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6809A - 줌 제어를 수행한 노선도 또는 지도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줌 제어를 수행한 노선도 또는 지도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6809A
KR20160116809A KR1020150045095A KR20150045095A KR20160116809A KR 20160116809 A KR20160116809 A KR 20160116809A KR 1020150045095 A KR1020150045095 A KR 1020150045095A KR 20150045095 A KR20150045095 A KR 20150045095A KR 20160116809 A KR20160116809 A KR 20160116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p
zoom control
zoom
display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5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5785B1 (ko
Inventor
김효정
김현수
성수의
나래
손희정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5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5785B1/ko
Priority to US15/087,340 priority patent/US20160291852A1/en
Publication of KR20160116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6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5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5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01C21/367Details, e.g. road map scale, orientation, zooming, illumination, level of detail, scrolling of road map or positioning of current position mark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5Zooming at least part of an image, i.e. enlarging it or shrinking 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4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10Automotive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avigation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로 구현되는 줌 제어 방법은, 사용자와 관련된 현재위치 또는 출발위치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식별 또는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가 포함된 노선도 또는 지도를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함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노선도 또는 지도를 오토 줌아웃(Zoom out) 또는 오토 줌인(Zoom in)하여 상기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노선도 또는 지도를 오토 줌아웃 또는 오토 줌인하여 상기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오토 줌아웃 또는 오토 줌인이 실행된 노선도 또는 지도 위에 상기 위치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줌 제어를 수행한 노선도 또는 지도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ROUTE MAP OR MAP ZOOM CONTROL PERFORMED}
아래의 설명은 노선 정보 또는 지도를 안내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노선도 또는 지도에 확대 축소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지하철 노선도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할 경우, 지하철 노선도 어플리케이션은 노선도 중앙을 기준으로 전체 노선을 출력한다.
또한, 지하철 노선도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출발지와 목적지를 수신하여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최단 거리 경로를 검출하고, 검출된 최단 경로 별로 경유하는 환승역의 대기 시간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출발 시각 또는 목적지 도착 시각 정보,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 최단 경로, 탑승해야 할 지하철의 운행시각표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여 임의의 목적지까지의 경로에 대해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적합한 전철을 찾기 위한 안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기술은 사용자에게 노선에 대한 현재 상태 및 대중교통수단의 도착 예정 시간 등의 일방적인 정보를 제공할 뿐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여 경로 탐색을 용이하게 하는 사용자 중심의 노선도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133387호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지하철 노선 정보 안내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줌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오토 줌아웃이 실행된 노선도 또는 지도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줌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오토 줌인이 실행된 노선도 또는 지도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로 구현되는 줌 제어 방법은, 사용자와 관련된 현재위치 또는 출발위치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식별 또는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가 포함된 노선도 또는 지도를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함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노선도 또는 지도를 오토 줌아웃(Zoom out) 또는 오토 줌인(Zoom in)하여 상기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노선도 또는 지도를 오토 줌아웃 또는 오토 줌인하여 상기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오토 줌아웃 또는 오토 줌인이 실행된 노선도 또는 지도 위에 상기 위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위치 정보가 포함된 노선도 또는 지도를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 정보와 근접한 역을 상기 노선도에 표시하거나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점을 상기 지도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노선도 또는 지도를 오토 줌아웃(Zoom out) 또는 오토 줌인(Zoom in)하여 상기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는, 줌 레벨에 따라 상기 노선도 또는 지도를 상기 오토 줌아웃을 수행하여 축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위치 정보가 포함된 노선도 또는 지도를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출발위치에 대응하는 지점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도착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위치 정보가 포함된 노선도 또는 지도를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출발위치에 응답하여 출발위치명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도착위치에 응답하여 도착위치명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위치 정보가 포함된 노선도 또는 지도를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출발위치 