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9990A - 인캡슐레이션막을 구비한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캡슐레이션막을 구비한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9990A
KR20160079990A KR1020140190936A KR20140190936A KR20160079990A KR 20160079990 A KR20160079990 A KR 20160079990A KR 1020140190936 A KR1020140190936 A KR 1020140190936A KR 20140190936 A KR20140190936 A KR 20140190936A KR 20160079990 A KR20160079990 A KR 20160079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m
oxygen absorbing
insulating film
encaps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0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상철
박해찬
이세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0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9990A/ko
Priority to US14/688,717 priority patent/US9502646B2/en
Priority to CN201510370000.5A priority patent/CN105742485A/zh
Publication of KR20160079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99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53/00Ferroelectric RAM [FeRAM] devices comprising ferroelectric memory capacitors
    • H10B53/30Ferroelectric RAM [FeRAM] devices comprising ferroelectric memory capacitor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50Assembly of semiconductor devic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H01L21/06 - H01L21/326, e.g. sealing of a cap to a base of a container
    • H01L21/56Encapsulations, e.g. encapsulation layers, coating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011Manufacture or treatment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061Shaping switching materials
    • H10N70/063Shaping switching materials by etching of pre-deposited switching material layers, e.g. lithograph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20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e.g. memristors
    • H10N70/231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e.g. memristors based on solid-state phase change, e.g. between amorphous and crystalline phases, Ovshinsky effec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21Device geometry
    • H10N70/826Device geometry adapted for essentially vertical current flow, e.g. sandwich or pillar type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81Switching materials
    • H10N70/882Compounds of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e.g. chalcogenides
    • H10N70/8825Selenides, e.g. GeS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81Switching materials
    • H10N70/882Compounds of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e.g. chalcogenides
    • H10N70/8828Tellurides, e.g. GeSbT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81Switching materials
    • H10N70/884Switching materials based on at least one element of group IIIA, IVA or VA, e.g. elemental or compound semicondu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기술로,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는, 저항층, 및 저항층 측벽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인캡슐레이션막을 포함하며, 상기 인캡슐레이션막은 산소 흡수 성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인캡슐레이션막을 구비한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및 그 제조방법{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Including encapsulation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캡슐레이션막을 구비한 저항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및 디지털 정보 통신과 가전 산업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기존의 전자의 전하 제어에 기반을 둔 소자 연구는 한계에 봉착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기존 전자 전하 소자의 개념이 아닌 새로운 개념의 신 기능성 메모리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주요 정보 기기의 메모리의 대용량화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차세대 대용량 초고속 및 초전력 메모리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현재, 차세대 메모리 장치로서 저항 물질을 메모리 매체로 사용하는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가 제안되고 있다. 대표적인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로는, 상변화 메모리 장치, 저항 메모리 장치, 및 자기 저항 메모리 장치가 있다.
저항 변화 메모리 장치는 스위칭 소자 및 저항 소자를 기본 구성으로 하고 있으며, 저항 소자의 상태에 따라 "0" 또는 "1"의 데이터가 저장된다.
이와 같은 저항 변화 메모리 장치 역시, 집적 밀도 개선이 최우선 과제이며, 좁은 면적에 최대의 메모리 셀을 집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 저항 소자를 구성하는 가변 저항층, 예를 들어, 상변화층은 다양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고 있다. 이와 같은 상변화층은 패터닝 또는 매립등의 방식으로 그것의 형태가 한정될 수 있다.
