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4374A -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 및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 및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4374A
KR20160124374A KR1020150054622A KR20150054622A KR20160124374A KR 20160124374 A KR20160124374 A KR 20160124374A KR 1020150054622 A KR1020150054622 A KR 1020150054622A KR 20150054622 A KR20150054622 A KR 20150054622A KR 20160124374 A KR20160124374 A KR 20160124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evaporator
source unit
air conditione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4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3118B1 (ko
Inventor
이도재
이태연
Original Assignee
갑을오토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갑을오토텍(주) filed Critical 갑을오토텍(주)
Priority to KR1020150054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3118B1/ko
Publication of KR20160124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4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 B60H1/0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7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he type of heat exchanger, e.g. condenser, evapo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는 자동차 내부에 설치되며, 일측과 타측에 공기유입구와 공기유출구가 형성된 공기조화기하우징와, 공기조화기하우징 내부 일측에 배치된 증발기와, 공기조화기하우징 내부 타측에 배치된 히터코어와, 공기조화기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전원인가시 자외선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 및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 제어방법은 자외선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이용하여 증발기 표면을 살균함으로써 곰팡이 등 균의 발생을 차단하고, 기 발생된 균을 사멸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 및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 제어방법{HVAC HAVNING LAMP FOR STERILIZING EVAPORATOR AND CONTROL METHOD THEROF}
본 발명은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 및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단파장의 자외선 광을 이용하여 자동차용 공기조화기 내의 증발기를 살균시키는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 및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실내의 공기를 보다 쾌적하게 하기 위하여 공기조화기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기의 내부에는 증발기, 히터코어 및 댐퍼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설정 또는 프로그램화된 제어장치에 의하여 증발기 및 히터코어의 출력, 댐퍼의 개폐각도 등을 조절하여 자동차 실내의 온도를 조절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 중 증발기의 경우, 증발기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낮추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유입되는 공기가 종종 이슬점 이하로 냉각되어 응축수를 발생시키게 되며, 이러한 응축수는 사용환경에 따라 곰팡이, 박테리아 등의 번식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여 냄새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4-0011149 등록특허는 박테리아, 곰팡이 등의 번식을 줄일 수 있도록 응축수를 배출시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9-0044813은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응축수를 제거하여 곰팡이, 박테리아 등의 번식을 차단시키려고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발명은 발생된 응축수를 제거하는 것에 초점을 둔 것으로, 이미 번식된 곰팡이, 박테리아 등의 경우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4-001114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9-0044813호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 및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첫째, 증발기 표면을 살균함으로써 곰팡이 등 균의 발생을 차단시킬 수 잇도록 하고자 한다.
둘째, 증발기 표면을 살균함으로써 증발기 표면에 발생된 균을 사멸시킬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셋째, 증발기의 전체 영역을 구분하여 순차적으로 살균함으로써 살균의 효과를 증대시키고, 살균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넷째, 차량의 운행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운행종료 전 증발기를 살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살균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는 자동차 내부에 설치되며, 일측과 타측에 공기유입구와 공기유출구가 형성된 공기조화기하우징와, 공기조화기하우징 내부 일측에 배치된 증발기와, 공기조화기하우징 내부 타측에 배치된 히터코어와, 공기조화기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전원인가시 자외선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의 증발기를 기준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의 공기조화기하우징에는 광원부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의 공기조화기하우징 내부에는 공기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증발기와 히터코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송풍기가 배치되고, 송풍기와 증발기 사이에는 송풍기 하우징이 형성되며, 송풍기 하우징에는 광원부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의 증발기와 히터코어를 경유하는 공기의 흐름을 단속하는 도어가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배치되고, 도어의 타측에는 광원부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의 광원부의 일면에는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자외선 광을 증발기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의 광원부는 자외선 광을 발생시키는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의 