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711Y1 - 보조바퀴가 장착된 견인차 - Google Patents

보조바퀴가 장착된 견인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711Y1
KR200470711Y1 KR2020110006761U KR20110006761U KR200470711Y1 KR 200470711 Y1 KR200470711 Y1 KR 200470711Y1 KR 2020110006761 U KR2020110006761 U KR 2020110006761U KR 20110006761 U KR20110006761 U KR 20110006761U KR 200470711 Y1 KR200470711 Y1 KR 2004707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wheel
boom
tow
auxiliary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67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0804U (ko
Inventor
안희정
이승권
Original Assignee
이승권
안희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권, 안희정 filed Critical 이승권
Priority to KR20201100067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711Y1/ko
Publication of KR201300008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8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7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7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1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salvaging damaged vehicles
    • B60P3/125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salvaging damaged vehicles by supporting only part of the vehicle, e.g. front- or rear-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3/00Tractor-trailer combinations; Road trains
    • B62D53/04Tractor-trailer combinations; Road trains comprising a vehicle carrying an essential part of the other vehicle's load by having supporting means for the front or rear part of the other vehicle
    • B62D53/08Fifth wheel traction coup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1/00Motor vehicles or trail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number of 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ur wheels in diamond pattern
    • B62D61/12Motor vehicles or trail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number of 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ur wheels in diamond pattern with variable number of ground engaging wheels, e.g. with some wheels arranged higher than others, or with retractable wheels

