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4267A - 벽지에 부착되는 행거 조립체 - Google Patents

벽지에 부착되는 행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4267A
KR20160094267A KR1020150189163A KR20150189163A KR20160094267A KR 20160094267 A KR20160094267 A KR 20160094267A KR 1020150189163 A KR1020150189163 A KR 1020150189163A KR 20150189163 A KR20150189163 A KR 20150189163A KR 20160094267 A KR20160094267 A KR 20160094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hanger assembly
fingers
wallpaper
fi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9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4422B1 (ko
Inventor
진우 이
Original Assignee
진우 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우 이 filed Critical 진우 이
Priority to PCT/KR2016/00033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6122142A1/ko
Publication of KR20160094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4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4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4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7Devices for fastening household utensils, or the like, to tables, wal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2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for fastening kitchen utensils to tables, walls,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벽지에 물건을 걸 수 있는 행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행거 조립체는 상호 대응하는 형태와 크기를 갖되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된 한 쌍의 제1 및 제2 핀 구조들로 구성된다. 제1 핀 구조와 제2 핀 구조는 판상의 동체, 이 동체의 밑면에 위치되며 동체를 지나 연장되는 돌기 형태의 복수의 핑거, 및 각 핑거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며 벽면을 따라 벽지 내로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핀으로 구성되되, 각 핑거와 핑거 사이에는 결합 홈이 형성된다. 제1 핀 구조와 제2 핀 구조의 동체의 어느 하나 또는 양자에 물건을 걸 수 있는 걸이가 형성된다. 각 핀 구조의 핑거는 다른 핀 구조의 결합 홈으로 삽입되어 결합함으로써 제1핀 구조와 제2핀 구조가 서로 분리가능하게 맞물리게 된다.

Description

벽지에 부착되는 행거 조립체{HANGER ASSEMBLY FOR ATTACHING AN OBJECT ON WALLPAPER}
본 발명은 행거조립체, 좀 더 상세하게는 물건을 걸 수 있도록 수직 또는 수평 벽면을 따라 벽지에 부착되는 행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에서는 생벽(naked wall)에 건식벽체(drywall or wallboard)를 부착하거나, 회반죽(plaster)을 바르거나, 벽지(wallpager)를 발라서 이를 벽면으로 사용한다. 벽지를 사용하는 경우, 생벽에 풀칠을 하여 먼저 신문지 등과 같은 초배지(lining paper)를 바른 후, 이 초배지 위에 다시 풀칠을 한 후 벽지를 바른다. 벽지로는 종이, 천 또는 합성수지 등 다양한 재료가 사용되어 진다.
회반죽은 매우 취약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회반죽의 벽면에는 물건을 걸 수 있는 행거의 부착을 가능한 피하고 있다. 미국특허 제8,844,886호에는 건식벽체에 부착되는 행거를 개시하고 있으며, 미국특허 제6,206,334호에는 수직 벽면에 액자 등을 걸 수 있는 행거가 개시되어 있다. 이들 행거는 모두 건식벽체 또는 수직 벽면에 못과 같은 가늘고 긴 고정구로 고정된다.
