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7408A - 미로구조의 방말판을 갖는 배터리 벤트캡 - Google Patents

미로구조의 방말판을 갖는 배터리 벤트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7408A
KR20160097408A KR1020150018441A KR20150018441A KR20160097408A KR 20160097408 A KR20160097408 A KR 20160097408A KR 1020150018441 A KR1020150018441 A KR 1020150018441A KR 20150018441 A KR20150018441 A KR 20150018441A KR 20160097408 A KR20160097408 A KR 20160097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path fluctuation
battery
plate
upw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8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5026B1 (ko
Inventor
박승복
고정의
문병호
Original Assignee
세방전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방전지(주) filed Critical 세방전지(주)
Priority to KR1020150018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5026B1/ko
Publication of KR20160097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7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5Gas exhaust passages comprising elongated, tortuous or labyrinth-shaped exhaust passages
    • H01M2/1252
    • H01M2/0443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35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specific cells, e.g. electrochemical cell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 Filling, Topping-Up Batteries (AREA)

Abstract

미로구조의 방말판을 갖는 배터리 벤트캡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미로구조의 방말판을 갖는 배터리 벤트캡은, 배터리 하우징의 벤트홀에 삽입되는 배터리 벤트캡으로서, 상기 벤트홀에 삽입되며 일측에 가스 배출구가 마련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배터리 하우징 내부의 전해액 외부 누설을 방지하도록 기액분리 유동을 위한 복수의 유로변동 플레이트가 미로구조로 구비되는 방말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방말판에 복수의 유로변동 플레이트를 미로구조로 마련함으로써, 배터리가 기울어진 상태이거나 차량 운전 중 배터리에 전달되는 진동의 강도가 일정 이상 큰 경우에도 전해액이 외부로 누출하는 것을 방지하여 배터리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미로구조의 방말판을 갖는 배터리 벤트캡{BATTERY BENT CAP HAVING BAFFLE OF LABRYNTH STRUCTURE}
본 발명은, 배터리 벤트캡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복잡한 미로 구조를 채용하여 배터리의 전해액 누출 현상을 한층 방지할 수 있는 미로구조의 방말판을 갖는 배터리 벤트캡에 관한 것이다.
산업용 배터리는 2차 전지의 일종으로서, 내부에 양극판과 음극판이 삽입되고 전해액이 충진된 다수의 셀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자동차를 비롯한 전동카트나 전동지게차 등의 운송기기에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산업용 배터리는 기본적으로 전해액에 침지된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서 일어나는 화학 반응에 의한 화학적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력을 발생하는 방전과,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기적 에너지에 의해 전해액을 황산화하는 충전을 반복하면서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산업용 배터리를 충전하는 과정에서는 전해액과 전극의 화학반응에 의해 전해액에서 수소가스가 발생하게 되는데, 수소가스가 축적되면 배터리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폭발의 위험성이 유발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배터리에 형성된 주입홀을 막기 위하여 사용되는 홀 캡에는 배터리 내부에서 생성된 수소가스가 배출될 수 있도록 가스배출홀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전해액에서는 수소가스로 인해 기포가 발생하게 되고, 기포로 인하여 전해액의 표면으로부터 거품이 생성되는데, 홀 캡의 구조적인 특성상, 종래에는 이러한 거품이 부풀어 오르면서 가스배출홀을 통해 배터리 외부로까지 누출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전해액의 외부 배출을 차단하기 위한 다양한 홀 캡의 구조가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홀 캡은 어느 정도 선까지의 전해액 배출은 차단할 수 있을지 몰라도 예를 들어 차량 진동 발생 정도가 과다한 경우와 같이 전해액의 흔들림 정도가 과다한 경우에는 전해액의 배출을 충분하게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전해액의 배출을 차단하지 못하는 경우 황산성분의 전해액에 의해 작업자가 화상을 입거나 주변기기가 부식되는 등 각종 문제점이 유발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20485호 (2013. 01. 03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배터리가 기울어진 상태이거나 차량 운전 중 배터리에 전달되는 진동의 강도가 일정 이상 큰 경우에도 전해액이 외부로 누출하는 것을 방지하여 배터리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미로구조의 방말판을 갖는 배터리 벤트캡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터리 하우징의 벤트홀에 삽입되는 배터리 벤트캡으로서, 상기 벤트홀에 삽입되며 일측에 가스 배출구가 마련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배터리 하우징 내부의 전해액 외부 누설을 방지하도록 기액분리 유동을 위한 복수의 유로변동 플레이트가 미로구조로 구비되는 방말판을 포함하는 미로구조의 방말판을 갖는 배터리 벤트캡이 제공된다.
