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5658A - 분체 수용 용기, 현상제 보급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분체 수용 용기, 현상제 보급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15658A KR20160115658A KR1020150135316A KR20150135316A KR20160115658A KR 20160115658 A KR20160115658 A KR 20160115658A KR 1020150135316 A KR1020150135316 A KR 1020150135316A KR 20150135316 A KR20150135316 A KR 20150135316A KR 20160115658 A KR20160115658 A KR 2016011565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ner
- developer
- powder
- container
- supply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03G15/0834—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 G03G15/0837—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6—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mechanical means, e.g. shutter, plug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87—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 G03G15/0891—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for conveying or circulating developer, e.g. auger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02—Developer
- G03G2215/0604—Developer solid type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63—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2215/0665—Generally horizontally mounting of said toner cartridge parallel to its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 G03G2215/0668—Toner discharging opening at one axial end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63—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2215/0675—Generally cylindrical container shape having two en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분체 수용 용기는, 분체를 내부에 수용함과 함께, 분체를 공급하는 공급부를 갖는 수용 용기 본체와, 상기 수용 용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공급부를 폐색한 폐색 위치와 상기 공급부로부터 분체를 공급 가능한 공급 위치를 이동하는 이동 부재와, 상기 이동 부재의 외주 형상보다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 부재의 상기 공급 위치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분체(粉體) 수용 용기, 현상제 보급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분체 수용 용기의 일종인 현상제 수용 용기에 관한 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의 문헌에 기재된 것이 이미 제안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2011-076064호 공보에 기재된 현상제 수용 용기는, 셔터 부재에 캡부의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여 토너 배출구를 개폐하는 셔터 주부(主部)와의 접속 위치를 기점으로 하여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된 셔터 변형부를 설치함과 함께, 셔터 변형부에는, 개방 방향으로의 셔터 부재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부와, 아래쪽으로부터 외력을 받음으로써 스토퍼부와 맞닿음부의 맞닿음 상태를 해제하는 스토퍼 해제부를 설치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본국 특개2013-068823호 공보에 기재된 현상제 수용 용기는, 개폐부에 한 쌍 설치되며, 한 쌍이 각각 개폐부의 닫힘 위치로부터 열림 위치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한쌍에 의한 이동의 규제가 독립하여 함께 해제됨으로써 개폐부의 열림 위치로의 이동이 허용되는 규제부를 구비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본국 특개2013-174733호 공보에 기재된 현상제 수용 용기는, 셔터 기구가, 공급구를 폐색하는 닫힘 위치와 공급구를 여는 열림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커버 부재와, 커버 부재를 로크하도록 케이싱에 걸어맞춰지는 로크 부재를 구비하고, 로크 부재가 케이싱에 걸어맞춰져 있는 동안, 커버 부재는 공급구를 폐색하고, 현상 장치와 현상제 수용 용기의 연결에 수반하여 로크 부재와 케이싱 사이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면, 커버 부재는, 닫힘 위치로부터 열림 위치로 변위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의도치 않게 규제부에 의한 규제를 해제해버려, 이동 부재가 본의 아니게 공급 위치로 이동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방안에 따르면, 분체를 내부에 수용함과 함께, 분체를 공급하는 공급부를 갖는 수용 용기 본체와, 상기 수용 용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공급부를 폐색한 폐색 위치와 상기 공급부로부터 분체를 공급 가능한 공급 위치를 이동하는 이동 부재와, 상기 이동 부재의 외주 형상보다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 부재의 상기 공급 위치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구비하는 분체 수용 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방안에 따르면, 분체를 내부에 수용함과 함께, 분체를 공급하는 공급부를 갖는 수용 용기 본체와, 상기 수용 용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개구부를 폐색한 폐색 위치와 상기 공급부로부터 분체를 공급 가능한 공급 위치를 이동하는 이동 부재와, 상기 이동 부재의 외주 형상보다 외측을 향하여 변형함으로써 상기 이동 부재의 공급 위치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구비하는 분체 수용 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 방안에 따르면, 상기 규제부는, 상기 이동 부재에 설치됨과 함께, 상기 수용 용기 본체의 상기 공급부의 외측에 설치된 걸림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공급부를 폐색한 폐색 위치로부터 공급 위치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 방안에 따른 분체 수용 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4 방안에 따르면, 상기 분체 수용 용기가 장착되는 장착부는, 상기 규제부에 의한 규제를 해제하는 해제부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부에 상기 분체 수용 용기가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해제부는, 상기 규제부를 상기 걸림부와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는 위치로 변위시키는 본 발명의 제3 방안에 따른 분체 수용 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5 방안에 따르면, 상기 해제부는, 상기 수용 용기 본체와 상기 이동 부재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규제부에 의한 규제를 해제하는 본 발명의 제4 방안에 따른 분체 수용 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6 방안에 따르면, 분체인 현상제를 내부에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 용기와, 상기 현상제 수용 용기에 수용되는 현상제를 현상 장치를 향해서 반송하는 현상제 반송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현상제 수용 용기로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5 방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분체 수용 용기를 이용한 현상제 보급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7 방안에 따르면, 표면에 정전 잠상을 유지하는 상(像) 유지체와, 상기 상 유지체의 표면에 유지된 정전 잠상을 현상제에 의해 현상하는 현상 수단과, 상기 현상 수단에 현상제를 보급하는 현상제 보급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현상제 보급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6 방안에 따른 현상제 보급 장치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 방안에 따르면, 이동 부재가 본의 아니게 공급 위치로 이동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방안에 따르면, 이동 부재가 본의 아니게 공급 위치로 이동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방안에 따르면, 이동 부재가 본의 아니게 공급 위치로 이동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방안에 따르면, 분체 수용 용기를 장착부에 장착함으로써, 규제부에 의한 규제를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방안에 따르면, 분체 수용 용기를 장착부에 장착함으로써, 규제부에 의한 규제를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방안에 따르면, 이동 부재가 본의 아니게 공급 위치로 이동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방안에 따르면, 이동 부재가 본의 아니게 공급 위치로 이동되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현상제에 의한 오손(汚損)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현상제 수용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장치를 적용한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내는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형성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
도 4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사시 구성도.
도 5는 토너 보급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 구성도.
도 6은 토너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사시 구성도.
도 7은 토너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사시 구성도.
도 8은 토너 카트리지의 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9는 토너 카트리지의 요부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
도 10은 셔터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 구성도.
도 11은 셔터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 구성도.
도 12는 셔터 부재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 구성도.
도 13은 카트리지 장착부를 나타내는 사시 구성도.
도 14는 카트리지 장착부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 구성도.
도 15는 카트리지 장착부를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
도 16은 토너 카트리지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 구성도.
도 17은 토너 카트리지의 장착부를 나타내는 사시 구성도.
도 18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현상제 수용 용기를 나타내는 요부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형성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
도 4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사시 구성도.
도 5는 토너 보급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 구성도.
도 6은 토너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사시 구성도.
도 7은 토너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사시 구성도.
도 8은 토너 카트리지의 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9는 토너 카트리지의 요부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
도 10은 셔터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 구성도.
도 11은 셔터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 구성도.
도 12는 셔터 부재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 구성도.
도 13은 카트리지 장착부를 나타내는 사시 구성도.
도 14는 카트리지 장착부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 구성도.
도 15는 카트리지 장착부를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
도 16은 토너 카트리지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 구성도.
도 17은 토너 카트리지의 장착부를 나타내는 사시 구성도.
