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6833A - 2층 승객용 비상탈출장치를 갖는 이층 고속열차 - Google Patents
2층 승객용 비상탈출장치를 갖는 이층 고속열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76833A KR20160076833A KR1020140187385A KR20140187385A KR20160076833A KR 20160076833 A KR20160076833 A KR 20160076833A KR 1020140187385 A KR1020140187385 A KR 1020140187385A KR 20140187385 A KR20140187385 A KR 20140187385A KR 20160076833 A KR20160076833 A KR 2016007683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oor
- emergency
- unit
- disposed
- passeng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9/00—Other det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00—Carriages for ordinary railway passenger traffic
- B61D1/06—Carriages for ordinary railway passenger traffic with multiple deck arrang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1/00—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 B62D31/04—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with more than one de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고 발생시 2층 승객을 안전하고 빠르게 대피시킬 수 있는 2층 승객용 비상탈출장치를 갖는 이층 고속열차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1층 객실을 갖는 1층 차체와, 상기 1층 차체의 상부에 배치되며 2층 객실을 갖는 2층 차체를 포함하는 차체유닛; 상기 1층 차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대차유닛; 상기 1층 차체에 형성된 1층 승하차공간부를 개폐하는 출입문유닛; 일단이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 상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2층 차체에 형성된 2층 승하차공간부로 연결되는 계단유닛; 그리고, 비상시 상기 2층 객실에 위치하는 2층 승객을 상기 차체유닛의 외부로 대피시키기 위한 2층 승객용 비상탈출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2층 승객용 비상탈출장치는 정상운행 중에는 상기 2층 객실에 배치된 비상창문의 주변영역에 배치되었다가 비상시에는 상기 비상창문이 설치되었던 공간을 관통하면서 상기 2층 객실에서 상기 차체유닛의 외부로 펼쳐지는 탈출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층 승객용 비상탈출장치를 갖는 이층 고속열차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1층 객실을 갖는 1층 차체와, 상기 1층 차체의 상부에 배치되며 2층 객실을 갖는 2층 차체를 포함하는 차체유닛; 상기 1층 차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대차유닛; 상기 1층 차체에 형성된 1층 승하차공간부를 개폐하는 출입문유닛; 일단이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 상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2층 차체에 형성된 2층 승하차공간부로 연결되는 계단유닛; 그리고, 비상시 상기 2층 객실에 위치하는 2층 승객을 상기 차체유닛의 외부로 대피시키기 위한 2층 승객용 비상탈출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2층 승객용 비상탈출장치는 정상운행 중에는 상기 2층 객실에 배치된 비상창문의 주변영역에 배치되었다가 비상시에는 상기 비상창문이 설치되었던 공간을 관통하면서 상기 2층 객실에서 상기 차체유닛의 외부로 펼쳐지는 탈출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층 승객용 비상탈출장치를 갖는 이층 고속열차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비상탈출장치를 갖는 이층 고속열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고 발생시 2층 승객을 안전하고 빠르게 대피시킬 수 있는 2층 승객용 비상탈출장치를 갖는 이층 고속열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차는 도로 위를 주행하는 차량에 비하여 많은 승객을 운송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많은 화물을 실어 나를 수 있기 때문에, 교통 및 물류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운송수단이다.
최근에는 이동시간의 단축 및 물류 량의 증가로 인하여 고속열차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고속열차는 사전적 의미로는 200km/h 이상의 빠른 속도로 운행되는 열차를 의미하지만, 통상적으로는 250km/h 이상의 속도로 운행되는 열차를 의미한다.
상기 고속열차의 이용은 점차 증가하고 있지만, 상기 고속열차는 단층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여전히 출퇴근 시간대의 승객들의 이송을 감당하기에 한계가 있고, 한정된 철도노선을 이용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기에 이층 고속열차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종래 이층 고속열차의 2층 객실에 위치하는 2층 승객은 사고발생시 계단을 통하여 1층으로 내려온 후 1층 출입문을 통하여 차체의 외부로 탈출하거나, 2층 객실의 창문을 통하여 직접 뛰어내리는 방법을 통하여 차체의 외부로 탈출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이층 고속열차에서는 2층 승객이 1층 출입문의 주변으로 물려들면서 사고의 위험성이 증가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2층 승객이 2층 객실의 창문을 통하여 직접 뛰어내리는 경우에도 지면을 기준으로 2층 객실의 높이가 상당하기 때문에 인명사고의 증가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고 발생시 2층 승객을 안전하고 빠르게 대피시킬 수 있는 2층 승객용 비상탈출장치를 갖는 이층 고속열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층 객실을 갖는 1층 차체와, 상기 1층 차체의 상부에 배치되며 2층 객실을 갖는 2층 차체를 포함하는 차체유닛; 상기 1층 차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대차유닛; 상기 1층 차체에 형성된 1층 승하차공간부를 개폐하는 출입문유닛; 일단이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 상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2층 차체에 형성된 2층 승하차공간부로 연결되는 계단유닛; 그리고, 비상시 상기 2층 객실에 위치하는 2층 승객을 상기 차체유닛의 외부로 대피시키기 위한 2층 승객용 비상탈출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2층 승객용 비상탈출장치는 정상운행 중에는 상기 2층 객실에 배치된 비상창문의 주변영역에 배치되었다가 비상시에는 상기 비상창문이 설치되었던 공간을 관통하면서 상기 2층 객실에서 상기 차체유닛의 외부로 펼쳐지는 탈출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층 승객용 비상탈출장치를 갖는 이층 고속열차를 제공한다.
