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2062A - 음료 서버 - Google Patents

음료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2062A
KR20160122062A KR1020160035177A KR20160035177A KR20160122062A KR 20160122062 A KR20160122062 A KR 20160122062A KR 1020160035177 A KR1020160035177 A KR 1020160035177A KR 20160035177 A KR20160035177 A KR 20160035177A KR 20160122062 A KR20160122062 A KR 20160122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tank
mode
water tank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5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와타나베 야스노부
요코마츄 구니아키
나이토 히로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심스바이오닉스
가부시키가이샤 워터 다이렉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심스바이오닉스, 가부시키가이샤 워터 다이렉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심스바이오닉스
Publication of KR20160122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20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0Pump mechanism
    • B67D1/101Pump mechanism of the piston-cylinder type
    • B67D1/105Pump mechanism of the piston-cylinder type for two or mor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67D1/0804Shape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5Details concerning the used flowme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1Level gauges for beverage stora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67D1/0882Devices for controlling the dispensing conditions
    • B67D1/0884Means for controlling the parameters of the state of the liquid to be dispensed, e.g. temperature,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67D1/1204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for ratio control purposes
    • B67D1/1211Flow rate sensor
    • B67D1/122Flow rate sensor modulating a pumping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과제]
사용하기 편리한 워터 서버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워터 서버(1)는, 교환할 수 있는 음료 통(60)에 들어있는 음료를 저장하는 냉수 탱크(40) 및 온수 탱크(50), 온수 탱크(50)에 저장된 음료를 가열하는 가열장치, 냉수 탱크와 온수 탱크를 순환하는 제1 관(93) 및 제2 관(94), 제2 관(94)에 설치되어 물을 순환시키는 펌프(91)를 갖추되, 펌프(91)를 간헐적으로 구동시켜, 냉수 탱크(40)와 온수 탱크(50)의 사이에서 물을 순환시킨다.

Description

음료 서버{BEVERAGE SERVER}
본 발명은 음료 통에 담긴 음료를 공급하는 음료 서버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음료 통에 담긴 물과 같은 음료를 공급하는 음료 서버가 알려졌다. 종래에 많이 사용하는 음료 서버는 음료 통을 음료 서버 상부에 설치하는 종류의 음료 서버이다. 이런 음료 서버는 중력을 이용하여 음료 통 내의 음료를 음료 서버의 저장 탱크로 떨어뜨린다. 하지만, 음료 통을 음료 서버 상부에 장착하는 것은, 여성이나 고령자에게는 쉬운 일이 아니며, 음료 통을 교환하는 것 또한 쉽지 않다. 특허문건 1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음료 통을 음료 서버의 하부에 장착하는 워터 서버를 제안하고 있다.
특허문건 2는, BIB(bag in box) 방식의 용기 내에 음료수를 온수 또는 냉수 상태로 항상 마실 수 있게 제공하는 디스펜서(Dispenser)의 배관계통과 냉수 탱크에 히터를 설치하지 않고 저장 탱크를 가열 살균하는 음료수 디스펜서를 제안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14-172624호(공개일 : 2014.09.22) 일본공개특허 제2006-076662호(공개일 : 2006.03.23)
음료 서버는 사용자의 사용상 편리성을 향상하기 위해 여러 가지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본 발명은 종래의 음료 서버보다 사용하기 편리한 음료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서버는, 교환할 수 있는 음료 통에 들어있는 음료를 저장하는 제1 탱크 및 제2 탱크, 상기 제2 탱크에 저장한 음료를 가열하는 가열장치, 상기 제1 탱크와 상기 제2 탱크를 순환하는 순환 관로, 그리고 상기 순환 관로에 설치하여 상기 음료를 순환시키는 펌프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펌프를 간헐적으로 구동하여, 상기 제1 탱크와 상기 제2 탱크와의 사이에서 음료를 순환시킨다. 이처럼 제2 탱크 내의 가열된 음료를 제1 탱크에 순환시킴으로써 제1 탱크를 살균할 수 있다. 이에, 펌프를 간헐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펌프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서버에서, 상기 순환 관로는, 음료가 상기 제1 탱크에서 상기 제2 탱크로 공급하는 제1 관로와, 음료가 상기 제2 탱크에서 상기 제1 탱크로 공급하는 제2 관로를 구성하고, 상기 제2 관로의 끝은 상기 제1 탱크의 하부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제1 탱크에 유입된 가열된 음료는 제1 탱크의 위쪽으로 대류를 하게 하여 제1 탱크의 하부를 효율적으로 데울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서버는, 상기 제1 탱크 내에 수평 판을 설치하고, 이 수평 판에 상기 제1 관로의 끝을 연결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 판은 제1 탱크의 내부를 상하로 완만하게 나누고, 수평 판 위에 있는 음료를 제2 탱크에 공급하므로, 제1 탱크 내의 음료 온도를 효율적으로 데울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서버는, 상기 제1 탱크와 상기 제2 탱크 하부에 상기 음료 통을 설치하기 위한 지지대와, 상기 제1 탱크와 상기 음료 통을 연결한 관로와, 상기 공급 관로에 설치하여 상기 음료 통에서 상기 제1 음료 서버에 음료를 공급하기 위한 개방형 펌프를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방형 펌프를 사용함에 따라, 제1 탱크의 온도상승에 따라 제1 탱크의 내부압력이 상승했을 때, 제1 탱크 내의 공기를 음료 통으로 되돌림으로써, 제1 탱크의 내압 상승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서버는, 상기 제1 탱크 및 상기 제2 탱크 하부에 상기 음료 통을 설치하기 위한 지지대와, 상기 제1 탱크와 상기 음료 통을 연결하는 공급 관로와, 상기 순환 관로의 일부와 상기 공급 관로의 일부를 공유 관로로 구성하고 이 공유 관로를 상기 순환 관로나 상기 공급 관로로 사용할 수 있게 전환하는 전환밸브를 장착하되, 상기 펌프는 상기 공유 관로에 설치된 개방형 펌프이므로, 상기 전환밸브는 상기 펌프가 구동할 때는 상기 공유 관로를 상기 순환 관로에 연결하고, 상기 펌프가 정지할 때는 상기 공유 관로를 상기 공급 관로에 연결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개방형 펌프가 정지할 때는 공유 관로를 공급 관로로 연결하므로, 공급 관로를 통해 제1 탱크 내의 공기를 음료 통으로 뺄 수 있다. 