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2575A - 공기식 방현재 및 공기식 방현재용 구금구 - Google Patents

공기식 방현재 및 공기식 방현재용 구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2575A
KR20160102575A KR1020167022521A KR20167022521A KR20160102575A KR 20160102575 A KR20160102575 A KR 20160102575A KR 1020167022521 A KR1020167022521 A KR 1020167022521A KR 20167022521 A KR20167022521 A KR 20167022521A KR 20160102575 A KR20160102575 A KR 20160102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chamber
valve
opening
internal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2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6239B1 (ko
Inventor
슈 야마다
Original Assignee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02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2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6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6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E02B3/26Fe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2Fenders integral with waterborne vessel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enders forming part of the hull or incorporated in the hull; Rubbing-st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16K17/04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with more than one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16K17/048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combined with other safety valves, or with pressure 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2Fenders integral with waterborne vessel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enders forming part of the hull or incorporated in the hull; Rubbing-strakes
    • B63B2059/025Fenders integral with waterborne vessel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enders forming part of the hull or incorporated in the hull; Rubbing-strakes pneumatic, e.g. inflata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3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in transportation, e.g. on roads, waterways or rail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사용 상태에 있는 공기식 방현재에 대하여, 안전밸브의 설치와 분리 작업, 및 안전밸브의 밸브 개방압의 확인시험을 실시 가능하게 하여 그 작업에 필요한 노력 및 시간을 대폭 저감시켜 메인터넌스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키는 공기식 방현재 및 구금구를 제공한다.
개폐밸브(9)를 가압부재(10)에 의해 수용실(8)을 구성하는 격벽(7)에 형성된 관통구멍(7a)을 폐구하는 방향으로 상시 가압하고, 안전밸브(6)를 수용실(8)에 의해 방현재 주머니체(2)의 내부공간(2a)과 격리시켜, 사용상태의 공기식 방현재(1)의 안전밸브(6)의 탈착을 가능하게 하고, 수용실 개폐밸브(12a)를 열어 수용실 연통로(12)를 통하여 수용실(8)의 내부공간(8a)의 내압을 한계 압력(Pm)까지 상승시켜 안전밸브(6)의 밸브 개방압의 확인시험을 실행하고, 내부공간(2a)의 내압(P)이 한계압력(Pm) 미만이고, 초기내압(Pi)에 허용 압력(Pt)을 더한 기준 압력(Pc)를 초과한 경우에는 개폐밸브(9)가 관통구멍(7a)을 개구시켜 안전밸브(6)를 기능시킨다.

Description

공기식 방현재 및 공기식 방현재용 구금구{PNEUMATIC FENDER AND PNEUMATIC FENDER MOUTHPIECE}
본 발명은 공기식 방현재 및 공기식 방현재용 구금구에 관한 것이며, 또한 구체적으로는 사용 상태인 공기식 방현재에 대하여, 안전밸브의 설치와 분리 작업, 및 안전밸브의 밸브 개방압의 확인시험을 실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이들 작업에 필요한 노력 및 시간을 대폭 저감시켜 메인터넌스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식 방현재 및 공기식 방현재용 구금구에 관한 것이다.
