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5390A -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5390A
KR20160105390A KR1020167014758A KR20167014758A KR20160105390A KR 20160105390 A KR20160105390 A KR 20160105390A KR 1020167014758 A KR1020167014758 A KR 1020167014758A KR 20167014758 A KR20167014758 A KR 20167014758A KR 20160105390 A KR20160105390 A KR 20160105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easy
fine particles
layer
m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4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3580B1 (ko
Inventor
마사히로 요시자와
다다히로 마츠모토
요스케 기타
Original Assignee
오꾸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꾸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꾸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05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5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7/1233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과제] 필름의 권취시에 발생하는 블로킹을 억제하면서도, 다른 기능성 필름과의 밀착성이 우수한 광학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 수단] (메트)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우레탄 수지와 (메트)아크릴로니트릴계 미립자를 함유하는 접착 용이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이 광학 필름은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OPTICAL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메트)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표면에 접착 용이층을 갖는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메타크릴산메틸로 대표되는 (메트)아크릴 중합체를 함유하는 아크릴 수지는, 광선 투과율 등의 광학 특성이 우수함과 함께, 기계적 강도 및 성형 가공성의 밸런스가 우수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아크릴 수지는, 최근, 광학 관련 용도에 사용되고, 액정 표시 장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유기 EL 표시 장치와 같은 화상 표시 장치에 삽입되는 광학 필름으로의 아크릴 수지의 응용이 진행되고 있다.
광학 필름은, 다른 기능성 필름과 적층된 상태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광학 필름의 1 종인 편광자 보호 필름은, 통상적으로, 편광자와, 당해 편광자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접착층을 개재하여 적층된 편광판의 상태에서 화상 표시 장치에 사용되고 있다.
아크릴 수지를 이와 같은 광학 필름에 사용할 때, 다른 기능성 필름과의 적층을 고려하여, 당해 광학 필름의 표면에 접착 용이층을 형성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접착 용이층을 형성한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지는 광학 필름은, 롤에 권취하는 공정에 있어서, 블로킹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55062호에는,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지는 광학 필름을 롤에 권취할 때의 블로킹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아크릴 수지 필름과, 우레탄 수지 및 콜로이달 실리카 미립자 등의 미립자를 함유하는 접착 용이 조성물로 형성된 접착 용이층을 갖는 편광자 보호 필름이 제안되어 있다. 이 접착 용이층의 표면에는, 미소한 요철이 형성되기 때문에, 아크릴 수지 필름과 접착 용이층의 접촉면에 있어서의 마찰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콜로이달 실리카 등의 미립자를 배합한 접착 용이층이 형성된 아크릴 수지 필름은, 미립자에 의해 접착 용이층 표면에 요철이 형성됨으로써 아크릴 수지 필름과 접착 용이층의 접촉면에 있어서의 마찰력을 저감시키고, 필름의 권취시에 발생하는 블로킹을 억제할 수 있지만, 미립자를 배합함으로써, 접착 용이층의 강도 및 접착 용이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미립자를 배합한 접착 용이층을 갖는 아크릴 수지 필름으로 구성되는 광학 필름의 접착 용이층의 강도 및 접착 용이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과제로 하고, 필름의 권취시에 발생하는 블로킹을 억제하면서도, 다른 기능성 필름과의 밀착성이 우수한 광학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1) (메트)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우레탄 수지와 (메트)아크릴로니트릴계 미립자를 함유하는 접착 용이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또,
(2) 상기 접착 용이층은, 상기 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미립자를 0.1 ∼ 15 중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기재된 광학 필름,
(3) 상기 우레탄 수지가, 분자 중에 아니온성 관능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 기재된 광학 필름,
(4) 상기 폴리올이,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폴리아크릴폴리올, 폴리에테르폴리올, 및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 필름,
(5) 상기 미립자의 입자 직경이, 50 ∼ 35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추가로,
(6)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메트)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우레탄 수지와 (메트)아크릴로니트릴계 미립자를 함유하는 접착 용이 조성물을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고, 상기 도막을 건조시켜 접착 용이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우레탄 수지와 (메트)아크릴로니트릴계 미립자를 함유하는 접착 용이층을 가짐으로써, 권취시에 발생하는 블로킹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면서도, 접착 용이층의 강도 및 접착 용이성이 향상되고, 다른 기능성 필름과의 밀착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메트)아크릴」의 용어는 메타크릴, 아크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총칭으로서 사용하고 있다. 또,「(메트)아크릴로니트릴」의 용어도 마찬가지로, 메타크릴로니트릴,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총칭으로서 사용하고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편광판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메트)아크릴계 수지 필름]
본 발명의 광학 필름에 사용되는 (메트)아크릴계 수지 필름은, (메트)아크릴계 수지 (이하 MAR 로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 를 함유한다. MAR 필름은, 예를 들어, MAR 을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수지 성분을 함유하는 성형 재료를 압출 성형으로 성형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MAR 의 유리 전이 온도 (Tg) 는, 11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25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30 ℃ 이상이다. 상기 MAR 필름은, 유리 전이 온도 (Tg) 가 115 ℃ 이상인 MAR 을 주성분으로서 함유함으로써, 내구성이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MAR 의 유리 전이 온도 (Tg) 의 상한치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성형성 등의 관점에서, 17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MAR 로는, 종래부터 관용되고 있는 임의의 적절한 MAR 을 채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등의 폴리(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아크릴산에스테르-(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메틸-스티렌 공중합체 (MS 수지 등), 지환족 탄화수소기를 갖는 중합체 (예를 들어, 메타크릴산메틸-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노르보르닐 공중합체 등) 를 들 수 있다. 상기 중에서도, 폴리(메트)아크릴산메틸등의 폴리(메트)아크릴산C1-6알킬이 바람직하고, 메타크릴산메틸을 주성분 (50 ∼ 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70 ∼ 100 중량%) 으로 하는 메타크릴산메틸계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MAR 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미츠비시 레이욘사 제조의 아크리펫 VH 나 아크리펫 VRL20A, 분자내 가교나 분자내 고리화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고 Tg MAR 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MAR 은, 내열성, 투명성, 기계적 강도 면에서 우수한 점에서, 주사슬에 고리 구조를 갖는 MAR 이어도 된다. 주사슬에 고리 구조를 갖는 MAR 로는, 무수 글루타르산 구조 혹은 글루타르이미드 구조를 갖는 MAR (WO2007/26659호 공보, WO2005/108438호 공보), 무수 말레산 구조 혹은 N-치환 말레이미드 구조를 갖는 MAR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7-15300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31537호),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MAR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9696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17146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6354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191426호) 등을 들 수 있다.
