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5285A - 압력 센서 - Google Patents

압력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5285A
KR20160105285A KR1020150178417A KR20150178417A KR20160105285A KR 20160105285 A KR20160105285 A KR 20160105285A KR 1020150178417 A KR1020150178417 A KR 1020150178417A KR 20150178417 A KR20150178417 A KR 20150178417A KR 20160105285 A KR20160105285 A KR 20160105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ember
pressure sensor
cover member
base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8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1498B1 (ko
Inventor
모투 나이토
타카유키 오치아이
타카시 야마우치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디바이스 썬크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디바이스 썬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디바이스 썬크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105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5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1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1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007Fluidic connec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4Hous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4Housings
    • G01L19/142Multiple part housings
    • G01L19/143Two part hous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4Housings
    • G01L19/147Details about the mounting of the sensor to support or cover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9/00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 작업의 용이한 압력 센서를 제공한다. 피측정 유체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는 피측정 유체를 도입하는 도입구(21a)를 갖는 베이스 부재(20)와 도입구(21a)에서 도입된 피측정 유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 소자(31)와, 베이스 부재(20)에 쌓아 배치 된 압력 검출 소자(31)가 구현되는 회로 기판(30)과 회로 기판(30)을 사이에 두고 베이스 부재(20)의 반대편에 배치되어 베이스 부재(20) 사이에 회로 기판(30)을 협지하는 확산 부재(40)를 포함한다. 확산 부재(40)에는 베이스 부재(20) 측으로 연장된 지지편(48)이 설치되고, 지지편(48)과 베이스 부재(20) 사이에는 일측 부재의 일부를 타측의 부재에 결합해, 베이스 부재(20)와 확산 부재(40)를 고정하는 내측 결합부가 설치되어있다. 베이스 부재(20)는 내측 결합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지지편(48)의 변형을 규제하는 커버 부재(70)가 장착되어 고정된다.

Description

압력 센서{PRESSURE SENSOR}
본 발명은, 압력 센서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1에는, 압력 검출 소자에 의해 측정된 피측정 유체의 압력을 디지털 표시된 압력 센서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압력 센서는, 예를 들어, 전면 케이스와 베이스 부재로 이루어진 케이스 내에 압력 검출 소자를 실장한 회로 기판과 액정 표시 부재 등의 각 부품을 적층하여 수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평 10-142090호 공보
그런데, 상기와 같은 압력 센서에서 압력 검출 소자를 실장한 회로 기판은 피측정 유체의 압력을 받는 압력 검출 소자를 지지하는 부위가 되기 때문에, 피측정 유체에서 높은 압력에도 견딜 수 있도록 케이스 등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따라서 압력 검출 소자를 실장한 회로 기판을 케이스 등에 고정하는 방법으로는 확실한 고정이 가능한 나사 고정 공법이나 열 코킹 공법을 채용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나사 고정 공법이나 열 코킹 공법은 시간이 많이 걸리는 작업이며, 압력 센서의 조립 작업의 간소화에 방해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조립 작업의 용이한 압력 센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피측정 유체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는, 피측정 유체를 도입하는 도입부를 갖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도입부부터 도입된 피측정 유체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검출 소자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중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압력 검출 소자가 구현되는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베이스 부재의 반대측에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 부재 사이에 상기 회로 기판을 지지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에는 상기 베이스 부재 측에 연장된 유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유지부와 상기 베이스 부재 사이에는 한측 부재의 일부를 타측 부재에 맞물리게 하여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 고정 부재를 고정하는 내측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에는 상기 내부결합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측 결합부가 설치되는 부위의 변형을 억제하는 커버 부재가 장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베이스 부재, 회로 기판 및 고정 부재를 차례로 적층하는 것과 동시에, 회로 기판을 사이에 두고 베이스 부재의 반대 측에 배치되는 고정 부재와 베이스 부재를 내측 결합부에서 결합시키는 간단한 작업을 통해 고정 부재에 회로 기판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에 고정되는 커버 부재를 내측 결합부의 외측에 위치시킴으로써 내측 결합부가 설치되는 부위의 변형, 구체적으로 외측 개방 방향으로의 변형을 억제하고 있다. 내측 결합부의 결합 상태가 해제될 때마다 내측 결합부가 설치되는 부위에서 외측 개방 방향의 변형이 동반되기 때문에 변형을 커버 부재로 억누르고 억제함으로써 내부 결합부의 결합은 해제되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회로 기판을 끼워 고정 부재와 베이스 부재를 결합하여 고정하는 조립 준비 고정 구조에 있으면서도 유체의 압력에 견딜 수 있는 견고한 고정 구조가 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내측 결합부는 상기 유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부재 측에 돌출 결합 고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결합 고리가 결합된 결합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 부에는 상기 결합 고리의 기단 측에 인접하여, 상기 베이스 부재 측에 개구하는 보조 결합 오목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베이스 부재에는 상기 보조 결합 오목부에 삽입되는 보조 결합 고리가 설치되어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내측 결합부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결합 고리와 결합 오목부와의 결합 폭 및 삽입 오목부와 보조 결합 고리와의 결합 폭의 합계 이상으로 내측 결합부가 설치되는 부위를 변형시켜야한다. 