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8940A - 복합식 차량 작업대 - Google Patents

복합식 차량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8940A
KR20160098940A KR1020150021235A KR20150021235A KR20160098940A KR 20160098940 A KR20160098940 A KR 20160098940A KR 1020150021235 A KR1020150021235 A KR 1020150021235A KR 20150021235 A KR20150021235 A KR 20150021235A KR 20160098940 A KR20160098940 A KR 20160098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ifting
crane
main frame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1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해강
Original Assignee
전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해강 filed Critical 전해강
Priority to KR1020150021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8940A/ko
Publication of KR20160098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89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1/00Vehicle modifications for receiving separate lifting, supporting, or manoeuv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0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 B60S9/1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by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44Jib-cranes adapted for attachment to standard vehicles, e.g. agricultural 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66F7/1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mechanical j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for selective lifting of parts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6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식 차량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써 하나의 차량 작업대를 이용하여 엔진의 상부 탈거 및 하부 탈거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차량 작업대에 있어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한 메인프레임(100)에 리프팅부(200)를 구비하고, 메인프레임(100)의 후방 측에 크레인부(300)를 구비하며,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양측에 차량잭부(400)를 구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하게 형성한 메인프레임(100)에 리프팅부(200)를 구비하고, 메인프레임(100)의 후방 측에 크레인부(300)를 구비하며,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양측에 차량잭부(400)를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차량 작업대를 이용하여 엔진의 상부 탈거 및 하부 탈거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복합식 차량 작업대 {Composite type Vehicle Workstation}
본 발명은 복합식 차량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작업대에 있어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한 메인프레임에 리프팅부를 구비하고, 메인프레임의 후방 측에 크레인부를 구비하며,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측에 차량잭부를 구비하여서, 하나의 차량 작업대를 이용하여 엔진의 상부 탈거 및 하부 탈거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작업대는 차량의 수리할 때 사용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차량을 상부에서 들어 올일 수 있게 한 크레인 작업대와 차량의 하부에서 들어 올릴 수 있게 한 리프트 작업대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크레인 작업대는 이동 가능하게 형성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 상부측에 구비되는 크레인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크레인 작업대는 차량 엔진 등의 탈거가 요구될 경우 엔진룸의 상부에서 크레인으로 엔진을 들어올리는데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리프트 작업대는 이동 가능하게 형성한 메인 프레임과 메인 프레임 상부에서 리프팅 되는 리프팅부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리프트 작업대는 차량 작업시 상부로 들어올릴 수 없는 부품을 차량의 하부에서 탈거 하는데에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크레인 형은 메인 프레임이 약하여 엔진 및 미션 등의 고 하중 물체를 들어 올릴 때 리프트가 전복되는 사고가 발생하기 쉬우며 차량에서 고 하중 물체를 분리 시 정밀한 작업이 불가하고 메인 프레임 상부의 리프팅 부의 길이 조절 및 리프트를 수동으로 동작하기 하기 때문에 작업 범위와 높이가 제한적이며 차량의 타 고 하중 물체를 들어 올리는데 제한적이다.
또한 리프트 형은 차량을 고정식 섀시 리프트를 이용하여 들어 올린 후 엔진 및 미션 등의 고 하중 물체를 들어올리기 때문에 안정성은 확보되지만 차량에서 엔진을 분리 시 정밀한 작업이 어렵고 엔진 및 미션을 분해시에만 사용기에 용도의 범용성이 제한적이다.
