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3889A - 대형차량용 리어에어서스펜션의 캐스터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대형차량용 리어에어서스펜션의 캐스터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3889A
KR20100093889A KR1020090013020A KR20090013020A KR20100093889A KR 20100093889 A KR20100093889 A KR 20100093889A KR 1020090013020 A KR1020090013020 A KR 1020090013020A KR 20090013020 A KR20090013020 A KR 20090013020A KR 20100093889 A KR20100093889 A KR 20100093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pring
link member
link
vehicl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3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5226B1 (ko
Inventor
문형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쓰리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쓰리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쓰리축
Priority to KR1020090013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5226B1/ko
Publication of KR20100093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3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5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5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60G3/18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 B60G3/2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all arms being rigid
    • B60G3/26Means for maintaining substantially-constant wheel camber during suspension movement ; Means for controlling the variation of the wheel position during suspension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Pneumatic spring characteri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Pneumatic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3Regulating distributors or valves for pneumatic springs
    • B60G17/0528Pressure regulating or air fill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wheels in the suspensions
    • B60G2200/464Caster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5Fluid spring
    • B60G2202/152Pneumatic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22Links for mounting suspens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05Attitude
    • B60G2400/051Angle
    • B60G2400/0514Wheel angle detection
    • B60G2400/05146Wheel cas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60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7/00Means on vehicles for adjusting camber, castor, or to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형 차량의 후진시 차축을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리지 않고 하부엔드부재의 캐스터 각도를 변위시켜 후진시에도 전진 주행조건과 같게 자체조향이 되는 대형차량용 리어에어서스펜션의 캐스터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형차량용 리어에어서스펜션의 캐스터 조절장치는 차체프레임에 설치된 상부앤드부재에 장착되며 상하방향으로 신축되는 제1 에어스프링과, 상기 제1 에어스프링의 하부에 결합되며, 대형차량의 하중 분산을 위한 보조차축이 설치된 하부앤드부재와, 상기 차체프레임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직립앤드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차체프레임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신축되는 제2 에어스프링과, 상기 제2 에어스프링의 선단에 일단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제1 연결링크부재와, 상기 제1 연결링크부재의 타단으로부터 제1 연결링크부재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고 단부가 상기 하부앤드부재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연결링크부재와, 상기 제1, 제2 연결링크부재의 연결지점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에어스프링의 구동시 상기 제2 연결링크부재가 제1 연결링크부재에 연동되어 단부가 승강되게 회전시키는 제1 링크회전축을 갖는 제1 구동링크와, 상기 하부앤드부재에 장착된 보조차축의 캐스터각을 조절하는 캐스터각 조절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대형차량용 리어에어서스펜션의 캐스터 조절장치 {Caster adjusting apparatus of Rear axle Air Suspension for large-sized vehicle}
본 발명은 대형차량용 리어에어서스펜션의 캐스터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형 차량의 후진시 차축을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리지 않고 하부엔드부재의 캐스터 각도를 변위시켜 후진시에도 전진 주행조건과 같게 자체조향이 되는 대형차량용 리어에어서스펜션의 캐스터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화물 내지 대용량의 화물을 전용으로 운반하는 대형차량의 경우 적재된 화물의 중량으로 인해 주행중 도로 및 교량의 파손이 야기될 수 있기 때문에 지반이 약한 도로나 교량의 경우에는 대형차량의 운행을 통제하고 있다.
대형차량들은 통제구간을 운행하기 위해 화물의 중량을 분산할 수 있는 에어서스펜션 장착차축을 차량에 장착하여 각 차축에서 지지하는 하중이 분산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에어서스펜션장착차축은 적재함의 중량을 효과적으로 분담할 수 있도록 대부분 2축 형태의 후륜구조를 이루고 있어 좌우방향으로의 선회시 노면접지저항을 많이 받아 타이어 마모량의 증가와 함께 회전반경이 더욱 커지게 되므로 이러 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진과 후진을 모두 조향할 수 있도록 하는 '대형차량의 후륜조향 에어서스펜션'이 있다.
종래의 에어서스펜션 장착차축은 단순히 차축을 승하강 시키는 것으로서, 차량의 전진 주행시에는 차량의 주행방향에 따라 차축 역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부앤드부재가 상단이 하단에 비해 차량의 전진주행방향 상에서 전방에 위치하도록 소정각도 경사지게 되어 있다.
