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5630A - 이송대차 - Google Patents
이송대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25630A KR20160125630A KR1020150056276A KR20150056276A KR20160125630A KR 20160125630 A KR20160125630 A KR 20160125630A KR 1020150056276 A KR1020150056276 A KR 1020150056276A KR 20150056276 A KR20150056276 A KR 20150056276A KR 20160125630 A KR20160125630 A KR 2016012563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king
- emergency
- rod
- link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2—Travelling ladles or similar containers; Cars for lad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이송대차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강을 수용하는 래들을 이동시키는 이송대차는, 래들을 지지하는 대차바디와, 대차바디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대차 휠과, 대차 휠을 구동시키는 구동유닛과, 전력 공급에 의해 길이 신장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동 신축로드를 구비하는 제동동력원, 제동 신축로드와 연결되어 동작하는 링크, 링크와 연결되어 대차 휠을 제동시키는 제동부재, 및 제동동력원이 작동하지 않는 비상시에 링크에 외력을 가하여 제동부재를 동작함으로써 대차 휠을 제동시키거나 대차 휠의 제동력을 해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비상 제동부를 구비하는 제동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송대차 예컨데, 래들을 이송시키는 래들 이송대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상 인출기능을 구비하는 이송대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로 등에서 정련된 용강은 이송대차에 안착된 래들에 수강된 후 다음 작업 공정으로 이송된다.
이러한 전기로와 같은 설비는 그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이송대차가 전기로 하부의 출강 위치에 이동되면, 이송대차에 안착된 래들에 용강을 따르는 출강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전기로의 출강구에서 낙하되어 래들에 수용되는 용강은 출강작업 도중에 낙차에 의하여 용강이 래들의 내부에서 소용돌이 현상을 일으키면서 대차의 레일 주위에 넘치거나 용강이 낙하되는 도중에 용강 또는 슬래그(slag)가 비산되어 래들에 전력을 공급하는 케이블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는 그 밖의 문제로 인하여 래들에 전력을 공급하는 주행모터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이송대차를 크레인 운반위치로 이동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전력 공급 케이블이 손상과거나 주행모터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이송대차의 인출이 불가능해져 생산 공정이 중단되고, 용강을 적기에 다음 공정으로 공급하지 못하게 되어 온도 저하에 의해 발생하는 품질 결함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106921호에는 비상시 제동을 신속하게 해제할 수 있는 비상해제부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송대차의 제동유닛을 수동으로 개방하고 페이로더를 이용하여 밀거나 당기는 방식으로 전기로 하부에서 이송대차를 인출하는 경우, 약 200톤을 육박하는 무게로 인하여 이송대차를 크레인 운반위치로 이동하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즉, 시간 지연으로 인한 용강의 온도 저하에 따른 품질결함을 방지할 수 없고, 페이로더를 이용하여 밀거나 당길 때 이송대차가 갑자기 움직이면 용강이 출렁이면서 넘치는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은 전기로 출강작업 중 전력을 공급하는 케이블이 손상되거나 동력 장치가 고장나는 등의 비상상황에서 작동하여 이송대차를 인출할 수 있는 비상 인출기능을 구비하는 이송대차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운반 대상물을 지지하는 대차바디; 상기 대차바디에 제공되고 구동유닛을 매개로 회전하는 대차 휠; 및 제동동력원을 매개로 작동하는 제동 신축로드와 연결되어 동작하는 링크와, 상기 링크와 연결되어 상기 대차 휠을 제동시키는 제동부재와, 상기 제동동력원이 작동하지 않는 비상시 상기 링크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제동부재를 동작하여 상기 대차 휠을 제동시키거나 상기 대차 휠의 제동력을 해제하도록 마련되는 비상 제동부를 구비하는 제동유닛을 포함하는 이송대차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상 제동부는 구동원을 매게로 작동하는 비상제동 신축로드를 구비하여, 상기 제동부재에 전력을 전달하는 케이블에 전력 공급 케이블이 소손되는 경우에도 상기 대차 휠을 제동하거나 상기 대차 휠의 제동력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는 상기 제동 신축로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제동 신축로드가 신축함에 따라 움직여 상기 제동부재를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는 상기 비상제동 신축로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비상제동 신축로드가 신축함에 따라 움직여 상기 제동부재를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상제동 