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4207B1 - 접착 용이 조성물, 및 이것을 사용한 광학 필름과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접착 용이 조성물, 및 이것을 사용한 광학 필름과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4207B1
KR102394207B1 KR1020177012048A KR20177012048A KR102394207B1 KR 102394207 B1 KR102394207 B1 KR 102394207B1 KR 1020177012048 A KR1020177012048 A KR 1020177012048A KR 20177012048 A KR20177012048 A KR 20177012048A KR 102394207 B1 KR102394207 B1 KR 102394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water
weight
optical film
easily bo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2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4060A (ko
Inventor
마사히로 요시자와
다다히로 마츠모토
Original Assignee
오꾸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꾸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꾸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84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4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고온 고습하에서의 장시간 사용에 있어서의 초기 성능의 저하를 억제함과 함께, 보다 가혹한 환경하에 있어서의 내습열성도 만족할 수 있는 접착 용이 조성물, 및 그 접착 용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접착 용이층을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형성한 광학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방법] 카르복실기를 갖는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와, 수용성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1 ∼ 25 중량부와, 수분산성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1 ∼ 25 중량부를 함유하는 접착 용이 조성물. 이 접착 용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접착 용이층을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형성한 광학 필름.

Description

접착 용이 조성물, 및 이것을 사용한 광학 필름과 그 제조 방법 {HIGHLY ADHESIVE COMPOSITION, OPTICAL FILM USING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SAID OPTICAL FILM}
본 발명은, 접착 용이 조성물, 및 그 접착 용이 조성물로 구성된 접착 용이층을 갖는 광학 필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그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그 광학 필름을 구비한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폴리메타크릴산메틸로 대표되는 (메트)아크릴 중합체로 형성되는 아크릴계 수지 필름은, 광선 투과율 등의 광학 특성이 우수함과 함께, 기계적 강도 및 성형 가공성의 밸런스가 우수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아크릴계 수지 필름은, 액정 표시 장치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DP), 유기 EL 표시 장치 (OLED) 와 같은 화상 표시 장치에 삽입되는 광학 필름에 응용되고 있다.
광학 필름은, 통상적으로, 다른 기능성 필름과 적층된 상태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광학 필름은,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경우, 편광자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친수성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적층된다. 얻어진 편광판은 화상 표시 장치 등에 사용된다. 이 경우, 광학 필름과 편광자의 밀착성이 양호한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아크릴계 수지 필름은, 친수성 접착제와의 접착성이 떨어져, 편광자와의 밀착성이 충분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표면에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폴리우레탄 등의 조(助)접착성의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접착 용이층을 형성하고, 아크릴계 수지 필름에 접착 용이성을 부여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한편, LCD 등의 화상 표시 장치를 사용한 휴대용 기기 등은, 최근, 옥내, 옥외를 불문하고 여러 가지의 환경에서 이용되고, 고온 고습 환경에도 견딜 수 있는 내습열성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편광판은 고온 고습하에 있어서도 층간 박리가 일어나지 않는 높은 밀착성이 요구된다.
그래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193061호에는, 고온 고습하에 있어서의 밀착성이 우수한 편광판으로서, (메트)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표면에 가교제로서 옥사졸린기를 갖는 폴리머를 배합한 접착 용이층을 형성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35411호에는, 아크릴계 필름과 편광자의 밀착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또는 멜라민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가교제를 배합한 접착 용이층을 형성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에 개시되는 접착 용이층을 갖는 광학 필름은, 당초에는 양호한 밀착성을 나타내지만, 고온 고습하에서의 장시간 사용에 있어서는 편광자와의 밀착성의 저하는 피할 수 없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밀착성 저하때문에, 초기 성능 (초기 밀착성) 이 장시간 유지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문헌에 개시되는 접착 용이층을 갖는 광학 필름은, 40 ∼ 60 ℃, 60 ∼ 90 %RH 정도의 환경하에 있어서의 내습열성은 만족하지만, 보다 가혹한 환경하 (예를 들어, 80 ℃, 90 %RH) 에 있어서의 내습열성은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고온 고습하에서의 장시간 사용에 있어서의 초기 성능의 저하를 억제함과 함께, 보다 가혹한 환경하 에 있어서의 내습열성도 만족할 수 있는 접착 용이 조성물, 및 그 접착 용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접착 용이층을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형성한 광학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1) 카르복실기를 갖는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와, 수용성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1 ∼ 25 중량부와, 수분산성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1 ∼ 25 중량부를 함유하는 접착 용이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또,
(2) 상기 수용성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과 상기 수분산성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의 중량비가 30 : 70 ∼ 95 : 5 의 범위인, (1) 에 기재된 접착 용이 조성물 ;
(3) 상기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추가로, 미립자를 0.1 ∼ 15 중량부 함유하는, (1) 또는 (2) 에 기재된 접착 용이 조성물 ;
(4)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그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형성되고, 또한 (1) ∼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접착 용이 조성물로 형성되는 접착 용이층을 구비하는 광학 필름 ;
(5) 상기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메트)아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4) 에 기재된 광학 필름 ; 및
(6) 편광자와, 그 편광자의 표면을 피복하여 보호하는 (4) 또는 (5) 에 기재된 광학 필름을 구비하는 편광판 ; 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추가로,
(7) 수계 용매로 희석되고, 카르복실기를 갖는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와, 수용성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1 ∼ 25 중량부와, 수분산성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1 ∼ 25 중량부를 함유하는 접착 용이 조성물을,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도막을 건조시켜 접착 용이층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접착 용이 조성물은, 고온 고습하에서의 장시간 사용에 있어서의 초기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보다 가혹한 환경하에 있어서도 높은 밀착성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접착 용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접착 용이층을 갖는 광학 필름을 사용한 편광판은, 고온 고습하에 있어서의 광학 필름과 편광자의 밀착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 의 용어는 메타크릴, 아크릴 또는 이들 양방의 총칭으로서 사용하고 있다. 「(메트)아크릴로니트릴」 의 용어도 동일하다.