이렇게 하부앤드부재가 경사져 있기 때문에 대형차량이 후진할 때에는 조향이 이루어질 수 없으므로 후진시에는 에어서스펜션 장착차축을 승강시켜 지면으로부터 떨어지게 하는데, 이렇게 매 후진시마다 에어서스펜션 장착차축을 승강 또는 하강시켜야 하므로 후진 주행과 전진 주행을 번갈아 시도해야 하는 경우에는 에어서스펜션 장착차축의 승강 및 하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에어서스펜션 장착차축이 승강되어 있는 동안 나머지 차축에 화물의 하중이 증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에어서스펜션 장착차축을 승강시키지 않고도 캐스터각을 조절하여 차량의 전진 또는 후진시에 조향 가능하게 차축을 구동시킬 수 있는 대형차량용 리어에어서스펜션의 캐스터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대형차량용 리어에어서스펜션의 캐스터 조절장치는 차체프레임에 설치된 상부앤드부재에 장착되며 상하방향으로 신축되는 제1 에어스프링과, 상기 제1 에어스프링의 하부에 결합되며, 대형차량의 하중 분산을 위한 보조차축이 설치된 하부앤드부재와, 상기 차체프레임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직립앤드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차체프레임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신축되는 제2 에어스프링과, 상기 제2 에어스프링의 선단에 일단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제1 연결링크부재와, 상기 제1 연결링크부재의 타단으로부터 제1 연결링크부재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고 단부가 상기 하부앤드부재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연결링크부재와, 상기 제1, 제2 연결링크부재의 연결지점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에어스프링의 구동시 상기 제2 연결링크부재가 제1 연결링크부재에 연동되어 단부가 승강되게 회전시키는 제1 링크회전축을 갖는 제1 구동링크와, 상기 하부앤드부재에 장착된 보조차축의 캐스터각을 조절하는 캐스터각 조절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캐스터각 조절수단은 상기 제1 구동링 크와 상하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일단이 상기 하부앤드부재에 힌지결합된 제2 구동링크와, 상기 차체프레임 또는 상기 직립앤드부재에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이 상기 제2 구동링크의 타단과 힌지결합되는 회전링크부재와, 상기 차체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하도록 상기 차체프레임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회전링크부재의 상단과 힌지결합되어 상기 회전링크부재를 회전시키는 제3 에어스프링을 구비하여 형성된 것이다.
대형차량용 리어에어서스펜션의 캐스터 조절장치는 적재되는 화물의 중량에 따라 상기 제3 에어스프링에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는 공압조절부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공압조절부는 적재되는 화물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감지센서와, 상기 중량감지센서에서 감지된 화물의 하중에 따라 상기 제3 에어스프링에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는 레귤레이터밸브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대형차량용 리어에어서스펜션의 캐스터 조절장치는 대형차량의 후진 구동시 보조차축을 승강시키지 않아도 차량을 용이하게 후진시킬 수 있으므로 구동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적재된 화물의 하중에 대응하는 공압으로 에어스프링에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원활한 구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형차량용 리어에어서스펜션의 캐스터 조절장치(이하 '캐스터 조절장치'라 함)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캐스터 조절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캐스터 조절장치(100)는 화물을 적재하는 대형차량에 마련되어 화물의 하중을 분산시키는 보조차축(120)의 캐스터각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캐스터 조절장치(100)는 차체프레임(110)에 설치된 상부앤드부재(111)에 결합된 제1 에어스프링(112)과, 제1 에어스프링(112)에 장착된 하부앤드부재(113)와, 차체프레임(110)에 설치된 직립앤드부재(114), 직립앤드부재(114)에 설치된 제2 에어스프링(115), 제2 에어스프링(115)과 하부앤드부재(113)를 연결하는 제1 구동링크(116), 보조차축(120)의 캐스터각을 조절하기 위한 캐스터각 조절수단(130) 및 캐스터각 조절수단(130)의 제3 에어스프링(133)에 주입되는 공압을 조절하는 공압조절부(140)를 구비한다.
