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2303Y1 - 견인차량의 차고 보정 장치 - Google Patents

견인차량의 차고 보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2303Y1
KR200422303Y1 KR2020060011199U KR20060011199U KR200422303Y1 KR 200422303 Y1 KR200422303 Y1 KR 200422303Y1 KR 2020060011199 U KR2020060011199 U KR 2020060011199U KR 20060011199 U KR20060011199 U KR 20060011199U KR 200422303 Y1 KR200422303 Y1 KR 2004223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air spring
frame
tow vehicl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11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덕
Original Assignee
수성특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성특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수성특장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111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23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23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23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1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salvaging damaged vehicles
    • B60P3/125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salvaging damaged vehicles by supporting only part of the vehicle, e.g. front- or rear-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Pneumatic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3Regulating distributors or valves for pneumatic springs
    • B60G17/0525Height adjusting or levell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5Fluid spring
    • B60G2202/152Pneumatic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28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related to towing or towed situ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피견인차량의 견인시 프레임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견인차량의 차고 보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견인차량의 차고 보정 장치는, 일단은 견인차량(1)의 프레임(10)에 구비된 지지바(19)에 연결되고 타단은 뒷차축(12)에 연결되는 에어 스프링(31)과, 상기 에어 스프링(31)의 단부에 인접하게 연결되어 고압 공기의 출입을 단속하는 레벨링 밸브(41), 및 상기 레벨링 밸브(41)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10)과 뒷차축(12)의 간격에 따라 작동하는 밸브 레버(51)를 포함한다.
이로 인하여, 프레임의 높이에 따라 레벨링 밸브를 통하여 압축 공기가 출입하여 에어 스프링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견인차량의 차고가 자동을 보정되는 것이다.
견인차량, 프레임, 에어 스프링, 레벨링 밸브, 밸브 레버

Description

견인차량의 차고 보정 장치 { Adjusting apparatus for height of a wrecker truck }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견인차량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견인차량의 차고 보정 장치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견인차량의 차고 보정 장치의 상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견인차량의 차고 보정 장치가 적용되어 피견인차량을 견인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 : 견인차량 2 : 차고 보정 장치
10 : 프레임 11 : 캐빈
12 : 뒷차축 13 : 현가장치
14 : 데릭실린더 15 : 암
16 : 승강실린더 17 : 언더리프트 붐
18 : 고정장치 19 : 지지바
20 : 피견인차량 31 : 에어 스프링
32 : 상부 브라켓 33 : 하부 브라켓
34 : U-볼트 35 : 연결관
41 : 레벨링 밸브 42 : 에어 라인
51 : 밸브 레버 52 : 밸브 브라켓
53 : 로드 101 : 견인차량
110 : 프레임 111 : 캐빈
112 : 뒷차축 113 : 현가장치
114 : 데릭실린더 115 : 암
116 : 승강실린더 117 : 언더리프트 붐
118 : 고정장치 120 : 피견인차량
본 고안은 피견인차량을 견인하는 견인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견인차량의 견인시 프레임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견인차량의 차고 보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고장 차량 또는 주차위반 차량 등의 구동륜을 들어올린 상태로 고정한 채로, 일정한 장소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견인차량을 사용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견인차량(101)은 프레임(110)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데릭 실린더(114)와, 피견인차량(120)을 고정시키는 고정장치(118)가 구비된 언더리프트 붐(117)과, 상기 데릭 실린더(114)와 언더리프트 붐(117)을 연결하는 암(115)과, 상기 데릭 실린더(114)를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116) 등이 구비되어 있다.
종래의 견인 차량(101)에서는 상기 고정장치(118)가 피견인차량(120)의 구동륜을 고정시키고, 상기 승강실린더(116)를 작동시켜 데릭실린더(114)를 선회시켜 피견인차량(120)의 구동륜을 들어올린 후, 견인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견인차량(101)에 피견인차량(120)이 고정되는 경우, 피견인차량의 하중 일부가 견인차량(101)의 뒷차축(112)에 가해지면, 프레임(110)과 뒷차축(112)을 연결하는 현가장치(113)이 압축되어 견인차량(101)의 후방은 낮아지고, 견인차량(101)의 전방이 상대적으로 들리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이로 인하여, 견인차량(101)의 전륜과 지면과의 접지력이 떨어져 조향력 및 제동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차량의 조향력은 조향륜인 전륜이 지면과 충분한 압력으로 접지하고 있어야 의도하는 대로 조향이 가능하지만, 차량의 전방이 들어올려진 상태에서는 접지하는 압력이 감소하므로 그렇지 못하였다. 제동력도 마찬가지로, 전륜과 지면의 접지력이 감소함에 따라, 제동력도 감소하게 된다.
