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7998B1 - 벽지고정용 조립식 행거 - Google Patents

벽지고정용 조립식 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7998B1
KR102297998B1 KR1020200080016A KR20200080016A KR102297998B1 KR 102297998 B1 KR102297998 B1 KR 102297998B1 KR 1020200080016 A KR1020200080016 A KR 1020200080016A KR 20200080016 A KR20200080016 A KR 20200080016A KR 102297998 B1 KR102297998 B1 KR 102297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main body
wallpaper
holder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0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진
Original Assignee
이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진 filed Critical 이우진
Priority to KR1020200080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79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7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7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7Devices for fastening household utensils, or the like, to tables, wal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16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arpets; for wallpaper; for textil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22Pin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0Magnetism

Landscapes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지고정용 조립식 행거에 관한 것으로, 블록형태의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에 인서트 고정되고, 벽지에 삽입되어 상기 메인 바디를 벽지에 고정하는 복수의 웨지핀; 상기 바디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 바디; 상기 서브 바디의 전방에 마련되고, 물품이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구; 및 상기 서브 바디를 상기 메인 바디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착탈유닛;을 포함하며, 착탈유닛에 의해 서브 바디 및 메인 바디가 조립가능하게 결합된다.

Description

벽지고정용 조립식 행거 {DETACHABLE PREFABRICATED HANGER FOR FIXING WALLPAPER}
본 발명은 벽지고정용 조립식 행거에 관한 것으로, 벽지에 삽입되어 박히는 웨지핀이 구비되고, 물품을 걸어 놓을 수 있는 부재가 구비된 벽지고정용 조립식 행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면에 못이나 나사 등을 박아서 액자나 달력 또는 장식품 등을 매달아서 고정하고 있으며, 이와 달리 전면 및 후면에 걸고리 및 양면테이프가 각각 구비된 벽면 부착식 옷걸이를 벽면에 부착한 후 이들을 고정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못이나 나사는 벽면이 훼손될 뿐만 아니라 벽면에 박아서 고정하기가 힘이 들다. 그리고, 벽면 부착식 옷걸이는 가벼운 무게만 걸어 놓을 수 있고, 무거운 물체가 걸릴 경우 벽면에서 탈락된다.
이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출원인은 '벽지에 고정하는 소품용 행거'를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출원하여 특허등록 제1374166호 및 제1450470호로 등록받은 바가 있다. 이러한 행거는 전방 및 후방에 판상의 보강커버 및 바늘형태의 웨지핀이 각각 구비된 블록형태의 바디로 구성되고, 웨지핀을 벽지에 삽입하여 고정하며, 바디의 전방에 걸고리가 구비됨에 따라 소품을 걸고리에 걸어서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한 행거는 웨지핀을 벽지에 삽입하므로 설치가 용이하고, 필요시 웨지핀을 벽지에서 분리하여 다른 위치에 다시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청의 특허등록 제1794422호는 본 발명의 출원인과 같이 바디에 웨지핀이 구비된 '벽지 고정설치용 행거 조립체'를 개시한다. 이러한 행거 조립체는 바디가 조립가능하게 양분되고, 양분된 각각의 바디에 웨지핀이 제각기 구성되며, 바디에 구비된 각각의 웨지핀이 벽지에 삽입된 후 각각의 바디가 서로 정합되어 일체를 형성함에 따라 바디에 물품이 걸려서 고정되어도 물품의 하중에 의해 바디가 휘거나 기울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바디에 각기 형성된 각각의 웨지핀을 제각기 벽지에 삽입하여야 하므로 사용이 매우 불편하다.
또 한편, 대한민국 특허청의 특허등록 제1854558호는 바디에 웨지핀이 구비된 '벽지 고정설치용 행거 조립체'를 개시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전술한 보강커버가 구비되지 않은 삼각형 단면의 바디에 웨지핀이 구비되어 웨지핀을 벽지에 박아서 바디를 고정한 후, 바디의 하부에 역삼각형의 고정블록을 삽입하여 바디의 내측을 보강함으로써, 벽지에 고정된 바디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청의 특허등록 제1670207호는 전술한 제1854558호와 같이 웨지핀이 구비된 바디 및 이에 결합되어 바디의 내측을 보강하는 보강블록으로 구성된 '벽지에 고정하는 소품용 행거'를 개시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보강블록을 통해 바디의 내측이 보강되므로 바디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기술들은 고정블록이나 보강블록이 바디의 하부로 삽입되므로, 물품의 장착이나 탈거시 유동에 의해 고정블록이나 보강블록이 바디에서 하부로 탈락할 우려가 있으며, 탈락 후 분실될 우려도 있다.
