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5648B1 - 백하수오, 황정, 머위 및 다시마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백하수오, 황정, 머위 및 다시마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5648B1
KR101885648B1 KR1020180012139A KR20180012139A KR101885648B1 KR 101885648 B1 KR101885648 B1 KR 101885648B1 KR 1020180012139 A KR1020180012139 A KR 1020180012139A KR 20180012139 A KR20180012139 A KR 20180012139A KR 101885648 B1 KR101885648 B1 KR 101885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gastric cancer
composition
mixed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2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보현
Original Assignee
신보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보현 filed Critical 신보현
Priority to KR1020180012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6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6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7Asclepiadaceae (Milkweed family), e.g. hoy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하수오, 황정, 머위, 및 다시마를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암의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에 상승적 효과를 나타내는 약학적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백하수오, 황정, 머위 및 다시마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Cynanchi wilfordii, Polygonatum falcatum A. Gray, Petasites japonicas and Laminaria japonica for preventing or treating of stomach cancer}
본 발명은 백하수오, 황정, 머위, 및 다시마를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암의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에 상승적 효과를 나타내는 약학적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암(cancer)이란 다양한 원인에 의해 세포의 분열과 사멸 간의 균형이 파괴됨으로써 계속적인 분열과 증식에 의해 발생하는 세포의 집단을 의미하며, 악성종양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암은 장기, 백혈구, 뼈, 림프절 등을 포함한 100 가지 이상의 신체의 여러 부분에서 발명하며, 주변조직으로 침윤하는 현상 및 다른 기관으로 이동하는 전이를 통해 심각한 증상으로 발전하여 최종적으로 사망에 이르게 된다. 특히, 위암은 국내에 있어 가장 높은 발병율을 보이는 암으로서, 남자의 경우 전체 암 중 30%를 차지하고 있으며, 여자의 경우에도 약 15%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암의 치료를 위해서 외과적 치료, 화학요법, 생물요법, 방사선요법 등이 이용되고 있다. 현재까지 이러한 방법들은 단독 혹은 병용하여 치료에 응용되고 있으나 부작용, 약제내성, 재발 등의 단점이 있으며, 정상세포에까지 독성이 나타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암 치료를 위한 새로운 접근방법으로 독성이 비교적 낮은 천연물로부터 부작용이 적고 암 세포의 전이 및 증식을 억제하는 효능이 뛰어난 치료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15867호 한국등록특허 제10-1666348호
본 발명은 위암의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에 상승적 효과를 나타내는, 천연물 유래 혼합 조성물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백하수오, 황정, 머위 및 다시마를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백하수오, 황정, 머위, 및 다시마를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일 구현예로서, 본 발명은 백하수오, 황정, 머위 및 다시마를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혼합 추출물은 백하수오 15~30중량%, 황정 15~30중량%, 머위 15~30중량%, 및 다시마 15~30중량%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백하수오, 황정, 머위 및 다시마 추출물이 각각 20 중량% 미만인 경우, 항암활성이 미비하여 기대효과를 얻는데 한계가 있고, 30 중량부 초과인 경우, 항암 활성이 더 이상 증대되지 않아 그 이상 포함한다 하더라도 임계값 이상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제조원가의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또 다른 구체적인 일 예로, 상기 혼합 추출물은 두충, 칡, 구기자, 결명자, 대추 및 계피 추출물을 더욱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두충, 칡, 구기자, 결명자, 대추 및 계피 추출물은 백하수오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0.001 내지 1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두충, 칡, 구기자, 결명자, 대추 및 계피 추출물이 백하수오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1 중량부 미만일 경우, 혼합되는 천연 추출물로 조성된 본 발명의 조성물로부터 항암 활성의 상승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백수오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천연 추출물이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될 경우에는 임계값 이상의 기대효과를 얻기 어려우며 제조원가의 상승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위암(stomach cancer)은 위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을 통칭한다. 