공기식 방현재는 방현재 주머니체의 내부공간에 공기를 밀봉하여 충격 완화 등의 소정 성능을 얻도록 하고 있다. 과잉으로 압축된 경우에 방현재 주머니체를 밀폐한 상태로 하면 내부공간의 내압이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 한계압력을 초과해 상승하여 파손될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방현재 주머니체에 설치된 구금구에는 방현재 주머니체의 내부공간의 내압이 한계압력을 초과한 경우에 이 내부공간을 외기에 연통시키는 안전밸브가 설치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 안전밸브는 밸브 개방압의 확인테스트나 청소 등의 메인터넌스로 인해 정기적(예를 들어, 1년~3년 주기)으로 구금구에서 분리한다. 방현재 주머니체의 내부공간에 공기가 충전되어 소정의 내압으로 되어 있는 사용 상태에 있는 공기식 방현재의 구금구에서 안전밸브를 분리하려고 하면 내부공간에서 공기가 급격히 분출하므로 안전밸브의 분리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방현재 주머니체의 내부공간에서 공기를 충분히 배출시킨 후에 안전밸브의 분리 작업을 하고 있다. 즉, 안전밸브의 구금구에서 분리하려면 사용 중의 공기식 방현재를 육상이나 선상 등으로 끌어올린 다음 공기를 배출시키는 작업을 실행한다. 분리한 안전밸브의 밸브 개방압의 확인테스트나 청소 등을 완료한 후에는 재차 안전밸브를 구금구에 설치하고, 방현재 주머니체의 내부공간에 공기를 충전하며, 공기식 방현재를 소정 위치에 설치하는 작업이 필요해진다. 그런 이유로 구금구에 대하여 안전밸브를 분리 및 설치하여 메인터넌스를 하는데는 다대한 공수 및 시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3-12944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 상태에 있는 공기식 방현재에 대하여, 안전밸브의 설치와 분리 작업, 및 안전밸브의 밸브 개방압의 확인시험을 실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이들 작업에 필요한 노력 및 시간을 대폭 저감시켜 메인터넌스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식 방현재 및 공기식 방현재용 구금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공기식 방현재는 원통상부의 양단에 볼상의 거울부를 연접한 방현재 주머니체와, 상기 거울부의 적어도 일방에 설치된 구금구와, 이 구금구에 상기 방현재 주머니체의 내부공간의 내압이 한계압력으로 상승할 시에 밸브를 열어 방현재 주머니체의 내부공간을 외기로 연통시켜 상기 내압을 저하시키는 안전밸브와, 상기 방현재 주머니체의 내부공간과 외기를 연통시키는 연통로와, 이 연통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가 설치된 공기식 방현재에서, 상기 구금구에 상기 안전밸브를 상기 방현재 주머니체의 내부공간과 격리시키는 수용실과, 이 수용실을 구성하는 격벽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실의 내부공간과 상기 방현재 주머니체의 내부공간을 연통시키는 관통구멍과, 이 관통구멍을 개폐하는 개폐밸브와, 이 관통구멍을 폐구하는 방향으로 상기 개폐밸브를 상시 가압하는 가압부재와, 상기 수용실의 내부공간과 외기를 연통시키는 수용실 연통로와, 이 수용실 연통로를 개폐하는 수용실 개폐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방현재 주머니체의 내부공간의 내압이 상기 한계 압력 미만이고, 소정의 초기 내압에 허용 압력을 더한 기준 압력을 초과한 경우에 상기 관통구멍을 폐구하고 있던 상기 개폐밸브가 밸브를 열어 상기 관통구멍을 개구한 상태로 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공기식 방현재용 구금구는 방현재 주머니체의 내부공간의 내압이 한계압력으로 상승할 시에 밸브를 열어 방현재 주머니체의 내부공간을 외기로 연통시켜 상기 내압을 저하시키는 안전밸브와, 상기 방현재 주머니체의 내부공간과 외기를 연통시키는 연통로와, 이 연통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방현재 주머니체를 구성하는 볼상의 거울부에 설치되는 공기식 방현재용 구금구에서, 상기 안전밸브를 상기 방현재 주머니체의 내부공간과 격리시키는 수용실과, 이 수용실을 구성하는 격벽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실의 내부공간과 상기 방현재 주머니체의 내부공간을 연통시키는 관통구멍과, 이 관통구멍을 개폐하는 개폐밸브와, 이 관통구멍을 폐구하는 방향으로 상기 개폐밸브를 상시 가압하는 가압부재와, 상기 수용실의 내부공간과 외기를 연통시키는 수용실 연통로와, 이 수용실 연통로를 개폐하는 수용실 개폐밸브를 설치하고, 상기 방현재 주머니체의 내부공간의 내압이 상기 한계 압력 미만이고, 소정의 초기 내압에 허용 압력을 더한 기준 