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5296B1 - 이동형센서단말을 이용한 환경정보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형센서단말을 이용한 환경정보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5296B1
KR102145296B1 KR1020180143733A KR20180143733A KR102145296B1 KR 102145296 B1 KR102145296 B1 KR 102145296B1 KR 1020180143733 A KR1020180143733 A KR 1020180143733A KR 20180143733 A KR20180143733 A KR 20180143733A KR 102145296 B1 KR102145296 B1 KR 102145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environmental information
environmental
environment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3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9366A (ko
Inventor
강경훈
김부일
김명회
김태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벨
Priority to KR1020180143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5296B1/ko
Publication of KR20200059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9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5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5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형센서단말을 이용한 환경정보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유자전거 등에 부착된 이동형센서단말로부터 환경정보를 보다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수집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이동형센서단말을 가지고 있는 사용자 및 환경정보를 제공받고자 하는 일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이동형센서단말을 이용한 환경정보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

Description

이동형센서단말을 이용한 환경정보관리 시스템 {Environment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Mobile Sensor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형센서단말을 이용한 환경정보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유자전거 등에 부착된 이동형센서단말로부터 환경정보를 보다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수집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이동형센서단말을 가지고 있는 사용자 및 환경정보를 제공받고자 하는 일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이동형센서단말을 이용한 환경정보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환경감지 기술의 필요성은 지리적, 산업적, 환경적 특성을 고려하여 그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리적으로 인접 국가의 영향, 특히 서쪽에 위치한 중국의 급격한 초미세먼지 증가와 이에 대한 정밀측정 및 모니터링을 위해 대기환경 측정소가 다수의 지역에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형 대기환경 측정소는 식생환경이 양호한 지역에 독립적인 건물 옥상이나 일정한 공간에 설치되어 잇기 때문에 대기오염이 심각한 도로 주변부나 도시 곳곳의 대기환경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고정형 환경 측정소는 넓은 지역을 대상으로 환경정보를 수집하기 때문에 센서 및 네트워크를 도시 곳곳에 설치하기에는 투자비와 운용유지비가 많이 소요되는 경제적인 문제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10-1826665호 (2018.2.1 등록)은 자전거를 이용한 환경정보 관리시스템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특허문헌에서는 자전거를 운행하면서 환경정보를 수집하고 실시간으로 환경정보 관리센터로 제공하고 환경정보 관리센터는 실시간으로 수집된 환경정보를 위치정보에 매칭시켜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자전거를 이용한 환경정보 관리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특허문헌은 단순히 자전거로부터 수신한 환경정보를 지도상에 매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술로서, 자전거이용자들이 이동하지 않은 공간에 대해서는 정보를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고, 자전거이용자들에게 정보 수집에 대한 인센티브를 부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826665호 (자전거를 이용한 환경정보 관리시스템, 2018.2.1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공유자전거 등에 부착된 이동형센서단말로부터 환경정보를 보다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수집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이동형센서단말을 가지고 있는 사용자 및 환경정보를 제공받고자 하는 일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이동형센서단말을 이용한 환경정보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공유이동시설물에 부착될 수 있는 이동형단말 및 상기 이동형단말과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환경정보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이동형단말은, 미세먼지농도를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센싱하는 환경정보센서부; 이동형단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센싱하는 운행정보센서부; 상기 환경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환경정보전송부; 및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한 환경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환경정보가 표시된 지도정보를 제공하는 지도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이동형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영역간격으로 환경정보를 수집하는 환경정보수집부; 환경정보가 수집되지 않은 공백영역의 환경정보를 예측하여 