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2130A - 자동차에서 대기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에서 대기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2130A
KR20160102130A KR1020160019270A KR20160019270A KR20160102130A KR 20160102130 A KR20160102130 A KR 20160102130A KR 1020160019270 A KR1020160019270 A KR 1020160019270A KR 20160019270 A KR20160019270 A KR 20160019270A KR 20160102130 A KR20160102130 A KR 20160102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controller
wake
wakeup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9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1422B1 (ko
Inventor
다니엘 슈페써
Original Assignee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60102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2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1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1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15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L11/1818
    • B60L11/1825
    • B60L11/185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G05B19/0428Safety, monito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3Pc programming
    • G05B2219/23237Program execution by message pass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6Pc applications
    • G05B2219/2637Vehicle, car, auto, wheelcha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에서 대기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제어 장치의 웨이크 업 제어기(10)가 대기 상태에서 제어 장치로 연결된 자동차의 복수의 주변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주변 구성요소를 이벤트 제어 방식으로 선택하고, 상기 웨이크 업 제어기(10)가 선택된 주변 구성요소의 동작 상태를 체크하며, 상기 웨이크 업 제어기(10)가 상기 동작 상태에 따라 자동차를 대기 상태로부터 웨이크 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응하는 장치, 상응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및 상응하는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에서 대기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 QUIESCENT STATE IN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에서 대기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웨이크 업(wake-up) 제어기 형태의 상응하는 장치, 상응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및 상응하는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 자동차 내 제어 장치로 대기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여러 가지 접근방식을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공지된 일부 제어 장치[예를 들어, 충전 케이블을 통해, 전기 구동 자동차의 견인(traction) 배터리를 고정 전력 공급망으로 연결하기 위해서 제공된 차량탑재형 충전기(OBC)]는 복수의 주변 구성요소를 갖는다. 이러한 종류의 주변 구성요소들은 특히, 정보를 제어하거나 리드 백(read back)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차량탑재형 충전기의 경우에 예를 들어, 정보 형성,타당성 검증 및 진단을 위해 상응하는 진단 저항들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 푸시버튼 또는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또한, 자동차가 "슬립 모드(sleep mode)"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자동차는 사용자의 상응하는 동작(예를 들어 차량탑재형 충전기의 경우, 제공된 충전 소켓에 플러그를 연결하거나 푸시버튼을 누르는 동작)을 통해, 웨이크 업 제어기에 의해 웨이크 업된다. 그에 따라, 자동차가 웨이크 업되어야 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모든 진단 저항에 전류가 인가되어야 하고, 리드 백 전압이 정보 캐리어로서 처리되어야 한다. 이는 대기 전류의 급격한 증가를 초래한다.
그래서 US 6,198,995 B1호는, 다수의 차량 서브시스템의 입력부를 갖는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을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에 따르면, 차량이 스탠바이(standby) 모드로 전환되고, 이 경우 평상시에는 다수의 차량 서브시스템으로부터 입력부들로 작동 개시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다. 이어서, 입력부들은 순환 사이클(recurring cycle)에서 작동 개시 신호에 대해 스캐닝되고, 이러한 프로세스는 미리 정해진 기간에 걸쳐 시간과 관련하여 조정된다. 이 경우, 스캐닝 단계들 간 사이클 사이의 시간은 적어도 특정 입력부에서의 작동 개시 신호의 결여에 응답하여, 각각의 선행 스캐닝 단계를 위한 각각의 사전 결정된 기간 내에 연장된다.
US 6,674,762 B2호는, 복수의 스테이션들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전자 시스템에서, 신호 레벨 및 웨이크 업 레벨의 적절한 선택에 의해 부분적인 시스템 동작이 가능하고, 그 결과, 스테이션들의 일부가 서로 통신할 수 있는 한편, 다른 스테이션들은 대기 모드에 있을 수 있어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고 기술하고 있다.
EP 0 571 718 B1호도 역시 차량 내 기능 그룹들의 스탠바이 모드를 위한 회로를 개시하며, 이들 기능 그룹은 제어 장치, 센서들 및 액추에이터들로 형성된다. 그러한 회로는, 차량이 멈추고 스탠바이 모드가 활성화되면, 기능 그룹들에 전압을 공급하여 특정 기능 범위를 활성 상태로 유지하고, 그리고/또는 특정 기능 범위를 활성화시키고 다른 기능 범위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미리 규정된 시간 이후에 또는, 예를 들어 에너지 비축분의 고갈을 나타내는 미리 규정된 센서 값이 검출될 때, 스탠바이 모드의 자력 차단이 제공된다.
