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1526B1 - 차량의 웨이크업 통합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의 웨이크업 통합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31526B1 KR101131526B1 KR1020100103940A KR20100103940A KR101131526B1 KR 101131526 B1 KR101131526 B1 KR 101131526B1 KR 1020100103940 A KR1020100103940 A KR 1020100103940A KR 20100103940 A KR20100103940 A KR 20100103940A KR 101131526 B1 KR101131526 B1 KR 1011315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ke
- power
- signal
- unit
- electronic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08—Bus network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bus standard
- H04L2012/40215—Controller Area Network C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전원이 각각 연결되어있는 전장품으로부터 웨이크업 신호를 입력 받으면 동작 되어지는 기존에 차량의 시스템에서 각각의 전장품에 웨이크업 입력 신호들을 분리하여 웨이크업 입력신호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전장품 입력 전원에 공급 및 차단을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상시적으로 발생되는 암전류를 절감하고 차량의 웨이크업 입력신호 및 각종전장품의 전원공급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차량 웨이크업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구성은 차량의 전장품(10)과 각각의 전장품(10)에 연동하여 작동되는 다른 전장품에 대한 정보를 등록받는 전장품 등록부(21)와; 전장품(10)에 연결되어 배터리(40)의 전원이 공급되거나 차단되도록 관리하는 전원관리부(22)와; 전장품(10)의 입력스위치(11)에서 발생된 웨이크업 신호를 제공받는 웨이크업 통합신호입력부(23)와; 웨이크업 통합신호입력부(23)와 통신하면서 웨이크업 통합신호입력부(23)로 웨이크업 신호를 제공한 전장품(10)을 확인하고 해당 전장품(10)에 웨이크업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원공급신호를 전원관리부(22)에 제공하는 전원공급부(24)와; 웨이크업 통합신호입력부(23) 통신하면서 웨이크업 통합신호입력부(23)로 제공된 웨이크업신호를 통신네트워크(30)를 통해 해당 전장품(10)에 제공하는 웨이크업 신호전달부(25)와; 통신네트워크(30)에 연결되어 웨이크업 전원이 공급된 전장품(10)으로부터 발생된 SLEEP 신호를 제공받는 SLEEP 신호확인부(26)와; SLEEP 신호확인부(26)와 통신하면서 SLEEP 신호입력부로 SLEEP신호를 제공한 전장품(10)을 확인하고 해당 전장품(10)에 웨이크업 전원이 차단되도록 전원차단신호를 전원관리부(22)에 제공하는 전원차단부(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주요구성은 차량의 전장품(10)과 각각의 전장품(10)에 연동하여 작동되는 다른 전장품에 대한 정보를 등록받는 전장품 등록부(21)와; 전장품(10)에 연결되어 배터리(40)의 전원이 공급되거나 차단되도록 관리하는 전원관리부(22)와; 전장품(10)의 입력스위치(11)에서 발생된 웨이크업 신호를 제공받는 웨이크업 통합신호입력부(23)와; 웨이크업 통합신호입력부(23)와 통신하면서 웨이크업 통합신호입력부(23)로 웨이크업 신호를 제공한 전장품(10)을 확인하고 해당 전장품(10)에 웨이크업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원공급신호를 전원관리부(22)에 제공하는 전원공급부(24)와; 웨이크업 통합신호입력부(23) 통신하면서 웨이크업 통합신호입력부(23)로 제공된 웨이크업신호를 통신네트워크(30)를 통해 해당 전장품(10)에 제공하는 웨이크업 신호전달부(25)와; 통신네트워크(30)에 연결되어 웨이크업 전원이 공급된 전장품(10)으로부터 발생된 SLEEP 신호를 제공받는 SLEEP 신호확인부(26)와; SLEEP 신호확인부(26)와 통신하면서 SLEEP 신호입력부로 SLEEP신호를 제공한 전장품(10)을 확인하고 해당 전장품(10)에 웨이크업 전원이 차단되도록 전원차단신호를 전원관리부(22)에 제공하는 전원차단부(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터리 전원이 각각 연결되어있는 전장품으로부터 웨이크업 신호를 입력 받으면 동작 되어지는 기존에 차량의 시스템에서 각각의 전장품의 웨이크업 입력 신호들을 분리하여 웨이크업 입력신호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전장품 입력 전원 공급 및 차단을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상시적으로 발생되는 암전류를 절감하고 차량의 웨이크업 입력신호 및 각종전장품의 전원공급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차량 웨이크업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전원장치(배터리)가 구비되어 있어 차량의 전장품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며, 이러한 전장품에는 그 종류에 따라 항상 전원이 공급되어야만 하는 장치들도 있으며, 운전자의 스위치 제어에 따라 간헐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장치들도 있다.