환경데이터를 생성하는 환경정보예측부; 및 상기 환경데이터를 반영한 지도정보를 상기 이동형단말에게 제공하는 지도정보제공부를 포함하는, 환경정보관리 시스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환경정보전송부는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환경정보 및 위치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환경정보수집부는 해당영역에서 해당시간구간 동안 복수의 환경정보가 센싱된 경우, 해당시간구간의 종료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개수의 1 이상의 환경정보로부터 해당영역의 최종 환경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환경정보예측부는, 환경정보가 수집되지 않은 공백영역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공백영역에 대하여 과거의 유사 환경데이터를 도출하고, 상기 과거의 유사 환경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공백영역의 환경정보를 도출하는 제1예측단계; 과거의 유사 환경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공백영역에 대하여 현재 주변영역의 환경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공백영역의 환경정보를 도출하는 제2예측단계; 및 수집된 환경정보 및 도출된 환경정보에 기초하여 환경데이터를 갱신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예측단계에서, 상기 과거의 유사 환경데이터는 시간, 및 환경이 기설정된 오차 기준 이내의 과거의 시간구간의 환경데이터에 해당하고, 상기 제1예측단계는 상기 과거의 유사 환경데이터에서 예측으로 결정된 환경정보 값을 제외하고 실제 수집된 환경정보 값에 기초하여 상기 공백영역의 환경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예측단계에서, 현재 주변영역의 환경정보에서 예측으로 결정된 환경정보 값을 제외하고 실제 수집된 환경정보 값에 기초하여 상기 공백영역의 환경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관리서버는, 현재 시간구간에서 환경정보가 수집되지 않은 공백영역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공백영역과 위치적으로 관계된 이동형단말에 대해 공백영역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동형단말로부터 공백영역의 환경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공백영역의 환경정보를 제공한 이동형단말의 계정에 대하여 리워드를 부여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추천지역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추천지역관리부는 해당 시간구간의 제1시점에서 수행되고, 상기 환경정보예측부는 해당 시점구간의 제2시점에서 수행되고, 상기 제1시점은 해당 시간수간의 시작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간격 이후에 해당하고, 상기 제2시점은 상기 제1시점보다 늦은 시점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도표시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기설정된 물리적 거리 간격으로 설정된 각각의 영역에 대한 환경정보를 지도상에 표시하거나 혹은 사용자가 리워드를 받을 수 있는 영역에 대한 정보를 지도상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유자전거 등에 부착된 이동형센서단말로부터 환경정보를 보다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수집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이동형센서단말을 가지고 있는 사용자 및 환경정보를 제공받고자 하는 일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정보관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단말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정보수집부의 수집데이터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정보예측부의 수행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정보예측부의 제1예측의 수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정보예측부의 제2예측의 수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천지역관리부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단말에서의 지도표시부의 디스플레이 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장치의 내부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부',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computer-related entity)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정보관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정보관리 시스템은 공유이동시설물에 부착될 수 있는 이동형단말(1000) 및 상기 이동형단말(1000)과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는 관리서버(2000)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스마트폰, 태블릿, 혹은 데스크탑 등의 일반적인 사용자단말(3000)을 통하여 일반 사용자들은 상기 이동형단말(1000)에 의하여 수집된 환경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공유이동시설물의 일 예로서는 공유형 자전거 혹은 공유형 자동차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이동형단말(1000)은 상기 공유이동시설물에 탈착될 수 있고, 사용자는 기본적으로 이동형단말(1000)을 통하여 상기 공유이동시설물의 사용에 대한 관리 혹은 지도, 네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하여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이동형단말(1000)은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공유이동시설물의 이용 및 이용에 대한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능 뿐만 아니라 이동형단말(1000)을 통하여 보다 세밀한 단위에서의 환경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이동형단말(1000)의 사용자, 예를 들어 공유자전거의 운전자 뿐만 아니라 상기 사용자단말을 이용하는 일반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단말(1000)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이동형단말(1000)은, 미세먼지농도를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센싱하는 환경정보센서부(1100)를 포함한다.
