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0207B1 - 벽지에 고정하는 소품용 행거 - Google Patents

벽지에 고정하는 소품용 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0207B1
KR101670207B1 KR1020160076941A KR20160076941A KR101670207B1 KR 101670207 B1 KR101670207 B1 KR 101670207B1 KR 1020160076941 A KR1020160076941 A KR 1020160076941A KR 20160076941 A KR20160076941 A KR 20160076941A KR 101670207 B1 KR101670207 B1 KR 101670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paper
plate body
fixing
reinforcing
mai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6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석만
Original Assignee
강석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석만 filed Critical 강석만
Priority to KR1020160076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02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0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0207B1/ko
Priority to PCT/KR2017/004800 priority patent/WO201722216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22Pin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Holders for articles of personal use in general, e.g.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7Devices for fastening household utensils, or the like, to tables, walls, or the like

Landscapes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지에 고정하는 소품용 행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벽지에 꽂힌 고정핀의 벽지 고정력을 높여 벽지의 찢어짐을 방지하고 힌지식으로 접을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이 증대된 벽지에 고정하는 소품용 행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벽지에 꽂힌 고정핀의 벽지 고정력을 높여 벽지의 찢어짐을 방지하고 힌지식으로 접을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벽지에 고정하는 소품용 행거{Accessory for securing the hanger wallpaper}
본 발명은 벽지에 고정하는 소품용 행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벽지에 꽂힌 고정핀의 벽지 고정력을 높여 벽지의 찢어짐을 방지하고 힌지식으로 접을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이 증대된 벽지에 고정하는 소품용 행거에 관한 것이다.
통상, 가정에서 실내에 액자나 달력, 기타 실내 장식품을 벽면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벽면에 직접 못을 박은 다음 못에 설치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런데, 단단한 콘크리트 벽면에 못을 박는 작업은 매우 어렵고, 매우 큰 소음 진동의 발생으로 이웃 간에 피해를 주게 되며, 못을 박는 작업을 자칫 잘못하면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고, 벽면에 금이 가거나 단단한 시멘트 조각이 떨어져 실내 벽면을 훼손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한번 위치를 정하여 벽면에 못을 박아 놓은 경우, 필요에 따라 위치를 옮기고 싶어도 벽에 박아 놓은 못을 옮길 수가 없으므로 원하는 위치에 또 하나의 새로운 못을 박아야 하므로 실내의 미관을 해치게 하는 요인이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일면에 열에 의해 가소화된 상태로 벽지 등의 피고정면에 부착시키면 냉각되면서 붙고, 그 반대면에는 걸고리를 마련하여 물건을 걸어 사용할 수 있는 간이걸고리가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간이걸고리는 고정력이 약하기 때문에 무거운 물건을 걸 수 없고, 시간이 조금만 지나도 쉽게 떨어져 사용상 불편함이 매우 컸다.
이에, 최근에는 구조적으로 간단하면서도 벽지에 핀을 꽂아 사용함으로써 어느 정도 고정력도 향상시킨 간이 행거가 개시되고 있다.
그런데, 이 간이 행거의 경우에도 조금만 무거운 물건을 걸게 되면 벽지가 쉽게 찢어져 버려 사용하기 어렵고, 벽지가 찢어질 경우 외관을 해치기 때문에 보기 흉하며, 매번 벽지 보수를 해야 하는 문제를 남긴다.
따라서, 벽지에 꽂힌 핀 주변을 보강하는 구조들이 개발되고는 있지만, 이를 누르는 힘이 적기 때문에 현재 시판중인 구조의 간이 행거로는 상술한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할 수 없고 한계에 직면해 있는 상황이다.
