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4540A - 올리고펩타이드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올리고펩타이드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4540A
KR20160084540A KR1020150000634A KR20150000634A KR20160084540A KR 20160084540 A KR20160084540 A KR 20160084540A KR 1020150000634 A KR1020150000634 A KR 1020150000634A KR 20150000634 A KR20150000634 A KR 20150000634A KR 20160084540 A KR20160084540 A KR 20160084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ligopeptide
present
kttks
ghk
deriv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0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0486B1 (ko
Inventor
채규윤
김보미
강태진
Original Assignee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앤코스메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앤코스메슈 filed Critical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00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0486B1/ko
Publication of KR20160084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4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08Tri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6Tri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8Peptide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00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 C07K1/04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on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00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 C07K1/107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by chemical modification of precursor peptides
    • C07K1/1072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by chemical modification of precursor peptides by covalent attachment of residues or functional groups
    • C07K1/1077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by chemical modification of precursor peptides by covalent attachment of residues or functional groups by covalent attachment of residues other than amino acids or peptide residues, e.g. sugars, polyols, fatty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08Tripeptides
    • C07K5/0802Tri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 C07K5/0804Tri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and aliphatic
    • C07K5/0806Tri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and aliphatic the side chain containing 0 or 1 carbon atoms, i.e. Gly, Ala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6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5 to 11 amino ac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올리고펩타이드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올리고펩타이드에 신납산을 펩타이드 결합으로 접합시켜 물이나 유기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우수하고, 강력한 항산화 효과와 안정성을 겸비하여 주름개선 효과가 우수한 올리고펩타이드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올리고펩타이드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조성물{Oligopeptide derivatives and skin wrinkle composition comprising it}
본 발명은 올리고펩타이드에 신납산을 펩타이드 결합으로 접합시켜 제조한 올리고펩타이드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는 크게 표피층, 진피층, 피하지방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피부의 가장 기본적인 역할은 우리 몸으로부터 수분이 증발되는 것을 막아주며 외부로부터 유해성분이 침입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피부는 항상 외부 자극으로부터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방어 능력을 가지고 있다. 또한, 피부는 아름다움을 나타내는 표징으로써 피부가 건강하고 깨끗함은 곧 사람의 아름다움과 연관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최근들어, 여성 뿐 아니라 남성들도 피부 노화 등 여러 가지 피부 트러블들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면서 이와 관련된 제품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사람은 나이가 들면서 피부노화가 일어나게 되는데 그 대표적인 증상이 주름(Wrinkle)이다. 주름은 나이를 나타내는 하나의 현상으로서, 주름이 생기는 대표적인 원인은 피부의 진피에서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콜라겐의 분해에 기인한다. 피부의 콜라겐은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생성이 저하되기도 하나, 자외선 등의 외부 자극에 의해 콜라겐 분해 효소(matrix metallo proteinase, MMP-1)의 활성도가 높아지면서 콜라겐이 쉽게 분해되어 주름의 생성이 증가되는 임상 보고들도 많다. 따라서, 최근에는 MMP-1의 생성의 저해 및 활성을 억제하여 근본적으로 생성되는 콜라겐의 분해를 억제하는 제품들도 많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MMP는 다형핵성호중구(polymorphonuclear neutrophil), 대식세포(macrophage), 섬유아세포(fibroblast) 등과 같은 세포로부터 분비되는 칼슘 및 아연 의존성 엔도펩티다제(endopeptidase)로 중성 pH에서 작용하며, 기질로서 여러 가지 세포의 기질을 이용한다. 주로 피부에서는 MMP-1, MMP-2, MMP-9 이외에 여러 가지 효소들이 작용하는데, 콜라겐 분해와 관련되어 가장 근본적으로 작용하는 효소는 MMP-1이다. 일반적으로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는 종래의 물질로는 레티노이드(RE36068), TGF-β(transforming growth factor), 베툴린산(JP8-208424) 등이 있으며, MMP-1의 생성을 억제하는 물질로는 TGF-β(transforming growth factor)가 대표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천연물들이 MMP-1 생합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주름 생성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거나, 또는 콜라겐 분해효소의 생성 및 활성을 억제 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현재까지 피부노화 억제를 위하여 사용된 물질로는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superoxide dismutase, SOD) 효소, 지용성 또는 수용성 항산화제 또는 라디칼 소거제 등이 있으며, 이들은 주로 피부노화에 따른 주름 형성을 억제하는 예방 효과가 있다. 항산화 효과에 의한 주름 제거를 표방해온 비타민 C, SOD, β-carotene 등은 그 항산화 효과를 통해 피부 노화를 완화하여 주름을 개선하고 피부 탄력을 증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수년 이상 국내 주름 화장품의 대명사처럼 사용되어온 비타민 A 즉, 레티놀 및 그 유도체군은 기존의 주름개선 원료들에 비해 주름완화 효과가 항산화제보다 빠르게 나타나고 또한 피부 재생, 미백 등의 부가적인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었다. 그러나 레티놀은 빛을 받았을 경우 빛에 의해 변성되면서 피부에 자극을 일으키는 광독성과 그 안정성이 끊임없이 문제가 되어왔고, 비타민 C의 경우는 강력한 항산화 효과로 인해 안정성에 대한 해결이 매우 중요하게 대두되었다. 비타민 C에 대한 다양한 안정화 방법이 제시 되었으나, 그 안정성과 항산화 효과의 상관관계는 매우 풀기 어려운 문제로서 여겨지고 있다.