이 때문에 내측 결합부의 결합이 해제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결합 고리 및 보조 결합 고리의 한쪽을 생략하고 하나의 결합고리만 한 경우와 비교할 경우, 약 절반의 손톱 길이에 동일한 정도의 결합 폭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더 작은 공간에 내측 결합부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져, 압력 센서의 설계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특히 압력 센서의 소형화를 도모하기 쉬워진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에는 해당 압력 센서를 부착 대상에 부착하는 부착 보조 기구를 고정하기 위한 장착부가 설치되어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장착부는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내측 결합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벽부에 설치되어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부착 보조 기구를 장착한 상태에서 커버 부재의 외측에 설치 보조 기구가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내측 결합부가 형성된 부위가 외측 개방 방향으로 변형하려고 할 때, 커버 부재가 같은 방향으로 추종하고 변형하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커버 부재에 의한 내측 결합부가 형성된 부위의 변형을 억제하는 효과가 증가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 사이에는ㅡ 일측 부재의 일부를 타측 부재에 결합시키고,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를 고정하는 외측 결합부가 설치되고, 상기 외측 결합부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내측 결합부가 설치되는 면과 동일한 면에 설치되어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조립 공정에서 고정 부재를 적층할 경우 및 커버 부재를 장착 할 때 내측 결합부 및 외측 결합부가 설치되어 있는 면을 같은 쪽을 향하도록 작업을 실시하면 좋을 뿐 아니라 쉽게 조립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커버 부재의 단부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플랜지를 갖추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커버 부재의 단부에 뭔가가 갑자기 걸려 베이스 부재로 커버 부재가 이탈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상기 커버 부재를 분리 할 때 치구가 삽입되는 분리용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내측 결합부에 의한 고정 구조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베이스 부재에 커버 부재를 견고하게 고정시킨 경우에도 치구를 사용함으로써 베이스 부재로부터 커버 부재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제거용 부위를 오목부로 붙이는 것으로 제거용 부위에 무언가가 갑자기 걸려 베이스 부재로 커버 부재가 이탈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베이스 부재 측의 가장자리에는 같은 가장자리에 따른 방향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내측 결합부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부위와 겹치는 위치에 상기 베이스 부재 측에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커버 부재의 내측 결합부와 겹치는 부분에서 동 가장자리까지의 거리가 길어진다. 따라서 내측 결합부가 형성된 부위가 외부로 개방 방향으로 변형하려고 했을 때에 커버 부재가 같은 방향으로 추종하고 변형하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커버 부재에 의한 내측 결합부가 형성된 부위의 변형을 규제하는 효과가 증가 된다.
본 발명의 압력 센서에 의하면,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압력 센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압력 센서의 일부(베이스 부재, 회로 기판 및 확산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압력 센서의 일부 (베이스 부재, 회로 기판 및 확산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압력 센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5-5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6-6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7-7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압력 센서의 설치에 관한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액정 표시 부재를 구비하는 압력 센서를 구체화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력 센서(10)는 합성수지 재질의 베이스 부재(20)를 포함한다. 베이스 부재(20)는 사각 판상의 뒷벽(21)과, 뒷벽(21)의 일측에 있어서 마주보는 두 변을 따라 세워서 설치되는 제1 내측벽(22), 뒷벽(21)에 있어서 타측에 마주보는 두 변을 따라 세워서 설치되는 제2 내측벽(23)을 갖는 저면을 갖는 사각형 상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뒷벽(21)의 주연부에는 제1 내측벽(22) 및 제2 내측벽(23)으로부터 돌출된 플랜지(24)가 설치되어 있다. 플랜지(24)의 각 변의 중앙에는 오목부(24a)가 설치되어 있다. 뒷벽(21)의 중앙부에는 피측정 유체를 도입하기 위한 원통형의 도입구(21a)가 설치되어 있다. 뒷벽(21)에는 일변 측을 절단함으로써 커넥터 홀(21b)이 설치되어 있다.
도2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측벽(22)의 외면 중앙부에는 개구 측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 결합홈(25)이 설치되어 있다. 결합홈(25)에는 제1 내측벽(22)의 개구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하고, 제1 내측벽(22)을 관통하는 결합 오목부(25a)가 설치되어 있다. 결합홈(25)에는 결합 오목부(25a)의 가장자리를 따라 외면 측으로 돌출하는 보조 결합 고리(25b)가 설치된다. 보조 결합 고리(25b)는 결합 오목부(25a) 측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폭을 갖는 삼각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2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측벽(22)의 외면에는 개구 가장자리에 따른 방향으로 결합홈(25)의 양쪽에 위치하도록 두 개의 결합 돌기부(22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내측벽(22)의 플랜지(24)에서 각 결합 돌기부(22a)에 중첩되는 위치에 분리 가능한 오목부(26)가 설치되어 있다.
도2 및 도5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20)의 제1 내측벽(22) 및 제2 내측벽(23) 내에 압력을 감지하는 감지 회로 등이 형성된 회로 기판(30)이 배치되어 있다. 회로 기판(30)의 외형 형상은 베이스 부재(20)의 제1 내측벽(22) 및 제2 내측벽(23)의 외주 형상에 대체로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회로 기판(30)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제1 내측벽(22)에 마련된 결합홈(25)에 대응하는 오목부(30a)가 설치되어 있다.
회로 기판(30)의 하면(베이스 부재(20)의 측면)의 중앙부에는 압력 검출 소자(31)가 구현되어 있다. 도 5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력 검출 소자(31)는 베이스 부재(20) 측으로 돌출하는 원통형의 도입부(31a)를 구비하고, 도입부(31a)와 베이스 부재(20) 사이에는 오링(3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로 기판(30)의 하면에는 외부 접속용 커넥터(33)가 설치되어 있다. 외부 접속용 커넥터(33)의 단부는 베이스 부재(20)의 커넥터 홀(21b)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각 단면 그림에서는 압력 검출 소자(31)와 외부 접속용 커넥터(33) 등의 회로 기판(30)에 장착되는 부품을 단순화해 보여주고 있다.
