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4322A - 루테리온을 이용한 암세포의 텔로머라아제 억제방법 - Google Patents

루테리온을 이용한 암세포의 텔로머라아제 억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4322A
KR20160084322A KR1020160001162A KR20160001162A KR20160084322A KR 20160084322 A KR20160084322 A KR 20160084322A KR 1020160001162 A KR1020160001162 A KR 1020160001162A KR 20160001162 A KR20160001162 A KR 20160001162A KR 20160084322 A KR20160084322 A KR 20160084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ne
cancer
japonica
nakai
angelic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1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6373B1 (ko
Inventor
최원철
권영아
전현정
최석훈
최창훈
권성필
Original Assignee
권영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아 filed Critical 권영아
Publication of KR20160084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4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6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6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2Anacardiaceae (Sumac family), e.g. smoketree, sumac or poison oa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 A23L1/3002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Nucle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88Compounds having three or more nucleosides or nucleotides
    • A61K31/7125Nucleic acids or oligonucleotides having modified internucleoside linkage, i.e. other than 3'-5' phosphodi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61K36/076Po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7Notopteryg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8Saposhnikov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8Schizonepe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61K36/804Rehmann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루테리온을 이용한 암세포의 텔로머라아제 억제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루테리온을 함유하는 항암 조성물; 암세포의 텔로머라아제 활성 억제용 조성물; 및 루테리온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조직, 암 세포 또는 암환자의 텔로머라아제 활성 억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루테리온은 암세포에서 텔로머라아제 활성을 저해하여, 정상세포에 영향 없이 효과적으로 암세포의 증식만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루테리온을 이용한 암세포의 텔로머라아제 억제방법 {Method for Inhibiting Telomerase in Cancer Cell Using Luterion}
본 발명은 루테리온을 이용한 암세포의 텔로머라아제 억제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루테리온을 함유하는 항암 조성물; 암세포의 텔로머라아제 활성 억제용 조성물; 및 루테리온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조직, 암 세포 또는 암환자의 텔로머라아제 활성 억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텔로머라아제는 염색체 말단에 대한 텔로미어 반복 서열의 첨가를 촉매하는 리보뉴클레오단백질이다(Blackburn, Ann. Rev. Biochem., 61:113-129, 1992). 텔로머라아제 활성은 조혈간세포(hemapoietic stem cell)와 같은 특정세포를 제외한 정상세포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반면, 대부분의 암세포에서는 높은 텔로머라아제 활성이 관찰된다. 텔로머라아제는 암세포들의 무한한 증식유지에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여겨지므로, 텔로머라아제 활성의 탐지 및 정량은 암 진단에 매우 중요하다. 더 나아가서, 텔로머라아제 활성의 억제제는 정상세포에 대한 부작용이 거의 없는 항암제로서 기대되어진다(Counter C.M. et al., EMBO J., 11:1921-1929, 1989; Counter C.M. et al., Proc . Natl . Acad . Sci . USA, 91:2900-2904, 1994; Chadeneau C. et al.,Cancer Res., 55:2533-2536, 1995; Hiyama et al., Nature Med., 1:249-255, 1995; Shay J.W. et al., Mol . Cell. Biol., 15:425-432, 1995).
사람 텔로머라아제는 단백질 및 RNA를 코딩하는 유전자가 클로닝되었으며, (US 6,261,836; US 5,583,016) 텔로머라아제 억제제를 찾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현재까지 동정된 텔로머라아제 억제제는 소분자 화합물 및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한다. 각종 문헌들은 텔로머라아제 단백질 성분을 코딩하는 mRNA(이것의 사람 형태는 사람 텔로머라아제 역전사효소 또는 hTERT임) 또는 텔로머라아제 완전효소의 RNA 성분(이것의 사람 형태는 사람 텔로머라아제 RNA 또는 hTR로서 알려짐)에 대하여 표적된 텔로머라아제를 억제하기 위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등이 있으며, hTERT mRNA에 표적된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일반적으로 mRNA에 결합하여 mRNA의 파괴를 야기하고, 그로써 hTERT 단백질의 생성을 막는 전통적인 안티센스 약물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여겨진다(US 6,444,650). hTR에 표적된 특정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텔로머라아제 완전효소에 존재하는 hTR 분자에 결합하여, 효소 기능을 파괴한다(US 6,548,298). hTERT(human Telomerase reverse transcriptase)는 암세포의 영속성(immortality) 및 증식 (proliferation) 능력을 조절하는 가장 중요한 효소 중의 하나로, 이 텔로머라아제(telomerase)는 무한히 복제되는 생식세포, 조혈세포 및 암세포에서 80~90%의 텔로머라아제 활성을 가지고 있지만, 정상세포들은 활성을 가지고 있지 않다 (Bryan, T.M. et al., Curr . Opin . Cell Biol ., 11:318-324, 1999). 텔로머라아제의 이런 특성을 이용하여 세포 성장에 관여하는 텔로머라아제의 억제제를 개발함으로써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려는 시도가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Bryan, T.M. et al, Embo J. 14:4240-4248,1995; Artandi, S.E. et al., Nat. Med. 6:852-855, 2000).
텔로머라아제 RNA 성분, 예를 들면 펩티드 핵산(Norton et al., Nature Biotech. 14:615-619, 1996)과 포스포로티오에이트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정해진 안티센스 전략에 의한 텔로머라아제 활성의 저해가 보고되었다. 텔로머라아제는 역전사 효소이기 때문에, AZT와 같은 역전사 효소, 또는 다른 뉴클레오시드의 저해제를 사용하는 것도 보고되었다.