따라서, 강력한 항산화 효과와 안정성을 겸비하면서 주름개선 효과가 탁월한 화장료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0740071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물이나 유기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우수하여 제형화, 가공 및 전달이 용이한 올리고펩타이드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강력한 항산화 효과와 안정성을 겸비하면서, 세포독성이 없으며, 경피흡수율 및 주름개선 효과가 탁월한 올리고펩타이드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올리고펩타이드 유도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화학식 2]
Figure pat00002
[화학식 3]
Figure pat00003
또한 본 발명은 (S1)올리고펩타이드를 합성하는 단계; 및 (S2)상기 올리고펩타이드에 신남산(cinnamic acid)을 펩타이드 결합으로 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화학식 1,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올리고펩타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올리고펩타이드는 GHK(Gly-His-Lys), KTTKS(Lys-Thr-Thr-Lys-Ser) 및 EEMQRR(Glu-Glu-Met-Gln-Arg-Arg)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올리고펩타이드는 고체상 합성법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올리고펩타이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올리고펩타이드 유도체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3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올리고펩타이드 유도체는 물이나 유기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우수하여 제형화, 가공 및 전달이 용이하며, 강력한 항산화 효과와 안정성을 겸비하면서, 세포독성이 없고, 경피흡수율이 증가되어 화장품 원료로 사용하기에 유용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올리고펩타이드 유도체는 항염 및 항산화 효과 뿐 아니라 주름 개선효과를 가져 각종 기능성 화장료에 사용하기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CN-GHK의 1H NMR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CN-GHK의 13C NMR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CN-KTTKS의 1H NMR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CN-KTTKS의 13C NMR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CN-EEMQRR의 1H NMR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CN-EEMQRR의 13C NMR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CN-GHK의 분자량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CN-KTTKS의 분자량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CN-EEMQRR의 분자량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CN-GHK의 세포독성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CN-KTTKS의 세포독성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CN-GHK의 항염증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CN-KTTKS의 항염증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주름 개선 효과가 알려진 올리고펩타이드를 기본구조로 하여 신남산(cinnamic aicd, CN)을 올리고펩타이드에 접합시켜 올리고펩타이드 유도체를 제조하고, 이렇게 제조된 올리고펩타이드 유도체의 용해도와 생리활성을 측정하여 화장료 또는 의약품에 적용가능한 신규한 소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올리고펩타이드 유도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4
[화학식 2]
Figure pat00005
[화학식 3]
Figure pat00006
상기 화학식 1,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올리고펩타이드 유도체는 올리고펩타이드에 신남산을 펩타이드 결합에 의해 접합시켜 제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올리고펩타이드 유도체는, 올리고펩타이드를 합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올리고펩타이드에 신남산을 펩타이드 결합으로 접합시키는 단계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올리고펩타이드 유도체는 하기 반응식 1, 반응식 2 또는 반응식 3과 같이 제조할 수 있다. 하기 반응식 1 내지 3은 본 발명의 올리고펩타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의 일예로, 본 발명의 올리고펩타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이 하기 반응식 1 내지 3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응식 1]
Figure pat00007
[반응식 2]
Figure pat00008
[반응식 3]
Figure pat00009

상기 반응식 1 내지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올리고펩타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1)올리고펩타이드 합성
본 발명의 올리고펩타이드 유도체의 기본구조가 되는 올리고펩타이드는 주름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올리고펩타이드이면 그 종류가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올리고펩타이머는 트라이펩타이드인 Gly-His-Lys(GHK), Lys-Thr-Thr-Lys-Ser(KTTKS) 또는 Glu-Glu-Met-Gln-Arg-Arg(EEMQRR)의 서열을 갖는 올리고펩타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GHK 또는 KTTKS를 사용하는 것이 우수한 주름개선 효과의 발현을 위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올리고펩타이드는 통상의 고체상 합성법에 의해 합성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고체상인 2-염화 클로로트리틸(2-chlorotrityl chloride) 수지 또는 트리알콕시 벤즈하이드릴아민(trialkoxy benzhydrylamine) 수지에 보호기로 보호된 아미노산을 차례로 짝지음 반응시켜 고체상 수지에서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N-말단이 보호된 GHK, KTTKS 및 EEMQRR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GHK, KTTKS 또는 EEMQRR의 합성방법은 반응식 4, 반응식 5 또는 반응식 6으로 나타낼 수 있다.