US 7,183,896 B2호 및 KR 10-1131526호는 상응하는 또 다른 방법들, 장치들, 제어 시스템들 및 매체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독립청구항들에 따라 자동차에서 대기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상응하는 장치, 상응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및 상응하는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청구항에 따르면, 선택적으로 그리고 이벤트 제어 방식으로(event-controlled) 주변 구성요소를 선택하여 일부 주변 구성요소만을 체크하는, 제어 장치 내 웨이크 업 제어기에 의해 적응 제어(adaptive control)가 제공된다.
웨이크 업 제어기를 이용하여 제어 장치의 주변 구성요소를 자동적으로 식별 및 선택함으로써 대기 전류가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해결책은, 범용 차량탑재형 충전기의 사용 시나리오에서 특별한 장점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충전 소켓 내에 플러그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주변 구성요소가 체크되지 않고, 충전 소켓 내에 충전 플러그가 삽입되어 있으나 제어 신호/CP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 하나의 주변 구성요소만 체크된다.
본 발명의 그 밖의 유리한 구성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들에 도시되어 있고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웨이크 업 제어기의 전자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개별 웨이크 업 출력부에 대한 전류 인가의 시간에 따른 진행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은 자동차에서 대기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제어 장치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웨이크 업 제어기(10)를 도시한다. 본 경우에 제어 장치는 - 도면에서 위로부터 아래의 순서로 - 제1 웨이크 업 출력부(11), 제2 웨이크 업 출력부(12), 제3 웨이크 업 출력부(13) 및 제4 웨이크 업 출력부(14)를 갖는 차량탑재형 충전기(OBC)이고, 이들 웨이크 업 출력부는 각각 플러그, 파일럿 접점, 제2 푸시버튼 및 제1 푸시버튼에 할당된다. 물론,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한, (편의상 그 전체가 도시되지 않은) 자동차의 매우 다양한 추가 구성요소가 차량탑재형 충전기로 연결될 수 있다.
웨이크 업 제어기(10)는 예로서 언급된 상기 주변 구성요소 각각을 고유의 대기 전류(I PXY, I CP, I 푸시버튼2 또는 I 푸시버튼1)을 이용하여 체크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고유 대기 전류는 각각의 주변 구성요소의 진단 저항을 통해 흐른다. 그에 따라, 각각의 주변 구성요소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진단 저항을 통해 강하된 리드 백 전압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웨이크 업이 실시될 수 있다. 도 2는 이러한 과정의 상세 내용을 도시한다.
이를 위해, 도 1에 따른 차량탑재형 충전기의 웨이크 업 제어기(10)가 이벤트 제어 방식으로 주변 구성요소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구성요소를 선택하고, 적어도 하나의 주변 구성요소의 동작 상태를 전술한 방식으로 체크한다. 이때, 상기 선택은, 웨이크 업 제어기(10)의 제2 모듈이 상응하는 웨이크 업 출력부를 선택하기 전에, 웨이크 업 제어기(10)의 제1 모듈에 의해 수행된다. 그러는 사이에 웨이크 업 제어기(10)의 제3 모듈(25)이 진단을 위한 이력 정보를 수집하는 한편, 웨이크 업 제어기(10)의 제4 모듈(26)은 웨이크 업 출력부(11, 12, 13, 14)의 접속을 모니터링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한다. 마지막으로, 웨이크 업 제어기(10)의 제5 모듈이 필요에 따라 차량탑재형 충전기의 공회전을 계속 모니터링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포함된 모듈들은 임의적으로 캐스케이드 방식으로(cascaded) 접속될 수 있으며, 이는 단지 일례일 뿐이다.
개별 모듈들 사이의 기능적 상호작용은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플러그가 삽입되어 있지 않음을 제5 모듈이 확인한 경우, 차량탑재형 충전기의 제1 동작 상황(21)이 존재한다. 이러한 제1 동작 상황(21)에서는, 모든 웨이크 업 출력부(11, 12, 13, 14)가 차단되고, 더 이상 체크가 수행되지 않으며, 이때 제1 웨이크 업 출력부(11)만 예외가 된다. 이러한 제1 동작 상황(21)에서는 대기 전류가 종래의 방법에 비해 1/10로 감소한다.
차량탑재형 충전기의 제2 동작 상황(22)에서는, 플러그가 삽입되고 제1 모듈이 활성화된다. 이러한 제2 동작 상황(22)에서는 제1 웨이크 업 출력부(11)를 통해 실제로 대기 전류(I PXY)만 흐른다.