도 2 내지 도 7과 같이, 회로 기판(30)의 상면측(베이스 부재(20)와 반대측)에는 확산 부재(40)및 압력 검출 소자(31)에 의한 검출 결과를 표시하는 액정 표시 부재(50)가 순서대로 중첩되어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확산 부재(40)가 고정 부재에 해당한다.
확산 부재(40)는 회로 기판(30)과 대략 같은 외부 형상을 갖는 사각플레이트 형상을 이루는 합성수지 재질의 부재이다. 확산 부재(40)의 중앙부에는 길이 사각형 모양의 확산용 개구부(41)가 설치되어 있다. 도 3과 같이 확산용 개구부(41)의 개구에는 회로 기판(30)에 설치된 LED 등의 디스플레이용(백라이트)의 발광 소자(34)가 위치하고 있다. 확산 부재(40)는 확산용 개구부(41)에서 발광 소자(34)로부터의 광을 액정 표시 부재(50)를 향해 확산시킨다.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산 부재(40)의 확산용 개구부(41)의 일변측의 장변(41a)과 확산 부재(40)의 주변부 사이에는 장변(41)a에 따라 연장된 커넥터 삽입공(42)이 확산 부재(40)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커넥터 삽입공(42)에는 액정 표시 부재(50)를 회로 기판(3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탄성 커넥터(35)가 삽입되어 있다. 탄성 커넥터(35)는 탄성을 갖는 도전성 고무 및 절연성 고무를 교대로 중첩시켜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 부재이며, 그 일단 측이 회로 기판(30)에 설치된 전극에 접속되는 동시에 타단 측이 액정 표시 부재(50)의 전극부에 접속되어 있다.
도 3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산 부재(40)에 있어서, 확산용 개구부(41)를 사이에 두고 커넥터 삽입공(42)과 반대측으로 확산용 개구부(41)의 타변 측의 장변(41b)의 중앙 근방의 부위에는 액정 표시 부재(50)를 지지하기 위한 탄성 지지부(4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탄성 지지부(43)는, 직사각형 판상 부분은 양 단의 두 개의 포인트들에서 연결된 브릿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하 방향 (두께 방향)으로 휘는 것이 가능한 부위이다.
상술하면 탄성 지지부(43)의 확산 개구(41)측에는 확산용 개구부(41)의 타변 측의 장변(41b)을 따라 연장된 슬릿(44)이 설치되는 동시에 탄성 지지부(43)의 확산용 개구부(41)와 반대편에 탄성 지지부(43)보다 상하 방향 (두께 방향)으로 한 단계 내려간 단차부(4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슬릿(44)과 단차부(45)에 의해 탄성 지지부(43)는, 직사각형 판상 부분이 양 단의 두 개의 포인트에서 연결된 브릿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탄성 지지부(43)의 하면 측(회로 기판(30)측)에는 중공이 형성됨으로써 그 가요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탄성 지지부(43)의 중앙부에는 위쪽(회로 기판(30)과 반대측)에 팽창된 볼록부(43a)가 설치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산부재(40)에는, 단차부(45)에 의해 낮아진 부분은 후술하는 버튼 부재(60)를 장착하기 위한 버튼 장착부(46)에 해당된다. 또한, 확산부재(40)의 주변에는 상단(회로 기판(30)과 반대측)으로 세워서 설치되는 지지벽(47)과 아래쪽 (회로 기판(30)측)으로 세워서 설치되는 지지편(retainer, 48)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지지편(48)은 유지부에 해당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편(48)은 확산부재(40)의 주변에서 베이스 부재(20)의 제1 내측벽(22)과 같은 쪽에 위치한 두 변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사각 판상 부위이며, 베이스 부재(20)의 제1 내측벽(22)에 마련된 결합홈(25) 내에 수용되어 있다. 지지편(48) 안쪽 끝 부분에는 내면 측으로 돌출된 결합고리(48a)가 설치되어 있다. 결합고리(48a)는 지지편(48)의 기단 측을 향해 점차 폭이 넓어지는 삼각형 모양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지지편(48)의 결합고리(48a)의 기단 측에는 지지편(48)을 관통하는 보조 결합 오목부(48b)가 설치되어 있다.
도 5와 같이 지지편(48)에 마련된 결합 고리(48a)는 베이스 부재(20)의 제1 내측벽(22)에 형성된 결합 오목(25a)에 삽입되어 있다. 제1 내측벽(22)에 마련된 보조 결합 고리(25b)는 지지편(48)에 설치된 보조 결합 오목부(48b)에 삽입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결합 고리(48a) 및 결합 오목(25a), 및 보조 결합 고리(25b) 및 보조 결합 오목부(48b) 의해 내측 결합부가 구성된다.
