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5332A - 차량용 제설기 - Google Patents

차량용 제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5332A
KR20160095332A KR1020150016470A KR20150016470A KR20160095332A KR 20160095332 A KR20160095332 A KR 20160095332A KR 1020150016470 A KR1020150016470 A KR 1020150016470A KR 20150016470 A KR20150016470 A KR 20150016470A KR 20160095332 A KR20160095332 A KR 20160095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unit
sub
duc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6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호권
Original Assignee
정호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호권 filed Critical 정호권
Priority to KR1020150016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5332A/ko
Publication of KR20160095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53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1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by application of heat for melting snow or ice, whether cleared or not, combined or not with clearing or removing mud or water, e.g. burners for melting in situ, heated clearing instruments; Cleaning snow by blowing or suction only
    • E01H5/102Self-contained devices for melting dislodged snow or ice, e.g. built-in melting chambers, movable melting t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Of Streets, Tracks, Or Bea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제설기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구동륜 주변에 마련되어 노면 상에 쌓인 눈이나 얼음을 향해 열풍을 분사하는 메인 제설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제설유닛은, 일단부에 상기 열풍이 분사되는 열풍 분사구가 형성되는 메인 유닛덕트; 상기 메인 유닛덕트 내에 마련되는 히터; 및 상기 열풍 분사구의 반대편인 상기 메인 유닛덕트의 타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메인 유닛덕트 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메인 공기 공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제설기{Snow remover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제설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조로써 차종에 관계없이 모든 차량에 적용이 가능하면서도 동작이 간편하여 제설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제설기에 관한 것이다.
도로의 노면 상에 눈이 쌓일 경우, 차량이나 보행자의 통행이 불편하거나 사고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제설작업을 진행한다.
이때, 적설량이 적을 때는 모래,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또는 염화마그네슘과 같은 제설제를 살포하여 제설작업을 진행하지만, 폭설로 인해 적설량이 많은 경우에는 제설기를 이용해서 노면에 쌓인 눈을 치우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제설기의 구조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설기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의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제설기(5)는 차량 측 어셈블리(10)와 제설기 측 어셈블리(20)로 구성되는 착탈장치(1)를 포함한다.
차량 측 어셈블리(10)는 메인 플레이트(12)와, 메인 플레이트(12)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차량(3)의 범퍼(32) 내부로 삽입되는 메인 프레임(14)과, 메인 플레이트(12)의 상단에 형성되어 제설기(5)의 좌우방향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마운팅 후크홈(16)과, 메인 플레이트(12)의 하단에 형성되어 제설기 측 어셈블리(20)를 고정하는 결합공(18)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설기 측 어셈블리(20)는 차량 측 어셈블리(10)의 메인 플레이트(12)와 대응되는 장착 플레이트(22)와, 장착 플레이트(22)의 상단에 마련되어 마운팅 후크홈(16)에 고정되는 마운팅 후크(24)와, 장착 플레이트(22)의 하단 중 결합공(18)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차량 측 어셈블리(10)를 고정하는 관통공(26)을 포함한다.
이에, 제설기(5)의 설치 시 장착 플레이트(22)의 마운팅 후크(24)를 메인 플레이트(12)의 마운팅 후크홈(16) 위로 일치시킨 후, 제설기(5)를 밀어 밀착시킨 다음, 장착 플레이트(22)를 하강하여 마운팅 후크(24)를 마운팅 후크홈(16)에 걸어 설치한다. 이후, 결합공(18)과 관통공(26)을 통해 볼트(28)를 관통시켜 고정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경우, 메인 플레이트(12) 및 장착 플레이트(22)에 마련된 마운팅 후크홈(16), 결합공(18) 및 마운팅 후크(24), 관통공(26)이 항상 일정한 위치에 마련되어야만 일정한 지상고(지면과 삽날 하단 사이의 높이, H)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지면으로부터 차량의 메인 프레임까지 높이가 서로 다른 다양한 차량에는 적용이 불가능하며, 차량에 따라 차량 측 어셈블리(10)를 새로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제설기(5) 자체의 구조가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제설작업을 전문으로 하는 트럭 등의 화물차에만 적용이 가능할 뿐 소량의 제설작업을 위한 일반 승용차 등의 소형 차량에는 적용이 불가능하다.