도 18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현상제 수용 용기를 나타내는 요부 구성도.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현상제 수용 용기(분체 수용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장치를 적용한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의 개요를 나타내고, 도 2는 그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의 요부(작상(作像) 장치 등)를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의 구성>
실시형태 1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는, 예를 들면 컬러 프린터로서 구성된 것이다. 이 화상 형성 장치(1)는, 현상제(4)를 구성하는 토너에 의해 현상되는 토너상을 형성하는 복수의 작상 장치(10)와, 각 작상 장치(10)에 의해 형성된 토너상을 각각 유지해서 최종적으로 기록 매체의 일례로서의 기록 용지(5)에 이차 전사하는 이차 전사 위치까지 반송하는 중간 전사 장치(20)와, 중간 전사 장치(20)의 이차 전사 위치에 공급해야 할 소요의 기록 용지(5)를 수용하여 반송하는 급지 장치(50)와, 중간 전사 장치(20)에 의해 이차 전사된 기록 용지(5) 위의 토너상을 정착시키는 정착 장치(40)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 도면 중의 1a는 화상 형성 장치(1)의 본체를 나타내고, 이 본체(1a)는 지지 구조 부재, 외장 커버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작상 장치(10)는, 옐로(Y), 마젠타(M), 시안(C) 및 블랙(K)의 4색의 토너상을 각각 전용으로 형성하는 4개의 작상 장치(10Y, 10M, 10C, 10K)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들 4개의 작상 장치(10)(Y, M, C, K)는 본체(1a)의 내부 공간에 있어서 경사진 상태에서 1열로 나열된 상태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 작상 장치(10)(Y, M, C, K)는, 도 1이나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 유지체의 일례로서의 회전하는 감광체 드럼(11)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감광체 드럼(11)의 주위에, 다음과 같은 토너상 형성 수단의 일례로서의 각 장치가 주로 배치되어 있다. 주된 장치란, 감광체 드럼(11)의 상 형성이 가능한 둘레면(상 유지면)을 소요의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 장치(12)와, 감광체 드럼(11)의 대전된 둘레면에 화상의 정보(신호)에 의거한 광을 조사하여 전위차가 있는 (각 색용의)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노광 장치(13)와, 그 정전 잠상을 대응하는 색(Y, M, C, K)의 현상제(4) 토너에 의해 현상하여 토너상으로 하는 현상 수단의 일례로서의 현상 장치(14)(Y, M, C, K)와, 그 각 토너상을 중간 전사 장치(20)에 전사하는 일차 전사 수단의 일례로서의 일차 전사 장치(15)(Y, M, C, K)와, 일차 전사 후에 있어서의 감광체 드럼(11)의 상 유지면에 잔류하여 부착되는 토너 등의 부착물을 제거하여 청소하는 드럼 청소 장치(16)(Y, M, C, K) 등이다.
감광체 드럼(11)은, 접지 처리되는 원통 형상 또는 원 기둥 형상의 기재(基材)의 둘레면에 감광 재료로 이루어지는 광도전성층(감광층)을 갖는 상 유지면을 형성한 것이다. 이 감광체 드럼(11)은, 도시하지 않은 회전 구동 장치로부터 동력이 전달되어 화살표(A)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대전 장치(12)는 감광체 드럼(11)에 접촉한 상태로 배치되는 접촉형의 대전롤에 의해 구성된다. 대전 장치(12)에는 대전용 전압이 공급된다. 대전용 전압으로서는, 현상 장치(14)가 반전 현상을 행하는 것일 경우, 그 현상 장치(14)로부터 공급되는 토너의 대전 극성과 같은 극성의 전압 또는 전류가 공급된다. 또, 대전 장치(12)로서는 감광체 드럼(11)의 표면에 비접촉 상태로 배치되는 스코로트론 등의 비접촉형의 대전 장치를 이용해도 된다.
노광 장치(13)는, 화상 형성 장치(1)에 입력되는 화상의 정보에 따라서 구성되는 광을, 대전된 후의 감광체 드럼(11)의 둘레면에 대해서 조사하여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것이다. 노광 장치(13)에는 잠상 형성 시가 되면 화상 형성 장치(1)에 임의의 수단에 의해 입력되는 화상의 정보(신호)가 송신된다.
노광 장치(13)는, 감광체 드럼(11)의 축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발광 소자로서의 LED(Light Emitting Diode)에 의해 감광체 드럼(11)에 화상 정보에 따른 광을 조사하여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LED 프린트 헤드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노광 장치(13)로서는 화상 정보에 따라서 구성되는 레이저광을 감광체 드럼(11)의 축 방향을 따라 편향 주사하는 것을 이용해도 된다.
현상 장치(14)(Y, M, C, K)는 모두, 도 2 및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개구부와 현상제(4)의 수용실이 형성된 케이싱(140)의 내부에, 현상제(4)를 유지해서 감광체 드럼(11)과 마주보는 현상 영역까지 반송하는 현상 롤(141)과, 현상제(4)를 교반하면서 현상 롤(141)을 통과시키도록 반송하는 2개의 스크루 오거 등의 교반 반송 부재(142, 143)와, 현상 롤(141)에 유지되는 현상제의 양(층 두께)을 규제하는 층 두께 규제 부재(144) 등을 배치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 현상 장치(14)에는 그 현상 롤(141)과 감광체 드럼(11)의 사이에 현상용 전압이 도시하지 않은 전원 장치로부터 공급된다. 또한, 현상 롤(141)이나 교반 반송 부재(142, 143)는 도시하지 않은 회전 구동 장치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되어 소요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상기 4색의 현상제(4)(Y, M, C, K)로서는, 비자성 토너와 자성 캐리어를 포함하는 2성분 현상제가 사용된다. 또, 4색의 현상제(4)(Y, M, C, K)로서는 토너만으로 이루어지는 1성분 현상제를 이용해도 된다.
일차 전사 장치(15)(Y, M, C, K)는, 감광체 드럼(11)의 주위에 중간 전사 벨트(21)를 개재해서 접촉하여 회전함과 함께 일차 전사용 전압이 공급되는 일차 전사 롤을 구비한 접촉형의 전사 장치이다. 일차 전사용 전압으로서는, 토너의 대전 극성과 반대의 극성을 나타내는 직류의 전압이 도시하지 않은 전원 장치로부터 공급된다.
드럼 청소 장치(16)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일부가 개구되는 용기 형상의 본체(160)와, 일차 전사 후의 감광체 드럼(11)의 둘레면에 소요의 압력으로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잔류 토너 등의 부착물을 제거해서 청소하는 청소판(161)과, 청소판(161)에 의해 제거한 토너 등의 부착물을 회수하여 도시하지 않은 회수 시스템에 송출하도록 반송하는 스크루 오거 등의 송출 부재(162)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청소판(161)으로서는 고무 등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판상(板狀)의 부재(예를 들면 블레이드)가 사용된다.
그런데,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감광체 드럼(11)과, 이 감광체 드럼(11)의 주위에 배치되는 대전 장치(12), 현상 장치(14), 드럼 청소 장치(16)의 화상 형성 부재가 일체적으로 유닛화되어 조립되어 있으며, 화상 형성 유닛의 일례로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80)를 구성하고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80)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본체(81)와, 감광체 드럼(11)의 축 방향을 따른 양 단부(端部)에 배치된 프레임 부재(82, 8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단, 프로세스 카트리지(80)는, 감광체 드럼(11)과, 이 감광체 드럼(11)의 주위에 배치되는 대전 장치(12), 현상 장치(14), 드럼 청소 장치(16) 등의 화상 형성 부재 전부를 포함할 필요는 없으며, 이들 화상 형성 부재 중, 감광체 드럼(11)과, 대전 장치(12) 및 현상 장치(14)로 구성해도 되고, 감광체 드럼(11)과 현상 장치(14) 등으로 구성해도 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80)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a)의 내부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 레일 등의 안내 부재를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 본체(1a)에 착탈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80)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a)에 장착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 본체(1a)측으로부터 구동력 및 전력의 공급을 받는다.
