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7116A - 전자 기기의 방수 구조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의 방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7116A
KR20160117116A KR1020150097596A KR20150097596A KR20160117116A KR 20160117116 A KR20160117116 A KR 20160117116A KR 1020150097596 A KR1020150097596 A KR 1020150097596A KR 20150097596 A KR20150097596 A KR 20150097596A KR 20160117116 A KR20160117116 A KR 20160117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tray
insertion hole
opening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7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4827B1 (ko
Inventor
코이치로 에지리
료 사사키
Original Assignee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17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7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6Guiding cards; Checking correct operation of card-conveying mechanis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16Mechanical arrangements for accommodating identification devices, e.g. cards or chips; with connectors for programming identification devices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veying Record Carrier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과제] 전자 기기 케이싱에 형성된 핀 삽통 구멍을 통해서 조작 가능한 전자 기기를 간이하고 또한 적합하게 방수 가능한 전자 기기의 방수 구조의 제공.
[해결수단] 전자 기기 케이싱(1)의 벽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압입 조작되는 피조작체(3)와 트레이용 개구부와 별개로 전자 기기 케이싱(1)에 관통된 핀 삽통 구멍(4)을 구비하고, 핀 삽통 구멍(4)을 통해서 전자 기기의 외부로부터 피조작체(3)를 압입 조작하도록 하고 있는 전자 기기이며, 핀 삽통 구멍(4) 내에 이동 가능하고 또한 빠질 수 없게 수용되는 조작 핀(5)을 구비하고, 조작 핀(5)의 외주부에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환상의 지수 부재(6)가 감합되고, 핀 삽통 구멍(4) 내면과 조작 핀(5)의 외주면의 간극이 핀용 지수 부재(6)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Description

전자 기기의 방수 구조{WATERPROOF STRUCTURE OF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나 스마트폰, 기타 전자 기기로서, 특히 전자기기 케이싱에 개구된 핀 삽통 구멍을 통해서 내부의 피조작체를 조작함으로써 카드 트레이를 인출하는 구조를 갖는 전기 기기의 방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휴대전화기나 스마트폰 등의 전자 기기의 외부 기억 매체에는 IC 카드나 플래쉬 메모리 카드 등의 카드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 카드와 전자 기기에 탑재된 프린트 배선 기판을 카드 커넥터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있다.
카드 커넥터에는 전자 기기 내에 배치되는 하우징과, 전자 기기의 케이싱 외측면부에 개구된 트레이용 개구부를 통해서 하우징으로 삽입되는 카드 트레이와, 하우징 내에 배치된 복수의 콘택트를 구비한 것이 공지되고, 트레이용 개구부를 통해서 카드 트레이를 하우징에 삽입함으로써 카드 트레이의 앞단부에 배치된 앞면 뚜껑부가 트레이용 개구부 내에 끼워넣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트레이식 카드 커넥터에서는 카드 트레이의 앞면 뚜껑부가 트레이용 개구부에 끼워넣어지면 카드 트레이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없기 때문에, 전자 기기 케이싱 외측으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카드 트레이를 하우징 및 전자 기기로부터 인출시키도록 한 트레이 인출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전자 기기 케이싱 외부로부터 조작 가능한 트레이 인출 기구로서는, 예를 들면 하우징의 측부에 압입 가능하게 배치된 피조작체와 피조작체의 압입 동작에 연동해서 회동하는 회동 레버를 구비함과 아울러, 케이싱의 외측면부에 피조작체와 정합시킨 배치로 개구된 핀 삽통 구멍을 형성하고, 이 핀 삽통 구멍을 통해서 케이싱 외부로부터 핀 부재를 하우징에 삽입하여 피조작체를 압입하고, 피조작체에 의해 회동 레버의 일단을 눌러서 상기 회동 레버를 회동시키며, 그 회동 레버의 타단측에서 카드 트레이의 안쪽 가장자리를 배출 방향으로 압출하도록 한 핀 이젝트 방식의 것 등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2013-51134호 공보
그러나, 휴대전화기나 스마트폰 등의 전자 기기에서는 그 사용 형태의 다양화에 따라 전자 기기 전체를 방수 사양으로 하는 것이 요구되는 바, 상술과 같이 전자 기기 케이싱에 핀 삽통 구멍을 형성하면 구조상 핀 삽통 구멍이 전자 기기 케이싱의 안팍으로 관통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핀 삽통 구멍으로부터 전자 기기 내부로 물이 침입할 우려가 있었다.