압력을 초과한 경우에 상기 관통구멍을 폐구하고 있던 상기 개폐밸브가 밸브를 열어 상기 관통구멍을 개구한 상태로 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금구에 안전밸브를 방현재 주머니체의 내부공간과 격리시키는 수용실과, 이 수용실을 구성하는 격벽에 형성되어 수용실의 내부공간과 방현재 주머니체의 내부공간을 연통시키는 관통구멍과, 이 관통구멍을 개폐하는 개폐밸브와, 이 관통구멍을 폐구하는 방향으로 개폐밸브를 상시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방현재 주머니체의 내부공간의 내압이 한계 압력 미만이고, 소정의 초기 내압에 허용 압력을 더한 기준 압력을 초과한 경우에 관통구멍을 폐구하고 있던 개폐밸브가 밸브를 열어 관통구멍을 개구한 상태로 하는 구성하고 있으므로, 방현재 주머니체의 내부공간의 내압이 한계 압력 이상이 되면 개폐밸브가 밸브를 연 상태가 되어 관통구멍을 통하여 방현재 주머니체의 내부공간과 수용실의 내부공간이 연통하여 안전밸브도 밸브를 연다. 이것에 의해 안전밸브가 종래대로 기능하고, 방현재 주머니체가 과잉 압축되어도 내부공간의 내압이 저하하므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방현재 주머니체의 내부공간의 내압이 소정의 초기 내압에 허용 압력을 더한 기준 압력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는 개폐밸브가 밸브를 닫아 관통구멍을 폐구한 상태가 되므로, 공기식 방현재의 통상의 사용 상태로는 관통구멍이 폐구하고 있어 수용실에 의해 안전밸브는 방현재 주머니체의 내부공간과 격리된다. 따라서 안전밸브를 구금구에서 분리하는 작업 및 구금구에 설치하는 작업을 안전하게 실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 상태에 있는 공기식 방현재를 육상 및 선상에 끌어올리지 않고 사용 상태 그대로 안전밸브의 분리 및 설치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수용실의 내부공간과 외기를 연통시키는 수용실 연통로와 이 수용실 연통로를 개폐하는 수용실 개폐밸브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안전밸브가 방현재 주머니체의 내부공간과 격리된 상태로 수용실 개폐밸브를 열어 수용실 연통로를 통하여 수용실의 내부공간의 내압을 한계 압력까지 상승시킬 수 있다. 즉, 사용 상태에 있는 공기식 방현재에 대하여 안전밸브의 밸브 개방압의 확인시험을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 상태인 공기식 방현재에 대하여, 안전밸브의 설치와 분리 작업, 및 밸브 개방압의 확인시험을 실행할 수 있으므로 이들 작업에 필요한 노력 및 시간을 대폭 저감시켜 메인터넌스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기식 방현재를 종단면으로 보아 예시한 전체 개요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본 발명의 구금구의 주변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본 발명의 구금구의 주변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개폐밸브가 열려 있는 상태를 예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구금구의 다른 실시형태를 종단면으로 보아 예시한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공기식 방현재 및 공기식 방현재용 구금구를 도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도 3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공기식 방현재(1)(이하, 방현재(1)이라고 함)는 고무를 주 재료로서 보강재가 매설되어 구성된 방현재 주머니체(2)를 갖고 있다. 방현재 주머니체(2)는 원통상부(3a)의 통축방향 양단에 볼상의 거울부(3b)를 연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일방의 거울부(3b)에는 본 발명의 구금구(4)가 설치되어 있다. 구금구(4)는 양측의 거울부(3b)에 설치되어 있는 것도 있다. 구금구(4)는 원통 오목상의 금구부재이며, 구금구(4)의 개구는 볼트 등으로 설치되는 금구 뚜껑부(5)로 덮여 있다.
구금구(4)에는 안전밸브(6)와, 방현재 주머니체(2)의 내부공간(2a)과 외기를 연통시키는 연통로(11)와, 연통로(11)를 개폐하는 개폐밸브(11a)가 설치되어 있다. 구금구(4)에는 또한 안전밸브(6)를 내부공간(2a)과 격리시키는 수용실(8)과, 이 수용실(8)을 구성하는 격벽(7)에 형성된 관통구멍(7a)과, 관통구멍(7a)을 개폐하는 개폐밸브(9)와, 개폐밸브(9)를 상시 가압하는 가압부재(10)와, 수용실(8)의 내부공간(8a)과 외기를 연통시키는 수용실 연통로(12)와, 수용실 연통로(12)를 개폐하는 수용실 개폐밸브(12a)가 설치되어 있다.