한편, 리프트 형은 고정식 섀시 리프트가 구비되어야 엔진을 들어낼 수 있다.
차량 정비소에서는 상기와 같은 두가지 형태의 엔진 리프트인 크레인 형과 리프트 형 모두를 구비하여야 하며 이와 같은 두가지 형태는 엔진 및 미션 등의 고 하중 물체를 들어 올리는 것에만 사용 할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 실용 제1020130137280호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크레인 형 엔진 리프트의 차량의 고하중 물체를 들어 올릴 시의 메인 프레임이 약하여 작업 시 전복되는 사고의 위험성과 상부 리프트부(200)의 길이와 리프트를 수동으로 조작 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 범위와 높이가 제한적인 문제점과 리프트 형 엔진 리프트의 사용 용도의 제한, 고정식 섀시 리프트의 필요, 그리고 엔진을 들어 올릴 시의 정밀한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차량 정비소에서 쓰이는 종래의 유압을 이용한 제품 사용 시 유압 선의 제한적인 길이에 따른 작업 반경 감소의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차량 작업대에 있어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한 메인프레임에 리프팅부를 구비하고, 메인프레임의 후방 측에크레인부를 구비하며,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측에 차량잭부를 구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하게 형성한 메인프레임에 리프팅부를 구비하고, 메인프레임의 후방 측크레인부를 구비하며,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측에 차량잭부를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차량 작업대를 이용하여 엔진의 상부 탈거 및 하부 탈거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이 입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상세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하나의 차량 작업대를 이용하여 엔진의 상부 탈거 및 하부 탈거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차량 작업대에 있어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한 메인프레임(110)에 리프팅부(200)를 구비하고, 메인프레임(100)의 후방 측에 크레인부(300)를 구비하며,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양측에 차량잭부(400)를 구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하중을 지지하는 프레임(110)부와 프레임(110)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이동가능하게 하는 바퀴(120), 프레임(110)부를 이동시킬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 리프팅부(200)와 크레인부(300)를 동작 시키는 유압공급부(1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유압공급부(130)는 유압펌프와 유압탱크, 유압라인, 유압 제어밸브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유압제어밸브는 리프트 제어밸브, 크레인 제어밸브, 잭 제어밸브로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유압 제어밸브는 추가적으로 여분의 밸브가 구비되어 있어 종래의 유압을 이용한 제품을 사용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리프팅부(200)는 리프팅 받침대를 동작 시킬 수 리프팅펜더그래프(220), 차량의 엔진을 받칠 수있는 리프팅받침대(210), 리프팅펜터그래프에 동력을 공급하는 리프팅 액츄에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크레인부(300)는 엔진을 걸 수 있는 엔진 걸이, 크레인 붐대의 길이를 조절 할 수 있게 하는 크레인 붐 엑츄에이터(320), 크레인의 높이를 조절 할 수 있게 하는 크레인 프레임 엑츄에이터(33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차량잭부(400)는 차량 하부에 위치 할 잭 암(410), 차량 하부에 위치하여 차량 섀시를 들어올릴 수 있는 리프트(420), 잭 암(410)과 리프트(420)에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 엑츄에이터(430)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사용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차량 작업대에 있어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한 메인프레임(100)에 리프팅부(200)를 구비하고, 메인프레임(100)의 후방 측에 크레인부(300)를 구비하며,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양측에 차량잭부(400)를 구비한 본 발명을 이용하여 차량의 엔진을 상부 탈착하고자 할 경우에는 크레인부(300)를 엔진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엔진 걸이에 걸어 크레인 엑츄에이터를 구동하여 엔진을 탈거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하여 차량의 엔진을 하부 탈착하고자 할 경우에는 크레인부(300)를 엔진 상부에 위치시켜 차량 섀시를 들어올리고 차량잭부(400)를 차량의 하부에 위치시켜 잭 암(410)을 차량 하부로 구동 시킨다. 이 후 리프트(420)를 차량 하부의 섀시에 고정시켜 차량을 들어올리고 리프팅부(200)를 동작시켜 엔진을 탈거 한다.
또한, 차량 이외의 고 하중 물체의 이동 및 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범용성을 높이고 상기 발명의 유압공급부(130)를 이용하여 종래의 유압 장치를 범용적으로 운용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100 : 메인프레임부 110 : 프레임 120: 바퀴 130 : 유압공급부
200 : 리프팅부 210 : 리프팅받침대 220 : 리프팅팬더그래프
300 : 크레인부 310 : 엔진걸이 320 : 크레인 붐 엑츄에이터
330 : 크레인 프레임 엑츄에이터
400 : 차량잭부 410 : 잭 암 420 : 리프트 430 : 동력 엑츄에이터