및 상기 도착위치를 연결하여 전체 경로를 노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노선도 또는 지도를 오토 줌아웃(Zoom out) 또는 오토 줌인(Zoom in)하여 상기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출발위치를 포함하는 일정 범위의 경로를 상기 오토 줌인을 수행하여 상기 위치 정보가 포함된 일정 범위의 경로를 확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노선도 또는 지도를 오토 줌아웃(Zoom out) 또는 오토 줌인(Zoom in)하여 상기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노선도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출발역 및 도착역을 연결하는 전체 경로 중 상기 출발역을 포함하는 일정 범위의 경로를 상기 오토 줌인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이 줌 제어 명령(instruction)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사용자와 관련된 현재위치 또는 출발위치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식별 또는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가 포함된 노선도 또는 지도를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함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노선도 또는 지도를 오토 줌아웃(Zoom out) 또는 오토 줌인(Zoom in)하여 상기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상기 컴퓨터 시스템을 제어하고, 상기 노선도 또는 지도를 오토 줌아웃 또는 오토 줌인하여 상기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오토 줌아웃 또는 오토 줌인이 실행된 노선도 또는 지도 위에 상기 위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로 구현되는 줌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와 관련된 현재위치 또는 출발위치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식별 또는 수신하는 식별부; 상기 위치 정보가 포함된 노선도 또는 지도를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위치 정보 표시부; 상기 표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함을 판단함에 따라 상기 노선도 또는 지도를 오토 줌아웃(Zoom out) 또는 오토 줌인(Zoom in)하여 상기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실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행부에서, 상기 오토 줌아웃 또는 오토 줌인이 실행된 노선도 또는 지도 위에 상기 위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위치 정보 표시부는, 상기 위치 정보와 근접한 역을 상기 노선도에 표시하거나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점을 상기 지도에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실행부는, 줌 레벨에 따라 상기 노선도 또는 지도를 상기 오토 줌아웃을 수행하여 축소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위치 정보 표시부는, 상기 위치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출발위치에 대응하는 지점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도착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을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위치 정보 표시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출발위치에 응답하여 출발위치명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도착위치에 응답하여 도착위치명을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위치 정보 표시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출발위치 및 상기 도착위치를 연결하여 전체 경로를 노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실행부는, 상기 출발위치를 포함하는 일정 범위의 경로를 상기 오토 줌인을 수행하여 상기 위치 정보가 포함된 일정 범위의 경로를 확대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실행부는, 상기 노선도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출발역 및 도착역을 연결하는 전체 경로 중 상기 출발역을 포함하는 일정 범위의 경로를 상기 오토 줌인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줌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지도 또는 노선도에 오토 줌아웃을 실행함으로써 오토 줌아웃이 실행된 지도 또는 노선도에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하여 탐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줌 제어 시스템은 줌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출발지 및 도착지를 연결한 전체 경로를 표시한 후, 사용자의 출발지를 기준으로 지도 또는 노선도에 오토 줌인을 실행함으로써 확대된 지도 또는 노선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줌 제어 시스템과 사용자 단말 간의 개괄적인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줌 제어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줌 제어 시스템의 줌 아웃이 실행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줌 제어 시스템의 줌 인이 실행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줌 제어 시스템의 줌 아웃이 수행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줌 제어 시스템의 줌 인이 수행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줌 제어 시스템은 노선도 또는 지도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지도 검색 서비스, 위치 확인 서비스, 길 찾기/길 안내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노선도는 지하철, 버스, 철도, 항공 등을 포함하는 교통 수단을 통하여 운행하는 지역을 순서적으로 정리해놓은 노선, 정류장 또는 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지하철 노선도를 노선도의 대표적인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줌 제어 시스템과 사용자 단말 간의 개괄적인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서는 줌 제어 시스템(100) 및 사용자 단말(101)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에서 화살표는 줌 제어 시스템(100)과 사용자 단말(101) 간에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1)은 PC, 노트북,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 등으로, 줌 제어 시스템(100)과 관련된 웹/모바일 사이트의 접속 또는 서비스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실행이 가능한 모든 단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1)은 웹/모바일 사이트 또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제어 하에 서비스 화면 구성, 데이터 입력, 데이터 송수신, 데이터 저장 등 서비스 전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줌 제어 시스템(100)은 클라이언트(client)인 사용자 단말(101)을 대상으로 노선도 또는 지도를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 역할을 한다. 줌 제어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식된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오토 줌아웃 또는 오토 줌인을 수행함으로써 오토 줌아웃된 노선도 또는 지도 및 오토 줌인된 노선도 또는 지도를 제공할 수 있다.
