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8423B1 - 개폐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개폐상태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밸브시스템 - Google Patents
개폐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개폐상태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밸브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48423B1 KR102448423B1 KR1020210006658A KR20210006658A KR102448423B1 KR 102448423 B1 KR102448423 B1 KR 102448423B1 KR 1020210006658 A KR1020210006658 A KR 1020210006658A KR 20210006658 A KR20210006658 A KR 20210006658A KR 102448423 B1 KR102448423 B1 KR 1024484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n
- valve
- rotary lever
- magnet
- display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58—Optical means, e.g. light transmission, observation por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16K31/602—Pivoting levers, e.g. single-sid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개폐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개폐상태 표시장치는 밸브에 장착되어 밸브의 개폐여부를 확인하는 개폐상태 표시장치로서, 밸브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여 밸브의 개폐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표시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표시부의 회전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밸브의 개폐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개폐상태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밸브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밸브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회전레버의 중심에서 편심되는 위치에 배치된 자석이 회전레버의 회전에 배응하여 위치 이동하고, 이를 감지함으로써, 개폐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개폐상태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밸브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밸브 중 유량제어용 자동개폐밸브는 다양한 구성을 통해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전자(電磁)개폐밸브나, 모우터구동의 전동(電動)밸브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자동개폐밸브의 밸브체는, 감지기(sensor)나 작동스위치로부터 구동신호 또는 구동출력을 받아, 밸브를 자동적으로 개폐하기 위해서, 솔레노이드 구동체나 구동모우터에 의해 밸브시이트에 접근하거나, 또는 밸브시이트로부터 떨어지도록 이동된다.
이러한 자동개폐밸브는 오픈 상태인지 클로즈 상태인지 알 수 없으므로,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자동개폐밸브에 개폐상태 표시장치가 장착된 밸브시스템이 구축될 수 있다.
이때 자동개폐밸브는 회전방향에 따라 개방시 리미트 스위치나 기타 여러 센서를 사용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된 감지수단을 통해 개방상태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등록실용 제0313895호, 공개실용 제1999-012394호 등 다수가 개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 개방상태를 즉시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방식은 개방 또는 폐쇄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만을 감지하도록 마련되어 개폐상태 표시장치의 기구적인 결함을 고정도(高精度)로 확인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밸브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회전레버의 중심에서 편심되는 위치에 배치된 자석이 회전레버의 회전에 배응하여 위치 이동하고, 이를 감지함으로써, 개폐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개폐상태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밸브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개폐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개폐상태 표시장치는, 밸브에 장착되어 상기 밸브의 개폐여부를 확인하는 개폐상태 표시장치로서, 표시부,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표시부는, 밸브의 개폐상태를 표시하도록 마련되어 밸브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때 감지부는 표시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표시부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부는, 상기 밸브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도록 마련된 회전레버의 중심에서 편심되는 위치에 배치된 자석이 상기 회전레버의 회전에 대응하여 위치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레버는, A 영역 및 B 영역으로 분할되며, 분할된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된 상기 자석이 위치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레버는,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선을 중심으로 상기 A 영역과 상기 B 영역이 서로 마주보게 한 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A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제1 자석이 배치되고, 상기 B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제2 자석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레버는, 상기 A 영역의 A부재 및 상기 B 영역의 B부재가 상호 분리되거나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외부에서 상기 회전레버의 분할된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만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레버를 감싸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는, 상기 밸브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중앙측에 관통홀이 형성되며, 하부면이 상기 밸브에 결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관통홀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회전레버의 분할된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만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레버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재; 및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감지부를 수용하는 제2 수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지부는, 상기 회전레버의 회전에 대응하여 위치 이동하는 상기 자석을 감지하도록, 상기 표시부에서 상기 회전레버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감지부는, 상기 회전레버를 기준으로 한 쌍이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며, 일측에서 상기 회전레버의 상기 A 영역에 마련되어 위치가 이동되는 상기 자석을 감지하고, 타측에서 상기 회전레버의 상기 B 영역에 마련되어 위치가 이동되는 상기 