상기 환경정보센서부(1100)는 도 2에 도시되 바와 같이 미세먼지에 대한 정보를 센싱하는 미세먼지센서(1110), 온도 및/또는 습도에 대한 정보를 센싱하는 온습도센서(1120), 오존농도에 대한 정보를 센싱하는 오존센서(1130), 및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센싱하는 이산화탄소센서(1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경정보센서부(1100)는 상기 센서에서와 같이 환경에 대해 정량화할 수 있는 수치를 센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환경정보센서부(1100)는 미세먼지의 농도를 센싱할 수 있고, 이하에서는 편의상 미세먼지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운행정보센서부(1200)는 이동형단말(1000)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센싱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운행정보센서부(1200)는 상기 이동형단말(1000)의 위치를 센싱하는 GPS부(1210); 및 상기 이동형단말(1000)의 속도를 센싱하는 속도센서부(1220)를 포함한다. 상기 속도센서부는 가속도 자체를 센싱하거나 혹은 가속도를 산출할 수도 있다.
상기 이동형단말(1000)은 입출력패널(1500)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출력패널(1500)은 터치패널 및/또는 스피커 및 마이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패널(1500)을 통하여 사용자는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받거나, 지도정보를 확인하거나 혹은 지도정보에 환경정보가 매핑된 상태로 환경정보를 제공받거나 혹은 자신의 이동형단말(1000)에서 센싱한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혹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관리서버(2000)의 추천지역에 대한 정보를 지도상에서 확인할 수도 있다.
상기 이동형단말(1000)은 통신모듈(1400)을 포함한다. 상기 통신모듈은 LPWA 기반의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LPWA 기반의 통신모듈로 이동형단말(1000)의 위치정보 및 센싱한 환경정보를 관리서버(2000)로 송신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신모듈(1400)은 상기 이동형단말(1000)이 부착된 공유이동시설의 이용자의 스마트폰과 통신할 수 있는 WIFI 통신모듈 및/또는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보다 큰 크기의 데이터, 예를 들어 환경정보, 추천지역정보, 지도정보, 및 교통혼잡정보를 운전자의 스마트폰에서 1차적으로 수신하고 WIFI통신모듈 혹은 블루투스 모듈을 통하여 운전자의 스마트폰에서 수신한 데이터가 상기 이동형단말(1000)로 전달되고, 이동형단말(1000)에서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등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0)는 상기 환경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관리서버(2000)로 송신하는 환경정보전송부(1310); 및 상기 관리서버(2000)로부터 수신한 환경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환경정보가 표시된 지도정보를 제공하는 지도표시부(1320)를 포함한다.
상기 환경정보전송부(1310)는 LPWA 통신 등을 통하여 상기 환경정보센서부(1100)에서 센싱한 환경정보, 예를 들어 미세먼지 농도를 상기 이동형단말(1000)의 위치정보, 예를 들어 해당 이동형단말(1000)의 좌표와 함께 상기 관리서버(2000)로 송신하고, 관리서버(2000)는 이와 같이 수신한 환경정보를 종합하여 지도 상에서 환경정보가 매핑된 형태의 환경데이터 등을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송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2000)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이동형단말(1000)은 상기 관리서버(2000)에 대하여 위치정보 및 환경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관리서버(2000)는 지도정보를 상기 이동형단말(1000)에 전송한다.
상기 지도정보는 지도 자체에 대한 정보 뿐만 아니라 지도상에서 기설정된 간격으로 구획된 영역 각각에 대한 환경정보, 및 후술하는 사용자가 해당지역으로 이동시 리워드를 받을 수 이는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2000)는, 상기 이동형단말(100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영역간격으로 환경정보를 수집하는 환경정보수집부(2100); 환경정보가 수집되지 않은 공백영역의 환경정보를 예측하여 환경데이터를 생성하는 환경정보예측부(2200); 환경정보가 확보되지 않은 영역에 대하여 상기 이동형단말(1000)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이에 대한 정보 수집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형단말(1000)에 대해 리워드를 제공하는 추천지역관리부(2300); 및 상기 환경데이터를 반영한 지도정보를 상기 이동형단말(1000)에게 제공하는 지도정보제공부(2400);를 포함한다.