대한민국 공개실용 제20-2010-0012509호(2010-12-17) '벽지에 설치하는 행거'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374166호(2014-03-07) '벽지에 고정하는 소품용 행거'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450470호(2014-10-06) '벽지에 고정하는 소품용 행거' 대한민국 실용 등록번호 제20-0209285호(1998-10-07) '침삽식 벽걸이용 행거' 대한민국 실용 등록번호 제20-0266353호(2002-02-18) '조립형 침삽식 벽걸이용 행거'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벽지에 꽂힌 고정핀의 벽지 고정력을 높여 벽지의 찢어짐을 방지하고 힌지식으로 접을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이 증대된 벽지에 고정하는 소품용 행거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벽지에 끼워져 고정되는 다수의 벽지삽입침을 구비한 사각블럭 형상의 메인판체; 접어져 상기 메인판체에 접촉가능한 사각블럭 형상의 보조판체; 상기 메인판체와 보조판체를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판체에는 홈 또는 구멍 또는 돌기 중 어느 한 형태를 갖는 제1고정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보조판체에는 상기 제1고정부와 조립되어 강제고정되는 홈 또는 구멍 또는 돌기 중 어느 한 형태의 제2고정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보조판체는 접어졌을 때 상기 메인판체 및 벽지삽입침까지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보조판체의 상면 또는 상기 메인판체의 일측면에는 걸고리가 더 형성된 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에 고정하는 소품용 행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2고정부가 형성된 면 하측 부위에는 상기 벽지삽입침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끝이 뾰족한 첨단형 돌기 다수개가 돌출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몸체부와, 지지몸체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보강커버부와, 지지몸체부에서 돌출된 다수의 삽입침과, 보강커버부의 외측면에 형성된 걸고리를 갖춘 벽지에 고정하는 소품용 행거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부의 좌우 양측면에 폭방향으로 형성된 반원형상의 볼록돌기와; 상기 삽입침과 벽지와 상기 보강커버부 사이로 끼워져 상기 삽입침과 벽지와 보강커버부 사이의 간격을 없애면서, 상단 양측 내면에는 상기 반원형상의 볼록돌기가 끼워지도록 반원형상의 오목홈을 갖고 하방향으로 점점 뚜꺼워지게 테이퍼 가공된 보강블럭과; 상기 보강블럭 및 걸림편의 좌우 양측 및 하면 부위에 형성된 요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에 고정하는 소품용 행거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몸체부와, 지지몸체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보강커버부와, 지지몸체부에서 돌출된 다수의 삽입침과, 보강커버부의 외측면에 형성된 걸고리를 갖춘 벽지에 고정하는 소품용 행거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부로부터 보강커버부에 이르는 내측면에는 제1비접촉경사면 및 제2비접촉수직면이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침과 벽지와 상기 보강커버부 사이에는 보강블럭이 끼워지되, 상기 보강블럭은 상기 제1비접촉경사면과 대응되는 제1경사대응면 및 제2비접촉수직면과 대응되는 제2수직대응면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침을 향한 면에는 장착시 벽지와의 사이에 '>' 형상의 공간을 갖도록 벽지를 향해 하방이 두꺼워지도록 테이퍼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에 고정하는 소품용 행거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벽지에 꽂힌 고정핀의 벽지 고정력을 높여 벽지의 찢어짐을 방지하고 힌지식으로 접을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벽지에 고정하는 소품용 행거의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벽지에 고정하는 소품용 행거의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품용 행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행거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행거의 바람직한 또다른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행거의 바람직한 또다른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벽지에 고정하는 소품용 행거는 메인판체(10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판체(100)는 대략 사각블럭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세워진 상태에서 하단면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벽지삽입침(110)이 고정된다.
이때, 상기 벽지삽입침(110)은 다수개 구비되는데, 특별히 갯수를 한정할 필요는 없지만 상기 메인판체(100)의 크기를 고려하여 4-5개 정도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메인판체(100)의 판면에는 구멍 또는 홈 또는 돌기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는 다수개의 제1고정부(120)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메인판체(100)의 상단에는 힌지부(300)를 매개로 접어질 수 있는 보조판체(200)가 연결된다.
여기에서, 상기 보조판체(200)는 접어졌을 때 상기 메인판체(100)는 물론 상기 메인판체(100)의 하단면에서 돌출된 벽지삽입침(110)까지 모두 덮을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됨이 특히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보조판체(200)의 하단면, 즉 접어졌을 때 상기 메인판체(100)의 일측면과 접하는 면에는 상기 제1고정부(120)와 조립되어 강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고정부(120)와 대응되는 위치와 갯수로 제2고정부(210)가 형성된다. 때문에, 상기 제2고정부(210)도 홈 또는 구멍 또는 돌기 중 하나가 될 것이다.
특히, 상기 제2고정부(210)와 상기 제1고정부(120)는 억지끼움방식으로 끼워 고정되면 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어 더욱 좋다.