벽지의 벽면에 액자, 달력과 같은 물건을 부착하려는 경우, 통상적으로 벽면에 못을 박은 다음 이 못에 물건을 직접 부착하거나, 미국특허 제6,206,33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못으로 행거를 벽면에 고정한 후 물건을 행거에 부착한다. 이러한 고정방법은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로 된 벽에 못과 같은 고정구를 박아야 하는데, 이 못을 박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으며, 작업 중에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으로 이웃에 피해를 줄 수 있으며, 벽면이 훼손되며, 물건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새로운 장소에 다시 못을 박아야 하고 이때 먼저 박은 못을 빼야 하므로 벽면에 영구적인 손상이 남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 제1374166호 및 1450470호는 벽지에 탈,부착할 수 있는 행거를 개시하고 있다. 이 벽지 부착 행거는 판상의 동체 일측부에 이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핀을 구비한다. 행거는 핀이 벽지를 관통하여 벽에 수평하게 아래로 연장되도록 삽입하여 벽에 부착된다. 물건은 이 행거의 외측에 구비되는 걸이에 부착된다. 이러한 벽지부착 행거는 공지의 못을 사용하는 방법의 단점을 해결하고 있으나, 행거 자체가 벽지에 부착되는 부착력이 약하여 행거에 걸려지는 물건이 가벼워야 되며 가벼운 물건이라도 오래 걸어두면 행거가 벽지로부터 쉽게 탈락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들 벽지 부착 행거는 수직한 벽면에는 사용할 수 있으나 천장과 같은 수평한 벽면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벽지에 탈,부착이 가능한 행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벽지에 대한 부착력이 커서 무거운 물건도 걸 수 있는 행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단 벽지에 부착 후에는 그 부착력이 오래 유지되는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직한 벽체뿐만 아니라 수평한 벽체에도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행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호 대응하는 형태와 크기를 갖되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된 한 쌍의 제1 및 제2 핀 구조들로 구성된 행거 조립체가 제공된다. 제1 핀 구조와 제2 핀 구조는 판상의 동체, 이 동체의 밑면에 위치되며 동체를 지나 연장되는 돌기 형태의 복수의 핑거, 및 각 핑거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며 벽면을 따라 벽지 내로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핀으로 구성되되, 각 핑거와 핑거 사이에는 결합 홈이 형성된다. 제1 핀 구조와 제2 핀 구조의 동체의 어느 하나 또는 양자에 물건을 걸 수 있는 걸이가 형성된다. 각 핀 구조의 핑거는 다른 핀 구조의 결합 홈으로 삽입되어 결합함으로써 제1핀 구조와 제2핀 구조가 서로 분리가능하게 맞물리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행거 조립체는 행거 조립체를 구성하는 각 핀 구조가 손가락을 깍지 낀 것과 같이 상호 맞물린 채로 각 핀 구조의 핀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벽면을 따라 벽지로 삽입되어 고정된다. 행거 조립체의 각 핀 구조는 서로 분리가능하게 맞물리므로 본 발명에 따른 행거 조립체는 벽지의 벽체에 탈,부착이 가능하며, 상호 반대방향으로 벽면을 따라 벽지 내로 삽입되는 복수의 핀들로 인해 행거 조립체의 벽지에 대한 부착력이 매우 크게 된다. 또한, 각 핀 구조가 손가락을 깍지 낀 것과 같이 상호 맞물려 있으므로 하나의 핀 구조가 다른 핀 구조의 탈락을 방지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행거 조립체는 안정적으로 벽지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오랫동안 그리고 상대적으로 큰 부착력으로 벽지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2개의 핀 구조가 서로를 지지하는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행거 조립체는 수직한 벽체뿐만 아니라 수평한 벽체에도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벽체에 임의의 방향으로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 핀 구조의 복수의 핑거는 판상 동체의 일 측면에서 다른 측면까지 일정 간격으로 이격하여 형성된다. 판상 동체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핑거는 판상 동체의 밑면과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나머지 핑거는 판상 동체를 지나 연장되는 부분의 상면이 동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2개의 핀 구조가 서로 용이하게 맞물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판상 동체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핑거의 일 측부에는 홈이 형성되고 판상 동체의 다른 측면에는 결합 돌기가 형성되어서 제1 핀 구조와 제2 핀 구조가 서로 맞물릴 때 하나의 핀 구조의 상기 결합 돌기가 다른 핀 구조의 상기 홈과 결합한다. 