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4478A - 반도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시스템 - Google Patents

반도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4478A
KR20160104478A KR1020150027587A KR20150027587A KR20160104478A KR 20160104478 A KR20160104478 A KR 20160104478A KR 1020150027587 A KR1020150027587 A KR 1020150027587A KR 20150027587 A KR20150027587 A KR 20150027587A KR 20160104478 A KR20160104478 A KR 20160104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signal
interval
pulse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7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나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7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4478A/ko
Priority to US14/747,047 priority patent/US9466396B2/en
Publication of KR20160104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44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auxiliary circuits, e.g. defective refresh counters
    • G11C29/023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auxiliary circuits, e.g. defective refresh counters in clock generator or timing circuitr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76Timing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auxiliary circuits, e.g. defective refresh count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auxiliary circuits, e.g. defective refresh counters
    • G11C29/02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auxiliary circuits, e.g. defective refresh counters in I/O circuitr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9/08Functional testing, e.g. testing during refresh, power-on self testing [POST] or distributed testing
    • G11C29/12Built-in arrangements for testing, e.g. built-in self testing [BIST] or interconnection details
    • G11C29/12015Built-in arrangements for testing, e.g. built-in self testing [BIST] or interconnection details comprising clock generation or timing circuitr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9/50Marginal testing, e.g. race, voltage or current testing
    • G11C29/50012Marginal testing, e.g. race, voltage or current testing of tim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56External testing equipment for static stores, e.g. automatic test equipment [ATE]; Interfaces therefor
    • G11C29/56012Timing aspects, clock generation, synchron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Dram (AREA)

Abstract

반도체장치는 테스트인에이블신호에 응답하여 클럭으로부터 펄스폭이 다르게 설정되는 제1 구간펄스 및 제2 구간펄스를 포함하는 합성클럭을 생성하는 합성클럭생성부 및 상기 합성클럭에 응답하여 테스트신호를 래치하여 플래그신호를 생성하는 플래그신호생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반도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시스템{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셋업/홀드타임을 효율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반도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동기식 디램(SDRAM)은 외부 클럭 신호에 동기된 내부 클럭 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입출력을 행한다. 이러한 동기식 디램(SDRAM)은 내부 클럭 신호에 따라 데이터의 입출력이 행해지기 때문에, 고속으로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진다.
