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4813A -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4813A
KR20090044813A KR1020070111070A KR20070111070A KR20090044813A KR 20090044813 A KR20090044813 A KR 20090044813A KR 1020070111070 A KR1020070111070 A KR 1020070111070A KR 20070111070 A KR20070111070 A KR 20070111070A KR 20090044813 A KR20090044813 A KR 20090044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humidifier
air conditioner
evaporator
air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1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길상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1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4813A/ko
Publication of KR20090044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48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2Moistening ; Devices influencing humidity levels, i.e. humidity control
    • B60H3/024Moistening ; Devices influencing humidity levels, i.e. humidity control for only dehumidifying th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78Air-conditioning devices using the Peltier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33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densed liquid draina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36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 B60H2001/3255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related to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개시된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는 공기 유입구(111a)가 형성된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111)와, 케이스(111)의 내부에 공기 유입구(111a)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설치된 증발기(115)와, 히터 코어(117), 및 증발기(115)의 하부측의 케이스(111)에 형성된 드레인(111b)을 포함하며, 증발기(115)의 하류측에 증발기(115)를 통과한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기(300)가 설치되어 증발기(115)로부터 발생된 응축수 및 제습기(300)로부터 발생된 응축수가 드레인(111b)을 통해 공통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제습기(300)는 전류의 흐름 방향에 따라 일측부(301a)에서 방열 작용이 이루어짐과 아울러 타측부(301b)에서 흡열 작용이 이루어지는 열전소자모듈(31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증발기(115) 및 제습기(300)의 흡열 작용에 의해 증발기(115) 및 제습기(300)의 주변에 발생된 응축수의 배출 구조를 단순화함과 아울러서, 온도가 낮지 않으면서 제습된 공기를 자동차 실내에 공급할 수 있다.
자동차, 공기 조화, 제습, 열전소자, 응축수, 드레인

Description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IR CONDITIONER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제습장치 및 응축수 처리 구조가 개선된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는 자동차 실내의 공기의 온도와 습도 등을 기계 장치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조절하여 실내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으로서, 압축기(compressor), 응축기(condenser), 팽창 밸브(expansion valve), 및 증발기(evaporator) 등으로 이루어져 냉동 사이클을 구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냉동 사이클의 동작을 살펴보면, 작업 유체가 압축기를 통해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로 압축된다. 압축된 고온의 작업 유체는 응축기로 보내진다. 고온의 작업 유체는 응축기에서 공기로 강제로 냉각되어 상변화가 일어나서 고압의 액체 상태로 된다. 액체 상태로 상 변화된 작업 유체는 팽창 밸브를 통해 팽창되어 저온 저압의 습포화 상태로 변화된다. 저온 저압의 작업 유체는 증발기로 보내지고 증발기 내에서의 흡열 작용에 의해 증발되어 냉방 효과를 얻게 된다.
이와 같은 공기 조화 장치에서 냉방을 하기 위해 증발기를 가동시키면 자동차 내부 또는 외부의 고온 다습한 공기가 공기 조화 케이스내로 유입되어 증발기를 통해 냉각되는 경우가 있다. 즉, 고온 다습한 공기에서 습기를 제거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공기는 습도를 그대로 유지한 채로 증발기를 통과하게 된다. 습도가 높은 공기를 냉각시키는 것은 건조한 공기를 냉각시키는 것에 비해서 효율의 손실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증발기의 방열 성능과 냉방 효과가 저하되며, 반대로 냉동 사이클을 가동시키는데 소용되는 동력은 증가하게 된다. 특히, 여름철과 같은 고온 다습한 날씨에서 냉방을 시작하려고할 때 고온 다습한 공기가 자동차의 실내에 존재하면 자동차의 냉방 성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에 제습기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따른 제습기를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미국특허번호 US6,213,198에 개시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기 조화 장치 케이스(201)는 외기, 내기 스위칭부(201A) 및 공기 조화 유니트(201B)를 포함한다.