수용실(8)은 안전밸브(6)가 설치된 평판부(4a)에서 방현재 주머니체(2)의 내부공간(2a)을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안전밸브(6)는 평판부(4a)를 관통하여 수용실(8)의 내부공간(8a)으로 돌출하여 평판부(4a)에 고정되어 있다. 연통로(11)는 평판부(4a) 및 수용실(8)을 관통하여 내부공간(2a)까지 연설되어 있다. 수용실 연통로(12)는 평판부(4a)를 관통하여 수용실(8)의 내부공간(8a)까지 연설되어 있다.
관통구멍(7a)은 수용실(8)의 내부공간(8a)과 방현재 주머니체(2)의 내부공간(2a)을 연통시킨다. 개폐밸브(9)는 관통구멍(7a)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어, 수용실(8)의 내부공간(8a)에 배치되어 있다. 개폐밸브(9)에는 대경축(9a)과 대경축(9a)으로 출몰 가능한 소경축(9b)이 설치되어 있다. 대경축(9a)의 일방 단은 개폐밸브(9)에 고정되고, 소경축(9b)의 타방 단은 평판부(4a)에 고정되어 있다. 가압부재(10)는 관통구멍(7a)을 폐구하는 방향으로 개폐밸브(9)를 상시 가압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가압부재(10)로서 금속제 코일스프링이 이용되어 있고, 개폐밸브(9)와 평판부(4a) 사이에 배치된 코일스프링(10)에는 대경축(9a) 및 소경축(9b)이 삽통한 구조로 되어 있다.
안전밸브(6)는 방현재 주머니체(2)가 과잉 압축되어도 파손되지 않도록 설정된 한계 압력(Pm)으로 상승할 시에 밸브가 열린다. 관통구멍(7a)을 폐구하는 방향으로 상시 가압되고 있는 개폐밸브(9)는 내부공간(2a)의 내압(P)이 한계 압력(Pm) 미만이고, 소정의 소기 압력(pi)에 허용 압력(Pt)을 더한 기준 압력(Pc)을 초과한 경우에 밸브를 열어 관통구멍(7a)을 개구한 상태로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소정의 초기 내압(Pi)이란 방현재 주머니체(2)가 압축되어 있지 않은 공기식 방현재(1)의 중립의 통상 사용 상태에 따른 내부공간(2a)의 내압에 상당하다. 즉, 관통구멍(7a)을 개구하고 있는 개폐밸브(9)는 내부공간(2a)의 내압(P)이 Pi+Pt<P<Pm의 범위가 된 경우에 관통구멍(7a)을 개구시킨다.
이 공기식 방현재(1)를 사용할 시에는 내부공간(2a)에 공기(A) 혹은 공기(A) 및 유체(물)를 충전하여 내부공간(2a)을 소정의 초기 내압(Pi)으로 한다. 이 상태로 공기식 방현재(1)를 안벽 등 사용하는 장소에 설치한다. 방현재 주머니체(2)가 압축되어 있지 않은 공기식 방현재(1)가 중립의 통상 사용 상태에서는, 관통구멍(7a)은 개폐밸브(9)에 의해 폐구된 상태가 되어 있다.
방현재 주머니체(2)가 압축되어 내부공간(2a)의 내압(P)이 기준 압력(Pc)을 초과한 경우(P>Pi+Pt=Pc인 경우), 도 4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개폐밸브(9)가 가압부재(10)에 의한 가압력에 대항하여 방현재 주머니체(2)의 통상방향으로 이동하여 밸브를 닫고, 관통구멍(7a)을 통하여 내부공간(2a)과 수용실(8)의 내부공간(8a)이 연통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방현재 주머니체(2)의 내부공간(2a)의 내압과 수용실(8)의 내부공간(8a)의 내압은 동일해진다.