한편, 동기식 디램(SDRAM)에서 정상적으로 데이터를 리드/라이트 하기 위해서는 내부 클럭 신호에 대해 정상적인 셋업/홀드 타임(setup/hold time)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여기서, 셋업 타임(setup time)은 입력되는 데이터들이 외부클럭 신호를 기준으로 일정시간 전에 인가되어지는 시간을 의미하고, 홀드 타임(hold time)은 입력되는 신호들이 외부 클럭 신호를 기준으로 일정시간 유지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즉, 셋업 타임(setup time) 및 홀드 타임(hold time)은 데이터의 유효 윈도우(data valid window)를 기준으로 앞, 뒤 시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셋업/홀드타임을 효율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한 반도체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테스트인에이블신호에 응답하여 클럭으로부터 펄스폭이 다르게 설정되는 제1 구간펄스 및 제2 구간펄스를 포함하는 합성클럭을 생성하는 합성클럭생성부 및 상기 합성클럭에 응답하여 테스트신호를 래치하여 플래그신호를 생성하는 플래그신호생성부를 포함하는 반도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테스트인에이블신호, 클럭 및 테스트신호를 출력하는 제1 반도체장치 및 상기 테스트인에이블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클럭으로부터 펄스폭이 다르게 설정되는 제1 구간펄스 및 제2 구간펄스를 포함하는 합성클럭을 생성하고, 상기 합성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테스트신호를 래치하여 플래그신호를 생성하는 제2 반도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반도체장치는 상기 플래그신호를 상기 제1 반도체장치에 인가하는 반도체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펄스폭을 갖는 펄스들을 포함하는 합성클럭을 이용하여 반도체장치의 내부신호의 셋업/홀드타임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간신호생성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내부클럭생성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신호합성부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합성신호생성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플래그신호생성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 보호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시스템은 제1 반도체장치(11) 및 제2 반도체장치(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도체장치(11)는 테스트인에이블신호(T_EN), 클럭(CLK) 및 테스트신호(TS)를 제2 반도체장치(12)에 인가할 수 있다. 테스트인에이블신호(T_EN)는 테스트신호(TS)의 셋업/홀드타임 측정을 위한 테스트가 수행되는 경우 인에이블 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스트신호(TS)는 주기신호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스트신호(TS)는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어드레스, 커맨드 및 제2 반도체장치(12)의 내부신호 중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제1 반도체장치(11)는 실시예에 따라 컨트롤러 또는 테스트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반도체장치(12)는 합성클럭생성부(121) 및 플래그신호생성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합성클럭생성부(121)는 구간신호생성부(123), 내부클럭생성부(124) 및 신호합성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구간신호생성부(123)는 테스트인에이블신호(T_EN)가 인에이블되는 구간에서 클럭(CLK)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인에이블되는 제1 내지 제4 구간신호(DEC<1:4>)를 생성할 수 있다. 내부클럭생성부(124)는 클럭(CLK)으로부터 제1 내지 제4 내부클럭(ICLK<1:4>)을 생성할 수 있다. 신호합성부(125)는 제1 내지 제4 구간신호(DEC<1:4>)와 제1 내지 제4 내부클럭(ICLK<1:4>)을 합성하여 합성클럭(CLK_TOTAL)를 생성할 수 있다. 구간신호생성부(123), 내부클럭생성부(124) 및 신호합성부(125)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은 도 2 내지 5를 참고하여 후술한다.
플래그신호생성부(122)는 합성클럭(CLK_TOTAL)에 동기하여 테스트신호(TS)를 래치하여 플래그신호(FLAG)를 생성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플래그신호생성부(122)는 합성클럭(CLK_TOTAL)의 라이징에지에 동기하여 로직하이레벨의 테스트신호(TS)가 래치되는 경우, 로직하이레벨의 플래그신호(FLAG)를 생성할 수 있다. 플래그신호생성부(122)는 합성클럭(CLK_TOTAL)의 라이징에지에 동기하여 로직로우레벨의 테스트신호(TS)가 래치되는 경우, 로직로우레벨의 플래그신호(FLAG)를 생성할 수 있다. 플래그신호생성부(122)는 일반적인 플립플롭(Flip-Flop) 회로로 구현할 수 있다. 플래그신호생성부(122)의 구체적인 동작은 도 6를 참고하여 후술한다.
도 2를 참고하면, 구간신호생성부(123)는 카운터(21) 및 디코더(22)를 포함할 수 있다.