자석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밸브시스템은,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개폐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개폐상태 표시장치; 및 유체가 흐르는 관 내부에 삽입되어 유량을 제어하며, 일부가 돌출되어 상기 개폐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개폐상태 표시장치가 결합되는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폐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개폐상태 표시장치에 마련된 회전레버가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선을 중심으로 A 영역과 B 영역이 서로 마주보게 한 쌍으로 형성되며, 회전레버를 기준으로 한 쌍이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고 일측에서 회전레버의 A 영역에 마련되어 위치가 이동되는 자석을 감지하고, 타측에서 회전레버의 B 영역에 마련되어 위치가 이동되는 자석을 감지함으로써, 개폐상태 표시장치의 기구적인 결함을 고정도(高精度)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개폐상태 표시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개폐상태 표시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개폐상태 표시장치의 감지부가 커버에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개폐상태 표시장치의 커버가 밸브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합홀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개폐상태 표시장치의 표시부의 회전레버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의 회전레버의 하부에 자석이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5의 회전레버의 A 영역의 A부재 및 B 영역의 B부재가 상호 분리되거나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된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가 A 영역의 제1 자석을 감지하는 모습을 나타낸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가 B 영역의 제2 자석을 감지하는 모습을 나타낸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력차단부를 나타낸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가 바이폴라홀센서를 포함하고 A 영역과 B 영역 사이에 제3 자석 및 제4 자석이 추가로 배치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개폐상태 표시장치의 통신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개폐상태 표시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개폐상태 표시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개폐상태 표시장치의 감지부가 커버에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개폐상태 표시장치의 커버가 밸브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합홀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개폐상태 표시장치의 표시부의 회전레버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의 회전레버의 하부에 자석이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5의 회전레버의 A 영역의 A부재 및 B 영역의 B부재가 상호 분리되거나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된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가 A 영역의 제1 자석을 감지하는 모습을 나타낸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가 B 영역의 제2 자석을 감지하는 모습을 나타낸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력차단부를 나타낸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가 바이폴라홀센서를 포함하고 A 영역과 B 영역 사이에 제3 자석 및 제4 자석이 추가로 배치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개폐상태 표시장치의 통신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개폐상태 표시장치는 크게 표시부(100), 감지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표시부(100)는, 밸브(300)의 개폐상태를 표시하도록 마련되어 밸브(30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때 감지부(200)는 표시부(10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표시부(100)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기재된 밸브(300)는 유량제어용 자동개폐밸브일 수 있으며,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전자(電磁)개폐밸브 또는 모터구동의 전동(電動)밸브일 수 있다.
여기서 밸브(300)는 본 발명의 개폐상태 표시장치가 장착되어 개폐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면 형상, 구조에 대하여는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상세한 설명을 위해 자세히 설명하면 밸브(300)는, 버터플라이 밸브(butterfly valve)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터플라이 밸브는 몸체 내부에 원반형의 디스크가 축에 조립되어 밸브의 유로를 개폐하며, 몸체 내부의 밸브시트 내에서 90°각도로 회전운동을 하여 유량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 디스크의 양쪽에 회전축이 형성되어 밸브바디의 내부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를 통해 표시부(100)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표시부(100)는, 구체적으로 회전레버(1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에서 상술한 회전레버(120)의 분할된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만을 확인할 수 있도록 회전레버(120)를 감싸는 커버(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300)는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회전축에 축결합되어 밸브몸체 외부로 돌출되는 연결구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때 회전레버(120)는 상술한 연결구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회전레버(120)의 회전이 외력에 의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회전레버(120)를 감싸는 커버(140)가 밸브(300)의 상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회전레버(120)의 중심에서 편심되는 위치에는 자석이 배치될 수 있으며, 배치된 자석이 회전레버(120)의 회전에 대응하여 위치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레버(120)는 전술한 밸브(30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도록 마련되어 밸브(300)의 개방과 폐쇄를 표시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회전레버(120)의 분할 영역에 대하여는 커버(140)의 구조를 설명한 다음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40)는 구체적으로 베이스(142), 제1수용부재, 제2 수용부재(146)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베이스(142)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면이 밸브(300)의 상부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142)는 밸브(300)의 상부면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밸브(30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밸브(300)의 