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2808A - 진공 인터럽터 - Google Patents

진공 인터럽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2808A
KR20160102808A KR1020150025349A KR20150025349A KR20160102808A KR 20160102808 A KR20160102808 A KR 20160102808A KR 1020150025349 A KR1020150025349 A KR 1020150025349A KR 20150025349 A KR20150025349 A KR 20150025349A KR 20160102808 A KR20160102808 A KR 20160102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lows
movable
bellows guide
rod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5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7580B1 (ko
Inventor
류재섭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5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7580B1/ko
Priority to US14/981,613 priority patent/US9552946B2/en
Priority to ES15203034.2T priority patent/ES2642578T3/es
Priority to EP15203034.2A priority patent/EP3059752B1/en
Priority to CN201610100017.3A priority patent/CN105914097B/zh
Publication of KR20160102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2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2Housings or protective screens
    • H01H33/66207Specific housing details, e.g. sealing, soldering or braz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2Housings or protective screens
    • H01H33/66238Specific bellows 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2Housings or protective screens
    • H01H33/66238Specific bellows details
    • H01H2033/66246Details relating to the guiding of the contact rod in vacuum switch below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2Housings or protective screens
    • H01H33/66238Specific bellows details
    • H01H2033/66253Details relating to the prevention of unwanted rotation of the contact rod in vacuum switch bellow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3/00Casings
    • H01H2223/002Casings sealed

Landscapes

  • High-Tension Arc-Extinguishing Switches Without Spraying Mean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인터럽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단 동작시 벨로우즈 내부에서 외부로 유출되는 공기의 배출성능을 향상시킨 진공 인터럽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진공 인터럽터{Vacuum Interrupter}
본 발명은 진공 인터럽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단 동작시 벨로우즈 내부에서 외부로 유출되는 공기의 배출성능을 향상시킨 진공 인터럽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차단기(Vacuum Circuit Breaker)는 고압 전력계통에 설치되어 단락이나 과전류 등의 위험상황이 발생할 경우 회로를 차단하여 전력계통을 보호하도록 구성된 회로차단기의 일종으로서 진공상태에서의 절연성능과 아크 소호력이 우수한 점을 활용하여 설계된 것이다.
이러한 진공차단기에 있어서 핵심부품은 진공 인터럽터(Vacuum Interrupter)로 밀폐된 진공관 내에서 위와 같은 회로의 통전 및 차단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고정전극과 상기 고정전극에 접촉 또는 분리될 수 있는 가동전극을 포함하고 있으며, 특히 고정전극과 가동전극이 직접 맞닿게 되는 부분을 접점이라 한다.
여기서, 특히 가동전극은 진공 인터럽터 내부의 진공 상태를 유지하면서 고정전극에 접촉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직선운동을 하여야 하므로 가동전극 주변에 벨로우즈(Bellows)가 설치된다.
진공인터럽터의 내부는 진공 상태이고, 벨로우즈의 내부는 대기압 또는 가스 압력이 인가된다. 상기 벨로우즈의 내부에 인가되는 가스의 압력은 진공 인터럽터의 동작 특성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조작기의 설계나 용량 선정에 있어서 가스 압력에 따른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 가스 압력이 높아지면, 진공 인터럽터의 자폐력(Self-closing Force)이 증가하여 투입 시에는 속도 증가의 원인이 되고, 차단 시에는 속도 감소의 원인이 되므로 조작기의 성능을 크게 하여야 한다.
도 1에 종래기술에 따른 진공 인터럽터의 내부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진공 인터럽터(100)는 세라믹 용기(5)와 상부의 고정부 플랜지(8) 및 하부의 가동부 플랜지(9)로 이루어지는 외함 내부에 고정전극(1)과 고정부 로드(2), 가동전극(3)과 가동부 로드(4), 벨로우즈(6), 벨로우즈 가이드(7) 등이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외함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한다.