케이스(201)의 외기, 내기 스위칭부(201A)측에는 외기가 흡입되는 외기 흡입구(202) 및 내기가 흡입되는 제1,2 내기 흡입구(231, 232)가 마련되고, 외기, 내기 스위칭부(201A)의 하류측에는 블로어(204)가 설치된다. 공기 조화 유니트(201B)의 내부에는 블로어(204)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증발기(220) 및 히터 코어(222)가 설 치된다. 케이스(201)의 제2 내기 흡입구(232) 및 외기 흡입구(202)와 블로어(204)의 사이에는 히트 파이트(208)가 설치된다.
히트 파이프(208)는 내, 외측 공기 가이드 통로(214, 213)를 횡단하도록 설치된다. 히트 파이프(208)에서 열매체는 내기 공기 가이드 통로(214)측에 배치된 열흡수부(208a)로부터 외기 공기 가이드 통로(213)에 배치된 열방출부(208b)로 순환한다.
열흡수부(208a) 및 열방출부(208b)의 표면상에는 열매체와, 내기 온도 및 외기 온도 사이의 열교환을 수행하기 위한 열전달핀들(280a, 280b)이 형성되며, 히트 파이프(208)의 하부에 위치하는 케이스(201)에는 히트 파이프(208)에 부착된 물방울들을 배수하기 위한 드레인(미도시)이 형성된다.
열흡수부(208a)는 상대적으로 높은 습기를 가지는 내측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고, 열방출부(208b)는 상대적으로 낮은 습기를 가지는 외측 공기로 열을 방출한다. 그 결과, 내측 공기 가이드 통로(214)를 통해 흐르는 내측 공기가 냉각되고 제습되고, 외측 공기 가이드 통로(213)를 통해 흐르는 외측 공기가 가열된다. 다음, 내측 공기의 수증기는 냉각되면서 응축수를 이루며 열흡수부(208a)의 열전달핀(280a)의 표면에 부착되어 그 표면을 따라 떨어져서 드레인을 통해 자동차 외측으로 배출된다.
도 1에 도시된 공기 조화 장치는 제습을 위해 케이스(201)의 내측에 히트 파이프(208)를 설치하므로 그 제습 장치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부품의 수량이 많고 비용이 크게 드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제습 장치인 히트 파이프(208a)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한 별도의 드레인을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장마철과 같은 경우 냉방 온도는 낮지 않으면서 제습이 필요한 경우가 필요하다. 이 경우,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증발기를 가동하여 온도를 낮추어 공기 중의 습기를 제거한 후 히터 코어를 통과시켜 습도를 맞추어 주는 방식을 이용한다. 이와 같은 경우 증발기 가동을 위해 엔진의 동력이 지나치게 많이 빼앗기며, 히터 코어를 통해 공기를 데워 주어 에너지 낭비가 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제습기의 구조를 간단하게 함과 아울러서, 제습기의 냉각 작용에 의해 발생된 응축수 및 증발기에서 발생된 응축수 배출 구조를 공용화하여 응축수 배출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자동차 실내 공기의 제습을 위해 증발기와 히터 코어를 동시에 가동하는 것을 해소하여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온도가 낮지 않으면서 제습된 공기를 자동차 실내에 공급할 수 있는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을 따르면, 공기 유입구가 형성된 공기 조화 장치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공기 유입구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설치된 증발기와, 히터 코어, 및 상기 증발기의 하부측의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드레인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의 하류측에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기가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 및 상기 제습기의 주위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상기 드레인을 통해 공통으로 배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습기는 전류의 흐름 방향에 따라 일측부에서 방열 작용이 이루어짐과 아울러 타측부에서 흡열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열전소자모듈과, 상기 열전소자모듈의 상기 방열 작용이 이루어지는 일측부 및 상기 흡열 작용이 이루어지는 타측부에 배치된 세라믹 기판들 및 상기 세라믹 기판들 상에 배치된 다수의 열전달핀들을 포함하며, 상기 흡열 작용이 이루어지는 상기 타측부는 상기 방열 작용이 일어나는 상기 일측부보다 중력 