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2882A -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장치의 표시 방법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장치의 표시 방법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2882A
KR20160102882A KR1020160003495A KR20160003495A KR20160102882A KR 20160102882 A KR20160102882 A KR 20160102882A KR 1020160003495 A KR1020160003495 A KR 1020160003495A KR 20160003495 A KR20160003495 A KR 20160003495A KR 20160102882 A KR20160102882 A KR 20160102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edium
color
display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3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노리 츠지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02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28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3Configuration of print job parameters, e.g. using UI at the client
    • G06F3/1256User feedback, e.g. print preview, test print, proofing, pre-flight che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5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increased flexibility in print job configuration, e.g. job settings, print requirements, job tick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8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improved quality of the output result, e.g. print layout, colours, workflows, print preview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Page layout or assigning input pages onto output media, e.g. im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Page layout or assigning input pages onto output media, e.g. imposition
    • G06F3/1251Page layout or assigning input pages onto output media, e.g. imposition for continuous media, e.g. web media, ro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5Tape printers; Label pri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4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having dual functions or combined with, or coupled to, apparatus performing other functions
    • B41J3/46Printing mechanisms combined with apparatus providing a visual ind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rinters Characterized By Their Purpose (AREA)
  • Color Image Communication System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Abstract

(과제) 표시 화면의 특성이나 유저의 사용 환경에 따르지 않고, 실제의 인쇄 매체의 매체색에 가까운 표시색으로 매체 이미지를 표시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장치의 표시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를 적용한 PC(2)는, 인쇄 테이프의 테이프색을 특정 가능한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프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51)와, 테이프 정보에 기초하여, 테이프 이미지의 표시색 후보가 되는 복수의 선택지를 표시하는 선택지 표시부(52a)와, 복수의 선택지 중으로부터 임의의 선택지를 선택하는 선택부(53)와, 임의의 선택지에 대응한 표시색으로, 테이프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 표시부(52b)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장치의 표시 방법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ISPLAY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본 발명은, 인쇄 매체의 매체 이미지를 표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장치의 표시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기술로서 특허문헌 1이 알려져 있다. 당해 특허문헌 1에는, 장착된 테이프 카트리지의 종별로부터 인쇄 매체의 색을 판별하고, 판별한 색에 대응하는 표시색으로 테이프 이미지를 표시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평9-109479호
그런데, 최근, 정보 처리 장치로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 인쇄 데이터를 테이프 인쇄 장치에 송신하여 라벨을 작성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테이프 인쇄 장치의 간략화 및 저렴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인쇄 데이터를 편집할 때의 조작성도 향상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로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 특허문헌 1과 같이, 판별한 색에 대응하는 표시색으로 테이프 이미지를 표시해도, 정보 처리 장치에 탑재된 표시 화면의 특성에 의해 실제의 라벨색과 괴리(different)해 버릴 우려가 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정보 처리 장치의 표시 화면에 따라서 테이프 이미지의 표시색을 변화시키기 위한 프로파일을 준비하고, 정보 처리 장치 내에 기억시켜 두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그 대응수로부터 방대한 데이터량이 되는 것이 예상되어, 현실적이지 않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의 표시 화면에 대응한 프로파일을 인터넷상의 서버 등에서 취득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지만, 유저의 사용 환경(조명, 화면 설정 등)에 의해서도 표시색이 보이는 방식이 상이하기 때문에, 대응이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표시 화면의 특성이나 유저의 사용 환경에 따르지 않고, 실제의 인쇄 매체의 매체색에 가까운 표시색으로 매체 이미지를 표시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장치의 표시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는, 인쇄 매체의 매체 이미지를 표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인쇄 매체의 매체색을 특정 가능한 정보를 포함하는 매체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매체 정보에 기초하여, 매체 이미지의 표시색 후보가 되는 복수의 선택지를 표시하는 선택지 표시부와, 복수의 선택지 중으로부터 임의의 선택지를 선택하는 선택부와, 임의의 선택지에 대응한 표시색으로, 매체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의 표시 방법은, 인쇄 매체의 매체 이미지를 표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표시 방법으로서, 인쇄 매체의 매체색을 특정 가능한 정보를 포함하는 매체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스텝과, 매체 정보에 기초하여, 매체 이미지의 표시색 후보가 되는 복수의 선택지를 표시하는 선택지 표시 스텝과, 복수의 선택지 중으로부터 임의의 선택지를 선택하는 선택 스텝과, 임의의 선택지에 대응한 표시색으로, 매체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 표시 스텝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취득한 매체 정보에 기초하여, 매체 이미지의 표시색 후보가 되는 복수의 선택지를 표시하고, 그 중으로부터 선택된 색으로 매체 이미지를 표시하기 때문에, 표시 화면의 특성이나 유저의 사용 환경에 따르지 않고, 유저가 실제의 매체색과 가깝다고 느끼는 표시색으로 매체 이미지를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표시 화면의 특성에 맞추어 표시색을 변화시키기 위한 프로파일 등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의 개발도 용이하다.
상기의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선택지 표시부는, 복수의 선택지로서, 인쇄 매체의 매체색의 근사색을 나타내는 소정수의 표시색 후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선택지로서, 인쇄 매체의 매체색의 근사색을 나타내는 표시색 후보를 표시하기 때문에, 근사색에 한정하지 않고 풀 컬러의 표시색 후보를 표시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유저가 선택지의 선택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표시색 후보는 소정수를 표시하기 때문에, 매체색에 의해 선택지의 수가 증감하는 일이 없어, 선택이 용이하다.