고정전극(1)과 이를 진공 인터럽터 외부의 전원이나 부하로 연결해주는 고정부 로드(2)가 서로 접합되어 있으며, 고정부 로드(2)는 고정부 플랜지(8)에 밀봉되도록 접합되어 있다.
고정전극(1)과 마주보고 있는 가동전극(3)은 가동부 로드(4)와 서로 접합되어 있으며, 가동부 로드(4)는 진공 인터럽터의 외부의 부하 또는 전원과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가동부 로드(4)에는 진공 인터럽터 내부의 진공상태를 유지하면서 자유롭게 운동할 수 있도록 벨로우즈(6)가 설치되어 있다.
벨로우즈 가이드(7)는 가동부 로드(4)와 벨로우즈(6) 사이에 설치되며, 가동부 플랜지(9)에 고정 설치된다. 벨로우즈 가이드(7)는 가동부 로드(4)가 왕복 직선운동을 할 수 있게 보조하며, 직선 운동시 옆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 벨로우즈 내부(A)의 공기 또는 가스가 밖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에 종래기술에 따른 벨로우즈 가이드(7)의 세부적인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벨로우즈 가이드(7)의 내측면(7a)은 가동부 로드(4)의 외측면과 접하게 되고, 벨로우즈 가이드의 외측면(7b)는 벨로우즈(6)의 내측과 마주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벨로우즈 가이드의 돌기부(7c)는 가동부 로드(4)의 홈(미도시)에 끼워져서 가동부 로드(4)가 직선운동을 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함과 동시에 가동부 로드(4)가 비틀리면서 벨로우즈(6)가 함께 변형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벨로우즈 가이드(7)의 내측에 형성된 홈(7d)은 진공 인터럽터가 차단 동작을 할 때 벨로우즈(6)가 압축되는데, 이때 벨로우즈 내부(A)의 공기 또는 가스가 밖으로 배출되는 출구 역할을 하게 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진공 인터럽터(100)에서는 벨로우즈(6) 차단 동작시 내부(A)의 공기 또는 가스가 벨로우즈 가이드(7)의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7d)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그런데, 차단 속도가 빨라지거나 벨로우즈(6) 내부(A)의 가스압력이 높아지면 급격히 팽창하는 가스 유출량을 홈(7d)의 출구가 감당하지 못하여, 진동이 발생하는 등 동작이 불완전하게 되거나 차단 속도가 느려지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상기 홈(7d)은 벨로우즈 가이드(7)와 가동부 로드(4) 사이의 좁은 공간에 형성되므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기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차단 동작시 벨로우즈 내부에서 외부로 유출되는 공기의 배출성능이 향상되는 진공 인터럽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인터럽터는 절연소재로 이루어진 용기; 상기 용기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고정부 엔드 플레이트; 상기 용기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중앙부에는 개방홀이 형성되는 가동부 엔드 플레이트; 상기 개방홀에 삽입되어 상하이동하는 가동부 로드; 상기 용기 내에서 일단은 상기 가동부 엔드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일단은 상기 가동부 로드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부 로드가 운동하더라도 상기 용기 내부가 진공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벨로우즈; 플랜지형 관체로 형성되며, 플랜지부는 상기 가동부 엔드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몸체부는 상기 개방홀에 삽입되어 상기 가동부 로드의 운동이 직선으로 이루어지도록 보조하는 벨로우즈 가이드; 관체로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를 감싸도록 상기 가동부 엔드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벨로우즈 가이드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부에는 제1측면홀이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벨로우즈 가이드 고정부재에는 상기 제1측면홀에 연통되는 제2측면홀이 형성되어 상기 벨로우즈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벨로우즈 가이드 고정부재의 내주면에는 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벨로우즈 가이드를 고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벨로우즈 가이드의 내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 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동부 로드의 직선운동을 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벨로우즈 가이드 고정부재의 상면에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상기 가동부 엔드 플레이트의 하부에 접촉되는 면적을 넓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면에는 평면으로 형성되는 제1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벨로우즈 가이드 고정부재의 내부면에는 상기 제1절개부에 면접하도록 제2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벨로우즈 가이드가 회전하거나 비틀리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인터럽터에 의하면 벨로우즈가 압축될 때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가스의 