상기 탈출부재는 정상운행 중에 상기 비상창문의 주변영역에 위치하는 2층 의자의 팔걸이부의 내부공간상에 배치되어 상기 2층 객실의 내부공간으로 노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탈출부재는 일측은 상기 팔걸이부의 내부공간에 배치된 고정구조물에 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차체유닛의 외부로 펼쳐질 수 있는 접철식 줄사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출부재의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탈출부재는 상기 차체유닛의 외부로 펼쳐질 수 있는 튜브본체와, 상기 튜브본체를 팽창시킬 수 있는 기체를 상기 튜브본체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기체공급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층 의자의 등받이부는 비상시 상기 2층 승객이 상기 탈출부재를 통하여 상기 차체유닛의 외부로 탈출할 때 계단역할을 하도록 상기 2층 의자의 좌석부 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다.
상기 2층 승객용 비상탈출장치는 상기 비상창문의 주변영역에 배치되어 비상시 상기 비상창문을 깨뜨리기 위한 해머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2층 승객용 비상탈출장치는 상기 2층 객실의 전방 양측 및 후방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2층 승객용 비상탈출장치를 갖는 이층 고속열차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정상운행 중에는 2층 객실에 배치된 비상창문의 주변영역에 배치되었다가 비상시에는 상기 비상창문이 설치되었던 공간을 관통하면서 상기 2층 객실에서 차체유닛의 외부로 펼쳐지는 탈출부재를 갖는 2층 승객용 비상탈출장치를 설치함으로써 2층 승객을 안전하고 빠르게 대피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탈출부재가 정상운행 중에 비상창문의 주변영역에 위치하는 2층 의자의 팔걸이부의 내부공간상에 배치되어 상기 2층 객실의 내부공간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2층 객실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비상시 2층 승객이 탈출부재를 통하여 차체유닛의 외부로 탈출할 때 2층 의자의 등받이부가 계단역할을 하도록 상기 2층 의자의 좌석부 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2층 승객이 빠르게 상기 차체유닛의 외부로 탈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층 고속열차의 종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이층 고속열차에 구비된 이층객차유닛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이층객차유닛 중 1층 차체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이층객차유닛 중 2층 차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객실차량 종단면 중 1층 및 2층 승하차공간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2층 승객용 비상탈출장치의 제1 실시 예가 이층 고속열차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2층 승객용 비상탈출장치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2층 승객용 비상탈출장치의 제2 실시 예가 이층 고속열차에서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이층 고속열차에 구비된 이층객차유닛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이층객차유닛 중 1층 차체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이층객차유닛 중 2층 차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객실차량 종단면 중 1층 및 2층 승하차공간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2층 승객용 비상탈출장치의 제1 실시 예가 이층 고속열차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2층 승객용 비상탈출장치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2층 승객용 비상탈출장치의 제2 실시 예가 이층 고속열차에서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층 고속열차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이층 고속열차는 복수 개의 개별 이층객차유닛들을 포함하는 이층객차유닛과, 상기 개별 이층객차유닛들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개별 이층 갱웨이유닛들을 포함하는 이층 갱웨이유닛과, 상기 이층객차유닛의 전후단에 배치되는 동력차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동력차유닛은 상기 이층 고속열차의 전두부에 배치되는 제1 동력차유닛(1)과, 상기 이층 고속열차의 후두부에 배치되는 제2 동력차유닛(2)을 포함한다.
상기 이층 고속열차는 상기 제1 동력차유닛(1)과 상기 제2 동력차유닛(2)에 의하여 구동되는 동력집중식 형태의 차량이다. 즉, 상기 이층객차유닛에 구비되는 대차들은 동력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상기 이층객차유닛은 제1 이층객차유닛(10), 제2 이층객차유닛(20), 제3 이층객차유닛(30), 제4 이층객차유닛(40), 제5 이층객차유닛(50) 및 제6 이층객차유닛(60)을 포함한다.
