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5839B1 - 전기커넥터 및 캡 부착 전기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커넥터 및 캡 부착 전기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5839B1
KR100415839B1 KR10-2001-0063040A KR20010063040A KR100415839B1 KR 100415839 B1 KR100415839 B1 KR 100415839B1 KR 20010063040 A KR20010063040 A KR 20010063040A KR 100415839 B1 KR100415839 B1 KR 100415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housing
cap
electrical connector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3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9634A (ko
Inventor
데라시마도시히로
스야마다카시
온치아키히코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31323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12433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31322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124322A/ja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29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9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5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58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Abstract

스몰 사이즈의 압축형 전기커넥터로서, 접점부의 변위를 소정범위 이내로 고정밀도로 수렴한다. 또, 캡 부착으로 하는 것에 의하여, 자동화 된 설치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하우징(2)은, 아암 콘택트(3)를 수용하는 슬롯(14)을 갖는다. 아암 콘택트(3)는, 하우징(2)의 일단으로부터 돌출하는 리드부(21)와, 하우징(3)에 대한 압입부(23, 24)와, 슬롯(14)내의 변위를 허용하는 만곡부(25, 27)와, 슬롯(14)을 나와서 하우징(2)의 다른 단으로부터 돌출하는 접점부(29)를 차례로 갖는다. 이 접점부(29)가 회로기판(6)의 도전면(6a)에 대하여 압접될 때에, 접점부(29)가 슬롯(14)내에서 확대되는 방향의 변위를 제한하는 제한부(15)를 하우징(2)에 설치한다.
또, 접점부(29)를 덮는 캡(4)을 설치한다. 이 캡(4)은, 하우징(2)에 다른 단측(12)으로부터 착탈 자유롭게 끼워지는 케이스(41)와 이 케이스(41)의 정상을 덮는 덮개부(42)의 일체로 된 성형품으로 한다. 캡(4)이 설치된 전기커넥터는, 리드부(21)는 노출되어 있으나, 접점부(29)는 덮어져 있다.

Description

전기커넥터 및 캡 부착 전기커넥터{ELECTRIC CONNECTOR AND ELECTRIC CONNECTOR EQUIPPED WITH CAP}
본 발명은, 압축형 전기커넥터 및 캡 부착 전기커넥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비디오카메라의 실린더헤드 등에 사용되는 스몰 사이즈(small size)의 전기커넥터 및 캡 부착 전기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비디오카메라와 같은 휴대 조작되는 촬영 기기에는, 소형의 실린더헤드가 사용된다.
이 소형 실린더헤드에는, 제1의 회로기판과 제2의 회로기판을 접속시키는 압축형 전기커넥터가 사용된다.
통상의 압축형 전기커넥터는, 절연성의 하우징과 도전성의 아암 콘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아암 콘택트를 수용하는 슬롯을 가지며, 상기 콘택트는, 상기 하우징의 일단으로부터 돌출하는 리드부와, 상기 하우징에 대한 압입부와, 상기 슬롯내의 변위를 허용하는 만곡부와, 상기 슬롯을 나와 상기 하우징의 타단으로부터 돌출하는 접점부를 차례로 갖고, 상기 리드부가 제1의 회로기판에 땜납 등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접점부가 제2의 회로기판의 도전면에 대하여 압접(壓接)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1의 회로기판의 편면 위의 소정의 위치에, 복수의 전기커넥터를 콘택트 리드부의 땜납 등에 의해 고정시킨다.
이 제1의 회로기판을 제2의 회로기판에 상기 전기커넥터를 통하여 대향시키고, 제1의 회로기판과 제2의 회로기판을 압박한다.
전기커넥터의 아암 콘택트의 접점부가 제2의 회로기판의 도전면에 대하여 압접되고, 아암 콘택트의 만곡부가 변형하며, 접점부가 제2의 회로기판 상의 도전면을 와이핑 하면서 압접되어, 접점부와 도전면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근년에 있어서, 촬영기기 소형화의 급격한 변화에 수반하여 실린더헤드도 소형으로 이루어지며, 제1의 회로기판, 제2의 회로기판 및 이들을 접속시키는 전기커넥터도 현저히 스몰 사이즈로 되었다.
전기커넥터가 스몰 사이즈가 되면, 내부의 아암 콘택트도 얇고 작은 것으로 되어, 약간의 압접력에 의해서도 휘어지며, 와이핑에 따른 변위량이 아암 콘택트의 크기와 비교하여 크게 된다.
따라서, 전기커넥터가 스몰 사이즈로 됨에 따라, 접점부가 슬롯 내에서 확대되는 방향으로 변위가 크게 되어, 제2의 회로기판의 도전면의 치수에 여유를 필요로 한다.
그런데, 제2의 회로기판 자체도 스몰 사이즈로 되어 있기 때문에, 도전면의 치수 여유도 적어, 설치정밀도 높은 스몰 사이즈의 전기커넥터가 요구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스몰 사이즈가 된 압축형 전기커넥터로서, 접점부의 변위를 소정범위 내로 정밀도 높게 수렴할 수 있는 전기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제1의 목적으로 한다.
또, 전기커넥터가 스몰 사이즈가 되면, 전기커넥터의 리드부를 제1의 회로기판에 설치할 때에, 위치결정이 어렵게 되고, 취급하기가 어려워진다.