[반응식 4]
Figure pat00010
[반응식 5]
Figure pat00011
[반응식 6]
Figure pat00012
(S2)올리고펩타이드 유도체 합성(상기 반응식 1 내지 3 참조)
상기와 같이 합성되어 N-말단과 곁사슬이 Fmoc로 보호된 올리고펩타이드의 N-말단에 신남산(cinnamic acid, CN)의 말단 카르복실기와 펩타이드 반응시켜 접합한다. 상기 펩타이드 반응 시 결합제로 DIC와 HOBt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반응온도는 30℃ 정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합성된 올리고펩타이드 유도체는 산처리하여 중합체로부터 펩타이드를 분리하고 곁사슬의 보호기를 제거하여 CN-GHK(화학식 1), CN-KTTKS(화학식 2) 및 CN-EEMQRR(화학식 3)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산은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rifluoroacetic, TFA)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한 본 발명의 화학식 1,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올리고펩타이드 유도체는 본 발명의 올리고펩타이드 유도체는 물이나 유기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우수하여 제형화, 가공 및 전달이 용이하며, 강력한 항산화 효과와 안정성을 겸비하면서, 세포독성이 없고, 경피흡수율이 증가되어 화장품 원료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올리고펩타이드 유도체는 항염 및 항산화 효과 뿐 아니라 주름 개선효과를 가져 각종 기능성 화장료 또는 피부 외용제로 사용하기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올리고펩타이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학식 1,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올리고펩타이드 유도체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3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1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0.00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주름개선 효과를 달성할 수 없으며, 3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제화가 어렵고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화학식 1,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올리고펩타이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향료 등과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는 글리세린, 부틸렌 글라이콜,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시트릭산, 판테놀, 스쿠알란, 소듐 시트레이트, 알란토인 등의 보조성분이 추가로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기본적으로 피부에 도포되는 것이므로, 당업계의 화장료 조성물을 참조하여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마스크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등이 포함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디메틸 에테르 등의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용매, 용해화제, 유탁화제 등이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물,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 등의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트라칸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유도체,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나. 이들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들에서 사용된 시약은 중국의 GL Biochhem제와 Aldrich제 및 Sigma제, TCI Tokyo Kogyo제 제품을 사용하였고, 시약은 정제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였다.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DMF),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ide, MC), 톨루엔(toluene) 등은 한국의 samchun pure chemical제를 사용하였다. 그 외 시약은 1급 및 특급시약을 정제하지 않고 사용하였다.
또한 합성된 물질의 확인에 사용된 기기인 1H-NMR 및 13C-NMR 스펙트럼은 JEOL FT/NMR(500MHz)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였다. 분자량을 확인하는데 쓰인 기기인 MALDI TOF는 Bruker daltonics Ultraflex III TOF/TOF 이고, 합성된 물질의 분리 및 정제에 사용한 HPLC는 SYKAM이고, 컬럼은 Shishedo C18 capcell pak(250㎜ㅧ4.6㎜I.D)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올리고펩타이드 합성
1-1. GHK 합성
반응용기에 2-염화 클로로트리틸(chlorotrityl chloride) 수지 34.0㎎(50.0μmol)을 넣고, 메틸렌클로라이드(MC) 2.00mL을 넣어 2~3분간 교반하였다. 용매제거 후 Fmoc로 보호된 리신(Fmoc-Lys(boc)-OH : K, 100μmol)를 N,N`-디메틸 포름아미드(DMF) 1.50mL와 N,N`-디이소프로필 에틸 아민(DIPEA) 34.0㎕(200μmol)에 녹인 후, 반응 용기에 넣어 2-염화 클로로트리틸 수지와 함께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제거 후, MC로 5회를 걸쳐 세척한 후 소량을 취하여 capacity를 측정하였다.
반응용기에 들어있는 반응물을 capping하기 위하여 MC/메탄올/DIPEA(17/2/1)을 반응용기에 넣고 15분 동안 2회 반복하고, MC로 5회 세척하였다. 상기 capping한 반응물에 DMF 용매의 20.0% 피페리딘(piperidine)을 넣고 10분 동안 2회 반응시킨 후, 피페리딘이 남아있지 않도록 MC를 사용하여 충분히 세척하였다. 상기 용매제거 후, Fmoc으로 보호된 히드티딘(Fmoc-His-OH : H, 100μmol)를 DIPEA와 1-하이드록시 벤졸 트리아졸(HOBt) 14.0㎎(100μmol), 2-(1H-벤조 트리아졸-1-일)-1,1,3,3,-테트라 메틸 우로늄 헥사 플루오로 포스페이트(HBTU) 38.0㎎(100μmol)과 함께 DMF 1.50mL에 녹여 반응용기에 넣어 4시간 동안 교반한 후, 용매를 제거하였다. 그 다음 MC로 5회 세척한 후, Kaiser 실험을 통하여 유리 아민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Fmoc으로 보호된 글리신(Fmoc-Gly-OH : G, 100μmol)을 반응시켜 노란색 고체상태의 보호된 GHK 0.188g(수득률 47.0 %)을 얻었다.
1-2. KTTKS 합성
반응용기에 2-염화 클로로트리틸(chlorotrityl chloride) 수지 34.0㎎(50.0μmol)을 넣고, 메틸렌클로라이드(MC) 2.00mL을 넣어 2~3분간 교반하였다. 용매제거 후 Fmoc로 보호된 세린(Fmoc-Ser(tBu)-OH : S, 100μmol)를 N,N`-디메틸 포름아미드(DMF) 1.50mL와 N,N`-디이소프로필 에틸 아민(DIPEA) 34.0㎕(200μmol)에 녹인 후, 반응 용기에 넣어 2-염화 클로로트리틸 수지와 함께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제거 후, MC로 5회를 걸쳐 세척한 후 소량을 취하여 capacity를 측정하였다.
반응용기에 들어있는 반응물을 capping하기 위하여 MC/메탄올/DIPEA(17/2/1)을 반응용기에 넣고 15분 동안 2회 반복하고, MC로 5회 세척하였다. 상기 capping한 반응물에 DMF 용매의 20.0% 피페리딘(piperidine)을 넣고 10분 동안 2회 반응시킨 후, 피페리딘이 남아있지 않도록 MC를 사용하여 충분히 세척하였다. 상기 용매제거 후, Fmoc으로 보호된 리신(Fmoc-Lys(boc)-OH : H, 100μmol)를 DIPEA와 1-하이드록시 벤졸 트리아졸(HOBt) 14.0㎎(100μmol), 2-(1H-벤조 트리아졸-1-일)-1,1,3,3,-테트라 메틸 우로늄 헥사 플루오로 포스페이트(HBTU) 38.0㎎(100μmol)과 함께 DMF 1.50mL에 녹여 반응용기에 넣어 4시간 동안 교반한 후, 용매를 제거하였다. 그 다음 MC로 5회 세척한 후, Kaiser 실험을 통하여 유리 아민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Fmoc으로 보호된 트레오닌(Fmoc-Thr(tBu)-OH : T, 100μmol), 트레오닌(Fmoc-Thr(tBu)-OH : T, 100μmol), 리신(Fmoc-Lys(boc)-OH: K, 100μmol을 순서대로 반응시켜 노란색 고체상태의 보호된 KTTKS 0.18g(수득률 45.0 %)을 얻었다.