다른 한편, 전술한 종래기술들은 바디에 모두 걸고리가 구비되어 물품을 걸을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다른 사진이나 전선과 같은 종류의 물품을 고정하기에 적합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물품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행거를 따로 구매해야 하고, 제조자의 경우 이러한 행거를 별도로 제조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374166호(이우진/ 2014.03.07. 등록)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450470호(이우진/ 2014.10.06. 등록)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794422호(이진우/ 2017.10.31. 등록)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854558호(정혜원/ 2018.04.26. 등록)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670207호(강석만/ 2016.10.21.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바디가 분할 구성되어 착탈가능하게 서로 정합되어 일체를 이루고, 물품이 고정되는 부재가 다양한 물품을 고정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부재가 교체 가능하게 구비된 벽지고정용 조립식 행거를 제공한다.
특히, 분할된 바디 중 어느 하나를 다른 것으로 교체할 수 있고, 어느 하나의 바디를 벽체에 지지시킬 수 있는 벽지고정용 조립식 행거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벽지고정용 조립식 행거는, 블록형태의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에 인서트 고정되고, 벽지에 삽입되어 상기 메이 바디를 벽지에 고정하는 복수의 웨지핀; 상기 바디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 바디; 상기 서브 바디의 전방에 마련되고, 물품이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구; 및 상기 서브 바디를 상기 메인 바디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착탈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구는 걸고리 형태의 후크, 측방이 절개된 관체형의 탄성홀더, 상부나 하부가 개방된 클립형의 탄성클램프 및 자성체 금속이 부착되는 마그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고정구를 상기 서브 바디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패스너;를 더 포함한다.
상기 패스너는, 상기 고정구가 일체로 구비된 끼움판; 상기 서브 바디에 홈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끼움판이 삽입되는 포켓; 및 상기 포켓 및 상기 끼움판에 암형 및 수형으로 각각 형성되고, 서로 결합되어 상기 끼움판을 상기 포켓에 구속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착탈유닛은, 상기 메인 바디에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일측이 개방된 개방구를 갖는 원통형의 홀로 구성된 크로스 홀더; 및 상기 서브 바디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크로스 홀더에 구비된 상기 개방구의 폭에 대응하는 두께를 가지며, 상기 크로스 홀더의 지름 및 길이에 대응하는 폭 및 길이를 갖는 크로스 바;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메인 바디에 서브 바디가 착탈유닛을 통해 조착탈가능하게 고정되므로 메인 바디 및 서브 바디를 조립식으로 조립할 수 있고, 착탈유닛이 메인 바디에 형성되는 원통형의 홀로 이루어진 개구부를 갖는 크로스 홀더 및 이러한 개구부를 통해 크로스 홀더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서브 바디의 크로스 바로 구성되므로 크로스 바 및 크로스 홀의 결합에 의해 서브 바디가 메인 바디에 구속됨에 따라 서브 바디가 분리되어 분실될 우려가 없다.
특히, 서브 바디 및 메인 바디가 착탈유닛에 의해 분리될 수 있으므로 서브 바디나 메인 바디 중 어느 하나를 필요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그리고, 서브 바디의 후방에 지지돌기나 후방돌기가 형성되고, 이러한 지지돌기 및 후방돌기가 벽지에 밀착되면서 서브 바디를 지지하는 동시에 벽지에 삽입된 웨지핀을 가압하므로 서브 바디의 고정구에 물품이 고정되어도 물품의 하중에 의해 서브 바디가 전방으로 휘어지거나 기울어지지 않으며, 웨지핀이 벽지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물품이 고정되는 고정구가 후크, 탄성홀더, 탄성클램프 및/또는 마그네트로 구성되므로 다양한 물품을 고정할 수 있다.
아울러, 고정구가 패스너에 의해 서브 바디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므로 다양한 고정구를 서브 바디에 선택적으로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게다가, 패스너가 끼움판과 포켓 및 결합부재로 구성되므로 서브 바디에 고정구를 견고하게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벽지고정용 조립식 행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행거의 결합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행거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벽지고정용 조립식 행거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행거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행거의 서브 바디에 후크식 고정구가 적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7에 도시된 서브 바디의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행거의 서브 바디에 홀더식 고정구가 적용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서브 바디의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행거의 서브 바디에 적용되는 탄성클램프식 고정구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행거의 서브 바디에 적용되는 마그네트식 고정구의 사시도; 및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탄성클램프식 고정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벽지고정용 조립식 행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벽지고정용 조립식 행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바디(10)와 웨지핀(30) 및 서브 바디(50), 그리고 후술되는 고정구 및 착탈유닛을 포함한다.