신축로드는 신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을 형성하고, 상기 비상제동 신축로드와 상기 링크를 결합하는 회전핀은 상기 장공에 수용되되, 상기 장공을 따라 안내되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상제동 신축로드는 신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을 형성하고, 상기 제동 신축로드 및 상기 비상제동 신축로드와 상기 링크를 결합하는 회전핀은 상기 장공에 수용되되 상기 장공을 따라 안내되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핀은 상기 제동 신축로드가 신축함에 따라 상기 장공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동 신축로드와 상기 비상제동 신축로드는 각각 상기 링크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비상제동 신축로드는 신축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회전핀을 수용하는 장공을 형성하며, 상기 제동동력원이 동작하여 상기 제동 신축로드가 신축하는 경우 상기 회전핀은 상기 장공을 따라 상기 제동 신축로드의 신축방향으로 이동하되, 상기 구동원이 동작하여 상기 비상제동 신축로드가 신축하는 경우 상기 회전핀은 상기 장공의 내측에 지지되어 상기 비상제동 신축로드의 신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동동력원의 일 측은 상기 대차바디에 마련되는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구동원인 에어실린더의 일 측은 상기 대차바디에 마련되는 프레임 또는 상기 제동동력원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유닛은 전력에 의해 동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구동유닛과 상기 대차 휠 사이에 마련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유닛과, 상기 구동유닛으로부터 동력 전달이 되지 않는 경우, 에어를 이용한 구동력을 상기 대차 휠에 전달하도록 상기 동력 전달유닛과 연결되는 비상 구동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상 구동유닛은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회전하는 프로펠러와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력을 상기 구동 전달유닛에 전달하도록 결합되는 비상 기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원인 에어실린더에 연결되는 에어 유로는 중도에 분기되어 상기 비상 구동유닛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은 비상 인출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전기로 출강작업 중 전력을 공급하는 케이블이 손상되거나 동력 장치가 고장나는 등의 비상상황에서도 신속하게 이송대차를 인출함으로써 용강의 온도 저하에 의한 품질결함을 방지하고 수동 인출 작업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대차 예컨대, 래들 이송대차의 모습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전기로의 용강을 래들로 출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대차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유닛과 동력 전달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동유닛의 제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동유닛의 일반 제동 해제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동유닛의 비상 제동 해제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동유닛의 비상 제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전기로의 용강을 래들로 출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대차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유닛과 동력 전달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동유닛의 제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동유닛의 일반 제동 해제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동유닛의 비상 제동 해제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동유닛의 비상 제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대차의 모습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전기로(F)의 용강(S)을 래들로 출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운반 대상물을 래들로 하는 래들 이송대차로 한정하여 설명하지만, 반드시 래들용 이송대차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비상 제동 환경이 필요한 이송대차에는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함은 당연하다.
전기로 작업공정에서 용해된 용강(S)은 이송대차(10)의 래들(20)로 출강되어 크레인 운반위치로 이동한다.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송대차(10)는 지면에 설치된 레일(11)을 따라 이동하는 대차 바디(12)를 구비하고, 대차 바디(12)에는 레일(11)을 따라 구름 이동하는 대차 휠(13)이 마련될 수 있다.
대차 휠(13)은 대차 바디(12)가 주행하는 방향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네 개소 설치될 수 있고, 대차 휠(13)은 대차 바디(12)의 하측에 마련된 기계실(30)에 배치된 구동유닛(40)에 의해 각각 회전 구동될 수 있다.