상변화층의 형태를 한정하는 공정시, 산화 등의 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변화층의 물성이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변화층의 물성 변화를 줄일 수 있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는, 저항층, 및 상기 저항층 측벽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인캡슐레이션막을 포함하며, 상기 인캡슐레이션막은 산소 흡수 성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는, 복수의 저항 필라, 상기 복수의 저항 필라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산소 흡수층을 포함하는 인캡슐레이션막, 및 상기 저항 필라 사이를 충진하는 갭필 절연막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의 제조방법은, 베이스층 상부에 복수의 저항 필라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저항 필라 표면에 산소 흡수층을 포함하는 인캡슐레이션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변화 물질층과 같은 저항층을 감싸는 인캡슐레이션막 내부에 산소 흡수층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갭필 절연막 형성 및 그 밖의 공정들에 의해 침투될 수 있는 산소 성분들이 상기 산소 흡수층과 결합되므로써, 상변화 물질층 내부로 산소 유입이 차단된다. 이에 따라, 저항 메모리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의 제조 공정별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의 제조 공정별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카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저항층(110) 외벽에 인캡슐레이션막(150)이 형성될 수 있다. 저항층(110)은 예를 들어, 상변화 물질층일 수 있다.
인캡슐레이션막(150)은 복수의 물질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적어도 한 층의 산소 흡수층(130)을 포함할 수 있다. 산소 흡수층(130)은 산소 결합력이 절연막에 비해 높은 물질로서, 예를 들어, Ti, Ta 및 Co와 같은 금속막 또는 Ge 및 Si와 같은 반도체막이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캡슐레이션막(150)는 제 1 절연막(120), 산소 흡수층(130) 및 제 2 절연막(1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절연막(120) 및 제 2 절연막(140)은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막 또는 실리콘 질화막일 수 있다. 도전 성분을 갖는 산소 흡수층(130)이 제 1 및 제 2 절연막(120,140) 사이에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비록 산소 흡수층(130)이 도전 성분을 갖더라도, 인캡슐레이션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캡슐레이션막(150)은 내부에 산소(oxygen) 흡착 특성이 높은 산소 흡수층(130)을 포함하기 때문에, 이후의 갭필 산화막(도시되지 않음) 형성시 침투되는 산소를 상기 산소 흡수층(130)이 대부분 흡수한다. 이에 따라, 산소 성분이 저항층(110)쪽으로 침투되는 것이 차단되어, 저항층(110)의 물성 특성의 변화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속의 갭필 공정 등의 진행으로, 상기 산소 흡수층(130)이 침투되는 대부분의 산소를 흡수하는 경우, 상기 산소 흡수층(130a)의 물성은 산화 물질로 그 특성이 가변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베이스층(200) 상에 필라 구조물(210)을 형성한다. 필라 구조물(210)은 하부 전극(220), 상변화 패턴(230), 및 상부 전극(2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층(220)은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는 반도체 기판일 수 있다.
필라 구조물(210) 측벽에 산소 흡수층(270)을 포함하는 인캡슐레이션막(250)을 형성한다. 인캡슐레이션막(250)은 예를 들어, 제 1 절연막(260), 산소 흡수층(270) 및 제 2 절연막(28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절연막(260,280)은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막 또는 실리콘 질화막이 이용될 수 있고, 산소 흡수층(270)은 산화 반응이 용이한 금속물질 또는 반도체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인캡슐레이션막은 하부 전극, 상변화 패턴 및 상부 전극 측벽을 감싸도록 형성됨에 따라, 갭필 공정시 상변화 물질층에 산소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베이스층(200) 상부에 제 1 도전층(도시되지 않음), 저항층(도시되지 않음) 및 제 2 도전층(도시되지 않음)을 순차적으로 적층한다. 베이스층(200)은 예를 들어, 반도체 특성을 갖는 기판(도시되지 않음) 및 그 상부에 형성되는 스위칭 소자(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 소자는 예를 들어, 다이오드, 2D(2-dimension) 모스 트랜지스터 및 3D 모스 트랜지스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도전층은 예를 들어 물질은 예를 들어, W, Cu, TiN, TaN, WN, MoN, NbN, TiSiN, TiAlN, TiBN, ZrSiN, WSiN, WBN, ZrAlN, MoSiN, MoAlN, TaSiN, TaAlN, Ti, W, Mo,Ta, TiSi, TiW, TiON, TiAlON, WON 및 TaON과 같은 금속막 또는 도핑된 폴리실리콘막 및 SiGe막과 같은 반도체막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저항층이 상변화 물질층인 경우, 2개의 원소를 화합한 GaSb, InSb, InSe. Sb2Te3, GeTe, 3개의 원소를 화합한 GeSbTe, GaSeTe, InSbTe, SnSb2Te4, InSbGe, 4개의 원소를 화합한 AgInSbTe, (GeSn)SbTe, GeSb(SeTe), Te81Ge15Sb2S2 등 다양한 종류의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 게르마늄(Ge), 안티모니(Sb), 텔루리움(Te)으로 이루어진 GeSbTe를 주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저항층이 저항성 메모리 셀에 적용되는 메모리층인 경우, 예를 들어, NiO 또는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를 포함할 수 있다. 페로브스카이트는 망가나이트(Pr0 .7Ca0 .3MnO3, Pr0 .5Ca0 .5MnO3, 기타 PCMO, LCMO 등), 타이터네이트(STO:Cr), 지르코네이트(SZO:Cr, Ca2Nb2O7:Cr, Ta2O5:Cr) 등의 조합물(composition)일 수 있다.