상기 제4 이층객차유닛(40)의 1층 차체에는 장애인의 탑승을 위한 장애인객실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5 이층객차유닛(50)의 2층 차체에는 승객의 편의를 위한 스넥바가 구비되어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이층객차유닛에 구비되는 개별 이층객차유닛의 개수는 가감될 수 있으며, 상기 동력차유닛의 개수 및 설치위치는 바뀌어 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장애인객실이 구비된 이층객차유닛과 스넥바가 구비된 이층객차유닛의 위치와 개수도 필요에 따라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층 고속열차의 구조를 설명함에 있어서, 개별 이층객차유닛들의 연결구조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10), 상기 제2 이층객차유닛(20), 그리고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10)과 상기 제2 이층객차유닛(20) 사이에 배치되는 이층 갱웨이유닛의 연결구조에 한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10)은 차체유닛, 상기 차체유닛의 하부 양단에 배치되는 제1 대차(210)와 제2 대차(220)를 갖는 대차유닛, 저상출입문유닛(300) 그리고 계단유닛(400)을 포함한다.
상기 차체유닛은 1층 차체(110)와, 상기 1층 차체(110)의 상부에 배치되는 2층 차체(120)를 포함한다. 상기 1층 차체(110)와 상기 2층 차체(120)는 일체로 형성되되, 차체의 단면위치에 따라 알루미늄 재질의 프레임과 복합재료의 프레임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1층 차체(110)는 1층 의자(112)이 배치되어 있는 1층 객실(111)과, 상기 1층 객실(111)의 전단에 형성되는 1층 승하차공간부(113)를 포함한다.
상기 1층 의자(112)는 회전식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고정식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1층 객실(111)의 길이는 1층 객실통로문(115)과 1층 객실벽(116) 사이의 거리에 의하여 정의된다. 여기서, 상기 1층 객실통로문(115)은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와 상기 1층 객실(111)을 구획하게 되고, 상기 1층 객실벽(116)은 상기 1층 객실(111)을 기준으로 상기 1층 객실통로문(115)의 반대편 끝단에 형성된다.
상기 1층 객실벽(116)은 상기 1층 차체(1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대차(220)의 전단에 배치되며, 상기 1층 객실(111)은 상기 1층 객실벽(116)에 의하여 일단이 막힌 형태를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1층 차체(110) 중 상기 제2 대차(220)의 상부에는 공조장치를 포함하는 차량부속품이 설치되는 제2 수납공간(114)이 형성되며, 상기 1층 차체(110)의 객실공간은 상기 1층 객실벽(116)에 의하여 상기 제2 수납공간(114)과 구획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1층 차체(110) 중 상기 제2 대차(220)가 배치되는 영역 주변에는 상기 저상출입문유닛(300) 및 상기 계단유닛(400)이 배치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10)에는 상기 계단유닛(400)이 한 개가 구비되며, 상기 저상출입문유닛(300)은 상기 차체유닛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계단유닛(400)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며,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의 1층 객실(111)의 일단은 상기 1층 차체(110)에 고정 설치된 상기 1층 객실벽(116)에 의하여 막혀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1층 객실벽(116)의 주변에는 승객의 이동이 최소화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1층 객실벽(116)의 주변에 위치되는 좌석을 이용하는 승객은 주위 소음으로부터 방해받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1층 객실(111)의 바닥면의 높이는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의 바닥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가지게 되어, 승객이 휠체어를 이용하거나 계단을 이용하기에 힘든 경우에도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에서 상기 1층 객실(111)의 내부로 이동되는 과정에 있어서 불편함이 없게 된다.
또한,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의 바닥면은 승객이 위치하고 있는 플랫홈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을 가짐으로써 플랫홈에 위치하는 승객이 수평이동을 통하여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로 승하차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대차유닛은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10)의 하중을 분산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1층 차체(110)의 양단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대차유닛은 상기 1층 차체(1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1층 차체(110)의 일단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1 대차(210)와, 상기 1층 차체(110)의 타단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2 대차(2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대차(210) 및 상기 제2 대차(220)로는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10)의 하중을 지지하기에 유리한 일반대차가 사용된다.
상기 제1 대차(210) 및 상기 제2 대차(220)는 각각 2개의 바퀴축을 가지고 있으므로, 총 4개의 바퀴축이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10)의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상기 바퀴축 한 개당 17 톤(ton)의 축중한계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대차유닛은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10)이 최대 68톤이 되더라도 이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저상출입문유닛(300)은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의 양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를 개폐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저상출입문유닛(300)은 상기 1층 차체(1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대차(210)와 중첩되지 않고 이웃하게 배치된다.