도 1 은,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편광판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접착 용이 조성물]
본 발명의 접착 용이 조성물은, 카르복실기를 갖는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 (이하 간단히 U 수지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와, 가교제로서 수용성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이하 간단히 S 화합물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및 수분산성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이하 간단히 D 화합물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을 함유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접착 용이 조성물은, 고온 고습하에서의 장시간 사용에 있어서의 초기 성능의 저하를 억제함과 함께, 보다 가혹한 환경하에 있어서도 밀착성이 우수하다.
이 용도로 종래 알려져 있던 접착 용이층은, 고온 고습하에서의 장시간 사용에 있어서는 밀착성의 저하는 피할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고온 고습하에서의 장시간 사용에 있어서의 초기 성능의 저하를 억제하여, 고온 고습하에 있어서의 밀착성이 우수하다. 이 이유는 분명하지 않지만, S 화합물과 D 화합물이 각각 상이한 시기에서 가교 구조를 형성하여, 다음과 같이 기능하고 있다고 추찰된다.
즉, S 화합물은 다른 친수성 수지와의 상용성이 좋아 가교 반응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접착 용이층 형성 시, 혹은 형성 후의 빠른 단계에서 U 수지의 카르복실기와 가교 구조를 형성한다. 한편, D 화합물은 S 화합물에 비해, 가교 반응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접착 용이층 형성 시에는 미반응의 D 화합물이 접착 용이층에 잔존한다. 고온 고습하에서는, 접착 용이층 중의 U 수지가 폴리에스테르계인 경우, 폴리에스테르가 가수 분해를 일으켜, 에스테르 결합이 절단되고, 카르복실산기가 발생한다. 여기서 미반응의 D 화합물이 발생한 카르복실산기와 반응하여 가교 구조를 형성하고, 가수 분해에 의한 접착 용이층의 열화를 자기 수복함으로써 고온 고습하에서의 접착 용이층의 강도 열화를 억제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또, 접착 용이층에 적층되는 기능층 혹은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도 카르복실기 등의 관능기가 존재한다. 고온 고습하에서는 이들의 기능층 혹은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존재하는 카르복실기와 미반응의 D 화합물이 반응하여, 가교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접착 용이층의 강도 열화를 억제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U 수지로서는, 분자 내에 카르복실기를 갖는 수분산성의 우레탄 수지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 가능하다. U 수지는, 예를 들어, 다음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먼저, 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해 불활성이고, 물과 상용하는 유기 용제 중에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을 반응시켜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 프레폴리머를 형성한다. 이것을, 다음으로, 유리 카르복실기를 갖는 사슬 신장제와 반응시켜, 선상 우레탄 프레폴리머를 얻는다. 그 후, 중화제의 존재하 수중에서, 선상 우레탄 프레폴리머를 사슬 신장시킴과 동시에 수성화함으로써 U 수지를 얻는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수성화란, 수지를 수중에 안정적으로 분산 혹은 유화시키는 것을 가리킨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예를 들어, 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도데카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4-부탄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디이소시아네이트, 2-메틸펜탄-1,5-디이소시아네이트, 3-메틸펜 탄-1,5-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1,4-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시클로헥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1,3-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지환족 디이소시아네이트 ;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2,2´-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2,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디메틸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벤질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1,3-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1,4-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 디알킬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알킬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α,α,α,α-테트라메틸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혹은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폴리올로서는, 분자 중에 하이드록실기를 2 개 이상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적절한 폴리올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폴리올,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폴리에테르폴리올,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혹은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이들 중에서도,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을 사용한 폴리에스테르계 우레탄 수지는, 고온 고습하에서의 접착 용이층의 강도 열화 방지가 우수하다.