시스플라틴에 의한, 가능하게는, 텔로머 반복서열의 가교결합으로 인한 텔로머라아제 저해도 공지되어 있고(Burger et al., Eur . J. Cancer, 33:638-644, 1997),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이용하여 텔로머라아제 유전자의 주형 RNA인 hTR의 작용을 막아 텔로머라아제의 활성을 막는 방법이나(Pitts, A.E. et al., Proc . Natl . Acad . Sci . U.S.A ., 95:11549-11554, 1998; Kondo, Y. et al., Oncogene , 19:2205-2211, 2000), 헤머헤드 라이보자임(hammerhead ribozyme)을 이용한 텔로머라제 주형 RNA의 억제방법(Yokoyama, Y. et al., Cancer Res., 58:5406-5410, 1998), 역전사효소의 활성을 막는 억제제(Strahl, C. et al., Mol . Cell. Biol., 16:53-65, 1996), 정상적인 텔로머라아제 효소활성을 억제하는 도미넌트 네거티브 hTERT 단백질의 발현(Zhang, X. et al., Genes Dev ., 13:2388-2399, 1999; Hahn, W. C. et al., Nat. Med., 5:1164-1170, 1999), 그리고 텔로미어 구조에 작용하여 텔로머라아제의 작용을 억제하는 G-쿼드러플럭스(quadruplex) 안정화에 작용하는 소분자 억제제(Perry, P.J. et al., J. Med . Chem., 42:2679-2684, 1999; Gowan, S.M. et al., Mol . Pharmacol ., 60:981-988, 200l; Gowan, S. M. et al., Mol . Pharmacol., 61:1154-1162, 2002; Izbicka, E. et al., Cancer Res., 59:639-644, 1999) 등이 알려져 있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환자에서 기 배출된 체액 내에 존재하는 미세물질의 특성을 관찰하고 상기 미세물질을 "루테리알 (Luterial)"로 명명하고, 이에 대한 내용을 2013년 7월 12일자로 특허출원을 한 바 있으며 (대한민국 출원번호 제10-2013-0082060호), 상기 루테리알을 효과적으로 분리 및 배양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을 2014년 1월 14일자로 특허출원을 한 바 있다 (대한민국 출원번호 제10-2014-004525호). 또한, 이러한 루테리알과 유사한 구조와 가능을 가지는 미세물질인 "루테리온(Luterion)"은 동식물에 존재하며, RNA 및/또는 DNA를 가질 뿐 아니라 암세포의 성장을 막고, 세포를 건강한 면역체계로 되돌리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루테리온을 약학 또는 식품 조성물에 적용하기 위해, 식물에 용매를 첨가하고 진탕시키면서 발생하는 기화 가스를 수집한 다음, 필터링 및 원심분리를 통해 상기 기화가스에 함유된 루테리온을 효과적으로 분리 및 배양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을 2015년 1월 6일자로 특허출원한 바 있다 (대한민국 출원번호 제10-2015-0001195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새로운 텔로머라아제 억제하는 물질을 찾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루테리온이 암세포에서 텔로머라아제 활성을 저해하여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텔로머라아제의 활성 억제를 통하여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항암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암 조직, 암 세포 또는 암환자의 텔로머라아제의 활성 억제를 통하여 암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루테리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루테리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루테리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세포의 텔로머라아제 활성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루테리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루테리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조직, 암세포 또는 암환자의 텔로머라아제 활성 억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루테리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세포의 증식 억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루테리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암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하는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루테리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암 조직, 암세포 또는 암환자의 텔로머라아제 활성 억제에 사용하는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루테리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암세포의 증식 억제에 사용하는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루테리온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암세포에서 텔로머라아제 활성을 저해하고, 정상세포에서는 영향이 없거나 또는 텔로머라아제 활성을 증진시켜, 효과적으로 암세포의 증식만을 억제시키는 항암 효과가 있다.
도 1은 루테리온을 공초점 레이저 주사현미경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Zeiss)으로 촬영한 사진으로 그 크기를 함께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루테리온을 미토트랙커(Mito-tracker)로 염색한 다음, 그 발색 유무를 관찰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루테리온을 로다민123(Rhodamine123)으로 염색한 뒤 그 발색 유무를 관찰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루테리온의 형광/비형광 사진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A: 야누스 그린B(Janus Green B) Positive; B: 로다민 123(Rhodamine 123) Positive; C: 미토트랙커(Mito-tracker) Red Positive; D: 무염색).
도 5는 루테리온이 로다민 123, 미토트랙커 레드, 야누스 그린B(Janus green B)에 의하여 공통적으로 염색한 뒤 그 발색 유무를 나타낸 것이다 (A: 야누스 그린B(Janus Green B) Positive; B: 로다민 123(Rhodamine 123) Positive; C: 미토트랙커(Mitotracker) Red Positive; D: 무염색).
도 6은 루테리온의 형광 염색 부위 크기를 측정하여 루테리온의 크기(50~800nm)를 나타낸 것이다 (A: 야누스 그린B(Janus Green B) 반응 크기 측정; B: 로다민 123(Rhodamine 123) 반응 크기 측정; C: 미토트랙커(Mito-tracker) Red 반응 크기 측정: D: 무염색 반응 크기 측정).
도 7은 루테리온이 이중막 구조를 가진다는 것을 확인한 TEM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8은 루테리온이 내부에 핵산을 함유하는 것을 확인한 원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9는 루테리온 내부에 RNA가 함유되어 있는지 여부를 분석한 바이오 아날라이저 결과이다 (L: Control; 1: 50nm이하, 2: 50~100nm, 3: 100~200nm, 4: 200~400nm).
도 10은 텔로머라아제 활성 측정에 대한 계획을 나타낸 도식도이다.
도 11은 루테리온 처리에 의한 정상세포(Fibroblast) 및 암세포(폐암, 유방암, 대장암)에서의 텔로머라아제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루테리온 처리 농도에 따른 정상세포(Fibroblast) 및 여러가지 암세포(폐암, 유방암, 대장암, 간암, 백혈병)의 세포 생존능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다양한 유래의 루테리온을 처리한 췌장암 세포주(AsPC-1)에서의 세포 증식 억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다양한 유래의 루테리온을 처리한 폐암 세포주(A549)에서의 세포 증식 억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다양한 유래의 루테리온을 처리한 유방암 세포주(BT-20)에서의 세포 증식 억제를 나타낸 것이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 및 이하에 기술하는 실험방법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루테리알(luterial)" 및 "루테리온(luterion)"은 동물 및 식물을 포함하는 모든 생명체에 존재하는 50~400nm 크기의 나노생명체로, 바이러스와 유사한 정도부터 퓨젼시 800~1200 nm까지의 크기를 가지는 반면, 1200nm 이상에서 유전자 이상 및 병리 현상을 발현하는 변이체로 분류되는 미세물질을 본 발명자가 명명한 것이다. 루테리알 및 루테리온은 DNA와 RNA를 모두 포함하며(도 8~도 9), 운동성과 부착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엑소좀(exosome)이나 미소포(microvesicle)와는 구별된다. 루테리알은 생태계에서 숙주 체내에 존재하는 나노 생명체의 의미하고, 인간을 포함한 동물의 경우에는 혈액, 타액, 림프관, 정액, 질액, 모유(특히, 초유), 제대혈, 뇌세포, 척수, 골수에 존재할 수 있다. 반면 루테리온은 숙주가 음식물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나노 생명체를 의미하고, 식물이나 식품에 주로 존재할 수 있다.
미토콘드리아는 야누스 그린 B(Janus green B) 및 형광염색인 로다민123(Rhodamine123), 미토트랙커(Mitotracker), 아크리딘 오렌지(Acridine Orange), 및 DAPI에 의해 발색이 확인되는데, 상기 루테리온 및 루테리알도 미토콘드리아와 동일한 염색약에 의해 발색이 확인되며(도 1~도 6), 미토콘드리아와 유사하게 이중막을 가진 막구조로서 내부 크리스테(cristae) 구조를 완성하지 않은 상태의 구조를 가지고(도 7), 미토콘드리아와 동일한 레이저 파장 범위에서 관찰된다는 점에서 "유사 미토콘드리아", "미토콘드리아 유사체" 혹은 "미토콘드리아 전구체 (proto-mitochondria)"라고도 지칭할 수도 있다.
루테리온은 식물의 줄기 부분에 다량 존재하며, 본 발명자들은 식물유래 루테리온을 분리하고, 그 특성을 규명하여 특허를 출원한 바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5-0001195). 상기 분리된 루테리온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진다:
(a) 정상의 경우, 적혈구보다 작은 크기(50~200nm)의 원형 내지 타원형으로, 운동성이 있음;
(b) 핵산 함유;
(c) 면역화학형광염색시 미토콘드리아와 유사한 반응을 나타냄;
(d) 퓨전(fusion) 및/또는 피전(fission) 생태양식을 나타냄;
(e) 퓨전이 없을 경우에는 크기가 300nm까지 성숙하고, DNA 함유 유사 미토콘드리아로 성숙하며, SEM 또는 TEM 전자현미경사진상에서 미토콘드리아와 유사한 구조를 나타냄;
(f) 퓨전이 발생할 경우에는 수천nm까지 크기가 커짐;
(g) 암 환자 유래의 경우, 정상 유래보다 크기(장직경 500nm 이상)가 크고, 형태가 불균일한 변이 루테리알 발생; 및
(h) 엑소좀과는 다른 빛 반응을 나타냄.