플러그도 삽입되고 플러그의 파일럿 접점에 CP 신호도 인가되는 제3 동작 상황(23)에서는 이와 다른 거동이 나타난다. 여기서는 제2 모듈이 활성화된다. 이러한 제3 동작 상황(23)에서는, 제1 웨이크 업 출력부(11), 제2 웨이크 업 출력부(12), 제3 웨이크 업 출력부(13), 및 제4 웨이크 업 출력부(14)를 통해 각각의 대기 전류(I PXY, I CP, I 푸시버튼2 또는 I 푸시버튼1)가 흐르고, 상기 웨이크 업 출력부들이 체크되며, 그 결과 최대로 가능한 총 대기 전류(I PXY + I CP + I 푸시버튼2 + I 푸시버튼1)가 생성된다.
마지막으로, 차량탑재형 충전기의 제4 동작 상황(24)에서는, 플러그가 접속되고, CP 신호가 제거되고, 제2 모듈이 활성화되는 한편, 제1 모듈은 모드를 변경한다. 그에 따라, 제1 웨이크 업 출력부(11)를 통해 대기 전류(I PXY)만 흐르고, 제2 웨이크 업 출력부(12)를 통해 대기 전류(I CP)만 흐르며, 제3 웨이크 업 출력부(13) 및 제4 웨이크 업 출력부(14)는 비활성화되고, 이는 대기 전류 소비량의 상당한 감소를 유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근방식의 이점은, 도 3에서 제2 동작 상황(22)에 대해 도시된, 플러그만 접속되어 있는 웨이크 업 전류 공급을 통해 확인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 상황에서는, 사용자에 의한 푸시 버튼의 평균 동작 지속시간에 상응하는 (예를 들어 약 330μs의) 시간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플러그 커넥터의 진단 저항을 통해 대기 전류(I PXY)가 흐르는 반면, 다른 웨이크 업 출력부(12, 13, 14)로는 전류가 인가되지 않는 방식으로, 제1 모듈이 시간 진행(t)에 걸쳐 플러그를 체크한다. 그에 따라, 예를 들어 하기의 평균 대기 전류가 합산 산출된다:
I PXY + I CP + I 푸시버튼2 + I 푸시버튼1 = 100μA

Claims (10)

  1.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차에서 대기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20)으로서,
    - 상기 제어 장치의 웨이크 업 제어기(10)가 대기 상태에서 상기 제어 장치로 연결된 자동차의 복수의 주변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주변 구성요소를 이벤트 제어 방식으로 선택하고,
    - 상기 웨이크 업 제어기(10)는 상기 선택된 주변 구성요소의 동작 상태를 체크하며,
    - 상기 웨이크 업 제어기(10)는 상기 동작 상태에 따라 자동차를 대기 상태로부터 웨이크 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상태 모니터링 방법(2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차량탑재형 충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상태 모니터링 방법(20).
  3. 제2항에 있어서,
    - 상기 차량탑재형 충전기의 제1 웨이크 업 출력부(11)를 통해 플러그가 체크되고,
    - 상기 차량탑재형 충전기의 제2 웨이크 업 출력부(12)를 통해 파일럿 접점이 체크되고,
    - 상기 차량탑재형 충전기의 제3 웨이크 업 출력부(13)를 통해 제2 푸시버튼이 체크되고,
    - 상기 차량탑재형 충전기의 제4 웨이크 업 출력부(14)를 통해 제1 푸시버튼이 체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상태 모니터링 방법(20).
  4. 제3항에 있어서,
    - 상기 웨이크 업 제어기(10)의 제1 모듈이 동작 상태를 체크하고,
    - 상기 웨이크 업 제어기(10)의 제2 모듈이 웨이크 업 출력부(11, 12, 13, 14)를 선택하며,
    - 상기 웨이크 업 제어기(10)의 제3 모듈(25)이 진단을 위한 이력 정보를 수집하며,
    - 상기 웨이크 업 제어기(10)의 제4 모듈(26)이 상기 웨이크 업 출력부(11, 12, 13, 14)의 접속을 모니터링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며,
    - 상기 웨이크 업 제어기(10)의 제5 모듈이 상기 차량탑재형 충전기의 공회전을 계속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상태 모니터링 방법(20).
  5. 제4항에 있어서,
    - 상기 차량탑재형 충전기의 제1 작동 상황(21)에서 상기 플러그가 분리되고 상기 제5 모듈이 활성화되며,
    - 상기 차량탑재형 충전기의 제2 동작 상황(22)에서 상기 플러그가 연결되고 상기 제1 모듈이 활성화되며,
    - 상기 차량탑재형 충전기의 제3 동작 상황(23)에서 상기 플러그가 연결되고, 신호가 파일럿 접점으로 인가되고, 상기 제2 모듈이 활성화되며, 그리고
    - 상기 차량탑재형 충전기의 제4 동작 상황(24)에서 상기 플러그가 연결되고, 상기 신호가 제거되고, 상기 제2 모듈 및 제1 모듈이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상태 모니터링 방법(20).
