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2088A - 유도 가열 장치 - Google Patents
유도 가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02088A KR20160102088A KR1020167022250A KR20167022250A KR20160102088A KR 20160102088 A KR20160102088 A KR 20160102088A KR 1020167022250 A KR1020167022250 A KR 1020167022250A KR 20167022250 A KR20167022250 A KR 20167022250A KR 20160102088 A KR20160102088 A KR 2016010208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ing coil
- heating
- space
- end side
- heat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H05B6/44—Coil arrangements having more than one coil or coil segment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H05B6/40—Establishing desired heat distribution, e.g. to heat particular parts of workpie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Abstract
가열 효율을 현저하게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엣지부의 과도한 가열을 억제하는 유도 가열 장치를 제공한다. 박판 형상 피가열물을 가열하는 유도 가열 장치에 있어서, 대략 루트 기호 형상으로 형성된 제1가열 코일과, 대략 루트 기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가열 코일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가열 코일을 가지며,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은 영역에 있어서 박판 형상 피가열물의 엣지부 근처에서 교차하여 제1공간을 형성하고, 제1공간 외측의 박판 형상 피가열물이 이송되지 않는 영역에 제2공간, 제3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며, 제1가열 코일과 제2가열 코일을 박판 형상 피가열물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배치하고, 제1가열 코일과 제2가열 코일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박판 형상 피가열물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며, 이동 가능한 가열 코일이 이동함으로써 제1공간만이 확대 또는 축소하고, 제1공간과, 제2공간 및 제3공간에서는 발생한 자속이 반대 방향으로 되도록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도 가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자성재 또는 자성재로 이루어진 박판 형상의 피가열물(이하, "박판 형상의 피가열물"을 "박판 형상 피가열물"이라 한다)을 가열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유도 가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성재의 박판 형상 피가열물을 유도 가열하는 경우에는, 가열 코일로서 이른바 터널형 코일을 구비한 유도 가열 장치를 이용하여 가열한다.
그렇지만, 이러한 터널형 코일을 구비한 유도 가열 장치에 있어서, 비자성재의 박판 형상 피가열물을 유도 가열하는 경우에는, 박판 형상 피가열물의 표면(表面) 및 이면(裏面)의 각각에 있어서 발생한 유도 전류가 상쇄되어 버려, 가열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은 것이었다.
이 때문에, 비자성재의 박판 형상 피가열물을 유도 가열하는 경우에는, 가열 코일로서 이른바 트랜스버스형 코일을 구비한 유도 가열 장치를 이용하여 가열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여기에서, 상기한 트랜스버스형 코일을 구비한 유도 가열 장치의 일예로서, 이송되는 박판 형상 피가열물에 평행하게 대략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된 가열 코일을 설치하고, 이 가열 코일의 상방측 또는 하방측에 있어서 박판 형상 피가열물을 이송함으로써, 해당 박판 형상 피가열물을 가열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도 1 (a)를 참조한다).
그렇지만, 이러한 유도 가열 장치에 있어서는, 가열 코일이 대략 사각형 모양으로 고정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가열 코일의 폭 방향의 길이(L1)가 가열 코일의 상방측 혹은 하방측으로 이송되어 가열되는 박판 형상 피가열물의 폭(W1)과 같거나 그 보다 큰 경우에는 해당 박판 형상 피가열물의 엣지부에 유도 전류가 집중하게 되어, 해당 엣지부가 과도하게 가열되어 버리고 있었다(도 1 (a)를 참조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특허문헌1에 개시된 기술이 알려져 있다.
즉, 이 특허문헌1에 개시된 기술은, 대략 V자형 모양의 가열 코일(이하 "V자 가열 코일"이라 한다)을 대략 M자형 모양의 가열 코일(이하 "M자 가열 코일"이라 한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박판 형상 피가열물의 폭에 따라서 V자 가열 코일 및 M자 가열 코일에 의해 형성되는 제1공간의 크기를 조정하고, 이 제1공간에서 발생한 자속에 의해 박판 형상 피가열물을 가열하도록 한 것이다(도 1 (b)를 참조한다).
또한, 박판 형상 피가열물의 폭에 따라서 V자 가열 코일 및 M자 가열 코일에 의해 형성되는 제1공간의 크기를 조정하는 경우에, V자 가열 코일과 M자 가열 코일에 의해 형성된 제1공간과 인접하여(박판 형상 피가열물의 폭 방향으로 인접) 제2공간 및 제3공간이 형성된다.
이 제2공간 및 제3공간은 제1공간을 확대하면 축소되고, 제1공간을 축소하면 확대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제2공간 및 제3공간에 있어서는, 제1공간에 있어서 발생한 자속과 역방향의 자속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박판 형상 피가열물의 엣지부 근처에 있어서는, 제1공간에 있어서 발생한 자속에 의해 과도하게 가열된 박판 형상 피가열물의 엣지부에, 제2공간 및 제3공간에 있어서 발생한 자속에 의해, 역방향의 와전류가 유도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엣지부가 과도하게 가열되는 일이 없게 된다.
그렇지만, 특허문헌1에 개시된 기술에 있어서는, 박판 형상 피가열물의 폭이 작아지면, 제1공간이 축소되는 것으로 되고, 제1공간에 있어서 발생한 자속에 의한 박판 형상 피가열물로의 가열량이 저하하는 것으로 된다.
게다가, 박판 형상 피가열물의 폭이 작아지면, 제1공간에서 발생한 자속에 의해 유도된 와전류와 역방향의 와전류를 유도하는 자속을 발생하는 제2공간 및 제3공간은 확대되는 것으로 되어, 박판 형상 피가열물에 있어 더욱 가열량의 저하를 발생시킨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1에 개시된 기술로는, 박판 형상 피가열물의 폭이 작아지면, 박판 형상 피가열물의 가열 효율이 저하되어 버린다는 새로운 문제를 초래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이 가지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폭이 작은 박판 형상 피가열물에 있어서도, 박판 형상 피가열물에서의 가열 효율의 저하를 억제하는 동시에, 박판 형상 피가열물의 엣지부에서의 과도한 가열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유도 가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열 코일에 고주파 전원으로부터 고주파 전류를 급전하여 박판 형상 피가열물을 유도 가열하는 유도 가열 장치에 있어서, 타방의 단부 측에 제1돌부가 형성되어 대략 루트 기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방의 단부에 있어서 고주파 전원과 접속되는 제1가열 코일과, 타방의 단부 측에 제2돌부가 형성되어 대략 루트 기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타방의 단부에 있어서 고주파 전원과 접속되는 제2가열 코일을 가지며, 상기 제1가열 코일 및 상기 제2가열 코일은,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박판 형상 피가열물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소정의 방향 혹은 상기 소정의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각각 상기 박판 형상 피가열물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가열 코일의 타방의 단부 측과 상기 제2가열 코일의 일방의 단부 측에서만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1돌부와 상기 제2돌부가 서로 역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가열 코일과 상기 제2가열 코일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은 영역에 있어서, 상기 박판 형상 피가열물의 엣지부 근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도록 교차하여 대략 사각형 모양의 제1공간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제1공간 외측의 상기 박판 형상 피가열물이 이송되지 않는 영역에 있어서, 제2공간 및 제3공간을 형성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 및 상기 제3공간에는 고주파 전류에 의해 발생한 자속이 역방향으로 되고, 상기 제1가열 코일과 상기 제2가열 코일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를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공간은 상기 소정의 방향으로 확대 또는 축소하고, 상기 제2공간 및 상기 제3공간은 확대 및 축소하지 않도록 한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가열 코일의 타방의 단부 측은, 상기 제2가열 코일의 일방의 단부 측과 접촉한 상태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한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제1가열 코일의 타방의 단부 측 및 상기 제2가열 코일의 일방의 단부 측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1가열 코일 및 상기 제2가열 코일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가압 수단에 의한 가압을 행하지 않아, 상기 제1가열 코일과 상기 제2가열 코일을 전기적으로 접속하지 않은 상태로 하고, 상기 제1가열 코일 및 상기 제2가열 코일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동이 완료된 후에, 상기 가압 수단에 의한 가압을 행하여, 상기 제1가열 코일과 상기 제2가열 코일을 전기적으로 접속한 상태로 하도록 한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가열 코일의 타방의 단부 측에는 제1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가열 코일의 일방의 단부 측에는 제2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가열 코일 및 상기 제2가열 코일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장공과 상기 제2장공에 나사를 삽입하지 않아, 상기 제1가열 코일과 상기 제2가열 코일이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하며, 상기 제1가열 코일 및 상기 제2가열 코일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동이 완료된 후에, 상기 제1장공과 상기 제2장공에 나사를 삽입하여, 상기 제1가열 코일과 상기 제2가열 코일을 전기적으로 접속한 상태로 하도록 한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도전성을 나타내는 금속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1가열 코일의 타방의 단부 측 및 상기 제2가열 코일의 일방의 단부 측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 판 형상 부재와, 상기 판 형상 부재를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1가열 코일 및 상기 제2가열 코일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가압 수단에 의한 가압을 행하지 않아, 상기 제1가열 코일과 상기 제2가열 코일을 전기적으로 접속하지 않은 상태로 하며, 상기 제1가열 코일 및 상기 제2가열 코일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동이 완료된 후에, 상기 가압 수단에 의한 가압을 행하여, 상기 판 형상 부재를 매개로 하여 상기 제1가열 코일과 상기 제2가열 코일을 전기적으로 접속한 상태로 하도록 한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돌부는 제1첨부를 꼭지점으로 하여 예각으로 굴곡된 형상이며, 상기 제2공간은 상기 제1첨부를 1개의 꼭지점으로 하는 대략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돌부는 제2첨부를 꼭지점으로 하여 예각으로 굴곡된 형상이며, 상기 제3공간은 상기 제2첨부를 1개의 꼭지점으로 하는 대략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되도록 한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가열 코일 및 상기 제2가열 코일은 완만하게 구부려 대략 루트 기호 형상을 형성하도록 한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추가로, 제1공간이 형성된 영역을 덮도록 설치된 판 형상의 자성재를 가지도록 한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성재는, 상기 박판 형상 피가열물의 이송 방향으로 연장된 자성 부재를 상기 박판 형상 피가열물의 폭 방향으로 복수 나란히 마련하여 형성되도록 한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폭이 작은 박판 형상 피가열물에 있어서도, 박판 형상 피가열물에서의 가열 효율의 저하를 억제하는 동시에, 박판 형상 피가열물의 엣지부에서의 과도한 가열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우수한 효과를 도모하는 것에 있다.