스몰 사이즈의 전기커넥터에 있어서도, 제1의 회로기판에의 고정은 자동적으로 실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자동화 된 설치에 대응할 수 있는 취급이 용이한 전기커넥터가 요구되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스몰 사이즈가 된 압축형 전기커넥터로서, 캡 부착으로 하는 것에 의해, 자동화 된 설치에 대응할 수 있는 캡 부착 전기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제2의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기커넥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a)는 그 정면에서 본 가로방향의 단면도, 도 1(b)는 그 측면도, 도 1(c)는 그 상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기커넥터의 회로기판으로의 설치예를 나타내는 측면의 단면도.
도 3은 하우징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3(a)는 도 3(b)의 A-A선 단면도, 도 3(b)는 측면도, 도 3(c)는 상면도.
도 4는 아암 콘택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4(a)는 펀칭 성형된 아암 콘택트의 상면도, 도 4(b)는 도 4(a)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캡 부착 전기커넥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5(a)는 그 정면에서 본 가로방향의 단면도, 도 5(b)는 그 측면도, 도 5(c)는 그 상면도.
도 6은 캡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6(a)는 그 정면에서 본 단면도, 도 6(b)는 그 측면도, 도 6(c)는 그 상면도.
도 7은 테이핑(taping) 된 캡 부착 전기커넥터의 수납예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 8은 도 7의 C-C선의 단면도.
도 9는 도 7의 D-D선의 단면도.
도 10은 테이핑 된 캡 부착 전기커넥터의 릴에의 감긴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은 테이핑 된 캡 부착 전기커넥터의 회로기판에의 설치공정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전기커넥터를 정면에서 본 가로방향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기커넥터 2 : 하우징
3 : 아암 콘택트 4 : 캡
5 : 제1의 회로기판 6 : 제2의 회로기판
6a : 도전면 14 : 슬롯
15 : 경사면(제한부) 21 : 리드부
23 : 제1압입부재(압입부) 24 : 제2압입부재(압입부)
25 : 제1만곡부 27 : 제2만곡부
29 : 접점부 29a : 절곡부
41 : 케이스부 42 : 덮개부
45 : 슬릿 48 : 노칭(notching)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청구항 1의 전기커넥터는, 절연성 하우징과 도전성 아암 콘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아암 콘택트를 수용하는 슬롯을 가지며, 상기 아암 콘택트는, 상기 하우징의 일단으로부터 돌출하는 리드부와, 상기 하우징에 대한 압입부와, 상기 슬롯내의 변위를 허용하는 만곡부와, 상기 슬롯을 나와 상기 하우징의 타단으로부터 돌출하는 접점부를 차례로 갖고, 상기 리드부가 제1의 회로기판에 고정되며, 상기 접점부가 제2의 회로기판의 도전면에 대하여 압접되는 전기커넥터로서, 상기 접점부가 상기 압접에 의해 상기 슬롯 내에서 확대되는 방향의 변위를 제한하는 제한부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압축형 전기커넥터는, 아암 콘택트의 접점부가 전기회로의 도전면 위에서 확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한 와이핑이 필요하게 되어, 아암 콘택트의 접점부의 변위를 제한하는 것과 같은 것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식에 반하여, 아암 콘택트의 접점부가 슬롯 내에서 확대되는 방향의 변위가 어느 정도 이상이 되면, 제한하는 것에 의해, 스몰 사이즈의 전기커넥터의 설치정밀도를 확보하도록 하였다.
이 제한부는 하우징에 접점부의 확대되는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치수를 두고 설치된다.
아암 콘택트의 접점부가 압접에 의해 슬롯 내를 퍼지게 변위하고, 어느 정도의 와이핑을 행하고 압축된 후, 접점부가 상기 제한부에 닿아, 슬롯 내에서 확대되는 방향의 변위가 제한된다.
청구항 2의 전기커넥터는,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는, 상기 슬롯의 안쪽에 설치되며, 상기 아암 콘택트를 상기 슬롯에 넣어 상기 압입부에서 고정하면, 상기 접점부와 상기 제한부가 대향하는 것이다.
하우징의 슬롯에 아암 콘택트를 수납하여 고정시키면, 상기 접점부와 상기 제한부가 소정의 치수를 두고 대향하는 상태가 되며, 슬롯으로의 아암 콘택트의 수납시에 제한부가 방해되지 않아, 조립이 용이하다.
청구항 3의 전기커넥터는,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는 판재를 예각으로 굽힌 절곡부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한부는, 상기 절곡부가 닿으며, 상기 타단을 향해 확대되는 경사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예각이 된 절곡부가 타단의 개구를 향해 확대되는 경사면에 닿으면, 접점부의 절곡부가 경사면으로 안내되며, 슬롯 내로 향하도록 변형하여, 접점부가 확대되지 않으며, 돌출방향으로 가세되는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제한부에 의해, 압접력이 크게 감소되지 않는다.
청구항 4의 전기커넥터는, 청구항 1∼3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기 하우징의 폭에 대하여 지그재그로 교호로 방향을 바꾸어 열 지어져 있으며, 인접하는 상기 슬롯에 수납되는 콘택트 접점부의 확대되는 방향의 변위가 소정의 간격 내에 제한되는 것이다.