추가로, 다음의 특성 중 하나 이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 자가형광 (autofluorescence)을 나타냄;
(j) 200~400nm 크기에서 ATP를 생산함;
(k) 부착성이 있음;
(l) 이중막 구조;
(m) 특정 조건에서 변이 루테리알은 bursting되고, bursting 이후에는 stemness를 가짐;
(n) p53 유전자 및 텔로미어 조절기능을 가짐; 및
(o) CD39 또는 CD73의 표면항원을 가짐.
또한, 루테리온은 실온에서도 빠른 시간 내에 용해되거나 소멸되지는 않으며, 장기간 보관하여도 퓨전(fusion)하여 돌연변이화되지 않는 특성이 있다.
루테리온 및 루테리알은 시그널링, 세포 분화, 세포 사멸 뿐 아니라 세포 사이클 및 세포 성장의 조절과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본 발명자는 그 중에서도 루테리알이 암의 진단에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발견한 바 있다(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3-0082060호, WO2015/005553). 또한, 정상세포에서는 루테리온 처리에 의해 텔로머라아제 발현이 증가되고 텔로미어의 길이가 증가된 것(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5-00007522호)을 확인하여, 루테리온은 정상세포에서는 텔로머라제 활성을 증진시키는 항노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서 "정상세포"는 암세포와 같이 증가된 텔로머라아제 활성을 가져, 무한증식을 하는 표현형을 가지는 세포가 아닌 정상적인 노화 프로세스를 가지는 세포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용어 "텔로머라아제"는 텔로미어의 말단에 대한 텔로미어(telomeric) 반복의 첨가를 촉매하는 리보핵산 단백질을 의미한다. 텔로미어는 염색체의 말단을 덮는 반복 서열의 긴 확장이며 염색체를 안정시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사람에서, 텔로미어는 전형적으로 길이가 7-10 kb이고 서열 -TTAGGG-의 다중 반복을 포함한다. 텔로머라아제는 대부분의 성인 세포에서 발현되어 있지 않으며, 텔로미어 길이는 연속적인 원형의 복제를 감소시킨다. 세포 복제가 특정 회수 이상이 되면, 텔로미어는 점차 축소되어, 세포가 말단 붕괴 단계에 들어가게 되고, 이로 인해 세포는 노화하게 된다. 텔로머라아제는 체세포에서 불활성이지만, 암세포의 90%에서는 활성이며, 텔로머라아제 억제제는 암과 싸우는 데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정상세포에서는 루테리온 처리에 의해 텔로머라아제 발현 및 활성이 증가된 반면, 암세포주에 루테리온을 처리한 결과, 텔로머라아제 발현 및 활성이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루테리온은 암세포의 텔로머라이제 활성만을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관점에서 루테리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세포의 텔로머라아제 활성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정상세포에 루테리온을 처리하여 세포 생존능에 영향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암세포주에 다양한 유래의 루테리온을 처리한 결과,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루테리온은 정상세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암세포의 증식만을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2관점에서 루테리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루테리온은 옻나무(Rhus verniciflua ) 유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표 1~4에 기재된 약용식물 유래 루테리온을 사용할 수 있다. 루테리온은 모든 식물 및 동물에 존재하므로 표 1~4에 기재된 약용식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그룹 약용식물 명 학명











A






강활 Ostericum koreanum Maximowicz
독활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형개 Schizonepeta tenuifolia Briquet
방풍 Saposhnikovia divaricata Schischkin
생지황 Rehmannia glutinosa Liboschitz ex Steudel
복령 Poria cocos Wolf
전호 Angelica decursiva Franchet et Savatier
차전자(질경이) Plantago asiatica Linne
지골피(구기자) Lycium chinense Miller
시호 Bupleurum falcatum Linne
택사 Alisma orientale Juzepzuk
목통 Akebia quinata Decaisne
현삼 Scrophularia ningpoensis Hemsley
괄루인 Trichosanthes kirilowii Maximowicz
저령 Polyporus umbellatus Fries
황련 Coptis japonica Makino
고삼 Sophora flavescens Solander ex Aiton
황백 Phellodendron amurense Ruprecht
지모 Anemarrhena asphodeloides Bunge
숙지황 Rehmannia glutinosa Liboschitz ex Steudel
산수유 Cornus officinalis Siebold et Zuccarini
목단피 Paeonia suffruticosa Andrews
복분자 Rubus coreanus Miquel
인동등 Lonicera japonica Thunberg
박하 Mentha arvensis Linne var. piperascens Malinvaud ex Holmes
치자 Gardenia jasminoides Ellis
연교 Forsythia viridissima Lindley
우방자 Arctium lappa Linne
그룹 약용식물 명 학명




C


미후등(다래) Actinidia arguta PLANCH
미후도 Actinidia arguta Fructus
목과 Chaenomelis Fructus
포도근 Vitis vinifera Radix
노근 Phragmitis Rhizoma
엥도 Prunus tomentosa Thunb
오가피 Acanthopanax sessiliflorum SEEM
송화분 Pinus densiflora S. et Z
저두강반시 rice bran on a mallet head
청송절 Pinus tabulaeformis
교맥미 Semen Fagopyri
그룹 약용식물 명명 학명
















U








옻나무 Rhus verniciflua
천궁 Cnidium officinale Makino
당귀 Angelica Gigas Nakai
진피 Citri Unshius Pericarpium
적하수오 Polygonum multiflorum Thunberg
백수오 Cynanchum wilfordii Hemsley
인삼 Panax ginseng C. A. Meyer
백출 Atractylodes japonica Koidzumi
창출 Atractylodes lancea De Candlle
건강(생강) Zingiber officinale Roscoe
육계(계피) Cinnamomum cassia Presl
청피(귤나무) Citrus unshiu Markovich
곽향 Agastache rugosa O. Kuntze
자소엽 Perilla frutescens Britton var. acuta Kudo
대추 Zizyphus jujuba Miller var. inermis Rehder
감초 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부자 Aconitum carmichaeli Debeaux
향부자 Cyperus rotundus Linne
황기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백작약 Paeonia lactiflora Pallas
소회향 Foeniculum vulgare Miller
고량강 Alpinia officinarum Hance
대복피 Areca catechu Linne
반하 Pinellia ternata Breitenbach
남성 Arisaema amurense Maximowicz var. serratum Nakai
익지 Alpinia oxyphylla Miquel
지실(탱자나무) Poncirus trifoliata Rafinesque
후박 Magnolia ovobata Thunberg
목향 Aucklandia lappa Decne
오수유 Evodiae rutaecarpa Bentham
파고지 Psoralea corylifolia Linn
총백(파뿌리) Allium fistulosum Linn
사인 Amomum villosum Loureiro
산사 Crataegus pinnatifida Bunge
그룹 약용식물 명 학명













G





마황 Ephedra sinica Staph
감국 chrysanthemum indicum Linne
질경(도라지) Platycodon grandiflorum
행인(살구나무) Prunus armeniaca var. ansu Max.