방향으로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흡열 작용이 일어나는 상기 타측부의 상기 세라믹 기판상에 마련된 열전달핀의 표면에는 상기 열전달핀의 표면에 부착된 응축수를 상기 중력 방향으로 유도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을 따르면, 제습 모드로 판단되면 공기 조화 장치의 냉방 운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공기 조화 장치가 냉방 운전 중인 경우 자동차 실내 온도 값이 온도 설정 값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자동차 실내 온도 값이 상기 온도 설정 값보다 클 경우 상기 공기 조화 장치의 운 전을 계속 진행하고 제습기를 가동하는 단계와, 상기 자동차 실내 온도 값이 상기 온도 설정 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공기 조화 장치의 냉방 운전을 정지하고 상기 제습기를 가동하는 단계, 및 상기 공기 조화 장치가 냉방 운전이 아닌 상태로 판단된 경우 블로어 유니트만 가동하고 상기 제습기를 가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따르면, 증발기의 하류측에 제습기를 설치하여 증발기의 흡열 작용에 의해 발생된 응축수 및 제습기의 제습 작용에 의해 발생된 응축수를 하나의 드레인을 통해 자동차의 실외로 배출하여 응축수 배출 구조를 단순화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습기의 냉각부를 중력 방향으로 방열부보다 아래쪽에 위치시킴과 아울러서 냉각부측에 마련된 열전달핀의 표면에 중력 방향으로 응축수 가이드 홈을 형성하여 제습 작용에 의해 발생된 응축수 배출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열전소자모듈을 이용하는 제습기를 채용하여 온도가 낮지 않은 제습된 공기를 차량 실내에 공급하여 장마 기간과 같이 낮은 냉방 온도를 요구 하지 않은 경우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습기를 동작시킴에 있어서, 공기조화장치의 냉방 운전 유무를 확인하여 냉방 운전할 때 자동차 실내 온도가 설정 온도 보다 낮을 때에는 제습기만 작동시키고, 자동차 실내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높을 때에는 공기 조화 장치 냉방 운 전시키는 상태에서 제습기를 가동하여 냉방과 함께 제습 기능을 수행하고, 제습 모드 요구가 있으나 공기 조화 장치 냉방 운전이 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블로어를 가동하고 제습기를 작동시킴으로써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따른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의 일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따른 자동차용 제습기가 적용된 공기 조화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로서, 세미 센터 타입의 공기 조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선 Ⅲ-Ⅲ′을 따른 단면도이다.
세미 센터 타입(Semi-center type)의 공기 조화 장치는 공기조화장치를 소형화하기 위해 송풍 공기 냉각용 증발기(evaporator)와 가열용 히터 코어(heater core)가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공기 조화 장치(100)는 공기를 흡입하는 블로어 유니트(blower unit : 101)와, 블로어 유니트(101)가 일 측에 연결되는 공기 유입구(111a)를 가지는 공기 조화 장치 케이스(111:case)와, 케이스(111)의 내부에 블로어 유니트(101)측으로부터 차례로 설치되는 증발기(115) 및 히터 코어(117)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증발기(115) 및 히터 코어(117)의 사이에 설치되어 블로어 유니트(101)로부터 흡입되어 증발기(115)를 통해 송풍되는 공기를 히터 코어(117)에 선택적으로 유도하는 온도 조절 도어(119)를 포함한다.
또한, 자동차 창문 쪽으로 공기 배출을 안내하여 자동차 창문의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디프로스트 벤트(defrost vent : 121a )와, 자동차 실내의 상반부 쪽으로 공기 배출을 안내하기 위한 페이스 벤트(face vent: 121b)와, 자동차 실내의 하반부 쪽으로 공기 배출을 안내하기 위한 플로어 벤트(floor vent: 121c )를 추가로 포함한다.
각 벤트(121a, 121b, 121c)로의 공기 흐름의 교체는 디프로스트 도어(defrost door: 123a), 페이스 도어(face door : 123b), 플로어 도어(floor door : 123c), 및 서브 온도 조절 도어 (sub temperature control door: 123d)에 의하여 행해진다.