유리 카르복실기를 갖는 사슬 신장제로서는, 예를 들어, 디하이드록시카르복실산, 디하이드록시숙신산 등을 들 수 있다. 디하이드록시카르복실산으로서는, 예를 들어, 디메틸올알칸산 (예를 들어, 디메틸올아세트산, 디메틸올부탄산, 디메틸올프로피온산, 디메틸올부티르산, 디메틸올펜탄산) 등의 디알킬올알칸산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혹은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중화제로서는, 예를 들어, 암모니아, N-메틸모르폴린, 트리에틸아민, 디메틸 에탄올아민, 메틸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모르폴린, 트리프로필아민, 에탄올아민,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혹은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사용 가능한 사슬 신장제로서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4-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푸란디메탄올,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등의 저분자량 디올 화합물 및 이들에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등을 부가 중합시킨 폴리에테르디올 화합물 ; 상기 저분자량 디올 화합물과 (무수) 숙신산, 아디프산, (무수) 프탈산 등의 디카르복실산 및 이들의 무수물로부터 얻어지는 말단에 수산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디올 ;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의 다가 알코올 ;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아미노알코올 ; 에틸렌디아민, 프로필렌디아민, 부틸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페닐렌디아민, 톨루엔디아민, 자일렌디아민, 이소포론디아민 등의 디아민 화합물 ; 물, 암모니아, 하이드라진, 이염기산하이드라지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혹은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U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5000 ∼ 60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0 ∼ 400000 의 수평균 분자량 및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50,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 45 의 산가를 갖는다. 산가가 이와 같은 범위 내임으로써, 가교제인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과 가교 구조를 형성하여, 고온 고습하에서의 밀착성이 우수하다.
바람직한 U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다이이치 공업 제약사 제조의 「슈퍼 플렉스 (등록상표)」 시리즈, ADEKA 사 제조의 「아데카본타이터 (등록상표) HUX」 시리즈, 미츠이 화학사 제조의 「타케락크 (등록상표) W, WPB, WS」 시리즈, DIC 사 제조의 「하이드란 (등록상표)」 시리즈 등의 시판되는 U 수지를 들 수 있다.
접착 용이 조성물은, 접착 용이층 형성 시의 작업성에서 수계 용매로 희석되어 있어도 된다. 수계 용매로서는, 물 혹은 물과 친수성의 유기 용제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알코올계 용제 ;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γ-부티로락톤 등의 에스테르계 용제 ; 아세톤 등의 케톤계 용제 ;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옥산 등의 에테르계 용제 ; N-메틸피롤리돈 등의 비프로톤성 극성 용매) 와의 혼합 용매를 사용할 수 있지만, 특히 물이 바람직하다.
접착 용이 조성물 중의 U 수지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도포 작업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정하면 되고, 예를 들어, 1 ∼ 25 중량%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2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15 중량% 이다. 접착 용이 조성물에 있어서의 U 수지가 상기 범위이면, 접착 용이층 형성 시의 작업성이 우수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접착 용이 조성물의 고형분량은, 도포 작업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정하면 되지만, 1 ∼ 30 중량%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 2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20 중량% 이다.
S 화합물로서는, 분자 내에 2 개 이상의 카르보디이미드기를 갖는 수용성의 화합물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유기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탈이산화탄소를 수반하는 축합 반응에 의해,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폴리카르보디이미드를 합성한 후,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를 갖는 친수성 유기 화합물을 반응시키고, 친수성 세그먼트로 말단 이소시아네이트를 봉지하여 얻어지는 폴리카르보디이미드계 수지로서, 물에 용해되는 것을 들 수 있다. S 화합물로서는, 닛신보 케미컬사 제조 「카르보디라이트 (등록상표) SV-02」, 「카르보디라이트 (등록상표) V-02」, 「카르보디라이트 (등록상표) V-04」, 「카르보디라이트 (등록상표) V-10」, 「카르보디라이트 (등록상표) V-02-L2」 등의 시판되는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S 화합물의 사용량은, 고형분 환산으로, U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1 ∼ 2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2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15 중량부이다.
D 화합물로서는, 분자 내에 2 개 이상의 카르보디이미드기를 갖는 수분산성의 화합물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유기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탈이산화탄소를 수반하는 축합 반응에 의해,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폴리카르보디이미드를 합성한 후,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를 갖는 친수성 유기 화합물을 반응시키고, 친수성 세그먼트로 말단 이소시아네이트를 봉지하여 얻어지는 폴리카르보디이미드계 수지로서, 수중에 용해되지 않고 미분산 (에멀션) 되는 것을 들 수 있다. 수분산성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로서는, 닛신보 케미컬사 제조 「카르보디라이트 (등록상표) E-01」, 「카르보디라이트 (등록상표) E-02」 등 시판되는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D 화합물의 사용량은, 고형분 환산으로, U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1 ∼ 2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2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10 중량부이다. 접착 용이 조성물 중의 S 화합물과 D 화합물의 중량비 (S/D) 는, 통상적으로 30 : 70 ∼ 95 : 5 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40 : 60 ∼ 90 : 10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50 ∼ 80 : 20 이다.