상부면에서 하방향으로 형성된 나사산(미도시)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결합홀(14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142)의 중앙측은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홀의 직경은 회전레버(12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시켜 회전레버(120)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게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1 수용부재(144)는 상술한 관통홀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고, 내부에 회전레버(120)를 수용할 수 있게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수용부재(144)는 투명재질로 마련되되, 어느 하나의 영역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일부분에 불투명 또는 검은색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300)가 개방된 상태일 때는 개방을 나타내는 영역만 투명재질을 통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폐쇄를 나타내는 영역은 불투명 또는 검은색 재질로 마련된 일부분에 의해 가려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형성된 내부 공간의 직경은 회전레버(120)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술한 베이스(142)의 관통홀의 직경과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2 수용부재(146)는 감지부(200)가 회전레버(120)의 회전에 대응하여 위치 이동하는 자석을 감지하기 위해 회전레버(120)에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감지부(200)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수용부재(146)는 베이스(142)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베이스(142)의 상부면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레버(120)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돌출되어 감지부(200)가 수용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회전레버(120) 일측에 하나의 제2 수용부재(146)만이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커버(140)는 상술한 결합홀(142a) 일측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결합홀(142b)이 마련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하부의 밸브(300) 크기에 맞게 커버(140)를 밸브(300)의 상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다양한 밸브(300)의 크기에 대응하여 커버(140)를 밸브(300)의 상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면 보조결합홀(142b)의 개수, 위치, 간격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도 5를 통해 후술하기로 한 회전레버(120)의 분할 영역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레버(120)는 밸브(300)의 개방과 폐쇄할 수 있도록 A 영역 및 B 영역으로 분할되며, 분할된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술한 바와 같이 편심 배치된 자석이 위치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A 영역은 밸브(300)의 개방을 나타내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OPEN” 문구가 기재되고 시각적인 효과를 위해 노란색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B 영역은 밸브(300)의 폐쇄를 나타내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CLOSE” 문구가 기재되고 시각적인 효과를 위해 빨간색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레버(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원기둥 형태로 마련되고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선을 중심으로 상기 A 영역과 상기 B 영역이 서로 마주보게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A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제1 자석(122)이 배치되고, 서로 마주보는 B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제2 자석(124)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회전레버(120)는 A 영역의 하부면과 B 영역의 하부면에 원형의 삽입홈이 형성되어 제1 자석(122)과 제2 자석(124)이 삽입되어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자석(124)은 회전레버(120)의 중심에서 제1 자석(122)까지의 가상의 직선을 기준으로 90°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회전레버(120)는 A 영역과 B 영역이 분리되거나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의 부재들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가장 하단에 도시된 B 부재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300)의 폐쇄를 나타내도록 마련되는 한쌍의 B 영역이 표시되는 B부재에는, 밸브(300)의 개방을 나타내도록 마련되는 한쌍의 A 영역이 표시되는 A부재가 상부에서 인입될 수 있도록 장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A부재가 상술한 장착홈에 삽입되어 하나의 회전레버(12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에서 조립된 A부재의 상부면과 B부재의 상부면의 높이가 같아지도록, B부재에 장착홈을 형성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술한 커버(140)에도 베이스(142)의 하부면에서 제1 수용부재(144)의 내주면을 따라 상방향으로 형성되는 홈(148)이 형성되고, A영역과 B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불투명 또는 검은색 재질로 마련되는 C부재가 인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회전레버(120)의 회전에 대응하여 위치 이동하는 자석을 감지하도록, 상술한 표시부(100)에서 회전레버(12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감지부(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레버(120)를 기준으로 한 쌍이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며, 일측에서 회전레버(120)의 A 영역에 마련되어 위치가 이동되는 자석을 감지하고, 타측에서 회전레버(120)의 B 영역에 마련되어 위치가 이동되는 자석을 감지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A 영역에 배치된 제1 자석(122)이 도면을 기준으로 오른쪽에 위치한 감지부(200)에 인접하도록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이때 감지부(200)는 자기 센서로 마련되어 인접한 제1 자석(122)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상태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300)의 폐쇄에 따라 회전레버(120)가 도면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자석(122)은 제2 자석(124)이 있던 곳에 위치가 고정되고 제2 자석(124)은 도면을 기준으로 왼쪽에 위치한 감지부(200)에 인접하여 감지부(200)가 제2 자석(124)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다시 말해서 평행하게 배치된 한쌍의 감지부(200) 중 어느 하나가 밸브(300)의 개방을 확인하고, 다른 하나의 감지부(200)가 밸브(300)의 폐쇄를 확인함으로써, 하나의 센서가 개방 또는 폐쇄를 감지하는 종래의 센서보다 개폐상태 표시장치의 기구적인 결함을 고정도(高精度)로 확인하기 용이해질 수 있다.