카운터(21)는 테스트인에이블신호(T_EN)가 인에이블 되는 구간에서 클럭(CLK)에 동기하여 카운팅되는 제1 및 제2 카운팅신호(COUNT<1:2>)를 생성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카운터(21)는 클럭(CLK)의 레벨이 천이하는 시점에서 '00','01','10' 및 '11'의 논리레벨조합으로 순차적으로 업카운팅되는 제1 및 제2 카운팅신호(COUNT<1:2>)를 생성한다. 여기서,제1 및 제2 카운팅신호(COUNT<1:2>)가 '01'논리레벨조합을 갖는 경우 제1 카운팅신호(COUNT<1>)가 로직하이레벨이고, 제2 카운팅신호(COUNT<2>)가 로직로우레벨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제1 및 제2 카운팅신호(COUNT<1:2>)가 '11'의 논리레벨조합을 갖는 상태에서 클럭(CLK)에 동기하여 한번 더 업카운팅되는 경우 '00'의 논리레벨조합을 갖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코더(22)는 제1 및 제2 카운팅신호(COUNT<1:2>)를 디코딩하여 순차적으로 인에이블 되는 제1 내지 제4 구간신호(DEC<1:4>)를 생성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디코더(22)는 제1 및 제2 카운팅신호(COUNT<1:2>)의 '00'의 논리레벨조합을 갖는 경우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는 제1 구간신호(DEC<1>)를 생성할 수 있고, '01'의 논리레벨조합을 갖는 경우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는 제2 구간신호(DEC<2>)를 생성할 수 있으며, '10'의 논리레벨조합을 갖는 경우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는 제3 구간신호(DEC<3>)를 생성할 수 있고, '11'의 논리레벨조합을 갖는 경우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는 제4 구간신호(DEC<4>)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구간신호(DEC<1:4>)를 선택적으로 인에이블시키는 제1 및 제2 카운팅신호(COUNT<1:2>)의 논리레벨조합은 실시예에 따라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내부클럭생성부(124)는 제1 지연부(31), 제2 지연부(32) 및 제3 지연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클럭생성부(124)는 클럭(CLK)을 바이패스(bypass)하여 제1 내부클럭(ICLK<1>)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제1 지연부(31)는 제1 내부클럭(ICLK<1>)을 기설정된 구간만큼 지연시켜 제2 내부클럭(ICLK<2>)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지연부(32)은 제2 내부클럭(ICLK<2>)을 기설정된 구간만큼 지연시켜 제3 내부클럭(ICLK<3>)을 생성할 수 있다. 제3 지연부(33)은 제3 내부클럭(ICLK<3>)을 기설정된 구간만큼 지연시켜 제4 내부클럭(ICLK<4>)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지연부(31, 32, 33)의 지연구간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신호합성부(125)는 래치클럭생성부(41) 및 클럭합성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클럭생성부(41)는 앤드게이트들(AND41, AND42, AND43, AND44)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클럭생성부(41)는 제1 구간신호(DEC<1>)가 인에이블 되는 구간에서 제1 내부클럭(ICLK<1>)을 래치하여 제1 래치클럭(CLK_LAT<1>)으로 출력할 수 있다. 래치클럭생성부(41)는 제2 구간신호(DEC<2>)가 인에이블 되는 구간에서 제2 내부클럭(ICLK<2>)을 래치하여 제2 래치클럭(CLK_LAT<2>)으로 출력할 수 있다. 래치클럭생성부(41)는 제3 구간신호(DEC<3>)가 인에이블 되는 구간에서 제3 내부클럭(ICLK<3>)을 래치하여 제3 래치클럭(CLK_LAT<3>)으로 출력할 수 있다. 래치클럭생성부(41)는 제4 구간신호(DEC<4>)가 인에이블 되는 구간에서 제4 내부클럭(ICLK<4>)을 래치하여 제4 래치클럭(CLK_LAT<4>)으로 출력할 수 있다. 래치클럭생성부(41)는 플립플롭이나 SR 래치 등의 회로로 구현할 수 있다.
클럭합성부(42)는 노어게이트들(NOR41, NOR42) 및 낸드게이트(NAND41)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클럭생성부(42)는 제1 내지 제4 래치클럭(CLK_LAT<1:4>)을 합성하여 제1 내지 제4 래치클럭(CLK_LAT<1:4>)에 포함된 펄스를 모두 포함하는 합성클럭(CLK_TOTAL)를 생성할 수 있다.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구성된 합성클럭생성부(121)의 동작을 도 5를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테스트가 수행되어 테스트인에이블신호(T_EN)가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 되면 제1 및 제2 카운팅신호(COUNT<1:2>)는 클럭(CLK)에 동기하여 순차적으로 업카운팅된다. 즉, 제1 및 제2 카운팅신호(COUNT<1:2>)는 제1 단위구간(T1~T2)에서 '00'의 논리레벨조합을 갖고, 제2 단위구간(T2~T3)에서 '01'의 논리레벨조합을 갖으며, 제3 단위구간(T3~T4)에서 '10'의 논리레벨조합을 갖고, 제4 단위구간(T4~T5)에서 '11'의 논리레벨조합을 갖는다.
다음으로, 제1 및 제2 카운팅신호(COUNT<1:2>)가 디코딩되어 선택적으로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는 제1 내지 제4 구간신호(DEC<1:4>)가 생성된다. 제1 단위구간(T1~T2)에서 '00'의 논리레벨조합을 갖는 제1 및 제2 카운팅신호(COUNT<1:2>)에 의해 제1 구간신호(DEC<1>)가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된다. 제2 단위구간(T2~T3)에서 '01'의 논리레벨조합을 갖는 제1 및 제2 카운팅신호(COUNT<1:2>)에 의해 제2 구간신호(DEC<2>)가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된다. 제3 단위구간(T3~T4)에서 '10'의 논리레벨조합을 갖는 제1 및 제2 카운팅신호(COUNT<1:2>)에 의해 제3 구간신호(DEC<3>)가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된다. 제4 단위구간(T4~T5)에서 '11'의 논리레벨조합을 갖는 제1 및 제2 카운팅신호(COUNT<1:2>)에 의해 제4 구간신호(DEC<4>)가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된다.