대차 바디(12)의 좌우 양측에는 래들(20)이 안착되는 지지부(14)가 마련되고, 래들(20)은 지지부(14)에 지지되는 상태에서 출강되는 용강(S)을 수용한다. 그리고 기계실(30)은 출강과정에서 비산되는 용강(S) 또는 슬래그(S1)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도록 대차 바디(1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래들(20)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용강(S)을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래들(20)의 양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걸이대(21)는 대차 바디(12)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지지부(14)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래들(20)은 걸이대(21)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대차(10)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기계실(30)에는 대차 휠(13)을 구동하는 구동유닛(40)와, 대차 휠(13)을 필요에 따라 제동하거나 제동 해제하는 제동유닛(100)이 마련될 수 있다.
구동유닛(40)은 양 측에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한 쌍의 구동유닛(40)은 각각 좌, 우측의 대차 휠(13)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동유닛(100)은 각각의 구동유닛(40)에 마련되어 대차 휠(13)에 전달되는 구동력을 차단할 수 있다. 제동유닛(100)은 구동유닛(40)에 직접 작용하거나, 대차 휠(13)에 직접 작용하거나, 구동유닛(40)과 대차 휠(13) 사이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유닛(50)에 작용하여 대차 휠(13)을 제동하거나 제동 해제할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유닛(40)과 동력 전달유닛(50)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대차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유닛(40)과 구동유닛(40)의 구동력을 대차 휠(13)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유닛을 포함한다.
구동유닛(40)은 전력 케이블(16)에 의해 제공되는 전력으로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41)와 모터축(42)을 포함한다.
동력 전달유닛(50)는 구동모터(41)의 모터축(42)에 축 연결되는 동력전달축(51)과, 동력전달축(51)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도록 동력전달축(51)의 단부에 결합된 구동풀리(52)와, 대차 휠(13)의 축에 축 연결되는 종동풀리(54)와, 구동풀리(52)가 회전할 때 종동풀리(54)가 회전하도록 구동풀리(52)와 종동풀리(54)를 연결하는 벨트(53)를 포함한다. 여기서, 벨트는 특별히 지적하지 않은 경우 체인, 케이블, 와이어 등과 같은 연속적인 또는 환상 구동유닛을 모두 포함하고, 풀리는 기어나 스프로켓은 물론 톱니가 형성되거나 형성되지 아니한 휠 및 롤러 등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41)가 회전하게 되면, 구동모터(41)의 회전력은 동력전달축(51), 구동풀리(52), 벨트(53) 및 종동풀리(54)를 통해 대차 휠(13)에 전달된다.
제동유닛(100)은 용강(S)의 출강 위치에서 이송대차(10)를 제동하거나, 이송대차(10)의 이동 시 제동을 해제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동유닛의 제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와 도 6을 참고하면, 제동유닛(100)은 제동부재, 제동 링크부재(112, 113, 114), 제동 신축로드(121), 제동동력원(120)을 포함한다.
제동부재는 대차 휠(13)을 제동할 수 있는 부재들을 포함하며, 제동방법이나 설치되는 위치는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제동부재는 드럼 방식 또는 디스크 방식을 이용하는 부재일 수 있으며, 대차 휠(13)에 직접 설치되거나, 동력 전달유닛(50)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동부재가 제동드럼(110)과 제동라이너(111)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동드럼(110)은 구동모터(41)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축(51)의 중도에 설치될 수 있고,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어 동력전달축(51)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또는 제동드럼(110)은 모터축(42)의 중도나 대차 휠(13) 축의 중도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동라이너(111)는 제동드럼(110)의 양측에 마주보도록 한 쌍이 배치되고, 내측에 제동드럼(110)과 접촉하는 마찰패드를 구비할 수 있다. 제동라이너(111)는 제동 링크부재(112, 113, 114)의 동작에 의해 제동드럼(110)과 접촉하여 동력전달축(51)의 회전을 구속하거나, 제동드럼(110)과 이격되어 동력전달축(51)의 구속을 해제하도록 마련된다.
도면에는 제동라이너(111)가 제동드럼(110)의 외면을 가압함으로써 동력전달축(51)을 제동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이와 달리 제동드럼(111)이 내부에 제동라이너(111)가 설치될 수 있는 원 형상의 요입부를 형성하고, 제동라이너(111)가 요입부의 내측면을 가압함으로써 동력전달축(51)을 제동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는, 제동라이너(111)가 제동드럼(111)의 측면부를 가압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때는 디스크 브레이크와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동 링크부재(112, 113, 114)는 한 쌍의 종방향 링크(112: 112a, 112b), 횡방향 링크(113), 작동링크(114), 및 비상 제동로드(115)를 포함한다.