접착 용이 조성물은, 원하는 기능에 맞추어 임의의 적절한 미립자, 바람직하게는 수분산성의 미립자를 함유할 수 있다. 미립자로서는, 무기계 미립자, 유기계 미립자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무기계 미립자로서는, 예를 들어, 실리카, 티타니아,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등의 무기 산화물, 탄산칼슘, 탤크, 클레이, 소성 카올린, 소성 규산칼슘, 수화규산칼슘, 규산알루미늄, 규산마그네슘, 인산칼슘 등을 들 수 있다. 유기계 미립자로서는, 예를 들어, 실리콘계 수지, 불소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메트)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메트)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이다. (메트)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미립자는, 블로킹 억제능이 더욱 우수하고, 또한, 투명성이 우수하고, 헤이즈를 발생하지 않고, 착색도 없기 때문에, 접착 용이층이 광학 특성에 부여하는 영향이 보다 작다. 또, 접착 용이층의 강도 및 밀착성은, 미립자를 배합함으로써 저하되는 것이지만, (메트)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미립자를 배합한 접착 용이층은, 접착 용이층의 강도 및 밀착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미립자의 평균 입자경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접착 용이층의 투명성을 유지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 ∼ 500 nm,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350 nm,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 300 nm 이다. 이와 같은 입자경의 미립자를 사용함으로써, 접착 용이층 표면에 적절히 요철을 형성하여,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접착 용이층 및/또는 접착 용이층끼리의 접촉면에 있어서의 마찰력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고, 또, 블로킹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의 평균 입자경이란, 레이저 회절/산란식 입도 분포 측정으로 측정되는 메디안 직경 (d50) 을 의미한다.
미립자의 함유량은, 고형분 환산으로, U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1 ∼ 1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 5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3 중량부이다.
접착 용이 조성물은, 도막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서술한 S 및 D 화합물과는 다른 가교제, 혹은 가교기를 갖는 수지를 함유시켜도 된다. 가교제로서는, 우레아계, 에폭시계, 멜라민계, 이소시아네이트계, 옥사졸린계, 실란올계 등을 들 수 있다. 또, 가교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해, 촉매 등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사용해도 된다.
접착 용이 조성물은, 임의의 적절한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어, 분산 안정제, 요변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소포제, 증점제, 분산제, 계면 활성제, 촉매, 활제, 대전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광학 필름]
도 1 에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 에 나타내는 광학 필름 (1) 은, 열가소성 수지 필름 (2) 의 일방의 표면에 상기 서술한 접착 용이 조성물로 형성되는 접착 용이층 (3) 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쌍방의 표면에 접착 용이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혹은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메트)아크릴계 수지 (이하 간단히 ACR 로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는 친수성 접착제와의 접착성이 열등한 점에서, 본 발명의 효과는 ACR 을 사용하는 경우에 특히 현저하다.
ACR 의 유리 전이 온도 (이하 Tg 라고 부른다) 는, 11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25 ℃ 이상이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Tg 가 115 ℃ 이상의 ACR 을 주성분으로서 포함함으로써, 내구성이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Tg 의 상한치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성형성 등의 관점에서, 통상적으로 170 ℃ 이하이다.
ACR 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등의 폴리(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아크릴산에스테르-(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메틸-스티렌 공중합체 (MS 수지 등), 지환족 탄화수소기를 갖는 중합체, (예를 들어, 메타크릴산메틸-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노르보르닐 공중합체 등) 를 들 수 있다. 상기 중에서도, 폴리(메트)아크릴산메틸 등의 폴리(메트)아크릴산 C1-6 알킬이 바람직하고, 메타크릴산메틸을 주성분 (50 ∼ 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70 ∼ 100 중량%) 으로 하는 메타크릴산메틸계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ACR 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미츠비시 레이욘사 제조 「아크리펫트 (등록상표) VH」, 「아크리펫트 (등록상표) VRL20A」, 분자 내 가교나 분자 내 고리화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고 Tg (메트)아크릴계 수지를 들 수 있다.
ACR 은, 높은 내열성, 높은 투명성, 높은 기계 강도를 갖는 점에서, 주사슬에 고리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사슬에 고리 구조를 갖는 ACR 로서는, 예를 들어, 무수 글루타르산 구조 혹은 글루타르이미드 구조를 갖는 수지 (WO2007/26659호 공보, WO2005/108438호 공보), 무수 말레산 구조 혹은 N-치환 말레이미드 구조를 갖는 수지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7-15300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31537호),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수지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9696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17146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6354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191426호) 를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어, 힌더드페놀계, 인계, 황계 등의 산화 방지제 ; 내광 안정제, 내후 안정제, 열 안정제 등의 안정제 ; 유리 섬유, 탄소 섬유 등의 보강재 ; 자외선 흡수제 ; 근적외선 흡수제 ; 난연제 ; 아니온계, 카티온계, 논이온계의 계면 활성제 등의 대전 방지제 ; 무기 안료, 유기 안료, 염료 등의 착색제 ; 유기 필러나 무기 필러 ; 수지 개질제 ; 유기 충전제나 무기 충전제 ; 가소제 ; 활제 ; 난연제 ; 위상차 저감제 등을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와, 그 밖의 중합체나 첨가제 등을, 임의의 적절한 혼합 방법으로 충분히 혼합하고, 미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하고 나서, 이것을 필름 성형할 수 있다. 혹은, 열가소성 수지와, 그 밖의 중합체나 첨가제 등을, 각각 다른 용액으로 하고 나서 혼합하여 균일한 혼합액으로 한 후, 필름 성형해도 된다.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려면, 예를 들어, 옴니 믹서 등, 임의의 적절한 혼합기로 상기의 필름 원료를 프레블렌드한 후, 얻어진 혼합물을 압출 혼련한다. 이 경우, 압출 혼련에 사용되는 혼련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단축 압출기, 2 축 압출기 등의 압출기나 가압 니더 등, 임의의 적절한 혼합기를 사용할 수 있다.
