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1568A -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1568A
KR20160101568A KR1020150024408A KR20150024408A KR20160101568A KR 20160101568 A KR20160101568 A KR 20160101568A KR 1020150024408 A KR1020150024408 A KR 1020150024408A KR 20150024408 A KR20150024408 A KR 20150024408A KR 20160101568 A KR20160101568 A KR 20160101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nner tank
tank
water level
t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4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7518B1 (ko
Inventor
박영배
박종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4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7518B1/ko
Priority to US15/551,433 priority patent/US10358756B2/en
Priority to PCT/KR2016/001591 priority patent/WO2016133357A1/en
Publication of KR20160101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1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3Control of cleaning or disinfection of washing machine parts, e.g. of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06F35/008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for disinfecting the tub or the dru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3/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ith agitators therein contacting the articles being washed 
    • D06F33/02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6Driving arrangements  for rotating the receptacle at more than one spe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14Time settin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20Operation modes, e.g. delicate laundry washing programs, service modes or refreshment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8Draining of washing liqui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4Filtering, e.g. control of lint removal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a) 외조 내로 제 1 설정수위까지 급수가 이루어지는 단계; (b) 상기 외조와 상기 내조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 사이에 배치된 필터가 수류에 의해 세척되도록 상기 내조를 회전시키는 단계; (c) 상기 외조 내의 수위가 상기 제 1 설정수위로부터 제 2 설정수위까지 상승되도록 급수가 이루어지는 단계; 및 (d) 상기 내조와 상기 외조 사이의 물이 원심력에 의해 상기 내조의 상단보다 더 높이까지 상승하여 상기 내조 내로 쏟아지도록 상기 내조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제의 유화작용과, 세탁조 또는 세탁날개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수류작용 및 세탁날개가 가하는 충격작용 등을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기기로서, 세제와 물의 작용을 이용하여 세탁물(이하, '포'라고도 함.)에 묻어 있는 오염을 제거하도록 세탁, 헹굼 및/또는 탈수 과정을 진행한다.
통상의 세탁기는 세탁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 매달리는 형태로 수용되는 외조와, 상기 외조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내조를 포함한다.
장기간에 걸친 세탁기의 반복된 사용으로 인해, 내조와 외조는 스케일(scale), 물때, 응고된 세제 등의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오염되기 때문에, 가끔씩은 이러한 오염원을 제거하기 위한 통세척(이하, 외조를 포함하여 외조 내에 배치된 구성들을 청소하는 과정을 "통세척"이라고 정의함.)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통세척 방식은 외조 내에 충분한 양의 물을 공급하여, 외조의 하부 영역과 상부 영역을 함께 세척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외조의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 간에는 오염이 누적되는 정도에 편차가 있기 때문에, 상기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 모두를 깨끗하게 청소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영역들을 세척하는 방식에도 차이를 두어야 할 것이나, 종래의 통세척 방식은 그렇지 못하였다. 예를 들어, 외조의 하부 영역에는 내조의 하부에 배치되는 펄세이터나, 내조의 아래에 위치하는 허브나, 필터 등의 오염이 집중적으로 누적되는 구성들이 배치되나, 종래의 세탁기는 외조의 하부 영역과 상부 영역을 구분하지 않고 일괄적인 방식으로 통세척을 실시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세척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외조 내의 전 영역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외조의 하부 영역에서 강력한 수류를 유발시켜, 오염이 누적되기 쉬운 내조와 외조의 하부, 펄세이터, 허브, 필터 등의 구성들을 집중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세탁기는 물이 담기는 외조; 상기 외조 내에서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하부에 상기 외조와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측면부에는 측방향으로 유동되는 물이 통과하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내조; 상기 내조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펄세이터; 