한 쌍의 종방향 링크(112)는 제동드럼(110)의 양측에 종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하단이 기계실(30)에 배치된 프레임(3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종방향 링크(112)의 중도에는 각각 제동라이너(111)의 일측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종방향 링크(112)는 후술하는 작동링크(114)의 동작과 연동하여 프레임(31)에 대해 회전 운동하여 제동라이너(111)가 제동드럼(110)과 접촉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동하거나, 접촉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동을 해제할 수 있다. 이 때, 한 쌍의 종방향 링크(112)는 제동드럼(11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마련된다.
일 예로, 한 쌍의 종방향 링크 중 어느 하나(112a)는 일 단이 작동링크(114)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 단이 프레임(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 때, 종방향 링크(112a)의 프레임(31)과 결합하는 타 단은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 운동만이 가능하므로, 작동링크(114)와 결합하는 일 단이 제동드럼(110)과 근접하는 방향으로 왕복 운동 가능하다.
그리고 한 쌍의 종방향 링크 중 다른 하나(112a)는 일 단이 횡방향 링크(113)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 단이 프레임(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 때, 종방향 링크(112a)의 프레임(31)과 결합하는 타 단은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 운동만이 가능하므로, 작동링크(114)와 결합하는 일 단이 제동드럼(110)과 근접하는 방향으로 왕복 운동 가능하다.
횡방향 링크(113)는 일 단이 작동링크(11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 단은 한 쌍의 종방향 링크 중 다른 하나(112b)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횡방향 링크(113)는 작동링크(114)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한 쌍의 종방향 링크 중 다른 하나(112a)를 제동드럼(110)과 근접하는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킨다.
작동링크(114)는 일 단이 제동동력원(12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동 신축로드(121)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 단이 한 쌍의 종방향 링크 중 어느 하나(112a)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작동링크(114)와 제동 신축로드(121)는 작동링크 회전축(114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작동링크(114)의 중도에는 비상 제동로드(115)의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작동링크(114)는 비상 제동로드(115)와 결합하는 부분을 중심으로 시소 운동할 수 있다. 즉, 작동링크(114)는 제동 신축로드(121)가 신장되는 경우 제동 신축로드(121)가 연결되는 일 측이 상부로 이동하는 동시에 종방향 링크 중 어느 하나(112a)에 연결되는 타 측이 하부로 이동하고, 제동 신축로드(121)가 수축되는 경우 제동 신축로드(121)가 연결되는 일 측이 하부로 이동하는 동시에 종방향 링크 중 어느 하나(112a)에 연결되는 타 측이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비상 제동로드(115)는 작동링크(114)의 중앙에서 약간 편향된 위치에 결합되어 작동링크(114)를 축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비상 제동로드(115)는 이송대차(10)의 이동 중 제동동력원(120)의 동력이 해제된 경우, 제동 링크부재(112, 113, 114)를 움직여 제동드럼(110)의 제동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비상 제동로드(115)는 상단이 작동링크(114)의 중앙에서 인접하는 종방향 링크(112) 쪽으로 약간 편향된 위치에 작동링크(114)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이 중공 원통 형상의 케이싱(116) 내에 배치된 탄성부재(117)에 탄성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비상 제동로드(115)는 작동링크(114)의 움직임에 따라 탄성부재(117)에 지지된 상태로 상하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따라서 비상 제동로드(115)는 제동유닛(100)의 제동 해제상태에서 제동동력원(120)의 동력이 해제된 경우에도 탄성부재(117)의 탄성력에 의해 작동링크(114)를 가압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제동 링크부재(112, 113, 114)를 통해 제동드럼(110)의 제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제동동력원(120)은 오일의 압력에 의해 제동 신축로드(121)를 왕복 이동시키는 유압식 실린더 또는 에어의 압력의 의해 제동 신축로드(121)를 왕복 이동시키는 공압식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제동동력원(120)은 제동 신축로드(121)를 왕복 이동시킬 수 있는 기계적 구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볼 스크류 타입이나 웜과 웜휠 기어 타입 등의 기계적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동동력원(120)은 전력이 공급되는 케이블(16)과 연결될 수 있다. 