하우징의 폭 방향의 치수를 억제하면서, 접점부를 마주보게 하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다수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지그재그 형상으로 다수 배치된 접점부의 변위가 소정의 간격내로 수렴되기 때문에, 상대방의 제2 회로기판의 도전면의 폭도 좁게 형성할 수가 있다.
청구항 5의 전기커넥터는,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의 압접방향의 변위를 x라 하면, 상기 확대되는 방향의 변위가 x/2 이하이며, 상기 x가 0.6mm이하이다.
이 정도의 압접의 양이라면, 전체폭 2.4mm×높이 4.3mm×두께 1.7mm(아암 콘택트가 2개인 경우)의 소형으로 수렴할 수가 있다.
2개의 접점부의 소정의 간격도 2mm이내로 하여, 접점부에 있어서의 압접시의 전기적 접촉도 확보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청구항 6의 캡 부착 전기커넥터는, 절연성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며 상기 하우징의 일단으로부터 돌출하는 리드부와, 상기 하우징의 타단으로부터 돌출하는 변위 가능한 접점부를 갖는 도전성 아암 콘택트를 구비하는 전기커넥터에, 상기 접점부를 덮는 캡이 부착된 캡 부착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캡은, 상기 하우징에 상기 타단측으로부터 착탈 자유롭게 끼워지는 케이스부와, 이 케이스부의 정상을 덮는 덮개부를 일체로 성형한 것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하우징에 상기 타단측으로부터 끼워지는 케이스부와, 이 케이스부의 정상을 덮는 덮개부로 이루어지는 캡은, 하우징의 리드부를 노출시킨 상태로 하우징에 끼워진다.
그 때문에, 리드부의 회로기판에의 고정시에는, 캡 부착 전기커넥터의 캡 부분을 지지하여, 전기커넥터의 리드부를 회로기판에 밀어붙이고, 리드부를 회로기판에 고정시킨다.
캡의 케이스부는, 하우징에 대하여 착탈 자유롭기 때문에, 리드부를 회로기판에 고정시킨 후, 캡을 분리시키는 것에 의해, 변위가 가능한 접점부를 노출시키는 상태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캡은, 접점부의 회로기판으로의 설치이전의 보호만이 아니라, 리드부를 회로기판에 고정할 때의 지그(jig)로서도 기능을 한다.
또, 될 수 있는 대로 소형화시킨 하우징에 끼워지는 캡이기 때문에, 캡의 특히 덮개부를 지지하여, 소형의 전기커넥터의 취급상의 편이성을 향상시킨다.
청구항 7의 캡 부착 전기커넥터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에 걸림이 가능한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캡 부착 전기커넥터는, 소형이기 때문에, 캐리어테이프의 엠보스부에 넣어, 커버테이프로 엠보스부를 폐쇄시킨 엠보스 테이핑품으로 취급된다.
캡의 덮개부에 걸림이 가능한 돌기를 플랜지로서 형성하면, 엠보스부의 입구에서 상기 돌기가 걸려, 엠보스부의 소정위치에 캡 부착 전기커넥터를 위치결정 시키고, 꺼내기 쉽게 한다.
청구항 8의 캡 부착 전기커넥터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상면은, 흡착에 의한 지지가 가능한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캡 부착 전기커넥터는 소형이기 때문에, 캡의 덮개부 상면의 평면을 흡착하여, 엠보스부로부터 꺼내거나, 회로기판의 소정의 위치로 반송할 수가 있다.
청구항 9의 캡 부착 전기커넥터는, 청구항 6∼8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4측면을 가지며, 2측면을 다른 쪽의 2측면으로부터 분리시켜 상기 2측면에 가요성(可撓性)을 부여하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2측면에 상기 하우징에 대한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청구항 10의 캡 부착 전기커넥터는, 이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2측면에 상기 덮개부에 이르는 노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슬릿, 이에 부가되는 노칭에 의해, 하우징에 대해 착탈 자유로운 캡의 2측면을 가요성 있는 것으로 할 수가 있으며, 하우징에 대한 결합부의 작동도 양호한 상태로 유지할 수가 있다.
청구항 11의 캡 부착 전기커넥터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기커넥터의 색과 상기 캡의 색이 상이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
전기커넥터 리드부의 회로기판에의 고정 후에, 캡이 분리되는 바, 전기커넥터의 특히 하우징과 캡의 색이 다르면, 캡의 발취 착오를 광학적으로 자동적 또는 시각으로 확인할 수가 있다.
청구항 12의 캡 부착 전기커넥터는, 청구항 6, 7, 8, 10 및 11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의 압접방향의 변위를 x라 하면, 상기 x가 0.5mm 이하이다.
이 정도의 압접의 양이라면, 전기커넥터를, 전체폭 2.4mm×높이 4.3mm×길이 1.7mm(아암 콘택트가 2개의 경우)의 소형으로 수렴할 수가 있는 바, 하우징에 대한 캡을 통한 취급이 용이하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전기커넥터 및 캡 부착 전기커넥터의 적합한 실시형태의 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기커넥터(1)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a)는 정면에서 본 가로방향의 단면도, 도 1(b)는 측면도, 도 1(c)는 상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기커넥터의 회로기판으로의 설치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의 전기커넥터(1)는, 접점수가 2개의 최소 단위의 것으로서, 하우징(2)과, 마주보고 배치된 2개의 아암 콘택트(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2)의 상세가 도 3에 도시된다.
