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5954A - 트리플 카메라 - Google Patents

트리플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5954A
KR20160095954A KR1020150017639A KR20150017639A KR20160095954A KR 20160095954 A KR20160095954 A KR 20160095954A KR 1020150017639 A KR1020150017639 A KR 1020150017639A KR 20150017639 A KR20150017639 A KR 20150017639A KR 20160095954 A KR20160095954 A KR 20160095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mage acquisition
housing
vehicl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7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4299B1 (ko
Inventor
오재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7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4299B1/ko
Priority to PCT/KR2015/007550 priority patent/WO2016125964A1/ko
Priority to US14/830,438 priority patent/US10131292B2/en
Priority to CN201520651365.0U priority patent/CN205017412U/zh
Priority to EP16154352.5A priority patent/EP3054666A1/en
Publication of KR20160095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5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4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4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5/00Stereoscopic photography
    • G03B35/18Stereoscopic photography by simultaneous viewing
    • G03B35/20Stereoscopic photography by simultaneous viewing using two or more proj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48Thermography; Techniques using wholly visual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93Generating mixed stereoscopic images; Generating mixed monoscopic and stereoscopic images, e.g. a stereoscopic image overlay window on a monoscopic image backgrou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45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two or more image sensors being of different type or operating in different modes, e.g. with a CMOS sensor for moving images in combination with a charge-coupled device [CCD] for still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1Charge-coupled device [CCD] sensors; Charge-transfer registers specially adapted for CCD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6Windows, e.g. wind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제1 렌즈부와 제1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차량 전방의 제1 영상을 획득하는 제1 이미지 획득 모듈, 제2 렌즈부와 제2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전방의 제2 영상을 획득하는 제2 이미지 획득 모듈 및 제3 렌즈부와 제3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전방의 제3 영상을 획득하는 제3 이미지 획득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 획득 모듈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트리플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트리플 카메라 {Triple camera}
본 발명은 트리플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구비되는 트리플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율 주행차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면서, 자율 주행차에 탑재되는 센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자율 주행차에 탑재되는 센서로 카메라, 적외선센서, 레이더, GPS, 라이더(Lidar), 자이로스코프 등이 있는데, 그 중 카메라는 사람의 눈을 대신하는 역할을 하는 센서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한편, 차량에 구비되는 카메라 중에서 스테레오 카메라는 디스패리티 맵을 이용하여 장애물과의 거리 검출 용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스테레오 카메라는 2개의 카메라를 비롯하여 다수의 부품이 포함되고, 상기 부품들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요구된다. 또한, 상기 다수의 부품에서 발생되는 열로 인해, 카메라에서의 영상 처리에 문제가 발생될 여지도 있다. 따라서, 카메라 내에 부품들이 위치하는 공간 및 열처리에 대한 연구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더 나아가, 차량에 구비되는 카메라는 기능에 따라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방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의 경우, 카메라가 획득해야하는 영상의 종류에 따라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경우, 복수개의 카메라 어셈블리를 어떻게 형성해야 효율적인 공간 활용 및 열처리가 가능한지에 한 연구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되고, 제1 내지 제3 이미지 획득 모듈을 포함하는 트리플 카메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리플 카메라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제1 렌즈부와 제1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차량 전방의 제1 영상을 획득하는 제1 이미지 획득 모듈, 제2 렌즈부와 제2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전방의 제2 영상을 획득하는 제2 이미지 획득 모듈 및 제3 렌즈부와 제3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전방의 제3 영상을 획득하는 제3 이미지 획득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 획득 모듈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트리플 카메라에 의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차량에 스테레오 영상 및 모노 영상을 동시에 제공하여, 필요에 따라 각각의 영상을 처리하여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프로세싱 보드의 전면 또는 배면이 윈드 쉴드와 마주보게 배치됨으로써, 스테레오 카메라내부에 각종 부품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하우징을 방열을 고려하여 형성함으로써, 트리플 카메라 외부 또는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3개의 카메라를 효율적으로 배치하여, 차량 실내에 설치되는 경우, 적은 공간을 차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리플 카메라를 구비하는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리플 카메라를 구비하는 차량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트리플 카메라가 윈드 쉴드에 부착된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리플 카메라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리플 카메라의 평면도다.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리플 카메라의 정면도이다.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리플 카메라의 측면도이다.
도 4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리플 카메라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리플 카메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리플 카메라의 절개 측면도이다.
