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7496A - 마가목 줄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 Google Patents

마가목 줄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7496A
KR20160107496A KR1020150030294A KR20150030294A KR20160107496A KR 20160107496 A KR20160107496 A KR 20160107496A KR 1020150030294 A KR1020150030294 A KR 1020150030294A KR 20150030294 A KR20150030294 A KR 20150030294A KR 20160107496 A KR20160107496 A KR 20160107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pharmaceutical composition
thrombosis
functional foo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0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3995B1 (ko
Inventor
김순화
손호용
Original Assignee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30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995B1/ko
Publication of KR20160107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7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9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23L1/300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2Antithrombotic agents; Anticoagulants;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가목(Sorbus commixta)의 줄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thrombosis)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마가목 줄기의 열수 추출물, 특히, 마가목 줄기 열수 추출물로부터 순차적 유기 용매 분획 후 수득되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물 잔류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마가목 추출물은 혈전 생성 관련 효소 및 혈액 응고 인자 저해 효과에 의한 강력한 항혈전 활성을 나타내며, 혈행 개선을 통해 허혈성 뇌졸중 및 출혈성 뇌졸중과 같은 혈전증의 예방 및 치료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마가목 줄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SORBUS COMMIXTA BRANCH AS AN EFFECTIVE COMPONENT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THROMBOSIS AND HEALTH FUNCTIONAL FOOD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마가목(Sorbus commixta)의 줄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thrombosis)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마가목 줄기의 열수 추출물, 특히, 마가목 줄기 열수 추출물로부터 순차적 유기 용매 분획 후 수득되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물 잔류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에 관한 것이다.
인체 구성성분으로 혈액은 산소, 영양분, 노폐물의 운반 기능과 완충작용, 체온유지, 삼투압 조절 및 이온 평형유지, 수분 일정유지, 액성 조절 작용, 혈압의 유지 및 조절, 생체 방어 등 다양한 중요 기능들을 가지고 있다. 정상적인 혈액 순환은 체내에서의 혈액 응고 반응계와 혈전 용해 반응계가 상호 보완적으로 조절되면서 혈액 순환을 용이하게 하며, 이들 중 혈액 응고 반응계의 기작은 혈관벽에 혈소판이 점착, 응집하여 혈소판 혈전을 형성한 후, 혈액 응고계가 활성화되어 혈소판 응집괴를 중심으로 피브린 혈전이 형성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한편, 피브린 혈전의 생성은 수많은 혈액 응고 인자들의 여러 단계 반응을 거쳐 피브린 응고에 관여하는 트롬빈이 활성화되어, 최종적으로 피브리노겐으로부터 피브린 단량체를 생성하게 하며, 피브린 단량체들은 칼슘에 의해 중합되어, 혈소판과 내피세포에 결합하게 되며 XIII 인자에 의해 교차 결합된 피브린 폴리머를 형성하면서 영구적인 혈전을 생성하게 된다. 또한, 트롬빈은 혈소판, V 인자, VII 인자들을 활성화시켜 혈액 응고 반응을 촉진시키는 등 혈전 생성에 중추적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트롬빈의 활성 저해물질은 과다한 혈액 응고 이상으로 발생하는 다양한 혈전성 질환에 매우 유용한 예방 및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내인성 혈전 생성 경로에는 XII 인자, XI 인자, IX 인자, X 인자의 순차적 활성화에 이은 프로트롬빈의 활성화가 최종적으로 트롬빈을 활성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혈액 응고 인자의 특이적 저해 역시 중요한 혈전성 질환 치료제의 개발 타겟이 되고 있다. 현재까지 혈전성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헤파린, 쿠마린, 아스피린, 유로키네이즈 등의 다양한 항응고제, 항혈소판제, 혈전용해제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은 가격이 매우 높을 뿐 아니라, 출혈성 부작용과 위장 장해 및 과민 반응 등으로 그 사용이 한정되고 있는 실정이다.
