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0898A - 개스킷 - Google Patents

개스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0898A
KR20160110898A KR1020160028778A KR20160028778A KR20160110898A KR 20160110898 A KR20160110898 A KR 20160110898A KR 1020160028778 A KR1020160028778 A KR 1020160028778A KR 20160028778 A KR20160028778 A KR 20160028778A KR 20160110898 A KR20160110898 A KR 20160110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ket
present
gasket according
jacket
r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8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4023B1 (ko
Inventor
이종철
손의환
Original Assignee
이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철 filed Critical 이종철
Publication of KR20160110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0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4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4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08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exclusively metal pa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08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exclusively metal packing
    • F16J15/0887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exclusively metal packing the sealing effect being obtained by elastic deformation of the pa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21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 F16J15/02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08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exclusively metal packing
    • F16J15/08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exclusively metal packing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surface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10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 F16J15/1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with metal reinforcement or covering
    • F16J15/121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with metal reinforcement or covering with metal reinforc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10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 F16J15/1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with metal reinforcement or covering
    • F16J15/128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with metal reinforcement or covering with metal cov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8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8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 F16L23/20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made exclusively of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24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unequal expansion of the parts of the joint
    • F16J2015/0818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77/00Seal for a joint or juncture
    • Y10S277/935Seal made of a particular material
    • Y10S277/939Containing met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77/00Seal for a joint or juncture
    • Y10S277/935Seal made of a particular material
    • Y10S277/943Ceramic or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sket Seal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스킷 및 이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을 감싸는 재킷과 내부에 코어 스프링을 구비한 오링 부재로 인하여 복원성이 향상되고 외부 충격에 대하여도 강인함을 갖추어, 실링성이 더욱 향상된 개스킷 및 이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스킷 {Gasket}
이 출원은 "개스킷 및 이의 제작 방법"이라는 명칭으로 2015년 3월 13일에 출원된 미합중국 출원번호 62/132,690 및 2016년 2월 25일에 출원된 미합중국 출원번호 62/300,309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미합중국 출원번호 62/132,690 및 미합중국 출원번호 62/300,309의 전체 내용은 이 출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은 개스킷(gasket)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파이럴(spiral) 와운드(wound) 개스킷의 상하 양측을 한 쌍의 메탈 재킷(metal jacket)으로 감싸는 형태의 메탈 개스킷에 관한 것이다
개스킷은 압력용기, 관 플랜지(flange), 기계기구의 접합 면 등의 고정 접합면에 볼트(bolt) 등으로 체결되어 누설을 방지하는 정적 실(seal)을 총칭하는 것으로, 작동하는 유체의 종류, 압력, 온도 등의 사용상태에 따라 여러 종류의 형상, 재질 등이 사용된다.
개스킷은 처음 종이, 피혁 등의 재료를 사용하여 단순하게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사용되는 조건의 복잡, 가혹화에 따라 각양각색의 형태와 재료를 사용하기에 이르렀다.
즉, 개스킷은, 연결되는 두 관체 사이에 끼워져, 그 관체 간의 틈새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밸브(valve) 또는 파이프(pipe) 등의 유체를 이송시키는 관체의 연결부위인 플랜지 사이에 개재되어 유체의 누설을 방지함과 아울러, 외부의 이물질이 관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sealing) 기능을 갖는다. 즉, 밸브 또는 파이프 등의 플랜지 체결시, 축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개스킷의 부피가 압축되면서, 연결부위인 플랜지 사이의 이음새를 외부로부터 차단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플랜트(plant) 내에 실제 장착되어 사용되는 개스킷은 여러 가지 환경과 조건에 반응하여 실링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개스킷이 장착되는 플랜지의 크기나 위치, 체결을 위한 볼팅(bolting) 과정 등을 고려하여야 하고, 특히 플랜트의 운전조건이 가열과 냉각의 연속이어서, 관체 내부에 고온, 고압의 유체가 반복적으로 흐르게 된다면, 관체(1)의 연결부위인 플랜지(2)의 편평도를 완벽하게 수평으로 유지시키기가 어렵게 되며, 따라서 플랜지(2)의 간격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향적으로 벌어지게 된다. (D2 > D1)
즉, 플랜지에 장착된 개스킷이 이 편차를 극복하고 실링상태를 유지해 주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개스킷의 실링방향으로의 항복점이 높아야 하고 복원력이 커야만 한다.
그러나, 도면 2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체의 플랜지(2) 접촉면 사이에 A, B, C와 같은 틈새가 존재한 상태에서 개스킷을 고하중으로 장착하거나 혹은 운전중인 플랜지에 대하여 리볼팅(re-bolting) 작업을 하는 경우, 종래의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은 후프(hoop)(5) 또는 필러(filler)(6)가 이 틈새로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개스킷이 파손되고 유체가 누설되는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의 후프 또는 필러가 이탈되어 개스킷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개스킷 및 이의 제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과 금속으로 이루어진 재킷 사이의 오링 부재를 제공함으로써 실링성이 더욱 향상된 개스킷 및 이의 제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의 양측에 씨링 부재가 구비되어 외부 또는 내부에서의 압력 변화에 따라 확장되어 실링성을 확보할 수 있는 개스킷 및 이의 제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제1 재킷과 제2 재킷 상에 구비되는 실링층을 통하여 개스킷의 실링 면의 손상을 방지하고 실링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개스킷 및 이의 제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하면에 톱니를 구비한 캠프로파일과 금속으로 이루어진 재킷 사이에 오링 부재를 제공함으로써 실링성이 더욱 향상된 개스킷 및 이의 제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오링 부재 내부에 스프링이 구비되어 실링성이 더욱 향상된 개스킷 및 이의 제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캠프로파일의 일측 또는 양측에 오목 또는 볼록한 단부를 형성함으로써, 내구성이 더욱 향상된 개스킷 및 이의 제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제1 재킷과 제2 재킷 상에 구비되는 실링층을 통하여 개스킷의 실링 면의 손상을 방지하고 실링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개스킷 및 이의 제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하면에 톱니를 구비한 캠프로파일의 일측에 오링 부재를 제공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높은 복원력을 구비한 개스킷 및 이의 제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오링 부재 내부에 스프링이 구비되어 실링성이 더욱 향상된 개스킷 및 이의 제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캠프로파일의 타측에 후프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실링성이 더욱 향상된 개스킷 및 이의 제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spiral wound gasket); 상기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1 오링(O-ring)부재; 상기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오링 부재; 상기 제1 오링 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1 코어(core) 스프링(spring); 상기 제2 오링 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2 코어 스프링;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 상기 제1 오링 부재, 상기 제2 오링 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1 재킷(jacket);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 상기 제1 오링 부재, 상기 제2 오링 부재, 상기 제1 재킷을 내부에 수용하는 제2 재킷; 상기 제2 재킷의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제1 재킷 상에 형성되는 제1 실링층; 상기 제1 실링층을 덮도록 형성되는 제2 실링층; 상기 제2 실링층의 반대 편측 상기 제2 재킷 상에 형성되는 제3 실링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 상기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1 오링 부재; 상기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오링 부재; 상기 제1 오링 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1 코어 스프링; 상기 제1 오링 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2 코어 스프링;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 상기 제1 오링 부재, 상기 제2 오링 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1 재킷; 상기 제1 재킷의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 상에 형성되는 내부 실링층;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 상기 제1 오링 부재, 상기 제2 오링 부재, 상기 내부 실링층, 상기 제1 재킷을 내부에 수용하는 제2 재킷; 상기 제2 재킷의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제1 재킷을 덮도록 형성되는 외부 실링층; 상기 외부 실링층의 반대 편측 상기 제2 재킷 상에 형성되는 제3 실링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 상기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1 씨링(C-ring)부재; 상기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씨링부재; 상기 제1 씨링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1 코어 스프링; 상기 제2 씨링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2 코어 스프링;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 상기 제1 오링 부재, 상기 제2 오링 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1 재킷;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 상기 제1 오링 부재, 상기 제2 오링 부재, 상기 제1 재킷을 내부에 수용하는 제2 재킷; 상기 제2 재킷의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제1 재킷 상에 형성되는 제1 실링층; 상기 제1 실링층을 덮도록 형성되는 제2 실링층; 상기 제1 실링층의 반대 편측 상기 제2 재킷 상에 형성되는 제3 실링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 상기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1 씨링부재; 상기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씨링부재; 상기 제1 씨링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1 코어 스프링; 상기 제2 씨링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2 코어 스프링;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 상기 제1 오링 부재, 상기 제2 오링 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1 재킷; 상기 제1 재킷의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 상에 형성되는 내부 실링층;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 상기 제1 오링 부재, 상기 제2 오링 부재, 상기 내부 실링층, 상기 제1 재킷을 내부에 수용하는 제2 재킷; 상기 제2 재킷의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제1 재킷을 덮도록 형성되는 외부 실링층; 상기 외부 실링층의 반대 편측 상기 제2 재킷 상에 형성되는 제3 실링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씨링부재의 개구부는 상기 개스킷의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씨링부재의 개구부는 상기 개스킷의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씨링부재의 개구부는 상기 개스킷의 외측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씨링부재의 개구부는 상기 개스킷의 외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씨링부재의 개구부는 상기 개스킷이 장착되는 플랜지(flange)의 접촉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씨링부재의 개구부는 상기 개스킷이 장착되는 플랜지의 접촉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씨링부재의 개구부는 상기 개스킷의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씨링부재의 개구부는 상기 개스킷의 외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코어 스프링은 판 코일 스프링이며, 상기 제2 코어 스프링은 판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은 후프(hoof)와 필러(filler)가 교대로 반복하여 감겨서 형성되며, 상기 후프는 두 개의 뫼와 하나의 골로 이루어진 더블유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후프의 두 개의 뫼의 방향은 상기 개스킷의 외측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필러는 흑연, 세라믹(ceramic), 운모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을 제공한다. 즉, 필러는 비 석면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실링층, 상기 제2 실링층 및 제3 실링층은 흑연, 운모,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은, 스테인레스 스틸 분무재(steinless steel atomize)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내부 실링층, 상기 외부 실링층 및 상기 제3 실링층은 흑연, 운모,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은, 스테인레스 스틸 분무재(steinless steel atomize)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재킷 내부로 내부에 코어 스프링을 구비한 제1 오링 부재와 제2 오링 부재가 장착되는 단계; 상기 제1 오링 부재와 상기 제2 오링 부재 사이에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이 장착되는 단계; 제2 재킷이 상기 제1 오링 부재, 상기 제2 오링 부재, 상기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 상기 제1 재킷을 감싸는 단계; 상기 제2 재킷의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제1 재킷 상에 제1 실링층이 형성되는 단계; 상기 제1 실링층을 덮도록 제2 실링층이 형성되는 단계; 상기 제2 실링층의 반대 측에 상기 제2 재킷 상에 제3 실링층이 형성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재킷 내부로 내부에 코어 스프링을 구비한 제1 오링 부재와 제2 오링 부재가 장착되는 단계; 상기 제1 오링 부재와 상기 제2 오링 부재 사이에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이 장착되는 단계; 상기 제1 재킷의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 상에 내부 실링층이 형성되는 단계; 제2 재킷이 상기 제1 오링 부재, 상기 제2 오링 부재, 상기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 상기 내부 실링층, 상기 제1 재킷을 감싸는 단계; 상기 제2 재킷의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제1 재킷을 덮도록 외부 실링층이 형성되는 단계; 상기 외부 실링층의 반대 편측 상기 제2 재킷 상에 제3 실링층이 형성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재킷 내부로 내부에 코어 스프링을 구비한 제1 씨링부재와 제2 씨링부재가 장착되는 단계; 상기 제1 씨링부재와 상기 제2 씨링부재 사이에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이 장착되는 단계; 상기 제2 재킷이 상기 제1 씨링부재, 상기 제2 씨링부재, 상기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 상기 제1 재킷을 감싸는 단계; 상기 제2 재킷의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제1 재킷 상에 제1 실링층이 형성되는 단계; 상기 제1 실링층을 덮도록 제2 실링층이 형성되는 단계; 상기 제2 실링층의 반대 측에 상기 제2 재킷 상에 제3 실링층이 형성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재킷 내부로 내부에 코어 스프링을 구비한 제1 씨링부재와 제2 씨링부재가 장착되는 단계; 상기 제1 씨링부재와 상기 제2 씨링부재 사이에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이 장착되는 단계; 상기 제1 재킷의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 상에 내부 실링층이 형성되는 단계; 제2 재킷이 상기 