나아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개폐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개폐상태 표시장치는 자력차단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력차단부(400)는 자석의 자기력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철, 니켈 등을 포함하는 강자성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력차단부(400)는 회전레버(120)에 배치된 자석 사이에 배치되어 감지부(200)가 감지하는 자석 이외에 다른 자석을 감지하는 것을 방지하여 오감지를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력차단부(4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레버(120)의 중심을 지나며, 제1 자석(122)과 제 2자석 사이에 형성된 가상의 수직선을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더욱 정교한측정을 위해 회전레버(120)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추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추가 배치된 자력차단부(400)는 감지부(200)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 자석(122)이 도면에서 왼쪽 감지부(200)에 감지되거나 제2 자석(124)이 도면에서 오른쪽 감지부(200)에 감지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때 추가 배치된 자력차단부(400)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으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 감지부(200)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되었다가 수직방향으로 절곡되는 'ㄱ'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간편할 것이다.
나아가 회전레버(120) 또는 밸브(300)가 기구적으로 결함이 발생하여 원래의 위치에서 벗어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게 되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200)재는 바이폴라홀센서로 마련되고 제1자석과 제2 자석(124)은 서로 다른 극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회전레버(120)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선 중 어느 하나에 제1 자석(122)과 다른 극의 제3 자석(126)이 배치되고, 도면에서 오른쪽에 위치한 바이폴라홀센서(220)는 제1 자석(122) 및 제3 자석(126)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레버(120)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선 중 다른 하나에 제2 자석(124)과 다른 극의 제4 자석(128)이 배치되고, 도면에서 왼쪽에 위치한 바이폴라홀센서(240)는 제2 자석(124) 및 제4 자석(128)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방된 상태에서 제1 자석(122)이 N극이고 제3 자석(126)이 S극이라 가정하면, 오른쪽에 위치한 바이폴라홀센서(220)는 제1 자석(122)의 N극을 감지하여 'H'를 나타내었다가 밸브(300)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소정의 시간동안 제3 자석(126)의 S극을 감지하여 'L'을 나타내었다가 '0'을 나타내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레버(120)가 원래의 위치에 벗어나는 경우에 'L' 상태가 지속되게 되면 외부에 연결된 제어부를 통해 회전레버(120)가 기구적인 결함이 발생하였음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예를 들어 폐쇄된 상태에서 제2 자석(124)이 S극이고 제4 자석(128)이 N극이라 가정하면, 왼쪽에 위치한 바이폴라홀센서(240)는 제2 자석(124)의 S극을 감지하여 'L'를 나타내었다가 밸브(300)가 개방되는 과정에서 소정의 시간동안 제4 자석(128)의 N극을 감지하여 'H'을 나타내었다가 '0'을 나타내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개폐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개폐상태 표시장치는 통신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500)는 커버(140)의 상부에 고정되어 감지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감지데이터를 전송받으며 전송받은 데이터를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에 배치된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게 됨으로써 감지부(200)의 케이블이 밸브(300) 외부로 연장되어 제어부와 직접 연결되는 구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케이블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시스템은 크게 개폐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개폐상태 표시장치,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개폐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개폐상태 표시장치는 상술한 개폐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개폐상태 표시장치(10)와 동일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밸브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시스템에 포함되는 밸브는 유체가 흐르는 관 내부에 삽입되어 유량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시스템에 포함되는 밸브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부가 돌출되어 상술한 개폐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개폐상태 표시장치의 회전레버가 장착됨으로써 개폐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시스템에 포함되는 밸브는 구체적으로 몸체 내부에 원반형의 디스크가 축에 조립되어 밸브의 유로를 개폐하며, 몸체 내부의 밸브시트 내에서 90°각도로 회전운동을 하여 유량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 디스크의 양쪽에 회전축이 형성되어 밸브 바디의 내부에 결합되는 버터플라이밸브일 수 있다.