위암의 위험인자로는 위암 가족력, 헬리코박터균 감염, 흡연, 짠음식, 가공된 단백질, 상한 음식 등으로 알려져 있으며, 위염이나 위궤양의 증상으로부터 발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백하수오, 황정, 머위 및 다시마 추출물이 혼합된 조성물이 위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함을 확인하였으며, 두충, 칡, 구기자, 결명자, 대추 및 계피 추출물이 더욱 포함된 경우, 위암세포 증식이 억제되는 효과가 더욱 증가함을 확인하였다(표 2 및 표 3). 또한, 암세포에 대한 선택적 사멸 능력 역시 우수함을 확인하였다(표 4). 나아가,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은 생체 내에서 독성이 거의 없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착즙 추출, 수증기 추출, 열수 추출, 초음파 추출, 용매 추출, 또는 환류냉각 추출 등 통상의 천연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다양한 방법에 따라 추출된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열수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열수 추출은 열수를 이용한 통상의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추출 수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천연물들을 분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용매 추출의 경우, 추출을 위한 적절한 용매로는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에틴아세테이트, 메틸렌 클로라이드, 헥산 및 시클로헥산 등의 각종 용매를 단독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경우, 상기 조성물 내의 추출물의 함량은 질환의 증상, 증상의 진행 정도, 환자의 상태 등에 따라서 적절히 조절 가능하며, 예컨대, 전체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99.9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0중량%인 것이 좋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함량비는 용매를 제거한 건조량을 기준으로 한 값이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 등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을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부형제 및/또는 윤활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량은 유효성분을 기준으로 1일 0.1 mg/kg 내지 100 mg/kg으로 하는 것이 좋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동물,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정맥, 근육, 피하주사 등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유효성분의 약학적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구현예로서 본 발명은 백하수오, 황정, 머위, 및 다시마를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혼합 추출물은 백하수오 15~30중량%, 황정 15~30중량%, 머위 15~30중량%, 및 다시마 15~30중량%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적인 일 예로, 상기 혼합 추출물은 두충, 칡, 구기자, 결명자, 대추 및 계피 추출물을 더욱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두충, 칡, 구기자, 결명자, 대추 및 계피 추출물은 백하수오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0.001 내지 1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위암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식품의 주원료, 부원료, 식품 첨가제, 기능성 식품 등으로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다.
“식품”이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로 사용될 경우,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능성 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위암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기능성 식품 등이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식품, 음료 또는 식품 첨가제는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천연물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1. 백하수오
백하수오(Cynanchum wilfordii)는 백수오(白首烏), 산백(山伯) 또는 큰조롱으로 불리며, 박주가리에 가까운 생김새를 가진 여러해살이 덩굴풀이다.
줄기는 시곗바늘과 같은 방향으로 돌아가면서 다른 물체를 감아 올라가는 특성을 지니며, 마디마다 2장의 잎이 마주 자리하였다. 끝이 뾰족한 잎의 밑동은 심장 꼴로 깊게 패어 있다. 잎겨드랑이에는 잎자루보다 짧은 꽃대가 생겨나, 여러 송이의 꽃이 둥글게 뭉쳐 핀다. 줄기는 가늘지만 질긴 편이며, 길이 1~3m 정도로 자란다. 또한, 희고 살찐 덩이뿌리를 가지고 있으며, 줄기를 자르면 흰색의 액이 흐른다.
백하수오는 임파선염을 치료하고, 부스럼을 가라앉히기 때문에 머리와 얼굴에 나는 뾰루지를 낫게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레시틴'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머리카락을 검게하고, 모발 영양이나 탈모 예방 효능이 있다. 또한, 신장 기능을 튼튼하게 하고, 원기 회복, 자양강장, 빈혈 개선, 불면증 개선, 변비 개선, 관절염 개선 및 성인병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2. 황정
백합과에 속하는 황정(Polygonatum falcatum A. Gray)은 한국, 중국, 일본등지에서 자생하는 식물로서 관상용, 식용, 약용으로 사용되는 다년생 식물이며, 5-6월경 꽃을 피우고 가을에 수확을 해서 잘 말려 사용한다. 한방에서는 황정을 비장이 허약하거나 폐렴, 자양, 강장, 회복기 환자를 위한 치료제로 사용해오고 있으며, 꽃이 약효가 좋으나 그 수확양이 부족해서 근경을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安德均, 黃精類의 本草學的 硏究, 생약학회지1 6, pp 105~113, 1985). 황정의 근경에는 아제티딘(azetidine)-2-카르복시산(carboxylic acid), 아스파르트 산(aspartic acid), 호모세린(homoserine), 디지털리스 글리코시드(digitalis glicoside)가 함유되어 있으며 잎에는 비텍신(vitexin), 자일로시드(xyloside)와 5. 4‘-디하이드록시플라본(dihydroxyflavone)의 배당체가 들어 있다(生藥學 교재편찬 위원회. 生藥學 第3版. 동명사. p542, 2001).