상기 방말판은, 상기 하우징 내측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 가능한 중앙바; 상기 중앙바의 상부 영역에 상기 가스 배출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1 상향 유로변동 플레이트; 상기 중앙바의 하부 영역에 상기 가스 배출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2 상향 유로변동 플레이트; 및 상기 중앙바의 중앙 영역에 상기 가스 배출구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하향 유로변동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말판은, 상기 제1 상향 유로변동 플레이트에서 상기 제2 상향 유로변동 플레이트를 향하는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보조 유로변동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말판은, 상기 제2 상향 유로변동 플레이트에서 상기 제1 상향 유로변동 플레이트를 향하는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보조 유로변동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보조 유로변동바는, 상기 제1 상향 유로변동 플레이트의 하면에 상기 제1 상향 유로변동 플레이트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방말판은, 상기 제1 상향 유로변동 플레이트의 상면 가장자리의 원주 방향을 따라 마련되며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절곡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말판에 복수의 유로변동 플레이트를 미로구조로 마련함으로써, 배터리가 기울어진 상태이거나 차량 운전 중 배터리에 전달되는 진동의 강도가 일정 이상 큰 경우에도 전해액이 외부로 누출하는 것을 방지하여 배터리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로구조의 방말판을 갖는 배터리 벤트캡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로구조의 방말판을 갖는 배터리 벤트캡에서 방말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로구조의 방말판을 갖는 배터리 벤트캡에서 전해액의 상승 및 유동 제한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로구조의 방말판을 갖는 배터리 벤트캡에 제1 보조 유로변동바가 마련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로구조의 방말판을 갖는 배터리 벤트캡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미로구조의 방말판을 갖는 배터리 벤트캡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로구조의 방말판을 갖는 배터리 벤트캡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로구조의 방말판을 갖는 배터리 벤트캡에서 방말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로구조의 방말판을 갖는 배터리 벤트캡에서 전해액의 상승 및 유동 제한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로구조의 방말판을 갖는 배터리 벤트캡에 제1 보조 유로변동바가 마련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로구조의 방말판을 갖는 배터리 벤트캡(이하 '벤트캡'라 함)은, 배터리의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를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서, 전해액의 누출을 방지하고 가스만을 배출하도록 마련된다. 부연하자면, 본 발명은, 특히 배터리가 기울어진 상태이거나 차량 운전 중 배터리에 전달되는 진동의 강도가 일정 이상 큰 경우에도 전해액이 외부로 누출하는 것을 방지하여 배터리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하, 다양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벤트캡(100)은, 배터리 하우징(10)의 벤트홀(20)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벤트홀(20)에 삽입되며 일측에 가스 배출구(111)가 마련되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의 내측에 삽입 고정되며 배터리 하우징(10) 내부의 전해액 외부 누설을 방지하도록 기액분리 유동을 위한 복수의 유로변동 플레이트가 미로구조로 구비되는 방말판(120)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은, 배터리 하우징(10) 내부에 마련되어 실질적으로 전해액의 외부 누출을 방지하는 방말판(120)에 복수의 유로변동 플레이트가 미로구조로 마련됨에 따라 특히 배터리 하우징(10)의 경사지거나 흔들리는 상태 발생시에도 복수의 유로변동 플레이트의 미로 구조에 의해 전해액의 외부 누출을 더욱 확실히 차단 가능하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은 내부에 장착 공간이 마련되며 그 상부에는 배터리 하우징(10) 내에서 전해액과 전극의 화학 반응 등에 의해 발생 가능한 가스(예를 들어 수소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가스 배출구(111)가 마련된다. 