메인 바디(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형태로 구성되어 두께를 갖는다. 메인 바디(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과 같은 사각형의 블록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원형이나 오각형 내지 팔각형의 원통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를 갖는 블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웨지핀(30)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형태로 구성되며, 복수로 구성되어 메인 바디(10)에 인서트 고정됨에 따라 메인 바디(10)의 후방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웨지핀(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지(W)에 삽입되어 메인 바디(10)를 벽지에 고정한다. 따라서, 메인 바디(10)는 웨지핀(30)에 의해 벽지에 고정된다.
서브 바디(5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바디(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서브 바디(50)는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크로스 바(51)가 상부에 구비되고, 중앙에 중공(50a)을 갖는 사각틀로 구성될 수 있다. 서브 바디(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H)와 같은 고정구가 전방에 구비되어 고정구를 통해 물품이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서브 바디(5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에 후방으로 돌출되는 지지돌기(52)가 일체로 구비된다. 지지돌기(5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블럭이나 판상으로 형성되어 서브 바디(50)의 하단부 양측에 구비될 수 있고, 이와 달리 하단부 양측과 하단부 중간부분에도 구비될 수도 있으며, 하단부를 따라 부분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지지돌기(52)는 한쌍으로 구성되거나 다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지지돌기(5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으나, 이보다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벽지(W)를 향하는 후방의 단부가 곡률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지돌기(52)는 웨지핀(30)이 벽지(W)에 삽입될 경우 곡률에 의해 벽지(W)에 걸리지 않는다.
이와 달리, 지지돌기(52)는 서브 바디(50)의 하단에 후방으로 돌출되되, 서브 바디(5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지지돌기(52)는 도 2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도시된 바와 달리 삼각형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지지돌기(52)는 벽지(W)에 걸리지 않는 형상이면서 벽지(W)에 지지될 수 있는 형상일 경우 어떠한 형상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형상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지지돌기(5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지핀(30)이 벽지(W)에 고정될 경우 벽지(W)에 밀착되어 서브 바디(50)를 지지하면서 벽지(W)에 삽입된 웨지핀(30)을 가압한다. 따라서, 서브 바디(50)는 후크(H)와 같은 고정구에 물품이 장착되어도 물품의 하중에 의해 전방으로 기울어지지 않는다. 그리고, 웨지핀(30)은 지지돌기(52)의 가압에 의해 벽지(W)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서브 바디(50)는 착탈유닛에 의해 메인 바디(1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즉, 서브 바디(50)는 착탈유닛에 의해 메인 바디(10)에 조립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바디(10)는 서브 바디(50)가 파손될 경우 또 다른 서브 바디(50)로 교체될 수 있고, 이와 달리 미도시된 다른 종류의 서브 바디(50), 예를 들어 전술한 후크(H)가 아닌 후술되는 탄성홀더(13)나 탄성클램프(14) 등으로 이루어진 고정구가 구비된 서브 바디(50)와 교체될 수도 있다.
착탈유닛은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크로스 홀더(11) 및 크로스 바(51)로 구성될 수 있다. 크로스 홀더(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바디(10)에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원통형의 홀(Hole)로 구성된다. 크로스 홀더(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된 개방구(11a)를 갖는다. 이러한 개방구(11a)는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바디(1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고, 이와 달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바디(10)의 전방에 형성될 수도 있다.
크로스 바(5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바디(50)에 일체로 구비된다. 크로스 바(5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바디(50)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크로스 바(5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 홀더(11)에 구비된 개방구(11a)의 폭에 대응하는 두께를 가지며, 크로스 홀더(11)의 지름 및 길이에 대응하는 폭 및 길이를 갖도록 구성된다.
크로스 바(51)는 크로스 홀더(11)에 구비된 개방구(11a)에 삽입되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바디(10)의 상부에서 수직으로 세워진 후 그 상태로 크로스 홀더(11)의 개방구(11a)에 삽입된다. 이때, 크로스 바(51)는 세워져서 삽입됨에 따라 두께를 이루는 측면, 즉 개방구(11a)와 대응하는 면이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구(11a)의 폭에 대응하므로 개방구(11a)에 용이하게 삽입된다. 크로스 바(51)는 개방구(11a)의 테두리에 걸리지 않도록, 두께를 이류는 측면이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크로스 바(51)는 삽입이 용이하도록 측면이 반원형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크로스 바(5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구(11a)를 통해 원통형 구멍으로 이루어진 크로스 홀더(11)에 삽입된 후 회전되어 다시 수평상태를 이룬다. 크로스 바(51)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 홀더(11)의 지름 보다 약간 큰 폭을 갖도록 제조된다. 이에 따라, 크로스 바(51)는 크로스 홀더(11)의 내부에서 수평상태를 형성할 경우 크로스 홀더(11)를 약간 벌어지게 한다. 이때, 크로스 홀더(11)는 개방구(11a)에 의해 일측이 개방됨에 따라,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점선 상태에서 실선 상태로 벌어진다. 즉, 크로스 홀더(11)는 절개된 개방구(11a)의 원래 폭(W1)이 벌어진 폭(W2)으로 변형된다. 따라서, 크로스 바(51)는 크로스 홀더(11)가 다시 오므려지려는 탄성력에 의해 견고하게 크로스홀더(11)의 내부에 고정된다.