1-3. EEMQRR 합성
반응용기에 트리알콕시 벤즈하이드릴 아민(trialkoxy benzhydryl amine(rink amide)) 수지 78.0㎎(50.0μmol)을 넣고, N,N`-디메틸 포름아미드(DMF) 용매의 20.0% 피페리딘을 넣고 10분 동안 2회 반응시킨 후 피페리딘이 남아있지 않도록 메틸렌클로라이드(MC)를 사용하여 충분히 세척하였다.
용매제거 후 Fmoc로 보호된 아르지닌(Fmoc-Arg(Pbf)-OH : R, 100μmol)를 N,N`-디메틸 포름아미드(DMF) 1.50mL와 N,N`-디이소프로필 에틸 아민(DIPEA) 34.0㎕(200μmol)에 녹인 후, 반응용기에 넣어 트리알콕시 벤즈하이드릴 아민 수지와 함께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제거 후 Kaiser 실험을 통해 유리아민을 확인하고, MC로 5회를 걸쳐 세척한 후 소량을 취하여 capacity를 측정하였다.
반응용기에 들어있는 반응물을 capping하기 위하여 아세트산무수물(acetic anhydride)을 반응용기에 넣고 15분 동안 2회 반복하고, MC로 5회 세척하였다. 상기 capping한 반응물에 DMF 용매의 20.0% 피페리딘(piperidine)을 넣고 10분 동안 2회 반응시킨 후, 피페리딘이 남아있지 않도록 MC를 사용하여 충분히 세척하였다. 상기 용매제거 후, Fmoc으로 보호된 아르지닌(Fmoc-Arg(Pbf)-OH : R, 100μmol)를 DIPEA와
1-하이드록시 벤졸 트리아졸(HOBt) 14.0㎎(100μmol), 2-(1H-벤조 트리아졸-1-일)-1,1,3,3,-테트라 메틸 우로늄 헥사 플루오로 포스페이트(HBTU) 38.0㎎(100μmol)과 함께 DMF 1.50mL에 녹여 반응용기에 넣어 4시간 동안 교반한 후, 용매를 제거하였다. 그 다음, MC로 5회 세척한 후, Kaiser 실험을 통하여 유리 아민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Fmoc으로 보호된 글루탐산(Fmoc-Gln(Trt)-OH : Q, 100μmol), 메티오닌(Fmoc-Met-OH : M, 100μmol), 글루탐산(Fmoc-Glu(OtBu)-OH: E, 100μmol), 글루탐산(Fmoc-Glu(OtBu)-OH: E, 100μmol)을 순서대로 반복 반응시켜 노란색 고체상태의 보호된 EEMQRR 0.168g(수득률 21.0%)을 얻었다.
실시예 2. 올리고펩타이드 유도체 합성
신남산(cinnamic acid, CN)을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고체상 수지에서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N-말단이 보호된 3종류의 올리고펩타이드와 접합시켜 cinnamic-트라이펩타이드(CN-GHK), cinnamic-펜타펩타이드(CN-KTTKS) 및 cinnamic-헥사펩타이드(CN-EEMQRR) 유도체를 합성하였다.
2-1. CN-GHK 유도체 제조
건조된 50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신남산 0.179g(1.21mmol)을 넣고, 메틸렌클로라이드(MC)와 N,N`-디메틸 포름아미드(DMF)을 4:1로 혼합한 용액 7.00mL와 함께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보호된 트라이펩타이드(GHK) 0.499g(0.604mmol)을 반응용기에 넣고 5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그 다음, 1-하이드록시 벤졸 트리아졸(HOBt) 0.326g(2.42mmol)을 넣고 교반하면서 N.N`-디이소프로필 카르보디이미드(DIC) 374㎕(2.42mmol)을 조금씩 가해주었다. 30.0℃에서 2~4 시간 교반 후, 소량을 취하여 Kaiser 실험을 통하여 유리 아민을 확인하였다. 이때, Kaiser 실험 결과 양성 반응인 청남색이 나오면 추가로 2~4시간을 더 반응시켰다. Kaiser 실험에서 음성 반응이 나오면 여과하여 MC로 3회 이상 깨끗하게 세척하였다.
상기 세척하여 건조된 중간체에 분해용액(TFA/EDT/TIS/H2O=9.5/0.2/0.1/0.2)을 건조된 유도체 0.100g 당 1.00mL씩 넣고 반응시켰다. 4시간의 분해반응이 끝나면 여과하여 여과액을 차가운 에테르에 분산시킨 후, 3,500rpm으로 5분간 원심분리하여 TFA가 제거될 때까지 반복하였다.
상기 얻어진 생성물은 후드에서 건조하여 백색의 고체상태인 화합물(CN-GHK) 0.191g(수득률 67.0%)을 얻었다. 1H NMR은 도 1에, 13C NMR은 도 2에 나타내었다.