도 3(a)는 도 3(b)의 A-A선의 단면도, 도 3(b)는 측면도, 도 3(c)는 상면도이다.
하우징(2)은, 절연성 있는 합성수지로 몰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에 있어서, 하우징(2)은, 도시되지 않은 제1의 회로기판에 대향하는 일단측(11)과, 도시되지 않는 제2의 회로기판에 대향하는 타단측(12)과, 측면(13, 13)을 갖는 블록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단측(11)으로부터 타단측(12)을 향하여, 지그재그 형상이 되도록 서로 대향시켜 새겨진 2개의 슬릿(14, 14)이 형성되어 있다.
도 3(a)에 나타내는 슬릿(14)은, 측면(13)을 따라서 깊이가 얕은 부분(14a)과, 측면(13)으로부터 안쪽을 향해 깊이가 깊은 부분(14b)으로 이루어지는 대략 "L" 형상이다.
깊은 부분(14b)의 안쪽은, 타단측(12)의 개구를 향해 넓어지도록 경사진 경사면(15)으로 되어 있다.
이 경사면(15)은, 후술하는 아암 콘택트(3)의 접점부(29)에 대한 규제부로서의 기능을 한다.
슬릿(14)의 얕은 부분(14a)은 일단측(11)에 이르기까지 개방되어 있으며,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얕은 부분(14a)의 연장선의 양측에 제1압입구멍(16)과 제2압입구멍(17)이 관통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아암 콘택트(3)의 상세가 도 4에 도시된다.
도 4(a)는 도전성재료의 플레이트에서 펀칭되어 프레스 성형된 아암 콘택트의 상면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4(b)는 도 4(a)의 B-B선의 단면도이다.
도 4(b)에 있어서, 아암 콘택트(3)는, 선단이 90°절곡된 리드부(21)와, 리드부(21)로부터의 연장부(22)와, 연장부(22)의 양측에 리드부(21)와는 역방향으로 90°절곡되며 압입부로서 기능하는 제1압입부재(23) 및 제2압입부재(24)와, 제1만곡부(25)와, 연장부(26)와, 제2만곡부(27)와, 연장부(28)와, 접점부(29)를 차례로 갖는다.
제1압입부재(23) 및 제2압입부재(24)는, 이탈방지걸림부(23a, 24a)를 갖고있다.
제1만곡부(25)는, 연장부(22)와 연장부(26)가 단차있는 평행이 되도록 2개의 R부를 갖고 있다.
제2만곡부(27)는, 연장부(26)와 연장부(28)가 90°를 이루도록 1개의 R부를 갖고 있다.
접점부(29)는, 선단이 예각이 되도록 절곡되며, 연장부(28)로부터 돌출함과 동시에 연장부(22)와 평행의 선에 대하여 각도 α로 내향이 되도록 한 절곡부(29a)를 갖는다.
절곡부(29a)는, 원호형상의 접촉부(29b)를 갖고, 이 접촉부(29a)는 도시하지 않는 제2의 회로기판의 도전면에 압접된다.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암 콘택트(3)는, 인 청동 등의 도전성재료의 플레이트에서 펀칭되어 프레스성형에 의해 형성되며, a선과 b선에서 절단되는 것에 의해 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된다.
접점부(29)의 접촉부(29b)는, 바람직하게는 금도금 등의 표면처리가 실시된다.
또한, 아암 콘택트(3)는, 펀칭가공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가공 또는 에칭에 의해 제조된 것이라도 좋다.
도 1에 의해, 하우징(2)과 아암 콘택트(3)의 조합 구조를 설명한다.
도 1(a)에 있어서, 제1압입구멍(16)에 제1압입부재(23)를 밀어 넣고, 또한 제2압입구멍(17)에 제2압입부재(24)를 밀어 넣으면, 연장부(22)가 슬릿의 얕은 부분(14a)의 바닥의 연장선에 빈틈없이 따르고, 아암 콘택트(3)가 하우징(2)에 고정된다.
제1만곡부(25), 연장부(26), 제2만곡부(27) 및 연장부(28)가 슬릿의 얕은 부분(14a) 및 깊은 부분(14b)내에 수용된다.
리드부(21)는, 일단측(11)으로부터 약간 돌출하며, 접점부(29)가 타단측(12)으로부터 높이 H1 만큼 돌출한다.
접점부(29)는, 그 절곡부(29a)가 외향이 되도록 돌출하며, 제한부로서 기능하는 경사면(15)과 절곡부(29a)의 외향부분이 치수 ε를 두고 대략 평행이 된다.
서로 역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아암 콘택트(3)의 한 쌍의 접점부(29)의 압접 전의 간격은 L1이다.
도 2에 의해, 전기커넥터(1)의 설치상태를 설명한다.
5는 프린트기판 등의 제1의 회로기판이며, 6은 프린트기판 등의 제2의 회로기판이다.
적어도 2개의 리드부(21, 21)가, 제1의 회로기판(5)의 소정의 개소 위에 올려지고, 땜납(31)에 의해 전기커넥터(1)가 제1회로기판(5)에 고정된다.