도 8a 내지 8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유동부, 공기 배출홀 및 방습부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리플 카메라를 구비하는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리플 카메라를 구비하는 차량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차량(10)은 엔진을 구비하는 내연 기관 차량, 엔진과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전기 차량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차량(10)은 각종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차량(10)은 조도 센서, 가속도 센서, 중력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모션 센서,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광 센서, 마이크로폰, 배터리 게이지,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차량(10)은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상기 각종 센서 중의 하나로 차량(10)은 차량 주변 영상을 획득하는 트리플 카메라(1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트리플 카메라(100)는 차량 전방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차량 내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트리플 카메라(100)는 윈드 쉴드(700)와 룸미러(7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트리플 카메라(100)는 윈드 쉴드(700)에 부착되어, 렌즈(111a, 121a, 131a)가 차량 전방을 향하도록 차량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트리플 카메라가 윈드 쉴드에 부착된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트리플 카메라(100)는 윈드 쉴드(700)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의 장착 수단(800)은 윈드 쉴드(700)와 트리플 카메라(1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장착 수단(800)은 접착 부재를 통해 윈드 쉴드(700)에 부착될 수 있다. 장착 수단(800)은 복수의 홈 또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트리플 카메라(100)는 장착 수단(800)에 구비된 복수의 홈 또는 돌출부에 대응되도록 돌출부 또는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장착 수단(800)에 구비된 홈 또는 돌출부와 트리플 카메라(100)에 구비된 복수의 돌출부 또는 홈이 결합되어, 트리플 카메라(100)는 윈드 쉴드(700)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장착 수단(800)은 복수의 홀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리플 카메라(100) 각각의 렌즈 모듈(111, 121, 131)에 포함된 렌즈(111a, 121a, 131a)들이 전방을 향할 수 있도록 장착 수단(800)은 각 렌즈(111a, 121a, 131a)들이 위치하는 지점에 홀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트리플 카메라(100)는 제1 내지 제3 라이트 쉴드(310, 320, 330, light shield)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3 라이트 쉴드(310, 320, 330)가 불필요한 광을 차단할 수 있도록, 장착 수단(800)은 제1 내지 제3 라이트 쉴드(310, 320, 330)가 위치하는 지점에 홀을 구비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리플 카메라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리플 카메라의 평면도다.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리플 카메라의 정면도이다.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리플 카메라의 측면도이다. 도 4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리플 카메라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리플 카메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도 4a의 A-A'를 절개한 트리플 카메라의 절개 측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6a를 참조하면, 트리플 카메라(100)는 제1 이미지 획득 모듈(110), 제2 이미지 획득 모듈(120), 제3 이미지 획득 모듈(130), 프로세싱 보드(200), 제1 라이트 쉴드(310, light shield), 제2 라이트 쉴드(320), 제3 라이트 쉴드(330), 제1 방열 부재(410), 제2 방열 부재(420), 제3 방열 부재(430), 프런트 하우징(500) 및 리어 하우징(6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미지 획득 모듈(110)은 제1 렌즈부(111) 및 제1 이미지 센서 보드(113)를 포함한다. 제1 렌즈부(111)는 제1 너트(미도시)를 통해 프런트 하우징(500)의 일 부분에 형성된 제1 홀(511)에 안착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제1 렌즈부(111)는 지면을 기준으로 차량 전방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경우, 제1 렌즈부(111)에 포함된 제1 렌즈(111a)는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받아들이도록 지면을 기준으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이미지 센서 보드(113)는 제1 이미지 센서(114)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일 수 있다. 또는 제1 이미지 센서 보드(113)는 제1 이미지 센서(114) 자체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이미지 센서(114)는 피사체의 정보를 감지하여 전기적인 영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이미지 센서(114)는 CCD(charge-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i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일 수 있다.
제1 이미지 센서(114)는 차량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차량의 윈드 쉴드(700)에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이미지 센서(114)가 포함된 제1 이미지 센서 보드(113)는 제1 렌즈부(111)에 연결되어 윈드 쉴드(700)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이미지 센서 보드(113)는 제1 렌즈부(111)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도록 제1 렌즈부(111)의 후단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이미지 센서 보드(113)는 제1 렌즈부(111)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지면을 기준으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이미지 센서(114)를 포함하는 제1 이미지 획득 모듈(110)은 차량(10) 내부 천장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이미지 획득 모듈(110)은 소정의 연결 부재를 사이에 두고 차량(10) 내부 천장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이미지 획득 모듈(110)이 차량(10) 내부 천장에 근접하게 배치됨으로써, 차량(10)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서 차량(10) 전방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전방 시야가 넓어지는 장점이 있다.
제2 이미지 획득 모듈(120)은 제2 렌즈부(121) 및 제2 이미지 센서 보드(123)를 포함한다. 제2 렌즈부(121)는 제2 너트(미도시)를 통해 프런트 하우징(500)의 일 부분에 형성된 제2 홀(521)에 안착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제2 렌즈부(121)는 지면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차량(10) 전방을 향해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경우, 제2 렌즈부(121)에 포함된 제2 렌즈(121a)는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받아들이도록 지면을 기준으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이미지 센서 보드(123)는 제2 이미지 센서(124)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일 수 있다. 또는 제2 이미지 센서 보드(123)는 제2 이미지 센서(124) 자체일 수 있다. 여기서, 제2 이미지 센서(124)는 피사체의 정보를 감지하여 전기적인 영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이미지 센서(124)는 CCD(charge-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i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일 수 있다.
제2 이미지 센서(124)는 차량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차량의 윈드 쉴드(700)에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 이미지 센서(124)가 포함된 제2 이미지 센서 보드(123)는 제2 렌즈부(121)에 연결되어 윈드 쉴드(700)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이미지 센서 보드(123)는 제2 렌즈부(121)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도록 제2 렌즈부(121)의 후단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 이미지 센서 보드(123)는 제2 렌즈부(121)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지면을 기준으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2 이미지 센서(124)를 포함하는 제2 이미지 획득 모듈(120)은 차량(10) 내부 천장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이미지 획득 모듈(120)은 소정의 연결 부재를 사이에 두고 차량(10) 내부 천장에 부착될 수 있다. 제2 이미지 획득 모듈(120)이 차량(10) 내부 천장에 근접하게 배치됨으로써, 차량(10)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서 차량(10) 전방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전방 시야가 넓어지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이미지 센서(114, 124)는 좌우 대칭되도록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이미지 센서(114)에서 연장되는 가상의 면 위에 제2 이미지 센서(124)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이미지 센서(114)를 포함하는 제1 이미지 센서 보드(113) 및 제2 이미지 센서(124)를 포함하는 제2 이미지 센서 보드(123)도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1 및 제2 이미지 획득 모듈(110, 120)은 동일 수평상에 배치된다.이경우, 제1 이미지 획득 모듈(110)에서 획득되는 제1 영상 및 제2 이미지 획득 모듈(120)에서 획득되는 제2 영상을 기초로 스테레오 영상이 생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이미지 획득 모듈(110) 및 제2 이미지 획득 모듈(120)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격에 따라 제1 이미지 획득 모듈(110) 및 제2 이미지 획득 모듈(120)의 시차(disparity)가 발생하고, 상기 시차에 기초하여 소정 오브젝트와의 거리 검출이 가능한 스테레오 영상이 생성될 수 있다.한편, 실시예에 따라, 제1 및 제2 이미지 획득 모듈(110, 120)에서 획득되는 제1 및 제2 영상 각각을 기초로 모노 영상이 생성될 수 있다.
제3 이미지 획득 모듈(130)은 제3 렌즈부(131) 및 제3 이미지 센서 보드(133)를 포함한다. 제3 렌즈부(131)는 제3 너트(미도시)를 통해 프런트 하우징(500)의 일 부분에 형성된 제3 홀(531)에 안착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제3 렌즈부(131)는 지면을 기준으로 차량(10) 전방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경우, 제3 렌즈부(131)에 포함된 제3 렌즈(131a)는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받아들이도록 지면을 기준으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이미지 센서 보드(133)는 제3 이미지 센서(134)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일 수 있다. 또는 제3 이미지 센서 보드(133)는 제3 이미지 센서(134) 자체일 수 있다. 여기서, 제3 이미지 센서(134)는 피사체의 정보를 감지하여 전기적인 영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이미지 센서(134)는 CCD(charge-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i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일 수 있다.