필름 성형의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용액 캐스트법 (용액 유연법), 용융 압출법, 캘린더법, 압축 성형법 등, 임의의 적절한 필름 성형법을 들 수 있다. 이들의 필름 성형법 중, 용융 압출법이 바람직하다.
용융 압출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T 다이법, 인플레이션법 등을 들 수 있다. 성형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50 ∼ 3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 300 ℃ 이다.
T 다이법으로 필름 성형하는 경우에는, 공지된 단축 압출기나 2 축 압출기의 선단부에 T 다이를 장착하고, 당해 T 다이에 의해 필름을 제막한 후, 필름을 권취함으로써 롤상의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미연신 필름 또는 연신 필름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연신 필름인 경우는, 1 축 연신 필름 또는 2 축 연신 필름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2 축 연신 필름인 경우는, 동시 2 축 연신 필름 또는 축차 2 축 연신 필름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2 축 연신한 경우에는,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어, 필름 성능이 향상된다.
연신 온도는, 필름 원료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 근방인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바람직하게는 (유리 전이 온도 -30 ℃) ∼ (유리 전이 온도 +1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유리 전이 온도 -20 ℃) ∼ (유리 전이 온도 +80 ℃) 의 범위 내이다. 연신 온도가 (유리 전이 온도 -30 ℃) 미만이면, 충분한 연신 배율이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연신 온도가 (유리 전이 온도 +100 ℃) 초과하면, 수지 조성물의 유동 (플로우) 이 일어나, 안정적인 연신을 실시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면적비로 정의한 연신 배율은, 바람직하게는 1.1 ∼ 25 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 10 배이다. 연신 배율이 1.1 배 미만이면, 연신에 수반되는 인성(靭性)의 향상으로 이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연신 배율이 25 배를 초과하면, 연신 배율을 올리는 만큼의 효과 (인성의 향상) 가 인정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연신 속도는, 일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10 ∼ 20,000 %/min, 보다 바람직하게 100 ∼ 10,000 %/min 이다. 연신 속도가 10 %/min 미만이면, 충분한 연신 배율을 얻기 위해서 시간이 걸려, 제조 비용이 높아질 우려가 있다. 연신 속도가 20,000 %/min 을 초과하면, 연신 필름의 파단 등이 일어날 우려가 있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그 광학적 등방성이나 기계적 특성을 안정화시키기 위해서, 연신 처리 후에 열처리 (어닐링) 등을 실시할 수 있다. 열처리의 조건은, 임의의 적절한 조건을 채용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 ∼ 2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100 ㎛ 이다. 두께가 5 ㎛ 미만이면, 광학 필름으로서의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두께가 200 ㎛ 를 초과하면, 투명성이 저하되어, 광학 필름으로서의 사용에 적합하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접착 용이층의 두께는, 임의의 적절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1 ∼ 10 ㎛,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 5 ㎛, 특히 바람직하게는 0.2 ∼ 1.0 ㎛ 이다. 이와 같은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다른 기능성 필름과의 밀착성이 우수하고, 접착 용이층에 위상차가 발현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접착 용이층이 형성되어 있는 표면과 반대측의 표면에는, 필요에 따라, 각종의 기능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기능층은, 예를 들어, 대전 방지층, 점접착제층, 접착층, 접착 용이층, 방현 (논글레어) 층, 광 촉매층 등의 방오층, 반사 방지층, 하드 코트층, 자외선 차폐층, 열선 차폐층, 전자파 차폐층, 가스 배리어층 등을 들 수 있다.
광학 필름은, 예를 들어, 편광자 보호 필름, 위상차 필름, 시야각 보상 필름, 광 확산 필름, 반사 필름, 반사 방지 필름, 방현 필름, 휘도 향상 필름, 터치 패널용 도전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 이들 중에서도,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편광판]
다음으로, 본 발명의 편광판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2 에 나타내는 편광판 (10) 은, 열가소성 수지 필름 (2) 의 일방의 표면에 상기 서술한 접착 용이 조성물로 형성되는 접착 용이층 (3) 을 갖는 광학 필름 (1) 의 접착 용이층측의 표면에 접착제 (5) 를 개재하여, 편광자 (6) 가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도시되지 않지만, 편광판 (10) 은, 편광자 (6) 의 광학 필름 (1) 과 반대측에,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적층된 보호 필름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편광자로서는, 목적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편광자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부분 포르말화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계 부분 비누화 필름 등의 친수성 고분자 필름에, 요오드나 2 색성 염료 등의 2 색성 물질을 흡착시켜 1 축 연신한 것, 폴리비닐알코올의 탈수 처리물이나 폴리염화비닐의 탈염산 처리물 등 폴리엔계 배향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에 요오드 등의 2 색성 물질을 흡착시켜 1 축 연신한 편광자가, 편광 2 색비가 높아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편광자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1 ∼ 80 ㎛ 정도이다.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접착제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접착제를 채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접착제층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로 형성된다.