광원부는 발광다이오드 일측에 배치되어 발광다이오드에서 조사되는 빛을 반시시키는 반사부재와, 발광다이오드타측에 배치되어 발광다이오드에서 조사되는 및/또는 반사부재에서 반사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프리즘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의 프리즘의 증발기 방향의 면에는 렌즈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의 발광다이오드는 발광다이오드의 일측 방향으로 볼록한 면을 형성한 투명부재 내에 수용되고, 투명부재의 볼록한 면에는 반사부재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의 투명부재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의 광원부 제어방법은 증발기, 히터코어, 자외선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포함하는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의 광원부 제어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운행 종료 및 증발기의 가동여부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 제1단계에서 차량의 운행 종료 및 증발기 가동으로 판단되면, 광원부(400)에 소정시간의 전류를 인가하는 제2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의 광원부 제어방법은
운행보조장치를 통해 차량의 목적지를 입력하는 제1단계와, 입력된 목적지에 차량의 목적지에 도달시간을 산출하며, 증발기의 가동여부를 판단하는 제1-1단계와, 제1-1단계에서 증발기 가동 가동으로 판단되고, 상기 목적지 도달시간이 소정시간 내인 경우 상기 광원부(400)에 소정시간의 전류를 인가하는 제2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의 광원부 제어방법은 광원부가 도어에 배치되는 경우, 제2단계에서 도어를 회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의 광원부 제어방법은 도어의 전체 회동각을 복수의 구간으로 분할하여, 일 구간내의 회동각 중 일 회동각을 선택하여 일정시간 도어를 정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 및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 제어방법은 자외선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이용하여 증발기 표면을 살균함으로써 곰팡이 등 균의 발생을 차단하고, 기 발생된 균을 사멸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광원부를 이동시켜 증발기에 조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살균의 효과 및 살균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차량의 운행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운행종료 전 소정시간 동안 증발기를 살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살균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단면도이다.
도 3는 도 1에 도시된 광원부의 일 실시예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광원부의 다른 일 실시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 및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 제어방법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검토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3는 도 1에 도시된 광원부의 일 실시예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광원부의 다른 일 실시예이다.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는 자동차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유입구와 공기유출구가 형성된 공기조화기하우징(100) 내부에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200) 및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히터코어(300)로 구성되며, 공기조화기하우징(100) 내부에는 전원인가시 자외선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400)가 설치된다.
이러한 증발기(200)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과정에서 증발기(200)의 표면에는 이슬점 이하의 온도로 냉각된 공기에 의하여 응축수가 형성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응축수는 곰팡이 등과 같은 균을 발생, 성장시킬 수 있는 확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공기조화기의 가동시 악취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원부(400)의 경우 전원 인가시 자외선 광을 증발기(200)로 조사하여 곰팡이를 사멸시키고 성장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광원부(4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200)를 기준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의 공기조화기하우징(1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증발기(300)를 기준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과 공기가 유출되는 방향 모두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공기가 유출되는 방향만 배치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광원부(400)의 위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증발기(200)와 히터코어(300)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송풍기(10)와 증발기(110) 사이에 일측이 개방되어 송풍기로부터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송풍기 하우징(110) 중 증발기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공기조화기하우징(200)의 내부 하부 벽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응축수에 광원부(400)가 잠기지 않도록 증발기(200) 하단부보다 높은 위치에 광원부(400)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광원부(400)의 방수가 신뢰성이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증발기(200) 하단부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도 2을 참조하면 광원부(200)는 증발기(200)와 히터코어(300) 사이에 히터코어(300)를 경유하는 공기의 흐름을 단속하는 도어(12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12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도어(120)에 배치된 광원부(400)는 도어(120)의 회동과 동시에 이동하며 증발기(200)에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어 작은 수의 광원부(400)을 이용하여 증발기(200) 전체 면적을 조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도 2의 실시예는 앞에서 설명한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와 혼합하여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자명하다.