자동차의 내부구성을 보면, 각종 스위치에 의해 작동되는 전장품이 위치하고, 각각의 전장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입력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전장품이 작동되었다. 이러한 전장품에는 입력스위치의 입력이 없을 때에도 입력스위치의 입력신호를 전송 받기 위해 항상 켜져 있어야 한다. 즉, 전장품에 웨이크업 입력 신호를 감지하기 위해 배터리에 연결되어 항상 대기전력을 공급받는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 과제는 배터리 전원이 각각 연결되어있는 전장품으로부터 웨이크업 신호를 입력 받으면 동작 되어지는 기존에 차량의 시스템에서 각각의 전장품의 웨이크업 입력 신호들을 분리하여 웨이크업 입력신호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전장품 입력 전원 공급 및 차단을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상시적으로 발생되는 암전류를 절감하고 차량의 웨이크업 입력신호 및 각종전장품의 전원관리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차량의 웨이크업 통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전장품의 동작 시 서로 연관된 다른 전장품에도 웨이크업 전원을 공급하고, 각각의 전장품이 작동하지 않으면 웨이크업 전원을 차단하여 암전류를 저감시킬 수 있는 차량의 웨이크업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전장품(10)과 각각의 전장품(10)에 연동하여 작동되는 다른 전장품에 대한 정보를 등록받는 전장품 등록부(21)와; 전장품(10)에 연결되어 배터리(40)의 전원이 공급되거나 차단되도록 관리하는 전원관리부(22)와; 전장품(10)의 입력스위치(11)에서 발생된 웨이크업 신호를 제공받는 웨이크업 통합신호입력부(23)와; 웨이크업 통합신호입력부(23)와 통신하면서 웨이크업 통합신호입력부(23)로 웨이크업 신호를 제공한 전장품(10)을 확인하고 해당 전장품(10)에 웨이크업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원공급신호를 전원관리부(22)에 제공하는 전원공급부(24)와; 웨이크업 통합신호입력부(23)와 통신하면서 웨이크업 통합신호입력부(23)로 제공된 웨이크업신호를 통신네트워크(30)를 통해 해당 전장품(10)에 제공하는 웨이크업 신호전달부(25)와; 통신네트워크(30)에 연결되어 웨이크업 전원이 공급된 전장품(10)으로부터 발생된 SLEEP 신호를 제공받는 SLEEP 신호확인부(26)와; SLEEP 신호확인부(26)와 통신하면서 SLEEP 신호입력부로 SLEEP신호를 제공한 전장품(10)을 확인하고 해당 전장품(10)에 웨이크업 전원이 차단되도록 전원차단신호를 전원관리부(22)에 제공하는 전원차단부(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전장품(10)은 웨이크업 전원이 연결된 상태에서 일정시간동안 사용되지 않으면 SLEEP 신호를 발생시키는 SLEEP 신호발생부(1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웨이크업 통합신호입력부(23)는 차량의 각 전장품(10)에 1:1로 매칭되어 웨이크업신호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통신네트워크(30)는 CAN 또는 IGN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전장품(10)에서 발생된 작동신호는 차량내부의 네트워크에서 근거리 통신하는 통신신호이거나, 운전자가 소지한 무선송신기(Remote control)에서 전송되는 무선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량의 웨이크업 통합 관리 시스템은 전장품과 배터리에 각각 연결되어 전장품으로부터 웨이크업신호를 제공받으면 배터리에서 전장품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연결하고 다시 웨이크업신호를 제공하여 상시적으로 소모되는 전장품의 암전류를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서로 연관된 전장품을 연동하여 한번에 웨이크업 전원을 공급하고, 각각의 전장품에서 작동신호가 발생하지 않으면 해당 전장품에 공급된 구동전원을 OFF시켜 상시적으로 소모되는 암전류를 저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웨이크업 통합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웨이크업 통합 시스템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웨이크업 통합 과정의 플로챠트.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웨이크업 통합 시스템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웨이크업 통합 과정의 플로챠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첨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웨이크업 통합 관리 시스템을 자세히 살펴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웨이크업 통합 관리 시스템(20)은 전장품(10), 입력스위치(11) 및 배터리(40)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입력스위치(11)로부터 웨이크업신호를 제공받으면 배터리(40)에서 전장품(10)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연결하며, 통신네트워크(30)를 통해 전장품(10)과 통신하면서 웨이크업신호를 제공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스위치(11)는 각 전장품을 작동시키는 스위치에 연결되어 사용자에 의해 스위치가 작동되면 웨이크업 신호를 제공받는다. 또한, 전장품(10)은 웨이크업 전원이 연결된 상태에서 일정시간동안 사용되지 않으면 SLEEP 신호를 발생시키는 SLEEP 신호발생부(12)를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웨이크업 통합 관리 시스템(20)은 전장품 등록부(21)와, 전원관리부(22)와, 웨이크업 통합신호입력부(23)와, 전원공급부(24)와, 웨이크업 신호전달부(25)와, SLEEP 신호확인부(26)와, 전원차단부(27)를 구비한다.