이러한 결합 돌기와 홈의 결합은 핑거와 결합 홈의 맞물림에 부가적인 맞물림을 제공함으로써 2개의 핀 구조의 맞물림을 더욱 강화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핀이 판상 동체의 면에 대해 하향으로 경사지게 위치되어서 핀 구조를 벽지에 삽입할 때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핀이 핑거의 저면과 평행한 평면과 이루는 각은 1~ 30°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행거 조립체와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커버를 더욱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커버는 행거 조립체의 맞물린 제1 및 2 핀 구조가 우연한 외력 등에 의해 맞물림이 해제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맞물림을 더욱 보호 및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행거 조립체는 벽지에 탈,부착이 가능하되 벽지에 대한 부착력이 커서 무거운 물건도 걸 수 있으며, 일단 벽지에 부착 후에는 그 부착력이 오래 유지되며, 수직한 벽체뿐만 아니라 수평한 벽체에도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행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행거 조립체의 반대방향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행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 핀구조의 반대방향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2 핀구조의 반대방향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행거 조립체를 벽지의 원하는 위치에 부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핀 가이드 스티커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핀 가이드 스티커를 벽지의 원하는 위치에 부착한 후 핀 가이드 스티커의 제3열의 핀 가이드 포인트로 제1 핀 구조의 핀을 삽입하여 핀이 벽을 따라 벽지 내로 일정 길이만큼 삽입된 것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8은 제1 및 제2핀 구조의 핀이 각각 핀 가이드 스티커의 제2열 및 제3열의 핀 가이드 포인트로 삽입 및 제거됨으로써 벽을 따라 벽지 내로 형성된 핀의 통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9는 핀의 통로가 형성된 핀 가이드 스티커를 이용하여 제1 핀 구조를 벽지에 부착한 것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핀 구조가 벽지에 부착한 상태에서 제2 핀 구조를 제1 핀 구조와 맞물리도록 결합시키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제1 핀 구조가 벽지에 부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행거 조립체가 핀이 상하로 위치되도록 벽지에 부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행거 조립체가 핀이 좌우로 위치되도록 벽지에 부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4은 본 발명에 따른 행거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행거 조립체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커버의 반대방향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행거 조립체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 내지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행거조립체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행거 조립체(1)는 제1 및 2 핀 구조(10,20)로 구성된다.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면, 제1 핀 구조(10)는 판상의 동체(11), 이 동체의 밑면(본 명세서에서 윗면 및 밑면은 본 발명에 따른 행거조립체가 도11과 같이 벽지를 향하여 부착 위치에 있을 때 벽지에 가까운 면을 밑면, 그 반대의 면을 윗면이라 함)에 위치되는 사각기둥의 돌기 형태의 복수의 핑거(12,12'), 및 이 핑거(12,12')로부터 연장되는 핀(17)으로 구성된다.
판상 동체(11)는 장폭(W)과 단폭(W')을 갖는 'L'자 형상의 동체이며,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장폭(W)은 단폭(W')의 2배이다. 이 동체(11)의 윗면에는 이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돌기 형태의 걸이(19)가 형성된다.
핑거(12,12')는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하여 위치된 채로 동체(11)의 밑면을 지나 연장되기 때문에 핑거와 핑거 사이에는 결합 홈(13)이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핑거(12,12')는 판상 동체(11)의 단폭(W') 방향의 길이 전체를 가로질러 연장되나, 단폭 방향의 길이 일부만을 가로질러 연장되어도 무방하다. 핑거(12,12') 중 판상 동체(11)의 길이방향(폭 방향에 수직한 방향) 일측면에 형성되는 측핑거(12')는 판상 동체를 지나 연장되는 부분이 판상 동체의 밑면과 동일한 높이를 가져서 판상 동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나머지 핑거(12)는 판상 동체를 지나 연장되는 부분의 상면(16)이 동체(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낮게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핑거(12,12')들의 저면(16')은 평평하게, 즉 판상 동체(11)의 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각 핑거(12,12')의 저면(16')으로부터 동체(11) 의 윗면까지의 거리는 모두 동일하다. 측핑거(12')의 일측부, 즉 다른 핑거(12)를 향하는 측부에는 홈(14)이 형성되며, 동체(11)의 다른 측면, 즉 측핑거(12')에 대향하는 동체의 측면에는 결합 돌기(15)가 형성된다.
핀(17)은 핑거(12)의 경우 그 중앙부로터, 측핑거(12')의 경우 그 하측 중앙부로부터 연장되어서 모든 핀이 나란히 위치한다. 이 핀(17)의 길이 역시 동일하며 그 단부는 벽지 내로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뾰족하다. 핀(17)은 판상 동체(11)의 면에 대해 약간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핀(17)이 핑거(12,12')의 저면(16')과 평행한 평면에 대해 경사진 각(α)은 5°이다.