단위시간당 유출량이 증가하므로 진동의 발생 등 동작 불량이나 차단 속도 감소 등의 문제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벨로우즈 가이드는 벨로우즈 가이드 고정부재에 의해 가동부 엔트 플레이트의 하부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벨로우즈 가이드는 벨로우즈 가이드 고정부재 내에서 회전하거나 비틀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위치가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진공 인터럽터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벨로우즈 가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인터럽터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A 부분의 상세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벨로우즈 가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서 벨로우즈 가이드 고정부재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인터럽터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A 부분의 상세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벨로우즈 가이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에서 벨로우즈 가이드 고정부재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인터럽터는 절연소재로 이루어진 용기(10); 상기 용기(1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고정부 엔드 플레이트(15); 상기 용기(10)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중앙부에는 개방홀(21)이 형성되는 가동부 엔드 플레이트(20); 상기 개방홀(21)에 삽입되어 상하이동하는 가동부 로드(30); 상기 용기(10) 내에서 일단은 상기 가동부 엔드 플레이트(20)에 설치되고 일단은 상기 가동부 로드(30)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부 로드(30)가 운동하더라도 상기 용기(10) 내부가 진공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벨로우즈(40); 플랜지형 관체로 형성되며, 플랜지부(51)는 상기 가동부 엔드 플레이트(20)에 결합되고, 몸체부(56)는 상기 개방홀(21)에 삽입되어 상기 가동부 로드(30)의 운동이 직선으로 이루어지도록 보조하는 벨로우즈 가이드(50); 관체로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51)를 감싸도록 상기 가동부 엔드 플레이트(20)의 하부에 설치되는 벨로우즈 가이드 고정부재(60);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부(51)에는 제1측면홀(52)이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벨로우즈 가이드 고정부재(60)에는 상기 제1측면홀(52)에 연통되는 제2측면홀(63)이 형성되어 상기 벨로우즈(40)와 가동부 로드(30) 사이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용기(10)는 진공 인터럽터의 측면부 외형을 이룬다. 용기(10)는 원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절연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절연재료로는 세라믹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용기(10)는 상부 용기와 하부 용기로 나누어질 수 있다. 용기(10) 내부에 고정전극(11)과 가동전극(12)을 수용하게 된다.
고정전극(11)은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고정부 로드(13)에 결합되어 전원측 또는 부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고정전극(11)은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무산소동(Oxygen-free Copper)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접점(11a)은 고정전극(11)의 단부에 형성된다. 고정접점(11a)은 크롬동(Cu-Cr)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동전극(12)은 고정전극(11)과 마찬가지로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가동부 로드(30)에 결합되어 부하측 또는 전원측에 연결된다. 가동전극(12)은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무산소동(Oxygen-free Copper)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동전극(12)은 가동부 로드(3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구동부(미도시)에 의하여 상하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가동접점(12a)은 가동전극(12)의 단부에 형성된다. 가동접점(12a)은 크롬동(Cu-Cr)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동접점(12a)은 가동전극(12)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가동전극(12)과 함께 움직이게 된다. 가동접점(12a)은 구동부에 의해 가동전극(12)과 함께 움직이면서 상기 고정접점(11a)에 접촉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가동접점(12a)이 고정접점(11a)에 접촉되면 전원측으로부터 부하측으로 전류가 흐를 수 있게 되며, 사고 전류 등에 의해 진공차단기의 차단동작이 일어나 가동접점(12a)이 고정접점(11a)으로부터 분리되면 전원측으로부터 부하측으로 전달되는 전류가 끊어지게 된다.