제3 이미지 센서(134)는 차량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차량의 윈드 쉴드(700)에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즉, 제3 이미지 센서(134)가 포함된 제3 이미지 센서 보드(133)는 제3 렌즈부(131)에 연결되어 윈드 쉴드(700)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이미지 센서 보드(133)는 제3 렌즈부(131)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도록 제3 렌즈부(131)의 후단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3 이미지 센서 보드(133)는 제3 렌즈부(131)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지면을 기준으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3 이미지 센서(134)를 포함하는 제3 이미지 획득 모듈(130)은 차량(10) 내부 천장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이미지 획득 모듈(130)은 소정의 연결 부재를 사이에 두고 차량(10) 내부 천장에 부착될 수 있다. 제3 이미지 획득 모듈(130)이 차량(10) 내부 천장에 근접하게 배치됨으로써, 차량(10)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서 차량(10) 전방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전방 시야가 넓어지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제3 이미지 획득 모듈(130)에서 획득되는 제3 영상을 기초로 모노 영상이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제3 이미지 획득 모듈(130)은 제1 및 제2 이미지 획득 모듈(110, 120)의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이미지 획득 모듈(130)은 제1 및 제2 이미지 획득 모듈(110, 120)보다 차량(10)의 천장을 기준으로 더 먼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3 이미지 획득 모듈(130)은 제1 및 제2 이미지 획득 모듈(110, 120)보다 더 낮은 높이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이미지 획득 모듈(110, 120)은 스테레오 영상 획득을 위해 수평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이미지 획득 모듈을 배치하는 경우보다 더 많은 공간을 차지할 수 있다. 스테레오 영상 획득을 위한 제1 및 제2 이미지 획득 모듈(110, 120) 하단에 제3 이미지 획득 모듈(130)을 배치함으로써, 차량(10) 실내에서 운전자에 가까워질수록 트리플 카메라(100)가 차지하는 차량(10) 실내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이미지 획득 모듈(110, 120)이 차량(10) 내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스테레오 영상의 시야 확보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한편, 제3 이미지 획득 모듈(130)은 제1 및 제2 이미지 획득 모듈(110, 120)의 전단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이미지 획득 모듈(130)은 제1 및 제2 이미지 획득 모듈(110, 120)보다 차량(10)의 프런트 범퍼에 더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차량(10)에 구비되는 윈드 쉴드(700)는 일반적으로 차량(10)의 보닛(bonnet)에서부터 루프(roof)까지 지면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면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이경우, 제3 이미지 획득 모듈(130)이 제1 및 제2 이미지 획득 모듈(110, 120)의 전단에 배치됨으로써, 윈드 쉴드(700)의 경사에 대응하여 트리플 카메라(100) 외형이 형성될 수 있고, 윈드 쉴드(700)에 적합한 장점이 있다.
한편, 제3 이미지 획득 모듈(130)은 제1 및 제2 이미지 획득 모듈(110, 12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경우, 제3 이미지 획득 모듈(130)이 차량(10) 내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모노 영상의 시야 확보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한편, 제3 이미지 획득 모듈(130)은 제1 및 제2 이미지 획득 모듈(110, 12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경우, 윈드 쉴드(700)의 경사에 대응하여 트리플 카메라(100) 외형이 형성될 수 있고, 윈드 쉴드(700)에 적합한 장점이 있다.
도 4a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이미지 획득 모듈(110, 120)은 제3 이미지 획득 모듈(130)보다 차량(10)의 프런트 범퍼에 더 근접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제3 이미지 획득 모듈(130)은 적외선 감지에 적합한 제3 이미지 센서(134) 및 제3 렌즈(131a)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3 렌즈(131a)의 경우, 적외선 파장을 통과 시키고 가시광선 영역을 통과시키지 않도록 게르마늄 및 실리콘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경우, 제3 이미지 획득 모듈(130)은 차량(10) 전방의 적외선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제3 이미지 획득 모듈(130)은 제1 및 제2 이미지 획득 모듈(110, 120) 사이의 가상의 중심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가상의 중심선은 제1 및 제2 이미지 획득 모듈(110, 120) 사이의 중심점에서 윈드 쉴드(700)와 평행하게 아래 방향으로 연장된 선일 수 있다.
한편, 제1 내지 제3 이미지 센서(134)는 일반적으로 열에 민감하다. 트리플 카메라(100) 내부에 열이 발생되는 경우, 노이즈가 발생되어 신호 처리에 악영항을 끼치고 제1 내지 제3 이미지 센서(134) 성능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한편, 제1 내지 제3 이미지 획득 모듈(110, 120, 130)은 윈드 쉴드(700)로부터의 이격거리가 10mm 이내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내지 제3 이미지 획득 모듈(110, 120, 130)은 윈드 쉴드(700)에 근접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복수의 이미지 획득 모듈이 장착되기 때문에 차종에 따른 윈드 쉴드(700)의 곡률에 따라, 제1 내지 제3 이미지 획득 모듈(110, 120, 130)은 윈드 쉴드(70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이격되는 거리는 10mm 이내로 유지되어야, 윈드 쉴드(700)를 투과하여 제1 내지 제3 이미지 획득 모듈(110, 120, 130)에 유입되는 광의 굴절등에 대한 영향이 적다.