다음으로, 클럭(CLK)으로부터 제1 내지 제4 내부클럭(ICLK<1:4>)이 생성된다. 제1 내부클럭(ICLK<1>)은 제1 단위구간(T1~T2)에서부터 클럭(CLK)이 바이패스되어 출력된다. 제2 내부클럭(ICLK<2>)은 제2 단위구간(T2~T3)에서부터 클럭(CLK)을 제1 지연구간(TD1)만큼 지연시켜 생성된다. 제3 내부클럭(ICLK<3>)은 제3 단위구간(T3~T4)에서부터 클럭(CLK)을 제2 지연구간(TD2)만큼 지연시켜 생성된다. 제4 내부클럭(ICLK<4>)은 제4 단위구간(T4~T5)에서 클럭(CLK)을 제3 지연구간(TD3)만큼 지연시켜 생성된다.
다음으로, 제1 내지 제4 구간신호(DEC<1:4>)에 동기하여 제1 내지 제4 내부클럭(ICLK<1:4>)을 래치하여 제1 내지 제4 래치클럭(CLK_LAT<1:4>)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구간신호(DEC<1>)가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된 구간에서 제1 내부클럭(ICLK<1>)이 래치되어 제1 단위구간(T1~T2)에서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는 제1 래치클럭(CLK_LAT<1>)이 생성된다. 제2 구간신호(DEC<2>)가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된 구간에서 제2 내부클럭(ICLK<2>)이 래치되어 T2 시점에서 제1 지연구간(TD1)만큼 경과된 시점에서부터 T3 시점까지의 구간동안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는 제2 래치클럭(CLK_LAT<2>)이 생성된다. 제3 구간신호(DEC<3>)가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된 구간에서 제3 내부클럭(ICLK<3>)이 래치되어 T3 시점에서 제2 지연구간(TD2)만큼 경과된 시점에서부터 T4 시점까지의 구간동안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는 제3 래치클럭(CLK_LAT<3>)이 생성된다. 제4 구간신호(DEC<4>)가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된 구간에서 제4 내부클럭(ICLK<4>)이 래치되어 T4 시점에서 제3 지연구간(TD3)만큼 경과된 시점에서부터 T5 시점까지의 구간동안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는 제4 래치클럭(CLK_LAT<4>)이 생성된다.
마지막으로, 제1 내지 제4 래치클럭(CLK_LAT<1:4>)을 합성하여 합성클럭(CLK_TOTAL)을 생성할 수 있다. 합성클럭(CLK_TOTAL)은 제1 단위구간(T1~T2)에서 제1 래치클럭(CLK_LAT<1>)에 포함된 펄스, 제2 단위구간(T2~T3)에서 제2 래치클럭(CLK_LAT<2>)에 포함된 펄스, 제3 단위구간(T3~T4)에서 제3 래치클럭(CLK_LAT<3>)에 포함된 펄스 및 제4 단위구간(T4~T5)에서 제4 래치클럭(CLK_LAT<4>)에 포함된 펄스를 포함하는 신호로 합성된다.