그러므로, 이러한 핀 삽통 구멍을 통해서 스위치류나 상술의 이젝트 기구용의 피조작체를 조작하는 구조를 갖는 전자 기기에서는 핀 삽통 구멍 주위에 고무 제의 캡 등을 끼워넣음으로써 방수에 대응하는 것이 고려되지만, 그 경우 외관이 나쁘고, 사용할 때마다 캡을 탈착하지 않으면 안되어 사용성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전자 기기 케이싱에 형성된 핀 삽통 구멍을 통해서 내장된 카드 커넥터의 이젝트 기구를 조작 가능한 전자 기기이며, 그 전자 기기를 간이하고 또한 적합하게 방수 가능한 전자 기기의 방수 구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상술과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고,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발명의 일측면의 제 1의 특징은, 전자 기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된 하우징과, 상기 전자 기기 케이싱의 외부로부터 트레이용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하우징으로 삽입되는 카드 트레이와, 상기 하우징의 측부에 이동 가능하게 유지된 피조작체와, 그 피조작체의 압입 동작에 연동해서 상기 카드 트레이를 압출하는 이젝트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카드 커넥터를 갖는 전자 기기의 방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카드 트레이에는 상기 트레이용 개구부에 끼워넣어지는 앞면 뚜껑부와 그 앞면 뚜껑부의 외주부에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환상의 뚜껑용 지수(止水)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전자 기기 케이싱에는 상기 트레이용 개구부와 별개로 관통된 핀 삽통 구멍과, 그 핀 삽통 구멍 내에 이동 가능하고 또한 빠질 수 없게 수용된 조작 핀을 구비하고, 그 조작 핀에 의해 상기 피조작체가 조작되도록 함과 아울러 그 조작 핀의 외주부에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환상의 핀용 지수 부재가 감합되고, 상기 핀 삽통 구멍 내면과 상기 조작 핀의 외주면의 간극이 상기 핀용 지수 부재에 의해 밀봉되어 있는 전자 기기의 방수 구조에 있다.
발명의 일측면의 제 2의 특징은 제 1의 특징의 구성에 추가하여, 상기 피조작체에는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조작 핀의 선단에 압박되는 피압박부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는 것에 있다.
발명의 일측면의 제 3의 특징은 제 1 또는 제 2의 특징의 구성에 추가하여, 상기 핀 삽통 구멍의 외측 개구 안쪽 가장자리부에 플랜지 형상의 빠짐방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 핀이 상기 전자 기기 케이싱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핀 삽통 구멍으로 삽입되고, 상기 조작 핀의 일단이 상기 빠짐방지 볼록부에 의해 빠짐방지되며, 타단이 상기 피조작체에 의해 빠짐방지되도록 되어 있는 것에 있다.
발명의 일측면의 제 4의 특징은 제 1 또는 제 2의 특징의 구성에 추가하여, 상기 조작 핀과 상기 피조작체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있다.