도 1 (a)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트랜스버스형 코일을 구비한 유도 가열 장치의 개략 구성 설명도이고, 또한 도 1 (b)는 박판 형상 피가열물의 엣지부에서의 과도한 가열을 억제하도록 한 유도 가열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 설명도이다.
도 2 (a)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개략 구성 설명도이고, 또한 도 2 (b)는 도 2 (a)의 I화살표에서 바라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4 (a) (b)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2개의 가열 코일을 박판 형상 피가열물 상방측 및 하방측에 설치하도록 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가열 코일을 첨부 및 굴곡부를 완만하게 구부려 대략 루트 기호 형상으로 한 유도 가열 장치의 개략 구성 설명도이다.
도 7 (a) (b)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7 (a)는 2개의 가열 코일 사이로 박판 형상 피가열물이 이송되도록 한 유도 가열 장치의 개략 구성 설명도이고, 또한 도 7 (b)는 도 7 (a)의 Ⅱ화살표에서 바라본 도이다.
도 8 (a) (b)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8 (a)는 가열 코일의 근처에 복수의 판 형상의 자성 부재를 설치한 유도 가열 장치의 개략 구성 설명도이고, 또한 도 8 (b)는 도 8 (a)의 Ⅲ화살표에서 바라본 도이다.
도 9 (a) (b)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9 (a)는 공간(S2), (S3)가 대략 사각형 모양으로 되도록 한 유도 가열 장치의 개략 구성 설명도이고, 또한 도 9 (b)는 공간(S2), (S3)가 대략 반원형 모양으로 되도록 한 유도 가열 장치의 개략 구성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가열 코일의 근처에 한 장의 판 형상의 자성 부재를 설치한 유도 가열 장치의 개략 구성 설명도이다.
도 11 (a) (b)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11 (a)는 가압 부재에 의해 가열 코일을 접촉하도록 한 유도 가열 장치의 개략 구성 설명도이고, 또한 도 11 (b)는 도 11 (a)의 Ⅳ화살표에서 바라본 도이다.
도 12 (a) (b) (c)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12 (a)는 나사에 의해 가열 코일을 접촉하도록 한 유도 가열 장치의 개략 구성 설명도이고, 또한, 도 12 (b)는 도 12 (a)의 Ⅴ화살표에서 바라본 도이며, 또한, 도 12 (c)는 가열 코일에 있어서 나사를 삽입하는 장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일방의 가열 코일이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 유도 가열 장치의 개략 구성 설명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 설명도이다.
도 15 (a)는 도 14의 Ⅵ화살표에서 바라본 도이며, 또한, 도 15 (b)는 도 14의 가열 코일끼리 전기적으로 접속한 부분에 있어 Ⅶ화살표에서 바라본 도이고, 또한, 도 15 (c)는 가열 코일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6 (a) (b)는 도 14에 도시한 유도 가열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 설명도이다.
도 17 (a) (b) (c)는 도 11에 도시한 유도 가열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8 (a) (b) (c) (d)는 가열 코일(18)의 타방의 단부 측에 있어서 상방측에만 가압 부재 및 실린더를 설치하도록 했을 때의 설명도이다.
도 19 (a) (b)는 가열 코일(20)의 일방의 단부 측에 있어서 하방측에만 가압 부재 및 실린더를 설치하도록 했을 때의 설명도이다.
도 2 (a)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개략 구성 설명도이고, 또한 도 2 (b)는 도 2 (a)의 I화살표에서 바라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4 (a) (b)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2개의 가열 코일을 박판 형상 피가열물 상방측 및 하방측에 설치하도록 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가열 코일을 첨부 및 굴곡부를 완만하게 구부려 대략 루트 기호 형상으로 한 유도 가열 장치의 개략 구성 설명도이다.
도 7 (a) (b)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7 (a)는 2개의 가열 코일 사이로 박판 형상 피가열물이 이송되도록 한 유도 가열 장치의 개략 구성 설명도이고, 또한 도 7 (b)는 도 7 (a)의 Ⅱ화살표에서 바라본 도이다.
도 8 (a) (b)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8 (a)는 가열 코일의 근처에 복수의 판 형상의 자성 부재를 설치한 유도 가열 장치의 개략 구성 설명도이고, 또한 도 8 (b)는 도 8 (a)의 Ⅲ화살표에서 바라본 도이다.
도 9 (a) (b)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9 (a)는 공간(S2), (S3)가 대략 사각형 모양으로 되도록 한 유도 가열 장치의 개략 구성 설명도이고, 또한 도 9 (b)는 공간(S2), (S3)가 대략 반원형 모양으로 되도록 한 유도 가열 장치의 개략 구성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가열 코일의 근처에 한 장의 판 형상의 자성 부재를 설치한 유도 가열 장치의 개략 구성 설명도이다.
도 11 (a) (b)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11 (a)는 가압 부재에 의해 가열 코일을 접촉하도록 한 유도 가열 장치의 개략 구성 설명도이고, 또한 도 11 (b)는 도 11 (a)의 Ⅳ화살표에서 바라본 도이다.
도 12 (a) (b) (c)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12 (a)는 나사에 의해 가열 코일을 접촉하도록 한 유도 가열 장치의 개략 구성 설명도이고, 또한, 도 12 (b)는 도 12 (a)의 Ⅴ화살표에서 바라본 도이며, 또한, 도 12 (c)는 가열 코일에 있어서 나사를 삽입하는 장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일방의 가열 코일이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 유도 가열 장치의 개략 구성 설명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 설명도이다.
도 15 (a)는 도 14의 Ⅵ화살표에서 바라본 도이며, 또한, 도 15 (b)는 도 14의 가열 코일끼리 전기적으로 접속한 부분에 있어 Ⅶ화살표에서 바라본 도이고, 또한, 도 15 (c)는 가열 코일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6 (a) (b)는 도 14에 도시한 유도 가열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 설명도이다.
도 17 (a) (b) (c)는 도 11에 도시한 유도 가열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8 (a) (b) (c) (d)는 가열 코일(18)의 타방의 단부 측에 있어서 상방측에만 가압 부재 및 실린더를 설치하도록 했을 때의 설명도이다.
도 19 (a) (b)는 가열 코일(20)의 일방의 단부 측에 있어서 하방측에만 가압 부재 및 실린더를 설치하도록 했을 때의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실시 형태의 일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여기에서, 도 2 (a)에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개략 구성 설명도가 나타나 있고, 도 2 (b)에는 도 2 (a)의 I화살표에서 바라본 도가 나타나 있다.