크로스 바(5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전술한 측면이 크로스 홀더(11)의 내주면에 형성된 곡률과 대응하는 곡률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크로스 바(51)는 이러한 곡률로 인해 크로스 홀더(11)의 내부에서 원활하게 회전된다.
한편, 서브 바디(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 바(51)가 회전에 의해 수평상태를 형성할 경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세워져서 전술한 후크(H)와 같은 고정구를 전방에 제공한다. 이때, 메인 바디(10)는 서브 바디(50)의 중공(50a)으로 전방의 일부가 노출된다.
서브 바디(50)는 전방에 제공된 후크(H)와 같은 고정구에 물품이 걸릴 경우 물품의 하중을 받는다. 이때, 서브 바디(50)의 후방에 형성된 지지돌기(5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지(W)와 밀착되면서 서브 바디(50)를 지지한다. 따라서, 서브 바디(50)는 전방에 물품의 하중이 작용하여도 벽지(W)에서 전방으로 휘어지거나 기울어지지 않는다.
여기서,전술한 서브 바디(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지핀(30)이 벽지(W)에 삽입되어 메인 바디(10)가 벽지(W)에 고정된 후, 메인 바디(10)의 크로스 홀더(11)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서브 바디(5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도 1의 크로스 바(51)가 수직으로 세워진 형태의 수직형 크로스 바(61)가 상부에 구비되고, 대략 알파벳의 'I'와 같은 형태를 갖는 I형 서브 바디(6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I형 서브 바디(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 바(61)의 중앙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수직대(63) 및 이러한 수직대(63)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수평대(65)로 구성됨에 따라 'I'와 같은 형태를 이루며, 수평대(65)의 후방에 전술한 지지돌기(52)와 동일하게 구성된 후방돌기(67)가 구비되어 이를 통해 후방이 지지된다. I형 서브 바디(60)는 크로스 바(61)가 전술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세워짐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한 면이 상부 및 하부를 향한다.
I형 서브 바디(60)는 수직형 크로스 바(61)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바디(10)의 크로스 홀더(11)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를 위해, 메인 바디(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 홀더(11)의 개구부(11a)가 상부가 아닌 전방에 형성된다.
수직형 크로스 바(6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한 측면이 메인 바디(10)의 개방구(11a)에 대응하도록 수평상태를 이루면서 개방구(11a)에 삽입된다. 수직형 크로스 바(61)는 개방구(11a)에 삽입된 후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세워져서 크로스 홀더(11)의 내부에 고정된다. 이때, 크로스 홀더(11)는 수직형 크로스 바(61)에 의해 약간 벌어짐에 따라 탄성력에 의해 수직형 크로스 바(61)를 가압한다. 따라서, 수직형 크로스 바(61)는 크로스 홀더(11)의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메인 바디(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직형 크로스 바(61)가 크로스 홀더(11)에 고정될 경우 I형 서브 바디(60)의 수직대(63)가 삽입되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수직홈(12)이 형성된다. 수직홈(12)은 I형 서브 바디(60)의 수직대(63)에 대응하는 폭 및 길이를 갖는다. 따라서, 수직대(63)는 크로스 바(61)의 고정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바디(10)의 수직홈(12)에 삽입된다.
I형 서브 바디(60)는 수직대(63)가 수직홈(12)에 삽입될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대(65)의 후방에 돌출된 후방돌기(67)가 벽지(W)에 밀착되면서 수평대(65) 및 수직대(63)의 후방을 지지하면서 벽지(W)에 삽입된 웨지핀(30)을 가압한다. 따라서, I형 서브 바디(60)는 후크(H)와 같은 전방의 고정구에 물품이 걸려서 고정되어도 전방으로 휘어지거나 기울어지지 않는다. 그리고, 웨지핀(30)은 후방돌기(67)에 가압됨에 따라 벽지(W)에 견고히 고정된다.