도1 내지 3 및 도4를 참조하면, 2개의 핀 구조(10,20) 중 다른 하나, 즉 제2 핀 구조(20) 역시 제1 핀 구(10)와 동일하게 판상의 동체(21), 복수의 핑거(22,22'), 및 핀(27)으로 구성되며, 핑거(22,22')들 사이에는 결합 홈(23)이 형성된다. 제2 핀 구조(20)의 나머지 구성, 즉 동체(21)의 형상, 걸이(19')의 형상, 핑거(22)의 형상과 배열, 핑거 상면(26)과 저면(26')의 형상, 핑거(22,22') 중 측핑거(22')에 형성되는 홈(24), 및 판상 동체(21)에 형성되는 결합 돌기(25)의 구성 모두 제1 핀 구조(10)의 대응하는 부분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2개의 핀 구조(10,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모든 구성부들의 형태와 크기가 동일하여서 양자가 같은 방향으로 위치되면, 즉 도3에 도시된 상태에서 핀 구조(2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핀 구조(10)와 같은 방향으로 위치시키면, 2개의 핀 구조(10,20)는 완전히 동일한 형상과 크기를 갖는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상태와 같이, 2개의 핀 구조(10,20)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위치하면, 각 구성부가 상보적으로 위치되어서 서로 맞물릴 수 있다. 즉, 제1 핀 구조(10)의 핑거(12,12')는 제2 핀 구조(20)의 결합 홈(23)으로 그리고 제2 핀 구조(20)의 핑거(22,22')는 제1 핀 구조(10)의 결합 홈(13)으로 삽입되어 마치 양손의 손가락을 서로 깍지낀 것과 같이 맞물린다. 또한, 제1 핀 구조(10)의 홈(14)은 제2 핀 구조(20)의 결합 돌기(25)와 그리고 제1 핀 구조(10)의 결합 돌기(15)는 제2 핀 구조(20)의 홈(24)과 결합한다. 또한, 판상 동체(11,21)도 서로 맞물리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형태가 되며, 원기둥의 반절부 형상을 갖는 각 구조(10,20)의 걸이(19,29)도 합체되어 원기둥 형상의 걸이(19'')(도 1 참조)가 된다.
이하에서는 도 11과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행거 조립체(1)의 부착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2개의 핀 구조(10,20) 중 어느 하나, 예를 들면 제1 핀 구조(10)를 부착하고자 하는 위치의 벽지 내로 벽(51)의 벽면을 따라 핀(17)을 삽입함으로써 제1 핀 구조(10)가 부착된다. 이렇게 부착된 제1 핀 구조(1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17)의 대부분은 벽지(50) 내로 벽면을 따라 연장되어 위치되며, 제1 핀 구조(10) 본체는 이렇게 삽입된 핀(17)의 힘으로 벽지(50)에 단단하게 부착된다. 일반적으로 벽면과 벽지(50) 사이에는 신문지 등과 같은 초배지가 위치되고 핀(17)은 이 초배지와 벽지 사이로 삽입되나,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 11에서는 초배지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핀(17)이 핑거(12,12')의 저면(16')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제1 핀 구조(10)를 손가락으로 잡아서 벽면의 벽지 내로 핀을 삽입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용이하다. 다음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된 제1 핀 구조(10)에 대해 제2 핀 구조(20)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위치되게 한 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핀 구조(10,20)가 서로 맞물리도록 제2 핀 구조(20)의 핀(27)을 제1 핀 구조(10)의 핀(17)과 반대방향으로 벽지 내로 삽입함으로써,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핀 구조(20)를 벽지(50)에 부착한다. 이렇게 하여 행거 조립체(1)가 완성되어 벽지(50)에 부착, 고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2개의 핀 구조(10,20)가 서로 맞물릴 때, 제1 핀 구조(10)의 핑거(12)는 제2 핀 구조(20)의 결합 홈(23)으로 그리고 제2 핀 구조(20)의 핑거(22)는 제1 핀 구조(10)의 결합 홈(13)으로 삽입되어 결합하며(1차 결합) 동시에 제1 핀 구조(10)의 홈(14) 및 결합돌기(15)가 각각 제2 핀 구조(20)의 결합돌기(25) 및 홈(24)과 결합한다(2차 결합). 이러한 1,2차 결합에 의해 제1,2 핀 구조(10,20)의 맞물림은 확고하게 된다.