차체프레임(110)은 통상적인 대형 차량의 차체프레임(110)과 동일하며, 차체프레임(110)에 다수의 차축이 설치된다. 차체프레임(110)에는 보조차축(120)이 설치되는 지점에 상부앤드부재(11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앤드부재(111)는 제1 에어스프링(112)의 설치를 위한 것이다.
제1 에어스프링(112)은 보조차축(120)을 하강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1 에어스프링(112)은 상하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되며, 제1 에어스프링(112)으로 공기를 주입하면 제1 에어스프링(112)의 하단이 하강하게 된다.
하부앤드부재(113)는 상기 보조차축(120)이 장착된 것으로 제1 에어스프링(112)의 하부에 결합되어 제1 에어스프링(112)의 구동에 의해 하강하여 보조차축(120)에 결합된 보조휠(121)이 지면에 접촉하게 한다.
보조차축(120)이 하강하게 되면 차량에 적재된 화물의 하중이 보조휠(121)에도 분산되기 때문에 각각의 차축에 인가되는 하중이 감소하게 되어 차량의 주행시 도로면에 인가되는 하중을 줄일 수 있다.
상기 하부앤드부재(113)는 제1 에어스프링(112)의 구동에 의해 보조휠(121)이 지면에 접촉하도록 하강했을 때, 차량의 전진 주행방향 상에서 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될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
하부앤드부재(113)가 이렇게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하부앤드부재(113)에 장착되는 보조차축(120)에 지지된 보조휠(121)이 차량의 주행시 차량의 주행방향에 대응하여 조향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에어스프링(115)은 상기 하부앤드부재(113)를 상방으로 들어올려 보조휠(121)과 지면사이의 접촉을 해제하기 위한 것이다.
제2 에어스프링(115)은 차체프레임(110)에 하방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직립앤드부재(114)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2 에어스프링(115)이 차체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에어스프링(115)에 공기가 주입되면 상기 제2 에어스프링(115)의 단부가 차체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1 구동링크(116)는 제2 에어스프링(115)과 상기 하부앤드부재(113)를 연결한다.
제1 구동링크(116)는 상기 제2 에어스프링(115)의 선단에 일측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결링크부재(117)와, 제1 연결링크부재(117) 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단부가 상기 하부앤드부재(113)에 힌지결합되는 제2 연결링크부재(118)와, 제1, 제2 연결링크부재(117,118)의 결합부분에 형성된 링크회전축(119)을 포함한다.
이렇게 제1 구동링크(116)가 링크회전축(119)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제2 에어스프링(115)에 공기가 주입되어 제2 에어스프링(115)의 선단이 전방으로 전진하게 되면, 제1 연결링크부재(117)가 링크회전축(119)을 중심으로 상단이 전방을 향해 이동하도록 회전하게 되며, 제1 연결링크부재(117)와 연결된 제2 연결링크부재(118)는 후단이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회동된다.
따라서 제2 연결링크부재(118)의 후단에 체결된 하부앤드부재(113)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하부앤드부재(113)에 결합되어 있는 보조차축(120) 역시 하부앤드부재(113)와 함께 승강하여 보조휠(121)이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려지게 된다.
이렇게 보조차축(120)을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것은 제1, 제2 에어스프링(115)에 공기의 주입 여부에 의해 조절이 이루어지게 되며, 운전자가 적재되는 하물의 중량에 따라 필요한 경우 보조차축(120)을 하강시켜 하중의 분산이 이루어지게 한다.
캐스터각 조절수단(130)은 보조차축(120)의 캐스터각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적재 화물의 중량이 많아 보조차축(120)을 내렸을 때, 보조차축(1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앤드부재(113)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될수록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므로 보조차축(120)의 보조휠(121)은 차량의 전진 주행방향의 전환시 주행방향과 대응하도록 조향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차량을 후진 구동할 때에는 상기 캐스터각에 의해 보조휠(121)이 후진 주행시 조향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종래에는 상기 제2 에어스프링(115)에 공기를 주입하여 보조차축(120)을 승강시켰다.