따라서, 제1 탱크의 온도상승에 따른 제1 탱크의 내압 상승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서버는, 상기 공급 관로 상의 상기 공유 관료가 아닌 위치에 설치한 유량계를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급 관로에는 제2 탱크에서 가열된 음료가 통과하지 않으므로 유량계를 열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 서버에 있어서, 상기 음료 통은, 음료의 유출에 따라 변형하는 음료 통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제1 탱크에서 음료 통으로 공기가 유입된 경우에는 음료 통이 팽창할 여지가 있으므로, 제1 탱크의 내압 상승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서버는, 상기 제1 탱크 내의 음료의 온도를 계측하는 온도 센서를 구성하여 상기 순환 관로를 통해 상기 제1 탱크와 상기 제2 탱크와의 사이에서 음료를 순환시킨 다음, 상기 온도 센서에서 계측한 온도가 소정의 한계치까지 내려갈 때까지 상기 제1 탱크에서 음료의 추출을 정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제1 탱크에서 가열된 음료를 실수로 추출하는 일이 없게 하여 화상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서버는, 교환할 수 있는 음료 통에 들어있는 음료를 저장하는 제1 탱크 및 제2 탱크, 상기 제2 탱크에 저장된 음료를 가열하는 가열장치, 상기 제1 탱크에 연결된 출수 관로 상에 배치된 제1 밸브, 상기 제2 탱크에 연결한 출수 관로에 배치된 제2 밸브, 음료의 추출을 지시하는 추출 버튼, 상기 추출 버튼을 눌렀을 때 상기 제1 밸브를 여는 제1 모드와 상기 추출 버튼을 눌렀을 때 상기 제2 밸브를 여는 제2 모드를 전환하는 전환버튼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에, 하나의 추출구에서 가열되지 않은 음료와 가열된 음료 둘 다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서버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전환버튼이 조작되었을 때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추출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가 소정 시간 계속되었을 때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모드로 전환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추출 버튼이 눌리지 않은 상태가 소정 시간 계속되었을 때 제1 모드로 복귀함에 따라 가열된 음료를 실수로 추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서버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모드로 전환할 때나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모드로 전환할 때, 경보음을 내는 경보음 출력부를 더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모드임을 나타내는 표시등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가열된 음료가 추출되는 모드인지 아닌지를 사용자에게 주의를 환기시켜 화상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서버는, 교환할 수 있는 음료 통에 들어있는 음료를 저장하는 탱크, 상기 탱크 하부에 상기 음료 통을 설치하는 지지대, 상기 탱크와 음료 통을 연결하는 공급 관로, 상기 공급 관로에 설치된 상기 음료 통에서 상기 탱크로 음료를 퍼 올리기 위한 펌프, 상기 공급 관로에 설치된 유량계, 상기 유량계에서 계측한 유량에 근거하여 상기 공급 관로를 통해 뽑아 올린 음료의 양을 계측하는 계측부, 그리고 상기 계측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음료 통 내의 잔량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이에, 음료 통을 눈으로 확인하지 않고서도 사용자는 음료 통 내의 음료 잔량을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 서버에 있어서, 상기 계측부는, 상기 유량계로 계측한 유량이 소정 시간에 걸쳐 소정의 한계치 이하의 경우, 뽑아 올리는 양을 초기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새 음료 통이 설치되었을 때 적절히 음료 통 잔량을 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서버는, 교환할 수 있는 음료 통에 들어있는 음료를 저장하는 탱크, 상기 탱크에 저장된 음료를 가열하는 가열장치, 상기 탱크 내 음료의 재가열을 지시하는 재가열 버튼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특히 고온의 음료(예를 들면, 90℃)가 필요한 경우에 가열할 수 있으므로, 평상시는 약간 낮은 설정 온도(예를 들면, 80~85℃)를 유지하여 탱크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서버는, 상기 탱크에 저장된 음료의 재가열 중임을 표시하는 표시등을 더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탱크의 음료 온도를 계측하는 온도 센서를 구성하여, 상기 표시등을 상기 탱크 내 음료의 온도가 통상의 유지 온도보다 높은 소정의 온도 범위 내에 있을 때 점등 또는 점멸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탱크의 음료가 재가열중인지 아닌지 그 온도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유지온도"는 재가열하지 않을 때 탱크의 유지온도 범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서버는, 교환할 수 있는 음료 통에 들어있는 음료를 저장하는 음료 탱크, 상기 음료 탱크의 하부에 상기 음료 통을 거치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세워서 거꾸로 세워진 상기 음료 통의 캡을 관통하는 취수봉, 그리고 상기 지지대를 슬라이드 할 수 있게 올려놓는 밑면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지지대를 용기를 바깥으로 잡아당긴 상태에서 서로 맞물리는 걸개부가 상기 지지대와 상기 받침대 각각에 설치된다. 상기 걸개부는 상기 지지대가 상기 받침대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음료 통을 취수봉에서 뺄 때, 지지대가 위로 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서버는, 교환할 수 있는 음료 통에 들어있는 음료를 저장하는 음료 탱크, 음료의 추출을 지시하는 추출 버튼, 그리고 상기 추출 버튼에 의한 조작을 무효로 하는 버튼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에, 영유아 등에 의한 장난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서버는, 종래의 음료 서버와 비교해서 사용이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터 서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작 패널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터 서버의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터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터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음료 통을 수용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 이미지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음료 통 및 그 지지대를 잡아당긴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 이미지.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이미지이고,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를 슬라이드 한 모습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며,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와 밑면의 걸개부를 나타내는 이미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워터 서버에 설치된 음료 통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a) 및 (b)]는 본 발명에 따라 음료 통에서 물을 추출했을 때 음료 통이 변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음료 서버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는 음료 통에 들어있는 물을 공급하는 워터 서버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서버는 물뿐만이 아니라 각종 음료를 공급하기 위해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터 서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워터 서버(1)는 가로가 30cm, 세로가 약 38.6cm, 높이가 약 115cm 정도의 대략 직육면체의 본체(1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전면 위쪽의 조작하기 쉬운 위치에 조작패널(11)을 갖춘다. 조작패널(11)은 워터 서버(1)의 앞에 선 사용자가 보기 쉽도록 위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조작패널(11) 밑에는 워터 서버(1)에서 추출된 물을 담는 컵 등을 놓는 트레이(12)를 구성한다. 조작패널(11)의 가장 밑에 구성한 추출 버튼(33)(그림2 참조)을 누름에 따라 추출 버튼(33)을 누르고 있는 동안 워터 서버(1)는 추출구(13)에서 출수하게 한다.
[그림 2]는 조작패널(1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조작패널(11)에는, 상술한 추출 버튼(33)과 더불어 각종 표시등 및 버튼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워터 서버(1)의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등으로 급수표시등(21), 온수표시등(22), 냉수표시등(23), 그리고 에코모드 표시등(24)을 갖추고 있다. 또한, 조작버튼으로 크린 시스템 버튼(26), 약냉수 모드버튼(28), 재가열 버튼(30), 그리고 HOT 버튼(32)이 설치되고, 이와 함께 각 버튼과 같은 위치에 각 버튼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등(25, 27, 29, 31)을 갖춘다. 또한, 조작패널(11)에는 급수표시등(21)의 위에 주위의 밝기를 감지하는 광센서(20)가 설치된다. 조작패널(11)에 설치된 각 버튼 및 표시등의 상세한 기능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그림 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워터 서버(1)는 전면의 트레이(12)의 하부에 본체(10) 안에 음료 통(60)을 설치할 때 여닫는 도어(14)를 갖춘다.