상기 펄세이터의 회전시,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외조로부터 상기 내조로 유동되는 물을 여과하는 필터; 상기 외조 내로 물을 급수하는 급수밸브; 상기 외조로부터 물을 배수시키는 배수펌프; 상기 펄세이터 및 상기 내조 중의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는 구동부; 및 제 1 설정수위까지 급수가 되도록 상기 급수밸브를 제어한 후, 상기 내조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내조와 상기 외조 사이의 물이 원심력에 의해 상승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 1 설정수위로부터 제 2 설정수위로 수위가 상승하도록 상기 급수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내조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내조와 상기 외조 사이의 물이 원심력에 의해 상기 내조의 상단보다 더 높이까지 상승하여 상기 내조 내로 쏟아지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설정수위에서 기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내조의 회전과 제동이 반복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조의 회전과 제동이 일정한 주기로 반복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 1 설정수위까지의 급수시에는 물과 함께 세제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세제는 산소계 표백제 및 산소계 세정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설정수위는 상기 펄세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잠길 수 있는 수위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조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내조와 상기 외조 사이의 물이 원심력에 의해 상기 내조의 상단보다 더 높이까지 상승하여 상기 내조 내로 쏟아지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한 후, 상기 외조가 배수되도록 상기 배수펌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수펌프가 작동되는 중에 상기 내조가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a) 외조 내로 제 1 설정수위까지 급수가 이루어지는 단계; (b) 상기 외조와 상기 내조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 사이에 배치된 필터가 수류에 의해 세척되도록 상기 내조를 회전시키는 단계; (c) 상기 외조 내의 수위가 상기 제 1 설정수위로부터 제 2 설정수위까지 상승되도록 급수가 이루어지는 단계; 및 (d) 상기 내조와 상기 외조 사이의 물이 원심력에 의해 상기 내조의 상단보다 더 높이까지 상승하여 상기 내조 내로 쏟아지도록 상기 내조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b)단계는 기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내조의 회전과 제동을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조의 회전과 제동은 일정한 주기로 반복될 수 있다.
상기 (a)단계에서는 세제가 물과 함께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세제는 산소계 표백제 및 산소계 세정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설정수위는 상기 필터의 상측으로 상기 내조의 하부에 배치된 펄세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잠길 수 있는 수위일 수 있다
상기 (d)단계 이후, 상기 외조를 배수시키는 (e)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e)단계는 상기 외조가 배수되는 중에 상기 내조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f) 상기 (e)단계 이후, 상기 외조로 다시 급수를 하는 단계; (g) 상기 내조 및 펄세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키는 단계; 및 (h) 상기 외조를 배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h)단계는 상기 외조가 배수되는 중에 상기 내조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h)단계에서 상기 내조는 상기 (e)단계에서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외조 내의 전 영역이 깨끗하게 세척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외조의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을 각각에 최적화된 방식으로 세척함으로써, 일괄적인 방식으로 영역들을 세척하는 경우에 비해 세척 성능과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내조와 외조의 하부, 펄세이터, 허브, 필터 등의 구성들이 집중적으로 세척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들 간의 제어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세척행정에서의 세탁기의 동작을 차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5의 (b)에서의 외조 내의 수위를 보다 자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4의 헹굼행정을 구성하는 헹굼단계에서 세탁기의 동작을 차례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들 간의 제어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는 물이 담기는 외조(2)와, 세탁물을 수용하고 외조(2)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내조(3)와, 내조(3)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펄세이터(4)를 포함한다.
외조(2)는 세탁기(1)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미도시) 내에 배치되고, 내조(3)의 회전에 의해 유발되는 진동이 완충될 수 있도록, 서스펜션(미도시)에 의해 상기 케이싱 내에 매달릴 수 있다. 내조(3)는 수직한 축(V)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외조(2)는 상측으로부터 내조(3) 내로 포가 투입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된 통을 이룬다. 외조(2)의 상부에는, 적절한 속도로 내조(3)가 회전될 시, 외조(2)와 내조(3) 사이를 따라 내조(3)의 상단 보다 높이 상승한 수류가 내조(3) 내로 다시 쏟아지도록 안내하는 링형 커버(2a)가 구비될 수 있다.