이러한 하우징(110)은 벤트홀(20)에 강제 압입 또는 나사 결합 방식 등을 이용하여 고정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10)의 내측 상부 영역에는 필터(112)가 장착되어 있는데, 여기서 필터(112)는 배터리 하우징(10) 내에서 발생한 가스가 하우징(110) 내부 공간을 따라 상측으로 상승한 후 가스 배출구(111)를 통해 배출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필터(112)는 하우징(110) 내측의 전술한 가스 이외의 유체(예를 들면, 전해액 거품 등)과 반대 측으로 통과하지 못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외부의 유체가 필터(112)를 통과하여 하우징(110) 내측으로 유입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즉, 필터(112)는 하우징(110) 내에서 외부로의 가스 배출만 허용하고 이외의 다른 유입 및 배출은 허용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배터리 하우징(10)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는 하우징(110)의 내벽과 방말판(120) 가장자리 사이의 간극, 필터(112)를 통해 가스 배출구(111) 측으로 배출된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양측에는 배터리 하우징(10) 내에서 발생 가능한 가스의 배출을 가이드, 즉 배터리 하우징(10) 내의 가스가 하우징(110) 내측으로 유입하도록 가스 유입구(113)가 개구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배터리 하우징(10) 내의 전해액은 차량 진동 발생 등의 경우 가스 유입구(113)를 통해 하우징(110)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다음, 방말판(120)은 가스의 배출은 허용하면서 전해액의 외부 누출은 방지하도록 하우징(110) 내부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유로변동 플레이트가 미로구조로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말판(120)은, 하우징(110)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우징(110) 내측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 가능한 중앙바(121)와, 중앙바(121)의 상부 영역에 가스 배출구(111)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1 상향 유로변동 플레이트(122)와, 중앙바(121)의 하부 영역에 가스 배출구(111)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2 상향 유로변동 플레이트(123)와, 중앙바(121)의 중앙 영역에 가스 배출구(111)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하향 유로변동 플레이트(124)를 포함한다.
또한, 방말판(120)은, 중앙바(121)의 하단에 하우징(110)의 내면과 밀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원판 형상의 하부 플레이트(125)와, 중앙바(121)의 상단에 가스 배출구(111) 측으로의 가스 배출을 가이드하는 경사진 구조의 상부 플레이트(126)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중앙바(121)는 막대, 바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상향 유로변동 플레이트(122), 제2 상향 유로변동 플레이트(123), 하향 유로변동 플레이트(124) 및 하부 플레이트(125)의 단면 형상은 하우징(110) 내부 공간의 단면 형상과 대응되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 단면이 원형으로 마련되는 경우, 제1 상향 유로변동 플레이트(122), 제2 상향 유로변동 플레이트(123), 하향 유로변동 플레이트(124) 및 하부 플레이트(125)는 마찬가지로 원형의 횡단면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하부 플레이트(125)는 하우징(110)의 하측 개구부를 폐쇄하여 가스 및 전해액의 유입을 방지하고, 가스 및 전해액은 하우징(110)의 측면에 마련된 가스 유입구(113)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다. 또한,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된 가스는 하우징(110)의 내면과 방말판(120) 사이의 간극을 통해 상승한 후 가스 배출구(111)를 통해 배출 가능하다.
다시 이어서 설명하면, 제1 상향 유로변동 플레이트(122), 제2 상향 유로변동 플레이트(123) 및 하향 유로변동 플레이트(124)는 하우징(110) 내에서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벤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부연하자면, 중앙바(121)를 중심으로 제1 상향 유로변동 플레이트(122), 제2 상향 유로변동 플레이트(123) 및 하향 유로변동 플레이트(124)의 각각의 양측 단부 영역은 상측 또는 하측으로 벤딩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1 상향 유로변동 플레이트(122) 및 제2 상향 유로변동 플레이트(123)는 중앙 영역을 기준으로 양측 영역이 상측으로 경사진 구조가 마련된다. 또한, 측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마찬가지로 하향 유로변동 플레이트(124)는 중앙 영역을 기준으로 양측 영역이 하측으로 경사진 구조가 마련된다.
즉,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운전 중 진동 발생 등의 요인에 의해 배터리 하우징(10) 내에서 발생하는 전해액은, 1차적으로 제2 상향 유로변동 플레이트(123)의 하측 경사면(123a)에 부딪혀서 상측으로의 이동이 어느 정도 제한 가능하다.
만약, 차량 진동 정도의 증가에 따라 전해액의 튀어오르는 양(차량 진동에 의해 흔들려서 튀어오르는 양)이 증가하여 전해액이 제2 상향 유로변동 플레이트(123)의 가장자리와 하우징(110)의 내면 사이의 간극을 넘어 상측으로 유동한 경우,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전해액은 2차적으로 하향 유로변동 플레이트(124)의 하측 경사면(124a)에 부딪혀서 상측으로의 이동이 추가적으로 제한 가능하다.