다시 말해, 도 1 및 도 2와 같은 형태의 제설기(5)는 제설작업을 전문으로 하는 트럭 등의 화물차에 결합되어 차도 상의 눈을 완전히, 즉 대대적으로 치우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현재 제설기의 대부분은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차도 전체에 대한 제설작업이 아닌 소량의 제설작업, 예컨대, 차량의 바퀴 주변에 쌓인 눈을 간단히 제거하는 소량이 제설작업 정도로도 차량의 바퀴가 미끄러지는 것을 저지시킬 수 있어 눈이 내리는 날에도 차량을 운행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상황에서 도 1 및 도 2와 같은 형태의 제설기(5)를 승용차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는 없다.
따라서 대다수의 사용자들은 제설기의 사용의 포기하고 스노 체인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그 효과가 다소 떨어지는 것을 고려해볼 때, 단순한 구조로써 차종에 관계없이 모든 차량에 적용이 가능하면서도 제설작업의 동작이 간편하여 겨울철 차량의 운행에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제설기의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1995-0012156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1995-0013891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2-0003391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0-0093889호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한 구조로써 차종에 관계없이 모든 차량에 적용이 가능하면서도 동작이 간편하여 제설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제설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차량의 구동륜 주변에 마련되어 노면 상에 쌓인 눈이나 얼음을 향해 열풍을 분사하는 메인 제설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제설유닛은, 일단부에 상기 열풍이 분사되는 열풍 분사구가 형성되는 메인 유닛덕트; 상기 메인 유닛덕트 내에 마련되는 히터; 및 상기 열풍 분사구의 반대편인 상기 메인 유닛덕트의 타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메인 유닛덕트 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메인 공기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설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메인 공기 공급부는, 상기 메인 유닛덕트의 타단부에 마련되는 메인 송풍팬; 및 상기 메인 송풍팬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 송풍팬을 회전구동시키는 메인 팬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유닛덕트는, 상기 메인 공기 공급부가 배치되는 메인 덕트부; 상기 메인 덕트부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 덕트부에서 상기 열풍 분사구 쪽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면서 공기를 안내하는 경사형 공기 안내부; 및 단부에 상기 열풍 분사구가 형성되되 상기 경사형 공기 안내부의 단부에서 상기 열풍 분사구 쪽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면서 공기를 안내하는 경사형 단부 덕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설유닛의 주변에 배치되며, 노면 상에 쌓인 눈이나 얼음을 향해 공기를 분사하는 서브 제설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서브 제설유닛은, 서브 덕트부와, 상기 서브 덕트부에 연결되고 상기 서브 덕트부에서 공기 분사구 쪽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공기를 안내하는 경사 안내부와, 상기 경사 안내부의 단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되고 단부에 상기 공기 분사구가 형성되는 분사 노즐부를 구비하는 서브 유닛덕트; 및 상기 서브 유닛덕트에 마련되며, 상기 서브 유닛덕트 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서브 공기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공기 공급부는, 상기 서브 유닛덕트에 마련되는 서브 송풍팬; 및 상기 서브 송풍팬에 연결되어 상기 서브 송풍팬을 회전구동시키는 서브 팬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메인 제설유닛과 상기 서브 제설유닛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한 구조로써 차종에 관계없이 모든 차량에 적용이 가능하면서도 동작이 간편하여 제설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바퀴 주변에 대한 소량의 제설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노면에 쌓인 눈으로 인해 바퀴가 미끄러져 차량의 주행이 저지되는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제설기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설기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설기가 설치된 차량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차량용 제설기의 메인 제설유닛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설기가 설치된 차량의 측면도이다.