MAR 필름 중의 상기 MAR 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0 ∼ 10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99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98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70 ∼ 97 중량% 이다. MAR 필름 중의 상기 MAR 의 함유량이 50 중량%미만인 경우에는, MAR 이 본래 갖는 고내열성, 고투명성을 충분히 반영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MAR 필름은, 상기 MAR 이외에, 다른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다른 열가소성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4-메틸-1-펜텐) 등의 올레핀계 중합체 ;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염소화 비닐 수지 등의 할로겐화 비닐계 중합체 ;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등의 아크릴계 중합체 ; 폴리스티렌, 스티렌-메타크릴산메틸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계 중합체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610 등의 폴리아미드 ; 폴리아세탈 ; 폴리카보네이트 ; 폴리페닐렌옥사이드 ; 폴리페닐렌술파이드 ;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 폴리술폰 ; 폴리에테르술폰 ; 폴리옥시벤질렌 ; 폴리아미드이미드 ; 폴리부타디엔계 고무, 아크릴계 고무를 배합한 ABS 수지나 ASA 수지 등의 고무질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MAR 필름에 있어서의 다른 열가소성 수지의 함유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0 ∼ 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 ∼ 4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 ∼ 3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 ∼ 20 중량% 이다.
MAR 필름은,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힌더드페놀계, 인계, 황계 등의 산화 방지제 ; 내광 안정제, 내후 안정제, 열 안정제 등의 안정제 ; 유리 섬유, 탄소 섬유 등의 보강재 ; 페닐살리실레이트,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하이드록시벤조페논 등의 자외선 흡수제 ; 근적외선 흡수제 ; 트리스(디브로모프로필)포스페이트, 트리알릴포스페이트, 산화 안티몬 등의 난연제 ; 아니온계, 카티온계, 논이온계의 계면활성제 등의 대전 방지제 ; 무기 안료, 유기 안료, 염료 등의 착색제 ; 유기 필러나 무기 필러 ; 수지 개질제 ; 유기 충전제나 무기 충전제 ; 가소제 ; 활제 ; 대전 방지제 ; 난연제 ; 위상차 저감제 등을 들 수 있다.
MAR 필름에 있어서의 첨가제의 함유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0 ∼ 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 ∼ 2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 ∼ 0.5 중량% 이다.
MAR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MAR 과 그 밖의 중합체나 첨가제 등을 임의의 적절한 혼합 방법으로 충분히 혼합하여, 미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한 후, 이것을 필름 성형할 수 있다. 혹은, MAR 과 그 밖의 중합체나 첨가제 등을 각각 별도의 용액으로 한 후 혼합하여 균일한 혼합액으로 한 후, 필름 성형해도 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려면, 예를 들어, 옴니 믹서 등, 임의의 적절한 혼합기로 상기의 필름 원료를 프리블렌드한 후, 얻어진 혼합물을 압출 혼련한다. 이 경우, 압출 혼련에 사용되는 혼련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어, 단축 압출기, 2 축 압출기 등의 압출기나 가압 니더 등, 임의의 적절한 혼합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필름 성형의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용액 캐스트법 (용액 유연법), 용융 압출법, 캘린더법, 압축 성형법 등, 임의의 적절한 필름 성형법을 들 수 있다. 이들의 필름 성형법 중, 용액 캐스트법 (용액 유연법), 용융 압출법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액 캐스트법 (용액 유연법) 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로는, 예를 들어, 드럼식 캐스팅 머신, 밴드식 캐스팅 머신, 스핀 코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용융 압출법으로는, 예를 들어, T 다이법, 인플레이션법 등을 들 수 있다. 성형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50 ∼ 3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 300 ℃ 이다.
상기 T 다이법으로 필름 성형하는 경우에는, 공지된 단축 압출기나 2 축 압출기의 선단부에 T 다이를 장착하고, 당해 T 다이에 의해 필름을 제막한 후, 필름을 권취함으로써 롤상의 필름을 얻을 수 있다.