또한, 상기 보조판체(200)의 상면 적소에는 걸고리(220)가 일체로 돌출 형성될 수도 있는데, 상기 걸고리(220)는 보조판체(200)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메인판체(100)에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메인판체(100)에 형성될 경우에는 상기 보조판체(200)의 대응지점이 개방되어 있어야 보조판체(200)를 접을 때 간섭되지 않을 것이다.
덧붙여, 상기 보조판체(200)의 표면, 즉 상면에는 요철형태의 리브(Rib)가 더 형성되어 강도를 보강하면 더욱 좋을 것이다.
만약, 리브를 형성하지 않을 경우에는 표면이 평평하고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거기에 광고문구나 홍보용 도안이나 글씨, 그림 등을 인쇄하거나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 더욱 좋다.
그리고, 상기 보조판체(200)의 하면에는 상기 벽지삽입침(110)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다수의 첨단형(尖湍形) 돌기(230)가 돌출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첨단형 돌기(230)는 정점이 날카롭게 돌출된 별모양 혹은 삼각뿔 형태나 사각뿔 형태 등과 같이 되어 보조판체(200)를 접었을 때 벽지삽입침(110) 사이에서 벽지와 접촉되면서 벽지를 일부 뚫고 들어가거나 혹은 벽지를 할퀴듯이 최대로 밀착되게 하여 벽지삽입침(110)이 벽지 속에 완전히 갇힌 채 박히도록 하여 강한 고정력과 벽지 찢어짐을 방지함으로써 다소 무게가 있는 물건을 걸어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힘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힌지부(300)는 메인판체(100)의 상단과 보조판체(200)의 일단이 만나는 부분을 얇게 성형하고, 성형부위의 안쪽이 호형상, 더 바람직하게는 원형 단면을 갖도록 얇아지게 함으로써 접었을 때 도 3과 같이 원형으로 구부려지는 힌지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보다 강한 고정력과 버팀력을 가질 수 있으면서 벽지 찢어짐은 더 강력하게 방지하므로 간이 행거로서의 효용성을 증대시키는 특징을 갖는다.
아울러, 사용방법 등은 이미 공지된 선행기술들에 나타나 바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덧붙여, 도 4에서와 같이 또다른 변형 형태의 실시예를 더 구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도시하고 있는 행거는 각지게 예시되어 있으나 가급적 라운드처리하여 상해위험성을 줄이고, 부드럽고 보기 좋게 디자인함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따르면, 메인판체(100)와 보조판체(200)의 상단을 힌지로 연결한 경우는 물론 힌지로 연결하지 않고 고정나사(NSA)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고정나사(NSA)의 고정을 위해 제1고정부(120)는 돌기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2고정부(210)는 구멍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1고정부(120)가 제2고정부(210)에 삽입되는 형태로 구성되어야 한다.
이때, 돌기 형태를 갖는 상기 제1고정부(120) 중 어느 하나에는 고정나사(NSA)가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홈(SAH)을 구비하여야 하며, 이 경우 걸고리(220)는 보조판체(200)를 메인판체(100)에서 분리할 때 파지하는 손잡이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다른 예로, 도 5 및 도 6과 같이 변형할 수 있다. 다만, 앞서 설명한 예와 메인판체와 보조판체의 형상이 조금 다른 형태이므로 부호를 달리하여 설명하기로 하지만 기능은 동일한 것이다.
이것은 도 5의 (a)와 같이 종래 'ㄱ'자형 구조에서는 지지몸체부(10)와 보강커버부(20)로 구성되고, 지지몸체부(10)의 하측 중 절곡되기 전의 하면(BT)에서 다수의 삽입침(30)이 돌출된 구조를 가지며, 보강커버부(20)의 외측면에 걸고리(220)를 갖춘 구조였기 때문에 다소 무거운 물건(50)을 걸고리(220)에 걸게 되면 삽입침(30)과 물건(50) 사이가 떠서 공간이 생긴 형태이므로 보강커버부(20)가 도시와 같이 회전되면서 삽입침(30)의 일부를 누르게 되므로 그 위쪽에서는 삽입침(30)이 꺽이면서 꺽인 부위의 벽지가 찢어지게 되어 다소 무거운 물건(50)은 걸 수 없고 아주 경량의 물건만 걸어야 하므로 사용상 한계가 컸다.