도 9는 차량용 제설기의 서브 제설유닛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설기가 설치된 차량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각각 서브 제설유닛에 대한 변형예들이다.
도 16은 공기분사헤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제설기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의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설기가 설치된 차량의 측면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차량용 제설기의 메인 제설유닛에 대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부분 측단면도, 그리고 도 7은 도 3의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설기는 단순한 구조로써 차종에 관계없이 모든 차량에 적용이 가능하면서도 동작이 간편하여 제설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차량의 구동륜 주변에 마련되어 노면 상에 쌓인 눈이나 얼음을 향해 열풍을 분사하는 메인 제설유닛(11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메인 제설유닛(110)이 적용되어 노면 상에 쌓인 눈이나 얼음, 특히 눈을 제거한다.
이때, 메인 제설유닛(110)은 도 3 및 도 4처럼 차량의 구동륜, 예컨대 전륜의 주변에 마련되어 강풍 혹은 열풍을 분사함으로써, 눈이나 얼음을 제거한다. 메인 제설유닛(110)은 전륜의 주변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어 제설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제설유닛(110)은 메인 유닛덕트(120), 히터(130), 그리고 메인 공기 공급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유닛덕트(120)는 메인 제설유닛(110)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공기 혹은 열풍의 흐름을 안내한다.
이러한 메인 유닛덕트(120)는 메인 공기 공급부(140)가 배치되는 메인 덕트부(121)와, 메인 덕트부(121)에 연결되며, 메인 덕트부(121)에서 열풍 분사구(123a) 쪽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면서 공기를 안내하는 경사형 공기 안내부(122)와, 단부에 열풍 분사구(123a)가 형성되되 경사형 공기 안내부(122)의 단부에서 열풍 분사구(123a) 쪽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면서 공기를 안내하는 경사형 단부 덕트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덕트부(121)는 사각의 넓은 사이즈로 제작되기 때문에 메인 공기 공급부(140)가 설치되기에 알맞은 장소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경사형 공기 안내부(122)의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해 메인 덕트부(121) 쪽에서 불어오는 공기는 그 속도가 빨라질 수 있으며, 다시 경사형 단부 덕트부(123)를 통해 빨라진 공기가 확산되면서 눈을 제거하는 효율이 높아질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경사형 단부 덕트부(123)에 형성되는 열풍 분사구(123a)는 바둑판식 배열 구조를 갖는다. 하지만, 도면의 형상과 달리 열풍 분사구(123a)는 하나의 홀(hole)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히터(130)는 메인 유닛덕트(120) 내에 마련되는 가열원으로서 메인 유닛덕트(120)를 지나는 공기를 가열하여 열풍으로 만드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히터(130)는 컨트롤러(170)에 의해 그 동작이 컨트롤될 수 있는데, 노면에 바로 쌓인 눈의 경우에는 굳이 히터(130)를 가동하지 않고 강풍만을 분사하더라도 차도 바깥쪽으로 눈을 날려 보낼 수 있다.
다만, 쌓인 지 오래된 눈이나 얼음의 경우에는 강풍만으로는 노면 상에서 제거될 수 없기 때문에 이때는 히터(130)를 가동하여 강풍이 아닌 열풍으로 쌓인 지 오래된 눈이나 얼음을 제거할 수 있을 것이다.
메인 공기 공급부(140)는 열풍 분사구(123a)의 반대편인 메인 유닛덕트(120)의 메인 덕트부(121)에 마련되며, 메인 유닛덕트(120) 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메인 공기 공급부(140)는 메인 유닛덕트(120)의 타단부에 마련되는 메인 송풍팬(141)과, 메인 송풍팬(141)에 연결되어 메인 송풍팬(141)을 회전구동시키는 메인 팬 모터(142)를 포함한다. 메인 팬 모터(142) 역시, 컨트롤러(170)에 의해 그 동작이 컨트롤될 수 있다.
