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1489A - 패키지 수납형 엔진 발전기 - Google Patents

패키지 수납형 엔진 발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1489A
KR20160111489A KR1020167022846A KR20167022846A KR20160111489A KR 20160111489 A KR20160111489 A KR 20160111489A KR 1020167022846 A KR1020167022846 A KR 1020167022846A KR 20167022846 A KR20167022846 A KR 20167022846A KR 20160111489 A KR20160111489 A KR 20160111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e
engine
radiator
ventilat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2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9910B1 (ko
Inventor
루리코 테라다
타츠야 카와노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11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1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3/00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 F02B63/04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for electric generators
    • F02B63/044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for electric generators the engine-generator unit being placed on a frame or in an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3/00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 F02B63/04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for electric 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3/00Liquid cooling
    • F01P3/20Cooling circuits not specific to a single part of engine or mach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5/00Pumping cooling-air or liquid coolants
    • F01P5/02Pumping cooling-air; Arrangements of cooling-air pumps, e.g. fans or b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B77/11Thermal or acoustic ins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8Structural association of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e.g. with turbines
    • H02K7/1807Rotary generators
    • H02K7/1815Rotary generator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reciprocating piston eng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Motor Or Generator Cooling System (AREA)

Abstract

패키지 수납형 엔진 발전기에서는 패키지(2)를 상하로 구획하고, 하방 구획에 엔진(11) 및 발전기(12)를 설치하고, 상방 구획에 라디에이터(42) 및 라디에이터 팬(43)을 설치한다. 패키지(2)를 상하로 구획하는 상하 구획 부재(32)의 라디에이터 팬(43)과의 대면 부분은, 패키지 중앙부에서 바깥 가장자리변부에 걸쳐서 하강 경사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패키지 수납형 엔진 발전기{PACKAGE-STORED ENGINE GENERATOR}
본 발명은 패키지 수납형 엔진 발전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는 패키지 수납형 엔진 발전기의 물고임 방지 구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패키지 수납형 엔진 발전기로서 엔진의 흡배기 부품을 패키지의 상부에 설치한 것이 이미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엔진 발전기는, 엔진 및 압축기 등의 냉매 기기가 배치되는 기기실과, 실외 열교환기 및 팬이 배치되는 열교환실과, 하부의 상기 기기실과 상부의 상기 열교환실을 칸막이하는 상하 칸막이벽 겸용 드레인 팬을 갖는다. 그리고, 상하 칸막이벽 겸용 드레인 팬에 상기 기기실과 상기 열교환실을 연통하는 관통구를 형성하고, 이 관통구의 주위를 외부 덕트로 덮고 있다.
일본국 특허공보 「특허 제5184900호」
그러나, 특허문헌 1은 상하 구획 부재 자체의 물고임을 방지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지 않다. 즉, 열교환실에는 빗물이 침입하기 때문에 열교환실로부터 침입한 빗물이, 엔진 등의 기계가 배치된 기계실에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패키지에 침입한 빗물을 배수 처리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하 칸막이벽 겸용 드레인 팬은 판 형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중앙부가 하방으로 휘기 쉽고, 그 하방으로 휜 중앙부에 빗물이 저류되는 문제도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하로 구획한 패키지 수납형 엔진 발전기에 있어서, 상하 구획 부재 자체의 물고임을 방지하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패키지를 상하로 구획하고, 하방 구획에 엔진 및 발전기를 설치하고, 상방 구획에 라디에이터 및 라디에이터 팬을 설치하는 패키지 수납형 엔진 발전기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를 상하로 구획하는 상하 구획 부재의 상기 라디에이터 팬과의 대면 부분을, 패키지 중앙부에서 바깥 가장자리변부에 걸쳐서 하강 경사지는 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하 구획 부재의 상기 라디에이터 팬과의 대면 부분을, 패키지 중앙부에서 바깥 가장자리변부에 걸쳐서 하강 경사지는 형상으로 했으므로, 상하 구획 부재의 중앙부가 하방으로 휠 일이 없고, 라디에이터 팬 및 라디에이터를 통과한 빗물은 패키지 중앙부에서 바깥 가장자리변부에 걸쳐서 하강 경사지는 면을 따라 흘러, 빗물이 상하 구획 부재의 중앙부에 체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패키지를 상하로 구획하는 상하 구획 부재의 상기 라디에이터 팬과의 대면 부분을, 패키지 중앙부에서 바깥 가장자리변부에 걸쳐서 하강 경사지는 형상으로 했으므로, 휨에 의해서 중앙부에 물고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코제너레이션 장치의 정면도이며, (a)는 그 내부 구조도이며, (b)는 그 외관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코제너레이션 장치의 배면도이며, (a)는 그 내부 구조도이며, (b)는 그 외관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코제너레이션 장치의 우측면도이며, (a)는 그 내부 구조도이며, (b)는 그 외관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코제너레이션 장치의 좌측면도이며, (a)는 그 내부 구조도이며, (b)는 그 외관도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코제너레이션 장치의 평면도이며, (a)는 그 내부 구조도이며, (b)는 그 외관도이다.