[그림 3]은 워터 서버(1)를 배면에서 본 배면 사시도이다. 워터 서버(1)의 뒷면 위쪽에는, 차일드록(Child Lock) 스위치(15)를 갖춘다. 차일드록 스위치(15)는 조작패널(11)에 의한 조작을 무효화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조작패널(11)은 차일드록 스위치(15)의 조작으로 무효로 된 상태임을 그 표시상태로 알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급수표시등(21)만 점등을 계속하고, 기타 표시등을 끈다. 게다가, 조작패널의 상태가 무효 상태임을 알게 하면 되므로 그 표시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방법에 한정하지 않으나, 예시적으로 차일드록 전용 표시등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일드록 스위치(15)의 위치는 본체(10)의 밑면에서 약 1m 위에 설치하여 영유아의 손이 닿지 않게 한다. 또한, 워터 서버(1)의 뒷면 윗부분의 차일드록 스위치(15)의 반대쪽에는 워터 서버(1)의 전원 스위치(16)를 구성한다. 제품 출하 시에는 전원 스위치(16) 위에 보호 테이프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온수 탱크(50)를 탱크가 비어있는 상태에서 가열하는 등의 잘못된 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본체(10) 뒷면에 있는 차일드록 스위치(15)는 눈으로 보지 않고 손으로 더듬어서 조작할 수 있게 하려고 그 형태에 관해 연구했다. 구체적으로는, 차일드록 스위치(15)의 형상을 작고 세로로 길게 해서, 전원 스위치(16)와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워터 서버(1)의 배관이나 밸브 등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워터 서버(1)의 본체(10)의 내부에는, 위쪽에 음료 통(60)에서 퍼 올린 물을 저장하는 냉수 탱크(40)와 온수 탱크(50)가 설치된다. 본체(10)의 냉수 탱크(40)와 온수 탱크(50)는 추출구(13)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냉수 탱크(40)에는 온도 센서(41)와 도시하지 않은 냉각장치가 설치되어 냉수 탱크(40) 내의 수온을 5~10℃로 유지한다. 또, 온수 탱크(50)에는 온도 센서(51)와 도시하지 않은 가열장치가 설치되어 온수 탱크(50) 내의 수온을 80~85℃로 유지한다.
온수 탱크(50)의 밑에 있는 지지대(80)(그림6 참조)에 음료 통(60)이 장착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워터 서버(1)는, 음료 통(60)을 장착하는 위치가 본체(10)의 하부에 있어 음료 통(60)을 높게 들어 올릴 필요가 없으므로, 여성이나 고령자라도 쉽게 음료 통(60)을 장착할 수 있다. 게다가, [그림 4]에서, 음료 통(60)이 냉수 탱크(40) 및 온수 탱크(50)와 거의 같은 크기로 그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음료 통(60)이 크다.
음료 통(60)과 냉수 탱크(40)는 공급 관(90)으로 연결된다. 음료 통(60)은 취수구를 밑을 향하게 설치된다. 음료 통(60) 안의 물은 음료 통(60)의 캡을 관통한 취수봉(81)을 통해 공급 관(90)으로 유입된다. 냉수 탱크(40)는 음료 통(60)보다 높은 위치에 있으므로, 공급 관(90)에는 음료 통(60) 내의 물을 냉수 탱크(40)로 퍼 올리기 위한 펌프(91)를 갖춘다. [도 4]에서, 화살표는 통상 운전 중 물의 흐름을 나타낸다.
음료 통(60)과 온수 탱크(50)는 직접 연결하지 않고, 온수 탱크(50)에는 냉수 탱크(40)를 통해 물이 공급된다. 즉, 냉수 탱크(40)와 온수 탱크(50)는 제1 관(93)으로 연결된다. 냉수 탱크(40)에 연결한 제1 관(93)의 입구는 냉수 탱크(40)의 바닥 부분이 아닌 소정의 높이에 배치된 원반(46) 중앙에 설치된다. 이에, 냉수 탱크(40) 내의 원반(46) 높이까지 물이 채워진 다음 온수 탱크(50)에 물이 공급된다. 또, 이 원반(46)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원반(46)의 상하에 있는 냉수 탱크(40)에 저장된 물을 완만하게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냉수 탱크(40)가 원통 형상을 하고 있으므로, 냉수 탱크(40)의 상하를 완만하게 분리하는 판으로 원형의 원반(46)을 사용하고 있지만, 그 형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냉수 탱크(40)와 온수 탱크(50)는 온수 탱크(50)에서 냉수 탱크(40)로 물을 되돌리는 제2 관(94)으로 연결된다. 제1 관(93)과 제2 관(94)은 냉수 탱크(40)와 온수 탱크(50)에서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 관로를 구성한다. 제1 관(93)은 냉수 탱크(40)에서 온수 탱크(50)로 물을 공급하는 역할과 함께 냉수 탱크(40)와 온수 탱크(50)의 관에서 물을 순환하는 순환 관로의 역할을 한다. 제2 관(94)은, 냉수 탱크(40)에 온수 탱크(50) 내의 온수를 공급하여 냉수 탱크(40)를 살균 소독할 때 사용된다.
제2 관(94)의 일부는 음료 통(60)에서 냉수 탱크(40)로 물을 퍼 올리는 공급 관(90)의 일부를 공유한다. 설명의 편의상, 관의 공유부분(95)을 "공유 관"이라 한다. 이 공유 관(95)은 (A)음료 통(60)에서 냉수 탱크(40)로 퍼 올린 물의 흐름 경로, (B)온수 탱크(50)에서 냉수 탱크(40)로 물을 공급하는 경로로 사용되며, 공유 관(95)의 양쪽에 설치한 전환전자밸브(96,97)에 의해 공유 관(95)을 (A)나 (B) 경로로 사용할 것인지에 선택된다. [도 5]는 전환전자밸브(96,97)로 경로(B)로 전환하고, 냉수 탱크(40)와 온수 탱크(50)의 사이에서 물을 순환할 때의 물의 흐름을 나타낸다.
음료 통(60)에서 냉수 탱크(40)로 물을 퍼 올리기 위한 펌프(91)는 이 공유 관(95)에 설치한다. 이처럼, 공유 관(95)에 펌프(91)를 배치함에 따라, 음료 통(60)과 냉수 탱크(40)에서 물을 퍼 올리기 위한 펌프(91)를 냉수 탱크(40)와 온수 탱크(50)의 사이의 물순환에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 사용되는 펌프(91)는 톱니바퀴날개에 측판이라 하는 주변 판이 없는 개방형의 펌프(91)이다.