발명의 일측면의 제 6의 특징은 제 1~제 4 중 어느 하나의 특징의 구성에 추가하여, 상기 이젝트 기구는 상기 피조작체의 압입 동작에 연동해서 회동하는 회동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회동 레버는 그 일단을 상기 피조작체로 압입함으로써 회동하고, 타단에서 상기 카드 트레이를 배출 방향으로 압출하도록 한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한 전자 기기의 방수 구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기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된 하우징과, 상기 전자 기기 케이싱의 외부로부터 트레이용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하우징으로 삽입되는 카드 트레이와, 상기 하우징의 측부에 이동 가능하게 유지된 피조작체와, 그 피조작체의 압입 동작에 연동해서 상기 카드 트레이를 압출하는 이젝트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카드 커넥터를 갖는 전자 기기의 방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카드 트레이에는 상기 트레이용 개구부에 끼워넣는 앞면 뚜껑부와 그 앞면 뚜껑부의 외주부에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환상의 뚜껑용 지수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전자 기기 케이싱에는 상기 트레이용 개구부와 별개로 관통된 핀 삽통 구멍과, 그 핀 삽통 구멍 내에 이동 가능하고 또한 빠질 수 없게 수용된 조작 핀을 구비하고, 그 조작 핀에 의해 상기 피조작체가 조작되도록 함과 아울러 그 조작 핀의 외주부에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환상의 핀용 지수 부재가 감합되고, 상기 핀 삽통 구멍 내면과 상기 조작 핀의 외주면의 간극이 상기 핀용 지수 부재에 의해 밀봉되어 있음으로써 핀 삽통 구멍을 통해서 조작을 행하는 전자 기기를 적합하게 방수 사양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카드 트레이에 핀 삽통 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 만큼 앞면 뚜껑부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피조작체에는 바깥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조작 핀의 선단으로 압박되는 피압박부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음으로써, 앞면 뚜껑부에 맞추어 하우징을 소형화한 경우라도 전자 기기 케이싱에 트레이용 개구부와 별개로 형성된 핀 삽통 구멍을 통해서 피조작체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핀 삽통 구멍의 외측 개구 안쪽 가장자리부에 플랜지 형상의 빠짐방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 핀이 상기 전자 기기 케이싱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핀 삽통 구멍으로 삽입되고, 상기 조작 핀의 일단이 상기 빠짐방지 볼록부에 의해 빠짐방지되며, 타단이 상기 피조작체에 의해 빠짐방지되도록 하고 있음으로써 간이한 구조로 핀 삽통 구멍을 지수할 수 있다. 또한, 조작 핀을 제거하면 비방수 사양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상기 조작 핀과 상기 피조작체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조작 핀과 피조작체를 항상 연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이젝트 기구는 상기 피조작체의 압입 동작에 연동해서 회동하는 회동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회동 레버는 그 일단을 상기 피조작체에 의해 밀어넣음으로써 회동하고, 타단에서 상기 카드 트레이를 배출 방향으로 압출하도록 함으로써 카드 트레이와 조작 핀이 독립되어 있으므로 조작 핀의 압입 스트로크가 카드 트레이에 의해서 방해받지 않아 적합하게 카드 트레이의 인출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전자 기기의 방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동 상의 횡단면도이며, (a)는 방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a)의 핀 삽통 구멍 부분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 중의 하우징의 실드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동 상의 카드 트레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어서, 본 발명에 의한 전자 기기의 방수 구조의 실시형태를 도 1~도 5에 나타낸 실시예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면 중 부호 A는 전자 기기, 부호 1은 전자 기기 케이싱, 부호 B는 전자 기기 케이싱(1) 내에 설치된 실장 기판, 부호 2는 카드 커넥터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카드 트레이 삽입/인출 방향의 앞측, 즉 도 2 중의 하측을 앞으로 해서 설명한다.
이 전자 기기(A)는 전자 기기 케이싱(1)에 내장된 실장 기판(B)에 실장된 하우징(22)에 대해 카드 트레이(21)가 전자 기기 케이싱(1)에 개구된 트레이용 개구부(11)를 통해서 삽입되는 카드 커넥터(2)를 구비한 것이며, 카드 커넥터(2)는 카드(C)가 수용되는 카드 트레이(21)와, 카드 트레이(21)가 삽입되는 트레이 삽입부(221)를 갖는 하우징(22)과, 트레이 삽입부(221)의 내저면으로부터 돌출된 콘택트(23, 23...)와, 하우징(22)의 측부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된 피조작체(3)와, 피조작체(3)의 압입 동작에 연동해서 상기 카드 트레이를 압출하는 이젝트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전자 기기 케이싱(1)에는 트레이용 개구부(11)와 소망의 간격을 두고서 피조작체(3)에 정합시킨 배치, 예를 들면 후술하는 피압박부(31)와 카드 삽입/인출 방향으로 연속되는 배치로 전자 기기 케이싱(1)에 관통된 핀 삽통 구멍(4)과, 핀 삽통 구멍(4) 내에 이동 가능하고 또한 빠질 수 없게 수용되는 조작 핀(5)을 구비하고, 전자 기기(A)는 조작 핀(5)을 통해서 케이싱 외부로부터 피조작체(3)를 조작함으로써 카드 커넥터(2)의 이젝트 기구가 동작하여 카드 트레이(21)를 인출하도록 되어 있다.