도 6을 참고하여 플래그신호생성부(122)에서 플래그신호(FLAG)가 생성되는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앞서, 도 5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합성클럭(CLK_TOTAL)은 제1 단위구간(T1~T2)에서 제1 구간펄스(PP1), 제2 단위구간(T2~T3)에서 제2 구간펄스(PP2), 제3 단위구간(T3~T4)에서 제3 구간펄스(PP3) 및 제4 단위구간(T4~T5)에서 제4 구간펄스(PP4)를 포함하여 생성된다. 제1 구간펄스(PP1)는 제1 단위구간(T1~T2)을 펄스폭으로 갖는다. 제2 구간펄스(PP2)는 T2 시점에서부터 제1 지연구간(TD1)이 경과된 시점부터 T3 시점까지의 구간을 펄스폭으로 갖는다. 제3 구간펄스(PP3)는 T3 시점에서부터 제2 지연구간(TD2)이 경과된 시점부터 T4 시점까지의 구간을 펄스폭으로 갖는다. 제4 구간펄스(PP4)는 T4 시점에서부터 제3 지연구간(TD3)이 경과된 시점부터 T5 시점까지의 구간을 펄스폭으로 갖는다.
이와 같이 생성된 합성클럭(CLK_TOTAL)에 의해 테스트신호(TS)가 래치되어 플래그신호(FLAG)가 생성된다. 플래그신호(FLAG)는 제1 단위구간(T1~T2)에서는 로직로우레벨을 유지하고, 제2 단위구간(T2~T3)에서는 T2 시점에서부터 제1 지연구간(TD1)이 경과된 시점에서 로직로우레벨에서 로직하이레벨로 천이한다. 플래그신호(FLAG)는 제3 단위구간(T3~T4)에서는 로직하이레벨을 유지하고, 제4 단위구간(T4~T5)에서는 T4 시점에서부터 제3 지연구간(TD3)이 경과된 시점에서 로직하이레벨에서 로직로우레벨로 천이한다.
테스트신호(TS)는 제1 단위구간(T1~T2), 제2 단위구간(T2~T3), 제3 단위구간(T3~T4) 및 제4 단위구간(T4~T5)에서 각각 동일한 시점에서 동일한 펄스폭으로 발생되는 제1 테스트펄스(TP1), 제2 테스트펄스(TP2), 제3 테스트펄스(TP3) 및 제4 테스트펄스(TP4)를 포함한다. 플래그신호(FLAG)가 로직로우레벨에서 로직하이레벨로 천이하는 것은 제2 테스트펄스(TP2)가 T2 시점에서부터 제1 지연구간(TD1)이 경과된 시점에서 안정적으로 로직하이레벨로 천이하였음을 의미한다. 즉, 제2 단위구간(T2~T3)에서 플래그신호(FLAG)가 로직로우레벨에서 로직하이레벨로 천이하는 시점을 제1 지연구간(TD1)을 제2 테스트펄스(TP2)의 셋업타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플래그신호(FLAG)가 로직하이레벨에서 로직로우레벨로 천이하는 것은 제4 테스트펄스(TP4)가 T4 시점에서부터 제3 지연구간(TD3)이 경과된 시점에서 로직로우레벨로 천이하였음을 의미한다. 즉, 제4 단위구간(T4~T5)에서 플래그신호(FLAG)가 로직하이레벨에서 로직로우레벨로 천이하는 시점을 제3 지연구간(TD3)을 제4 테스트펄스(TP4)의 홀드타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시스템은 단위구간마다 다른 펄스폭을 갖는 구간펄스들을 포함하는 합성클럭(CLK_TOTAL)에 의해 테스트신호(TS)에 포함된 테스트펄스들의 셋업타임 및 홀드타임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셋업타임 및 홀드타임 측정이 필요한 신호를 주기신호로 변환하여 테스트신호(TS)로 인가하고, 합성클럭(CLK_TOTAL)에 의해 셋업타임 및 홀드타임을 동시에 측정함으로써, 테스트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11: 제1 반도체장치 12: 제2 반도체장치
121: 합성클럭생성부 122: 플래그신호생성부
123: 구간신호생성부 124: 내부클럭생성부
125: 신호합성부 21: 카운터
22: 디코더 31: 제1 지연부
32: 제2 지연부 33: 제3 지연부
41: 래치클럭생성부 42: 클럭합성부

Claims (20)

  1. 테스트인에이블신호에 응답하여 클럭으로부터 펄스폭이 다르게 설정되는 제1 구간펄스 및 제2 구간펄스를 포함하는 합성클럭을 생성하는 합성클럭생성부; 및
    상기 합성클럭에 응답하여 테스트신호를 래치하여 플래그신호를 생성하는 플래그신호생성부를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신호는 제1 테스트펄스 및 제2 테스트펄스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테스트펄스는 제1 시점에서부터 제2 시점까지의 제1 단위구간내에서 발생하고, 상기 제2 테스트펄스는 상기 제2 시점에서부터 제3 시점까지의 제2 단위구간내에서 발생하는 반도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구간 및 상기 제2 단위구간은 동일한 구간폭을 갖고, 상기 제1 테스트펄스 및 상기 제2 테스트펄스는 동일한 펄스폭을 가지며, 상기 테스트신호는 주기신호인 반도체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간펄스의 펄스폭은 상기 제1 시점에서 제1 지연구간만큼 지연된 시점부터 상기 제2 시점까지로 설정되고, 상기 제2 구간펄스의 펄스폭은 상기 제2 시점에서 제2 지연구간만큼 지연된 시점부터 상기 제3 시점까지로 설정되는 반도체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연구간은 상기 제2 지연구간보다 짧게 설정되는 반도체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클럭생성부는