상기의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매체 정보는, 인쇄 매체의 인쇄색을 특정 가능한 정보를 포함하고, 선택지 표시부는, 매체 정보에 기초하여, 매체 이미지의 표시색 후보가 되는 복수의 선택지인 제1 선택지군과 함께, 인쇄 매체에 인쇄되는 인쇄 화상의 화상 이미지의 표시색 후보가 되는 복수의 선택지인 제2 선택지군을 표시하고, 선택부는, 제1 선택지군 및 제2 선택지군 중으로부터, 각각 제1 선택지 및 제2 선택지를 선택하고, 이미지 표시부는, 제1 선택지에 대응한 표시색의 매체 이미지에, 제2 선택지에 대응한 표시색의 화상 이미지를 중첩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매체 이미지뿐만 아니라, 인쇄 매체에 인쇄되는 인쇄 화상의 화상 이미지에 대해서도, 유저가 실제의 인쇄색과 가깝다고 느끼는 표시색으로 표시시킬 수 있다.
상기의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매체 정보는, 인쇄 매체의 인쇄색을 특정 가능한 정보를 포함하고, 선택지 표시부는, 복수의 선택지로서, 인쇄 매체에 인쇄되는 인쇄 화상의 화상 이미지를, 매체 이미지에 중첩 표시한 복수의 이미지 샘플을 표시하고, 복수의 이미지 샘플은, 매체 이미지의 표시색 및 화상 이미지의 표시색 중 적어도 한쪽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선택지로서, 인쇄 매체에 인쇄되는 인쇄 화상의 화상 이미지를 매체 이미지에 중첩 표시한 복수의 이미지 샘플을 표시하기 때문에, 유저는 실제로 작성되는 라벨을 상정하면서 선택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상기의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선택부에 의한 임의의 선택지의 선택 결과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선택지 표시부는,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선택 결과를 고려하여, 매체 이미지의 표시색 후보가 되는 복수의 선택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과거의 선택 결과를 학습하고, 그 학습 결과를 반영하여 복수의 선택지를 표시하기 때문에, 유저의 선택 조작을 어시스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회, 명도가 상이한 5단계의 표시색 후보 중으로부터, 최하위 단계의 표시색 후보를 선택한 경우, 금회는, 그 최하위 단계의 표시색 후보를 중심값으로 하는 표시색 후보를 표시하는,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저는, 중심값으로부터 표시색 후보를 검토해 감으로써, 자신의 취향의 표시색을 신속하게 찾아낼 수 있다.
상기의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이미지 표시부는, 취득부에 의해 매체 정보를 취득했을 때, 인쇄 매체의 매체색에 대응하는 기준색으로 매체 이미지를 표시하고, 선택부에 의해 임의의 선택지가 선택되었을 때, 매체 이미지를 당해 임의의 선택지에 대응한 표시색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매체 정보를 취득한 시점에서, 인쇄 매체의 매체색에 대응하는 기준색으로 매체 이미지를 표시하기 때문에, 유저는, 당해 기준색에 위화감이 있었을 때만 표시색을 변경할 수 있다. 즉, 기준색에 위화감이 없는 경우의 불필요한 선택 조작을 생략할 수 있다.
상기의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인쇄 매체는, 장척(長尺) 형상의 인쇄 테이프(long print tape)이며, 매체 이미지는, 인쇄 테이프를 단책(短冊; strip) 형상으로 절단한 라벨의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라벨을 작성하는 경우, 그 매체색의 이미지가 성과물의 이미지에 크게 영향을 주기 때문에, 실제의 매체색에 가까운 표시색으로 매체 이미지를 표시함으로써, 유저가 희망하는 라벨을 작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상기의 정보 처리 장치의 표시 방법에 있어서의 각 스텝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프로그램을 이용함으로써, 표시 화면의 특성이나 유저의 사용 환경에 따르지 않고, 실제의 인쇄 매체의 매체색에 가까운 표시색으로 매체 이미지를 표시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의 표시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인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PC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테이프 인쇄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PC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편집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편집 화면 및 라벨 이미지 선택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PC에 의한 인쇄 데이터 생성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8은 변형예 1에 따른 편집 화면 및 라벨 이미지 선택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장치의 표시 방법 및 프로그램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를, 퍼스널 컴퓨터(이하, 「PC」라고 칭함)(2)에 적용한 경우를 예시한다. 또한, PC(2)는, 장척 형상의 인쇄 매체(이하, 「인쇄 테이프(T)」라고 칭함)에 인쇄를 행하여 라벨을 작성하는 테이프 인쇄 장치(3)와 통신 가능한 것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인쇄 시스템(SY)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 시스템(SY)은, PC(2) 및 테이프 인쇄 장치(3)를 구비하고 있다.
PC(2)는, PC 본체(21), 표시 화면(22), 키보드(23), 마우스(24) 등 일반적인 컴퓨터의 구성을 갖고 있다. 또한, PC(2)는, USB 케이블(40)을 통하여 테이프 인쇄 장치(3)와 통신한다. 또한, PC(2)와 테이프 인쇄 장치(3) 간의 통신은, USB 규격에 한정하지 않고, Ethernet(등록상표) 등 다른 규격을 이용해도 좋다. 또한, Bluetooth(등록상표) 등의 무선 통신 규격을 이용해도 좋다.
테이프 인쇄 장치(3)는, 장척 형상의 인쇄 테이프(T) 및 잉크 리본이 수용된 테이프 카트리지(31)가 장착되고, PC(2)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면, 테이프 카트리지(31)로부터 인쇄 테이프(T)를 잇달아 내보내면서(reeling off), 인쇄 처리 및 절단 처리를 행한다. 인쇄 테이프(T)의 인쇄 완료 부분은, 절단 처리 후, 테이프 배출구(32)로부터 배출되어, 라벨로서 이용된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PC(2) 및 테이프 인쇄 장치(3)의 하드웨어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PC(2)의 블록도이다. PC(2)는, 하드웨어 구성으로서, 도 1에 나타낸 표시 화면(22), 키보드(23), 마우스(24) 외에, USB 통신부(25), HDD(Hard disk drive)(26) 및 PC측 제어부(28)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 화면(22)은, 라벨 편집용의 편집 화면(D1)(도 5 등 참조) 등,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키보드(23) 및 마우스(24)는, 각종 선택지의 선택 조작이나 편집 조작을 행하기 위해 이용된다. USB 통신부(25)는, USB 통신 규격에 기초하여, 테이프 인쇄 장치(3)와 통신을 행한다.