상기 환경정보수집부(2100), 환경정보예측부(2200), 추천지역관리부(2300), 및 지도정보제공부(240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정보수집부(2100)의 수집데이터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환경정보전송부(1310)는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환경정보 및 위치정보를 상기 관리서버(2000)로 송신한다.
도 4의 (A)는 일반적인 지도정보를 도시한다. 기존의 미세먼지 등의 환경정보 센싱은 행정구역에 위치하는 동사무소 등의 시설의 옥상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세부지역에 대한 환경정보를 확보하기는 어렵고 또한 실제 사람이 활동하는 높이의 환경정보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에 대해, 본 발명에서는 도 4의 (B)에서와 같이 행정구역과 관계 없이 해당 영역을 기설정된 가로폭 및 세로폭을 갖는 격자 형태의 영역으로 구획하고, 각각의 영역에 대하여 해당 영역에 위치하는 이동형단말(1000)로부터 환경정보를 수집한다.
도 4의 (C)는 각각의 영역에 환경정보가 수집된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도 4의 (C)에 도시된 수치는 미세먼지농도 등이 될 수 있고,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영역에는 해당 시간구간 동안 이동한 이동형단말(1000)이 없었기 때문에, 환경정보가 없을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는 시간에 있어서도 기설정된 시간간격, 예를 들어 1시간 간격으로 각각의 영역에서 환경정보를 수집한다. 도 4의 (C)에서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영역에 복수의 환경정보가 수신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환경정보수집부(2100)는 해당영역에서 해당시간구간 동안 복수의 환경정보가 센싱된 경우, 해당시간구간의 종료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개수의 1 이상의 환경정보로부터 해당영역의 최종 환경정보를 산출한다.
즉, 시간간격이 1시간으로 설정되어 있고, 2시부터 3시까지 10개의 해당 단일 영역에 대하여 10개의 미세먼지 농도 정보가 수집되는 경우에, 상기 환경정보수집부(2100)는 6번째 내지 10번째 미세먼지 농도 정보에 기초하여(예를 들어 평균값) 해당 영역의 최종 환경정보를 결정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정보예측부(2200)의 수행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 중 일부에는 환경정보가 갱신되기 직전 시점까지 환경정보가 수집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보다 완전한 데이터 셋을 구성하기 위하여, 환경정보예측부(2200)는 과거의 데이터 및 현재의 주변 데이터를 통하여 해당 영역에 대한 예측을 수행한다.
단계 S10에서는 환경정보가 수집되지 않은 공백영역을 도출한다.
단계 S11에서는 상기 공백영역에 대하여 과거의 유사 환경데이터를 도출한다. 예를 들어, 현재와 시간대, 계절, 풍향, 온도, 및 습도 중 1 이상이 유사한 과거의 시점을 도출하고, 해당 시점에서의 환경데이터를 도출한다.
단계 S12에서는 상기 과거의 유사 환경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공백영역의 환경정보를 도출한다. 즉, 현재 해당 영역에 대한 환경정보가 없기 때문에, 이를 과거의 유사한 상황에서의 환경데이터를 이용하여 예측하는 것이다. 여기서 환경정보는 미세먼지 농도에 해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해당 영역에 대하여 유사한 과거 환경이 존재하였고, 과거 환경에서 해당 영역 및 해당 영역의 인접 영역에 대해 환경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 과거의 데이터를 참조하여 해당 공백영역의 환경정보를 도출한다.
단계 S13에서는 과거의 유사 환경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공백영역에 대하여 현재 주변영역의 환경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공백영역의 환경정보를 도출하는 제2예측단계가 수행된다. 상기와 같이 제1예측단계가 수행되기 어려운 영역의 경우에는 현재의 주변 영역의 환경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영역에 대한 환경정보를 예측한다.