마가목(Sorbus commixta)은 장미목 장미과의 낙엽소교목으로 봄에 말의 이빨과 같은 새싹이 힘차게 나오는 나무라 하여 마가목 또는 마이목으로 불리며, 서양에서는 마운틴 애쉬(Mountain Ash)로도 불린다. 국내에서는 전국 어디에서나 잘 자라고 있으나, 특히 전남, 강원도 및 울릉도에 대형 자생군락지가 있다. 나무의 높이는 6~8m에 이르며, 꽃은 5~6월에 흰색으로 피며, 열매는 9~10월에 붉은 색으로 익는다. 국내에서는 마가목 이외에 당마가목(Sorbus amurensis) 및 산마가목(Sorbus sambucifolia) 등이 있으며, 아직까지 기원 식물을 명확히 규정하고 있지 않고 있다.
한방에서는 마가목이라 함은 마가목 및 당마가목을 구분없이 사용하고 있으며, 마가목의 수피는 마아피(馬牙皮)또는 정공피라고 하여 신장을 보호하는 약재로 귀하게 쓰여 왔고, 기관지염, 류마티스 관절염, 중풍, 위염 및 골통에 사용되었으며, 열매는 생약명으로는 마가자로 부르며, 익는 대로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서 그대로 사용하며, 신경통 억제 효과가 알려져 있어 예로부터 차로 이용하거나 생식하였다. 특히, 마가자는 기관지염, 위장병, 허약 체질, 흰머리가 나는데 효능이 있으며, 말린 것 15g을 물 700ml에 넣고 달여서 마신다. 마가자 열매의 주요성분으로는 1-소르보스(1-Sorbose), 소르브산(sorbic acid), 알파-카로텐(α-Carotene)이 알려져 있으며(김창은 외 1972. 한국식품과학회지 건조마가목 열매로부터 sorbic acid 분리, 4: 1~5), 이뇨, 진해, 거담, 강장, 지갈 등의 효능을 가지고 있다. 유럽에서는 마가목의 열매를 이용한 주류 제조가 일반적이며, 특히, 마가목 발효의 증류주는 고가의 제품으로 판매되고 있다(조호철 외,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13. 42: 743~752).
국내에서의 마가목에 대한 연구로는 마가목 열매 추출물의 흰쥐 지질대사 개선활성(정병희 외, 한약작지 2003. 11: 143~147), 마가목 수피 및 열매의 에탄올 추출물의 항암활성(이미경 외, 한약작지 2002. 10: 403~408), 마가목 수피와 기타 한방약재 혼합물(마가목, 쇄기풀, 죽여, 오배자)의 항염증 활성(이경은 외, 대한화장품학회지, 2014. 40: 45~54), 마가목 및 현지초 추출물의 골손실 및 연골손상 억제효과(문은정 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0. 11: 3358~3365), 마가목 메탄올 추출물의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활성 탐색(최근표 외, 한약작지 2002. 10: 399~402), 마가목 줄기의 항산화 및 미백, 주름개선 연구(임규남 외, 2011. 한국유화학회지, 28: 482~490) 및 마가목 줄기의 hydroxyl radical 소거 및 통합 항산화 활성(최수임 외, 2003. 한국생물공학회지 18: 282~288; 강미애 외,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9: 1249~1256), 광노화 억제효과(Bae 등, 2007, Arch. Pharm. Res., 30: 1116~1123), 혈관 염증 억제 효과(Kang 등, 2007, Am. J. Chin. Med., 35: 265~277) 및 항동맥경화 효능(Sohn 등, 2005. Biol. Pharm. Bul.l, 28:. 1444~1449)이 보고되어 있으나, 현재까지 마가목의 혈액 응고 저해에 따른 항혈전 효과는 보고된 바 없다.