I형 서브 바디(60)는 앞서 설명된 도 1의 사각틀식 서브 바디(50)와 달리 하나의 수직대(63)에 수평대(65)가 구비되므로 성형시 자재비가 경감된다. 즉, I형 서브 바디(60)는 수직대(63)가 하나이지만, 앞서 설명된 서브 바디(50)는 수평대의 양측에 수직대가 각각 구비된 것과 같이므로 I형 서브 바디(60)의 자재비가 더 경감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메인 바디(10)는 앞서 설명된 도 1의 메인 바디(10)와 달리 전방에 수직홈(12)이 형성됨에 따라 성형시 자재비가 경감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벽지고정용 조립식 행거는, 사각틀형 서브 바디(50)나 I형 서브 바디(60)가, 상부에 구비된 크로스 바(51)나 수직형 크로스 바(61)에 의해 원통형 홀로 이루어진 메인 바디(10)의 크로스 홀더(11)에 조립식으로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서브 바디(50)나 I형 서브 바디(60)가 분리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서브 바디(50)나 I형 서브 바디(60)가 분실될 우려가 없다. 그리고, 서브 바디(50)나 I형 서브 바디(60)에 구비된 지지돌기(52)나 후방돌기(67)가 벽지(W)에 밀착되어 서브 바디(50)나 I형 서브 바디(60)의 후방을 지지하면서 벽지(W)에 삽입된 웨지핀(30)을 가압하므로 서브 바디(50)나 I형 서브 바디(60)가 물품의 하중에 의해 전방으로 휘거나 기울어질 우려도 없을 뿐만 아니라 웨지핀(30)이 벽지(W)에 견고히 고정된다. 또한, 서브 바디(50)나 I형 서브 바디(60)를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필요시 다른 것들로 교체할 수 있다. 물론, 서브 바디(50, 60)가 분리되므로 메인 바디(10)가 파손될 경우 이를 다른 메인 바디(10)로 교체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후방돌기(67)는 도 1 및 도 2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지지돌기(52)와 같이 하단의 후방에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반원형이나 삼각형의 단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후방돌기(67)는 전술한 지지돌기(52)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전술한 후크(H)와 같은 고정구는 물품이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도록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바디(50, 60)에 구비된다. 하지만, 고정구는 이와 달리 메인 바디(1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고정구는 메인 바디(10)의 전방에 구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메인 바디(10)는 전방에 고정구가 설치되는 공간이나 면적이 구비되어야 한다.
여기서, 전술한 고정구는 예컨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고리 형태의 전술한 후크(H)로 구성될 수 있다. 후크(H)는 옷이나 액자 등의 물품이 걸려서 고정된다. 이와 달리, 고정구는 전선이나 사진 또는 금속재 등의 물품도 고정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고정구는 예컨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관체형의 탄성홀더(13)나,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클립형의 탄성클램프(14) 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마그네트(MG)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탄성홀더(13)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일측)이 절개된 관체로 구성되되,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이 수직으로 절개된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원통(13b)으로 구성된다. 원통(13b)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성되어 전술한 바디(10) 또는 후술되는 끼움판(12)의 전방 양측에 병렬을 이루면서 대향 상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원통(13b)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나 끼움판(12)의 전방에 구비되는 돌출부(13a)를 중심으로 돌출부(13a)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절개된 부위가 돌출부(13a)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홀더(1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13b)의 절개된 부위에 걸림날개(13c)가 수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날개(13c)는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홀더(13)에 삽입되는 전선 등의 선형 물품(WR)이 탄성홀더(1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전술한 돌출부(13a)는 바디(10)나 끼움판(12)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블록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선형 물품(WR)의 고정시 탄력적으로 벌어지도록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과 같은 형태로 절곡된 절곡판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탄성홀더(13)는 원통(13b)의 일측이 절개됨에 따라 원통(13b)의 절개된 일측을 통해 전선과 같은 선형 물품(WR)이 유입된다. 이때, 원통(13b)은 일측이 절개됨에 따라 선형 물품(WR)의 유입시 원활하게 벌어진다.
탄성홀더(1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13b)의 절개된 부위에 구비된 걸림날개(13c)가 유입된 선형 물품(WR)의 이탈을 단속한다. 따라서, 탄성홀더(13)는 원통(13b)에 선형 물품(WR)을 착탈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탄성클램프(14)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끼움판(12)의 전방에 일체로 마련되거나, 전술한 서브 바디(50, 60)의 전방에 일체로 마련된다. 탄성클램프(14)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으로 이루어진 하부가 개방된 클립형태의 부재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바디(50, 60)나 끼움판(12)의 전방에 일체로 형성된 반원형의 곡선부(14a) 및 이러한 곡선부(14a)에 경사를 이루면서 하방으로 연장형성되어 하단이 서브 바디(50, 60)나 끼움판(12)의 전방에 밀착되는 경사부(14b)로 구성된다.