물론, 이 구조에서도 보강커버부(20)의 길이를 충분히 길게 하면 휘어짐 발생을 적게 할 수 있지만, 그럴 경우에는 보강커버부(20)가 삽입침(30)을 가려서 안보이게 되므로 삽입침(30)을 벽지에 끼워 넣을 때 불량삽입이 될 우려가 높고 삽입된 상태를 확인할 수 없어 보강커버부(20)를 일정길이 이상 길게 형성할 수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도 5의 (b)와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보강커버부(20)와 삽입침(30) 사이에 개재되어 삽입침(30)과 물건(50) 사이의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보강블럭(60)을 채워 넣음으로써 삽입침(30)의 휨변형도 방지하고, 물건(50)이 걸렸을 때 물건(50)이 미는 힘을 고스란히 벽지쪽으로 가함과 동시에 삽입침(30)으로도 가해 벽지가 찢어지지 않고 벽지와 삽입침(30)이 보강블럭(60)의 가압력에 의해 밀착되게 유지되어 안정성이 증대됨으로서 기존 구조에서는 걸 수 없던 무게까지 증대시켜 걸어도 벽지가 찢어지지 않고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구조를 갖추도록 하였다.
즉, 도 6에서와 같이, 삽입침(30)을 벽지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 삽입침(30)과 보강커버부(20) 사이 공간으로 보강블럭(60)을 밀어 넣는다. 이때, 밀어 넣는 방향은 하방에서 상방을 향해 이루어진다.
이때, 지지몸체부(10)의 좌우 양측면에는 걸림돌기(12)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보강블럭(60)의 좌우 양측면에는 걸림편(6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편(62)의 상단부에는 상기 걸림돌기(12)가 끼워지는 홈 또는 구멍 형태의 걸림부(6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64)에 상기 걸림돌기(12)가 걸려 고정됨으로써 보강커버부(20)와 삽입침(30) 사이에는 도 5의 (b)와 같은 형태로 보강블럭(60)이 배치되어 벽지를 뚫고 들어간 삽입침(30)들이 걸고리(220)에 무거운 물건(50)이 걸릴 때 삽입침(30)들 상부가 벽지 반대쪽으로 휘어지며 변형되면서 벽지의 찢어짐 현상이 계속되는 것을 발생하지 않게 함으로써 삽입침(30)이 벽지에 고정되는 힘, 즉 물건(50)을 걸 수 있는 중량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보강블럭(60)은 하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두꺼워지게 테이퍼 가공되어야 한다.
이것은 테이퍼 가공된 보강블럭(60)을 강제로 끼워 넣음으로써 지지몸체부(10)의 벽면쪽인 삽입침(30)들을 벽면쪽으로 강제적으로 밀어 삽입침(30)과 지지몸체부(10) 벽면쪽의 면의 거리에 의해서 삽입침(30) 상부 부위가 완만하게 벽면과 반대쪽으로 휘어져 있는 것을 강제로 수직적으로 벽면 쪽으로 밀어 삽입침(30) 상부 부위를 수직적으로 곧게 펴줌과 동시에 지지몸체부(10)가 벽면(사실상 벽지)에 완전히 달라붙는 형태로 밀착되게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큰 무게의 물건을 매달아도 하중이 벽면과 수직적으로 곧게 펴진 삽입침(30)들에게 수직적으로 힘이 가해지게 함으로써 벽지가 손상되지 않고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하여 준다.
다시 말해, 보강블럭(60)이 삽입침(30)들과 보강커버부(20) 사이에서 벽지가 더 이상 찢어지지 않도록 강제적으로 막고 있게 되어 상대적으로 무거운 물건을 매달 수 있는 기존에 없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보강블럭(60)의 양측면 및 하면에 요철을 더 형성하면 잡고 끼우기 편리하다.
이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들 중에서 가장 바람직한 예로 도 7과 같은 형태의 행거를 들 수 있다.
즉, 도 7은 도 6의 구현예를 실제 금형제작에 가장 합당하게 구성한 사실적인 제품 출시를 위한 것으로, 지지몸체부(10)의 좌우 양측면에 폭방향으로 폭 전체에 걸쳐 반원형상의 볼록돌기(12')를 만들고, 상기 지지몸체부(10)의 좌우 양측면에 끼워지는 걸림편(62)의 양측 내면에는 상기 반원형상의 볼록돌기(12')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볼록돌기(12')와 대응되게 반원형상의 오목홈(64')을 형성한 구조를 갖는 보강블록(60)이다.