도 4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산 부재(40)의 상면 측(회로 기판(30)과 반대측)은 액정 표시 부재(50) 및 버튼 부재(60)가 배치되어 있다. 액정 표시 부재(50)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부재이며, 확산 부재(40)의 확산용 개구부(41)에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정 표시 부재(50)의 이면에 일 장변 측의 전체에는 전극부가 형성되고, 이 전극부가 확산 부재(40)의 커넥터 삽입공(42)으로부터 돌출하는 탄성 커넥터(35)에 연결되어 있다. 액정 표시 부재(50)의 이면의 다른 장변 측의 중앙부는 확산 부재(40)의 탄성 지지부(43)의 볼록부(43a)에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액정 표시 부재(50)의 이면은 하나의 장변 측 전체가 탄성 커넥터(35)에 지지되는 동시에 다른 한편의 장변 측의 중앙부가 탄성 지지부(43)에 지지되어 있다.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력 센서(10)는 베이스 부재(20)의 외측에 씌워지는 합성수지 재질의 커버 부재(70)를 구비하고 있다. 커버 부재(70)는 사각 판상의 앞벽(71), 앞벽(71)의 일변 측의 대향하는 두 변에 세워진 제1 외측벽(72), 앞벽(71)의 타변 측의 대향하는 두 변에서 세워진 제2 외측벽(73)을 갖는 바닥을 갖는 직사각형 상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앞벽(71)은 액정 표시 부재(50)를 시각적으로 인지시키기 위한 윈도우부(71a)가 설치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벽(71)의 내부에는 윈도우부(71a)를 덮는 투명 커버(71b)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투명 커버(71b)가 액정 표시 부재(50)에 접촉하여 액정 표시 부재(50)를 연결하여 투명 커버(71b)와 탄성 커넥터(35) 및 탄성 지지부(43) 사이에 액정 표시 부재(50)가 고정되어 있다. 앞벽(71)은 버튼 부재(60)의 버튼 부분을 노출시키기 위한 버튼용 개구부(71c)가 설치되어 있다.
도 4와 같이 커버 부재(70)의 제1 외측벽(72)및 제2 외측벽(73)은 함께 긴 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동시에 그 개구 가장자리의 중앙 부분에 개구 가장자리로 돌출되는 돌출부(74)가 설치되고 있다. 제1 외측벽(72)에는 개구 가장자리에 따른 방향의 돌출부(74)의 양쪽에 위치하도록 두 개의 외부 결합 오목부(72a)가 제1 외측벽(72)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제2 외측벽(73)의 외면의 앞벽(71) 측의 양측에는 두 개의 홈 형상을 이루는 제1 장착부(75a)가 설치되는 동시에, 제1 외측벽(72)의 외면에 개구 가장자리의 중앙부에는 홈 형상을 이루는 제2 장착부(75b)가 설치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부재(70)의 제1 외측벽(72)은 베이스 부재(20)의 제1 내측벽(22)및 확산 부재(40)의 지지편(48)의 외측에 위치하여, 제1 내측벽(22) 및 지지편(48)에 접촉 또는 근접하고 있다. 또한, 도 1 및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부재(70)의 제1 외측벽(72) 및 제2 외측벽(73)의 개구 측의 가장자리는 베이스 부재(20)의 플랜지(24)에 대향하도록 위치하며, 제1 외측벽(72) 및 제2 외측벽(73)은 플랜지(24)의 주변면은 평탄하도록 동일한 면으로도 되어 있다. 제1 외측벽(72) 및 제2 외측벽(73)에 마련된 돌출부(74)는 베이스 부재(20)의 제1 내측벽(22) 및 제2 내측벽(23)의 플랜지(24)에 형성된 오목부(24a)에 삽입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외측벽(72)의 돌출부(74)는, 개구 측의 가장자리에 따른 방향에서 제1 외측벽(72)의 지지편(48) 외부에 위치하는 부위와 겹치는 위치에 설치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외측 벽(72)에 설치된 외부 결합 오목부(72a)에는 베이스 부재(20)의 제1 내측벽(22)에 형성된 결합 돌기부(22a)가 삽입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 돌기부(22a) 및 외측 결합 오목부(72a) 의해 외측 결합부가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압력 센서(10)의 조립 공정의 일례를 설명한다. 우선, 압력 검출 소자(31), 외부 접속용 커넥터(33) 등의 각 부품이 실장된 회로 기판(30)을 베이스 부재(20)의 제1 내측벽(22) 및 제2 내측벽(23) 위에 적층한다. 이 때, 도 5와 같이 회로 기판(30)에 장착된 압력 검출 소자(31)의 도입부(31a)와 베이스 부재(20) 사이에 오링(32)을 설치하고, 회로 기판(30)에 장착된 외부 연결용 커넥터(33)의 단부를 베이스 부재(20)의 커넥터 홀(21b)에 고정한다.
이 후, 확산 부재(40)의 지지편(48)을 베이스 부재(20)의 제1 내측벽(22)에 마련된 결합홈(25)에 위치시키도록 하여 회로 기판(30)위에 확산 부재(40)를 추가적으로 적층한다. 이 때, 도 5와 같이 지지편(48)이 탄성 변형하여 바깥쪽으로 열리면서 지지편(48)의 결합 고리(48a)가 제1 내측벽(22)의 결합 오목부(25a)에 삽입되어 걸어 맞춤한다. 동시에 제1 내측벽(22)의 보조 결합 고리(25b)가 지지편(48)의 보조 결합 오목부(48b)에 삽입되어 걸어 맞춤한다. 그러면 베이스 부재(20)에 확산 부재(40)가 고정되는 동시에, 베이스부재(20)와 확산 부재(40) 사이에 상호 협지되는 방식으로 베이스 부재(20)에 회로 기판(30)이 고정된다.