이 도 2에 도시한 유도 가열 장치(10)는, 고주파 전원(12)과, 피더(14)를 매개로 하여 고주파 전원(12)과 접속되는 가이드(16)와, 일방의 단부 측에 있어서 가이드(16) 상을 슬라이드 하는 슬라이드부(18a)를 형성하는 가열 코일(18)과, 가열 코일(18)의 타방의 단부 측에 형성된 슬라이드부(18b)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20a)를 일방의 단부 측에 형성하는 동시에, 타방의 단부 측에 형성된 직선부(20b)에 있어서 피더(22)를 매개로 하여 고주파 전원(12)과 접속되는 가열 코일(20)을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16), 가열 코일(18) 및 가열 코일(20)은 예를 들어, 구리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동일한 재질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열 코일(18)과 가열 코일(20)은 일부분을 제외하고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도록 상방측 및 하방측에 공간을 두고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열 코일(18)은 슬라이드부(18b)가 가열 코일(20)의 가이드부(20a)에 있어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가열 코일(18) 및 가열 코일(20)은 내부에 냉각하기 위한 액체(예를 들면, 물이다)가 공급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가열 코일(18)은 제곱근을 나타내는 기호인 "(루트)"의 형상을 본뜬 대략 루트 기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굴곡되어 첨부(18c)를 구비한 돌부(18e) 및 굴곡부(18d)를 형성하고 있다. 즉, 돌부(18e)는 첨부(18c)를 꼭지점으로 하여 예각으로 굴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같은 형태로, 가열 코일(20)은 제곱근을 나타내는 기호인 "(루트)"의 형상을 본뜬 대략 루트 기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굴곡되어 첨부(20c)를 구비한 돌부(20e)와 굴곡부(20d)를 형성하고 있다. 즉, 돌부(20e)는 첨부(20c)를 꼭지점으로 하여 예각으로 굴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가열 코일(18) 및 가열 코일(20)은 이송되는 박판 형상 피가열물(24)의 상방측에 설치되고, 슬라이드부(18b)와 가이드부(20a)에 있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가열 코일(18) 및 가열 코일(20)은 박판 형상 피가열물(24)이 이송되는 이송로(26)의 상방측에 있어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도록 교차하여 대략 사각형 모양이 형성되도록 설치되는 동시에, 가열 코일(18)과 가열 코일(20)은 이송로(26)로 이송되는 박판 형상 피가열물(24)이 각각 대략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열 코일(18)은 가열 코일(20)의 상방측에 설치되고, 박판 형상 피가열물(24)이 이송되는 이송 방향의 전방측을 향하여 돌부(18e)가 돌출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가열 코일(18)은 슬라이드부(18a), 굴곡부(18d) 및 첨부(18c)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슬라이드부(18b)는 가이드부(20a)와 상하로 겹쳐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가열 코일(20)은 가열 코일(18)의 하방측에 설치되고, 박판 형상 피가열물(24)이 이송되는 이송 방향의 후방측을 향하여 돌부(20e)가 돌출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가열 코일(20)은 가이드부(20a), 굴곡부(20d), 첨부(20c) 및 직선부(20b)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16) 및 가열 코일(20)에 마련된 가이드부(20a)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으며, 가열 코일(18)을 이동하는 경우에 가열 코일(18)에 마련된 슬라이드부(18a), (18b)를 가이드 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동작 설명도를 참조하면서 유도 가열 장치(10)를 이용하여 박판 형상 피가열물(24)을 가열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유도 가열 장치(10)를 이용하여 박판 형상 피가열물(24)을 가열하려면, 먼저 도시하지 않은 이동 수단에 의해 가열 코일(18)을 화살표 A방향 혹는 화살표 B방향 (즉,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다)으로 이동시키고, 가열 코일(18)과 가열 코일(20)이 전기적으로 접속하지 않고 교차하는 점 P와 점 Q의 위치가 가열 코일(18) 및 가열 코일(20)의 하방측에서 이송되는 박판 형상 피가열물(24)의 엣지부(24a), (24b) 각각의 근처에 위치하도록 조정한다(도 3을 참조한다).
또한, 점 P와 점 Q를 엣지부(24a), (24b)의 근처에 위치시킬 때에는, 점 P와 엣지부(24a)가 도 3에 있어 지면의 수직 방향으로 대향하고, 점 Q와 엣지부(24b)가 도 3에 있어 지면의 수직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유도 가열 장치(10)에 있어서 박판 형상 피가열물(24) 보다 폭이 작은 박판 형상 피가열물(36)을 가열하는 경우에는, 가열 코일(18)을 화살표 A방향(도 3 참조)으로 이동시켜, 가열 코일(18)과 가열 코일(20)이 교차하는 점 P 및 점 Q의 위치를 박판 형상 피가열물(36)의 엣지부(36a), (36b)와 각각 대향하는 위치로 조정한다(도 4 (a)를 참조한다).
또한, 가열 코일(18)을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가열 코일(18) 및 가열 코일(20)에 의해 형성되는 대략 사각형 모양의 공간(S1)은 축소된다. 게다가, 이때, 공간(S1)의 외측에 있어 하방측을 박판 형상 피가열물(24)이 이송되지 않는 영역에 형성되는 대략 삼각형 모양의 공간(S2), (S3)은 가열 코일(18)이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여도 축소 및 확대되는 것은 아니다.
이 공간(S2)은 가열 코일(18)의 첨부(18c)에 의해 대략 삼각형 모양의 1개의 꼭지점이 형성되며, 공간(S3)은 가열 코일(20)의 첨부(20c)에 의해 대략 삼각형 모양의 1개의 꼭지점이 형성된다.
또한, 유도 가열 장치(10)에 있어서, 박판 형상 피가열물(24) 보다 폭이 큰 박판 형상 피가열물(38)을 가열하는 경우에는, 가열 코일(18)을 화살표 B방향(도 3을 참조한다)으로 이동시켜, 가열 코일(18)과 가열 코일(20)이 교차하는 점 P 및 점 Q의 위치를 박판 형상 피가열물(38)의 엣지부(38a), (38b)와 각각 대향하는 위치로 조정한다(도 4 (b)를 참조한다).
또한, 가열 코일(18)을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가열 코일(18) 및 가열 코일(20)에 의해 형성되는 대략 사각형 모양의 공간(S1)은 확대된다. 게다가, 이때 대략 삼각형 모양의 공간(S2), (S3)은 가열 코일(18)이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하여도 축소 및 확대되는 것은 아니다.
그 후, 고주파 전원(12)으로부터 피더(14)를 매개로 하여 가이드(16)에 고주파 전류가 급전되면, 급전된 고주파 전류는 도 3에 있어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16)로부터 슬라이드부(18a)가 설치되어 있는 가열 코일(18)에 공급되고, 게다가 가열 코일(18)의 슬라이드부(18b)로부터 가이드부(20a)가 마련된 가열 코일(20)을 통하여 가열 코일(20)의 직선부(20b)로부터 피더(22)를 매개로 하여 고주파 전원(12)으로 돌아오도록 하여, 가열 코일(18) 및 가열 코일(20)에 있어서 고주파 전류의 흐름이 발생한다.
이 가열 코일(18) 및 가열 코일(20)에 있어 고주파 전류의 흐름에 의해, 공간(S1)에 있어서, 도 3에 있어 지면의 이면으로부터 표면을 향하여 자속이 발생하게 되어, 발생한 자속이 박판 형상 피가열물(24)을 통과하는 것에 의해 박판 형상 피가열물(24)의 표면에 있어서 와전류가 유도되어 박판 형상 피가열물(24)을 가열하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공간(S2), (S3)에 있어서는, 가열 코일(18) 및 가열 코일(20)에 있어 고주파 전류의 흐름에 의해, 도 3에 있어 지면의 표면으로부터 이면을 향하여 자속이 발생하게 되어, 공간(S1)에 있어서 발생한 자속과는 역방향의 자속이 발생하는 것으로 된다.
여기에서, 공간(S1)의 하방측으로 이송되고 있는 박판 형상 피가열물(24)의 엣지부(24a), (24b)의 근처에 있어서는, 박판 형상 피가열물(24)을 통과하는 자속 (즉, 공간(S1)에서 발생한 자속이다)과는 역방향의 자속(즉, 공간(S2), (S3)에서 발생한 자속이다)이 발생하고 있어, 이러한 역방향 자속의 일부가 엣지부(24a), (24b)를 통과하는 것으로 된다.
이 때문에, 박판 형상 피가열물(24)의 엣지부(24a), (24b)에 있어서는, 박판 형상 피가열물(24)에 유도된 와전류와는 역방향의 와전류가 유도되기 때문에, 엣지부(24a), (24b)에서의 과도한 가열이 억제된다.
그런데, V자 가열 코일을 이동하는 것으로 제1공간의 크기를 조정하도록 한 특허문헌1에 개시된 기술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에서는, 제1공간이 확대되면 제2공간 및 제3공간이 축소되고, 제1공간이 축소되면 제2공간 및 제3공간이 확대되고 있었다. 또한, 이때 제1공간은 박판 형상 피가열물 폭의 제곱에 비례하여 확대 혹은 축소하는 것으로 된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1에 개시된 기술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는, 박판 형상 피가열물의 폭이 작아지게 되면, 해당 박판 형상 피가열물의 폭에 따라 제1공간을 축소하도록 조정되기 때문에, 제1공간에 있어서 발생한 자속이 박판 형상 피가열물 폭의 제곱에 비례하여 감소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이때 제2공간 및 제3공간은 확대되기 때문에, 제2공간 및 제3공간에 있어서 발생한 자속은 증가하는 것으로 된다.
즉, 박판 형상 피가열물의 폭이 작아지면, 제1공간에 있어서 발생한 자속에 의해 박판 형상 피가열물에 유도된 와전류는 감소하는 동시에, 해당 와전류와 역방향으로 유도되는 와전류(즉, 제2공간 및 제3공간에 있어서 발생한 자속에 의해 유도된 와전류이다)는 커지게 된다.
따라서, 특허문헌1에 개시된 기술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에서는, 박판 형상 피가열물의 폭이 작아짐에 따라, 제1공간에 발생한 자속의 감소에 의해 박판 형상 피가열물에서의 가열 효율이 저하하는 동시에, 제2공간 및 제3공간에 발생한 자속의 증대에 의하여 박판 형상 피가열물에서의 가열 효율의 추가적인 저하가 발생해 버리고 있었다.