승객은 상기 저상출입문유닛(300)을 통하여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로 평면승하차를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평면승하차라 함은 상기 저상출입문유닛(300)이 개방되었을 때 승객이 수평방향으로만 이동함으로써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로 탑승하거나,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로부터 하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평면승하차를 위하여,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의 바닥면과 플랫홈의 상면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의 바닥면과 상기 1층 객실(111)의 바닥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저상출입문유닛(300)의 하단부도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의 바닥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승객이 이층 고속열차를 승하차함에 있어서, 상기 저상출입문유닛(300)을 이용하여 수평방향으로만 이동함으로써 상기 1층 객실(111)로 이동할 수 있게 됨으로써 승객의 승하차 시간을 최소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계단유닛은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와 상기 2층 차체(120)의 2층 승하차공간부(123)를 연결하여,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에 탑승한 승객이 상기 2층 차체(120)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계단유닛(400)의 일단은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 상에 배치되면서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 대차(2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2층 승하차공간부(123)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계단유닛(400)은 상기 1층 차체(110)의 객실공간 확보를 위하여 상기 1층 차체(1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저상출입문유닛(300)과 중첩하여 배치되는 제1 계단영역(410)과, 상기 제1 계단영역(410)의 상단에서 연장형성되면서 상기 제1 대차(2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계단영역(420)을 포함한다.
상기 저상출입문유닛(300)을 통하여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로 탑승한 승객은 동일한 평면상에서 상기 1층 객실(111)로 이동하거나, 곧바로 상기 계단유닛(400)을 이용하여 2층 승하차공간부(123)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계단영역(410)이 상기 1층 차체(1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저상출입문유닛(300)과 중첩되면서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113)에 배치됨으로 인하여 상기 1층 객실(111)의 객실공간을 최대한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계단유닛(400)은 상기 1층 차체(110)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중앙에 배치되며, 상기 계단유닛(400) 중 상기 제1 대차(210)의 상부에 배치되는 계단영역의 양측벽과 상기 1층 차체(110)의 내벽 사이에는 차량부속품의 수납을 위한 제1 수납공간(117)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대차(2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1층 차체(110)의 영역중 상기 계단유닛(400)이 배치되지 않는 공간에도 차량부속품의 수납을 위한 제3 수납공간(118)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2층 차체(120)는 2층 의자(122)가 배치되어 있는 2층 객실(121)과, 상기 2층 객실(121)의 전단에 형성되는 2층 승하차공간부(123)를 포함한다.
상기 2층 의자(122)는 상기 1층 의자과 마찬가지로, 회전식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고정식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2층 객실(121)의 길이는 상기 2층 승하차공간부(123)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이층 1층 객실통로문(125)과, 상기 2층 객실(121)을 기준으로 상기 이층 1층 객실통로문(125)의 반대편 끝단에 배치되는 이층 2층 객실통로문(126) 사이의 거리에 의하여 정의된다.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이층 1층 객실통로문(125)은 상기 1층 객실통로문(115)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 즉 상기 1층 객실통로문(115)의 상부에 상기 이층 1층 객실통로문(125)이 배치된다.
반면, 상기 이층 2층 객실통로문(126)은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1층 객실벽(116)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이로써, 상기 2층 객실(121)의 길이는 상기 1층 객실(111)의 길이보다 큰 값을 가진다.
상기 2층 객실(121)의 길이가 상기 1층 객실(111)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는 이유는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10)의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1층 차체(110)에서는 상기 제2 대차(220)의 상부에 객실을 형성할 수 없지만, 상기 2층 차체(120)에서는 객실, 즉 이층 연장객실(A)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상기 1층 차체(110)에서는 상기 제2 대차(220)의 설치로 인하여 1층 객실(111)의 높이보다는 낮은 높이를 갖는 상기 제2 수납공간(114)이 형성되지만, 상기 2층 차체(120)에서는 상기 2층 객실(121)의 객실공간 일부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이층 연장객실(A)에는 모두 2층 의자(122)이 배치될 수도 있지만, 일부분은 전장품의 설치를 위한 공간으로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2층 승하차공간부(123)는 상기 계단유닛(400)과 연결되는 계단연결부(123a)와, 상기 계단연결부(123a)와 연결되는 2층 객실유입통로(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계단연결부(123a)는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10)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2 계단영역(420)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계단연결부(123a)는 상기 2층 객실유입통로와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이층 갱웨이유닛(70)과 직접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2 이층객차유닛(20)는 1층 객실(21)을 갖는 1층 차체와, 2층 객실(22)을 갖는 2층 차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이층객차유닛(20)을 구성하는 세부구성들은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10)의 구성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이층 갱웨이유닛(70)은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10)의 2층 승하차공간부(123)와 상기 제2 이층객차유닛(20)의 2층 객실(22)을 연결하게 된다.
