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6045B1 - 제설차 - Google Patents

제설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6045B1
KR102016045B1 KR1020160171873A KR20160171873A KR102016045B1 KR 102016045 B1 KR102016045 B1 KR 102016045B1 KR 1020160171873 A KR1020160171873 A KR 1020160171873A KR 20160171873 A KR20160171873 A KR 20160171873A KR 102016045 B1 KR102016045 B1 KR 102016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unit
vehicle
snow
spr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1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9568A (ko
Inventor
곽진수
박효련
Original Assignee
곽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진수 filed Critical 곽진수
Priority to KR1020160171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6045B1/ko
Publication of KR20180069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9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6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6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1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by application of heat for melting snow or ice, whether cleared or not, combined or not with clearing or removing mud or water, e.g. burners for melting in situ, heated clearing instruments; Cleaning snow by blowing or suction only
    • E01H5/102Self-contained devices for melting dislodged snow or ice, e.g. built-in melting chambers, movable melting t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04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Of Streets, Tracks, Or Bea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풍을 공급하여 눈을 녹일 수 있도록 한 제설차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전방에 형성되며, 열풍을 공급하여 눈을 녹이기 위한 열풍장치부; 및 상기 차량과 상기 열풍장치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열풍장치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하이동장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제설차{Snowplow car}
본 발명은 제설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열풍을 공급하여 눈을 녹일 수 있도록 한 제설차에 관한 것이다.
동절기에는 예측하지 못한 폭설, 압설, 한파로 인해 도로와 인도에 대량의 눈이 쌓이거나 결빙되는 경우가 수시로 발생하며, 이에 따라 결빙된 도로를 제설하기 위해서는 인력이나 제설장치가 구비된 제설차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렇게 도로의 제설을 위해 사용되는 제설장치는 일반적으로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차량의 차제 전면에 눈을 치울 수 있도록 형성된 눈바켓과, 차체의 후방에 설치되어 노면에 염화칼슘을 분사하는 염화칼슘분사기와, 염화칼슘을 저장할 수 있도록 차체의 상측에 형성되는 염화칼슘탱크 및 상기 염화칼슘분사기를 통해 정량의 염화칼슘을 분사해주기 위한 제반 분사장치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94115호(2002.10.22 등록)는 삽날 폭이 조절되는 제설차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차량 전방에 양쪽에 유동 가능한 삽날과 중앙에 고정되는 삽날이 구비되는 제설차에 있어서, 상기 제설차의 전방에 차량의 폭만큼 고정 구성되는 제1 삽날과 상기 제1 삽날 양쪽에 구성되며, 좌, 우로 유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 삽날과 제3 삽날을 포함하는 삽날부; 상기 제1 삽날과 제2 삽날 및 제3 삽날의 하부에 구성되며, 도로표면과 상면하여 눈을 치우기 위해 탄력성을 포함하고 착, 탈이 가능한 볼트, 너트 구조로 형성되는 체결부로 결합되는 스크레퍼; 및 상기 제2 삽날과 제3 삽날은 제1 삽날 후방에 수납되며, 제설지역에 따라 삽날의 폭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20280호(2013.01.03 등록)는 흡입식 제설차량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차량의 운전석과 용융탱크 사이의 밑면에 구비되어 도로에 쌓여진 눈을 흡입하는 흡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용융탱크는 상기 흡입부에서 흡입된 눈을 엔진의 배기열로 녹이는 배기파이프 및 상기 배기파이프에 의해 용융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흡입부는 도로면과 접하여 높낮이 조절부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는 한 쌍의 흡입구를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흡입구는 상기 용융탱크에 구비되는 흡입펌프와 연결관으로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흡입구 사이에는 서로 대응되는 면에 좌, 우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복동 실린더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제설차는 지면에 쌓인 눈 또는 결빙은 제거할 수 있으나, 지붕 등과 같은 높은 곳에 쌓여있는 눈 또는 결빙은 치울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량의 전방에 삽날을 설치하여 운행하면서 지면에 쌓인 눈 또는 결빙을 치우는 경우에는 쌓여있던 눈 또는 결빙이 무너지면서 다치거나, 삽날에 의해 지면, 표지판 등이 훼손될 수 있는 위험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94115호 한국등록특허 제10-1220280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열풍장치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한 제설차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차량의 전방에 형성되며, 열풍을 공급하여 눈을 녹이기 위한 열풍장치부; 및 상기 차량과 상기 열풍장치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열풍장치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하이동장치부를 포함하는 