제 2 도전층, 저항층 및 제 1 도전층을 소정 부분 패터닝하여, 하부 전극(220), 저항 패턴(230) 및 상부 전극(240)으로 구성되는 필라 구조물(210)을 형성한다. 이때, 필라 구조물(210)의 하부 전극(220)은 상기 스위칭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라 구조물(210) 및 베이스층(220) 표면에 제 1 절연막(260)을 증착한다. 제 1 절연막(260)은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막 또는 실리콘 질화막일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절연막(260) 상부에 산소 흡수층(270)을 콘포말한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산소 흡수층(27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산화 특성을 갖는 도전층 또는 반도체층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산소 흡수층(270) 상부에 제 2 절연막(280)을 형성하여, 인캡슐레이션막(250)을 형성한다. 제 2 절연막(280)은 제 1 절연막(260)과 동일한 절연막일 수도 있고, 상이한 절연막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절연막(280)은 실리콘 산화막 또는 실리콘 질화막이 이용될 수 있다. 인캡슐레이션막(250)은 상기 필라 구조물(210)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필라 구조물(210)에 불순물 또는 산소 등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인캡슐레이션막(250)을 비등방성 식각하여, 인캡슐레이션막(250)을 필라 구조물(210) 측벽에 스페이서 형태로 잔류시킨다. 그후, 인캡슐레이션막(250)이 측벽에 형성된 필라 구조물(210) 사이가 절연되도록 갭필 절연막(285)을 형성한다. 갭필 절연막(285)은 필라 구조물(210) 사이가 충분히 매립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갭필 절연막(285)은 필라 구조물(210)의 높이 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갭필 절연막(285)은 예를 들어 SOD (spin on dielectric)막이 이용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필라 구조물(210)의 상부 전극(240) 표면이 노출될 수 있도록 갭필 절연막(285)을 식각하여, 비트라인 콘택홀(H)을 형성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비트라인 콘택홀(H)내에 불순물을 매립하여 비트 라인(29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변화 메모리 소자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먼저, 도 12를 참조하면, 베이스층(200) 상부에 제 1 도전층(도시되지 않음), 저항층(도시되지 않음), 제 2 도전층(도시되지 않음) 및 희생층(도시되지 않음)을 순차적으로 적층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도전층은 예를 들어 물질은 예를 들어, W, Cu, TiN, TaN, WN, MoN, NbN, TiSiN, TiAlN, TiBN, ZrSiN, WSiN, WBN, ZrAlN, MoSiN, MoAlN, TaSiN, TaAlN, Ti, W, Mo,Ta, TiSi, TiW, TiON, TiAlON, WON 및 TaON과 같은 금속막 또는 도핑된 폴리실리콘막 및 SiGe막과 같은 반도체막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저항층이 상변화 물질층인 경우, 2개의 원소를 화합한 GaSb, InSb, InSe. Sb2Te3, GeTe, 3개의 원소를 화합한 GeSbTe, GaSeTe, InSbTe, SnSb2Te4, InSbGe, 4개의 원소를 화합한 AgInSbTe, (GeSn)SbTe, GeSb(SeTe), Te81Ge15Sb2S2 등 다양한 종류의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 게르마늄(Ge), 안티모니(Sb), 텔루리움(Te)으로 이루어진 GeSbTe를 주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저항층이 저항성 메모리 셀에 적용되는 메모리층인 경우, 예를 들어, NiO 또는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를 포함할 수 있다. 페로브스카이트는 망가나이트(Pr0 .7Ca0 .3MnO3, Pr0 .5Ca0 .5MnO3, 기타 PCMO, LCMO 등), 타이터네이트(STO:Cr), 지르코네이트(SZO:Cr, Ca2Nb2O7:Cr, Ta2O5:Cr) 등의 조합물(composition)일 수 있다.