줌 제어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01) 상에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에서 노선도와 지도를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그리고 줌 제어 시스템(100)은 노선도 또는 지도를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과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현되거나 혹은 지도 서비스 플랫폼과 개별 시스템으로 구현되어 연동하는 형태로 구축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줌 제어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줌 제어 시스템(200)은 프로세서(210), 버스(2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 메모리(240) 및 데이터베이스(25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40)는 운영체제(241) 및 줌 제어 루틴(24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식별부(211), 위치 정보 표시부(212) 및 실행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줌 제어 시스템(200)은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240)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40)에는 운영체제(241)와 줌 제어 루틴(242)을 위한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drive mechanism, 미도시)을 이용하여 메모리(24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메모리(240)에 로딩될 수도 있다.
버스(220)는 줌 제어 시스템(200)의 구성요소들간의 통신 및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버스(220)는 고속 시리얼 버스(high-speed serial bus), 병렬 버스(parallel bus), SAN(Storage Area Network) 및/또는 다른 적절한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는 줌 제어 시스템(200)을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컴퓨터 하드웨어 구성요소일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는 줌 제어 시스템(200)을 무선 또는 유선 커넥션을 통해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시킬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50)는 노선도 및 지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저장 및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50)는 대중교통별 전체 노선 정보, 각 노선별로 포함된 각각의 지점과 관련된 정보들이 매칭되어 사전에 구축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줌 제어 시스템(200)의 내부에 데이터베이스(25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별개의 다른 시스템 상에 구축된 외부 데이터베이스로서 존재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프로세서(21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줌 제어 시스템(200)의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4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에 의해, 그리고 버스(220)를 통해 프로세서(210)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식별부(211), 위치 정보 표시부(212) 및 실행부(213)를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는 메모리(24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식별부(211)는 사용자와 관련된 현재위치 또는 출발위치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식별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식별부(211)는 사용자 단말과 GPS 통신을 통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고, 기지국과 사용자 사용자 단말 사이의 통신을 통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위치 정보 표시부(212)는 위치 정보가 포함된 노선도 또는 지도를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위치 정보 표시부(212)는 위치 정보와 근접한 역을 노선도에 표시하거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점을 지도에 표시할 수 있다.
위치 정보 표시부(212)는 위치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출발위치에 대응하는 지점 및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도착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을 표시할 수 있다. 위치 정보 표시부(212)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출발위치에 응답하여 출발위치명 및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도착위치에 응답하여 도착위치명을 표시할 수 있다. 위치 정보 표시부(212)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출발위치 및 도착위치를 연결하여 전체 경로를 노출할 수 있다.
실행부(213)는 표시 지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함을 판단함에 따라 노선도 또는 지도를 오토 줌아웃(Zoom out) 또는 오토 줌인(Zoom in)하여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은 실행부(213)를 통하여 오토 줌아웃 또는 오토 줌인이 실행된 노선도 또는 지도 위에 위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실행부(213)는 줌 레벨에 따라 노선도 또는 지도를 오토 줌아웃을 수행하여 축소시킬 수 있다. 실행부(213)는 출발위치를 포함하는 일정 범위의 경로를 오토 줌인을 수행하여 위치 정보가 포함된 일정 범위의 경로를 확대시킬 수 있다. 실행부(213)는 노선도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출발역 및 도착역을 연결하는 전체 경로 중 출발역을 포함하는 일정 범위의 경로를 오토 줌인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줌 제어 시스템의 줌 아웃이 실행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줌 제어 시스템은 도 5의 단계들(510~540)에 의하여 줌 아웃이 수행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단계(510)에서 줌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와 관련된 위치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단계(520)에서 줌 제어 시스템은 위치 정보와 근접한 역 또는 정류장을 노선도에 표시하거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점을 지도에 표시할 수 있다.
단계(530)에서 줌 제어 시스템은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노선도를 또는 지도에 대하여 오토 줌아웃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줌 제어 시스템은 기설정된 줌 레벨에 따라 노선도 또는 지도를 오토 줌아웃을 수행하여 축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설정된 줌 레벨은 축소 정도에 따라 레벨이 분류되어 있을 수 있다.