도 6은 상부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선 화살표로 본 단면도이다.
도 8은 상부 구조체의 요부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상부 구조체의 상하 구획 부재 및 환기 후드의 분해 사이도이다.
도 10은 상하 구획 부재 및 환기 후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상하 구획 부재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서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코제너레이션 장치(1)의 정면도, 배면도, 우측면도, 좌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또한, 도 1(a)부터 도 5(a)는 그 내부 구조도를 나타내고 있고, 도 1(b)부터 도 5(b)는 그 외관도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코제너레이션 장치(1)에 채용했을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코제너레이션 장치(1)란 전력 소비 기기(부하)로의 송전계통에, 외부 상용 전원의 상용 전력계통과 발전기(12)의 발전 전력계통을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그 부하의 수요전력을 조달하고, 또한 발전에 따라 생기는 폐열을 회수하고 회수한 폐열을 이용하는 시스템이다. 즉, 코제너레이션 장치(1)는 엔진(11)에 의해 구동된 발전기(12)로부터의 발전 전력을 출력하는 발전 기능에 추가해서, 엔진 냉각수 회로(13)에 의해 순환되어서 엔진(11)의 폐열과의 열교환에 의해 가열된 냉각수의 폐열을 엔진 폐열 회수기(23)에 의해서 회수하는 기능(이 예에서는 냉각수의 폐열을 회수해서 급탕에 이용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도 1에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코제너레이션 장치(1)는 대략 직육면체로 형성된 하우징으로서의 패키지(2)를 구비하고 있다. 패키지(2)는 패키지(2)의 상하 방향(Z)의 중앙보다 상측 근처에 있어서 상하로 구획하는 상하 구획 부재(32)를 경계로 해서, 상하로 2분할 가능하게 되어 있다. 패키지(2)의 하측(하방 구획)에는 엔진실(3) 및 기기 수납실(4)이 설치되고, 상측(상방 구획)에는 흡기실(5) 및 라디에이터·배기실(6)이 설치되어 있다. 엔진실(3) 및 기기 수납실(4)은 격벽(7)에 의해 좌우로 구획되어 있다.
(엔진실)
엔진실(3)은 패키지(2)의 길이 방향(X)에 있어서의 일방측(본 실시예에서는 도 1(a)의 좌측, 도 1(b)의 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엔진실(3)에 있어서 엔진(11)을 중심으로 하여 길이 방향(X)에 있어서의 일방측에는, 엔진(11)의 회전 구동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12)가 배치되어 있다.
엔진(11)은, 예를 들면 가스 엔진이 채용되고, 연료가스와 공기가 혼합됨으로써 기동된다. 그리고, 엔진(11)이 회전 구동함으로써 엔진(11)에 이어 설치되는 발전기(12)가 연동된다. 엔진(11)의 상측 주변에는, 도 1(a), 도 2(a),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각수를 순환시켜서 엔진을 냉각하는 엔진 냉각수 회로(13)와, 엔진(11)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와 엔진(11)으로부터의 냉각수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는 배기가스 열교환기(14)가 배치되어 있다.