프로세싱 보드(200)는, 제1 내지 제3 이미지 센서 보드(113, 123, 13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프로세싱 보드(200)는 제1 내지 제3 이미지 센서(134)에서 획득되는 영상을 처리하는 프로세서(21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10)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로 형성되어, 프로세싱 보드(200)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제1 및 제2 이미지 획득 모듈(110, 120)로부터 각각 제1 및 제2 영상을 수신한다. 프로세서(210)는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을 바탕으로 차량(10) 전방에 대한 스테레오 영상을 생성한다. 프로세서(210)는 생성된 스테레오 영상에 기초하여, 디스패리티 맵(disparity map)을 생성하고, 상기 디스패리티 맵에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움직임을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제3 이미지 획득 모듈(130)로부터 제3 영상을 수신한다. 프로세서(210)는 제3 영상을 바탕으로 차량(10) 전방에 대한 모노 영상을 생성한다. 프로세서(210)는 상기 모노 영상을 열화상(thermal-imaging) 처리하여 열화상 화면을 생성하고, 열화상 화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움직임을 트래킹할 수 있다. 특히, 차량(10)이 야간 주행시, 운전자의 시야 확보가 어려운 상태에서, 열화상 화면을 통한 오브젝트 검출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윈드 쉴드(700)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서(210)에서 처리된 데이터에 기반한 정보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테레오 영상에서 검출되고 트래킹되는 오브젝트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열화상 화면에서 검출되고 트래킹되는 오브젝트는 투명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싱 보드(200)는 차량(10)의 진행 방향에 수직이 아닌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이미지 센서(134)는 일반적으로 열에 민감하기 때문에, 프로세싱 보드(200)에서 발생되는 열에 최대한 영향을 피하기 위해, 제1 내지 제3 이미지 센서 보드(111, 121, 131)의 배치 방향과는 상이하게 프로세싱 보드(200)가 배치될 수 있다.
프로세싱 보드(200)는 그 전면 또는 배면이 윈드 쉴드(700)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싱 보드(200)는 윈드 쉴드(700)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차량(10)에 구비되는 윈드 쉴드(700)는 일반적으로 차량(10)의 보닛(bonnet)에서부터 루프(roof)까지 지면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면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이경우, 프로세싱 보드(200)의 전면 또는 배면이 윈드 쉴드(700)와 마주보도록 배치됨으로써 스테레오 카메라 어셈블리는 프로세싱 보드(200)가 수직 또는 수평되게 배치되는 경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스테레오 카메라 어셈블리가 작게 형성됨으로써, 줄어드는 부피만큼 차량(10)내에서 공간이 확보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프로세싱 보드(200)는 다수의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싱 보드(200)에 포함된 다수의 부품들은 제1 및 제2 이미지 센서 보드(113, 123)에 비해 많은 열을 발생할 수 있다.
프로세싱 보드(200)는 제1 내지 제3 이미지 센서 보드(113, 123, 133)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프로세싱 보드(200)가 제1 내지 제3 이미지 센서 보드(113, 123)와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프로세싱 보드(200)에서 발생되는 열이 제1 내지 제3 이미지 센서(134)의 성능에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싱 보드(200)는 프로세싱 보드(200)에서 발생한 열이 제1 내지 제3 이미지 센서(134)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하는 최적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싱 보드(200)는 제1 및 제2 이미지 센서 보드(113, 123)의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싱 보드(200)는 제3 이미지 센서 보드(133)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싱 보드(200)는 제1 및 제2 이미지 센서 보드(113, 12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싱 보드(200)는 리어 하우징(620)의 가로 방향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이미지 센서(114) 및 제2 이미지 센서(124)에서 획득되는 영상을 처리하는 프로세서(210)는 프로세싱 보드(200)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210)에서 각종 연산을 수행함으로 인해, 열이 발생한다. 만약, 제1 및 제2 이미지 센서 보드(113, 123) 사이에 프로세싱 보드(200)가 배치되는 경우, 프로세싱 보드(200) 중심에 프로세서(210)가 배치됨으로 인해, 열 발생 소자가 제1 및 제2 이미지 센서(114, 124)에서 가장 먼 위치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프로세싱 보드(200)에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220)가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제1 내지 제3 이미지 센서(114, 124, 134)에서 획득되는 영상 또는 프로세서(21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한편, 메모리(220)에 저장되는 영상은 일정 단위 시간 주기로 삭제될 수 있다. 이경우, 제1 내지 제3 이미지 획득 모듈(110, 120, 130)은 블랙박스로서 기능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프로세서(210)와 마찬가지로 주요 열 발생 소자 중의 하나이다. 프로세서(210)가 프로세싱 보드(200) 중심에 배치된 상태에서, 메모리(220)는 프로세서(210)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220)는 프로세서(210)를 중심으로 두고 프로세서(210)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프로세서(210)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경우, 열 발생 소자인 프로세서(210) 및 메모리(220)가 제1 내지 제3 이미지 센서(114, 124, 134)에서 가장 먼 위치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210)는 차량 제어부(예를 들면, ECU)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차량 제어부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싱 보드(200)는 리어 하우징(620)에 접할 수 있다. 이경우, 프로세싱 보드(200) 및 리어 하우징(620) 사이에는 프로세싱 보드(200)에서 생성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방열부(5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1 라이트 쉴드(310, light shield)는, 제1 이미지 획득 모듈(110)에 포함된 제1 렌즈(111a)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라이트 쉴드(310)는 윈드 쉴드(700)를 통해 내부에서 반사되는 빛과 외부의 불필요한 광원으로부터 생성되는 빛이 제1 렌즈(111a)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제1 라이트 쉴드(310)는 불필요한 빛을 차단할 수 있도록 가림막 구조를 가진다. 특히, 트리플 카메라(100)가 윈드 쉴드(700)에 부착되는 것을 고려하여, 윈드 쉴드(700) 하부에서 반사되는 빛을 반사하도록 하부 가림막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차종에 따라, 제1 라이트 쉴드(310)의 형상은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종에 따라, 윈드 쉴드(700)의 곡률 또는 윈드 쉴드(700)와 지면이 형성하는 각도가 다를 수 있으므로, 제1 라이트 쉴드(310)는 해당 차종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이를 위해, 제1 라이트 쉴드(310)는 착탈식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라이트 쉴드(310)는 윈드 쉴드(700)에 접촉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다.