3. 머위
머위(Petasites japonicus )는 국화과로 집 주변과 울타리 주변에 심어 두기도 하며 밭작물로 재배하기도 한다. 머위는 지역에 따라 '머구', '머우'라고도 부르며 한의학에서는 '봉두채(蜂斗菜)'라고 한다. 암수가 딴그루로 자라며 이른 봄 2월 말~3월 초가 되면 땅속에서 줄기가 뻗어 오르면서 꽃을 피운다. 머위에 포함되어 있는 페타시페놀(petasiphenol) 성분은 아포토시스(apoptosis, 세포자살) 저해 및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며, 해독, 항알레르기, 편도선염, 천식 등에 효과가 있다.
4. 다시마
다시마(Laminaria japonica)는 갈조류에 속하며, 길이는 2~4m, 폭은 20~30cm 내외이며 황갈색 또는 흑갈색의 띠 모양을 이룬다. 다시마에는 칼슘, 칼륨, 요오드, 아연 등 생체 대사에 관여하는 무기질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비타민으로서 비타민 C가 많이 함유되어 있다.
5. 두충
두충(Eucommiaulmoides)은 산과 들에서 자라는 중국 특산식물로서, 높이는 10 m 정도이다. 잎은 마주나고 대개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며 밑은 둥글고 고르지 못한 톱니가 있으며, 잎 길이는 5∼16cm, 너비 2∼7cm로 양면에 털이 거의 없으나 맥 위에는 잔 털이 있고 예리한 톱니가 있다. 약리작용으로 혈압강하, 항노화, 콜레스테롤 강하, 항염, 진정, 진통, 면역 조절, 혈액응고, 자궁수축, 항알레르기, 항균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6. 칡
칡(Pueraria thunbergiana)은 다년생 식물로서 겨울에도 얼어 죽지않고 대부분의 줄기가 살아남는다. 줄기는 매년 굵어져서 굵은 줄기를 이루기 때문에 나무로 분류된다. 칡은 오래전부터 구황작물로 식용되었고 자양강장제 등 건강식품으로 이용되기도 하였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갈근(葛根)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발한·해열 등의 효과가 있다.
7. 구기자
구기자(Lycium chinense)는 가지과에 속하는 낙엽관목으로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전역에 분포한다. 건조된 구기자 열매는 한 쪽이 뾰족한 방추상이며 열매껍질은 적색 또는 어두운 적색이다. 바깥면은 쭈글쭈글하고 속에는 황색을 띤 흰색의 씨가 들어 있다. 씨는 납작한 타원형이다. 약리작용으로 비특이성면역증강 작용, 조혈작용, 콜레스테롤강하작용, 항지방간작용, 혈압강하, 혈당강하, 생장촉진, 항암작용 등이 보고된 바 있다.
8. 결명자
결명자는 콩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초본으로 초결명자(Cassia obtusifolia L.)와 결명자(Cassia tora L.)의 두 품종이 알려져 있다. 결명자는 초결명, 긴강남차라고도 한다. 초결명자는 중앙아메리카 원산으로 일본 등지에서 재배되고, 결명자는 열대 아시아산으로 중국, 우리나라 등지에서 재배된다. 청열명목 작용에 의하여 급성결막염, 안구출혈, 이물질이나 통증을 느끼고, 눈물을 흘리는 경우, 노인의 눈에 발생하는 각막 혼탁현상, 즉 만성진행성 질환, 시신경, 망막위축에 기인하는 급속한 시력감퇴에 치료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9. 대추
대추나무의 열매로, 그 색이 붉다 하여 홍조(紅棗)라고도 하는데, 홍조는 찬 이슬을 맞고 건조한 것이라야 양질의 대추가 된다. 과육에는 주로 당분이 들어 있으며 점액질·능금산·주석산 등도 들어 있다. 씨에는 베툴린·베투릭산·지방 등이 들어 있어 한방에서는 이뇨강장·건위진정·건위자양의 약재로 널리 쓰인다.