이와 같이, 특허문헌1에 개시된 기술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로는, 박판 형상 피가열물의 폭이 작아지게 되면, 박판 형상 피가열물에서의 가열 효율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버리고 있었다.
이에 대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10)에서는, 가열 코일(18)을 이동하는 것으로, 공간(S1)이 확대 혹은 축소되어도, 공간(S2), (S3)은 축소 혹은 확대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10)에서는, 박판 형상 피가열물(24)의 폭이 작아지면, 박판 형상 피가열물(24)의 폭에 따라 공간(S1)이 축소하도록 조정되어, 공간(S1)에 있어서 발생한 자속이 박판 형상 피가열물(24)의 폭에 비례하여 감소한다. 그렇지만, 이때 공간(S2), (S3)은 확대되지 않고 일정하기 때문에, 공간(S2), (S3)에 있어서 발생한 자속이 증대하는 것은 아니다.
즉, 박판 형상 피가열물(24)의 폭이 작아지게 되어도 공간(S1)에 있어서 발생한 자속에 의해 박판 형상 피가열물(24)에 유도된 와전류와 역방향으로 유도되는 와전류(즉, 공간(S2), (S3)에 있어서 발생한 자속에 의해 유도되는 와전류이다)는 일정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10)에서는, 박판 형상 피가열물(24)의 폭이 작아짐에 따라, 공간(S1)에서 발생한 자속의 감소에 의해 박판 형상 피가열물(24)에서의 가열 효율이 저하하지만, 공간(S2), (S3)에서 발생한 자속이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박판 형상 피가열물(24)에서의 가열 효율의 추가적인 저하를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10)는, 특허문헌1에 개시된 기술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와 비교하여, 박판 형상 피가열물의 폭이 작아지게 되어도 박판 형상 피가열물에서의 가열 효율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10)는 제곱근을 나타내는 기호인 ""를 본뜬 대략 루트 기호 형상의 가열 코일(18)을 가열하는 박판 형상 피가열물(24)의 상방측에 있어서, 돌부(18e)가 박판 형상 피가열물(24)의 이송방향의 전방측으로 돌출하도록 배치하는 동시에, 가열 코일(18)의 하방측에 있어, 박판 형상 피가열물(24)의 상방측에 있어서, 대략 루트 기호 형상의 가열 코일(20)을 돌부(20e)가 이송방향의 후방측으로 돌출하도록 배치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가열 코일(18)을 가열 코일(2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동시에, 가열 코일(18)과 가열 코일(20)에 의해 대략 사각형 모양의 공간(S1)을 형성하는 동시에, 공간(S1)의 외측에 있어 하방측으로 박판 형상 피가열물(24)이 이송되지 않는 영역에 대략 삼각형 모양의 공간(S2), (S3)을 형성하도록 하여, 가열 코일(18)을 이동함으로써, 공간(S1)의 크기를 조정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10)에 있어서는, 공간(S2), (S3)의 크기가 변하지 않고, 박판 형상 피가열물(24)의 폭에 따라 공간(S1)의 크기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에 따르면, 박판 형상 피가열물(24)에서의 가열 효율이 박판 형상 피가열물(24)의 폭에 따라 현저하게 저하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한 실시의 형태는, 이하의 (1) 내지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형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1) 상기한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가열 코일(18)을 도시하지 않은 이동수단(예를 들면, 모터)에 의해 이동시켜, 가열 코일(18)과 가열 코일(20)의 교점인 점 P와 점 Q를 박판 형상 피가열물(24)의 엣지부(24a), (24b)의 근처에 위치하도록 조정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고, 예를 들면, 작업자가 수동에 의해 가열 코일(18)의 위치를 이동시켜, 점 P 및 점 Q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2) 상기한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박판 형상 피가열물(24)의 상방측에 가열 코일(18) 및 가열 코일(20)을 마련하도록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고, 박판 형상 피가열물(24)의 하방측에 가열 코일(18) 및 가열 코일(20)을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게다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판 형상 피가열물(24)의 상방측과 하방측의 쌍방에, 가열 코일(18) 및 가열 코일(20)을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3) 상기한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가열 코일(20)의 상방측에 가열 코일(18)을 배치하도록 하였지만, 가열 코일(20)의 하방측에 가열 코일(18)을 배치하도록 하여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4) 상기한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가열 코일(20)이 고정되고, 가열 코일(18)이 이동하도록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고, 가열 코일(18)이 고정되고, 가열 코일(20)이 이동 가능한 구성이어도 좋고, 가열 코일(18) 및 가열 코일(20)이 함께 이동 가능한 구성이어도 좋다.
(5) 상기한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가열 코일(18)은 굴곡되어 첨부(18c) 및 굴곡부(18d)를 형성하도록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고, 첨부(18c) 및 굴곡부(18d)를 완만하게 구부려 대략 루트 기호 형상을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도 6을 참조한다).
또한, 가열 코일(20)은 굴곡되어 첨부(20c) 및 굴곡부(20d)를 형성하도록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고, 첨부(20c) 및 굴곡부(20d)를 완만하게 구부려 대략 루트 기호 형상을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도 6을 참조한다).
이에 따라, 가열 코일(18), (20)에 있어서, 가열 코일(18), (20) 내를 흐르는 냉각수의 흐름이 부드럽게 되어, 냉각수에 의한 냉각 효과를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6) 상기한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가열 코일(18) 및 가열 코일(20)을 모두 이송되는 박판 형상 피가열물(24)의 상방측에 마련하도록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다.
즉, 가열 코일(18)과 가열 코일(20)을 배치할 때에, 가열 코일(18)을 박판 형상 피가열물(24)의 상방측에 마련하는 동시에, 가열 코일(20)을 박판 형상 피가열물(24)의 하방측에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고(도 7(a) (b)를 참조한다), 가열 코일(18)을 박판 형상 피가열물(24)의 하방측에 마련하는 동시에, 가열 코일(20)을 박판 형상 피가열물(24)의 상방측에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7) 상기한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효율 좋게 가열하기 위하여, 자성재를 이용하도록 하여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는, 박판 형상 피가열물(24)의 상방측에 위치하는 가열 코일(18) 및 가열 코일(20)의 상방측에, 판 형상의 자성재를 배치하도록 하여도 좋다(도 8 (a) (b) 및 도 10을 참조한다).
즉, 판 형상의 자성재와 박판 형상 피가열물(24)에서 가열 코일(18) 및 가열 코일(20)을 사이에 두도록 배치하는 것으로 된다.
이에 따라, 가열 코일(18)과 가열 코일(20)에 의해 형성된 대략 사각형 모양의 공간(S1)에 있어서 발생한 자속을, 자성재에 의해 집중하는 것이 가능하여 가열 효율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6)과 같이, 가열 코일(18)을 박판 형상 피가열물(24)의 상방측에 배치하고, 가열 코일(20)을 박판 형상 피가열물(24)의 하방측으로 배치하는 경우에는, 가열 코일(18)의 상방측에 판 형상의 자성재를 배치하도록 하여도 좋고, 가열 코일(20)의 하방측에 판 형상의 자성재를 배치하도록 하여도 좋으며, 혹은, 가열 코일(18)의 상방측에 판 형상의 자성재를 배치하는 동시에 가열 코일(20)의 하방측에 판 형상의 자성재를 배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더욱이, 가열 코일(18)을 박판 형상 피가열물(24)의 하방측에 배치하고, 가열 코일(20)을 박판 형상 피가열물(24)의 상방측에 배치하는 경우에는, 가열 코일(18)의 하방측에 판 형상의 자성재를 배치하도록 하여도 좋고, 가열 코일(20)의 상방측에 판 형상의 자성재를 배치하도록 하여도 좋으며, 혹은, 가열 코일(18)의 하방측에 판 형상의 자성재를 배치하는 동시에 가열 코일(20)의 상방측에 판 형상의 자성재를 배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즉, 판 형상의 자성재는, 가열 코일(18) 및 가열 코일(20)에 의해 형성된 대략 사각형 모양의 공간(S1)을 덮도록 설치된다.
또한, 이러한 판 형상의 자성재는, 박판 형상 피가열물(24)의 폭에 맞추어 성형된 1장의 판 형상 자성 부재이어도 좋고(도 10을 참조한다), 박판 형상 피가열물(24)의 이송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자성 부재에 의해 형성되도록 하여도 좋다(도 8 (a)를 참조한다).
판 형상의 자성재가 복수의 자성 부재에 의해 형성되도록 하였을 경우에는, 박판 형상 피가열물(24)의 폭에 따라, 복수의 자성 부재를 박판 형상 피가열물(24)의 폭방향으로 나란히 마련하여, 판 형상의 자성재의 폭방향의 길이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판 형상의 자성재의 폭방향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된다.
(8) 상기한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공간(S2)을 가열 코일(18)의 첨부(18c)를 꼭지점의 1개로 하여 대략 삼각형 모양으로 하고, 공간(S3)을 가열 코일(20)의 첨부(20c)를 꼭지점의 1개로 하여 대략 삼각형 모양으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다.
