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9823B1 - 벽면 부착용 타공판 - Google Patents

벽면 부착용 타공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9823B1
KR102129823B1 KR1020190037783A KR20190037783A KR102129823B1 KR 102129823 B1 KR102129823 B1 KR 102129823B1 KR 1020190037783 A KR1020190037783 A KR 1020190037783A KR 20190037783 A KR20190037783 A KR 20190037783A KR 102129823 B1 KR102129823 B1 KR 102129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orated plate
wall
plate body
perforated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7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섭
정부택
Original Assignee
정병섭
정부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병섭, 정부택 filed Critical 정병섭
Priority to KR1020190037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98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7Devices for fastening household utensils, or the like, to tables, wal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22Pin plates

Landscapes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면에 부착시킨 후 타공에는 다양한 걸이구를 끼워서 이용하는 타공판에 있어서, 다수의 타공이 형성된 사각형의 타공판체; 상기 타공판체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는 외주격벽; 상기 외주격벽 상단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결속대자리홈; 상기 타공판체 배면에 다수 형성되는 중공융기홀더; 상기 결속대자리홈에 안착되고, 두께가 상기 결속대자리홈의 깊이와 동일하여 결속대자리홈에 안착되면 표면이 상기 외주격벽의 상면과 수평면이 되며, 배면에는 상기 중공융기홀더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결합돌구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타공판체를 사면 어디에서라도 이어 붙일 수 있는 착탈식의 결속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부착용 타공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벽면 부착용 타공판{Perforated plate for wall mounting}
본 발명은 타공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벽면에 부착시킨 후 다양한 걸이 도구를 타공에 끼워서 고정시켜 물건을 올려놓거나 걸어 놓는 용도로 사용하는 벽면 부착용 타공판에 관한 것이다.
벽면 부착용 타공판은 타공판체에 다수의 타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건물의 벽면에 부착하여 타공에 다양한 걸이구를 끼워서 그 걸이구에 물건을 올려놓거나 걸어 놓는 용도로 사용된다.
아파트나 주택의 실내 벽면에는 가벼운 옷이나 모자, 달력 같은 다양한 생활도구나 주걱이나 국자 등 다양한 주방도구를 걸기 위해서 다양한 걸이구가 개발되어 있다. 걸이대를 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걸이구에 수개의 나사공을 형성하고, 나사공을 관통하는 나사못을 건물의 벽면에 대고 박아 넣는다.
나사못이 벽면을 뚫고 들어가 벽체에 깊이 박히기 때문에 단단히 고정되어 걸이구에 무거운 물건을 걸수 있지만, 문제는 나사못에 의해서 벽면이 손상된다. 나사못의 크기에 따라 벽면이 손상되는 정도는 다르겠지만, 나사못이 벽체를 뚫고 들어가면 벽체가 손상될 수 밖에 없고, 박아 넣을 때도 드릴이나 망치를 사용해야 하므로 먼지나 소음이 발생하고 숙련되지 않은 사람은 다치기도 하는 등 고정 작업이 어렵다.
현대인의 주택 이용 상황을 살펴보면, 자주 이사를 다니게 되고, 자주 이사를 다닌다는 것은 하나의 주택을 단기간씩 여러 사람이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각자 취향이 달라서 주택 사용자가 달라질 때마다 취향에 따라 기존 걸이구를 떼어내고 새로운 걸이구를 설치해야 하는 경우도 자주 발생된다.
기존 걸이구를 떼어내면 떼어낸 곳에 나사못 자국이 남아서 미관이 좋지 않은데, 수십년 동안 사용자가 바뀌면서 그 주택을 여러 사람이 사용하고 나면 벽면은 수없이 많은 나사못 자국이 남을 수 밖에 없다.
이러한 미관상의 문제와 벽체 손상의 문제 때문에 벽체를 손상시키지 않고도 벽면에 고정할 수 있는 타공판이 개발되었다. 타공판도 기존의 걸이구와 마찬가지로 나사공을 형성하고 여기에 나사못을 박아넣어 벽면에 고정하는 경우도 있지만, 현재는 많은 경우가 벽체를 손상시키지 않고 벽면에 접착하는 방식이 사용하고 있다.
타공판은 금속이나 목재로 만들기도 하지만, 대부분 성형성이 우수하고 가벼운 합성수지를 사용한다. 타공판의 크기나 형태는 다양하지만 한번 만들어지면 그 형태가 고정되기 때문에 벽면의 형태나 구조에 맞게 변형할 수 없어서 활용성에 한계가 있다.