또한, 차량의 전방과 후방의 높이가 서로 달라짐으로 인하여, 탑승자의 승차감이 저해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피견인차량의 견인시 하중이 가해지는 프레임의 후방이 아래로 기울어지지 못하도록 하여 차고가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이를 보정해주는 견인차량의 차고 보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견인차량의 차고 보정 장치는, 일단은 견인차량의 프레임에 연결되고, 타단은 뒷차축에 연결되는 에어 스프링; 상기 에어 스프링의 단부에 인접하게 연결되어 고압 공기의 출입을 단속하는 레벨링 밸브; 및 상기 레벨링 밸브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과 뒷차축의 간격에 따라 작동하는 밸브 레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밸브 레버는, 에어 스프링에서 레벨링 밸브가 설치된 단부와 반대편에 구비되는 밸브 브라켓과,일단이 레버 브라켓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밸브 레버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로드에 의해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에어 스프링은, 뒷차축의 상방에 위치하고 양단이 프레임에 연결되는 지지바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바에 에어 스프링의 상단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견인차량의 차고 보정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견인차량에서 차고 보정 장치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차고 보정 장치의 구성을 세부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견인차량이 피견인차량을 견인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견인차량의 차고 보정 장 치(2)는 견인차량의 프레임(10)과 뒷차축(12) 사이에 구비되는 에어 스프링(31)과, 상기 에어 스프링(31)의 내부로 고압 공기의 출입을 단속하는 레벨링 밸브(41) 및 상기 레벨링 밸브(41)를 작동시키는 밸브 레버(51)를 주요 구성요소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견인차량의 차고 보정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차량(1)의 프레임(10)과 뒷차축(12) 사이에 마련되어 뒷차축(12)의 높이를 보정하게 되는 것이다.
견인차량(1)에서 탑승자가 탑승하는 캐빈(11)을 비롯하여 피견인차량을 고정시키고 선회가능하게 구비되는 데릭실린더(14) 및 상기 데릭실린더(14)를 회동시켜 언더리프트 붐(17)의 고정장치(18)에 고정된 피견인차량(20)의 구동륜을 들어올리는 승강 실린더(16) 등은 프레임(10)의 상부에 마련되고, 견인차량(1)을 구동시키는 차륜은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에 현가장치(13)를 통하여 연결된다.
도2 에서는 비록 데릭 실린더(14), 암(15), 승강 실린더(16), 언더리프트 붐(17) 등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프레임(10)상에 데릭 실린더(14), 암(15), 승강 실린더(16), 언더리프트 붐(17) 등이 구비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견인차량이 되는 것이다.
에어 스프링(31)은 상기 프레임(10)에 구비된 지지바(19)와 뒷차축(12)에 상단과 하단이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통상적으로 고무 재질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에어 스프링(31)은 내부에 압축된 상태의 공기가 수용되어 외력에 의해서 신축(伸縮)되거나, 내부의 압력에 의해서 신축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내부가 일정한 압력을 갖고 있는 상태에서 축 방향(도 3에서 상하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수축 하려하고, 외력이 제거되면 신장하려한다. 그리고, 외력이 일정한 상태에서는 외부에서 압축된 공기가 유입되면 신장하려하고,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 수축하려한다.
여기서, 지지바(19)는 뒷차축(12)의 상부에 뒷차축(12)와 평행하도록 프레임(10) 상에 구비되는 것으로, 양단이 각각 프레임(10)에 연결되어 프레임(10)과 일체로 되어 상기 프레임(10)과 에어 스프링(31)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에어 스프링(31)은 양단에 상부 브라켓(32)과 하부 브라켓(33)을 각각 구비하여, 상단은 지지바(19)에 연결되고, 하단은 뒷차축(12)에 연결된다.
이때, 뒷차축(12)은 정비, 교체 등을 위해서 분리가능하도록 하부 브라켓(33)의 하부에 U-볼트(34)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에어 스프링(31)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비하여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지지바(19)와 뒷차축(12)을 연결하도록 한다.