10. 계피
녹나무과에 속하는 상록교목인 생달나무(天竹桂, Cinnamomum japonicum SIEB.)의 나무껍질로 만든 약재로서, 약효 성분은 휘발성 정유 성분이 약 1%인데, 그 중에 펠란드렌(Phellandrene), 유게놀(Eugenal), 메틸유게놀(Methyleugual)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의 맛은 맵고 단맛이 나며 약성은 열성이다. 효능은 비위장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므로 소화기가 차서 소화장애가 있거나 복부가 차서 일어나는 복통 설사 등에 널리 이용된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천연물들은 식용으로서 인체에 부작용이 극히 적으며, 위암을 완화 또는 예방하는데 상승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실시예를 통해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천연 혼합 추출물은 위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위암세포의 선택적 사멸 효과를 나타낼 뿐 아니라, 천연물로서 독성이 극히 적어 종래의 화학요법의 대체 요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추출물의 준비
천연물로 이물질이 제거된 백하수오, 황정, 머위, 다시마, 두충, 칡, 구기자, 결명자, 대추 및 계피를 각각 건조 후 분쇄하여 가루가 되도록 하였다. 상기 가루를 하기 표 1에 나타난 혼합량에 따라 혼합한 후 정제수 5 L에 넣고 온도 100℃에서 1시간 30분 동안 추출하여 혼합 추출물을 준비하였다. 각 원료들의 혼합량은 하기 표 1과 같다.
원료 함량비율(중량%)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백하수오 100 25 23.5
황정 - 25 23.5
머위 - 25 23.5
다시마 - 25 23.5
두충 - - 1
- - 1
구기자 - - 1
결명자 - - 1
대추 - - 1
계피 - - 1
100 100 100
실험예 1. 암세포의 증식에 대한 영향 분석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이 위암세포인 AGS(human stomach adenocarcinoma)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4 x 104cell/ml의 세포를 5일 동안 배양하면서 살아있는 위암세포의 수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 정제수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다.
구분 세포 수 (x 104cell/ml)
1일 2일 3일 4일 5일
비교예 1 4.1±0.3 4.2±0.3 4.0±0.3 3.7±0.3 3.5±0.3
실시예 1 4.0±0.3 4.3±0.3 3.9±0.3 3.2±0.3 2.8±0.3
실시예 2 4.0±0.3 4.2±0.3 3.7±0.3 3.0±0.3 2.5±0.3
대조군 4.1±0.3 6.8±0.3 8.1±0.3 7.2±0.3 6.5±0.3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위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고 사멸시키는 효과는 단독 추출물인 비교예 1 보다 혼합 추출물인 실시예 1 및 2에서 더욱 우수하였으며, 두충, 칡, 구기자, 결명자, 대추 및 계피가 더욱 혼합된 경우 이러한 효과는 더욱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암세포에 대한 SRB 분석
SRB(sulforhodamine B) assay는 세포 단백질을 염색하여 세포의 증식이나 독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Doll 등의 문헌[Doll R, et al., The causes of cancer, Quantitative estimates of avoidable risks of Cancer in the United States today. J Natl Cancer Inst., 66(6): 1192(1981)]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위암세포인 AGS(human stomach adenocarcinoma)를 4 x 104cell/ml으로 96 웰(well) 플레이트의 각 웰에 100 ㎕씩 첨가하여 24 시간 동안 배양(37℃, 5% CO2)한 다음, 비교예 1,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수득된 추출물을 최종농도 0.2, 0.4, 0.6, 0.8 및 1.0 mg/mL로 100 ㎕씩 첨가하여 48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이 완료된 후에 상등액을 제거하고 차가운 10%(w/v) TCA (trichoroacetic acid) 100 ㎕를 가하여 4 시간 동안 방치한 후 증류수로 4 내지 5회 세척하여 TCA를 제거하고 실온에서 plate를 건조한 후 각 웰에 1%(w/v) 아세트산에 녹인 0.4%(w/v) SRB 용액을 100 ㎕씩 첨가하고 상온에서 30분 동안 염색시 켰다. 결합되지 않은 SRB 염색액은 1% 아세트산으로 4 내지 5회 세척시킨 후 건조시켜 10 mM Tris 완충액 100㎕씩을 첨가하여 염색액을 녹여낸 후 ELISA 리더(Molecular Devices, USA)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 정제수를 사용하였다.