이러한 구조는 별도의 슬라이드 금형없이도 반원형상의 볼록돌기(12')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금형제작이 쉽고 간편하여 금형제작에 따른 비용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성형자유도도 높아지기 때문에 성형성이 좋고, 특히 반원형상의 오목홈(64')은 노치 역할을 하므로 탈부착식 탄성을 제공하여 보강블럭(60)의 탈부착 용이성, 편리성도 함께 제공하므로 사용상 편의성이 현저히 증대된다.
또다른 예로, 본 발명에 따른 행거는 도 8 내지도 10과 같은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때,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도면은 도 10의 A-A선을 따라 절취한 종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에 따르면, 지지몸체부(10)의 형상이 상기 지지몸체부(10)의 하단에 형성된 보강커버부(20)와 지지몸체부(10)의 연결구조를 설계함에 있어 제1비접촉경사면(INS)과 제2비접촉수직면(VER)을 통해 연결된 점이 특징중 하나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보강블럭(60)이 상기 제1비접촉경사면(INS)과 제2비접촉수직면(VER)이 삽입침(30)과 간격을 갖고 형성된 공간 사이로 삽입되기 때문에 상기 보강커버부(20)는 아무리 휘어지더라도 결코 삽입침(30) 혹은 벽지와 접촉되지 않는 비접촉구조를 갖는다는 점에 있어 기존 제품 혹은 선행기술들과 분명한 차이를 갖는다.
특히, 보강블럭(60)은 상기 제1비접촉경사면(INC)에 대응되는 제1경사대응면(66a)과, 상기 제2비접촉수직면(VER)에 대응되는 제2수직대응면(66b)을 포함하며, 상기 제2수직대응면(66b)의 단부로부터 수평연장되어 상기 보강커버부(20)의 하단이 안착되어 걸림되는 스토퍼면(66c)을 이룬다.
한편, 상기 보강블럭(60)의 벽지를 향한 면은 상단으로부터 일정길이 수직하게 연장된 블럭수직면(68a)을 이루고, 상기 블럭수직면(68a)의 단부에서 보강블럭(60)의 하단까지는 다시 두께가 점점 두꺼워지는 형태, 즉 삽입침(30)을 향해 경사진 블럭테이퍼면(68b)을 이룬다.
이때, 상기 보강블럭(60)은 삽입침(30)이 벽지에 꽂힌 다음에 하방에서 상방으로 끼워지는 것이므로 보강블럭(60)이 끼워질 때 블럭테이퍼면(68b) 때문에 보강블럭(60)은 강제 끼움형태가 되며, 그 과정에서 삽입침(30)이 도 9와 같이 휘게 된다.
특히, 상기 보강블럭(60)은 삽입침(30)의 길이만큼 유지되게 하고 삽입침(30)과 보강커버부(20) 사이에 끼워지게 함으로써 행거 설치작업중 삽입침(30)의 하단이 벽지를 뚫고 나오더라도 보강블럭(60)이 커버하기 때문에 보강블럭(60)을 아래에서 위로 끼울 때 사용자의 손가락이 찔릴 염려가 없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보강블럭(60)이 보강커버부(20)에 걸리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하방에서 상방으로 강제 끼워 고정하는 방식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9를 참조하여 설치 과정을 설명한다.
도 9와 같이, 먼저 지지몸체부(10)를 잡고 삽입침(30)을 벽지에 끼워 넣는다.
그러면, 삽입침(30)은 벽지와 벽면 사이로 끼워지며 최대로 꽂히게 되면 지지몸체부(10)의 전면(벽지를 바라보는 면) 상단이 벽지로부터 살짝 벌어지게 된다. 이것은 삽입침(30)이 지지몸체부(10)의 전면 끝에 맞춰 형성된 것이 아니라 약간 들어간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당연한 것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무거운 물건을 걸고리(220)에 걸게 되면 삽입침(30)이 쉽게 휘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이 상태에서 보강블럭(60)을 잡고 벽지와 보강커버부(20) 사이의 공간으로 끼워 넣는다. 즉, 하방에서 상방으로 끼워 밀어 올린다.
그러면, 상기 보강블럭(60)은 상기 공간보다 큰 두께의 블럭테이퍼면(68b) 때문에 억지끼움, 즉 강제끼움되면서 도 9처럼 삽입침(30)은 물론 벽지가 활처럼 휘게 되고, 그 과정에서 지지몸체부(10)의 상단 전면 벽지면 쪽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력을 받아 벽지에 최대한 밀착되게 된다.