    상기 테스트인에이블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클럭으로부터 제1 구간신호 및 제2 구간신호를 생성하는 구간신호생성부;
    상기 클럭으로부터 제1 내부클럭 및 제2 내부클럭을 생성하는 내부클럭생성부; 및
    상기 제1 및 제2 구간신호와 상기 제1 및 제2 내부클럭을 합성하여 상기 합성클럭을 생성하는 신호합성부를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신호생성부는
    상기 테스트인에이블신호가 인에이블되는 구간에서 상기 클럭을 카운팅 하여 카운팅신호를 생성하는 카운터; 및
    상기 카운팅신호를 디코딩하여 순차적으로 인에이블되는 상기 제1 구간신호 및 상기 제2 구간신호를 생성하는 디코더를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부클럭은 상기 제1 내부클럭보다 기설정된 구간만큼 지연되는 반도체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합성부는
    상기 제1 구간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내부클럭을 래치하여 제1 래치클럭을 생성하고, 상기 제2 구간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내부클럭을 래치하여 제2 래치클럭을 생성하는 래치클럭생성부;
    상기 제1 래치클럭과 상기 제2 래치클럭을 합성하여 상기 합성클럭을 생성하는 클럭합성부를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클럭생성부는 상기 제1 구간신호가 인에이블되는 구간에서 상기 제1 내부클럭을 래치하여 상기 제1 래치클럭으로 출력하고, 상기 제2 구간신호가 인에이블되는 구간에서 상기 제2 내부클럭을 래치하여 상기 제2 래치클럭으로 출력하는 반도체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클럭은 상기 제1 래치클럭에 포함된 펄스와 상기 제2 래치클럭에 포함된 펄스를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그신호생성부는 상기 합성클럭의 라이징에지에 동기하여 상기 테스트신호를 래치하여 상기 플래그신호를 생성하는 반도체장치.
  13. 테스트인에이블신호, 클럭 및 테스트신호를 출력하는 제1 반도체장치; 및
    상기 테스트인에이블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클럭으로부터 펄스폭이 다르게 설정되는 제1 구간펄스 및 제2 구간펄스를 포함하는 합성클럭을 생성하고, 상기 합성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테스트신호를 래치하여 플래그신호를 생성하는 제2 반도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반도체장치는 상기 플래그신호를 상기 제1 반도체장치에 인가하는 반도체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신호는 제1 테스트펄스 및 제2 테스트펄스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테스트펄스는 제1 시점에서부터 제2 시점까지의 제1 단위구간내에서 발생하고, 상기 제2 테스트펄스는 상기 제2 시점에서부터 제3 시점까지의 제2 단위구간내에서 발생하는 반도체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구간 및 상기 제2 단위구간은 동일한 구간폭을 갖고, 상기 제1 테스트펄스 및 상기 제2 테스트펄스는 동일한 펄스폭을 가지며, 상기 테스트신호는 주기신호인 반도체시스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간펄스의 펄스폭은 상기 제1 시점에서 제1 지연구간만큼 지연된 시점부터 상기 제2 시점까지로 설정되고, 상기 제2 구간펄스의 펄스폭은 상기 제2 시점에서 제2 지연구간만큼 지연된 시점부터 상기 제3 시점까지로 설정되는 반도체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연구간은 상기 제2 지연구간보다 짧게 설정되는 반도체장치.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도체장치는
    상기 테스트인에이블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클럭으로부터 펄스폭이 다르게 설정되는 상기 제1 구간펄스 및 상기 제2 구간펄스를 포함하는 상기 합성클럭을 생성하는 합성클럭생성부; 및
    상기 합성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테스트신호를 래치하여 상기 플래그신호를 생성하는 플래그신호생성부를 포함하는 반도체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클럭생성부는
    상기 테스트인에이블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클럭으로부터 제1 구간신호 및 제2 구간신호를 생성하는 구간신호생성부;
    상기 클럭으로부터 제1 내부클럭 및 제2 내부클럭을 생성하는 내부클럭생성부; 및
    상기 제1 및 제2 구간신호와 상기 제1 및 제2 내부클럭을 합성하여 상기 합성클럭을 생성하는 신호합성부를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그신호생성부는 상기 합성클럭의 라이징에지에 동기하여 상기 테스트신호를 래치하여 상기 플래그신호를 생성하는 반도체장치.