상기 이층 갱웨이유닛(70)의 하부에는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10)과 상기 제2 이층객차유닛(20)의 안정적인 연결을 위한 차량연결유닛(80)이 구비된다.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10)과 상기 제2 이층객차유닛(20) 사이의 객차간이동은 상기 이층 갱웨이유닛(70)을 통하여만 이동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층 고속열차에 구비된 2층 승객용 비상탈출장치의 제1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2층 승객용 비상탈출장치는 비상시 2층 객실(121)에 위치하는 2층 승객을 차체유닛의 외부로 대피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2층 객실의 비상창문(128)이 설치되는 상기 2층 객실(121)의 전방 양측 및 후방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2층 승객용 비상탈출장치는 정상운행 중에는 상기 2층 객실(121)에 배치된 비상창문(128)의 주변영역에 배치되었다가 비상시에는 상기 비상창문(128)이 설치되었던 공간을 관통하면서 상기 2층 객실(121)에서 상기 차체유닛의 외부로 펼쳐지는 탈출부재(510)와, 상기 비상창문(128)의 주변영역에 배치되어 비상시 상기 비상창문(128)을 깨뜨리기 위한 해머부재(520)를 포함한다.
열차사고가 발생하면, 도 7에서와 같이, 2층 승객은 상기 해머부재(520)를 사용하여 상기 비상창문(128)을 깨뜨린 후, 상기 탈출부재(510)를 상기 비상창문이 설치되었던 공간을 통하여 상기 차체유닛의 외부로 던지면서 상기 탈출부재(510)를 펼치게 된다.
결과적으로, 정상운행 중에는 2층 객실(121)에 배치된 비상창문(128)의 주변영역에 배치되었다가 비상시에는 상기 비상창문(128)이 설치되었던 공간을 관통하면서 상기 2층 객실(121)에서 차체유닛의 외부로 펼쳐지는 탈출부재(510)를 설치함으로써 2층 승객을 안전하고 빠르게 대피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탈출부재(510)는 열차의 정상운행 중에는 상기 비상창문(128)의 주변영역에 위치하는 2층 의자(122)의 제1 팔걸이부(122a)의 내부공간상에 배치되어 상기 2층 객실(121)의 내부공간으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탈출부재(510)가 열차의 정상운행 중에는 상기 2층 객실(121)의 내부공간으로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상기 2층 객실(121)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2층 의자(122)는 승객이 앉을 수 있는 좌석부(122c)와, 승객의 등을 받쳐 주기 위하여 상기 좌석부(122c)의 후방영역에 결합되는 등받이부(122b)와, 상기 승객의 팔을 거치하기 위하여 상기 좌석부(122c)의 양측에 결합되는 제1 팔걸이부(122a) 및 제2 팔걸이부(122d)를 포함한다.
상기 탈출부재(510)는 일단이 상기 비상창문(128)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제1 팔걸이부(122a)의 내부공간에 배치된 고정구조물(미도시)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제1 팔걸이부(122a)의 내부공간에 접혀진 상태로 수용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팔걸이부(122a)의 단면폭은 상기 제2 팔걸이부(122d)의 단면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등받이부(122b)는 비상시 상기 2층 승객이 상기 탈출부재(510)를 통하여 상기 차체유닛의 외부로 탈출할 때 계단역할을 하도록 상기 좌석부(122c)의 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다.
상기 탈출부재(510)는 일측은 상기 제1 팔걸이부(122a)의 내부공간에 배치된 고정구조물에 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차체유닛의 외부로 펼쳐질 수 있는 접철식 줄사다리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탈출부재(510)는 상기 고정구조물에 고정되는 줄부재(511)와, 상기 줄부재(511)에 일정간격으로 결합되는 발판부재(513)들을 포함한다. 상기 발판부재(513)들은 서로 겹쳐지는 형태로 상기 제1 팔걸이부(122a)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2층 승객이 상기 차체유닛의 외부로 던지게 되면 펼쳐지게 된다.