증발기(115)의 하류측에는 제습기(dehumidifier: 300)가 설치되며, 제습기(300)의 아래쪽 케이스(111)에는 증발기(115) 및 제습기(300)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공통으로 배출하는 드레인(drain: 111b)이 형성된다. 이 드레인(111b)을 통해 제습기(300)가 제습 동작을 행하면서 제습기(300) 주위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배출되고, 증발기(115)내의 작업 유체가 흡열 작용에 의해 증발되어 냉방 효과를 얻게 되는 동안 증발기(115) 주변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함께 배출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증발기(115) 및 제습기(300)의 응축수를 하나의 드레인(111b)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여 제습기(300)용 드레인을 별도로 설계하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따른 제습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3의 제습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화살표 Ⅴ방향을 따른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화살표 Ⅵ방향을 따른 측면도이다.
도 4,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습기(300)는 전류의 흐름 방향의 일측부(301a)에서 방열 작용이 이루어짐과 아울러 타측부(301b)에서 흡열 작용이 이루어지거나, 일측부(301a)에서 흡열 작용이 이루어짐과 아울러 타측부(301b)에서 방열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열전소자모듈(thermoelectric device; 310)을 포함한다.
열전소자모듈(310)은 제습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류의 흐름 방향의 타측부(301b)에서 흡열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타측부(301b)를 "냉각부"라 칭하고, 일측부(301a)를 "방열부"로 칭한다). 이것은 중력 방향으로 냉각부(301b)를 방열부(301a)에 비하여 아래쪽에 배치시켜 제습을 위하여 냉각부(301b)에서 흡열 동작이 이루지는 동안 발생된 응축수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열전소자모듈(310)의 상측 및 하측에는 상부 세라믹 기판(351) 및 하부 세라믹 기판(353)이 각각 조립되며, 상부 세라믹 기판(351) 및 하부 세라믹 기판(353)에는 케이스(111)의 내부로 송풍된 내기 또는 외기와의 열교환을 수행하는 다수의 열전달핀(371,373)들이 배열된다.
냉각부(301b)측에 배치된 열전달핀(373)의 표면에는 열전달핀(373)의 표면에 맺히게 된 응축수를 중력 방향인 드레인(111b : 도 3 참조)이 형성된 측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응축수 가이드 홈(373a)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도 5의 Ⅶ 표시부를 확대해서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7의 열전소자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열전소자모듈(310)은 일예로 N형 반도체 소자(313a)와 P형 반도체 소자(313b)들로 이루어진 반도체 열전소자(313)들이 교대로 배열되며, 반도체 열전소자(313)들의 상부 및 하부 표면을 통하여 상부 금속 전극(311) 및 하부 금속 전극(312)에 교대로 접속된다. 그리고 DC 전원(317)이 하부 금속 전극(3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류가 P형 반도체 소자(313b)로부터 N형 반도체 소자(313a)로 흐를 때 펠티에 효과로 인해 열이 열전소자모듈(310)의 하부에서 상부로 흡수되고, 그 상부를 통하여 방열된다. 그 결과, 도 4, 도 5 및 도 6의 냉각부(301b)측에 접속된 하부 세라믹 기판(353)이 흡열 냉각 작용을 하며, 방열부(301a)측에 접속된 상부 세라믹 기판(351)이 방열 가열 작용을 한다. 여기서, 전원의 극성을 서로 바꾸면 흡열되고 방열되는 방향을 변화 시킬 수 있으나, 흡열 냉각 작용을 하는 냉각부(301b)측을 방열부(301a)보다 중력 방향으로 하부측에 위치시켜 냉각부(301b)측에서 발생되는 응축수 배출을 용이하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열전소자모듈(310)의 공급되는 전력(P[W]), 흡열 열량(Qc[W]), 및 방열 열량(Qh[W])과의 관계는 Qh=P+Qc의 식으로 표현된다.