전장품 등록부(21)는 차량의 전장품(10)와 각각의 전장품(10)에 연동하여 작동되는 다른 전장품에 대한 정보를 등록받는다. 이에 따라, 하나의 전장품(10)이 동작하면 연관된 다른 전장품에도 웨이크업(Wake up)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어 오픈신호가 확인되면 도어와 관련된 전장품(10)으로서 자동차에 각각의 전장품(10)(전원 분배장치(PDM), 스마트키(SMK), 엔진컨트롤(ECU))등을 대기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웨이크업(Wake up)전원이 공급되도록 등록된다.
전원관리부(22)는 전장품(10)에 연결되어 배터리(40)의 전원이 공급되거나 차단되도록 관리한다. 이때, 전장품(10)에 공급되는 전원은 배터리(40)-웨이크업 시스템(20)-전장품(10)으로 연결되며 전원연결부를 통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웨이크업 통합신호입력부(23)는 차량의 각 전장품(10)의 입력스위치(11)에 1:1로 매칭되어 각각의 전장품(10)의 스위치 동작시 입력스위치(11)에서 발생된 웨이크업 신호를 제공받는다. 전장품(10)의 입력스위치(11)에서 발생된 웨이크업 신호는 차량내부의 네트워크에서 근거리 통신하는 통신신호로 제공되거나, 운전자가 소지한 무선송신기(Remote control)에서 전송되는 무선신호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신호는 자동차 Key(ACC,IGN)의 온(on)신호일 수도 있고, 도어의 오픈시 발생되는 신호이거나, 도어의 Lock/Unlock 의해 동작 되는 신호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4)는 웨이크업 통합신호입력부(23)와 통신하면서 웨이크업 통합신호입력부(23)로 웨이크업 신호를 제공한 전장품(10)을 확인하고 해당 전장품(10)에 웨이크업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원공급신호를 전원관리부(22)에 제공한다. 또한 전원공급부(24)는 해당 전장품(10)과 연관되어 있는 다른 전장품에도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원공급신호를 전원관리부(22)에 함께 제공한다. 예를 들면 도어 오픈신호가 확인되면 도어와 관련된 전장품(10)으로서 자동차에 각각의 전장품(10)(전원 분배장치(PDM), 스마트키(SMK), 엔진컨트롤(ECU))등을 대기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웨이크업(Wake up)전원이 공급된다. 이에 따라 웨이크업 신호가 발생된 전장품(10)과 관련된 다른 전장품에 웨이크업전원이 공급되어 사용자가 다른 전장품을 동작시킬때에 신속하게 반응할 수 있다.
웨이크업 신호전달부(25)는 웨이크업 통합신호입력부(23)와 통신하면서 웨이크업 통합신호입력부(23)로 제공된 웨이크업신호를 통신네트워크(30)를 통해 해당 전장품(10)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해당 전장품(10)은 제공받은 웨이크업신호를 이용하여 전장품(10)을 작동시킬 수 있다.
SLEEP 신호확인부(26)는 통신네트워크(30)에 연결되어 웨이크업 전원이 공급된 전장품(10)으로부터 발생된 SLEEP 신호를 제공받는다.