상기 희생층은 예를 들어 일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후 형성될 인캡슐레이션막 구성 막들과 식각 선택비를 가질 수 있다.
다음, 희생층, 제 2 도전층, 저항층 및 제 1 도전층을 패터닝하여, 하부 전극(220), 저항 패턴(230), 상부 전극(240) 및 희생 패턴(245)으로 구성되는 필라 구조물(210a)을 형성한다. 이때, 하부 전극(220)은 베이스층(200)에 형성되는 스위칭 소자(도시되지 않음)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라 구조물(210a) 및 베이스층(220) 표면에 제 1 절연막(260)을 증착한다. 제 1 절연막(260)은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막 또는 실리콘 질화막일 수 있다.
제 1 절연막(260) 상부에 산소 흡수층(270)을 콘포말한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산소 흡수층(27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산화 특성을 갖는 도전층 또는 반도체층일 수 있다.
산소 흡수층(270) 상부에 제 2 절연막(280)을 형성하여, 인캡슐레이션막(250)을 형성한다. 제 2 절연막(280)은 제 1 절연막(260)과 동일한 절연막일 수도 있고, 상이한 절연막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절연막(280)은 실리콘 산화막 또는 실리콘 질화막이 이용될 수 있다. 인캡슐레이션막(250)은 상기 필라 구조물(210)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필라 구조물(210)에 불순물 또는 산소 등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절연막(260), 산소 흡수층(270) 및 제 2 절연막(280)은 인시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저온 증착 방식, 예를 들어, 저온 ALD(atomic layer deposition)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인캡슐레이션막(250)을 상기 필라 구조물(210a)의 측벽에 잔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인캡슐레이션막(250)을 비등방성 식각한다. 그후 베이스층(200) 상부에 갭필 절연막(285)을 형성한다. 갭필 절연막(285)은 필라 구조물(210) 사이에 충분히 매립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 필라 구조물(210)의 상부 전극(240)이 노출되도록 갭필 절연막(285) 및 식각하여, 비트라인 콘택홀(H)을 형성한다. 상기 비트라인 콘택홀(H)내에 불순물을 매립하여 비트 라인(290)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변화 물질층과 같은 저항층을 감싸는 인캡슐레이션막 내부에 산소 흡수층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갭필 절연막 형성 및 그 밖의 공정들에 의해 침투될 수 있는 산소 성분들이 상기 산소 흡수층과 결합되므로써, 상변화 물질층 내부로 산소 유입이 차단된다. 이에 따라, 저항 메모리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를 갖는 메모리 카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컨트롤러(4110), 메모리(4120) 및 인터페이스 부재(4130)를 포함하는 메모리 카드 시스템(4100)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4110)와 상기 메모리(4120)는 명령어 및/또는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4120)는, 예를 들어, 상기 컨트롤러(4110)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 및/또는 사용자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카드 시스템(4100)은 상기 메모리(4120)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메모리(4120)로부터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412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부재(4130)는 외부와의 데이터의 입/출력을 담당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카드 시스템(4100)은 멀티미디어 카드(multimedia card: MMC), 시큐어 디지털 카드(secure digital card: SD) 또는 휴대용 데이터 저장 장치일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를 갖는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프로세서(4210), 메모리(4220) 및 입출력 장치(I/O, 423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4200)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210), 메모리(4220) 및 입출력 장치(4230)는 버스(4246)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4220)는 상기 프로세서(4210)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을 수 있다. 