또한, 차량 진동 정도가 더욱 증가함에 따라 전해액의 튀어오르는 양이 더 증가하여 전해액이 하향 유로변동 플레이트(124)의 가장자리와 하우징(110)의 내면 사이의 간극을 넘어 더욱 상측으로 유동한 경우,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전해액은 3차적으로 제1 상향 유로변동 플레이트(122)의 하측 경사면(122a)에 부딪혀서 상측으로의 이동이 추가적으로 제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제1 상향 유로변동 플레이트(122), 제2 상향 유로변동 플레이트(123) 및 하향 유로변동 플레이트(124)의 3중 차단 구조를 통해 전해액이 가스 배출구(111)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차량 진동 정도가 다시 감소한 경우, 제1 상향 유로변동 플레이트(122), 제2 상향 유로변동 플레이트(123) 및 하향 유로변동 플레이트(124)의 상부에 잔재하는 전해액은 각각의 상부 경사면 및 하우징(110)의 내면 사이의 간극을 통해 하측으로 낙하하여 배터리 하우징(10) 측으로 재유입 가능하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말판(120)은, 제1 상향 유로변동 플레이트(122)에서 제2 상향 유로변동 플레이트(123)를 향하는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보조 유로변동바(127)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보조 유로변동바(127)는 중앙바(121)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1개씩 마련된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 진동 정도의 증가에 따라 전해액의 튀어오르는 양이 증가하여 전해액이 하향 유로변동 플레이트(124)의 가장자리와 하우징(110)의 내면 사이의 간극을 통해 상측으로 점차 유동한 경우, 전해액은 하향 유로변동 플레이트(124)의 상면을 따라 상측으로 유동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전해액은 하향 유로변동 플레이트(124)의 상면을 따라 하향 유로변동 플레이트(124), 제1 보조 유로변동바(127), 제1 상향 유로변동 플레이트(122) 및 중앙바(121)로 주변 차단벽이 형성되는 내부 전해액 유동제한 영역(S1) 내로 진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해액이 전해액 유동제한 영역(S1) 내로 진입하게 되면 전해액 중 일부는 제1 보조 유로변동바(127) 및 제1 상향 유로변동 플레이트(122)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의 유동이 제한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보조 유로변동바(127)가 마련된 영역 이외의 공간에 있는 전해액에는 제1 보조 유로변동바(127)로 인한 유동 제한효과가 상대적으로 작게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를 해결하고자, 구체적으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적어도 하나의 제1 보조 유로변동바(127)가, 제1 상향 유로변동 플레이트(122)의 하면에 제1 상향 유로변동 플레이트(122)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마련된다. 즉, 제1 보조 유로변동바(127)는 내부가 빈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 경우 내측으로 유입된 전해액의 유동을 더욱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제1 보조 유로변동바(127)의 내측으로 유입된 전해액은 차량 진동 정도가 감소하게 되면 하향 유로변동 플레이트(124)의 상부 경사면과 하우징(110) 내면 사이의 간극을 통해 하측으로 낙하하여 배터리 하우징(10) 내부로 재유입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로구조의 방말판을 갖는 배터리 벤트캡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벤트캡을 설명하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200번대로 시작하는 도면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방말판(220)은, 제2 상향 유로변동 플레이트(223)에서 제1 상향 유로변동 플레이트(222)를 향하는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보조 유로변동바(228)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보조 유로변동바(228)는 중앙바(221)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1개씩 마련된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 진동 정도의 증가에 따라 전해액의 튀어오르는 양이 증가하여 전해액이 제2 상향 유로변동 플레이트(223)의 가장자리와 하우징(210)의 내면 사이의 간극을 넘어 상측으로 점차 유동한 경우, 전해액은 1차적으로 제2 상향 유로변동 플레이트(223)의 경사진 상면을 따라 유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오버 플로우된 전해액의 양이 과다하게 되면 전해액 중 일부는 2차적으로 제2 보조 유로변동바(228)를 넘어 제2 보조 유로변동바(228)와 중앙바(221)의 사이 공간으로 유입된다.