전원차단부(27)는 SLEEP 신호확인부(26)와 통신하면서 SLEEP 신호입력부로 SLEEP신호를 제공한 전장품(10)을 확인하고 해당 전장품(10)에 웨이크업 전원이 차단되도록 전원차단신호를 전원관리부(22)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구동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전장품(10)에 공급되는 암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웨이크업 통합 관리 시스템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전장품 등록부(21)에 차량의 전장품(10)과 각각의 전장품(10)에 연동하여 작동되는 다른 전장품에 대한 정보를 등록받는다(S31).
그 후, 사용자에 의해 전장품(10)의 스위치 동작시 전장품(10)의 입력스위치(11)에서 발생된 웨이크업 신호를 제공받으면(S32,S33), 해당 전장품(10)에 웨이크업 전원을 공급한다(S34). 이때, 해당 전장품(10)과 연관되어 있는 다른 전장품에도 웨이크업 전원을 공급하여 활성화시킨다.
또한, 입력스위치(11)에서 제공받은 웨이크업 신호를 통신네트워크(30)를 통해 웨이크업 전원이 공급되어 활성화된 전장품(10)에 제공하여 웨이크업 신호를 수행하여 해당 전장품(10)을 작동시킨다(S35).
한편, 웨이크업 전원이 공급된 전장품(10)이 장기간동안 사용되지 않아 SLEEP 신호가 발생하면(S36), 전장품(10)에서 발생된 SLEEP 신호를 통신네트워크(30)를 통해 제공받고, SLEEP신호를 제공한 전장품(10)으로 공급되는 웨이크업 전원을 차단한다(S37). 이에 따라 웨이크업 전원이 공급되었지만 사용되지 않는 전장품(10)에 공급되는 암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 전장품 11 : 입력스위치
12 : SLEEP 신호발생부 20 : 웨이크업 시스템
21 : 전장품 등록부 22 : 전원관리부
23 : 웨이크업 통합신호입력부 24 : 전원공급부
25 : 웨이크업 신호전달부 26 : SLEEP 신호확인부
27 : 전원차단부 30 : 통신네트워크
40 : 배터리
12 : SLEEP 신호발생부 20 : 웨이크업 시스템
21 : 전장품 등록부 22 : 전원관리부
23 : 웨이크업 통합신호입력부 24 : 전원공급부
25 : 웨이크업 신호전달부 26 : SLEEP 신호확인부
27 : 전원차단부 30 : 통신네트워크
40 : 배터리
Claims (5)
- 차량의 전장품(10)과 각각의 전장품(10)에 연동하여 작동되는 다른 전장품에 대한 정보를 등록받는 전장품 등록부(21)와;
전장품(10)에 연결되어 배터리(40)의 전원이 공급되거나 차단되도록 관리하는 전원관리부(22)와;
전장품(10)의 입력스위치(11)에서 발생된 웨이크업 신호를 제공받는 웨이크업 통합신호입력부(23)와;
웨이크업 통합신호입력부(23)와 통신하면서 웨이크업 통합신호입력부(23)로 웨이크업 신호를 제공한 전장품(10)을 확인하고 해당 전장품(10)에 웨이크업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원공급신호를 전원관리부(22)에 제공하는 전원공급부(24)와;
웨이크업 통합신호입력부(23)와 통신하면서 웨이크업 통합신호입력부(23)로 제공된 웨이크업신호를 통신네트워크(30)를 통해 해당 전장품(10)에 제공하는 웨이크업 신호전달부(25)와;
통신네트워크(30)에 연결되어 웨이크업 전원이 공급된 전장품(10)으로부터 발생된 SLEEP 신호를 제공받는 SLEEP 신호확인부(26)와;
SLEEP 신호확인부(26)와 통신하면서 SLEEP 신호입력부로 SLEEP신호를 제공한 전장품(10)을 확인하고 해당 전장품(10)에 웨이크업 전원이 차단되도록 전원차단신호를 전원관리부(22)에 제공하는 전원차단부(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웨이크업 통합 관리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장품(10)은 웨이크업 전원이 연결된 상태에서 일정시간동안 사용되지 않으면 SLEEP 신호를 발생시키는 SLEEP 신호발생부(1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웨이크업 통합 관리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웨이크업 통합신호입력부(23)는 차량의 각 전장품(10)에 1:1로 매칭되어 웨이크업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웨이크업 통합 관리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통신네트워크(30)는 CAN 또는 IGN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웨이크업 통합 관리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장품(10)에서 발생된 작동신호는 차량내부의 네트워크에서 근거리 통신하는 통신신호이거나, 운전자가 소지한 무선송신기(Remote control)에서 전송되는 무선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웨이크업 통합 관리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03940A KR101131526B1 (ko) | 2010-10-25 | 2010-10-25 | 차량의 웨이크업 통합 관리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03940A KR101131526B1 (ko) | 2010-10-25 | 2010-10-25 | 차량의 웨이크업 통합 관리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31526B1 true KR101131526B1 (ko) | 2012-04-05 |
Family
