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604Y1 - 보조바퀴를 갖춘 견인차량 - Google Patents

보조바퀴를 갖춘 견인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604Y1
KR200475604Y1 KR2020130010877U KR20130010877U KR200475604Y1 KR 200475604 Y1 KR200475604 Y1 KR 200475604Y1 KR 2020130010877 U KR2020130010877 U KR 2020130010877U KR 20130010877 U KR20130010877 U KR 20130010877U KR 200475604 Y1 KR200475604 Y1 KR 2004756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shackle
cylinder
rear wheel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108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현
Original Assignee
김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현 filed Critical 김재현
Priority to KR20201300108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6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6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6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1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salvaging damaged vehicles
    • B60P3/125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salvaging damaged vehicles by supporting only part of the vehicle, e.g. front- or rear-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24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 B60D1/42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being adjustable
    • B60D1/46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being adjustable vertically
    • B60D1/465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being adjustable vertically comprising a lifting mechanism, e.g. for coupling while lif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48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 B60D1/5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resiliently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58Auxiliary devices
    • B60D1/66Props
    • B60D1/665Props comprising supporting wheels, e.g. dol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28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related to towing or towed situ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조바퀴를 갖춘 견인차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견인 위치가 길어지거나 견인차량의 무게가 한층 무거워도 견인차량이 들리지 않을 뿐만 아니라, 메인 바퀴와 각각 독립적으로 지면으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지면에서 떨어지도록 한 보조바퀴를 갖춘 견인차량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보조바퀴를 갖춘 견인차량는, 차체 바디프레임의 하부에 에어스프링을 매개로 후륜축이 설치되고, 이 후륜축에 후륜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후륜의 뒷쪽 차체 바디프레임으로 붐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후륜과 붐의 사이에 보조바퀴가 위치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차체 바디프레임의 하부 후단에 설치되어 팽창과 수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된 에어스프링(110)과, 상기 차체 바디프레임의 하부 전단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에어스프링의 하부에 설치된 링크(120)와, 상기 링크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샤클힌지핀으로 일단이 링크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샤클(140)과, 상기 후륜축의 양단부에 설치된 실린더고정브라켓트(160)와, 상기 실린더고정브라켓트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실린더고정핀(150)에 타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실린더(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조바퀴를 갖춘 견인차량{ReckerTruck with assistance wheel}
본 고안은 보조바퀴를 갖춘 견인차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견인 위치가 길어지거나 견인차량의 무게가 한층 무거워도 견인차량이 들리지 않을 뿐만 아니라, 견인차량의 메인 바퀴와 각각 독립적으로 지면으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지면에서 떨어지도록 한 보조바퀴를 갖춘 견인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견인 차량은 사고 차량 같은 피견인 차량을 견인하거나, 주차위반 차량 등을 견인하여 이동시키는 특수 차량으로서, 여기서 견인차량(렉카)은 견인장치의 종류에 따라 줄렉카와 붐렉카 및 앞바퀴를 떠서 견인하는 언더리프트와 실코가는차인 세이프티로더로 분류한다.
본 고안에서는 언더 리프팅(under lifting)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언더 리프팅 방식의 견인 차량은, 주행하다가 피견인 차량을 견인해야 할 경우, 붐(boom)을 내려 피견인 차량을 결속한 후 피견인 차량의 전륜을 들어올린 상태로 견인하게 된다.
최근에는 견인 차량에 전륜, 후륜과 더불어 보조바퀴를 별도로 설치하고 있다. 즉, 보조바퀴를 통해 전륜과 후륜에 인가되는 피견인 차량의 중량을 분산 경감하여 부하량을 줄이고, 더 안전하고 안정적인 견인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보조바퀴는 다른 차량을 견인하지 않는 상태일 때에는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올린 상태에서 주행하고, 다른 차량을 견인할 경우에는 보조바퀴를 지면에 접하게 내린 상태에서 주행한다.
이렇게 보조바퀴를 승하강 시키기 위해 종래에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96390호로 '견인차량 보조바퀴 승하강장치'가 공지되어 있는바, 보조바퀴가 결합된 보조축은 ㄴ자 형상의 프레임 한 쌍과 결합되고, 이 프레임의 양단에는 각각 압력 조절 풍선이 결합된다.