도 2와 도 3을 참고하면, 전력 케이블(16)은 이송대차(10)의 측부에 마련되는 릴(15)에 감겨 있는 형태로 거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력 케이블(16)의 일 측은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제동동력원(120)에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전력 케이블(16)은 구동모터(41)와 연결되어 전력을 전달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전력 케이블(16)은 분기되어 각각 구동모터(41)와 제동동력원(1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구동유닛(40)와 제동유닛(100)이 구비된 이송대차(10)가 전력 케이블(16)에 의해 전달되는 전력으로 구동되거나 제동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 2를 참고하면, 전력 케이블(16)은 전기로(F)의 용강(S)을 래들(20)로 출강하는 과정에서 비산되는 용강(S) 또는 슬래그(S1)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이 경우, 제동유닛(100)에 의한 제동 해제가 이루어지지 않아 이송대차(10)를 이동시킬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구동유닛(40)이 동작하지 않아 이송대차(10)를 수동으로 이동시켜야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비상 구동유닛을 구비하여 전력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에도 이송대차(10)를 구동시킬 수 있고, 비상 제동부를 구비하여 제동유닛(100)의 제동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여 비상 구동유닛(2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비상 구동유닛(200)은 전력 케이블(16)이 손상되거나, 구동모터(41)가 고장나서 구동 불능 상태가 되는 경우에 동작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비상 구동유닛(200)은 에어 공급라인(17)을 통해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예로, 비상 구동유닛(200)은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회전하는 프로펠러(211)와 프로펠러(211)와 연결되는 에어 모터(210)와, 에어 모터(210)의 구동력을 동력 전달유닛(50)으로 전달하는 비상 기어부(220, 2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도 프로펠러(211)를 회전시킨 에어를 배출하는 배출구(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상 기어부(220, 230)는 감속기를 구비하거나, 동력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에어 모터(21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에어 모터 측 기어(220)과, 에어 모터 측 기어(220)와 동력 전달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동력전달출(51)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결합되는 동력전달축 측 기어(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상 기어부(220, 230)는 에어 모터(210)의 구동력을 직접 대차 휠(13)에 전달하는 등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에어 공급라인(17)은 에어 밸브(18)에 의해 개폐가 제어될 수 있다. 일 예로, 구동모터(41)의 동작이 원활한 경우 에어 밸브(18)를 닫은 채로 유지하고, 구동모터(41)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전력 케이블(16)이 손상된 경우에 에어 밸브(18)를 열어서 에어 모터(210)를 동작시켜 대차 휠(13)을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에어 공급라인(17)은 비상 구동유닛(200)으로 공급되는 에어 공급라인(17a)과 에어실린더(130)로 공급되는 에어 공급라인(17b)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의 에어 공급라인에서 두 에어 공급라인(17a, 17b)으로 분기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비상 제동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비상 제동부는 전력 케이블(16)이 손상되거나, 제동동력원(120)이 고장나서 제동 불능 또는 제동 해제 불능 상태가 되는 경우에 동작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비상 제동부는 에어 공급라인(17)을 통해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예로, 비상 제동부는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동력을 제공하는 에어실린더(130)와 에어실린더(130)에 의해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길이가 신축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비상제동 신축로드(131)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실린더(130)는 에어 공급라인(17)을 통해 에어가 공급되는 경우 비상제동 신축로드(131)를 밀어내어 신장시키고, 에어실린더(130) 내에 충진된 에어가 빠져나가는 경우 비상제동 신축로드(131)가 끌여당겨지면서 수축될 수 있다.