  6. 제5항에 있어서,
    - 상기 체크 동작은, 상기 주변 구성요소의 진단 저항기을 통해 흐르는 대기 전류에 의해서 실시되고,
    - 상기 웨이크 업 동작은 상기 진단 저항을 통해 강하되는 리드 백(read-back) 전압에 따라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상태 모니터링 방법(20).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은 제2 동작 상황(22)에서, 대기 전류가 상기 진단 저항을 통해 330μs의 시간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흐르는 방식으로, 상기 플러그를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상태 모니터링 방법(20).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20)으로 자동차에서 대기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제어 장치를 위한 웨이크 업 제어기(10)로서:
    - 상기 제어 장치에 접속된, 자동차의 복수의 주변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주변 구성요소를 이벤트 제어 방식으로 선택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 상기 선택된 주변 구성요소의 동작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수단, 및
    - 상기 동작 상태에 따라 자동차를 웨이크 업시키기 위한 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크 업 제어기(10).
  9. 제어 장치에서 실행될 경우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의 모든 단계를 수행하도록 설계되고, 기계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0. 제9항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계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160019270A 2015-02-19 2016-02-18 자동차에서 대기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8614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102352.0A DE102015102352A1 (de) 2015-02-19 2015-02-19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Überwachen eines Ruhezustandes bei einem Kraftfahrzeug
DE102015102352.0 2015-0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2130A true KR20160102130A (ko) 2016-08-29
KR101861422B1 KR101861422B1 (ko) 2018-05-28

Family

ID=56577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9270A KR101861422B1 (ko) 2015-02-19 2016-02-18 자동차에서 대기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60244007A1 (ko)
JP (1) JP6321698B2 (ko)
KR (1) KR101861422B1 (ko)
CN (1) CN105905053B (ko)
DE (1) DE10201510235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85834B2 (en) 2018-09-10 2022-03-29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condition monitoring and diagnosis method and system using charg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28212B (zh) * 2019-09-19 2022-05-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唤醒电路、唤醒方法
CN113049866A (zh) * 2019-12-27 2021-06-29 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静态电流测试系统及电动汽车的静态电流测试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5550A (en) * 1989-10-30 1990-10-23 Chrysler Corporation Automatic wake-up circuit arrangement for a single wire multiplex switch monitoring system
DE4019059A1 (de) * 1990-06-15 1991-12-19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m ein- und ausschalten einer last
DE4217650C1 (ko) 1992-05-28 1993-07-15 Mercedes-Benz Aktiengesellschaft, 7000 Stuttgart, De
DE19704862A1 (de) 1997-02-10 1998-08-13 Philips Patentverwaltung System zum Übertragen von Daten
US6198995B1 (en) * 1998-03-31 2001-03-06 Lear Automotive Dearborn, Inc. Sleep mode for vehicle monitoring system
US6144186A (en) * 1999-07-16 2000-11-07 Motorola, Inc. Low power enable circuit
US6437460B1 (en) * 1999-10-27 2002-08-20 Daimlerchrysler Corporation Low power supervisor controller
DE10360209A1 (de) * 2003-12-20 2005-07-28 Robert Bosch Gmbh Diagnoseverfahren zur Überwachung einer Steckverbindung
US7183896B2 (en) 2004-01-13 2007-02-27 Temic Automotive Of North America, Inc. Wake-up circuit
DE102005014210A1 (de) * 2005-03-29 2006-10-05 Siemen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Überprüfen eines elektrischen Kopplungszustands einer induktiven Last
JP4987247B2 (ja) 2005-05-16 2012-07-25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回転電機制御装置及びその始動方法
JP2010288317A (ja) * 2009-06-09 2010-12-24 Toyota Industries Corp 電動車両
JP2011000894A (ja) * 2009-06-16 2011-01-06 Fujitsu Ten Ltd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DE102009029541A1 (de) * 2009-09-17 2011-03-31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nzahl Steuergeräte
JP5293841B2 (ja) * 2010-02-09 2013-09-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動車両の電源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WO2011143743A1 (en) * 2010-05-18 2011-11-24 Canadian Energy Efficiency Alliance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vehicle idling reduction
US8305033B2 (en) * 2010-08-05 2012-11-06 Lear Corporation Proximity detection circuit for on-board vehicle charger