(기기 수납실)
기기 수납실(4)은 패키지(2)의 길이 방향(X)에 있어서의 타방측(도 1(a)에 있어서의 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기기 수납실(4)에 있어서 패키지(2)의 폭 방향(전후 방향)(Y)에 있어서의 일방측(이 예에서는 정면측)에는, 엔진 구동계 기기 및 엔진 폐열 회수계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15) 등을 포함하는 컨트롤러 박스(17)나 전장기기계의 조작부(18)가 배치되어 있다(도 1(a) 참조). 또한, 패키지(2)의 우측면(2c)의 컨트롤러 박스(17)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컨트롤러 박스(17)를 향해서 외기를 받아들이는 컨트롤러 박스 환기구(17a)가 형성되고(도 3(b) 참조), 패키지(2)의 정면(2a)의 조작부(18)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조작부(18)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 문(18a)이 설치되어 있다(도 1(b) 참조).
패키지(2)의 길이 방향(X)에 있어서의 타방측에는 인버터(19)가 배치되어 있다(도 3(a) 참조). 또한, 패키지(2)의 우측면(2c)의 인버터(19)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인버터(19)를 향해서 외기를 받아들이는 인버터 환기구(19a)가 형성되어 있다(도 3(b) 참조).
패키지(2)의 폭 방향(Y)에 있어서의 타방측에는 전장기기계를 배선하는 터미널 유닛(16)(단자대)이 배치되고, 패키지(2)의 길이 방향(X)에 있어서의 타방측의 하부에는 외기를 엔진실(3) 내에 흡인하는 환기 팬(21)이 배치되어 있다(도 2(a) 참조). 또한, 패키지(2)의 우측면(2c)에는 엔진실(3) 내에 외기를 받아들이는 엔진실 환기구(21a)가 형성되어 있다(도 3(b) 참조).
패키지(2)의 길이 방향(X)에 있어서의 중앙부이고 폭 방향(Y)에 있어서의 일방측에는, 서브 오일 탱크(25)와, 리저브 오일 탱크(26)가 배치되어 있다(도 1(a) 참조). 또한, 패키지(2)의 길이 방향(X)에 있어서의 중앙부이고 폭 방향(Y)에 있어서의 타방측에는, 배기가스 열교환기(14)로부터 유출되는 냉각수의 폐열을 회수하는 엔진 폐열 회수기(23)가 배치되어 있다(도 2(a) 참조).
이어서, 흡기실(5) 및 라디에이터·배기실(6)을 갖는 상부 구조체(3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상부 구조체(30)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A-A선 화살표로 본 단면도, 도 8은 상부 구조체(30)의 요부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9는 상부 구조체의 상하 구획 부재 및 환기 후드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상하 구획 부재 및 환기 후드의 단면도, 도 11은 상하 구획 부재의 단면도이다.
상부 구조체(30)는 직육면체 형상의 프레임체(31)와, 프레임체(31)가 부착되는 패키지 구성판을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체(31)는 바닥판을 구성하는 판금으로 이루어지는 상하 구획 부재(32)와, 상하 구획 부재(32)의 길이 방향(X)의 양측에 세워서 설치된 문형의 지주 부재(35, 35)와, 좌우의 지주 부재(35, 35) 사이에 가설된 전후 수평 부재(33, 34)와, 전후 수평 부재(33, 34)의 중간에 설치된 중간 지주(36)를 구비하고 있다. 흡기실(5)과 라디에이터·배기실(6)은, 예를 들면 금속제 판으로 이루어지는 격벽(37)으로 구획 형성되어 있다.
(흡기실)
흡기실(5)은 상부 구조체(30)의 길이 방향(X)의 일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흡기실(5)에 있어서, 상부에는 외부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에어클리너(40)가 배치되고, 하부에는 엔진(11)의 소음을 저감하는 흡기 사이렌서(41)가 배치되어 있다. 패키지(2)의 좌측면(2d)의 에어클리너(40)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에어클리너(40)를 향해서 외기를 받아들이는 엔진 흡기구(40a)가 형성되어 있다(도 4(b) 참조).