방현재 주머니체(2)가 더욱 압축되어 내부공간(2a)의 내압(P)이 한계 압력(Pm)을 초과하면 내부공간(8a)의 내압도 한계 압력(Pm)을 초과하므로 안전밸브(6)는 닫힌다. 이와 같이 방현재 주머니체(2)가 과잉 압축되어 내부공간(2a)의 내압(P)이 한계 압력(Pm)을 초과하면 안전밸브(6)는 종래대로 기능하고, 내부공간(2a)을 외기로 연통시켜 내부공간(2a)의 내압(P)을 한계 압력(Pm) 이하로 저하시키므로, 방현재 주머니부(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방현재 주머니체(2)의 내부공간(2a)의 내압(P)이 기준 압력(Pc)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P<Pi+Pt=Pc인 경우)는 개폐밸브(9)가 밸브를 닫아 관통구멍(7a)을 폐구한 상태로 하므로, 공기식 방현재(1)의 통상 사용 상태에서는 관통구멍(7a)이 폐구한 상태로 수용실(8)에 의해 안전밸브(6)는 방현재 주머니체(2)의 내부공간(2a)과 격리된다. 따라서 안전밸브(6)를 구금구(4)에서 분리하는 작업 및 구금구(4)에 설치하는 작업을 안전하게 실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 상태에 있는 공기식 방현재(1)를 육상 및 선상으로 끌어올리지 않고 사용 상태 그대로 안전밸브(6)의 분리 및 설치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개폐밸브(9)가 닫히고 관통구멍(7a)이 폐구한 상태의 공기식 방현재(1)의 통상 사용 상태에서는 수용실 개폐밸브(12a)를 열어 수용실 연통로(12)를 통하여 수용실(8)의 내부공간(8a)에 압축공기를 주입함으로써, 내부공간(8a)의 내압을 한계 압력(Pm)까지 상승시킬 수 있다. 즉, 사용 상태에 있는 공기식 방현재(1)에 대하여 안전밸브(6)의 밸브 개방압의 확인시험을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 상태에 있는 공기식 방현재(1)에 대하여, 안전밸브(6)의 설치와 분리 작업, 및 밸브 개방압의 확인시험을 실행할 수 있으므로 이들 작업에 필요한 노력 및 시간을 대폭 저감시켜 메인터넌스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허용 압력(Pt)은 예를 들어, 소정의 초기 내압(Pi)의 5% 이상 20% 이하로 설정되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초기 내압(Pi)의 5% 이상 10% 이하로 설정된다. 허용 압력(Pt)이 소정의 초기 내압(Pi)의 5% 미만이면 개폐밸브(9)가 열리고 관통구멍(7a)이 개구한 상태가 되는 빈도가 잦아진다. 따라서 안전밸브(6)를 구금구(4)에서 분리하기 어려워진다. 한편 허용 압력(Pt)이 소정의 초기 내압(Pi)의 20% 초과하면 방현재 주머니부(2)의 내부공간(2a)의 압력(P)이 급격히 한계 압력(Pm)까지 상승할 시에 타임 래그 없이 신속히 안전밸브(6)를 열기 어려워진다.
방현재 주머니부(2)의 내부공간(2a)의 압력(P)이 급격히 한계 압력(Pm)까지 상승할 시에 타임 래그 없이 신속히 안전밸브(6)를 열게 하기 위해서는 관통구멍(7a)의 개구 면적을 되도록 크게 하면 좋다. 예를 들어, 관통구멍(7a)의 개구 면적은 안전밸브(6)의 압력검지부의 면적의 3배~5배로 한다.