내조(3)는 외조(2)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하부에 외조(2)와 연통되는 개구부(3h)가 형성되고, 측면부에는 측방향으로 유동되는 물이 통과하는 다수개의 통공(3c, 도 6 참조.)이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내조(3)는 수직한 축(V)을 중심으로 길게 연장되어 내조(3)의 측면부를 구성하는 드럼(3b)과, 드럼(3b)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내조(3)의 하부를 구성하며, 중심부에 개구부(3h)가 형성된 베이스(3a)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3b)과 베이스(3a)는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제조상의 편의를 위해 각각 별도의 부품으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펄세이터(4)에는 다수개의 통공(미도시)이 형성되어, 개구부(3h)를 통해 외조(2)로부터 유입된 물이 펄세이터(4)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내조(3) 내로 이동될 수 있다. 개구부(3a)의 둘레에는 허브(12)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에는 세탁기(1)의 작동을 위해 사용자로부터 각종 설정(예를 들어, 코스 선택, 시간 입력 등)을 선택 또는 입력 받는 입력부(30)와, 세탁기(1)의 작동 상태(예를 들어, 코스 진행 상황, 남은 시간 등)를 표시하는 표시부(미도시)를 제공하는 컨트롤 패널이 구비될 수 있다.
입력부(30)는 사용자로부터 통세척코스의 설정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30)를 통해 입력된 설정에 따라 통세척코스가 실시되거나, 실시 중이던 통세척코스가 정지되거나, 통세척코스를 구성하는 각종 설정들이 변경될 수 있다.
제어부(22)는 세탁기(1)를 구성하는 장치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다른 설명이 없는 한, 상기 장치들은 제어부(22)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이해하기로 한다.
구동부(18)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18a)와, 모터(18a)의 회전축(18b)을 허브(12)와 결속시키거나, 허브(12)의 결속을 해제시키는 클러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18a)의 회전축(18b)은 펄세이터(4)와는 항시 결속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클러치에 의해 회전축(18b)이 허브(12)와 결속된 상태에서는 내조(3)와 펄세이터(4)가 일체로 회전되며, 반대로 회전축(18b)과 허브(12)간의 결속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내조(3)는 정지된 상태로 펄세이터(4)만 회전된다. 이하, 내조(3)와 펄세이터(4)가 함께 회전되는 것을 "통회전모드"라고 하고, 내조(3)는 정지되어 있고, 펄세이터(4)만이 회전되는 것을 "교반모드"라고 정의한다. 특히, 교반모드에서는 펄세이터(4)가 양방향으로 교대로 회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서 교반모드는 펄세이터(4)가 양방향으로 교대로 회전되는 것을 예로드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교반모드는 펄세이터(4)가 회전과 제동을 반복하되, 회전시의 방향이 항상 일정한 형태의 실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모터(18a)는 속도 제어가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모터(18a)는 BLDC(Brushless DC Motor)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BLDC 등의 속도 제어가 가능한 모터를 이용하여 내조(3) 또는 펄세이터(4)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기술은 이미 세탁기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펄세이터(4)는 중심에서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수류를 발생시키는 다수개의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브를 적절한 형상으로 설계함으로써, 내조(3) 내에는 펄세이터(4)의 회전시 상방향으로 진행되는 수류가 형성될 수 있다.
허브(12)에는 회전축(18b) 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배열된 다수개의 통공(12h)이 형성될 수 있다. 내조(3) 또는 펄세이터(4)의 회전시, 통공(12h)을 통해 외조(2)로부터 내조(3) 내로 진행하는 수류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도 2에 점선으로 도시된 화살표는 이러한 수류를 모식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통공(12h)을 통과하는 수류 중에 포함된 오구들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14)가 구비될 수 있다. 