또한, 공급 관(90)에는, 음료 통(60)에서 냉수 탱크(40)로 퍼 올리는 물의 유량을 계측하는 유량계(92)가 설치된다. 유량계(92)에서 계측한 유량에 근거하여, 공급 관(90)을 통해 퍼 올린 음료의 양을 계산하여 음료 통(60)에 남아있는 잔량을 양을 구할 수 있다. 종래는 음료 통(60)을 워터 서버의 위에 올려놓는 방식이므로 음료 통(60)에 남아있는 물량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었지만,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음료 통(60)은 본체(10) 안의 잔량을 눈으로 확인할 수 없다. 그래서, 유량계(92)에서 구한 유량에 근거하여 음료 통(60)에 잔량을 계산하여, 급수표시등(21)에 잔량에 따른 표시를 하여 사용자에게 잔량을 알린다.
냉수 탱크(40)와 온수 탱크(50)는 각각 출수관(42,52)을 갖춘다. 이 두 개의 출수관(42,52)은 본체(10)의 전면의 추출구(13)에 연결된다. 출수관(42,52)에는 각각 출수전자밸브(43,53)를 설치하고, 출수전자밸브(43,53)를 열면 추출구(13)에서 출수하지만, 추출 버튼(33)을 눌렀을 때 냉수 탱크(40)와 온수 탱크(50)의 어느 쪽의 출수전자밸브(43,53)을 열 것인가는 HOT 버튼(32)에 의해 결정된다. 게다가, 출수전자밸브(43,53)을 열었을 때 추출구(13)에서 출수하는 것은 출수전자밸브(43,53)가 열림과 동시에 펌프(91)로 음료 통(60)의 물을 냉수 탱크(40)로 퍼 올리기 때문이다. 즉, 워터 서버(1)는 추출 버튼(33)이 눌린 동안 출수전자밸브(43,53) 중 어느 하나가 열리게 하면서 펌프(91)를 구동하여 물을 퍼 올린다.
냉수 탱크(40) 상부에는 플로트 밸브(44)로 개폐하는 공기구멍이 형성된다. 이에, 냉수 탱크(40)에 물을 초기에 퍼 올릴 때, 냉수 탱크(40)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물을 유입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온수 탱크(50)의 상부와 냉수 탱크(40)의 상부는 배기관(98)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온수 탱크(50) 내의 공기는 배기관(98)과 냉수 탱크(40)를 거쳐 냉수 탱크(40)의 공기구멍을 통해 외부로 나가므로, 처음 물을 퍼 올릴 때 온수 탱크(50)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예에서는, 배기관(98)은 제2 관(94)에서 분기하고 있지만, 반드시 제2 관(94)에서 분기시킬 필요는 없으며, 온수 탱크(50)의 상부와 직접 연결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공기구멍에는 플로트 밸브(44)를 설치하여 냉수 탱크(40) 내의 수위가 소정의 수위로 되면 공기구멍을 폐쇄하게 한다. 이에, 냉수 탱크(40)는 음료 통(60)에서 퍼 올린 물이 소정의 수위에 다다른 상태에서는 밀폐상태로 된다. 또한, 공기구멍에는 체크밸브(45)를 설치하여 외부로부터 공기유입을 방지한다. 이에, 예를 들면, 수면변화(출렁임 등)가 있을 때도 냉수 탱크(40) 안으로 공기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냉수 탱크(40)는 그 바닥에 냉수 탱크(40) 내의 물을 빼기 위한 드레인(48)을 구성한다. 온수 탱크(50) 내의 물을 빼기 위한 드레인(54)은 제1 관(93)의 온수 탱크(50)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한다. 또한, 드레인(48,54)에서 완만하게 물이 빠지도록 물을 뺄 때 냉수 탱크(40) 내에 공기를 공급하는 드레인(49)을 냉수 탱크(40) 윗면에 설치한다.
[도 9]는 워터 서버(1)에 설치한 음료 통(60)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이 음료 통(60)은, 위에서 볼 때 거의 정육각형 형상으로, 밑에 위치하는 바닥부(61), 측면을 감싸는, 동체부(62), 윗면을 덮는 어깨부(64), 어깨부(64)의 중심에서 기둥형상으로 튀어나온 목부(63)로 구성되고, 목부(63)에는 밀봉을 위한 캡(69)이 씌워진다. 음료 통(60)에는 12ℓ의 물을 넣을 수 있다. 바닥부(61)는 글자 그대로 음료 통(60)의 밑이 되는 부분으로, 단순한 판 형상으로 그 외 테두리에서 벽 형상의 동체부(62)가 위로 돌출된다. 동체부(62)는 바닥부(61) 측의 조리개부(67)와 그 위의 주름부(65)로 구성되고, 조리개부(67)는 바닥부(61)에 가까워지면 단면이 접히게 되어 있다. 또 주름부(65)는 복수의 주름(66)이 상하로 겹친 구조로, 각각의 주름(66)이 접힘에 따라 주름부(65)의 높이가 낮아진다.
[도 10(a)]는 물(W)의 약 반 정도가 소비된 단계의 음료 통(60)을 나타내고, [도 10(b)]는 거의 전량의 물(W)가 소비된 단계의 음료 통(60)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10(a)]에서는 액면이 주름부(65)의 거의 중앙에 달하여, 액면보다 위에 위치하는 주름(66)은 대기압으로 접히고, 동시에 바닥부(61)도 주름부(65) 안으로 빨려 들어간다. 그 후, 물(W)을 소비함에 따라, 주름(66)이 더욱 주름지면서 결과적으로 [도 10(b)]와 같이 주름부(65)가 완전히 주름지며, 동시에 주름부(65) 안으로 바닥부(61)나 조리개부(67)가 빨려들어가면서 용적이 많이 줄어든다. [도10(a)]에서, 도면부호 "73"은, 연동구(71)을 막기 위해 끼워져 있는 안쪽마개이다.
[도 9]로 돌아가서, 음료 통(6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동체부(62) 위에는 음료 통(60)을 덮는 어깨부(64)가 형성된다. 어깨부(64)는 목부(63) 쪽으로 돌출된 각뿔(깔때기) 형상을 하고 있고, 그 강도를 높이기 위해 복수의 리브(68)를 형성한다. 더불어, 바닥부(61)에서 목부(63)까지의 음료 통(60) 전체는 PET 수지로 일체로 제조하나, 캡(69)는 밀봉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기에 다른 소재를 사용한다. 캡(69) 측면에는 분리용 홈(70)이 형성되어 있어, 이를 당겨 찢으면 목부(63)에서 캡(69)만 벗겨낼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6(a)]는 워터 서버(1)에 음료 통(60)이 설치된 구성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음료 통(60)은 지지대(80)의 위에 거꾸로 세운 상태로 설치된다. [도 6(b)]는 지지대(80)를 본체(10)의 외부로 꺼낸 모양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지지대(80)는 본체(10) 바닥면(17)에 슬라이딩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에, 지지대(80)를 본체(10) 외부로 꺼낸 상태에서 음료 통(60)을 장착할 수 있으므로, 지지대(80)의 위에 음료 통(60)을 장착하기 쉽다.