용기(10)의 상단부에는 고정부 엔드 플레이트(15)가 결합되고, 용기(10)의 하단부에는 가동부 엔드 플레이트(20)가 결합된다. 진공 인터럽터는 용기(10), 고정부 엔트 플레이트(15), 가동부 엔드 플레이트(20)에 의해 밀폐공간을 이루게 된다. 이 밀폐공간의 내부는 진공을 유지하게 된다.
가동부 엔드 플레이트(20)의 중앙부에는 개방홀(21)이 형성되어, 가동부 로드(30) 및 벨로우즈 가이드(50)가 삽입될 수 있다.
가동부 로드(30)는 일단부에 가동전극(12)이 접합되며, 타단부는 구동부(미도시)에 연결된다. 가동부 로드(30)는 구동부의 구동력을 받아 상하 운동하며 가동전극(12)을 고정전극(11)에 접촉 또는 분리시키게 된다.
벨로우즈(40)가 가동부 로드(30)의 주변에 설치된다. 벨로우즈(40)의 일단은 가동부 엔드 플레이트(20)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며, 벨로우즈(40)의 타단은 가동부 로드(30)에 결합되어 가동부 로드(30)와 함께 움직이게 된다. 벨로우즈(40)에 의해 진공 인터럽터 내부의 진공 밀폐성이 유지된다. 즉, 가동부 로드(30)의 움직임에 따라서 가동부 로드(30)와 가동부 엔드 플레이트(20) 사이에 진공이 파괴더더라도 벨로우즈(40)에 의해 차폐되므로 진공 인터럽터의 내부는 진공이 유지된다.
쉴드(45)가 벨로우즈(40) 주변에 설치될 수 있다. 쉴드(45)는 차단시 발생하는 금속증기로부터 벨로우즈(40)을 보호하게 된다.
벨로우즈 가이드(50)가 가동부 엔드 플레이트(20)의 개방홀(21)에 삽입 설치된다. 벨로우즈 가이드(50)는 플랜지형 관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벨로우즈 가이드(50)는 플랜지부(51)와 몸체부(56)로 구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51)와 몸체부(56)의 내주면은 단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51)는 가동부 엔드 플레이트(20)의 개방홀(21) 주변에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몸체부(56)는 개방홀(21) 내부로 삽입되어 가동부 로드(30)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벨로우즈 가이드(50)의 내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 돌기부(57)가 형성된다. 가동부 로드(30)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부(57)에 맞물리는 홈부(미도시)가 형성되어 가이드 돌기부(57)의 직선운동이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플랜지부(51)에는 제1측면홀(52)이 복수 개 형성된다. 상기 제1측면홀(52)은 몸체부(56)의 일부에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벨로우즈(40)의 내부(B)에 존재하는 공기 또는 가스는 벨로우즈 가이드(50)와 가동부 로드(30) 사이의 공간(B1)을 거쳐서 제1측면홀(52)을 통해 외부로 유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벨로우즈(40)와 벨로우즈 가이드(50) 사이의 공간(B2)을 거쳐서 제1측면홀(52)을 통해 내외부로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즉, 벨로우즈(40)의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는 차단시에 급격하게 이동하는 가동부 로드(30)에 의해 압축되는 벨로우즈(4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때 공기의 흐름은 벨로우즈 가이드(50)와 가동부 로드(30) 사이의 공간(B1) 및 벨로우즈(40)와 벨로우즈 가이드(50) 사이의 공간(B2)을 거쳐서 제1측면홀(52)을 통해 배출되므로 단위시간당 유출량의 급격한 증대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공기 배출이 제대로 되지 않을 때 가동부 로드(30)에 발생하는 진동 등 작동의 불안정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만일, 차단시 벨로우즈(40) 내부의 공기가 제대로 배출되지 않으면 외부의 대기압과 진공 인터럽터 내부의 진공압의 차이로 인한 자폐력(Self closing Force)에 의해 가동부 로드(30)의 이동은 방해를 받게 되고 동작불량이나 차단 속도의 감소가 일어날 것이다.