MAR 필름은, 미연신 필름 또는 연신 필름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연신 필름인 경우에는, 1 축 연신 필름 또는 2 축 연신 필름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2 축 연신 필름인 경우에는, 동시 2 축 연신 필름 또는 축차 2 축 연신 필름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2 축 연신한 경우에는,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고, 필름 성능이 향상된다.
연신 온도는, 필름 원료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 근방인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바람직하게는 (유리 전이 온도 - 30 ℃) ∼ (유리 전이 온도 + 1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유리 전이 온도 - 20 ℃) ∼ (유리 전이 온도 + 80 ℃) 의 범위 내이다. 연신 온도가 (유리 전이 온도 - 30 ℃) 미만이면, 충분한 연신 배율이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연신 온도가 (유리 전이 온도 + 100 ℃) 초과하면, 수지 조성물의 유동 (플로우) 이 일어나, 안정적인 연신을 실시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면적비로 정의한 연신 배율은, 바람직하게는 1.1 ∼ 25 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 10 배이다. 연신 배율이 1.1 배 미만이면, 연신에 수반하는 인성 (靭性) 의 향상으로 연결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연신 배율이 25 배를 초과하면, 연신 배율을 올리는 만큼의 효과 (인성의 향상) 가 인정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연신 속도는, 일방향에서, 바람직하게는 10 ∼ 20,000 %/min,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 10,000 %/min 이다. 연신 속도가 10 %/min 미만이면, 충분한 연신 배율을 얻기 위하여 시간이 걸리고, 제조 비용이 높아질 우려가 있다. 연신 속도가 20,000 %/min 을 초과하면, 연신 필름의 파단 등이 일어날 우려가 있다.
MAR 필름은, 그 광학적 등방성이나 기계적 특성을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연신 처리 후에 열처리 (어닐링) 등을 실시할 수 있다. 열처리의 조건은, 임의의 적절한 조건을 채용할 수 있다.
MAR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 ∼ 2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100 ㎛ 이다. 두께가 5 ㎛ 미만이면, 광학 필름으로서의 충분한 강도가 얻어지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두께가 200 ㎛ 를 초과하면, 투명성이 저하되고, 광학 필름으로서의 사용에 적합하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MAR 필름의 표면의 젖음 장력은, 바람직하게는 40 mN/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mN/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5 mN/m 이상이다. 표면이 젖음 장력을 적어도 40 mN/m 이상으로 함으로써, MAR 필름과 접착 용이층의 접착 강도가 더욱 향상된다. 표면이 젖음 장력을 조정하기 위하여, 임의의 적절한 표면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표면 처리로는, 예를 들어,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즈마 처리, 오존 분사, 자외선 조사, 화염 처리, 화학 약품 처리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즈마 처리이다.
[접착 용이층]
상기 접착 용이층은,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우레탄 수지와 (메트)아크릴로니트릴계 미립자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립자는, 투명성이 우수하고, 헤이즈를 일으키지 않고, 착색도 없기 때문에, 예를 들어,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한 경우, 편광자의 광학 특성에 주는 영향이 작다는 이점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접착 용이층의 강도 및 접착 용이성은, 미립자를 배합함으로써 저하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접착 용이층은, 우레탄 수지와 (메트)아크릴로니트릴계 미립자를 함유함으로써, 접착 용이층의 강도 및 접착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이유는 분명하지 않지만, 본 발명자들이 추찰하기에, (메트)아크릴로니트릴의 전자 구인성의 관능기인 니트릴기와 우레탄 수지 중의 카르보닐기 혹은 카르복실기 사이에 정전적인 힘이 작용함으로써 접착 용이층의 강도가 향상되고, 나아가서는, 당해 니트릴기와 접착 용이층에 인접하는 층 사이에 있어서도 정전적인 힘이 작용하여, 접착 용이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생각한다.
상기 우레탄 수지는,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진다. 폴리올로는, 분자 중에 하이드록실기를 2 개 이상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적절한 폴리올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폴리올,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폴리에테르폴리올,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혹은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 수지는, 폴리아크릴폴리올,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에서 선택되는 1 종, 혹은 2 종 이상의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우레탄 수지는, 극성이 크고, 분자 중에 카르보닐기를 다수 갖는 점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접착 용이층의 강도 및 접착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이들 중에서도, 폴리에스테르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우레탄 수지는, 특히 극성이 큰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우레탄 수지는, 분자 중에 아니온성 관능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니온성 관능기로는, 카르복실기, 술폰산기, 인산기, 페놀계 수산기 등을 들 수 있다. 아니온성 관능기를 갖는 우레탄 수지는, 예를 들어, 상기 폴리올과 상기 이소시아네이트에 추가로, 사슬 연장제로서 아니온성 관능기를 갖는 디올 등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우레탄 수지는, 분자 중에 아니온성 관능기로서 카르복실기를 갖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카르복실기를 가짐으로써, 다른 기능성 필름과의 밀착성(특히, 고온·고습하에 있어서의) 이 우수한 광학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카르복실기를 갖는 우레탄 수지는, 예를 들어, 상기 폴리올과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에 추가로 유리 카르복실기를 갖는 사슬 연장제를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유리 카르복실기를 갖는 사슬 연장제는, 예를 들어, 디하이드록시카르복실산, 디하이드록시숙신산 등을 들 수 있다. 디하이드록시카르복실산은, 예를 들어, 디메틸올알칸산 (예를 들어, 디메틸올아세트산, 디메틸올부탄산, 디메틸올프로피온산, 디메틸올부티르산, 디메틸올펜탄산) 등의 디알킬올알칸산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혹은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 수지의 수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5000 ∼ 60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0 ∼ 400000 이다. 상기 우레탄 수지의 산가는,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50,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 45 이다. 산가가 이와 같은 범위 내임으로써, 다른 기능성 필름과의 밀착성이 우수하다.