한편, 마가목과 관련된 주요 등록 특허로는, 대한민국 특허 제10-1265955호 "혼합 생약 추출발효물을 배합시킨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10-1076482호 "마가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흡연독성 해독용 약제학적 조성물", 제10-1249930호 "마가목 및 현지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파골세포 분화 억제용 또는 연골세포 분화 촉진용 조성물(SG-Ⅱ)"이 있으며, 제10-0707130호에는 중풍예방 및 관절 치료 음료용의 "마가목을 주성분으로 하는 음료 제조 방법 및 음료", 제10-0697319호에는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증가된 마가목 추출물의 제조방법과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알려져 있다. 또한, 마가목을 이용한 음료 및 차 제조에 관한 등록 특허는 다양한데, 제10-0412785호에는 "혈액순환개선용 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제10-0388080호에는 "고지혈증, 간기능 조절효과가 있는 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 제10-0381389호에는 "마가목 열매를 이용한 차의 제조방법", 제10-0516889호에는 "마가목 엽차 및 이의 제조방법", 제10-0516888호에는 "마가목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또한, 제10-0497799호에는 마가목을 이용한 "마가목 증류주의 제조방법"도 알려져 있다. 또한, 최근에는 "피부자극완화 및 피부염증완화용 화장료 조성물"(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10-2014-0071738, 2014년 6월 12일) 및 "슬리밍용 화장료 조성물"(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10-2014-0032645, 2014년 3월 17일)과 같은 마가목을 이용한 화장품 소재도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마가목의 강력한 혈액 응고 저해 효능을 이용한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에 대한 특허는 알려져 있지 않다.
KR 10-0412785 B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식용 및 약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마가목의 줄기로부터 열수 추출물 및/또는 이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및/또는 순차적 유기 용매 분획 후에 얻어지는 물 잔류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마가목( Sorbus commixta ) 줄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은 60~120℃의 열수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물은 상기 열수 추출물을 헥센,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의 유기 용매로 순차 분획하여 얻어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물 잔류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는 혈액 응고 억제 또는 혈전 생성 억제에 의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혈전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의 유효성분으로서의 마가목 줄기 추출물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통해 증명된 바와 같이, 마가목 줄기를 열수 추출하여 제조하고, 또한 열수 추출한 후, 헥센,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얻어지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또는 물 잔류물로 조제되며, 상기의 열수 추출물과 이의 활성 분획인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또는 물 잔류물은 혈전 생성 관련 효소 및 혈액 응고 인자 저해 효과에 의한 강력한 항혈전 활성을 나타내며, 혈행 개선을 통해 허혈성 뇌졸중 및 출혈성 뇌졸중과 같은 혈전증의 예방 및 치료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마가목 줄기 추출물은 급성 경구 독성이 나타나지 않으며, 열 안정성이 우수하고, pH 2의 산성 조건 및 혈장 내에서도 혈액 응고 인자 저해 효과 및 혈전 생성 관련 효소 저해 효과의 손실이 나타나지 않아, 추출액, 분말, 환, 정 등의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어 상시 복용이 가능한 형태로 조제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제약 산업 및 식품 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마가목을 대상으로 항혈전 효능을 검정하기 위하여, 일정 방법으로 수득한 마가목 줄기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 등으로부터 항혈전 활성 성분을 회수하였고, 이러한 성분은 경구 급성 독성이 나타나지 않으면서, 열 안정성과 산 안정성이 우수한 특징을 가짐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추출물을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으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마가목 줄기를 이용하여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마가목 열매, 줄기, 잎의 추출물을 조제하고, 이들의 항혈전 활성을 각각 인간 혈장과 인간 트롬빈에 대한 트롬빈 직접 저해(Thrombin Time), 프로트롬빈 저해(Prothrombin Time) 및 활성부분 트롬보플라스틴 타임(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을 평가한 결과, 마가목 줄기(수피)에서만 항혈전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줄기를 다양한 온도에서 열수 추출하여 상기의 항혈전 활성을 평가한 결과, 