레벨링 밸브(41)는 상기 에어 스프링(31)의 일측에 구비되어 고압의 에어 스프링(31)의 내부로 압축공기의 유동을 단속한다. 레벨링 밸브(41)는 외부의 고압 챔버 또는 압축기로부터 고압의 압축 공기가 공급되는 에어 라인(42)에 연결되어 외부의 고압 공기를 상기 에어 스프링(31)으로 유입되거나, 에어 스프링(31) 내부의 고압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레벨링 밸브(41)는 밸브의 위치에 따라서, 유체(流體)가 흐르는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상기 에어 스프링(31)가 고압 챔버와 연결되도록 하거나, 에어 스프링(31)이 대기와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레벨링 밸브(41)는 에어 스프링(31)의 단부에 인접하게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밸브 레버(51)는 상기 레벨링 밸브(41)의 일측에 구비되어, 레벨링 밸브(41)를 개폐시킨다. 회동하는 형태로 구비되는 밸브 레버(51)는 회전에 의해서 상기 레벨링 밸브(41)를 작동시키는 것이다.
밸브 레버(51)는 상기 지지바(19)와 뒷차축(12)의 상호간의 거리가 변함에 따라 작동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하부 브라켓(33)에 연장되도록 밸브 브라켓(52)을 구비하고, 상기 밸브 브라켓(52)에 로드(53)가 체결되도록 한다.
밸브 브라켓(52)은 상기 하부 브라켓(33)에서 돌출되어, 밸브 레버(51)에 연결된 로드(53)를 용이하게 체결하도록 한다.
밸브 브라켓(52)이 돌출되어 로드(53)의 단부가 체결되고, 반대쪽 단부는 밸브 레버(51)에 힌지연결된다. 따라서, 지지바(19)와 뒷차축(12)의 거리가 변하더라도 밸브 브라켓(52) 및 로드(53)는 작동되지 않으나, 밸브 레버(51)의 위치가 변함에 따라, 밸브 레버(51)의 단부에 힌지연결된 로드(53)에 의해서 밸브 레버(51)는 선회하는 것이다.
여기서, 밸브 레버(51)와 밸브 브라켓(52)은, 에어 스프링(31)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도록 한다. 밸브 레버(51)는 지지바(19)와 뒷차축(12)의 거리변화에 의해서 레벨링 밸브(41)를 작동하는 것으로, 밸브 레버(51)와 밸브 브라켓(5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레버(51)가 상부에 위치하고 밸브 브라 켓(52)이 하부에 위치할 수도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레벨링 밸브(41), 밸브 레버(51), 밸브 브라켓(52) 및 로드(53)는 복수로 구비되는 에어 스프링(31)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어느 하나의 에어 스프링(31)에만 구비되고, 연결관(35)을 통하여 각각의 에어 스프링(31)이 서로 연결되도록 한다. 레벨링 밸브(41), 밸브 레버(51), 밸브 브라켓(52) 및 로드(53)를 각각의 에어 스프링(31)에 구비하는 것보다, 일측의 에어 스프링(31)에만 연결하고 에어 스프링(31)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부품의 수를 감소시키고, 각각의 에어 스프링(31)이 동일한 압력을 갖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견인차량의 차고 보정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서와 같이, 견인차량(1)을 이용하여 피견인차량(1)을 견인하는 경우, 데릭실린더(14)가 하강하도록 승강실린더(16)를 작동시켜 언더리프트 붐(17)를 하강시킨다.
하강된 언더리프트 붐(17)에 구비된 고정장치(18)를 이용하여 피견인차량(1)의 구동륜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데릭실린더(14) 및 승강실린더(16)를 구동시켜 피견인차량(1)의 구동륜을 들어올린다.
피견인차량(1)의 구동륜이 들어 올려지면, 뒷차축(12)을 중심으로 견인차량의 후방은 하강하고, 반력에 의해서 전방은 들어올려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견인차량(1)의 전륜에 가해지는 하중이 줄어들어 견인차량(1)의 전륜의 접지력이 감소하여 조향력 및 제동력이 감소하여 안정성을 저하시 킬 수 있다.
이때, 에어 스프링(31)의 내부로 고압의 압축 공기가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견인차량(1)의 후방이 하강된 높이만큼을 보상하여 원위치시킨다.
피견인차량(1)을 들어올리는 경우에는 피견인차량(1)의 하중 일부가 데릭실린더(14) 및 이를 지지하는 승강실린더(16)에 의해서 견인차량(1)의 프레임(10)에 전달되어, 프레임(10)이 후방에서는 하강하고 전방에서는 승강된다.
프레임(10)의 후방이 하강하게되면, 상기 프레임(10)과 일체인 지지바(19)도 하강하여 에어 스프링(31)이 압축되는 것과 동시에 밸브 레버(51)가 작동하여 압축공기를 에어 스프링(31)으로 유입시킨다.