또한, 타공판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서 타공판의 외주에 암수 짝을 이루는 구조들을 형성하여 필요에 따라 이어 붙이기도 하고 분리하기도 하는데, 타공판의 외주에 돌출된 부분이 생기면 미관상 좋지 않아 상품성도 떨어진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1204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9426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19106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벽면 구조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크기와 형태를 다양하고 용이하게 확장하거나 변형시킬 수 있는 타공판을 제공하고, 타공판이 걸이용 뿐만 아니라 인테리어 소품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타공판 표면의 구조나 색상을 용이하게 변형시킬 수 있는 타공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벽면에 부착시킨 후 타공에는 다양한 걸이구를 끼워서 이용하는 타공판에 있어서, 다수의 타공이 형성된 사각형의 타공판체; 상기 타공판체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는 외주격벽; 상기 외주격벽 상단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결속대자리홈; 상기 타공판체 배면에 다수 형성되는 중공융기홀더; 상기 결속대자리홈에 안착되고, 두께가 상기 결속대자리홈의 깊이와 동일하여 결속대자리홈에 안착되면 표면이 상기 외주격벽의 상면과 수평면이 되며, 배면에는 상기 중공융기홀더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결합돌구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타공판체를 사면 어디에서라도 이어 붙일 수 있는 착탈식의 결속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부착용 타공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타공판체의 전면에는 착탈식의 덮개판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결속대에 형성되는 결합돌구는 그 수를 가감하여 결합력을 상대적으로 더 강하게 하거나 더 약하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덮개판은 투명으로 하여 사진이나 그림을 상기 덮개판의 배면과 상기 타공판체의 전면 사이에 붙이거나 끼운 후 결합하면 사진이나 그림이 외부에서 보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타공판을 벽면에 부착할 때 벽체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부착할 수 있으며, 벽면의 형태나 크기 등이 각기 다르고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타공판의 형태를 변화시키고 싶을 때 타공판을 사면 어느 방향에서라도 착탈 가능한 결속대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이어붙여 확장시킬 수 있고 타공판을 계단식으로 배열할 수도 있다.
또한, 타공판에 착탈 가능한 덮개판을 씌워서 타공판에 형성된 구멍 때문에 미감을 해칠 염려가 있으면 표면에 미려한 덮개판을 결합하여 타공판 전면면을 아름답게 꾸밀 수 있고, 타공판과 덮개판 사이에 그림이나 사진을 끼워 넣어 타공판을 건물의 내부 인테리어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공판이 벽면에 부착되는 상태의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공판의 배면을 나타낸 것이고, 중공융기홀더에 결속대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타공판이 4개 결합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타공판에 걸이구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타공판이 계단식으로 연결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타공판이 다른 방식으로 연결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타공판이 또 다른 방식으로 연결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타공판체 전면에 덮개판이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타공판체와 덮개판 사이에 사진이 끼워지는 상태의 분리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타공판 집합체에의 타공판체 일부에는 사진이 끼워지고 다른 일부는 타공판이 그대로 노출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타공(112)이 형성된 타공판체(110)가 구비된다. 타공판체(110)는 성형성이 우수한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주물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철판이나 목재로도 제작할 수 있다. 타공(112)의 형태도 일반적으로 원형이지만, 삼각형이나 사각형 등 다각형으로 할 수 있고, 타원형으로도 할 수 있다. 타공의 크기는 타공에 조립되는 걸이구들의 용도에 따라 더 크게 하거나 더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타공도 타공판체(110)에 일정 간격으로 규칙적으로 형성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불규칙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타공에 조립되는 걸이구에 상대적으로 무거운 물건이 걸리거나 올려지면 타공의 직경을 상대적으로 크게 해서 타공에 조립되는 걸이구의 직경도 크게 하여 구조적 강도를 높여야 하고, 상대적으로 가벼운 물건이 걸리거나 올려지면 타공의 직경을 작게 해서 구조적 강도를 높게 하지 않아도 된다.