제1 오링 부재, 상기 제2 오링 부재, 상기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 상기 내부 실링층, 상기 제1 재킷을 감싸는 단계; 상기 제2 재킷의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제1 재킷을 덮도록 외부 실링층이 형성되는 단계; 상기 외부 실링층의 반대 편측 상기 제2 재킷 상에 제3 실링층이 형성되는 단계;기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씨링부재의 개구부는 상기 개스킷의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씨링부재의 개구부는 상기 개스킷의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씨링부재의 개구부는 상기 개스킷의 외측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씨링부재의 개구부는 상기 개스킷의 외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씨링부재의 개구부는 상기 개스킷이 장착되는 플랜지의 접촉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씨링부재의 개구부는 상기 개스킷이 장착되는 플랜지의 접촉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코어 스프링은 판 코일 스프링이며, 상기 제2 코어 스프링은 판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은 후프와 필러가 교대로 반복하여 감겨서 형성되며, 상기 후프는 두 개의 뫼와 하나의 골로 이루어진 더블유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후프의 두 개의 뫼의 방향은 상기 개스킷의 외측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필러는 흑연, 세라믹, 운모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즉, 필러는 비 석면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실링층, 상기 제2 실링층 및 상기 제3 실링층은 흑연, 운모,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은, 스테인레스 스틸 분무재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내부 실링층, 상기 외부 실링층 및 상기 제3 실링층은 흑연, 운모,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은, 스테인레스 스틸 분무재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관과 관 사이의 연결 부위인 플랜지(flange) 사이에 개재되는 개스킷(gasket)으로서, 상기 개스킷은 제1 재킷(jacket); 상기 제1 재킷 상에 구비되는 캠프로파일(kammprofile); 상기 캠프로파일의 내측에 구비되는 오링(o ring) 부재; 상기 제1 재킷의 일부, 상기 캠프로파일 및 상기 오링 부재를 감싸는 제2 재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관과 관 사이의 연결 부위인 플랜지 사이에 개재되는 개스킷으로서, 상기 개스킷은 제1 재킷; 상기 제1 재킷 상에 구비되는 캠프로파일; 상기 캠프로파일의 외측에 구비되는 오링 부재; 상기 제1 재킷의 일부, 상기 캠프로파일 및 상기 오링 부재를 감싸는 제2 재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관과 관 사이의 연결 부위인 플랜지 사이에 개재되는 개스킷으로서, 상기 개스킷은 제1 재킷; 상기 제1 재킷 상에 구비되는 캠프로파일; 상기 캠프로파일의 내측 및 외측에 구비되는 오링 부재; 상기 제1 재킷의 일부, 상기 캠프로파일 및 상기 오링 부재를 감싸는 제2 재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캠프로파일의 상면에는 톱니가 형성되며, 상기 캠프로파일의 하면에는 톱니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톱니는 세레이션(serration) 가공을 통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재킷은 평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 재킷은 제1 재킷보다 넓으며, 상기 제2 재킷은 벤딩(bending) 처리되어 상기 제1 재킷의 일부, 상기 캠프로파일 및 상기 오링 부재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오링 부재의 내측에는 스프링(spring);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은 판 코일(coil)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캠프로파일에는 상기 오링 부재와 밀착되어 접하도록 오목한 굴곡을 가진 내측 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캠프로파일에는 상기 제1 재킷 또는 상기 제2 재킷과 맞닿는 외측으로 볼록한 굴곡을 가진 외측 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재킷은 벤딩 처리되어 상기 캠프로파일, 상기 오링 부재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캠프로파일에는 상기 오링 부재와 밀착되어 접하도록 오목한 굴곡을 가진 외측 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캠프로파일에는 상기 제1 재킷 또는 상기 제2 재킷과 맞닿는 내측으로 볼록한 굴곡을 가진 내측 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재킷의 하면과 상기 제2 재킷의 상면에는 각각 실링(sealing) 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실링층은 흑연, 운모,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uloroethylene, PTFE), 은, 스테인레스 스틸 분무제(steinless steel atomize), 세라믹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재킷이 준비되는 단계; 상기 제1 재킷 상에 캠프로파일이 안착되는 단계; 상기 제1 재킷 상에 캠프로파일의 내측에 오링 부재가 안착되는 단계; 제2 재킷이 벤딩 처리되어 상기 제1 재킷의 일부, 상기 캠프로파일 및 상기 오링 부재를 감싸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재킷이 준비되는 단계; 상기 제1 재킷 상에 캠프로파일이 안착되는 단계; 상기 제1 재킷 상에 캠프로파일의 외측에 오링 부재가 안착되는 단계; 제2 재킷이 벤딩 처리되어 상기 제1 재킷의 일부, 상기 캠프로파일 및 상기 오링 부재를 감싸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재킷이 준비되는 단계; 상기 제1 재킷 상에 캠프로파일이 안착되는 단계; 상기 캠프로파일의 내측 및 외측에 오링부재가 안착되는 단계; 제2 재킷이 벤딩 처리되어 상기 제1 재킷의 일부, 상기 캠프로파일 및 상기 오링 부재를 감싸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개스킷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캠프로파일의 상면에는 톱니가 형성되며, 상기 캠프로파일의 하면에는 톱니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톱니는 세레이션 가공을 통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재킷은 평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 재킷은 상기 제1 재킷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오링 부재의 내부에는 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은 판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캠프로파일에는 상기 오링 부재와 밀착되어 접하도록 오목한 굴곡을 가진 내측 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캠프로파일에는 상기 제1 재킷 또는 상기 제2 재킷과 맞닿은 외측으로 블록한 굴곡을 가진 외측 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재킷은 벤딩 처리되어 상기 캠프로파일, 상기 오링 부재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캠프로파일에는 상기 제1 재킷 또는 상기 제2 재킷과 맞닿는 내측으로 볼록한 굴곡을 가진 내측 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제2 재킷이 벤딩 처리되어 상기 제1 재킷의 일부, 상기 캠프로파일 및 상기 오링 부재를 감싸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재킷의 하면과 상기 제2 재킷의 상면에 각각 실링 층이 형성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실링 층은 흑연, 운모,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uloroethylene, PTFE), 은, 스테인레스 스틸 분무제(steinless steel atomize), 세라믹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관과 관 사이의 연결 부위인 플랜지(flange)사이에 개재되는 개스킷(gasket)으로서, 상기 개스킷은 캠프로파일(kammprofile); 상기 캠프로파일의 내측에 형성되는 씨링(c ring) 단부; 상기 씨링 단부 내에 구비되는 오링(o ring)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관과 관 사이의 연결 부위인 플랜지 사이에 개재되는 개스킷으로서, 상기 개스킷은 캠프로파일; 상기 캠프로파일의 외측에 형성되는 씨링 단부; 상기 씨링 단부 내에 구비되는 오링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캠프로파일의 상면에는 톱니가 형성되며, 상기 캠프로파일의 하면에는 톱니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톱니는 세레이션(serration) 가공을 통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캠프로파일의 상면은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캠프로파일의 하면은 블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오링 부재의 내측에 구비되는 스프링(spring);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은 판 코일(coil)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캠프로파일의 외측에 형성되는 외측 후프(hoop) 지지 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외측 후프 지지 단부에는 후프의 오목부를 수용하기 위한 브이형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외측 후프 지지 단부에 밀착되는 후프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후프 부재는 두 개의 뫼와 하나의 골로 이루어진 더블유(w)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후프 부재의 두 개의 뫼의 방향은 상기 개스킷의 외측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후프 부재의 후프 사이에는 필러(filler)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 및 이의 제작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동일 사이즈의 다른 개스킷에 비하여 높은 체부력과 복원력을 구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고온, 고압에서도 실링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2,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의 상하 양측을 금속으로 형성된 재킷으로 감싸므로, 개스킷이 고하중으로 장착되는 경우에도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의 후프 또는 필러가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3,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의 양측에 코어 스프링이 구비된 오링 부재가 배치됨으로써, 개스킷의 압착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스킷 및 이의 제작방법에 의하면, 복원력과 실링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4,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의 양측에 씨링 부재가 배치되고, 플랜지의 접합면으로부터 유체가 유출되는 경우 이러한 씨링 부재가 팽창하여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의 후프가 벌어지도록 함으로써, 접합면의 씰링이 더욱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5,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을 감싸는 재킷 간의 단차를 실링층을 이용하여 간단히 없앨 수 있으므로 개스킷 내부에 인가되는 압력을 균등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6, 개스킷의 상면과 하면에 흑연, 운모, 세라믹, 은 등으로 형성되는 실링층을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개스킷과 플랜지 사이의 접합 면의 밀착을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7, 개스킷의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 상의 내부 실링층을 구비함으로써,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의 각 부분에 인가되는 압력을 동일하게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8, 오링 부재 또는 씨링 부재의 내부에 판 코일 스프링을 코어 스프링으로 사용함으로써, 복원력을 확보하는 동시에 압력을 동일하게 분산하여 개스킷의 수명을 연장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9, 동일 사이즈의 다른 개스킷에 비하여 높은 체부력과 복원력을 구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고온, 고압에서도 실링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10, 캠프로파일의 일측, 양측 또는 중앙에 오링 부재가 배치됨으로써, 개스킷의 압착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 및 이의 제작방법에 의하면, 복원력과 실링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오링 부재 내부에 스프링을 장착함으로써, 복원력을 더욱 향상된 개스킷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1, 개스킷의 상면과 하면에 흑연, 운모, 세라믹, 은 등으로 형성되는 실링층을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개스킷과 플랜지 사이의 접합 면의 밀착을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2, 오링 부재 내부에 판 코일 스프링을 코어 스프링으로써 사용함으로써, 복원력을 확보하는 동시에 압력을 동일하게 분산하여 개스킷의 수명을 연장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3, 오링 부재와 접하는 캠프로파일 부분이 오링 부재와 유사한 곡률 반경을 가지는 오목한 굴곡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개스킷 내부의 캠프로파일이 좌우로 움직여서 오링 부재가 파손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개스킷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4, 개스킷의 내측과 외측 부분의 재킷이 겹치는 구조를 통하여 외부 압력에 대하여 더욱 강인한 개스킷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5, 개스킷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 실링층을 통하여 개스킷의 캠프로파일 및 오링부재 등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캠프로파일에 의하여 재킷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6, 동일 사이즈의 다른 개스킷에 비하여 높은 체부력과 복원력을 구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고온, 고압에서도 실링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17, 캠프로파일의 일측에는 스프링을 구비한 오링 부재가, 캠프로파일의 타측에는 후프 부재를 배치됨으로써 개스킷의 압착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 및 이의 제작방법에 의하면, 복원력과 실링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18, 오링 부재 내부에 판 코일 스프링을 코어 스프링으로써 사용함으로써, 복원력을 확보하는 동시에 압력을 골고루 분산하여 개스킷의 수명을 연장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9, 캠프로파일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된 톱니 부재를 통하여 저체 부압하에서도 체결 볼트의 하중을 톱니 부재의 뫼 부위에 집중시킬 수 있다. 따라서, 빈틈없는 밀봉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20, 캠프로파일에 형성되는 씨링 단부를 통하여 외부 재킷 없이도 오링 부재를 간단하게 고정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는 개스킷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스킷의 복원력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21, 개스킷의 캠프로파일의 일측에 형성되는 후프 부재를 통하여 관로에서 유체가 유출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개스킷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후프의 꺽임 부분에 골고루 압력이 분산 인가시킴으로써 더욱 향상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 1a도는 개스킷이 적용된 플랜지가 편향적으로 벌어진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2a도는 플랜지의 접촉면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3a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4a도는 앞서 살펴본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단면을 보다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5a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6a도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7a도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8a도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9a도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0a도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1a도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2a도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3a도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4a도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5a도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6a도는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채용되는 코어 스프링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8a도는 본 발명의 제13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9a도는 본 발명의 제14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20a도는 본 발명의 제15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21a도는 본 발명의 제16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22a도는 본 발명의 제17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23a도는 본 발명의 제18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24a도는 본 발명의 제19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25a도는 본 발명의 제20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26a도는 본 발명의 제21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27a도는 본 발명의 제22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28a도는 본 발명의 제23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29a도는 본 발명의 제24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30a도는 본 발명의 제25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31a도는 본 발명의 제26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32a도는 본 발명의 제27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33a도는 본 발명의 제28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34a도는 본 발명의 제29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35a도는 본 발명의 제30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b도는 개스킷이 적용된 플랜지가 편향적으로 벌어진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2b도는 플랜지의 