편광자 (6) 의 광학 필름 (1) 의 반대측에 형성하는 보호 필름으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보호 필름을 채용할 수 있고, 상기 서술한 열가소성 수지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화상 표시 장치]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 서술한 편광판을 구비한다. 화상 표시 장치의 구체예로서는,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EL)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PD),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FED : Field Emission Display) 와 같은 자발광형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 (LCD) 를 들 수 있다.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바람직한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수계 용매로 희석되고, 카르복실기를 갖는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와, 수용성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과, 수분산성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접착 용이 조성물을,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 (도포 공정) 하고, 이어서 도막을 건조시켜 접착 용이층을 형성 (건조 공정) 한다.
도포 공정에 있어서 접착 용이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으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 코트법, 롤 코트법, 그라비아 코트법, 로드 코트법, 슬롯 오리피스 코트법, 커튼 코트법, 파운틴 코트법 등을 들 수 있다. 도포 공정에 있어서 형성하는 도포막의 두께는, 당해 도포막이 접착 용이층이 될 때에 필요한 두께에 따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접착 용이 조성물이 도포되는 표면은,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처리로서는,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즈마 처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접착 용이층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건조 공정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종래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건조 온도로서는, 대표적으로는 50 ℃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 ℃ 이상이다. 건조 온도를 이와 같은 범위로 함으로써, 내색성 (특히, 고온 고습하에 있어서의) 이 우수한 광학 필름으로 할 수 있다. 건조 온도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20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80 ℃ 이하이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에 의해, 미연신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으로부터 연신 필름인 광학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 그리고 1 축 연신된 열가소성 수지 필름으로부터 2 축 연신 필름인 광학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 이들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어느 시점에서 연신할 필요가 있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연신은, 접착 용이층의 형성 전에 실시해도 되고, 접착 용이층의 형성 후에 실시해도 된다. 또, 접착 용이층의 형성과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연신을 동시에 실시해도 된다.
접착 용이층의 형성과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연신을 동시에 실시하는 경우, 예를 들어, 도포 공정 후에, 접착 용이 조성물의 도포막을 형성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가열 분위기하에서 연신하면 된다. 연신을 위해서 당해 필름에 가하는 열에 의해,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표면에 형성된 접착 용이 조성물의 도포막이 건조되어, 접착 용이층이 된다. 이와 같이 하면, 필름의 연신 처리와 접착 용이 조성물의 건조를 동시에 실시할 수 있어 생산성이 우수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한층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원료로서는 하기의 것을 사용했다.
<U 수지>
카르복실기를 갖는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의 에멀션[다이이치 공업 제약사 제조, 슈퍼 플렉스 (등록상표) 210, 고형분량 35 중량%]
<S 화합물 (1)>
수용성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액[닛신보 케미컬사 제조, 카르보디라이트 (등록상표) V-02-L2, 고형분량 40 중량%]
<S 화합물 (2)>
수용성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액[닛신보 케미컬사 제조, 카르보디라이트 (등록상표) V-10, 고형분량 40 중량%]
<D 화합물>
수분산성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의 에멀션[닛신보 케미컬사 제조, 카르보디라이트 (등록상표) E-02, 고형분량 40 중량%]
<미립자>
아크릴로니트릴계 미립자 (PAN 미립자) 를 포함하는 에멀션[세키스이 화학 공업사 제조, ADVANCELL NS K-001, 평균 입자경 150 nm, 고형분량 20 중량%]
실시예 1 ∼ 5 및 비교예 1 ∼ 10
1. 접착 용이 조성물의 제조
표 1 및 2 에 나타내는 각 성분을, 표 1 및 2 에 나타내는 고형분량 (단위는 중량부) 이 되도록 혼합하여, 접착 용이 조성물을 제조했다. 또한, 접착 용이 조성물의 수계 용매로서는 이온 교환수를 사용하고, 고형분량은 8 중량% 가 되도록 조제했다.
2. 광학 필름의 제조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Tg : 135 ℃, 용융 점도 : 700 Pa·s (온도 270 ℃, 전단 속도 100 (1/sec))]의 펠릿을, 단축 압출기 (φ = 20.0 mm, L/D = 25) 및 코트 행거 타입 T 다이 (폭 150 mm) 를 사용하여 280 ℃ 에서 용융 압출하고, 110 ℃ 로 유지한 냉각 롤에 용융 상태의 상기 수지 조성물을 토출하여, 두께 100 ㎛ 의 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형성했다. 다음으로, 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일방의 표면에, 상기에서 얻어진 접착 용이 조성물을, 바 코터를 사용하여 도포한 후, 열풍 건조기에 투입하여 100 ℃ 에서 90 초간 건조시켰다. 그리고, 테이블 연신기를 사용하여 당해 필름을 1 축 연신 (연신 배율 : 2.5 배) 하고, 두께 40 ㎛ 의 아크릴계 수지 필름의 표면에, 두께 0.3 ㎛ 의 접착 용이층을 갖는 광학 필름을 제조했다.