[도 7(a)는] 지지대(80) 및 본체 바닥면(17)의 단면 사시도이다. 본체 바닥면(17)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8)을 타고 지지대(80)는 한쪽으로 슬라이딩한다. 본체 바닥면(17)에는 걸개부(후크)(19)가 있고, 지지대(80) 하부에는 걸개부(후크)(19)와 결합하는 걸개부(후크)(82)를 설치한다. [도7(b)]과 같이, 지지대(80)가 본체(10) 외부로 슬라이딩하면 지지대(80)에 설치한 걸개부(후크)(82)가 본체(10) 바닥면(17)의 걸개부(후크)(19)에 걸려 지지대(80)가 그 이상 바깥으로 슬라이딩하지 않게 정지시킨다.
[도 7(c)]는 걸개부(후크)(19)와 걸개부(후크)(82)가 맞닿은 상태를 확대해서 나타낸 그림이다. 걸개부(후크)(19)가 걸개부(후크)(82) 보다 위에 있으므로, 걸개부(후크)(19)에 의해 지지대(80)가 위로 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의해, 빈 음료 통(60)을 지지대(80)에서 들어 올릴 때 취수봉(81)과 음료 통(60)과의 마찰력으로 지지대(80)가 위쪽으로 당겨져 들어 올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워터 서버(1)의 제어부(100)를 설명하기 위한 그림이다. 워터 서버(1)는 각종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냉수 탱크(40)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47), 냉수 탱크(40)의 온도 센서(41), 온수 탱크(50)의 온도 센서(51), 그리고 공급 관(90)을 통해 물의 양을 계측하는 유량계(92)를 갖추고 있다. 제어부(100)는 이러한 센서에서 감지한 상태와 조작패널(11)에서의 조작상태에 따라, 펌프(91), 출수전자밸브(43, 53)와 전환전자밸브(96, 97), 냉각장치(101), 가열장치(102), 알람(103) 등을 제어한다. 이하, 워터 서버(1)의 각종 기능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워터 서버(1)의 기능]
급수표시등(21)은 음료 통(60) 내의 잔량을 감지하여 잔량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음료 통(60) 내의 잔량은, 상술한 바와 같이, 유량계(92)로 계측한 총량을 통해 알 수 있다. 이때, 총량의 계산은 제어부(100)에서 이루어진다. 급수표시등(21)은 음료 통(60)의 잔량이 4ℓ 이상일 경우에는 청색 표시, 4ℓ 이하일 경우에는 황색 표시, 비었을 때는 적색을 점멸한다. 여기에서는 음료 통(60)의 잔량을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실제로는 음료 통(60)에 최초 12ℓ의 물이 들어있었으므로 퍼 올린 물량의 총량이 8ℓ 이상이 되었을 때, 제어부(100)는 음료 통(60)의 잔량이 4ℓ 이하로 되었다고 판단한다.
또한, 음료 통(60)이 빈 것(즉, 음료 통(60) 내의 물의 잔량이 0이 되었을 때)은 펌프(91)에서 물을 퍼 올릴 때 유량계(92)가 3초 이상 유량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이다. 또한, 음료 통(60)이 빈 것을 감지했을 때는 총량을 초기화한다. 여기에서는, 급수표시등(21)의 점등·점멸의 한 가지 예로 보여주나, 급수표시등(21)의 표시 타이밍, 표시 색, 점등 또는 점멸의 상태는 여기서 설명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음료 통(60)의 용량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온수표시등(22)은 가열장치(102)가 작동할 때 점등한다. 온수 탱크(50) 내의 수온은 80~85℃로 유지되나, 수온이 80℃에 달하지 않은 경우는, 온수표시등(22)을 점멸하여 가열 중임을 나타낸다.
냉수표시등(23)은 냉각장치(101)가 작동할 때 점등한다. 냉수 탱크(40) 내의 수온은 5~10℃로 유지하나, 수온이 10℃보다 높을 때는 냉수표시등(23)을 점멸하여 냉각 중임을 나타낸다.
에코모드 표시등(24)은 에코모드로 운전 중일 때 점등한다. 에코모드는 광센서(20)로 주위가 소정의 설정 값보다 어두워졌음을 감지한 경우에 가열장치(102)의 전원을 차단하여 운전하는 모드이다. 그리고, 에코모드에서는 가열장치(102)의 전원을 차단할 뿐만이 아니라 냉각장치(101)의 전원을 차단하기도 한다. 또한, 가열장치(102)의 전원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온수 탱크(50) 내의 설정온도를 낮게 설정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크린 시스템 버튼(26)은 워터 서버(1)의 냉수 탱크(40) 내를 살균하는 크린 시스템을 실행하게 하는 버튼이다. 크린 시스템은, 온수 탱크(50)에 있는 온수를 냉수 탱크(40)로 순환시켜, 냉수 탱크(40) 내의 수온을 소정 시간(예를 들면, 약 2시간)에 걸쳐서 고온(예를 들어, 약 70℃)을 유지함으로써 살균 소독하는 기능이다.
크린 시스템이 동작할 때는, 공유 관(95)의 끝에 있는 2개의 전환전자밸브(96,97)를 전환하여, 음료 통(60)에서 냉수 탱크(40)로 향하는 공급 관(90)의 관로를 닫고 제2 관(94)을 연다. 그리고, 펌프(91)를 구동하여 온수 탱크(50) 내의 물을 냉수 탱크(40)로 퍼 올린다. 이에, 제1 관(93)을 통해, 냉수 탱크(40) 내의 물이 온수 탱크(50)로 흘러 냉수 탱크(40)와 온수 탱크(50)와의 사이에서 물이 순환한다.
제2 관(94)은 냉수 탱크(40)의 바닥 면에 연결하므로, 냉수 탱크(40)에 공급된 온수는, 냉수 탱크(40)의 하부에서 위로 대류를 하며, 냉수 탱크(40) 내의 밑의 수온을 효율적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냉수 탱크(40) 내부는 원반(분리판)(46)이 있어, 그 상하에서의 대류가 완만하게 이루어지도록 제한하나, 제1 관(93)은 냉수 탱크(40) 내의 원반(46) 부분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원반(46) 위에 있는 온도가 낮은 물을 온수 탱크(50)로 순환시킬 수 있다.