에어 공급라인(17)은 에어 밸브(18)에 의해 개폐가 제어될 수 있다. 일 예로, 제동동력원(120)의 동작이 원활한 경우 에어 밸브(18)를 닫은 채로 유지하고, 제동동력원(120)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전력 케이블(16)이 손상된 경우에 에어 밸브(18)를 열어서 에어실린더(130)를 동작시켜 제동라이너(111)를 구동시킬 수 있다.
에어실린더(130)의 일 측은 프레임(31) 또는 제동동력원(12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에어실린더(130)는 일 측이 제동동력원(120)과 프레임(31)을 연결하는 제동동력원 회전축(12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에어실린더(130)의 타 측은 작동링크 회전축(114a)과 결합된다. 이 때, 작동링크 회전축(114a)은 제동 신축로드(121)의 신장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때에 비상제동 신축로드(131)에 간섭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비상제동 신축로드(131)는 신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132)을 포함하고, 작동링크 회전축(114a)은 장공(132)에 수용되고 가이드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전력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상황에서는 제동동력원(120)이 제동 신축로드(121)를 밀어내어(신장시켜) 제동라이너(111)가 제동드럼(110)으로부터 떨어지도록 하여 제동 해제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동 신축로드(121)의 일 측과 작동링크 회전축(114a)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작동링크(114)의 일 측이 상승하게 되고, 작동링크(114)의 타 측과 연결되는 한 쌍의 종방향 링크 중 어느 하나(112a)는 제동드럼(11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동이 해제될 수 있다.
이 때, 작동링크 회전축(114a)는 비상제동 신축로드(131)에 형성되는 장공(132)을 따라 안내되어 이동한다. 따라서 제동 신축로드(121)의 신장과 함께 작동링크 회전축(114a)이 상승하는 때에 비상제동 신축로드(131)에 의해 간섭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동유닛(100)의 비상 제동 해제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비상제동 신축로드(131)는 신장되면서 작동링크 회전축(114a)을 밀어 올릴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비상제동 신축로드(131)에 형성되는 장공(131)의 내경 하부가 작동링크 회전축(114a)을 밀어 올림으로써 비상 제동 해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제동 신축로드(121)는 동력이 가해지지 않는 때에 강제 신장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작동링크 회전축(114a)과 연결된 제동 신축로드(121)는 비상제동 신축로드(131)의 신장력에 의해 신장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 밸브(18)가 개방되어 에어 공급라인(17)을 따라 에어가 에어실린더(130)에 공급되면, 에어실린더(130)는 비상제동 신축로드(131)를 밀어내게 된다. 비상제동 신축로드(131)는 신장되면서 장공의 내경 하부에 위치하는 작동링크 회전축(114a)을 밀어 올리고, 작동링크 회전축(114a)은 제동 신축로드(121)를 끌어 당기면서 상향으로 이동하고 작동로드 회전축(114a)과 결합하는 작동로드(114)의 일 측이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작동링크(114)의 타 측과 연결되는 한 쌍의 종방향 링크 중 어느 하나(112a)는 제동드럼(11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동이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제동부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거나 제동동력원(120)에 이상이 발생하는 비상시에 제동을 해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동력을 가하여 이송대차(10)의 움직임을 멈출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동유닛(100)의 비상 제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과 도 11을 참고하면, 도 8과 같이 제동동력원(120)이 작동하여 제동 해제된 상태에서 비상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제동 신축로드(121)를 수축시킬 수가 없게 된다. 이 때, 도 11과 같이 비상제동 신축로드(131)를 수축시킴으로써 작동링크 회전축(114a)을 아래로 끌어 내리게 되고, 작동링크 회전축(114a)과 연결된 작동로드(114)와 제동 신축로드(121) 역시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작동로드(114)의 일 측이 아래로 내려감으로써 제동라이너(111)가 제동드럼(110)을 가압하여 제동력을 가할 수 있음은 도 5에서 설명한 바 있다.