위암세포 증식억제 비율
비교예 1 63.1±0.5
실시예 1 83.1±0.5
실시예 2 87.6±0.5
대조군 8.1±0.5
그 결과,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위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비율은 단독 추출물에 비해 혼합 추출물에서 더욱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상대적으로 적은 비율을 차지하더라도 두충, 칡, 구기자, 결명자, 대추 및 계피 추출물이 더욱 혼합된 경우 증식억제 비율이 더욱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암세포에 대한 선택적 사멸 능력 확인
MTT 분석을 이용하여 정상세포 (HEL299)에 대한 각 시료의 농도에서 세포독성을 측정하고 SRB 분석을 이용하여 위암세포의 증식 억제 활성을 측정한 각 농도에서의 세포 독성에 대한 암세포 증식 억제 활성의 비율인 selectivity를 Rubinstein 등의 문헌[Rubinstein LV, et al., J. Natl Cancer Inst., 82: 1113-1118(1990)]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다음 수학식 1의 방법에 따라 계산하였다.
상기 MTT 분석은 Monks 등의 방법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실험대상 세포의 농도를 4 x 104cell/ml으로 24 웰 플레이트에 900 ㎕씩 첨가하여 24 시간 동안 배양(37℃, 5% CO2)시킨 후 실시예 1 및 2, 및 비교예 1 및 2에서 수득된 추출물을 최종농도 0.2, 0.4, 0.6, 0.8 및 1.0 mg/mL로 100 ㎕씩 첨가하여 48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이 완료된 후에 100 ㎕의 MTT (50 mg/ML) 용액을 첨가하여 4 시간 동안 배양하여 formazan을 형성시킨 후, DMSO 900 ㎕를 첨가하여 formazan을 녹였으며, 각 well에서 100 ㎕씩 취하여 96 well plate에 옮긴 다음 540 nm에서 ELISA 리더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 정제수를 사용하였다.
Figure 112018011099856-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 따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으며,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은 단독 추출물에 비하여 우수한 선택적 사멸도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위암세포 선택적 사멸도
비교예 1 1.9
실시예 1 2.1
실시예 2 2.2
실험예 4. 본 발명 혼합 추출물의 생체 내(In vivo) 세포독성 확인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이 생체에 미치는 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비교예 1, 실시예 1 및 실시예 2를 각각 PBS에 10 mg/ml로 녹인 후, 마우스 5 마리를 대상으로 마우스 체중 1 g 당 1 mg 씩 복강에 주사하고 마우스의 상태를 1 개월에 걸쳐 관찰하였다.