백지 Angelica dahurica BENTH. et HOOK
맥문동 Liriope muscari BALL
천문동 Asparagus cochinchinensis Merr
산약(참마) Dioscorea japonica THUNB
산조인 Zizyphus jujube
용안육 Dimocarpus longan Lour
원지 Polygala tenuifolia
석창포 Acorus graminens SOLAND
오미자 Schizandra chinensis BAALL
건율 Castanea crenata S.et Z.
의이인 Coix lachryma - jobi var. ma-yuen
나복자(무) Raphanus sativus L
갈근(칡) Pueraria thunbergiana
황금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
고본 Angelica tenuissima NAKAI
녹용 Cervi Parvum Cornu
대황 Rheum palmatum
승마 Cimicifuga heracleifolia KOM
백자인 Biota orientalis ENDL
상백피(뽕나무) Morus alba L
관동화 Tussilago farfara
백과 Gingko biloba L
사향풀 Thymus vularis
조각 Gleditsia japonica Miquel var.koraiensis Nakai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루테리온은 그 밀도가 1 이하로 지방 및 지질보다는 높은 밀도를 가지며 단백질보다는 낮은 밀도를 나타내므로, 수증기 증류법에 의하여 식물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루테리온은 다음과 같은 수증기 증류법에 의하여 식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a) 식물에 용매를 첨가하고, 50~90℃에서 공기 또는 산소를 이용하여 간헐적으로 버블링시키면서 진탕하는 단계;
(b) 상기 진탕에 의해 기화되는 수증기 또는 가스를 포집한 다음, 냉각시켜 응축액을 수득하는 단계;
(c) 0.8~1.2μm의 공극을 가지는 필터를 이용하여 상기 수득된 응축액을 필터링하는 단계;
(d) 상기 필터링된 응축액을 원심분리하는 단계; 및
(e) 상기 원심분리된 상등액으로부터 식물유래 루테리온을 분리하는 단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루테리온은 루테리온에 수분을 첨가하고 IR광선 조사하에 18~30℃에서 배양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포유동물 암세포의 텔로머라아제를 저해하고, 텔로머라아제 양성 세포를 저해하여 암을 치료하는 방법 및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염 내에 치료학적으로 효과적인 양의 루테리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른 텔로머라아제 관련 상태 또는 질환, 예를 들면 건선과 같은 다른 과증식성 또는 자가 면역 장애, 류마티스 관절염, 면역계 억제가 요구되는 면역계 장애, 독 담쟁이 또는 독 오크에 대한 면역계 반응 등의 치료에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암 치료에 대한 치료학적 이점은 US 5,656,638; US 5,760,062; US 5,767,278; US 5,770,613 및 US 5,863,936에 기재된 것과 같은 다른 텔로머라아제의 저해제를 비롯하여, 본 발명의 텔로머라아제 저해제를 다른 항암제와 조합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조합의 선택은,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지만, 질환의 종류, 환자의 연령 및 일반 건강 상태, 질환 진행의 공격성, 치료하고자 하는 병든 세포의 TRF 길이 및 텔로머라아제 활성, 그리고 상기 조합물을 포함하는 제제에 대한 환자의 내성을 비롯한 여러 인자에 따른다. 예를 들면, 암 진행이 진전된 상태에 도달한 경우, 본 발명의 텔로머라아제 저해 화합물을 암 크기를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인 다른 제제와 치료 섭생(예를 들면, 방사선 요법, 수술, 화학 요법 및/또는 호르몬 치료)과 조합할 것을 권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경우에는, 본 발명의 텔로머라아제 저해 제제를 질환의 부작용을 치료하는 하나 이상의 제제, 예를 들면 진통제, 또는 환자 자신의 면역반응(예를 들면, 콜로니 자극 인자)을 자극하는 데 효과적인 제제와 조합할 것을 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루테리온 조성물은 임의의 적합한 수단에 의해 인간 또는 동물 대상에 투여 될 수 있다.
인간 또는 동물 대상에게 투여는 경구 또는 비경구적 방법으로, 근육 내, 뇌내, (정맥 내 포함)을 혈관, 피하, 비강 내, 심장 내, 뇌 실내, 복강 내 또는 경피 투여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주사에 의하여 투여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혈관 주사 (예: 정맥) 또는 근육주사 형태로 투여될 수 있으며, 환자의 특성에 따라, 투여에 필요한 경로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경구, 근육 내, 뇌내, (정맥 내 포함) 혈관, 심장 내, 뇌 실내, 복강 내, 피하, 비강 내 또는 경피 투여를 포함한 임의의 적합한 수단용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조성물은 또한 버퍼, 희석제 및 다른 적당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멸균 수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루테리온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증점제, 희석제, 완충제, 보존제, 및 기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 등을 포함 할 수 있으며, 의약조성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부형제)"는 환자에 하나 이상의 핵산을 전달하기 위한 에이전트 또는 다른 약리학적 불활성하고,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온 교환, 알루미나,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 레시틴, 혈청 단백질(예, 사람 혈청 알부민), 완충물질(예, 여러 인산염, 글리신, 소르브산, 칼륨 소르베이트, 포화 식물성 지방산의 부분적인 글리세라이드 혼합물), 물, 염 또는 전해질(예, 프로타민 설페이트, 인산수소이나트륨, 인산수소칼륨, 염화나트륨 및 아연 염), 교질성 실리카, 마그네슘 트리실리케이트, 폴리비닐 피롤리돈, 셀룰로즈-계 기질, 폴리에틸렌 글리콜,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 폴리아릴레이트, 왁스, 폴리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차단 중합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양모지 등이 포함된다.