핀 삽통 구멍(4)은 트레이용 개구부(11)와 소망의 간격을 두고서 별개로 형성되고, 전자 기기 케이싱(1)의 벽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둥근 구멍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핀 삽통 구멍(4)에는 그 외측 개구 안쪽 가장자리부에 플랜지 형상의 빠짐방지 볼록부(41)를 일체로 구비하고, 조작 핀(5)이 전자 기기 케이싱(1)의 내측으로부터 핀 삽통 구멍(4)으로 삽입 가능하고 또한 전자 기기 케이싱(1)의 외측으로 빠질 수 없게 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 핀(5)을 핀 삽통 구멍(4) 내에 삽입한 상태에서 하우징(22)이 실장된 실장 기판(B)을 전자 기기 케이싱(1) 내에 설치함으로써 조작 핀(5)의 일단이 빠짐방지 볼록부(41)에 의해 빠짐방지되고, 타단이 피조작체(3)에 접촉해서 빠짐방지되도록 하고 있다.
조작 핀(5)은 둥근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앞단부에 핀 삽통 구멍(4)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넣어지는 피스톤 형상의 슬라이드 밀봉부(51)를 구비하고, 슬라이드 밀봉부(51)의 외주부에 둘레 방향을 향한 지수 부재 고정용의 홈부(52)가 형성되며, 이 홈부(52)에 고무 등의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환상의 핀용 지수 부재(6)가 감합되어 있다.
핀용 지수 부재(6)는 그 둘레 방향 단면이 지수 부재 고정용의 홈부(52)의 깊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슬라이드 밀봉부(51)의 외주면으로부터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바깥을 향하여 돌출된 상태로 홈부(52)에 감합되고, 핀 삽통 구멍(4)의 내측면과 슬라이드 밀봉부(51) 외주면 사이에 협지되어 핀 삽통 구멍(4) 내측면과 조작 핀(5) 외주면의 간극을 밀봉하도록 되어 있다.
이젝트 기구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22)의 측부에 카드 트레이(21)의 삽입/인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피조작체(3)가 유지되고, 하우징(22)의 피조작체(3) 측의 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 회동 레버(24)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이 회동 레버(24)는 피조작체(3)를 압입 방향으로 동작시킴으로써 회동 레버(24)의 일단(24a)이 피조작체(3)의 선단에 압박됨으로써 회동하고, 그것에 따라 회동 레버(24)의 타단(24b)이 카드 트레이(21)의 뒤쪽 가장자리를 빠짐 방향으로 압출하도록 되어 있다.
피조작체(3)는 가늘고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앞단부에 바깥쪽으로 절곡된 형상의 피압박부(31)를 일체로 구비하여 평면으로 볼 때 역 L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피압박부(31)는 선단측이 후술하는 카드 트레이(21)의 앞면 뚜껑부(212)의 바깥 가장자리로부터 외측까지 돌출되어 핀 삽통 구멍(4)에 정합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으며, 트레이용 개구부(11)와 간격을 두고서 별개로 형성된 핀 삽통 구멍(4) 내에 수용된 조작 핀(5)에 의한 피조작체(3)의 압입 동작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카드 트레이(21)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C)가 수용되는 트레이 본체(211)와 트레이 본체(211)의 앞단부에 플랜지 형상으로 고정된 앞면 뚜껑부(212)를 구비하고 있다.
트레이 본체(211)는 절연성 합성 수지재에 의해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편면측으로부터 카드(C)가 끼워넣어지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직사각형 구멍 형상의 카드 수용부(213)를 구비하고 있다.