전방에 있는 압력 조절 풍선에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하고 후방에 있는 압력 조절 풍선에서 공기가 빠지면 힌지를 통해 프레임이 하강하고 이와 결합된 보조축이 하강하면서 결국 보조바퀴가 지면과 접하게 된다.
반대로, 후방에 있는 압력 조절 풍선에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하고 전방에 있는 압력 조절 풍선에서 공기가 빠지면 힌지를 통해 프레임이 상승하고 이와 결합된 보조축이 상승하면서 결국 보조바퀴가 지면과 떨어지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승하강 장치는 압력 조절 풍선이 4개나 필요하고 각각의 압력을 공기압에 의해 조절하기 때문에 장치가 복잡하고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참조문헌 :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96390호로 '견인차량 보조바퀴 승하강장치'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견인 위치가 길어지거나 견인차량의 무게가 한층 무거워도 견인차량이 들리지 않을 뿐만 아니라, 견인차량의 메인 바퀴와 각각 독립적으로 지면으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지면에서 떨어지도록 한 보조바퀴를 갖춘 견인차량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브라켓트에 의해 링크와 링크를 가압하는 에어스프링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된 보조바퀴를 갖춘 견인차량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링크에 끼워져 고정되는 스톱퍼핀에 의해 실린더가 팽창하여 샤클이 회동될 때 스톱퍼핀이 끼워진 링크를 함께 밀어부쳐 보조바퀴가 지면에서 들어올려지는 것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도록 된 보조바퀴를 갖춘 견인차량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보조바퀴를 갖춘 견인차량은, 차체 바디프레임의 하부에 에어스프링을 매개로 후륜축이 설치되고, 이 후륜축에 후륜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후륜의 뒷쪽 차체 바디프레임으로 붐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후륜과 붐의 사이에 보조바퀴가 위치하되, 상기 차체 바디프레임의 하부 후단에 설치되어 팽창과 수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된 에어스프링과, 상기 차체 바디프레임의 하부 전단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에어스프링의 하부에 설치된 링크와, 상기 링크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샤클힌지핀으로 일단이 링크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샤클과, 상기 샤클의 타단에 끼워진 실린더고정핀과, 상기 후륜축의 양단부에 설치된 실린더고정브라켓트와, 상기 실린더고정브라켓트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실린더고정핀에 타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실린더와, 상기 링크의 타단에 보조바퀴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비된 보조바퀴고정브라켓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차체 바디프레임에 브라켓트가 더 포함되고, 상기 브라켓트의 하부 후단에 상기 에어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트의 하부 전단에 상기 링크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링크에 끼워져 고정되되, 상기 샤클힌지핀과 실린더고정핀의 사이에 고정되어 상기 실린더가 팽창하여 실린더로드가 길게 뽑아지면 상기 샤클이 링크를 밀어올리도록 된 스톱퍼핀을 더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보조바퀴를 갖춘 견인차량에 의하면, 견인 위치가 길어지거나 견인차량의 무게가 한층 무거워도 견인차량이 들리지 않을 뿐만 아니라, 견인차량의 메인 바퀴와 각각 독립적으로 지면으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지면에서 떨어지도록 하여 이동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보조바퀴를 갖춘 견인차량에 의하면, 브라켓트에 의해 링크와 링크를 가압하는 에어스프링의 설치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보조바퀴를 갖춘 견인차량에 의하면, 링크에 끼워져 고정되는 스톱퍼핀에 의해 실린더가 팽창하여 샤클이 회동될 때 스톱퍼핀이 끼워진 링크를 함께 밀어부쳐 보조바퀴가 지면에서 들어올려지는 것이 간단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바퀴를 갖춘 견인차량을 설명하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서 보조바퀴를 들어올린 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도 3의 요부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도 5의 저면도,
도 7은 차량의 바디프레임에 설치되는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8은 도 7의 우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바퀴를 갖춘 견인차량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내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바퀴를 갖춘 견인차량은, 도1 및 도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차체 바디프레임(1100)의 하부에 에어스프링(1200)을 매개로 후륜축(1300)이 설치되고, 이 후륜축에 후륜(140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후륜의 뒷쪽 차체 바디프레임으로 도시되지 않은 붐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후륜과 붐의 사이에 보조바퀴(1500)가 위치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라 보조바퀴(1500)가 설치되는 것을 도 1 내지 도 8를 참조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차체 바디프레임(1100)의 하부 후단에 설치되어 팽창과 수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된 에어스프링(110)과, 상기 차체 바디프레임의 하부 전단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에어스프링(110)의 하부에 설치된 링크(120)와, 상기 링크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샤클힌지핀(130)으로 일단이 링크(120)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샤클(140)과, 상기 샤클의 타단에 끼워진 실린더로드고정핀(150)과, 상기 후륜축(1300)의 양단부에 설치된 실린더고정브라켓트(160)와, 상기 실린더고정브라켓트(160)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실린더로드고정핀(150)에 타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실린더(170)와, 상기 링크(120)의 타단에 상기 보조바퀴(1500)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비된 보조바퀴고정브라켓트(180)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후륜(1400)에서 견인하는 차량이 떨어져 있어서 견인 위치가 길어지거나 견인되는 차량의 무게가 한층 무거워도 상기 보조바퀴(1500)에 의해 무게 중심이 견인되는 차량쪽으로 이동하여 견인하는 차량이 들리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보조바퀴(1500)는 에어스프링(110)과 링크(120) 및 샤클(140)과 실린더(170)로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견인하는 차량의 메인 바퀴인 후륜(1400)과 보조바퀴(1500)가 샤클(140)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지면으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실린더(170)가 작동되어 지면에서 떨어지도록 하여 이동이 용이하게 된다.