제2 라이트 쉴드(320)는, 제2 이미지 획득 모듈(120)에 포함된 제2 렌즈(121a)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라이트 쉴드(320)는 윈드 쉴드(700)를 통해 내부에서 반사되는 빛과 외부의 불필요한 광원으로부터 생성되는 빛이 제2 렌즈(121a)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제2 라이트 쉴드(320)는 불필요한 빛을 차단할 수 있도록 가림막 구조를 가진다. 특히, 트리플 카메라(100)가 윈드 쉴드(700)에 부착되는 것을 고려하여, 윈드 쉴드(700) 하부에서 반사되는 빛을 반사하도록 하부 가림막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차종에 따라, 제2 라이트 쉴드(320)의 형상은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종에 따라, 윈드 쉴드(700)의 곡률 또는 윈드 쉴드(700)와 지면이 형성하는 각도가 다를 수 있으므로, 제2 라이트 쉴드(320)는 해당 차종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이를 위해, 제2 라이트 쉴드(320)는 착탈식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 라이트 쉴드(320)는 윈드 쉴드(700)에 접촉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다.
제3 라이트 쉴드(330)는, 제3 이미지 획득 모듈(130)에 포함된 제3 렌즈(131a)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라이트 쉴드(330)는 윈드 쉴드(700)를 통해 내부에서 반사되는 빛과 외부의 불필요한 광원으로부터 생성되는 빛이 제3 렌즈(131a)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제3 라이트 쉴드(330)는 불필요한 빛을 차단할 수 있도록 가림막 구조를 가진다. 특히, 트리플 카메라(100)가 윈드 쉴드(700)에 부착되는 것을 고려하여, 윈드 쉴드(700) 하부에서 반사되는 빛을 반사하도록 하부 가림막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차종에 따라, 제3 라이트 쉴드(330)의 형상은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종에 따라, 윈드 쉴드(700)의 곡률 또는 윈드 쉴드(700)와 지면이 형성하는 각도가 다를 수 있으므로, 제3 라이트 쉴드(330)는 해당 차종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이를 위해, 제3 라이트 쉴드(330)는 착탈식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3 라이트 쉴드(330)는 윈드 쉴드(700)에 접촉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다.
제1 방열 부재(410)는, 제1 이미지 센서 보드(113)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방열 부재(410)는 제1 이미지 센서 보드(113)와 접촉되어 제1 이미지 센서 보드(113)의 열을 처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이미지 센서 보드(113)에 포함되는 제1 이미지 센서(114)는 열에 민감하다. 제1 방열 부재(410)는 제1 이미지 센서 보드(113) 및 리어 하우징(610) 사이에서, 제1 이미지 센서 보드(113) 및 리어 하우징(610)과 접촉되어 열을 리어 하우징(610)을 통해 방출한다. 제1 방열 부재(410)는 써멀 패드 및 써멀 구리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2 방열 부재(420)는, 제2 이미지 센서 보드(123)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방열 부재(420)는 제2 이미지 센서 보드(123)와 접촉되어 제2 이미지 센서 보드(123)의 열을 처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이미지 센서 보드(123)에 포함되는 제2 이미지 센서(124)는 열에 민감하다. 제2 방열 부재(420)는 제2 이미지 센서 보드(123) 및 리어 하우징(610) 사이에서, 제2 이미지 센서 보드(123) 및 리어 하우징(610)과 접촉되어 열을 리어 하우징(610)을 통해 방출한다. 제2 방열 부재(420)는 써멀 패드 및 써멀 구리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3 방열 부재(430)는, 제3 이미지 센서 보드(133)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방열 부재(430)는 제3 이미지 센서 보드(1313)와 접촉되어 제3 이미지 센서 보드(133)의 열을 처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이미지 센서 보드(133)에 포함되는 제3 이미지 센서(134)는 열에 민감하다. 제3 방열 부재(430)는 제3 이미지 센서 보드(133) 및 리어 하우징(610) 사이에서, 제3 이미지 센서 보드(133) 및 리어 하우징(610)과 접촉되어 열을 리어 하우징(610)을 통해 방출한다. 제3 방열 부재(430)는 써멀 패드 및 써멀 구리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하우징(600)은 트리플 카메라(100)의 외관을 형성한다. 하우징(600)은 프런트 하우징(610, front housing) 및 리어 하우징(620, rear housing)을 포함한다.
프런트 하우징(610, front housing)은, 제1 이미지 센서(114)를 포함하는 제1 이미지 센서 보드(113), 제2 이미지 센서(124)를 포함하는 제2 이미지 센서 보드(123) 및 제3 이미지 센서(134)를 포함하는 제3 이미지 센서 보드(133)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프런트 하우징(500)은 제1 홀(511), 제2 홀(521) 및 제3 홀(531)을 구비한다. 제1 렌즈부(111)는 제1 홀(511)에 안착된 상태에서, 제1 이미지 센서 보드(113)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렌즈부(121)는 제2 홀(521)에 안착된 상태에서, 제2 이미지 센서 보드(123)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3 렌즈부(131)는 제3 홀(531)에 안착한 상태에서, 제3 이미지 센서 보드(133)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프런트 하우징(610)은 제1 내지 제3 이미지 센서(114, 124, 134)에 근접할수록 두꺼운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런트 하우징(610)은 다이 캐스팅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경우, 열에 의한 제1 내지 제2 이미지 센서(114, 124, 134)의 성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프런트 하우징(610)은, 제1 내지 제3 이미지 센서(114, 124, 134)에 근접한 부분이 다른 부분 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런트 하우징(610)은 제1 내지 제3 이미지 획득 모듈(110, 120, 130)에 근접할 수록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프런트 하우징(610)에서 제1 및 제2 렌즈부(111, 121)가 안착된 부분은, 제1 및 제2 렌즈부(111, 121)가 안착되지 않은 부분에 비해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프런트 하우징(610)은 리어 하우징(620)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리어 하우징(620)은 프런트 하우징(610)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의 두께가 두꺼우면 열전달이 천천히 이루어진다. 따라서, 프런트 하우징(610)의 두께가 리어 하우징(620)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경우, 트리플 카메라(100)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은 윈드 쉴드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열방출이 어려운 프런트 하우징(610)보다 리어 하우징(620)을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프런트 하우징(610)은 제1 내지 제3 라이트 쉴드(310, 320, 330)가 부착될 수 있는 부착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라이트 쉴드(310, 320, 330)는 상기 부착 수단을 통해 프런트 하우징(610)에 부착될 수 있다.