제설차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열풍장치부는, 본체부재; 상기 본체부재의 내부에 형성되며, 회전하면서 바람을 발생시키는 송풍부재; 및 상기 본체부재의 입구쪽에 형성되어 발열하는 히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상하이동장치부는, 상기 차량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열풍장치부를 상하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재; 상기 안내부재의 하부에 형성되어, 구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구동부재; 및 상기 구동부재의 축에 결합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재에서 발생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1 스프라켓; 상기 제1 스프라켓의 상부 방향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스프라켓과 동시에 회전하는 제2 스프라켓; 및 상기 제1 스프라켓과 상기 제2 스프라켓에 체인 결합되며, 일측에 상기 열풍장치부가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체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차량과 상기 상하이동장치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상하이동장치부의 각도를 전후 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유압을 공급받아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실린더부재; 상기 차량과 상기 실린더부재의 일 말단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부재를 고정 설치하기 위한 고정설치부재; 및 상기 실린더부재의 다른 일 말단과 상기 상하이동장치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상하이동장치부를 회동시키기 위한 힌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상하이동장치부의 하단과 상기 차량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부재에 의해 상기 상하이동장치부의 하단을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열풍장치부와 연결 형성되어, 열풍을 다방향으로 배출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호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차량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호스를 고정하기 위한 호스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상하이동장치부와 상기 열풍장치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열풍장치부를 상기 상하이동장치부에 탈부착하기 위한 탈부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탈부착부는, 상기 상하이동장치부에 설치되어, 상기 열풍장치부를 부착하기 위한 탈부착부재; 상기 열풍장치부에 연결 형성되고 삽입공을 구비하며, 상기 탈부착부재에 부착하기 위한 브라켓; 및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브라켓을 상기 탈부착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열풍공급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지면에 쌓인 눈 또는 결빙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붕 등과 같은 높은 곳에 쌓여있는 눈 또는 결빙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열풍을 공급하여 눈을 녹여 제거함으로써, 지면, 표지판 등을 훼손시킬 위험이 없으며, 사용자가 안전하게 제설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설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열풍장치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상하이동장치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설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제설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제설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제설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있는 열풍장치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설차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설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설차(10)는, 열풍장치부(100), 상하이동장치부(200)를 포함한다.
열풍장치부(100)는, 차량(A)의 전방에 형성되며, 열풍을 공급하여 눈 또는 결빙을 녹여 제거한다. 여기서 차량(A)은 지게차량임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에서, 열풍장치부(100)는, 사용자가 차량(A)에 탑승하여 전진하면서 지면에 쌓인 눈 또는 결빙을 녹일 수 있으며, 상하이동장치부(200)를 이용하여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켜 비닐하우스 또는 지붕 등과 같은 높은 곳에 쌓인 눈 또는 결빙을 녹일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열풍장치부(100)는, 하부가 전방으로 일정 각도(예를 들어, 10 ~ 50ㅀ)만큼 비스듬하게 형성하여, 하부 전방으로 열풍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설 작업시 눈 또는 이물질이 열풍장치부(100)로 들어가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열풍장치부(100)는, 도면에서 하부 전방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지면을 향해 수직하게 설치되어 하부로 열풍을 공급하거나, 수평으로 설치되어 전방으로 열풍을 공급할 수도 있다.
상하이동장치부(200)는, 차량(A)과 열풍장치부(100) 사이에 형성되며, 열풍장치부(10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상하이동장치부(200)는, 체인, 리프트 실린더 등 다양한 이동 수단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제설차(10)는, 열풍공급부(100)를 상하이동장치부(200)를 통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사용함으로써, 지면에 쌓인 눈 또는 결빙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붕 등과 같은 높은 곳에 쌓여있는 눈 또는 결빙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열풍을 공급하여 눈을 녹여 제거함으로써, 지면, 표지판 등을 훼손시킬 위험이 없으며, 사용자가 안전하게 제설 작업을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열풍장치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열풍장치부(100)는, 본체부재(110), 송풍부재(120), 히터부재(130)를 포함한다.