상기 발판부재(513)는 두께가 얇은 판형상을 가지며, 금속, 나무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탈출부재(510)는, 즉 접철식 줄사다리는 이층 고속열차가 터널 내부에서 사고가 발생했을 때 2층 승객이 탈출하기에 적합하다. 왜냐하면, 터널 내부에서는 상기 탈출부재(510)가 펼쳐지는 공간이 좁기 때문이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층 고속열차에 구비된 2층 승객용 비상탈출장치의 제2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 다른 2층 승객용 비상탈출장치에 구비되는 탈출부재가 2층 의자에 결합되는 구조는 상술한 제1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 예에 따른 2층 승객용 비상탈출장치에 구비된 탈출부재(600)는 상술한 제1 실시 예와 달리, 내부에 기체가 유입되어 팽장되는 튜브형태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탈출부재(600)는 상기 차체유닛의 외부로 펼쳐질 수 있는 튜브본체(610)와, 상기 튜브본체(610)를 팽창시킬 수 있는 기체를 상기 튜브본체(610)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기체공급모듈(620)을 포함한다.
상기 기체공급모듈(620)은 상기 튜브본체(6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튜브본체(610)에 기체를 공급하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기체공급모듈(620)은 아지드화나트륨(NaN3) 캡슐, 산화철, 기폭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폭장치는 스위치와, 점화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2층 승객이 상기 스위치를 누르게 되면 상기 점화기는 불꽃을 발생시킨다.
상기 불꽃은 상기 아지드화나트륨 캡슐을 터뜨리게 되고, 상기 아지드화나트륨 캡슐이 터지면, 상기 아지드화나트륨은 상기 산화철과 반응하면서 순간적으로 상기 아지드화나트륨을 나트륨과 질소로 분해하게 되고, 상기 질소는 상기 튜브본체(610)로 순간적으로 주입되어 상기 튜브본체(610)가 팽창하게 된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기체공급모듈(620)은 순간적으로 압축공기를 상기 튜브본체(610)의 내부로 공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튜브본체(610)는 내부가 서로 연통되는 미끄럼틀 형상을 가진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탈출부재(600)는 상기 튜브본체(610)가 펴질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는 지역에서 사용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탈출부재가 접철식 줄사다리 형태의 제1 탈출부재와, 튜브형태의 제2 탈출부재를 포함하여 구비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터널 내부에서 사고가 발생했을 때는 상기 제1 탈출부재를 사용하고, 차체유닛의 외부공간이 넓은 지역에서는 상기 제2 탈출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제1 이층객차유닛
20: 제2 이층객차유닛
70: 이층 갱웨이유닛 110: 1층 차체
111: 1층 객실 113: 1층 승하차공간부
114: 제2 수납공간 117: 제1 수납공간
118: 제3 수납공간 120: 2층 차체
121: 2층 객실 123: 2층 승하차공간부
210: 제1 대차 220: 제2 대차
300: 저상출입문유닛 400: 계단유닛
410: 제1 계단영역 420: 제2 계단영역
510: 탈출부재 520: 해머부재
610: 튜브본체 620: 기체공급모듈
70: 이층 갱웨이유닛 110: 1층 차체
111: 1층 객실 113: 1층 승하차공간부
114: 제2 수납공간 117: 제1 수납공간
118: 제3 수납공간 120: 2층 차체
121: 2층 객실 123: 2층 승하차공간부
210: 제1 대차 220: 제2 대차
300: 저상출입문유닛 400: 계단유닛
410: 제1 계단영역 420: 제2 계단영역
510: 탈출부재 520: 해머부재
610: 튜브본체 620: 기체공급모듈
Claims (6)
1층 객실을 갖는 1층 차체와, 상기 1층 차체의 상부에 배치되며 2층 객실을 갖는 2층 차체를 포함하는 차체유닛;
상기 1층 차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대차유닛;
상기 1층 차체에 형성된 1층 승하차공간부를 개폐하는 출입문유닛;
일단이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 상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2층 차체에 형성된 2층 승하차공간부로 연결되는 계단유닛; 그리고,
비상시 상기 2층 객실에 위치하는 2층 승객을 상기 차체유닛의 외부로 대피시키기 위한 2층 승객용 비상탈출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2층 승객용 비상탈출장치는 정상운행 중에는 상기 2층 객실에 배치된 비상창문의 주변영역에 배치되었다가 비상시에는 상기 비상창문이 설치되었던 공간을 관통하면서 상기 2층 객실에서 상기 차체유닛의 외부로 펼쳐지는 탈출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층 승객용 비상탈출장치를 갖는 이층 고속열차.