약제학적 조성물은 멸균 주사용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으로서 멸균 주사용 제제의 형태일 수 있다. 이 현탁액은 적합한 분산제 또는 습윤제(예, 트윈 80) 및 현탁화제를 사용하여 본 분야에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제형될 수 있다. 멸균 주사용 제제는 또한 무독성의 비경구적으로 허용되는 희석제 또는 용매중의 멸균 주사용액 또는 현탁액(예, 1,3-부탄디올중의 용액)일 수 있다. 허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비히클 및 용매로는 만니톨, 물, 링겔 용액 및 등장성 염화나트륨 용액이 있다. 또한, 멸균 불휘발성 오일이 통상적으로 용매 또는 현탁화 매질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합성 모노 또는 디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여 자극성이 적은 어떠한 불휘발성 오일도 사용할 수 있다. 올레산 및 이의 글리세라이드 유도체와 같은 지방산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천연 오일(예, 올리브유 또는 피마자유), 특히 이들의 폴리옥시에틸화된 것과 마찬가지로 주사 제제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치료학적 유효량으로 투여된다. 투여 경로, 그리고 필요한 섭생 투여량은, 특히 치료될 환자의 상태, 연령, 체중의 심각성에 따라, 다양한 파라미터들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최적 투여량은 개별 구조의 상대적 효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추정된 시험 관내 및 생체 내 동물 모델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발견 EC50s에 기초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투여량은 0.01~100㎎/kg이고, 연령, 체중 및 환자의 상태가 치료될 질병의 중증도와 빈도 및 투여 경로. 구조의 다른 투여량은 투여, 근육 내 주사 또는 조직 (정맥 주사 또는 피하) 주사인지에 따라 조절하여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경구 투여를 위한 식이성 보충제 또는 기능식품으로서 제형될 수도 있다. 기능식품 제형, 또는 경구 약학적 조성물을 위해, 적합한 부형제는 예를 들어, 만니톨, 락토스, 글루코스, 수크로스, 녹말, 셀룰로스, 젤라틴,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소디움 사카린, 및/또는 탄산 마그네슘과 같은 약학적 등급의 담체를 포함한다. 경구 액체 제형의 사용을 위해, 조성물은 예를 들어, 수성 식염수, 수성 덱스트로스, 글리세롤, 또는 에탄올,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보통의 식염수와 같은 수성 담체 중의 수화에 적당한 고체 또는 액체 형태로 공급되는 용액, 현탁액, 에멀젼, 또는 시럽으로서 제조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다면, 조성물은 또한 습윤제, 에멀젼화제, 또는 버퍼와 같은 비독성 보조 물질의 소량을 함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루테리온은 기능식품적 제형에 통합될 수도 있으며, 약용 식물 추출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3관점에서 루테리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4관점에서 루테리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5관점에서 루테리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조직, 암세포 또는 암환자의 텔로머라아제 활성 억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6관점에서 루테리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세포의 증식 억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7관점에서 루테리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암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하는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8관점에서 루테리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암 조직, 암세포 또는 암환자의 텔로머라아제 활성 억제에 사용하는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9관점에서 루테리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암세포의 증식 억제에 사용하는 용도에 관한 것이다.
[ 실시예 ]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 루테리온의 분리
약용식물인 옻나무 (Rhus verniciflua stokes) 100g을 20-30배 크기 즉 2-3리터 용기 크기에 맞추어 절단하여 용기에 넣고, 식물의 5~8배인 500~800g(바람직하게는 식물의 6배 즉 600g)의 증류수를 용기에 투입한 후, 80℃ 이하에서 전탕을 수행하였다. 약 8시간 정도 전탕을 하되, 약 3시간마다 20~30분 동안 산소로 버블링을 가하여 식물의 루테리온이 엉기지 않도록 하였다. 상기 버블링 후 추출시 스팀되는 기화된 수증기를 플라스크에 수집하였다. 상기 수집한 수증기를 냉각하고 응축시켜 수득한 응축액에 IR광선(파장: 3∼1000㎛ 내외 바람직하게는 200~600㎛)을 1-2시간 조사하여 루테리온이 변이되지 않도록 하였다. 그 후, 0.8μm 이상의 직경의 공극을 구비하는 필터를 이용하여 상기 응축액을 필터링하여, 필터를 통과한 응축액만 1200~5000rpm에서 5~10분간 반복적으로 원심분리하였다. 상기 원심분리를 통해 수득한 상등액에는 IR광선을 조사하여 운동성을 가지며 모여드는 루테리온 입자를 피펫을 이용하여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루테리온을 50nm 직경의 공극을 구비하는 필터를 통과시켜 필터링되지 않은 부분만 PBS로 세척하여 옻나무 유래 루테리온을 수득하였다. 상기 과정에 의해 장직경 50-800nm인 루테리온을 수득할 수 있으며, 이는 암시야 현미경 또는 공초점 현미경을 통하여 관찰 확인이 가능하였다. 상기 수득한 루테리온은 크기에 따라 50-200nm (발생기)/ 200-400nm (성숙기)/ 400-600nm (분열기)/ 600-800nm (과분열기)로 구분하였다.
같은 방법으로 표 1~4에 기재된 약용식물로부터 루테리온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루테리온 처리에 의한 암세포의 텔로머라아제 활성
정상세포(Fibroblast) 및 암세포(NCl-H1975, MDA-MA-468, WiDr) 1X106 세포/ml를 각각 60mm 플레이트에 접종한 다음, 약 12시간 후에 실시예 1에서 분리된 루테리온을 50㎍/ml의 농도로 처리하여 배양하였다. 세포 배양은 PSF(antibiotic-antimycotic) 항생제 없는 조건에서, 1% FBS DMEM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수행하였다. 세포 접종 48시간 후에 수확하여 텔로머라아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TRAPeze® Telomerase Detection Kit (Millipore)를 이용한 TRAP 분석으로 텔로머라아제 활성을 분석한 결과, 루테리온 처리에 의해 암세포(NCl-H1975, MDA-MA-468, WiDr)의 텔로머라아제 발현 및 활성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1B).
또한, 정상세포인 Fibroblast를 대상으로, 동일한 실험과 분석을 수행한 결과, 인간 정상세포에서는 대조군(루테리온 미처리군)에 비해 텔로머라아제 발현 및 활성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1A).
실시예 3: 루테리온 처리에 의한 암세포 증식 억제
여러 종류의 인간 암세포주 (폐암(NCI-H1975), 대장암(WiDr), 유방암(MDA-MB-486), 간암(HCC38), 백혈병(AGH-77)) 및 정상세포주 (fibroblast)에서 루테리온의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측정하기 위해 MTT 분석을 실시하였다.
5x104 세포/ml의 세포 부유물을 96-웰(well) 바닥이 평편한 마이크로타이터 판의 각 웰(well)에 100 ㎕씩 접종하고 24 시간 동안 배양시킨 후, 여러 가지의 농도의 루테리온를 포함하고 있는 배지로 교체한 후, 다시 48 시간 배양시켰다. 그 후 각 웰에 배지로 10배 희석된 비수용성의 노란색 MTT (3-(4,5-dimethylthiazole-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용액 100 ㎕를 첨가한다. 세포 내 포마잔 결정이 생성되도록 37℃ 온도 및 5% 이산화탄소 농도의 인큐베이터에 보관하였다. 약 4시간 후 여분의 배지를 제거한 후 세포내 형성된 비수용성의 포마잔을 용해시키기 위해 각 웰에 DMSO를 200 ㎕씩 첨가한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를 이용하여 595 nm에서 흡광도를 분석하였다.
루테리온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의 흡광도를 100%로 하여 각각의 농도에 대한 암세포의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암세포의 생존율을 감소시킨 반면, 정상세포에서는 세포독성이 없었다 (도 12).
아울러, 상기 암세포주 외에 AsPC-1 췌장암 세포주, A549 폐암 세포주, BT-20 유방암 세포주에서 다양한 유래의 루테리온의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세포 생존률 측정은 상기 MTT 분석법과 동일하게 수행하였으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분리한 다양한 유래의 루테리온은 암세포에 대해 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도 13~도 15).