본체부재(110)는, 상하이동장치부(200)의 전방에 장착되며, 내부에 송풍부재(120), 히터부재(130)를 구비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재(110)는, 입구 부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이물질 방지망(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할 수 있다.
송풍부재(120)는, 본체부재(110)의 내부에 형성되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하면서 바람을 발생시켜 공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송풍부재(120)는, 무소음 브로와 장치로 형성되어, 속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히터부재(130)는, 본체부재(110)의 입구쪽에 형성되어 발열한다.
일 실시 예에서, 히터부재(130)는, 송풍부재(12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여 온풍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히터부재(130)는, 세라믹 히터로 형성되어, 발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제설차(10)는, 열풍 전원공급부재(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한다.
열풍 전원공급부재는, 충전식 배터리로 형성되어, 열풍장치부(100)의 각 구성 요소(예를 들어, 송풍부재(110), 히터부재(120))로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 경우에 충전 장치에 접속하여 충전하며, 충전된 전원을 열풍장치부(100)의 각 구성 요소(예를 들어, 송풍부재(110), 히터부재(120))로 공급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상하이동장치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하이동장치부(200)는, 안내부재(210), 구동부재(220), 제1 스프라켓(230), 제2 스프라켓(240), 체인부재(250)를 포함한다.
안내부재(210)는, 차량(A)의 전방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열풍장치부(10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구동부재(220)는, 안내부재(210)의 하부에 형성되며, 제1 스프라켓(230)에 구동력을 부여한다.
일 실시 예에서, 구동부재(220)는, 구동 전원공급부재(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할 수 있다.
제1 스프라켓(230)은, 구동부재(220)의 축에 결합 형성되며, 구동부재(220)에서 발생하는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제2 스프라켓(240)은, 제1 스프라켓(230)의 수직상으로 상부 방향에 형성되어, 제1 스프라켓(230)의 회전과 동시에 회전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스프라켓(240)은, 체인부재(250)와 체인 결합되어 체인부재(250)의 수직도를 유지할 수 있다.
체인부재(250)는, 제1 스프라켓(230)과 제2 스프라켓(240)에 체인 결합되며, 일측에 열풍장치부(100)가 결합되어, 제1 스프라켓(230)의 회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설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설차(10)는, 열풍장치부(100), 상하이동장치부(200), 각도조절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열풍장치부(100), 상하이동장치부(2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각도조절부(300)는, 차량(A)과 상하이동장치부(200) 사이에 형성되며, 상하이동장치부(200)의 각도를 전후 방향으로 조절한다. 이에 따라, 상하이동장치부(200)에 결합 형성된 열풍장치부(100)의 각도를 조절하여 다양한 위치에 쌓인 눈 또는 결빙에 열풍을 공급하여 녹일 수 있다. 각도조절부(300)에 의해 상하이동장치부(200)의 각도가 조절된 상태는 도 5에 나타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각도조절부(300)는, 실린더부재(310), 고정설치부재(320), 힌지부재(330), 회동부재(34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부재(310)는, 유압을 공급받아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면서 상하이동장치부(200)를 밀어주거나 당겨준다.
고정설치부재(320)는, 차량(A)과 실린더부재(310)의 일 말단 사이에 형성되며, 실린더부재(310)를 차량(A)에 고정 설치한다.
힌지부재(330)는, 실린더부재(310)의 다른 일 말단과 상하이동장치부(200) 사이에 형성되며, 실린더부재(310)에 의해 이동하는 상하이동장치부(200)를 회동시킨다.