입력부(150)는 메인 제설유닛(110)의 동작을 위한 입력신호를 입력한다. 차량이 주차 상태에서 주행되기 시작할 때, 입력부(150)로부터 메인 제설유닛(110)의 동작을 위한 입력신호가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컨트롤러(170)는 입력부(150)의 신호에 기초하여 메인 제설유닛(110)의 히터(130)와 메인 팬 모터(142)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이러한 컨트롤러(170)는 중앙처리장치(171, CPU), 메모리(172, MEMORY), 서포트 회로(17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71)는 본 실시예에서 입력부(150)의 신호에 기초하여 메인 제설유닛(110)의 히터(130)와 메인 팬 모터(142)의 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7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71)와 연결된다. 메모리(17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이다.
서포트 회로(17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7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7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70)는 입력부(150)의 신호에 기초하여 메인 제설유닛(110)의 히터(130)와 메인 팬 모터(142)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이때, 컨트롤러(170)가 입력부(150)의 신호에 기초하여 메인 제설유닛(110)의 히터(130)와 메인 팬 모터(142)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일련의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7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7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단순한 구조로써 차종에 관계없이 모든 차량에 적용이 가능하면서도 동작이 간편하여 제설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바퀴 주변에 대한 소량의 제설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노면에 쌓인 눈으로 인해 바퀴가 미끄러져 차량의 주행이 저지되는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일본이 스노 체인의 부착 의무화를 실행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대한민국의 경우, 본 실시예와 같은 차량용 제설기의 부착을 의무화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만약, 본 실시예와 같은 차량용 제설기가 모든 차량에 적용될 경우, 노면 상의 눈이나 얼음으로 인해 교통사고가 증가하고 사망자가 증가하는 현상을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설기는 요즘처럼 폭설 및 기온차 발생이 심하여 도로 상황이 좋지 않더라도 정부의 긴급 대책 없이도 개인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안전사고 발생을 감소시키는 데에 이바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설기가 설치된 차량의 측면도, 도 9는 차량용 제설기의 서브 제설유닛에 대한 사시도, 그리고 도 10은 도 9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실시예와는 다른 구조의 서브 제설유닛(210)이 적용되어 노면 상에 쌓인 눈이나 얼음, 특히 눈을 제거한다.
서브 제설유닛(210) 역시, 차량의 구동륜, 예컨대 전륜의 주변에 마련되어 노면을 향해 강풍을 분사함으로써, 노면 상에 쌓인 눈을 제거한다. 서브 제설유닛(210) 역시, 전륜의 주변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어 제설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이러한 서브 제설유닛(210)은 일단부에 공기가 분사되는 공기 분사구(223a)가 형성되는 서브 유닛덕트(220)와, 서브 유닛덕트(220)에 마련되며, 서브 유닛덕트(220) 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서브 공기 공급부(240)를 포함한다.
서브 유닛덕트(220)는 서브 공기 공급부(240)가 배치되는 서브 덕트부(221)와, 서브 덕트부(221)에 연결되고 서브 덕트부(221)에서 공기 분사구(223a) 쪽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공기를 안내하는 경사 안내부(222)와, 경사 안내부(222)의 단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되고 단부에 공기 분사구(223a)가 형성되는 분사 노즐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유닛덕트(220)가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짐에 따라 공기가 와류 없이 잘 안내되어 공기 분사구(223a)로 분사될 수 있다.
그리고 서브 공기 공급부(240)는 서브 유닛덕트(220)의 서브 덕트부(221) 내에 마련되는 서브 송풍팬(241)과, 서브 송풍팬(241)에 연결되어 서브 송풍팬(241)을 회전구동시키는 서브 팬 모터(242)를 포함한다.
서브 팬 모터(242) 역시, 도시 않은 컨트롤러에 의해 그 동작이 컨트롤되는데, 특히 서브 팬 모터(242)는 차량이 출발할 때, 즉시 동작되도록 세팅됨으로써 차량의 주행과 함께 제설작업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단순한 구조로써 차종에 관계없이 모든 차량에 적용이 가능하면서도 동작이 간편하여 제설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차량의 바퀴 주변에 대한 소량의 제설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노면에 쌓인 눈으로 인해 바퀴가 미끄러져 차량의 주행이 저지되는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설기가 설치된 차량의 측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메인 제설유닛(110)과 서브 제설유닛(210)이 모두 적용되어 노면 상에 쌓인 눈이나 얼음을 제거한다.