상기 1층 차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대차유닛;
상기 1층 차체에 형성된 1층 승하차공간부를 개폐하는 출입문유닛;
일단이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 상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2층 차체에 형성된 2층 승하차공간부로 연결되는 계단유닛; 그리고,
비상시 상기 2층 객실에 위치하는 2층 승객을 상기 차체유닛의 외부로 대피시키기 위한 2층 승객용 비상탈출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2층 승객용 비상탈출장치는 정상운행 중에는 상기 2층 객실에 배치된 비상창문의 주변영역에 배치되었다가 비상시에는 상기 비상창문이 설치되었던 공간을 관통하면서 상기 2층 객실에서 상기 차체유닛의 외부로 펼쳐지는 탈출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층 승객용 비상탈출장치를 갖는 이층 고속열차.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출부재는 정상운행 중에 상기 비상창문의 주변영역에 위치하는 2층 의자의 팔걸이부의 내부공간상에 배치되어 상기 2층 객실의 내부공간으로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층 승객용 비상탈출장치를 갖는 이층 고속열차.
상기 탈출부재는 정상운행 중에 상기 비상창문의 주변영역에 위치하는 2층 의자의 팔걸이부의 내부공간상에 배치되어 상기 2층 객실의 내부공간으로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층 승객용 비상탈출장치를 갖는 이층 고속열차.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출부재는 일측은 상기 팔걸이부의 내부공간에 배치된 고정구조물에 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차체유닛의 외부로 펼쳐질 수 있는 접철식 줄사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층 승객용 비상탈출장치를 갖는 이층 고속열차.
상기 탈출부재는 일측은 상기 팔걸이부의 내부공간에 배치된 고정구조물에 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차체유닛의 외부로 펼쳐질 수 있는 접철식 줄사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층 승객용 비상탈출장치를 갖는 이층 고속열차.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출부재는 상기 차체유닛의 외부로 펼쳐질 수 있는 튜브본체와, 상기 튜브본체를 팽창시킬 수 있는 기체를 상기 튜브본체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기체공급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층 승객용 비상탈출장치를 갖는 이층 고속열차.
상기 탈출부재는 상기 차체유닛의 외부로 펼쳐질 수 있는 튜브본체와, 상기 튜브본체를 팽창시킬 수 있는 기체를 상기 튜브본체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기체공급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층 승객용 비상탈출장치를 갖는 이층 고속열차.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층 의자의 등받이부는 비상시 상기 2층 승객이 상기 탈출부재를 통하여 상기 차체유닛의 외부로 탈출할 때 계단역할을 하도록 상기 2층 의자의 좌석부 방향으로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층 승객용 비상탈출장치를 갖는 이층 고속열차.
상기 2층 의자의 등받이부는 비상시 상기 2층 승객이 상기 탈출부재를 통하여 상기 차체유닛의 외부로 탈출할 때 계단역할을 하도록 상기 2층 의자의 좌석부 방향으로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층 승객용 비상탈출장치를 갖는 이층 고속열차.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층 승객용 비상탈출장치는 상기 비상창문의 주변영역에 배치되어 비상시 상기 비상창문을 깨뜨리기 위한 해머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2층 승객용 비상탈출장치는 상기 2층 객실의 전방 양측 및 후방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층 승객용 비상탈출장치를 갖는 이층 고속열차.
상기 2층 승객용 비상탈출장치는 상기 비상창문의 주변영역에 배치되어 비상시 상기 비상창문을 깨뜨리기 위한 해머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2층 승객용 비상탈출장치는 상기 2층 객실의 전방 양측 및 후방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층 승객용 비상탈출장치를 갖는 이층 고속열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87385A KR101675371B1 (ko) | 2014-12-23 | 2014-12-23 | 2층 승객용 비상탈출장치를 갖는 이층 고속열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87385A KR101675371B1 (ko) | 2014-12-23 | 2014-12-23 | 2층 승객용 비상탈출장치를 갖는 이층 고속열차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76833A true KR20160076833A (ko) | 2016-07-01 |
KR101675371B1 KR101675371B1 (ko) | 2016-11-11 |
Family
ID=56500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87385A KR101675371B1 (ko) | 2014-12-23 | 2014-12-23 | 2층 승객용 비상탈출장치를 갖는 이층 고속열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75371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RU178176U1 (ru) * | 2017-02-21 | 2018-03-26 | Алексей Иванович Медведев | Железнодорожный двухэтажный самодвижущийся скоростной электровагон с большими боковыми колесами |
DE102017205497B3 (de) * | 2017-03-31 | 2018-06-14 | Siemens Aktiengesellschaft | Doppelstöckiges Fahrzeug |
CN109808628A (zh) * | 2019-03-29 | 2019-05-28 | 吴易凡 | 一种单层客车 |
RU205083U1 (ru) * | 2021-02-24 | 2021-06-28 |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Бря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 Кузов двухэтажного пассажирского вагона |