구체적으로, 전해액은 하향 유로변동 플레이트(224), 제2 보조 유로변동바(228), 제2 상향 유로변동 플레이트(223) 및 중앙바(221)로 주변 차단벽이 형성되는 내부 전해액 유동제한 영역(S2) 내로 진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해액이 전해액 유동제한 영역(S2) 내로 진입하게 되면 전해액 중 일부는 제2 보조 유로변동바(228) 및 하향 유로변동 플레이트(224)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의 유동이 추가적으로 제한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미로구조의 방말판을 갖는 배터리 벤트캡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벤트캡을 설명하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300번대로 시작하는 도면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방말판(320)은, 제1 상향 유로변동 플레이트(322)의 상면 가장자리의 원주 방향을 따라 마련되며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절곡바(33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절곡바(330)는 대략 'ㄱ'자의 단면 형상을 가지면서 제1 상향 유로변동 플레이트(322)에 일체로 마련된다. 또한, 절곡바(330)는 제1 상향 유로변동 플레이트(322)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상향 유로변동 플레이트(322), 제2 상향 유로변동 플레이트(323) 및 하향 유로변동 플레이트(324)의 3중 차단 구조에 절곡바(330)의 전해액 유동 차단구조를 더해 전해액이 가스 배출구(311)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부연하자면, 차량 운전 중 진동 발생 정도가 심하게 상승하여 배터리 하우징(30) 내에서 발생한 전해액이 제2 상향 유로변동 플레이트(323) 및 하향 유로변동 플레이트(324)를 순차적으로 넘은 후(오버 플로우), 제1 상향 유로변동 플레이트(322)와 하우징(310) 내면 사이의 간극으로 유입되어 상측으로 유동하는 경우 전해액은 절곡바(330)에 부딪혀서 상측 방향으로의 유동이 제한된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 벤트캡 110: 하우징
112: 필터 120: 방말판
121: 중앙바 122: 제1 상향 유로변동 플레이트
123: 제2 상향 유로변동 플레이트 124: 하향 유로변동 플레이트
127: 제1 보조 유로변동바 228: 제2 보조 유로변동바
330: 절곡바

Claims (6)

  1. 배터리 하우징의 벤트홀에 삽입되는 배터리 벤트캡으로서,
    상기 벤트홀에 삽입되며 일측에 가스 배출구가 마련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배터리 하우징 내부의 전해액 외부 누설을 방지하도록 기액분리 유동을 위한 복수의 유로변동 플레이트가 미로구조로 구비되는 방말판을 포함하는 미로구조의 방말판을 갖는 배터리 벤트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말판은,
    상기 하우징 내측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 가능한 중앙바;
    상기 중앙바의 상부 영역에 상기 가스 배출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1 상향 유로변동 플레이트;
    상기 중앙바의 하부 영역에 상기 가스 배출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2 상향 유로변동 플레이트; 및
    상기 중앙바의 중앙 영역에 상기 가스 배출구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하향 유로변동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로구조의 방말판을 갖는 배터리 벤트캡.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말판은,
    상기 제1 상향 유로변동 플레이트에서 상기 제2 상향 유로변동 플레이트를 향하는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보조 유로변동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로구조의 방말판을 갖는 배터리 벤트캡.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말판은,
    상기 제2 상향 유로변동 플레이트에서 상기 제1 상향 유로변동 플레이트를 향하는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보조 유로변동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로구조의 방말판을 갖는 배터리 벤트캡.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보조 유로변동바는, 상기 제1 상향 유로변동 플레이트의 하면에 상기 제1 상향 유로변동 플레이트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로구조의 방말판을 갖는 배터리 벤트캡.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말판은,
    상기 제1 상향 유로변동 플레이트의 상면 가장자리의 원주 방향을 따라 마련되며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절곡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로구조의 방말판을 갖는 배터리 벤트캡.