단계(540)에서 줌 제어 시스템은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오토 줌아웃이 실행된 노선도 또는 지도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오토 줌아웃이 실행된 노선도 또는 지도가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오토 줌아웃이 실행된 노선도 또는 지도는 노선도 또는 지도에 포함된 텍스트(Text)가 읽힐 수 있는 정도로 축소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줌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하여 사용자 단말에 사용자와 근접한 지점 또는 역에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지도 또는 노선도를 편리하게 탐색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단계(510) 내지 단계(540)에 의하여 수행되는 오토 줌아웃 방법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지하철 노선도를 나타낸 것으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지하철 노선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였다고 가정하자.
사용자가 처음 지하철 노선도 어플리케이션에 진입하였을 경우, 줌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사용자와 관련된 현재위치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와 관련된 현재 위치는 사용자 단말과 GPS 통신을 함으로써 파악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통신을 통하여 파악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하는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서술된 위치 판단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줌 제어 시스템은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지하철 노선도에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위치는 사용자가 근접한 지하철 역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줌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가 정자역 근처에 있는 것을 판단한 경우, 정자역(310)에 사용자의 위치 정보(320)를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줌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표시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함을 판단할 수 있다. 줌 제어 시스템은 지하철 노선도를 오토 줌아웃하여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줌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표시한 시점으로부터 5초 후에 오토 줌아웃된 지하철 노선도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오토 줌아웃이 실행된 지하철 노선도 위에 사용자의 위치 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줌 제어 시스템은 줌 레벨에 따라 지하철 노선도를 오토 줌아웃을 수행하여 축소시킬 수 있다. 이때, 줌 레벨은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하여 줌 레벨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줌 레벨은 Personal, middle 등과 같이 축소 정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줌 제어 시스템은 지하철 노선도에 사용자의 현재위치에 근접한 정자역(310)에 사용자의 위치 정보(320)를 표시한 후, 줌 아웃을 수행할 수 있다. 줌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의 위치 정보(320)가 표시된 지하철 노선도에 줌 아웃을 수행할 수 있다. 줌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의 위치 정보가 표시된 지점을 바탕으로 줌아웃을 수행하기 때문에 정자역(310)과 사용자의 위치 정보(320)가 표시되고 줌아웃이 실행된 지하철 노선도가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줌아웃이 실행된 지하철 노선도는 사용자가 지하철 노선도의 텍스트를 읽을 수 있을 정도로 줌아웃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줌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포함한 오토 줌아웃이 실행된 지하철 노선도를 출력할 수 있으며, 지하철 노선도에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표시하기 때문에 사용자 중심의 지하철 노선의 탐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줌 제어 시스템의 줌 인이 실행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줌 제어 시스템은 도 6의 단계들(610~650)에 의하여 줌 아웃이 수행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단계(610)에서 줌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위치를 입력한다면 줌 제어 시스템은 입력된 위치에 관련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단계(620)에서 줌 제어 시스템은 출발위치 및 도착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을 노선도 또는 지도에 표시할 수 있다. 줌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출발위치에 응답하여 출발위치명 및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도착위치에 응답하여 도착위치명을 표시할 수 있다.
단계(630)에서 줌 제어 시스템은 출발위치 및 도착위치를 연결한 전체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출발위치를 나타내는 출발핀, 도착위치를 나타내는 도착핀을 연결한 전체 경로를 표시할 수 있고, 출발핀에는 출발위치명, 도착핀에는 도착위치명이 함께 출력될 수 있다.
단계(640)에서 줌 제어 시스템은 출발위치를 포함한 일정 부분의 경로에 대하여 줌인을 수행할 수 있다. 줌 제어 시스템은 출발위치를 포함하는 일정 경로를 오토 줌인을 수행하여 출발위치를 포함하는 일정 범위의 경로를 확대시킬 수 있다.
단계(650)에서 줌 제어 시스템은 출발위치를 포함한 일정 부분의 경로에 대하여 줌인이 실행된 노선도 또는 지도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은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줌인이 실행된 노선도 또는 지도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단계(610) 내지 단계(650)에 의하여 수행되는 오토 줌인 방법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지하철 노선도를 나타낸 것으로, 사용자가 단말을 통하여 지하철 노선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였다고 가정하자.