탄성클램프(14)는 도 10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부(14a) 및 경사부(14b)로 구성되고, 경사부(14b)의 하단이 탄력적으로 벌어짐에 따라 하부가 개방된다. 탄성클램프(14)는 도 10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하단을 통해 사진(PT)이나 종이와 같은 박판재가 끼워져서 고정된다. 이때, 탄성클램프(14)는 탄력적으로 벌어졌던 경사부(14b)의 하단이 다시 원위치로 복원되어 서브 바디(50, 60)나 끼움판(12)의 전방에 다시 밀착됨에 따라 박판재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여기서, 전술한 탄성클램프(14)는 개방된 하부로 박판재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부(14b)의 단부에 경사부(14b)와 반대 방향의 경사를 갖도록 절곡된 절곡단부(14c)가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탄성클램프(14)는 절곡단부(14c)가 경사부(14b)와 반대 방향으로 경사를 형성하므로 개방된 하방을 통해 박판재가 용이하게 삽입된다.
탄성클램프(14)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성되어 서브 바디(50, 60)나 후술되는 끼움판(12)의 전방에 직렬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탄성클램프(1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구비되어 하나는 하방이 개방되고, 다른 하나는 상방이 개방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탄성클램프(1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각기 종이(PA)나 사진(PT)과 같은 박판재가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다.
탄성클램프(14)는 도 12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마그네트(MG)와 함께 서브 바디(50, 60)나 후술되는 끼움판(12)의 전방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전술한 고정구는 박판재 및 문구용 클립과 같은 자성체 금속(IR)을 모두 착탈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탄성클램프(14)는 도시된 바와 달리, 전술한 후크(H)와 함께 서브 바디(50, 60)나 후술되는 끼움판(12)의 전방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후크(H)는 탄성클램프(14)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전술한 고정구는 박판재 및 걸림가능한 물품이 모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마그네트(MG)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바디(50, 60)나 후술되는 끼움판(12)의 전방에 구비된다. 마그네트(MG)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바디(50, 60)나 끼움판(12)에 인서트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접착제에 의해 이들의 표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마그네트(MG)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성체 금속(IR)이 착탈가능하게 부착된다. 따라서, 전술한 고정구는 자성체 금속(IR)으로 구성된 통상의 문구용 클립이나 압핀 등을 고정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전술한 고정구는 패스너를 통해 도 6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바디(50, 6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고정구는 도시된 바와 달리 패스너를 통해 메인 바디(10)의 전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패스너는 고정구를 서브 바디(50, 6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구성요소이다. 패스너는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판(12), 포켓(50b) 및 후술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끼움판(12)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후크(H) 또는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술한 탄성홀더(13), 탄성클램프(14) 및/또는 마그네트(MG)와 같은 고정구가 구비된 판상의 부재이다. 끼움판(12)은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구가 일체로 형성되는 전방판(12a) 및 이러한 전방판(12a)의 후방에 일체로 형성되는 후방판(12b)로 구성된다. 후방판(12b)은 후술되는 포켓(50b)에 삽입될 경우 삽입깊이가 제한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판(12a) 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전방판(12a)과 단차를 이룬다. 후방판(12b)은 후술되는 포켓(50b)에 양측이 걸리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판(12a)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켓(50b)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후방판(12b)의 길이 및 폭에 대응하는 깊이로 바디(10)의 전방에 홈형태로 형성된다. 포켓(50b)은 전술한 전방판(12a)이 삽입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이 개방되며, 후방판(12b)의 하단이 걸리도록 내측에 단턱(50d)이 형성되고, 후방판(12b)의 양측이 걸리되록 전방 양측에 걸림턱(50e)이 돌출형성된다. 걸림턱(50e)은 전방판(12a)의 테두리가 지지되면서 하단이 걸리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림(RM)이 형성된다. 림(RM)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판(12a)의 측방 및 하단부에 대응하는 형태로 걸림턱(50e)의 전방에 형성된다.