CN113799810A (zh) * | 2021-10-12 | 2021-12-17 | 中车长春轨道客车股份有限公司 | 一种铝合金双层动车组车体结构及一种动车组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AT525277B1 (de) * | 2021-12-14 | 2023-02-15 | Siemens Mobility Austria Gmbh | Passagierschienenfahrzeug mit einem Notausstieg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625457A1 (de) * | 1993-05-17 | 1994-11-23 | Inventio Ag | Einstiegseinrichtung für Doppelstock-Eisenbahnwagen |
JPH10503736A (ja) * | 1995-06-07 | 1998-04-07 | シミュラ・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負圧格納された脱出スライド |
JP2006290193A (ja) * | 2005-04-12 | 2006-10-26 | Tokyu Car Corp | 非常用具収容装置 |
JP2009067170A (ja) * | 2007-09-12 | 2009-04-02 | Okamura Corp | テーブル付き椅子 |
KR20140046597A (ko) | 2012-10-08 | 2014-04-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라이트 동작 또는 리드 동작 수행 방법 |
-
2014
- 2014-12-23 KR KR1020140187385A patent/KR10167537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625457A1 (de) * | 1993-05-17 | 1994-11-23 | Inventio Ag | Einstiegseinrichtung für Doppelstock-Eisenbahnwagen |
JPH10503736A (ja) * | 1995-06-07 | 1998-04-07 | シミュラ・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負圧格納された脱出スライド |
JP2006290193A (ja) * | 2005-04-12 | 2006-10-26 | Tokyu Car Corp | 非常用具収容装置 |
JP2009067170A (ja) * | 2007-09-12 | 2009-04-02 | Okamura Corp | テーブル付き椅子 |
KR20140046597A (ko) | 2012-10-08 | 2014-04-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메모리 시스템에서의 라이트 동작 또는 리드 동작 수행 방법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RU178176U1 (ru) * | 2017-02-21 | 2018-03-26 | Алексей Иванович Медведев | Железнодорожный двухэтажный самодвижущийся скоростной электровагон с большими боковыми колесами |
DE102017205497B3 (de) * | 2017-03-31 | 2018-06-14 | Siemens Aktiengesellschaft | Doppelstöckiges Fahrzeug |
CN109808628A (zh) * | 2019-03-29 | 2019-05-28 | 吴易凡 | 一种单层客车 |
RU205083U1 (ru) * | 2021-02-24 | 2021-06-28 |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Бря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 Кузов двухэтажного пассажирского вагона |
CN113799810A (zh) * | 2021-10-12 | 2021-12-17 | 中车长春轨道客车股份有限公司 | 一种铝合金双层动车组车体结构及一种动车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75371B1 (ko) | 2016-11-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75371B1 (ko) | 2층 승객용 비상탈출장치를 갖는 이층 고속열차 | |
EP1843928B1 (en) | Double-deck railway vehicle | |
KR20140050452A (ko) | 공기 순환 기능을 갖는 복층식 열차 | |
CN104118480B (zh) | 一种长途卧铺客车结构 | |
JP5237930B2 (ja) | 軌条車両に備えられる避難装置及びその避難装置の軌条車両への固定方法 | |
JP2007246088A (ja) | 鉄道車両と鉄道車両の連絡通路 | |
ES2733278T3 (es) | Vagón de vehículo sobre raíles con zona para silla de ruedas así como vehículo sobre raíles | |
US2285933A (en) | Double deck rail car | |
RU2467900C2 (ru) | Двухэтажный вагон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 |
KR101595776B1 (ko) | 이층 고속열차 | |
KR20090128676A (ko) | 무정차 열차 운행 시스템 및 방법 | |
US10442447B2 (en) | Seating arrangement for a front end of a monorail car | |
KR101649478B1 (ko) |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을 갖는 이층 고속열차 | |
FI108011B (fi) | Kaksikerroksinen matkajunavaunu | |
JP6101411B1 (ja) | 昇降装置付き乗物 | |
CZ294435B6 (cs) | Uzavřený železniční vůz pro společnou přepravu cestujících a osobních automobilů a/nebo přepravních modulů | |
RU123743U1 (ru) | Состав двухэтажного пассажирского электропоезда | |
RU72922U1 (ru) | Двухэтажный пассажирский вагон | |
KR101675370B1 (ko) | 이층 고속열차 | |
RU20894U1 (ru) | Двухэтажный железнодорожный пассажирский вагон | |
JP5114525B2 (ja) | 路面電車 | |
CN204021024U (zh) | 一种新型长途卧铺客车结构 | |
KR101396208B1 (ko) | 복층식 열차의 객실 구조 | |
CN101708724A (zh) | 一种双层火车客车车厢 | |
GB644158A (en)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ailway vehicle bodi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4 |