즉, 지면이 울퉁불퉁하여서 상기 후륜(1400)과 보조바퀴(1500)의 높낮이가 다른 경우에 상기 보조바퀴(1500)는 후륜축(1300)에 설치된 실린더(170)와, 상기 링크(120)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타단이 실린더(17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샤클(140)에 의해 독립적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되면서 실린더(170)가 작동시 샤클(140)이 링크(120)를 밀어서 보조바퀴(1500)를 지면으로 부터 들어올리게 된다.
여기서 상기 차체 바디프레임(1100)에 설치되는 브라켓트(190)가 더 포함되고, 상기 브라켓트(190)의 하부 후단에 상기 에어스프링(110)이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트(190)의 하부 앞(전)단에 상기 링크(120)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트(190)에 의해 링크(120)와 링크(120)를 가압하는 에어스프링(110)을 차체 바디프레임(1100)에 설치하는 것이 설계 및 제조상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링크(120)에 끼워져 고정되되, 상기 샤클힌지핀(130)과 실린더로드고정핀(150)의 사이에 고정되어 상기 실린더(170)가 팽창하여 실린더로드(171)가 길게 뽑아지면 상기 샤클(140)이 링크(120)를 밀어올리도록 된 스톱퍼핀(121)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링크(120)에 끼워져 고정되는 스톱퍼핀(121)에 의해 실린더(170)가 팽창하여 샤클(140)이 회동될 때 스톱퍼핀(121)이 끼워진 링크(120)를 함께 밀어부쳐 보조바퀴(1500)가 지면에서 들어올려지는 것이 간단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링크(120)는 브라켓트(190)의 앞단 내측에 링크힌지핀(122)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샤클(140)이 내측에 수용되어 회동가능하도록 샤클수용홈부(123)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샤클(140)이 링크(120)의 샤클수용홈부(123)에 수용가능하게 설치되어 기구적으로 크지 않게 설계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샤클(140)은, 양단이 샤클힌지핀(130)과 실린더로드고정핀(150)이 끼워지는 구멍(141a,141b)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스톱퍼핀(121)을 감싸면서 밀어부칠 수 있도록 샤클홈(141c)이 형성된 한쌍의 샤클플레이트(141)와, 상기 샤클힌지핀(130)쪽에서 샤클플레이트(141)를 서로 연결하도록 고정된 부싱(142)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샤클플레이트(141)와 부싱(142)에 의해 샤클(140)의 구성이 용이하게 조립된다.