(라디에이터·배기실)
라디에이터·배기실(6)은 흡기실(5)보다 상부 구조체(30)의 길이 방향(X)의 타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라디에이터·배기실(6)은 엔진실(3)의 상부에 위치하는 배기실(6A)과, 기기 수납실(4)의 상부에 위치하는 라디에이터실(6B)의 각각의 공간이 일체로 된 것이며, 배기실(6A)과 라디에이터실(6B)의 사이에는 구획하는 격벽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 흡기실(5), 배기실(6A) 및 라디에이터실(6B)은 상부 구조체(30)의 길이 방향(X)의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을 향해서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라디에이터·배기실(6)에 있어서 상하 방향(Z)에 있어서의 중앙부에는, 배기가스 열교환기(14)로부터 유출되는 냉각수의 폐열을 방열하는 라디에이터(42)가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라디에이터(42)의 네모퉁이는 지주 부재(35)와 중간 지주(36)에 가설되어 있다. 패키지(2)의 정면(2a), 배면(2b), 우측면(2c)의 라디에이터(42)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라디에이터(42)를 향해서 외기를 받아들이는 라디에이터 환기구(42a, 42b, 42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도 1(b), 도 2(b), 도 3(b) 참조).
또한, 라디에이터(42)의 상방에는 제어장치(15)에 의해 구동 제어됨으로써 라디에이터·배기실(6)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해서 라디에이터(42)를 방열하는 라디에이터 팬(43)이 배치되어 있다. 라디에이터 팬(43)은 U자 형상의 프레임 부재(44)에 고정된 상태에서 전후 수평 부재(33, 34)에 부착되어 있다. 패키지(2)의 상면(2e)의 라디에이터 팬(43)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환기 출구(43a)가 형성되어 있다(도 5(b) 참조).
또한, 패키지(2)의 폭 방향(Y)에 있어서의 일방측에는 엔진 냉각수 회로(13)에 냉각수를 보급하는 리저브 냉각수 탱크(47)가 배치되어 있다. 패키지(2)의 폭 방향(Y)에 있어서의 타방측에는 배기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때의 배기음을 저감하는 배기 사이렌서(45)가 배치되어 있다(도 1(a), 도 2(a), 도 5(a) 및 도 6 참조). 패키지(2)의 상면(2e)의 배기 사이렌서(45)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배기 출구 개구(45a)가 형성되어 있다(도 5(b) 참조).
상하 구획 부재(32)에 있어서의 리저브 냉각수 탱크(47)와 배기 사이렌서(45)의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간격에 엔진실(3)과 라디에이터·배기실(6)을 연통하는 환기구(48)가 형성되어 있다. 환기구(48)는 라디에이터 팬(43)으로부터 패키지(2)의 길이 방향(X)으로 어긋나게 해서 형성되어 있다. 환기구(48)의 상부에는 환기 후드(50)가 설치되어 있다.
환기 후드(50)는 환기구(48)의 상방 및 개구 주위를 덮고, 환기 후드(50)의 출구 개구(50a)를 환기구(48)에 대하여 대향해 패키지(2)의 폭 방향(Y)으로 어긋나게 해서 설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엔진실(3)로부터 라디에이터실(6B)(라디에이터·배기실(6))에 직접 연통하는 환기구(48)가 형성되어 있다.
환기 후드(50)는 하면이 개구된 상자체로 이루어지고, 전후 벽부(51, 52)와, 전후 벽부(51, 52)에 접속된 양 측벽부(53, 53)와, 천정 벽부(55)를 구비하고 있다. 천정 벽부(55)는 앞면측을 향해서 하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후벽부(52) 및 양 측벽부(53, 53)의 하부 가장자리부는 환기구(48)의 가장자리로부터 세워서 설치되어 있는 볼록부(48a)에 감합 고정되어 있다. 앞벽부(51)는 환기구(48)보다 앞측에 면하고 있고, 앞벽부(51)의 하단은 상하 구획 부재(32)의 상면과 소정 간격을 갖고 있다.
환기구(48)의 앞 가장자리부로부터 상향으로 칸막이판(56)이 세워서 설치되어 있다. 칸막이판(56)은 환기 후드(50) 내부를 전후로 구획하고, 칸막이판(56)의 상단은 천정 벽부(55) 내면과 소정 간격을 갖고 있다. 여기에서, 환기 후드(50)와 칸막이판(56)에 의해 환기구(48)와 라디에이터·배기실(6)에 연통하는 환기 통로(58)가 구성되어 있다. 환기 통로(58)는 환기구(48)와 연통하는 제 1 환기 통로(58a)와, 라디에이터·배기실(6)에 개구하는 제 2 환기 통로(58b)를 구비하고 있다.
