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5134B1 - 차량 공조장치의 증발기 건조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공조장치의 증발기 건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5134B1
KR101235134B1 KR1020060132239A KR20060132239A KR101235134B1 KR 101235134 B1 KR101235134 B1 KR 101235134B1 KR 1020060132239 A KR1020060132239 A KR 1020060132239A KR 20060132239 A KR20060132239 A KR 20060132239A KR 101235134 B1 KR101235134 B1 KR 101235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air
evaporator
destination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2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8113A (ko
Inventor
심상욱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2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5134B1/ko
Publication of KR20080058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8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5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5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85Smell or pollution preven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6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vehicle driving condition, e.g. speed
    • B60H1/0077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vehicle driving condition, e.g. speed the input being a vehicle position or surrounding, e.g. GPS-based position or tu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공조장치의 증발기 건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GPS와 연계하여 목적지 도착 전의 소정의 시점을 판단하고, 그 시점에서 공조장치의 가동을 중단하고, 공기흡입모드, 공기토출모드 및 풍량을 적절하게 제어하여 증발기를 건조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GPS를 통한 교통정보 수신에 의해 목적지까지의 도착 소요시간이 설정시간 이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냉방모드가 가동중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목적지 도착 소요시간이 설정시간 이내이고, 냉방모드가 가동중일 경우에, 냉방모드의 가동을 중지하고, 공기흡입모드를 외기모드로, 공기토출모드를 차량 실내 바닥쪽으로 토출시키는 플로어모드(Floor Mode)로 각각 전환하고, 풍량을 최대로 제어함으로써, 증발기를 건조시키는 냄새방지모드를 가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공조장치의 가동시 증발기로부터의 악취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 공조장치의 증발기 건조 방법{METHOD FOR DRYING EVAPORATOR OF AUTOMOTIVE VEHICLES AIR CONDITIO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의 증발기 건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의 증발기 건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GPS 20 : 제어유닛
30 : 공조장치
본 발명은 차량 공조장치의 증발기 건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GPS로부터 교통정보를 안내받는 차량에서 목적지 도착 전의 소정의 시점을 판단하고, 그 시점에서 냉방모드의 가동을 중단하고, 공기흡입모드, 공기토출모드 및 풍량을 적절하게 제어하여 증발기를 건조시킴으로써, 목적지에서 다음의 차량 운행시 공조장치를 가동할 경우에, 상기 증발기로부터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는 차량 공조장치의 증발기 건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공조장치는, 송풍기에 의하여 공기를 증발기, 히터코어 등의 열교환기가 내장된 공조케이스 내부로 송풍하여 상기 열교환기들과 열교환시키고, 그 결과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차량의 실내로 토출시켜, 차량의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 공조장치에 의하여 차량 실내를 냉방할 경우, 송풍공기에 포함된 수분이 응축되어 증발기의 표면에 맺히게 되는데, 여기에는 공기중의 세균, 미생물, 먼지 등의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그 상태에서 차량을 주차하여 차량 공조장치를 장시간 가동하지 않을 경우에는, 세균이나 미생물의 증식에 의해 악취가 심하게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환경에서, 주차된 차량을 다시 운행하면서 공조장치를 가동할 경우에는, 증발기에서 발생한 악취가 실내로 유입되어 탑승자가 심한 불쾌감을 갖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송풍기의 입구 쪽이나 증발기의 상류 또는 하류측에 에어필터(Air Filter)를 설치하여, 이물질을 여과하고 악취를 흡착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공기유로중에 에어필터를 설치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에어필터에 의해 여과되는 물질에는 세균, 미생물 등의 이물질과 수분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세균이나 미생물이 증식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므로, 악취를 제거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에어필터의 경우, 장시간 사용에 따라 여과물에 의해 공기유로가 막히기 때문에, 통기저항에 의한 풍량손실이 커질 뿐만 아니라 흡착된 냄새의 강도가 증가하여 불쾌감을 더 줄 수 있다.