중간 전사 장치(20)는,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각 작상 장치(10)(Y, M, C, K)의 위쪽의 위치에 존재하도록 배치된다. 이 중간 전사 장치(20)는, 감광체 드럼(11)과 일차 전사 장치(15)(일차 전사 롤)의 사이로 되는 일차 전사 위치를 통과하면서 화살표(B)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중간 전사 벨트(21)와, 중간 전사 벨트(21)를 그 내면으로부터 원하는 상태로 유지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벨트 지지 롤(22∼26)과, 벨트 지지 롤(25)에 지지되어 있는 중간 전사 벨트(21)의 외주면(상 유지면)측에 배치되어 중간 전사 벨트(21) 위의 토너상을 기록 용지(5)에 이차 전사시키는 이차 전사 부재의 일례로서의 이차 전사 장치(30)와, 이차 전사 장치(30)를 통과한 후에 중간 전사 벨트(21)의 외주면에 잔류하여 부착되는 토너, 종이 가루 등의 부착물을 제거하여 청소하는 벨트 청소 장치(27)에 의해 주로 구성되어 있다.
중간 전사 벨트(21)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등의 합성수지에 카본 블랙 등의 저항 조정제 등을 분산시킨 재료로 제작되는 무단(無端) 형상의 벨트가 사용된다. 또한, 벨트 지지 롤(22)은 도시하지 않은 구동 장치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 구동 롤로서 구성되고, 벨트 지지 롤(23)은 중간 전사 벨트(21)의 주행 위치 등을 유지하는 종동(從動) 롤로서 구성되고, 벨트 지지 롤(24)은 중간 전사 벨트(21)에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 부여 롤로서 구성되고, 벨트 지지 롤(25)은 이차 전사의 백업 롤로서 구성되고, 벨트 지지 롤(26)은 벨트 청소 장치(27)에 의해 청소되는 중간 전사 벨트(21)의 배면을 지지하는 지지 롤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차 전사 장치(30)는,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중간 전사 장치(20)에 있어서의 벨트 지지 롤(25)에 지지되어 있는 중간 전사 벨트(21)의 외주면 부분인 이차 전사 위치에 있어서, 중간 전사 벨트(21)의 둘레면에 접촉하여 회전함과 함께 이차 전사용 전압이 공급되는 이차 전사 롤(31)을 구비한 접촉형의 전사 장치이다. 또한, 이차 전사 롤(31) 또는 중간 전사 장치(20)의 지지 롤(25)에는 토너의 대전 극성과 반대 극성 또는 같은 극성을 나타내는 직류의 전압이 이차 전사용 전압으로서 공급된다.
벨트 청소 장치(27)는,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드럼 청소 장치(16)와 마찬가지로 구성되며, 일부가 개구되는 용기 형상의 본체(270)와, 이차 전사 후의 중간 전사 벨트(21)의 둘레면에 소요의 압력으로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잔류 토너 등의 부착물을 제거해서 청소하는 청소판(271)과, 청소판(271)에 의해 제거한 토너 등의 부착물을 회수하여 도시하지 않은 회수 시스템에 송출하도록 반송하는 스크루 오거 등의 송출 부재(272)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청소판(271)으로서는 고무 등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판상의 부재(예를 들면 블레이드)가 사용된다.
정착 장치(40)는, 표면 온도가 소요의 온도로 유지되도록 가열 수단에 의하여 가열되는 드럼 형태 또는 벨트 형태의 가열 회전체(41)와, 이 가열 회전체(41)의 축 방향을 대략 따르는 상태에서 소정의 압력으로 접촉하여 회전하는 드럼 형태 또는 벨트 형태의 가압용 회전체(42) 등을 배치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 정착 장치(40)에서는, 가열 회전체(41)와 가압용 회전체(42)가 접촉하는 접촉부가 소요의 정착 처리(가열 및 가압)를 행하는 정착 처리부가 된다.
급지 장치(50)는, 옐로(Y), 마젠타(M), 시안(C) 및 블랙(K)의 작상 장치(10)(Y, M, C, K)의 아래쪽의 위치에 존재하도록 배치된다. 이 급지 장치(50)는, 원하는 사이즈, 종류 등의 기록 용지(5)를 적재한 상태로 수용하는 단수(또는 복수)의 용지 수용체(51)와, 용지 수용체(51)로부터 기록 용지(5)를 1매씩 송출하는 송출 장치(52, 53)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용지 수용체(51)는, 예를 들면 본체(1a)의 정면(사용자가 조작 시에 바라보는 측면)측, 도시예에서는 좌측면측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다.
기록 용지(5)로서는, 예를 들면 전자 사진 방식의 복사기, 프린터 등에 사용되는 보통지, OHP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정착 후에 있어서의 화상 표면의 평활성을 더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기록 용지(5)의 표면도 가능한 한 평활한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보통지의 표면을 수지 등으로 코팅한 코팅지, 인쇄용의 아트지 등의 평량(坪量)이 상대적으로 큰 소위 두꺼운 종이 등도 사용할 수 있다.
급지 장치(50)와 이차 전사 장치(30) 사이에는, 급지 장치(50)로부터 송출되는 기록 용지(5)를 이차 전사 위치까지 반송하는 단수(또는 복수)의 용지 반송 롤 쌍(54)이나 반송 가이드(55) 등으로 구성되는 급지 반송로(56)가 설치되어 있다. 용지 반송 롤 쌍(54)은, 예를 들면 기록 용지(5)의 반송 시기를 조정하는 롤(레지스트레이션 롤)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차 전사 장치(30)와 정착 장치(40) 사이에는, 이차 전사 장치(30)의 이차 전사 롤(31)로부터 송출되는 이차 전사 후의 기록 용지(5)를 정착 장치(40)까지 반송하기 위한 반송 가이드(57, 58)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1a)에 형성되는 용지의 배출구에 가까운 부분에는, 정착 장치(40)로부터 송출되는 정착 후의 기록 용지(5)를 반송 가이드(59)를 따라 본체(1a)의 상부에 설치된 용지 배출부(60)로 배출하기 위한 용지 배출 롤 쌍(61)이 배치되어 있다.
정착 장치(40)와 용지 배출 롤 쌍(61) 사이에는 용지 반송로를 전환하는 전환 게이트(62)를 구비하고 있다. 용지 배출 롤 쌍(61)은 그 회전 방향이 정전(正轉) 방향(배출 방향)과 역전(逆轉) 방향으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기록 용지(5)의 양면에 화상을 형성할 경우에는, 편면에 화상이 형성된 기록 용지(5)의 후단이 전환 게이트(62)를 통과한 후, 용지 배출 롤 쌍(61)의 회전 방향을 정전 방향(배출 방향)으로부터 역전 방향으로 전환한다. 용지 배출 롤 쌍(61)에 의하여 역전 방향으로 반송되는 기록 용지(5)는, 전환 게이트(62)에 의하여 반송 경로가 전환되어, 대략 연직 방향을 따르도록 형성된 양면용 반송 경로(63)로 반송된다. 양면용 반송 경로(63)는, 표리를 반전시킨 상태에서 기록 용지(5)를 용지 반송 롤 쌍(54)으로 반송하는 용지 반송 롤 쌍(64)과, 반송 가이드(65∼68) 등을 구비하고 있다.