사용자가 처음 지하철 노선도 어플리케이션에 진입하였을 경우, 줌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사용자와 관련된 출발위치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와 관련된 위치 정보는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GPS와 송수신함으로써 파악될 수 있고, 또는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통신을 통하여 파악될 수도 있다.
줌 제어 시스템은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지하철 노선도에 사용자가 선택한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줌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출발위치 및 도착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줌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출발 위치에 대응하는 지점 및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도착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을 표시할 수 있다. 줌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출발위치에 응답하여 출발위치명 및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도착위치에 응답하여 도착위치명을 표시할 수 있다. 줌 제어 시스템은 지하철 노선도에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출발위치 및 도착위치를 연결하여 정체 경로를 노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지하철 노선도에 출발위치로 부평역을 선택(411)하고, 도착위치로 춘천역을 선택(421)한다면, 줌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가 선택한 위치를 핀(410, 420)을 통하여 지하철 노선도 위에 표시할 수 있다. 줌 제어 시스템은 부평역(412)에 부평 출발 핀(410)을 표시할 수 있고, 춘천역(422)에 춘천 도착 핀(420)을 표시할 수 있다. 줌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부평역에 대한 핀(410)에 '부평 출발'이라고 표시될 수 있고, 춘천역에 대한 핀(420)에 '춘천 도착'이라고 표시될 수 있다. 줌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부평역(411)과 춘천역(421)을 연결하는 전체 경로(430)를 노출할 수 있다.
줌 제어 시스템은 전체 경로가 노출됨에 따라 지하철 노선도를 줌인을 수행할 수 있다. 줌 제어 시스템은 전체 경로 중 출발위치를 포함하는 일정 범위의 경로를 오토 줌인을 수행하여 위치 정보가 포함된 인정 범위의 경로를 확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줌 제어 시스템은 부평역(412) 및 춘천역(422)을 연결하는 전체 경로(430) 중 부평역(412)을 포함하는 일정 범위의 경로(450)에 대하여 오토 줌인을 수행할 수 있고, 오토 줌인을 수행한 부평역을 포함하는 일정 범위의 경로(450)가 확대되어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표시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7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710), 메모리(memory)(72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73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740), 전력 회로(750) 및 통신 회로(76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터 시스템(700)은 사용자 단말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72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720)는 컴퓨터 시스템(7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71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73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72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7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730)는 컴퓨터 시스템(7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710) 및 메모리(7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메모리(72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터 시스템(7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74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73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74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73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74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73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75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75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76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76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7의 실시예는, 컴퓨터 시스템(7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터 시스템(700)은 도 7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7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터 시스템은 도 7에 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760)에 다양한 통신 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터 시스템(7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7)

  1. 컴퓨터로 구현되는 줌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와 관련된 현재위치 또는 출발위치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식별 또는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가 포함된 노선도 또는 지도를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함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노선도 또는 지도를 오토 줌아웃(Zoom out) 또는 오토 줌인(Zoom in)하여 상기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노선도 또는 지도를 오토 줌아웃 또는 오토 줌인하여 상기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오토 줌아웃 또는 오토 줌인이 실행된 노선도 또는 지도 위에 상기 위치 정보가 표시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줌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가 포함된 노선도 또는 지도를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 정보와 근접한 역을 상기 노선도에 표시하거나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점을 상기 지도에 표시하는 단계
    를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줌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선도 또는 지도를 오토 줌아웃(Zoom out) 또는 오토 줌인(Zoom in)하여 상기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는,
    줌 레벨에 따라 상기 노선도 또는 지도를 상기 오토 줌아웃을 수행하여 축소시키는 단계
    를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줌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가 포함된 노선도 또는 지도를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출발위치에 대응하는 지점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도착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을 표시하는 단계
    를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줌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가 포함된 노선도 또는 지도를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출발위치에 응답하여 출발위치명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도착위치에 응답하여 도착위치명을 표시하는 단계
    를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줌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가 포함된 노선도 또는 지도를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출발위치 및 상기 도착위치를 연결하여 전체 경로를 노출하는 단계
    를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줌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선도 또는 지도를 오토 줌아웃(Zoom out) 또는 오토 줌인(Zoom in)하여 상기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출발위치를 포함하는 일정 범위의 경로를 상기 오토 줌인을 수행하여 상기 위치 정보가 포함된 일정 범위의 경로를 확대시키는 단계
    를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줌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노선도 또는 지도를 오토 줌아웃(Zoom out) 또는 오토 줌인(Zoom in)하여 상기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노선도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출발역 및 도착역을 연결하는 전체 경로 중 상기 출발역을 포함하는 일정 범위의 경로를 상기 오토 줌인을 수행하는 단계
    를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줌 제어 방법.