필터(14)는 통공(12h)들과 대응하는 위치에 필터공(14h)들이 형성된 필터 프레임(14a)과, 필터 프레임(14a)에 고정되어 필터공(14h)을 통과하는 수류를 여과하는 망사구조의 여과망(14b)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14)는 바람직하게는 허브(12)의 하측에 결합되나,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세탁기(1)는 외조(2) 내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와, 외조(2)를 배수시키는 배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부는 수도꼭지 등의 급수원과 연결된 급수유로(5)를 단속하는 급수밸브(7)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유로(5) 상에는 세제박스(6)가 구비될 수 있으며, 급수밸브(7) 개방시, 급수유로(5)를 통해 공급된 물이 세제박스(6)를 경유한 후, 외조(2) 또는 내조(3) 내로 공급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세제박스(6)를 경유하지 않고, 내조(3) 내로 직접 물을 분사하는 노즐(미도시)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배수부는 외조(2) 내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유로(8) 상에 구비된 배수펌프(9)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수유로(8)를 단속하는 배수밸브(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배수밸브가 개방된 상태에서 배수펌프(9)가 작동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세척행정에서의 세탁기의 동작을 차례로 도시한 것으로, 도 5의 (a)는 급수단계(S11), 도 5의 (b)는 불림단계(S12), 도 5의 (c)는 급수단계(S13), 도 5의 (d)는 세척단계(S14)와 대응한다. 도 6은 도 5의 (b)에서의 외조 내의 수위를 보다 자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4의 헹굼행정을 구성하는 헹굼단계에서 세탁기의 동작을 차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외조(2) 내로 제 1 설정수위(H1)까지 급수가 이루어지는 단계(S11)와, 내조(3)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3h)와 외조(2) 사이에 배치된 필터(14)가 수류에 의해 세척되도록 내조(3)를 회전시키는 단계(S12)와, 외조(2) 내의 수위가 제 1 설정수위(H1)로부터 제 2 설정수위(H2)까지 상승되도록 급수가 이루어지는 단계(S13)와, 내조(3)와 외조(2) 사이의 물이 원심력에 의해 상승하여 내조(3)의 상단을 넘어 내조(3) 내로 쏟아지도록 내조를 회전시키는 단계(S14)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세탁기(1)는 세척행정(S10)과 헹굼행정(S20)을 포함하여 구성된 통세척코스(도 4 참조)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30)를 통해 통세척코스 실시 명령을 입력할 수 있으며, 이렇게 입력부(30)를 통해 상기 실시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2)는 상기 통세척코스가 실시되도록 세탁기(1)를 제어할 수 있다.
세척행정(S10)은 외조(2)를 포함하여 외조(2) 내에 배치된 구성들에 묻은 오염을 제거하는 행정이다. 세척행정(S10)은 급수단계(S11), 불림단계(S12), 급수단계(S13) 및 세척단계(S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급수단계(S11)에서는 외조(2) 내의 수위가 제 1 설정수위(H1)에 이를 때까지 급수가 이루어진다. 세탁기(1)는 외조(2)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16, 도 3 참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어부(22)는 수위센서(16)의 감지값을 바탕으로 외조(2) 내의 수위가 제 1 설정수위(H1)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급수밸브(7)를 차단할 수 있다.
제 1 설정수위(H1)는 펄세이터(4)의 적어도 일부가 잠기도록 설정된다. 필터(14)는 펄세이터(4)의 하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외조(2) 내의 수위가 제 1 설정수위(H1)에 도달한 상태에서 완전히 물에 잠긴다.
급수단계(S11)에서는 세제가 물과 함께 외조(2) 내로 공급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상기 세제는 세제박스(6)에 담긴 것으로, 급수단계(S11)에서는 급수유로(5)를 따라 공급된 물이 세제박스(6)를 경유하면서 세제와 함께 내조(3) 또는 외조(2) 내로 공급되며, 급수단계(S11)가 완료된 상태에서 세제박스(6)에는 더 이상 세제가 존재하지 않는다.
상기 세제는 내조(3)나 외조(2)의 청소(통세척)를 위한 것으로, 세탁물의 세탁을 위한 것과는 구별되며, 시중에는 이미 통세척 전용 세제가 판매되고 있다. 상기 세제는 산소계 표백제 및 산소계 세정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는 염소계 표백제나 산성 세정제를 포함하지는 않는 것이 좋다. 외조(2) 내의 구성품(예를 들어, 내조(3))이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 염소계 표백제나 산성 세정제에 의해 부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불림단계(S12)는 급수단계(S11) 이후에 실시되며, 세제가 외조(2)를 포함하여 외조(2) 내에 배치된 드럼(3), 펄세이터(4), 허브(12), 필터(14) 등의 구성품들에 작용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실시된다. 불림단계(S12)는 바람직하게는, 수시간 동안(예를 들어, 1 시간 내지 10시간) 실시될 수 있다.
불림단계(S12)가 실시되는 동안, 내조(3)는 회전과 제동을 반복할 수 있다(통회전모드). 이때, 도 5의 (b)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조(3)의 베이스(3a)와 외조(2) 사이에서는, 내조(3)의 회전에 의해 내조(3)의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발산되는 수류(F, 도 6 참조.)가 형성되며, 수류(F)에 의해 필터(14) 표면에 부착된 오구들이 분리될 수 있다.