도 1 중, 부호 70은 화상 형성 장치(1)의 본체(1a)의 정면(도면 중, 좌측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수동 급지 트레이를 나타내고 있으며, 수동 급지 트레이(70)와 용지 반송 롤 쌍(54) 사이에는, 수동 급지 트레이(70)에 수용된 기록 용지(5)를 1매씩 송출하는 송출 장치(71)와, 복수의 용지 반송 롤 쌍(72∼74)이나 반송 가이드(75) 등으로 구성되는 수동 급지 반송로(7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 중 부호 90(Y, M, C, K)은, 지면(紙面)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복수 배열되며, 대응하는 현상 장치(14)(Y, M, C, K)에 공급하는 적어도 토너를 포함하는 현상제를 수용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현상제 수용 용기의 일례로서의 토너 카트리지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토너 카트리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추후에 상세히 기술한다.
또한, 도 1 중 부호 100은, 화상 형성 장치(1)의 동작을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제어 장치(100)는, 도시하지 않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나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혹은 이들 CPU나 ROM 등을 접속하는 버스, 통신 인터페이스 등을 구비하고 있다.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이하, 화상 형성 장치(1)에 의한 기본적인 화상 형성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상기 4개의 작상 장치(10)(Y, M, C, K)를 사용해서, 4색(Y, M, C, K)의 토너상을 조합하여 구성되는 풀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1)는, 화상 형성 동작(프린트)의 요구의 지령 정보를 받으면, 4개의 작상 장치(10)(Y, M, C, K), 중간 전사 장치(20), 이차 전사 장치(30), 정착 장치(40) 등이 시동된다.
그리고, 각 작상 장치(10)(Y, M, C, K)에 있어서는, 우선 각 감광체 드럼(11)이 화살표(A)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각 대전 장치(12)가 각 감광체 드럼(11)의 표면을 소요의 극성(실시형태 1에서는 마이너스 극성) 및 전위로 각각 대전시킨다. 계속해서, 노광 장치(13)가, 대전 후의 감광체 드럼(11)의 표면에 대하여, 화상 형성 장치(1)에 입력되는 화상의 정보를 각 색 성분(Y, M, C, K)으로 변환하여 얻어지는 화상의 신호에 의거해서 발광되는 광을 조사하여, 그 표면에 소요의 전위차로 구성되는 각 색 성분의 정전 잠상을 각각 형성한다.
계속해서, 각 현상 장치(14)(Y, M, C, K)가, 감광체 드럼(11)에 형성된 각 색 성분의 정전 잠상에 대하여, 소요의 극성(마이너스 극성)으로 대전된 대응하는 색(Y, M, C, K)의 토너를 현상 롤(141)로부터 각각 공급하여 정전적으로 부착시켜서 현상을 행한다. 이 현상에 의해, 각 감광체 드럼(11)에 형성된 각 색 성분의 정전 잠상은, 그 대응하는 색의 토너에 의해 각각 현상된 4색(Y, M, C, K)의 토너상으로서 현상화된다.
계속해서, 각 작상 장치(10)(Y, M, C, K)의 감광체 드럼(11) 위에 형성된 각 색의 토너상이 일차 전사 위치까지 반송되면, 일차 전사 장치(15)가, 그 각 색의 토너상을 중간 전사 장치(20)의 화살표(B)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중간 전사 벨트(21)에 대해서 차례로 중첩되는 바와 같은 상태로 일차 전사시킨다.
또한, 일차 전사가 종료된 각 작상 장치(10)에서는, 드럼 청소 장치(16)가 부착물을 긁어내는 바와 같이 제거하여 감광체 드럼(11)의 표면을 청소한다. 이에 따라, 각 작상 장치(10)는 다음의 작상 동작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계속해서, 중간 전사 장치(20)에서는 중간 전사 벨트(21)의 회전에 의해 일차 전사된 토너상을 유지해서 이차 전사 위치까지 반송한다. 한편, 급지 장치(50)에서는 작상 동작에 맞춰서 소요의 기록 용지(5)를 급지 반송로(56)에 송출한다. 급지 반송로(56)에서는 레지스트레이션 롤로서의 용지 반송 롤 쌍(54)이 기록 용지(5)를 전사 시기에 맞춰서 이차 전사 위치에 송출하여 공급한다.
이차 전사 위치에 있어서는 이차 전사 장치(30)의 이차 전사 롤(31)이 중간 전사 벨트(21) 위의 토너상을 기록 용지(5)에 일괄하여 이차 전사시킨다. 또한, 이차 전사가 종료된 중간 전사 장치(20)에서는 벨트 청소 장치(27)가 이차 전사 후의 중간 전사 벨트(21)의 표면에 잔류한 토너 등의 부착물을 제거하여 청소한다.
계속해서, 토너상이 이차 전사된 기록 용지(5)는, 중간 전사 벨트(21)와 이차 전사 롤(31)로부터 박리된 후에 반송 가이드(57, 58)를 통하여 정착 장치(40)까지 반송된다. 정착 장치(40)에서는, 회전하는 가열 회전체(41)와 가압 회전체(42) 사이의 접촉부에 이차 전사 후의 기록 용지(5)를 도입하여 통과시킴으로써, 필요한 정착 처리(가열 및 가압)를 하여 미정착의 토너상을 기록 용지(5)에 정착시킨다. 마지막으로, 정착이 종료된 후의 기록 용지(5)는, 그 편면에의 화상의 형성을 행할 뿐인 화상 형성 동작일 때에는, 용지 배출 롤 쌍(61)에 의해 예를 들면 본체(1a)의 상부에 설치된 용지 배출부(60)로 배출된다.
또한, 기록 용지(5)의 양면에 화상을 형성할 때에는, 편면에 화상이 형성된 기록 용지(5)를 용지 배출 롤 쌍(61)에 의해 용지 배출부(60)에 배출하지 않고, 용지 배출 롤 쌍(61)이 기록 용지(5)의 후단을 유지하고 있는 동안에 당해 용지 배출 롤 쌍(61)의 회전 방향을 역전 방향으로 전환한다. 용지 배출 롤 쌍(61)에 의해 역전 방향으로 반송되는 기록 용지(5)는, 전환 게이트(62)의 상부를 통과한 후, 용지 반송 롤 쌍(64)이나 반송 가이드(65∼68) 등을 구비한 양면용 반송 경로(63)를 통하여 표리가 반전된 상태에서 용지 반송 롤 쌍(54)으로 반송된다. 용지 반송 롤 쌍(54)은 기록 용지(5)를 전사 시기에 맞춰서 이차 전사 위치로 송출해서 공급하여 기록 용지(5)의 이면에 화상을 형성하고, 용지 배출 롤 쌍(61)에 의해 본체(1a)의 상부에 설치된 용지 배출부(60)에 배출한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 4색의 토너상을 조합하여 구성되는 풀컬러 화상이 형성된 기록 용지(5)가 출력된다.
<현상제 수용 용기의 구성>
실시형태 1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옐로(Y), 마젠타(M), 시안(C) 및 블랙(K)의 각 작상 장치(10)(Y, M, C, K)에 있어서 대응하는 색의 토너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동작에 수반하여, 각 작상 장치(10)(Y, M, C, K)의 현상 장치(14)의 내부에 수용된 현상제(4)를 구성하는 토너가 소비된다.
화상 형성 장치(1)는,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옐로(Y), 마젠타(M), 시안(C) 및 블랙(K)의 각 작상 장치(10)(Y, M, C, K)의 현상 장치(14)에 보급되는 적어도 토너를 포함하는 현상제를 수용한 현상제 수용 용기의 일례로서의 토너 카트리지(9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토너 카트리지(90)의 내부에 현상제로서 토너만이 수용되어 있다. 토너 카트리지(90)에 수용된 토너는 현상제 보급 장치의 일례로서의 토너 보급 장치(84)에 의하여 대응하는 현상 장치(14)에 보급된다.