1H NMR(DMSO-d6) :δ 1.29(2H, m), 1.55(2H, m), 1.78(2H, m), 2.0(2H, s), 2.65(2H, m), 2.92(1H, m), 3.17(1H, m), 3.85(2H, s), 4.46(1H, m), 4.92(1H, s), 6.87(1H, m), 6.97(1H, m), 8.0(3H, s), 11.0(1H, s), 13.4(1H, s), 6.84(1H, d), 7.14(2H, m), 7.21(4H, m), 7.30(4H, m), 7.55(1H, d)
13C NMR(DMSO-d6) : δ 21.1(3C, s), 30.7(1C, s), 31.8(1C, t), 42.1(2C, d), 53.0(1C, s), 55.1(1C, s), 127.5(2C, s), 148.3(1C, s), 170.8(1C, s), 171.8(1C, s), 174.9(1C, s), 118.9(1C, s), 126.4(2C, s), 128.7(2C, s), 128.0(1C, s), 135.2(1C, s), 144.0(1C, s), 167.0(1C, s)
2-2. CN-KTTKS 유도체 제조
건조된 50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신남산 0.179g(1.21mmol)을 넣고, 메틸렌클로라이드(MC)와 N,N`-디메틸 포름아미드(DMF)을 4:1로 혼합한 용액 7.00mL와 함께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보호된 펜타펩타이드(KTTKS) 0.500g(0.604mmol)을 반응용기에 넣고 5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그 다음, 1-하이드록시 벤졸 트리아졸(HOBt) 0.326g(2.42mmol)을 넣고 교반하면서 N.N`-디이소프로필 카르보디이미드(DIC) 374㎕(2.42mmol)을 조금씩 가해주었다. 30.0℃에서 2~4 시간 교반 후, 소량을 취하여 Kaiser 실험을 통하여 유리 아민을 확인하였다. 이때, Kaiser 실험 결과 양성 반응인 청남색이 나오면 추가로 2~4시간을 더 반응시켰다. Kaiser 실험에서 음성 반응이 나오면 여과하여 MC로 3회 이상 깨끗하게 세척하였다.
상기 세척하여 건조된 중간체에 분해용액(TFA/EDT/TIS/H2O=9.5/0.2/0.1/0.2)을 건조된 유도체 0.100g 당 1.00mL씩 넣고 반응시켰다. 4시간의 분해반응이 끝나면 여과하여 여과액을 차가운 에테르에 분산시킨 후, 3,500rpm으로 5분간 원심분리하여 TFA가 제거될 때까지 반복하였다.
상기 얻어진 생성물은 후드에서 건조하여 백색의 고체상태인 화합물(CN-KTTKS) 0.243g(수득률 58.0%)을 얻었다. 1H NMR은 도 3에, 13C NMR은 도 4에 나타내었다.
1H NMR(DMSO-d6) :δ 1.21(6H, d), 1.29(4H, m), 1.55(4H, s), 1.79(4H, s), 2.0(7H, s), 2.56(4H, s), 3.89(1H, m), 4.14(1H, m), 4.24(2H, m), 4.53(2H, m), 4.55(1H, m), 4.61(2H, m), 8.0(5H, s), 11.0(1H, s), 6.84(1H, d), 7.14(2H, m), 7.21(4H, m), 7.30(4H, m), 7.55(1H, d).
13C NMR(DMSO-d6) : δ 18.9(2C, s), 31.6(2C, d), 42.1(2C, s), 53.8(1C, s), 57.0(1C, s), 58.7(2C, s), 60.9(1C, s), 67.6(2C, s), 171.1(4C, s), 174.9(1C, s), 118.9(1C, s), 126.4(2C, s), 128.7(2C, s), 128.0(1C, s), 135.2(1C, s), 144.0(1C, s), 167.0(1C, s)
2-3. CN-EEMQRR 유도체 제조
건조된 50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신남산 0.179g(1.21mmol)을 넣고, 메틸렌클로라이드(MC)와 N,N`-디메틸 포름아미드(DMF)을 4:1로 혼합한 용액 7.00mL와 함께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보호된 헥사펩타이드(EEMQRR) 0.503g(0.604mmol)을 반응용기에 넣고 5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그 다음, 1-하이드록시 벤졸 트리아졸(HOBt) 0.326g(2.42mmol)을 넣고 교반하면서 N.N`-디이소프로필 카르보디이미드(DIC) 374㎕(2.42mmol)을 조금씩 가해주었다. 30.0℃에서 2~4 시간 교반 후, 소량을 취하여 Kaiser 실험을 통하여 유리 아민을 확인하였다. 이때, Kaiser 실험 결과 양성 반응인 청남색이 나오면 추가로 2~4시간을 더 반응시켰다. Kaiser 실험에서 음성 반응이 나오면 여과하여 MC로 3회 이상 깨끗하게 세척하였다.
상기 세척하여 건조된 중간체에 분해용액(TFA/EDT/TIS/H2O=9.5/0.2/0.1/0.2)을 건조된 유도체 0.100g 당 1.00mL씩 넣고 반응시켰다. 4시간의 분해반응이 끝나면 여과하여 여과액을 차가운 에테르에 분산시킨 후, 3,500rpm으로 5분간 원심분리하여 TFA가 제거될 때까지 반복하였다.
상기 얻어진 생성물은 후드에서 건조하여 백색의 고체상태인 화합물(CN-EEMQRR) 0.307g(수득률 52.0%)을 얻었다. 1H NMR은 도 5에, 13C NMR은 도 6에 나타내었다.