이때, 메인 제설유닛(110)과 서브 제설유닛(210)은 컨트롤러(370)에 의해 그 동작이 선택적으로 컨트롤된다. 즉 컨트롤러(370)는 입력부(150)의 신호에 기초하여 메인 제설유닛(110)과 서브 제설유닛(210)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예컨대, 눈이 내리기 시작하여 노면 상에 눈이 바로 쌓일 때는 컨트롤러(370)가 서브 제설유닛(210)의 동작만을 온(ON)시켜 제설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하지만, 밤새 내린 눈으로 인해 노면이 얼기까지 한 경우에는 컨트롤러(370)가 메인 제설유닛(110)과 서브 제설유닛(210)의 동작 모두를 온(ON)시켜 제설작업을 진행할 수 있을 것인데, 이러한 컨트롤이 진행됨으로써 좀 더 효과적으로 제설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단순한 구조로써 차종에 관계없이 모든 차량에 적용이 가능하면서도 동작이 간편하여 제설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차량의 바퀴 주변에 대한 소량의 제설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노면에 쌓인 눈으로 인해 바퀴가 미끄러져 차량의 주행이 저지되는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는 각각 서브 제설유닛에 대한 변형예들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서브 제설유닛(410)에 적용되는 서브 유닛덕트(420)는 서브 덕트부(221)와, 서브 덕트부(221)에 연결되고 서브 덕트부(221)에서 공기 분사구(223a) 쪽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공기를 안내하는 경사 안내부(222)와, 경사 안내부(222)의 단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되고 단부에 공기 분사구(223a)가 형성되는 분사 노즐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서브 덕트부(221)의 입구에는 도어(425)가 마련된다. 도어(425)는 제설작업이 진행될 때만 서브 덕트부(221)의 입구를 개방하도록 컨트롤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서브 제설유닛(510)에 적용되는 서브 유닛덕트(520) 역시, 서브 공기 공급부(240)가 마련되는 서브 덕트부(221)와, 서브 덕트부(221)에 연결되고 서브 덕트부(221)에서 공기 분사구(223a) 쪽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공기를 안내하는 경사 안내부(222)와, 경사 안내부(222)의 단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되고 단부에 공기 분사구(223a)가 형성되는 분사 노즐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경사 안내부(222)의 내부에는 아크형 공기 안내판(525)이 더 마련된다. 아크형 공기 안내판(525)은 서브 공기 공급부(240) 쪽에서 공기 분사구(223a) 쪽으로 향하는 공기를 와류 없이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서브 제설유닛(610)에 적용되는 서브 유닛덕트(620) 역시, 서브 공기 공급부(240)가 마련되는 서브 덕트부(221)와, 서브 덕트부(221)에 연결되고 서브 덕트부(221)에서 공기 분사구(623a) 쪽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공기를 안내하는 경사 안내부(222)와, 경사 안내부(222)의 단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되고 단부에 공기 분사구(623a)가 형성되는 분사 노즐부(6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분사 노즐부(623)는 고정식이 아닌 가변식, 즉 안테나와 같이 길이가 연장 또는 축소되는 텔레스코픽 바아 타입으로 마련된다. 이처럼 분사 노즐부(623)가 텔레스코픽 바아 타입으로 마련될 경우, 공기 분사구(623a)를 노면에 근접시켜 눈을 향해 공기를 분사할 수 있기 때문에 제설효율이 더욱 높아질 수 있을 것이다. 분사 노즐부(623)의 동작을 위해 실린더 혹은 모터와 같은 구동부(미도시)가 적용될 수 있는데, 이 구동부는 컨트롤러에 의해 컨트롤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더라도 단순한 구조로써 차종에 관계없이 모든 차량에 적용이 가능하면서도 동작이 간편하여 제설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차량의 바퀴 주변에 대한 소량의 제설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노면에 쌓인 눈으로 인해 바퀴가 미끄러져 차량의 주행이 저지되는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6은 공기분사헤드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공기분사헤드(780)는 제설기의 한 부품일 수 있으며,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열풍 분사구(123a)나 도 9에 도시된 공기 분사구(223a)에 끼워져 사용될 수 있다.