특히, 불림단계(S12)는 외조(2)의 하부 영역을 청소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수류 형성 시 모터(18a)에 걸리는 부하를 고려할 시, 외조(2) 내에는 꼭 필요한 정도로만 물이 담기는 것이 좋고, 이러한 측면에서 제 1 설정수위(H1)는 바람직하게는, 펄세이터(4)가 완전히 잠기기 시작하는 수위를 넘지 않도록 설정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림단계(S12)에서는 내조(3)의 회전에 의해 유발된 원심력에 의해, 외조(2)와 내조(3) 사이에서 물이 상승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설정수위(H1)와, 내조(3)의 회전속도를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불림단계(S12)에서는 외조(2)와 내조(3) 사이에서 상승된 물이 내조(3)의 상단을 넘지는 못한다. 내조(3)와 외조(2) 사이에서 상승된 물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조(2)의 내주면에 압착됨으로써, 외조(2)와 압착된 부분에서 수면의 적어도 일부가 드럼(3b)과는 분리된다. 참고로, 도 6에서 'g'는 드럼(3b)과 수면이 이격된 간격을 표시한 것이다.
불림단계(S12)에서 내조(3)는 회전과 제동을 반복할 수 있다. 제어부(22)는 구동부(18)를 소정의 시간 동안 회전시킨 후 제동시킬 수 있다. 구동부(18)가 정지 상태를 소정의 시간 동안 유지한 후, 제어부(22)의 제어 하에 다시 회전되는 것이 반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18)의 반복적인 회전은, 불림단계(S12)가 시작된 후 일정한 시간(T)에 이를 때까지 주기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0분 마다 10초씩 구동부(18)가 회전될 수 있다.
급수단계(S13)는 불림단계(S12) 이후 실시되며, 외조(2) 내의 수위가 제 2 수위(H2)에 이르도록 추가로 급수가 이루어진다. 급수밸브(7)가 개방된 후, 제어부(22)는 수위센서(16)의 감지값을 바탕으로 외조(2) 내의 수위가 제 2 설정수위(H2)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급수밸브(7)를 차단할 수 있다.
급수단계(S13)는, 이미 이전에 실시된 급수단계(S11)에 의해 세제박스(6) 내에는 세제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실시되기 때문에, 외조(2) 내로는 급수유로(5)와 연결된 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직접 공급된다.
세척단계(S14)는 외조(2) 내의 수위가 제 2 설정수위(H2)에 이른 상태에서 실시되며, 외조(2)의 상부 영역에까지 수류가 미치도록 내조(2)가 회전된다. 특히, 불림단계(S12)에서는 외조(2)의 하부 영역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세척이 이루어진대 반해, 세척단계(S14)는 불림단계(S12)에 비해 수위가 상승된 상태에서 실시될 뿐만 아니라, 내조(3)의 회전에 의해 외조(2)와 내조(3) 사이를 따라 물이 더 상승되기 때문에, 외조(2)의 상부 영역까지 청소된다.
세척단계(S14)에서는 내조(3)와 외조(2) 사이의 물이 원심력에 의해 상승하여 내조(3)의 상단을 넘어 내조(3) 내로 쏟아지도록 내조(3)가 회전될 수 있다. 이렇게 내조(3)로 쏟아지는 수류가 형성될 수 있기 위해서는, 내조(3)의 회전속도와 제 2 설정수위(H2)가 적절하게 설정되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제 2 설정수위(H2)는, 내조(3)가 170 내지 180 rpm으로 회전될 시, 내조(3)와 외조(2) 사이에서 물이 상승하여 내조(3) 내로 쏟아질 수 있는 범위에서 설정된다.
세척단계(S14)에서는 외조(2)와 내조(3) 사이에서 상승된 물에 의해, 내조(3) 상부의 외주면과 외조(2) 상부의 내주면이 세척될 뿐만 아니라, 내조(3) 내로 쏟아지는 수류에 의해서 내조(3)의 내주면이 세척된다. 바람직하게는, 세척단계(S14)에서는 내조(3)의 상단을 넘어 쏟아지는 수류가 맞은 편의 내조(3)의 상부 내주면을 충격할 수 있도록 충분한 세기로 수류가 형성된다.