또한, 저풍량인 경우에는 에어필터들이 증발기에 대하여 폐쇄상태를 유지하고, 고풍량인 경우에는 풍압에 의해 에어필터가 회동하여 에어필터들이 증발기에 대하여 개방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도,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악취와 에어필터에 흡착된 냄새의 문제는 해결하기 어렵다. 더욱이, 실질적인 악취의 근원은 증발기이므로, 증발기의 상류나 송풍기 쪽에 에어필터를 설치하는 것은 악취 제거에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GPS와 연계하여 목적지 도착 전의 소정의 시점을 판단하고, 그 시점에서 공조장치의 가동을 중단하고, 공기흡입모드, 공기토출모드 및 풍량을 적절하게 제어하여 증발기를 건조시킴으로써, 목적지에서 다음의 차량 운행시 공조장치를 가동할 경우에, 상기 증발기로부터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 공조장치의 증발기 건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의 증발기 건조 방법은, 냉방모드의 가동으로 증발기에 표면에 발생된 응축수를 건조시키기 위한 차량 공조장치의 증발기 건조 방법에 있어서, GPS를 통한 교통정보 수신에 의해 목적지까지의 도착 소요시간이 설정시간 이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냉방모드가 가동중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목적지 도착 소요시간이 설정시간 이내이고, 냉방모드가 가동중일 경우에, 냉방모드의 가동을 중지하고, 공기흡입모드를 외기모드로, 공기토출모드를 차량 실내 바닥쪽으로 토출시키는 플로어모드(Floor Mode)로 각각 전환하고, 풍량을 최대로 제어함으로써, 증발기를 건조시키는 냄새방지모드를 가동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풍량을 최대로 제어할 경우에, 풍량을 점증적으로 최대로 증가시키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냄새방지모드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공조모드를 조작하거나, 목적지 도착 소요시간이 변경되어 설정시간을 초과하거나, 공조장치의 가동을 중지할 경우에 해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냄새방지모드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공조모드를 조작하거나, 목적지 도착 소요시간이 변경되어 설정시간을 초과하여 해제될 경우에, 그 이전의 공조모드로 복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전의 공조모드로 복귀시 풍량은 서서히 복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의 증발기 건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 건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 건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은, 차량 실내의 조작부에 대한 수동조작에 의하여 공조장치(30)를 제어하여 증발기를 건조하거나, GPS(10)에 의하여 차량의 제어유닛(20)에 입력되는 교통정보 및 상기 제 어유닛(20)에 설정된 로직(Logic)에 의하여 공조장치(30)의 가동을 자동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공조장치(30)는, 압축기, 증발기 등을 구비하는 냉방시스템과, 히터코어를 구비하는 난방시스템과, 그리고 상기 증발기 및 상기 히터코어가 내장되는 공조케이스 내부로 외기 또는 내기를 흡입하여 송풍하는 송풍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시스템에 의해 증발기를 건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2a와 도 2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장치(30)를 가동하면, 제어유닛(20)은 공조장치(30)의 가동 여부를 판단한다(S10).
다음에, 공조장치(30)가 가동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공조모드 로직의 해제 여부를 판단한다(S20). 또한, 공조장치(30)가 가동 중지된 경우에, 차량 실내의 표시장치에 냄새방지모드 가동 문자가 소등된다(S170).
다음에, 공조모드 로직이 해제되지 않은 경우에, GPS(10)를 통한 교통정보 수신 상태를 판단한다(S30).
다음에, 상기 GPS(10)를 통한 교통정보 수신 상태가 양호한 경우에, 수신되는 교통정보를 통하여 목적지 도착 소요시간이 설정시간 이내, 예를 들면, 5분 이내인지를 판단한다(S40). 또한, 상기 교통정보 수신 상태가 불량할 경우에, 냄새방지모드 가동 문자가 점등되었는지를 판단하고(S180), 그 결과 상기 문자가 점등되어 있다면 상기 문자를 소등하며(S190), 공조모드를 원래의 제어상태로 복귀시킨 다(S200). 이 때, 풍량은 서서히 복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상기 단계(S40)를 통하여 목적지 도착 소요시간이 5분 이내인 경우에, 냉방모드의 가동 여부를 판단하고(S50), 5분을 초과한 경우에 상기 공조장치(30)의 가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로 되돌아간다.