즉, 가열 코일(18)의 돌부(18e)의 형상을 변형하여, 공간(S2)을 대략 사각형 모양(도 9 (a)를 참조한다) 또는 대략 반원형 모양(도 9 (b)를 참조한다) 등의 임의의 형상이어도 좋다.
같은 형태로, 가열 코일(20)의 첨부(20c) 근처의 형상을 변형하여, 공간(S3)을 대략 사각형 모양(도 9 (a)를 참조한다) 또는 대략 반원형 모양(도 9 (b)를 참조한다) 등의 임의의 형상이어도 좋다.
(9) 상기한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가열 코일(18)의 타방의 단부측에 마련된 슬라이드 부재(18b)가 가열 코일(20)의 일방의 단부측에 마련된 가이드부(20a)에 가이드 되고 있기 때문에, 가열 코일(18)과 가열 코일(20)이 항상 접촉한 상태로 되도록 하였지만, 가열 코일(18)과 가열 코일(20)은, 가열 코일(18)이 이동하고 있는 경우에는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하고, 가열 코일(18)의 이동이 완료된 경우에는 서로 접촉하도록 구성하여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는, 하기의 제1구성, 제2구성 혹은 제3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 제1구성
가열 코일(18)과 가열 코일(20)을, 서로 접촉하는 일 없이, 이송되는 박판 형상 피가열물(24)과 평행하게 되도록 설치하고, 가열 코일(18)의 타방의 단부측에 있어 상방측에 가압 부재(210)를 설치하는 동시에, 가열 코일(20)의 일방의 단부측에 있어 하방측에 가압 부재(212)를 설치한다(도 11 (a) (b)를 참조한다).
또한, 이 경우에는, 가열 코일(18)에 있어서는, 슬라이드 부재(18b)를 마련할 필요가 없고, 게다가, 가열 코일(20)에 있어서는, 가이드부(20a)를 마련할 필요가 없다.
가열 코일(18)의 타방의 단부측과 가열 코일(20)의 일방의 단부측은 각각, 예를 들면, 부세수단(미도시)에 의해 항상 일정한 간격을 두도록 설계되어 있다.
가압 부재(210)는,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되며, 실린더(214)로부터 연장된 막대 형상 부재(214-1)의 하방측 단부에 설치된다.
실린더(214)는, 예를 들면, 솔레노이드에 의해 막대 형상 부재(214-1)를 상방측 및 하방측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이 막대 형상 부재(214-1)의 이동에 따라서, 가압 부재(210)가 상방측 및 하방측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된다. 또한, 막대 형상 부재(214-1)를 상방측 및 하방측으로 이동하는 기구로는, 솔레노이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종래로부터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막대 형상 부재(214-1)가 하방측으로 이동함으로써 가압 부재(210)가 하방측으로 이동하여, 가열 코일(18)을 상방측으로부터 하방측을 향하여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가열 코일(18)은, 부세수단(미도시)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하방측으로 눌려 내려간다.
또한, 막대 형상 부재(214-1)가 상방측으로 이동함으로써 가압 부재(210)가 상방측으로 이동하여, 가열 코일(18)로의 가압을 해제한다. 이에 따라, 가열 코일(18)은, 부세수단(미도시)의 부세력에 의해 상방측으로 밀려 올라간다.
가압 부재(212)는,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실린더(216)로부터 연장된 막대 형상 부재(216-1)의 상방측 단부에 설치된다.
실린더(216)는, 예를 들면, 솔레노이드에 의해 막대 형상 부재(216-1)를 상방측 및 하방측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이 막대 형상 부재(216-1)의 이동에 따라서, 가압 부재(212)가 상방측 및 하방측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된다. 또한, 막대 형상 부재(216-1)를 상방측 및 하방측으로 이동하는 기구로는, 솔레노이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종래로부터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막대 형상 부재(216-1)가 상방측으로 이동함으로써 가압 부재(212)가 상방측으로 이동하여, 가열 코일(20)을 하방측으로부터 상방측을 향하여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가열 코일(20)은, 부세수단(미도시)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상방측으로 밀려 올라간다.
또한, 막대 형상 부재(216-1)가 하방측으로 이동함으로써 가압 부재(212)가 하방측으로 이동하여, 가열 코일(20)로의 가압을 해제한다. 이에 따라, 가열 코일(20)은, 부세수단(미도시)의 부세력에 의해 하방측으로 눌려 내려간다.
또한, 가압 부재(210) 및 가압 부재(212)는, 가압 부재(210)가 가열 코일(18)을 가압하는 면과, 가압 부재(212)가 가열 코일(20)을 가압하는 면이, 서로 가열 코일(18), (20)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가압 부재(210)에 의해 가열 코일(18)의 타방의 단부측이 가압되지 않고, 또한, 가압 부재(212)에 의해 가열 코일(20)의 일방의 단부측이 가압되지 않는 경우에는, 가열 코일(18)의 타방의 단부측과 가열 코일(20)의 일방의 단부측이 접촉하는 일이 없어, 가열 코일(18)과 가열 코일(20)이 서로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된다. 즉, 이 경우에는, 가열 코일(18)과 가열 코일(20)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은 상태로 된다.
또한, 가압 부재(210)에 의해 가열 코일(18)의 타방의 단부측이 가압되고, 또한, 가압 부재(212)에 의해 가열 코일(20)의 일방의 단부측이 가압되는 경우에는, 가열 코일(18)의 타방의 단부측과 가열 코일(20)의 일방의 단부측이 접촉하여, 가열 코일(18)과 가열 코일(20)이 서로 접촉한 상태로 된다. 즉, 이 경우에는, 가열 코일(18)과 가열 코일(20)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된다.
또한, 가압 부재(210), 실린더(214), 가압 부재(212) 및 실린더(216)는, 가열 코일(18)의 이동에 따라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여도 좋고, 이동하지 않도록 하여도 좋다.
여기에서, 가압 부재(210), 실린더(214), 가압 부재(212) 및 실린더(216)가 가열 코일(18)의 이동에 따라서 이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가열 코일(18)의 타방의 단부측의 길이와 가열 코일(20)의 일방의 단부측의 길이가, 가열 코일(18)이 이동하였어도, 가압 부재(210) 및 가압 부재(212)에 의해 가압 하였을 때에, 가열 코일(18)과 가열 코일(20)이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길이로 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는, 가압 부재(210)에 의해 가열 코일(18)의 타방의 단부측을 가압하지 않고, 또한, 가압 부재(212)에 의해 가열 코일(20)의 일방의 단부측을 가압하지 않음으로써, 가열 코일(18)과 가열 코일(20)을 비접촉의 상태로서, 가열 코일(18)을 이동하도록 한다.
그리고, 가열 코일(18)을 임의의 위치로 이동하여, 가열 코일(18)의 이동이 완료된 경우에는, 가압 부재(210)에 의해 가열 코일(18)의 타방의 단부측을 가압하고, 또한, 가압 부재(212)에 의해 가열 코일(20)의 일방의 단부측을 가압함으로써, 가열 코일(18)과 가열 코일(20)을 접촉한 상태로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고주파 전원(12)으로부터 피더(14)를 매개로 하여 가열 코일(18)에 고주파 전류를 급전하면, 가열 코일(18)에 급전된 고주파 전류는 가열 코일(20)을 통하여, 가열 코일(20)의 타방의 단부로부터 피더(22)를 매개로 하여 고주파 전원(12)으로 돌아오도록 하여, 가열 코일(18) 및 가열 코일(20)에 있어 고주파 전류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된다.
또한, 가압 부재(210) 및 가압 부재(212)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한 제어에 의해 가열 코일(18), (20)로의 가압 및 가압의 해제가 행해지지만, 이러한 제어부에 의한 제어는, 예를 들면, 작업자에 의한 조작단자(미도시)의 조작에 기초하여 행해지도록 하여도 좋고, 검지부(미도시)에 의한 가열 코일(18)의 이동 개시 지시의 검지나 가열 코일(18)의 이동 완료의 검지 등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행해지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가압 부재(210)를 가열 코일(18)의 타방의 단부측에 있어 상방측에 접촉한 상태로 고정하는 동시에, 가압 부재(212)를 가열 코일(20)의 일방의 단부에 있어 하방측으로 접촉한 상태로 고정하도록 하여도 좋다(도 17 (c)를 참조한다).
이 경우, 가열 코일(18)의 타방의 단부측과 가열 코일(20)의 일방의 단부측이 일정한 간격을 두도록 설치된 부세수단(미도시)을 마련하여도 좋다.
그리고, 가열 코일(18)과 가열 코일(20)을 전기적으로 접속할 때에는, 가압 부재(210)에 의해 가열 코일(18)의 타방의 단부측을 가압하는 동시에, 가압 부재(212)에 의해 가열 코일(20)의 일방의 단부측을 가압한다.
또한, 가열 코일(18)과 가열 코일(20)의 전기적인 접속을 해제할 때에는, 가압 부재(210)에 의한 가열 코일(18)의 타방의 단부측으로의 가압을 해제하는 동시에, 가압 부재(212)에 의한 가열 코일(20)의 일방의 단부측으로의 가압을 해제한다. 이때, 가압 부재(210)의 상방측으로의 이동 및 가압 부재(212)의 하방측으로의 이동에 의해 가열 코일(18)의 타방의 단부측과 가열 코일(20)의 일방의 단부측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는 것으로 된다.
