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0095A - 변속레버의 변위검출장치 - Google Patents

변속레버의 변위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0095A
KR20160110095A KR1020160019174A KR20160019174A KR20160110095A KR 20160110095 A KR20160110095 A KR 20160110095A KR 1020160019174 A KR1020160019174 A KR 1020160019174A KR 20160019174 A KR20160019174 A KR 20160019174A KR 20160110095 A KR20160110095 A KR 20160110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lever
magnet
rotation
hall sens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9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1665B1 (ko
Inventor
이호원
이창식
이헌옥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엠씨 filed Critical (주)에스엠씨
Priority to KR1020160019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1665B1/ko
Publication of KR20160110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0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1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1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16H59/105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25Measuring of vehicle pa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B60Y2400/3012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using Hall effect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운전석에 위치되는 변속레버를 조작하여 변속 단을 변경하면, 그 변속레버의 변위를 검출하여 변경된 변속 단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변속레버의 변위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변속레버의 변위검출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움직이는 변속레버(1)와, 상기 변속레버(1)의 움직임에 따라 회동하는 피봇암(2)을 구비하고, 상기 변속레버(1)와 피봇암(2) 사이에 변속레버(1)의 변위를 검출할 수 있는 홀센서하우징(3)을 설치하며, 상기 홀센서하우징(3)의 내부는, 일측에 자석(44)을 장착한 상태로 자석(44)의 자전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자석하우징(4)과, 타측에 자석(4)의 자전회전을 감지하는 홀센서(32)를 장착하고, 상기 자석(44)과 홀센서(32) 사이에는, 피봇암(2)으로부터 연장되어 피봇암(2)의 회동에 따라 회동하는 회전돌기(22)와, 자석하우징(4)의 일단을 연장하여 회전돌기(22)의 회동에 따라 자석하우징(4)이 회동되면서 자석(44)을 자전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안내홈(42)을 마련하여서, 상기한 변속레버(1)의 작동에 따라 그 변위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변속레버의 변위검출장치{Displacement detection apparatus of the shift lever}
본 발명은 차량의 운전석에 위치되는 변속레버를 조작하여 변속 단을 변경하면, 그 변속레버의 변위를 검출하여 변경된 변속 단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변속레버의 변위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변속레버 변위검출장치의 일 예로 등록특허공보 제10-1199070호의 경우 변속레버가 작동하면 홀센서하우징의 내에서 자석의 중심에 해당하는 회전고정핀으로부터 자석하우징 일측의 연결로드가 동작되어 자석이 자전회전하고, 이를 홀센서하우징의 내에 장치되는 홀센서가 자석의 자전회전을 감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는 변속레버의 작동을 연결로드에서 전달받도록 하기 위해 홀센서하우징에 원형슬롯과 같은 관통된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관통된 부분은 홀센서하우징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홀센서하우징의 내부로 외부의 이물질 유입되어 장시간 사용시 홀센서 및 자석의 표면에 이물질의 증착되어 감지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유발함은 물론, 차체에서 발생 되는 열기 또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습기가 관통된 부분을 통해 유입되면서 홀센서 기판을 훼손시키거나, 감지에 대한 작동오류를 일으키게 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99070호.
본 발명은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변속레버의 변위검출장치에 대한 구성 중, 변속레버와 그 변속레버를 검출할 수 있는 구성물들의 연결방식을 개선하여서, 종래와 달리 홀센서하우징에 관통되는 부분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도록 함에 그 기술적 과제를 두고 이를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한 연결방식이 적용된 본 발명에 따른 변속레버의 변위검출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움직이는 변속레버와, 상기 변속레버의 움직임에 따라 회동하는 피봇암을 구비하고, 상기 변속레버와 피봇암 사이에 변속레버의 변위를 검출할 수 있는 홀센서하우징을 설치하며, 상기 홀센서하우징의 내부는 일측에 자석을 장착한 상태로 자석의 자전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자석하우징과, 타측에 자석의 자전회전을 감지하는 홀센서를 장착하고, 상기 자석과 홀센서 사이에는 피봇암으로부터 연장되어 피봇암의 회동에 따라 회동하는 회전돌기와, 자석하우징의 일단을 연장하여 회전돌기의 회동에 따라 자석하우징이 회동되면서 자석을 자전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안내홈을 마련하여서, 변속레버의 작동에 따라 그 변위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변속레버의 변위검출장치를 제안한다.