타공판이 벽면에 부착되는 부착력에는 한계가 있어서, 거기에 맞게 걸거나 올려지는 물건들은 대부분 경량이므로 타공의 배열이나 직경을 일정하게 하여 걸이구를 활용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공판체(110)는 정사각형이다. 타공판체(110)는 직사각형이나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원형, 타원형 등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으나 확장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정사각형으로 하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공판체(110)의 외주에는 외주격벽(120)이 형성된다. 외주격벽(120)은 타공판체(110)가 벽면에 부착되었을 때 벽면과 외주격벽(120)의 높이만큼 들뜬 공간이 생기도록 한다. 타공에는 걸이구(H)가 끼워져 조립되는데, 걸이구가 끼워질 때 걸이구 다리가 타공 안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타공판체(110)와 벽면 사이에 공간이 없다면 벽면에 막혀서 걸이구(H) 다리가 타공 안으로 들어가 끼워지지 않으므로 고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타공판체(110)와 벽면 사이에 공간이 없더라도 타공판체(110)의 두께 만큼 걸이구(H) 다리를 끼울 공간이 있지만, 타공판체(110)의 두께 정도로는 걸이구(H)에 물건이 매달리면 그 하중을 견딜 수 없어서 타공에서 빠져 버릴 수 있으므로 타공판체(110)와 벽면 사이에는 들뜬 공간이 있어야 한다. 따라서 외주격벽(120)은 타공판체(110)와 벽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기능을 한다.
외주격벽(120)은 타공판체(110)의 외주에 형성되지 않고, 중간 중간을 가로질러 형성할 수도 있지만, 타공판체(110)의 외주에 형성되는 것이 미관상으로도 유려하고 장기간 사용할 때 타공판체(110)가 잔류 열응력에 의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는데도 유리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격벽(120)에는 다수의 결속대자리홈(130)이 형성된다. 결속대자리홈(130)은 후술하는 결속대가 안착되는 곳으로, 폭과 깊이가 후술하는 결속대의 폭과 두께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타공판체(110)가 정사각형이고, 외주격벽(120)은 사면 전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정사각형의 타공판체(110) 한면에 형성된 외주격벽(120)에 3개의 결속대자리홈(130)이 형성된다. 3개의 결속대자리홈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크기(폭과 깊이)도 동일하게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 결속대자리홈(130)의 폭을 좁혀서 결속대자리홈(130)을 더 많이 형성할 수도 있다.
결속대자리홈(130)의 크기를 서로 다르게 형성해도 결속대자리홈(130)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지만, 대량생산을 위해서 크기를 규격화한 것이다.
타공판체(110)의 배면에는 다수의 중공융기홀더(140)가 형성된다. 중공융기홀더(140)는 가운데가 원형으로 중공 되어 있는 것으로, 높이는 결속대자리홈(130)의 바닥면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중공융기홀더(140)는 타공판체(110)에 규칙적으로 배열되는데, 후술하는 결속대가 중공융기홀더(140)에 고정되어 두 개의 타공판을 하나로 결합하는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대자리홈(130)에 안착되는 결속대(150)가 구비된다. 결속대(150)는 폭이 좁고 긴 사각형의 평판으로서 배면에는 중공융기홀더(14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결합돌구(160)가 중심을 기준으로 양쪽으로 각각 두 개씩 4개 형성되어 있다. 결합돌구는 결속대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쪽으로 두개씩 형성되는 이유는 타공판과 타공판을 외주격벽(120)이 맞대어지도록 붙여놓고 결속대자리홈(130)에 결속대(150)를 끼워서 결합하면 한쪽에 형성된 두 개의 결합돌구(160)는 일측의 타공판체(110)에 결합되고 다른 한쪽에 형성된 결속대(150)의 결합돌구(160)는 다른 일측의 타공판에 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결합돌구(160) 사이의 거리는 중공융기홀더(140)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게 설계하여 타공판을 이어 붙인 결속대자리홈(130)에 결속대(150)의 중심이 자리하면 결합돌구(160)와 중공융기홀더(140)는 정확히 맞대어지도록 한 것이다. 결속대(150)를 더 길게하여 결합돌구(160)를 추가하여 형성할 수도 있으나 4개 형성하여도 타공판 두개를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결속대(150)의 폭은 결속대자리홈(130)의 폭과 동일하게 하여 결속대(150)가 결속대자리홈(130)에 안착되면 결속대자리홈(130)에 딱 맞게 끼워져서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결속대(150)의 두께를 결속대자리홈(130)의 깊이와 동일하게 하여 결속대(150)가 결속대자리홈(130)에 안착되면 결속대(150)와 상면과 결속대자리홈(130)이 형성되는 외주격벽(120)의 상면과 수평면이 되도록 한다.