ID=46142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03940A KR101131526B1 (ko) | 2010-10-25 | 2010-10-25 | 차량의 웨이크업 통합 관리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31526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818628B2 (en) | 2012-09-17 | 2014-08-26 | Hyundai Motor Company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tegrated network of a vehicle |
DE102015102352A1 (de) | 2015-02-19 | 2016-08-25 |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Überwachen eines Ruhezustandes bei einem Kraftfahrzeug |
KR20190033319A (ko) * | 2017-09-21 | 2019-03-2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의 파워시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07805A (ja) | 2004-06-22 | 2006-01-12 |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 車載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機能付きコネクタ装置 |
JP2007030593A (ja) | 2005-07-25 | 2007-02-08 | Fujitsu Ten Ltd | 電子制御装置 |
-
2010
- 2010-10-25 KR KR1020100103940A patent/KR10113152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07805A (ja) | 2004-06-22 | 2006-01-12 |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 車載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機能付きコネクタ装置 |
JP2007030593A (ja) | 2005-07-25 | 2007-02-08 | Fujitsu Ten Ltd | 電子制御装置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818628B2 (en) | 2012-09-17 | 2014-08-26 | Hyundai Motor Company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tegrated network of a vehicle |
DE102015102352A1 (de) | 2015-02-19 | 2016-08-25 |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Überwachen eines Ruhezustandes bei einem Kraftfahrzeug |
KR20190033319A (ko) * | 2017-09-21 | 2019-03-2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의 파워시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KR102474802B1 (ko) | 2017-09-21 | 2022-12-0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의 파워시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20007712A1 (en) | Non-contact control method and device | |
CN110473327B (zh) | 一种基于nfc的锁控制方法、系统及存储介质 | |
CN201883792U (zh) | 车辆无钥匙进入和启动系统 | |
US20140114503A1 (en) | Remote Function Fob for a Vehicle Passive Entry Passive Start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 |
CN103380445A (zh) | 使用移动通信设备操纵机动车闭锁系统的方法 | |
NZ586674A (en) | Method and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access to an access point | |
CN113547925B (zh) | 一种控制系统及电动汽车 | |
JP2011184959A (ja) | 携帯機 | |
KR101131526B1 (ko) | 차량의 웨이크업 통합 관리 시스템 | |
US20120065839A1 (en) | Communications system for vehicle | |
JP5462088B2 (ja) | 車載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 |
CN106296918A (zh) | 门锁设备、门锁控制系统及门锁控制方法 | |
JP6471540B2 (ja) | 車載通信システム、端末装置 | |
CN207714921U (zh) | 一种基站用电子锁控制系统 | |
CN108082341B (zh) | 一种具有防盗功能的电动车用电池和电动车 | |
US20170293493A1 (en) | Terminal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CN102484597A (zh) | 用于使多个控制设备运行的方法 | |
CN112866930B (zh) | 无线控制方法、系统及门的解锁方法 | |
CN211969380U (zh) | 车锁控制电路、系统及车辆 | |
KR101908132B1 (ko) | 휴대폰에 장착되는 rke 장치 및 그의 스마트키 ecu 제어 방법 | |
CN208559610U (zh) | 一种具有防盗功能的电动车用电池和电动车 | |
JP5185217B2 (ja) | 電子キーシステム及び電子キー | |
KR101248885B1 (ko) | 차량의 암전류 절감을 위한 데이터 통합 저장 시스템 | |
CN215343520U (zh) | 一种基于蓝牙控制门的配电箱 | |
KR101428885B1 (ko) | 포브 키를 이용한 암전류 차단 시스템 및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15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25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