80~100℃에서 추출한 경우 가장 우수한 항혈전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마가목 줄기의 열수 추출물을 순차적 유기 용매 분획하여 헥센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및 물 잔류물 등을 수득하여 상기의 항혈전 활성을 평가한 결과, 물 잔류물에서 강력한 트롬빈 및 프로트롬빈 저해활성과 혈액 응고 인자의 특이적 저해활성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는 트롬빈 및 프로트롬빈 저해활성은 없으나, 강력한 혈액 응고 인자 저해 활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마가목 줄기 추출물 및 이의 유기 용매 분획물들은 인간 적혈구 용혈 반응을 나타내지 않아 급성 경구 독성이 나타나지 않으며, pH 2의 산처리, 100℃의 열처리 및 혈장 처리시에도 활성의 손실이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와 같은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마가목 줄기 추출물 및 이로부터 순차적인 유기 용매 분획물을 제조하고, 이의 총폴리페놀, 총플라보노이드 등의 유용성분을 분석하고, 추출물 및 분획물의 인간 트롬빈 직접 저해 효과, 프로트롬빈 저해 효과, 혈액 응고 인자(VIII 인자, IX 인자, XI 인자 및 XII 인자) 저해에 의한 활성부분 트롬보플라스틴 타임 연장 효과를 평가하여,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 등이 상업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항혈전제인 아스피린(상품명: 프로텍트)보다 우수한 항혈전 활성을 가짐을 확인하고, 인간 적혈구 용혈 활성이 나타나지 않으며, 상기 물질의 혈장, 열 및 산 안정성을 조사하여 식품 가공적성 및 안정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마가목 줄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상기 마가목 줄기 추출물은 에탄올을 포함한 다양한 용매로 추출 가능하나, 열수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수 추출물은 통상의 열수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60~120℃에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관능성 및 항혈전 활성 측면에서는 80℃ 추출이 바람직하며, 추출 수율 및 경제성의 측면을 고려하면 80~100℃ 추출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상기 마가목 줄기 추출물은 마가목 열수 추출물을 헥센,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로 순차 분획하여 얻어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및 상기 순차 분획 후의 물 잔류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마가목 줄기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효능 실험 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마가목 줄기로부터 활성 추출물을 조제하는 단계; 마가목 줄기 추출물로부터 헥센, 에틸아세테이드, 부탄올의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물 조제 및 이후 얻어지는 물 잔류물의 조제 단계; 상기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혈전 활성 평가 단계 및 및 안정성 조사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마가목 줄기 추출물"은 8~10월의 마가목의 줄기 부분을 채취하여 세척한 후, 음건하는 단계, 유기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을 0.06mm 이하의 여과망을 사용하여 여과하고, 이를 감압농축하는 단계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기용매는 물(냉수, 열수), 주정,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주정, 프로판올, 부탄올 등), 상기 저급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열수 추출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마가목 줄기 열수 추출물을 5mg/ml의 농도로 하여 트롬빈 타임, 프로트롬빈 타임 및 에이피티 타임을 측정한 결과, 무첨가구보다 각각 6.9배, 15배 및 15배 연장된 혈전 생성 억제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함으로써 마가목 줄기 열수 추출물은 매우 강력한 항혈전 효과가 있음을 증명하였다. 한편, 분획물 중 에탈아세테이트 분획물은 5mg/ml 농도에서 트롬빈 타임 및 프로트론빈 타임에는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에이피티 타임은 15배 이상 연장시켜 강력한 혈액 응고 인자 저해를 나타내었으며, 물 잔류물은 5mg/ml 농도에서 트롬빈 타임, 프로트롬빈 타임 및 에이피티 타임 모두를 15배 이상 연장시켜 가장 강력한 혈전생성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기타 헥센 분획 및 부탄올 분획은 항혈전 활성이 거의 없거나 상대적으로 미약하였다.
상업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항혈전제인 아스피린(상품명 프로텍트)의 경우 1.5mg/ml농도에서 트롬빈 타임, 프로트롬빈 타임 및 에이피티 타임이 무첨가구보다 각각 1.8배, 1.8배 및 1.8배 연장됨을 고려할 때, 마가목 열수 추출물, 이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 물 잔류물은 우수한 항혈전 활성을 나타내며, 기존의 부작용 우려가 높은 아스피린과 같은 항응고제를 대치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마가목 줄기 추출물 및 이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및 물 잔류물은 감압증류 및 동결건조, 또는 분무건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분말화 과정을 거쳐 분말로 제조될 수 있다. 이들은 혈장 내의 다양한 분해효소에 분해되지 않으며, 100℃의 열처리와 pH 2의 인체 위 내의 pH에서도 활성을 유지한다.