토너 보급 장치(84)는, 토너 카트리지(90)가 장착되는 카트리지 장착부(85)와, 카트리지 장착부(85)에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90)로부터 현상 장치(14)에 토너를 반송하는 토너 반송 부재(86)와, 토너 반송 부재(86)의 현상 장치(14)측의 단부에 토너의 반송 방향 및 당해 토너의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설치되며, 현상 장치(14)에 대해서 토너를 보급 가능하게 접합되는 접합 부재(86a)를 구비하고 있다. 토너 반송 부재(86)는, 카트리지 장착부(85)의 하면에 배치된 제1 토너 반송부(87)와, 제1 토너 반송부(87)의 단부에 접속된 제2 토너 반송부(88)와, 제2 토너 반송부(88)의 단부에 접속된 제3 토너 반송부(89)로 구성되어 있다.
토너 카트리지(90)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분체로서의 토너를 내부에 수용하는 토너 수용실을 갖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수용 용기 본체의 일례로서의 토너 카트리지 본체(91)와, 토너 카트리지 본체(91)의 내부에 수용된 토너를 공급하는 공급부(개구부)의 일례로서의 토너 공급구(92)와, 이동하여 토너 공급구(92)를 개폐하는 이동 부재의 일례로서의 셔터 부재(150)를 구비하고 있다.
토너 카트리지 본체(91)에는, 토너 카트리지(90)의 장착 방향(도면 중 X 방향)을 따른 선단부에, 화상 형성 장치 본체(1a)측으로부터 토너 카트리지 본체(9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교반 반송 부재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부(9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토너 카트리지 본체(91)에는, 토너 카트리지(90)의 장착 방향을 따른 기단부에, 토너 카트리지(90)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1a)에 장착할 때에 유저가 파지하는 파지부(94)가 설치되어 있다.
토너 공급구(92)는, 토너 카트리지(90)의 장착 방향을 따른 선단측의 저벽(91a)에 설치된 대략 각통(角筒) 형상의 개구부로 이루어진다. 토너 공급구(92)의 하단부 외주에는, 토너 공급구(92)의 개구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는 평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플랜지부(95)를 구비하고 있다. 플랜지부(95)는, 도 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 본체(91)의 저벽(91a)과의 사이에 셔터 부재(150)의 후술하는 유지부(153, 154)가 삽입 가능한 간극(G)을 갖고 있다.
플랜지부(95)에는,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90)의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도면 중 Y 방향)을 따른 양 단부에, 셔터 부재(150)를 착탈하기 위한 가늘고 긴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 착탈부(96, 97)가 설치되어 있다. 착탈부(96, 97)는 토너 카트리지(90)의 장착 방향을 따른 선단부에 오목 홈 형상의 노치부(96a, 97a)를 갖고 있다. 노치부(96a)는, 도 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그 토너 카트리지(90)의 장착 방향을 따른 기단부측에 위치하는 측면(96a')이, 안쪽을 향함에 따라서 토너 카트리지(90)의 장착 방향을 따른 기단부를 향해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착탈부(96, 97)는, 토너 카트리지(90)의 장착 방향을 따른 전방측의 단부에, 내측을 향해서 경사진 안내면(96b, 97b)을 사이에 두고 토너 카트리지(90)의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착탈부(96, 97)보다 폭이 좁게 형성된 도입부(96c, 97c)를 갖고 있다. 또한, 토너 카트리지 본체(91)의 저벽(91a)에는 좌우의 도입부(96c, 97c)를 연결하도록 걸림판부(98)가 설치되어 있다. 이 걸림판부(98)는, 셔터 부재(150)를 닫을 때에 당해 셔터 부재(150)에 설치된 충돌부(163, 164)와 맞닿음으로써 폐색 위치에 있어서 정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플랜지부(95)의 저면에는,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셔터 부재(150)와의 사이에 극간(隙間)이 생겨서 토너가 새는 것을 방지하는 발포 우레탄 등으로 이루어지는 봉지 부재(99)가 접착 등의 수단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토너 카트리지 본체(91)의 저면에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장착 방향을 따른 선단부에 토너 카트리지(90)를 장착부(85)에 장착할 때에 안내하는 가이드판(101, 10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토너 카트리지(90)의 구동력 전달부(93)의 저면에는, 장착부(111)측의 후술하는 셔터 부재(118)를 개폐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삼각 기둥 형상의 볼록부(103)가 아래쪽을 향해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편, 셔터 부재(150)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사출 성형된 합성수지 등으로 평면 직사각형의 대략 평판 형상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셔터 부재(150)의 상면에는, 셔터 부재(150)의 개폐 방향(도면 중 X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도면 중 Y 방향)을 따른 양 단부에 각각 위쪽(토너 카트리지(90)측)을 항하여 낮게 기립한 상태로 형성된 측벽(151, 152)이 설치되어 있다. 측벽(151, 152)의 상단부에는, 셔터 부재(150)의 상면과 평행하게 서로 대향하도록 내측을 향하여 폭이 좁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 유지부(153, 154)가 설치되어 있다. 유지부(153, 154)는, 셔터 부재(150)의 개폐 방향을 따른 선단측에 설치된 상대적으로 긴 제1 유지부(153a, 154a)와, 기단측에 설치된 상대적으로 짧은 제2 유지부(153b, 154b)로 분할되어 있다. 그리고, 셔터 부재(150)에는, 당해 셔터 부재(150)의 상면과 유지부(153, 154)의 하면 사이에 오목 홈(155, 156)이 설치되어 있다. 셔터 부재(150)는 오목 홈(155, 156)을 통하여 토너 카트리지(90)의 착탈부(96, 97)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셔터 부재(150)의 양 측벽(151, 152)은,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셔터 부재(150)의 개폐 방향을 따른 선단부에, 토너 카트리지(90)의 착탈부(96, 97)에 설치된 노치부(96a, 97a)에 걸어맞춰짐(걸림)으로써, 셔터 부재(150)가 토너 공급구(92)를 폐색한 폐색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157, 158)를 구비하고 있다. 규제부(157, 158)는, 셔터 부재(150)의 외주 형상과 동일한 측면 또는 외주 형상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셔터 부재(150)의 외주 형상보다 내측이란, 셔터 부재(150)의 외주 형상과 동일한 측면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규제부(157, 158)는, 그 기단부가 양 측벽(151, 152)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선단측의 부분이 셔터 부재(150)의 개폐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탄성 변형 가능한 캔틸레버 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규제부(157, 158)의 선단에는, 셔터 부재(150)의 개폐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른 내측 및 셔터 부재(150)의 양 측벽(151, 152)으로부터 위쪽을 향해서 돌출하도록 걸어맞춤 돌기(159, 160)가 설치되어 있다. 걸어맞춤 돌기(159, 160)의 셔터 부재(150)의 개폐 방향을 따른 기단측에 위치하는 측면(159a, 160a)은, 도 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90)의 노치부(96a, 97a)와 확실히 걸어맞춤시키기 위해, 셔터 부재(150)의 개폐 방향을 따른 기단부측을 향해서 경사진 경사면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걸어맞춤 돌기(159, 160)의 셔터 부재(150)의 개폐 방향을 따른 선단측에 위치하는 측면(159b, 160b)의 상단부는, 후술하는 장착부(111)측의 해제 부재(131, 132)와 맞닿음으로써, 걸어맞춤 돌기(159, 160)를 셔터 부재(150)의 개폐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른 외측을 향해서 변위시키는 해제부의 일례로서의 경사면을 구성하고 있다. 규제부(157, 158)의 걸어맞춤 돌기(159, 160)의 상단부는, 도 1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셔터 부재(150)의 상단면보다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셔터 부재(150)의 양 측벽(151, 152) 및 유지부(153, 154)에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규제부(157, 158)의 변형을 허용하는 간극(161, 16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셔터 부재(150)의 상면에는 셔터 부재(150)의 개폐 방향을 따른 기단부에 충돌부(163, 16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셔터 부재(150)의 측벽(152)에는 셔터 부재(150)의 개폐 방향을 따른 기단부에 정지부(165)가 옆쪽으로 돌출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카트리지 장착부의 구성>
카트리지 장착부(85)는, 도 1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90)의 평면 형상에 대응한 대략 직사각형의 저벽(112)과, 저벽(112)의 폭 방향을 따른 양단에 설치된 측벽(113, 114)으로 이루어지며, 상면 및 장착 방향을 따른 전방측의 단부가 개구된 정면 오목 형상의 프레임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카트리지 장착부(85)의 양 측벽(113, 114)에는, 그 상부에 위치하는 내면에, 토너 카트리지(90)의 가이드판(101, 102)을 착탈 방향을 따라 안내하는 가이드부(115, 116)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부(115, 116)는, 측벽(113, 114)의 상부에 내측을 향해서 돌출한 복수의 측면 안내부(115a, 116a)와, 당해 측면 안내부(115a, 116a)보다 낮은 위치에 측면 안내부(115a, 116a)와 평행하게 설치된 복수의 저면 안내부(115b, 116b)로 구성되어 있다.