HDD(26)는, OS(Operating System)(26a) 및 전용 애플리케이션(26b)을 기억한다. 전용 애플리케이션(26b)은, 테이프 인쇄 장치(3)에 출력하는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다. 상기의 편집 화면(D1)은, 당해 전용 애플리케이션(26b)의 일 기능으로서 표시되는 화면이다.
PC측 제어부(28)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및 RAM(Random Access Memory) 등에 의해 실현되고, 상기의 각 부(부호 22 내지 부호 26)와 연휴하여, 인쇄 데이터의 생성 처리나 테이프 인쇄 장치(3)와의 통신 제어를 행한다.
도 3은, 테이프 인쇄 장치(3)의 블록도이다. 테이프 인쇄 장치(3)는, 하드웨어 구성으로서, USB 통신부(33), 카트리지 검출부(34), 인쇄 기구(35) 및 인쇄 장치측 제어부(36)를 구비하고 있다.
USB 통신부(33)는, USB 통신에 의해 PC(2)와 통신을 행한다. 카트리지 검출부(34)는, 테이프 카트리지(31)에 수용된 인쇄 테이프(T)에 관한 테이프 정보(매체 정보)를 검출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테이프 정보로서, 인쇄 테이프(T)의 테이프색(매체색), 인쇄 테이프(T)에 인쇄되는 잉크색(인쇄색), 테이프 종류(재질이나, 미리 환형·타원·각환으로 커트된 커트 라벨인지 아닌지 등)를 검출한다. 검출 방법으로서는, 테이프 카트리지(31)에 접착 또는 인쇄된 코드 화상(바코드나 2차원 코드 등)이나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를 판독하는 방법, 테이프 카트리지(31)에 형성된 1 이상의 구멍의 유무를 검출하는 방법,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테이프 카트리지(31)를 검출하는 것이 아니라, 테이프 카트리지(31)로부터 잇달아 내보내진 인쇄 테이프(T)를 각종 센서로 검출해도 좋다.
인쇄 기구(35)는, 인쇄 헤드(41), 테이프 이송 모터(42), 커터 모터(43) 및 테이프 커터(44)를 포함한다. 인쇄 헤드(41)는, 써멀 헤드이며, 잇달아 내보내진 인쇄 테이프(T) 및 잉크 리본을, 플래튼 롤러(도시 생략)와의 사이에 끼우고 인쇄를 행한다. 테이프 이송 모터(42)는, 잇달아 내보내진 인쇄 테이프(T)를, 인쇄 헤드(41)로부터 테이프 배출구(32)(도 1 참조)를 향하여 반송한다. 커터 모터(43)는, 테이프 커터(44)를 구동하고, 테이프 이송을 일단 정지한 상태에서, 인쇄 테이프(T)의 인쇄 완료 부분을 테이프 폭방향으로 절단한다.
인쇄 장치측 제어부(36)는, CPU나 RAM 등에 의해 실현되고, 상기의 각 부(부호 33 내지 부호 35)와 연휴하여, PC(2)와의 통신 제어나 인쇄 제어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테이프 카트리지(31)의 장착시 또는 PC(2)로부터의 문의가 있었을 때, USB 통신부(33)를 통하여 카트리지 검출부(34)에 의해 검출한 테이프 정보를 PC(2)에 송신한다. 또한, PC(2)로부터 USB 통신부(33)를 통하여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고, 당해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 기구(35)를 제어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PC(2)의 기능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PC(2)는, 기능 구성으로서, 취득부(51), 표시부(52), 선택부(53), 인쇄 데이터 편집부(54) 및 출력부(55)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은, 주로 상기의 전용 애플리케이션(26b)(도 2 참조)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이다.
취득부(51)는, 테이프 인쇄 장치(3)의 카트리지 검출부(34)에 의해 검출된 테이프 정보를 취득한다. 당해 테이프 정보에는, 인쇄 테이프(T)의 테이프색을 나타내는 정보와, 잉크 리본의 잉크색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테이프 정보로서, 테이프 카트리지(31)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고, 전용 애플리케이션(26b)에 조입된 대응 테이블을 참조하여, 식별 정보로부터 인쇄 테이프(T)의 테이프색 및 잉크 리본의 잉크색을 특정해도 좋다.
표시부(52)는, 선택지 표시부(52a) 및 이미지 표시부(52b)를 포함한다. 이미지 표시부(52b)는, 편집 화면(D1) 내(후술하는 레이아웃 편집 영역(E2))에 라벨의 레이아웃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인쇄 테이프(T)를 본뜬 테이프 이미지(71) 상에, 인쇄 화상을 본뜬 화상 이미지(72)를 중첩 표시한다(도 5 등 참조). 또한, 이들 테이프 이미지(71) 상 및 화상 이미지(72)를, 이하 「라벨 이미지(70)」라고 총칭한다. 한편, 선택지 표시부(52a)는, 취득부(51)에 의해 취득한 테이프 정보에 기초하여, 라벨 이미지 선택 화면(D2)을 표시한다(도 6 참조). 당해 라벨 이미지 선택 화면(D2)에는, 표시하는 테이프 이미지(71)의 표시색 후보가 되는 제1 선택지군(부호 81)과, 화상 이미지(72)의 표시색 후보가 되는 제2 선택지군(부호 82)이 포함된다.