본 발명의 마가목 줄기 추출물은 혈전증과 관련된 다양한 질환들의 예방 또는 치료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질환들은, 예를 들어, 동맥 혈전증으로서, 급성 심근 경색증, 가슴 통증, 호흡 곤란, 의식 소실, 허혈성 뇌졸중, 출혈성 뇌졸중, 두통, 운동 이상, 감각 이상, 성격 변화, 시력 저하, 간질 발작, 폐 혈전증, 심부정맥 혈전증, 하지 부종, 통증 및 급성 말초 동맥 폐쇄증 등을 들 수 있고, 정맥 혈전증으로서, 심부정맥 혈전증, 간문맥 혈전증, 급성 신장정맥 폐쇄증, 뇌 정맥동 혈전증 및 중심 망막정맥 폐쇄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마가목 줄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의 사용 목적에 맞게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제,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 제형, 멸균 주사용액의 주사제 등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경구 투여하거나 정맥 내, 복강 내, 피하, 직장, 국소 투여 등을 포함한 다양한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약학적 조성물에는 추가적으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등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포함될 수 있는 적합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쓰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스, 메틸 셀룰로스, 비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충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혼합하여 제형화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경구용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예시될 수 있으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액체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제,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 좌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제에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주사제에는 용해제, 등장화제, 현탁화제, 유화제, 안정화제, 방부제 등과 같은 종래의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가목 줄기 추출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서,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서 마가목 줄기 추출물의 유효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체중 ㎏ 당 1 내지 5,000mg,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0mg을 매일 또는 격일 투여하거나 1일 1 내지 3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투여 경로, 질병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대상에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소정의 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일반적인 모든 경로를 통하여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표적 세포로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를 이용해 투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대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인간, 원숭이, 소, 말, 양, 돼지, 닭, 칠면조, 메추라기, 고양이, 개, 마우스, 쥐, 토끼 또는 기니아 피그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포유류,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은 혈전증의 예방 또는 개선에 효과적인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가목 줄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가목 줄기 추출물은 일반적으로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음료 조성물은 100ml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 예컨대, 천연 탄수화물 및 다양한 향미제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로는 포도당, 과당 등의 단당류,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등의 이당류 및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의 다당류와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의 당알코올이 있다.
상기 향미제로는 타우마틴; 레바우디오시드 A 또는 글리시르히진과 같은 스테비아 등의 천연 향미제 및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의 합성 향미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 100ml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을 사용한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은 천연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 등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본 발명의 마가목 추출물 100중량부 당 0.01 내지 약 20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체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 시 예]
실시예 1: 마가목 잎, 열매, 줄기 추출물 조제 및 이들의 성분 분석 및 항혈전 활성 평가
2014년 7월 울릉도 자생 마가목의 줄기, 잎, 열매를 구입하여 각각의 시료에 대해 10배의 증류수를 가하고 100℃에서 1시간 가열 추출한 후 방냉하고, 다시 상기 과정을 1회 반복한 후 추출액을 모아 필터링한 후, 감압 농축하여 분말로 제조하여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각 부위별 추출효율과 추출액의 pH, brix는 표 1에 나타내었으며, 각 추출물의 성분 분석으로 총폴리페놀, 총플라보노이드, 총당 및 환원당 함량을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추출 검액 400μl에 50μl의 Folin-ciocalteau, 100μl의 Na2CO3 포화용액을 넣고 실온에서 1 시간 방치한 후 72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시약으로는 tannic acid를 사용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의 시료를 18시간 메탄올 교반 추출하고, 여과한 추출 검액 400μl에 90% diethylene glycol 4ml를 첨가하고 다시 1 N NaOH 40μl를 넣고 37℃에서 1시간 반응 후 4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시약으로는 rutin을 사용하였다. 환원당은 DNS법으로, 총당은 phenol-sulfuric acid법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표 1] 마가목 줄기, 잎, 열매 열수 추출물의 추출효율과 추출액의 pH , brix 및 성분 분석 비교
Figure pat00001
표 1에 나타낸 바와 추출효율은 잎 > 열매 > 줄기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pH는 열매의 경우 4.2의 산성을, 줄기 및 잎의 경우 5.5를 나타내었다. 추출액의 brix는 열매 > 잎 > 줄기의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총 폴리페놀 함량은 줄기 > 잎 > 열매의 순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총플라보노이드 는 잎 > 열매 > 줄기의 순으로 나타났다. 줄기 추출물의 경우 특이하게 총당 및 환원당 함량이 높게 나타나, 높은 관능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여 줄기 추출액이 차류 및 음료류로 사용되는 이유를 알 수 있었다.