이렇게 보조차축(120)을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것은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에 차량의 전진 및 후진 구동이 반복될 때에는 컴프레서에서 생성되는 압축공기의 생성량에 비해 보조차축(120)을 승강 및 하강시키기 위해 소요되는 압축공기의 소요량이 많기 때문에 컴프레서에서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생성시간의 증가로 인해 구동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캐스터각 조절수단(130)은 후진주행 시 상기 하부앤드부재(113)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될수록 상방으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보조차축(120)의 캐스터각을 변화시켜 후진주행시에도 보조휠(121)의 조향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캐스터각 조절수단(130)은 일단이 하부앤드부재(113)에 힌지 결합되는 제2 구동링크(131)와, 제2 구동링크(131)를 전후진시키는 회전링크부재(132)와, 회전링크부재(132)를 회전시키는 제3 에어스프링(133)을 포함한다.
제2 구동링크(13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단이 하부앤드부재(113)에 힌지결합되는데, 상기 제1 구동링크(116)와 하부앤드부재(113)의 결합부분보다 상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어 있다.
후술하는 회동링크부재와 제3 에어스프링(133)에 의해 상기 제2 구동링크(131)가 정방으로 당겨지게 되면, 하부앤드부재(113)가 제2 구동링크(131)의 이 동에 의해 제1 구동링크(116)와의 결합부분을 중심으로 회동이 이루어지게 되어 하부앤드부재(113)가 후방으로 연장될수록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회전링크부재(132)는 하단이 상기 직립앤드부재(114)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직립앤드부재(114)와의 결합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제2 구동링크(131)의 타단과 힌지결합 되어 있다.
회전링크부재(132)는 상단이 제3 에어스프링(133)의 선단과 힌지결합되어 있는데, 제3 에어스프링(133)이 차체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서 제3 에어스프링(133)에 공기가 주입되면 제3 에어스프링(133)의 선단이 차량의 주행방향 상에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회전링크부재(132)를 회전시킨다.
회전링크부재(132)가 제3 에어스프링(133)에 의해 회전하면 제2 구동링크(131)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앤드부재(113)의 상단을 당겨 하부앤드부재(113)를 회전시킴으로써 보조차축(120)의 캐스터각을 변화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보조차축(120)의 반력하중점을 X1이라 하고, 제1 에어스프링(112)의 하중점을 X2라 하면, X1과 X2는 소정 간격으로 오프셋(Offset)되어 있다.
하부앤드부재(113)와 제1 구동링크(116)의 연결부분 즉, 상기 제2 구동링크(131)의 이동에 의해 하부앤드부재(113)의 회전될 때 이 하부앤드부재(113)의 회전중심이 되는 회전중심점으로부터 X1까지의 거리를 L1이라 하고, 상기 회전중심점 으로부터 X2까지의 거리를 L2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에어스프링(112) 내의 공기압을 P, 보조차축(120)의 반력을 A라고 했을 때, L1×P〈L2×A가 되도록 오프셋을 형성한다.
상기 공식이 성립하도록 오프셋을 형성하게 되면, 제3 에어스프링(133)에서 공기가 빠지게 되었을 때, 상기 하부앤드부재(113)가 자동으로 정캐스터의 위치로 복원하게 되는 기구학적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캐스터각 조절수단(130)의 구동과정을 다시 한번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조차축(120)이 하강하여 보조휠(121)이 지면에 접지된 상태에서 차량이 전진방향으로 주행할 때에는 상기 보조차축(120)이 정캐스터의 상태이므로 전진 주행 중 차량의 주행 방향에 대응하여 보조휠(121)의 조향이 이루어진다.
이후, 차량을 후진시키기 위해 운전자가 후진기어를 넣으면, 상기 보조차축(120)이 역캐스터가 되도록 제3 에어스프링(133)에 공기가 주입되면서 회전링크부재(132)의 상단을 전방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회전링크부재(132)의 회전에 의해 회전링크부재(132)와 연결된 제2 구동링크(131)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제2 구동링크(131)와 연결된 하부앤드부재(113)가 회전중심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보조차축(120)이 역캐스터 상태가 된다.
이 상태로 차량을 후진시키면 보조휠(121)이 후진되는 차량의 진행방향에 대응하도록 조향이 이루어진다.