Claims (6)

  1. 차량 작업대에 있어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한 메인프레임(100)에 리프팅부(200)를 구비하고, 메인프레임(100)의 후방 측에 크레인부(300)를 구비하며,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양측에 차량잭부(40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식 차량 작업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하중을 지지하는 프레임(110)과 프레임(1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이동가능하게 하는 바퀴(120), 프레임부를 이동시킬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 리트핑부와 크레인부(300)를 동작 시키는 유압공급부(13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식 차량 작업대.
  3. 제 1 항에 있어서,
    리프팅부(200)는 리프팅 받침대를 동작 시킬 수 있는 리프팅팬더그래프(220), 차량의 엔진을 받칠 수있는 리프팅받침대(210), 리프팅팬더그래프(220)에 동력을 공급하는 리프팅 액츄에이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부(200).
  4. 제 1 항에 있어서,
    크레인부(300)는 엔진을 걸 수 있는 엔진걸이(310), 크레인 붐대의 길이를 조절 할 수 있게 하는 크레인 붐 엑츄에이터(320), 크레인의 높이를 조절 할 수 있게 하는 크레인 프레임 엑츄에이터(33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부(300).
  5. 제 1 항에 있어서,
    차량잭부(400)는 차량 하부에 위치 할 잭 암(410), 차량 하부에 위치하여 차량 섀시를 들어올릴 수 있는 리프트(420), 잭 암(410)과 리프트(420)에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 엑츄에이터(43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잭부(400).
  6. 제 1 항에 있어서,
    메인프레임에 구비된 유압공급부는 유압펌프와 유압탱크, 유압라인, 유압 제어밸브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유압제어밸브는 리프트 제어밸브, 크레인 제어밸브, 잭 제어밸브로 구비.

    그리고, 상기 유압 제어밸브는 추가적으로 여분의 밸브가 구비되어 있어 종래의 유압을 이용한 제품을 사용.
KR1020150021235A 2015-02-11 2015-02-11 복합식 차량 작업대 KR201600989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235A KR20160098940A (ko) 2015-02-11 2015-02-11 복합식 차량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235A KR20160098940A (ko) 2015-02-11 2015-02-11 복합식 차량 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8940A true KR20160098940A (ko) 2016-08-19

Family

ID=56874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1235A KR20160098940A (ko) 2015-02-11 2015-02-11 복합식 차량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894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00165A1 (en) * 2018-04-11 2019-10-17 The Wasp,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replacement of windshields for recreational vehicles, charter buses and large trucks
KR102408771B1 (ko) * 2021-12-06 2022-06-15 양재섭 다기능 고소 작업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7280A (ko) 2012-06-07 2013-12-17 위로클(주) 자동차 엔진 리프트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7280A (ko) 2012-06-07 2013-12-17 위로클(주) 자동차 엔진 리프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00165A1 (en) * 2018-04-11 2019-10-17 The Wasp,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replacement of windshields for recreational vehicles, charter buses and large trucks
KR102408771B1 (ko) * 2021-12-06 2022-06-15 양재섭 다기능 고소 작업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90506B1 (en) Mobile device for working hulls of marine vessels
CN206705190U (zh) 一种工件翻转装置
CN204675661U (zh) 一种机动灵活的起重机机械臂
KR101666344B1 (ko) 타이어 리프트
KR20160098940A (ko) 복합식 차량 작업대
JP3173700U (ja) 自動車整備用台車
US8322007B2 (en) Load handling device
KR101170057B1 (ko) 폐차 해체용 크레인 장치
KR20130000863A (ko) 방향키 탑재용 대차
CN104495683A (zh) 传感器搬运小车
CN107351029A (zh) 一种可移动的汽车维修用螺母装卸装置
CN203820376U (zh) 重载液压升降车
KR20140145756A (ko) 리치 타입 지게차의 레그 구조
CN204122947U (zh) 一种司机室框架总成焊接组合工装
CN105480896A (zh) 一种具有台面挡块的四柱举升机
CN108408586A (zh) 一种自纠偏式气动起重搬运设备
KR101626934B1 (ko) 승강식 운반 대차
CN204221355U (zh) 自动翻转装置
KR200347462Y1 (ko) 지게차 포크
KR200478758Y1 (ko) 고소 작업용 장치
CN203976295U (zh) 飞机千斤顶
JP6366468B2 (ja) リフト装置
KR100349869B1 (ko) 리프팅 러그 용접 로봇 시스템
CN104588957B (zh) 可移动式柔性焊接变位工作平台
CN103692422A (zh) 便携式工作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