Abstract

본 고안은 보조바퀴가 장착된 견인차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보조바퀴가 장착된 견인차는 견인차량의 차체프레임에 선회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견인실린더와, 상기 견인실린더의 일단에 선회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붐 및, 상기 붐의 선단에 신장가능하게 구비되고 피견인차량의 전륜을 지지하는 전륜지지기구를 구비한 언더리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붐의 외측에 장착된 승강동력부; 상기 승강동력부에 연결되어 승강작동시 선회되면서 승강되는 휠샤프트; 상기 휠샤프트에 장착된 보조휠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견인시 차체의 후방에 집중되는 하중을 보조휠에 의해 분산시켜 지지함으로써 정확한 제동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차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보조바퀴가 장착된 견인차{WRECKER WITH AUXILIARY WHEEL}
본 고안은 보조바퀴가 장착된 견인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붐 부분에 보조바퀴를 설치함으로써 차량 견인시 하중을 분산시켜 앞바퀴 들림현상과 차량 프레임 변형 현상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보조바퀴가 장착된 견인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견인차량(wrecker truck)은 사고차량과 같이 자체주행이 어려운 피견인차량을 견인하거나, 주차위반 차량을 견인하여 이동시키는 특수차량으로, 피견인차량의 바닥면을 들어 올려 견인하는 장치나 피견인차량의 전방부를 들어 올려 견인하는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차량에서 피견인차량의 앞바퀴를 지지하여 견인하는 전륜 리프팅장치는 견인차량의 차체프레임(P)에 선회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견인실린더(C)와, 상기 견인실린더(C)의 일단에 선회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붐(B) 및, 상기 붐(B)의 선단에 신장가능하게 구비되고 피견인차량의 전륜을 지지하는 전륜지지기구를 구비한 언더리프트(150)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견인할때는 언더리프트를 차체 하부에 넣고 전륜지지기구를 전륜에 장착시킨 후 견인실린더 및 붐의 길이를 조절하여 피견인차량의 앞바퀴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들어올린 상태로 견인하게 된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특1998-045106호에는 「차량 견인용 보조바퀴」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차량 견인시 리어 범퍼 또는 차량의 리어 부분을 보호하기 위한 차량 견인용 보조바퀴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리어측에 통상의 바퀴보다는 직경이 작은 바퀴가 구비된 보조 바퀴 장치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견인차량은 피견인차량의 무게로 인해 견인차의 후방에 하중이 집중됨으로써 견인차량의 전방이 들리게 되므로, 전륜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제동력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제동거리가 길어지게 되므로 사고의 위험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하중이 불균형한 상태로 장기간 주행하다보면 차체의 변형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견인시 차체의 후방에 집중되는 하중을 지지하여 분산시킴으로써 정확한 제동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보조바퀴가 장착된 견인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견인차량의 차체프레임에 선회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견인실린더와, 상기 견인실린더의 일단에 선회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붐 및, 상기 붐의 선단에 신장가능하게 구비되고 피견인차량의 전륜을 지지하는 전륜지지기구를 구비한 언더리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붐의 외측에 장착된 승강동력부; 상기 승강동력부에 연결되어 승강작동시 선회되면서 승강되는 휠샤프트; 상기 휠샤프트에 장착된 보조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바퀴가 장착된 견인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동력부는 상기 붐의 외측에 장착된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장착되어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신축되는 팽창부재; 상기 팽창부재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휠샤프트에 연결되는 연결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휠샤프트는 일단부가 차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차체에 장착된 판스프링에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상방으로 회전되려는 힘이 작용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견인시 차체의 후방에 집중되는 하중을 보조휠에 의해 분산시켜 지지함으로써 정확한 제동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차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견인차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바퀴가 장착된 견인차를 후방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바퀴가 장착된 견인차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바퀴가 장착된 견인차를 후방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바퀴가 장착된 견인차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보조바퀴가 장착된 견인차는, 견인차량의 차체프레임에 선회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실린더(1)와, 상기 견인실린더(1)의 일단에 선회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붐(2) 및 상기 붐(2)의 선단에 신장가능하게 구비되고 피견인차량의 전륜을 지지하는 전륜지지기구를 구비한 언더리프트(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붐(2)에 장착된 승강동력부(4)의 승강작동에 의해 승강됨으로써 지면과 이격되거나 또는 접촉되며, 지면과 접촉시 견인차량의 후방에 집중되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는 보조휠(6)을 포함하는 보조지지수단이 장착된다.
상기 보조지지수단은 상기 붐(2)의 외측에 장착된 승강동력부(4); 상기 승강동력부(4)에 연결되어 승강작동시 선회되면서 승강되는 휠샤프트(62); 상기 휠샤프트(62)에 장착된 보조휠(6)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동력부(4)는 상기 붐(2)의 외측에 장착된 브라켓(41); 상기 브라켓(41)에 장착되어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신축되는 팽창부재(42); 상기 팽창부재(42)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휠샤프트(62)에 연결되는 연결대(43)로 구성된다.
상기 붐(2)은 대략 단면이 사각형인 하우징(21)과, 상기 하우징(21)의 내부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면서 길이가 조절되는 붐대(22)로 구성되는데, 상기 브라켓(41)은 하우징(21)의 외측에 부착되며, 팽창부재(42)의 상단이 장착되며 유압 또는 공압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미도시)이 연결된다.
상기 팽창부재(42)는 신축성과 인장성 및 내구성을 갖는 고무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 소재이며, 수축된 상태는 2단으로 적층된 도우넛 형상이지만 유압 또는 공압이 공급되어 팽창되면 원통형으로 늘어가면서 체적이 변화된다.
상기 연결대(43)는 상단이 팽창부재(42)의 하단에 장착되고, 하단에는 휠샤프트(62)에 장착된 체결브라켓(49)과 힌지핀(433)으로 축 결합되어 있어, 휠샤프트(62)가 하방으로 회전되면서 하강될때 선회반경의 변화에 따른 연결대(43)의 하부가 경사진 상태가 되더라도 이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휠샤프트(62)는 직선형 보다는 'ㄴ'자 형상이 바람직하며, 일단부는 차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보조휠(6)이 장착된다.
그리고 휠샤프트(62)는 차체에 장착된 판스프링(64)에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상방으로 회전되려는 힘이 작용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판스프링(64)이 지지되는 부위는 휠샤프트(62)의 꺽인 부위가 적당하며, 이렇게 판스프링(64)이 탄력적으로 지지됨으로써 휠샤프트(62) 및 그에 장착된 보조휠(6)은 항상 상방으로 올라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즉, 팽창부재(42)가 팽창되어 강제로 휠샤프트(62)를 하강시키지 않는다면 항상 휠샤프트(62) 및 보조휠(6)은 상승된 상태가 되어 지면과 이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이 판스프링(64)에 의해 주행중 불시에 휠샤프트(62)가 하강되는 폐단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장치로서의 역할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평상시에는 실린더(1)가 수축되어 붐(2)과 전륜지지기구(3)는 접힌 상태로 화물칸에 탑재된다.
견인작업을 할때는 먼저 실린더(1)를 신장시켜 붐(2)과 전륜지지기구(3)를 내린 후 피견인차량의 앞바퀴에 전륜지지기구(3)를 장착한 다음 실린더(1)와 붐(2)의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피견인차량의 앞바퀴가 상방으로 들리도록 한다.
이후 승강동력부(4)를 작동시켜 보조휠(6)이 지면에 닿도록 하여 견인차량의 후미에 집중되는 하중이 분담되도록 한다.
따라서 종래 피견인차량을 견인차량의 후미에 연결했을때 후방에 집중되는 하중으로 인해 견인차량의 앞바퀴가 상방으로 들림으로써 지면 접지력이 저하되어 제동시 제동거리가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으나 본 고안에 의하면 보조휠(6)이 후방에 집중되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어 견인차량의 앞바퀴의 접지력이 향상될 수 있어 제동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보조휠(6)의 설치 위치를 붐(2)에 설정함으로써 견인차량과 피견인차량의 무게 중심에 근접되는 위치에 설치시켜 견인차량의 후방에 과다하게 하중이 집중되지 않도록 하였다.
따라서 하중이 분산될 수 있어 앞바퀴가 들리면서 제동력이 저하되는 폐단이 해소될 수 있어 제동력이 정확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아울러 차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 : 실린더 2 : 붐
3 ; 전륜지지기구 4 : 승강동력부
6 : 보조휠 42 : 팽창부재
43 : 연결대 62 : 휠샤프트
64 : 판스프링