플랜지부(51)에는 외주면 일부가 절개되는 제1절개부(53)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절개부(53)는 후술하는 벨로우즈 가이드 고정부재(6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2절개부(64)와 면접(face contacting)할 수 있다.
벨로우즈 가이드 고정부재(60)는 벨로우즈 가이드(50)를 고정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벨로우즈 가이드 고정부재(60)는 관체로 형성될 수 있다.
벨로우즈 가이드 고정부재(60)의 상부에는 판상의 플랜지(61)가 형성될 수 있다. 벨로우즈 가이드 고정부재(60)가 벨로우즈 가이드(50)의 플랜지부(51)를 감싸도록 끼워지고, 벨로우즈 가이드 고정부재(60)의 플랜지(61)가 가동부 엔드 플레이트(20)에 결합된다. 이때, 결합방식은 용접결합에 의해 일체성 및 결합성을 높이도록 할 수 있다. 플랜지(61)에 의해 벨로우즈 가이드 고정부재(60)가 가동부 엔드 플레이트(20)에 접촉되는 면적이 넓게 형성되므로 결합력이 우수해진다.
벨로우즈 가이드 고정부재(60)의 내주면에는 단턱(65)이 형성될 수 있다. 벨로우즈 가이드(50)의 플랜지부(51)의 타단면(51b)은 벨로우즈 가이드 고정부재(60)의 단턱(65)에 접촉하여 고정될 수 있다. 즉, 플랜지부(51)의 일단면(51a)는 가동부 엔드 플레이트(20)에 접하게 되고, 플랜지부(51)의 타단면(51b)은 벨로우즈 가이드 고정부재(60)의 단턱(65)에 접하여 고정되므로 별도의 결합수단 없이도 벨로우즈 가이드(50)는 제 위치를 유지한 채 이탈되지 않게 된다.
벨로우즈 가이드 고정부재(60)에는 상기 제1측면홀(52)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측면홀(63)이 형성된다. 벨로우즈(40) 내부의 공기는 벨로우즈 가이드(50)의 제1측면홀(52) 및 벨로우즈 가이드 고정부재(60)의 제2측면홀(63)을 통해 외부로 흐를 수 있다.
벨로우즈 가이드 고정부재(60)의 내주면에는 상기 벨로우즈 가이드(50)의 제1절개부(53)에 대응하는 제2절개부(64)가 형성된다. 제1절개부(53)와 제2절개부(64)는 서로 면접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절개부(53)와 제2절개부(64)는 서로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절개부(53)와 제2절개부(64)가 서로 면접하므로, 벨로우즈 가이드(50)는 벨로우즈 가이드 고정부재(60) 내에서 미끄러짐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벨로우즈 가이드(50)는 회전하거나 비틀리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인터럽터에 의하면 벨로우즈가 압축될 때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가스의 단위시간당 유출량이 증가하므로 진동의 발생 등 동작 불량이나 차단 속도 감소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즉, 벨로우즈 내부의 가스는 벨로우즈 가이드와 가동부 로드 사이의 공간 뿐 아니라 벨로우즈 가이드와 벨로우즈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도 유출되는 통로가 확보되어 단위시간당 유출량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벨로우즈 가이드는 벨로우즈 가이드 고정부재에 의해 가동부 엔트 플레이트의 하부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벨로우즈 가이드는 벨로우즈 가이드 고정부재 내에서 회전하거나 비틀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위치가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 용기 11 고정전극
11a 고정접점 12 가동전극
12a 가동접점 13 고정부 로드
15 고정부 엔드 플레이트 20 가동부 엔드 플레이트
21 개방홀 30 가동부 로드
40 벨로우즈 45 쉴드
50 벨로우즈 가이드 51 플랜지부
51a 일단면 51b 타단면
52 제1측면홀 53 제1절개부
56 몸체부 57 가이드 돌기부
60 벨로우즈 가이드 고정부재 61 플랜지
63 제2측면홀 64 제2절개부
65 단턱

Claims (5)

  1. 절연소재로 이루어진 용기;
    상기 용기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고정부 엔드 플레이트;
    상기 용기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중앙부에는 개방홀이 형성되는 가동부 엔드 플레이트;
    상기 개방홀에 삽입되어 상하이동하는 가동부 로드;
    상기 용기 내에서 일단은 상기 가동부 엔드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일단은 상기 가동부 로드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부 로드가 운동하더라도 상기 용기 내부가 진공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벨로우즈;
    플랜지형 관체로 형성되며, 플랜지부는 상기 가동부 엔드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몸체부는 상기 개방홀에 삽입되어 상기 가동부 로드의 운동이 직선으로 이루어지도록 보조하는 벨로우즈 가이드;