1H NMR(DMSO-d6) :δ 1.55(4H, m), 1.79(4H, m), 2.0(6H, m), 2.06(4H, m), 2.07(2H, m), 2.09(3H, m), 2.16(2H, m), 2.18(2H, m), 2.23(4H, m), 2.44(2H, m), 2.65(4H, m), 4.53(6H, m), 6.0(4H, s), 8.0(6H, s), 11.0(2H, s), 6.84(1H, d), 7.14(2H, m), 7.21(4H, m), 7.30(4H, m), 7.55(1H, d)
13C NMR(DMSO-d6) : δ 17.4(1C, s), 24.3(2C, d), 26.9(2C, s), 29.3(2C, s), 30.0(2C, s), 31.7(1C, d), 37.1(2C, s), 52.8(4C, s), 56.1(1C, s), 171.1(5C, s), 173.9(1C, s), 176.7(3C, d), 118.9(1C, s), 126.4(2C, s), 128.7(2C, s), 128.0(1C, s), 135.2(1C, s), 144.0(1C, s), 167.0(1C, s)
실험예 1. 올리고펩타이드 유도체의 분자량 측정
상기 실시예 2에서 합성된 CN-GHK, CN-KTTKS 및 CN-EEMQRR의 분자량은 하기 표 1의 조건에 따라 MALDI TOF MS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7 내지 9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13
도 7 내지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2에서 합성된 CN-GHK, CN-KTTKS 및 CN-EEMQRR은 모두 단일 봉우리를 나타내었고, 분자량은 CN-GHK 471.227, CN-KTTKS 694.304 및 CN-EEMQRR 977.502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올리고펩타이드 유도체의 용해도
올리고펩타이드(GHK, KTTKS, EEMQRR)는 유기용매에 잘 녹는 경향이 있다. 다양한 용매에 대한 합성된 올리고펩타이드 유도체의 용해도는 분자량 측정과 생리활성 실험에 기본이 된다. 이에, 본 실험예에서는 8가지의 용매에 대한 합성된 올리고펩타이드 유도체의 용해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2의 S는 soluble, X는 not soluble을 의미한다.
구분 H2O MeOH MC DMF CHCl3 DMSO EA Hex
CN-GHK S S X X X S X X
CN-KTTKS S S S S X S X X
CN-EEMQRR X X X X S X X X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올리고펩타이드 유도체 중 CN-GHK 및 CN-KTTKS는 물과 여러 종류의 유기용매에 잘 용해되었으나, 중 CN-EEMQRR은 클로로포름에만 용해되었다.
이에, CN-EEMQRR은 화장품 소재로서 사용이 어렵다고 판단되어, 이하 생리활성실험은 CN-GHK 및 CN-KTTKS를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실험예 3. 생리활성실험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올리고펩타이드 유도체 중 CN-GHK 및 CN-KTTKS에 대한 생리활성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MTT assay를 이용하여 세포 독성을 확인하고, nitric oxide 저해를 통한 항염증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MMP-1 저해 실험을 통하여 주름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3-1. 세포독성
MTT assay법을 이용하기 위하여 필요한 RAW 264.7 세포 또는 마우스 흑색종 B16F10 세포를 한국 세포주 은행에서 구입하였다. 실험에 필요한 세포주는 10.0% 우태아 혈청(BioWhittaker, Walkersville, MD, USA), 1.00%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Gibco BRL, NY, USA) 및 0.2μM 농도의 α-멜라닌 세포 자극 호르몬(α-MSH,α-melanicyte stimulating horomone, Sigma)을 첨가한 DMEM 배지 내에서 37.0℃, 가습된 5.00% CO2 대기 하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CN-GHK 및 CN-KTTKS의 세포독성을 평가하여 피부 이상반응을 간접적으로 확인하고자, 세포 배양배지에 시료를 농도별로 희석하여 처리하였다. 100%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는 농도가 되도록 처리시료의 농도를 결정하였다. 그리고 시료처리 후 약 24시간 동안 37.0℃,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후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여 100%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는 시료의 농도를 구한 후 세포독성 평가 기준에 따라 판정하고, 그 결과를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었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CN-GHK 및 CN-KTTKS 모두 다양한 농도에서 92% 이상의 세포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이에, 화장품 소재로서 기준인 세포 생존율 80%와 비교해 본다면 본 발명에 따라 합성한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CN-GHK 및 CN-KTTKS는 의약품 및 화장품 소재로서 안정성에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3-2. 항염증 효과
일반적으로 RAW 264.7 세포는 lipopolysaccharide(LPS) 자극에 의해 염증유발물질인 nitric oxide(NO)가 생성된다고 알려져 있다. 생성된 NO는 병리적인 혈관 확장, 세포 독성 및 조직손상 등과 같은 생체에 유해한 작용을 나타낼 수 있다. 인위적으로 염증을 유도한 세포의 NO를 측정함으로서 염증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RAW 264.7 세포를 DMEM 배지에 1ㅧ105 세포를 현탁시켜 24 well plate에 접종하였다. 80% 이상 confluence가 되었을 때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CN-GHK 및 CN-KTTKS를 농도별로 처리한 후, 1시간 후 인위적인 염증유발인자인 LPS를 1㎍/mL로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더 배양하였다. RAW 264.7 세포로부터 생성된 NO의 양은 세포 배양액 중에 존재하는 NO2 -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배지인 상층액을 회수하여 96 well plate에 100㎕씩 넣고 Griess reagent를 동량으로 첨가한 후 상온에서 10분간 가볍게 흔들어 주어 54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었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항염증 활성이 뛰어나다고 알려진 dexamethasone을 사용하였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성 대조군인 dexamethasone은 22.7%의 NO 억제율을 나타내었으며,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CN-GHK는 200㎍/mL에서 20.1%의 NO 억제율을, CN-KTTKS는 200㎍/mL에서 22.33 %의 NO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이같은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합성한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CN-GHK 및 CN-KTTKS는 항염증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들 올리고펩타이드 유도체는 항염증 효과를 가지는 화장품 소재로서 이용 가능성이 높고, 이 화합물들을 사용하여 화장품을 제조할 경우 피부 자극 및 피부 염증이 적을 것임을 예측할 수 있었다.