상기한 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변속레버의 변위검출장치는, 종래와 달리 변속레버의 작동에 따라 그 변위를 검출하는 구성물들(자석, 홀센서, 회전돌기, 회전안내홈)이 홀센서하우징의 내부에 집결시킬 수 있는 연결방식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방식은 종래와 달리 홀센서하우징의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는 구조로 만들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종래의 문제점을 유발하는 홀센서하우징의 관통되는 부분을 사라지게 할 수 있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작용은 종래에 비해 외부로부터 홀센서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이물질, 열기, 습기 등의 유입을 대폭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효과는 종래에 비해 변속레버의 변위를 검출할 수 있는 홀센서의 감지오류를 방지하여 감지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홀센서의 훼손을 방지하여 오래 사용할 수 있는 효과로 이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포함된 자석하우징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변속레버와 피봇암을 결합한 사시도
도 4는 도 1에서 커버를 개방한 채 나머지 구성물들을 결합한 사시도
도 5는 도 1을 결합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측방 단면도
도 7은 도 5의 요부 확대도
도 8은 도 5의 요부 작동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첨부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그리고 위치에 대한 설명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며,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 및 명칭은 사전적 의미로 제한되지 않고, 구성의 형상이나 작용, 역할 등에 의해 함축적으로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선등록된 공지기술 및 통상의 기술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생략 또는 간단한 부호나 명칭으로 대체한다.
이하,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변속레버(1), 피봇암(2), 홀센서하우징(3), 자석하우징(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한 변속레버(1)는 몸체(11)를 포함하며, 상기한 피봇암(2)은 회전부(21), 회전돌기(22)를 포함하고, 상기한 홀센서하우징(3)은 커버(31), 홀센서(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한 자석하우징(4)은 회전중심축(41), 회전안내홈(42), 자석장착홈(43), 자석(4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한 커버(31)는 다시 회전중심공(310)을 포함하고, 상기한 회전중심축(41)은 다시 장착링(410)을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을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변속레버(1)의 몸체(11)는, 변속레버(11)의 하단에 삽입되어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피봇암(2)의 회전부(21)는, 몸체의 일측 끝단에 확장형성되어 변속레버(1)의 작동에 따라 피봇암(2)이 회전하는 회전중심점이고, 상기한 회전돌기(22)는, 회전부(21)의 상부로 판 형태의 연장판이 연장되고, 그 연장판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어 피봇암(2)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홀센서하우징(3)은 커버(31)는, 홀센서하우징(3)의 전면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홀센서하우징(3)에 결합되고, 상기한 홀센서(32)는, 홀센서하우징(3)의 전면에 홀센서기판이 장착되고, 그 홀센서기판의 전면에 홀센서(32)가 장착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커버(31)의 회전중심공(310)은, 홀센서(32)를 마주보는 면의 중심에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자석하우징(4)의 회전중심축(41)은, 커버(31)를 바라보는 측면에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회전안내홈(42)은, 자석하우징(4)의 몸체가 하방으로 연장형성되고, 그 연장형성된 하단의 중간으로부터 상부로 길쭉하게 회전안내홈(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자석장착홈(43)은, 회전중심축(41)의 반대편에 움푹하게 홈이 형성되어 있고, 그 홈의 양측면에 자석(44)을 걸려지게 하는 걸쇠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자석장착홈(4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자석(44)은 자석장착홈(43)에 삽입될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회전중심축(41)의 장착링(410)은 회전중심축(41)의 끝단에 띠홈이 형성되고, 그 띠홈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장착링(4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장착링(410)은 간략하게 도시되어 있지만 통상의 스냅링이라 보면 된다.
이하,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피봇암(2)의 선단은 변속레버(1)의 몸체(11) 중심에 삽입되고, 그 횡 방향으로 핀(23)이 삽입되어 변속레버(1)와 피봇암(2)은 일체로 결합된다.