타공판을 벽면에 결합할 때 결속대(150)에 양면테이프를 붙여서 벽면에 접착해야 하므로 결속대(150) 상면과 외부격벽(120)의 상면이 수평을 이루는 것은 중요하다. 수평이 맞이 않으면 벽면에 부착할 때 한쪽이 들떠서 결합력이 약해져 타공판이 쉽게 벽면에서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공판체(110)의 전면에는 착탈식의 덮개판(170)이 결합된다. 덮개판(170)은 타공판체(110)의 전면을 덮어서 타공판을 걸이 용도로 사용하지 않을 때 타공된 전면을 가려서 미감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그림이나 문양 등이 새겨진 덮개판(170)을 여러 개 구비하였다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교체하여 타공판을 이용하여 벽면을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덮개판(170)은 타공판체(110)를 가려야 하므로 타공판체(110)의 표면적과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하고 배면의 각각의 모서리 부분에는 타공에 삽입되는 끼움돌구(172)를 형성한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돌구(172)는 타공에 억지 끼움되도록 하여 타공판체(110)에 덮개판(170)을 끼운 후 상당한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빠지지 않게 함으로써 덮개판(170)이 타공판체(110)에 안정된 상태로 결합 되어 있도록 한다. 덮개판(170)이 필요 없을 때는 덮개판(170)을 분리하면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타공판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공판 하나만을 벽면에 부착할 때에는 타공판체(110) 배면 중앙의 중공융기홀더에 결속대(150)를 결합한다. 결합력을 강화시키기 위해서는 결속대(150)를 몇개 더 결합할 수도 있다. 결속대(150)의 배면에 형성된 결합돌구(160)가 중공형융기홀더(140)에 억지 끼움되면 결속대(150)가 타공판체(110)에 일체로 결합된다. 결속대(150)의 배면에 양면테이프를 붙이고 타공판체(110)를 벽면에 대고 누르면 양면테이프의 접착력에 의하여 타공판이 벽면에 부착된다.
타공판이 벽면에 부착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공에 걸이구(H)들을 결합한 후 걸이구(H)에 컵이나 주방기구 등 여러 가지 물건을 올려두거나 걸어서 사용할 수 있다.
타공판 두개를 서로 이어 붙여 일체화 시키고자 할 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격벽(120)이 서로 맞대어지도록 한 후, 맞대어진 부분의 결속대자리홈(130)에 결속대(150)의 중심을 대고 누른다. 결속대(150)를 누르면 결속대(150)의 결합돌구(160)가 타공판체(110)의 배면에 형성된 중공형융기홀더(140)에 억지 끼움되어 두 개의 타공판이 결합되어 일체화 된다. 타공판체(110)의 4면에 결속대자리홈(13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4면 어느 방향이라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연속으로 결합할 수 있다.
두 개의 타공판을 이어 붙일 때, 도 7, 도 8,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타공판의 중심이 정확히 일치하도록 이어 붙일 수도 있고, 계단처럼 엇갈리게 하여 이어 붙일 수도 있다. 또한, 두 개의 타공판을 중심이 맞대어 지게 이어 붙이면 결속대자리홈(130)이 3개 맞대어 지는데, 3개 중에 하나만 결속대(150)를 사용하여 결합할 수도 있고, 2 ~ 3개의 결속대(150)를 사용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결합되는 결속대가 많아질 수록 결합력은 강화되므로 사용자는 벽면의 상황이나 타공판에 걸리는 물건 등의 무게에 따라 그 수를 선택하면 된다.