제1의 회로기판(5)이 제2의 회로기판(6)을 향해 밀어 넣어진다.
접점부(29)가 제2의 회로기판(6)에 압접되어, 제2만곡부(27) 등으로 아암 콘택트(3)가 굽으며, 접점부(29)가 슬릿의 깊은 부분(14b)에 들어가는 것과 동시에, 외측, 즉, 슬릿(14)의 안쪽 측을 향해 변위한다.
또한, 접점부(29)의 절곡부(29a)가 경사면, 즉, 규제부(15)에 닿아,접점부(29, 29)의 간격(L2)이 더 확대되지 않도록 제한된다.
접점(29, 29)이 제2의 회로기판(6)을 향해 다시 밀어 넣어지면, 절곡부(29a)는 경사면, 즉, 규제부(15)를 따라 슬릿의 깊은 부분(14b)내에 들어가게 되지만, 접점(29, 29)의 간격(L2)은, 거의 넓어지지 않는다.
절곡부(29a)가 타단측(12)을 향해 넓어지는 경사면, 즉, 규제부(15)에 강하게 닿아, 접점부(29, 29)의 돌출방향의 가세력이 작용한다.
이 가세력에 의해, 접점(29, 29)의 제2의 회로기판(6)의 도전면(6a)에 대한 접촉 압박이 소정의 압력 이상으로 유지된다.
또, 접점부(29, 29)의 간격이, L1에서 L2로 확대되는 것에 의해, 접점부(29, 29)에 의한 도전면(6a)에 대한 와이핑도 확보된다.
아암 콘택트(3)를 두께 0.15mm의 판으로 형성하고, 접점부(29, 29)의 간격(L1)을 1.2mm로 하며, 접점부(29, 29)의 돌출 높이(H1)가 0.5mm로 이루어지는 스몰 사이즈의 전기커넥터(1)를 형성할 수가 있다.
H1-H2의 압접량이 0.3∼0.4mm라고 하면, 압접후의 접점부(29, 29)의 간격(L2)의 최대치를 1.5mm 이내로 억제할 수가 있다.
이 경우, H1-H2의 압접방향의 변위를 x라 하면, L2-L1의 변위가 x/2 이하가 되어, 접점부(29, 29)의 변위를 적절하게 함과 동시에, 돌출 높이(H1)가 0.6mm 이내가 된 스몰 사이즈의 전기커넥터(1)로 할 수가 있다.
또, 2개의 아암 콘택트(3)를 갖는 하우징(2)을 포함한 전기커넥터(1)의 전체의 크기를, 전체폭 2.4mm×높이 4.3mm×두께1.7mm의 스몰 사이즈로 할 수가 있다.
다음에, 스몰 사이즈의 전기커넥터(1)의 변위가 가능한 접점부(29, 29)를 덮는 캡(4)이 부착된 전기커넥터(1)를 도 5에 의해 설명한다.
도 5(a)는 캡 부착 전기커넥터를 정면에서 본 가로방향의 단면도, 도 5(b)는 그 측면도, 도 5(c)는 그 상면도이다.
캡(4)은, 전기커넥터(1)의 접점부(29, 29)의 측면으로부터 착탈 자유롭게 끼워지는 케이스부(41)와, 그 케이스부(41)의 정상을 덮는 덮개부(42)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 등의 일체성형품이다.
도 6에 의해 캡(4)의 상세를 설명한다.
도 6(a)는 캡을 정면에서 본 가로방향의 단면도, 도 6(b)는 그 측면도, 도 6(c)는 그 상면도이다.
도 6(c)에 있어서, 덮개부(42)는, 상면에서 보면, "H" 형상의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6(a)에 있어서, 케이스부(41)는, 이 덮개부(42)의 하면으로부터 일체가 되어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전기커넥터(1)의 폭 방향으로 대응하는 2측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1측판(43, 43)과, 전기커넥터(1)의 두께방향으로 대응하는 나머지 2측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2측판(44, 44)을 갖고 있다.
한 쌍의 제1측판(43, 43)과 한 쌍의 제2측판(44, 44) 경계의 4개소에, 슬릿(45)이 형성되어 있다.
제1측판(43, 43)의 아래쪽에, 하우징(2)의 폭 방향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오목부(18)[도 5(a) 참조]에 대응하는 결합볼록부(46)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볼록부(46)의 또 아래쪽에, 하우징(2)을 수용하는 경사면(47)이 형성되어 있다.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1측판(43, 43)의 중앙에는, 덮개부(42)로부터 결합볼록부(46)에 이르기까지의 노칭(48)이 형성되어 있다.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제2측판(44, 44)은, 하우징(2)의 두께방향의 측면을 덮는 것이며, 그 하단에 경사면(49)이 형성되어 있다.
도 6(c)에 있어서, 덮개부(42)의 "H" 형상의 4개의 선단은, 케이스부(41)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 돌출부(50, 50)로 이루어져 있다.
이 돌출부(50)에 의해, 덮개부(42)는, 케이스부(41)에 대하여 설치되며, 걸림 가능한 플랜지로 되어 있다.