선택부(53)는, 유저에 의한 키보드(23) 또는 마우스(24)의 조작에 기초하여, 제1 선택지군(부호 81) 및 제2 선택지군(부호 82) 중으로부터, 각각 제1 선택지(임의의 선택지) 및 제2 선택지를 선택한다. 이들 선택은, 유저가 실제의 라벨의 테이프색 및 인쇄색과, 프리뷰 표시된 테이프 이미지(71)의 표시색 및 화상 이미지(72)의 표시색이 상이하다고 느꼈을 때에, 표시색을 보정하기 위해 행하는 조작이다. 이미지 표시부(52b)는, 선택부(53)에 의한 선택에 수반하여, 테이프 이미지(71)를 제1 선택지에 대응한 표시색으로 표시하고, 화상 이미지(72)를 제2 선택지에 대응한 표시색으로 표시한다.
인쇄 데이터 편집부(54)는, 유저에 의한 키보드(23) 또는 마우스(24)의 조작에 기초하여, 이미지 표시부(52b)에 의해 표시된 테이프 이미지(71) 및 화상 이미지(72)를 편집한다. 편집 내용으로서는, 테이프 길이의 변경, 텍스트의 입력, 도형의 삽입, 텍스트에 대한 서체·사이즈·장식의 변경, 도형에 대한 선의 종류 변경이나 표면의 색칠, 등을 행한다. 출력부(55)는, 인쇄 데이터 편집부(54)의 편집 결과를 반영한 인쇄 데이터를, 테이프 인쇄 장치(3)에 출력한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편집 화면(D1) 및 라벨 이미지 선택 화면(D2)에 대해서 구체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5는, 테이프 정보를 취득하기 전의 편집 화면(D1)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집 화면(D1)은, 화면 좌부의 테이프 설정 영역(E1)과, 화면 우부의 레이아웃 편집 영역(E2)으로 이루어진다.
테이프 설정 영역(E1)은, 기종을 선택하는 영역(61)과, 테이프 정보의 취득에 이용하는 테이프 정보 취득 버튼(62)과, 테이프 종류를 선택하는 영역(63)과, 테이프 폭을 선택하는 영역(64)과, 접합 인쇄의 배율을 선택하는 영역(65)과, 테이프 길이를 표시/지정하는 영역(66)과, 테이프 길이 설정을 변환하는 영역(67)과, 여백 길이를 지정하는 영역(68)과, 인쇄 테이프(T)의 놓는 방향을 선택하는 영역(69)을 포함한다.
영역(61)에서는, 접속되어 있는 테이프 인쇄 장치(3)의 기종이 선택된다. 테이프 정보 취득 버튼(62)은, 그 누름에 의해 테이프 인쇄 장치(3)에 장착된 인쇄 테이프(T)(테이프 카트리지(31))에 관한 테이프 정보를 취득한다. 영역(63)에서는, 커트 라벨 사용시에 「커트 라벨」이 선택되고, 그 이외는 「통상」이 선택된다. 영역(64)에서는, 테이프 인쇄 장치(3)에 장착하는 인쇄 테이프(T)의 테이프 폭이 선택된다. 또한, 테이프 정보의 일부로서 테이프 폭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고, 당해 정보를 영역(64)에 반영해도 좋다. 영역(65)에서는, 복수매의 인쇄 테이프(T)를 테이프 폭방향에 접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의 접합 매수(배율)가 선택된다.
영역(67)에서는, 인쇄 화상의 테이프 길이 방향의 길이에 따라서 인쇄 테이프(T)의 길이를 자동 조절하는 「자동」과, 영역(66)에서 지정된 길이의 라벨을 작성하는 「지정 길이(designated length)」 중 어느 것이 선택된다. 영역(66)에서는, 영역(67)에서 「자동」이 선택된 경우, 자동 조절된 테이프 길이를 표시하고, 영역(67)에서 「지정 길이」가 선택된 경우, 테이프 길이가 지정된다. 영역(68)에서는, 라벨 전후의 여백이 수치로 지정된다. 영역(69)에서는, 라벨 이미지(70)를 가로 놓기 또한 텍스트를 가로 쓰기로 표시하는 「오른쪽 방향 화살표」와, 라벨 이미지(70)를 세로 놓기 또한 텍스트를 세로 쓰기로 표시하는 「아래쪽 방향 화살표」 중 어느 것이 선택된다.
한편, 레이아웃 편집 영역(E2)은, 인쇄 테이프(T)를 나타내는 테이프 이미지(71)(동일한 도면에서는, 백색의 장방형)에, 인쇄 화상(동일한 도면에서는, 텍스트 「あいう」)을 나타내는 화상 이미지(72)를 중첩한 라벨 이미지(70)를 표시한다. 또한, 라벨 이미지(70)에는, 인쇄 범위를 나타내는 점선 테두리(75)와, 입력된 텍스트(텍스트 블록)의 위치나 사이즈를 변경하기 위한 복수의 핸들(76)(동일한 도면에서는, 8개)을 중첩 표시한다. 또한, 핸들(76)은, 텍스트의 위치나 사이즈가 확정되면 비표시가 된다. 또한, 레이아웃 편집 영역(E2)의 하변부 및 우변부에는, 스크롤 바(77, 78)가 설치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편집 화면(D1)에 있어서, 테이프 정보 취득 버튼(62)이 클릭되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팝업 화면으로서 라벨 이미지 선택 화면(D2)을 표시한다. 또한, 레이아웃 편집 영역(E2)의 라벨 이미지(70)를, 취득한 테이프 정보에 대응한 기준색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면, 테이프 정보로 「테이프색: 적」, 「잉크색: 백」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는, 테이프 이미지(71)를 「적」의 기준색으로 표시하고, 화상 이미지(72)를 「백」의 기준색으로 표시한다. 이때, 점선 테두리(75) 및/또는 핸들(76)의 색을, 테이프 이미지(71)의 표시색 변경에 수반하여 변경해도 좋다. 또한, 테이프 정보와 기준색을 대응시키는 대응 테이블, 그리고 기준색에 대응한 근사색(후술함)을 선정하기 위한 대응 테이블은 전용 애플리케이션(26b)에 의해 제공된다.