이때, 피봇암(2)의 회전부(21)의 회전중심에 삽입되어 있는 중심축(24)의 선단은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변속레버하우징의 내부 측벽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한 변속레버(1)와 피봇암(2)의 결합구조는 변속레버(1)를 전후로 움직이면 피봇암(2)은 중심축(24)을 기준으로 회전부(21)가 회전하게 되어 있다.
한편, 변속레버(1)는 핀(23)을 중심으로 좌우로 움직일 수 있으며, 변속레버(1)가 좌우로 움직이면 피봇암(2)은 회전하지 않게 된다.
상기한 변속레버(1)의 좌우 움직임은 별도의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하며, 상기한 변속레버(1)의 좌우 움직임 및 이를 감지하는 센서의 구성은 본 발명과 관계가 없으므로 각설하도록 한다.
이하,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홀센서하우징(3)은, 변속레버(1)와 피봇암(2) 사이에 설치된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한 홀센서하우징(3)은, 분리되어 있는 커버(31)와 결합되고, 커버(31)와 결합된 홀센서하우징(3)은 변속레버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홀센서하우징(3)의 상부에 개방된 부분은 변속레버하우징의 내 상부에 밀착되거나 별개의 마개가 삽입되어 내부를 밀폐시킨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레버(1)와 피봇암(2) 사이에 설치되는 홀센서하우징(3)은, 내부에 피봇암(2)의 회전돌기(22)가 위치되고, 그 회전돌기(22)의 상부에 자석하우징(4)이 배치되며, 자석하우징(4)은, 커버(31)의 회전중심공(310)에 회전중심축(41)이 관통삽입되어 장착링(41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커버(31)는, 홀센서하우징(3)에 일체로 결합된다.
이하, 도3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홀센서하우징(3)은, 변속레버(1)와 피봇암(2) 사이에 설치됨을 알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홀센서하우징(3)의 내부는, 일측에 자석하우징(4)이 장착되며, 타측에 홀센서(32)가 장착됨을 알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자석하우징(4)은, 커버(3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하부로 회전안내홈(42)이 연장형성됨을 알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피봇암(2) 회전부(21)의 회전돌기(22)는, 홀센서하우징(3)의 내 자석하우징(4)과 홀센서(32) 사이의 상부로 연장되어 회전안내홈(42)에 걸려지도록 배치됨을 알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결합방식은 홀센서하우징(3)의 내부에 변속레버(1)의 변위를 검출하는 구성물들이 집결되고, 이에 의해 홀센서하우징(3)의 내부는 밀폐시킬 수 있는 구조로 만들 수 있다.
이하,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변속레버(1)가 움직이면, 회전부(21)를 중심으로 피봇암(2)이 회전하고, 피봇암(2)이 회전하면, 피봇암(2)과 일체로 된 회전돌기(22)가 회전하며, 회전돌기(22)가 회전하면, 회전안내홈(42)이 회전하면서 자석하우징(4)의 회전중심축(41)을 중심으로 자석(44)이 자전회전하며, 자석(44)이 자전회전하면, 홀센서(32)에서 자석(44)의 자전회전각도를 계산하여 변속레버(1)의 변위를 검출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설명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종래와 달리 변속레버(1)의 작동에 따라 그 변위를 검출하는 구성물들(자석(44), 홀센서(32), 회전돌기(22), 회전안내홈(42))이 홀센서하우징(3)의 내부에 집결시킬 수 있는 연결방식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방식은 종래와 달리 홀센서하우징(3)의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는 구조로 만들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종래의 문제점을 유발하는 홀센서하우징(3)의 관통되는 부분을 사라지게 할 수 있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작용은 종래에 비해 외부로부터 홀센서하우징(3)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이물질, 열기, 습기 등의 유입을 대폭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효과는 종래에 비해 변속레버(1)의 변위를 검출할 수 있는 홀센서(32)의 감지오류를 방지하여 감지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홀센서(32)의 훼손을 방지하여 오래 사용할 수 있는 효과로 이어진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설명을 마치며, 본 발명에 해당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 및 첨부되는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사상을 충분히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응용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 변속레버
11: 몸체
2: 피봇암
21: 회전부
22: 회전돌기
3: 홀센서하우징
31: 커버
310: 회전중심공
32: 홀센서
4: 자석하우징
41: 회전중심축
410: 장착링
42: 회전안내홈
43: 자석장착홈
44: 자석

Claims (1)

  1. 차량용 변속레버(1)의 조작에 따른 그 변위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변속레버의 변위검출장치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변속레버의 변위검출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움직이는 변속레버(1)와, 상기 변속레버(1)의 움직임에 따라 회동하는 피봇암(2)을 구비하고,