각 핀 구조(10,20)의 핀(17,27)이 길수록 행거 조립체(1)의 벽지에 대한 부착력 및 부착 후의 지속시간이 길게 된다. 핀(17,27)이 길이가 짧은 경우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각 핀 구조(10,20)를 벽지에 부착함으로써 행거 조립체(1)를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으나, 핀(17,27)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핀(17,27)의 삽입 중에 핀이 휘어지거나 벽지 내로 삽입되던 핀의 선단이 벽지 밖으로 튀어나올 수도 있다. 따라서 핀(17,27)의 길이가 긴 경우에도 용이하게 핀 구조(10,20)를 벽지에 부착하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핀 가이드 스티커(4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핀 가이드 스티커(40)의 재질에는 제한이 없으나 사용 후 제거하기 편하도록 종이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핀 가이드 스티커(40)는 그 일측면에는 벽지에 부착할 수 있도록 점착성 물질이 도포되어 있으며 다른 측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련의 핀 가이드 포인트(41)들이 4개의 열(43,44,45,46)로 배열되어 있다. 핀 가이드 스티커(40)를 일단 부착 후 떼어 내서 다른 위치로 옮기거나 후에 핀 가이드 스티커(40)를 제거하기 편하도록 점착성은 강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핀 가이드 포인트(41)들은 육안으로 잘 보이도록 적당한 형상(예를 들면, 원형)과 크기(예를 들면, 직경 1mm)를 가지며, 유채색으로 채색될 수도 있다.
각 열(43,44,45,46)에는 핀 구조(10,20)의 핀(17,27)의 개수와 같은 5개의 핀 가이드 포인트(41)들이 존재한다. 각 핀 가이드 포인트(41)는 핀 구조(10,20)의 핀(17,27)의 중심과 핀(17,27)의 중심 간의 간격(d1)(도2 참조)과 같은 거리로 이격하여 위치한다. 4개의 열(43,44,45,46)은 상부에 위치하는 2개의 열(43,44)로 된 제1군의 열과 하부에 위치하는 2개의 열(45,46)로 된 제2군의 열로 분류될 수 있다. 같은 군에 속하는 열, 즉 제1군의 열에 속하는 제1열(43)과 제2열(44) 그리고 제2군의 열에 속하는 제3열(45)과 제4열(46) 사이의 간격(d2)은 각 핀(17,27)의 길이의 1/2이다.
제1군의 열과 제2군의 열은 상호 간격(a)만큼 이격하여 있으며 동시에 간격(b)만큼 오프셋되어 있다. 제1군과 제2군 열의 간격(a)은, 제1 및 제2 핀 구조(10,20)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맞물려 있을 때, 제1 핀 구조(10)의 핀(17)이 핑거(12,12')로부터 연장되는 지점과 제2 핀 구조(20)의 핀(27)이 핑거(22,22')로부터 연장되는 지점 간의 수직한 이격 거리에 해당하며,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각 핀 구조(10,20)의 동체(11,21)의 장폭(w)(도1 내지 3 참조)과 동일하다. 오프셋 간격(b)은, 제1 및 제2 핀 구조(10,20)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맞물려서 핀(17,27)들이 배열될 때, 제1 핀 구조(10)의 핀(17)의 중심과 제2 핀 구조(20)의 바로 인접하는 핀(27)의 중심 간의 이격거리에 해당한다.
이하에서는 핀 가이드 스티커(40)를 사용하여 행거 조립체(1)를 벽지에 부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핀 가이드 스티커(40)를 벽지의 원하는 위치에 부착한다. 다음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 가이드 스티커의 제3열(45)의 핀 가이드 포인트로 제1 핀 구조(10)의 핀(17)을 삽입하여 핀(17)이 벽면을 따라 벽지(50) 내로 제4열(46)의 핀 가이드 포인트에 도달할 때까지 삽입한 후, 제거한다. 제3열(45)의 핀 가이드 포인트와 제4열(46)의 핀 가이드 포인트 사이의 간격(d2)은 핀(17) 길이의 1/2로 비교적 짧은 거리이므로 삽입 중에 핀이 휘어지거나 벽지 내로 삽입되던 핀의 선단이 벽지 밖으로 튀어나오는 일은 없다. 다음에는 제2 핀구조(20)를 이용하여 핀(27)이 핀 가이드 스티커의 제2열(44)로부터 벽면을 따라 벽지(50) 내로 제1열(43)의 핀 가이드 포인트에 도달할 때까지 삽입한 후 제거한다. 도 8은 이렇게 하여 제2열(44) 및 제3열(45)의 핀 가이드 포인트로부터 각각 제1열(43) 및 제4열(46)의 핀 가이드 포인트까지 형성된 핀의 통로(47)를 보여준다. 다음에는, 다시 제1 핀 구조(10)의 핀(17)을 핀 가이드 스티커의 제3열(45)의 핀 가이드 포인트로부터 이미 형성된 핀의 통로(47) 내로 삽입한다. 