접촉면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3b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4b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5b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6b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7b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8b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9b도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0b도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1b도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2b도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3b도도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4b도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5b도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과 그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6b도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7b도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8b도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9b도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20b도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21b도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22b도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23b도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24b도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25b도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26b도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27b도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28b도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29b도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30b도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31b도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32b도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33b도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34b도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35b도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36b도는 본 발명의 제13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37b도는 본 발명의 제13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38b도는 본 발명의 제14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39b도는 본 발명의 제14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40b도는 본 발명의 제14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41b도는 본 발명의 제15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42b도는 본 발명의 제15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43b도는 본 발명의 제16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44b도는 본 발명의 제16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45b도는 본 발명의 제16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46b도는 본 발명의 제16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47b도는 제17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48b도는 제17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49b도는 제17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50b도는 제17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51b도는 제18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52b도는 제18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53b도는 제19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54b도는 제19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55b도는 제20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56b도는 제20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57b도는 제21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58b도는 제21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59b도는 제21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60b도는 제22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61b도는 제22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62b도는 제23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63b도는 제23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64b도는 제23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65b도는 제23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66b도는 제24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67b도는 제24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68b도는 제24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69b도는 제24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70b도는 제25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71b도는 제25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72b도는 제26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73b도는 제27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74b도는 제28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75b도는 제29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76b도는 제30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77b도는 제31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78b도는 제32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79b도는 제33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80b도는 제34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81b도는 제35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c도는 개스킷이 적용된 플랜지가 편향적으로 벌어진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2c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3c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4c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5c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6c도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7c도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8c도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9c도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0c도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1c도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2c도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3c도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4c도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5c도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6c도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7c도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8c도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9c도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20c도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21c도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22c도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23c도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24c도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25c도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26c도는 본 발명의 제13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27c도는 본 발명의 제13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28c도는 본 발명의 제14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29c도는 본 발명의 제14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30c도는 본 발명의 제15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31c도는 본 발명의 제15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32c도는 본 발명의 제15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33c도는 본 발명의 제15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34c도는 본 발명의 제16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35c도는 본 발명의 제16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36c도는 본 발명의 제17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37c도는 본 발명의 제17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38c도는 제18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39c도는 제18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40c도는 제19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41c도는 제19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42c도는 제20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43c도는 제20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44c도는 제21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45c도는 제21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46c도는 제22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47c도는 제22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48c도는 제23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49c도는 제23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 3a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개스킷은 도면 3a도와 같이 전체적으로 링(ring) 형상의 모습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타원형(oval), 사각형(oblong square), 마름모형(diamond)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 오링 부재(110), 코어 스프링(120), 제1 재킷(320), 제2 재킷(310), 제1 실링층(421), 제2 실링층(422), 제3 실링층(4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의 내측과 외측에는 오링 부재(110)가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두 개의 오링 부재(110) 중에서 관 플랜지의 유로에 근접되는 부위의 오링 부재(110)는 제1 오링 부재라고 지칭할 수 있으며,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의 외측에 위치하는 오링 부재(110)는 제2 오링 부재라고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오링 부재(110)의 내측에는 코어 스프링(12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 제1 오링 부재 및 제2 오링 부재는 제1 재킷(320) 내부에 수용될 수 있으며, 제1 재킷(320)을 포함한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 제1 오링 부재, 제2 오링 부재는 제2 재킷(31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재킷(310) 내에 수용된 제1 재킷(320) 상에는 제1 실링층(4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실링층(421) 위에는 제2 실링층(42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실링층(422)의 반대 측인 제2 재킷(310) 상에는 제3 실링층(410)이 형성될 수 있다.
도면 4a도는 앞서 살펴본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단면을 보다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은 후프(210)와 필러(220)가 교대로 반복하여 나선형으로 감겨져서 생성될 수 있다. 그러나, 후프(210)와 필러(220)가 반드시 순서대로 교대로 반복되는 것은 아니며,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의 외측 또는 내측 부분에는 후프(210)가 보다 많이 감겨서 보강력을 좀 더 강화시키는 방향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감겨서 생성될 수 있다. 즉,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의 중간보다 외측 또는 내측 부분에는 후프(210)가 더 많이 감겨져서 필러(220)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의 후프(210)는 지그재그 형상의 단면과 탄성을 가진 금속 스트립(strip)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도면 4a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두 개의 뫼와 하나의 골을 가지는 'W'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후프(210)의 두 개의 뫼는 개스킷의 외측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플랜지의 관로에서 유체가 유출되는 경우, 후프(210)가 유체의 압력에 의하여 벌어져서 추가 유출을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의 후프(210)는 꺽임 부분이 3번 형성되어 'W'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W'자 모양의 후프는 꺽임 부분이 3번 있으므로 개스킷의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압력이 각 꺽임 부분에 골고루 분산되어 인가됨으로써 후프(210)가 외부 압력에 항복하여 복원력을 잃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개스킷의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의 필러(220)는 흑연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흑연, 세라믹, 운모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비 석면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의 내측과 외측에 구비되는 오링 부재(11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의 반경 방향의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오링 부재(110)는 금속으로 제작될 수 있으므로 메탈(metal) 튜브(tube) 오링이라고도 지칭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오링 부재(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코어 스프링(120)은 오링 부재(110)의 복원력을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제1 재킷(320)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 제1 오링 부재, 제2 오링 부재를 개구부를 통하여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재킷(310)은 개구부를 통하여 제1 재킷(320)의 반대 측에서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 제1 오링 부재, 제2 오링 부재, 제1 재킷(310)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을 제1 재킷(320)과 제2 재킷(310)으로 감싸므로,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의 후프(210)나 필러(220)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재킷(320)과 제2 재킷(310) 내부에 구비되는 오링 부재(110)로 인하여 개스킷의 복원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제2 재킷(310)의 개구부를 통하여 노출되는 제1 재킷(320) 상에는 제1 실링층(42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1 실링층(421)은 제1 재킷(320)의 두께 정도로 형성되어, 제2 재킷(310)이 제1 재킷(320)을 감싸서 형성되는 단차를 메우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1 실링층(421) 위로는 제2 실링층(422)이 제1 실링층(421)을 완전히 덮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실링층(422)의 반대편 측으로 제2 재킷(310) 상에는 제3 실링층(41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실링층(421)은 제2 실링층(422)에 비하여 그 내부 밀도가 더 조밀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같은 흑연 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제1 실링층(421)은 제2 실링층(422)에 비하여 더 단단하고 오밀 조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에 의하면, 제1 실링층(421)에 의하여 제1 재킷(320)과 제2 재킷(310) 간에 형성되는 단차를 흑연 등으로 이루어진 제1 실링층(421)으로 간단히 없앨 수 있으므로 개스킷 내부에 인가되는 압력을 균등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링층(422)과 제3 실링층(410)에 의하여 개스킷의 상면과 하면을 동일한 높이로 매끈하게 유지하여 플랜지의 접합 면과의 밀착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 5a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에서,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 제1 오링 부재, 제2 오링 부재는 제1 재킷(320)의 개구부를 통하여 제1 재킷(32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재킷(320)의 내부에 수용된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의 위로는 내부 실링층(411)이 형성될 수 있다. 