카트리지 장착부(85)의 저벽(112)에는, 도 1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90)의 장착 방향을 따른 선단측에, 토너 카트리지(90)로부터 공급되는 토너를 수취하는 토너 수취구(117)가 평면 직사각형 형상으로 개구되어 있다. 또한, 카트리지 장착부(85)의 저벽(112)에는, 토너 수취구(117)를 개폐하는 평면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 셔터 부재(118)가, 양 측벽(113, 114)에 설치된 오목 홈(119, 1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오목 홈(119, 120)은, 양 측벽(113, 114)의 내측면에 저벽(112)과 평행하게 설치된 폭이 좁은 측판(121, 122)과 저벽(112)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토너 수취구(117)의 외주에는, 셔터 부재(118)와의 사이에 극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발포 우레탄 등으로 이루어지는 봉지 부재(117a)가 접착 등의 수단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셔터 부재(118)는, 그 상단면에 설치된 걸어맞춤용의 오목부(123)에 토너 카트리지(90)의 저부에 설치된 평면 대략 삼각 형상의 걸어맞춤용의 볼록부(103)(도 6 참조)가 걸어맞춰짐으로써 개폐된다. 토너 카트리지(90)의 걸어맞춤용 볼록부(103)는, 토너 카트리지(90)를 카트리지 장착부(85)에 장착할 때에, 셔터 부재(118)의 걸어맞춤용 오목부(123)의 입구에 설치된 돌기(123a)를 타고 넘은 상태에서 걸어맞춤용 오목부(123)의 내부에 수용됨으로써, 당해 걸어맞춤용 오목부(123)의 측벽(123b)에 맞닿아 셔터 부재(118)를 밀어 이동시킴으로써 토너 수취구(117)를 개방한다.
또한, 토너 카트리지(90)의 걸어맞춤용 볼록부(103)는, 토너 카트리지(90)를 카트리지 장착부(85)로부터 떼어낼 때에, 셔터 부재(118)의 걸어맞춤용 오목부(123)의 입구에 설치된 돌기(123a)에 내측으로부터 맞닿음으로써, 당해 돌기(123a)를 통하여 셔터 부재(118)를 전방측으로 밀어 이동시킴으로써 토너 수취구(117)를 폐색한다. 또, 셔터 부재(118)는, 도 1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토너 수취구(117)를 폐색한 상태에서, 토너 카트리지(90)의 걸어맞춤용 볼록부(103)에 의하여 하측을 향하여 압압됨으로써, 토너 카트리지(90)의 걸어맞춤용 볼록부(103)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카트리지 장착부(85)의 측판(121, 122)에는, 도 1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셔터 부재(118)의 양측면에 돌출하도록 설치된 암부(arm portion)(124, 125)를 수용하는 오목부(126, 127)가 설치되어 있다. 셔터 부재(118)는, 도 1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토너 수취구(117)를 폐색한 상태에서, 토너 카트리지(90)의 걸어맞춤용 볼록부(103)에 의하여 하측을 향해서 압압될 때에, 당해 셔터 부재(118)의 암부(124, 125)가 오목부(126, 127)에 수용됨으로써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토너 카트리지(90)의 걸어맞춤용 볼록부(103)와 걸어맞춤용 오목부(123)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또한, 카트리지 장착부(85)의 저벽(112)에는, 토너 카트리지(90)의 장착 방향을 따른 토너 수취구(117)보다 전방측에, 토너 카트리지(90)의 셔터 부재(150)를 위쪽(토너 카트리지 본체측)으로 압압하는 압압 부재(128)가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압압 부재(128)의 기단부(128a)는 카트리지 장착부(85)의 저벽(112)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압압 부재(128)의 선단부(128b)에는 토너 카트리지(90)의 셔터 부재(150)를 위쪽으로 압압하는 경사면(128c)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압압 부재(128)의 선단부(128b)에는, 경사면(128c)의 토너 수취구(117)측에 토너 카트리지(90)를 떼어낼 때에 토너 카트리지(90)의 셔터 부재(150)와 걸어맞춰져서, 당해 셔터 부재(150)를 폐색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걸어맞춤면(128d)이 대략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 카트리지 장착부(85)의 양 측벽(113, 114) 또는 적어도 한쪽의 측벽(113)에는 셔터 부재(150)의 유지부(153, 154)의 상면이 맞닿는 맞닿음부(12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카트리지 장착부(85)의 양 측벽(113, 114)에는,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토너 수취구(117)의 전방측에, 셔터 부재(150)의 규제부(157, 158)의 걸어맞춤 돌기(159, 160)와 접촉함으로써, 당해 셔터 부재(150)의 규제부(157, 158)를 셔터 부재(150)의 개폐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른 외측을 향하여 탄성 변형시키는 해제 부재(131, 132)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해제 부재(131, 132)는, 셔터 부재(150)의 개폐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내측면(131a, 132a)과, 셔터 부재(150)의 개폐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외측을 향해서 경사진 경사면(131b, 132b)으로 이루어지며, 평면 대략 삼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해제 부재(131, 132)는, 카트리지 장착부(85)에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90)의 셔터 부재(150)의 상단면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맞닿음부(129)의 하면은 해제 부재(131, 132)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그 결과, 해제 부재(131, 132)는, 도 8의 (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셔터 부재(150)의 상단면보다 위쪽으로 돌출한 해제부의 일례로서의 측면(159b, 160b)의 상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카트리지 장착부(85)의 저벽(112)의 하면에는, 도 1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토너 보급 장치(84)의 제1 토너 반송부(87)가 설치되어 있다. 제1 토너 반송부(87)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제1 토너 반송로 형성 부재(87a)와, 당해 제1 토너 반송로 형성 부재(87a)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스크루 오거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1 교반 반송 부재(87b)를 구비한다. 제1 토너 반송로 형성 부재(87a)는, 토너 카트리지(90)의 토너 공급구(92)에 대응한 위치에 개구된 토너 보급구(87c)를 갖고 있다. 또한, 제1 토너 반송로 형성 부재(87a)는, 제1 교반 반송 부재(87b)의 반송 방향을 따른 선단부에, 제2 토너 반송부(88)에 토너를 낙하시키도록 반송하는 개구부(87d)를 갖고 있다.