이어서 확산 부재(40)의 커넥터 삽입공(42)에 탄성 커넥터(35)를 삽입하고 커넥터 삽입공(42)에서 탄성 커넥터(35)의 끝을 돌출시킨 상태에서 탄성 커넥터(35)및 확산 부재(40)의 탄성 지지부(43) 위에 액정 표시 부재(50)를 적층한다. 이 때, 지지벽(47)의 내면에 액정 표시 부재(50)의 가장자리를 맞닿게 함으로써 확산 부재(40)상에서 액정 표시 부재(50)가 위치된다. 확산 부재(40)의 버튼 장착부(46)에 버튼 부재(60)를 설치한다.
이어서, 투명 커버(71b)를 설치한 커버 부재(70)를 회로 기판(30) 및 확산 부재(40)등이 장착된 베이스 부재(20)에 씌운다. 이 때,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20)의 제1 내측벽(22)에 형성된 결합 돌기부(22a)가 제1 외측벽(72)에 설치된 외부 결합 오목부(72a)에 삽입되어 걸어 맞춘다 . 동시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외측벽(72) 및 제2 외부벽(73)에 마련된 돌출부(74)가 베이스 부재(20)의 제1 내측벽(22) 및 제2 내측벽(23)에 형성된 오목부(24a) 안에 삽입된다. 그러면 베이스 부재(20)에 커버 부재(70)가 장착되어 고정된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부재(70)에 설치된 투명 커버(71b)와 탄성 커넥터(35) 및 확산 부재(40)의 탄성부(43) 사이에 끼여져 액정 표시 부재(50)가 고정되는 동시에 확산 부재(40)와 커버 부재(70) 사이에 끼여져 버튼 부재(60)가 고정된다. 이렇게 하여 압력 센서(10)의 조립이 완료된다. 커버 부재(70)는 베이스 부재(20)에 설치된 제거용 오목부(26)에 드라이버 등의 치구를 삽입하고 제1 외측벽(72) 및 제2 외측벽(73)을 비켜감으로써 쉽게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압력 센서(10)는 다음과 같이 패널 등의 부착 대상에 부착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부재(70)의 윈도우부(71a) 측을 앞면에 압력 센서(10)를 부착 대상(80)의 부착구(80a)에 삽입한다. 그리고 압력 센서(10)의 설치 대상(80)에서 앞면에 튀어나온 부분의 주변면에 제1 설치 보조기구(81)를 설치하고, 동 이면에 돌출 부분의 주변 면에 제2 장착 보조 도구(82)를 설치한다.
제1 설치 보조 기구(81)는 압력 센서(10)보다 큰 외형 형상을 갖는 사각 프레임 형상을 이루고, 그 내면 측의 한쪽으로 대향하는 이면에 제1 장착 돌기부(81a)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설치 보조 기구(81)는 압력 센서(10)의 커버 부재(70)의 제2 외부벽(73)에 마련된 제1 장착부(75a)에 대하여 제1 장착 돌기부(81a)를 결합시켜 압력 센서(10)에 고정된다.
제2 설치 보조 기구(82)는 압력 센서(10)보다 큰 외형 형상을 갖는 사각 프레임 형상을 이루고, 그 내면 측의 한쪽으로 대향하는 이면에 제2 장착 돌기부(82a)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설치 보조 기구(82)는 압력 센서(10)의 커버 부재(70)의 제1 외측벽(72)에 설치된 제2 장착부(75b)에 제2 장착 돌기부(82a)를 결합시켜 압력 센서(10)에 고정된다.
제1 설치 보조 기구(81) 및 제2 설치 보조 기구(82)가 설치됨으로써, 설치 대상(80)으로부터 압력 센서(10)의 전면과 이면에 이탈이 억제된 상태가 되고, 설치 대상(80)에 압력 센서(10)가 고정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압력 센서(10)는 회로 기판(30)을 사이에 두고 베이스 부재(20)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확산 부재(40)에는 베이스 부재(20) 측으로 연장된 지지편(48)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편(48)과 베이스 부재(20) 사이에 설치 한 내측 결합부(결합 고리(48a)및 결합 오목부(25a), 보조 결합 고리(25b) 및 보조 결합 오목부(48b))와 결합하여 베이스 부재(20)에 확산 부재(40)를 고정하고, 베이스 부재(20)와 확산 부재(40) 사이에 협지하는 상태에서, 베이스 부재(20)에 회로 기판(30)을 고정하고 있다. 따라서 베이스 부재(20), 회로 기판(30) 및 확산 부재(40)를 차례로 적층하고 또한 베이스 부재(20)와 확산 부재(40)를 상기 내측 결합부로 결합하는 것과 같은 간단한 작업에 의해 베이스 부재(20)에 대해 회로 기판 (30)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고정 구조에서는 지지편(48)이 외부로 개방 방향으로 변형하고 그 변형량이 상기 내측 결합부의 결합 폭을 초과하는 경우 내측 결합부의 결합이 해제되고, 베이스 부재(20)에 대한 회로 기판(30)의 고정이 해소되게 된다. 내측 결합부의 결합 폭은 결합 고리(48a)의 결합 오목(25a)에 걸려 있는 부분의 폭과 보조 결합 고리(25b)의 보조 결합 오목부(48b)에 걸려있는 부분의 폭의 합계이다.