즉 공기분사헤드(780)는 도 5에 도시된 열풍 분사구(123a)나 도 9에 도시된 공기 분사구(223a)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구(782)가 마련되는 헤드 바디(781)와, 헤드 바디(781)에 연통되되 다수의 공기홀(783a)을 구비하는 다수의 공기분사용 바아(78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과 같은 구조의 공기분사헤드(780)가 도 5에 도시된 열풍 분사구(123a)나 도 9에 도시된 공기 분사구(223a)에 끼워져 사용될 경우, 열풍 혹은 공기는 결합구(782), 헤드 바디(781) 및 다수의 공기분사용 바아(783)를 거쳐 다수의 공기홀(783a)을 통해 여러 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게 됨으로써, 제설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공기분사헤드(780)가 적용되더라도 단순한 구조로써 차종에 관계없이 모든 차량에 적용이 가능하면서도 동작이 간편하여 제설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차량의 바퀴 주변에 대한 소량의 제설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노면에 쌓인 눈으로 인해 바퀴가 미끄러져 차량의 주행이 저지되는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 메인 제설유닛 120 : 메인 유닛덕트
121 : 메인 덕트부 122 : 경사형 공기 안내부
123 : 경사형 단부 덕트부 123a : 열풍 분사구
130 : 히터 140 : 메인 공기 공급부
141 : 메인 송풍팬 142 : 메인 팬 모터
150 : 입력부 170 : 컨트롤러

Claims (5)

  1. 차량의 구동륜 주변에 마련되어 노면 상에 쌓인 눈이나 얼음을 향해 열풍을 분사하는 메인 제설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제설유닛은,
    일단부에 상기 열풍이 분사되는 열풍 분사구가 형성되는 메인 유닛덕트;
    상기 메인 유닛덕트 내에 마련되는 히터; 및
    상기 열풍 분사구의 반대편인 상기 메인 유닛덕트의 타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메인 유닛덕트 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메인 공기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설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공기 공급부는,
    상기 메인 유닛덕트의 타단부에 마련되는 메인 송풍팬; 및
    상기 메인 송풍팬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 송풍팬을 회전구동시키는 메인 팬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설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유닛덕트는,
    상기 메인 공기 공급부가 배치되는 메인 덕트부;
    상기 메인 덕트부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 덕트부에서 상기 열풍 분사구 쪽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면서 공기를 안내하는 경사형 공기 안내부; 및
    단부에 상기 열풍 분사구가 형성되되 상기 경사형 공기 안내부의 단부에서 상기 열풍 분사구 쪽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면서 공기를 안내하는 경사형 단부 덕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설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설유닛의 주변에 배치되며, 노면 상에 쌓인 눈이나 얼음을 향해 공기를 분사하는 서브 제설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서브 제설유닛은,
    서브 덕트부와, 상기 서브 덕트부에 연결되고 상기 서브 덕트부에서 공기 분사구 쪽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공기를 안내하는 경사 안내부와, 상기 경사 안내부의 단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되고 단부에 상기 공기 분사구가 형성되는 분사 노즐부를 구비하는 서브 유닛덕트; 및
    상기 서브 유닛덕트에 마련되며, 상기 서브 유닛덕트 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서브 공기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공기 공급부는,
    상기 서브 유닛덕트에 마련되는 서브 송풍팬; 및
    상기 서브 송풍팬에 연결되어 상기 서브 송풍팬을 회전구동시키는 서브 팬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설기.