프레임(10)에 하중이 가해지면 지지바(19)와 뒷차축(12)의 거리는 줄어드는 반면에, 로드(53)는 일정한 길이를 갖게 되므로, 밸브 레버(51)를 A 방향(도 3 참조)으로 선회시키게 된다.
밸브 레버(51)가 선회하여 레벨링 밸브(41)가 개방되면, 외부에서 고압의 압축 공기가 에어 라인(42)을 거쳐 에어 스프링(31)의 내부로 유입되기 시작한다. 에어 스프링(31)으로 압축 공기가 지속적으로 유입되면 에어 스프링(31) 내부의 압력은 지속적으로 상승하게 되어 서서히 신장하여 지지바(19) 및 프레임(10)을 들어올리게 되어, 프레임(10)이 원래의 위치가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에어 스프링(31)의 내부로 외부에서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경우, 복수로 마련된 각각의 에어 스프링(31)에 레벨링 밸브(41)가 구비된 경우에는 각각의 레벨링 밸브(41)를 통해서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것이고, 어느 일측의 에어 스프 링(31)에만 레벨링 밸브(41)가 마련된 경우에는 연결관(35)을 통하여 각각의 에어 스프링(31) 내부의 압력이 동일해지는 것이다.
프레임(10)이 원래의 위치가 되면, 밸브 레버(51)는 원래 상태인 수평 상태가 되어 더 이상 압축 공기가 에어 스프링(31)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밸브 레버(51)가 레벨링 밸브(41)를 차단하여 프레임(10)이 수평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렇게 피견인차량(1)을 견인한 상태에서도 견인차량(1)의 하중이 고르게 모든 바퀴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전륜의 조향력 및 제동력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반대로 피견인차량(1)을 내려놓는 경우에는 에어 스프링(31)의 내부에 압축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견인차량(1)의 차체가 원래의 위치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피견인차량(1)을 견인하는 상태에서는 에어 스프링(31) 내부의 압력은 평상시에 비해 높은 상태이므로, 피견인차량(1)을 견인차량(1)에서 분리시키면, 프레임(10) 및 지지바(19)에 가해졌던 하중이 제거되어 차량의 후방이 들리게 된다.
지지바(19)가 들어올려지면, 지지바(19)와 뒷차축(12)의 거리가 증가하게 되어, 밸브 레버(51)는 B 방향으로 선회한다.
이렇게 밸브 레버(51)가 선회하면, 에어 스프링(31) 내부의 압축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어 에어 스프링(31)이 내부의 압력은 낮아져서 에어 스프링(31)이 수축되어 평소와 같은 상태가 된다. 에어 스프링(31) 내부의 압력에 의해서 지지바(19) 가 상승하여 지지바(19)와 뒷차축(12)의 거리가 늘어나면, 일정한 길이를 갖는 로드(53)에 의해서 밸브 레버(51)는 B 방향으로 선회하여 레벨링 밸브(41)를 개방시킨다.
따라서 레벨링 밸브(41)가 개방되면, 에어 스프링(31) 내부의 압축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점차 에어 스프링(31) 내부의 압력이 낮아진다. 서서히 에어 스프링(31)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면, 지지바(19)와 프레임(10)이 하강하게 되어 밸브 레버(51)를 원위치로 선회시켜 레벨링 밸브(41)를 차단시킨다.
이로 인하여, 견인 중이던 피견인차량(1)을 해제한 경우에도 자동으로 원래의 위치로 지지바(19)와 프레임(10)이 위치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의 작용 즉, 에어 스프링(31)의 내부로 압축공기가 유입되어 에어 스프링(31)이 수축되고, 에어 스프링(31)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어 에어 스프링(31)이 수축되는 과정이 반복되면서, 자동으로 견인차량의 높이는 피견인차량(1)을 구난하는 경우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 일정하게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견인차량(1)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차량의 하중이 모든 바퀴를 통하여 고르게 지면에 전달되므로, 조향력 및 제동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견인차량의 차고 보정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견인차량에 피견인차량이 고정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대하여 프레 임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여 차량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을 견인하는 경우에도 전륜이 지면에 대하여 충분한 접지력을 확보할 수 있게된다. 이로 인하여 견인차량의 차량은 견인하는 경우에도 조향력과 제동력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차량의 차고가 항상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므로, 탑승자의 승차감이 저하되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일단은 견인차량(1)의 프레임(10)에 연결되고, 타단은 뒷차축(12)에 연결되는 에어 스프링(31);
    상기 에어 스프링(31)의 단부에 인접하게 연결되어 고압 공기의 출입을 단속하는 레벨링 밸브(41); 및
    상기 레벨링 밸브(41)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10)과 뒷차축(12)의 간격에 따라 작동하는 밸브 레버(5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차량의 차고 보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레버(51)는,
    에어 스프링(31)에서 레벨링 밸브(41)가 설치된 단부와 반대편에 구비되는 밸브 브라켓(52)과,
    일단이 밸브 브라켓(52)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밸브 레버(51)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로드(53)에 의해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차량의 차고 보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스프링(31)은,
    뒷차축(12)의 상방에 위치하고 양단이 프레임(10)에 연결되는 지지바(19)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바(19)에 에어 스프링(31)의 상단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차량의 차고 보정 장치.