이후, 다시 전진 기어를 넣으면 제3 에어스프링(133)에 공기가 빠져나가게 되며, 차량의 전진 주행 중 상기 보조차축(120)의 반력하중점과 제1 에어스프링(112)의 하중점 사이의 오프셋에 의해 자동으로 하부앤드부재(113)가 보조차축(120)이 정캐스터가 되도록 초기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공압조절부(140)는 제3 에어스프링(133)에 주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적재된 화물의 하중에 따라 변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공압조절부(140)는 중량감지센서(141)와, 중량감지센서(141)의 감지정보에 따라 제3 에어스프링(133)에 주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는 레귤레이터밸브(142)를 포함하는데, 상기 중량감지센서(141)는 차량의 서스펜션에 설치되어 서스펜션에서 지지하는 하중의 크기를 감지하는 로드셀이 적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중량감지센서(141)는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액슬의 높낮이가 적재된 화물의 중량에 따라 변화되므로 상기 액슬의 높이 변화를 통해 적재된 화물의 중량을 측정하도록 되어 있다.
중량감지센서(141)에서 측정된 화물의 하중 정보는 제어부(143)로 전달되며, 제어부(143)에서는 이 하중정보에 따라 운전자가 후진기어를 넣을 때(즉, 입력부(144)를 통해 후진 주행 입력을 하였을 때), 제3 에어스프링(133)에 주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레귤레이터밸브(142)를 이용해 조절하게 된다.
이렇게 공압조절부(140)에 의해 컴프레서(145)로부터 제3 에어스프링(133)에 주입되는 공기의 압력이 적정 수준으로 조절되기 때문에 필요 이상으로 높은 압력으로 공기가 주입되거나 너무 낮은 압력으로 주입되어 구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압측정부에서 제3 에어스프링(133)에 주입되는 공기의 압력만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으나, 제1, 제2 에어스프링(115)에 주입되는 공기의 압력 역시 적재되는 화물의 하중에 따라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상기 제1, 제2 에어스프링(115)에 주입되는 공기의 주입라인에 레귤레이터밸브(142)가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형차량용 리어에어서스펜션의 캐스터 조절장치를 도시한 부분발췌 측면도,
도 2는 도 1의 대형차량용 리어에어서스펜션의 캐스터 조절장치에 있어서, 제3 에어스프링의 구동에 의해 보조차축의 캐스터가 후진상황에 맞도록 조절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발췌 측면도,
도 3은 도 1의 대형차량용 리어에어서스펜션의 캐스터 조절장치의 공압조절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대형차량용 리어에어서스펜션의 캐스터 조절장치
110; 차체프레임
111; 상부앤드부재
112; 제1 에어스프링
113; 하부앤드부재
114; 직립앤드부재
115; 제2 에어스프링
116; 제1 구동링크
120; 보조차축
121; 보조휠
130; 캐스터각 조절수단
131; 제2 구동링크
132; 회전링크부재
133; 제3 에어스프링
140; 공압조절부
141; 중량감지센서
142; 레귤레이터밸브
143; 제어부

Claims (2)

  1. 차체프레임에 설치된 상부앤드부재에 장착되며 상하방향으로 신축되는 제1 에어스프링과;
    상기 제1 에어스프링의 하부에 결합되며, 대형차량의 하중 분산을 위한 보조차축이 설치된 하부앤드부재와;
    상기 차체프레임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직립앤드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차체프레임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신축되는 제2 에어스프링과;
    상기 제2 에어스프링의 선단에 일단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제1 연결링크부재와, 상기 제1 연결링크부재의 타단으로부터 제1 연결링크부재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고 단부가 상기 하부앤드부재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연결링크부재와, 상기 제1, 제2 연결링크부재의 연결지점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에어스프링의 구동시 상기 제2 연결링크부재가 제1 연결링크부재에 연동되어 단부가 승강되게 회전시키는 제1 링크회전축을 갖는 제1 구동링크와;
    차량의 후진구동시 상기 보조차축에 장착된 보조휠이 차량의 후진 주행방향에 대응하여 조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보조차축의 캐스터각을 조절하는 캐스터각 조절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캐스터각 조절수단은 상기 제1 구동링크와 상하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일단이 상기 하부앤드부재에 힌지결합된 제2 구동링크와,
    상기 차체프레임 또는 상기 직립앤드부재에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이 상기 제2 구동링크의 타단과 힌지결합되는 회전링크부재와,
    상기 차체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하도록 상기 차체프레임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회전링크부재의 상단과 힌지결합되어 상기 회전링크부재를 회전시키는 제3 에어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차량용 리어에어서스펜션의 캐스터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적재되는 화물의 중량에 따라 상기 제3 에어스프링에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는 공압조절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공압조절부는 적재되는 화물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감지센서와,
    상기 중량감지센서에서 감지된 화물의 하중에 따라 상기 제3 에어스프링에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는 레귤레이터밸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차량용 리어에어서스펜션의 캐스터 조절장치.