한편, 프런트 하우징(610)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런트 하우징(610)은 상하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단(610a)과 하방(610b)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프런트 하우징(610)의 상단(610a)은 제1 및 제2 이미지 획득 모듈(110, 120)을 수용한다. 프런트 하우징(610)의 하방(610b)은 제3 이미지 획득 모듈(130)을 수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이미지 획득 모듈(110, 120, 130)의 배치에 의해, 제1 내지 제3 이미지 획득 모듈(110, 120, 130)을 수용하는 프런트 하우징(610)이 상하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리어 하우징(620, lower housing)은 프로세싱 보드(200)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리어 하우징(620)은 프로세싱 보드(200)의 후방 또는 하방에 위치한다. 리어 하우징(620)은 열전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어 하우징(620)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리어 하우징(620)이 열전도성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효율적인 열방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리어 하우징(620)이 알루미늄으로 구성되는 경우, EMC(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및 ESC(electrostatic discharge)로부터 내부에 위치하는 부품들(예를 들면, 제1 내지 제3 이미지 센서 보드(113, 123, 133) 또는 프로세싱 보드(200))을 보호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한편, 리어 하우징(620)은 프로세싱 보드(200)와 접촉할 수 있다. 이경우, 접촉되는 부분을 통해 열이 전달되고, 외부로 열을 방출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리어 하우징(620)에서 프로세싱 보드(200)와 접하는 부분은 전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방열부를 포함하는 트리플 카메라의 절개 측면도이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하우징(620)은 방열부(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열부(550)는 히트 싱크, 방열핀, 써멀 패드 및 써멀 구리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방열부(550)는 전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방열부(550)는 트리플 카메라(100) 내부에서 생성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한다. 방열부(550)는 프로세싱 보드(200) 및 리어 하우징(620) 사이에 위치하고, 프로세싱 보드(200) 및 리어 하우징(620)과 접촉하여, 프로세싱 보드(200)에서 생성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열부(550)는 냉각핀일 수 있다. 이때, 냉각핀의 일단은 프로세싱 보드(200)에 접하고, 냉각핀의 타단은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프런트 하우징(610)과 리어 하우징(620)은 소정의 체결 수단을 통해 체결될 수 있다. 프런트 하우징(610)은 윈드 쉴드(700)에 장착 수단(800)을 통해 장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테레오 카메라의 절개 측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가상의 중심점(710)과 제3 접점(720)을 연결한 가상의 선이 지면(900)과 이루는 각도(α)는 윈드 쉴드(700)의 경사각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상의 중심점(710)과 제3 접점(720)을 연결한 가상의 선이 지면(900)과 이르는 각도(α)는 30도 이상 90도 이하일 수 있다. 여기서, 가상의 중심점(710)은 제1 라이트 쉴드(310)가 윈드 쉴드(700)에 접촉되는 제1 접점(미도시) 및 제2 라이트 쉴드(320)가 윈드 쉴드(700)에 접촉되는 제2 접점(미도시)의 가운데 위치하는 점일 수 있다. 또한, 제3 접점(720)은 제3 라이트 쉴드(330)가 윈드 쉴드(700)에 접촉되는 접점일 수 있다.
가상의 중심점(710)과 제3 접점(720)을 연결한 가상의 선이 지면(900)과 이루는 각도(α)는 윈드 쉴드(700)의 경사각에 대응시킴으로써, 차종에 따른 윈드 쉴드(700) 경사각에 대응하여, 트리플 카메라를 윈드 쉴드(700)에 장착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a 내지 8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유동부, 공기 배출홀 및 방습부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리플 카메라(100)의 후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B-B'를 절개하여 위에서 바라본 부분 절개 평면도이다. 도 8c는 방습부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부분 절개 측면도이다.
트리플 카메라(100)는 하우징(600) 내부에 공기 유동부(66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가 유동부(660)는 트리플 카메라(100)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형성된 유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싱 보드(200)에서 열이 발생하는 경우, 트리플 카메라(100) 내부의 공기는 발생되는 열에 의해 온도가 상승될 수 있다. 이때, 고온의 공기는 상승하는 성질이 있으므로, 고온의 공기는 공기 유동부(660)를 통해 유동되어 트리플 카메라(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공기 유동부(660)는 트리플 카메라(100) 내부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한편, 트리플 카메라(100)는 공기 배출홀(670)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 배출홀(670)은 공기 유동부(660)의 일단에 형성되어, 고온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공기 배출홀(670)은 프런트 하우징(610) 또는 리어 하우징(620)의 일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 배출홀(670)은 고온의 공기가 상승하는 성질을 고려하여, 리어 하우징(620)의 상단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트리플 카메라(100)는 방습부(680, 6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습부(680)는 패치(patch) 형태로 구성되어 공기 배출홀(670)에 부착되는 방습부재일 수 있다. 이때, 방습부재는 고어텍스(core-tex)재질일 수 있다.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습부(690)는 복수의 돌출부(692) 및 흡습부재(691)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692)는 트리플 카메라(1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과 동시에 외부의 습기는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돌출부(692) 각각은 공기 배출홀(670) 안쪽에서, 하향으로 서로 교차되게 연장될 수 있다. 즉, 제1 돌출부(692a)는 공기 유동부(660) 내부의 일측에서 하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며 연장될 수 있다. 제2 돌출부(692b)는 공기 유동부(660) 내부의 타측에서 제1 돌출부(692a) 아래에 배치되어, 제1 돌출부(692a)와 교차되게 하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며 연장될 수 있다. 제3 돌출부(692c)는 공기 유동부(660) 내부의 일측에서 제2 돌출부(692b) 아래에 배치되어, 제2 돌출부(692b)와 교차되게 하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며 연장될 수 있다. 제4 돌출부(692d)는 공기 유동부(660) 내부의 타측에서 제3 돌출부(692c) 아래에 배치되어, 제3 돌출부(692c)와 교차되게 하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며 연장될 수 있다.
