)가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23)의 상면(231)은 다수의 볼록부(235)를 갖는 캠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리프트 플레이트(24)의 하면(243)도 다수의 오목부(244)를 갖는 캠수용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도 9에 나타낸 상태 즉, 도 7에 나타낸 레버(37)를 회동 조작하기 전의 상태일 때에는 슬라이더(23)의 볼록부(235)가 리프트 플레이트(24)의 오목부(244)에 들어가 있다. 이 상태일 때에는 콘택트(211)에는 리프트 플레이트(24)에 의한 밀어 올리는 힘이 작용하지 않는다.
도 10은 레버를 도중까지 회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A)와 그 부분 확대도(B)이다. 여기서, 도 10의 (B)는 도 10의 (A)에 나타낸 원 C부분의 확대도이다.
여기에서는, 도 1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37)는 도중까지 회동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잠금 돌기부(264)는 도 1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홈(271, 111) 내의 가로로 연장된 제2 부분(271b, 111b)의 도중 위치까지 이동해 있다. 잠금 돌기부(264)가 이 위치까지 이동하면 제1 커넥터(10)는 이미 잠긴 상태가 된다. 즉, 제1 커넥터(10)는 제2 커넥터(20)로부터 분리할 수 없으며, 감합 상태로 고정된 상태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잠금 돌기부(264)는 잠금 플레이트(26)(도 5 참조)에 형성되어 있으며, 잠금 플레이트(26)의 캠 구멍(263)에 캠부재(36)의 제1 캠(361)이 들어가 있다. 레버(37)를 돌리면 레버(37)와 일체로 캠부재(36)가 회동하여 제1 캠(361)이 캠 구멍(263)의 벽면을 밀어서 잠금 플레이트(26)가 슬라이딩한다. 즉, 도 10에 나타낸 레버(37)을 도중까지 회동시킨 상태는, 이미 제1 캠(361)이 잠금 플레이트(26)에 작용하여 잠금 플레이트(26)가 이동 중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레버가 도중까지 회동한 상태의 평면도(A), 일부를 절단하여 나타낸 부분 단면 평면도(B) 및 종단면도(c)이다. 여기서, 도 11의 (c)는 도 11의 (A)에 나타낸 화살표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11의 (B)는 도 11의 (C)에 나타낸 화살표 B-B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부분 단면 평면도이다.
도 1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캠부재(36)는 도 8의 (B)와 마찬가지로 잠금 블록(34)에 의한 잠금이 해제된 상태이다. 하지만, 이 캠부재(36)는 도 8의 (B)에 나타낸 상태에서 회동하고 있다. 이 회동에 의해 제1 캠(361)(도 5 참조)이 잠금 플레이트(26)에 작용하여 잠금 플레이트(26)를 슬라이딩시켜서 제1 커넥터(10)를 잠근다.
도 1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회동에 의해 제2 캠(362)도 회동한다. 하지만, 이 단계에서 슬라이더(23)는 제2 캠(362)에 의해 아직 밀리지 않아서 슬라이딩이 개시되지 않았다.
도 12는 도 11의 (C)에 나타낸 원 D부분의 확대도이다.
레버(37)를 도 10에 나타낸 위치까지 회동시킨 단계에서는 슬라이더(23)는 슬라이딩을 개시하지 않는다. 따라서, 리프트 플레이트(24)도 아직 들어 올려지지 않았으며 콘택트(211)도 변형 전의 상태에 머무르고 있다.
도 13은 레버를 최종 위치까지 회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A)와 그 부분 확대도(B)이다. 여기서, 도 13의 (B)는 도 13의 (A)에 나타낸 원 C부분의 확대도이다. 또한, 도 13의 (A), (B)에는 쉘(27)(도 5 참조)을 분리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37)를 최종 위치까지 회동시키면 캠부재(36)도 도 10에 나타낸 상태에서 더욱 회동한다. 그리고 캠부재(36)의 잠금 플레이트(26)의 캠 구멍(263)에 들어가 있는 제1 캠(361)이 잠금 플레이트(26)를 더욱 밀어서 잠금 돌기부(264)가 도 13에 나타낸 최종 위치까지 가로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제1 커넥터(10)는 제2 커넥터(20)에 보다 확실하게 잠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레버를 최종 위치까지 회동한 상태의 평면도(A), 일부를 절단하여 나타낸 부분 단면 평면도(B) 및 종단면도(C)이다. 여기서, 도 14의 (c)는 도 14의 (A)에 나타낸 화살표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14의 (B)는 도 14의 (C)에 나타낸 화살표 B-B를 따라 자른 단면을 나타낸 부분 단면 평면도이다. 도 14에서도 도 13과 마찬가지로 쉘(27)을 분리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4에서는 잠금 블록(34)이나 잠금 블록 스프링(35)도 도시하지 않았다.