크린 시스템을 실행할 때는 펌프(91)를 간헐적으로 동작한다. 구체적으로는, 펌프(91)를 3분간 구동하여 냉수 탱크(40)와 온수 탱크(50) 사이에서 물을 순환하고 그 후 5분간 물의 순환을 정지한다. 더불어, 가열장치(102)로 온수 탱크(50)를 계속 가열한다. 이처럼, 펌프(91)를 간헐적으로 동작시킴으로써, 펌프(91)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또한, 펌프(91) 구동을 정지한 때, 즉 물의 순환하지 않을 때는 전환전자밸브(96,97)를 전환하여 제2 관(94)을 닫고 공급 관(90)의 관로를 연다. 펌프(91)는 개방형 펌프(91)이므로, 펌프(91) 구동이 정지하고 있을 때는 냉수 탱크(40)에서 음료 통(60)으로 향하는 흐름을 허용한다. 따라서, 냉수 탱크(40)의 온도상승에 따라 냉수 탱크(40) 내의 공기가 팽창하였을 때는 냉수 탱크(40) 내의 공기가 음료 통(60)으로 빠진다. 이에, 냉수 탱크(40) 내의 내압 상승을 줄여 냉수 탱크(40)를 보호할 수 있다.
크린 시스템 표시등(25)은 크린 시스템이 동작 중임을 나타내는 표시등이다. 크린 시스템 동작 중은 크린 시스템 표시등(25)을 점등한다. 크린 시스템이 종료한 후는 냉수 탱크(40)의 물을 냉각하여 냉수 탱크(40) 내의 수온을 5~10℃로 되돌린다.
크린 시스템 동작 직후에 냉수를 출수하고자 할 때 잘못하여 고온의 물을 출수하면 화상을 입을 염려가 있으므로, 워터 서버(1)는 냉수 탱크(40) 내의 수온이 20℃ 이하가 될 때까지는 냉수 탱크(40)에서 취수할 수 없게 제한한다. 즉, 사용자가 추출 버튼(33)을 눌러도 냉수 탱크(40)의 전자밸브(43)가 열리지 않는다. 크린 시스템 종료 후 냉각 중에는 크린 시스템 표시등(25)을 점멸하여 사용자에게 냉수를 취수할 수 없음을 알린다. 이 취수제한은 크린 시스템 종료에 한정되며, 통상운전 시는 음료 통(60)에서 퍼 올린 물의 온도가 20℃보다 높은 경우에도 취수제한을 할 필요는 없다. 더불어, 크린 시스템 종료 직후라도 온수의 취수는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약냉수모드 버튼(28)은 냉수 탱크(40)의 수온을 통상(5~10℃)보다 약간 높은 온도(10~20℃)로 유지하는 모드를 실행하는 버튼이다. 약냉수모드 표시등(27)은 약냉수모드로 운전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표시등이며, 약냉수모드로 운전 중에 점등한다.
재가열 버튼(30)은 80~85℃로 유지하는 온수 탱크(50) 내의 물을 가열하여 온수 탱크(50) 내의 수온을 높게 (예를 들면, 90℃) 하기 위한 버튼이다. 재가열이 끝나 온수 탱크(50)의 수온이 90℃가 되었을 때, 알람(103)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린다. 이에, 더욱 고온의 온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음과 동시에, 평소는 조금 낮은 온도로 유지하므로, 온도유지를 위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재가열 표시등(29)은 온수 탱크(50) 내의 수온이 85~90℃의 경우에 점등한다.
종래의 워터 서버(1)에서는, 예를 들어, 80~90℃의 온도 관리 범위인 것을 파악할 수 있더라도 그 이상 상세하게 온도를 알 수 없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구성에서는, 온수 탱크(50)가 80~85℃로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재가열 표시등(29)은 점등하지 않고 온수 탱크(50)가 85~90℃로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재가열 표시등(29)이 점등하므로 사용자는 온도를 확인할 수 있다.
HOT 버튼(32)은 온수를 추출하기 위한 전환버튼이다. 통상은, 추출 버튼(33)을 누르면, 냉수 탱크(40)의 출수관(42)의 전자밸브가 열려 냉수 탱크(40)에서 냉수가 출수된다. 즉, 추출 버튼(33)을 눌렀을 때, 냉수 탱크(40)의 출수전자밸브(43)에 대해 밸브를 열라는 신호를 송신한다. 냉수가 출수가 되는 운전상태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있어 "제1 모드"에 상당한다. HOT 버튼(32)을 3초간 누르면, 추출 버튼(33)을 눌렀을 때 열린 전자밸브가 냉수 탱크(40)의 출수전자밸브(43)에서 온수 탱크(50)의 출수전자밸브(53)로 전환된다. 구체적으로는, 추출 버튼(33)이 눌렸을 때, 온수 탱크(50)의 출수전자밸브(53)에 대해 밸브를 열라는 신호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HOT 버튼(32)을 3초간 누른 후에, 추출 버튼(33)을 누르면, 추출 버튼(33)을 누르고 있는 동안 온수 탱크(50)에서 온수가 출수가 된다. 온수가 출수가 되는 운전상태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있어 "제2 모드"에 상당한다. .
HOT 버튼(32)을 3초간 누르면, 워터 서버(1)는 알람(103)에 의해 소리를 출력함과 동시에, HOT 표시등(31)이 점등된다. 이에 의해, HOT 버튼(32)이 작동하고 있음을 사용자가 알 수 있다. 제2 모드에 있어서, HOT 버튼(32)을 3초간 누른 때, 또는 제2 모드에 있어서, 소정 시간(예를 들면, 5초간) 출수 동작이 없음을 감지한 때, 워터 서버(1)는 제2 모드에서 제1 모드로 전환된다. 제2 모드에서 제1 모드로의 전환할 때도 워터 서버(1)는 알람(103) 소리를 출력한다. 더불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HOT 버튼(32)을 3초간 계속해서 눌렀을 때 제2 모드로 전환하지만, 이는 HOT 버튼(32)을 잘못 눌렀을 때 제2 모드로 전환되지 않도록 어느 정도 길게 누르게 한 것이다. 이때, 길게 누르는 시간은, 3초로 한정하지 않고, 1.5초, 2초, 3.5초 등으로 설정해도 된다.