    관체로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를 감싸도록 상기 가동부 엔드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벨로우즈 가이드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부에는 제1측면홀이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벨로우즈 가이드 고정부재에는 상기 제1측면홀에 연통되는 제2측면홀이 형성되어 상기 벨로우즈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인터럽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로우즈 가이드 고정부재의 내주면에는 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벨로우즈 가이드를 고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인터럽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로우즈 가이드의 내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 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동부 로드의 직선운동을 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인터럽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로우즈 가이드 고정부재의 상면에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상기 가동부 엔드 플레이트의 하부에 접촉되는 면적을 넓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인터럽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면에는 평면으로 형성되는 제1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벨로우즈 가이드 고정부재의 내부면에는 상기 제1절개부에 면접하도록 제2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벨로우즈 가이드가 회전하거나 비틀리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인터럽터.
KR1020150025349A 2015-02-23 2015-02-23 진공 인터럽터 KR101697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349A KR101697580B1 (ko) 2015-02-23 2015-02-23 진공 인터럽터
US14/981,613 US9552946B2 (en) 2015-02-23 2015-12-28 Vacuum interrupter
ES15203034.2T ES2642578T3 (es) 2015-02-23 2015-12-30 Interruptor de vacío
EP15203034.2A EP3059752B1 (en) 2015-02-23 2015-12-30 Vacuum interrupter
CN201610100017.3A CN105914097B (zh) 2015-02-23 2016-02-23 真空断续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349A KR101697580B1 (ko) 2015-02-23 2015-02-23 진공 인터럽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2808A true KR20160102808A (ko) 2016-08-31
KR101697580B1 KR101697580B1 (ko) 2017-02-01

Family

ID=55027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5349A KR101697580B1 (ko) 2015-02-23 2015-02-23 진공 인터럽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552946B2 (ko)
EP (1) EP3059752B1 (ko)
KR (1) KR101697580B1 (ko)
CN (1) CN105914097B (ko)
ES (1) ES2642578T3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7623A (ko) * 2019-10-22 2021-04-30 한국전력공사 진공 인터럽터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차단기
KR20230136960A (ko) 2022-03-21 2023-10-04 한국전기연구원 조작 장치 내장형 진공 인터럽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47727A (zh) * 2018-05-10 2018-08-24 厦门宏发电力电器有限公司 一种真空灭弧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6325A (ko) * 2004-05-04 2005-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아이솔레이션 밸브
EP1120803B1 (fr) * 2000-01-25 2006-11-22 Areva T&D SA Ampoule à vide pour disjoncteur, ayant un palier de guidage monté par encliquetage
WO2013171928A1 (ja) * 2012-05-14 2013-11-21 三菱電機株式会社 真空バルブ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40829C3 (de) 1974-08-26 1981-09-03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Vakuumschaltrohr
JPS5963626A (ja) 1982-10-05 1984-04-11 株式会社東芝 真空バルブ