여기에서, 가압 부재(210) 및 실린더(214)를 가열 코일(18)의 타방의 단부측에 있어서 상방측에 설치하고, 가압 부재(212) 및 실린더(216)를 가열 코일(20)의 일방의 단부측에 있어서 하방측에 설치하도록 하였지만, 가열 코일(18)의 타방의 단부측에 있어서 상방측에만, 가압 부재(210) 및 실린더(214)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고(도 17 (a)를 참조한다), 가열 코일(20)의 일방의 단부측에 있어서 하방측에만, 가압 부재(212) 및 실린더(216)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도 17 (b)를 참조한다).
가열 코일(18)의 타방의 단부측에 있어서 상방측에만, 가압 부재(210) 및 실린더(214)를 설치하도록 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가열 코일(18)에 판 스프링(218)을 설치함으로써, 가열 코일(18)의 타방의 단부측과 가열 코일(20)의 일방의 단부측의 사이가 일정한 간격만 두도록 하여도 좋다(도 18 (a)를 참조한다).
구체적으로는, 가열 코일(18)의 타방의 단부에는, 판 스프링(218)이 설치되어 있어, 이 판 스프링(218)을 매개로 하여 가열 코일(18)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기구(미도시)가 설치된다.
그리고, 가열 코일(20)의 일방의 단부측에 있어서, 가열 코일(18)의 타방의 단부에 설치된 판 스프링(218)의 하방측에는, 예를 들면, 탄성부재에 의해 형성된 밀어올림 부재(220)가 설치된다.
또한, 이 경우에는, 가압 부재(210) 및 실린더(214)는, 가열 코일(18)과 함께 이동하는 것으로 된다.
이에 따라, 가열 코일(18)의 타방의 단부측이 가압 부재(210)에 가압 되면, 가열 코일(18)의 타방의 단부측이 판 스프링(218)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하방측으로 이동하여, 가열 코일(20)의 일방의 단부측에 접하는 것으로 된다. 이때, 판 스프링(218)은 밀어올림 부재(220)에 접하여 밀어올림 부재(220)와 접한 부분에서 부드럽게 휘어진다(도 18 (b)를 참조한다).
그 후, 가열 코일(18)의 타방의 단부측의 가압 부재(210)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면, 가열 코일(18)의 타방의 단부측이 판 스프링(218)의 부세력에 의해 상방측으로 이동하여, 가열 코일(18)의 타방의 단부측과 가열 코일(20)의 일방의 단부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도록 된다.
또한, 가열 코일(18)의 타방의 단부측에 있어서 상방측에만, 가압 부재(210) 및 실린더(214)를 마련하도록 한 경우에서는, 그 밖에, 예를 들면, 부세수단(미도시)을 마련하지 않고, 가압 부재(210)와 가열 코일(18)의 타방의 단부측을 접촉한 상태로 고정하도록 하여도 좋다(도 18 (c)를 참조한다).
이에 따라, 가열 코일(18)의 타방의 단부측이 가압 부재(210)에 가압되면, 가열 코일(18)의 타방의 단부측이 하방측으로 이동하여, 가열 코일(20)의 일방의 단부측에 접하는 것으로 된다(도 18 (d)를 참조한다).
그 후, 가열 코일(18)의 타방의 단부측에서의 가압 부재(210)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면, 가압 부재(210)의 상방측으로의 이동에 따라서, 가열 코일(18)의 타방의 단부측이 상방측으로 이동하여, 가열 코일(18)의 타방의 단부측과 가열 코일(20)의 일방의 단부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도록 된다.
더욱이, 가열 코일(20)의 일방의 단부측에 있어서 하방측에만, 가압 부재(212) 및 실린더(216)를 마련하도록 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부세수단(미도시)을 마련하지 않고, 가압 부재(212)와 가열 코일(20)의 일방의 단부측을 접촉한 상태로 고정하도록 하여도 좋다(도 19 (a)를 참조한다).
이에 따라, 가열 코일(20)의 일방의 단부측이 가압 부재(212)에 가압되면, 가열 코일(20)의 일방의 단부측이 상방측으로 이동하여, 가열 코일(18)의 타방의 단부측에 접하는 것으로 된다(도 19 (b)를 참조한다).
그 후, 가열 코일(20)의 일방의 단부측에서의 가압 부재(212)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면, 가압 부재(212)의 하방측으로의 이동에 따라서, 가열 코일(20)의 일방의 단부측이 하방측으로 이동하여, 가열 코일(18)의 타방의 단부측과 가열 코일(20)의 일방의 단부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도록 된다.
(나) 제2구성
가열 코일(18)과 가열 코일(20)을 서로 접촉하는 일 없이, 이송되는 박판 형상 피가열물(24)과 평행하게 되도록 설치하고, 가열 코일(18)의 타방의 단부측에 형성된 제1장공을 형성하는 동시에, 가열 코일(20)의 일방의 단부측에 제2장공을 형성한다(도 12 (a) (b) (c)를 참조한다).
또한, 이 경우에는, 가열 코일(18)에 있어서는, 슬라이드 부재(18b)를 마련할 필요가 없고, 게다가, 가열 코일(20)에 있어서는, 가이드부(20a)를 마련할 필요가 없다.
제1장공은, 가열 코일(18)의 타방의 단부측에 있어서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어, 나사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제2장공은, 가열 코일(20)의 일방의 단부측에 있어서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어, 제1장공에 삽입 가능한 나사를 삽입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가열 코일(18)과 가열 코일(20)은, 이 제1장공과 제2장공이 연통하도록 하여 설치된다.
이 제1장공과 제2장공에 나사를 삽입하고, 너트에 의해 해당 나사를 고정하는 처리가 되지 않은 경우에는, 가열 코일(18)의 타방의 단부측과 가열 코일(20)의 일방의 단부측이 접촉하는 일은 없고, 가열 코일(18)과 가열 코일(20)이 서로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된다. 즉, 가열 코일(18)과 가열 코일(20)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은 상태로 된다.
또한, 제1장공과 제2장공에 나사를 삽입하고, 너트에 의해 해당 나사를 고정하는 처리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가열 코일(18)의 타방의 단부측과 가열 코일(20)의 일방의 단부측이 접촉하여, 가열 코일(18)과 가열 코일(20)이 서로 접촉한 상태로 된다. 즉, 가열 코일(18)과 가열 코일(20)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된다.
또한, 제1장공과 제2장공에 삽입하는 나사 및 해당 나사를 고정하기 위한 너트는, 도전성의 재료에 의해 제작된다.
또한, 가열 코일(18)에는 제1장공으로는 아닌 복수의 구멍이 마련되도록 하는 동시에, 가열 코일(20)에는 제2장공으로는 아닌 복수의 구멍이 마련되도록 하여, 나사 및 너트에 의해, 가열 코일(18)의 이동 후의 고정 위치를 단계적으로 조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는, 제1장공과 제2장공에 나사를 삽입하고, 너트에 의해 해당 나사를 고정하는 처리를 행하지 않음으로써, 가열 코일(18)과 가열 코일(20)을 비접촉의 상태로 하여 가열 코일(18)을 이동하도록 한다.
그리고, 가열 코일(18)을 임의의 위치로 이동하여, 가열 코일(18)의 이동이 완료된 경우에는, 제1장공과 제2장공에 나사를 삽입하고, 너트에 의해 해당 나사를 고정하는 처리를 행함으로써, 가열 코일(18)과 가열 코일(20)을 접촉한 상태로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고주파 전원(12)으로부터 피더(14)를 매개로 하여 가열 코일(18)에 고주파 전류를 급전하면, 가열 코일(18)에 급전된 고주파 전류는 가열 코일(20)을 통하여, 가열 코일(20)의 타방의 단부로부터 피더(22)를 매개로 하여 고주파 전원으로 돌아오도록 하여, 가열 코일(18) 및 가열 코일(20)에 고주파 전류가 흐르는 것으로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열 코일(18)이 이동할 때에, 가열 코일(18)과 가열 코일(20)을 전기적으로 접속하지 않은 상태로 하고, 고주파 전류를 급전 할 때에, 가열 코일(18)과 가열 코일(20)을 전기적으로 접속한 상태로 함으로써, 가열 코일(18)과 가열 코일(20)이 항상 접촉한 상태의 경우와 비교하여, 가열 코일(18)의 이동에 따른 가열 코일(18)과 가열 코일(20)의 접촉 부분에 있어서 마모에 기인한 결함이 발생하는 일이 없게 된다.
또한, 상기한 가열 코일(18)과 가열 코일(20)을, 가압 부재에 의해 접촉시킨 구성과, 나사 및 너트에 의해 접촉시킨 구성에 있어서는, 가열 코일(18)의 일방의 단부측에 슬라이드부(18a)를 마련하는 동시에, 슬라이드부(18a)가 가이드부(16) 상에서 이동하여, 가이드부(16)에 접속된 피더(14)를 매개로 하여 고주파 전원(12)과 접속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 제3구성
가열 코일(18)과 가열 코일(20)을 서로 접촉하는 일 없이, 이송되는 박판 형상 피가열물(24)과 평행하게 되도록 설치하고, 가열 코일(20)의 일방의 단부측이 가열 코일(18)의 타방의 단부측과 동일 높이 위치에서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형성되며, 가열 코일(18)의 타방의 단부측과 가열 코일(20)의 일방의 단부측의 상방측에 판 형상 부재(202)를 마련하도록 하는 동시에, 판 형상 부재(202)를 가압하는 가압 부재(204)를 마련하도록 한다(도 14, 도 15 (a)를 참조한다).