따라서, 회로 기판(30) 등을 보호하기 위해 베이스 부재(20)에 장착되는 커버 부재(70)의 일부(제1 외측벽(72))를 지지편(48)의 외부에 위치시킴으로써 지지편(48)의 외측 개방 방향으로의 변형을 억제하고 있다. 이렇게 하면 커버 부재(70)가 설치된 상태에서는 내측 결합부의 결합이 해제되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베이스 부재(20)에 대한 회로 기판(30)의 고정 구조는 베이스 부재(20), 회로 기판(30) 및 확산 부재(40)를 차례로 적층하고 또한 베이스 부재(20)와 확산 부재 (40)를 상기 내측 결합부에서 결합시켜 조립이 용이한 고정 구조에 있으면서도 피측정 유체의 압력에 견딜 수 있는 견고한 고정 구조가 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1) 피측정 유체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10)는 피측정 유체를 도입하는 도입구(21a)를 갖는 베이스 부재(20)와 도입구(21a)에서 도입된 피측정 유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 소자(31), 그리고 베이스 부재(20)에 쌓아 배치 된 압력 검출 소자(31)가 구현되는 회로 기판(30)과 회로 기판(30)을 사이에 두고 베이스 부재(20)의 반대편에 배치되어 베이스 부재(20) 사이에 회로 기판(30)을 협지하는 확산 부재(40)를 구비한다. 확산 부재(40)에는 베이스 부재(20)측으로 연장된 지지편(48)이 설치되고, 지지편(48)과 베이스 부재(20) 사이에는, 일 측면 부재의 일부를 타측의 부재에 결합시키고, 베이스 부재(20)와 확산 부재(40)를 고정하는 내측 결합부(결합 고리(48a), 결합 오목(25a), 보조 결합 고리(25b)및 보조 결합 오목 (48b))가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20)는 내측 결합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지지편(48)의 변형을 규제하는 커버 부재(70)가 장착 고정되어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조립 작업, 특히 베이스 부재(20)에 대한 회로 기판 (30)의 고정에 따른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2) 내측 결합부로서, 지지편(48)에 설치되고 베이스 부재(20)측에 돌출한 결합 고리(48a)와 베이스 부재(20)에 설치되고 결합 고리(48a)가 결합하는 결합 오목부(25a)를 갖추고 있다. 또한, 지지편(48)에는 결합 고리(48a)의 기단 측에 인접하여 베이스 부재(20)측에 개구하는 보조 결합 오목부(48b)가 설치되는 동시에, 베이스 부재(20)는 보조 결합 오목부(48b)에 삽입되는 보조 결합 고리(25b)가 설치되어있다.
위 구성의 경우 내측 결합부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내측 결합부의 결합 폭, 즉 결합 고리(48a)의 결합 오목(25a)에 걸려있는 부분의 폭과 보조 결합 고리(25b)의 보조 결합 오목부(48b)에 걸려있는 부분의 폭의 합 이상으로 지지편(48)을 변형시켜야한다. 따라서 내측 계합부의 결합이 해제되기 어려워진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결합 고리(48a)및 보조 결합 고리(25b) 한편을 생략하고 하나의 결합 고리만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손톱의 절반 길이와 동일한 정도의 결합 폭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더 작은 공간에 내측 결합부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져, 압력 센서(10)의 설계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특히 압력 센서 (10)의 소형화의 도모가 쉬워진다.
(3) 베이스 부재(20)는, 두 쌍의 대향하는 제1 내측벽(22)및 제2 내측벽(23)을 갖는 사각 상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내측 결합부는 한쪽 대향하는 측벽인 제1 내측벽(22)과 지지편(48) 사이에만 설치되어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내측 결합부를 설치한 부위를 베이스 부재(20)의 제1 내측벽(22)과 지지편(48) 사이에 한정하여 내측 결합부에 의한 고정 구조 강도를 확보하면서 제조 비용을 억제 할 수 있다.
(4) 압력 센서(10)를 설치 대상(80)에 장착 할 때 사용되는 제2 설치 보조기구(82)와 결합하는 제2 장착부(75b)를 커버 부재(70)의 제1 외측벽(72), 즉 확산 부재(40)의 지지편(48)의 외부에 위치하는 벽부에 마련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2 설치 보조기구(82)를 장착한 상태에서 커버 부재(70)의 제1 외측벽(72)의 외측에 제2 장착 보조기구(82)가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확산 부재(40)의 지지편(48)이 외측 개방 방향으로 변형하려고 했을 때에 커버 부재(70)가 같은 방향으로 추종하고 변형하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커버 부재(70)에 의해 지지편(48)의 변형을 규제하는 효과가 증가된다.
(5) 베이스 부재(20)와 커버 부재(70) 사이에는 일측 부재의 일부를 타측 부재에 결합시켜 베이스 부재(20)와 커버 부재(70)를 고정하는 외측 결합부(결합 돌기부(22a) 및 외측 결합 오목부 (72a))가 설치되어있다. 외측 결합부는 베이스 부재(20)의 내측 결합부가 설치되는 면과 동일한 면에 설치되어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조립 공정에서 확산 부재(40)를 적층할 경우, 커버 부재(70)를 씌우는 내측 결합부 및 외측 결합부가 설치되어 있는 면을 같은 방향으로 향하도록 작업을 할 경우,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6) 베이스 부재(20)는 커버 부재(70)의 베이스 부재(20)측의 가장자리 부에 대향하고 있는 플랜지(24)가 설치되어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커버 부재(70)의 단부에 대향하는 플랜지(24)가 위치하여 커버 부재(70)의 단부에 뭔가가 갑자기 걸려 베이스 부재(20)의 커버 부재 (70)가 빠지는 일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7) 플랜지(24)는 베이스 부재(20)로부터 커버 부재(70)를 분리할 때 치구가 삽입되는 분리용 오목부(26)가 설치되어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내측 결합부에 의한 고정 구조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베이스 부재(20)에 커버 부재(70)를 견고하게 설치한 경우에도 치구를 사용함으로써 베이스 부재(20)로부터 커버 부재(70)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거용 부위를 오목부로 형성함으로써 제거용 부위에 무언가가 의도하지 않게 걸려서 베이스 부재(20)로부터 커버 부재(70)가 빠지는 일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8) 제1 외측벽(72)의 개구 측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가장자리에 따른 방향으로 제1 외측벽(72)의 지지편(48)의 외부에 위치하는 부위와 겹치는 위치에 베이스 부재(20)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74)에 설치되어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커버 부재(70)에 있어서 지지편(48)과 겹치는 부분으로부터 가장 자리까지의 거리가 길어진다. 따라서 지지편(48)이 외부로 개방 방향으로 변형하려고 했을 때, 제1 외측벽(72)이 같은 방향으로 추종됨으로써 변형하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커버 부재(70)에 의해 지지편(48)의 변형을 억제하는 효과가 증가된다.