환기구(48)는 라디에이터 팬(43)으로부터 패키지(2)의 길이 방향(X)으로 어긋나게 해서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환기 후드(50)는 환기구(48)의 상방 및 개구 주위를 덮고 있으므로, 환기 출구(43a)로부터 침입하는 빗물이 환기구(48)에 침입하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환기 통로(58)의 개구를 통기하는데에 충분한 크기로 할 수 있다.
상하 구획 부재(32)에 있어서의 라디에이터(42)에 대향하는 부분에는 빗물 배수부(60)가 설치되어 있다. 빗물 배수부(60)는 패키지(2)의 중앙부에서 바깥 가장자리변부에 걸쳐서 하강 경사지는 형상으로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빗물 배수부(60)는 상하 구획 부재(32)의 일부를 기계가공에 의해 상방으로 볼록부가 되도록 성형한 것으로, 길이 방향(X)의 타방측을 향해서 점차로 낮아지도록 경사지는 천정 경사벽(61)과, 천정 경사벽(61)의 전후 가장자리로부터 이어 설치된 전후 경사벽(62, 63)과, 천정 경사벽(61)의 최고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이어설치된 측벽(64)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하 구획 부재(32)의 동등 높이 위치에 라디에이터 환기구(42a, 42b, 42c)가 각각 형성되어져 있다.
이상 설명한 코제너레이션 장치(1)에서는, 운전을 개시함에 있어서 먼저, 연료가스가 엔진(11)에 공급됨과 아울러, 흡기실(5) 내에 빨아 들여진 공기가 에어클리너(40) 및 흡기 사이렌서(41)를 통해서 엔진(11)에 보내져 엔진(11)이 기동한다. 엔진(11)이 기동하면, 엔진(11)으로부터 배기되는 배기가스는 배기가스 열교환기(14)를 경과하여 배기 사이렌서(45)에서 소음된 후에 패키지(2)의 상방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엔진 냉각수 회로(13)에서는 엔진(11)을 냉각한 냉각수는 라디에이터(42) 및/또는 엔진 폐열 회수기(23)에 보내진다. 라디에이터(42)에 보내진 냉각수의 폐열은 라디에이터(42)에 의해 방열되고, 엔진 폐열 회수기(23)에 보내진 냉각수의 폐열은 엔진 폐열 회수기(23)에 의해 회수된다. 그리고, 엔진 폐열 회수기(23) 및/또는 라디에이터(42)를 통과한 엔진 냉각수는 엔진(11)으로 리턴된다.
또한, 환기 팬(21) 및 라디에이터 팬(43)의 구동에 의해 패키지(2) 내가 환기된다. 즉, 엔진실(3) 및 기기 수납실(4)측에 있어서 엔진실 환기구(21a)를 통해서 패키지(2) 내에 흡입된 공기(환기풍)는 기기 수납실(4) 및 엔진실(3)을 흐르고, 엔진실(3)로부터의 환기풍이 상방으로 흘러서 환기구(48)를 통해서 환기 후드(50) 내에 들어간다. 환기 후드(50) 내에 들어간 환기풍은 환기 통로(58)의 제 1 환기 통로(58a) 내를 상방으로 흐른 후에, 천정 벽부(55)에 안내되어 제 2 환기 통로(58b)을 하향으로 흘러서 출구 개구(50a)로부터 나와서 상하 구획 부재(32)에 떨어뜨려져서 라디에이터·배기실(6)에 들어간다. 라디에이터·배기실(6) 내의 환기풍은 라디에이터(42)를 냉각한 후에 환기 출구(43a)로부터 외기로 배출된다.
본 실시형태는 엔진실(3)로부터 라디에이터·배기실(6)로 연통하는 환기구(48)를 형성함으로써 엔진실(3)과 라디에이터실(6B)을 직접적으로 연통시키고, 또한 환기 후드(50)에 의해 환기 통로(58)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엔진실(3) 내의 환기풍은 환기 통로(58) 내를 흘러서 스무스하게 라디에이터실에 들어간다. 이 때문에, 환기풍의 유통 저항을 가급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고, 환기풍의 압손이 적어진다.