때문에, 걸고리(220)는 약간 벽지면 쪽으로 들어 올려진 상태가 되므로 하중이 큰 물건을 걸더라도 수직하중이 벡터력에 의해 분해되므로 하중 분산 효과를 얻을 수 있어 기존 대비 현저히 큰 중량의 물건까지 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보강블럭(60)의 하단부에 형성된 요철부(68c)는 보강블럭(60)을 끼워 넣을 때 벽지와의 접촉시 미끄러져 내리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고정작업이 이루어지게 한다.
즉, 본 발명의 핵심적인 개념은 블럭테이퍼면(68b)의 존재로 인해 보강블럭(60)을 강제끼우도록 구성함으로써 지지몸체부(10)를 벽지면 쪽으로 완전히 붙게 밀착시킬 수 있다는 점에 있다. 이것은 결국 도 9와 같은 형상을 유지하게 하여 수직하중을 벡터분해력으로 분해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행거가 정말 고하중을 견딜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시중에 시판중인 종래 행거와 본 발명에 따른 행거를 동일한 벽지에 끼워 설치한 다음 2리터(2kg)짜리 페트병을 걸어 무게를 견디는지 확인하였다.
확인 결과, 종래 행거의 경우에는 페트병 2개(4kg)를 걸었을 때 휘어지면서 벽지가 찢어져 낙하되었으나, 본 발명의 행거는 페트병 3개(6kg)까지 견디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행거가 고하중에 견딜 수 있는 획기적인 구조임을 최종 확인하였다.
덧붙여, 상기 보강블럭(60)의 형상은 도 10과 같으며, 양측면에는 작업시 손에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돌기(DTR)가 더 형성되는데, 상기 미끄럼방지돌기(DRT)는 보강블럭(60)의 하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중량 절감을 위해 보강블럭(60)의 폭방향으로 요철홈(GRT)가 다수 형성되어 살빼기할 수도 있으며, 이때 요철홈(GRT)은 상하길이방향으로 긴 슬롯 형태로 이루어진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걸고리(220)는 물건이 걸리는 공간 형성시 지지몸체부(10)의 상측에서부터 시작되어 보강커버부(20)의 전면부 또는 상측면까지 형성되기 때문에 물건이 걸려 가하는 하중은 벽지면 쪽에 최대한 가깝게 되어 모멘트, 즉 팔길이가 짧아짐으로써 같은 물건의 하중이 걸리더라도 더 큰 하중까지 견딜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모멘트(회전토크)는 팔길이와 관련되는데 이때 본 발명에서 팔길이란 벽지면에서 물건이 걸리는 지점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고 보면 된다.
더구나, 도 8에서 예시한 사시도와 같이, 걸고리(220)는 지지몸체부(10)와 보강커버부(20)에 걸쳐 일체로 연결되게 형성되기 때문에 물건이 걸려 하중을 받게 되면 벡터분해력에 의해 일부는 지지몸체부(10)로 분산되고, 나머지 일부만 보강커버부(20)를 통해 수직하중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지지몸체부(10)로 분산된 벡터분해력은 벽지면을 미는 힘으로 작용하게 되고, 이로 인해 그 만큼 더 많은 하중을 버틸 수 있게 된다.
100: 메인판체 200: 보조판체
300: 힌지부

Claims (6)

  1. 벽지에 끼워져 고정되는 다수의 벽지삽입침을 구비한 사각블럭 형상의 메인판체;
    접어져 상기 메인판체에 접촉가능한 사각블럭 형상의 보조판체;
    상기 메인판체와 보조판체를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판체에는 홈 또는 구멍 또는 돌기 중 어느 한 형태를 갖는 제1고정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보조판체에는 상기 제1고정부와 조립되어 강제고정되는 홈 또는 구멍 또는 돌기 중 어느 한 형태의 제2고정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보조판체는 접어졌을 때 상기 메인판체 및 벽지삽입침까지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보조판체의 상면 또는 상기 메인판체의 일측면에는 걸고리가 더 형성된 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에 고정하는 소품용 행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가 형성된 면 하측 부위에는 상기 벽지삽입침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끝이 뾰족한 첨단형 돌기 다수개가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에 고정하는 소품용 행거.