추출 버튼(33)은 냉수 탱크(40)나 온수 탱크(50)에서 출수하게 하는 기능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음료 통(60)이 본체(10)의 하부에 있으므로, 출수와 동시에 음료 통(60)에서 냉수 탱크(40)로 물을 퍼 올린다. 즉, 추출 버튼(33)이 눌린 동안 출수전자밸브(43)나 출수전자밸브(53)를 엶과 동시에, 펌프(91)를 구동해서 음료 통(60)에서 물을 퍼 올린다. 또한, 음료 통(60)이 빈 것을 감지한 후는, 펌프(91)의 동작을 정지하여, 추출 버튼(33)을 눌러도 펌프(91)에서 물을 퍼 올리지 않게 한다. 냉수 탱크(40)와 온수 탱크(50)는 밀폐상태이므로 펌프(91)에서 물을 퍼 올리지 않는 상태에서는 추출 버튼(33)을 눌러도 출수하지 않는다. 도어 센서(104)가 도어(14)를 닫았음을 감지한 때는 다시 펌프(91)의 동작을 재개한다. 도어(14)가 닫힌 때는, 새로운 음료 통(60)이 설치된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워터 서버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위에서 기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위에서 기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조작패널(11) 상에 다양한 기능을 실행하는 버튼이나 표시등이 있는 워터 서버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서버는, 위에서 기술한 모든 기능이 있지 않아도 되며, 위에서 기술한 다양한 기능의 임의 조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워터 서버에서는, 음료 통에서 냉수 탱크로의 공급 관(90)과 냉수 탱크와 온수 탱크와의 사이의 순환 관로를 구성하는 제2 관(94)의 일부를 공유하는 예를 들었지만, 반드시 공유 관(95)이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공유 관(95)이 없는 경우에는, 순환 관로와 공급 관(90)의 각각의 펌프가 필요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워터 서버에서는, 냉수 탱크와 온수 탱크의 2개의 탱크가 있는 예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냉수 탱크만, 또는 온수 탱크만 있는 음료 서버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서버는, 음료 통에서 보급한 음료를 탱크에 일단 저장하여 공급하는 음료 서버 등으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1 : 워터 서버 10 : 본체
11 : 조작패널 12 : 트레이
13 : 출수구 14 : 도어(DOOR)
15 : 차일드록 스위치 16 : 전원 스위치
17 : 본체 바닥면 18 : 가이드레일
19 : 걸개부(후크) 20 : 광센서
21 : 급수표시등 22 : 온수표시등
23 : 냉수표시등 24 : 에코모드표시등
25 : 크린 시스템 표시등 26 : 크린 시스템 버튼
27 : 약냉수모드 표시등 28 : 약냉수모드 버튼
29 : 재가열 표시등 30 : 재가열 버튼
31 : HOT 표시등 32 : HOT 버튼
33 : 추출 버튼 40 : 냉수 탱크
41 : 온도 센서 42 : 출수관
43 : 출수전자밸브 44 : 플로트밸브
45 : 체크밸브 46 : 원반
47 : 수위센서 48 : 드레인
49 : 드레인 50 : 온수 탱크
51 : 온도 센서 52 : 출수관
53 : 출수전자밸브 54 : 드레인
60 : 음료 통 61 : 바닥부
62 : 동체부 63 : 목부
64 : 어깨부 65 : 주름부
66 : 주름 67 : 조리개부
68 : 리브 69 : 캡
70 : 분리용 홈 71 : 연동구
72 : 지지대 73 : 안쪽마개
80 : 지지대 81 : 취수봉
90 : 공급 관 91 : 펌프
92 : 유량계 93 : 제1관
94 : 제2관 95 : 공유관
96, C97 : 전환전자밸브 98 : 배기관
100 : 제어부 101 : 냉각장치
102 : 가열장치 103 : 알람
104 : 도어 센서

Claims (21)

  1. 교환할 수 있는 음료 통에 들어있는 음료를 저장하는 제1 탱크 및 제2 탱크, 상기 제2 탱크에 저장된 음료를 가열하는 가열장치, 상기 제1 탱크와 상기 제2 탱크를 순환하는 순환 관로, 그리고 상기 순환 관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음료를 순환시키는 펌프를 갖추되,
    상기 펌프를 간헐적으로 구동시켜 상기 제1 탱크와 상기 제2 탱크의 사이에서 음료를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관로는 음료가 상기 제1 탱크에서 상기 제2 탱크에 향하는 제1 관로와 음료가 상기 제2 탱크에서 상기 제1 탱크로 향하는 제2 관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관로의 끝은 상기 제1 탱크의 하부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탱크 내부에 수평 판을 설치하고,
    상기 수평 판에 상기 제1 관로의 한쪽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서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탱크 및 상기 제2 탱크의 아래쪽에,
    음료 통을 설치하는 지지대, 상기 제1 탱크와 상기 음료 통을 연결하는 공급 관로, 그리고 상기 공급 관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음료 통에서 상기 제1음료 서버로 음료를 퍼 올리기 위한 개방형 펌프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서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탱크 및 상기 제2 탱크의 아래쪽에,
    상기 음료 통을 설치하기 위한 지지대, 상기 제1 탱크와 상기 음료 통을 연결하는 공급 관로, 상기 순환 관로의 일부와 상기 공급 관로의 일부를 공유 관로로 구성하여 이 공유 관로를 상기 순환 관로나 상기 공급 관로로 사용할 것인지 전환하는 전환밸브를 갖추되,
    상기 펌프는 상기 공유 관로에 설치된 개방형 펌프이며,
    상기 전환밸브는, 상기 펌프가 구동할 때는 상기 공유 관로를 상기 순환 관로로 연결하고, 상기 펌프가 정지할 때는 상기 공유 관로를 상기 공급 관로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서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관로 상의 상기 공유 관로가 아닌 위치에 설치된 유량계를 더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서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통은,
    음료의 유출에 따라 변형하는 음료 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서버.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탱크 내의 음료의 온도를 계측하는 온도 센서를 더 구성하고,
    상기 순환 관로를 통해 상기 제1 탱크와 상기 제2 탱크의 사이에서 음료를 순환시킨 후, 상기 온도 센서에서 계측한 온도가 소정의 한계치 이하가 될 때까지 상기 제1 탱크에서 음료 추출을 정지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서버.
  9. 교환할 수 있는 음료 통에 들어있는 음료를 저장하는 제1 탱크 및 제2 탱크;,
    상기 제2 탱크에 저장된 음료를 가열하는 가열장치;
    상기 제1 탱크에 연결된 출수 관로 상에 배치된 제1 밸브;
    상기 제2 탱크에 연결된 출수 관로 상에 배치된 제2 밸브;
    음료의 추출을 지시하는 추출 버튼; 및
    상기 추출 버튼을 눌렀을 때 상기 제1 밸브를 여는 제1 모드와 상기 추출 버튼을 눌렀을 때 상기 제2 밸브를 여는 제2 모드를 전환하는 전환버튼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서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전환버튼이 조작된 때에,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제2 모드에 있어서 상기 추출 버튼이 눌리지 않은 상태가 소정 시간 계속되었을 때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서버.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모드로 전환할 때, 또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모드로 전환할 때, 경고음을 내는 출력부를 더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서버.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임을 나타내는 표시등을 더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서버.