  9. 컴퓨터 시스템이 줌 제어 명령(instruction)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사용자와 관련된 현재위치 또는 출발위치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식별 또는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가 포함된 노선도 또는 지도를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함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노선도 또는 지도를 오토 줌아웃(Zoom out) 또는 오토 줌인(Zoom in)하여 상기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상기 컴퓨터 시스템을 제어하고,
    상기 노선도 또는 지도를 오토 줌아웃 또는 오토 줌인하여 상기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오토 줌아웃 또는 오토 줌인이 실행된 노선도 또는 지도 위에 상기 위치 정보가 표시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0. 컴퓨터로 구현되는 줌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와 관련된 현재위치 또는 출발위치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식별 또는 수신하는 식별부;
    상기 위치 정보가 포함된 노선도 또는 지도를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위치 정보 표시부;
    상기 표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함을 판단함에 따라 상기 노선도 또는 지도를 오토 줌아웃(Zoom out) 또는 오토 줌인(Zoom in)하여 상기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실행부
    를 포함하고,
    상기 실행부에서,
    상기 오토 줌아웃 또는 오토 줌인이 실행된 노선도 또는 지도 위에 상기 위치 정보가 표시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줌 제어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표시부는,
    상기 위치 정보와 근접한 역을 상기 노선도에 표시하거나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점을 상기 지도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줌 제어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부는,
    줌 레벨에 따라 상기 노선도 또는 지도를 상기 오토 줌아웃을 수행하여 축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줌 제어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표시부는,
    상기 위치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출발위치에 대응하는 지점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도착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줌 제어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표시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출발위치에 응답하여 출발위치명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도착위치에 응답하여 도착위치명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줌 제어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표시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출발위치 및 상기 도착위치를 연결하여 전체 경로를 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줌 제어 시스템.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부는,
    상기 출발위치를 포함하는 일정 범위의 경로를 상기 오토 줌인을 수행하여 상기 위치 정보가 포함된 일정 범위의 경로를 확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줌 제어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부는,
    상기 노선도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출발역 및 도착역을 연결하는 전체 경로 중 상기 출발역을 포함하는 일정 범위의 경로를 상기 오토 줌인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줌 제어 시스템.
KR1020150045095A 2015-03-31 2015-03-31 줌 제어를 수행한 노선도 또는 지도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755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095A KR101755785B1 (ko) 2015-03-31 2015-03-31 줌 제어를 수행한 노선도 또는 지도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15/087,340 US20160291852A1 (en) 2015-03-31 2016-03-31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zoom-controlled transportation route map or road ma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095A KR101755785B1 (ko) 2015-03-31 2015-03-31 줌 제어를 수행한 노선도 또는 지도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809A true KR20160116809A (ko) 2016-10-10
KR101755785B1 KR101755785B1 (ko) 2017-07-10

Family

ID=57015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5095A KR101755785B1 (ko) 2015-03-31 2015-03-31 줌 제어를 수행한 노선도 또는 지도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60291852A1 (ko)
KR (1) KR1017557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8141A (ko) * 2020-01-06 2021-07-14 네이버 주식회사 대중교통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78918B2 (en) 2017-01-03 2019-08-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enerating routes from lines based on zoom levels
WO2019071378A1 (zh) * 2017-10-09 2019-04-18 深圳传音通讯有限公司 位置识别方法及终端
KR102318286B1 (ko) 2019-10-28 2021-10-28 주식회사 마인드올 노선도 제작 시스템 및 제작 방법
CN110779515A (zh) * 2019-10-31 2020-02-11 北京地平线机器人技术研发有限公司 电子导航地图的显示方法、装置以及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20210075356A (ko) * 2019-12-13 2021-06-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안내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CN113094455A (zh) * 2021-03-10 2021-07-09 摩拜(北京)信息技术有限公司 停车围栏的标记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21158B1 (en) * 1994-06-24 2001-11-20 Delorme Publishing Company Integrated routing/mapping information