3-1. 주름개선 효과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CN-GHK 및 CN-KTTKS의 주름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MMP-1(Matrix methaloprotease-1, collage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먼저, 섬유아세포(HDF, Human Dermal Fibroblast)를 PBS로 2회 세척하고,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CN-GHK 및 CN-KTTKS를 농도별로 처리한 후, UV A를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에 6.30J/cm2의 에너지 밀도로 40분간 조사하였다. 이어서 72시간 동안 UV A를 조사한 후, 배양액 내 MMP-1의 단백질 수준을 ELISA법으로 분석하였다. 상기 배양액에 항 MMP-1 단일 클론항체를 첨가하고 37.0 ℃에서 60 분간 배양한 후, PBS에 현탁된 이차항체(알카라인 포스파타아제)로 중합된 항-마우스(IgG)를 각각의 well에 첨가하여 30분간 추가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액을 세척한 후 분광광도계로 405㎚에서 흡광도 값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14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남산(CN) 자체는 MMP-1 저해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라 합성한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CN-GHK 및 CN-KTTKS는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MMP-1 저해 활성을 보였으며, 보통 이상의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제예 3. 화장품 제제의 제조
유연화장수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CN-GHK 또는 CN-KTTKS 0.1중량%, 1,3-부틸렌글리콜 5.2중량%, 올레일알코올 1.5중량%, 에탄올 3.2중량%, 폴리솔베이트 20 3.2중량%, 벤조페논-9 2.0중량%,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중량%, 글리세린 3.5중량%, 미량의 향, 미량의 방부제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밀크로션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CN-GHK 또는 CN-KTTKS 0.1중량%, 글리세린 5.1중량%, 프로필렌글리콜 4.2중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3.0중량%, 유동파라핀 4.6중량%, 트리에탄올아민 1.0중량%, 스쿠알란 3.1중량%, 마카다미아너트오일 2.5중량%, 폴리솔베이트 60 1.6중량%, 솔비탄세스퀴롤레이트 1.6중량%, 프로필파라벤 0.6중량%,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5중량%, 미량의 향, 미량의 방부제,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밀크로션을 제조하였다.
영양크림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CN-GHK 또는 CN-KTTKS 0.5중량%, 글리세린 4.0중량%, 바셀린 3.5중량%, 트리에탄올아민 2.1중량%, 유동파라핀 5.3중량%, 스쿠알란 3.0중량%, 밀납 2.6중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5.4중량%, 폴리솔베이트 60 3.2중량%,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중량%,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3.1중량%, 미량의 향, 미량의 방부제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마사지크림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CN-GHK 또는 CN-KTTKS 0.5중량%, 글리세린 4.0중량%, 바셀린 3.5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5중량%, 유동파라핀 24.0중량%, 스쿠알란 3.0중량%, 밀납 2.1중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1중량%, 폴리솔베이트 60 2.4중량%,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중량%,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2.3중량%, 미량의 향, 미량의 방부제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마사지크림을 제조하였다.
팩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CN-GHK 또는 CN-KTTKS 0.5중량%, 글리세린 4.0중량%, 폴리비닐알콜 15.0중량%, 히아루론산 추출물 5.0중량%, 베타글루칸 7.0중량%, 알란토인 0.1중량%, 노닐 페닐에테르 0.4중량%, 폴리솔베이트 60 1.2중량%, 적량의 방부제, 향, 색소와 에탄올 6.0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팩을 제조하였다.
세정용 바디클렌저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CN-GHK 또는 CN-KTTKS 1g, 음이온계면활성제 18g, 비이온계면활성제 5g, 글리세린 7g, 소듐클로라이드 3g, 천연올리브액상비누 1.5g, 향료 1g 및 물 100g을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세정용 바디클렌저를 제조하였다.
연고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CN-GHK 또는 CN-KTTKS 1.0중량%, 글리세린 8.0중량%, 부틸렌글리콜 4.0중량%, 유동파라핀 15.0중량%, 베타글루칸 7.0중량%, 카보머 0.1중량%,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중량%, 스쿠알란 1.0중량%,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중량%,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중량%, 세테아릴 알코올 1.0중량%, 적량의 방부제, 향, 색소와 밀납 4.0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연고를 제조하였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되었으나,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첨부된 청구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한다.