회동부재(340)는, 상하이동장치부(200)의 하단과 차량(A) 사이에 형성되며, 실린더부재(310)에 의해 이동하는 상하이동장치부(200)의 하단을 회동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제설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설차(10)는, 열풍장치부(100), 상하이동장치부(200), 호스(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열풍장치부(100), 상하이동장치부(2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호스(400)는, 열풍장치부(100)와 연결 형성되어, 열풍장치부(100)에서 공급되는 열풍을 다방향으로 배출시킴으로써, 열풍장치부(100)로 제거하기 힘든 부분까지 열풍을 공급하여 눈 또는 결빙을 녹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열풍장치부(100)와 동시에 열풍을 공급함으로써, 넓은 면적에 쌓인 눈을 신속하게 녹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호스(400)는,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호스(400)는, 본체부재(110)의 입구 부분에 연결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제설차(10)는, 호스 고정수단(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호스 고정수단(500)은, 차량(A)의 일측에 형성되어, 호스(400)를 고정시킨다. 이에 따라, 사람이 직접 호스(400)를 잡고 작업을 하지 않고, 차량(A)을 운행하면서 다양한 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제설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설차(10)는, 열풍장치부(100), 상하이동장치부(200), 탈부착부(6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열풍장치부(100), 상하이동장치부(2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탈부착부(600)는, 상하이동장치부(200)와 열풍장치부(100) 사이에 형성되며, 열풍장치부(100)를 상하이동장치부(200)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탈부착부(600)는, 탈부착부재(610), 브라켓(620), 고정수단(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탈부착부재(610)는, 상하이동장치부(200)의 체인부재(250)에 설치되며, 열풍장치부(100)를 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탈부착부재(610)는,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개방된 부분으로 열풍장치부(100)를 삽입하여 부착할 수 있다. 이때, 탈부착부재(610)의 양측 하단에 받침대를 형성하여 열풍장치부(100)를 받쳐줌으로써, 열풍장치부(100)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다.
브라켓(620)은, 열풍장치부(100)의 후면에 연결 형성되고 양측에 다수개의 삽입공(621)이 구비되며, 탈부착부재(610)에 부착된다.
고정수단은, 삽입공(621)에 삽입되어, 브라켓(620)을 탈부착부재(610)에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수단은, 볼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브라켓(620)에 탈부착부재(610)에 연결된 상태에서 삽입공(621)을 관통하여 탈부착부재(610)에 삽입되어 탈부착부재(610)와 브라켓(620) 사이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제설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설차(10)는, 열풍장치부(100), 상하이동장치부(200), 제설제 살포부(7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열풍장치부(100), 상하이동장치부(2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제설제 살포부(700)는, 차량(A)의 후방에 형성되어, 제설제를 살포하여 눈이 얼지 않고 녹도록 한다.
제설제는 눈의 어는점을 낮춰 얼지 않고 녹도록 하는 것으로, 염화칼슘, 모래의 화합물인 비염화물계 제설제, 소금(염화나트륨) 등일 수 있다. 눈은 과냉각상태라 얼음과 물이 섞여 있으며, 물이 얼음이 되려면 에너지(응고열)가 필요한데 이 열을 제설제가 빼앗아 얼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서, 제설제 살포부(700)는, 저장부재(710), 살포부재(72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재(710)는, 차량(A)의 후방에 형성되며, 내부에 제설제를 저장하도록 한다.
살포부재(720)는, 저장부재(7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저장부재(710)에 저장된 제설제를 지면에 살포한다.
일 실시 예에서, 살포부재(720)는, 임펠러로 형성되어, 회전하면서 지면에 서서히 제설제를 배출할 수 있으며, 임펠러 외에 다양한 살포수단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9는 도 1에 있는 열풍장치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열풍장치부(100)는, 입력부재(140), 제어부재(150), 온도감지부재(160), 메모리부재(170)을 더 포함한다.
입력부재(140)는, 차량(A)에 형성되어, 바람의 세기(송풍부재(120)의 회전속도) 또는 히터부재(130)의 가열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아 이에 대응하는 명령신호를 생성시킨다.
제어부재(150)는, 입력부재(140)로부터 명령신호를 전달받아 송풍부재(120), 히터부재(130)의 구동을 제어한다.