결합부재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켓(50b) 및 끼움판(12)에 암형 및 수형으로 각각 형성되는 결합공(50c) 및 결합돌기(12c)로 구성될 수 있다. 결합공(50c)은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형성되는 구멍으로 형성되거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12c)는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판(12)의 후방판(12b)에 대략 역삼각형의 단면형태로 돌출형성된다. 결합돌기(12c)는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공(50c)에 끼워져서 결합된다. 따라서, 포켓(50b)에 삽입되는 끼움판(12)은 서로 정합되는 결합돌기(12c) 및 결합공(50c)에 의해 상부로 이탈되지 않는다. 그리고, 끼움판(12)은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판(12b) 및 전방판(12a)의 하단부가 단턱(50d) 및 림(RM)에 걸림에 따라 하부로 이탈되지도 않는다. 또한, 끼움판(12)은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판(12b)의 양측이 포켓(50b)의 걸림턱(50e)에 걸림에 따라 전방으로 이탈되지도 않는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벽지고정용 조립식 행거는, 도 6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구가 일체로 구비된 끼움판(12)을 서브 바디(50, 60)의 포켓(50b)에 삽입하여 서브 바디(50, 60)에 끼움판(12)을 고정한다. 이때, 끼움판(12)은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포켓(50b)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행거는, 도 6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판(12)의 전방에 다양한 형태의 고정구가 구비되므로 바디(10)에 필요한 고정구를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자 또는 사용자는 원하는 기능의 고정구를 바디(10)에 고정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질적 특징이 충족될 수 있을 경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형(구조나 구성의 변경이나 부분적 생략 또는 보완)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은 특징의 일부 또는 다수가 상호 간에 조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구조 및 구성은 변형이나 조합에 의해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구조 및 구성의 변형이나 조합이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메인 바디 11: 크로스 홀더
11a: 개방구 12: 끼움판
12a: 전방판 12b: 후방판
12c: 결합돌기 13: 탄성홀더
14: 탄성클램프 30: 웨지핀
50, 60: 서브 바디 50a: 중공
51, 61: 크로스 바 52: 지지돌기
63: 수직대 65: 수평대
67: 후방돌기

Claims (5)

  1. 블록형태의 메인 바디(10);
    상기 메인 바디(10)에 인서트 고정되고, 벽지(W)에 삽입되어 상기 메인 바디(10)를 벽지(W)에 고정하는 복수의 웨지핀(30);
    상기 메인 바디(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 바디(50, 60);
    상기 서브 바디(50, 60)의 전방에 마련되고, 물품이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구; 및
    상기 서브 바디(50, 60)를 상기 메인 바디(1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착탈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구는 걸고리 형태의 후크(H), 측방이 절개된 관체형의 탄성홀더(13), 상부나 하부가 개방된 클립형의 탄성클램프(14) 및 자성체 금속이 부착되는 마그네트(MG)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착탈유닛은,
    상기 메인 바디(10)에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일측이 개방된 개방구(11a)를 갖는 원통형의 홀로 구성된 크로스 홀더(11); 및
    상기 서브 바디(50, 60)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크로스 홀더(11)에 구비된 상기 개방구(11a)의 폭에 대응하는 두께를 가지며, 상기 크로스 홀더(11)의 지름 및 길이에 대응하는 폭 및 길이를 갖는 크로스 바(51, 61);를 포함하고,
    상기 크로스바(51, 61)는,
    상기 크로스 홀더(11)의 상기 개방구(11a)에 삽입이 가능한 두께로 형성되어 두께를 형성하는 측면을 통해 상기 크로스 홀더(11)의 상기 개방구(11a)로 삽입되고, 상기 크로스 홀더(11)의 지름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크로스 홀더(11)의 내측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크로스 홀더(11)를 벌린 후, 벌어진 상기 크로스 홀더(11)의 오무려지려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크로스 홀더(11)의 내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서브 바디(50, 60)는,
    상기 착탈유닛을 통해 상기 메인 바디(10)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메인 바디(10)의 상기 웨지핀(30)과 대향상태를 이루는 후면의 하단부에 일체로 마련되어 후방을 향해 돌출되는 지지돌기(52)나 후방돌기(67);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돌기(52)나 후방돌기(67)는,
    상기 고정구를 통해 물품이 고정되는 상기 서브 바디의 휨이나 기울어짐이 방지되도록, 상기 메인 바디(10)의 상기 웨지핀(30)이 삽입되는 벽지(W)나 벽지(W)에 삽입된 웨지핀(30)을 가압하여 상기 서브 바디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고정용 조립식 행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를 상기 서브 바디(50, 6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패스너;를 더 포함하는 벽지고정용 조립식 행거.