상기 단계 S14에서는 수집된 환경정보 및 도출된 환경정보에 기초하여 환경데이터를 갱신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단계 S14는 해당 시간구간이 종료되기 직전에 완료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시간구간이 1시간으로 설정되어 있고, 2시부터 3시까지 환경정보를 수집하고, 3시에 환경정보가 업데이트되는 경우에, 상기 단계 S14는 2시 59분 정도에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정보예측부(2200)의 제1예측의 수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A)에는 현재 시점에서 수집된 환경정보의 현황을 도시한다. 미세먼지 농도가 환경정보에 해당하는 경우에, 상기 도 6의 (A)에서는 총 9개의 영역이 있고, (2,1) 영역 및 (2,2) 영역이 현재 환경정보가 수집되지 않은 영역이고, 현재 환경정보를 예측하고자 하는 영역은 (2, 2)영역 이라고 가정한다.
도 6의 (B)는 해당 영역에 대하여 시간대, 계절, 풍향, 온도, 및 습도 중 1 이상에 기초하여 산출된 유사도가 기설정된 기준 이상인 경우에서의 2개의 과거의 환경데이터를 도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예측단계에서, 상기 과거의 유사 환경데이터는 시간, 및 환경이 기설정된 오차 기준 이내의 과거의 시간구간의 환경데이터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제1예측단계는 상기 과거의 유사 환경데이터에서 예측으로 결정된 환경정보 값을 제외하고 실제 수집된 환경정보 값에 기초하여 상기 공백영역의 환경정보를 도출한다.
즉, 해당 영역 및 해당 영역의 인근영역의 과거의 환경데이터를 이용하는 경우에 과거에도 실측되어 생성된 환경정보만 이용함으로써 보다 예측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도 6의 (B)에 점선으로 표시된 요소가 제1예측단계에서 이용되는 과거의 데이터에 해당한다.
바람직하게는, 과거의 환경데이터로부터 예측하고자 하는 해당 영역과 상기 해당영역의 인접영역 사이의 관계 및 예측하고자 하는 해당 영역의 인접영역의 현재 데이터에 기초하여, 현재 예측하고자 하는 해당영역의 환경정보를 예측한다.
도 6의 (B)의 첫번째 과거의 환경데이터에서는 (1,1) 영역과 (2,2) 영역의 차이는 +5이고, (2,1) 영역과 (2,2) 영역의 차이는 +5 이고, (3,3) 영역과 (2,2) 영역의 차이는 +5임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첫번째 과거의 환경데이터로부터 예측하고자 하는 (2,2) 영역은 주변의 영역에 비하여 +5, +5, +5 의 관계를 가짐이 확인되었다.
한편, 도 6의 (B)의 두번째 과거의 환경데이터에서는 (1,1) 영역과 (2,2) 영역의 차이는 +5이고, (1,2) 영역과 (2,2) 영역의 차이는 +10임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두번째 과거의 환경데이터로부터 예측하고자 하는 (2,2) 영역은 주변의 영역에 비하여 +5, +10 정도의 관계를 가짐이 3번 확인되었다.
이후, 과거의 환경데이터로부터 예측하고자 하는 영역과 인접영역 사이의 관계의 평균값을 도출한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2,2)는 주변 인접 8개의 영역에 비하여 총 (5+5+5+5+10)/5 = +6정도의 관계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6의 (C)는 상기 도 6의 (B)에서 도출된 예측하고자 하는 영역과 인접영역 사이의 관계의 평균값을 현재의 인접영역의 환경정보에 적용한다.
이는 하기의 단계들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단계 1: 현재 인접영역에서의 환경정보의 대표값(평균값)을 도출한다. 도 6의 (C)에서는 인근영역의 환경정보가 모두 20으로 동일한 바, 인접영역의 환경정보의 대표값은 20으로 산출할 수 있다.
단계 2: 상기 도출한 예측하고자 하는 영역과 인접영역 사이의 관계의 평균값을 상기 현재의 인접영역의 환경정보의 대표값에 적용한다. 즉, 도 6의 (B)에서는 (2,2) 지점은 주변의 환경정보보다 +6 의 관계를 가짐이 확인되었고, 도 6의 (C)에서는 인접영역의 평균값인 20에 +6을 적용하여 최종적으로 26으로 예측한다.