라벨 이미지 선택 화면(D2)에는, 테이프색을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컬러칩으로 이루어진 컬러칩군(81)과, 잉크색을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컬러칩으로 이루어진 컬러칩군(82)이 표시된다. 예를 들면 테이프 정보에 「테이프색: 적」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컬러칩군(81)에는, 「적」의 기준색 컬러칩 이외에, 「적」의 기준색을 중심으로 한 4종류의 「적」의 근사색을 나타내는 컬러칩이 표시된다. 여기에서, 「근사색」이란, 기준색과 동일한 계통의 색으로서, 기준색에 대하여, 명도, 농도, 컬러 배합(R·G·B의 비율) 등이 상이한 것을 가리킨다. 동일한 도면의 예에서는, 컬러칩군(81)으로서, 「기준색보다 2단계 명도가 높은 색」, 「기준색보다 1단계 명도가 높은 색」, 「기준색」, 「기준색보다 1단계 명도가 낮은 색」, 「기준색보다 2단계 명도가 낮은 색」을 나타내는 5종류의 컬러칩을, 명도순으로 배열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5종류의 컬러칩 중 흑색 굵은 테두리(81s)가 붙여진 컬러칩은, 그 선택지가 선택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테이프 정보에 「잉크색: 백」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잉크색을 선택하기 위한 컬러칩군(82)에는, 「백」의 기준색 컬러칩 이외에, 「백」의 기준색을 중심으로 한 4종류의 「백」의 근사색을 나타내는 컬러칩이 표시된다. 컬러칩군(82)에 대해서도, 「기준색보다 2단계 명도가 높은 색」, 「기준색보다 1단계 명도가 높은 색」, 「기준색」, 「기준색보다 1단계 명도가 낮은 색」, 「기준색보다 2단계 명도가 낮은 색」을 나타내는 5종류의 컬러칩을, 명도순으로 배열한다. 또한, 5종류의 컬러칩 중 흑색 굵은 테두리(82s)가 붙여진 컬러칩은, 그 선택지가 선택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라벨 이미지 선택 화면(D2)에 있어서 「OK」 버튼(85)이 눌리면, 선택 중의 선택지에 기초하여, 테이프 이미지(71) 및/또는 화상 이미지(72)의 표시색을 변경하고, 라벨 이미지 선택 화면(D2)을 비표시로 한다. 또한, 「캔슬」 버튼(86)이 눌리면, 테이프 이미지(71) 및/또는 화상 이미지(72)의 표시색을 변경하는 일 없이, 라벨 이미지 선택 화면(D2)을 비표시로 한다. 또한, 특별히 도시하지 않지만, 테이프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테이프색 및 잉크색에 따르지 않고, 컬러칩군(81, 82)에 표시되는 컬러칩의 수(복수의 선택지의 수)는 동일한 수(소정수)가 된다.
다음으로, 도 7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PC(2)에 의한 인쇄 데이터 생성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전용 애플리케이션(26b)이 이미 기동 상태이고, PC(2)의 표시 화면(22)에 편집 화면(D1)(도 5 참조)이 표시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PC(2)(전용 애플리케이션(26b))는, 편집 화면(D1)에 있어서, 유저에 의해 테이프 정보 취득 버튼(62)이 눌리면, 테이프 인쇄 장치(3)에 대하여 테이프 정보 취득 요구를 행하고(S01), 테이프 정보를 취득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S02). 테이프 정보를 취득할 수 없었던 경우(예를 들면, 테이프 인쇄 장치(3)에 테이프 카트리지(31)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 등)는(S02: No), 편집 화면(D1) 상에 에러 메세지를 표시하고(S03), 인쇄 데이터 생성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테이프 정보를 취득한 경우는(S02: Yes), 편집 화면(D1)에 표시하고 있는 테이프 이미지(71) 및 화상 이미지(72)의 표시색을, 테이프 정보에 포함되는 테이프색 및 잉크색에 대응한 기준색으로 설정하고(S04), 추가로 라벨 이미지 선택 화면(D2)을 표시한다(S05). 라벨 이미지 선택 화면(D2)에서 표시색(테이프색 또는 잉크색에 대응하는 표시색)의 변경이 행해진 경우는(S06: Yes), 당해 변경에 따라 테이프 이미지(71) 및/또는 화상 이미지(72)의 표시색을 변경한다(S07). 또한, 표시색 변경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는(S06: No), S07을 생략한다.
그 후, PC(2)는, 유저에 의한 편집 조작에 기초하여 인쇄 데이터를 편집하고(S08), 유저에 의한 인쇄 지시 조작에 기초하여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면(S09), 생성한 인쇄 데이터를 테이프 인쇄 장치(3)에 출력하고(S10), 인쇄 데이터 생성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PC(2)는, 테이프 인쇄 장치(3)로부터 취득한 테이프 정보에 기초하여, 테이프 이미지(71)의 표시색 후보가 되는 복수의 선택지를 라벨 이미지 선택 화면(D2)에 표시하고, 그 중으로부터 선택된 표시색으로 테이프 이미지(71)를 표시한다. 이에 따라, 표시 화면(22)의 특성이나 유저의 사용 환경(조명, 화면 설정 등)에 따르지 않고, 유저가 실제의 테이프색과 가깝다고 느끼는 표시색으로 테이프 이미지(71)를 표시시킬 수 있다. 특히 라벨을 작성하는 경우는, 그 테이프색 이미지가 성과물의 이미지에 크게 영향을 주기 때문에, 실제의 테이프색에 가까운 표시색으로 테이프 이미지(71)를 표시함으로써, 유저는 그 표시를 확인하면서 인쇄 데이터의 편집을 행할 수 있어, 희망한 대로의 라벨을 작성할 수 있다. 또한, 표시 화면(22)의 특성에 맞추어 표시색을 변화시키기 위한 프로파일 등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전용 애플리케이션(26b)의 개발도 용이해진다.