상기 관찰 결과, 이러한 실험 기간 동안 비교예 1, 실시예 1 및 실시예 2 모두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이상 현상이나 중독증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는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이 생체 내(in vivo)에서 독성이 거의 없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백하수오, 황정, 머위 및 다시마를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백하수오 20~30중량%, 황정 20~30중량%, 머위 20~30중량%, 및 다시마 20~30중량%로 혼합된 것인, 위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두충, 칡, 구기자, 결명자, 대추 및 계피 추출물을 더욱 포함하는 것인, 위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두충, 칡, 구기자, 결명자, 대추 및 계피는 백하수오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0.001 내지 1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위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열수 추출방법을 이용해서 추출된 것인, 위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백하수오, 황정, 머위, 및 다시마를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백하수오 20~30중량%, 황정 20~30중량%, 머위 20~30중량%, 및 다시마 20~30중량%로 혼합된 것인, 위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두충, 칡, 구기자, 결명자, 대추 및 계피를 더욱 포함하는 것인, 위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두충, 칡, 구기자, 결명자, 대추 및 계피는 백하수오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0.001 내지 1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위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열수 추출방법을 이용해서 추출된 것인, 위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180012139A 2018-01-31 2018-01-31 백하수오, 황정, 머위 및 다시마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85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139A KR101885648B1 (ko) 2018-01-31 2018-01-31 백하수오, 황정, 머위 및 다시마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139A KR101885648B1 (ko) 2018-01-31 2018-01-31 백하수오, 황정, 머위 및 다시마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5648B1 true KR101885648B1 (ko) 2018-08-06

Family

ID=63252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139A KR101885648B1 (ko) 2018-01-31 2018-01-31 백하수오, 황정, 머위 및 다시마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564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8183A (ko) * 2003-06-16 2004-12-23 김상춘 버섯류와 약용식물을 이용한 성인병 예방 및 당뇨병 치료보조제
KR20050001730A (ko) * 2003-06-26 2005-01-07 진주버섯영농조합 암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815867B1 (ko) 2005-12-06 2008-03-21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황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약학조성물
KR20110000036A (ko) * 2009-06-26 2011-01-03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시마 유래 당단백질을 함유한 항암용 조성물
KR101666348B1 (ko) 2015-08-12 2016-10-17 김수경 백하수오를 포함하는 천연유래물질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JP2018502152A (ja) * 2015-01-05 2018-01-25 ルテリオン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Luterion Co., Ltd. ルテリオンを利用した癌細胞のテロメラーゼ抑制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8183A (ko) * 2003-06-16 2004-12-23 김상춘 버섯류와 약용식물을 이용한 성인병 예방 및 당뇨병 치료보조제
KR20050001730A (ko) * 2003-06-26 2005-01-07 진주버섯영농조합 암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815867B1 (ko) 2005-12-06 2008-03-21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황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약학조성물
KR20110000036A (ko) * 2009-06-26 2011-01-03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시마 유래 당단백질을 함유한 항암용 조성물
JP2018502152A (ja) * 2015-01-05 2018-01-25 ルテリオン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Luterion Co., Ltd. ルテリオンを利用した癌細胞のテロメラーゼ抑制方法
KR101666348B1 (ko) 2015-08-12 2016-10-17 김수경 백하수오를 포함하는 천연유래물질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93777B2 (ja) 抗ヘリコバクター・ピロリ用組成物
KR101751398B1 (ko) 당귀, 산수유, 녹용, 홍삼, 숙지황, 침향 및 벌꿀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1817055B1 (ko) 항산화 및 면역기능 증진 활성을 갖는 덖음차 조성물
KR101947786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스트레스 완화, 피로회복 또는 운동수행능력 증강용 식품 조성물
Hussain et al. Fig (Ficus Carica)—Morphology, Taxonomy, Composition and Health Benefits
KR20180041887A (ko) 고욤잎 및 포도송이 가지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034620A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254420B1 (ko) 약용 및 식용 천연물 복합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Upadhyay et al. Caesalpinia crista L.: A review on traditional uses, phytochemistry and pharmacological properties
KR102137388B1 (ko) 오리나무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suzu Bitter herbs of eastern Nigeria (Gongronema latifolium, Vernonia amygdalina and Vitex doniana): A review
KR20170109703A (ko) 혼합 생약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910013B1 (ko) 한약재 추출물(socg)을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85648B1 (ko) 백하수오, 황정, 머위 및 다시마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32483B1 (ko) 연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말초신경병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14431B1 (ko) 엉겅퀴, 민들레, 여주, 돼지감자, 양파, 꾸지뽕, 아로니아 및 생강을 포함하는 당뇨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302045B1 (ko) 엉겅퀴 및 양파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함유하는 간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Rehaman Therapeutic traits of jamun tree: Syzygium cumini (Linn.) to combat against covid-19
KR101544000B1 (ko)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514284B1 (ko) 땃두릅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479096B1 (ko)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산전산후부종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410704B1 (ko) 화살나무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07247B1 (ko) 도깨비고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102430399B1 (ko) 엉겅퀴, 민들레, 양배추, 꿀 및 생강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함유하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에 의해 발생하는 위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185006B1 (ko) 엉겅퀴, 도라지 및 더덕이 포함된 혼합물을 함유하는 천식 및 혈관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