상기 메모리(4220)는 프로세서(4210)의 동작을 위한 코드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4220)는 버스(4246)를 통하여 억세스 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422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의 구체적인 실현 및 변형을 위하여, 추가적인 회로 및 제어 신호들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4200)는 상기 메모리(4220)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전자 제어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4200)는 컴퓨터 시스템, 무선통신 장치 예를 들어, PDA, 랩톱(laptop) 컴퓨터, 휴대용 컴퓨터, 웹 태블릿(web tablet), 무선 전화기, 휴대폰, 디지털 음악 재생기(digital music player), MP3 플레이어, 네비게이션,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solid state disk: SSD), 가전제품(household appliance), 또는 정보를 무선환경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모든 소자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4200)의 보다 구체적인 실현 및 변형된 예에 대하여 도 17 및 도 18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를 갖는 데이터 저장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Solid State Disk; SSD; 4311)와 같은 데이터 저장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SSD; 4311)는 인터페이스(4313), 제어기(4315), 비휘발성 메모리(4318) 및 버퍼 메모리(43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4311)는 반도체 소자를 이용하여 정보를 저장하는 장치이다. 상기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4311)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에 비하여 속도가 빠르고 기계적 지연이나 실패율, 발열 및 소음도 적으며, 소형화/경량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4311)는 노트북 PC, 넷북, 데스크톱 PC, MP3 플레이어, 또는 휴대용 저장장치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4315)는 상기 인터페이스(4313)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4315)는 메모리 제어기 및 버퍼 제어기를 포함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다.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4318)는 상기 제어기(4315)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접속 터미널(T)을 경유하여 상기 제어기(4315)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4311)의 데이터 저장용량은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4318)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버퍼 메모리(4319)는 상기 제어기(4315)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4313)는 호스트(4302)에 접속될 수 있으며 데이터와 같은 전기신호들을 송수신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인터페이스(4313)는 SATA, IDE, SCSI, 및/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규격을 사용하는 장치일 수 있다.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4318)는 상기 제어기(4315)를 경유하여 상기 인터페이스(4313)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4318)는 상기 인터페이스(4313)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4318)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4311)에 전원공급이 차단된다 할지라도,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4318)에 저장된 데이터는 보존되는 특성이 있다.
상기 버퍼 메모리(4319)는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휘발성 메모리는 디램(DRAM), 및/또는 에스램(SRAM)일 수 있다. 상기 버퍼 메모리(4319)는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4318)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빠른 동작 속도를 보인다.