내부 실링층(411)은 흑연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내부 실링층(411)은 흑연, 운모, 세라믹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제2 재킷(310)은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 제1 오링부재, 제2 오링부재, 내부 실링층(411)을 감싸며 형성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2 재킷(310) 내의 내부 실링층(411)은 제2 재킷(310)이 매끄럽게 제1 재킷(320)을 감쌀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동시에, 플랜지에 채용되는 경우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에 인가되는 각 부분의 압력을 동일하게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재킷(310)의 개구부를 통하여 노출된 제1 재킷(320)의 표면 위로는 외부 실링층(42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 실링층(420)은 노출된 제1 재킷 표면을 모두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실링층(420)의 반대편 측의 제2 재킷(310) 상에는 제3 실링층(41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개스킷의 상면과 하면 표면은 동일한 높이로 양면이 균등하게 형성될 수 있어서, 어느 한 부분의 압력이 치중되어 개스킷이 파손될 염려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흑연 등으로 이루어지는 외부 실링층(420)을 한 번의 공정으로 제1 재킷(320) 상에 도포할 수 있으므로 제작 공정이 단순해져서,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 6a도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과 유사하게 제작될 수 있으며, 다만 오링 부재(110)가 씨링 부재(111)로 변경되어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씨링 부재(111)는 오링 부재(110)의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그 단면이 'C'자 형상의 모습을 구비한 것으로서, 제3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씨링 부재(111)의 개구부는 개스킷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관 플랜지의 유로로부터 유체가 유출되는 경우, 씨링 부재(111)의 개구 부가 확장되어서 외부로 유체가 추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이 개스킷의 반경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 7a도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오링 부재(110)가 씨링 부재(111)로 대체됨으로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도 앞서 살펴본 제3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과 유사하게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의 내측과 외측에 구비되어 있는 씨링 부재(111)로 인하여 플랜지의 유로로부터 유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의 후프나 필러가 반경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제1 재킷 내부에 수용되는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 상에 내부 실링층(41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재킷(310)이 이 위를 덮으며, 제2 재킷(310)의 내부에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 제1 씨링 부재, 제2 씨링 부재, 내부 실링층(411)을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실링층(411)으로 인하여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이 제2 재킷(310)과 이격 공간 없이 밀착할 수 있으므로,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에 인가되는 압력을 균분하게 분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2 재킷(310)의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제1 재킷(320)의 표면은 외부 실링층(420)에 의하여 완전히 뒤덮힐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실링층(420)의 반대 측의 제2 재킷(310)상에는 제3 실링층(41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에 의하면 플랜지 양쪽의 접합면으로부터 개스킷의 각 부분이 동일한 압력을 인가받을 수 있어, 개스킷이 파손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 8a도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씨링 부재(111)는 제3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에서 그 방향이 내측 방향이 아니라, 개스킷의 외측 방향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의한 개스킷은 씨링 부재(111)가 개스킷의 외측 방향을 향함으로써 플랜지의 외부로부터 비 이상적인 압력이 유입되는 경우 씨링 부재(111)가 확장되어 외부의 압력이 플랜지의 관로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스킷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는 경우에는, 내부의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과 함께 씨링 부재(111)의 개구부가 확장되어 플랜지의 접합 면에 개스킷이 보다 밀착되어 실링 효과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면 9a도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제4 실시예에 따른 개스킷에서 씨링 부재(111)의 방향이 개스킷의 외측 방향을 향하도록 변경됨으로써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의한 개스킷도 제5 실시 예의 개스킷과 동일하게 플랜지의 외부로부터 비 이상적으로 유입되는 유체는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씨링 부재가 팽창하여 플랜지의 내부 관로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개스킷의 제1 재킷(320)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는 경우에는 내부의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과 씨링 부재(111)가 함께 확장되어 개스킷이 플랜지의 접합 면에 더욱 견고히 밀착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면 10a도와 도면 11a도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와 제8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와 제8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씨링 부재(111)의 개구부가 상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와 제8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에서는 씨링 부재(111)의 개구부가 상부를 향함으로써,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의 후프(210)를 양측에서 보다 더 견고하게 밀어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관로로부터 유체가 유출되어 개스킷의 제1 재킷(320)과 제2 재킷(310)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 개스킷의 씨링 부재(111)는 좌우로 확장되게 된다. 즉,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의 내측에 위치한 제1 씨링 부재와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의 외측에 위치한 제2 씨링 부재가 확장되어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을 양측에서 밀어내게 된다. 이에 따라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의 후프(210)가 펴지게 되어 플랜지의 접촉면과 더 견고하게 밀착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와 제8 실시 예에 의한 개스킷에 의하면 플랜지 관로의 접합 면의 씰링 효과를 더욱 견고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면 12a도와 도면 13a도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와 제10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와 제10 실시 예는 도면상으로는 개스킷의 씨링 부재(111)가 플랜지의 하부로 향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와 제8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과 상이한 개스킷으로 보일 수는 있으나, 사실 제9 실시 예외 제10 실시 예의 개스킷은 제7 실시 예와 제8 실시 예의 위와 아래를 뒤집은 대칭 구조로서 동일한 구조를 구비한 개스킷이다.
따라서, 제9 실시 예와 제10 실시 예의 개스킷은 제7 실시 예와 제8 실시 예의 개스킷과 상이한 개스킷이 아니며, 동일하게 개스킷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는 경우 씨링 부재(111)의 확장되어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을 내측과 외측에서 동시에 밀어내어 후프가 펴지도록 하므로 플랜지의 접합 면의 실링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 14a도와 도면 15a도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 예와 제12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1 실시 예와 제12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각각 제3 실시 예와 제4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에서 씨링 부재(111) 중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의 외측에 위치한 제2 씨링 부재의 개구부의 방향이 바깥 방향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1 실시 예와 제12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1 씨링 부재의 개구부는 개스킷의 내측 방향을 향하고,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씨링 부재는 개스킷의 외측 방향을 향함으로써, 플랜지 관로로부터 유출되는 유체는 제1 씨링 부재가 확장되어 접합 면을 씰링하고, 플랜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유체는 제2 씨링 부재가 확장되어 접합 면을 견고히 씰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 16a도는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채용되는 코어 스프링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의 오링 부재(110) 또는 씨링 부재(111)의 내부에 채용되는 코어 스프링(120)은 긴 판이 감겨서 형성되는 판 코일(coil) 스프링(121) 형식으로 제작된 스프링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코일 스프링(122)은 도면 17a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가는 긴 금속 선재를 코일 방향으로 감음으로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오링 부재(110) 또는 씨링 부재(111)에 일반적인 코일 스프링(122)을 삽입하는 경우 도면 17a도 내의 확대도와 같이, 코일 스프링(122)과 오링 부재(110) 또는 씨링 부재(111) 간의 접촉 부위인 'S'는 매우 좁은 영역일 수 밖에 없다. 즉, 오링 부재(110) 또는 씨링 부재(111)의 복원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삽입되는 코일 스프링(122)과 오링 부재(110) 또는 씨링 부재(111) 간의 접촉 면이 작기 때문에, 외부에서의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그대로 좁은 면적에 큰 압력이 인가되어 오링 부재(110) 또는 씨링 부재(111)가 쉽게 파손될 염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코어 스프링(120)은 긴 판이 감겨서 형성되는 판 코일 스프링(121)이 사용될 수 있다.
코어 스프링(120)이 판 코일 스프링(121)으로 대체되는 경우, 도면 16a도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듯이, 판 코일 스프링(121)과 오링 부재(110) 또는 씨링 부재(111) 사이의 접촉 부위인 'S'를 넓게 유지할 수 있다. 즉, 도면 17a도의 'S'보다 매우 넓은 면적의 접촉 면적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오링 부재(110)와 씨링 부재(111)가 압력을 인가받아도 그 압력이 고르게 분산될 수 있다.
따라서, 오링 부재(110)와 씨링 부재(111)가 파손되는 가능성을 좀 더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 18a도는 본 발명의 제13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3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에서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의 후프(210)가 'V'자 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3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V'자 모양으로 형성되는 후프(210)는 한번의 꺽임 공정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즉, 앞서 살펴본 'W'자 모양의 후프(210)의 경우에는 세 번의 꺽임 공정이 필요하므로 제작 공정이 다소 복잡하나, 본 발명의 제13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V'자 후프(210)를 만들기 위하여 한 번의 꺽임 공정만 진행하면 되므로, 그 생산 원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V'자 후프(210)의 경우 압력이 꺽임이 있는 한 부분에 집중되므로 'W'자 후프(210)에 비하여 외부 압력에 의하여 항복이 쉽게 일어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으나, 제작 과정이 단순하므로 비교적 저 압력의 플랜지 관의 접합 면에 채용되는 개스킷을 보다 낮은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면 19a도는 본 발명의 제14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4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에서 후프(210)의 모양이 돌출부를 구비한 판 형상의 모양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4 실시 예에서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의 후프(210)의 돌출부는 개스킷의 외측 방향을 향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돌출부로 인하여 플랜지의 외부로부터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돌출부와 제2 오링 부재가 압착되어 개스킷의 후프가 확장될 수 있다. 또한, 반대측의 제1 오링 부재는 후프의 함몰부와 압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개스킷의 외부에서나 내부에서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의 후프가 펴짐으로써 플랜지 관로 내의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4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V'자 후프(210)에 비하여 세번의 꺽임 부분이 있으므로 압력이 다소 분산된다는 부수적인 효과도 달성할 수 있다.
도면 20a도는 본 발명의 제15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5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에서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의 후프(210)가 'V'자와 'W'자의 모양이 혼용된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14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의 외측에 위치하는 후프(210)는 'V'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에 위치하는 후프(210)는 'W'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W'자 후프(210)는 두 개의 꺽임 부분으로 인하여 후프(210)에 인가되는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어서, 후프(210)가 큰 압력을 받아 항복되어 복원력을 상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V'자 후프(210)는 꺽임이 한 번밖에 없어서 압력이 꺽임이 있는 부분에 집중되어 'W'자 후프 보다는 쉽게 항복되나 제작 공정이 단순한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5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V'자 모양의 후프(210)는 개스킷의 외측에 위치하고 'W'자 모양의 후프(210)는 개스킷의 내측에 위치함으로써, 보다 강한 압력이 인가되는 내측에서의 복원력은 'W'자 후프가 담당하고 외측은 'V'자 후프가 담당함으로써 개스킷의 복원력을 향상시키면서도 그 제작 단가를 낮출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면 21a도는 본 발명의 제16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6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제15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에서, 'W'자 후프와 'V'자 후프의 위치가 바뀐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개스킷의 외측에는 'W'자 후프가 위치하고, 개스킷의 내측에는 'V'자 후프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6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플랜지의 접합 면의 외측이 내측보다 더 강한 압력을 인가되도록 제작된 특수한 구조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면 22a도는 본 발명의 제17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7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에서 오링 부재(110)가 속이 채워진 단순한 링 부재(510)로 대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7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코어 스프링(120)이 구비된 오링 부재(110)를 단순한 링 부재(510)로 대체함으로써, 그 제작 공정을 더 단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코어 스프링(120)을 구비한 오링 부재(110)에 비해서는 개스킷의 복원력이 다소 부족할 수는 있지만, 비교적 저 압력의 플랜지에 채용되는 개스킷에 대해서는 링 부재(510)로도 충분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경우에 채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면 23a도는 본 발명의 제18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8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제17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에서,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의 후프(210)가 'V'자 모양의 후프로 대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의 생산 과정을 단순하게 하여 제작 원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 24a도는 본 발명의 제19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9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제17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에서,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의 후프(210)가 돌출부를 구비한 판상 부재로 대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하여, 제19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항복되는 압력을 다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 25a도는 본 발명의 제20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0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제17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에서,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의 외측의 후프(210)는 'V'자 형상으로, 내측의 후프(210)는 'W'자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본 발명의 제20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W'자 후프(210)의 효과인 복원력 강화라는 목적을 달성하면서도, 'V'자 후프(210)의 장점인 제작 공정의 단순화로 인한 원가 절감이라는 효과도 함께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 26a도는 본 발명의 제21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1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제20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에서,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의 'V'자 후프와 'W'자 후프의 위치가 교체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플랜지의 접합 면의 외부가 내부보다 더 큰 압력을 받는 특수 구조에 사용될 수 있다.