상기 우레탄 수지의 제조 방법은, 임의의 적절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각 성분을 한 번에 반응시키는 원숏법, 단계적으로 반응시키는 다단법을 들 수 있다. 우레탄 수지가 카르복실기를 갖는 경우, 다단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단법을 사용함으로써, 카르복실기를 용이하게 도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레탄 수지의 제조시에, 임의의 적절한 우레탄 반응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로니트릴계 미립자는, 단량체의 (메트)아크릴로니트릴을 중합시키거나 또는 (메트)아크릴로니트릴과 다른 단량체를 공중합시켜 얻어진다. 다른 단량체로는, 공중합 가능한 한, 임의의 적절한 단량체를 채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 등의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 ; 말레산 등의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그리고 그 무수물 및 모노 또는 디에스테르류 ; (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의 불포화 아미드류 ;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등의 비닐에스테르류 ; 메틸비닐에테르 등의 비닐에테르류 ;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α-올레핀류 ;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등의 할로겐화α,β-불포화 지방족 단량체 ;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등의 α,β-불포화 방향족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혹은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로니트릴계 미립자가 (메트)아크릴로니트릴과 다른 단량체의 공중합인 경우, (메트)아크릴로니트릴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립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50 ∼ 3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 3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 250 ㎚ 이다. 이와 같은 입자 직경의 미립자를 사용함으로써, 접착 용이층 표면에 적절히 요철을 형성하여, MAR 필름과 접착 용이층 및/또는 접착 용이층끼리의 접촉면에 있어서의 마찰력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고, 블로킹을 억제할 수 있다.
MAR 필름의 표면에 접착 용이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용이층은, 우레탄 수지와 (메트)아크릴로니트릴계 미립자를 함유하는 접착 용이 조성물을 아크릴 수지 필름의 표면에 도포하여, 당해 조성물의 도포막을 형성한 후, 형성한 도포막을 건조시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 용이 조성물은, 수계의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수계의 조성물은, 유기계 용제에 비하여, 접착 용이층을 형성할 때에 발생하는 환경에 대한 부하가 작고, 작업성이 우수하다. 수계의 조성물은, 예를 들어, 우레탄 수지의 분산체이다. 우레탄 수지의 분산체는, 전형적으로는 우레탄 수지의 에멀션이다. 우레탄 수지의 에멀션은, 건조에 의해 수지층이 된다. 또, 당해 에멀션에 함유되는 미립자는, 그대로 수지층에 잔류한다.
상기 접착 용이 조성물이 수계인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우레탄 수지의 제조에 있어서 중화제를 사용한다. 중화제를 사용함으로써, 수중에 있어서의 우레탄 수지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중화제로는, 예를 들어, 암모니아, N-메틸모르폴린, 트리에틸아민, 디메틸에탄올아민, 메틸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모르폴린, 트리프로필아민, 에탄올아민,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혹은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접착 용이 조성물이 수계인 경우, 우레탄 수지의 제조시에,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해 불활성이고, 물과 상용되는 유기 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당해 유기 용제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에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등의 에스테르계 용제 ;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계 용제 ;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의 에테르계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혹은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접착 용이 조성물이 수계인 경우, 미립자는 수분산체로서 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립자의 수분산체를 배합한 수계의 접착 용이 조성물은, 접착 용이층 형성시의 작업성이 보다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접착 용이 조성물은, 가교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가교제는, 임의의 적절한 가교제를 채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우레탄 수지가 카르복실기를 갖는 경우, 가교제로는,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실기와 반응할 수 있는 기를 갖는 폴리머를 들 수 있다. 카르복실기와 반응할 수 있는 기로는, 예를 들어, 유기 아미노기, 옥사졸린기, 에폭시기, 카르보디이미드기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교제는 옥사졸린기를 갖는다. 이들 중에서도 옥사졸린기를 갖는 가교제는, 상기 우레탄 수지와 혼합했을 때의 실온에서의 포트 라이프가 길고, 가열함으로써 가교 반응이 진행되기 때문에, 작업성이 양호해진다.