상기 인터페이스(4313)의 데이터 처리속도는 상기 비휘발성 모리(4318)의 동작속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빠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버퍼 메모리(4319)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4313)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는 상기 제어기(4315)를 경유하여 상기 버퍼 메모리(4319)에 임시 저장된 후,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4318)의 데이터 기록 속도에 맞추어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4318)에 영구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4318)에 저장된 데이터들 중 자주 사용되는 데이터들은 사전에 독출하여 상기 버퍼 메모리(4319)에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즉, 상기 버퍼 메모리(4319)는 상기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4311)의 유효 동작속도를 증가시키고 오류 발생률을 감소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를 갖는 전자 장치의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바디(4410),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닛(4420), 파워 유닛(4430), 기능 유닛(4440), 및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유닛(4450)을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4400)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바디(4410)는 인쇄 회로기판(PCB)으로 형성된 마더 보드일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닛(4420), 상기 파워 유닛(4430), 상기 기능 유닛(4440), 및 상기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유닛(4450)은 상기 바디(441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바디(4410)의 내부 혹은 상기 바디(4410)의 외부에 디스플레이 유닛(446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4460)은 상기 바디(4410)의 표면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유닛(4450)에 의해 프로세스 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파워 유닛(4430)은 외부 배터리 등으로부터 일정 전압을 공급받아 이를 요구되는 전압 레벨로 분기하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닛(4420), 상기 기능 유닛(4440), 상기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유닛(4450) 등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닛(4420)은 상기 파워 유닛(4430)으로부터 전압을 공급받아 상기 기능 유닛(4440)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446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기능 유닛(4440)은 다양한 전자 시스템(44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시스템(4400)이 휴대폰인 경우 상기 기능 유닛(4440)은 다이얼링, 또는 외부 장치(4470)와의 교신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4460)으로의 영상 출력, 스피커로의 음성 출력 등과 같은 휴대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여러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카메라가 함께 장착된 경우 카메라 이미지 프로세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시스템(4400)이 용량 확장을 위해 메모리 카드 등과 연결되는 경우, 상기 기능 유닛(4440)은 메모리 카드 컨트롤러일 수 있다. 상기 기능 유닛(4440)은 유선 혹은 무선의 통신 유닛(4480)을 통해 상기 외부 장치(4470)와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기 전자 시스템(4400)이 기능 확장을 위해 유에스비(USB) 등을 필요로 하는 경우, 상기 기능 유닛(4440)은 인터페이스 컨트롤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반도체 소자들 중 어느 하나의 반도체 소자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닛(4420) 및 상기 기능 유닛(44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10: 저항층 120,260: 제 1 절연막
130,270: 산소 흡수층 140,280: 제 2 절연막
150,250: 인캡슐레이션막 220: 하부 전극
230: 저항 패턴 240: 상부 전극
280: 갭필 절연막 290: 비트 라인

Claims (20)

  1. 저항층; 및
    상기 저항층 측벽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인캡슐레이션막을 포함하며,
    상기 인캡슐레이션막은 산소 흡수 성분을 포함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 흡수 성분은 금속 성분 및 반도체 성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캡슐레이션막은,
    상기 저항층 표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제 1 절연막;
    상기 제 1 절연막 표면에 형성되는 산소 흡수층; 및
    상기 산소 흡수층 표면에 형성되는 제 2 절연막을 포함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절연막은 실리콘 질화막 또는 실리콘 산화막인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 흡수층은 Ti, Ta 및 Co와 같은 금속막 또는 Ge 및 Si와 같은 반도체막중 적어도 하나인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층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전극, 및
    상기 저항층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전극을 더 포함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캡슐레이션막은 상기 하부 전극 및 상기 상부 전극 측벽까지 연장되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8. 복수의 저항 필라;
    상기 복수의 저항 필라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산소 흡수층을 포함하는 인캡슐레이션막; 및
    상기 저항 필라 사이를 충진하는 갭필 절연막을 포함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필라들 각각은 상변화 물질층을 포함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필라들 각각은 하부 전극, 상변화 패턴, 및 상부 전극의 적층 구조물을 포함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 흡수층은 Ti, Ta 및 Co와 같은 금속막 또는 Ge 및 Si와 같은 반도체막중 적어도 하나인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 흡수층과 상기 저항 필라 사이에 위치되는 제 1 절연막, 및
    상기 산소 흡수층과 상기 갭필 절연막 사이에 위치되는 제 2 절연막을 더 포함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절연막은 실리콘 산화막 또는 실리콘 질화막을 포함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갭필 절연막 상에 상기 상부 전극과 콘택되는 비트 라인을 더 포함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15. 베이스층 상부에 복수의 저항 필라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저항 필라 표면에 산소 흡수층을 포함하는 인캡슐레이션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의 제조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캡슐레이션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저항 필라들의 표면을 덮도록 제 1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절연막 표면에 상기 산소 흡수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산소 흡수층 표면에 제 2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의 제조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절연막은 실리콘 산화막 또는 실리콘 질화막을 포함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의 제조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 흡수층은 Ti, Ta 및 Co와 같은 금속막 또는 Ge 및 Si와 같은 반도체막중 적어도 하나인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의 제조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연막, 상기 산소 흡수층, 및 상기 제 2 절연막은 저온 ALD(atomic layer deposition) 방식으로 형성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의 제조방법.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캡슐레이션막 상부에 갭필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갭필 절연막 및 상기 인캡슐레이션막의 소정 부분을 식각하여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콘택홀이 충진되도록 상기 갭필 절연막 상부에 비트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의 제조방법.