도면 27a도는 본 발명의 제22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2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에서 내부에 코어 스프링(120)을 구비한 오링 부재(110)가 사각 링 부재(520)로 변경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2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오링 부재(110)를 사각 링 부재(520)로 대체함으로써, 그 제작공정을 단순히 시켜서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 28a도는 본 발명의 제23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3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제21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의 후프(210)가 'W'자 형상에서 'V'자 형상으로 대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3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의 후프(210)를 제작하는 공정에서 후프(210)를 한 번만 접으면 되므로 그 제작 공정을 더욱 단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3 실시 예에 의한 개스킷에 의하면, 개스킷의 생산 원가를 낮출 수 있다.
도면 29a도는 본 발명의 제24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4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제22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을 돌출부가 형성된 평판형 후프로 대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 30a도는 본 발명의 제25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5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제22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의 후프(210) 중 개스킷의 외측에 위치한 후프(210)는 'V'자 형 모양을 구비하고, 개스킷의 내측에 위치한 후프(210)는 'W'자 모양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5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내부의 'W'자 후프(210)로 인하여 플랜지 관로 주위의 높은 압력을 분산하여 인가받아 복원성이 향상될 수 있으므로, 보다 적은 비용으로도 목적하는 실링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 31a도는 본 발명의 제26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6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제25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의 외측에 위치한 후프(210)와 내측에 위치한 후프(210)의 모양이 뒤바뀐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의 외측에는 'W'자 형상의 후프가 배치되고 내측에는 'V'자 형상의 후프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5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에 의하면, 플랜지의 구조상 관로측보다 외측이 더 높은 압력을 인가받는 특수 구조에서 높은 복원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 32a도는 본 발명의 제27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7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제22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에서 사각 링 부재(520)가 요철 링 부재(530)으로 대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7 실시 예에 따른 요철 링 부재(530)는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의 외측과 내측에 각각 맞닿도록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요철은 플랜지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압력에 의해 요철 링 부재(530)가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 쪽으로 이동하는 경우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의 후프가 펴지도록 요철이 생성될 수 있다. 즉, 요철 링 부재(530)의 요철과 홈부는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의 후프의 모양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맞붙여서 밀어내는 경우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의 후프가 펴지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면 33a도는 본 발명의 제28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8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의 후프(210)는 'V'자 형상의 후프가 채용될 수 있다.
그리고,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의 외측과 내측에는 각각 'V'형 후프가 용이하게 펴지도록 요철과 홈부가 형성된 외부 링 부재(540)과 내부 링 부재(55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개스킷의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외부 링 부재(540)과 내부 링 부재(550)가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의 외측과 내측에 위치함으로써, 플랜지 접합 면으로부터의 유체가 유출되는 경우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의 후프가 펴지면서 실링 효과를 극대화하도록 할 수 있다.
도면 34a도는 본 발명의 제29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9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의 외측에는 'V'자형 후프가 내측에는 'W'자 후프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의 외측에는 외부 링 부재(540)가 위치하고,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의 내측에는 요철 링 부재(530)가 위치할 수 있다. 즉, 개스킷의 외측에는 'V'자 후프(210)의 모양과 맞도록 외부 링 부재(540)가 위치할 수 있으며, 내측에는 'W'자 후프(210)의 요철 모양과 유사하게 요철 링 부재(530)가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플랜지의 접합 면에 채용된 개스킷이 내부 또는 외부로부터 압력을 인가 받는 경우, 외부 링 부재(540)와 요철 링 부재(530)가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을 양측 또는 한쪽 측에서 압축하여 후프가 펴지도록 함으로써 실링 효과가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면 35a도는 본 발명의 제30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0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의 후프(210)는 개스킷의 외측에는 'W'자 형상의 후프가 장착되고, 내측에는 'V'자 모양의 후프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의 외측에는 두 개의 홈부를 구비한 외부 링 부재(560)가 위치할 수 있으며,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의 내측에는 내부 링 부재(550)이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플랜지의 접합 면으로부터 유체가 유출되는 경우 외부 링 부재(540)와 내부 링 부재(550)가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의 방향으로 압축되어 후프(210)가 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개스킷이 플랜지의 접합 면에 밀착되어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개스킷은 도면 3b도와 같이 전체적으로 링(ring) 형상의 모습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타원형(oval), 사각형(oblong square), 마름모형(diamond)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캠프로파일(600)은 고온, 고압 등의 극한의 조건에서도 우수한 압축력 및 복원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온용 금속 소재로 형성된 것으로서, 스테인레스(steinless) 또는 인코넬(inconel)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테인레스 스틸(steel) 347, 인코넬 825 등이 적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그 외에 스테인레스 스틸(SS; Stainless steel) 300 계열, 400 계열 외 다수 계열에서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인코넬 600 계열, 700 계열, 800 계열 등 그 외의 특수 재질의 사용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개스킷은 더블(double) 재킷 구조의 피복재 내부에 캠프로파일(600)을 삽입함으로써, 고온, 고압 등 극한의 조건에서도 우수한 압축력 및 복원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우수한 압축력 및 복원성으로 인하여 밀봉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콜드 플로우나 과체 부압으로 인한 개스킷의 파손에 대하여도 저항이 큰 개스킷을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이러한 저항성의 달성으로 인하여 대형 사이즈로의 설치 및 취급 시에도 뛰어난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는 개스킷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캠프로파일(600)을 채용한 개스킷은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에 비해서는 압축성이 다소 떨어지지만 고온 고압에서 사용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개스킷의 캠프로파일(600)은 스토퍼(Stopper) 역할을 하게 되므로 비정상적인 플랜지의 플래트니스(Flatness) 부분에서 파손 없는 높은 장착성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높은 압축 강도에서도 파손 없이 충분한 면압(surface stress)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충분한 면압이라 함은 적정 볼트 토크(blot torque)를 비롯하여 핫 볼팅(hot bolting) 까지 가혹 조건을 포함한 것을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캠프로파일(600)의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톱니 부재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톱니 부재는 세레이션(serration) 가공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캠프로파일(600)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된 톱니 부재를 통하여 저 체부압에서 체결 볼트의 하중을 톱니 부재의 뫼 부위에 집중시켜 저 체부압에서 빈틈없는 밀봉성을 유지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각 도면은 개스킷의 내부 구성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각 개스킷의 절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3b도와 도면 4b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 모습과 그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도면 4b도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캠프로파일(600), 오링 부재(110), 제1 재킷(320), 제2 재킷(3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재킷(320) 상에는 캠프로파일(600)이 안착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캠프로파일(600)의 내측에는 오링 부재(11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재킷(310)은 캠프로파일(600), 오링 부재(110) 및 제1 재킷(320)의 일부를 감싸도록 개스킷의 상부로부터 벤딩(bending) 처리 될 수 있다.
도면 3b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개스킷의 내부에 구비되는 캠프로파일(600)의 내측에는 오링 부재(110)와 밀착되어 접하도록 오목한 굴곡을 가지는 내측 단부(6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내측 단부(610)를 통하여 개스킷 내부의 캠프로파일(600)이 좌우로 움직여서 오링 부재(110)가 파손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개스킷의 실링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면 5b도 내지 도면 8b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과 그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도면 8b도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듯이, 제1 재킷(320), 캠프로파일(600), 오링 부재(110), 제2 재킷(310)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이 제1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과 다른 점은 제1 재킷(320)이 위로 벤딩 처리되어 내부에 캠프로파일(600)과 오링 부재(110)를 수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도면 5b도 내지 도면 7b도는 제2 실시 예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면 5b도의 개스킷은 캠프로파일(600)의 내측 단부(610)가 오링 부재(110)와 밀착 가능하도록 오목한 형태로 제작된 것을 도면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으며, 외측 단부(620)는 부드러운 모서리를 가지는 볼록한 굴곡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면 6b도의 개스킷은 캠프로파일(600)의 양측 단부가 모두 볼록한 굴곡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도면 7b도의 개스킷은 개스킷 내부의 캠프로파일(600)의 내측 단부(610)만 오링 부재와 밀착되어 접하도록 오목한 굴곡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도면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와 그 변형된 형태는 도면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는 구조를 통하여, 제1 재킷(320)과 제2 재킷(31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외부 압력에 대해 더 강인한 개스킷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스킷의 내측과 외측이 제1 재킷(320)과 제2 재킷(310)에 의하여 중첩적으로 보호됨으로써, 외부 압력에 대하여 더욱 강인하고 실링 능력이 향상된 개스킷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 9b도 내지 도면 12b도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과 그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과 그 변형된 형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과 그 변형된 형태와 대비하여, 개스킷 내부의 오링 부재(110)가 개스킷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에 위치한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와 제2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오링 부재(110)가 내측에 위치함으로써 관 플랜지의 내부에서부터 개스킷으로 전달되는 압력에 대하여 더 효과적인 실링성을 제공하였다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는 개스킷 내부의 오링 부재(110)를 외측에 위치시킴으로써 관 플랜지의 볼트 체결이 느슨해지는 경우와 같은 저 체부압 상황에서 오링 부재(110)가 팽창하여 실링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면 13b도 내지 도면 14b도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과 그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의 개스킷은 제3 실시 예의 개스킷에 비하여 제1 재킷(320)이 평평한 형태로 제작된 개스킷으로서, 보다 낮은 압력 조건하에서 사용될 수 있는 개스킷으로서, 제1 재킷의 크기 절감을 통하여 제작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형태의 개스킷이다.
도면 15b도 내지 도면 16b도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과 그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5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캠프로파일(600)의 내측 및 외측 양측에 오링 부재(11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캠프로파일(600)의 내측 단부(610)와 외측 단부(620)는 모두 오링 부재(110)와 밀착되어 접하도록 오목한 굴곡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5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된 형태인 도면 16b도의 개스킷은 캠프로파일(600)의 내측 단부(610)와 외측 단부(620)가 모두 부드러운 모서리를 가지는 볼록한 굴곡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캠프로파일(600)의 양측에 구비되는 오링 부재(110)를 통하여 관로의 유체의 압력에 대한 저항성과 저 체부압하에도 견고한 실링성을 유지할 수 있는 두 가지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또한, 오목 또는 볼록하게 형성되는 캠프로파일(600)의 내측 단부(610)와 외측 단부(620)를 통하여 제1 재킷(320) 또는 제2 재킷(310)이 외부 충격 등에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 17b도 내지 도면 18b도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과 그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6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제5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과 기본 구조가 유사하나, 제1 재킷(320)이 개스킷의 상부로 벤딩 처리되어 캠프로파일(600)의 외측 및 내측에 구비되는 오링 부재(110)를 감싸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개스킷의 내측과 외측이 제1 재킷(320)과 제2 재킷(310)에 의하여 중첩적으로 보호됨으로써, 외부 압력에 대하여 더 강인하며, 파손의 염려가 적은 개스킷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 19b도 내지 도면 21b도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과 그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7 실시 예의 개스킷은 개스킷 내부 중앙에 배치되는 오링 부재(110), 오링 부재(110)의 내측에 구비되는 캠프로파일(600), 오링 부재(110)의 외측에 구비되는 외측 캠프로파일(700), 제1 재킷(320), 제2 재킷(310)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캠프로파일(600)과 외측 캠프로파일(700)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서, 오링 부재(110)를 중심으로 양 옆에 배치되는 캠프로파일을 구분하기 위한 용어일 뿐 서로 상이한 것을 가리키는 것을 지칭하는 것이 아님을 유의할 필요가 있으며, 본 발명의 설명에서 구별의 용이성을 위하여 사용된 용어임을 주의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내측에 위치하는 캠프로파일(600)에는 오링 부재(110)와 밀착 접촉하기 위한 오목한 굴곡을 가지는 외측 단부(6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개스킷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캠프로파일(700)에도 오링 부재(110)와의 밀착 접촉을 위하여 제2 내측 단부(71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외측 단부(620)와 제2 내측 단부(710)의 모습은 도면 19b도 내지 도면 21b도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듯이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개스킷의 내부 중앙에 위치하는 오링 부재(110), 오링 부재(110)의 내측에 위치하는 캠프로파일(600), 오링 부재(110)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캠프로파일(700)은 제1 재킷(320)에 의하여 감싸지듯이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재킷(310)은 개스킷의 상부로부터 오링 부재(110), 캠프로파일(600), 외측 캠프로파일(700) 및 제1 재킷(320)을 감싸도록 벤딩 처리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에 의하면, 개스킷의 중앙에 위치한 오링 부재를 통하여 인가되는 압력을 골고루 분산시킬 수 있는 동시에, 저 체부압하에도 체결 볼트의 하중을 톱니 부재의 뫼 부위에 집중시켜 더 높은 실링성을 달성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면 22b도 내지 도면 23b도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과 그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과 구조면에서 유사하나, 오링 부재(110)의 내부에 스프링(120)이 구비된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스프링(120)은 판 코일 스프링이 채용될 수 있다.