Claims (3)

  1. 견인차량의 차체프레임에 선회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견인실린더와,
    상기 견인실린더의 일단에 선회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붐 및,
    상기 붐의 선단에 신장가능하게 구비되고 피견인차량의 전륜을 지지하는 전륜지지기구를 구비한 언더리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붐의 외측에 장착된 승강동력부;
    상기 승강동력부에 연결되어 승강작동시 선회되면서 승강되는 휠샤프트;
    상기 휠샤프트에 장착된 보조휠을 포함하고,
    상기 휠샤프트는 일단부가 차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차체에 장착된 판스프링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바퀴가 장착된 견인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동력부는
    상기 붐의 외측에 장착된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장착되어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신축되는 팽창부재;
    상기 팽창부재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휠샤프트에 연결되는 연결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바퀴가 장착된 견인차.
  3. 삭제
KR2020110006761U 2011-07-25 2011-07-25 보조바퀴가 장착된 견인차 KR2004707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761U KR200470711Y1 (ko) 2011-07-25 2011-07-25 보조바퀴가 장착된 견인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761U KR200470711Y1 (ko) 2011-07-25 2011-07-25 보조바퀴가 장착된 견인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804U KR20130000804U (ko) 2013-02-04
KR200470711Y1 true KR200470711Y1 (ko) 2014-01-09

Family

ID=51417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6761U KR200470711Y1 (ko) 2011-07-25 2011-07-25 보조바퀴가 장착된 견인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71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44237B (zh) * 2017-07-13 2019-01-04 北京格尼国际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带有辅助轮的救援拖车
CN109050744A (zh) * 2018-09-18 2018-12-21 重庆柯驰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带辅助轮可防后翻翘的三轮车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6678A (ja) * 2000-06-20 2002-04-02 Shimauchi Jidosha Tokki Seisakusho:Kk 車輌の増輪水平保持装置
KR20030046825A (ko) * 2001-12-06 2003-06-18 최병오 견인차량용 견인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6678A (ja) * 2000-06-20 2002-04-02 Shimauchi Jidosha Tokki Seisakusho:Kk 車輌の増輪水平保持装置
KR20030046825A (ko) * 2001-12-06 2003-06-18 최병오 견인차량용 견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804U (ko) 2013-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7189B2 (en) Axle lift assembly
US20070075511A1 (en) Wheel-dolly for vehicle towing and recovery
JP4833589B2 (ja) 車体の傾き防止装置
AU2009100804A4 (en) Adjustable height trailer
US6158775A (en) Mud flap lifting system
US8864176B2 (en) Mud flap lifting system
US5388849A (en) Compact weight transfer device for tractor trailer vehicles
US4815915A (en) Under-vehicle towing apparatus
KR200470711Y1 (ko) 보조바퀴가 장착된 견인차
US5303946A (en) Tag axle with rearwardly extending support framework
US3421793A (en) Tilt-dump vehicle with stabilizing means
KR100586838B1 (ko) 트레일러의 바퀴 자동 승강 장치
CN205010159U (zh) 升降式侧防护
KR101085226B1 (ko) 대형차량용 리어에어서스펜션의 캐스터 조절장치
US20120175859A1 (en) Vehicle towing assembly
CN109823445A (zh) 单轴拖车
KR101417683B1 (ko) 견인차량의 붐대 승하강 구조
EP2399790B1 (en) Nose wheel assembly and trailer provided with such an assembly
KR200475604Y1 (ko) 보조바퀴를 갖춘 견인차량
KR101344192B1 (ko) 견인 차량 보조바퀴 승하강 장치
KR101553634B1 (ko) 차량견인용 언더리프트장치의 무게분산 링크구조
US7448840B2 (en) Vehicle traction device
CA2568490A1 (en) Kingpin stabilizer
KR101816438B1 (ko) 트럭의 푸셔액슬 펜더 장치
KR200380908Y1 (ko) 트레일러의 바퀴 자동 승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