US4733456A (en) * 1985-11-08 1988-03-29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of assembling a shield assembly of a vacuum interrupter
US4665287A (en) * 1985-11-08 1987-05-12 General Electric Company Shield assembly of a vacuum interrupter
US4933518A (en) * 1988-10-03 1990-06-12 Square D Company Vacuum interrupter
US6043446A (en) * 1999-06-07 2000-03-28 Eaton Corporation Vacuum switch including shield and bellows mounted on electrode support structure located in electrode circumferential groove
DE102005043484B4 (de) * 2005-09-13 2007-09-20 Abb Technology Ag Vakuumschaltkammer
JP4765538B2 (ja) * 2005-10-20 2011-09-07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真空バルブ、真空バルブの製造方法
US7781694B2 (en) * 2007-06-05 2010-08-24 Cooper Technologies Company Vacuum fault interrupter
JP2009016652A (ja) * 2007-07-06 2009-01-22 Meidensha Corp 電力用電気機器
JP2009158216A (ja) * 2007-12-26 2009-07-16 Japan Ae Power Systems Corp 真空遮断器の電極接点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US8039771B2 (en) * 2008-08-11 2011-10-18 Eaton Corporation Vacuum envelope including self-aligning end shield, vacuum interrupter, vacuum circuit interrupter and method including the same
KR101261967B1 (ko) * 2009-03-11 2013-05-0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인터럽터의 전극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20803B1 (fr) * 2000-01-25 2006-11-22 Areva T&D SA Ampoule à vide pour disjoncteur, ayant un palier de guidage monté par encliquetage
KR20050106325A (ko) * 2004-05-04 2005-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아이솔레이션 밸브
WO2013171928A1 (ja) * 2012-05-14 2013-11-21 三菱電機株式会社 真空バルブ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7623A (ko) * 2019-10-22 2021-04-30 한국전력공사 진공 인터럽터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차단기
KR20230136960A (ko) 2022-03-21 2023-10-04 한국전기연구원 조작 장치 내장형 진공 인터럽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914097A (zh) 2016-08-31
US20160247649A1 (en) 2016-08-25
CN105914097B (zh) 2018-02-06
US9552946B2 (en) 2017-01-24
EP3059752A1 (en) 2016-08-24
KR101697580B1 (ko) 2017-02-01
EP3059752B1 (en) 2017-07-12
ES2642578T3 (es) 2017-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16568B2 (ja) パッファ形ガス遮断器
KR101697580B1 (ko) 진공 인터럽터
JP2012164653A (ja) 真空回路遮断器の真空インタラプタ
KR20160021663A (ko) 진공차단기의 진공인터럽터
US9679708B2 (en) Circuit interrupters with masses in contact spring assemblies
KR101919125B1 (ko) 고압 배전기의 가스절연 개폐장치
US20150053647A1 (en) Gas circuit breaker
JPWO2013175565A1 (ja) ガス遮断器
US20160071669A1 (en) Arrangement for an Electrical Circuit Element With a Seal Configuration
KR101623404B1 (ko) 진공인터럽터
JP5510442B2 (ja) ガス遮断器
JP2015056249A (ja) 開閉器
KR102545133B1 (ko) 진공 차단기의 진공 인터럽터
JP7412876B2 (ja) 真空開閉装置
KR200448276Y1 (ko) 진공 인터럽터
JP2008311036A (ja) 真空スイッチギヤ
US9263206B2 (en) Switching device
KR200482657Y1 (ko) 진공 인터럽터
KR101668410B1 (ko) 진공차단기의 차단부
KR20180073179A (ko) 진공 인터럽터
KR101992736B1 (ko) 진공 인터럽터의 접점부
JP5455775B2 (ja) 遮断器
KR200453410Y1 (ko) 진공 차단기의 진공 인터럽터
KR200465840Y1 (ko) 진공 차단기의 진공 인터럽터
KR101783217B1 (ko) 랩타입 실 컵을 구비한 진공인터럽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