앞면 뚜껑부(212)는 트레이용 개구부(11)에 끼워넣어지는 뚜껑 본체(214)와 뚜껑 본체(214)의 후면에 일체로 돌출된 연결부(215)를 구비하고, 연결부(215)를 트레이 본체(211)의 앞단부와 연결함으로써 카드 트레이(21)의 앞단부에 플랜지 형상으로 고정되어 트레이 본체(211)와 앞면 뚜껑부(212)가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이 앞면 뚜껑부(212)에는 뚜껑 본체(214)의 외주부에 고무 등의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환상의 뚜껑용 지수 부재(7)가 구비되어 있다.
뚜껑 본체(214)는 트레이용 개구부(11)의 형상에 정합시켜서 형성되고, 정면에서 봤을 때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 형상이고, 트레이 삽입/인출 방향으로 일정한 두께를 갖는 모서리가 둥근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고, 그 외주부에 둘레 방향을 향한 지수 부재 고정용의 홈부(216)가 형성되며, 이 홈부(216)에 뚜껑용 지수 부재(7)가 감합되어 있다.
뚜껑용 지수 부재(7)는 그 둘레 방향 단면이 홈부(216)의 깊이보다 크게 형성되고, 뚜껑 본체(214)의 외주면으로부터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바깥쪽으로 돌출된 상태로 홈부(216)에 감합되고, 뚜껑 본체(214)가 트레이용 개구부(11)에 끼워넣어졌을 때에는 이 뚜껑용 지수 부재(7)가 트레이용 개구부(11) 내측면과 뚜껑 본체(214) 외주면 사이에 협지되어 트레이용 개구부(11) 내측면과 뚜껑 본체(214) 외주면의 간극을 밀봉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자 기기(A)의 방수 구조에서는 핀 삽통 구멍(4) 내에 이동 가능하고 또한 빠질 수 없게 수용되는 조작 핀(5)을 구비하고, 조작 핀(5)의 외주부에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환상의 핀용 지수 부재(6)가 감합되어 핀 삽통 구멍(4) 내면과 조작 핀(5)의 외주면의 간극이 지수 부재(6)에 의해 밀봉되어 있으므로, 핀 삽통 구멍(4)이 독립적으로 방수되고, 핀 삽통 구멍(4)의 주위에 캡 등을 씌울 필요가 없으므로 전자 기기(A)를 외관이 좋게 방수할 수 있고, 번거로운 캡의 착탈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사용성도 향상된다.
또한, 이 전자 기기(A)의 방수 구조에서는 피조작체(3)에 조작 핀(5)의 선단이 접촉되는 피압박부(31)를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핀 삽통 구멍(4)을 트레이용 개구부(11)와 간격을 두고서 별개로 형성했음에도 불구하고 조작 핀(5)에 의해 피조작체(3)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핀 삽통 구멍(4)의 외측 개구 안쪽 가장자리부에 플랜지 형상의 빠짐방지 볼록부(41)를 구비하고, 조작 핀(5)이 전자 기기 케이싱(1)의 내측으로부터 핀 삽통 구멍(4)으로 삽입되어 조작 핀(5)의 일단이 빠짐방지 볼록부(41)에 의해 빠짐방지되고, 타단이 피조작체(3)에 의해 빠짐방지되도록 하고 있음으로써, 간이한 구조로 핀 삽통 구멍(4) 내에 지수된 상태로 조작 핀(5)을 유지할 수 있고, 설계의 자유도가 높아 다양한 배리에이션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용이하게 조작 핀(5)을 제거할 수 있으며, 조작 핀(5)을 제거하면 비방수 사양으로 스위칭할 수도 있다.
또한, 이젝트 기구에 피조작체(3)의 압입 동작에 연동해서 회동하는 회동 레버(24)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조작 핀(5)의 압입량이 카드 트레이(21)의 빠짐량에 영향을 미치므로 트레이 개구부(11)와 핀 삽통 구멍(4)을 별개로 형성함으로써 조작 핀(5)의 압입 동작이 카드 트레이(21)에 의해서 저해되지 않고, 조작 핀(5)의 이동 스트로크를 살려서 적합하게 회동 레버(24)를 회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의 실시예에서는 회동 레버(24)를 사용한 이젝트 기구를 구비한 카드 커넥터(2)의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젝트 기구의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피조작체의 압입 동작에 연동해서 동작하는 것이면 된다.