예컨대, 100[W]의 전력이 공급되면 흡열 열량은 100[W]이고 방열 열량은 200[W]가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300)는 장마철과 같은 때에 공기 조화 장치를 냉방 운전하면 탑승자가 한기를 느끼게 되므로 온도가 낮지 않는 제습된 공기를 자동차 실내에 공급할 때 유용하다.
그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증발기(115)를 통과한 공기는 제습 기(300)의 냉각부(301b)측 열전달핀(373)을 통과하면서 냉각되어 온도가 떨어지며, 공기 중의 습기가 제거된다. 한편, 방열부(301a)의 열전달핀(371)을 통과한 공기는 온도가 상승되어 열전달핀(373)을 통해 가열된다. 그 결과, 냉각된 공기와 가열된 공기가 만나 혼합되어 온도는 낮지 않으면서 제습된 공기가 만들어진다. 본원 발명의 일실시 예를 따른 제습기(300)에 의하면, 제습 난방 시에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따른 공기 조화 장치의 제습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제습 모드 설정 유무를 판단(S10)하고, 제습 모드 설정으로 판단된 경우 공기조화장치의 냉방 운전 가동 유무를 판단(S30)한다. 그 판단 결과 냉방 운전 중으로 판단되면, 자동차 실내 온도 값이 설정된 온도 값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S50)한다. 자동차 실내 온도 값이 온도 설정 값 보다 클 경우 공기 조화 장치 냉방 운전을 계속 진행(S70)하고, 제습기를 가동(S90)한다. 이 경우 냉방 기능과 함께 제습 기능이 극대화된다.
단계 (S50)에서 자동차 실내 온도 값이 온도 설정 값보다 작은 경우 에너지의 낭비를 방지하기 위하여 공기 조화 장치 냉방 운전을 정지(S71)하고, 제습기만 가동하여 제습 공기를 자동차 실내로 공급한다(S91).
단계 (S30)에서 공기 조화 장치가 냉방 운전 오프상태로 판단되면, 공기 조화 장치 케이스 내부로 공기를 송풍하는 블로어 유니트만 가동(S73)하고, 제습기를 가동(S93)하여 자동차 실내 공기에 포함된 공기의 습기를 제거한다. 이와 같이 제 습기만 작동하여 최소한의 에너지를 소비하여 실내의 제습 기능을 실시한다.
상술한 설명에 있어서, 세미 센터 타입의 공기 조화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그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블로어 유니트와,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 코어 유니트가 독립적으로 구성된 쓰리 피스 타입의 공기 조화 장치 및 그 세 가지 유니트가 모두 하나의 케이스에 일체로 구성된 센터 마운팅 타입의 공기 조화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따른 제습기를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미국특허번호 US6,213,198에 개시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따른 자동차용 제습기가 적용된 공기 조화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선 Ⅲ-Ⅲ′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따른 제습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3의 제습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화살표 Ⅴ방향을 따른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화살표 Ⅵ방향을 따른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Ⅶ 표시부를 확대해서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7의 열전소자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따른 공기 조화 장치의 제습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1 : 케이스 111b : 드레인
115 : 증발기 300 : 제습기
301a : 일측부 (방열부) 301b: 타측부 (냉각부)
310 : 열전소자모듈 313 : 열전소자
351,353 : 세라믹기판 371,373 : 열전달핀
373a : 응축수 가이드 홈

Claims (4)

  1. 공기 유입구(111a)가 형성된 공기 조화 장치의 케이스(111)와, 상기 케이스(111)의 내부에 상기 공기 유입구(111a)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설치된 증발기(115) 와, 히터 코어(117), 및 상기 증발기(115)의 하부측의 상기 케이스(111)에 형성된 드레인(111b)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115)의 하류측에 상기 증발기(115)를 통과한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기(300)가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115) 및 상기 제습기(300)의 주위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상기 드레인(111b)을 통해 공통으로 배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기(300)는
    전류의 흐름 방향에 따라 일측부(301a)에서 방열 작용이 이루어짐과 아울러 타측부(301b)에서 흡열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열전소자모듈(310);
    상기 열전소자모듈(310)의 상기 방열 작용이 이루어지는 상기 일측부(301a) 및 상기 흡열 작용이 이루어지는 상기 타측부(301b)에 배치된 세라믹 기판들(351, 353); 및
    상기 세라믹 기판들(351,353)상에 배치된 다수의 열전달핀들(371,373)을 포함하며,