광원부(400)의 일면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부(40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 광을 증발기(200)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면(500)이 형성되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반사면(500)은 공기조화기하우징 내면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공기조화기하우징 내면 중 증발기(200) 및 광원부(400)를 중심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앞에서 설명한 광원부(400)는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종래의 자외선을 조사하는 석영관을 이용한 램프, 발광물질을 이용한 형태의 램프의 경우 부피가 있어 송풍기(10)에 의해 이동하는 공기의 저항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광원부(400)는 자외선 광을 발생시키는 발광다이오드(410)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원부(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다이오드(410) 일측에 배치되어 발광다이오드(410)에서 조사되는 빛을 반시시키는 반사부재(420)와, 발광다이오드(410)타측에 배치되어 발광다이오드(410)에서 조사되는 및/또는 반사부재(420)에서 반사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프리즘(430)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프리즘(430)의 증발기(200) 방향의 면에는 렌즈(440)가 배치되어 자외선의 직진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반사부재(420) 자체는 도 3과 같이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외부충격에 의한 발광다이오드(410)의 손상 및/또는 물에 의한 발광다이오드(4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발광다이오드(410)를 수용한 투명부재(421)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반사부재(420)가 형성되는 면은 증발기(200)의 반대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반사부재(420)는 반사성이 좋은 알루미늄, 은과 같은 물질을 이용한 도료, 박판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앞에서 설명한 투명부재(421)은 아크릴 등과 같은 투명한 고분자 물질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도 있으며, 도 4와 같이 전체적으로 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공기조화기하우징 내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도어(120)에 배치된 광원부(400, 도 2 참조)와 같이 회전하며 증발기(200)에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이러한 광원부(200)의 설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위치에 국한되지 않으며, 증발기(200)를 기준으로 양쪽, 또는 어느 한쪽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블록도인 도 5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블록도인 도 6을 참조하면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의 광원부 제어방법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5는 증발기(200), 히터코어(300), 자외선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400)를 포함하는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의 광원부(400) 제어방법으로 차량의 운행시 차량의 운행 종료 및 증발기의 가동여부를 판단하는 제1단계(S1)를 통해 차량의 운행이 종료되었는지, 증발기(200)가 가동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이렇게 판단한 결과 차량의 운행이 종료되고, 증발기(200)가 가동된 것으로 판단되며, 소정의 시간(광원부의 출력에 따라 상이함) 동안 광원부(400)에 소정시간의 전류를 인가하는 제2단계(S2)를 통해 증발기(200)에 자외선을 조사한다. 만일 제1단계(S1)에서 차량의 운행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었으나, 증발기(200)가 가동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또는 운행이 종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광원부(200)에 전류를 인가하지 않고 종료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제어방법에 의하면 자동으로 증발기(200)를 살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증발기(200)를 보다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으며, 광원부(200)에 소요되는 에너지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제어방법은 차량이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지의 경로 정보를 전달하는 운행보조장치와 연동하여 제어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운행보조장치를 통해 차량의 목적지가 입력되는 제1-1단계(S1'-1)와 입력된 목적지에 차량의 목적지에 도달시간을 산출하는 제1-2단계(S1'-2)와, 목적지 도달시간이 소정시간 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3단계(S1'-3)여부를 판단하며, 증발기의 가동여부를 판단하는 제1-4단계(S1'-4)를 거쳐 증발기가 가동된 경우로 광원부(400)에 소정시간의 전류를 인가하는 제2단계(S2')로 구성된다.