이미 형성된 핀의 통로 내로 삽입하는 것이므로 핀(17)의 선단은 제4열(46)의 핀 가이드 포인트 지점까지 용이하게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제1 핀 구조(10)에 힘을 가하여,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17)이 벽면을 따라 벽지(50) 내로 제4열(46)의 핀 가이드 포인트를 지나 완전히 삽입되도록 한다. 제1 핀 구조(10)가 벽의 원하는 위치에 부착된 후,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핀 구조(20)를 제1 핀 구조(10)와 맞물리도록 결합시킨다. 이러한 결합 시, 제2 핀 구조(20)의 핀(27)은 자연스럽게 핀 가이드 스티커의 제2열(44)의 핀 가이드 포인트로부터 이미 형성된 핀의 통로(47) 내로 삽입되어 제1열(43)의 핀 가이드 포인트 지점까지 용이하게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역시 제2 핀 구조(20)에 힘을 가하여 핀(27)이 벽면을 따라 벽지 내로 제1열(43)의 핀 가이드 포인트를 지나 완전히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2개의 핀 구조(10,20)는 서로 결합하여 행거 조립체(1)를 형성한다. 행거 조립체(1)가 벽지의 원하는 위치에 부착된 후, 원한다면 핀 가이드 스티커(40)를 잡아당겨서 제거할 수 있다.
도 12는 행거 조립체(1)의 핀이 상하로 위치되도록 벽지(50)에 부착된 상태를 보여주며 도 13은 행거 조립체(1)의 핀이 좌우로 위치되도록 벽지(50)에 부착된 것을 보여주나, 본 발명에 따른 행거 조립체(1)는 임의의 방향으로 벽지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행거 조립체(1)는 수직 벽체뿐만 아니라 천정과 같은 수평 벽체의 벽지에도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행거조립체(1)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된 행거조립체(100)의 핀 구조(110,12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행거조립체(1)의 핀 구조(10,20)와 완전 동일하나 핀(17,27)의 개수만이 상이하다. 즉, 핀 구조(10,20)의 핑거와 마찬가지로 5개의 핑거를 가지나 핀(17,27)은 5개의 핑거 중 양측부와 가운데 핑거에만 존재한다. 이 변형예의 경우에도 2개의 핀 구조(110,120)는 모든 구성부들의 형태와 크기가 동일하며, 2개의 핀 구조(110,120)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위치하면 각 구성부가 상보적으로 위치되어서 서로 맞물릴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한 쌍의 제1핀 구조와 제2핀 구조는 동일방향으로 위치되면 구성부의 크기와 형태가 대응하나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위치되면 구성부가 상보적이어서, 제1핀 구조와 제2핀 구조가 분리가능하게 서로 맞물릴 수 있다. 여기서 대응한다는 의미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태, 크기 또는 개수가 완전 동일한 것뿐만 아니라 이들 중 일부가 상이한 경우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면, 핀의 개수가 제1 핀구조의 경우 3개(5개의 핑거 중 양측과 가운데 핑거에만 존재)이고 제2 핀 구조의 경우 2개(5개의 핑거 중 양측과 가운데 핑거를 제외한 핑거에만 존재)인 경우, 또는 제1 핀 구조와 제2 핀 구조의 핑거 및/또는 핀의 길이가 서로 다른 경우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한, 여기서 구성부가 상보적이라는 의미는 구성부의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보적인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복수의 핑거와 이들 핑거 사이에 형성되는 결합홈은 서로 상보적이어서 한 쌍의 핀 구조가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으나, 걸이(19'')는 상보적인 2개의 걸이(19,19')로 구성되어서 한쌍의 핀 구조가 맞물리면 하나의 걸이(19'')를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핀 구조에는 걸이가 형성되나 다른 핀 구조에는 걸이가 형성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 한 쌍의 핀 구조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구성부가 대응하며 상보적인 것을 말한다.