따라서 본 발명의 루테리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조성물은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여 암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내용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루테리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테리온은 강활(Ostericum koreanum Maximowicz), 독활(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형개(Schizonepeta tenuifolia Briquet), 방풍(Saposhnikovia divaricata Schischkin), 생지황(Rehmannia glutinosa Liboschitz ex Steudel), 복령(Poria cocos Wolf), 전호(Angelica decursiva Franchet et Savatier), 차전자(질경이(Plantago asiatica Linne)), 지골피(구기자(Lycium chinense Miller)), 시호(Bupleurum falcatum Linne), 택사(Alisma orientale Juzepzuk), 목통(Akebia quinata Decaisne), 현삼(Scrophularia ningpoensis Hemsley), 괄루인(Trichosanthes kirilowii Maximowicz), 저령(Polyporus umbellatus Fries), 황련(Coptis japonica Makino), 고삼(Sophora flavescens Solander ex Aiton), 황백(Phellodendron amurense Ruprecht), 지모(Anemarrhena asphodeloides Bunge), 숙지황(Rehmannia glutinosa Liboschitz ex Steudel), 산수유(Cornus officinalis Siebold et Zuccarini), 목단피(Paeonia suffruticosa Andrews), 복분자(Rubus coreanus Miquel), 인동등(Lonicera japonica Thunberg), 박하(Mentha arvensis Linne var. piperascens Malinvaud ex Holmes), 치자(Gardenia jasminoides Ellis), 연교(Forsythia viridissima Lindley), 우방자(Arctium lappa Linne), 미후등(다래(Actinidia arguta PLANCH)), 미후도(Actinidia arguta Fructus), 목과(Chaenomelis Fructus), 포도근(Vitis vinifera Radix), 노근(Phragmitis Rhizoma), 엥도(Prunus tomentosa Thunb), 오가피(Acanthopanax sessiliflorum SEEM), 송화분(Pinus densiflora S. et Z), 저두강반시(rice bran on a mallet head), 청송절(Pinus tabulaeformis), 교맥미(Semen Fagopyri), 옻나무(Rhus verniciflua ),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 당귀(Angelica Gigas Nakai), 진피(Citri Unshius Pericarpium), 적하수오(Polygonum multiflorum Thunberg), 백수오(Cynanchum wilfordii Hemsley),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 백출(Atractylodes japonica Koidzumi), 창출(Atractylodes lancea De Candlle), 건강(생강(Zingiber officinale Roscoe)), 육계(계피(Cinnamomum cassia Presl)), 청피(귤나무(Citrus unshiu Markovich)), 곽향(Agastache rugosa O. Kuntze), 자소엽(Perilla frutescens Britton var. acuta Kudo), 대추(Zizyphus jujuba Miller var. inermis Rehder),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부자(Aconitum carmichaeli Debeaux), 향부자(Cyperus rotundus Linne),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백작약(Paeonia lactiflora Pallas), 소회향(Foeniculum vulgare Miller), 고량강(Alpinia officinarum Hance), 대복피(Areca catechu Linne), 반하(Pinellia ternata Breitenbach), 남성(Arisaema amurense Maximowicz var. serratum Nakai), 익지(Alpinia oxyphylla Miquel), 지실(탱자나무(Poncirus trifoliata Rafinesque)), 후박(Magnolia ovobata Thunberg), 목향(Aucklandia lappa Decne), 오수유(Evodiae rutaecarpa Bentham), 파고지(Psoralea corylifolia Linn), 총백(파뿌리(Allium fistulosum Linn)), 사인(Amomum villosum Loureiro), 산사(Crataegus pinnatifida Bunge), 마황(Ephedra sinica Staph), 감국(chrysanthemum indicum Linne), 질경(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 행인(살구나무(Prunus armeniaca var. ansu Max.)), 백지(Angelica dahurica BENTH. et HOOK), 맥문동(Liriope muscari BALL), 천문동(Asparagus cochinchinensis Merr), 산약(참마(Dioscorea japonica THUNB)), 산조인(Zizyphus jujube), 용안육(Dimocarpus longan Lour), 원지(Polygala tenuifolia), 석창포(Acorus graminens SOLAND),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BAALL), 건율(Castanea crenata S.et Z.), 의이인(Coix lachryma - jobi var. ma-yuen), 나복자(무(Raphanus sativus L)), 갈근(칡(Pueraria thunbergiana)),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GEORG), 고본(Angelica tenuissima NAKAI), 녹용(Cervi Parvum Cornu), 대황(Rheum palmatum), 승마(Cimicifuga heracleifolia KOM), 백자인(Biota orientalis ENDL), 상백피(뽕나무(Morus alba L)), 관동화(Tussilago farfara), 백과(Gingko biloba L), 사향풀(Thymus vularis) 및 조각(Gleditsia japonica Miquel var.koraiensis Nakai)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약용식물 유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약용식물은 옻나무(Rhus verniciflua stoke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루테리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또는 식품 첨가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루테리온은 강활(Ostericum koreanum Maximowicz), 독활(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형개(Schizonepeta tenuifolia Briquet), 방풍(Saposhnikovia divaricata Schischkin), 생지황(Rehmannia glutinosa Liboschitz ex Steudel), 복령(Poria cocos Wolf), 전호(Angelica decursiva Franchet et Savatier), 차전자(질경이(Plantago asiatica Linne)), 지골피(구기자(Lycium chinense Miller)), 시호(Bupleurum falcatum Linne), 택사(Alisma orientale Juzepzuk), 목통(Akebia quinata Decaisne), 현삼(Scrophularia ningpoensis Hemsley), 괄루인(Trichosanthes kirilowii Maximowicz), 저령(Polyporus umbellatus Fries), 황련(Coptis japonica Makino), 고삼(Sophora flavescens Solander ex Aiton), 황백(Phellodendron amurense Ruprecht), 지모(Anemarrhena asphodeloides Bunge), 숙지황(Rehmannia glutinosa Liboschitz ex Steudel), 산수유(Cornus officinalis Siebold et Zuccarini), 목단피(Paeonia suffruticosa Andrews), 복분자(Rubus coreanus Miquel), 인동등(Lonicera japonica Thunberg), 박하(Mentha arvensis Linne var. piperascens Malinvaud ex Holmes), 치자(Gardenia jasminoides Ellis), 연교(Forsythia viridissima Lindley), 우방자(Arctium lappa Linne), 미후등(다래(Actinidia arguta PLANCH)), 미후도(Actinidia arguta Fructus), 목과(Chaenomelis Fructus), 포도근(Vitis vinifera Radix), 노근(Phragmitis Rhizoma), 엥도(Prunus tomentosa Thunb), 오가피(Acanthopanax sessiliflorum SEEM), 송화분(Pinus densiflora S. et Z), 저두강반시(rice bran on a mallet head), 청송절(Pinus tabulaeformis), 교맥미(Semen Fagopyri), 옻나무(Rhus verniciflua ),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 당귀(Angelica Gigas Nakai), 진피(Citri Unshius Pericarpium), 적하수오(Polygonum multiflorum Thunberg), 백수오(Cynanchum wilfordii Hemsley),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 백출(Atractylodes japonica Koidzumi), 창출(Atractylodes