가압부재(10)는 이 실시형태와 같이 코일스프링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일스프링은 여러 가지 사양의 것이 유통되고 있으므로 원하는 가압력, 내구성을 갖는 것을 입수하기 쉽다. 가압부재(10)로는 그 외 고무 등의 탄성부재나 판 스프링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5에 예시하는 구금구(4)의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안전밸브(6)와 관통구멍(7a)이 방현재 주머니체(2)의 통축방향과 동일한 축선 상에 배치되고, 개폐밸브(9)가 방현재 주머니체(2)의 통축방향으로 이동하여 관통구멍(7a)을 개폐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개폐밸브(9)에는 안전밸브(6)를 향하여 연설된 지지축(9c)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다. 이 지지축(9c)과 안전밸브(6)는 방현재 주머니체(2)의 통축방향과 동일한 축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지지축(9c)과 안전밸브(6)의 평판부(4a)에서 돌출하고 있는 부분이 코일스프링(10)의 각각의 단부에 삽입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의 구금구(4)에 의하면 개폐밸브(9)의 설치에 필요한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1 공기식 방현재
2 방현재 주머니체
2a 내부공간
3a 원통상부
3b 거울부
4 구금구
4a 평판부
5 금구 뚜껑부
6 안전밸브
7 격벽
7a 관통구멍
8 수용실
8a 내부공간
9 개폐밸브
9a 대경축
9b 소경축
9c 지지축
10 가압부재
11 연통로
11a 개폐밸브
12 수용실 개폐로
12a 수용실 개폐밸브

Claims (8)

  1. 원통상부의 양단에 볼상의 거울부를 연접한 방현재 주머니체와, 상기 거울부의 적어도 일방에 설치된 구금구와, 이 구금구에 상기 방현재 주머니체의 내부공간의 내압이 한계 압력으로 상승할 시에 밸브가 열려 방현재 주머니체의 내부공간을 외기로 연통시켜 상기 내압을 저하시키는 안전밸브와, 상기 방현재 주머니체의 내부공간과 외기를 연통시키는 연통로와, 이 연통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가 설치된 공기식 방현재에 있어서,
    상기 구금구에, 상기 안전밸브를 상기 방현재 주머니체의 내부공간과 격리시키는 수용실과, 이 수용실을 구성하는 격벽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실의 내부공간과 상기 방현재 주머니체의 내부공간을 연통시키는 관통구멍과, 이 관통구멍을 개폐하는 개폐밸브와, 이 관통구멍을 폐구하는 방향으로 상기 개폐밸브를 상시 가압하는 가압부재와, 상기 수용실의 내부공간과 외기를 연통시키는 수용실 연통로와, 이 수용실 연통로를 개폐하는 수용실 개폐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방현재 주머니체의 내부공간의 내압이 상기 한계 압력 미만이고, 소정의 초기 내압에 허용 압력을 더한 기준 압력을 초과한 경우에 상기 관통구멍을 폐구하고 있던 상기 개폐밸브가 밸브를 열어 상기 관통구멍을 개구한 상태로 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식 방현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용 압력이 상기 소정의 초기 내압의 5% 이상 20% 이하로 설정된, 공기식 방현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가 코일스프링인, 공기식 방현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밸브와 상기 관통구멍이 상기 방현재 주머니체의 통축방향과 동일한 축선 상에 배치되고, 상기 개폐밸브가 상기 통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관통구멍을 개폐하는 구성인, 공기식 방현재.
  5. 방현재 주머니체의 내부공간의 내압이 한계 압력으로 상승할 시에 밸브가 열려 방현재 주머니체의 내부공간을 외기로 연통시켜 상기 내압을 저하시키는 안전밸브와, 상기 방현재 주머니체의 내부공간과 외기를 연통시키는 연통로와, 이 연통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방현재 주머니체를 구성하는 볼상의 거울부에 설치되는 공기식 방현재용 구금구에 있어서,
    상기 안전밸브를 상기 방현재 주머니체의 내부공간과 격리시키는 수용실과, 이 수용실을 구성하는 격벽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실의 내부공간과 상기 방현재 주머니체의 내부공간을 연통시키는 관통구멍과, 이 관통구멍을 개폐하는 개폐밸브와, 이 관통구멍을 폐구하는 방향으로 상기 개폐밸브를 상시 가압하는 가압부재와, 상기 수용실의 내부공간과 외기를 연통시키는 수용실 연통로와, 이 수용실 연통로를 개폐하는 수용실 개폐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방현재 주머니체의 내부공간의 내압이 상기 한계 압력 미만이고, 소정의 초기 내압에 허용 압력을 더한 기준 압력을 초과한 경우에 상기 관통구멍을 폐구하고 있던 상기 개폐밸브가 밸브를 열어 상기 관통구멍을 개구한 상태로 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식 방현재용 구금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허용 압력이 상기 소정의 초기 내압의 5% 이상 20% 이하로 설정된, 공기식 방현재용 구금구.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가 코일스프링인, 공기식 방현재용 구금구.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밸브와 상기 관통구멍이 상기 방현재 주머니체의 통축방향과 동일한 축선 상에 배치되고, 상기 개폐밸브가 상기 통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관통구멍을 개폐하는 구성인, 공기식 방현재용 구금구.