이하에서는 도 15와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행거 조립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시된 실시예의 행거 조립체(1')는 커버(30)를 더욱 포함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한 쌍의 핀 구조(10',20')는 행거 조립체(1)의 한 쌍의 핀 구조(10,20)와 동일하나 걸이(19'') 대신에 판상의 동체(11,21) 일측(핀의 연장방향과 반대방향 측)에 이로부터 연장되는 연장 돌기(18,28)를 갖는다는 점에서만 상이하다. 따라서, 핀 구조(10',20')의 다른 구성부들에 대해서는 핀 구조(10,20)와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되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커버(30)는 서로 맞물린 상태로 있는 한 쌍의 핀 구조(10',20')의 판상 동체(11,21)를 감싸서 커버하도록 형성된다. 이 커버(30)의 일측에는 걸이(32)가 형성되어서 물품을 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커버(30)에는 핀 구조(10',20')의 판상의 동체(11,21) 일측에 형성된 연장 돌기(18,28)에 대응하여 걸이(32)의 반대방향 측에 연장 돌기(18,28)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 홈(34)이 형성된다. 커버의 체결 홈(34) 일측 단부에는 스토퍼(stoper)(35)가 형성되어서 커버(30)의 홈(34)이 제1,2 핀 구조(10',20')의 연장 돌기(18,28)와 일 방향, 즉 스토퍼(35)가 없는 개방부 방향으로만 결합할 수 있다.
일단 행거 조립체(1')를 전술한 바와 같이 벽지의 원하는 위치에 부착한 후, 커버(30)의 체결홈(34)의 개방부 방향으로 연장돌기(18,28)가 삽입되도록 커버(30)를 행거 조립체(1')에 대하여 결합함으로써 커버(30)와 행거조립체(1') 간의 결합이 완성된다.
이 실시예의 행거 조립체(1')는 걸이(19'')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나 연장 돌기(18,28)를 걸이로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커버(30)가 없는 상태의 행거 조립체(1')는 제1 실시예의 행거 조립체(1)의 또 다른 변형예에 해당한다 할 것이다.
도 17에는 커버(30')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행거 조립체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행거 조립체(1'') 역시 한 쌍의 핀 구조(10'',20'')로 구성되되 이들 핀 구조는 행거 조립체(1')의 핀 구조(10',2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나 걸이(l9, 29)를 더욱 포함한다는 점에서만 상이하다. 한편, 커버(30')에는 이 커버(30')를 한 쌍의 핀 구조(10'',20'')의 판상 동체(11,21)를 감싸서 커버하도록 삽입할 때 걸이(19,29)가 커버(30')의 일측면으로부터 삽입되어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홈(31)이 형성된다는 점에서 커버(30)와 상이하며 다른 구성은 동일하다.
이상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아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12)

  1. 판상의 동체, 이 동체의 밑면에 위치되고 동체를 지나 연장되는 돌기 형태의 복수의 핑거, 및 각 핑거의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벽면을 따라 벽지 내로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핀으로 구성되며, 각 핑거와 핑거 사이에는 결합 홈이 형성되는 제1핀 구조와,
    판상의 동체, 이 동체의 밑면에 위치되고 동체를 지나 연장되는 돌기 형태의 복수의 핑거, 및 각 핑거의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벽면을 따라 벽지 내로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핀으로 구성되며, 각 핑거와 핑거 사이에는 결합 홈이 형성되는 제2핀 구조로 구성되되,
    한 쌍의 제1핀 구조와 제2핀 구조는 동일방향으로 위치되면 구성부의 크기와 형태가 대응하나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위치되면 구성부가 상보적이어서 제1핀 구조와 제2핀 구조를 결합시키면 각 핀 구조의 핑거는 다른 핀 구조의 결합 홈으로 삽입되어 서로 맞물릴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에 부착되는 행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제1 핀 구조와 제2 핀 구조의 동체의 어느 하나 또는 양자에 물건을 걸 수 있는 걸이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에 부착되는 행거 조립체.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맞물린 제1핀 구조와 제2핀 구조의 동체는 사각형 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에 부착되는 행거 조립체.
  4.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각 핀 구조의 복수의 핑거는 판상 동체의 일 측면에서 다른 측면까지 일정 간격으로 이격하여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에 부착되는 행거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핑거는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에 부착되는 행거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 동체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핑거는 판상 동체의 밑면과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나머지 핑거는 판상 동체를 지나 연장되는 부분의 상면이 동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에 부착되는 행거 조립체.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 동체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핑거의 일 측부에는 홈이 형성되고 판상 동체의 다른 측면에는 결합 돌기가 형성되어서 제1 핀 구조와 제2 핀 구조가 서로 맞물릴 때 하나의 핀 구조의 상기 결합 돌기는 다른 핀 구조의 상기 홈과 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에 부착되는 행거 조립체.