(9) 액정 표시 부재(50)를 구비하는 압력 센서(10)에 구비되는 확산 부재 (40)를 고정 부재로 이용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부품 점수의 증가를 억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는 다음과 같이 변경하여 구체화 할 수 있다.
내측 결합부의 구체적인 구성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보조 결합 고리(25b) 및 보조 결합 오목부(48b)를 생략하거나 결합 고리(48a) 및 결합 오목부(25a)를 생략하여 구성해도 좋다. 또한 고리와 오목부와를 결합하는 구성 대신 고리끼리 결합 구성해도 좋다.
결합 고리(48a)의 고리의 길이는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내측 결합부의 걸어 맞춤 폭을 크게 확보한다는 관점에서는 결합시 결합 고리(48a)의 고리 끝 (돌출 방향 끝)이 베이스 부재(20)의 제1 내부 벽(22)의 내면의 위치에 일치하는 길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형화를 도모한다는 관점에서는 결합시 결합 고리(48a)의 고리 끝(돌출 방향의 끝)이 베이스 부재(20)의 제1 내부 벽(22)의 내면의 위치와 일치하는 길이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 고리(48a)가 교전하는 결합 오목부(25a)는 관통 구멍일 필요는 없다. 보조 결합 고리(25b)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확산 부재(40)의 베이스 부재(20)의 제2 내부 벽(23)쪽 주변에도 지지편 (48)을 설치하여 베이스 부재(20)의 제2 내부 벽(23)과의 사이에도 내측 결합 부를 설치하는 구성으로도 좋다.
확산 부재(40)에 설치되는 지지편(48)(유지 부)은 플레이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확산 부재(40)의 각 변 중 일부 또는 전부에 따라 세워지는 벽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확산 부재(40)에 설치되는 지지편(48)은 베이스 부재(20)의 제1 내부 벽(22)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지만, 제1 내부 벽(22)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도 좋다. 이 경우, 커버 부재(70)는 제1 내부 벽(22)의 외부로 열린 방향으로 변형을 규제한다.
액정 표시 부재(50)를 구비하는 압력 센서(10)에 구비되는 확산 부재(40)를 고정 부재로서 이용하고 있었지만, 확산 부재(40)와는 별도로, 베이스 부재 (20) 사이에 내측 결합부를 형성하는 고정 부재를 마련 수 있다.
베이스 부재(20)와 커버 부재(70) 사이에 설치되는 외측 결합부를 베이스 부재(20)의 내측 결합부가 설치되는 면과 다른 면에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외측 결합부의 결합을 해제하는 데 필요한 커버 부재(70)의 변형 방향과 내측 결합부의 결합을 해제하는 데 필요한 확산 부재(40)의 변형 방향 (지지편(48)의 변형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내측 결합부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방향의 힘이 그대로 외측 결합부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방향의 힘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내측 결합부의 결합에 의한 고정 구조가 더 견고하게 된다.
베이스 부재(20)와 커버 부재(70) 사이에 설치되는 외측 결합부를 생략해도 좋다. 예를 들어, 베이스 부재(20)를 내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분할 형으로 구성하고 이러한 분할된 부품을 상호 결합하는 구성도 좋다.
커버 부재(70)에 있어서, 제1 장착부(75a) 및 제2 장착부(75b)를 설치하는 위치를 변경하여도 좋다. 제1 장착부(75a) 및 제2 장착부(75b) 중 적어도 하나가 커버 부재(70)의 제1 외측 벽(72)(확산 부재(40)의 지지편(48)의 외측에 설치 되어있는 벽부분)에 설치되어 있으면, 제1 설치 보조기구(81) 또는 제2 설치 보조기구(82)를 장착한 상태에서, 커버 부재(70)에 의해 지지편(48)의 변형을 규제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이 효과를 현저하게 얻는다는 관점에서, 제1 장착부(75a) 및 제2 장착부(75b)는 제1 외부 벽(72)의 지지편(48) 외부에 위치하는 부위 또는 동일 부위보다 개구 측 부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합성 수지의 베이스 부재(20) 대신 금속 베이스 부재(20)를 이용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베이스 부재(20)와 회로 기판(30) 사이에 절연 부재가 배치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액정 표시 부재(50)를 구비하는 압력 센서(10)에 구체화했지만, 액정 표시 부재(50)를 구비하지 않은 압력 센서(10)도 있다. 이 경우 확산 부재(40) 대신에 베이스 부재(20) 사이에 내측 결합부를 형성하는 고정 부재가 마련된다.