KR1020090013020A 2009-02-17 2009-02-17 대형차량용 리어에어서스펜션의 캐스터 조절장치 KR101085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020A KR101085226B1 (ko) 2009-02-17 2009-02-17 대형차량용 리어에어서스펜션의 캐스터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020A KR101085226B1 (ko) 2009-02-17 2009-02-17 대형차량용 리어에어서스펜션의 캐스터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889A true KR20100093889A (ko) 2010-08-26
KR101085226B1 KR101085226B1 (ko) 2011-11-21

Family

ID=42758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3020A KR101085226B1 (ko) 2009-02-17 2009-02-17 대형차량용 리어에어서스펜션의 캐스터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522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944B1 (ko) * 2013-09-02 2014-09-25 주식회사 월드비젼코리아 푸셔액슬 시스템을 구비하는 콘크리트 믹서 트럭
KR20160095332A (ko) 2015-02-03 2016-08-11 정호권 차량용 제설기
US20220315019A1 (en) * 2017-04-13 2022-10-06 Blackberry Limited Parameter sets for vehicles based on sensor data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090Y1 (ko) * 2003-07-04 2004-01-31 삼우중공업 주식회사 리프팅 장치가 구비된 콘크리트 믹서차량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944B1 (ko) * 2013-09-02 2014-09-25 주식회사 월드비젼코리아 푸셔액슬 시스템을 구비하는 콘크리트 믹서 트럭
KR20160095332A (ko) 2015-02-03 2016-08-11 정호권 차량용 제설기
US20220315019A1 (en) * 2017-04-13 2022-10-06 Blackberry Limited Parameter sets for vehicles based on sensor 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5226B1 (ko) 2011-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42164A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nd controlling vehicle stability
US7950675B1 (en) Cargo carrier
CN105377677B (zh) 用于使串联式轴或履带式轴与车辆本体之间能够进行旋转运动的装置及方法
ES2385109T3 (es) Sistema estabilizador controlado por carga
KR101085226B1 (ko) 대형차량용 리어에어서스펜션의 캐스터 조절장치
EP3560803B1 (en) Working vehicle
US20200238958A1 (en) Self-Lifting Vehicle with Flood Protection, U-Turn, Parallel Parking, and Bog-Down Escape Capabilities
CN112119004B (zh) 作业车
EP3172953B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ride control for a work vehicle when transporting a drawn implement
KR200422303Y1 (ko) 견인차량의 차고 보정 장치
CN107585677A (zh) 可旋转起重机底盘及起重机
CN106458552A (zh) 用于叉车的负载搬运装置
US20190366984A1 (en) Axle lifting device
CN112512903A (zh) 具有牵引车头和挂车的牵引车、牵引车头、挂车和用于牵引车的轴载荷分配方法
CN205294340U (zh) 一种单边折臂式螺旋平料机
KR200470711Y1 (ko) 보조바퀴가 장착된 견인차
JP2006248488A (ja) 軌道作業用トレーラーおよびその線路への移載方法
JP6937725B2 (ja) 作業車
KR20120011383A (ko) 견인차량용 차량 승강장치
CN207192604U (zh) 可旋转起重机底盘及起重机
CN111516653A (zh) 一种履带搬运机的防倾支撑装置
CN206074830U (zh) 用于自行走载车的驱动系统及集装箱/车辆检查设备
KR200371807Y1 (ko) 대형차량용 에어서스펜션장착차축의 역캐스터구조
KR101553634B1 (ko) 차량견인용 언더리프트장치의 무게분산 링크구조
KR20120011384A (ko) 견인차량용 차량 적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