KR1020140190936A 2014-12-26 2014-12-26 인캡슐레이션막을 구비한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7999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936A KR20160079990A (ko) 2014-12-26 2014-12-26 인캡슐레이션막을 구비한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4/688,717 US9502646B2 (en) 2014-12-26 2015-04-16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having encapsulation film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N201510370000.5A CN105742485A (zh) 2014-12-26 2015-06-29 具有包覆膜的半导体集成电路器件及其制备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936A KR20160079990A (ko) 2014-12-26 2014-12-26 인캡슐레이션막을 구비한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9990A true KR20160079990A (ko) 2016-07-07

Family

ID=56165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0936A KR20160079990A (ko) 2014-12-26 2014-12-26 인캡슐레이션막을 구비한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502646B2 (ko)
KR (1) KR20160079990A (ko)
CN (1) CN10574248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0026A (ko) 2019-10-25 2021-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955152B2 (en) * 2021-12-03 2024-04-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electric fill for tight pitch MRAM pillar array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82616B2 (en) * 2004-05-27 2009-01-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hase change memory cells, electronic systems employing the same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951661B1 (ko) 2008-03-27 2010-04-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상변화 물질을 보호하는 보호막을 구비한 상변화 메모리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24800A (ko) * 2008-08-26 2010-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동작 방법
JP4956598B2 (ja) * 2009-02-27 2012-06-20 シャープ株式会社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01840994B (zh) * 2009-03-16 2016-01-06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相变随机存取存储器及制造方法
KR20130059913A (ko) 2011-11-29 2013-06-07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상변화 메모리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US9087975B2 (en) * 2012-01-20 2015-07-21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Resistive memory arrangement and a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8878152B2 (en) * 2012-02-29 2014-11-04 Intermolecular, Inc. Nonvolatile resistive memory element with an integrated oxygen isolation structure
US8860001B2 (en) * 2012-04-09 2014-10-14 Freescale Semiconductor, Inc. ReRAM device structure
JP2014049745A (ja) * 2012-08-31 2014-03-17 Toshiba Corp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90439A1 (en) 2016-06-30
CN105742485A (zh) 2016-07-06
US9502646B2 (en) 2016-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0214B1 (ko) 메모리 어레이 형성 방법
JP6059349B2 (ja) 3次元メモリアレイアーキテクチャ
US9196827B2 (en) Non-volatile memory devices having dual heater configurations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US8634236B2 (en) Phase change memory device, storage system having the sam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US20100176365A1 (en) Resistance variable memory devices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911361B1 (ko) 멀티 레벨 셀을 갖는 비-휘발성 메모리소자 및 그 형성 방법
US8237149B2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having bottom electrode
US8748884B2 (en) Variable resistance memory devices having reduced reset current
US10998499B2 (en) Chalcogenide material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8796662B2 (en) Semiconductor devices with vertical structure including data storage layer or pattern
CN102820299A (zh) 存储器件
US8969996B2 (en) Semiconductor device with buried word line structures
US8143150B2 (en) Method of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and electronic system
US11716911B2 (en) Electronic device
US10756264B2 (en) Resistance change memory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20190071227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9502646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having encapsulation film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170042388A (ko) 상변화 구조물을 포함하는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21252A (ko) 칼코게나이드 재료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1812623B1 (ko)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의 제조방법
US8921816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diode
KR101297088B1 (ko) 3차원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85022B1 (ko) 하부 전극을 갖는 비 휘발성 메모리 소자
KR20230060841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