또한, 빗물이 환기 출구(43a)로부터 패키지(2) 내부에 들어갔을 경우, 라디에이터 팬(43) 및 라디에이터(42)를 통과한 빗물은 빗물 배수부(60) 상면에 낙하한다. 빗물 배수부(60) 상면에 낙하한 빗물은 빗물 배수부(60)의 천정 경사벽(61), 전후 경사벽(62) 및 측벽(63)을 흐르고, 패키지(2)의 중앙부에서 바깥 가장자리변부로 흐르게 된다. 또한, 빗물은 패키지(2)의 전후면(2a, 2d) 및 측면(2c)에 형성된 라디에이터 환기구(42a, 42b, 42c)를 통해서 적당하게 외부로 유출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는 상하 구획 부재(32)에 있어서의 라디에이터(42)에 대향하는 부분에는 빗물 배수부(6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 부분이 하방으로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하 구획 부재(32) 상의 빗물의 배출이 확실한 것으로 된다.
또한, 상하 구획 부재(32)로부터 배출되는 빗물은 라디에이터 환기구(42a, 42b, 42c) 이외에, 패키지(2)에 별도 설치한 배출구(도시생략)로부터 배출하도록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른 여러가지의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술의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는 것이며, 명세서 본문에는 하등 구속되지 않는다. 또한,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이 출원은, 2014년 3월 26일에 일본에서 출원된 특허출원 2014-063048에 의거한 우선권을 청구한다. 이것에 언급함으로써 그 모든 내용은 본 출원에 도입되는 것이다.
1 : 코제너레이션 장치 2 : 패키지
2a : 정면 2b : 배면
2c : 우측면 2d : 좌측면
2e : 상면 3 : 엔진실
4 : 기기 수납실 5 : 흡기실
6 : 라디에이터·배기실 6A : 배기실
6B : 라디에이터실 7 : 격벽
11 : 엔진 12 : 발전기
13 : 엔진 냉각수 회로 14 : 배기가스 열교환기
15 : 제어장치 21 : 환기 팬
21a : 엔진실 환기구 23 : 엔진 폐열 회수기
30 : 상부 구조 31 : 프레임체
32 : 상하 구획 부재 33 : 앞 수평 부재
34 : 뒤 수평 부재 35 : 지주 부재
36 : 중간 지주 37 : 격벽
40 : 에어클리너 41 : 흡기 사이렌서
42 : 라디에이터 43 : 라디에이터 팬
43a : 환기 출구 45 : 배기 사이렌서
48 : 환기구 50 : 환기 후드
50a : 출구 개구 51 : 앞 벽부
52 : 뒤 벽부 53 : 측벽부
55 : 천정 벽부 56 : 칸막이판
58 : 환기 통로 60 : 빗물 배수부
61 : 천정 경사벽 62 : 앞 경사벽
63 : 뒤 경사벽 64 : 측벽
X : 길이 방향 Y : 폭 방향
Z : 상하 방향

Claims (1)

  1. 패키지를 상하로 구획하고, 하방 구획에 엔진 및 발전기를 설치하고, 상방 구획에 라디에이터 및 라디에이터 팬을 설치하는 패키지 수납형 엔진 발전기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를 상하로 구획하는 상하 구획 부재의 상기 라디에이터 팬과의 대면 부분을, 패키지 중앙부에서 바깥 가장자리변부에 걸쳐서 하강 경사지는 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수납형 엔진 발전기.