    상기 변속레버(1)와 피봇암(2) 사이에 변속레버(1)의 변위를 검출할 수 있는 홀센서하우징(3)을 설치하며,
    상기 홀센서하우징(3)의 내부는, 일측에 자석(44)을 장착한 상태로 자석(44)의 자전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자석하우징(4)과, 타측에 자석(4)의 자전회전을 감지하는 홀센서(32)를 장착하고,
    상기 자석(44)과 홀센서(32) 사이에는, 피봇암(2)으로부터 연장되어 피봇암(2)의 회동에 따라 회동하는 회전돌기(22)와, 자석하우징(4)의 일단을 연장하여 회전돌기(22)의 회동에 따라 자석하우징(4)이 회동되면서 자석(44)을 자전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안내홈(42)을 마련하여서,
    상기한 변속레버(1)의 작동에 따라 그 변위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레버의 변위검출장치.
KR1020160019174A 2016-02-18 2016-02-18 변속레버의 변위검출장치 KR101761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174A KR101761665B1 (ko) 2016-02-18 2016-02-18 변속레버의 변위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174A KR101761665B1 (ko) 2016-02-18 2016-02-18 변속레버의 변위검출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3663 Division 2015-03-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0095A true KR20160110095A (ko) 2016-09-21
KR101761665B1 KR101761665B1 (ko) 2017-08-04

Family

ID=57079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9174A KR101761665B1 (ko) 2016-02-18 2016-02-18 변속레버의 변위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166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8051A (ko) * 2017-06-20 2018-12-28 경창산업주식회사 변속 레벨의 상태를 감지하는 변속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CN111486225A (zh) * 2020-06-28 2020-08-04 宁波高发汽车控制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手自一体式换挡器总成
US11112493B2 (en) 2018-01-12 2021-09-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DAR system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9070B1 (ko) 2009-12-03 2012-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레인지 검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9070B1 (ko) 2009-12-03 2012-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레인지 검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8051A (ko) * 2017-06-20 2018-12-28 경창산업주식회사 변속 레벨의 상태를 감지하는 변속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US11112493B2 (en) 2018-01-12 2021-09-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DAR system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CN111486225A (zh) * 2020-06-28 2020-08-04 宁波高发汽车控制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手自一体式换挡器总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1665B1 (ko) 2017-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2753B2 (en) Shifting device
KR101761665B1 (ko) 변속레버의 변위검출장치
US7044444B2 (en) Actuator element with position detection
US9085879B2 (en) Electronic control switch for water faucets
JP6023011B2 (ja) 位置検出装置
JP4943911B2 (ja) シフトレバー装置
JP7137000B2 (ja) 磁石ホルダおよび磁石ホルダを有するストロークセンサ
CN107107866B (zh) 用于车辆的转向锁定设备
JP6679539B2 (ja) 液位検出装置
JP2018205137A (ja) 液位検出装置
KR100871123B1 (ko) 차량용 다기능 스위치
JP7029304B2 (ja) シリンジポンプ
JP5185162B2 (ja) シフト装置
JP2004501331A (ja) 位置指示器を備えた駆動装置
KR100486431B1 (ko) 진공밸브
KR20150042485A (ko) 센서장치
KR20230116782A (ko)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 스위치
KR102448423B1 (ko) 개폐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개폐상태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밸브시스템
JP6271355B2 (ja) 回転移動検出装置
JP5603280B2 (ja) ストークスイッチ装置
JP2009123366A (ja) ストークスイッチ装置
KR100486435B1 (ko) 진공밸브
JP2009187704A (ja) 揺動操作型スイッチ装置
JP2016088164A (ja) シフト装置
JP6282945B2 (ja) 回転移動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