제1-1단계(S1'-1)에서 운행보조장치에 차량이 가고자 하는 목적지가 입력되면 제1-2단계(S1'-2)에서 운행보조장치는 차량의 위치정보와 목적지의 지리정보 등을 이용하여 목적지의 도달시간을 산출한다. 산출된 도달시간은 차량의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증감되어 업데이트되므로 제1-3단계(S1'-3)에서 앞에서 설명한 소정시간과 비교하여 소정의 시간과 목적지 도달시간이 동일하거나 작은 경우를 판단하여 목적지 도달시간이 소정시간과 동일하거나 작은 경우 제1-4단계(S1'-4)에서 증발기(200)의 가동여부를 판단하여 가동된 경우, 제2단계(S'2)에서 광원부(400)에 소정시간 동안 전류를 인가하여 증발기(200)를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광원부(400)가 도어(120)에 배치되는 경우, 도 5 및 도 6에서 도시된 제2단계(S2, S'2)에서 광원부(200)에 전원을 인가하는 것과 동시에 도어(120)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도어(120)의 회동은 도어(120)가 회동할 수 있는 전체 회동각을 일정한 속도로 반복하여 왕복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어(120)의 회동에 에너지가 많이 소모될 수 있으므로 실시예에 따라 도어(120)의 전체 회동각을 복수의 구간으로 분할하고 일 구간내의 회동각 중 일 회동각(예를 들어 일 구간내에서 광원부가 최상단에 위치하는 회동각, 광원부가 최하단에 위치하는 회동각, 광원부가 최상단에 위치하는 회동각과 최하단에 위치하는 회동각 사이의 중앙의 회동각)을 선택하여 일정시간 선택된 회동각으로 도어를 정지시키고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경우, 도어(120)는 단속적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도어(120)의 회동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 송풍기 100 : 공기조화기하우징
110 : 송풍기 하우징 120 : 도어
200 : 증발기 300 : 히터코어
400 : 광원부 410 : 발광다이오드
420 : 반사부재 421 : 투명부재
430 : 프리즘 440 : 렌즈
500 : 증발기

Claims (14)

  1. 자동차 내부에 설치되며, 일측과 타측에 공기유입구와 공기유출구가 형성된 공기조화기하우징(100);
    상기 공기조화기하우징(100) 내부 일측에 배치된 증발기(200);
    상기 공기조화기하우징(100) 내부 타측에 배치된 히터코어(300); 및
    상기 공기조화기하우징(100) 내부에 배치되어 전원인가시 자외선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200)를 기준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의 상기 공기조화기하우징(100)에는 광원부(400)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하우징(100) 내부에는 공기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상기 증발기(200)와 히터코어(300)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송풍기(10)가 배치되고, 상기 송풍기(10)와 증발기(200) 사이에는 송풍기 하우징(110)이 형성되며,
    상기 송풍기 하우징(110) 중 상기 증발기(200) 방향에는 상기 광원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200)와 상기 히터코어(300)에는 히터코어(300)를 경유하는 공기의 흐름을 단속하는 도어(120)가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도어(120)의 타측에는 상기 광원부(400)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400)의 일면에는 상기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자외선 광을 상기 증발기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면(50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400)는 자외선 광을 발생시키는 발광다이오드(4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400)는
    상기 발광다이오드(410)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410)에서 조사되는 빛을 반시시키는 반사부재(420)와, 상기 발광다이오드(410)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410)에서 조사되는 및/또는 상기 반사부재(420)에서 반사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프리즘(4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430)의 상기 증발기(200) 방향의 면에는 렌즈(440)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다이오드(410)는 상기 발광다이오드(410)의 일측 방향으로 볼록한 면을 형성한 투명부재(421) 내에 수용되고,
    상기 투명부재(421)의 볼록한 면에는 상기 반사부재(420)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부재(421)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
  11. 증발기(200), 히터코어(300), 자외선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400)를 포함하는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의 광원부(400) 제어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운행 종료 및 증발기의 가동여부를 판단하는 제1단계(S1); 및
    상기 제1단계에서 차량의 운행 종료 및 증발기 가동으로 판단되면, 상기 광원부(400)에 소정시간의 전류를 인가하는 제2단계(S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의 광원부 제어방법.
  12. 증발기(200), 히터코어(300), 자외선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400)를 포함하는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의 광원부(400) 제어방법에 있어서,
    운행보조장치를 통해 차량의 목적지가 입력되는 제1-1단계(S1'-1);
    입력된 목적지에 차량의 목적지에 도달시간을 산출하는 제1-2단계(S1'-2);
    차량의 목적지 도달시간이 소정의 시간 내인지 판단하는 제1-3단계(S1'-3)
    증발기의 가동여부를 판단하는 제1-4단계(S1'-4); 및
    상기 제1-4단계(S1'-4)에서 증발기 가동 가동으로 판단되는경우 광원부(400)에 소정시간의 전류를 인가하는 제2단계(S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의 광원부 제어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400)가 도어(120)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도어(120)를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의 광원부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도어(120)의 전체 회동각을 복수의 구간으로 분할하여, 일 구간내의 회동각 중 일 회동각을 선택하여 일정시간 도어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의 광원부 제어방법.