또한, 상술의 실시예에서는 피조작체(3)와 조작 핀(5)을 별체로 구성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피조작체(3)와 조작 핀(5)을 일체로 형성해도 좋다.
A: 전자 기기 B: 실장 기판
C: 카드 1: 전자 기기 케이싱
11: 트레이용 개구부 2: 카드 커넥터
21: 카드 트레이 211: 트레이 본체
212: 앞면 뚜껑부 213: 카드 수용부
214: 뚜껑 본체 215: 연결부
216: 홈부 22: 하우징
23: 콘택트 24: 회동 레버
3: 피조작체 31: 피압박부
4: 핀 삽통 구멍 41: 빠짐방지 볼록부
5: 조작 핀 51: 슬라이드 밀봉부
52: 홈부 6: 핀용 지수 부재
7: 뚜껑용 지수 부재

Claims (6)

  1. 전자 기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된 하우징과, 상기 전자 기기 케이싱의 외부로부터 트레이용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하우징으로 삽입되는 카드 트레이와, 상기 하우징의 측부에 이동 가능하게 유지된 피조작체와, 그 피조작체의 압입 동작에 연동해서 상기 카드 트레이를 압출하는 이젝트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카드 커넥터를 갖는 전자 기기의 방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카드 트레이에는 상기 트레이용 개구부에 끼워넣는 앞면 뚜껑부와 그 앞면 뚜껑부의 외주부에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환상의 뚜껑용 지수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전자 기기 케이싱에는 상기 트레이용 개구부와 별개로 관통된 핀 삽통 구멍과, 그 핀 삽통 구멍 내에 이동 가능하고 또한 빠질 수 없게 수용된 조작핀을 구비하고, 그 조작 핀에 의해 상기 피조작체가 조작되도록 함과 아울러 그 조작 핀의 외주부에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환상의 핀용 지수 부재가 감합되며, 상기 핀 삽통 구멍의 내면과 상기 조작 핀의 외주면의 간극이 상기 핀용 지수 부재에 의해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방수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조작체에는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조작 핀의 선단에 압박되는 피압박부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방수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핀 삽통 구멍의 외측 개구 안쪽 가장자리부에 플랜지 형상의 빠짐방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 핀이 상기 전자 기기 케이싱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핀 삽통 구멍으로 삽입되고, 상기 조작 핀의 일단이 상기 빠짐방지 볼록부에 의해 빠짐방지되며, 타단이 상기 피조작체에 의해 빠짐방지되도록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방수 구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핀과 상기 피조작체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방수 구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트 기구는 상기 피조작체의 압입 동작에 연동해서 회동하는 회동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회동 레버는 그 일단을 상기 피조작체에 의해 압입함으로써 회동하고, 타단에서 상기 카드 트레이를 배출 방향으로 압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방수 구조.
  6. 전자 기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된 하우징과, 상기 전자 기기 케이싱의 외부로부터 트레이용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하우징으로 삽입되는 카드 트레이와, 상기 하우징의 측부에 이동 가능하게 유지된 피조작체와, 그 피조작체의 압입 동작에 연동해서 상기 카드 트레이를 압출하는 이젝트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카드 커넥터를 갖는 전자 기기의 방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 케이싱에는 상기 트레이용 개구부와 별개로 관통된 핀 삽통 구멍과, 그 핀 삽통 구멍 내에 이동 가능하고 또한 빠질 수 없게 수용된 조작 핀을 구비하고, 그 조작 핀에 의해 상기 피조작체가 조작되도록 함과 아울러 그 조작 핀의 외주부에 환상의 핀용 지수 부재가 감합되고, 상기 핀 삽통 구멍의 내면과 상기 조작 핀의 외주면의 간극이 상기 핀용 지수 부재에 의해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방수 구조.