한편, 마가목 줄기, 잎, 열매 열수 추출물의 항혈전 활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각각의 추출물의 항혈전 활성은 기존에 보고된 방법에 준해 평가하였으며(Sohn et al., 2004. Kor . J. Pharmacogn 35. 52-61; Kwon et al., 2004. J. Life Science, 14. 509-513; 류 등 2010. J. Life Science, 20. 922-928), 트롬빈 타임, 프로트롬빈 타임과 에이피티티 타임을 측정하였다. 혈장은 지원자의 전혈로부터 조제하였으며, 채혈 후 즉시 4℃에서 5,000g로 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혈장을 분리하고 냉동한 상태로 보관하였으며(신선동결혈장), 필요시 상온에서 해동하여 사용하였다. 트롬빈 타임, 프로트롬빈 타임과 에이피티티 측정법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수행되었다.
트롬빈 타임( Thrombin Time )
37℃에서 0.5U 트롬빈(Sigma Co., USA) 50μl와 20 mM CaCl2 50μl, 다양한 농도의 시료 추출액 10μl를 Amelung coagulometer KC-1A(Japan)의 튜브에 혼합하여 2분간 반응시킨 후, 혈장 100μl를 첨가한 후 혈장이 응고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대조로는 아스피린(Sigma Co., USA)을 사용하였으며, 용매 대조구로는 시료 대신 DMSO를 사용하였다. DMSO의 경우 32.1초의 응고시간을 나타내었다. 트롬빈 저해 효과는 3회 이상 반복한 실험의 평균치로 나타내었으며, 트롬빈 저해활성은 시료 첨가시의 응고시간을 용매 대조구의 응고시간으로 나눈 값으로 나타내었다.
프로트롬빈 타임( prothrombin time )
표준혈장(MD Pacific Co., China) 70μl와 다양한 농도의 시료액 10μl를 Amelung coagulometer KC-1A(Japan)의 튜브에 첨가하여 37℃에서 3분간 가온 후, 130μl의 PT reagent를 첨가하고 혈장이 응고될 때까지의 시간을 3회 반복한 실험의 평균치로 나타내었다. 대조로는 아스피린(Sigma Co., USA)을 사용하였으며, 용매 대조구로는 시료 대신 DMSO를 사용하였다. DMSO의 경우 18.1초의 응고시간을 나타내었다. 프로트롬빈 저해활성은 시료 첨가시의 응고시간을 용매 대조구의 응고시간으로 나눈 값으로 나타내었다.
aPTT (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
혈장 100μl와 다양한 농도의 시료 추출액 10μl를 Amelung coagulometer KC-1A(Japan)의 튜브에 첨가하여 37℃에서 3분간 가온한 후, 50μl의 aPTT reagent(Sigma, ALEXINTM)를 첨가하고 다시 37℃에서 3분간 배양하였다. 이후 50μl CaCl2(35mM)을 첨가한 후 혈장이 응고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용매 대조구로는 시료 대신 DMSO를 사용하였으며, 이 경우 55.1초의 응고시간을 나타내었다. aPTT의 결과는 3회 반복한 실험의 평균치로 나타내었으며, 혈액응고인자 저해활성은 시료 첨가시의 aPTT시간을 용매 대조구의 aPTT시간으로 나눈 값으로 나타내었다.