헹굼행정(S20)은 배수단계(S21), 급수단계(S22), 헹굼단계(S23), 배수단계(S24) 및 탈수단계(S25)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단계(S21)는 외조(2)로부터 물을 배수하는 단계이다. 세척단계(S14)가 완료된 이후, 제어부(22)는 배수펌프(9)를 작동시켜(실시예에 따라, 배수밸브도 개방됨), 외조(2)로부터 물이 배출되도록 한다. 배수가 이루어지는 동안 물이 상측으로부터 필터(14)를 통과하기 때문에 여과망(14b)에 의해 채집된 오구들이 물과 함께, 필터(14)의 하측에 위치하는 배수구(8h)를 통해 배수유로(8)로 배출될 수 있다.
배수단계(S21)에서, 제어부(22)는 배수가 실시되는 중에 내조(3)가 회전되도록 구동부(18)를 제어할 수 있다(통회전모드). 이때, 내조(3)는 일방향으로 연속하여 회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배수가 실시되는 전 과정에서 회전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내조(3)의 베이스(3a)와 외조(2) 사이에서는, 내조(3)의 회전에 의해 내조(3)의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발산되는 수류(F, 도 6 참조.)가 형성되며, 수류(F)에 의해 필터(14) 표면에 부착된 오구들이 필터(14)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수류(F)에 의한 필터(14)의 청소 작용이, 배수단계(S13)가 진행되는 중에 실시되기 때문에, 필터(14)로부터 분리된 오구들이 바로 물과 함께 배수유로(8)를 통해 배출되며, 따라서, 필터(14)로부터 분리된 오구들이 다시 내조(3)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급수단계(S22)는 배수단계(S21) 이후 실시되며, 급수밸브(7)가 개방되어 기 설정된 수위까지 외조(2) 내로 급수가 이루어진다. 상기 설정수위는 급수단계(S22) 이후 실시되는 헹굼단계(S23)에서 도 7의 (a)와 같은 형태의 수류가 형성될 수 있도록 설정되며, 바람직하게는 제 2 수위(H2) 이상이다.
헹굼단계(S23)는 급수단계(S22) 이후 실시되며, 외조(2) 내로 다시 급수를 하여 외조(2)와 외조(2) 내부에 배치된 구성들을 헹구는 단계이다.
헹굼단계(S23)는 외조(2)와 내조(3) 사이를 따라 물이 상승한 후 내조(3)의 상단을 넘어 내조(3)로 쏟아질 수 있도록 내조(3)를 회전시키는 제 1 단계(도 7의 (a) 참조.)와, 내조(3)를 회전시켰다가 정지시키는 것을 반복하는 제 2 단계(도 7의 (b) 참조.)와, 내조(3)는 정지되고 펄세이터(4)만을 양방향으로 교대로 회전시키는 제 3 단계(도 7의 (c)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제 1 단계에서는 내조(3)가 소정의 시간 동안 일방향으로 연속하여 회전될 수 있다(통회전모드). 제 1 단계에서는 세척단계(S14)와 마찬가지로, 물이 외조(2)와 내조(3) 사이를 따라 상승한 후 내조(3)의 상단을 넘어 다시 내조(3)로 쏟아진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단계에서의 내조(3)의 회전속도는 170 내지 180rpm이나, 이에 한하지 않는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제 2 단계(통회전모드)는 제 1 단계 이후에 실시되며, 내조(3)의 회전과 정지가 반복된다. 제 2 단계에서는 제 1 단계에 비해 내조(3)가 낮은 속도로 회전되며, 외조(2)와 내조(3) 사이에서 물이 상승되더라도 내조(3)의 상단을 넘지는 못한다. 제 2 단계 이전의 단계들에서 원심력에 의해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생성된 수류(F)에 의해 내조(3) 또는 외조(2)에 오구들이 다시 부착되었다고 하더라도, 제 2 단계에서는 내조(3)의 회전과 정지가 반복되는 과정에서 관성에 의해 오구들이 내조(3)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특히, 제 2 단계에서는 내조(3)가 양방향으로 교대로 회전될 수 있다. 내조(3)의 회전 방향을 전환함으로써, 관성에 의해 오구들의 내조(3)로부터 더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7의 (c)를 참조하면, 제 3 단계는 제 2 단계 이후에 실시되며, 내조(3)는 정지된 상태에서 펄세이터(4)가 양방향으로 교대로 회전된다(교반모드). 펄세이터(4)를 적절한 형상으로 설계함으로써, 내조(3) 내에서는 펄세이터(4)의 회전에 의해 상방향으로의 유동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외조(2) 내에서는 필터공(14h)과 허브(12)에 형성된 통공(12h)을 통해 내조(3) 내로 유동하는 수류가 발달된다. 제 3 단계를 통해 펄세이터(4)의 배면이나, 필터(14)의 상면에 부착된 오구들이 제거될 수 있으며, 외조(2) 내에 존재하는 오구들이 다시 필터(14)에 의해 채집될 수 있다.