lancea De Candlle), 건강(생강(Zingiber officinale Roscoe)), 육계(계피(Cinnamomum cassia Presl)), 청피(귤나무(Citrus unshiu Markovich)), 곽향(Agastache rugosa O. Kuntze), 자소엽(Perilla frutescens Britton var. acuta Kudo), 대추(Zizyphus jujuba Miller var. inermis Rehder),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부자(Aconitum carmichaeli Debeaux), 향부자(Cyperus rotundus Linne),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백작약(Paeonia lactiflora Pallas), 소회향(Foeniculum vulgare Miller), 고량강(Alpinia officinarum Hance), 대복피(Areca catechu Linne), 반하(Pinellia ternata Breitenbach), 남성(Arisaema amurense Maximowicz var. serratum Nakai), 익지(Alpinia oxyphylla Miquel), 지실(탱자나무(Poncirus trifoliata Rafinesque)), 후박(Magnolia ovobata Thunberg), 목향(Aucklandia lappa Decne), 오수유(Evodiae rutaecarpa Bentham), 파고지(Psoralea corylifolia Linn), 총백(파뿌리(Allium fistulosum Linn)), 사인(Amomum villosum Loureiro), 산사(Crataegus pinnatifida Bunge), 마황(Ephedra sinica Staph), 감국(chrysanthemum indicum Linne), 질경(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 행인(살구나무(Prunus armeniaca var. ansu Max.)), 백지(Angelica dahurica BENTH. et HOOK), 맥문동(Liriope muscari BALL), 천문동(Asparagus cochinchinensis Merr), 산약(참마(Dioscorea japonica THUNB)), 산조인(Zizyphus jujube), 용안육(Dimocarpus longan Lour), 원지(Polygala tenuifolia), 석창포(Acorus graminens SOLAND),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BAALL), 건율(Castanea crenata S.et Z.), 의이인(Coix lachryma - jobi var. ma-yuen), 나복자(무(Raphanus sativus L)), 갈근(칡(Pueraria thunbergiana)),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GEORG), 고본(Angelica tenuissima NAKAI), 녹용(Cervi Parvum Cornu), 대황(Rheum palmatum ), 승마(Cimicifuga heracleifolia KOM), 백자인(Biota orientalis ENDL), 상백피(뽕나무(Morus alba L)), 관동화(Tussilago farfara), 백과(Gingko biloba L), 사향풀(Thymus vularis) 및 조각(Gleditsia japonica Miquel var.koraiensis Nakai)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약용식물 유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약용식물은 옻나무(Rhus verniciflua stoke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루테리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세포의 텔로머라아제 활성 억제용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루테리온은 강활(Ostericum koreanum Maximowicz), 독활(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형개(Schizonepeta tenuifolia Briquet), 방풍(Saposhnikovia divaricata Schischkin), 생지황(Rehmannia glutinosa Liboschitz ex Steudel), 복령(Poria cocos Wolf), 전호(Angelica decursiva Franchet et Savatier), 차전자(질경이(Plantago asiatica Linne)), 지골피(구기자(Lycium chinense Miller)), 시호(Bupleurum falcatum Linne), 택사(Alisma orientale Juzepzuk), 목통(Akebia quinata Decaisne), 현삼(Scrophularia ningpoensis Hemsley), 괄루인(Trichosanthes kirilowii Maximowicz), 저령(Polyporus umbellatus Fries), 황련(Coptis japonica Makino), 고삼(Sophora flavescens Solander ex Aiton), 황백(Phellodendron amurense Ruprecht), 지모(Anemarrhena asphodeloides Bunge), 숙지황(Rehmannia glutinosa Liboschitz ex Steudel), 산수유(Cornus officinalis Siebold et Zuccarini), 목단피(Paeonia suffruticosa Andrews), 복분자(Rubus coreanus Miquel), 인동등(Lonicera japonica Thunberg), 박하(Mentha arvensis Linne var. piperascens Malinvaud ex Holmes), 치자(Gardenia jasminoides Ellis), 연교(Forsythia viridissima Lindley), 우방자(Arctium lappa Linne), 미후등(다래(Actinidia arguta PLANCH)), 미후도(Actinidia arguta Fructus), 목과(Chaenomelis Fructus), 포도근(Vitis vinifera Radix), 노근(Phragmitis Rhizoma), 엥도(Prunus tomentosa Thunb), 오가피(Acanthopanax sessiliflorum SEEM), 송화분(Pinus densiflora S. et Z), 저두강반시(rice bran on a mallet head), 청송절(Pinus tabulaeformis), 교맥미(Semen Fagopyri), 옻나무(Rhus verniciflua ),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 당귀(Angelica Gigas Nakai), 진피(Citri Unshius Pericarpium), 적하수오(Polygonum multiflorum Thunberg), 백수오(Cynanchum wilfordii Hemsley),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 백출(Atractylodes japonica Koidzumi), 창출(Atractylodes lancea De Candlle), 건강(생강(Zingiber officinale Roscoe)), 육계(계피(Cinnamomum cassia Presl)), 청피(귤나무(Citrus unshiu Markovich)), 곽향(Agastache rugosa O. Kuntze), 자소엽(Perilla frutescens Britton var. acuta Kudo), 대추(Zizyphus jujuba Miller var. inermis Rehder),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부자(Aconitum carmichaeli Debeaux), 향부자(Cyperus rotundus Linne),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백작약(Paeonia lactiflora Pallas), 소회향(Foeniculum vulgare Miller), 고량강(Alpinia officinarum Hance), 대복피(Areca catechu Linne), 반하(Pinellia ternata Breitenbach), 남성(Arisaema amurense Maximowicz var. serratum Nakai), 익지(Alpinia oxyphylla Miquel), 지실(탱자나무(Poncirus trifoliata Rafinesque)), 후박(Magnolia ovobata Thunberg), 목향(Aucklandia lappa Decne), 오수유(Evodiae rutaecarpa Bentham), 파고지(Psoralea corylifolia Linn), 총백(파뿌리(Allium fistulosum Linn)), 사인(Amomum villosum Loureiro), 산사(Crataegus pinnatifida Bunge), 마황(Ephedra sinica Staph), 감국(chrysanthemum indicum Linne), 질경(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 행인(살구나무(Prunus armeniaca var. ansu Max.)), 백지(Angelica dahurica BENTH. et HOOK), 맥문동(Liriope muscari BALL), 천문동(Asparagus cochinchinensis Merr), 산약(참마(Dioscorea japonica THUNB)), 산조인(Zizyphus jujube), 용안육(Dimocarpus longan Lour), 원지(Polygala tenuifolia), 석창포(Acorus graminens SOLAND),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BAALL), 건율(Castanea crenata S.et Z.), 의이인(Coix lachryma - jobi var. ma-yuen), 나복자(무(Raphanus sativus L)), 갈근(칡(Pueraria thunbergiana)),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GEORG), 고본(Angelica tenuissima NAKAI), 녹용(Cervi Parvum Cornu), 대황(Rheum palmatum ), 승마(Cimicifuga heracleifolia KOM), 백자인(Biota orientalis ENDL), 상백피(뽕나무(Morus alba L)), 관동화(Tussilago farfara), 백과(Gingko biloba L), 사향풀(Thymus vularis) 및 조각(Gleditsia japonica Miquel var.koraiensis Nakai)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약용식물 유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약용식물은 옻나무(Rhus verniciflua stoke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60001162A 2015-01-05 2016-01-05 루테리온을 이용한 암세포의 텔로머라아제 억제방법 KR1017663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00751 2015-01-05