레버(37)를 최종 위치까지 회동시키면 캠부재(36)도 최종 위치까지 회동한다. 그리고 캠부재(36)의 회동에 의해 도 1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23)의 캠 구멍(234)에 들어가 있는 제2 캠(362)이 슬라이더(23)를 밀어서 슬라이더(23)를 슬리이딩시킨다.
도 15는 도 14의 (C)에 나타낸 원 D부분의 확대도이다.
레버(37)를 도 13에 나타낸 최종 위치까지 회동시키면 먼저 슬라이딩을 시작한 잠금 플레이트(26)뿐만이 아니라 슬라이더(23)도 슬라이딩한다. 그 결과, 슬라이더(23)의 상면(231)에 형성되어 있는 캠면의 볼록부(235)가 리프트 플레이트(23)의 하면(243)에 겹쳐져서 리프트 플레이트(23)가 위로 들어 올려진다. 그 결과, 배열되어 있는 다수개의 콘택트(211)가 리프트 플레이트(24)의 상면(241)에 의해 일제히 들어 올려진다. 콘택트(211)의 상단부는 상부 하우징(25)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252)에 들어가 있고, 상부 하우징(25)의 바로 위에는 제1 콘택트(10)의 회로 기판(13)이 대면해 있다. 이 회로 기판(13)의 상부 하우징(25)에 대면한 하면에는 접촉 패드(133)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리프트 플레이트(24)에 의해 들어 올려진 콘택트(211)는 회로 기판(13)의 하면의 접촉 패드(133)에 소기의 접촉압으로 확실하게 접촉한다. 여기서, 다수의 콘택트(211)는 1장의 리프트 플레이트(24)에 의해 동시에 들어 올려진다. 따라서,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과 같이 슬라이더(23)에 해당하는 부재의 캠면으로 각각의 콘택트(211)을 개별적으로 들어올리는 구성에 비해 접촉압이나 접촉타이밍의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10 제1 커넥터
11 프레임
111 잠금홈
111a 제1 부분
111b 제2 부분
12 캡
20 제2 커넥터
201 벽
202 감합부
21 콘택트 블록
211 콘택트
22 베이스 하우징
221 콘택트
23 슬라이더
231 상면
232 구멍
234 캠 구멍
24 리프트 플레이트
242 구멍
25 상부 하우징
251 감합면
252 다수의 구멍
26 잠금 플레이트
263 캠 구멍
264 잠금 돌기부
27 쉘
271 잠금홈
31 쉴드부재
32 볼플런저
33 포스트핀
34 잠금 블록
35 잠금 블록 스프링
36 캠부재
361 제1 캠
362 제2 캠
37 레버

Claims (2)

  1. 상대 커넥터 측을 향한 제1 면에 상기 상대 커넥터의 복수의 콘택트에 각각 접하는 복수의 접촉 패드가 2차원적으로 배열된 회로 기판; 및
    상기 회로 기판의 상기 제1 면에 접하고, 상기 상대 커넥터와의 감합 방향에 대해 상기 제1 면을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를 가지는 하우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회로 기판의 상기 제1 면의 이면인 제2 면에 접하고, 상기 회로 기판을 상기 위치 결정부에 밀어서 닿게 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60050236A 2015-04-28 2016-04-25 커넥터 KR1025794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91238A JP6887747B2 (ja) 2015-04-28 2015-04-28 コネクタ
JPJP-P-2015-091238 2015-04-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235A true KR20160128235A (ko) 2016-11-07
KR102579456B1 KR102579456B1 (ko) 2023-09-18

Family

ID=55854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0236A KR102579456B1 (ko) 2015-04-28 2016-04-25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865967B2 (ko)
EP (1) EP3089274B1 (ko)
JP (1) JP6887747B2 (ko)
KR (1) KR102579456B1 (ko)
CN (1) CN10609946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545402S (ko) * 2015-04-28 2016-03-14
JP2018181404A (ja) * 2017-04-03 2018-11-15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電気コネクタ
US10916903B2 (en) 2018-02-04 2021-02-09 Creganna Unlimited Company System having a cable assembly and plug and receptacle connectors
US11038301B2 (en) * 2019-02-07 2021-06-15 Tyco Electronics Japan G.K. Connector assembly with a plurality of circuit boards
CN109888695A (zh) * 2019-03-04 2019-06-14 宁夏华亿机电设备工贸有限公司 一种墙面接线盒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7040A (ja) * 2000-01-31 2001-08-10 Itt Cannon:Kk 多芯コネクタ