상기 접착 용이 조성물은, 임의의 적절한 첨가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분산 안정제, 요변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소포제, 증점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촉매, 필러, 활제, 대전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접착 용이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수계이다. 접착 용이 조성물에 있어서의 우레탄 수지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1.5 ∼ 1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10 중량% 이다. 접착 용이 조성물에 있어서의 우레탄 수지의 농도가 상기 범위이면, 접착 용이층 형성시의 작업성이 우수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접착 용이 조성물이 가교제를 함유하는 경우, 접착 용이 조성물 중의 가교제 (고형분) 의 함유량은, 우레탄 수지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1 ∼ 3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20 중량부이다. 1 중량부 이상으로 함으로써, 편광자와의 밀착성이 우수하고, 30 중량부 이하로 함으로써, 접착 용이층에 위상차가 발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접착 용이 조성물중의 미립자 (고형분) 의 함유량은, 우레탄 수지 (고형분 : 가교제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가교제도 포함시킨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1 ∼ 15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 5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3 중량부이다. 구체적으로는, 접착 용이층에 있어서의 미립자의 함유량은, 수지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1 ∼ 15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 5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3 중량부이다. 이와 같은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접착 용이층 표면에 적절히 요철을 형성하고, MAR 필름과 접착 용이층 및/또는 접착 용이층끼리의 접촉면에 있어서의 마찰력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고, 블로킹 억제능이 우수함과 함께, 접착 용이층의 강도와 접착 용이성이 향상되고, 다른 기능성 필름과의 접착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한 경우, 편광판의 광학 특성에 주는 영향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접착 용이층의 두께는, 임의의 적절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1 ∼ 10 ㎛,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 5 ㎛, 특히 바람직하게는 0.2 ∼ 1.0 ㎛ 이다. 이와 같은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다른 기능성 필름과의 밀착성이 우수하고, 접착 용이층에 위상차가 발현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접착 용이층의 두께 (d) 와, 접착 용이층에 함유되는 미립자의 평균 입자 직경 (r) 의 비 r/d 는, 0.3 ∼ 1.4 가 바람직하고, 0.4 ∼ 1.1 이 보다 바람직하고, 0.5 ∼ 1.0 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본 발명의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내블로킹성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접착 용이층의 두께 (d) 에 비하여 미립자의 입자 직경 (r) 이, 상기 비 r/d 의 범위를 초과하여 작은 경우, 접착 용이층에 함유되지만 접착 용이층의 표면에 노출되지 않는 미립자, 즉 내블로킹성의 향상에 기여하지 않지만 광학 필름의 헤이즈율을 상승시킬 우려가 있다. 접착 용이층의 두께 (d) 에 비하여 미립자의 평균 입자 직경 (r) 이, 상기 비 r/d 의 범위를 초과하여 큰 경우, 접착 용이층의 강도가 저하되고, 미립자가 접착 용이층으로부터 탈락하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광학 필름]
도 1 에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 에 나타내는 광학 필름 (1) 은, MAR 필름 (2) 의 일방의 표면에 접착 용이층 (3) 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MAR 필름 (2) 및 접착 용이층 (3) 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MAR 필름의 쌍방의 표면에 접착 용이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헤이즈율로는 1.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헤이즈율은 JIS K 7105 의 규정에 기초하여 측정된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접착 용이층 표면에 있어서의 정마찰 계수로는, 0.1 ∼ 0.60 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 0.55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 ∼ 0.5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정마찰 계수가 상기 범위이면, 필름의 권취시에 발생하는 블로킹의 억제능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롤에 권회할 때의 내블로킹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롤에 권회되어 있어도 된다 (필름 롤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필름 롤은, 내블로킹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광학 필름의 권취시 및 후가공의 조출시에 있어서, 필름의 핸들링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접착 용이층이 형성되어 있는 표면과 반대측의 표면에는, 필요에 따라, 각종의 기능성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기능성 코팅층은, 예를 들어, 대전 방지층, 점접착제층, 접착층, 접착 용이층, 방현 (논글레어) 층, 광촉매층 등의 방오층, 반사 방지층, 하드 코트층, 자외선 차폐층, 열선 차폐층, 전자파 차폐층, 가스 배리어층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예를 들어, 편광자 보호 필름, 위상차 필름, 시야각 보상 필름, 광확산 필름, 반사 필름, 반사 방지 필름, 방현 필름, 휘도 향상 필름, 터치 패널용 도전 필름이다. 또, 상기 중에서도,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이 나타내는 위상차는, 아크릴 수지 필름의 조성 및 연신 상태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광학적으로 등방인 필름이어도 되고, 광학적으로 이방성을 갖는 (예를 들어, 위상차와 같은 복굴절을 발현하는) 필름이어도 된다.
[편광판]
도 2 에 본 발명의 편광판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 에 나타내는 편광판 (10) 은, MAR 필름 (2) 의 일방의 표면에 접착 용이층 (3) 을 갖는 편광자 보호 필름 (4) 의 접착 용이층측의 표면에 접착제 (5) 를 개재시켜, 편광자 (6) 가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편광판 (10) 은, 편광자 (6) 의 편광자 보호 필름 (4) 과 반대측에,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적층된 제 2 편광자 보호 필름을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편광판은, MAR 필름의 표면에 접착 용이층을 갖는 편광자 보호 필름의 접착 용이층 표면에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편광자가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당해 편광자 보호 필름에 형성된 접착 용이층은, 접착 용이층의 강도 및 접착 용이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편광자와 편광자 보호 필름의 밀착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편광판으로 할 수 있다. 또, 편광자 보호 필름의 접착 용이층에 함유되는 유기 미립자의 평균 입자 직경이 가시광 파장보다 작기 때문에, 입자에 의한 광산란을 억제할 수 있고, 광학 특성이 우수한 편광판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편광자로는, 목적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편광자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부분 포르말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계 부분 비누화 필름 등의 친수성 고분자 필름에, 요오드나 이색성 염료 등의 이색성 물질을 흡착시켜 1 축 연신한 것, 폴리비닐알코올의 탈수 처리물이나 폴리염화비닐의 탈염산 처리물 등 폴리엔계 배향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에 요오드 등의 이색성 물질을 흡착시켜 1 축 연신한 편광자가, 편광 이색비가 높아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편광자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1 ∼ 80 ㎛ 정도이다.