  5. 제4항에 있어서,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메인 제설유닛과 상기 서브 제설유닛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설기.
KR1020150016470A 2015-02-03 2015-02-03 차량용 제설기 KR201600953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470A KR20160095332A (ko) 2015-02-03 2015-02-03 차량용 제설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470A KR20160095332A (ko) 2015-02-03 2015-02-03 차량용 제설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5332A true KR20160095332A (ko) 2016-08-11

Family

ID=56714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6470A KR20160095332A (ko) 2015-02-03 2015-02-03 차량용 제설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533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5355A (ko) * 2017-09-26 2019-04-0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롤러형 전차선 결빙 방지제 도포장치
WO2022181895A1 (ko) * 2021-02-24 2022-09-01 최춘식 차량의 이동경로 이물질 및 도로 위의 쌓인 눈 제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2156A (ko) 1993-10-08 1995-05-16 미따라이 하지메 자성 토너,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방법
KR950013891A (ko) 1993-11-16 1995-06-15 작크스 뮬러, 한스피터 랜츠 자동차 새시
KR20030062927A (ko) 2002-01-21 2003-07-28 (주)태성공업 트랙터 후면 탈부착용 제설기의 설치장치
KR20100093889A (ko) 2009-02-17 2010-08-26 주식회사 한국쓰리축 대형차량용 리어에어서스펜션의 캐스터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2156A (ko) 1993-10-08 1995-05-16 미따라이 하지메 자성 토너,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방법
KR950013891A (ko) 1993-11-16 1995-06-15 작크스 뮬러, 한스피터 랜츠 자동차 새시
KR20030062927A (ko) 2002-01-21 2003-07-28 (주)태성공업 트랙터 후면 탈부착용 제설기의 설치장치
KR20100093889A (ko) 2009-02-17 2010-08-26 주식회사 한국쓰리축 대형차량용 리어에어서스펜션의 캐스터 조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5355A (ko) * 2017-09-26 2019-04-0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롤러형 전차선 결빙 방지제 도포장치
WO2022181895A1 (ko) * 2021-02-24 2022-09-01 최춘식 차량의 이동경로 이물질 및 도로 위의 쌓인 눈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39314B2 (ja) 道路の雪氷の除去方法と雪氷除去装置
KR20160095332A (ko) 차량용 제설기
JP2015521134A (ja) 車両用アンチアクアプレーニングデバイス
US975137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ling a heat exchanger in a vehicle
US20180015966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reducing the aerodynamic drag of a vehicle
CN110761212A (zh) 一种仿交警的自动指挥装置
CN204222987U (zh) 汽车用多功能挡泥板
CN208827780U (zh) 污染物减少组件
KR102131459B1 (ko) 공기 분사 휠 디플렉터
KR102083224B1 (ko) 상용차용 에어 나이프 어닝 시스템
KR102621914B1 (ko) 풍량이 증폭되는 언더커버
KR102546877B1 (ko) 자동차 후방카메라의 렌즈 오염 제거장치 및 그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
WO2017117327A1 (en) Jet heaters for a motorized vehicle
KR102016045B1 (ko) 제설차
KR101608362B1 (ko) 차량 타이어의 미끄럼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 방지방법
KR100633424B1 (ko) 빗방울 제거용 자동차 사이드밀러
KR20200141898A (ko) [에어 자동차 사이드미러
KR102653278B1 (ko)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000001520U (ko) 차량용 타이어의 히팅장치
JP2001026258A (ja) 自動車用空気ワイパー装置
KR20150082153A (ko) 열교환기를 통과한 배출공기를 배출시키는 원리.
KR20190002041A (ko) 배기가스로 가열되는 가열수 분사를 이용한 제설차
KR200359734Y1 (ko) 물방울제거 장치를 갖는 사각방지 미러
KR101811342B1 (ko) 안개유입 차단 공기방어벽 시스템 ⅱ
CN104354771B (zh) 汽车用多功能挡泥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099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222

Effective date: 2018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