JP5558981B2 (ja) * 2010-09-13 2014-07-2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通信システム
JP5482604B2 (ja) * 2010-09-24 2014-05-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2012080861A (ja) * 2010-10-09 2012-04-26 Masahiro Nishimura ジグヘッドを使用した、交換可能な硬質性釣り用ルアー。
KR101131526B1 (ko) 2010-10-25 2012-04-05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차량의 웨이크업 통합 관리 시스템
KR101210077B1 (ko) 2010-12-01 2012-12-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제어기 구동 장치
US9399402B2 (en) * 2011-04-21 2016-07-26 Lear Corporation Proximity detection circuit for on-board vehicle charger
JP5691923B2 (ja) * 2011-08-02 2015-04-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および車両の制御方法
JP5847506B2 (ja) 2011-09-14 2016-01-20 株式会社ケーヒン 電子制御装置及び車両制御システム
US20140232355A1 (en) * 2011-10-11 2014-08-2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charging control apparatus and vehicle equipped with the same
JP5880148B2 (ja) * 2012-03-07 2016-03-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充電制御装置
AU2013251712A1 (en) * 2012-04-24 2014-11-13 Zero Rpm,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vehicle idle management
KR101315773B1 (ko) * 2012-05-03 2013-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정션박스의 암전류 차단 장치 및 방법
DE102013210061B4 (de) * 2012-05-31 2019-06-19 Lear Corporation Aktivierung-durch-Steuerpilot-Schaltung für Bordbatterie-Ladevorrichtung
US9333864B2 (en) * 2012-05-31 2016-05-10 Lear Corporation Wake-by-control pilot circuit for onboard battery charger
JP2014046702A (ja) * 2012-08-29 2014-03-17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ラグイン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KR102011457B1 (ko) * 2013-04-17 2019-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WO2014196933A1 (en) * 2013-06-06 2014-12-11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Battery charging devices, battery charging methods, battery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batteries
JP6161417B2 (ja) * 2013-06-14 2017-07-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150089646A (ko) * 2014-01-28 2015-08-0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 연결 감지 장치
US9764641B2 (en) * 2014-06-23 2017-09-19 Medallion Instrumentation Systems Ll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vehicle battery status
CN105529762A (zh) * 2014-10-20 2016-04-27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电动车辆的电力供应装置、电力供应方法及电池传感器
US10306423B2 (en) * 2016-05-03 2019-05-28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Dynamic content check interval for multicast devi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85834B2 (en) 2018-09-10 2022-03-29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condition monitoring and diagnosis method and system using char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905053A (zh) 2016-08-31
KR101861422B1 (ko) 2018-05-28
US20160244007A1 (en) 2016-08-25
CN105905053B (zh) 2018-07-24
DE102015102352A1 (de) 2016-08-25
JP2016150745A (ja) 2016-08-22
JP6321698B2 (ja) 2018-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21541B (zh) 基于唤醒源的电动汽车上电方法
US11108249B2 (en) Communication to control charging of a rechargeable battery
US9372216B2 (en) Electric power supply controller for vehicle
US20160001719A1 (en) Charging Method
US8655535B2 (en) Electric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9632970B2 (en)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operating a data bus system of a motor vehicle
CN106080239A (zh) 电动车辆的低压蓄电池充电控制方法和电动车辆
US8305033B2 (en) Proximity detection circuit for on-board vehicle charger
KR20180092091A (ko) 전기 자동차의 충전을 위한 충전 제어 장치
KR101861422B1 (ko) 자동차에서 대기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2107632A (zh) 在can网络中作为网络节点的车辆电控单元的状态控制方法
CN112706781A (zh) 监视和控制车载系统的方法以及监视和控制系统
US10759295B2 (en) Proximity detection circuit for on-board vehicle charger
CN108349449A (zh) 用于在机动车辆的起动阶段期间管理电子控制单元的功率供应的方法
CN110154824B (zh) 电池包休眠的检测装置、方法及车辆
CN115707591A (zh) 错误的电动车辆供电装备检测和管理
CN114475475B (zh) 车辆蓄电池管理方法、装置、电子设备
US11366167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battery of vehicle
CN113126586B (zh) 唤醒诊断装置及唤醒诊断方法
CN110087953A (zh) 机动车的车载系统的电能管理
CN110341625B (zh) 防止车辆电池寄生电流消耗的方法
KR20130008702A (ko) 차량 모니터링 장치
CN113206519A (zh) 车辆蓄电池监控方法及其系统
CN112785749A (zh) 车辆的数据传输方法及系统
CN112455281A (zh) 车辆和低压蓄电池的补电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