KR1020167022521A 2014-03-31 2015-03-24 공기식 방현재 및 공기식 방현재용 구금구 KR1016962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71321 2014-03-31
JP2014071321A JP6291968B2 (ja) 2014-03-31 2014-03-31 空気式防舷材および空気式防舷材用口金具
PCT/JP2015/058949 WO2015151937A1 (ja) 2014-03-31 2015-03-24 空気式防舷材および空気式防舷材用口金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2575A true KR20160102575A (ko) 2016-08-30
KR101696239B1 KR101696239B1 (ko) 2017-01-13

Family

ID=54240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2521A KR101696239B1 (ko) 2014-03-31 2015-03-24 공기식 방현재 및 공기식 방현재용 구금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09940B2 (ko)
EP (1) EP3128081B1 (ko)
JP (1) JP6291968B2 (ko)
KR (1) KR101696239B1 (ko)
CN (1) CN106029985B (ko)
WO (1) WO201515193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2378B1 (ko) 2018-05-17 2018-07-26 (주)화승엑스윌 공압식 방충재용 개폐밸브
KR102162839B1 (ko) 2020-08-06 2020-10-07 (주)화승엑스윌 공압식 방충재용 복합밸브
KR102295302B1 (ko) 2021-02-23 2021-08-31 (주)화승코퍼레이션 공압식 방충재용 복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28082B1 (en) * 2014-03-31 2019-04-24 The Yokohama Rubber Co., Ltd. Pneumatic fender and pneumatic fender mouthpie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9219A (ja) * 1995-08-08 1997-02-18 Yokohama Rubber Co Ltd:The 内圧自動検出装置を備えた空気式防舷材
JP2001311128A (ja) * 2000-04-28 2001-11-09 Yokohama Rubber Co Ltd:The 標識手段を備えた防舷材
JP2002021044A (ja) * 2000-07-10 2002-01-23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式防舷材の口金部の構造
JP2003119752A (ja) * 2001-10-11 2003-04-23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式防舷材
JP2003129446A (ja) 2001-10-25 2003-05-08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式防舷材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16503B2 (de) * 1973-04-03 1977-09-15 Ausscheidung in: 23 65 558 Messerschmitt-Bölkow-Blohm GmbH, 8000 München Stossfaenger fuer fahrzeuge
US4176858A (en) * 1974-01-04 1979-12-04 Safety Consultants Energy absorbing bumper system
US4099759A (en) * 1976-05-18 1978-07-11 Safety Consultants Energy absorbing bumper system
SU1661051A1 (ru) * 1989-08-04 1991-07-07 Дальневосточное Высшее Инженерное Морское Училище Адмирала Г.И.Невельского Пневматический кранец
CN2067251U (zh) * 1990-04-14 1990-12-12 沈阳胶管厂 人孔充气帽型橡胶护舷装置
CN2238266Y (zh) * 1995-04-28 1996-10-23 陈楚珍 充水防撞胶囊
JP3786526B2 (ja) * 1998-09-09 2006-06-14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式防舷材の気密テスト方法及び気密テスト装置
US6126214A (en) * 1999-07-26 2000-10-03 Kim; Sun Young Air bumper
JP2002115768A (ja) * 2000-10-06 2002-04-19 Asuka Kogyo Kk 安全弁用切換弁
CN2619870Y (zh) * 2003-06-04 2004-06-09 管仲辉 橡胶护舷
WO2011155265A1 (ja) * 2010-06-11 2011-12-15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式防舷材の管理システム