10 ... 압력 센서, 20 ...베이스 부재, 25 ... 계합구, 25a ... 결합 오목부, 25b ... 보조 결합 고리, 30 ... 회로기판, 31 ... 압력 감지 소자, 40 ... 확산부재(고정부재), 48 ... 지지편(유지부), 48a ... 결합 고리, 48b ... 보조 결합 오목부, 70 ... 커버 부재

Claims (8)

  1. 피측정 유체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에 있어,
    피측정 유체를 도입하는 도입부를 갖는 베이스 부재;
    상기 도입부에서 도입된 피측정 유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 소자;
    상기 베이스 부재에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압력 검출 소자가 실장되는 회로 기판; 및
    상기 회로 기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베이스 부재의 반대측에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 부재 사이에 상기 회로 기판을 지지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에는 상기 베이스 부재 측으로 연장된 유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유지부와 상기 베이스 부재 사이에는, 일측 부재의 일부를 타측의 부재에 결합시키고,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고정 부재를 고정하는 내측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에는, 상기 내측 결합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측 결합부가 설치되는 부위의 변형을 억제하는 커버 부재가 장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결합부는 상기 유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부재 측으로 돌출된 결합 고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결합 고리가 결합하는 결합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부에는 상기 결합 고리의 기단 측에 인접하여 상기 베이스 부재 측으로 개구된 보조 결합 고리 오목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베이스 부재에는 상기 보조 결합 오목부에 삽입되는 보조 결합 고리가 설치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센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에는 해당 압력 센서를 부착 대상에 부착하는 부착 보조 기구를 고정하기 위한 장착부가 형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센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내측 결합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벽부에 설치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압력 센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 사이에는 일측 부재의 일부를 타측 부재에 결합시키고,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를 고정하는 외측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 결합부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내측 결합부가 설치되는 면과 동일한 면에 설치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센서.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에는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베이스 부재 측의 가장자리 부에 대향하고 있는 플랜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센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에는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상기 커버 부재를 분리할 때 치구가 삽입될 수 있는 분리용 오목부가 형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센서.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베이스 부재 측의 가장 지리부에는, 같은 가장 자리부에 따른 방향을 따라,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내측 결합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부위와 겹치는 위치에 상기 베이스 부재 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센서.
KR1020150178417A 2015-02-27 2015-12-14 압력 센서 KR1018114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39190A JP6498965B2 (ja) 2015-02-27 2015-02-27 圧力センサ
JPJP-P-2015-039190 2015-0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285A true KR20160105285A (ko) 2016-09-06
KR101811498B1 KR101811498B1 (ko) 2018-01-25

Family

ID=56206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8417A KR101811498B1 (ko) 2015-02-27 2015-12-14 압력 센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498965B2 (ko)
KR (1) KR101811498B1 (ko)
CN (1) CN205333241U (ko)
TW (1) TWI593947B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92606B1 (en) 1987-05-27 1993-02-03 Smc Corporation Pressure meter
KR200145406Y1 (ko) * 1996-11-05 1999-06-15 호우덴코 내연 기관용 흡기관 압력측정 센서의 하우징구조
JP3177950B2 (ja) * 1997-09-19 2001-06-18 日本電気株式会社 キャッシュ最適化処理方法およびキャッシュ最適化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DE19923985B4 (de) * 1999-05-25 2006-12-28 Siemens Ag Sensorbaugruppe mit einem an einer Wand montierbaren Gehäuse
JP2002071499A (ja) * 2000-08-28 2002-03-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圧力センサ
DE102005053014B4 (de) * 2005-11-07 2009-09-24 Continental Automotive Gmbh Drucksensorgehäuse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4652962B2 (ja) * 2005-12-05 2011-03-16 長野計器株式会社 センサ装置
JP2015038805A (ja) 2009-12-17 2015-02-26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TWM488632U (zh) * 2014-06-05 2014-10-21 Solteam Opto Inc 水質感測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5333241U (zh) 2016-06-22
KR101811498B1 (ko) 2018-01-25
TWI593947B (zh) 2017-08-01
JP2016161345A (ja) 2016-09-05
TW201631300A (zh) 2016-09-01
JP6498965B2 (ja) 2019-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21191B2 (ja) 液晶表示装置
KR100768621B1 (ko) 액정 표시 장치
US9482892B2 (en) Display frame device with locking mechanism
JP5304628B2 (ja) 液晶モジュール
US9825381B2 (en) Mounting and connector structure for electronic apparatus
KR101811498B1 (ko) 압력 센서
TWI506225B (zh) 背板與應用此背板之平面顯示裝置
JP2011013506A (ja) 表示装置
US7011443B2 (en) Backlight module with side fixing frames and assembly methods thereof
JP2003280024A (ja) 液晶表示装置
KR101799651B1 (ko) 센서
WO2014122793A1 (ja) 電子機器および表示装置
KR20090023124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WO2013073108A1 (ja) 携帯端末
TWI520673B (zh) 顯示模組
CN209928888U (zh) 一种一体化呼叫到站灯
JP5740994B2 (ja) 電子機器取り付け治具
JP5106693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及び電子機器
JP2005352305A (ja) フラット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69518B1 (ko) 액정표시장치의 조립구조
JP4441394B2 (ja) バックライト装置
CN220041025U (zh) 边框组件及交互平板
JP2013211294A (ja) シールドケース組立体
JP2013160026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固定部材
JP2012037671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