특히 미세먼지의 경우에는 건물, 풍향, 계절 등 다양한 요소가 작용하지만, 대외적 환경이 유사한 경우에는 지역적 관계가 유사하게 나타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미세먼지에 대한 예측을 보다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정보예측부(2200)의 제2예측의 수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A)는 환경정보 수집 및 제1예측단계가 수행된 환경정보를 도시한다. 도 7의 (A)에서는 (2,2)가 예측하고자 하는 영역에 해당하고, 숫자가 표시되고,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이 제1예측 단계가 아닌 실제로 수집된 환경정보에 해당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예측단계에서, 현재 주변영역의 환경정보에서 예측으로 결정된 환경정보 값을 제외하고 실제 수집된 환경정보 값에 기초하여 상기 공백영역의 환경정보를 도출한다.
즉, 점선으로 표시된 (1,1), (2,1), (3,1), (1,2), (3,2)에서의 환경정보에 대한 평균값으로 상기 (2,2)의 환경정보를 예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1차적으로 과거의 환경데이터 중 실측값을 기초로 해당 영역의 환경정보를 예측하고, 과거 데이터가 없는 영역에 대해서는 현재의 실측값을 기초하여 환경정보를 예측함으로써 미세먼지의 경우에는 상당히 높은 정확도로 환경정보를 예측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천지역관리부(2300)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시간구간(제1시간구간, 및 제2시간구간)에서 상기 환경정보예측부(2200)가 동작하기 전까지 환경정보수집부(2100)가 동작하여 환경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환경정보예측부(2200)는 해당 시간구간의 거의 마지막에서 동작하고, 상기 환경정보예측부(2200) 동작의 완료로 환경데이터가 갱신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환경정보예측부(2200)의 동작이 시작되기 전의 시점에서 영역 중 환경정보가 획득되지 않은 영역을 도출하여 이를 이동형단말(1000)에 통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기능의 수행으로 보다 넓은 영역의 환경정보를 세밀하게 수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리서버(2000)의 추천지역관리부(2300)는 현재 시간구간에서 환경정보가 수집되지 않은 공백영역을 도출하는 단계(단계 S20); 상기 공백영역과 위치적으로 관계된 이동형단말(1000)에 대해 공백영역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단계 S21); 이동형단말(1000)로부터 공백영역의 환경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단계 S22); 공백영역의 환경정보를 제공한 이동형단말(1000)의 계정에 대하여 리워드를 부여하는 단계(단계 S23)를 수행한다.
단계 S20에서는 도 8의 (A)에서 해당 시간구간에서 추천지역관리부(2300) 동작 시점까지 환경정보가 수집되지 않은 영역에 해당하는 공백영역을 도출한다.
단계 S21에서는 해당 영역에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이동형단말(1000)을 추출하고, 해당 이동형단말(1000)들에게 상기 공백영역에 대한 정보를 송신한다. 이후, 사용자의 이동형단말(1000)의 지도표시부(1320)는 사용자의 입력 등에 따라 상기 공백영역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단계 S22에서는, 일부 이동형단말(1000)로부터 해당 공백영역에 대한 환경정보를 수신함을 확인한다.
단계 S23에서는, 해당 공백영역에 대해 환경정보를 제공한 이동형단말(1000)에 대해 포인트와 같은 리워드를 부여한다. 상기 리워드는 추후에 사용자가 해당 공유이동시설물, 예를 들어 공유자전거의 이용요금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천지역관리부(2300)는 해당 시간구간의 제1시점에서 동작이 수행되고, 상기 환경정보예측부(2200)는 해당 시점구간의 제2시점에서 수행되고, 상기 제1시점은 해당 시간수간의 시작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간격 이후에 해당하고, 상기 제2시점은 상기 제1시점보다 늦은 시점에 해당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단말(1000)에서의 지도표시부(1320)의 디스플레이 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이동형단말(1000)의 상기 지도표시부(132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기설정된 물리적 거리 간격으로 설정된 각각의 영역에 대한 환경정보를 지도상에 표시하거나 혹은 사용자가 리워드를 받을 수 있는 영역에 대한 정보를 지도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9의 (A)는 지도 위에 환경정보가 매핑된 상태로 중첩되어 환경정보가 표시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환경정보는 미세먼지의 농도이고, 지도위에 상기 미세먼지의 농도에 따라서 음영의 색상 혹은 진하기가 조절되는 형태로 도시된다.