흡습부재(691)는 공기 배출홀(670)을 통해 유입 가능한 외부의 습기를 흡수할 수 있다. 흡습부재(691)는 스폰지 등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차량
100 : 트리플 카메라
110 : 제1 이미지 획득 모듈
120 : 제2 이미지 획득 모듈
130 : 제3 이미지 획득 모듈
200 : 프로세싱 보드
310 : 제1 라이트 쉴드(light shield)
320 : 제2 라이트 쉴드(light shield)
330 : 제3 라이트 쉴드(light shield)
410 : 제1 열차단 부재
420 : 제2 열차단 부재
430 : 제3 열차단 부재
550 : 방열부
600 : 하우징

Claims (20)

  1.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제1 렌즈부와 제1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차량 전방의 제1 영상을 획득하는 제1 이미지 획득 모듈;
    제2 렌즈부와 제2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전방의 제2 영상을 획득하는 제2 이미지 획득 모듈; 및
    제3 렌즈부와 제3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전방의 제3 영상을 획득하는 제3 이미지 획득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 획득 모듈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트리플 카메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 획득 모듈은, 동일 수평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3 이미지 획득 모듈은,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 획득 모듈의 하방에 배치되는 트리플 카메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영상을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트리플 카메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및 제2 영상을 바탕으로 상기 차량 전방에 대한 스테레오 영상을 제공하고, 상기 제3 영상을 바탕으로 모노 영상을 제공하는 트리플 카메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배치되는 프로세싱 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보드는 상기 하우징에 접하고,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프로세싱 보드와 접하는 부분은 전열재질로 형성되는 트리플 카메라.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프런트 하우징 및 리어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프런트 하우징은, 상기 제1 내지 제3 렌즈부가 안착되고,
    상기 프런트 하우징에서, 상기 제1 및 제2 렌즈부가 안착된 부분은, 상기 제1 및 제2 렌즈부가 안착되지 않은 부분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는 트리플 카메라.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이미지 획득 모듈은 각각 모노 영상을 제공하는 트리플 카메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배치되는 프로세싱 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보드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프로세싱 보드는 상기 제3 이미지 획득 모듈의 후방에서 상기 차량의 진행 방향에 수직이 아닌 상태로 배치되는 트리플 카메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보드는, 상기 제3 이미지 획득 모듈의 후방에서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 획득 모듈의 하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트리플 카메라.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영상은 열화상(thermal imaging) 처리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열화상 처리된 이미지로부터 상기 차량 전방의 오브젝트를 검출하는 트리플 카메라.
  11.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트리플 카메라.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 획득 모듈에 유입되는 광을 차단하고, 상기 차량의 윈드 쉴드에 접촉하여 고정되는 제1 라이트 쉴드;
    상기 제2 이미지 획득 모듈에 유입되는 광을 차단하고, 상기 윈드 쉴드에 접촉하여 고정되는 제2 라이트 쉴드; 및
    상기 제3 이미지 획득 모듈에 유입되는 광을 차단하고, 상기 윈드 쉴드에 접촉하여 고정되는 제3 라이트 쉴드;를 더 포함하는 트리플 카메라.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프런트 하우징 및 리어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이미지 획득 모듈은 상기 프런트 하우징에 부착되는 트리플 카메라.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하우징과 상기 리어 하우징은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프런트 하우징은 상기 리어 하우징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트리플 카메라.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영상을 처리하는 프로세서가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프로세싱 보드; 및
    상기 프로세싱 보드 및 상기 리어 하우징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프로세싱 보드에서 생성되는 열을 처리하는 방열부;를 더 포함하는 트리플 카메라.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이미지 획득 모듈은,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 획득 모듈보다 상기 차량의 프런트 범퍼에 더 근접하게 배치되는 트리플 카메라.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 획득 모듈은, 상기 제3 이미지 획득 모듈보다 상기 차량의 프런트 범퍼에 더 근접하게 배치되는 트리플 카메라.
  18. 제 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이미지 획득 모듈은,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 획득 모듈 사이의 가상의 중심선 상에 배치되는 트리플 카메라.
  19. 제 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렌즈부의 전단부를 연결한 가상의 중심선의 중심과 상기 제3 렌즈부의 전반부를 연결한 가상의 선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가 30도 이상이고 90도 이하인 트리플 카메라.
  20. 제 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이미지 획득 모듈은, 상기 차량의 윈드 쉴드로부터의 이격겨리가 10mm이내인 트리플 카메라.

KR1020150017639A 2015-02-04 2015-02-04 트리플 카메라 KR101724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7639A KR101724299B1 (ko) 2015-02-04 2015-02-04 트리플 카메라
PCT/KR2015/007550 WO2016125964A1 (ko) 2015-02-04 2015-07-21 트리플 카메라
US14/830,438 US10131292B2 (en) 2015-02-04 2015-08-19 Camera including triple lenses
CN201520651365.0U CN205017412U (zh) 2015-02-04 2015-08-26 三镜头拍摄装置
EP16154352.5A EP3054666A1 (en) 2015-02-04 2016-02-04 Triple camer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7639A KR101724299B1 (ko) 2015-02-04 2015-02-04 트리플 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5954A true KR20160095954A (ko) 2016-08-12
KR101724299B1 KR101724299B1 (ko) 2017-04-07

Family

ID=55215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7639A KR101724299B1 (ko) 2015-02-04 2015-02-04 트리플 카메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31292B2 (ko)
EP (1) EP3054666A1 (ko)
KR (1) KR101724299B1 (ko)
CN (1) CN205017412U (ko)
WO (1) WO20161259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07835B2 (ja) * 2015-05-14 2019-05-08 スズキ株式会社 車載機器用カバー構造
US11395444B2 (en) * 2015-08-24 2022-07-19 Trw Automotive U.S. Llc Cooling arrangement for a driver assist system
JP6304205B2 (ja) * 2015-11-11 2018-04-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載撮像装置
KR101822894B1 (ko) 2016-04-07 2018-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차량
JP6361691B2 (ja) * 2016-05-17 2018-07-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載カメラ
JP6838262B2 (ja) * 2017-01-06 2021-03-03 日立Astemo株式会社 ステレオカメラ