상기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접착제로는, 임의의 적절한 접착제를 채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접착제층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함유하는 접착제 조성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는, 임의의 적절한 보호 필름을 채용할 수 있다. 제 2 편광자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재료의 대표예로는,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폴리머를 들 수 있다. 제 2 편광자 보호 필름은, 상기 서술한 MAR 필름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화상 표시 장치]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본 발명의 편광판을 구비한다. 화상 표시 장치의 구체예로는,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EL)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PD),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FED) 와 같은 자발광형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 (LCD) 에 사용할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 (LCD) 는, 액정 셀과 당해 액정 셀의 적어도 편측에 배치된 상기 편광판을 갖는다.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는 것인데, 예를 들어, MAR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우레탄 수지와 (메트)아크릴로니트릴계 미립자를 함유하는 접착 용이 조성물을 도포하여 당해 접착 용이 조성물의 도포막을 형성하고 (도포 공정), 형성한 도포막을 건조시켜, 상기 미립자를 함유하는 접착 용이층을 상기 표면에 형성 (건조 공정)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포 공정에 있어서 접착 용이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 코트법, 롤 코트법, 그라비아 코트법, 로드 코트법, 슬롯 오리피스 코트법, 커튼 코트법, 파운틴 코트법 등을 들 수 있다. 도포 공정에 있어서 형성하는 도포막의 두께는, 당해 도포막이 접착 용이층이 되었을 때에 필요한 두께에 따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접착 용이 조성물이 도포되는 표면은,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처리로는,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즈마 처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MAR 필름과 접착 용이층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코로나 방전 처리는, 임의의 적절한 조건으로 실시할 수 있다. 코로나 방전 전자 조사량으로는, 예를 들어, 10 ∼ 150 W/㎡/min 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100 W/㎡/min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건조 공정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종래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건조 온도로는, 대표적으로는 50 ℃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 ℃ 이상이다. 건조 온도를 이와 같은 범위로 함으로써, 내(耐)색성 (특히, 고온 고습하에 있어서의) 이 우수한 광학 필름으로 할 수 있다. 건조 온도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20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80 ℃ 이하이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에 의해, 미연신의 MAR 필름으로부터 연신 필름인 광학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 그리고 1 축 연신된 MAR 필름으로부터 2 축 연신 필름인 광학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 이들의 MAR 필름을 어느 시점에서 연신할 필요가 있다. MAR 필름의 연신은, 접착 용이층의 형성 전에 실시해도 되고, 접착 용이층의 형성 후에 실시해도 된다. 또, 접착 용이층의 형성과 MAR 필름의 연신을 동시에 실시해도 된다.
접착 용이층의 형성과 MAR 필름의 연신을 동시에 실시하는 경우, 예를 들어, 도포 공정의 후에, 접착 용이 조성물의 도포막을 형성한 MAR 필름을 가열 분위기 하에서 연신하면 된다. 연신을 위하여 당해 필름에 가하는 열에 의해, MAR 필름의 표면에 형성된 접착 용이 조성물의 도포막이 건조되어, 접착 용이층이 된다. 이와 같이 하면, 필름의 연신 처리와 접착 용이 조성물의 건조를 동시에 실시할 수 있는 점에서 생산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통상적으로 광학 필름에 사용되는 MAR 은, 유리 전이 온도 (Tg) 가 100 ℃ 이상인 경우가 많아, 상기 서술한 연신 온도는, 접착 용이 조성물의 도포막으로부터 접착 용이층이 형성되기에 충분히 높은 온도이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대표적으로는, 상기 광학 필름과 상기 편광자를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적층함으로써 제조된다. 여기서, 상기 광학 필름을, 그 접착 용이층이 편광자측이 되도록 적층한다. 구체적으로는, 편광자 또는 광학 필름의 어느 일방의 편측에 상기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한 후, 편광자와 광학 필름을 첩합 (貼合) 하여 건조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메타크릴계 수지 [Tg : 135 ℃] 의 펠릿을, 단축 압출기 (φ = 20.0 ㎜, L/D = 25) 및 코트 행거 타입 T 다이 (폭 150 ㎜) 를 사용하여 280 ℃ 에서 용융 압출하고, 압출물을 110 ℃ 로 유지한 냉각 롤을 사용하여 냉각시켜, 두께 100 ㎛ 의 메타크릴계 수지 필름을 형성하였다.
제조예 2
우레탄 수지 [다이이치 공업 제약 제조, 슈퍼 플렉스 210, 고형분 35 중량%] 10 g, 아크릴로니트릴계 미립자 (미립자 A) 를 함유하는 에멀션 [세키스이 화학 공업 제조, ADVANCELL NS K-001, 평균 입자 직경 150 ㎚, 고형분 20 중량%] 0.22 g 및 순수 30 g 을 혼합하여, 에멀션상의 분산체인 접착 용이 조성물 (1) 을 얻었다.
제조예 3
상기 미립자 A 를 함유하는 에멀션의 양을 0.44 g 으로 늘린 것 이외에는 제조예 2 와 마찬가지로 하여 접착 용이 조성물 (2) 를 얻었다.
제조예 4
상기 미립자 A 를 함유하는 에멀션의 양을 1.09 g 으로 늘린 것 이외에는 제조예 2 와 마찬가지로 하여 접착 용이 조성물 (3) 을 얻었다.
제조예 5
상기 미립자 A 를 함유하는 에멀션의 양을 2.19 g 으로 늘린 것 이외에는 제조예 2 와 마찬가지로 하여 접착 용이 조성물 (4) 를 얻었다.