도 9의 (B)는 지도 위에 현재 환경정보가 수집되지 않았고, 해당 위치에 현재 시간구간 이내에 도달하여 환경정보를 수집하는 경우에 리워드를 받을 수 있는 추천지역을 표시한다. 도 9의 (B)에서는 해당 영역에 대해서는 음영을 조절함으로서 사용자에게 리워드수신 영역에 대하여 보다 직관적인 형태로 디스플레이를 할 수 있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장치의 내부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도 2에 따른 서버는 도 10에서 도시되는 컴퓨팅장치의 1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장치(11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장치(11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사용자단말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장치(11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1100)은 단일 혹은 복수로 구성될 수 있고, 연산처리속도 향상을 위하여 GPU 및 TPU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장치(11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장치(11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10의 실시예는, 컴퓨팅장치(11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장치(11000)은 도 10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10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장치는 도 10에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장치(11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장치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8)

  1. 공유이동시설물에 부착될 수 있는 이동형단말 및 상기 이동형단말과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환경정보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이동형단말은,
    미세먼지농도를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센싱하는 환경정보센서부;
    이동형단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센싱하는 운행정보센서부;
    상기 환경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환경정보전송부; 및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한 환경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환경정보가 표시된 지도정보를 제공하는 지도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이동형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영역간격으로 환경정보를 수집하는 환경정보수집부;
    환경정보가 수집되지 않은 공백영역의 환경정보를 예측하여 환경데이터를 생성하는 환경정보예측부; 및
    상기 환경데이터를 반영한 지도정보를 상기 이동형단말에게 제공하는 지도정보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환경정보예측부는,
    환경정보가 수집되지 않은 공백영역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공백영역에 대하여 과거의 유사 환경데이터를 도출하고, 상기 과거의 유사 환경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공백영역의 환경정보를 도출하는 제1예측단계;
    과거의 유사 환경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공백영역에 대하여 현재 주변영역의 환경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공백영역의 환경정보를 도출하는 제2예측단계; 및
    수집된 환경정보 및 도출된 환경정보에 기초하여 환경데이터를 갱신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제1예측단계에서, 상기 과거의 유사 환경데이터는 시간, 및 환경이 기설정된 오차 기준 이내의 과거의 시간구간의 환경데이터에 해당하고,
    상기 제1예측단계는 상기 과거의 유사 환경데이터에서 예측으로 결정된 환경정보 값을 제외하고 실제 수집된 환경정보 값에 기초하여 상기 공백영역의 환경정보를 도출하고,
    과거의 유사 환경데이터로부터 예측하고자 하는 해당영역과 상기 해당영역의 인접영역 사이의 관계 및 예측하고자 하는 해당영역의 인접영역의 현재 데이터에 기초하여, 현재 예측하고자 하는 해당영역의 환경정보를 예측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현재 시간구간에서 환경정보가 수집되지 않은 공백영역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공백영역과 위치적으로 관계된 이동형단말에 대해 공백영역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동형단말로부터 공백영역의 환경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공백영역의 환경정보를 제공한 이동형단말의 계정에 대하여 리워드를 부여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추천지역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도표시부는 사용자가 리워드를 받을 수 있는 영역에 대한 정보를 지도상에 표시하는, 환경정보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환경정보전송부는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환경정보 및 위치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환경정보수집부는 해당영역에서 해당시간구간 동안 복수의 환경정보가 센싱된 경우, 해당시간구간의 종료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개수의 1 이상의 환경정보로부터 해당영역의 최종 환경정보를 산출하는, 환경정보관리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예측단계에서, 현재 주변영역의 환경정보에서 예측으로 결정된 환경정보 값을 제외하고 실제 수집된 환경정보 값에 기초하여 상기 공백영역의 환경정보를 도출하는, 환경정보관리 시스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천지역관리부는 해당 시간구간의 제1시점에서 수행되고,
    상기 환경정보예측부는 해당 시점구간의 제2시점에서 수행되고,
    상기 제1시점은 해당 시간수간의 시작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간격 이후에 해당하고, 상기 제2시점은 상기 제1시점보다 늦은 시점에 해당하는, 환경정보관리 시스템.