  13. 교환할 수 있는 음료 통에 들어있는 음료를 저장하는 탱크;,
    상기 탱크 밑에 상기 음료 통을 설치하기 위한 지지대;
    상기 탱크와 음료 통을 연결하는 공급 관로;,
    상기 공급 관로 상에 설치된 상기 음료 통에서 상기 탱크에 음료를 퍼 올리기 위한 펌프;,
    상기 공급 관로 상에 설치된 유량계;,
    상기 유량계에서 계측한 유량에 근거하여 상기 공급 관로를 통해 퍼 올린 음료의 양을 계측하는 계측부; 및
    상기 계측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음료 통 내의 잔량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갖춘 음료 서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부는,
    상기 유량계에 의해 계측한 유량이 소정 시간에 걸쳐서 소정의 한계치 이하의 경우에, 퍼 올리는 양을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서버.
  15. 교환할 수 있는 음료 통에 들어있는 음료를 저장하는 탱크;
    상기 탱크에 저장된 음료를 가열하는 가열장치; 및
    상기 탱크 내 음료의 재가열을 지시하는 재가열 버튼;을 포함한 음료 서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에 저장된 음료의 재가열 중임을 표시하는 표시등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서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의 음료의 온도를 계측하는 온도 센서를 더 구성하고,
    상기 표시등은 상기 탱크 내의 음료의 온도가 통상의 유지온도보다 높은 소정의 온도범위 내에 있을 때 점등 또는 점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서버.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의 음료의 온도를 계측하는 온도 센서를 더 갖춰서 상기 탱크 내의 음료를 80~85℃로 유지하고, 상기 재가열 버튼이 조작된 때 상기 탱크 내의 음료를 90℃가 될 때까지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서버.
  19. 교환할 수 있는 음료 통에 들어있는 음료를 저장하는 음료 탱크;, 상기 음료 탱크 밑에 상기 음료 통을 설치하기 위한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세워져 거꾸로 세워진 상기 음료 통의 캡을 관통하는 취수봉; 및 상기 지지대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올려놓는 바닥면;을 구성하되,
    상기 지지대를 용기의 바깥으로 잡아당긴 상태에서 걸리게 하는 걸개부가, 상기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각각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서버.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걸개부는, 상기 지지대가 상기 받침대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서버.
  21. 교환할 수 있는 음료 통에 들어있는 음료를 저장하는 음료 탱크;
    음료의 추출을 지시하는 추출 버튼; 및
    상기 추출 버튼에 의한 조작을 무효로 하는 버튼;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서버.
KR1020160035177A 2015-04-13 2016-03-24 음료 서버 KR201601220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81517 2015-04-13
JP2015081517A JP2016199300A (ja) 2015-04-13 2015-04-13 飲料サー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2062A true KR20160122062A (ko) 2016-10-21

Family

ID=57257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5177A KR20160122062A (ko) 2015-04-13 2016-03-24 음료 서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6199300A (ko)
KR (1) KR2016012206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20974A (zh) * 2016-12-15 2017-06-13 广西职业技术学院 饮水机
KR20210074000A (ko) * 2019-12-11 2021-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23659A (zh) * 2017-03-05 2018-09-14 江泽林 一种智能控制出水量的饮水机及其控制方法
JP6827367B2 (ja) * 2017-05-30 2021-02-10 パーパス株式会社 ウォータサーバ
JP6894626B2 (ja) * 2017-07-14 2021-06-30 パーパス株式会社 補水制御方法および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2019123524A (ja) * 2018-01-16 2019-07-25 矢崎エナジーシステム株式会社 ウォーターサーバ
JP7171045B2 (ja) * 2019-03-06 2022-11-15 パーパス株式会社 ウォータサー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506925B2 (ja) * 2020-12-23 2024-06-27 パーパス株式会社 ウォーターサーバ、その原水管理の方法、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7488569B2 (ja) 2020-12-24 2024-05-22 パーパス株式会社 ウォーターサーバ、その給水管理の方法、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7496130B2 (ja) * 2020-12-24 2024-06-06 パーパス株式会社 ウォーターサーバ、動作処理方法、動作処理システム、動作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6662A (ja) 2005-10-31 2006-03-23 Suntory Ltd 飲料水のディスペンサの加熱殺菌装置
JP2014172624A (ja) 2013-03-07 2014-09-22 Cosmo Life:Kk ウォーターサーバ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22932B2 (ja) * 2002-10-31 2008-07-23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飲料自動定量注出装置
JP2004206301A (ja) * 2002-12-24 2004-07-22 Benten:Kk 冷温水機の殺菌装置
JP4912981B2 (ja) * 2007-08-20 2012-04-11 パーパス株式会社 飲料水供給装置
US9480762B2 (en) * 2012-04-12 2016-11-01 Mtn Products, Inc. Liquid dispenser with sanitizing control functions
JP5529237B2 (ja) * 2012-10-25 2014-06-25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5806247B2 (ja) * 2013-03-05 2015-11-10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ウォーターサーバ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6662A (ja) 2005-10-31 2006-03-23 Suntory Ltd 飲料水のディスペンサの加熱殺菌装置
JP2014172624A (ja) 2013-03-07 2014-09-22 Cosmo Life:Kk ウォーターサーバ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20974A (zh) * 2016-12-15 2017-06-13 广西职业技术学院 饮水机
KR20210074000A (ko) * 2019-12-11 2021-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199300A (ja) 2016-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22062A (ko) 음료 서버
CN104640484B (zh) 真空低温烹饪装置
US8356731B2 (en) Energy saving baffle for water cooler
US20080035241A1 (en) Multiple function liquid dispenser
US8281821B2 (en) Leak stop seal for water cooler
JP5529237B2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2013515520A (ja) 透析装置、特に腹膜透析装置
CA2486033A1 (en) Countertop water dispenser
TW201444762A (zh) 開飲機
US20160046478A1 (en) Water dispenser
JP2014201322A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2019142592A (ja) 飲料サーバ
JP2010076814A (ja) ウォータサーバ
KR101358073B1 (ko) 냉온수기 및 냉온수기의 살균 방법
US10934152B2 (en) Fluid dispenser
TW201434732A (zh) 開飲機
JP2013095497A (ja) ウォーターサーバ
JP2001153523A (ja) 飲料用温水器及び飲料用冷水器及び飲料用温水・冷水器
JP2017141060A (ja) 冷温水器及び冷温水器の殺菌方法
US20160007844A1 (en) Endoscope cleaning/disinfecting apparatus
US11401150B2 (en) Automated fluid dispenser system
CN103300767A (zh) 监测温度温感浴缸
JP6944542B2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及びウォーターサーバーへの給水方法
JP2005308332A (ja) 冷温水機
KR100528589B1 (ko) 냉온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