  3. 벽지에 끼워져 고정되는 다수의 벽지삽입침을 구비한 사각블럭 형상의 메인판체;
    씌워져 상기 메인판체에 접촉가능한 사각블럭 형상의 보조판체;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판체에는 다수의 돌기로 이루어진 제1고정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보조판체에는 상기 제1고정부가 끼워지는 구멍 형태의 제2고정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부 중 하나에는 나사홈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홈에는 상기 보조판체를 상기 고정판체에 밀착 고정시키는 고정나사가 체결되고;
    상기 보조판체는 씌워졌을 때 상기 메인판체 및 벽지삽입침까지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보조판체의 상면 또는 상기 메인판체의 일측면에는 걸고리가 더 형성된 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에 고정하는 소품용 행거.
  4. 지지몸체부와, 지지몸체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보강커버부와, 지지몸체부에서 돌출된 다수의 삽입침과, 보강커버부의 외측면에 형성된 걸고리를 갖춘 벽지에 고정하는 소품용 행거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부의 좌우 양측면에 폭방향으로 형성된 반원형상의 볼록돌기와;
    상기 삽입침과 벽지와 상기 보강커버부 사이로 끼워져 상기 삽입침과 벽지와 보강커버부 사이의 간격을 없애면서, 상단 양측 내면에는 상기 반원형상의 볼록돌기가 끼워지도록 반원형상의 오목홈을 갖고 하방향으로 점점 뚜꺼워지게 테이퍼 가공된 보강블럭과;
    상기 보강블럭 및 걸림편의 좌우 양측 및 하면 부위에 형성된 요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에 고정하는 소품용 행거.
  5. 지지몸체부와, 지지몸체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보강커버부와, 지지몸체부에서 돌출된 다수의 삽입침과, 보강커버부의 외측면에 형성된 걸고리를 갖춘 벽지에 고정하는 소품용 행거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부로부터 보강커버부에 이르는 내측면에는 제1비접촉경사면 및 제2비접촉수직면이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침과 벽지와 상기 보강커버부 사이에는 보강블럭이 끼워지되, 상기 보강블럭은 상기 제1비접촉경사면과 대응되는 제1경사대응면 및 제2비접촉수직면과 대응되는 제2수직대응면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침을 향한 면에는 장착시 벽지와의 사이에 '>' 형상의 공간을 갖도록 벽지를 향해 하방이 두꺼워지도록 테이퍼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에 고정하는 소품용 행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걸고리는 상기 지지몸체부와 보강커버부에 걸쳐 일체로 연결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에 고정하는 소품용 행거.
KR1020160076941A 2016-06-21 2016-06-21 벽지에 고정하는 소품용 행거 KR101670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941A KR101670207B1 (ko) 2016-06-21 2016-06-21 벽지에 고정하는 소품용 행거
PCT/KR2017/004800 WO2017222166A1 (ko) 2016-06-21 2017-05-10 벽지에 고정하는 소품용 행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941A KR101670207B1 (ko) 2016-06-21 2016-06-21 벽지에 고정하는 소품용 행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0207B1 true KR101670207B1 (ko) 2016-10-27

Family

ID=57247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6941A KR101670207B1 (ko) 2016-06-21 2016-06-21 벽지에 고정하는 소품용 행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70207B1 (ko)
WO (1) WO2017222166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4565B1 (ko) * 2017-07-28 2018-05-03 강석만 벽지핀을 이용한 철제네트 고정구
KR101854558B1 (ko) * 2017-04-13 2018-05-04 정혜원 벽지 고정설치용 행거 조립체
KR102101990B1 (ko) * 2019-07-02 2020-04-20 김준태 벽 부착용 행거
KR102202903B1 (ko) * 2019-08-30 2021-01-13 김준태 벽지 고정용 행거
KR102297998B1 (ko) 2020-06-30 2021-09-02 이우진 벽지고정용 조립식 행거
KR102323146B1 (ko) * 2020-05-19 2021-11-11 리파코 주식회사 일체형 벽 부착용 행거
KR102323150B1 (ko) * 2020-05-19 2021-11-11 리파코 주식회사 분리형 벽 부착용 행거