US6574551B1 (en) * 1998-05-05 2003-06-03 Magellan Dis, Inc. Autoscaling of recommended route
US6401030B1 (en) * 1999-11-12 2002-06-04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storage medium
JP2003329479A (ja) 2002-05-16 2003-11-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型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20040243307A1 (en) * 2003-06-02 2004-12-02 Pieter Geelen Personal GPS navigation device
EP1741064A4 (en) * 2004-03-23 2010-10-06 Google Inc DIGITAL CARTOGRAPHIC SYSTEM
JP4135103B2 (ja) * 2004-07-14 2008-08-20 村田機械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7480567B2 (en) * 2004-09-24 2009-01-20 Nokia Corporation Displaying a map having a close known location
JP5129478B2 (ja) * 2006-03-24 2013-01-30 株式会社デンソーアイティーラボラトリ 画面表示装置
WO2007146967A2 (en) * 2006-06-12 2007-12-21 Google Inc. Markup language for interactiv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US8166410B2 (en) * 2006-12-27 2012-04-24 Mlslistings Inc. Methods and systems of online mapping and planning driving tours
US7995079B2 (en) * 2007-04-16 2011-08-09 Research In Motion Limited Automatic map zoom-level adaptation
JP4925910B2 (ja) 2007-05-08 2012-05-09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8244454B2 (en) * 2008-01-07 2012-08-14 Tomtom International B.V.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US20120254804A1 (en) * 2010-05-21 2012-10-04 Sheha Michael A Personal wireless navigation system
US8615359B2 (en) * 2011-05-23 2013-12-24 Microsoft Corporation Map navigation with suppression of off-route feedback near route terminus
US20140026088A1 (en) * 2012-07-17 2014-01-23 Sap Ag Data Interface Integrating Temporal and Geographic Information
US9170122B2 (en) * 2013-06-09 2015-10-27 Apple Inc. Direction list
JP6210629B2 (ja) 2013-08-15 2017-10-11 株式会社ゼンリンデータコム ナビゲーション装置、地図表示制御方法および地図表示制御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8141A (ko) * 2020-01-06 2021-07-14 네이버 주식회사 대중교통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5785B1 (ko) 2017-07-10
US20160291852A1 (en) 201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5785B1 (ko) 줌 제어를 수행한 노선도 또는 지도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722671B1 (ko) 대중교통 노선 서비스와 지도 서비스를 연결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Kim et al. Navigating visually impaired travelers in a large train station using smartphone and bluetooth low energy
JP6279125B2 (ja) 自律型車輌をモバイル機器の現在の場所へと要請する方法、及び自律型車輌をコンピュータ・デバイスの現在の場所へと要請する製品
US10190887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information provision code, and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US996150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notification based on location deviation
JP2010014661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CN110542427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以及信息处理系统
KR20160124407A (ko) 검색 연동형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442267B1 (ko) 태그기반 경로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1656869B1 (ko) 단어장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KR101786875B1 (ko) 교통 수단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60110877A (ko) Poi 클러스터링 기법을 이용한 주변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20230228587A1 (en) Route guidance method and device using augmented reality view
KR101618965B1 (ko)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과 시스템, 기록 매체, 그리고 파일 배포 시스템
JP6210629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地図表示制御方法および地図表示制御プログラム
KR101690691B1 (ko) 교통 수단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27620A (ko) 경로 변경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671747B1 (ko) 대중 교통 노선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145296B1 (ko) 이동형센서단말을 이용한 환경정보관리 시스템
KR101595797B1 (ko)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과 시스템, 그리고 기록 매체 및 파일 배포 시스템
JP638882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CN114323053B (zh) 路线显示方法、相关设备、存储介质及程序产品
KR20170000362A (ko) 단말의 측위를 이용한 고객 안내 방법 및 시스템
KR102224491B1 (ko) 네비게이션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