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3797A - 현미를 원료로 하는 음료용 분말조성물 - Google Patents

현미를 원료로 하는 음료용 분말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3797A
KR20160113797A KR1020150039893A KR20150039893A KR20160113797A KR 20160113797 A KR20160113797 A KR 20160113797A KR 1020150039893 A KR1020150039893 A KR 1020150039893A KR 20150039893 A KR20150039893 A KR 20150039893A KR 20160113797 A KR20160113797 A KR 20160113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 tea
powder
brown rice
tea leaves
amyl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9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욱
Original Assignee
김동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욱 filed Critical 김동욱
Priority to KR1020150039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3797A/ko
Publication of KR20160113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379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5Concentrates of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39Dry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차분말을 함유하는 음료용 분말조성물 제조방법에 있어서, 자연상태의 녹차잎을 수거하여 건조하고 상기 건조된 녹차잎을 에어클러셔로 분쇄하는 단계와, 상기 녹차잎분말 중에서 200 mesh이상의 분말만을 선별하여 현미분말과 4:6 ~ 4.5:5.5 의 중량비율로 혼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알파 아밀라제, 베타 아밀라제, 글루코아밀라제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아밀라제를 더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차잎과 현미를 원료로 하는 음료용 분말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제조방법을 통해 녹차와 현미를 분말화하여 음료용으로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녹차와 현미의 식미와 효능을 충분히 얻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인체에 유용한 녹차성분들을 직접 섭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현미를 원료로 하는 음료용 분말조성물{POWDER COMPOSITION USING UNPOLISHED RICE}
본 발명은 녹차잎과 현미를 원료로 하는 음료용 분말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녹차잎과 현미를 분말화하여 이를 적당량 혼합하되 녹차의 맛과 향을 변하지 않게 하면서도 고소한 맛과 영양가가 높은 녹차잎과 현미를 원료로 하는 영양식 또는 건강음료용 분말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녹차잎과 현미를 원료로 하는 음료용 분말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녹차잎과 현미를 분말화하여 이를 적당량 혼합하되 녹차의 맛과 향을 변하지 않게 하면서도 고소한 맛과 영양가가 높은 녹차잎과 현미를 원료로 하는 영양식 또는 건강음료용 분말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녹차잎은 차나무과(茶-科)에 속하는 상록 소교목인 차(茶)나무의 잎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차나무의 어린잎을 따서 찌거나 열을 가해 효소의 작용을 억제시키고 말려서 녹차(綠茶) 또는 엽차로 복용하고 있다.
상기 녹차잎에는 카페인, 탄닌, 카테킨(catechin), 비타민, 아미노산, 질소화합물, 엽록소, 탄수화물, 유기산, 무기염류 등이 들어있어 전세계에 걸쳐 기호품으로 널리 복용되며, 또한 녹차에 함유된 카페인은 강심작용, 근육수축작용, 피로 회복, 이뇨작용, 각성작용을 하며, 타닌에 의해 중금속이나 알칼로이드와 같은 독극물 및 단백질의 침전작용을 하므로 해독효과가 있고, 비타민에 의해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며 심장, 혈관, 위장 등의 정상적 기능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차나무에 함유된 불소는 혈관 벽에서 콜레스테롤을 취하여 간에 회수함으로써 인체에 좋은 작용을 하는 HDL-콜레스테롤은 상승시키는데 비해 몸에 해로운 작용을 하는 LDL-콜레스테롤은 감소시키는 선택적 감소작용을 나타내는 작용을 하기도 한다.
이처럼 다양한 효능을 갖는 녹차잎은 분말화하여 식품첨가제 등의 용도로 사용하거나, 따뜻한 물에 우려 음용하고 있긴 하나, 녹차잎이 고가의 재료이므로 여러번 우려서 마실 수 있는 잎녹차 및 티백과는 달리 직접 녹차분말을 음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처럼 우려먹는 잎녹차와 티백의 경우는 녹차에 함유된 성분들을 물로 우려내는 것에 불과하므로 인체에 유용한 카페인, 탄닌, 카테킨, 비타민, 아미노산, 질소화합물, 엽록소, 탄수화물, 유기산, 무기염류 등과 같은 성분들의 직접적인 섭취는 곤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녹차의 직접적인 섭취를 가능하게 하도록 하기 위하여 녹차분말을 음용화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시도하였으나, 녹차에 함유된 탄닌과 카테킨성분은 오히려 단백질, 철분 등과의 결합 및 지방분해, 강한 항산화효과로 인해 오히려 음용자에게 영양 결핍의 우려를 줄 수 있는 단점을 갖는 것이다.
또한 녹차분말은 소량밖에 첨가할 수 없어 걸죽한 느낌을 줄 수 없고, 공복 감도 달래줄 수 없어 허기를 달래거나 영양식을 대신하기 위한음료의 조성물로는 불충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상기 녹차분말과 함께 첨가되어 충분한 영양분을 보충하여 녹차에 함유된 성분으로 인한 영양결핍의 우려를 해소하고, 걸죽한 음용의 느낌과 약간의 허기를 달랠 수 있는 마땅한 첨가재료를 찾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하였으나 녹차 고유의 향과 맛, 색상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재료를 찾기란 쉬운 일이 아니었다. 물론 경제적인 면도 고려하였다.