  8. 삭제
KR1020180143733A 2018-11-20 2018-11-20 이동형센서단말을 이용한 환경정보관리 시스템 KR102145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733A KR102145296B1 (ko) 2018-11-20 2018-11-20 이동형센서단말을 이용한 환경정보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733A KR102145296B1 (ko) 2018-11-20 2018-11-20 이동형센서단말을 이용한 환경정보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366A KR20200059366A (ko) 2020-05-29
KR102145296B1 true KR102145296B1 (ko) 2020-08-19

Family

ID=70912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733A KR102145296B1 (ko) 2018-11-20 2018-11-20 이동형센서단말을 이용한 환경정보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52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5981B1 (ko) * 2020-11-04 2021-05-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다종 이동수단 탑재형 주변 환경 관측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40282A1 (en) * 2015-11-12 2017-05-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ery Short-Term Air Pollution Forecasting
KR101826665B1 (ko) * 2016-08-17 2018-02-07 주식회사 웨이브피아 자전거를 이용한 환경정보 관리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8369A (ko) * 2004-09-24 2006-03-29 주식회사 프리챌 멀티미디어 날씨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50075594A (ko) * 2013-12-26 2015-07-06 전자부품연구원 환경정보 수집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40282A1 (en) * 2015-11-12 2017-05-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ery Short-Term Air Pollution Forecasting
KR101826665B1 (ko) * 2016-08-17 2018-02-07 주식회사 웨이브피아 자전거를 이용한 환경정보 관리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5981B1 (ko) * 2020-11-04 2021-05-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다종 이동수단 탑재형 주변 환경 관측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366A (ko) 2020-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36275B (zh) 利用信標的無線測位服務方法、系統、裝置以及檔分配系統
EP3445102B1 (en) Clustering geofence-based alerts for mobile devices
US20180113459A1 (en) Vehicle virtual map
CN108648451B (zh) 一种交通数据处理设备和交通态势管理系统
CN105144144A (zh) 可配置的兴趣点提醒
CN104838281A (zh) 基于虚拟地标的定位和建图
WO2014004529A1 (en) Adaptive clustering of locations
CN109410563B (zh) 监控车辆停放的方法、装置、系统及服务器
CN103700261A (zh) 一种基于视频的道路交通流特征参数监测及交通综合信息服务系统
WO2018190428A1 (ja) 需要予測装置
US9472100B2 (en) Method and system for vehicle locating and sequencing
KR101755785B1 (ko) 줌 제어를 수행한 노선도 또는 지도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16115668A1 (zh) 一种车位确认、导航的方法装置和系统
WO2014116625A2 (en) Fast generation of radio coverage map of access points in an indoor environment
JP2022120146A (ja) スケジューリングシステム、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135315B1 (ko) IoT 기반의 환경정보관리 시스템
KR102145296B1 (ko) 이동형센서단말을 이용한 환경정보관리 시스템
Marso et al. A New Parking-Space Detection System Using Prototyping Devices and Bluetooth Low Energy Communication.
CN109579862A (zh) 电动汽车的导航方法、系统、设备以及介质
CN104937914A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及程序
KR102442267B1 (ko) 태그기반 경로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2075507B1 (ko)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실내 조명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29450B1 (ko) 격자화된 지도를 이용하는 사용자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10846A (ko) 주차 센서,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1900812B1 (ko) 저전력 블루투스를 이용한 드론의 움직임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