온도감지부재(160)는, 본체부재(110)의 일측에 형성되어, 본체부재(110)의 온도를 감지한다.
메모리부재(170)는, 안전을 위해 전기회로를 차단시키기 위한 한계 온도값을 미리 설정하여 저장한다.
이때, 제어부재(150)는, 온도감지부재(160)에서 감지된 온도가 메모리부재(170)에 저장된 한계 온도값 이상인 경우에 송풍부재(120)와 히터부재(130)의 구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구동 정지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해당 발생시킨 구동 정지 제어 신호를 송풍부재(120)와 히터부재(13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온으로 인한 화재 발생이나 화상 등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부재(170)는, 온도감지부재(160)에 감지된 온도값에 따라 경보하기 위한 기준 온도값을 미리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열풍장치부(100)는, 알림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알림부는, 온도감지부재(160)에서 감지한 온도값이 메모리부재(170)에 저장된 기준 온도값보다 이상인 경우에 사용자에게 알린다.
일 실시 예에서, 알림부는, 제어부재(150)에서 발생시킨 경보 신호에 따라 해당 경보 신호를 입력받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알림부는, 제어부재(150)에서 발생시킨 경보 신호를 입력받아 경고음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알림부는, 제어부재(150)에서 발생시킨 경보 신호를 입력받아 시각적으로 알려주기 위한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제설차
100 : 열풍장치부
110 : 본체부재
120 : 송풍부재
130 : 히터부재
140 : 입력부재
150 : 제어부재
160 : 온도감지부재
170 : 메모리부재
200 : 상하이동장치부
210 : 안내부재
220 : 구동부재
230 : 제1 스프라켓
240 : 제2 스프라켓
250 : 체인부재
300 : 각도조절부
310 : 실린더부재
320 : 고정설치부재
330 : 힌지부재
340 : 회동부재
400 : 호스
500 : 호스 고정수단
600 : 탈부착부
610 : 탈부착부재
620 : 브라켓
621 : 삽입공
700 : 제설제 살포부
710 : 저장부재
720 : 살포부재
A : 차량

Claims (10)

  1. 차량의 전방에 형성되며, 열풍을 공급하여 눈을 녹이기 위한 열풍장치부;
    상기 차량과 상기 열풍장치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열풍장치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하이동장치부;
    상기 차량의 후방에 형성되어, 제설제를 살포하기 위한 제설제 살포부; 및
    상기 상하이동장치부와 상기 열풍장치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열풍장치부를 상기 상하이동장치부에 탈부착하기 위한 탈부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열풍장치부는,
    본체부재;
    상기 본체부재의 내부에 형성되며, 회전하면서 바람을 발생시키는 송풍부재;
    상기 본체부재의 입구쪽에 형성되어 발열하는 히터부재;
    상기 본체부재의 입구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재의 입구 부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물질 방지망;
    상기 차량에 형성되어, 상기 송풍부재의 회전속도 또는 상기 히터부재의 가열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아 이에 대응하는 명령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입력부재;
    상기 입력부재로부터 명령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송풍부재, 상기 히터부재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재;
    상기 본체부재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재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부재;
    안전을 위해 전기회로를 차단시키기 위한 한계 온도값과 경보하기 위한 기준 온도값을 미리 설정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부재;
    상기 온도감지부재에서 감지한 온도값이 상기 메모리부재에 저장된 기준 온도값보다 이상인 경우에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알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설제 살포부는,
    상기 차량의 후방에 형성되어, 내부에 제설제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재; 및
    상기 저장부재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저장부재에 저장된 제설제를 지면에 살포하기 위한 살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탈부착부는,
    상기 상하이동장치부에 설치되어, 상기 열풍장치부를 부착하기 위한 탈부착부재;
    상기 열풍장치부에 연결 형성되고 삽입공을 구비하며, 상기 탈부착부재에 부착하기 위한 브라켓; 및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브라켓을 상기 탈부착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탈부착부재는,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개방된 부분으로 열풍장치부를 삽입하여 부착하되, 양측 하단에 받침대를 형성하여 상기 열풍장치부를 받쳐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차.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장치부는,
    상기 차량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열풍장치부를 상하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재;
    상기 안내부재의 하부에 형성되어, 구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구동부재; 및
    상기 구동부재의 축에 결합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재에서 발생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1 스프라켓;
    상기 제1 스프라켓의 상부 방향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스프라켓과 동시에 회전하는 제2 스프라켓; 및
    상기 제1 스프라켓과 상기 제2 스프라켓에 체인 결합되며, 일측에 상기 열풍장치부가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체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과 상기 상하이동장치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상하이동장치부의 각도를 전후 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유압을 공급받아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실린더부재;
    상기 차량과 상기 실린더부재의 일 말단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부재를 고정 설치하기 위한 고정설치부재; 및
    상기 실린더부재의 다른 일 말단과 상기 상하이동장치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상하이동장치부를 회동시키기 위한 힌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상하이동장치부의 하단과 상기 차량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부재에 의해 상기 상하이동장치부의 하단을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장치부와 연결 형성되어, 열풍을 다방향으로 배출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호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차.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호스를 고정하기 위한 호스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차.