10: 이송대차
12: 대차 바디
20: 래들 30: 기계실
40: 구동유닛 50: 동력 전달유닛
51: 동력전달축 100: 제동유닛
110: 제동드럼 111: 제동라이너
112: 종방향 링크 113: 횡방향 링크
114: 작동링크 115: 비상 제동로드
120: 제동동력원 121: 제동 신축로드
130: 에어실린더 131: 비상제동 신축로드
200: 비상 구동유닛 210: 에어 모터
220: 에어 모터 측 기어 230: 동력전달축 측 기어
20: 래들 30: 기계실
40: 구동유닛 50: 동력 전달유닛
51: 동력전달축 100: 제동유닛
110: 제동드럼 111: 제동라이너
112: 종방향 링크 113: 횡방향 링크
114: 작동링크 115: 비상 제동로드
120: 제동동력원 121: 제동 신축로드
130: 에어실린더 131: 비상제동 신축로드
200: 비상 구동유닛 210: 에어 모터
220: 에어 모터 측 기어 230: 동력전달축 측 기어
Claims (11)
- 운반 대상물을 지지하는 대차바디;
상기 대차바디에 제공되고 구동유닛을 매개로 회전하는 대차 휠; 및
제동동력원을 매개로 작동하는 제동 신축로드와 연결되어 동작하는 링크와, 상기 링크와 연결되어 상기 대차 휠을 제동시키는 제동부재와, 상기 제동동력원이 작동하지 않는 비상시 상기 링크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제동부재를 동작하여 상기 대차 휠을 제동시키거나 상기 대차 휠의 제동력을 해제하도록 마련되는 비상 제동부를 구비하는 제동유닛을 포함하는 이송대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제동부는 구동원을 매게로 작동하는 비상제동 신축로드를 구비하여, 상기 제동부재에 전력을 전달하는 케이블에 전력 공급 케이블이 소손되는 경우에도 상기 대차 휠을 제동하거나 상기 대차 휠의 제동력을 해제하는 이송대차.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기 제동 신축로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제동 신축로드가 신축함에 따라 움직여 상기 제동부재를 동작하는 이송대차.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기 비상제동 신축로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비상제동 신축로드가 신축함에 따라 움직여 상기 제동부재를 동작하는 이송대차.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제동 신축로드는 신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을 형성하고,
상기 비상제동 신축로드와 상기 링크를 결합하는 회전핀은 상기 장공에 수용되되, 상기 장공을 따라 안내되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이송대차.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제동 신축로드는 신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을 형성하고,
상기 제동 신축로드 및 상기 비상제동 신축로드와 상기 링크를 결합하는 회전핀은 상기 장공에 수용되되 상기 장공을 따라 안내되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이송대차. -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핀은 상기 제동 신축로드가 신축함에 따라 상기 장공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대차.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신축로드와 상기 비상제동 신축로드는 각각 상기 링크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비상제동 신축로드는 신축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회전핀을 수용하는 장공을 형성하며,
상기 제동동력원이 동작하여 상기 제동 신축로드가 신축하는 경우 상기 회전핀은 상기 장공을 따라 상기 제동 신축로드의 신축방향으로 이동하되, 상기 구동원이 동작하여 상기 비상제동 신축로드가 신축하는 경우 상기 회전핀은 상기 장공의 내측에 지지되어 상기 비상제동 신축로드의 신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이송대차.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동력원의 일 측은 상기 대차바디에 마련되는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구동원인 에어실린더의 일 측은 상기 대차바디에 마련되는 프레임 또는 상기 제동동력원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이송대차.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전력에 의해 동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구동유닛과 상기 대차 휠 사이에 마련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유닛과,