  8.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핀이 판상 동체의 면에 대해 하향으로 경사지게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에 부착되는 행거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 조립체를 둘러싸며 행거 조립체와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커버를 더욱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행거 조립체의 판상 동체에 핀의 연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연장 돌기가 형성되고, 커버의 행거 조립체를 향하는 면의 상측과 하측 단부에 상기 연장 돌기가 커버의 측면 방향으로부터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체결 홈이 형성됨으로써 커버와 행거 조립체가 분리가능하게 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에 부착되는 행거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 물건을 걸 수 있는 걸이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에 부착되는 행거 조립체.
  12. 제10항에 있어서, 제1 핀 구조와 제2 핀 구조의 동체의 어느 하나 또는 양자에 물건을 걸 수 있는 걸이가 형성되며, 커버에는 이 걸이가 위치되는 걸이 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에 부착되는 행거 조립체.
KR1020150189163A 2015-01-30 2015-12-30 벽지에 부착되는 행거 조립체 KR101794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00334 WO2016122142A1 (ko) 2015-01-30 2016-01-13 벽지에 부착되는 행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703 2015-01-30
KR20150014703 2015-0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4267A true KR20160094267A (ko) 2016-08-09
KR101794422B1 KR101794422B1 (ko) 2017-11-06

Family

ID=56712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9163A KR101794422B1 (ko) 2015-01-30 2015-12-30 벽지에 부착되는 행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44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4558B1 (ko) * 2017-04-13 2018-05-04 정혜원 벽지 고정설치용 행거 조립체
KR102129823B1 (ko) 2019-04-01 2020-07-03 정병섭 벽면 부착용 타공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998B1 (ko) 2020-06-30 2021-09-02 이우진 벽지고정용 조립식 행거
KR102350353B1 (ko) 2020-06-30 2022-01-11 이우진 벽지고정식 행거
KR20240002125A (ko) 2022-06-28 2024-01-04 진우 이 행거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166B1 (ko) 2013-07-08 2014-03-13 이우진 벽지에 고정하는 소품용 행거
KR101450470B1 (ko) * 2013-08-23 2014-10-15 이우진 벽지에 고정하는 소품용 행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4558B1 (ko) * 2017-04-13 2018-05-04 정혜원 벽지 고정설치용 행거 조립체
KR102129823B1 (ko) 2019-04-01 2020-07-03 정병섭 벽면 부착용 타공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4422B1 (ko) 2017-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4422B1 (ko) 벽지에 부착되는 행거 조립체
US8720016B2 (en) Snap mounting clip system
JPH0242216Y2 (ko)
EP3865634B1 (en) Insertion device
KR101719106B1 (ko) 벽지에 부착되는 행거
KR101854558B1 (ko) 벽지 고정설치용 행거 조립체
US10788067B2 (en) Coupling assembly for coupling flat panels
KR200485938Y1 (ko) 행거 조립체용 핀 가이드 스티커
JPH11206547A (ja) 複数針付取付具
JP3203238U (ja) 壁掛け構造
US20230392630A1 (en) Anchoring element, assembly and system
JP2007024127A (ja) 爪状固定部材
WO2016122142A1 (ko) 벽지에 부착되는 행거 조립체
ES2908092T3 (es) Sistema de techo suspendido para un techo suspendido, techo suspendido y método para fabricar el techo suspendido
JP2017529498A (ja) 固定デバイス
JP5503840B2 (ja) 部材取付構造、及び取付具
KR102297998B1 (ko) 벽지고정용 조립식 행거
KR102350353B1 (ko) 벽지고정식 행거
JP2006223421A (ja) 吊下具
WO2024029175A1 (ja) 嵌合固定具
JP6421376B1 (ja) 電源タップ掛止具
JP2018109338A (ja) 無機質板の固定方法およびその固定方法に用いられる固定部材、ならびにその固定方法によって得られる構造物
JP7385255B2 (ja) 石膏ボード用下地と物品取付け構造
TW201219173A (en) comprising a mounting frame to which a plurality of hook arms is attached for suspending hand tools for purposes of positioning and exhibition
KR200485563Y1 (ko) 휨을 방지하는 홀더가 구비된 바늘못 벽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