덮개부(42)의 상면은 그 전체가 평평한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부(42)의 아래쪽에 있어서, 케이스부(41)의 내측의 4코너 가운데 대각선상에 있는 2코너에, 하우징(2)의 타단(12)에 맞 접하는 스토퍼(51)가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 설치되어 있다.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토퍼(51)는, 지그재그배치의 접점부(29, 29)의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5에 의해, 캡(4) 부착의 전기커넥터(1)를 설명한다.
도 5(a)에 있어서, 캡(4)은, 케이스부(41)의 아래쪽의 경사면(47, 49)에 안내되어, 하우징(2)의 타단(12)으로부터 덮을 수가 있다.
제1측판(43, 43)의 아래쪽에는 결합볼록부(46)가 있으며, 제1측판(43, 43)이바깥쪽으로 넓어지려고 하는 바, 슬릿(45) 및 노칭(48)에 의해, 제1측판(43, 43)은 탄성 변형할 수가 있다.
그 때문에, 캡(4)을 하우징(2)의 타단측(12)으로부터 밀어 넣으면, 하우징(2)의 결합오목부(18)에 캡(4)의 결합볼록부(46)가 결합되고, 스토퍼(51)의 하면이 하우징(2)의 타단측(12)에 닿아 밀어 넣기가 정지된다.
하우징(2)으로부터 캡(4)을 끌어올리면, 하우징(2)의 결합오목부(18)와 캡(4)의 결합볼록부(46)의 결합이 풀려, 캡(4)을 분리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캡(4)은, 하우징(2)의 타단측(12)에 대하여 착탈 자유롭게 되어 있다.
캡(4) 부착의 전기커넥터(1)로 하는 것에 의해, 제1의 회로기판(5)으로의 설치시에, 스몰 사이즈로 된 전기커넥터(1)를 캡(4)의 부분으로 지지하여 취급 할 수가 있다.
또, 스몰 사이즈의 전기커넥터(1)의 가동부분인 접점부(29, 29)의 기계적 보호를 할 수가 있다.
이 캡(4) 부착의 전기커넥터(1)는, 도 7 내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엠보스 테이핑품(60)으로서 자동적인 취급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도 7에 있어서, 엠보스 테이핑품(60)은, 캡(4) 부착의 전기커넥터(1)가 수납되는 엠보스부(63)가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 열 지어있는 캐리어 테이프(61)에, 커버테이프(62)를 덮어 형성된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엠보스부(63)는, 캡(4)의 케이스부(41)와 전기커넥터(1)의 본체가 들어가는 통부(64)와, 캡(4)의 덮개부(42)를 얹는 접시부(65)로 이루어진다.
이 접시부(65)는, 덮개부(42)의 한 방향으로는 빠듯한 넓이를 가지지만, 덮개부(42)의 다른 방향으로는 충분한 넓이를 갖고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엠보스 테이핑품(60)은, 릴(reel)(66)에 감겨있는 상태로 출하된다.
조립공장에서는, 도 10과 같이, 릴(66)로부터 엠보스 테이핑품(60)을 끌어내어 사용한다.
캡(4) 부착의 전기커넥터(1)의 설치공정이 도 11에 도시된다.
도 11(a)에 있어서, 캐리어테이프(61)로부터 커버테이프(62)를 벗기고, 접시부(65)에 놓인 캡(4)의 덮개부(42)의 천장의 평면에 흡착판(71)을 흡착시킨다.
캐리어테이프(61)의 엠보스 내의 캡(4) 부착 전기커넥터(1)는, 캡(4)의 부분이 통부(64)내에 꽉 차게 들어가는 것에 의해, 캐리어테이프(61)에 대하여 위치결정되어 있다.
흡착판(71)을 선단에 설치한 로봇 아암(72)의 상승에 의해, 전기커넥터(1)는 캡(4)째로 엠보스부(64)로부터 인출된다.
도 11(b)에 있어서, 로봇 아암(72)의 이동에 의해, 캡(4)에 부착된 전기커넥터(1)는, 제1의 회로기판(5)의 소정의 위치에 올려진다.
전기커넥터(1)의 리드부(21)는, 땜납(31)에 의해 제1의 회로기판(5)에 전기적 도통이 가능한 상태로 고정된다.
그리고, 로봇 아암(72)이 상방으로 이동하면, 전기커넥터(1)로부터 캡(4)이 풀리고, 캡(4)은 로봇 아암(72)과 함께 반출된다.
이때, 전기커넥터(1)의 하우징(2)의 색을 예를 들어 흑색 계통으로 하고, 캡(4)의 색을 백색 계통으로 하여 색을 달리 해 두면, 캡(4)이 잔류되는 전기커넥터(1)를 시각 또는 자동검출에 의해 용이하게 판별할 수가 있다.
도 11(c)에 있어서, 전기커넥터(1)가 고정된 제1의 회로기판(5)을 제2의 회로기판(6)으로 향하여 이동시킨다.
전기커넥터(1)의 접점부(29, 29)가 제2의 회로기판의 도전면(6a, 6a)을 바깥쪽을 향하여 와이핑 하면서, 접점부(29, 29)가 도전면(6a, 6a)에 압접된다.