상기 구동유닛으로부터 동력 전달이 되지 않는 경우, 에어를 이용한 구동력을 상기 대차 휠에 전달하도록 상기 동력 전달유닛과 연결되는 비상 구동유닛을 더 포함하는 이송대차.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구동유닛은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회전하는 프로펠러와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력을 상기 구동 전달유닛에 전달하도록 결합되는 비상 기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원인 에어실린더에 연결되는 에어 유로는 중도에 분기되어 상기 비상 구동유닛으로 연결되는 이송대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56276A KR101695751B1 (ko) | 2015-04-22 | 2015-04-22 | 이송대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56276A KR101695751B1 (ko) | 2015-04-22 | 2015-04-22 | 이송대차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25630A true KR20160125630A (ko) | 2016-11-01 |
KR101695751B1 KR101695751B1 (ko) | 2017-01-12 |
Family
ID=57484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56276A KR101695751B1 (ko) | 2015-04-22 | 2015-04-22 | 이송대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95751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43299B1 (ko) * | 2017-09-22 | 2019-01-29 |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 스토커 장치 |
KR102408972B1 (ko) * | 2021-07-16 | 2022-06-14 | 서금석 | 레미콘 운반대차 시스템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25612A (ja) * | 1998-07-13 | 2000-01-25 | Hosen Kiki Seibi Kk | 作業台車 |
KR20050031238A (ko) * | 2003-09-29 | 2005-04-06 | 주식회사 포스코 | 스러스터 브레이크의 비상 제어 장치 |
JP2012001157A (ja) * | 2010-06-18 | 2012-01-05 | Chunichi Sangyo Kk | 運搬車のブレーキ装置 |
JP2013129295A (ja) * | 2011-12-21 | 2013-07-04 | East Japan Railway Co | 作業台車 |
KR20140106921A (ko) | 2013-02-27 | 2014-09-04 | 현대제철 주식회사 | 토페도 래들 카 |
-
2015
- 2015-04-22 KR KR1020150056276A patent/KR10169575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25612A (ja) * | 1998-07-13 | 2000-01-25 | Hosen Kiki Seibi Kk | 作業台車 |
KR20050031238A (ko) * | 2003-09-29 | 2005-04-06 | 주식회사 포스코 | 스러스터 브레이크의 비상 제어 장치 |
JP2012001157A (ja) * | 2010-06-18 | 2012-01-05 | Chunichi Sangyo Kk | 運搬車のブレーキ装置 |
JP2013129295A (ja) * | 2011-12-21 | 2013-07-04 | East Japan Railway Co | 作業台車 |
KR20140106921A (ko) | 2013-02-27 | 2014-09-04 | 현대제철 주식회사 | 토페도 래들 카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43299B1 (ko) * | 2017-09-22 | 2019-01-29 |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 스토커 장치 |
KR102408972B1 (ko) * | 2021-07-16 | 2022-06-14 | 서금석 | 레미콘 운반대차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95751B1 (ko) | 2017-01-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5819310B (zh) | 一种具有手动自救缓降功能的双曳引驱动电梯 | |
JP2004099323A (ja) | ローラ軌道に配置されたバッテリブロックを備えた構内運搬車両 | |
CN105947917A (zh) | 浮空器地面系留牵引绞盘 | |
KR101695751B1 (ko) | 이송대차 | |
CN103434912A (zh) | 电梯钢丝绳夹绳器 | |
CN105246816A (zh) | 承载机构制动装置 | |
CN102285583A (zh) | 渣土翻斗装置 | |
CN101214878A (zh) | 带式输送机 | |
CN106812546B (zh) | 一种管片中转装置及隧道掘进机 | |
JP2012240513A (ja) | 索条牽引式傾斜輸送設備の安全装置 | |
CN107520265B (zh) | 一种铝合金衬塑管自动化拉拔机 | |
US9932210B2 (en) | Coupling device | |
CN114408714B (zh) | 一种绳索更换装置 | |
US1979310A (en) | Paper winder | |
KR100609836B1 (ko) |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 |
KR101695752B1 (ko) | 운반 대차 | |
CN105905022A (zh) | 乳化液动力支架多功能移位机 | |
CN205518020U (zh) | 一种棒磨机辅助装棒装置 | |
JP5946663B2 (ja) | 車両台車の搬送装置 | |
CN206088805U (zh) | 一种高速轨行式搬运机械手 | |
CN102975780B (zh) | 工程车辆及其备胎架 | |
CN109702539A (zh) | 一种自动排钻上料误差调节机构 | |
CN102785925A (zh) | 重型工件输送结构 | |
CN202741429U (zh) | 铝板带箔轧机机架内的拆卸升降装置 | |
CN106276623A (zh) | 一种高速轨行式搬运机械手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