3. 편광판의 제조
상기에서 얻어진 광학 필름의 접착 용이층측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했다. 또, 비누화 처리를 실시한 두께 40 ㎛ 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보호 필름) 의 편측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했다. 다음으로, 두께 30 ㎛ 의 편광자의 양측 각각에 광학 필름 및 보호 필름을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 도포층을 개재하여 적층하고, 얻어진 적층체를 열풍 건조기 (70 ℃) 에 투입하여 5 분 건조시켜, 편광판을 제조했다. 또, 편광자의 양측에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지는 보호 필름을 형성한 평가용의 기준 편광판을 동일하게 제조했다.
상기에서 얻어진 편광판에 대해, 이하에 나타내는 평가를 실시했다. 평가 결과를 표 1 및 2 에 나타낸다.
(1) 초기 밀착성
상기에서 얻어진 편광판으로부터 25 mm × 250 mm 의 치수의 시험편을 잘라, 시험편의 광학 필름의 표면에 점착 가공을 실시한 후, 유리판에 첩부하여 측정용 샘플을 얻었다. 그 후, 샘플의 편광자와 광학 필름의 사이에 절삭을 넣고, 편광자와 보호 필름을 잡고, 일본 접착제 공업 규격 JAI 13-1996 의 부동 롤러법에 준하여, 90 도에서의 박리 접착 강도를 측정했다. 또한, 기준 편광판에 있어서도 동일한 조건으로 박리 접착 강도를 측정했다. 측정 결과로부터, 박리 접착 강도를 다음의 기준에 의해 평가했다.
○ : 기준 편광판보다 박리 접착 강도가 우수하거나 혹은 동등
△ : 기준 편광판보다 박리 접착 강도가 열등하다
× : 밀착되어 있지 않아 측정 불가
(2) 내습열성 (60 ℃, 90 %RH)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얻은 측정용 샘플을 온도 60 ℃, 습도 90 %RH 의 항온 항습기에 넣어 250 시간 및 500 시간 방치하는 열처리를 실시한 것 이외는, 초기 밀착성의 평가와 동일하게 하여, 박리 접착 강도를 측정했다. 측정 결과로부터 박리 접착 강도를 다음의 기준에 의해 평가했다.
◎ : 기준 편광판보다 박리 접착 강도가 우수하다
○ : 기준 편광판과 박리 접착 강도가 동등
△ : 기준 편광판보다 박리 접착 강도가 열등하다
× : 밀착되어 있지 않아 측정 불가
(3) 내습열성 (80 ℃, 90 %RH)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얻은 측정용 샘플을 온도 80 ℃, 습도 90 %RH 의 항온 항습기에 넣어 100 시간 방치하는 열처리를 실시한 것 이외는, 초기 밀착성의 평가와 동일하게 하여, 박리 접착 강도를 측정했다. 측정 결과로부터 박리 접착 강도를 다음의 기준에 의해 평가했다.
◎ : 기준 편광판보다 박리 접착 강도가 우수하다
○ : 기준 편광판과 박리 접착 강도가 동등
△ : 기준 편광판보다 박리 접착 강도가 열등하다
× : 밀착되어 있지 않아 측정 불가
Figure 112017042660044-pct00001
Figure 112017042660044-pct00002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르복실기를 갖는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 (U 수지) 와, 수용성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S 화합물) 과, 수분산성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D 화합물) 을 함유하는 접착 용이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실시예 1 ∼ 5 의 광학 필름은, 고온 고습하 (60 ℃, 90 %RH) 에서의 초기 성능의 저하가 억제되고, 고온 고습하의 장시간 사용에 있어서의 편광자와의 밀착성이 우수한 결과를 나타냄과 함께, 가혹한 고온 고습 환경 (80 ℃, 90 %RH) 에 있어서도 밀착성이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한편,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교제를 함유하지 않거나, 혹은 S 화합물만을 함유하는 비교예 1 ∼ 7 의 광학 필름은, 고온 고습하에서 편광자와의 밀착성이 저하되는 결과를 나타냈다. 또, D 화합물만을 함유하는 비교예 8 ∼ 10 의 광학 필름은, 고온 고습하의 장시간 사용에 있어서의 밀착성이 우수하지만, 초기 밀착성이 열등한 결과를 나타냈다.

Claims (7)

  1. 카르복실기를 갖는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와, 수용성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1 ∼ 25 중량부와, 수분산성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1 ∼ 25 중량부를 함유하는 접착 용이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과 상기 수분산성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의 중량비가 30 : 70 ∼ 95 : 5 의 범위인 접착 용이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추가로, 미립자를 0.1 ∼ 15 중량부 함유하는 접착 용이 조성물.
  4.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그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형성되고, 또한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접착 용이 조성물로 형성되는 접착 용이층을 구비하는 광학 필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메트)아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광학 필름.
  6. 편광자와, 그 편광자의 표면을 피복하여 보호하는 제 4 항에 기재된 광학 필름을 구비하는 편광판.