제 3 단계가 소정의 시간 동안 실시된 후, 배수단계(S24)가 실시될 수 있다. 제어부(22)는 배수펌프(9)가 작동되도록 제어하여 외조(2)를 배수시킬 수 있다. 배수단계(S24)에서는 배수단계(S21)와 마찬가지로 내조(3)가 회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배수가 완료된 이후, 다시 급수가 이루어지고, 제 1 단계, 제 2 단계 및 제 3 단계가 차례로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기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될 수 있다.
탈수단계(S25)는 배수단계(S24) 이후 실시되며, 내조(3)를 고속으로 회전시켜 내조(3)에 묻은 물기를 제거하는 단계이다(통회전모드). 탈수단계(S25)는 배수단계(S24)에서 회전되던 내조(3)를 소정의 탈수속도까지 가속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하지 않고, 배수단계(S34) 완료시 내조(3)를 정지시켰다가, 다시 상기 탈수속도로 가속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0)

  1. 물이 담기는 외조;
    상기 외조 내에서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하부에 상기 외조와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측면부에는 측방향으로 유동되는 물이 통과하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내조;
    상기 내조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펄세이터;
    상기 펄세이터의 회전시,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외조로부터 상기 내조로 유동되는 물을 여과하는 필터;
    상기 외조 내로 물을 급수하는 급수밸브;
    상기 외조로부터 물을 배수시키는 배수펌프;
    상기 펄세이터 및 상기 내조 중의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는 구동부; 및
    제 1 설정수위까지 급수가 되도록 상기 급수밸브를 제어한 후, 상기 내조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내조와 상기 외조 사이의 물이 원심력에 의해 상승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 1 설정수위로부터 제 2 설정수위로 수위가 상승하도록 상기 급수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내조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내조와 상기 외조 사이의 물이 원심력에 의해 상기 내조의 상단보다 더 높이까지 상승하여 상기 내조 내로 쏟아지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설정수위에서 기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내조의 회전과 제동이 반복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세탁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조의 회전과 제동이 일정한 주기로 반복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세탁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설정수위까지의 급수시에는 물과 함께 세제가 공급되는 세탁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는,
    산소계 표백제 및 산소계 세정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세탁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설정수위는,
    상기 펄세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잠길 수 있는 수위인 세탁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조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내조와 상기 외조 사이의 물이 원심력에 의해 상기 내조의 상단보다 더 높이까지 상승하여 상기 내조 내로 쏟아지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한 후, 상기 외조가 배수되도록 상기 배수펌프를 제어하는 세탁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수펌프가 작동되는 중에 상기 내조가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세탁기.