<토너 카트리지의 착탈 동작>
이 실시형태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90)는, 다음과 같이 하여 카트리지 장착부(85)에 대해서 착탈된다.
토너 카트리지(90)는,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장착부(85)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토너 공급구(92)가 셔터 부재(150)에 의하여 폐색되어 있다. 셔터 부재(150)는, 도 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규제부(157, 158)의 걸어맞춤 돌기(159, 160)의 측면(159a, 160a)이, 토너 카트리지(90)의 착탈부(96, 97)의 노치부(96a, 97a)에 걸어맞춰져 있어, 토너 공급구(92)를 폐색한 폐색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토너 카트리지(90)를 카트리지 장착부(85)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도 1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90)를 카트리지 장착부(85)를 따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카트리지 장착부(85)의 소요 위치에 장착된다. 그때, 도 1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90)의 가이드판(101, 102)이 카트리지 장착부(85)의 가이드부(115, 116)에 의하여 안내된다.
이때, 토너 카트리지(90)의 셔터 부재(150)는, 그 하면이 토너 카트리지(90)의 이동에 수반해서 압압 부재(128)의 선단부(128b)와 접촉하여 위쪽으로 압압됨으로써, 도 8의 (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셔터 부재(150)의 유지부(153, 154)의 상면이 맞닿음부(129)에 접촉하여 위치가 규제된다.
그 후, 토너 카트리지(90)는, 카트리지 장착부(85)의 토너 카트리지(90)의 장착 방향을 따른 선단측으로 이동되면, 도 16의 (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셔터 부재(150)의 규제부(157, 158)의 걸어맞춤 돌기(159, 160)의 측면(159b, 160b)이 카트리지 장착부(85)의 해제 부재(131, 132)의 경사면(131b, 132b)과 접촉하며, 도 8 및 도 1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셔터 부재(150)의 규제부(157, 158)가 토너 카트리지(90)의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른 외측을 향하여 탄성 변형한다. 이에 따라, 도 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셔터 부재(150)에 있어서의 규제부(157, 158)의 걸어맞춤 돌기(159, 160)의 측면(159a, 160a)과, 토너 카트리지(90)의 착탈부(96, 97)의 노치부(96a, 97a)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그 결과, 셔터 부재(150)는 해제 부재(131, 132)의 아래쪽에 맞닿은 상태에서 정지하며 토너 카트리지(90)의 토너 공급구(92)가 개구된 개방 상태로 된다.
또한, 토너 카트리지(90)는, 그 하단면에 설치된 걸어맞춤용 볼록부(103)가 카트리지 장착부(85)에 설치된 셔터 부재(118)의 걸어맞춤용 오목부(123)와 걸어맞춰져, 셔터 부재(118)를 밀어 이동시킴으로써 카트리지 장착부(85)의 토너 수취구(117)가 개방된다.
그 후, 토너 카트리지(90)는,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교반 반송 부재에 화상 형성 장치 본체(1a)측으로부터 구동력이 전달되어 회전하여 토너 공급구(92)로부터 토너를 공급한다. 토너 카트리지(90)의 토너 공급구(92)로부터 공급된 토너는, 카트리지 장착부(85)의 토너 수취구(117)에 수취되어,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토너 보급 장치(84)의 제1 내지 제3 토너 반송부(87∼89)를 통해서, 현상 장치(14)의 단부에 접합되는 접합 부재(86a)를 통하여 현상 장치(14)의 내부로 반송된다.
한편, 토너 카트리지(90)를 카트리지 장착부(85)로부터 떼어내기 위해서는 토너 카트리지(90)를 장착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인출한다. 그러면, 카트리지 장착부(85)의 토너 수취구(117)는, 셔터 부재(118)가 토너 카트리지(90)의 걸어맞춤용 볼록부(103)에 의하여 닫히는 방향으로 밀려 이동됨으로써 셔터 부재(118)에 의하여 폐색된다.
또한, 토너 카트리지(90)의 셔터 부재(150)는 압압 부재(128)의 걸어맞춤면(128d)에 맞닿아 장착 방향을 따른 기단부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 상태에서, 셔터 부재(150)는, 토너 카트리지(90)의 착탈부(96, 97)에 끼워맞춰지고, 셔터 부재(150)에 있어서의 규제부(157, 158)의 걸어맞춤 돌기(159, 160)의 측면(159a, 160a)과, 토너 카트리지(90)의 착탈부(96, 97)의 노치부(96a, 97a)가 걸어맞춰짐으로써, 토너 카트리지(90)의 토너 공급구(92)를 폐색한다. 그리고, 토너 카트리지(90)는, 토너 공급구(92)가 셔터 부재(150)에 의해 폐색된 상태에서 카트리지 장착부(85)로부터 떼어내진다.
이렇게,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셔터 부재(150)에 있어서의 규제부(157, 158)의 걸어맞춤 돌기(159, 160)의 측면(159b, 160b)이, 당해 셔터 부재(150)의 외주 형상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규제부(157, 158)를 조작하는 것이 곤란하여, 토너 카트리지(90)의 셔터 부재(150)가 본의 아니게 개방될 우려가 저감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셔터 부재(150)에 있어서의 규제부(157, 158)의 걸어맞춤 돌기(159, 160)가, 카트리지 장착부(85)의 해제 부재(131, 132)의 경사면(131b, 132b)에 의하여, 당해 셔터 부재(150)의 외주 형상의 외측을 향해서 탄성 변형함으로써, 토너 카트리지(90)의 착탈부(96, 97)의 노치부(96a, 97a)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기 때문에, 규제부(157, 158)를 외주 형상의 내측으로 변형시키는 것에 비하여, 외부로부터 규제부(157, 158)를 조작하는 것이 곤란하여, 토너 카트리지(90)의 셔터 부재(150)가 본의 아니게 개방될 우려가 저감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셔터 부재(150)의 규제부(157, 158)가 셔터 부재(150)의 개폐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외측에, 셔터 부재(150)의 외주 형상으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변위함으로써 폐색 위치로의 규제를 해제하도록 구성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셔터 부재(150)의 규제부(157, 158)를 셔터 부재(150)의 상면에 교차하는 방향(셔터 부재(150)의 두께 방향)으로 변위시킴으로써 폐색 위치로의 규제를 해제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규제부(157, 158)를 셔터 부재(150)에 설치한 경우를 예시했지만 토너 카트리지(90)에 탄성 변형 가능한 규제부를 설치함과 함께, 이 규제부와 걸어맞춰지는 피걸림부(노치부)를 셔터 부재(150)에 설치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Claims (7)
- 분체(粉體)를 내부에 수용함과 함께, 분체를 공급하는 공급부를 갖는 수용 용기 본체와,
상기 수용 용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공급부를 폐색한 폐색 위치와 상기 공급부로부터 분체를 공급 가능한 공급 위치를 이동하는 이동 부재와,
상기 이동 부재의 외주 형상보다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 부재의 상기 공급 위치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
를 구비하는 분체 수용 용기. - 분체를 내부에 수용함과 함께, 분체를 공급하는 공급부를 갖는 수용 용기 본체와,
상기 수용 용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공급부를 폐색한 폐색 위치와 상기 공급부로부터 분체를 공급 가능한 공급 위치를 이동하는 이동 부재와,
상기 이동 부재의 외주 형상보다 외측을 향하여 변형함으로써 상기 이동 부재의 공급 위치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
를 구비하는 분체 수용 용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이동 부재에 설치됨과 함께, 상기 수용 용기 본체의 상기 공급부의 외측에 설치된 걸림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공급부를 폐색한 폐색 위치로부터 공급 위치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분체 수용 용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 수용 용기가 장착되는 장착부는, 상기 규제부에 의한 규제를 해제하는 해제부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부에 상기 분체 수용 용기가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해제부는, 상기 규제부를 상기 걸림부와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는 위치로 변위시키는
분체 수용 용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부는, 상기 수용 용기 본체와 상기 이동 부재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규제부에 의한 규제를 해제하는
분체 수용 용기. - 분체인 현상제를 내부에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 용기와,
상기 현상제 수용 용기에 수용되는 현상제를 현상 장치를 향해서 반송하는 현상제 반송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현상제 수용 용기로서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분체 수용 용기를 이용한 현상제 보급 장치. - 표면에 정전 잠상을 유지하는 상(像) 유지체와,
상기 상 유지체의 표면에 유지된 정전 잠상을 현상제에 의해 현상하는 현상 수단과,
상기 현상 수단에 현상제를 보급하는 현상제 보급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현상제 보급 수단으로서 제6항에 기재된 현상제 보급 장치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5-067404 | 2015-03-27 | ||
JP2015067404A JP6550845B2 (ja) | 2015-03-27 | 2015-03-27 | 粉体収容容器、現像剤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15658A true KR20160115658A (ko) | 2016-10-06 |
KR101962199B1 KR101962199B1 (ko) | 2019-03-26 |
Family