또한, 이 경우에는, 가열 코일(18)에 있어서, 슬라이드 부재(18b)를 마련할 필요가 없고, 더욱이, 가열 코일(20)에 있어서는, 가이드부(20a)를 마련할 필요가 없다.
가열 코일(20)은 가열 코일(18)의 하방측에 가열 코일(18)과 평행하게 되도록 설치되어 있어, 가열 코일(20)의 일방의 단부측에 형성된 직선 영역(20s)은 가열 코일(18)의 타방의 단부측에 형성된 직선 영역(18s)과 동일 높이 위치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15 (b)를 참조한다).
판 형상 부재(202)는, 도전성이 높은 금속에 의해 형성되며, 가열 코일(18) 및 가열 코일(20)의 상방측에, 가열 코일(18)의 직선 영역(18s) 및 가열 코일(20)의 직선 영역(20s)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그리고, 판 형상 부재(202)는, 가압 부재(204)에 의해 판 형상 부재(202)가 하방측으로 가압됨으로써, 가열 코일(18)의 직선 영역(18s)과 가열 코일(20)의 직선 영역(20s)에 동시에 접하고, 가열 코일(18)과 가열 코일(20)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도 15 (c)를 참조한다).
또한, 판 형상 부재(202)는, 통상 소정의 높이 위치(가열 코일(18)과 가열 코일(20)을 전기적으로 접속하지 않는 높이 위치이다)가 되도록 설계되어 있어, 가압 부재(204)에 의한 판 형상 부재(202)로의 가압이 해제되면, 해당 소정의 높이 위치로 돌아오는 것으로 된다.
게다가, 판 형상 부재(202)는, 예를 들면, 내부에 냉각수가 순환하도록 된 냉각기구를 가지도록 하여도 좋다.
가압 부재(204)는,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실린더(206)로부터 연속하여 마련된 막대 형상 부재(206-1)의 하방측 단부에 설치된다.
실린더(206)는, 예를 들면, 솔레노이드에 의해 막대 형상 부재(206-1)를 상방측 및 하방측으로 이동하는 것이며, 이 막대 형상 부재(206-1)의 이동에 따라서, 가압 부재(204)가 상방측 및 하방측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된다. 또한, 막대 형상 부재(206-1)를 상방측 및 하방측으로 이동하는 기구로는, 솔레노이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종래로부터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막대 형상 부재(206-1)가 하방측으로 이동함으로써 가압 부재(204)가 하방측으로 이동하여, 판 형상 부재(202)를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하는 동시에, 막대 형상 부재(206-1)가 상방측으로 이동함으로써 가압 부재(204)가 상방측으로 이동하여, 판 형상 부재(202)로의 가압을 해제한다.
또한, 판 형상 부재(202), 가압 부재(204) 및 실린더(206)는, 가열 코일(18)의 이동에 따라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여도 좋고, 이동하지 않도록 하여도 좋다.
여기에서, 판 형상 부재(202), 가압 부재(204) 및 실린더(206)가 가열 코일(18)의 이동에 따라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가열 코일(18)의 타방의 단부측에 형성된 직선 영역(18s)과, 가열 코일(20)의 일방의 단부측에 형성된 직선 영역(20s)이, 가열 코일(18)의 이동 후에 가압 부재(204)에 의해 판 형상 부재(202)가 가압되었을 때에, 가열 코일(18)과 가열 코일(20)이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한 길이가 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는, 가압 부재(204)에 의하여 판 형상 부재(202)를 가압하지 않음으로써, 가열 코일(18)과 가열 코일(20)을 비접촉의 상태로 하여, 가열 코일(18)을 이동하도록 한다.
그리고, 가열 코일(18)을 임의의 위치로 이동하여, 가열 코일(18)의 이동이 완료하였을 때에는, 가압 부재(204)에 의해 판 형상 부재(202)를 가압함으로써, 가열 코일(18)과 가열 코일(20)을 전기적으로 접속한 상태로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고주파 전원(12)으로부터 피더(14)를 매개로 하여 가열 코일(18)에 고주파 전원을 공급하면, 가열 코일(18)에 급전된 고주파 전류는 판 형상 부재(202)를 매개로 하여 가열 코일(20)을 통해, 가열 코일(20)의 타방의 단부로부터 피더(22)를 매개로 하여 고주파 전원(12)으로 돌아오도록 하여, 가열 코일(18) 및 가열 코일(20)에 고주파 전류가 흐르는 것으로 된다.
또한, 가압 부재(204)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한 제어에 의해 판 형상 부재(202)로의 가압 및 가압의 해제가 행해지지만, 이러한 제어부에 의한 제어는, 예를 들면, 작업자에 의한 조작단자(미도시)의 조작에 기초하여 행해지도록 하여도 좋고, 검지부(미도시)에 의한 가열 코일(18)의 이동 개시 지시의 검지나 가열 코일(18)의 이동 완료의 검지 등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행해지도록 하여도 좋다.
여기에서, 판 형상 부재(202), 가압 부재(204) 및 실린더(206)를, 가열 코일(18)의 직선 영역(18s) 및 가열 코일(20)의 직선 영역(20s)의 상방측에 배치하도록 하였지만, 가열 코일(18)의 직선 영역(18s) 및 가열 코일(20)의 직선 영역(20s)의 하방측에 배치하도록 하여도 좋고(도 16 (a)를 참조한다), 가열 코일(18)의 직선 영역(18s) 및 가열 코일(20)의 직선 영역(20s)의 상방측 및 하방측의 쌍방에 배치하도록 하여도 좋다(도 16 (b)를 참조한다).
또한, 판 형상 부재(202), 가압 부재(204) 및 실린더(206)를, 가열 코일(18)의 직선 영역(18s) 및 가열 코일(20)의 직선 영역(20s)의 상방측 및 하방측의 쌍방에 배치함으로써, 판 형상 부재(202)에 흐르는 전류가 절반으로 되어, 효율 좋게 냉각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된다.
(10) 상기한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가열 코일(18)을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고, 가열 코일(18), (20) 등을,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하여, 가열 코일(18)을,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된 구성이어도 좋다.
(11) 상기한 실시의 형태 및 상기한 (1) 내지 (10)에 나타낸 변형예는, 적절하게 조합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은, 판 형상의 피가열물, 특히, 박판 형상의 피가열물을 가열하는 경우에 이용하는데 바람직한 것이다.