또한, 복수의 선택지로서, 테이프색의 근사색을 나타내는 표시색 후보를 표시하기 때문에, 근사색에 한정하지 않고 풀 컬러의 표시색 후보를 표시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유저가 선택지의 선택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표시색 후보는 소정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5종류)를 표시하기 때문에, 테이프색에 의해 선택지의 수가 증감하는 일이 없어, 선택이 용이하다.
또한, 라벨 이미지 선택 화면(D2)에는, 테이프 이미지(71)의 표시색 후보뿐만 아니라 화상 이미지(72)의 표시색 후보도 표시하기 때문에, 화상 이미지(72)에 대해서도 유저가 실제의 잉크색과 가깝다고 느끼는 색으로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편집 화면(D1)은, 테이프 정보를 취득했을 때, 테이프색 및 잉크색에 대응하는 기준색으로 테이프 이미지(71) 및 화상 이미지(72)를 표시하기 때문에, 유저는, 당해 기준색에 위화감이 있었을 때만 라벨 이미지 선택 화면(D2)에서 표시색을 변경하면 좋고, 기준색에 위화감이 없는 경우의 불필요한 선택 조작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 관계없이, 이하의 변형예를 채용 가능하다.
[변형예 1]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라벨 이미지 선택 화면(D2)에 있어서, 테이프 이미지(71) 및 화상 이미지(72)의 표시색 후보로서 컬러칩군(81, 82)을 표시했지만(도 6 참조),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이미지(예를 들면, 이미 정해진 텍스트 「테이프」 등)를 테이프 이미지에 중첩 표시한 복수의 이미지 샘플로 이루어지는 이미지 샘플군(83)을 표시해도 좋다. 본 변형예에서는, 이미지 샘플군(83)으로서, 테이프색 및 인쇄색의 기준색에 대응하는 기준색 샘플(동일한 도면, 중앙)과, 당해 기준색 샘플을 기준으로 하여, 테이프 이미지의 표시색 및 화상 이미지의 표시색 중 적어도 한쪽이 상이한 복수의 근사색 샘플을 표시한다(동일한 도면의 예에서는, 전15종류). 또한, 흑색 굵은 테두리(83s)가 붙여진 이미지 샘플은, 그 선택지가 선택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변형예에 의하면, 표시색 후보로서 이미지 샘플군(83)을 표시하기 때문에, 실제로 작성되는 라벨을 상정하면서, 소망하는 표시색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테이프 이미지(71)의 표시색과 화상 이미지(72)의 표시색을 일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선택 조작이 용이하다.
또한, 「OK」 버튼(85) 및 「캔슬」 버튼(86)의 기능은, 도 6에 나타낸 라벨 이미지 선택 화면(D2)과 동일하다. 또한, 이미지 샘플에 표시하는 문자열은, 이미 정해진 텍스트가 아니라, 레이아웃 편집 영역(E2)으로 편집되어 있는 텍스트(동일한 도면의 예에서는, 「あいう」)로 해도 좋다.
[변형예 2]
또한, 라벨 이미지 선택 화면(D2)에 있어서의 유저의 선택 결과를 학습하고, 그 학습 결과를 표시색 후보의 선정에 반영해도 좋다. 이 경우 PC(2)는, 선택부(53)에 의한 표시색 후보의 선택 결과(임의의 선택지의 선택 결과)를 기억하는 기억부(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선택지 표시부(52a)는,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과거의 선택 결과를 고려하여, 테이프 이미지(71) 및 화상 이미지(72)의 표시색 후보(컬러칩군(81, 82)), 또는 이미지 샘플군(83)을 표시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유저의 선택 조작을 어시스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회, 색조가 상이한 5단계의 표시색 후보(예를 들면, 명도 레벨 「+2」, 「+1」, 「0」, 「-1」, 「-2」의 후보) 중으로부터, 최하위 단계의 표시색 후보를 선택한 경우, 금회는, 그 최하위 단계의 표시색 후보를 기준색으로 하는 표시색 후보(예를 들면, 명도 레벨 「0」, 「-1」, 「-2」, 「-3」, 「-4」의 후보)를 표시하는,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과거의 학습 결과로부터 명도 레벨의 평균값 또는 중앙값 등을 산출하고, 그 산출 결과에 기초하여 기준색을 선정해도 좋다. 이들의 경우 유저는, 기준색으로부터 표시색 후보를 검토해 감으로써, 자신의 취향의 표시색을 신속하게 찾아낼 수 있다. 또한, 기억부는, 휘발성 기억 매체, 불휘발성 기억 매체 중 어느 것이라도 좋다.
[그 외의 변형예]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컬러칩군(81, 82) 또는 이미지 샘플군(83)으로서, 테이프색/잉크색에 대응하는 기준색 및 그 근사색이 되는 표시색 후보를 표시했지만, 기준색을 포함하지 않아도 좋다. 즉, 레이아웃 편집 영역(E2)에 표시되어 있는 라벨 이미지(70)의 표시색 이외의 표시색 후보를, 컬러칩군(81, 82) 또는 이미지 샘플군(83)으로서 표시해도 좋다.