오링 부재(110)의 내부에 채용되는 스프링(120)을 통하여, 제8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개스킷의 복원력을 확보하는 동시에 외부에서 인가되는 압력을 동일하게 분산하여 개스킷의 수명을 연장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캠프로파일(600)의 내측 단부(610)가 오링 부재(110)와 밀착 접촉이 가능하도록 오링 부재(110)와 유사한 곡률 반경을 가지는 오목 홈부를 가지는 경우, 외부 충격이나 마찰에 의하여 오링 부재(1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역시 함께 구비할 수 있다.
도면 24b도 내지 도면 27b도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과 그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과 기본 구조는 유사하나, 오링 부재(110)의 내부에 추가로 스프링(120)이 구비된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압력을 분산하여 개스킷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9 실시 예의 개스킷 역시, 캠프로파일(600)의 내측 단부(610)나 외측 단부(620)의 형상을 오링 부재(110) 또는 제1 재킷(320) 및 제2 재킷(31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오목한 굴곡 또는 부드러운 모서리를 가지는 볼록한 굴곡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면 28b도 내지 도면 31b도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과 그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0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오링 부재(110)의 내부에 스프링(120), 특히 판 코일 스프링이 구비된 점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과 차이가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달성될 수 있는 효과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다.
도면 32b도 내지 도면 33b도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과 그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11 실시 예의 개스킷은 제4 실시 예의 개스킷의 오링 부재(110) 내부에 스프링(120)이 구비된 것으로서, 이러한 스프링(120)을 통하여 더 나아진 복원력과 실링 성능을 달성할 수 있다.
도면 34b도 내지 도면 35b도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과 그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2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제5 실시 예의 개스킷의 오링 부재(110)의 내부에 판 코일 스프링 형태의 스프링(12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스프링(120)으로 인하여 제5 실시 예의 개스킷 보다 더 큰 복원력과 실링성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 36b도 내지 도면 37b도는 본 발명의 제13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과 그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3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도 제6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과 대비하여 오링 부재(110) 내부에 스프링(120)을 더 구비한 점에서 특징이 있으며, 이를 통하여 달성할 수 있는 추가적 효과는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도면 38b도 내지 도면 40b도는 본 발명의 제14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과 그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14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제7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에서 복원력 및 실링성 향상을 위하여 오링 부재(110)의 내부에 스프링(120)을 추가로 구비한 점에서 특징이 있다.
이하, 도면 41b도 내지 도면 71b도는 위에서 살펴본 개스킷의 각각의 실시 예에 추가로 제1 재킷(320) 및 제2 재킷(310) 상에 실링층(800)을 더 구비한 개스킷으로서 이러한 실시 예의 개스킷은 앞서 살펴본 개스킷의 실링 능력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면 41b도 내지 도면 42b도는 본 발명의 제15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과 그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5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제1 재킷(320)과 제2 재킷(310) 상에 추가로 실링층(80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실링층(800)은 흑연, 운모,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uloroethylene, PTFE), 은, 스테인레스 스틸 분무제, 세라믹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5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이러한 실링층(800)을 통하여 제1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이 구비하는 효과와 더불어, 개스킷과 플랜지 사이의 접합 면의 밀착을 더욱 견고하게 유지시킴으로써 더욱 향상된 실링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도면 43b도 내지 도면 46b도는 본 발명의 제16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과 그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6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제1 재킷(320)과 제2 재킷(310) 상에 추가로 실링층(800)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실링층(800)을 통하여 개스과 플랜지 사이의 접합면의 밀착을 더욱 견고하게 유지시킴으로써 개스킷의 실링성이 더욱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면 47b도 내지 도면 50b도는 제17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과 그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7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도 역시 실링성의 향상을 위하여, 제3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제1 재킷(320)과 제2 재킷(310) 상에 추가로 실링층(800)이 더 구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 51b도 내지 도면 52b도는 제18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과 그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8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제4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에 있어서 제1 재킷(320)과 제2 재킷(310) 상에 추가로 실링층(80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 53b도 내지 도면 54b도는 제19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과 그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9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도 역시 제5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외면에 실링층(800)을 추가로 더 구비하여, 제5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보다 더 안정적인 실링 효과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면 55b도 내지 도면 56b도는 제20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과 그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0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제6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에 있어서, 개스킷의 제1 재킷(320)과 제2 재킷(310) 상에 실링층(800)이 추가로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도면 57b도 내지 도면 59b도는 제21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과 그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1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제7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에 있어서, 제1 재킷(320) 및 제2 재킷(310) 상에 실링층(800)이 추가적으로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이로 인하여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다.
도면 60b도 내지 도면 61b도는 제22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과 그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22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실링성의 향상을 위하여, 제8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제1 재킷(320)과 제2 재킷(310) 상에 실링층(800)을 추가로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도면 62b도 내지 도면 65b도는 제23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과 그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3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실링성의 향상을 위하여, 제9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에 추가로 실링층(800)을 더 구비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도면 66b도 내지 도면 69b도는 제24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과 그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4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제10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제1 재킷(320) 및 제2 재킷(310) 상에 실링층(800)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 70b도 내지 도면 71b도는 제25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과 그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5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제11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에 추가로 실링층(80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 72b도 내지 도면 76b도는 재킷 안의 캠프로파일의 상하로 실링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들의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실시 예의 개스킷들은 캠프로파일(600)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되는 내부 실링층(810)을 통하여 캠프로파일(600)이 외부 압력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면 72b도는 제26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제1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에 추가로 캠프로파일(60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내부 실링층(8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 73b도는 제27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제10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에서, 캠프로파일(60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내부 실링층(81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 74b도는 제28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제11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에서 캠프로파일(600)의 상면 및 하면에 내부 실링층(810)이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이다.
도면 75b도는 제29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제14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에서 캠프로파일(600)의 상면 및 하면에 내부 실링층(810)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하여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다.
도면 76b도는 제30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제3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에서 캠프로파일(600)의 상면 및 하면에 내부 실링층(810)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 77b도 내지 도면 80b도는 개스킷의 재킷 상에 실링층(800)이 구비될 뿐만 아니라, 내부의 캠프로파일(600)의 상하면에도 각각 내부 실링층(810)이 추가로 더 구비된 개스킷을 실시 예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 예의 개스킷들은 재킷 상에 형성되는 실링층(800)을 통하여 더욱 높은 실링 능력을 제공할 수 있는 동시에, 개스킷 내부의 캠프로파일(600)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되는 내부 실링층(810)을 통하여 외부 압력에 의하여 캠프로파일(6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 77b도는 제31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제15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에서 캠프로파일(600)의 상면 및 하면에 내부 실링층(810)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 78b도는 제32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제27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에서 제1 재킷(320)과 제2 재킷(310) 상에 실링층(800)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 79b도는 제33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제28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에서 제1 재킷(320)과 제2 재킷(310) 상에 실링층(800)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 80b도는 제34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제29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에서 제1 재킷(320)과 제2 재킷(310) 상에 실링층(800)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 81b도는 제35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제17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제1 재킷(320)과 제2 재킷(310) 상에 형성되는 실링층(800)과 개스킷 내부의 캠프로파일(60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형성되는 내부 실링층(8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개스킷은 도면 3c도와 같이 전체적으로 링(ring) 형상의 모습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타원형(oval), 사각형(oblong square), 마름모형(diamond)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캠프로파일(10)은 고온, 고압 등의 극한의 조건에서도 우수한 압축력 및 복원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온용 금속 소재로 형성된 것으로서, 스테인레스(steinless) 또는 인코넬(inconel)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테인레스 스틸(steel) 347, 인코넬 825 등이 적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각 도면은 개스킷의 내부 구성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각 개스킷의 절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2c도 내지 도면 3c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과 그 변형된 형태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캠프로파일(10), 캠프로파일(10)의 내측에 형성되는 씨링 단부(11), 씨링 단부(11) 내부에 수용되는 오링 부재(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캠프로파일(10)의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톱니 부재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톱니 부재는 세레이션(serration) 가공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캠프로파일(10)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된 톱니 부재를 통하여 저체 부압하의 체결 볼트의 하중을 톱니 부재의 뫼 부위에 집중시켜 저체 부압하에서도 빈틈없는 밀봉성을 유지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캠프로파일(10)의 내측에 씨링 단부(11)를 형성함으로써, 외부 재킷이 없어도 오링 부재(20)를 간단하게 캠프로파일(10)의 일측에 고정 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오링 부재(20)는 개스킷에 큰 항복성을 제공함으로써, 개스킷의 복원력을 향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 3c도의 개스킷은 제1 실시 예의 개스킷의 캠프로파일(10)의 외측에 길이 조절 단부(13)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길이 조절 단부(13)는 톱니 부재가 미형성된 부분으로서, 플랜지의 크기에 맞추어 개스킷의 크기를 맞추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면 4c도 내지 도면 5c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과 그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개스킷의 캠프로파일(10)의 외측으로 후프 지지 단부(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후프 지지 단부(12)는 후프(30)를 효과적으로 밀착 지지하기 위하여 오목한 홈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후프(30)는 지그재그 형상의 단면과 탄성을 가진 금속 스트립(strip)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도면 4c도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두 개의 뫼와 하나의 골을 가지는 'W'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후프(30)의 두 개의 뫼는 개스킷의 외측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플랜지의 관로에서 유체가 유출되는 경우, 후프(30)가 유체의 압력에 의하여 벌어져서 추가 유출을 방지토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개스킷에 적용되는 후프(30)는 꺽임 부분이 3번 형성되어 'W'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W'자 모양의 후프(30)는 꺽임 부분이 3번 있으므로 개스킷의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압력이 각 꺽임 부분에 골고루 분산되어 인가됨으로써 후프(30)가 외부 압력에 항복하여 복원력을 잃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후프(30)의 두개의 뫼의 방향은 개스킷의 외측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후프 지지 단부(12)는 후프(30)의 하나의 골을 효과적으로 오목한 홈부인 오목부에 수용하여 후프(3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 5c도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에서 후프 지지 단부(12)의 모습이 변형된 예를 보여준다. 이러한 제2 실시 예의 변형 예는 후프 지지 단부(12)의 오목부의 깊이를 보다 깊게 형성함으로써 후프를 더 단단히 밀착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 6c도 내지 도면 7c도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후프(30) 사이에 필러(31)가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필러(31)는 흑연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흑연, 세라믹, 운모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비 석면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사용되는 비금속성 소재의 필러(31)는 후프(30)가 소성 변형을 하는 동안 압축성이 후프(30)의 잔류 응력을 일정하게 유지토록 하는 기능을 한다.