KR1020150054622A 2015-04-17 2015-04-17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 및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KR101753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4622A KR101753118B1 (ko) 2015-04-17 2015-04-17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 및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4622A KR101753118B1 (ko) 2015-04-17 2015-04-17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 및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4374A true KR20160124374A (ko) 2016-10-27
KR101753118B1 KR101753118B1 (ko) 2017-07-05

Family

ID=57247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4622A KR101753118B1 (ko) 2015-04-17 2015-04-17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 및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31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9115A (ko) * 2017-02-28 2018-09-0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20190054957A (ko) * 2017-11-14 2019-05-22 주식회사 신광테크 내구성이 우수한 증발기를 구비한 자동차용 공기정화장치
KR20190099614A (ko) * 2018-02-19 2019-08-28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차용 공기 살균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1149A (ko) 2002-07-29 2004-02-05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20090044813A (ko) 2007-11-01 2009-05-07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134B1 (ko) * 2006-12-21 2013-02-20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 공조장치의 증발기 건조 방법
KR101124886B1 (ko) * 2009-07-22 2012-03-27 하치국 차량 공조시스템의 증발기용 살균장치의 제어방법
KR100998473B1 (ko) * 2010-05-20 2010-12-06 전자부품연구원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살균 장치
JP5786693B2 (ja) * 2011-01-14 2015-09-30 株式会社デンソー 空調装置
KR101294192B1 (ko) * 2011-12-09 2013-08-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에어컨 증발기 수분 제거 방법
KR101509903B1 (ko) * 2013-07-22 2015-04-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Uv led를 이용한 증발기 코어 살균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1149A (ko) 2002-07-29 2004-02-05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20090044813A (ko) 2007-11-01 2009-05-07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9115A (ko) * 2017-02-28 2018-09-0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20190054957A (ko) * 2017-11-14 2019-05-22 주식회사 신광테크 내구성이 우수한 증발기를 구비한 자동차용 공기정화장치
KR20190099614A (ko) * 2018-02-19 2019-08-28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차용 공기 살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3118B1 (ko) 2017-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06398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eatment/irradiation of a surface in a vehicle interior
JP6374403B2 (ja) 発光ダイオードから放射された光による液体消毒方法及び装置
US9963017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with photocatalytic module
KR101753118B1 (ko)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 및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US11964065B2 (en) Arrangement for irradiating a surface
WO2019193825A1 (ja) 殺菌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JP7035337B2 (ja) 殺菌装置及び給湯装置
KR101683351B1 (ko) 라이트 커튼형 led 광 조사기
JP2018162898A (ja) 空気調和装置
KR101736221B1 (ko) 자외선 살균기
US20220096683A1 (en) Bimodal ultraviolet disinfection systems and related methods
JP2019033964A (ja) 殺菌及び/又は洗浄機能付き装置又は物品
KR20200137402A (ko) 자외선 살균장치 및 자외선 살균방법
WO2022078805A1 (en) Downlight for general lighting and effective disinfection using short-wavelength radiation and air ionization having different distributions
ATE339388T1 (de) Wasserbehandlung
WO2018168479A1 (ja) 紫外線照射装置
KR102523841B1 (ko) 코로나-19-프리존 확보를 위한 광 살균 통합방역 시스템
US20220257411A1 (en) Cold air therapy device, method of applying a cooled air flow and use of an air disinfection device
JP7071144B2 (ja) 紫外線殺菌装置および紫外線照射装置
WO2021157742A1 (ja) 空気処理装置
TWI823038B (zh) 內藏式紫外線殺菌裝置
US202303904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safely and efficiently disinfecting air in a room
EP4215219A1 (en) Air sterilization device and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ing same
KR100821700B1 (ko) 살균 기능을 갖는 냉기덕트
JP2023049731A (ja) 除菌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