또한, 표시색 후보로서, 근사색 이외의 색을 표시해도 좋다. 즉, 유저의 취향에 따라서 실제의 테이프색/잉크색과 상이한 색을 라벨 이미지(70)의 표시색으로 해도 좋다. 또한, 특수한 조명광하에서는, 표시 화면(22)의 표시색과 유저가 인식하는 색이 상이한 경우가 있기 때문에, 그러한 상황에 있어서는, 컬러칩군(81, 82) 또는 이미지 샘플군(83)으로서, 오히려 근사색 이외의 색을 제시함으로써, 유저가 인식하는 라벨 이미지(70)의 표시색을 실제의 테이프색에 가깝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컬러칩군(81, 82)을 대신하여, 색코드나 색설명(예를 들면, 기준색을 「명도 0」으로 한 경우의, 「명도+2」, 「명도-1」 등)을 나타내는 선택지를 표시해도 좋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라벨 이미지 선택 화면(D2)의 「OK」 버튼(85)이 눌린 시점에서, 라벨 이미지(70)의 표시색을 변경하는 것으로 했지만, 컬러칩군(81, 82) 또는 이미지 샘플군(83) 중의 선택지를 변경한 시점에서(흑색 굵은 테두리(81s, 82s, 83s)를 이동시킨 시점에서), 라벨 이미지(70)의 표시색을 변경해도 좋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라벨 이미지 선택 화면(D2)에 표시된 복수의 선택지 중, 어느 1의 선택지를 선택하는 것으로 했지만, 복수의 선택지를 선택 가능하게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선택지 중에 소망하는 색이 포함되지 않는 경우, 유저가 소망하는 색에 가까운 색을 2색 또는 3색 선택하고, 그것들을 혼합한 색을 표시색으로서 선정해도 좋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인쇄 매체로서 인쇄 테이프(T)를 예시했지만, 카피 용지나 엽서 등의 인쇄 매체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본 실시 형태를 적용 가능하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의 일 예로서 PC(2)를 예시했지만, 스마트폰 등의 각종 태블릿 단말이나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도, 본 실시 형태를 적용 가능하다. 또한, 태블릿 단말 등 표시 화면의 백라이트 조절 기능을 탑재하고 있는 경우는, 백라이트의 설정에 따라서, 라벨 이미지 선택 화면(D2)에 표시하는 표시색 후보를 가변해도 좋다. 또는, 백라이트의 설정을 고려하여, 유저에 대한 레커맨드(추천의 선택지를 다른 선택지와는 상이한 표시 형태로 표시하는 등)를 행해도 좋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PC(2)로부터의 테이프 정보 취득 요구에 대하여 테이프 인쇄 장치(3)가 테이프 정보를 회신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테이프 인쇄 장치(3)로부터 자발적으로 테이프 정보를 송신해도 좋다. 또한, 테이프 인쇄 장치(3)로 테이프 정보를 검출하는 것이 아니라, 테이프색 및 잉크색을 유저가 PC(2)에 입력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적」, 「백」 등, 대략의 색을 유저가 입력하고, 각 색의 근사색을 표시색 후보로서 표시하면 좋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 나타낸 인쇄 시스템(SY)(PC(2) 및 테이프 인쇄 장치(3))에 있어서의 각 구성 요소를 프로그램으로서 제공해도 좋다. 또한, 그 프로그램을 각종 기록 매체(CD-ROM, 플래쉬 메모리 등)에 저장하여 제공해도 좋다. 즉, 컴퓨터를 인쇄 시스템(SY)의 각 구성 요소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및, 그것을 기록한 기록 매체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 그 외에, 본 실시 형태의 PC(2)의 각 부를 클라우드 컴퓨팅으로 실현하는 등,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2 : PC
3 : 테이프 인쇄 장치
21 : PC 본체
22 : 표시 화면
23 : 키보드
24 : 마우스
26b : 전용 애플리케이션
28 : PC측 제어부
31 : 테이프 카트리지
34 : 카트리지 검출부
35 : 인쇄 기구
51 : 취득부
52 : 표시부
52a : 선택지 표시부
52b : 이미지 표시부
53 : 선택부
54 : 인쇄 데이터 편집부
55 : 출력부
62 : 테이프 정보 취득 버튼
70 : 라벨 이미지
71 : 테이프 이미지
72 : 화상 이미지
81 : 컬러칩군(테이프색)
82 : 컬러칩군(잉크색)
83 : 이미지 샘플군
D1 : 편집 화면
D2 : 라벨 이미지 선택 화면
E1 : 테이프 설정 영역
E2 : 레이아웃 편집 영역
SY : 인쇄 시스템
T : 인쇄 테이프

Claims (9)

  1. 인쇄 매체의 매체 이미지를 표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상기 인쇄 매체의 매체색을 특정 가능한 정보를 포함하는 매체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매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매체 이미지의 표시색 후보가 되는 복수의 선택지를 표시하는 선택지 표시부와, 상기 복수의 선택지 중으로부터 임의의 선택지를 선택하는 선택부와,
    상기 임의의 선택지에 대응한 표시색으로, 상기 매체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지 표시부는, 상기 복수의 선택지로서, 상기 인쇄 매체의 매체색의 근사색을 나타내는 소정수의 표시색 후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정보는, 상기 인쇄 매체의 인쇄색을 특정 가능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지 표시부는, 상기 매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매체 이미지의 표시색 후보가 되는 복수의 선택지인 제1 선택지군과 함께, 상기 인쇄 매체에 인쇄되는 인쇄 화상의 화상 이미지의 표시색 후보가 되는 복수의 선택지인 제2 선택지군을 표시하고,
    상기 선택부는, 상기 제1 선택지군 및 상기 제2 선택지군 중으로부터, 각각 제1 선택지 및 제2 선택지를 선택하고,
    상기 이미지 표시부는, 상기 제1 선택지에 대응한 표시색의 상기 매체 이미지에, 상기 제2 선택지에 대응한 표시색의 상기 화상 이미지를 중첩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정보는, 상기 인쇄 매체의 인쇄색을 특정 가능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지 표시부는, 상기 복수의 선택지로서, 상기 인쇄 매체에 인쇄되는 인쇄 화상의 화상 이미지를, 상기 매체 이미지에 중첩 표시한 복수의 이미지 샘플을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이미지 샘플은, 상기 매체 이미지의 표시색 및 상기 화상 이미지의 표시색 중 적어도 한쪽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에 의한 상기 임의의 선택지의 선택 결과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선택지 표시부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선택 결과를 고려하여, 상기 매체 이미지의 표시색 후보가 되는 복수의 선택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표시부는,
    상기 취득부에 의해 상기 매체 정보를 취득했을 때, 상기 인쇄 매체의 매체색에 대응하는 기준색으로 상기 매체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선택부에 의해 상기 임의의 선택지가 선택되었을 때, 상기 매체 이미지를 당해 임의의 선택지에 대응한 표시색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매체는, 장척(長尺) 형상의 인쇄 테이프이며,
    상기 매체 이미지는, 상기 인쇄 테이프를 단책(strip) 형상으로 절단한 라벨의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8. 인쇄 매체의 매체 이미지를 표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표시 방법으로서,
    상기 인쇄 매체의 매체색을 특정 가능한 정보를 포함하는 매체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스텝과,
    상기 매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매체 이미지의 표시색 후보가 되는 복수의 선택지를 표시하는 선택지 표시 스텝과,
    상기 복수의 선택지 중으로부터 임의의 선택지를 선택하는 선택 스텝과,
    상기 임의의 선택지에 대응한 표시색으로, 상기 매체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 표시 스텝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표시 방법.