또한, 타공판를 개별적으로 하나 하나를 벽면에 부착했을 때 보다 타공판을 서로 연결시켜 벽면에 부착시키면 타공판의 벽면 부착력이 더 강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7, 도 8,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공판은 결속대(150)를 사용하여 일렬로 여러 개 연속하여 이어붙일 수 있고, 하나의 타공판에 상하좌우로 여러 개 이어붙여 넓이나 길이를 계속 확장할 수 있으며, 형태도 십자형, 기역자형, 니은자형, 디귿자형 등 여러 가지로 만들어 낼 수 있다. 또한, 계단처럼 단을 형성하여 이어 붙일 수도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타공판을 확장시켜 벽면에 여러 가지 크기나 형태로 구현함으로써 타공판의 고유 기능인 물건을 걸거나 올리는 기능뿐만 아니라 벽면을 꾸미는 인테리어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
110 : 타공판체 112 : 타공
120 : 외주격벽 130 : 결속대자리홈
140 : 중공융기홀더 150 : 결속대
160 : 결합돌구 170 : 덮개판
172 : 끼움돌구

Claims (4)

  1. 벽면에 부착시킨 후 타공에는 다양한 걸이구를 끼워서 이용하는 타공판에 있어서,
    다수의 타공이 형성된 사각형의 타공판체(110);
    상기 타공판체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는 외주격벽(120);
    상기 외주격벽 상단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결속대자리홈(130);
    상기 타공판체 배면에 다수 형성되는 중공융기홀더(140);
    상기 결속대자리홈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도록 하여 안착되면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두께가 상기 결속대자리홈의 깊이와 동일하여 결속대자리홈에 안착되면 표면이 상기 외주격벽의 상면과 수평면이 되며, 배면에는 상기 중공융기홀더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결합돌구(160)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타공판체를 사면 어디에서라도 이어 붙일 수 있는 착탈식의 결속대(15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부착용 타공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판체(110)의 전면에는 착탈식의 덮개판(17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부착용 타공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대에 형성되는 결합돌구(160)는 그 수를 가감하여 결합력을 상대적으로 더 강하게 하거나 더 약하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부착용 타공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170)은 투명으로 하여 사진이나 그림을 상기 덮개판의 배면과 상기 타공판체의 전면 사이에 붙이거나 끼운 후 결합하면 사진이나 그림이 외부에서 보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부착용 타공판.
KR1020190037783A 2019-04-01 2019-04-01 벽면 부착용 타공판 KR102129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783A KR102129823B1 (ko) 2019-04-01 2019-04-01 벽면 부착용 타공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783A KR102129823B1 (ko) 2019-04-01 2019-04-01 벽면 부착용 타공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9823B1 true KR102129823B1 (ko) 2020-07-03

Family

ID=71571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7783A KR102129823B1 (ko) 2019-04-01 2019-04-01 벽면 부착용 타공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982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7291Y1 (ko) * 2005-04-04 2005-06-17 박로사 벌집 액자
KR20160094267A (ko) 2015-01-30 2016-08-09 진우 이 벽지에 부착되는 행거 조립체
KR101719106B1 (ko) 2016-10-18 2017-03-22 김수열 벽지에 부착되는 행거
KR200484317Y1 (ko) * 2016-08-26 2017-08-25 (주)아트사인 페그보드
KR20190012044A (ko) 2017-07-26 2019-02-08 주식회사 휴네이스 벽면 고정용 헹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7291Y1 (ko) * 2005-04-04 2005-06-17 박로사 벌집 액자
KR20160094267A (ko) 2015-01-30 2016-08-09 진우 이 벽지에 부착되는 행거 조립체
KR200484317Y1 (ko) * 2016-08-26 2017-08-25 (주)아트사인 페그보드
KR101719106B1 (ko) 2016-10-18 2017-03-22 김수열 벽지에 부착되는 행거
KR20190012044A (ko) 2017-07-26 2019-02-08 주식회사 휴네이스 벽면 고정용 헹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58249A1 (en) Art wall for customized installation of shelves
USD513142S1 (en) Corner bath caddy
USD543479S1 (en) Jewelry setting
USD482952S1 (en) Decoration hanger for steel
USD526818S1 (en) Floor spinner rack
US10188232B2 (en) Decorative article with receiving member
KR102129823B1 (ko) 벽면 부착용 타공판
US7260872B2 (en) Casket ornament attachment system and method
USD513575S1 (en) Picture hanging tool
KR100845016B1 (ko) 메모보드가 장착된 책장 및 그 제조방법
CN214531679U (zh) 一种挂持式多功能护墙收纳装置
USD481927S1 (en) Hanging hook
KR101150047B1 (ko) 벽 장식재
KR200266353Y1 (ko) 조립형침삽식벽걸이용행거
KR200177497Y1 (ko) 행어(hanger)
US20180332992A1 (en) Ornamental Hook System with Interchangeable Decorative Fixture
US11636784B2 (en) Systems and methods related to arrangement of tiles
JP2006271991A (ja) 壁掛け具
CN214696615U (zh) 一种嵌板式多功能护墙收纳装置
CN211582200U (zh) 装饰柱和收纳柜
KR20120118833A (ko) 탈,부착식 벽걸이용 홀더
JP2638466B2 (ja) 物品展示用具
KR200412654Y1 (ko) 이중 액자
CN210263782U (zh) 一种护墙板踢脚线装饰连接件
KR200287066Y1 (ko) 벽장식용 조립식 판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