다음에, 목적지 도착 소요시간이 5분 이내에서 냉방모드가 가동중일 경우에, 냉방모드의 가동을 중지하고, 송풍기를 통한 공기흡입모드를 외기모드로 전환하며, 공기토출모드를 차량 실내 바닥쪽으로 토출시키는 플로어모드로 전환하고, 풍량을 최대로 제어하는 냄새방지모드를 가동한다(S60). 이 냄새방지모드에 의하여, 증발기를 건조시킨다. 이 과정에서, 풍량을 점증적으로 최대로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냄새방지모드가 가동되는 동안에는, 냄새방지모드 가동 문자가 점등된다(S70).
다음에, 냄새방지모드가 가동중인 동안, 냄새방지모드 가동 문자의 점등 여부를 판단한다(S80).
다음에, 냄새방지모드가 가동중이고, 상기 문자가 점등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차량 실내의 조작부를 수동 조작하였지를 판단한다(S90).
다음에, 사용자가 수동 조작한 경우에, 상기 문자가 소등되고(S100), 공조모드는 냄새방지모드 가동 전의 모드로 복귀한다(S110). 이 복귀시, 풍량은 서서히 복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수동 조작을 하지 않은 경우에, 다음의 GPS(10)를 통한 교통정보 수신 상태를 판단한다(S120).
다음에, 상기 단계(S90)를 통한 판단 결과, 사용자가 수동 조작을 하지 않거나, 수동 조작으로 상기 단계(S110)를 통해 공조모드로 복귀한 후에, GPS(10)를 통한 교통정보 수신 상태를 판단한다(S120).
다음에, 상기 단계(S120)를 통해 교통정보 수신 상태가 양호한 상태에서, 수신 결과 목적지 도착 소요시간이 5분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S130). 또한, 상기 단계(S120)에서 상기 교통정보 수신 상태가 불량할 경우에, 다음의 냄새방지모드 가동 문자 소등 여부를 판단한다(S140).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단계(S120)를 통하여 판단한 결과, 교통정보 수신 상태가 불량하거나, 상기 단계(S130)를 통해 목적지 도착 소요시간이 5분을 초과하는 경우에, 냄새방지모드 가동 문자의 소등 여부를 판단한다(S140).
다음에, 목적지 도착 소요시간이 5분을 초과하고, 상기 단계(140)를 통해 냄새방지모드 가동 문자가 소등된 경우에, 다시 공조장치(30)의 가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로 되돌아간다. 또한, 상기 단계(140)에서, 냄새방지모드 가동 문자가 점등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문자를 소등하고(S150), 공조모드를 이전의 단계로 복귀시키며(S160), 공조장치(30) 가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로 되돌아간다. 이때, 풍량은 서서히 복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 공조장치의 증발기 건조 방법에 따르면, GPS(10)를 통하여 수신되는 교통정보를 통해 판단되는 목적지 도착 소요시간 5분 이내의 시점에서, 공조장치(30)의 가동을 중단하고, 공기흡입모드를 외기모드로, 공기토출모드를 플로어모드로 각각 전환하고, 풍량을 최대로 제어함으로써, 목 적지 도착시까지 증발기를 효과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의 증발기 건조 방법에 의하면, GPS를 통하여 수신되는 교통정보를 통해 판단되는 목적지 도착 소요시간 5분 이내의 시점에서, 공조장치의 가동을 중단하고, 공기흡입모드를 외기모드로, 공기토출모드를 플로어모드로 각각 전환하고, 풍량을 최대로 제어함으로써, 목적지 도착시까지 증발기를 효과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증발기 표면에 맺히는 응축수에 의하여 세균이나 미생물이 증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목적지에 주차된 차량을 다음에 운행하면서 공조장치를 가동할 때에, 증발기로부터 악취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탑승자가 쾌적한 환경에서 차량을 운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냉방모드의 가동으로 증발기에 표면에 발생된 응축수를 건조시키기 위한 차량 공조장치의 증발기 건조 방법에 있어서,
    GPS를 통한 교통정보 수신에 의해 목적지까지의 도착 소요시간이 설정시간 이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냉방모드가 가동중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목적지 도착 소요시간이 설정시간 이내이고, 냉방모드가 가동중일 경우에, 냉방모드의 가동을 중지하고, 공기흡입모드를 외기모드로, 공기토출모드를 차량 실내 바닥쪽으로 토출시키는 플로어모드(Floor Mode)로 각각 전환하고, 풍량을 최대로 제어함으로써, 증발기를 건조시키는 냄새방지모드를 가동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냄새방지모드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공조모드를 조작하거나, 목적지 도착 소요시간이 변경되어 설정시간을 초과하거나, 공조장치의 가동을 중지할 경우에 해제되고;
    상기 냄새방지모드가 사용자가 수동으로 공조모드를 조작하거나, 목적지 도착소요시간이 변경되어 설정시간을 초과하여 해제될 경우에, 그 이전의 공조모드로 복귀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의 증발기 건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냄새방지모드에서 풍량을 최대로 제어할 경우에, 풍량을 점증적으로 최대로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의 증발기 건조 방법.