  7. 수계 용매로 희석되고, 카르복실기를 갖는 수분산성 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와, 수용성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1 ∼ 25 중량부와, 수분산성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1 ∼ 25 중량부를 함유하는 접착 용이 조성물을,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도막을 건조시켜 접착 용이층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0177012048A 2014-11-06 2015-11-05 접착 용이 조성물, 및 이것을 사용한 광학 필름과 그 제조 방법 KR1023942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25730 2014-11-06
JPJP-P-2014-225730 2014-11-06
PCT/JP2015/081116 WO2016072437A1 (ja) 2014-11-06 2015-11-05 易接着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光学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4060A KR20170084060A (ko) 2017-07-19
KR102394207B1 true KR102394207B1 (ko) 2022-05-03

Family

ID=55909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2048A KR102394207B1 (ko) 2014-11-06 2015-11-05 접착 용이 조성물, 및 이것을 사용한 광학 필름과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527878B2 (ko)
KR (1) KR102394207B1 (ko)
CN (1) CN107075298B (ko)
TW (1) TWI661021B (ko)
WO (1) WO20160724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25508A1 (ja) * 2016-08-02 2018-02-08 株式会社トクヤマ 接着性組成物、積層体、及び該積層体を用いた光学物品
JP7122830B2 (ja) * 2017-02-06 2022-08-22 株式会社日本触媒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光学フィルム
JP6580769B2 (ja) * 2018-02-07 2019-09-25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19155791A1 (ja) * 2018-02-07 2019-08-15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11890762B (zh) * 2018-07-25 2022-08-02 日东电工株式会社 易粘接薄膜及其制造方法、偏光板以及图像显示装置
JP2021076656A (ja) * 2019-11-06 2021-05-20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画像表示装置、偏光板の設計方法、偏光板の製造方法、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WO2022239648A1 (ja) * 2021-05-08 2022-11-17 大倉工業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偏光板、画像表示装置及び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2706A (ja) * 1995-06-06 1996-12-17 Teijin Ltd 積層フイルム
JP3518149B2 (ja) * 1996-02-29 2004-04-12 日清紡績株式会社 水性プレコートメタル用塗料
JP4637299B2 (ja) * 2001-08-16 2011-02-23 三菱樹脂株式会社 塗布フィルム
US20050137374A1 (en) * 2003-12-17 2005-06-23 Roesler Richard R. Two-component water-borne adhesive
JP2005206970A (ja) * 2004-01-23 2005-08-04 Dai Ichi Kogyo Seiyaku Co Ltd 繊維積層体の製造方法、繊維積層体及び合成皮革
WO2007061081A1 (en) * 2005-11-22 2007-05-31 Nippon Paint Co., Ltd. Carbodiimide compound and waterborne curabl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reof
JP5235316B2 (ja) * 2007-01-31 2013-07-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学用積層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JP5399082B2 (ja) * 2008-01-17 2014-01-29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偏光板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5549140B2 (ja) * 2009-07-27 2014-07-16 横浜ゴム株式会社 水系硬化性組成物と水系プライマー組成物とのセット、およびこれを用いる封止体
US20110045219A1 (en) * 2009-08-18 2011-02-24 Bayer Materialscience Llc Coating compositions for glass substrates
CN102648094B (zh) * 2009-12-04 2015-04-08 东洋纺织株式会社 易粘接性热塑性树脂膜
JP4780245B2 (ja) * 2009-12-07 2011-09-28 東洋紡績株式会社 易接着性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
KR101390545B1 (ko) * 2010-03-05 2014-04-30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용 접착제, 편광판, 그 제조 방법,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265311B1 (ko) * 2010-09-20 2013-05-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수계 프라이머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프라이머층을 구비한 광학필름의 제조방법
KR101482406B1 (ko) * 2012-05-30 2015-01-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수계 프라이머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광학필름,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JP2014083800A (ja) * 2012-10-25 2014-05-12 Dic Corp 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JP5719062B2 (ja) * 2014-06-16 2015-05-13 三菱樹脂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61021B (zh) 2019-06-01
TW201623537A (zh) 2016-07-01
CN107075298B (zh) 2019-09-10
JPWO2016072437A1 (ja) 2017-08-24
WO2016072437A1 (ja) 2016-05-12
KR20170084060A (ko) 2017-07-19
JP6527878B2 (ja) 2019-06-05
CN107075298A (zh) 2017-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4207B1 (ko) 접착 용이 조성물, 및 이것을 사용한 광학 필름과 그 제조 방법
KR102382903B1 (ko) 접착 용이 조성물, 및 이것을 사용한 광학 필름과 그 제조 방법
JP5354733B2 (ja) 偏光子保護フィルムおよび偏光子保護フィルムを用いた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1265311B1 (ko) 수계 프라이머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프라이머층을 구비한 광학필름의 제조방법
WO2009090932A1 (ja) 偏光板および偏光板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6644932B1 (ja) 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偏光板、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JP2011102821A (ja) 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1221424A (ja) 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2303580B1 (ko)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135050A (ko) 기능성 코팅층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화상표시장치
JP2018158987A (ja) 易接着剤組成物およびそれを備える偏光子保護フィルム、偏光フィルム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KR20140146391A (ko) 수계 프라이머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광학필름 및 편광판
JP2020016872A (ja) 易接着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偏光板、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WO2020022269A1 (ja) 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偏光板、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JP2012133314A (ja) 光学積層体
WO2022239648A1 (ja) 光学フィルム、偏光板、画像表示装置及び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WO2024071233A1 (ja) 光学フィルム
JP2018159784A (ja) 偏光子保護フィルム、偏光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20022164A1 (ja) 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