이처럼 본 발명자는 다양한 재료를 찾던중 현미를 녹차와 혼합하여 음용할 경우 식감이 떨어지지 않고, 오히려 고소한 맛과 영양분을 더 보강해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게 되었다.
현미는 벼를 건조, 탈곡한 후 왕겨만을 벗긴 쌀을 의미하며, 바깥쪽부터 과피, 종피, 호분층 등의 쌀겨층과 쌀알의 기부의 작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배(胚)와 배젖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각 부분의 중량비는 쌀겨층 5∼6%, 배 2∼3%, 배젖 92%의 비율로 되어있다. 또한 현미의 표준적 화학조성은 수분 15.5%, 단백질 7.4%, 지질(脂質) 3.0%, 당질 71.8%, 섬유 1.0%, 회분 1.3%, 비타민 B1은 100g 중 0.54mg으로 당질(녹말)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백미에 비하여 지방, 단백질, 비타민B1·B2가 풍부하므로 녹차로 인한 영양분의 손실을 보충해주고, 영양식 또는 건강음료용으로 음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서 특허문헌 1에서는 찐 현미분말을 주재로하고, 무기질, 비타민을 보충하여서 간식 등으로 포만감 있고 맛있게 먹을 수 있는 기능성 건강식품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과는 차이가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2012-0008572호 (2012.02.01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현미의 불용성 성분을 효소 처리함으로써 분해해, 수용성화한 현미를 원료로 하는 녹차잎과 현미를 원료로 하는 음료용 분말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녹차분말이 충분히 미분화(微粉化) 되지 않아 입에 남거나 목을 깔깔하게 하는 단점을 해결하여 음용을 용이하게 하는 녹차잎과 현미를 원료로 하는 음료용 분말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녹차분말을 함유하는 음료용 분말조성물 제조방법에 있어서, 자연상태의 녹차잎을 수거하여 건조하고 상기 건조된 녹차잎을 에어클러셔로 분쇄하는 단계와, 상기 녹차잎분말 중에서 200 mesh이상의 분말만을 선별하여 현미분말과 4:6 ~ 4.5:5.5 의 중량비율로 혼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알파 아밀라제, 베타 아밀라제, 글루코아밀라제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아밀라제를 더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차잎과 현미를 원료로 하는 음료용 분말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녹차분말을 함유하는 음료용 분말조성물에 있어서, 녹차잎을 분쇄하여 얻은 녹차잎분말 30~50 중량%와, 현미를 분쇄하여 얻은 현미분말을 50~70 중량%가 함유된 녹차잎과 현미를 원료로 하고, 상기 아밀하제는 현미 대비 10%이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효과로는 녹차와 현미를 분말화하여 음료용으로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녹차와 현미의 식미와 효능을 충분히 얻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인체에 유용한 녹차성분들을 직접 섭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녹차분말을 에어크러셔에 의해 완전 미분화시켜 입에 녹차분말가루가 남거나 목을 깔깔하게 하는 단점을 해결하여 음용을 용이하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녹차잎과 현미를 원료로 하는 음료용 분말조성물 제조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녹차분말을 함유하는 음료용 분말조성물 제조방법에 있어서, 자연상태의 녹차잎을 수거하여 건조하고 상기 건조된 녹차잎을 에어클러셔로 분쇄하는 단계와, 상기 녹차잎분말 중에서 200 mesh이상의 분말만을 선별하여 현미분말과 4:6 ~ 4.5:5.5 의 중량비율로 혼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알파 아밀라제, 베타 아밀라제, 글루코아밀라제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아밀라제를 더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차잎과 현미를 원료로 하는 음료용 분말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녹차분말을 함유하는 음료용 분말조성물에 있어서, 녹차잎을 분쇄하여 얻은 녹차잎분말 30~50 중량%와, 현미를 분쇄하여 얻은 현미분말을 50~70 중량%가 함유된 녹차잎과 현미를 원료로 하고, 상기 아밀하제는 현미 대비 10%이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밀라제로서 알파 아밀라제,베타 아밀라제, 글루코아밀라제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아밀라제를 사용할 수 있다.본 발명 조성물 중의 프로테아제, 셀룰라제, 펙티나아제 및 아밀라제의 배합량은, 현미1중량부에 대해 0.0001 ~ 0.1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005 ~ 0.01중량부가 적당하다.배합량이 현미1중량부에 대해 0.0001중량부 미만의 경우, 현미를 효율적으로 분해하는 것이 곤란해져, 0.1중량부를 넘으면 풍미가 나빠진다.