  4.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패스너는,
    상기 고정구가 일체로 구비된 끼움판(12);
    상기 서브 바디(50, 60)에 홈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끼움판(12)이 삽입되는 포켓(50b); 및
    상기 포켓(50b) 및 상기 끼움판(12)에 암형 및 수형으로 각각 형성되고, 서로 결합되어 상기 끼움판(12)을 상기 포켓(50b)에 구속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벽지고정용 조립식 행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바디(50, 60)는,
    상기 크로스바(51, 61)가 상단에 마련되고, 상기 크로스바(51, 61)의 회전시 상기 메인 바디(10)의 전방측 일부를 노출시키는 중공(50a)이 중앙에 마련되며, 후면의 하단부에 상기 지지돌기(52)가 구비된 사각틀 형태 서브 바디(50)로 구성되거나,
    상기 크로스바(51, 61)가 상단에 마련되고, 상기 크로스바(51, 61)에 수직으로 마련되어 상기 크로스바(51, 61)의 회전시 상기 메인 바디(10)에 형성된 수직홈(12)에 삽입되는 수직대(63) 및, 상기 수직대(63)의 하단에 수평으로 마련되어 하단부를 이루는 수평대(65)를 가지며, 상기 수평대(65)의 후면에 상기 후방돌기(67)가 구비된 I형 서브 바디(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고정용 조립식 행거.
KR1020200080016A 2020-06-30 2020-06-30 벽지고정용 조립식 행거 KR102297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016A KR102297998B1 (ko) 2020-06-30 2020-06-30 벽지고정용 조립식 행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016A KR102297998B1 (ko) 2020-06-30 2020-06-30 벽지고정용 조립식 행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7998B1 true KR102297998B1 (ko) 2021-09-02

Family

ID=77794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016A KR102297998B1 (ko) 2020-06-30 2020-06-30 벽지고정용 조립식 행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799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470Y1 (ko) * 2001-12-13 2002-03-23 박정우 옷장용 옷걸이 지지구
KR101374166B1 (ko) 2013-07-08 2014-03-13 이우진 벽지에 고정하는 소품용 행거
KR101450470B1 (ko) 2013-08-23 2014-10-15 이우진 벽지에 고정하는 소품용 행거
KR101670207B1 (ko) 2016-06-21 2016-10-27 강석만 벽지에 고정하는 소품용 행거
KR101719106B1 (ko) * 2016-10-18 2017-03-22 김수열 벽지에 부착되는 행거
KR101794422B1 (ko) 2015-01-30 2017-11-06 진우 이 벽지에 부착되는 행거 조립체
KR101854558B1 (ko) 2017-04-13 2018-05-04 정혜원 벽지 고정설치용 행거 조립체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470Y1 (ko) * 2001-12-13 2002-03-23 박정우 옷장용 옷걸이 지지구
KR101374166B1 (ko) 2013-07-08 2014-03-13 이우진 벽지에 고정하는 소품용 행거
KR101450470B1 (ko) 2013-08-23 2014-10-15 이우진 벽지에 고정하는 소품용 행거
KR101794422B1 (ko) 2015-01-30 2017-11-06 진우 이 벽지에 부착되는 행거 조립체
KR101670207B1 (ko) 2016-06-21 2016-10-27 강석만 벽지에 고정하는 소품용 행거
KR101719106B1 (ko) * 2016-10-18 2017-03-22 김수열 벽지에 부착되는 행거
KR101854558B1 (ko) 2017-04-13 2018-05-04 정혜원 벽지 고정설치용 행거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1945B2 (en) Device for hanging articles
US6478273B1 (en) Wall tack
US10194761B1 (en) User-friendly heavy duty dual-hooks picture frame hanger
KR101794422B1 (ko) 벽지에 부착되는 행거 조립체
KR102297998B1 (ko) 벽지고정용 조립식 행거
US20220211195A1 (en) Mounting Assembly
CN111787832A (zh) 悬挂系统及其支架
KR101854558B1 (ko) 벽지 고정설치용 행거 조립체
US2724568A (en) Nail-less interlocking hanger
KR102350353B1 (ko) 벽지고정식 행거
KR200388711Y1 (ko) 광고물 거치대
KR20050021636A (ko) 월판넬과 포인트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상품진열대
US2985315A (en) Article display board
US20070051023A1 (en) Display assembly for laminar objects
JP2007534366A (ja) 吊し用器具
JP2012100960A (ja) 磁着支持具
JP6911569B2 (ja) ショーケース
JP3234573U (ja) 棚板ハンガー
KR200363417Y1 (ko) 선반의 조립구조
US20240148166A1 (en) Pegboard Hanger Assembly
EP1803378A1 (en) A display hook
JP3236476U (ja) 綴りシートホルダ
US20220000284A1 (en) Pegboard Hanger Assembly
JP2000313187A (ja) シートホルダー
KR200192234Y1 (ko) 물품걸이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