정리하자면 본 발명의 개폐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개폐상태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밸브시스템에 마련된 회전레버가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선을 중심으로 A 영역과 B 영역이 서로 마주보게 한 쌍으로 형성되며, 회전레버를 기준으로 한 쌍이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고 일측에서 회전레버의 A 영역에 마련되어 위치가 이동되는 자석을 감지하고, 타측에서 회전레버의 B 영역에 마련되어 위치가 이동되는 자석을 감지함으로써, 개폐상태 표시장치의 기구적인 결함을 고정도(高精度)로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자력차단부를 구성하거나 바이폴라홀센서를 사용하여 센싱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개폐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개폐상태 표시장치
100: 표시부
120: 회전레버
140: 커버
142: 베이스
142a: 결합홀
142b: 보조결합홀
144: 제1 수용부재
146: 제2 수용부재
148: 홈
122: 제1 자석
124: 제2 자석
126: 제3 자석
128: 제4 자석
200: 감지부
220: 제1 센서
240: 제2 센서
300: 밸브
400: 자력차단부
500: 통신부
100: 표시부
120: 회전레버
140: 커버
142: 베이스
142a: 결합홀
142b: 보조결합홀
144: 제1 수용부재
146: 제2 수용부재
148: 홈
122: 제1 자석
124: 제2 자석
126: 제3 자석
128: 제4 자석
200: 감지부
220: 제1 센서
240: 제2 센서
300: 밸브
400: 자력차단부
500: 통신부
Claims (10)
- 밸브에 장착되어 상기 밸브의 개폐여부를 확인하는 개폐상태 표시장치로서,
상기 밸브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여 상기 밸브의 개폐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표시부의 회전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표시부는,
상기 밸브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도록 마련된 회전레버의 중심에서 편심되는 위치에 배치된 자석이 상기 회전레버의 회전에 대응하여 위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회전레버는,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선을 중심으로 A 영역 및 B 영역으로 분할되며,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선을 중심으로 상기 A 영역과 상기 B 영역이 서로 마주보게 한 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A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제1 자석이 배치되고, 상기 B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제2 자석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회전레버의 회전에 대응하여 위치 이동하는 상기 자석을 감지하도록, 상기 회전레버를 기준으로 상기 회전레버의 일측 및 타측에 한 쌍이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고, 한 쌍중 어느 하나가 상기 회전레버의 일측에서 상기 회전레버의 상기 A 영역에 마련되어 위치가 이동되는 상기 제1 자석을 감지하고, 한 쌍중 다른 하나가 상기 회전레버의 타측에서 상기 회전레버의 상기 B 영역에 마련되어 위치가 이동되는 상기 제2 자석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자석의 자력이 상기 B 영역으로 투과되거나 상기 제2 자석의 자력이 상기 A 영역으로 투과됨으로 인해 발생하는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회전레버의 중심을 지나며,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제 2자석 사이에 형성된 가상의 수직선을 따라 상기 회전레버에 배치되는 자력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개폐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개폐상태 표시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레버는,
상기 A 영역의 A부재 및 상기 B 영역의 B부재가 상호 분리되거나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개폐상태 표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외부에서 상기 회전레버의 분할된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만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레버를 감싸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개폐상태 표시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밸브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중앙측에 관통홀이 형성되며, 하부면이 상기 밸브에 결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관통홀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회전레버의 분할된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만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레버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재; 및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감지부를 수용하는 제2 수용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개폐상태 표시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의 개폐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개폐상태 표시장치; 및