또한, 실시 형태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전기커넥터(1)에 관하여,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변경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1) 도 12와 같이, 하우징(102)의 슬릿(114)에 아암 콘택트(103)를 수납하여 고정시켰을 때, 슬릿(114)의 입구측에 접점부(129)가 위치하도록 하는 다만곡(多彎曲)의 아암 콘택트(103)로 하며, 슬릿(114)의 입구에 있어서, 접점부(129)에 대면하는 경사면(149)을 갖는 별개의 블록을 하우징(102)에 끼워 넣어서, 제한부(140)를 형성하는 전기커넥터(101)로 하여도 좋다.
하우징(102)이 제한부(140)를 끼워 넣는 2부품으로 되지만, 아암 콘택트(103)를 도 1의 것보다 다만곡으로 할 수가 있어, 압접시의 휘어지는 양과 휘어지는 방향을 적절한 것으로 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2) 도 1에 있어서, 하우징(2)의 슬릿(14)은, 2개만의 지그재그 배치에 한정되지 않고, 하우징(2)을 두께방향으로 길게 하여, 다수의 슬릿(14)을 지그재그 배치 하는 것에 의해, 3개 이상의 아암 콘택트(3)가 슬릿(14)에 수용된 다접점의 전기커넥터(1)로 할 수가 있다.
또, 하우징(2)의 슬릿(14)을 지그재그 배치가 아닌, 하우징(2)의 폭 방향의 치수를 늘려서 대향하는 배치로 하는 것에 의해, 3개 이상의 아암 콘택트(3)를 두께방향으로 밀집 배치할 수도 있다.
(3) 리드부(21)는, "L" 형상으로 절곡시킨 것에 한정되지 않고, 구멍관통식의 핀이라도 좋다.
핀을 리드부로 하는 경우, 핀의 뿌리부분을 하우징에 형성한 구멍에 끼워넣는 고정방식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 아암 콘택트를 하우징에 고정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전기커넥터(1)의 캡(4)에 관하여,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변경 실시하여도 좋다.
(4) 캡(4)의 덮개부(42)의 돌출부(50) 형상은, 케이스부로부터 "H" 형상으로 돌출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케이스부(42)의 주위에 대략 균등하게 돌출하는 4각형의 플랜지, 또는, 케이스부(42)의 주위에 접하는 원형의 플랜지라도 좋다.
또, 덮개부(42) 상면의 전체면이 평면인 것에 한정되지 않고, 덮개부(42)의 중앙만이 원판형상으로 평면이 되어 있는 것이라도 좋다.
(5) 하우징(2)의 결합오목부(18)와 캡(4)의 결합볼록부(46)의 요철관계를 반대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캡(4)의 제1측판(43)의 탄성이 그다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슬릿(45)이나 노칭(48)을 생략할 수가 있다.
(6) 또, 캡(4)이 적용되는 전기커넥터(1)로서, 하우징의 슬릿 내에 아암 콘택트를 수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절연성 하우징에 지지되며, 상기 하우징의 일단으로부터 돌출하는 리드부와, 상기 하우징의 타단으로부터 돌출하는 변위 가능한 접점부를 갖는 도전성 아암 콘택트를 구비하는 압축형의 각종 형태의 전기커넥터에 대하여 적용시킬 수가 있다.
청구항 1∼5의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고, 아암 콘택트의 접점부의 변위를 소정의 범위 내로 높은 정밀도로 수렴할 수가 있으며, 전기커넥터 자체를 스몰 사이즈로 형성 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전기커넥터는, 디지털 비디오카메라의 소형실린더헤드 내에서, 제1의 회로기판과 제2의 회로기판을 접속시키는데 최적의 것이며, 전자기기의 고정밀도의 소형화에 대응시킨 전기커넥터로 할 수 있다.
또, 청구항 6∼12의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며, 스몰 사이즈가 된 압축형의 전기커넥터라 하여도, 변위 가능한 접점부는 덮지만, 리드부는 노출시킨 캡과 일체로 하는 것에 의해, 캡 부분으로 전체를 지지하며, 자동화 된 설치 등에 대응할 수가 있다.
또, 캡 부착 전기커넥터로 하므로서, 스몰 사이즈로 된 전기커넥터라 하여도, 간단하게 엠보스 테이핑품으로 할 수가 있다.
또한, 변위 가능한 접점부를 회로기판으로 밀어붙이기 직전까지, 접점부를 보호하는 상태로 할 수가 있다.