KR2020060011199U 2006-04-26 2006-04-26 견인차량의 차고 보정 장치 KR2004223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199U KR200422303Y1 (ko) 2006-04-26 2006-04-26 견인차량의 차고 보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199U KR200422303Y1 (ko) 2006-04-26 2006-04-26 견인차량의 차고 보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2303Y1 true KR200422303Y1 (ko) 2006-07-27

Family

ID=41770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1199U KR200422303Y1 (ko) 2006-04-26 2006-04-26 견인차량의 차고 보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2303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6390B1 (ko) 2011-11-02 2011-12-20 정용훈 견인 차량 보조바퀴 승하강 장치
KR101344192B1 (ko) * 2012-04-26 2013-12-20 정용훈 견인 차량 보조바퀴 승하강 장치
KR101572970B1 (ko) * 2013-12-30 2015-11-3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 무선급전용 에어갭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철도차량용 무선급전시스템
KR101599151B1 (ko) * 2014-10-23 2016-03-14 손영철 견인차
KR102314873B1 (ko) * 2020-04-27 2021-10-19 주식회사 비티모터스 견인차량의 에어서스펜션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6390B1 (ko) 2011-11-02 2011-12-20 정용훈 견인 차량 보조바퀴 승하강 장치
KR101344192B1 (ko) * 2012-04-26 2013-12-20 정용훈 견인 차량 보조바퀴 승하강 장치
KR101572970B1 (ko) * 2013-12-30 2015-11-3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 무선급전용 에어갭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철도차량용 무선급전시스템
KR101599151B1 (ko) * 2014-10-23 2016-03-14 손영철 견인차
KR102314873B1 (ko) * 2020-04-27 2021-10-19 주식회사 비티모터스 견인차량의 에어서스펜션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7551B2 (en) Multi-stage height control valve including position sensitive pilot signal and pressure boost for vehicle air springs
US6895648B1 (en) Motor vehicle pneumatic jacklift system
US4256326A (en) Liftable tandem axle suspension
KR200422303Y1 (ko) 견인차량의 차고 보정 장치
JP4833589B2 (ja) 車体の傾き防止装置
CN103619621B (zh) 用于车轴/悬架系统的高度控制阀组件
US8177010B2 (en) Device and method for carrying out wheelbase adjustment for utility vehicles
US8870203B2 (en) Vehicle leaf spring to air ride suspension conversion assembly
MX2014002022A (es) Montaje elevador de eje.
US9517674B2 (en) Pneumatic control system for a heavy-duty vehicle
CA2447898C (en) Radio frequency-controlled axle/suspension lift system
US10675936B2 (en)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stabilization
KR101432944B1 (ko) 푸셔액슬 시스템을 구비하는 콘크리트 믹서 트럭
CA2884497C (en) Air ride suspension adapter assemblies
US3347563A (en) Fifth-wheel elevating and level controlling air jack for semi-trailer dollies
CN103863170B (zh) 吊牵救援装置及安装方法
KR100586838B1 (ko) 트레일러의 바퀴 자동 승강 장치
KR101085226B1 (ko) 대형차량용 리어에어서스펜션의 캐스터 조절장치
CA2690362C (en) Vehicle leaf spring to air ride suspension conversion assembly
KR200470711Y1 (ko) 보조바퀴가 장착된 견인차
KR20080105256A (ko) 차량 전자제어 에어서스펜션의 공압회로
KR20120079990A (ko) 화물차의 푸셔액슬 장치
KR200371807Y1 (ko) 대형차량용 에어서스펜션장착차축의 역캐스터구조
KR200261722Y1 (ko) 공기 압축기를 이용한 자동차용 편이 장치
US20220396114A1 (en) Vehicle Height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