제조예 6
우레탄 수지 [다이이치 공업 제약 제조, 슈퍼 플렉스 210, 고형분 35 중량%] 대신에 우레탄 수지 [DIC 제조, 하이드란 AP-40N, 고형분 35 중량%]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2 와 마찬가지로 하여 접착 용이 조성물 (5) 를 얻었다.
제조예 7
상기 미립자 A 를 함유하는 에멀션 대신에 아크릴로니트릴계 미립자 (미립자 B) 를 함유하는 에멀션 [토요보 제조, 터프틱 F-120, 평균 입자 직경 200 ㎚, 고형분 20 중량%]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2 와 마찬가지로 하여 접착 용이 조성물 (6) 을 얻었다.
제조예 8
상기 미립자 A 를 함유하는 에멀션 0.22 g 대신에 콜로이달 실리카 미립자 (미립자 C) 를 함유하는 에멀션 [후소 화학 공업 제조, 쿼트론 PL-7, 평균 일차 입자 직경 75 ㎚, 고형분 25 중량%] 0.88 g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2 와 마찬가지로 하여 접착 용이 조성물 (7) 을 얻었다.
제조예 9
미립자 C 를 함유하는 에멀션의 양을 1.75 g 으로 늘린 것 이외에는 제조예 8 과 마찬가지로 하여 접착 용이 조성물 (8) 을 얻었다.
제조예 10
상기 미립자 A 를 함유하는 에멀션 0.22 g 대신에 콜로이달 실리카 미립자(미립자 D) 를 함유하는 에멀션 [후소 화학 공업 제조, 쿼트론 PL-20, 평균 일차 입자 직경 220 ㎚, 고형분 20 중량%] 1.09 g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2 와 마찬가지로 하여 접착 용이 조성물 (9) 을 얻었다.
제조예 11
상기 미립자 D 를 함유하는 에멀션의 양을 2.19 g 으로 늘린 것 이외에는 제조예 10 과 마찬가지로 하여 접착 용이 조성물 (10) 을 얻었다.
제조예 12
상기 미립자 D 를 함유하는 에멀션을 사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제조예 10 와 마찬가지로 하여, 에멀션상의 분산체인 접착 용이 조성물 (11) 을 얻었다.
실시예 1
제조예 1 에서 제조한 메타크릴계 수지 필름의 일방의 표면에, 제조예 2 에서 제조한 접착 용이 조성물 (1) 을, 바 코터를 사용하여 도포한 후, 열풍 건조기에 투입하여 100 ℃ 에서 90 초간 건조시켰다. 다음으로, 테이블 연신기를 사용하여 당해 필름을 1 축 연신 (연신 배율 : 2.5 배) 하여, 두께 40 ㎛ 의 메타크릴계 수지 필름의 표면에, 우레탄 수지와 미립자를 함유하는 두께 0.3 ㎛ 의 접착 용이층을 갖는 광학 필름을 얻었다. 접착 용이층에 있어서의 미립자의 함유량은, 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1.25 중량부였다.
실시예 2 ∼ 6, 비교예 1 ∼ 5
접착 용이 조성물 (1) 대신에, 표 1 에 나타내는 접착 용이 조성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접착 용이층 에 있어서의 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한 미립자의 함유량 (중량부) 은,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광학 필름에 대해, 이하에 나타내는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1) 정마찰 계수 (접착 용이층과 MAR 필름 사이)
측정 장치 : 트라이보 기어 TYPE14 [신토 과학 제조]
유리판 상에 고정시킨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광학 필름과, 10 ㎜φ 의 스테인리스제의 원반에 고정시킨 제조예 1 에서 얻어진 메타크릴계 수지 필름을 밀착시키고, 원반에 고정시킨 아크릴 수지 필름의 위로부터 200 g 의 하중을 가하여 6.0 ㎜/분의 속도로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켰을 때의 움직이기 시작한 최대 부하로부터 정마찰 계수를 구하였다.
(2) 밀착성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광학 필름의 접착 용이층측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당해 접착제 조성물을 개재하여 두께 30 ㎛ 의 요오드계 편광자와 적층한 후, 열풍 건조기 (70 ℃) 에 투입하여 5 분 건조시켜, 편광자와 첩합된 적층체를 얻었다. 상기에서 얻어진 적층체로부터 25 ㎜ × 250 ㎜ 의 치수의 샘플편을 잘라내어, 광학 필름의 표면에 점착 가공을 실시하고, 유리판에 첩부 (貼付) 하였다. 그 후, 적층체의 편광자를 잡아, 일본 접착제 공업 규격 JAI 13-1996 의 부동 롤러법에 준하여, 90 도에서의 박리 접착 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박리 접착 강도의 단위를 (N/25 ㎜) 로서 나타냈다.
Figure pct00001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레탄 수지와 아크릴로니트릴계 미립자를 함유하는 접착 용이층을 갖는 실시예 1 내지 6 의 광학 필름은, 내블로킹성이 우수함과 함께, 미립자를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5 의 광학 필름과 비교하여 다른 기능성 필름과의 밀착성이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한편, 우레탄 수지와 콜로이달 실리카 미립자를 함유하는 접착 용이층이 형성된 비교예 1 내지 4 의 광학 필름은, 내블로킹성은 우수하지만, 미립자를 배합하지 않는 비교예 5 와 비교하여 다른 기능성 필름과의 밀착성이 낮은 결과를 나타냈다.