ID=56881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35316A KR101962199B1 (ko) | 2015-03-27 | 2015-09-24 | 분체 수용 용기, 현상제 보급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9442422B1 (ko) |
JP (1) | JP6550845B2 (ko) |
KR (1) | KR101962199B1 (ko) |
CN (2) | CN110837216A (ko) |
AU (2) | AU201523070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639156B2 (ja) * | 2015-08-31 | 2020-02-05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剤補給容器 |
JP6407322B2 (ja) * | 2017-02-10 | 2018-10-17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CN107135326B (zh) * | 2017-04-11 | 2018-04-17 | 黄河科技学院 | 一种图像成型转换设备 |
JP2020071333A (ja) * | 2018-10-31 | 2020-05-07 | 株式会社沖データ | 画像形成装置 |
JP7327040B2 (ja) * | 2019-09-25 | 2023-08-16 |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 粉体容器の装着装置と画像形成装置と粉体容器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445022B2 (ja) * | 2008-01-28 | 2010-04-07 | 京セラミタ株式会社 | トナー供給装置およびシャッタ構造 |
JP2010170100A (ja) * | 2008-12-26 | 2010-08-05 | Kyocera Mita Corp | トナー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JP2011076050A (ja) * | 2008-11-27 | 2011-04-14 | Ricoh Co Ltd | 粉体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US20130078004A1 (en) * | 2011-09-22 | 2013-03-28 | Fuji Xerox Co, Ltd. | Developer container and image-forming apparatus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970291A (en) * | 1998-10-14 | 1999-10-19 | Xerox Corporation | Self unlocking feature for toner container shutter |
JP3854893B2 (ja) * | 2002-04-25 | 2006-12-06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剤容器 |
JP4109177B2 (ja) * | 2003-09-30 | 2008-07-02 | 京セラミタ株式会社 | トナー供給装置およびシャッタ構造 |
JP4579655B2 (ja) * | 2004-11-12 | 2010-11-10 | キヤノン株式会社 | トナー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
JP4566147B2 (ja) * | 2006-03-06 | 2010-10-20 | シャープ株式会社 | トナー容器及びトナー充填方法 |
JP5259088B2 (ja) * | 2007-01-15 | 2013-08-07 |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トナーコンテナ |
JP5408402B2 (ja) * | 2007-04-27 | 2014-02-05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TW201027285A (en) * | 2009-01-10 | 2010-07-16 | Gen Plastic Ind Co Ltd | Switching device of toner cartridge |
JP4396867B1 (ja) * | 2009-05-15 | 2010-01-13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像形成剤収容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JP4958325B2 (ja) | 2009-09-04 | 2012-06-20 | 株式会社リコー |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
JP5556617B2 (ja) * | 2010-11-22 | 2014-07-23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粉体収容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粉体処理装置 |
JP5786375B2 (ja) * | 2011-03-04 | 2015-09-30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粉体収容器および粉体処理装置 |
JP6083954B2 (ja) * | 2011-06-06 | 2017-02-22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
JP5910015B2 (ja) * | 2011-11-16 | 2016-04-27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現像剤の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
JP5775836B2 (ja) | 2012-02-24 | 2015-09-09 |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5719795B2 (ja) * | 2012-03-29 | 2015-05-20 |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
2015
- 2015-03-27 JP JP2015067404A patent/JP6550845B2/ja active Active
- 2015-09-01 US US14/842,054 patent/US9442422B1/en active Active
- 2015-09-21 AU AU2015230703A patent/AU2015230703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5-09-24 KR KR1020150135316A patent/KR10196219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09-29 CN CN201911017207.9A patent/CN110837216A/zh active Pending
- 2015-09-29 CN CN201510633160.4A patent/CN106019891B/zh active Active
-
2017
- 2017-09-28 AU AU2017235975A patent/AU2017235975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445022B2 (ja) * | 2008-01-28 | 2010-04-07 | 京セラミタ株式会社 | トナー供給装置およびシャッタ構造 |
JP2011076050A (ja) * | 2008-11-27 | 2011-04-14 | Ricoh Co Ltd | 粉体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JP2010170100A (ja) * | 2008-12-26 | 2010-08-05 | Kyocera Mita Corp | トナー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US20130078004A1 (en) * | 2011-09-22 | 2013-03-28 | Fuji Xerox Co, Ltd. | Developer container and image-forming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6019891B (zh) | 2019-11-22 |
KR101962199B1 (ko) | 2019-03-26 |
US9442422B1 (en) | 2016-09-13 |
JP6550845B2 (ja) | 2019-07-31 |
AU2017235975B2 (en) | 2019-06-13 |
AU2017235975A1 (en) | 2017-10-19 |
CN106019891A (zh) | 2016-10-12 |
AU2015230703A1 (en) | 2016-10-13 |
US20160282755A1 (en) | 2016-09-29 |
CN110837216A (zh) | 2020-02-25 |
JP2016186610A (ja) | 2016-10-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62199B1 (ko) | 분체 수용 용기, 현상제 보급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
US8095048B2 (en) | Toner cartridge mounting structure, toner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US9471031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separate support members for removable cartridges | |
JP5498823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09098409A (ja) | カラー画像形成装置 | |
JP2012230203A (ja) |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JP5288763B2 (ja) | 中間転写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カラー画像形成装置 | |
JP4968352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5476695B2 (ja) |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
JP4290157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7229668B2 (ja) | 画像形成装置 | |
US20190196392A1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US9031462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opening and closing door | |
US8180248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JP2014091606A (ja) | 画像形成装置 | |
US11947309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n adhesion-suppressing component to suppress adhesion of floating matter | |
JP2014214870A (ja) | カップリング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JP7317287B2 (ja) | 現像剤収容器、画像形成装置 | |
US10942467B1 (en) | Charging device, image carry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EP4068002A1 (en) | Manual sheet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US20220091554A1 (en) | Driving-force-transmitting mechanis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JP5463783B2 (ja) |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 |
JP2017223790A (ja) |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
JP2013214107A (ja) |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
JP2018156018A (ja) | 後付装置の装着構造及び画像形成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