KR1020150018441A 2015-02-06 2015-02-06 미로구조의 방말판을 갖는 배터리 벤트캡 KR101685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8441A KR101685026B1 (ko) 2015-02-06 2015-02-06 미로구조의 방말판을 갖는 배터리 벤트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8441A KR101685026B1 (ko) 2015-02-06 2015-02-06 미로구조의 방말판을 갖는 배터리 벤트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408A true KR20160097408A (ko) 2016-08-18
KR101685026B1 KR101685026B1 (ko) 2016-12-12

Family

ID=56873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8441A KR101685026B1 (ko) 2015-02-06 2015-02-06 미로구조의 방말판을 갖는 배터리 벤트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502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409U (ko) * 2016-11-01 2018-05-11 세방전지(주) 전해액의 관통 유로가 구비되는 배터리용 벤트캡
KR102193370B1 (ko) * 2019-11-15 2020-12-22 세방전지(주) 축전지용 인디케이터 홀 마개
US20220344772A1 (en) * 2021-04-26 2022-10-27 Mann+Hummel Gmbh Venting Unit and Housing, in Particular Battery Housing
KR20230013786A (ko) * 2021-07-20 2023-01-27 한국앤컴퍼니 주식회사 이중 누액 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납축전지용 본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8892A (ja) * 1997-02-13 1998-08-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鉛蓄電池用液口栓
JP2001266846A (ja) * 2000-03-23 2001-09-28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蓄電池用液口栓
JP2002313317A (ja) * 2001-04-11 2002-10-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蓄電池用液口栓およびその蓄電池用液口栓を備えた蓄電池
JP2005197148A (ja) * 2004-01-09 2005-07-21 Yuasa Corp 鉛蓄電池用液口栓および鉛蓄電池
KR101220485B1 (ko) 2010-08-13 2013-01-10 세방전지(주) 배터리의 전해액 누출 차단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8892A (ja) * 1997-02-13 1998-08-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鉛蓄電池用液口栓
JP2001266846A (ja) * 2000-03-23 2001-09-28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蓄電池用液口栓
JP2002313317A (ja) * 2001-04-11 2002-10-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蓄電池用液口栓およびその蓄電池用液口栓を備えた蓄電池
JP2005197148A (ja) * 2004-01-09 2005-07-21 Yuasa Corp 鉛蓄電池用液口栓および鉛蓄電池
KR101220485B1 (ko) 2010-08-13 2013-01-10 세방전지(주) 배터리의 전해액 누출 차단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409U (ko) * 2016-11-01 2018-05-11 세방전지(주) 전해액의 관통 유로가 구비되는 배터리용 벤트캡
KR102193370B1 (ko) * 2019-11-15 2020-12-22 세방전지(주) 축전지용 인디케이터 홀 마개
US20220344772A1 (en) * 2021-04-26 2022-10-27 Mann+Hummel Gmbh Venting Unit and Housing, in Particular Battery Housing
KR20230013786A (ko) * 2021-07-20 2023-01-27 한국앤컴퍼니 주식회사 이중 누액 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납축전지용 본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5026B1 (ko) 2016-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5026B1 (ko) 미로구조의 방말판을 갖는 배터리 벤트캡
US6746795B2 (en) Lead-acid safety battery cap
US5284720A (en) Vent cap with electrolyte drain and explosion attenuation capabilities
JP6756093B2 (ja) 鉛蓄電池
US9981546B2 (en) Valve device for fuel tank
US20220336912A1 (en) Vent plug for lead-acid battery and lead-acid battery
JP6697699B2 (ja) 鉛蓄電池
US20060141342A1 (en) Heat dissipating vent cap for battery
JP6427707B1 (ja) 鉛蓄電池
KR102265184B1 (ko) 납축전지용 황산 누액 방지 장치
KR200486546Y1 (ko) 전해액의 관통 유로가 구비되는 배터리용 벤트캡
KR102169576B1 (ko) 차량용 연료탱크의 배플
KR20210014291A (ko) 미로 누액이동경로를 제공하는 납축전지의 누액방지 구조
JP6068651B2 (ja) 車両電池パックコンテナ
JP4258701B2 (ja) 鉛蓄電池
CN112376214B (zh) 洗衣机外桶以及洗衣机
KR200489366Y1 (ko) 내누액 개선형 일체형 벤트캡
JP2008177042A (ja) 蓄電池用二重蓋排気構造
JP6401033B2 (ja) 燃料電池式産業車両
US2926211A (en) Non-spraying battery vent
KR102651295B1 (ko) 납축전지 누액방지 밸브 캡
US20150228962A1 (en) Adaptor plug for industrial battery
KR100597377B1 (ko) 납축전지용 벤트캡
CN203871410U (zh) 一种安全阀外套及安全阀
JP2006040706A (ja) 蓄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