한편 상기 실린더(170)는, 상기 실린더고정브라켓트(160)에 고정되는 실린더힌지고정브라켓트(17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샤클(140)과 실린더로드(171)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의 실린더로드(171)에는 실린더로드고정핀(150)과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록 구리스주유부(171a)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고정브라켓트(160)에 고정되는 실린더힌지고정브라켓트(172)에 의해 실린더(170)는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샤클(140)과 실린더로드(171)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의 실린더로드(171)에는 구리스주유부(171a)가 구비되어 실린더로드(171)와 실린더로드고정핀(150)이 원활하게 회전이 이루어진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10 : 에어스프링 120 : 링크
121 : 스톱퍼핀 122 : 링크힌지핀
123 : 샤클수용홈부 130 : 샤클힌지핀
140 : 샤클 141 : 샤클플레이트
141a,141b : 구멍 141c : 샤클홈
142 : 부싱 150 : 실린더로드고정핀
160 : 실린더고정브라켓트 170 : 실린더
171 : 실린더로드 172 : 실린더힌지고정브라켓트
180 : 보조바퀴고정브라켓트 190 : 브라켓트

Claims (3)

  1. 차체 바디프레임의 하부에 에어스프링을 매개로 후륜축이 설치되고, 이 후륜축에 후륜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후륜의 뒷쪽 차체 바디프레임으로 붐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후륜과 붐의 사이에 보조바퀴가 위치하도록 설치된 견인차량에 있어서,
    상기 차체 바디프레임의 하부 후단에 설치되어 팽창과 수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된 에어스프링과,
    상기 차체 바디프레임의 하부 전단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에어스프링의 하부에 설치된 링크와,
    상기 링크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샤클힌지핀으로 일단이 링크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샤클과,
    상기 샤클의 타단에 끼워진 실린더고정핀과,
    상기 후륜축의 양단부에 설치된 실린더고정브라켓트와,
    상기 실린더고정브라켓트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실린더고정핀에 타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실린더와,
    상기 링크의 타단에 보조바퀴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비된 보조바퀴고정브라켓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바퀴를 갖춘 견인차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바디프레임에 브라켓트가 더 포함되고,
    상기 브라켓트의 하부 후단에 상기 에어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트의 하부 전단에 상기 링크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바퀴를 갖춘 견인차량.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에 끼워져 고정되되, 상기 샤클힌지핀과 실린더고정핀의 사이에 고정되어 상기 실린더가 팽창하여 실린더로드가 길게 뽑아지면 상기 샤클이 링크를 밀어올리도록 된 스톱퍼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바퀴를 갖춘 견인차량.
KR2020130010877U 2013-12-30 2013-12-30 보조바퀴를 갖춘 견인차량 KR2004756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877U KR200475604Y1 (ko) 2013-12-30 2013-12-30 보조바퀴를 갖춘 견인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877U KR200475604Y1 (ko) 2013-12-30 2013-12-30 보조바퀴를 갖춘 견인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604Y1 true KR200475604Y1 (ko) 2014-12-17

Family

ID=53578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10877U KR200475604Y1 (ko) 2013-12-30 2013-12-30 보조바퀴를 갖춘 견인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604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543Y1 (ko) 2002-03-14 2002-08-10 수성특장 주식회사 견인차량의 전륜 리프팅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543Y1 (ko) 2002-03-14 2002-08-10 수성특장 주식회사 견인차량의 전륜 리프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95998B1 (en) Axle lift assembly
KR101740877B1 (ko) 견인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트럭지게차
US20100207355A1 (en) Lifting device for tow car
CN104326380A (zh) 轮式履带式两用起重机
CN105691277A (zh) 隧道清障车
EP2689957B1 (en) Trailer
CN204726405U (zh) 汽车轮胎移动装置
KR200475604Y1 (ko) 보조바퀴를 갖춘 견인차량
CN105416151B (zh) 一种轨道式平板清障车
CN204251242U (zh) 轮式履带式两用起重机
CN203740022U (zh) 一种两轮车的安全辅助轮装置
WO2006040372A3 (es) Dispositivo de arrastre de vehículos industriales (camiones) aplicable a la quinta rueda de un tracto-camión
KR200470711Y1 (ko) 보조바퀴가 장착된 견인차
CN205523895U (zh) 隧道清障车
KR101493788B1 (ko) 차량용 견인장치
CN204915155U (zh) 半挂车临时牵引装置
CN109823445A (zh) 单轴拖车
KR101344192B1 (ko) 견인 차량 보조바퀴 승하강 장치
KR101417683B1 (ko) 견인차량의 붐대 승하강 구조
CN205417690U (zh) 一种可升降式医疗设备转运装置
IE20160222A1 (en) A sliding bogie trailer
EP3141422B1 (en) A sliding bogie trailer
KR101599151B1 (ko) 견인차
CN103950484A (zh) 一种两轮车的安全辅助轮装置
JP6621270B2 (ja) 改良されたアンダーリフトに採用される荷重変換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