  9. (a) 외조 내로 제 1 설정수위까지 급수가 이루어지는 단계;
    (b) 상기 외조와 상기 내조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 사이에 배치된 필터가 수류에 의해 세척되도록 상기 내조를 회전시키는 단계;
    (c) 상기 외조 내의 수위가 상기 제 1 설정수위로부터 제 2 설정수위까지 상승되도록 급수가 이루어지는 단계; 및
    (d) 상기 내조와 상기 외조 사이의 물이 원심력에 의해 상기 내조의 상단보다 더 높이까지 상승하여 상기 내조 내로 쏟아지도록 상기 내조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기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내조의 회전과 제동을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내조의 회전과 제동은 일정한 주기로 반복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는 세제가 물과 함께 공급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는,
    산소계 표백제 및 산소계 세정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설정수위는,
    상기 필터의 상측으로 상기 내조의 하부에 배치된 펄세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잠길 수 있는 수위인 세탁기의 제어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e) 상기 (d)단계 이후, 상기 외조를 배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는,
    상기 외조가 배수되는 중에 상기 내조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f) 상기 (e)단계 이후, 상기 외조로 다시 급수를 하는 단계;
    (g) 상기 내조 및 펄세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키는 단계; 및
    (h) 상기 외조를 배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h)단계는,
    상기 외조가 배수되는 중에 상기 내조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h)단계에서 상기 내조는 상기 (e)단계에서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20. 제 9 항에 있어서,
    입력부를 통해 통세척코스 실시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a), (b), (c) 및 (d) 단계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명령에 따라 실시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20150024408A 2015-02-17 2015-02-17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2287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408A KR102287518B1 (ko) 2015-02-17 2015-02-17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US15/551,433 US10358756B2 (en) 2015-02-17 2016-02-17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PCT/KR2016/001591 WO2016133357A1 (en) 2015-02-17 2016-02-17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408A KR102287518B1 (ko) 2015-02-17 2015-02-17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568A true KR20160101568A (ko) 2016-08-25
KR102287518B1 KR102287518B1 (ko) 2021-08-06

Family

ID=56692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4408A KR102287518B1 (ko) 2015-02-17 2015-02-17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358756B2 (ko)
KR (1) KR102287518B1 (ko)
WO (1) WO20161333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85377B2 (ja) * 2018-03-20 2022-06-16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洗濯機
US11781673B2 (en) 2018-04-30 2023-10-10 Keto A.I., Inc. Water level control system
US10465324B1 (en) * 2018-05-31 2019-11-05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Method for detecting a low water level in a washing machine appliance
WO2020150632A1 (en) * 2019-01-18 2020-07-23 Keto A.I., Inc. Water level control system
CN111850942B (zh) * 2019-04-01 2022-07-19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1344A (ja) * 2002-10-23 2004-05-20 Sanyo Electric Co Ltd 洗濯機
JP2014133182A (ja) * 2014-04-28 2014-07-24 Hitachi Appliances Inc 洗濯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1410A (ko) * 1997-11-21 1999-06-15 전주범 세탁기의 청소방법
JP2005131115A (ja) * 2003-10-30 2005-05-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
JP4663014B2 (ja) * 2005-12-22 2011-03-30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洗濯機の槽洗浄方法及び洗濯槽洗浄コースが備わった洗濯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1344A (ja) * 2002-10-23 2004-05-20 Sanyo Electric Co Ltd 洗濯機
JP2014133182A (ja) * 2014-04-28 2014-07-24 Hitachi Appliances Inc 洗濯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33357A1 (en) 2016-08-25
US10358756B2 (en) 2019-07-23
US20180030636A1 (en) 2018-02-01
KR102287518B1 (ko) 2021-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01161B2 (ja) 洗濯機の槽洗浄方法及び洗濯槽洗浄コースが備わった洗濯機
KR20160101568A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1781536B1 (ko) 세탁기 및 세탁기 제어방법
KR102284641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JP4583418B2 (ja) 洗濯機
JP5771728B2 (ja) 洗濯機
US10364522B2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090085749A (ko) 드럼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2442968B1 (ko) 세탁기
JP6548872B2 (ja) 洗濯機
JPH0847593A (ja) ドラム式洗濯機
JP5743720B2 (ja) 洗濯機
US20100200019A1 (en) Method for the internal cleaning of a clothes washing machine
JP5387664B2 (ja) 洗濯機
JP5177152B2 (ja) 洗濯機
KR102533498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JP5326034B2 (ja) 洗濯機
JP3043665B2 (ja) 糸屑採集装置
JP4356424B2 (ja) 洗濯機
KR20010093969A (ko) 전자동 세탁기의 세탁조 세정방법
JP6157948B2 (ja) 洗濯機
JP4103245B2 (ja) 洗濯機
KR20070081880A (ko) 세탁기의 세탁조 세정 방법
JP2012249775A (ja) 洗濯機
KR20060103982A (ko) 드럼 세탁기의 물순환장치용 필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