  9. 컴퓨터에, 제8항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의 표시 방법에 있어서의 각 스텝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60003495A 2015-02-23 2016-01-12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장치의 표시 방법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601028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33135 2015-02-23
JP2015033135A JP6380159B2 (ja) 2015-02-23 2015-02-23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2882A true KR20160102882A (ko) 2016-08-31

Family

ID=55451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3495A KR20160102882A (ko) 2015-02-23 2016-01-12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장치의 표시 방법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60246555A1 (ko)
EP (1) EP3059671A1 (ko)
JP (1) JP6380159B2 (ko)
KR (1) KR20160102882A (ko)
CN (1) CN10591228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18123B2 (ja) * 2015-10-07 2018-11-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テープ印刷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表示制御方法
JP6636658B2 (ja) 2016-11-16 2020-01-29 マンゴースラブ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再接着式メモ紙を出力するプリンタ及びプリンタシステム
JP6917011B2 (ja) * 2017-09-15 2021-08-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データ編集装置および印刷データ編集プログラム
JP7380144B2 (ja) 2019-11-29 2023-11-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編集装置
CN111142816B (zh) * 2019-12-27 2023-03-03 珠海趣印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打印机上基于算法描线画圆环的方法
CN112711388A (zh) * 2021-01-18 2021-04-27 北京三快在线科技有限公司 标签模板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JP2022154991A (ja) * 2021-03-30 2022-10-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制御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9479A (ja) 1995-10-13 1997-04-28 Casio Comput Co Ltd 印刷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62660B2 (ja) * 1998-02-19 2003-01-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キャラクタ処理装置
JP2006168328A (ja) * 2004-12-20 2006-06-29 Seiko Epson Corp 印刷装置、付箋紙、及び付箋紙束
JP2006256107A (ja) * 2005-03-17 2006-09-28 Seiko Epson Corp 印刷制御装置、印刷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7219583A (ja) * 2006-02-14 2007-08-30 Brother Ind Ltd 印刷装置
JP4730203B2 (ja) * 2006-05-23 2011-07-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ラベル作成装置
JP2008273026A (ja) * 2007-04-27 2008-11-13 Brother Ind Ltd ラベル編集装置及びラベル作成装置
JP5228897B2 (ja) * 2008-01-31 2013-07-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処理方法、その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装置
JP2012073700A (ja) * 2010-09-28 2012-04-12 Brother Ind Ltd ラベル作成方法、ラベル編集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5488381B2 (ja) * 2010-09-30 2014-05-1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データ編集装置、印刷データ編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5533549B2 (ja) * 2010-10-20 2014-06-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アプリケーションソフトウエア、印刷システム、及び記録媒体
JP5967963B2 (ja) * 2011-03-14 2016-08-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502053B2 (ja) * 2011-10-28 2014-05-2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2014191552A (ja) * 2013-03-27 2014-10-06 Seiko Epson Corp 印刷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KR20150010045A (ko) * 2013-07-17 2015-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9479A (ja) 1995-10-13 1997-04-28 Casio Comput Co Ltd 印刷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59671A1 (en) 2016-08-24
JP6380159B2 (ja) 2018-08-29
JP2016157184A (ja) 2016-09-01
US20160246555A1 (en) 2016-08-25
CN105912281A (zh) 2016-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02882A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장치의 표시 방법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8885196B2 (en) Portable terminal, printing system, control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executing printing based on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CN103543968A (zh) 标签打印设备
US20140293336A1 (en) Print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JP5488381B2 (ja) 印刷データ編集装置、印刷データ編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CN108139874B (zh) 信息处理装置、带打印装置以及信息处理装置的显示控制方法
US8928916B2 (en) Display device, portable terminal, control method for display device, and program product
JP2019133279A (ja) コード生成プログラムおよびコード生成システム
US7303343B2 (en) Printing system, method for processing data in printing system, program, and storage medium
US1184751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JP5899989B2 (ja) 出力システム
JP6686746B2 (ja) プログラム、ラベルイメージ作成方法、及び、ラベルイメージ作成装置
JP2005219302A (ja) 写真プリント装置
US1153733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for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US20240111978A1 (en) Non-transitory medium storing program executable by computer of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10168970B2 (en) Print layout generating device,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storing computer-readable instructions to generate print layout
CN107949482B (zh) 基于设备实现的装置使用说明方法、对装置的使用进行说明的设备和记录介质
JP2007042022A (ja) プリント装置
JP2017202593A (ja) 情報処理装置、テープ印刷装置、編集方法、プログラム
JP2023034827A (ja) プログラム
JP5270017B2 (ja) キーワード設定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装置
JP2005070895A (ja) プリント装置およびプリント方法
JP2016027482A (ja) 表示装置、携帯端末、表示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6139432A (ja) プログラム、携帯端末および携帯端末の制御方法
JP2006163809A (ja) 収納物検索システム、収納物検索方法、印刷媒体、印刷機、収納物検索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