[표 2] 마가목 줄기, 잎, 열매 열수 추출물의 항혈전 활성
Figure pat00002
그 결과,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가목의 줄기 추출물에서만 강력한 항혈전 활성이 나타났으며, 혈전 생성에 관련되는 트롬빈, 프로트롬빈의 저해는 물론 혈액응고인자의 저해도 강력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마가목 줄기 추출물이 항혈전제로 이용 가능함을 제시하며, 아스피린이 나타내는 위장 장해 등과 마가목 줄기 추출물이 정제되지 않은 상태임을 고려한다면, 향후 마가목 줄기 유래 항혈전 활성물질 확보시에는 상업적인 항혈전제 개발이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실시예 2. 마가목 줄기의 온도별 열수 추출물 조제 및 항혈전 활성 평가
마가목 줄기의 항혈전 활성물질의 최적 추출온도를 검토하기 위해 다양한 온도에서 마가목 줄기 100g에 5배의 열수를 가하고, 30분 동안 1회 추출하여 열수 추출물을 조제하고, 이의 pH, brix 색차, 관능성을 분석하였으며, 추출액의 색차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다양한 온도에서 조제된 마가목 줄기 열수 추출물의 특성
Figure pat00003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추출온도가 높아질수록 추출효율은 증가하였으며, 특히 80℃ 이후 온도증가에 따른 추출효율 증대가 크게 나타났다. 반면, 관능성은 추출온도가 높을수록 낮게 나타났으며, pH와 brix는 추출온도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색차의 경우 거의 유사하였으나, 추출온도가 높을수록 적색도는 감소하며, 황색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각각의 온도에서 조제된 줄기 추출물의 항혈전 활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각각의 온도에서 조제된 줄기 추출물의 항혈전 활성
Figure pat00004
먼저 트롬빈 타임의 경우, 30℃ 추출을 제외한 모든 온도의 추출물(5mg/ml)에서 15배 이상의 연장 활성을 나타낸 반면, 프로트롬빈 타임 및 에이피티 타임의 경우에는 80℃ 이상의 추출조건에서만 5mg/ml 농도에서 15배 이상의 연장 활성을 나타내었다. 가장 강력한 활성은 80℃에서 추출한 경우로 2.5mg/ml 농도에서도 트롬빈 타임은 4.9배, 에이피티 타임은 15배 이상 연장된 강력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마가목 줄기 추출의 항혈전 활성을 고려한다면 80℃ 추출이 가장 바람직하며, 추출효율 및 경제성을 고려한다면 100℃ 추출이 바람직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마가목 줄기의 열수 추출물 및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물의 조제와 이들의 항혈전 활성 평가
마가목 줄기의 항혈전 활성 분획을 조제하기 위해, 항혈전 활성이 우수하면서도 추출수율이 높은 100℃를 선정하여 마가목 줄기의 열수 추출물을 대량으로 조제하였다. 먼저 마가목 줄기 1kg에 대해 10L의 증류수를 가하고 100℃에서 1시간씩 3회 반복 추출하였으며, 추출물은 감압 농축하여 분말로 제조하였다. 1차 추출시 회수율은 2.64%, 2차 추출시 회수율은 1.22%, 3차 추출시 회수율은 0.54%로 최종 추출효율은 4.4%이었다. 이후 열수 추출물을 증류수에 현탁한 후, 헥센,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로 순차적 분획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물 잔류물을 얻었다. 각각의 분획물의 분획효율 및 이들의 성분 분석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 마가목 줄기 열수 추출물 및 분획물의 성분 분석 (단위: mg /g)
Figure pat00005
마가목의 분획물은 부탄올 분획물과 물 잔류물이 83%를 차지하며, 헥센 분획물은 추출물의 1% 이하로 나타나, 추출물의 대부분이 수용성 성분임을 확인하였다.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결과 열수 추출물의 높은 함량은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 분획물로 주로 이행되었으며, 환원당 및 총 당은 주로 부탄올 분획물 및 물 잔류물로 이행되었다. 각각의 분획물의 혈전 활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6에 나타내었다.