  9. 삭제
  10. 삭제
KR1020160171873A 2016-12-15 2016-12-15 제설차 KR102016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1873A KR102016045B1 (ko) 2016-12-15 2016-12-15 제설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1873A KR102016045B1 (ko) 2016-12-15 2016-12-15 제설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9568A KR20180069568A (ko) 2018-06-25
KR102016045B1 true KR102016045B1 (ko) 2019-08-29

Family

ID=62806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1873A KR102016045B1 (ko) 2016-12-15 2016-12-15 제설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604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05217A1 (en) * 2003-06-17 2008-05-08 Chinook Mobile Heating And Deicing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elting snow and ice
KR101058126B1 (ko) * 2011-01-06 2011-08-24 (주) 동방메가테크 스키드 로더 장착용 열풍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115Y1 (ko) 2002-07-30 2002-11-04 두병록 삽날 폭이 조절되는 제설차
KR20090067296A (ko) * 2007-12-21 2009-06-2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지게차 전조등 높낮이 위치 조절장치
KR101220280B1 (ko) 2010-04-07 2013-01-14 임영민 흡입식 제설차량
KR20120022021A (ko) * 2010-08-31 2012-03-09 주식회사쿡웰 이동식 도로제설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05217A1 (en) * 2003-06-17 2008-05-08 Chinook Mobile Heating And Deicing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elting snow and ice
KR101058126B1 (ko) * 2011-01-06 2011-08-24 (주) 동방메가테크 스키드 로더 장착용 열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9568A (ko) 201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1616B1 (ko) 노면 결빙방지장치
JP4939314B2 (ja) 道路の雪氷の除去方法と雪氷除去装置
JP6311077B2 (ja) 液化除雪装置
US20160053452A1 (en) Ice and snow removal system and apparatus
US4271617A (en) Method of removing snow from ground surface
KR101467832B1 (ko) 염수용액 제조 살포기
KR100875144B1 (ko) 제설차
JP5805319B2 (ja) 車両用除雪装置
KR101083707B1 (ko) 열수장치를 이용한 제설장비
KR102016045B1 (ko) 제설차
CN109881620A (zh) 一种道路除雪车
KR102254105B1 (ko) 노면 제설용 차량
US8428446B1 (en) Snow and ice melting device
US20160230360A1 (en) Snow Removal System
KR102382563B1 (ko) 염화칼슘 살포를 겸한 차량전방 살수식 염수제설기
CN209162744U (zh) 一种破冻、输送和融化的多功能融雪系统
KR20160053720A (ko) 제설장치
CN109208530A (zh) 一种破冻、输送和融化的多功能融雪系统
KR20030043351A (ko) 도로용 제설차량
KR200425435Y1 (ko) 눈과 잡풀제거장치
CN206256418U (zh) 除雪车及其除雪装置
US20170182982A1 (en) Jet heaters for a motorized vehicle
CN214143207U (zh) 一种公路施工养护装置
KR102640435B1 (ko) 염수분사 노즐을 구성한 제설판
KR20160095332A (ko) 차량용 제설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