JP2004031235A (ja) * 2002-06-27 2004-01-29 Itt Cannon Ltd 多芯コネクタ
JP2005302689A (ja) * 2004-03-16 2005-10-27 Alps Electric Co Ltd 対面型コネクタ
JP2013045549A (ja) * 2011-08-23 2013-03-04 Yazaki Corp コネクタ
JP2013222695A (ja) * 2012-04-19 2013-10-28 Yazaki Corp 基板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0639A (en) * 1997-09-30 1999-08-17 Eastman Kodak Company Camera having self timer dwell
US6299362B1 (en) * 1998-04-22 2001-10-09 Stratos Lightwave, Inc. High speed optical interface converter module having mounting halves
JP3332900B2 (ja) 2000-01-31 2002-10-07 株式会社アイティティキャノン 多芯コネクタ
JP2001351747A (ja) 2000-04-06 2001-12-21 Itt Cannon Ltd 多芯コネクタ
DE10113534B9 (de) * 2001-03-20 2005-04-07 Cherry Gmbh Kulissenschalteinheit für ein automatisches Schaltgetriebe
JP4413718B2 (ja) * 2004-09-01 2010-02-10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US8853893B2 (en) * 2011-11-02 2014-10-07 Pass & Seymour, Inc. Electrical wiring device for lighting control
US8847618B1 (en) * 2012-04-20 2014-09-30 Circuit Check, Inc. Circuit board testing device for uneven circuit board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7040A (ja) * 2000-01-31 2001-08-10 Itt Cannon:Kk 多芯コネクタ
JP2004031235A (ja) * 2002-06-27 2004-01-29 Itt Cannon Ltd 多芯コネクタ
JP2005302689A (ja) * 2004-03-16 2005-10-27 Alps Electric Co Ltd 対面型コネクタ
JP2013045549A (ja) * 2011-08-23 2013-03-04 Yazaki Corp コネクタ
JP2013222695A (ja) * 2012-04-19 2013-10-28 Yazaki Corp 基板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322746A1 (en) 2016-11-03
KR102579456B1 (ko) 2023-09-18
CN106099466A (zh) 2016-11-09
EP3089274B1 (en) 2019-04-10
JP2016207599A (ja) 2016-12-08
CN106099466B (zh) 2019-11-22
US9865967B2 (en) 2018-01-09
JP6887747B2 (ja) 2021-06-16
EP3089274A1 (en) 201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28234A (ko) 커넥터
KR20160128235A (ko) 커넥터
US8801454B2 (en) Connector guide member and electrical connector device having the same
US7618271B2 (en) Lever-type connector
US9558380B2 (en) Card connector
EP2869324B1 (en) Heart cam mechanism and switch provided with same
US7175462B2 (en) PGA type IC socket
US6918783B2 (en) Connector capable of preventing incomplete fitting
US8062048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pivotally movable cover
US7651358B2 (en) Pin grid array socket having a base with interior standoffs and hightening peripheral walls
JP6860713B2 (ja) コネクタ組立体
JP3979408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用コネクタロック装置
JP6166764B2 (ja) 係合構造を有する端子台
US9223100B2 (en) Retention module for positioning conversion module
JP2013125624A (ja) コネクタ
TWI704732B (zh) 電連接器基座以及電連接器
US10439312B2 (en) Flat-conductor connector having flat-conductor retaining structure in housing itself
KR100415839B1 (ko) 전기커넥터 및 캡 부착 전기커넥터
US8403694B2 (en) Socket connector provided with cover rotatably mounted on base
TWI652624B (zh) 按壓式固定結構及晶片卡偵測模組
JP2006086093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