    상기 흡열 작용이 이루어지는 상기 타측부(301b)는 상기 방열 작용이 일어나는 상기 일측부(301a)보다 중력 방향으로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흡열 작용이 일어나는 상기 타측부(30b)의 상기 세라믹 기판(353)상에 마련된 열전달핀(373)의 표면에는 상기 열전달핀(373)의 표면에 부착된 응축수를 상기 중력 방향으로 유도하는 응축수 가이드 홈(373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
  4. 제습 모드로 판단(S10)되면 공기 조화 장치의 냉방 운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
    상기 공기 조화 장치가 냉방 운전 중인 경우 자동차 실내 온도 값이 온도 설정 값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0);
    상기 자동차 실내 온도 값이 상기 온도 설정 값보다 클 경우 상기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을 계속 진행(S70)하고, 제습기를 가동하는 단계(S90);
    상기 자동차 실내 온도 값이 상기 온도 설정 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공기조화장치의 냉방 운전을 정지(S71)하고, 상기 제습기를 가동하는 단계(S91); 및
    상기 공기 조화 장치가 냉방 운전이 아닌 상태로 판단된 경우 블로어 유니트만 가동(S73)하고, 상기 제습기를 가동하는 단계(S9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070111070A 2007-11-01 2007-11-01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0448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070A KR20090044813A (ko) 2007-11-01 2007-11-01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070A KR20090044813A (ko) 2007-11-01 2007-11-01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4813A true KR20090044813A (ko) 2009-05-07

Family

ID=40855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1070A KR20090044813A (ko) 2007-11-01 2007-11-01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481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524B1 (ko) * 2014-10-22 2015-04-07 주식회사 미르텍 항공기용 이동형 제습장치
KR20160124374A (ko) 2015-04-17 2016-10-27 갑을오토텍(주)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 및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KR20160148821A (ko) 2015-06-16 2016-12-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열전 제습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524B1 (ko) * 2014-10-22 2015-04-07 주식회사 미르텍 항공기용 이동형 제습장치
KR20160124374A (ko) 2015-04-17 2016-10-27 갑을오토텍(주)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 및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KR20160148821A (ko) 2015-06-16 2016-12-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열전 제습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24910B2 (ja) 調湿装置
KR100344805B1 (ko) 개인용 냉난방 공기조화기
JP4840207B2 (ja) 換気空調装置
US20130199225A1 (en) Air conditioner for electric vehicle
WO2009087734A1 (ja) 除湿装置
JPH07232547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CN106152339A (zh) 用于车辆的除湿器
JP2009274587A (ja) 車両用除加湿装置
KR20090044813A (ko)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1326319B (zh) 利用空调系统冷凝热的烘干机和具有烘干机的空调系统
CN110062708A (zh) 车用空调装置
JP2006162173A (ja) 空気調和機
JP2002228186A (ja) 一体形空気調和機
KR100354132B1 (ko) 환기회수율 조절식 폐열회수겸용 냉난방 공기조화기
KR200375780Y1 (ko) 분리형 환기회수율 조절식 폐열회수겸용 냉난방 공기조화기
US20220364762A1 (en) Air-conditioning unit,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KR101694008B1 (ko) 열전 제습 장치
JP2011102672A (ja) 換気空調装置
JPH0972599A (ja) 空気調和機
JP3488763B2 (ja) 空気調和機
KR101543104B1 (ko) 차량용 제습 장치
KR200239556Y1 (ko) 일체형 항온 공조기
JP2001082759A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JPH0972597A (ja) 空気調和機
KR200401164Y1 (ko) 상하 송풍방향 전환이 가능한 히트펌프형 에어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