KR20220001718A (ko) 2020-06-30 2022-01-06 이우진 벽지고정식 행거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285Y1 (ko) 1998-06-20 2001-03-02 박원관 침삽식(針揷式) 벽걸이용 행거
KR200266353Y1 (ko) 2001-11-10 2002-03-02 박원관 조립형침삽식벽걸이용행거
KR20100012509U (ko) 2009-06-09 2010-12-17 최선웅 벽지에 설치하는 행거
KR20120036525A (ko) * 2010-10-08 2012-04-18 이영희 고하중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선반
KR20120103159A (ko) * 2011-03-10 2012-09-19 이큐맥슨제약 주식회사 치약걸이 장치
KR101374166B1 (ko) 2013-07-08 2014-03-13 이우진 벽지에 고정하는 소품용 행거
KR101450470B1 (ko) 2013-08-23 2014-10-15 이우진 벽지에 고정하는 소품용 행거
KR101549578B1 (ko) * 2014-01-28 2015-09-02 김태준 침 삽입형 벽걸이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285Y1 (ko) 1998-06-20 2001-03-02 박원관 침삽식(針揷式) 벽걸이용 행거
KR200266353Y1 (ko) 2001-11-10 2002-03-02 박원관 조립형침삽식벽걸이용행거
KR20100012509U (ko) 2009-06-09 2010-12-17 최선웅 벽지에 설치하는 행거
KR20120036525A (ko) * 2010-10-08 2012-04-18 이영희 고하중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선반
KR20120103159A (ko) * 2011-03-10 2012-09-19 이큐맥슨제약 주식회사 치약걸이 장치
KR101374166B1 (ko) 2013-07-08 2014-03-13 이우진 벽지에 고정하는 소품용 행거
KR101450470B1 (ko) 2013-08-23 2014-10-15 이우진 벽지에 고정하는 소품용 행거
KR101549578B1 (ko) * 2014-01-28 2015-09-02 김태준 침 삽입형 벽걸이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4558B1 (ko) * 2017-04-13 2018-05-04 정혜원 벽지 고정설치용 행거 조립체
KR101854565B1 (ko) * 2017-07-28 2018-05-03 강석만 벽지핀을 이용한 철제네트 고정구
KR102101990B1 (ko) * 2019-07-02 2020-04-20 김준태 벽 부착용 행거
KR102202903B1 (ko) * 2019-08-30 2021-01-13 김준태 벽지 고정용 행거
KR102323146B1 (ko) * 2020-05-19 2021-11-11 리파코 주식회사 일체형 벽 부착용 행거
KR102323150B1 (ko) * 2020-05-19 2021-11-11 리파코 주식회사 분리형 벽 부착용 행거
KR102297998B1 (ko) 2020-06-30 2021-09-02 이우진 벽지고정용 조립식 행거
KR20220001718A (ko) 2020-06-30 2022-01-06 이우진 벽지고정식 행거
KR102350353B1 (ko) * 2020-06-30 2022-01-11 이우진 벽지고정식 행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222166A1 (ko) 2017-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0207B1 (ko) 벽지에 고정하는 소품용 행거
US7735806B2 (en) Panel removal tool and method
US20210137290A1 (en) Secure hold hook
CN103501653A (zh) 行李箱及行李箱把手用挡件
CA3039704A1 (en) Hanging device for siding members
US6027091A (en) Curtain clip
US20060186306A1 (en) Mounting device with support plate
US8359707B1 (en) Rod bracket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KR20130097910A (ko) 벽면부착식 옷걸이
US8925148B2 (en) Rod bracket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KR200448803Y1 (ko) 다기능 물건 걸이 장치
KR101837290B1 (ko) 벽지핀에 탈부착이 가능한 보조 걸고리를 갖춘 걸고리 틀
KR200281344Y1 (ko) 서랍 낙하방지구조
JP3234573U (ja) 棚板ハンガー
CN210539264U (zh) 一种易于拆卸的商标吊绳
CN218008494U (zh) 一种带启瓶器结构的拉扣
JP3163244U (ja) ステッキ類の立て掛け用固定具
KR200441789Y1 (ko) 고정수단이 구비된 손톱깎이
KR101854565B1 (ko) 벽지핀을 이용한 철제네트 고정구
KR200383351Y1 (ko) 고무자석을 이용한 행거
KR100665382B1 (ko) 철제가구용 옷걸이대
JP4968725B2 (ja) ストラップ補助具
JPH0411586Y2 (ko)
JP2508938Y2 (ja) 小物類の吊持体
KR200229867Y1 (ko) 벨트행거_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