Claims (6)

  1. (메트)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우레탄 수지와 (메트)아크릴로니트릴계 미립자를 함유하는 접착 용이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용이층은, 상기 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미립자를 0.1 ∼ 15 중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수지가, 분자 중에 아니온성 관능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이,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폴리아크릴폴리올, 폴리에테르폴리올, 및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의 입자 직경이, 50 ∼ 35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메트)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우레탄 수지와 (메트)아크릴로니트릴계 미립자를 함유하는 접착 용이 조성물을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고, 상기 도막을 건조시켜 접착 용이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0167014758A 2013-12-28 2014-12-11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23035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73651 2013-12-28
JP2013273651 2013-12-28
PCT/JP2014/082777 WO2015098539A1 (ja) 2013-12-28 2014-12-11 光学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390A true KR20160105390A (ko) 2016-09-06
KR102303580B1 KR102303580B1 (ko) 2021-09-16

Family

ID=53478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4758A KR102303580B1 (ko) 2013-12-28 2014-12-11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163564B2 (ko)
KR (1) KR102303580B1 (ko)
CN (1) CN105765426B (ko)
TW (1) TWI629170B (ko)
WO (1) WO20150985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903B1 (ko) * 2014-12-04 2022-04-04 오꾸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접착 용이 조성물, 및 이것을 사용한 광학 필름과 그 제조 방법
JP6675489B2 (ja) * 2016-08-10 2020-04-01 株式会社日本触媒 積層樹脂フィルム
JP6580769B2 (ja) * 2018-02-07 2019-09-25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7274976B2 (ja) * 2019-08-09 2023-05-17 日東電工株式会社 易接着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偏光板、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JP2023030325A (ja) 2021-08-23 2023-03-08 大倉工業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WO2024070623A1 (ja) * 2022-09-26 2024-04-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フィルム、積層フィルム、及び、フィルムの製造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6295A (ja) * 1993-03-31 1994-10-11 Toppan Printing Co Ltd 被転写シート
JPH0789225A (ja) * 1993-09-28 1995-04-04 Toppan Printing Co Ltd 被転写シート
JPH1134545A (ja) * 1997-07-15 1999-02-09 Toppan Printing Co Ltd 透明画像形成体
JP2010055062A (ja) * 2008-07-29 2010-03-11 Nitto Denko Corp 偏光子保護フィルムおよび偏光子保護フィルムを用いた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2032768A (ja) * 2010-03-31 2012-02-16 Nippon Shokubai Co Ltd 光学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光学部材および画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44514A1 (en) * 2005-01-03 2006-07-06 Yongcai Wang Polarizing plate laminated with an improved glue compositio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2207572B (zh) * 2010-03-31 2017-03-01 株式会社日本触媒 光学膜及其制造方法、光学部件和图像显示装置
JP5593932B2 (ja) * 2010-07-30 2014-09-24 東レ株式会社 樹脂微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6295A (ja) * 1993-03-31 1994-10-11 Toppan Printing Co Ltd 被転写シート
JPH0789225A (ja) * 1993-09-28 1995-04-04 Toppan Printing Co Ltd 被転写シート
JPH1134545A (ja) * 1997-07-15 1999-02-09 Toppan Printing Co Ltd 透明画像形成体
JP2010055062A (ja) * 2008-07-29 2010-03-11 Nitto Denko Corp 偏光子保護フィルムおよび偏光子保護フィルムを用いた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2032768A (ja) * 2010-03-31 2012-02-16 Nippon Shokubai Co Ltd 光学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光学部材および画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29170B (zh) 2018-07-11
CN105765426A (zh) 2016-07-13
JP6163564B2 (ja) 2017-07-12
TW201536548A (zh) 2015-10-01
KR102303580B1 (ko) 2021-09-16
CN105765426B (zh) 2018-08-21
JPWO2015098539A1 (ja) 2017-03-23
WO2015098539A1 (ja) 2015-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54733B2 (ja) 偏光子保護フィルムおよび偏光子保護フィルムを用いた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TWI592303B (zh) Optical laminate
JP6163564B2 (ja) 光学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TWI383183B (zh) A polarizing element protective film, a polarizing plate and an image display device
US20160209548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KR102248947B1 (ko) 광학 적층체
KR101588167B1 (ko) 보호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102382903B1 (ko) 접착 용이 조성물, 및 이것을 사용한 광학 필름과 그 제조 방법
KR102394207B1 (ko) 접착 용이 조성물, 및 이것을 사용한 광학 필름과 그 제조 방법
US10012772B2 (en)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same
JP2011221424A (ja) 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3242510A (ja) 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の利用
US20160244646A1 (en) Radical curable adhesive composition, and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member comprising same
JP4895290B2 (ja)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TWI746730B (zh) 光學積層體
KR20180020029A (ko) 접착력 및 내구성이 우수한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US9611411B2 (en) Radically curable adhesive composition and polarizing plate including the same
TWI815466B (zh) 光學薄膜及其製造方法、偏光板、以及影像顯示裝置
KR101697007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JP2012133314A (ja) 光学積層体
EP2840124A1 (en) Radical-curable adhesive composition and polarizing plate comprising same
JP2018159784A (ja) 偏光子保護フィルム、偏光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23061190A (ja) 易接着フィルム、偏光板、粘着剤付き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