10 : 유도 가열 장치
12 : 고주파 전원
14, 22 : 피더
16 : 가이드
18, 20 : 가열 코일
18a, 18b : 슬라이드부
18c, 20c : 첨부
18e, 20e : 돌부
20a : 가이드부
20b : 직선부
24, 36, 38 : 박판 형상 피가열물
24a, 24b, 36a, 36b, 38a, 38b : 엣지부
26 : 이송로
202 : 판 형상 부재
204, 210, 212 : 가압 부재
206, 214, 216 : 실린더
206-1, 214-1, 216-1 : 막대 형상 부재
218 : 판 스프링
220 : 밀어올림 부재
12 : 고주파 전원
14, 22 : 피더
16 : 가이드
18, 20 : 가열 코일
18a, 18b : 슬라이드부
18c, 20c : 첨부
18e, 20e : 돌부
20a : 가이드부
20b : 직선부
24, 36, 38 : 박판 형상 피가열물
24a, 24b, 36a, 36b, 38a, 38b : 엣지부
26 : 이송로
202 : 판 형상 부재
204, 210, 212 : 가압 부재
206, 214, 216 : 실린더
206-1, 214-1, 216-1 : 막대 형상 부재
218 : 판 스프링
220 : 밀어올림 부재
Claims (9)
- 가열 코일에 고주파 전원으로부터 고주파 전류를 급전하여 박판 형상 피가열물을 유도 가열하는 유도 가열 장치에 있어서,
타방의 단부 측에 제1돌부가 형성되어 대략 루트 기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방의 단부에 있어서 고주파 전원과 접속되는 제1가열 코일과,
타방의 단부 측에 제2돌부가 형성되어 대략 루트 기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타방의 단부에 있어서 고주파 전원과 접속되는 제2가열 코일을 가지며,
상기 제1가열 코일 및 상기 제2가열 코일은,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박판 형상 피가열물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소정의 방향 혹은 상기 소정의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각각 상기 박판 형상 피가열물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가열 코일의 타방의 단부 측과 상기 제2가열 코일의 일방의 단부 측에서만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1돌부와 상기 제2돌부가 서로 역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가열 코일과 상기 제2가열 코일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은 영역에 있어서, 상기 박판 형상 피가열물의 엣지부 근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도록 교차하여 대략 사각형 모양의 제1공간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제1공간 외측의 상기 박판 형상 피가열물이 이송되지 않는 영역에 있어서, 제2공간 및 제3공간을 형성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 및 상기 제3공간에는 고주파 전류에 의해 발생한 자속이 역방향으로 되고,
상기 제1가열 코일과 상기 제2가열 코일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를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공간은 상기 소정의 방향으로 확대 또는 축소하고, 상기 제2공간 및 상기 제3공간은 확대 및 축소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열 코일의 타방의 단부 측은, 상기 제2가열 코일의 일방의 단부 측과 접촉한 상태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제1가열 코일의 타방의 단부 측 및 상기 제2가열 코일의 일방의 단부 측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1가열 코일 및 상기 제2가열 코일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가압 수단에 의한 가압을 행하지 않아, 상기 제1가열 코일과 상기 제2가열 코일을 전기적으로 접속하지 않은 상태로 하고, 상기 제1가열 코일 및 상기 제2가열 코일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동이 완료된 후에, 상기 가압 수단에 의한 가압을 행하여, 상기 제1가열 코일과 상기 제2가열 코일을 전기적으로 접속한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열 코일의 타방의 단부 측에는 제1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가열 코일의 일방의 단부 측에는 제2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가열 코일 및 상기 제2가열 코일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장공과 상기 제2장공에 나사를 삽입하지 않아, 상기 제1가열 코일과 상기 제2가열 코일이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하며, 상기 제1가열 코일 및 상기 제2가열 코일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동이 완료된 후에, 상기 제1장공과 상기 제2장공에 나사를 삽입하여, 상기 제1가열 코일과 상기 제2가열 코일을 전기적으로 접속한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도전성을 나타내는 금속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1가열 코일의 타방의 단부 측 및 상기 제2가열 코일의 일방의 단부 측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 판 형상 부재와,
상기 판 형상 부재를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1가열 코일 및 상기 제2가열 코일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가압 수단에 의한 가압을 행하지 않아, 상기 제1가열 코일과 상기 제2가열 코일을 전기적으로 접속하지 않은 상태로 하며, 상기 제1가열 코일 및 상기 제2가열 코일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동이 완료된 후에, 상기 가압 수단에 의한 가압을 행하여, 상기 판 형상 부재를 매개로 하여 상기 제1가열 코일과 상기 제2가열 코일을 전기적으로 접속한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장치.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부는 제1첨부를 꼭지점으로 하여 예각으로 굴곡된 형상이며,
상기 제2공간은 상기 제1첨부를 1개의 꼭지점으로 하는 대략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돌부는 제2첨부를 꼭지점으로 하여 예각으로 굴곡된 형상이며,
상기 제3공간은 상기 제2첨부를 1개의 꼭지점으로 하는 대략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장치.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열 코일 및 상기 제2가열 코일은 완만하게 구부려 대략 루트 기호 형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장치.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제1공간이 형성된 영역을 덮도록 설치된 판 형상의 자성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재는, 상기 박판 형상 피가열물의 이송 방향으로 연장된 자성 부재를 상기 박판 형상 피가열물의 폭 방향으로 복수 나란히 마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4-258243 | 2014-12-22 | ||
JP2014258243A JP5838254B1 (ja) | 2014-12-22 | 2014-12-22 | 誘導加熱装置 |
PCT/JP2015/085297 WO2016104301A1 (ja) | 2014-12-22 | 2015-12-17 | 誘導加熱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02088A true KR20160102088A (ko) | 2016-08-26 |
KR101712550B1 KR101712550B1 (ko) | 2017-03-13 |
Family
ID=55069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22250A KR101712550B1 (ko) | 2014-12-22 | 2015-12-17 | 유도 가열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5838254B1 (ko) |
KR (1) | KR101712550B1 (ko) |
CN (1) | CN106134286B (ko) |
TW (1) | TWI687133B (ko) |
WO (1) | WO2016104301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330774B2 (ja) * | 2019-06-21 | 2023-08-22 | 電気興業株式会社 | 高周波誘導加熱装置 |
CN118402167A (zh) * | 2021-12-22 | 2024-07-26 | 株式会社爱信 | 定子的制造方法及定子的制造装置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182594A (ja) * | 2009-02-06 | 2010-08-19 | Nippon Steel Corp | 金属板の誘導加熱装置 |
KR20100105399A (ko) * | 2009-03-17 | 2010-09-29 | 에스피씨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 유도가열장치 |
JP2010245029A (ja) | 2009-03-17 | 2010-10-28 | Shimada Phys & Chem Ind Co Ltd | 誘導加熱装置 |
JP2012221857A (ja) * | 2011-04-12 | 2012-11-12 | Oet:Kk | 高周波誘導加熱装置及びワークの加熱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031555A (en) * | 1959-07-15 | 1962-04-24 | Magnethermic Corp | Induction heating |
JPS5131979B2 (ko) * | 1971-05-15 | 1976-09-09 | ||
US4751360A (en) * | 1987-06-26 | 1988-06-14 | Ross Nicholas V | Apparatus for the continuous induction heating of metallic strip |
DE3843457C1 (ko) * | 1988-12-23 | 1989-07-20 | Aeg-Elotherm Gmbh, 5630 Remscheid, De | |
US5403994A (en) * | 1994-02-14 | 1995-04-04 | Ajax Magnethermic Corporation | Selectively adjustable transverse flux heating apparatus |
US5739506A (en) * | 1996-08-20 | 1998-04-14 | Ajax Magnethermic Corporation | Coil position adjustment system in induction heating assembly for metal strip |
JP2001160481A (ja) * | 1999-12-03 | 2001-06-12 | Sumitomo Heavy Ind Ltd | 電磁誘導加熱装置 |
JP2005011625A (ja) * | 2003-06-18 | 2005-01-13 | Japan Ajax Magnethermic Co Ltd | 誘導加熱装置 |
JP4926608B2 (ja) * | 2006-08-23 | 2012-05-09 | 新日本製鐵株式会社 | 金属板の誘導加熱装置及び誘導加熱方法 |
JP4912912B2 (ja) * | 2007-02-16 | 2012-04-11 | 新日本製鐵株式会社 | 誘導加熱装置 |
KR102234457B1 (ko) * | 2013-05-14 | 2021-04-01 | 써머툴 코포레이션 | 동적으로 가변적인 코일 기하구조를 가진 유도 코일 |
-
2014
- 2014-12-22 JP JP2014258243A patent/JP5838254B1/ja active Active
-
2015
- 2015-12-17 KR KR1020167022250A patent/KR10171255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12-17 WO PCT/JP2015/085297 patent/WO2016104301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12-17 CN CN201580013689.4A patent/CN106134286B/zh active Active
- 2015-12-21 TW TW104142964A patent/TWI687133B/zh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182594A (ja) * | 2009-02-06 | 2010-08-19 | Nippon Steel Corp | 金属板の誘導加熱装置 |
KR20100105399A (ko) * | 2009-03-17 | 2010-09-29 | 에스피씨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 유도가열장치 |
JP2010245029A (ja) | 2009-03-17 | 2010-10-28 | Shimada Phys & Chem Ind Co Ltd | 誘導加熱装置 |
JP2012221857A (ja) * | 2011-04-12 | 2012-11-12 | Oet:Kk | 高周波誘導加熱装置及びワークの加熱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I687133B (zh) | 2020-03-01 |
CN106134286A (zh) | 2016-11-16 |
CN106134286B (zh) | 2017-10-27 |
WO2016104301A1 (ja) | 2016-06-30 |
KR101712550B1 (ko) | 2017-03-13 |
JP5838254B1 (ja) | 2016-01-06 |
JP2016119224A (ja) | 2016-06-30 |
TW201635854A (zh) | 2016-10-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357383C1 (ru) | Индукционное нагрев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еталлической пластины | |
KR101957069B1 (ko) | 금속 띠판의 유도 가열 장치 | |
MX2012000636A (es) | Dispositivo y metodo para fabricar miembro doblado. | |
JP4862205B2 (ja) | 誘導加熱装置 | |
KR101712550B1 (ko) | 유도 가열 장치 | |
JPWO2016035893A1 (ja) | 金属帯板の誘導加熱装置 | |
KR101123810B1 (ko) | 유도가열장치 | |
JP6331900B2 (ja) | 金属帯板の誘導加熱装置 | |
JP5880175B2 (ja) | 通電加熱方法及び熱間プレス成形方法 | |
US20230232506A1 (en) | Transverse flux induction heating device for heating flat product | |
JP5876133B1 (ja) | 誘導加熱装置 | |
CN102869140A (zh) | 感应加热装置 | |
CN110506449A (zh) | 用于金属产品的加热装置 | |
JP2012221857A (ja) | 高周波誘導加熱装置及びワークの加熱方法 | |
KR101442120B1 (ko) |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도체판을 가열하는 유도가열 장치 및 그 방법 | |
TH1601005472A (th) | อุปกรณ์ทำความร้อนแบบเหนี่ยวนำ | |
TWM643995U (zh) | 橫向磁通感應線圈組配件 | |
KR20140041176A (ko) | 소재 크롭 절단장치 | |
JP2015035330A (ja) | 加熱コイル及び連続加熱装置 | |
JP2016225189A (ja) | 誘導加熱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