Claims (12)

  1. 절연성 하우징과 도전성 아암 콘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아암 콘택트를 수용하는 슬롯을 가지며,
    상기 아암 콘택트는, 상기 하우징의 일단으로부터 돌출하는 리드부와, 상기 하우징에 대한 압입부와, 상기 슬롯내의 변위를 허용하는 만곡부와, 상기 슬롯을 나와 상기 하우징의 타단으로부터 돌출하는 접점부를 차례로 갖고,
    상기 리드부가 제1의 회로기판에 고정되며, 상기 접점부가 제2의 회로기판의 도전면에 대해 압접되는 전기커넥터로서,
    상기 접점부가 상기 압접에 의해 상기 슬롯 내에서 확대되는 방향의 변위를 제한하는 제한부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는, 상기 슬롯의 안쪽에 설치되며, 상기 아암 콘택트를 상기 슬롯에 넣어 상기 압입부에서 고정하면, 상기 접점부와 상기 제한부가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는 판재를 예각으로 굽힌 절곡부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한부는, 상기 절곡부가 닿고, 상기 타단을 향하여 확대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기 하우징의 폭에 대하여 지그재그로 교호로 방향을 바꾸어 열 지어져 있으며, 인접하는 상기 슬롯에 수납되는 콘택트 접점부의 확대되는 방향의 변위가 소정의 간격 내에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의 압접방향의 변위를 x라 하면, 상기 확대되는 방향의 변위가 x/2 이하이며, 상기 x가 0.6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6. 절연성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의 일단으로부터 돌출하는 리드부와 상기 하우징의 타단으로부터 돌출하는 변위 가능한 접점부를 갖는 도전성의 아암 콘택트를 구비하며,
    상기 접점부를 덮는 캡이 부착된 캡 부착 전기커넥터로서,
    상기 캡은, 상기 하우징에 상기 타단측으로부터 착탈이 자유롭게 끼워지는 케이스부와 이 케이스부의 정상을 덮는 덮개부의 일체 성형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부착 전기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에 걸림 가능한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부착 전기커넥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상면은, 흡착에 의한 지지가 가능한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부착 전기커넥터.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4 측면을 가지며, 2 측면을 다른 쪽의 2 측면으로부터 분리시켜 상기 2 측면에 가요성을 부여하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2 측면에 상기 하우징에 대한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부착 전기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2 측면에 상기 덮개부에 이르는 노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부착 전기커넥터.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커넥터의 색과 상기 캡의 색이 상이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부착 전기커넥터.
  12. 제 6, 7, 8, 10 및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의 압접방향의 변위를 x라 하면, 상기 x가 0.5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부착 전기커넥터.
KR10-2001-0063040A 2000-10-13 2001-10-12 전기커넥터 및 캡 부착 전기커넥터 KR1004158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13230A JP2002124339A (ja) 2000-10-13 2000-10-13 キャップ付電気コネクタ
JP2000313229A JP2002124322A (ja) 2000-10-13 2000-10-13 電気コネクタ
JPJP-P-2000-00313229 2000-10-13
JPJP-P-2000-00313230 2000-10-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9634A KR20020029634A (ko) 2002-04-19
KR100415839B1 true KR100415839B1 (ko) 2004-01-24

Family

ID=26602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3040A KR100415839B1 (ko) 2000-10-13 2001-10-12 전기커넥터 및 캡 부착 전기커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415839B1 (ko)
CN (1) CN1221064C (ko)
TW (1) TW5292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47640B2 (ja) * 2012-07-03 2016-07-06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金具と基板の接続構造
CN106997997B (zh) * 2016-01-22 2019-06-25 莫仕连接器(成都)有限公司 电连接器
JP7142425B2 (ja) * 2017-10-23 2022-09-27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インタポーザ組立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4638A (ja) * 1993-12-24 1998-03-06 Itt Composants & Instr 電子メモリカードの接続のための電気コネクタ
JPH11251016A (ja) * 1998-02-27 1999-09-17 Amp Japan Ltd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それを用いた零挿入力接続組立体
JPH11250966A (ja) * 1997-12-22 1999-09-17 Whitaker Corp:The コネクタ
JPH11273806A (ja) * 1998-02-27 1999-10-08 Whitaker Corp:The 電気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4638A (ja) * 1993-12-24 1998-03-06 Itt Composants & Instr 電子メモリカードの接続のための電気コネクタ
JPH11250966A (ja) * 1997-12-22 1999-09-17 Whitaker Corp:The コネクタ
JPH11251016A (ja) * 1998-02-27 1999-09-17 Amp Japan Ltd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それを用いた零挿入力接続組立体
JPH11273806A (ja) * 1998-02-27 1999-10-08 Whitaker Corp:The 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29208B (en) 2003-04-21
CN1362761A (zh) 2002-08-07
CN1221064C (zh) 2005-09-28
KR20020029634A (ko) 2002-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99470B (ko)
JP3099923B2 (ja) スタックタイプコネクタ
JP2791831B2 (ja) 電気コネクタ
US8801454B2 (en) Connector guide member and electrical connector device having the same
JP3746106B2 (ja) 基板用電気コネクタ
US7029308B2 (en) Socket for electronic module
WO2003061355A9 (en) High density connector
US11462845B2 (en) Connector assembly for solderless mounting to a circuit board
US11196207B2 (en) Card edge connector with protective cover
KR100607003B1 (ko) 낮은 프로파일 전기 커넥터
CN109586063B (zh) 基板用连接器及其组合
JP3882958B2 (ja) 可動型コネクタ
US6077092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stabilizing structure for spacer and terminal
US7261597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low profile
EP0852830A1 (en) Cap housing for electrical connectors
CN114267973A (zh) 带扁平型导体的电连接器、对象电连接器以及电连接器组装体
KR100415839B1 (ko) 전기커넥터 및 캡 부착 전기커넥터
EP1453143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holddown for ground connection
JP3551289B2 (ja) 電子部品取付ソケット及びこの電子部品取付ソケットに収容される電子部品
JP2002124339A (ja) キャップ付電気コネクタ
KR101152739B1 (ko) 전자부품 부착용 소켓 및 그것에 사용되는 콘택트 캐리어
JP7432332B2 (ja) 複数部材の接続構造および盤面取付機器
KR102535074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시스템
JP4270451B2 (ja) コネクタ
JP3681957B2 (ja) Ic用ソ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