KR1020150027587A 2015-02-26 2015-02-26 반도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시스템 KR2016010447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587A KR20160104478A (ko) 2015-02-26 2015-02-26 반도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시스템
US14/747,047 US9466396B2 (en) 2015-02-26 2015-06-23 Semiconductor devices and semiconductor systems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587A KR20160104478A (ko) 2015-02-26 2015-02-26 반도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478A true KR20160104478A (ko) 2016-09-05

Family

ID=56799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7587A KR20160104478A (ko) 2015-02-26 2015-02-26 반도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466396B2 (ko)
KR (1) KR2016010447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88274B2 (en) 2015-04-21 2018-02-06 Edge2020, Llc Price driven multimedia content reception
KR102647419B1 (ko) * 2016-09-28 2024-03-14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29652B2 (ja) * 2002-07-19 2009-02-25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回路装置
US6911851B2 (en) 2002-11-21 2005-06-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ata latch timing adjustment apparatus
KR100950483B1 (ko) 2008-06-27 2010-03-3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셋업/홀드 타임 측정 장치
KR20140080382A (ko) * 2012-12-20 2014-06-3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파라미터를 제어할 수 있는 테스트를 수행하는 반도체메모리장치 및 반도체시스템
US9570195B2 (en) * 2014-02-28 2017-02-1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On chip characterization of timing parameters for memory por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66396B2 (en) 2016-10-11
US20160254802A1 (en) 2016-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1132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0709566B1 (ko) 주파수 변화에 따라 데이터의 출력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반도체 메모리 장치
US8115529B2 (en)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device
US9531363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including command latency control circuit
US898812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atency control in high frequency synchronous semiconductor device
KR100950483B1 (ko) 셋업/홀드 타임 측정 장치
KR102105139B1 (ko) 클럭 지연 검출회로 및 이를 이용하는 반도체 장치
KR101905894B1 (ko) 반도체칩 및 반도체시스템
KR20160104478A (ko) 반도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시스템
KR20150002129A (ko) 반도체 장치, 그를 포함하는 반도체 시스템 및 그 반도체 시스템의 테스트 방법
US8446785B2 (en) Latency control circuit, latency control method thereof,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7561490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20130139349A (ko) 측정 초기화 회로
KR101080206B1 (ko) 반도체 장치의 어드레스 출력 타이밍 제어 회로
KR101912905B1 (ko) 카스 레이턴시 설정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140052417A (ko) 직병렬변환기
KR20150078012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테스트 방법
US9224443B2 (en) Semiconductor devices and electronic systems including the same
US9058859B2 (en) Data output circuit
KR101839883B1 (ko) 카운팅 회로, 지연값 양자화 회로 및 레이턴시 조절회로
TW201503123A (zh) 半導體裝置
KR100803370B1 (ko) Dll 회로의 리셋 장치 및 방법
KR100851994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집적 회로
KR101914297B1 (ko) 직병렬변환기
KR20140002913A (ko) 출력 인에이블 신호 생성회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