도면 7c도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면 6c도의 개스킷에 비하여 후프 지지 단부(12)가 더 깊은 오목부를 가지도록 하여 후프 부재를 더 단단히 밀착 지지토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개스킷에서 캠프로파일(10)의 씨링 단부(11)의 내부에는 오링 부재(20) 대신에 스프링(40)이 삽입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개스킷은 캠프로파일(10)의 씨링 단부(11) 내부에 오링 부재(20)나 스프링(40)이 삽입됨이 없이 독자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캠프로파일(10)의 이러한 씨링 단부(11)는 외부로부터 내압이 걸리는 상황에서 자기 작동(self energizing) 역할을 하게 되어 밀봉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면 8c도 내지 도면 9c도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과 그 변형 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제4 실시 예의 개스킷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오링 부재(20)의 내부에 스프링(4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러한 스프링(40)으로 판 코일 스프링이 채용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40)을 통하여 제4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개스킷의 복원력을 확보하는 동시에 외부에서 인가되는 압력을 동일하게 분산하여 개스킷의 수명을 연장 시킬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면 10c도 내지 도면 11c도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과 그 변형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5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에서 오링 부재(20)의 내부에 스프링(4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스프링(40)을 통하여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다.
도면 12c도 내지 도면 13c도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과 그 변형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6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도 제3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에서 오링 부재(20)의 내부에 스프링(40)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 14c도 내지 도면 25c도는 캠프로파일(10)이 볼록한 형상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4c도 내지 도면 15c도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과 그 변형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7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캠프로파일(10)은 상면과 하면이 볼록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캠프로파일(10)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되는 톱니 부재는 단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톱니 부재의 뫼가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 뫼와 뫼 사이에 수평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러한 톱니 부재의 각 뫼의 높이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정리하면, 캠프로파일(10)의 상면과 하면의 모습은 전체적으로 볼록한 형상이지만, 이러한 상면과 하면에 각각 형성되는 톱니 부재들의 뫼의 높이는 실질적으로 동일하여, 플랜지의 면과 균일하게 맞닿을 수 있다.
따라서, 제7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전체적으로 볼록한 형상을 통하여 외부에서 인가되는 압력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동시에, 캠프로파일(10)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된 톱니 부재를 통하여 저체 부압하에서도 높은 실링성을 유지토록 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면 15c도는 제7 실시 예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캠프로파일(10)의 외측 방향에 길이 조절 단부(13)가 형성된 모습을 보여주며, 그 효과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다.
도면 16c도 내지 도면 17c도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과 그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8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캠프로파일(10)의 외측 방향으로 후프 지지 단부(12)를 형성되고, 이러한 후프 지지 단부(12)를 이용하여 후프(30)가 밀착 접촉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도면 17c도는 좀 더 깊은 오목부를 가지는 후프 지지 단부(12)가 형성된 개스킷의 예를 보여준다.
도면 18c도 내지 도면 19c도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과 그 변형 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제3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에서 캠프로파일(10)이 볼록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그 효과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다.
도면 20c도 내지 도면 21c도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과 그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10실시 예의 개스킷은 개스킷의 복원력 향상을 위하여, 제7 실시 예의 개스킷의 오링 부재(20) 내부에 추가로 스프링(4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도면 21c도의 개스킷은 캠프로파일(600)의 외측 방향에 길이 조절 단부(13)가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 22c도 내지 도면 23c도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과 그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11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도 역시 복원력 향상을 위하여 제8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오링 부재(20)의 내측에 추가적으로 스프링(4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 24c도 내지 도면 25c도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과 그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12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제9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에 추가로 스프링(40)이 오링 부재(20)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로 인한 효과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다.
도면 26c도 내지 도면 49c도의 실시 예의 개스킷은 캠프로파일(10)의 씨링 단부(11)가 개스킷의 외측으로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이러한 실시 예의 개스킷들은 캠프로파일(10)의 씨링 단부(11)를 외측 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오링 부재(20)가 개스킷의 외측에 위치토록 하여 관 플랜지의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에 대한 강인성을 제공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즉, 오링 부재(20)가 내측에 위치할 때는 관로의 유로측에서 인가되는 압력을 효율적으로 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 처럼, 오링 부재(20)를 개스킷의 외측에 위치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개스킷은 외부 충격에 좀 더 강인한 개스킷을 제공할 수 있다.
먼저, 제26도 내지 제27도는 본 발명의 제13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과 그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제1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에 비하여 씨링 단부(11)와 이에 수용되는 오링 부재(20)가 개스킷의 외측 부분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 28c도 내지 도면 29c도는 본 발명의 제14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제8 실시 예의 개스킷에서 씨링 단부(11)와 오링 부재(20)의 위치가 내측에서 외측으로 옮겨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 30c도 내지 도면 31c도는 본 발명의 제15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제9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에서 씨링 단부(11)와 오링 부재(20)의 위치가 반대 방향으로 바뀐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 32c도 내지 도면 33c도는 본 발명의 제15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과 그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개스킷의 실링성 향상을 위하여 제13 실시 예의 개스킷의 오링 부재(20)의 내부에 추가로 스프링(4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 34c도 내지 도면 35c도는 본 발명의 제16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과 그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제11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오링 부재(20)와 후프(30)의 방향이 외측 방향으로 이동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도면 36c도 내지 도면 37c도는 본 발명의 제17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으로서, 제16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후프(30) 사이 사이에 필러(31)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 38c도 내지 도면 39c도는 제18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과 그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제7 실시 예의 개스킷의 씨링 단부(11)와 오링 부재(20)가 개스킷 외측으로 이동된 모습을 보여준다.
도면 40c도 내지 도면 41c도는 제19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과 그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제2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씨링 단부(11)와 오링 부재(20)가 개스킷 외측 방향에 위치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42c도 내지 도면 43c도는 제20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과 그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제3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각 구조가 대칭 이동된 상태로 보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 44c도 내지 도면 45c도는 제21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과 그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복원력을 더욱더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18 실시 예의 개스킷의 오링 부재(20)의 내부에 스프링(40)이 추가적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 46c도 내지 도면 47c도는 제22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과 그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제19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오링 부재(20) 내에 역시 스프링(40)이 구비된 모습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러한 스프링(40)으로는 판 코일 스프링이 채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면 48c도 내지 도면 49c도는 제23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과 그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복원력 향상을 통한 높은 실링성 달성을 위하여 오링 부재(20) 내부에 스프링(40)이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면이다.
도면 1d 내지 4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의 개스킷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1d 내지 4d에서 도면의 오른쪽은 개스킷의 내측 방향이며, 왼쪽은 외측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외측 방향에 위치한 오링 부재의 내부의 스프링은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해당 스프링은 판 코일 스프링이 채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캠프로파일(600)은 선택적으로 톱니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톱니 부재는 저 체부압 하에서 인가된 압력을 톱니 부재의 뫼에 모이게 함으로써, 관로를 흐르는 유체가 외부로 세는 것을 막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의 후프와 필러로 형성되는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200)은 자캣 내에서 내측 또는 중앙에 위치할 수 있으며, 후프의 두 개의 뫼의 방향은 외측을 향하도록 배향되어 플랜지의 관로로부터 유출되는 유체가 발생시 그 압력에 의하여 후프가 벌어져서 유체가 외부로 세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개스킷은 캠프로파일(600)과 개스킷(200)의 상보적인 역할 수행으로 실링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관체
2 : 플랜지
5 : 종래의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의 후프
6 : 종래의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의 필러
110 : 오링 부재
111 : 씨링 부재
120 : 코어 스프링
121 : 판 코일 스프링
122 : 코일 스프링
200 :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
210 : 후프
220 : 필러
310 : 제2 재킷
320 : 제1 재킷
410 : 제3 실링층
411 : 내부 실링층
420 : 외부 실링층
421 : 제1 실링층
422 : 제2 실링층
510 : 링 부재
520 : 사각 링 부재
530 : 요철 링 부재
540 : 외부 링 부재
550 : 내부 링 부재
560 : 두 개의 홈부를 구비한 외부 링 부재
600 : 캠프로파일
610 : 내측 단부
620 : 외측 단부
700 : 외측 캠프로파일
710 : 제2 내측 단부
800 : 실링층
810 : 내부 실링층
10 : 캠프로파일
11 : 씨링 단부
20 : 오링 부재
12 : 후프 지지 단부
13 : 길이 조절 단부
30 : 후프
31 : 필러
40 : 스프링

Claims (1)

  1. 실링성이 뛰어난 개스킷.