JP5077471B1 (ja) 2011-09-30 2012-11-21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式防舷材用のセンサ収納容器および空気式防舷材
EP3128082B1 (en) * 2014-03-31 2019-04-24 The Yokohama Rubber Co., Ltd. Pneumatic fender and pneumatic fender mouthpie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9219A (ja) * 1995-08-08 1997-02-18 Yokohama Rubber Co Ltd:The 内圧自動検出装置を備えた空気式防舷材
JP2001311128A (ja) * 2000-04-28 2001-11-09 Yokohama Rubber Co Ltd:The 標識手段を備えた防舷材
JP2002021044A (ja) * 2000-07-10 2002-01-23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式防舷材の口金部の構造
JP2003119752A (ja) * 2001-10-11 2003-04-23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式防舷材
JP2003129446A (ja) 2001-10-25 2003-05-08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式防舷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2378B1 (ko) 2018-05-17 2018-07-26 (주)화승엑스윌 공압식 방충재용 개폐밸브
US10717504B2 (en) 2018-05-17 2020-07-21 Hwaseung Exwill Co., Ltd. Shut-off valve for pneumatic fender
KR102162839B1 (ko) 2020-08-06 2020-10-07 (주)화승엑스윌 공압식 방충재용 복합밸브
KR102295302B1 (ko) 2021-02-23 2021-08-31 (주)화승코퍼레이션 공압식 방충재용 복합장치
EP4047134A1 (en) 2021-02-23 2022-08-24 Hwaseung Corporation Co., Ltd. Multi-function safety device for pneumatic fen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51937A1 (ja) 2015-10-08
JP6291968B2 (ja) 2018-03-14
CN106029985A (zh) 2016-10-12
US20170022678A1 (en) 2017-01-26
US9809940B2 (en) 2017-11-07
EP3128081A1 (en) 2017-02-08
KR101696239B1 (ko) 2017-01-13
JP2015193988A (ja) 2015-11-05
CN106029985B (zh) 2017-06-23
EP3128081A4 (en) 2018-01-17
EP3128081B1 (en) 2019-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6239B1 (ko) 공기식 방현재 및 공기식 방현재용 구금구
KR20160138386A (ko) 공기식 방현재 및 공기식 방현재용 구금구
CN104145147B (zh) 具有集成加压气体储藏器的气动闸门阀
US8714514B2 (en) Pinch valve having integrated pressure chamber
KR102545518B1 (ko) 압력 릴리프 밸브
JP4949754B2 (ja) 空気圧式マッサージ装置
CN205118352U (zh) 吸排气控制阀
WO2009010054A3 (de) Druckluftreifen-ventilvorrichtung und system und verfahren zur einstellung des reifendrucks
KR20150021165A (ko) 유공압식 릴리프 밸브
TW200500563A (en) Relief valve
CN203772587U (zh) 一种地下水采样器启闭阀
ES2870073T3 (es) Válvula de alta presión con pistón telescópico
JP2017227332A (ja) 安全機構を備えたガスシリンダアクチュエータ
EP3176480A1 (en) Solenoid valve for releasing fluid pressure
KR200487864Y1 (ko) 배관 구조
JP2009103272A (ja) 安全弁
EP1343064A8 (en) Pressure control valve
KR200492731Y1 (ko) 진공작업 및 진공검사용 플러그 조절밸브
KR101979565B1 (ko) 기어 구동식 자동 인플레이션 밸브
KR101468794B1 (ko) 응축수 배출기
CN207364284U (zh) 一种新型电磁容器阀
KR20060040565A (ko) 파이롯트 밸브를 이용한 압력방출시스템
JP4330519B2 (ja) 減圧弁
EP3789257A1 (en) Tank device, in particular brake fluid reservoir for a hydraulic brake system of a vehicle
UA129450U (uk) Мембранний запобіжний пристрі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