CN107016748A (zh) * 2017-05-10 2017-08-04 寅家电子科技(上海)有限公司 行车记录仪
US10232800B1 (en) * 2017-11-10 2019-03-19 Denson Corporation Camera module
US10534253B2 (en) 2017-11-10 2020-01-14 Denso Corporation Camera module which includes lens units and configured to be mounted on inside of windshiled of vehicle
US10661725B2 (en) * 2017-11-10 2020-05-26 Denso Corporation Camera module
US10406995B2 (en) * 2017-11-10 2019-09-10 Denso Corporation Camera module
JP7106855B2 (ja) * 2017-11-10 2022-07-27 株式会社デンソー カメラモジュール
US10627606B2 (en) 2017-11-10 2020-04-21 Denso Corporation Camera module
JP6922705B2 (ja) 2017-12-06 2021-08-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センサー搭載構造
JP6922706B2 (ja) * 2017-12-06 2021-08-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センサー搭載構造
US11290622B2 (en) * 2019-01-28 2022-03-29 Magna Electronics Inc. Vehicular forward camera module with integrated cooling fan
WO2021009634A1 (en) * 2019-07-16 2021-01-21 Ricoh Company, Ltd. Capturing uni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apturing unit
DE102019122190B4 (de) * 2019-08-19 2022-08-11 Webasto SE Dachmodul zur Bildung eines Fahrzeugdachs mit Kühleinrichtung
WO2021095529A1 (ja) * 2019-11-14 2021-05-20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ブラケット付き窓ガラス
US11997371B2 (en) 2021-01-22 2024-05-28 Magna Electronics Inc. Vehicular cooling system for forward camera modu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7646U (ja) * 2006-09-28 2006-12-07 徽昌電子股▲分▼有限公司 自動車の死角用カメラ
JP2013112314A (ja) * 2011-11-30 2013-06-10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車載カメラの取り付け装置
KR20140048530A (ko) * 2012-10-16 2014-04-2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광부를 구비한 차량용 영상 인식 장치
KR20140119189A (ko) * 2012-02-03 2014-10-08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도로 교통에서 물체들을 하이라이트하는 신호 발생기, 시스템 및 방법, 그 시스템의 사용, 및 그 신호 발생기의 사용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7646B2 (ja) 1993-01-07 2001-01-2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148749B1 (ja) 1999-09-22 2001-03-26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載カメラ
KR100892502B1 (ko) * 2007-08-31 2009-04-1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차 후방 감시 시스템
WO2009036176A1 (en) * 2007-09-11 2009-03-19 Magna Electronics Imaging system for vehicle
US8570374B2 (en) * 2008-11-13 2013-10-29 Magna Electronics Inc. Camera for vehicle
KR101261585B1 (ko) * 2010-07-16 2013-05-06 주식회사 니씨콤 차량용 감시카메라
KR20120021086A (ko) * 2010-08-31 2012-03-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그 냉각방법
EP2523163B1 (en) * 2011-05-10 2019-10-16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Method and program for calibrating a multicamera system
US20130258044A1 (en) 2012-03-30 2013-10-03 Zetta Research And Development Llc - Forc Series Multi-lens camera
DE102012210818A1 (de) 2012-06-26 2014-01-02 Robert Bosch Gmbh Kameramodul für ein Fahrzeug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9746636B2 (en) 2012-10-19 2017-08-29 Cognex Corporation Carrier frame and circuit board for an electronic device
CN103581651B (zh) 2013-10-28 2015-04-29 西安交通大学 一种用于车载多目摄像机环视系统的虚拟视点合成方法
US9509979B2 (en) * 2013-11-26 2016-11-29 Mobileye Vision Technologies Ltd. Stereo auto-calibration from structure-from-motion
EP3812962A1 (en) * 2013-12-04 2021-04-28 Mobileye Vision Technologies Ltd. Navigating a vehicle to pass another vehicle
JP2015193366A (ja) * 2014-03-17 2015-11-05 日本電産エレシス株式会社 車載カメラ用筐体の製造方法、車載カメラ用筐体、および車載カメラ
WO2015175826A1 (en) * 2014-05-14 2015-11-19 Kapach Yair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traffic signs
US10572744B2 (en) * 2014-06-03 2020-02-25 Mobileye Vision Technologies Ltd.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 object
DE102014012001B4 (de) * 2014-08-12 2021-07-22 Daimler Ag Trägervorrichtung zum Befestigen an einer Scheibe eines Kraftwagens und Kraftwage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7646U (ja) * 2006-09-28 2006-12-07 徽昌電子股▲分▼有限公司 自動車の死角用カメラ
JP2013112314A (ja) * 2011-11-30 2013-06-10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車載カメラの取り付け装置
KR20140119189A (ko) * 2012-02-03 2014-10-08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도로 교통에서 물체들을 하이라이트하는 신호 발생기, 시스템 및 방법, 그 시스템의 사용, 및 그 신호 발생기의 사용
KR20140048530A (ko) * 2012-10-16 2014-04-2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광부를 구비한 차량용 영상 인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5017412U (zh) 2016-02-03
US10131292B2 (en) 2018-11-20
KR101724299B1 (ko) 2017-04-07
WO2016125964A1 (ko) 2016-08-11
US20160227079A1 (en) 2016-08-04
EP3054666A1 (en) 2016-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4299B1 (ko) 트리플 카메라
KR101724300B1 (ko) 스테레오 카메라
JP7405288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
KR101837854B1 (ko) 차량 탑재 촬상 장치
JP6838262B2 (ja) ステレオカメラ
JP6509256B2 (ja) 車両のアシスタント・システム
US7329869B2 (en) Camera system
JP2018196012A (ja) 車載カメラ
US20180069994A1 (en) Imaging device having heat radiation structure
JP2023165745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US20210001784A1 (en) Vehicular windshield-mounted camera with heat dissipating glare shield
JP2013216290A (ja) ハイマウントストップランプ
CN217216725U (zh) 摄像装置及车舱内影像的处理系统
KR20180054066A (ko) 적외선 스테레오 카메라 영상처리 장치
KR20160051092A (ko) 스테레오 카메라
EP3796085B1 (en) Camera device
JP2021152609A (ja) 撮像装置および車両
US20210333406A1 (en) Lidar apparatus for vehicle
WO2022102209A1 (ja) カメラ装置
JP7154120B2 (ja) ステレオカメラ装置
JP7208258B2 (ja) ステレオカメラ
WO2017125477A1 (en) Antenna module for a motor vehicle, driver assistance system as well as motor vehicle
JP7086724B2 (ja) 表示装置
JP2023107658A (ja) 電子機器及び移動体
JP2020202522A (ja) ステレオ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