KR1020150000751 2015-01-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322A true KR20160084322A (ko) 2016-07-13
KR101766373B1 KR101766373B1 (ko) 2017-08-09

Family

ID=56356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162A KR101766373B1 (ko) 2015-01-05 2016-01-05 루테리온을 이용한 암세포의 텔로머라아제 억제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406188B1 (ko)
EP (1) EP3243528A4 (ko)
JP (1) JP2018502152A (ko)
KR (1) KR101766373B1 (ko)
CN (2) CN113633669A (ko)
HK (1) HK1247104A1 (ko)
WO (1) WO201611153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82757A1 (ko) * 2022-03-22 2023-09-28 주식회사 메디포럼 뇌졸중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05448A (ja) * 2014-01-14 2017-02-16 チョイ ウォンチョルCHOI, Won Cheol ルテリアルの形態特性を用いた癌予防剤または抗癌剤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
CN107429226A (zh) 2015-01-06 2017-12-01 株式会社露太利温 luterion及其分离和培养方法
KR101885648B1 (ko) * 2018-01-31 2018-08-06 신보현 백하수오, 황정, 머위 및 다시마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50039B1 (ko) * 2019-08-28 2022-01-1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당귀, 포부자 및 건강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261707A1 (ko) 2020-06-21 2021-12-30 (주)앗코스텍 배초향 추출물 또는 틸리아닌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CN113317205B (zh) * 2021-07-15 2022-10-18 云南中医药大学 一种阳春砂利用基茎丛生芽和“节繁殖”培养的高效人工育苗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11422A (en) * 1979-02-22 1980-08-28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Antitumorigenic agent
US5583016A (en) 1994-07-07 1996-12-10 Geron Corporation Mammalian telomerase
US5958680A (en) 1994-07-07 1999-09-28 Geron Corporation Mammalian telomerase
US5760062A (en) 1995-04-18 1998-06-02 Geron Corporation Telomerase inhibitors
US5656638A (en) 1995-04-18 1997-08-12 Geron Corporation Telomerase inhibitors
US5863936A (en) 1995-04-18 1999-01-26 Geron Corporation Telomerase inhibitors
US5770613A (en) 1995-09-29 1998-06-23 Geron Corporation Telomerase inhibitors
US5767278A (en) 1995-10-06 1998-06-16 Geron Corporation Telomerase inhibitors
US6444650B1 (en) 1996-10-01 2002-09-03 Geron Corporation Antisense compositions for detecting and inhibiting telomerase reverse transcriptase
US6261836B1 (en) 1996-10-01 2001-07-17 Geron Corporation Telomerase
JP2003061615A (ja) * 2001-08-27 2003-03-04 Niigata Prefecture テロメラーゼ阻害剤及び食品組成物
EP3682903A1 (en) * 2003-09-09 2020-07-22 Geron Corporation Modified oligonucleotides for telomerase inhibition
KR20050107352A (ko) * 2005-10-25 2005-11-11 (주)에이지아이 옻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신규의 천연물 항암제
KR20070077154A (ko) * 2007-06-20 2007-07-25 (주)에이지아이 칠피, 건칠, 칠목 유래 알러지를 유발하지 않는 추출물 및이를 함유하는 약리학적 조성물
KR20110099538A (ko) * 2010-03-02 2011-09-08 (주)에이지아이 옻나무의 알러지를 제거하는 방법 및 그 조성물
EP2604274B1 (en) * 2010-08-11 2016-07-13 AZI Company Ltd. Rhus verniciflua stokes extract having increased content of active flavonoid compound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EP3563858A1 (en) * 2010-10-18 2019-11-06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Use of exosomes to promote or enhance wound healing
AU2013302526B2 (en) * 2012-08-15 2018-03-22 The University Of Chicago Exosome-based therapeutics against neurodegenerative disorders
US10338061B2 (en) * 2013-07-12 2019-07-02 Young Ah Kwon Method for diagnosis of diseases using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luterial
JP2017505448A (ja) * 2014-01-14 2017-02-16 チョイ ウォンチョルCHOI, Won Cheol ルテリアルの形態特性を用いた癌予防剤または抗癌剤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
US10590384B2 (en) * 2014-01-14 2020-03-17 Luterion Co., Ltd. Luterial and method for isolating and culturing the same
JP6862182B2 (ja) 2014-01-14 2021-04-21 チョイ ウォンチョルCHOI, Won Cheol ルテリアル、並びにその分離および培養方法
CN107429226A (zh) * 2015-01-06 2017-12-01 株式会社露太利温 luterion及其分离和培养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82757A1 (ko) * 2022-03-22 2023-09-28 주식회사 메디포럼 뇌졸중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11530A1 (ko) 2016-07-14
EP3243528A4 (en) 2018-08-01
US10406188B1 (en) 2019-09-10
KR101766373B1 (ko) 2017-08-09
HK1247104A1 (zh) 2018-09-21
CN113633669A (zh) 2021-11-12
CN107427592A (zh) 2017-12-01
EP3243528A1 (en) 2017-11-15
JP2018502152A (ja) 2018-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6373B1 (ko) 루테리온을 이용한 암세포의 텔로머라아제 억제방법
KR100840213B1 (ko) 본초 조성물 phy906 및 화학요법에서의 이의 용도
KR20160084175A (ko) 식물유래 루테리온의 암 줄기세포의 성장 및/또는 분화 억제 용도
EP3096141A1 (en) Method for screening cancer prevention agent or anticancer agent using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luterial
KR20230057438A (ko) 진세노사이드 Rg3과 진세노사이드 Rg5의 조성물 및 항종양 효과를 포함하는 이의 약학적 용도
TWI413525B (zh) 醫藥組成物作為製備抑制肺癌幹細胞生長之藥物之用途
He et al. Utilization and conservation of medicinal plants in China with special reference to Atractylodes lancea
CN104940933A (zh) 一种用于预防治疗心血管疾病的药物
CN109276591A (zh) 刺五加当归黄芪组合物辅助降血糖新用途
CN106038580A (zh) 刺五加组合物及其相关应用
CN107029173B (zh) 一种治疗原发性肝癌的药物组合物
CN102805836B (zh) 一种治疗原发性肝癌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1450106A (zh) 一种具有促缺血心肌血管生成作用的中药组合物
CN104971299B (zh) 抗肿瘤中药组合物、其制备和应用
CN102697800B (zh) 繁缕多糖组合物及其在制备抗病毒药物中的应用
KR20160084176A (ko) 식물유래 루테리온을 이용한 변이된 p53 유전자의 복원방법
CN102048824B (zh) 一种用于治疗脑血管疾病的中药组合物及其应用
CN109172749A (zh) 一种治疗痛风的药酒及其制备方法
CN109276593A (zh) 一种治疗冠心病的中药组合物
KR20160084178A (ko) 루테리알 또는 루테리온의 유전물질 전달체 용도
CN102342990A (zh) 一种治疗带状疱疹的中药组合物
Abderrahman Mitodepressive effect of Rubia cordifolia extract on the bone marrow cells of mice
CN104116025B (zh) 党参多糖在制备具有辅助抑制前列腺癌功效的功能食品中的应用
CN105166896A (zh) 一种辅助改善记忆力的保健食品
CN105456684A (zh) 一种用于气阴两虚型心房颤动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