  3. 삭제
  4. 삭제
KR1020060132239A 2006-12-21 2006-12-21 차량 공조장치의 증발기 건조 방법 KR101235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2239A KR101235134B1 (ko) 2006-12-21 2006-12-21 차량 공조장치의 증발기 건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2239A KR101235134B1 (ko) 2006-12-21 2006-12-21 차량 공조장치의 증발기 건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8113A KR20080058113A (ko) 2008-06-25
KR101235134B1 true KR101235134B1 (ko) 2013-02-20

Family

ID=39803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2239A KR101235134B1 (ko) 2006-12-21 2006-12-21 차량 공조장치의 증발기 건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51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3118B1 (ko) * 2015-04-17 2017-07-05 갑을오토텍(주)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 및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US11247656B2 (en) 2019-08-21 2022-02-15 Hyundai Motor Company Air conditioning system control method for vehic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5154A (ja) * 1994-10-12 1996-07-09 Hyundai Motor Co 車両用空気調和システムの空調ダクト乾燥装置
KR19990027015U (ko) * 1997-12-22 1999-07-15 정몽규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차량의 공조 장치
JP2000062434A (ja) * 1998-08-20 2000-02-29 Calsonic Corp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5154A (ja) * 1994-10-12 1996-07-09 Hyundai Motor Co 車両用空気調和システムの空調ダクト乾燥装置
KR19990027015U (ko) * 1997-12-22 1999-07-15 정몽규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차량의 공조 장치
JP2000062434A (ja) * 1998-08-20 2000-02-29 Calsonic Corp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3118B1 (ko) * 2015-04-17 2017-07-05 갑을오토텍(주)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 및 증발기 살균광원을 갖는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US11247656B2 (en) 2019-08-21 2022-02-15 Hyundai Motor Company Air conditioning system control method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8113A (ko) 200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0694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5510418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7131072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170071013A (ko) 자동차의 공기 청정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84729A (ko) 차량용 에어컨 습기 제거장치 및 그 방법
KR101235134B1 (ko) 차량 공조장치의 증발기 건조 방법
JP2000296710A (ja) 空気調和ユニット及び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101956646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CN113752784B (zh) 车用空调除异味方法、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KR101207140B1 (ko) 냄새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공조장치
JP2010100139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6096067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0398121B1 (ko) 냉방시 발생된 악취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일체형 공조시스템
KR20080038907A (ko) 차량용 공조 장치의 포깅 방지 방법
JP2012196984A (ja) 空調装置
JP4589138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0535497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 습기제거장치 및 습기제어방법
JPH06191253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102074691B1 (ko) 공조장치 내의 증발기 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845415B1 (ko) 제습제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에어컨 시스템
KR20080054943A (ko) 차량 공기 조화 장치의 냄새 제거 송풍 시스템
KR101253127B1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
KR20050018273A (ko)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악취 및 습기 제거시스템
KR10117793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제어방법
JPH0569741A (ja) 車両用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