KR1020167022846A 2014-03-26 2015-02-13 패키지 수납형 엔진 발전기 KR1018599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63048A JP6080794B2 (ja) 2014-03-26 2014-03-26 パッケージ収納型エンジン発電機
JPJP-P-2014-063048 2014-03-26
PCT/JP2015/053897 WO2015146343A1 (ja) 2014-03-26 2015-02-13 パッケージ収納型エンジン発電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1489A true KR20160111489A (ko) 2016-09-26
KR101859910B1 KR101859910B1 (ko) 2018-05-21

Family

ID=54194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2846A KR101859910B1 (ko) 2014-03-26 2015-02-13 패키지 수납형 엔진 발전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107189B2 (ko)
EP (1) EP3098418A4 (ko)
JP (1) JP6080794B2 (ko)
KR (1) KR101859910B1 (ko)
CN (1) CN106103940B (ko)
AU (1) AU2015235701B2 (ko)
CA (1) CA2939487C (ko)
EA (1) EA030658B1 (ko)
WO (1) WO20151463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71630B2 (ja) * 2014-08-05 2018-08-08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システム
JP6277081B2 (ja) 2014-08-05 2018-02-07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システム
CN109441610A (zh) * 2018-09-29 2019-03-08 全椒赛德利机械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发动机散热器
RU2755374C1 (ru) * 2020-10-09 2021-09-15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Московский Прожекторный Завод" Электрогенераторная установк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84900B2 (ja) 2008-01-21 2013-04-17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駆動式ヒートポンプ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378646A1 (fr) * 1976-12-07 1978-08-25 Komatsu Mfg Co Ltd Vehicule comportant un systeme d'enceintes d'isolation acoustique refroidies par air
FI68707C (fi) 1984-02-09 1985-10-10 Valmet Oy Dieselaggregat
JP3248122B2 (ja) * 1994-06-30 2002-01-21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エンジン駆動式ヒートポンプ装置の室外機
US5678512A (en) * 1996-11-29 1997-10-21 Carrier Corporation Cooling air flow system for a self contained motor generator set
JP2001116296A (ja) * 1999-10-22 2001-04-27 Yamaha Motor Co Ltd エンジン駆動式空調装置の室外空調ユニット
WO2002065620A1 (fr) 2001-02-13 2002-08-22 Yanmar Co.,Ltd. Systeme d'energie electrique muni d'une generatrice entrainee par moteur
JP4063112B2 (ja) * 2002-03-20 2008-03-1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エンジン駆動式空調装置
US7107943B2 (en) * 2004-09-15 2006-09-19 Denko Kabushiki Kaisha Engine-driven operating machine
KR100702039B1 (ko) * 2004-12-10 2007-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열병합 발전 시스템
JP5134428B2 (ja) * 2008-05-07 2013-01-30 ヤンマー株式会社 パッケージ収納型エンジン発電機におけるコントロールボックスおよび電力変換器の配置構造
JP5303183B2 (ja) * 2008-05-07 2013-10-02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収納パッケージ
JP5149718B2 (ja) 2008-07-03 2013-02-20 デンヨー株式会社 エンジン駆動型作業機
JP5296582B2 (ja) * 2009-03-23 2013-09-25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発電機
JP5637361B2 (ja) * 2010-06-16 2014-12-1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屋外設置型発電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84900B2 (ja) 2008-01-21 2013-04-17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駆動式ヒートポ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74161A1 (en) 2017-03-16
EP3098418A4 (en) 2017-03-29
CN106103940A (zh) 2016-11-09
AU2015235701B2 (en) 2018-04-05
EA201691935A1 (ru) 2017-02-28
KR101859910B1 (ko) 2018-05-21
CA2939487A1 (en) 2015-10-01
WO2015146343A1 (ja) 2015-10-01
JP6080794B2 (ja) 2017-02-15
AU2015235701A1 (en) 2016-08-18
CA2939487C (en) 2018-05-08
EA030658B1 (ru) 2018-09-28
US10107189B2 (en) 2018-10-23
EP3098418A1 (en) 2016-11-30
CN106103940B (zh) 2018-11-23
JP2015183657A (ja) 2015-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63348B2 (en) Packaged engine working machine
KR101859910B1 (ko) 패키지 수납형 엔진 발전기
JP6254052B2 (ja) エンジンシステム
CA2898823C (en) Engine system
EP2677136B1 (en) Packaged engine working machine
WO2015146344A1 (ja) パッケージ収納型エンジン発電機
KR101804196B1 (ko) 패키지 수납형 엔진 발전기
JP5807954B2 (ja) エンジン作業機
CN114619980B (zh) 车辆下部罩构造
JP6632733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6242992B2 (ja) パッケージ収納型エンジン発電機
KR101321685B1 (ko) 전기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