Claims (6)

  1.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올리고펩타이드 유도체:
    [화학식 1]
    Figure pat00015

    [화학식 2]
    Figure pat00016

    [화학식 3]
    Figure pat00017
  2. (S1)올리고펩타이드를 합성하는 단계; 및
    (S2)상기 올리고펩타이드에 신남산(cinnamic acid)을 펩타이드 결합으로 접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올리고펩타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pat00018

    [화학식 2]
    Figure pat00019

    [화학식 3]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올리고펩타이드는 Gly-His-Lys(GHK), Lys-Thr-Thr-Lys-Ser(KTTKS) 및 Glu-Glu-Met-Gln-Arg-Arg(EEMQRR)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서열을 갖는 올리고펩타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리고펩타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올리고펩타이드는 고체상 합성법에 의해 합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리고펩타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5. 제1항 기재의 올리고펩타이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올리고펩타이드 유도체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30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150000634A 2015-01-05 2015-01-05 올리고펩타이드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1710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634A KR101710486B1 (ko) 2015-01-05 2015-01-05 올리고펩타이드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634A KR101710486B1 (ko) 2015-01-05 2015-01-05 올리고펩타이드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540A true KR20160084540A (ko) 2016-07-14
KR101710486B1 KR101710486B1 (ko) 2017-02-28

Family

ID=56499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0634A KR101710486B1 (ko) 2015-01-05 2015-01-05 올리고펩타이드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048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4822A1 (ko) * 2017-09-18 2019-03-21 애니젠 주식회사 활성물질-헥사펩타이드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0159143A1 (ko) * 2019-01-28 2020-08-06 (주)더마펌 피부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용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210145476A (ko) * 2020-05-25 2021-12-02 김유빈 신규 펩타이드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타이트닝 또는 윤곽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071B1 (ko) 2006-03-10 2007-07-16 한불화장품주식회사 리포익산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한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10012148A (ko) * 2009-07-30 2011-02-0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펩타이드가 결합된 하이드록시 시나믹산 유도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1227301B1 (ko) * 2004-11-02 2013-01-29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표정을 지을때 생기는 주름 및 노화성 주름에 대한 신규한국소 적용제
KR101433419B1 (ko) * 2010-10-28 2014-08-2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하이드록시시나믹산-아미노산-하이드록시아민산 유도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301B1 (ko) * 2004-11-02 2013-01-29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표정을 지을때 생기는 주름 및 노화성 주름에 대한 신규한국소 적용제
KR100740071B1 (ko) 2006-03-10 2007-07-16 한불화장품주식회사 리포익산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한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10012148A (ko) * 2009-07-30 2011-02-0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펩타이드가 결합된 하이드록시 시나믹산 유도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1433419B1 (ko) * 2010-10-28 2014-08-2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하이드록시시나믹산-아미노산-하이드록시아민산 유도체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osmetic Dermatology: Products and Procedures, Chapter36. peptides and proteins.(2010)* *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4822A1 (ko) * 2017-09-18 2019-03-21 애니젠 주식회사 활성물질-헥사펩타이드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32218A (ko) * 2017-09-18 2019-03-27 애니젠 주식회사 활성물질-헥사펩타이드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1278420A (zh) * 2017-09-18 2020-06-12 安尼根有限公司 活性物质-六肽复合体及包含其的化妆品组合物
CN111278420B (zh) * 2017-09-18 2023-09-19 安尼根有限公司 活性物质-六肽复合体及包含其的化妆品组合物
WO2020159143A1 (ko) * 2019-01-28 2020-08-06 (주)더마펌 피부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용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US11912787B2 (en) 2019-01-28 2024-02-27 Dermafirm, Inc. Peptide for skin aging prevention and wrinkle reduction, and composition comprising same
KR20210145476A (ko) * 2020-05-25 2021-12-02 김유빈 신규 펩타이드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타이트닝 또는 윤곽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0486B1 (ko) 2017-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96704B2 (en) Compounds useful for the treatment and/or care of the skin, hair, nails and/or mucous membranes
KR101506505B1 (ko) 황금누에고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00043417A1 (fr) Utilisation cosmetique ou pharmaceutique de peptides pour la regulation des dysfonctionnements immunologiques et dans l'inflammation cutanes
KR101885195B1 (ko) 목서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10486B1 (ko) 올리고펩타이드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180108974A (ko) 피부 노화 방지 및 피부 주름 예방용 펜타펩타이드와 펜타펩타이드 다이머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70465B1 (ko) 누에 유래 펩타이드 및 카페익산이 결합된 신규한 펩타이드 유도체의 용도
KR20140097865A (ko)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13293A (ko) 배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억제용 주름개선 화장료조성물
KR102093209B1 (ko) 이소트레티노인과 펩타이드의 결합체
KR20180110636A (ko) 천연 활성화제 결합체 및 화장료 조성물
KR101343752B1 (ko) 신규한 미백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132681A (ko) 리포산-peg-펩티드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90123A (ko) 리퀴댐버릭 락톤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76447B1 (ko) 열 안정성이 증대된 비타민 c-펩타이드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콜라겐 형성용, 미백용 및/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414723B1 (ko) 신규한 펩토이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US20240301000A1 (en) Tetrapeptide derivative,cosmetic composition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use thereof
KR101733618B1 (ko) 신규 커큐민―트리펩타이드 복합체 및 이를 함유한 항산화 또는 피부개선용 항노화 피부외용제 조성물
US20230312643A1 (en) Peptide derivative with collagenase inhibitory activity, and use thereof
KR101898441B1 (ko) 에피제네틱 조절 기능을 갖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적 조성물
KR102507392B1 (ko) 유기산-올리고펩타이드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410589B1 (ko) 뉴로펩타이드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10118210A (ko) Par-2 저해활성을 갖는 신규의 펩타이드 및 그의 용도
KR101680806B1 (ko) 아마란스를 이용한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42844B1 (ko) 갈산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