KR1020160028778A 2015-03-13 2016-03-10 개스킷 KR1026140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32690P 2015-03-13 2015-03-13
US62/132,690 2015-03-13
US201662300309P 2016-02-26 2016-02-26
US62/300,309 2016-0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0898A true KR20160110898A (ko) 2016-09-22
KR102614023B1 KR102614023B1 (ko) 2023-12-18

Family

ID=56887560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8704A KR101960335B1 (ko) 2015-03-13 2016-03-10 개스킷 및 이의 제작 방법
KR1020160028778A KR102614023B1 (ko) 2015-03-13 2016-03-10 개스킷
KR1020160028776A KR101914262B1 (ko) 2015-03-13 2016-03-10 개스킷 및 이의 제작 방법
KR1020160028701A KR101718945B1 (ko) 2015-03-13 2016-03-10 개스킷 및 이의 제작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8704A KR101960335B1 (ko) 2015-03-13 2016-03-10 개스킷 및 이의 제작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8776A KR101914262B1 (ko) 2015-03-13 2016-03-10 개스킷 및 이의 제작 방법
KR1020160028701A KR101718945B1 (ko) 2015-03-13 2016-03-10 개스킷 및 이의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3) US10591061B2 (ko)
KR (4) KR1019603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4338A (ko) * 2017-01-16 2018-07-25 이종철 가스켓
WO2021091271A1 (ko) * 2019-11-08 2021-05-14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다중 실링층을 갖는 절연고온 가스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4048B1 (ko) * 2014-11-18 2021-12-29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개스킷
KR101960335B1 (ko) * 2015-03-13 2019-03-21 이종철 개스킷 및 이의 제작 방법
CN113864451A (zh) * 2016-09-09 2021-12-31 李钟彻 垫圈
KR20180063566A (ko) * 2016-12-02 2018-06-12 이종철 개스킷
WO2018203730A2 (ko) * 2017-05-05 2018-11-08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개스킷용 실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개스킷
KR20180122913A (ko) * 2017-05-05 2018-11-14 이종철 개스킷용 실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개스킷
DE102018105611A1 (de) * 2018-03-12 2019-09-12 Lar Process Analysers Ag Messanordnung und Messverfahren zur Bestimmung eines Inhaltsstoffes oder Qualitätsparameters von Wasser oder Abwasser
CN108612939B (zh) * 2018-07-03 2020-12-08 湖州贝德流体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高温流体管道的高弹法兰垫
NL1043013B1 (en) 2018-09-26 2020-05-29 Eriks Nv Gasket with long term sealing capacity
WO2021162223A1 (ko) * 2020-02-10 2021-08-19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가스켓
CN111649133A (zh) * 2020-06-03 2020-09-11 滨州双峰石墨密封材料有限公司 缠绕垫片
KR102425764B1 (ko) * 2020-10-13 2022-07-27 제일 이엔에스 주식회사 메탈 가스켓
KR102425763B1 (ko) * 2020-10-13 2022-07-27 제일 이엔에스 주식회사 메탈 가스켓
KR102241583B1 (ko) * 2020-10-13 2021-04-16 제일 이엔에스 주식회사 메탈 가스켓
KR102506198B1 (ko) * 2021-03-04 2023-03-06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고온용 가스켓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4755Y1 (ko) * 1999-07-12 2000-02-15 주식회사국일 스파이럴와운드가스켓
KR200196868Y1 (ko) * 2000-04-26 2000-09-15 주식회사국일 가스켓
KR200209203Y1 (ko) * 2000-08-11 2001-01-15 주식회사국일 팽창방지 기능을 갖는 가스켓
KR101184927B1 (ko) * 2010-05-28 2012-09-20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메탈 개스킷
KR101184921B1 (ko) * 2010-05-28 2012-09-20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메탈 개스킷
JP2012219938A (ja) * 2011-04-11 2012-11-12 Nichias Corp うず巻形ガスケット
JP2012219937A (ja) * 2011-04-11 2012-11-12 Nichias Corp 渦巻形ガスケット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38496A (en) * 1929-03-05 1931-12-29 Victor Mfg & Gasket Co Gasket
US1793423A (en) * 1929-08-07 1931-02-17 Fitzgerald Mfg Co Cylinder-head gasket
US1846402A (en) * 1930-12-22 1932-02-23 Victor Mfg & Gasket Co Gasket
US2157102A (en) * 1936-11-06 1939-05-09 Victor Mfg & Gasket Co Reinforced laminated gasket
US2357257A (en) * 1942-12-28 1944-08-29 Goetze Gasket & Packing Co Inc Reinforced gasket
US2442312A (en) * 1946-07-11 1948-05-25 Flexitallic Gasket Co Inc Spiral wound gasket
FR1095569A (fr) * 1953-12-11 1955-06-03 Joint Francais Perfectionnement aux joints métalloplastiques
US3909019A (en) * 1972-06-14 1975-09-30 Toma D Leko Gaskets
US3815927A (en) * 1972-11-24 1974-06-11 Metallo Gasket Co Gasket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e
JPS59229037A (ja) * 1983-06-09 1984-12-22 Yuusan Gasket Kk 排気マニホ−ルド用ガスケツト
JPS59229036A (ja) * 1983-06-09 1984-12-22 Yuusan Gasket Kk 排気マニホ−ルド用ガスケツト
US4662643A (en) * 1986-04-14 1987-05-05 Felt Products Mfg. Co. Head gasket assembly for closely adjacent cylinder bores and method of making same
JPH0521653Y2 (ko) * 1988-07-09 1993-06-03
US5165372A (en) * 1990-04-18 1992-11-24 Ishikawa Gasket Co., Ltd. Steel laminate type cylinder head gasket
JP2539057Y2 (ja) * 1991-02-19 1997-06-18 石川ガスケット株式会社 シリンダヘッドガスケット
JPH0643574Y2 (ja) * 1991-05-30 1994-11-14 石川ガスケット株式会社 金属積層形ガスケット
US5306023A (en) * 1991-09-10 1994-04-26 Ishikawa Gasket Co., Ltd. Cylinder head gasket with auxiliary sealing plate
US5460387A (en) * 1992-07-21 1995-10-24 Ishikawa Gasket Co., Ltd. Metal laminate gasket having sealing mechanism formed of recess and flange
JP2520352Y2 (ja) * 1992-10-01 1996-12-18 石川ガスケット株式会社 ヘッドガスケット
JP2595635Y2 (ja) * 1992-10-06 1999-05-31 石川ガスケット 株式会社 金属積層形ガスケット
US5338046A (en) * 1992-12-18 1994-08-16 Dana Corporation Composite powdered metal retaining ring
US5505466A (en) * 1992-12-18 1996-04-09 Dana Corporation Cylinder head gasket with retaining ring and spring seal
GB2278651B (en) * 1993-06-04 1996-01-24 Flexitallic Ltd Sealing gasket device
US5511797A (en) * 1993-07-28 1996-04-30 Furon Company Tandem seal gasket assembly
JP3316046B2 (ja) * 1993-08-16 2002-08-19 大同工業株式会社 シールチェーン
US5518257A (en) * 1993-08-23 1996-05-21 Corrosion Control Corp. Seal device for flow line applications
US5609344A (en) * 1993-12-28 1997-03-11 Yumex Corporation Spiral gasket having a centering spring
US5549307A (en) * 1994-10-17 1996-08-27 Fel-Pro Incorporated Multi-layer metal gasket with double beaded combustion seal
US5601294A (en) * 1995-05-01 1997-02-11 Stritzke; Bernard G. Head gasket
JPH0953726A (ja) * 1995-08-09 1997-02-25 Marusan:Kk シリンダヘッドガスケット
EP0775856A1 (en) * 1995-11-23 1997-05-28 TAKO PAYEN S.p.a. Exhaust tube gasket for combustion gases
DE19654283A1 (de) * 1996-12-24 1998-06-25 Reinz Dichtungs Gmbh Metallische Flachdichtung
US5921558A (en) * 1997-04-15 1999-07-13 Dana Corporation High recovery combustion seal gasket
BR0111677B1 (pt) * 2000-06-15 2009-12-01 junta plana e processo para a produção da mesma.
DE10058495A1 (de) * 2000-11-24 2002-06-06 Federal Mogul Sealing Sys Spa Metallische Zylinderkopfdichtung
US6517086B1 (en) * 2001-05-23 2003-02-11 Dana Corporation Exhaust pipe gasket
US6669204B2 (en) * 2002-03-25 2003-12-30 Federal-Mogul World Wide, Inc. Cylinder head gasket having reinforced combustion seal
JP3986351B2 (ja) * 2002-04-18 2007-10-0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キャスク
US20050116427A1 (en) * 2003-11-25 2005-06-02 Francis Seidel Corrugated gasket core with profiled surface
WO2005057056A2 (en) * 2003-12-05 2005-06-23 Garlock Sealing Technologies, Llc Gasket of non-rounded shape with installation aids
US9285062B2 (en) * 2007-11-02 2016-03-15 Lamons Gasket Company Spiral-wound gasket
JP2010203509A (ja) * 2009-03-03 2010-09-16 Ishikawa Gasket Co Ltd 金属積層形シリンダヘッドガスケット
KR20090064540A (ko) * 2009-03-13 2009-06-19 다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개스킷
GB0922625D0 (en) * 2009-12-24 2010-02-10 Flexitallic Ltd A gasket
WO2013148025A1 (en) * 2012-03-26 2013-10-03 Lamons Gasket Company Flange gasket
US20140333035A1 (en) * 2013-05-10 2014-11-13 Foce Technology International Bv Gasket pressure sensor
KR101527571B1 (ko) * 2014-01-06 2015-06-09 제일 이엔에스 주식회사 캠프로파일을 구비한 메탈 오링 타입 가스켓의 제조방법
KR101960335B1 (ko) * 2015-03-13 2019-03-21 이종철 개스킷 및 이의 제작 방법
JP6577421B2 (ja) * 2016-06-24 2019-09-18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表示装置
JP2017229036A (ja) * 2016-06-24 2017-12-2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機器、撮影システム、構図判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4755Y1 (ko) * 1999-07-12 2000-02-15 주식회사국일 스파이럴와운드가스켓
KR200196868Y1 (ko) * 2000-04-26 2000-09-15 주식회사국일 가스켓
KR200209203Y1 (ko) * 2000-08-11 2001-01-15 주식회사국일 팽창방지 기능을 갖는 가스켓
KR101184927B1 (ko) * 2010-05-28 2012-09-20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메탈 개스킷
KR101184921B1 (ko) * 2010-05-28 2012-09-20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메탈 개스킷
JP2012219938A (ja) * 2011-04-11 2012-11-12 Nichias Corp うず巻形ガスケット
JP2012219937A (ja) * 2011-04-11 2012-11-12 Nichias Corp 渦巻形ガスケッ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4338A (ko) * 2017-01-16 2018-07-25 이종철 가스켓
WO2021091271A1 (ko) * 2019-11-08 2021-05-14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다중 실링층을 갖는 절연고온 가스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8945B1 (ko) 2017-03-23
US20160265663A1 (en) 2016-09-15
US9664286B2 (en) 2017-05-30
KR20160110896A (ko) 2016-09-22
US20160377179A1 (en) 2016-12-29
KR20160110895A (ko) 2016-09-22
KR101960335B1 (ko) 2019-03-21
US20160265662A1 (en) 2016-09-15
US9464718B2 (en) 2016-10-11
KR102614023B1 (ko) 2023-12-18
KR101914262B1 (ko) 2019-01-15
KR20160110897A (ko) 2016-09-22
US10591061B2 (en) 2020-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10898A (ko) 개스킷
US8622398B2 (en) Annular seal
EP0277724B1 (en) Pressure balanced s-seal
US7883094B2 (en) Offset stacked sealing system
JP6531162B2 (ja) 高純度流体通路を接合するための超密閉ガスケット
US20090160137A1 (en) Low leak O-ring seal
KR20190086565A (ko) 접속부 시일 구조 및 시일 부재
US20020153669A1 (en) Closed metal elastic gasket with offset projecting parts
KR102119780B1 (ko) 개스킷용 실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개스킷
JP6502466B2 (ja) ガスケット
KR101760387B1 (ko) 개스킷
EP1610041B1 (en) Ring-shaped metal gasket
EP0930452A1 (en) Gasket
KR20110079808A (ko) 큰 평탄성 결여를 가지는 지지표면들을 위한 변형 가능한 복합 밀봉장치
AU2010309986A1 (en) Metal seal
RU2377459C1 (ru) Уплот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200029734A (ko) 해양플랜트용 밀폐부재를 포함하는 가스켓
US20220373087A1 (en) Gaskets
KR200442213Y1 (ko) 금속관 이음구조
US622899A (en) George t
KR20180063566A (ko) 개스킷
RU2197658C1 (ru) Устройство уплотнения неподвижных соединений
JP2008175228A (ja) バタフライバルブ
KR100571146B1 (ko) 고압호스의 금구 체결부 누유방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