KR1020150097596A 2015-03-30 2015-07-09 전자 기기의 방수 구조 KR1019248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68761A JP6124030B2 (ja) 2015-03-30 2015-03-30 電子機器の防水構造
JPJP-P-2015-068761 2015-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7116A true KR20160117116A (ko) 2016-10-10
KR101924827B1 KR101924827B1 (ko) 2018-12-04

Family

ID=57146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7596A KR101924827B1 (ko) 2015-03-30 2015-07-09 전자 기기의 방수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124030B2 (ko)
KR (1) KR101924827B1 (ko)
CN (1) CN106207594B (ko)
TW (1) TWI61163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02303A (zh) * 2016-11-30 2017-04-26 上海传英信息技术有限公司 防水卡托结构及移动终端
US11116095B2 (en) * 2017-06-21 2021-09-07 Shenzhen Everwin Precision Technology Co Ltd Waterproof card holder, card seat, metal casing and mobile terminal
CN107566002A (zh) * 2017-07-25 2018-01-09 深圳天珑无线科技有限公司 一种卡托防水组件、移动通信终端以及卡托组件的制作方法
CN108615990B (zh) * 2018-04-16 2019-09-0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卡座组件及电子装置
CN109831219A (zh) * 2019-01-24 2019-05-3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卡托的终端
CN112542746B (zh) * 2020-12-30 2022-05-27 深圳市鑫南天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用具有良好防护性能的卡座安装结构
KR20230043406A (ko) * 2021-09-24 2023-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수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51134A (ja) 2011-08-31 2013-03-14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3101A (ja) * 2003-09-12 2005-04-07 Yazaki Corp カードコネクタ
JP2012234669A (ja) * 2011-04-28 2012-11-29 Smk Corp 取出し機構付きカードコネクタ
JP5488846B2 (ja) * 2012-02-28 2014-05-14 Smk株式会社 トレイ式カードコネクタ
US8591240B2 (en) * 2012-04-04 2013-11-26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jecting removable modules from electronic devices
US9083109B2 (en) * 2012-09-20 2015-07-14 Sony Corporation Connector cap waterproof structure
CN103915719A (zh) * 2012-12-29 2014-07-09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具有卡持机构的电子装置
JP2014182920A (ja) * 2013-03-19 2014-09-29 Yamaichi Electronics Co Ltd トレイタイプカードコネクタ
CN203180179U (zh) * 2013-03-27 2013-09-04 昆明迪森电气有限公司 外置式防水sim卡座
CN203747140U (zh) * 2014-02-10 2014-07-30 东莞富强电子有限公司 防水连接器
CN203872233U (zh) * 2014-06-12 2014-10-0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侧出式sim卡座及sim卡座防水结构
JP2016031887A (ja) * 2014-07-30 2016-03-07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カード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51134A (ja) 2011-08-31 2013-03-14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11637B (zh) 2018-01-11
CN106207594B (zh) 2018-07-10
CN106207594A (zh) 2016-12-07
KR101924827B1 (ko) 2018-12-04
TW201635655A (zh) 2016-10-01
JP6124030B2 (ja) 2017-05-10
JP2016189103A (ja) 2016-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4827B1 (ko) 전자 기기의 방수 구조
JP5861842B2 (ja) トレイ式カードコネクタ
US9875432B2 (en) Card holding member and card connector set
US9077109B1 (en) Card connector
EP3142046A1 (en) Sim card connector with integrated ejection mechanism
CN104241895B (zh) 可快速退卡的卡片连接器
US20190272453A1 (en) Dual sim card connector
US20150270639A1 (en) Card connector
US20140362548A1 (en) Chip card holder for electronic device
US20130050919A1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waterproofing device
US9256810B2 (en) Card-loading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
JP5835239B2 (ja) トレイ型カードコネクタ
US7891998B1 (en) Card connector with detection terminal unit
KR20160015168A (ko) 카드 커넥터
US8465325B1 (en) Connector
EP3304652B1 (en) Card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6119881A (ja) 蓋付きイジェクト装置および蓋付きイジェクト装置を搭載した携帯端末
CN204316565U (zh) 按压式插拔卡结构体及其移动终端
US9146591B2 (en) Connector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2016031781A (ja) 電子機器のカード接続構造
JP2006127811A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US20100142160A1 (en) Electronic device
CN213905720U (zh) 卡托顶出机构及终端设备
CN108615990B (zh) 卡座组件及电子装置
JP4563962B2 (ja) 小型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