유체가 흐르는 관 내부에 삽입되어 유량을 제어하며, 일부가 돌출되어 상기 개폐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개폐상태 표시장치가 결합되는 밸브를 포함하는,
밸브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6658A KR102448423B1 (ko) | 2021-01-18 | 2021-01-18 | 개폐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개폐상태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밸브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6658A KR102448423B1 (ko) | 2021-01-18 | 2021-01-18 | 개폐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개폐상태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밸브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05188A KR20220105188A (ko) | 2022-07-27 |
KR102448423B1 true KR102448423B1 (ko) | 2022-09-29 |
Family
ID=82701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06658A KR102448423B1 (ko) | 2021-01-18 | 2021-01-18 | 개폐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개폐상태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밸브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4842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71008B1 (ko) | 2023-07-07 | 2024-05-31 | 주식회사 플로워크연구소 | 제수밸브의 개폐여부 확인 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4217Y1 (ko) * | 2000-05-17 | 2000-11-15 | 소병수 | 가스밸브개폐표시장치 |
JP2003214556A (ja) * | 2002-01-23 | 2003-07-30 | Tomoe Tech Res Co | 回転式バルブの開度検出及び開度調整機構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01501U (ko) * | 2013-10-10 | 2015-04-20 | 김영철 | 소화전 밸브용 개폐감지장치 |
KR102165296B1 (ko) * | 2019-01-25 | 2020-10-13 | (주)코사플러스 | 밸브용 위치 지시기 |
-
2021
- 2021-01-18 KR KR1020210006658A patent/KR10244842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4217Y1 (ko) * | 2000-05-17 | 2000-11-15 | 소병수 | 가스밸브개폐표시장치 |
JP2003214556A (ja) * | 2002-01-23 | 2003-07-30 | Tomoe Tech Res Co | 回転式バルブの開度検出及び開度調整機構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71008B1 (ko) | 2023-07-07 | 2024-05-31 | 주식회사 플로워크연구소 | 제수밸브의 개폐여부 확인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05188A (ko) | 2022-07-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650211B2 (en) | Valve position switch | |
US8766625B2 (en) | Linear segment or revolution counter with a ferromagnetic element | |
KR101167960B1 (ko) | 조작방지를 위한 자력차폐 수도계량기 | |
KR102448423B1 (ko) | 개폐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개폐상태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밸브시스템 | |
US7042210B2 (en) | Non-contact magnetic position sensor | |
CN105570444A (zh) | 换挡装置 | |
US4186362A (en) | Switch | |
JPH08320064A (ja) | 位置検出装置 | |
EP3211379A1 (en) | An angular position detector | |
GB2294531A (en) | Logging the operation of a valve | |
KR102087733B1 (ko) | 자계 차폐 커버부를 구비한 컨트롤 밸브 | |
WO2021253894A1 (zh) | 一种可调整at值的磁控开关 | |
WO2021020541A1 (ja) | 回転角度検出センサ | |
CN101256072A (zh) | 倾斜传感器 | |
JP3438064B2 (ja) | 回転角度センサ | |
JPH04344467A (ja) | 加速度センサ | |
KR102307091B1 (ko) | 홀센서를 이용한 액체수위 감지장치 | |
JPH06213921A (ja) | 磁性流体式加速度センサ | |
WO2020075311A1 (ja) | フラッパ式流量検出器 | |
JP3097832B2 (ja) | 開閉弁の開閉検出装置 | |
JPH04324302A (ja) | スロットルポジションセンサ | |
JP6513323B1 (ja) | フラッパ式流量検出器 | |
US12117049B2 (en) | Position sensor assembly | |
JP7015093B2 (ja) | 液位検出装置 | |
JP2001201390A (ja) | 液位検出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