본 발명의 현미를 원료로 하는 음료에는, 그래뉴당, 포도당, 과당, 염화 나트륨, 글루타민산 나트륨, 구연산, 구연산 나트륨, 아스코르브산, 과즙등의 정미물이나 플레이버-물질등을 적의첨가 할 수 있다.또, 본 발명의 음료의 안정제로서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인지질이나 퀼라자 사포닌등의 사포닌류, 아라비아 껌, 잔탄검, 트라간트갈, 구아검, 로커스트빈검등의 껌질을 단독 혹은 2종 이상 혼합 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은 자연상태의 녹차잎을 수거하여 이를 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녹차잎을 에어클러셔(air crusher)에 넣고 분쇄하는 단계와, 상기 녹차잎분말 중에서 200mesh이상만 선별하여 현미분말과 4:6 ~ 4.5:5.5 의 중량비율로 혼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때 녹차잎의 분쇄를 위해서 에어클러셔를 사용하여야 하는 이유는 다른 분쇄장치의 경우 고온이 발생하여 녹차 고유의 향과 색이 변질되고, 현재 다른 분쇄장치로는 하루 20kg이하의 분쇄만 가능할 뿐이어서 대량생산이 곤란한 것이다.
상기 에어클러셔는 녹차의 향과 색상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시간당 50kg이상의 녹차분말 생산이 가능한 것이다. 이때 녹차잎분말과 현미분말의 혼합비율을 4:6~4.5:5.5 의 중량비로 조절하여야 하는 이유는 녹차잎분말의 함량이 전체함량 중 30중량%이하인 경우에는 녹차의 양이 너무 적어 녹차 고유의 맛과 향이 느껴지지 않게되며, 인체에 유용한 성분들의 섭취량도 줄어들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제조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이하의 특허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2)

  1. 녹차분말을 함유하는 음료용 분말조성물 제조방법에 있어서, 자연상태의 녹차잎을 수거하여 건조하고 상기 건조된 녹차잎을 에어클러셔로 분쇄하는 단계와, 상기 녹차잎분말 중에서 200mesh이상의 분말만을 선별하여 현미분말과 4:6 ~ 4.5:5.5 의 중량비율로 혼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알파 아밀라제, 베타 아밀라제, 글루코아밀라제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아밀라제를 더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차잎과 현미를 원료로 하는 음료용 분말조성물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녹차분말을 함유하는 음료용 분말조성물에 있어서, 녹차잎을 분쇄하여 얻은 녹차잎분말 30~50 중량%와, 현미를 분쇄하여 얻은 현미분말을 50~70 중량%가 함유된 녹차잎과 현미를 원료로 하고, 상기 아밀하제는 현미 대비 10%이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분말조성물 제조방법.
KR1020150039893A 2015-03-23 2015-03-23 현미를 원료로 하는 음료용 분말조성물 KR201601137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9893A KR20160113797A (ko) 2015-03-23 2015-03-23 현미를 원료로 하는 음료용 분말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9893A KR20160113797A (ko) 2015-03-23 2015-03-23 현미를 원료로 하는 음료용 분말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3797A true KR20160113797A (ko) 2016-10-04

Family

ID=57165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9893A KR20160113797A (ko) 2015-03-23 2015-03-23 현미를 원료로 하는 음료용 분말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379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08572A1 (en) 2010-07-12 2012-01-12 Michelle Gong Methods and apparatus for uplink mu mimo schedul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08572A1 (en) 2010-07-12 2012-01-12 Michelle Gong Methods and apparatus for uplink mu mimo schedul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07744B (zh) 一种山药枸杞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CN105124375A (zh) 一种婴幼儿辅食速调米粉及其加工方法
CN107853525A (zh) 一种以魔芋膳食纤维为主的天然植物制成的多营养膳食固体饮料
CN103815394A (zh) 高硒小麦胚芽营养粉的制备方法
CN102754788B (zh) 芝麻味薯片及其制备方法
CN101595973A (zh) 一种虾酱的生产工艺
CN106070813A (zh) 绿茶粉营养冲剂
KR100934997B1 (ko) 양파 농축액을 함유하는 음료 및 그 제조방법
CN102488276B (zh) 一种麦麸饮料及其制备方法
CN102293401A (zh) 含有乌骨鸡、蛹虫草的风味辣酱
CN104585734A (zh) 一种金针菇浆液酶解物及其制备方法
CN104305094A (zh) 一种利用高硒香菇生产富硒食用菌调味品的方法
CN101366422A (zh) 一种虫草袋泡茶及其生产方法
KR20160113797A (ko) 현미를 원료로 하는 음료용 분말조성물
CN102763838A (zh) 一种红辣椒酱
KR20180010432A (ko) 곡물 꿀 칼슘 먹물 해초 생선을 살균배합으로 응고 없는 조성물 및 제조방법
CN105558065A (zh) 一种秋葵酸豆奶粉及其制作方法
CN105053205A (zh) 一种具有抗癌功能的松茸牛奶
CN105054026A (zh) 营养复合型夹心糕点馅料
CN103931853A (zh) 低糖保健型罗汉果速溶咖啡
KR20130123131A (ko) 닭고기를 함유하는 음료용 조성물
Kakkar et al. Immunity boosting health drink mixes: A patent based review
CN106561828A (zh) 一种低糖营养奶粉
CN117837706A (zh) 一种固体饮料
CN105124533A (zh) 一种松茸黄豆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