먼저, 양성대조구로 사용된 아스피린은 트롬빈 타임, 프로트롬빈 타임 및 에이피티 타임을 각각 1.8배 연장시켜 항혈전 활성을 나타내었다. 마가목의 열수 추출물의 분획물에서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 5.0mg/ml 농도에서 15배 이상 연장된 에이피티 타임을 나타내었으며, 물 잔류물에서는 줄기 열수 추출물보다 농도가 1/2 낮은 2.5mg/ml 농도에서도 트롬빈 타임 ?? 에이피티 타임 연장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마가목 줄기의 열수 추출물보다 물 잔류물이 더욱 강력한 항혈전 활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표 6] 마가목 줄기 열수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혈전 활성
Figure pat00006
실시예 4: 마가목 줄기 열수 추출물의 물 잔류물의 활성물질의 화학적 특성 및 안정성
상기 실시예 3에서 얻은 마가목 줄기의 열수 추출물의 물 잔류물을 대상으로 인간 적혈구 용혈 활성, 혈장 안정성, 열 안정성 및 산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조정제된 활성물질은 5.0mg/ml 농도까지 적혈구 용혈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100℃에서 1시간 처리, pH 2(0.01 M HCl)에서의 1시간 처리, 혈장에서 1시간 처리시에도 항혈전 저해활성의 감소가 나타나지 않아 높은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Claims (5)

  1. 마가목( Sorbus commixta ) 줄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60~120℃의 열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상기 열수 추출물을 헥센,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의 유기 용매로 순차 분획하여 얻어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물 잔류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혈액 응고 억제용 또는 혈전 생성 억제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유효 성분을 포함하는 혈전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
KR1020150030294A 2015-03-04 2015-03-04 마가목 줄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743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294A KR101743995B1 (ko) 2015-03-04 2015-03-04 마가목 줄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294A KR101743995B1 (ko) 2015-03-04 2015-03-04 마가목 줄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496A true KR20160107496A (ko) 2016-09-19
KR101743995B1 KR101743995B1 (ko) 2017-06-07

Family

ID=57103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0294A KR101743995B1 (ko) 2015-03-04 2015-03-04 마가목 줄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39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998B1 (ko) * 2019-09-27 2020-05-27 박형성 마가목 액기스 제조방법 및 이를 활용한 마가목 액기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785B1 (ko) 2001-05-17 2003-12-31 (주)미네모아 혈액순환개선용 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785B1 (ko) 2001-05-17 2003-12-31 (주)미네모아 혈액순환개선용 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998B1 (ko) * 2019-09-27 2020-05-27 박형성 마가목 액기스 제조방법 및 이를 활용한 마가목 액기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3995B1 (ko) 2017-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4168B1 (ko) 참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602190B1 (ko) 우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20190087233A (ko) 저온추출 자색고구마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678301B1 (ko) 블랙커런트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870952B1 (ko) 람부탄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743995B1 (ko) 마가목 줄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883181B1 (ko) 모링가 올레이페라 지하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20190020889A (ko) 아피오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20190021502A (ko) 생강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440574B1 (ko) 감송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725623B1 (ko) 마가목 열매 추출물의 유기 용매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075799B1 (ko) 풋사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916340B1 (ko) 상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976202B1 (ko) 패션후르츠 과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013288B1 (ko) 미후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678303B1 (ko) 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479816B1 (ko) 상황버섯 자실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422250B1 (ko) 눈개승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522457B1 (ko)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20190066491A (ko) 패션후르츠 과육과 씨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404165B1 (ko) 일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037530B1 (ko) 옥미수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20190009929A (ko) 연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381447B1 (ko) 동백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800372B1 (ko) 복숭아 유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